KR102757550B1 - Baby blanket - Google Patents
Baby blan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7550B1 KR102757550B1 KR1020220097347A KR20220097347A KR102757550B1 KR 102757550 B1 KR102757550 B1 KR 102757550B1 KR 1020220097347 A KR1020220097347 A KR 1020220097347A KR 20220097347 A KR20220097347 A KR 20220097347A KR 102757550 B1 KR102757550 B1 KR 1027575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outer
- infant
- chest compression
- pocke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41B13/065—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with sleep positioning fea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용 이불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으로 된 2겹의 상부 및 하부외피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외피의 양쪽에 폭-가변포켓이 마련되되 상기 폭-가변포켓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이불의 들뜸 내지 차냄을 방지하기 위한 이불누름용 포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외피의 중앙상부에 영유아의 가슴을 눌러주어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가슴압박용 포대가 탈부착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생후 3개월 이내의 영유아에게 이불을 덮어 주었을 때 영유아의 가슴을 살며시 눌러주어 영유아의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forter for infants and toddlers, comprising: a two-layer upper and lower outer skins in a square shape; a width-variable pocke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and a comforter-pressing band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width-variable pocket to prevent the comforter from lifting or snagging; and a chest compression band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central upper part of the upper skin to suppress the moro reflex by pressing the chest of the infant or toddler. Thus, when covering an infant or toddler under 3 months with a comforter, the infant or toddler's chest is gently pressed, thereby suppressing the moro reflex.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유아용 이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폭 및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고 영유아의 가슴을 중량물포대로 살며시 눌러주어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영유아용 이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lt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more specifically, to a quilt for infants and toddlers which can be used by changing the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infant and which can suppress the moro reflex by gently pressing the infant's chest with a weighted blanket.
일반적으로, 신생아를 포함한 영유아는 대부분의 운동 행동은 반사 행동으로 이루어지며, 고전적인 신생아 반사의 정의는 특정 자극에 대한 적, 자동적 반응을 말하며, 중추 신경계의 하부 영역에 의해 관장되는 행동을 일컫는다. 신생아 반사는 40여개의 반사를 가지고 태어나나 이들 중에서 대표적인 반사행동은 젖 찾기 반사와 빨기 반사, 쥐기 반사, 갈란트 반사, 모로 반사, 바빈스키 반사, 밥킨 반사, 토닉넥 반사, 걷기 반사 등이 있다.In general, most motor behavior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cluding newborns, are reflex actions, and the classic definition of neonatal reflex is an automatic response to a specific stimulus, and refers to behaviors controlled by the lower region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Neonatal reflexes are born with about 40 reflexes, but representative reflex actions include the sucking reflex, grasping reflex, Galant reflex, Moro reflex, Babinski reflex, Bobin reflex, tonic neck reflex, and walking reflex.
이와 같은 영유아를 감싸서 덮어주는 영유아용의 이불은 영유아의 반사행동으로 인하여 이불의 차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불 하측의 외피에 착용밴드가 마련되고 이불양쪽에 이불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부가 마련된 것들이 있다.Infant blankets that wrap and cover infants and toddlers like this have a wearing b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lanket to prevent infants and toddlers from kicking the blanket due to their reflex actions, and some have press parts on both sides of the blanket to hold it down.
이러한 영유아용 이불 중에서 하나만을 발췌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8017호(이하, "문헌1"이라 약칭함)에 "사이즈조절이 가능한 영유아용 이불"이 제시되어 있다.Among these infant/toddler blankets, I would like to briefly explain just on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08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discloses a “size-adjustable infant/toddler blanket.”
문헌1의 유아용 이불은 덮개부의 좌우측에 포켓이 마련되고 상기 포켓에 곡물자루를 삽입하여 누름부를 마련하되 상기 포켓에 삽입되는 곡물자루의 간격에 의해 폭과 길이를 영유아의 신체사이즈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었다.The infant blanket of Document 1 had pocke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and a pressing part was formed by inserting grain sacks into the pockets. However, the width and length were adjusted to the body size of the infant or toddler by the spacing between the grain sacks inserted into the pocket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문헌1의 유아용 이불에 있어서는 중앙에 덮개부를 포함하고 덮개부의 좌측과 우측에 포켓이 마련된 포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불을 이루는 외피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어 실용적이지 못한 것이었다.However, in the infant comforter of the above-mentioned document 1, since it is made of a quilt with a cover part in the center and pocke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part, the outer size of the comforter is bound to be large, which is impractical.
또한, 문헌1의 유아용 이불은 곡물자루가 삽입되는 포켓이 포대의 양쪽과 하단에 각각 2개소에 마련되어 포켓이 다수 개라는 이점이 있는 반면, 한쪽의 지퍼를 통해서 삽입하거나 빼내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폐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infant blanket of Document 1 has the advantage of having multiple pockets, with two pockets on each side and bottom of the blanket into which grain sacks are inserted,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cumbersome and inconvenient because it has to be inserted or removed through a zipper on one side.
특히, 문헌1의 영유아 이불은 영유아의 반사행동 중에서 모로 반사 등에 의한 적이고 자동적 반응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한 그 어떠한 수단이나 구조가 절실하게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대책이 마련되지 않다는 폐단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infant/toddler blanket in Literature 1 had the disadvantage of not providing any measures despite the urgent need for any means or structure to reduce or prevent involuntary and automatic reactions such as the Moro reflex among infant/toddler reflexe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 및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외피에 탈부착 가능한 가슴압박용 포대를 마련함으로써 이불을 덮어 주었을 때 유아의 가슴을 살며시 눌러주어 유아의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영유아용 이불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lanket for infants and toddlers, which has a chest compression band that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upper outer skin, so that when the blanket is covered, the chest of the infant is gently pressed, thereby suppressing the infant's moro reflex.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겹으로 된 상부 및 하부외피의 양측에 각각 상부내측과 하부외측용 포켓으로 된 폭-가변포켓이 마련되고 폭-가변포켓의 상부내측 또는 하부외측용 포켓에 선택적으로 이불누름용 포대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유아의 신체사이즈에 맞추어 이불가장자리를 들뜸 없이 눌러줄 수 있도록 한 영유아용 이불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forter for infants and toddlers, in which variable-width pocke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wo-layer upper and lower outer skins, each of which is configured as an upper inner pocket and a lower outer pocket, and a comforter-pressing pad is selectively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upper inner or lower outer pocket of the variable-width pocket, thereby allowing the edge of the comforter to be pressed without lifting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infant.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형으로 된 2겹의 상부 및 하부외피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외피의 양쪽에 폭-가변포켓이 마련되되 상기 폭-가변포켓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이불의 들뜸 내지 차냄을 방지하기 위한 이불누름용 포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외피의 중앙상부에 영유아의 가슴을 눌러주어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가슴압박용 포대가 탈부착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two upper and lower outer layers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width-variable pocke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layers, and a blanket pressing sack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width-variable pocket to prevent the blanket from lifting or snagging, and a chest compression sack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center upper part of the upper outer layer to press the chest of an infant or toddler to suppress the Moro reflex.
본 발명의 영유아용 이불에 있어서,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의 탈부착수단은 한 쌍의 매직테이프를 이용하거나 가슴압박용 포대를 수납할 수 있는 가슴압박용 포대포켓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fant/toddler blank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hest compression band is characterized by using a pair of magic tapes or a chest compression band pocket capable of storing the chest compression band.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는 그 내부에 제습, 탈취, 향균, 공기정화는 물론 음이온을 발산하는 소재가 내장된 것으로, 소재의 중량으로 인하여 영유아의 가슴을 살며시 눌러주어 영유아의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The above chest compression pad has a built-in material that not only dehumidifies, deodorizes, has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purifies the air, but also emits negative ions. The weight of the material is enough to gently press the chest of infants and toddlers, thereby suppressing the infants’ moro reflex.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의 중량은 100g에서 400g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의 중량이 100g 미만이면 너무 가벼워 영유아의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없고,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의 중량이 400g을 초과하면 영유아의 가슴을 무리하게 압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weight of the chest compression bag is preferably between 100 g and 400 g. If the weight of the chest compression bag is less than 100 g, it is too light to suppress the infant's moro reflex, and if the weight of the chest compression bag exceeds 400 g, it may forcefully compress the infant's chest.
본 발명의 영유아용 이불에 있어서, 상기 폭-가변포켓은 상부 및 하부외피의 양쪽에 내피를 개재하여 3겹으로 마련하고, 상부내측과 하부외측에 이불누름용 포대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포켓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도록 재봉되되 하부외측용 포켓은 상부내측용 포켓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부내측용 포켓보다 넓은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의 가장자리엔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을 개폐시키기 위한 지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fant/toddler comf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variable pocket is provided in three layers by interposing an inner layer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layers, and a pocket into which a comforter-pressing pad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inner side and the lower outer side, and the lower outer pocket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inner pocket and is provided with a wider width than the upper inner pocket, and a zipper is provided on the edges of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pocket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pockets.
본 발명의 영유아용 이불에 따르면, 상부외피의 중앙상부에 가슴압박용 포대포켓이나 매직테이프를 마련하고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포켓이나 매직테이프에 가슴압박용 포대를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생후 3개월 이내의 영유아에게 이불을 덮어 주었을 때 영유아의 가슴을 살며시 눌러주어 영유아의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infant/toddler comf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est compression pocket or magic tape is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outer skin, and a chest compression pocket or magic tape is selectively inserted or attached to the chest compression pocket or magic tape, thereby having the useful effect of suppressing the infant/toddler's moro reflex by gently pressing the infant's chest when covering the infant/toddler with the comforter.
본 발명의 영유아용 이불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외피의 양측에 각각 상부내측과 하부외측용 포켓으로 된 폭-가변포켓을 마련하고 폭-가변포켓의 상부내측 또는 하부외측용 포켓에 선택적으로 이불누름용 포대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유아의 신체사이즈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불의 차냄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infant/toddler comf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variable-width pockets, each consisting of an upper inner pocket and a lower outer pocket,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and selectively inserting and installing a comforter-pressing pad into the upper inner or lower outer pocket of the variable-width pocket, it is possible to use the comforter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infant, and also has the useful effect of preventing the comforter from smel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영유아용 이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이불의 폭-가변포켓에서 이불누름용 포대를 넣고 빼냄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이불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잘라 본 상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영유아용 이불을 나타낸 일부 분해평면도이다.FIG. 1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quilt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inserting and removing a quilt-pressing bag from a width-variable pocket of a quilt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mforter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Figure 6 is a partially exploded plan view showing a quilt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영유아용 이불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Figures 1 to 5 are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quilt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유아용 이불은 사각형으로 된 2겹의 상부 및 하부외피(11,12)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외피(11,12)의 양쪽에 폭-가변포켓(13)이 마련되며, 상기 폭-가변포켓(1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이불의 들뜸 내지 차냄을 방지하기 위한 이불누름용 포대(14)를 포함하여 마련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fant/toddler comf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layers of squar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and a width-variable pocket (1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and a comforter pressing bag (14) is provided to selectively insert into the width-variable pocket (13) to prevent the comforter from lifting or sagging.
상기 폭-가변포켓(13)은 2겹으로 된 상부 및 하부외피(11,12)의 양쪽부분에 하나의 내피(15)를 개재시켜 3겹으로 마련하고, 내피(15)가 개재된 상부 및 하부외피(11,12)의 외곽테두리는 물론 상부 및 하부외피(11,12)의 상단으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재봉한다.The above-mentioned variable-width pocket (13) is made of three layers by interposing one inner layer (15) on both sides of the two-layer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and the outer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with the inner layer (15) interposed therebetween are sew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상기 상부 및 하부외피(11,12)는 점선으로 표시된 재봉선(11a)이 평면상 U자형을 이루도록 재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외피(11,12)는 그 양측이 길이방향으로 재봉됨에 따라 상부 및 하부외피(11,12)의 상부내측과 하부외측에 이불누름용 포대(14)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13a,13b)이 마련된다.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are sewn so that the sewing line (11a)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forms a U shape on the plane. In this way, since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are se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ockets (13a, 13b) for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sides are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out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into which a quilt-pressing pad (14) can be selectively inserted.
상기 상부 및 하부외피(11,12)에 평면상 U자형으로 재봉하는 이유는 상부 및 하부외피(11,12)의 하단부인 상부외피(11)와 하부외피(12)사이에 개구부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상부 및 하부외피(11,12)의 하단부에 개구부분을 마련하는 이유는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13a,13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이불누름용 포대(14)의 한쪽부분을 구부려서 상기 상부 및 하부외피(11,12) 하단부의 개구부분으로 집어넣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sewing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in a U shape on the plane is to provide an opening between the upper outer skin (11) and the lower outer skin (12), which are the lower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The reason for providing the opening at the lower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is to bend one part of the quilt-pressing bag (14)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pockets (13a, 13b) and insert it into the opening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상기 하부외측용 포켓(13b)은 상부내측용 포켓(13a)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부 내측용 포켓(13a)보다 넓은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13a,13b)의 가장자리엔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13a,13b)을 개폐시키기 위한 지퍼(16a,16b)가 마련된다.The above-mentioned lower outer pocket (13b)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inner pocket (13a) and is provided with a wider width than the upper inner pocket (13a), and zippers (16a, 16b) are provided on the edges of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pockets (13a, 13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pockets (13a, 13b).
상기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13a,13b)은 상부 및 하부외피(11,12)의 폭 방향인 그 내측으로 이불누름용 포대(14)를 구부려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단부분이 재봉되지 않고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부 및 하부외피(11,12)의 하단 또한 이불누름용 포대(14)를 이용하여 이불의 들뜸 내지 차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ortions of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pockets (13a, 13b) be open without being sewn so that a quilt-pressing bag (14) can be inserted by bending it in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the quilt from being lifted or leaked by using the quilt-pressing bag (14)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11, 12).
상기 하부외피(12)의 양쪽하부에는 영유아의 다리에 동여매기 위한 탄력밴드(1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력밴드(17)는 영유아의 다리에 살며시 동여맨 상태로 영유아용 이불을 덮어주면 탄력밴드(17)를 통해 영유아용 이불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영유아가 다리를 활기차게 움직이더라도 이불의 차냄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n elastic band (17) for tying the legs of an infant or toddle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s of the lower outer shell (12). When the elastic band (17) is gently tied around the legs of an infant or toddler and the infant or toddler blanket is covered, the infant or toddler blanket is integrated through the elastic band (17), so that even if the infant or toddler actively moves its legs, the blanket smell can be prevented from the beginning.
상기 이불누름용 포대(14)는 찬-기질로 열기를 내려주고 통풍이 잘되어 땀 흡수가 잘되는 좁쌀 등의 곡물이나 메밀껍질 등과 같은 곡물껍질을 채워 넣거나, 원적외선 등을 발산하는 재료로 성형한 소정입자크기의 알갱이를 채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불누름용 포대(14)는 곡물, 곡물껍질 및 알갱이 등을 채워 넣은 상태에서 호형은 물론 직각으로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꺾을 수 있어야 한다.The above-mentioned blanket-pressing bag (14) can be filled with grains such as millet, which have a cool temperament to reduce heat and are well-ventilated and absorb sweat well, or grains such as buckwheat hulls, which are formed with a material that emits far infrared rays, etc., and have a particle size of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blanket-pressing bag (14) should be able to be freely bent or folded into a right angle as well as an arc shape while filled with grains, grain hulls, and grains, etc.
또한, 상기 상부외피(11)의 중앙상부에는 영유아의 가슴을 눌러주어 영유아의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가슴압박용 포대(20)가 마련된다.In addition, a chest compression band (20) is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outer shell (11) to suppress the infant's moro reflex by pressing the infant's chest.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20)는 상부외피(11)에서 탈부착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20)의 탈부착수단은 상부외피(11)의 중앙상부에 가슴압박용 포대(14)를 수납할 수 있는 가슴압박용 포대포켓(18)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above chest compression bag (20) is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upper outer shell (11), and the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may be provided as a chest compression bag pocket (18) capable of storing the chest compression bag (14) in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outer shell (11).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포켓(18)의 입구에는 가슴압박용 포대포켓(18)에 넣은 가슴압박용 포대(20)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단추, 지퍼 및 매직테이프 중의 어느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At the entrance of the chest compression bag pocket (18), one of a snap button, a zipper, and a magic tape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placed in the chest compression bag pocket (18) from falling out.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20)는 가슴압박용 포대포켓(18)내에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가슴압박용 포대포켓(18)에서 가슴압박용 포대(20)를 빼낸 상태, 즉 가슴압박용 포대(20)를 삽입하지 아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가슴압박용 포대(2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사용하면 된다.The above chest compression bag (20) can be used by inserting it into the chest compression bag pocket (18), or by removing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from the chest compression bag pocket (18), i.e., by not inserting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In this way,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can be selectively adopted and used as needed.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20)는 그 내부에 제습, 탈취, 향균, 공기정화는 물론 음이온을 발산하는 소재가 내장된 것으로, 가슴압박용 포대(14)내의 소재중량으로 인하여 영유아의 가슴을 살며시 눌러주어 영유아의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The above chest compression bag (20) has a material built into it that not only dehumidifies, deodorizes, has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purifies the air, but also emits negative ions. The weight of the material inside the chest compression bag (14) is sufficient to suppress the infant's moro reflex by gently pressing the infant's chest.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20)의 중량은 100g에서 400g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20)의 중량이 100g 미만이면 너무 가벼워 영유아의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없고,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20)의 중량이 400g을 초과하면 영유아의 가슴을 무리하게 압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weight of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is preferably between 100 g and 400 g. If the weight of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is less than 100 g, it is too light to suppress the infant's moro reflex, and if the weight of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exceeds 400 g, it may forcefully compress the infant's ches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영유아용 이불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20)의 탈부착수단이 상부외피(11)의 중앙상부에 매직테이프(19a)를 마련하고 가슴압박용 포대(20)에 상부외피(11)측의 매직테이프(19a)와 한 쌍을 이루는 매직테이프(19b)를 마련한 것을 제외하고는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quilt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detachable means of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is provided with a magic tape (19a) in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outer shell (11) and a magic tape (19b) is provided on the chest compression bag (20) to form a pair with the magic tape (19a) on the upper outer shell (11).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영유아용 이불에 의하면, 상부외피(11)의 매직테이프(19a)에 필요할 때마다 선택적으로 가슴압박용 포대(20)를 부착하거나 떼어내어 사용함으로써 가슴압박용 포대(20)의 중량으로 영유아의 가슴을 살며시 눌러주어 영유아의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fant/toddler blanket as described above, by selectively attaching or removing a chest compression band (20) to the magic tape (19a) of the upper outer skin (11) whenever necessary, the infant/toddler's chest can be gently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chest compression band (20), thereby suppressing the infant/toddler's moro reflex.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애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Furtherm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상부외피 12: 하부외피
13: 폭-가변포켓 13a: 상부내측용 포켓
13b: 하부외측용 포켓 14: 이불누름용 포대
15: 내피 16a,16b: 지퍼
17: 탄력밴드 18: 가슴압박용 포대포켓
19a,19b: 매직테이프 20: 가슴압박용 포대11: Upper shell 12: Lower shell
13: Width-variable pocket 13a: Pocket for upper inner side
13b: Pocket for lower outer side 14: Bag for quilt presser
15: Inner 16a,16b: Zipper
17: Elastic band 18: Chest compression pocket
19a,19b: Magic tape 20: Chest compression bandage
Claims (3)
상기 폭-가변포켓은 상부 및 하부외피의 양쪽에 내피를 개재하여 3겹으로 마련하고, 상기 내피가 개재된 상부 및 하부외피의 외곽테두리는 물론 상부 및 하부 외피의 상단으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평면상 U자형을 이루도록 재봉하여 상부내측과 하부외측에 이불누름용 포대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을 마련하며,
상기 하부외측용 포켓은 상부내측용 포켓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부내측용 포켓보다 넓은 폭으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의 가장자리엔 상부내측 및 하부외측용 포켓을 개폐시키기 위한 지퍼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외피의 중앙상부에 영유아의 가슴을 눌러주어 모로 반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가슴압박용 포대가 탈부착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이불.It is provided with two layers of upper and lower outer skins in a square shape, and has variable width pocke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and includes a quilt-pressing pad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variable width pockets to prevent the quilt from lifting or getting wet.
The above-mentioned variable-width pocket is provided in three layers by interposing an inner lining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and the outer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with the inner linings are sewn to form a U-shape on a plan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skins, thereby providing upper inner and lower outer pockets for selectively inserting a quilt-pressing pad on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sides.
The above lower outer pocket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inner pocket and is provided with a wider width than the upper inner pocket, and zippers are provided on the edges of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pockets to open and close the upper inner and lower outer pockets.
A blanket for infants and toddlers, characterized in that a chest compression band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outer skin to suppress the Moro reflex by pressing the chest of the infant or toddler.
상기 가슴압박용 포대의 탈부착수단은 한 쌍의 매직테이프나, 가슴압박용 포대를 수납할 수 있는 가슴압박용 포대포켓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이불.In the first paragraph,
A blanket for infants and toddl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hest compression b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air of magic tapes or a chest compression band pocket capable of storing the chest compression ban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7347A KR102757550B1 (en) | 2022-08-04 | 2022-08-04 | Baby blan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7347A KR102757550B1 (en) | 2022-08-04 | 2022-08-04 | Baby blanke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19547A KR20240019547A (en) | 2024-02-14 |
| KR102757550B1 true KR102757550B1 (en) | 2025-01-21 |
Family
ID=898965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97347A Active KR102757550B1 (en) | 2022-08-04 | 2022-08-04 | Baby blank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57550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016005A1 (en) | 2004-07-24 | 2006-01-26 | Roda Ha N | Weighted Swaddling Blanket |
| US20190313702A1 (en) * | 2018-02-21 | 2019-10-17 | Happiest Baby, Inc. | Infant sleep garment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21531A (en) * | 2009-08-26 | 2011-03-04 | 유병일 | Baby Functional Bedding |
| KR20110107900A (en) * | 2010-03-26 | 2011-10-05 | 조철호 | Baby Cover |
| KR101597215B1 (en) * | 2014-07-24 | 2016-02-29 | 이지혜 | Bedding for Newborn Baby |
| KR101908017B1 (en) * | 2017-03-02 | 2018-10-24 | 주식회사 스칸디맘코리아 | Baby bedclothes for adjusting a size |
| KR102488474B1 (en) * | 2021-03-31 | 2023-01-13 | 주식회사 래빗앤린맘 | Bedding for newborn baby |
-
2022
- 2022-08-04 KR KR1020220097347A patent/KR1027575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016005A1 (en) | 2004-07-24 | 2006-01-26 | Roda Ha N | Weighted Swaddling Blanket |
| US20190313702A1 (en) * | 2018-02-21 | 2019-10-17 | Happiest Baby, Inc. | Infant sleep garmen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19547A (en) | 2024-02-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3575326A (en) | Infant carrier | |
| US3845513A (en) | Safety sleeping bag for infants and babies | |
| US5243724A (en) | Multi-purpose baby wrap | |
| US7584515B2 (en) | Snuggle pockets | |
| JP2007503879A (en) | Baby carrier with enclosure system | |
| US20100257653A1 (en) | Infant wrap including body padding | |
| US8276224B1 (en) | Bed sheet with integrated sleeping garment | |
| JP2005530521A (en) | Baby bed safety sheet and blanket composite | |
| US8359687B2 (en) | Incubato/crib infant positioning blanket | |
| KR102205713B1 (en) | A baby swaddling blanket | |
| KR101908017B1 (en) | Baby bedclothes for adjusting a size | |
| US20130168422A1 (en) | Upper-body infant bonding garment | |
| US20090241261A1 (en) | Fitted sheet strap device | |
| JP2006520861A (en) | Infant support wrap system | |
| KR102757550B1 (en) | Baby blanket | |
| EP1961318A2 (en) | Convertible Garment | |
| GB2281510A (en) | Safety sleeping equipment | |
| KR102646673B1 (en) | Cushion module and inner wrap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
| KR20100007076U (en) | Baby wrapper | |
| KR20220001275U (en) | Out cover for backflow prevention cushion and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cushion using the same | |
| CN107518689A (en) | Children's travel cot | |
| KR102743243B1 (en) | Inner wrapper for baby | |
| CN214903849U (en) | Baby nursing swaddle | |
| CN220459537U (en) | Neonate keeps warm bag of bird's nest | |
| CN120241341A (en) | Newborn multifunctional bird's nest and how to use 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3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