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7630B1 -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 Google Patents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7630B1
KR102757630B1 KR1020220012717A KR20220012717A KR102757630B1 KR 102757630 B1 KR102757630 B1 KR 102757630B1 KR 1020220012717 A KR1020220012717 A KR 1020220012717A KR 20220012717 A KR20220012717 A KR 20220012717A KR 102757630 B1 KR102757630 B1 KR 102757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ing device
skin
vitami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0120A (en
Inventor
유승협
박재혁
문한얼
구선형
석창훈
최동호
이혁주
윤인영
안준석
최지수
홍정경
김태
강지승
정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학교병원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학교병원,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US17/586,946 priority Critical patent/US12121740B2/en
Publication of KR2022011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763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은 인체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착용 부위의 피부에 자외선 광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과 연결되어, 상기 자외선 광을 방사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광원을 구동 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광의 확산을 일으켜 상기 피부에 도달하는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를 균일하게 하는 광 확산 패널을 포함한다.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includes a wearable lighting device formed as a wearable structure on a human body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that radiate ultraviolet light to the skin of a wearing portion, and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driv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radiate the ultraviolet light, and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includes a light diffusion panel that causes diffusion of ultraviolet light radia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make uniform the irradiance of ultraviolet light reaching the skin.

Figure R1020220012717
Figure R1020220012717

Description

체내 비타민 D 생성을 유도하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 및 그 시스템{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Wearable lighting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본 개시는 체내 비타민 D 생성을 유도하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wearable ligh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태양광에 인체가 매일 적정량 노출되면, 태양광 중에서 자외선 B 대역 빛에 의하여 신진 대사에 필요한 비타민 D3의 대부분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합성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It is known that most of the vitamin D3 required for metabolism can be naturally synthesized in the body by ultraviolet B light from sunlight when the human body is exposed to an appropriate amount of sunlight every day.

그러나 주로 실내 생활을 하는 현대인의 태양광 노출 부족으로 인한 비타민 D 결핍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태양광의 경우 UVB(Ultraviolet B) 대역이 기사광이나 근적외선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 수 시간의 노출이 필요한 데다가, 현대인들은 외출시에도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잦기 때문에, 비타민 D 결핍이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However, vitamin D deficiency is occurring worldwide due to insufficient exposure to sunlight among modern people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In the case of sunlight, the UVB (Ultraviolet B) band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sunlight or near-infrared range, requiring exposure for several hours. In addition, modern people often use sunscreen when going out, making vitamin D deficiency even more serious.

비타민 D는 음식 섭취를 통해 하루 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태양광에 충분히 노출될 수 없는 경우 비타민 D 결핍을 막기 위해 경구 비타민 보충제 섭취가 요구되어 왔다. Vitamin D is difficult to meet daily requirements through food intake. Therefore, oral vitamin supplements have been required to prevent vitamin D deficiency in cases where sufficient exposure to sunlight is not possible.

그러나 고농도의 비타민제를 섭취시 초기에 체내 비타민 D량이 급격히 높아지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다.However, there are concerns about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high-concentration vitamin supplements, as the initial amount of vitamin D in the body increases rapidly.

따라서, 인공 광원을 이용하여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비타민 D 합성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광선 치료 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다. 광선 치료 장치는 인체의 피부에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체내에서 자연적인 비타민 D 합성을 유도한다.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on a phototherapy device that can naturally synthesize vitamin D in the body using an artificial light source. The phototherapy device irradiates ultraviolet light to the human skin to induce natural vitamin D synthesis in the body.

자외선B 광에 의한 단위 면적당 비타민 D 합성량은 단위 면적당 노출되는 총 에너지량(dose)에 비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B 광의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당 에너지량에 해당되는 방사 조도(irradiance)가 주어졌을 때,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필요한 에너지량을 달성할 수 있다. 자외선B에 한정된 광원을 사용할 경우, 태양에서 수 시간이 걸리는 비타민 D 합성량을 수 분 내외의 매우 짧은 시간에 달성하여, 현대인의 바쁜 생활 양상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비타민 D 합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It is known that the amount of vitamin D synthesis per unit area by ultraviolet B light is proportional to the total amount of energy (dose) exposed per unit area. Therefore, when the irradianc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energy per unit area per unit time of ultraviolet B light irradiated on the skin is given, the required amount of energy can be achieved by controlling the exposure time. When a light source limited to ultraviolet B is used, the amount of vitamin D synthesis that takes several hours in the sun can be achieved in a very short time of about several minutes, so that vitamin D synthesis can be induc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busy lifestyles of modern people.

단, 자외선 파장 빛의 경우 일반적인 가시광선에 비해 광자 당 에너지가 높은 특성으로 인해 과도한 양에 노출될 경우 단기적으로는 피부에 홍반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는 색소 침착이나 피부암 발병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광선 치료 장치의 경우 가시광 또는 적외선 광선 치료에 비해 피부의 특정 영역에 빛이 집중되지 않으며 한계 에너지량을 넘지 않는 균일한 광 조사가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However, it is known that in the case of ultraviolet wavelength ligh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high energy per photon compared to general visible light, if exposed to excessive amounts, it can cause erythema on the skin in the short term and pigmentation or skin cancer in the long term. In order to prevent such side effects, in the case of ultraviolet light therapy device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light is not concentrated on a specific area of the skin compared to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therapy, and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uniformly so as not to exceed the energy limit.

균일한 광 조사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면 광원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 부합하는 것으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페로브스카이트 발광다이오드(Perovskite LEDs, PeLED), 그리고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QLED)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외선 광원을 구현함에 있어 이들 방식 모두 광자 당 에너지가 높은 자외선에 의해 발광 물질 자체가 쉽게 변성되는 등의 현상을 아직 극복하지 못하였다. 때문에 장기간 규칙적으로 광 조사가 필요한 비타민 D 합성용 광선 치료 장치에 이러한 광원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내구성 문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처럼, 자외선 B를 방출하는 면 광원 개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가시광 또는 적색광 광선치료에 비해 자외선 광선치료 장치의 개발은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In order to generate uniform light irradiation, a technology that can fundamentally implement a surface light source is requir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perovskite light-emitting diodes (PeLEDs), and 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QLEDs) are known as suitable technologies. However, none of these methods have yet been able to overcom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light-emitting material itself is easily transformed by ultraviolet light with high energy per photon when implementing an ultraviolet light source.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is light source technology to a phototherapy device for vitamin D synthesis that requires regular, long-term light irradiation, the durability issue must be resolved first. Likewise, due to the difficulty in developing a surface light source that emits ultraviolet B, the development of ultraviolet phototherapy devices is progressing more slowly than that of visible light or red light phototherapy.

또한, 상용화된 자외선 광선치료 장치의 경우 기체 방전 램프를 사용하는 전신 광원기기의 형태를 띠고 있다. 기체 방전 램프 기반의 자외선 광원은 그 특성상 부피가 크고 자체로서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광선치료를 위해 광원과 1m 이상 떨어지는 정도의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발열에 의한 저온 화상 위험과 광 균일성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으나 목표로 하는 신체 이외의 공간으로 빛이 손실되기 때문에 광선 치료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주변으로 퍼진 자외선광으로부터 안구 등을 보호해야 하여 보호 고글을 써야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In addition, commercialized ultraviolet light therapy devices are in the form of whole-body light source devices that use gas discharge lamps. Ultraviolet light sources based on gas discharge lamps are bulky and non-uniform in themselves, so they require a wide space of at least 1m away from the light source for light therapy. In this case, there is no risk of low-temperature burns due to heat generation and light uniformity issue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therapy efficiency is low because light is lost to spaces other than the target body. In addition, special care is required, such as wearing protective goggles to protect the eyes, etc. from the ultraviolet light that spreads to the surroundings.

기체 방전 램프의 대안으로는 III-V족 화합물 반도체 기반의 무기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무기 발광 다이오드는 준 점광원의 형태를 띄므로, 그 특성상 피부와 가까운 거리에서 발광하면 빛이 충분히 퍼질 수 있는 거리가 확보되지 않아 LED 주변부에 광이 집중되어 해당 영역에서 과도한 에너지량 조사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피부와의 거리를 늘리면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가 커져 휴대성과 공간 활용성이 낮아지는 상충 관계에 있다.An alternative to gas discharge lamps is a method using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s (LEDs) based on III-V group compound semiconductors. However,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re in the form of quasi-point sources, so when they are emitted at close range from the skin, the distance for the light to spread sufficiently is not secured, so the light is concentrated around the LED, which may cause side effects due to excessive energy irradiation in that area. To prevent this, if the distance from the skin is increased, the overall size of the device increases, which is a trade-off between port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본 개시는 자외선B 광원을 이용하여 체내 비타민 D3 합성을 유도하는 체내 비타민 D 생성을 유도하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wearable ligh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that induces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by inducing vitamin D3 synthesis in the body using an ultraviolet B light source.

본 개시는 자외선B 광원을 이용한 광선 치료에서 팔, 다리 등에 쉽게 착용할 수 있고, 휴대 가능한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피부와 가까운 거리에서도 보다 적은 수의 LED로 균일한 광 방사를 구현할 수 있는 체내 비타민 D 생성을 유도하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wearable ligh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that induces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which can be easily worn on arms, legs, etc., maintains a portable form, and implements uniform light radiation with a smaller number of LEDs even at a close distance from the skin, in phototherapy using an ultraviolet-B light source.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웨어러블 조명 장치는 인체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부위에 설치되어 체내 비타민 D를 유도하기 위한 자외선 광을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인체의 피부에 방사하는 광원, 그리고 상기 광원과 상기 피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광의 확산을 일으켜 상기 피부에 도달하는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를 균일하게 하는 광 확산 패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feature, a wearable light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a human body, a light source installed on an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skin of a human body accommodated within the housing for inducing vitamin D in the body, and a light diffusion panel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skin and causing diffusion of ultraviolet light 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to uniformize the irradiance of ultraviolet light reaching the skin.

상기 광 확산 패널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자외선 광이 입사되는 경계면에 광 확산을 일으키는 3차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light diffusion panel can form a three-dimensional pattern that causes light diffusion at the boundary surface where ultraviolet light is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상기 3차원 패턴은, 상기 경계면에서 상기 광 확산 패널을 향하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마이크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three-dimensional pattern may include a micro pattern having an inwardly concave shape facing the light diffusion panel at the boundary surface.

상기 광 확산 패널은, 상기 광 확산 패널과 굴절율이 다르고 상기 자외선 광의 광 확산을 일으키는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light diffusion panel may include light scattering particles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from the above light diffusion panel and causing light diffusion of the ultraviolet light.

상기 광 확산 패널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재질의 자외선 투과율 이상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ove light diffusion panel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ultraviolet ray transmittance higher than that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광 확산 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을 상기 피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ligh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pacer position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light diffusion panel to separate the light source from the sk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광 확산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을 상기 피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시킬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spacer may be formed at a height such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ght diffusion panel to space the light source from the sk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하우징은, 인체의 팔을 감쌀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크로테이프가 부착되고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크로테이프와 체결되어 상기 밸크로테이프를 고정시키며, 상기 팔을 감싸며 상기 팔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착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wrap around the arm of a human body, and at least one Velcro tape may be attached to a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may be fastened to the at least one Velcro tape to secure the Velcro tape, and may be structured to wrap around the arm and be detachably worn on the arm.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자외선 광이 외부에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기 위한 광 차단부가 일체 형성 또는 조립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housing may be formed integrally or assembled with a light blocking member to prevent the ultraviolet ligh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광원은, 복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LED 소자는, 전극 배선이 설치된 연성 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에 상기 전극 배선과 접속되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며, 상기 전극 배선에는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 장치가 접속되는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성 PCB의 후면 중에서 상기 복수개의 광원이 설치된 지점과 근접 지점에 피부로의 열 전달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히트 싱크가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includes a plurality of LED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and the plurality of LED elements are arranged in series or in parallel, connected to the electrode wiring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n which electrode wiring is installed, and a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wiring to which a control device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is connected, and a heat sink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PCB at a point close to the point wher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installed to minimize heat transfer to the skin.

다른 특징에 따르면,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은 인체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착용 부위의 피부에 자외선 광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과 연결되어, 상기 자외선 광을 방사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광원을 구동 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광의 확산을 일으켜 상기 피부에 도달하는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를 균일하게 하는 광 확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includes a wearable lighting device formed as a wearable structure on a human body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that radiate ultraviolet light to the skin of a wearing portion, and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driv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radiate the ultraviolet light, and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may include a light diffusion panel that causes diffusion of ultraviolet light radia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make uniform the irradiance of ultraviolet light reaching the skin.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 공급하는 전류 모듈, 그리고 상기 전류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류 모듈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모듈의 전류 공급이 시작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current modul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supplying current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urrent module and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of the current module, wherein the control unit can stop the current supply when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current supply of the current module has started.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는, 상기 피부에 방사되는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를 측정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센서로부터 상기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방사 조도 측정값이 설정된 최대 방사 조도를 초과하면 상기 전류 모듈의 전류 출력량, 전류 출력 시간, 전류가 공급되는 광원 개수 및 광원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피부에 방사되는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를 낮출 수 있다.The wearable lighting device includes a light sensor that measures the irradiance of ultraviolet light radiated to the skin,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rradiance measurement of the ultraviolet light from the light sensor, and if the irradiance measurement exceeds a set maximum irradiance, adjusts at least one of the current output amount of the current module, the current output time, the number of light sources to which current is supplied, and the light source position to reduce the irradiance of the ultraviolet light radiated to the skin.

상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조작부,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이전 사용 기록을 조회하여 마지막 사용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사용 시점으로부터 정해진 기한이 경과하였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를 구동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구동 시작 시간 및 구동 종료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user operation unit that receiv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driving command for a wearable lighting device, a control unit that checks a previous usage record matching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nfirm the last usage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o drive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based on whether a set period of time has passed since the last usage time, and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o drive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the control unit can store a usage record including an operation start time and an operation end time matching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와 가까운 거리에 광원을 배치했을 때에도 피부의 특정 영역에 자외선 광이 집중되어 발생할 수 있는 홍반 형성 등의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side effects such as erythema formation that may occur when ultraviolet light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area of the skin even when the light source is placed at a close distance from the skin.

또한, 동일한 광원 수에 대하여 피부에 균일한 광 조사를 일으키는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비타민D 합성에 필요한 자외선B 광원만을 이용하여, 태양광에 노출되는 것에 비해 획기적으로 낮은 시간 동안의 조사(irradiation)로도 비타민 D 합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required to uniformly irradiate light to the skin can be shortened for the same number of light sources, enabling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and by using only the ultraviolet B light source necessary for vitamin D synthesis, vitamin D synthesis can be induced with irradiation for a remarkably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to exposure to sunlight.

또는, 동일한 광 균일성 기준을 달성함에 있어 보다 적은 수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료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를 착용한 부위에만 자외선B 빛이 조사되므로, 보안 고글 등으로 눈을 가리지 않아도 되는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since fewer light sources can be used to achieve the same light uniformity standard, material and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and since UV-B light is irradiated only to the area where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worn, convenience can be provided by not having to cover the eyes with safety goggles or the like.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기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를 팔에 착용한 예시도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체결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입체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 패널이 광 차단부에 수용되 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 패널이 광 차단부에 수용된 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a substrate configuration in which multiple light sources are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portion 'A' of FIG.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portion 'A'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6 is an example diagram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worn on an a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n example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fastening portion of Figure 5.
FIG. 9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0 shows a state in which a light diffus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 a light blocking unit.
Figure 11 shows a state after a light diffus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 a light blocking unit.
Fig.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control ope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control ope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control ope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ever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part,”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명세서에서 "전송 또는 제공"은 직접적인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해 또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전송 또는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ransmitting or providing” may include not only direct transmission or providing, but also indirect transmission or providing via another device or by using a bypass route.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described in the singular may be interpreted as singular or plural, unless explicit expressions such as “one” or “singular” are used.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 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drawing number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drawing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고하면,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 및 제어 장치(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100)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includes a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and a control device (120).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는 인체에 착용 가능하고 휴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has a structure that is wearable and portable on the human body.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는 인체 착용 부위의 피부에 자외선 파장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111)을 포함한다. A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that irradiate light having an ultraviolet wavelength to the skin of a wearable part of the human body.

광원(111)은 자외선 B(280~320nm) 파장의 광(light)을 방사한다.The light source (111) radiates light of ultraviolet B (280-320 nm) wavelength.

광원(111)은 무기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이하, LED로 통칭함)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LED 소자의 경우, 자외선 B 발광원으로서 내구성 및 안정성이 보장되며, 광원의 반치폭(半値幅,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이 작아 비타민 D 합성에 효율적인 파장만 방출하기 때문에 광선 치료 효율이 높다. 또한, 램프에 비해 크기가 작고 발열이 적어 광원의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피부에 부착 가능한 형태의 휴대용 광선 치료 장치 제작이 가능하다.The light source (111) can use an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LED) element. In the case of the LED element, durability and stability are guaranteed as an ultraviolet B light source, and since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of the light source is small, only wavelengths that are effective for vitamin D synthesis are emitted, so the phototherapy efficiency is high. In addition, since the size is small and the heat generation is low compared to a lamp, the light source can be miniaturized, so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portable phototherapy devic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kin.

제어 장치(120)는 복수의 광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장치(120)는 광원(111)이 광을 방사하도록 광원(111)에 순방향 전위를 인가하여 광원(111)을 구동한다. 제어 장치(120)는 복수의 광원(111)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The control device (120) drives the light source (111) by applying a forward potential to the light source (111) so that the light source (111) emits light. The control device (120) can independently drive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광원(111)을 일정 개수 단위로 그룹핑한 소집합(subgroup)을 형성하고, 소집합 내 복수의 광원(111)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20)는 소집합 단위로 광원(111)을 구동함으로써,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와 제어 장치(120)를 연결하는 케이블 내 전선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단위로 구동할 경우, 광원 개수만큼 전선이 필요하지만, 광원을 소정 개수로 그룹핑하여 그룹핑 단위로 구동하면 그룹핑 개수만큼으로 전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may be grouped into a certain number of subgroups,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in the subgroups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120) may drive the light sources (111) in subgroup units,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wires in the cable connecting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and the control device (120). For example, when driven in light source units, as many wires as the number of light sources are required, but when the light sources are grouped in a certain number and driven in grouping units, the number of wires may be reduced to the number of groupings.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기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part 'A' of FIG.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part 'A'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를 참고하면,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는 복수의 광원(111), 복수의 광원(111)이 실장된 기판(112), 하우징(113), 광 확산(Light Diffusion) 패널(panel)(114), 복수의 스페이서(Spacer)(11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a substrate (112) o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are mounted, a housing (113), a light diffusion panel (114), and a plurality of spacers (115).

복수의 광원(111)은 자외선B 영역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로 구성되어, 기판(112)에 실장되고, 복수의 광원(111)이 실장된 기판(112)은 하우징(113)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that emit ultraviolet B light, and are mounted on a substrate (112), and the substrate (112) o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are mounted can be installed on the inside of a housing (113).

기판(112)은 자외선B 영역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111)이 배열된 LED 어레이(Array)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12) may be composed of an LED array substrat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emitting ultraviolet B light are arranged.

한 예시에 따르면, 광원(111)은 복수개의 LED 소자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LED 소자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광선 치료를 위해 규칙적인 격자 형태 또는 불규칙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LED 어레이 기판은 인체 피부에 부착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light source (111) may have multiple LED elements arranged in parallel. The multiple LED elements may be arranged in a regular grid shape or an irregular pattern for efficient and safe light therapy. In addition, the LED array substrate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its shape when attached to human skin.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12)에는 복수개의 광원(111)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일정 거리 이상에서 피부를 향해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면 광원과 유사한 균일성을 얻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12)은 연성 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FPCB'라 통칭함)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are arranged in a grid shape on a substrate (112) to emit light toward the skin from a certain distance or more, thereby obtaining uniformity similar to that of a surface light source. This substrate (112)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PCB').

기판(112)은 LED의 음극과 양극에 동작에 필요한 전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극 배선(112a)이 되어있으며,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 즉, 제어 장치(120)와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112b)가 설치되어 전극 패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판(112)은 광 센서(11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rate (112) is provided with electrode wiring (112a) so as to provide the voltage required for operation to the cathode and anode of the LED, and a connector (112b) to which a power cab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i.e., a control device (120), is connected is installed so that the substrate (112) can operate as an electrode pad. In addition, the substrate (112) may include a light sensor (112c).

LED 광원은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함에 있어, 보통 그 효율이 100%가 되지 못하므로 일부는 열 에너지로 손실된다. 따라서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는 광원(111)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저온 화상 위험을 낮추기 위해 광원(111)의 동작시 온도를 40도 이하로 유지하는 열 방출 부재 또는 방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Since the efficiency of LED light sources in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is usually less than 100%, some of it is lost as heat energy. Therefore,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member or heat dissipation device that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light source (111) at 40 degrees or less during operation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low-temperature burns due to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111).

열 방출 부재 또는 방열 장치의 예로서, 광원(111)의 후면부 가까운 곳에 소형 팬 등을 설치할 수 있으나, 팬 구동에는 별도의 전력 공급이 필요한 데다 소음이 발생하고,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소형화에도 걸림돌이 된다. 이를 해소하면서 피부 쪽으로의 열 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해 광원(111)의 후면부 가까운 곳에 히트 싱크(112d)를 설치할 수 있다. 히트 싱크(112d)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소형화를 유지하면서 방열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1)이 배치된 기판(112)의 뒷면의 넓은 면적을 구리막과 같은 도체로 형성하고, 관통 도체(via)를 통해 각 광원(111)의 일부분과 기판(112)의 뒷면의 구리막을 열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관통 도체가 광원의 음극과 양극에 전기적인 접촉이 되지 않도록 하여 광원(111)의 단락을 방지하면서 연결된다.As an example of a heat dissipation member or a heat dissipation device, a small fan, etc. can be installed near the rear of the light source (111). However, a separate power supply is required to drive the fan, noise is generated, and it also hinders miniaturization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minimize heat transfer toward the skin, a heat sink (112d) can be installed near the rear of the light source (111). The heat sink (112d) can effectively implement heat dissipation while maintaining miniaturization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A large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12)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are arranged is formed using a conductor such as a copper film, and a portion of each light source (111) and the copper film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12) can be thermally connected through a through conductor (via). At this time, the through conductor is connected while preventing short-circuiting of the light source (111) by prevent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athode and anode of the light source.

기판(112)에는 광 센서(112c)가 설치될 수 있다. 광 센서(112c)는 피부에 방사되는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를 측정하고, 측정값을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A light sensor (112c) may be installed on the substrate (112). The light sensor (112c) may measure the irradiance of ultraviolet light radiated to the skin and transmit the measured value to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하우징(113)은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외관으로서 인체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The housing (113) is formed as an outer appearance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하우징(113)은 인체에 착용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The housing (113)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and detached.

하우징(113)은 인체 피부에 부착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3)은 부착하려는 신체 부위에 맞게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3)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its shape when attached to human skin. The housing (11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or curved surface to suit the body part to which it is to be attached.

하우징(113)은 인체에 착용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3)은 폴리우레탄 등의 유연 고분자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housing (113)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For example, the housing (113) may use a flexible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우징(113)은 자외선 광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광 조사 부위인 신체 부위 이외로 자외선 광이 퍼져 나가지 않도록 광 차단부(도 6, 7의 113a, 도 7, 10, 11의 113b)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차단부(113a, 113b)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재질로서 물리적인 차단막 형태를 띨 수 있으며, 하우징(113)에 일체형 또는 조립 집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13) may include a light blocking member (113a of FIGS. 6 and 7, 113b of FIGS. 7, 10, and 11) to prevent the ultraviolet light from spreading to areas other than the body area where the light is irradiated in order to prevent side effects caused by ultraviolet light. The light blocking member (113a, 113b)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bsorbs ultraviolet light and may take the form of a physical blocking film, and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l part or assembled integral part of the housing (113).

광 확산 패널(114)은 광원(111)이 설치된 하우징(113)의 내측에 위치하고, 인체 피부에 밀착될 수 있다. 광 확산 패널(114)은 광원(111)과 피부 사이에서 광원(111)에서 조사되는 광의 확산을 일으킴으로써, 피부에 도달하는 광의 방사 조도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13) in which the light source (111) is installed, a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human skin.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causes diffusion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11) between the light source (111) and the skin, thereby making the irradiance of light reaching the skin uniform.

광 확산 패널(114)은 광원(111)으로부터의 자외선 빛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자외선 투과율이 높을수록 좋으며, 착용하는 인체 부위의 모양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should preferably have a high UV transmittance so as to reduce the loss of UV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11), and it should preferably have flexibility so as to be able to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part on which it is worn.

이때, 광 확산 패널(114)은 자외선 투과율이 보통의 투명 플라스틱 재료 대비 높으면서 유연성이 우수한 소재인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may be made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 material that has high UV transmittance and excellent flexibility compared to ordinary transparent plastic materials.

그러나, 광 확산 패널(114)은 PDMS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DMS 재질의 자외선 투과율 이상인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However,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is not limited to PDMS material, and various materials having a UV transmittance higher than that of the PDMS material can be used.

자외선 투과형 광 확산 패널(114)이 없을 경우, 피부에 도달하는 광의 방사 조도는 균일하지 않다. 그러나, 광 확산 패널(114)이 있을 경우, 광 확산 패널(114)으로 인해 피부에 도달하는 광의 방사 조도 균일도를 개선하여 국소 부위에 자외선이 집중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홍반 형성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If there is no UV-transmitting light diffusion panel (114), the irradiance of light reaching the skin is not uniform. However, if there is a light diffusion panel (114), the irradiance uniformity of light reaching the skin is improved due to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there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UV rays on a local area, thereby reducing side effects such as erythema formation.

광 확산 패널(114)은 광원(111)에서 방사된 자외선 광이 투과되며, 광의 조사 면적 전체를 덮도록 구성된다. 광 확산 패널(114)로 인해 광원(111)과 피부 간의 짧은 거리에서 광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is configured to transmit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1) and cover the entire light irradiation area. Due to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light uniformity can be improved at a short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111) and the skin.

하우징(113)과 광 확산 패널(114) 사이에는 소정 두께의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111)에서 방사된 자외선 광은 에어 갭을 거쳐 광 확산 패널(114)으로 유입되고, 광 확산 패널(114)의 내부를 통과한 광은 피부로 방사된다. An air gap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between the housing (113) and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Accordingly,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1) passes through the air gap and enters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and ligh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is emitted to the skin.

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 확산 패널(114)은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그 표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3차원 패턴(114a)이 형성되어 광 확산을 유도할 수 있다. 예시에 따르면, 3차원 패턴(114a)은 오목한 마이크로 패턴(Concave Micropatterns)일 수 있다. 오목한 부분은 공기가 있어 굴절율이 1에 가깝고 광 확산 패널(114)은 굴절율이 1보다 크므로 오목한 모양의 계면에서 스넬의 법칙에 따른 굴절 현상이 일어나 광원(111)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방향을 굴절시켜 빛을 퍼뜨리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may have a three-dimensional pattern (114a)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its surface to induce light diffusion, as shown in FIG. 4. According to an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14a) may be a concave micropattern. Since the concave portion has air and thus has a refractive index close to 1, and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has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1, a refraction phenomenon according to Snell's law occurs at the concave interfac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refracting the direction of light incident from a light source (111) and spreading the light.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 확산 패널(114)은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내부에 광 확산을 일으키는 광 산란 입자(114b)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산란 입자(114b)는 광 확산 패널(114)과 굴절율이 다른 입자로서, 광 확산 패널(114) 내에 무작위 하게 배열될 수 있다. 광 산란 입자(114b)는 광 확산 패널(114) 내의 농도에 따라 확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광 산란 입자(114b)는 SiO2, TiO2 등의 나노 입자 일 수 있으며, 에어버블 즉 기공의 형태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may include light scattering particles (114b) that cause light diffusion therein, as shown in FIG. 5. The light scattering particles (114b) are particles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from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and may be randomly arranged within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The light scattering particles (114b) may control the degree of diffusion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within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The light scattering particles (114b) may be nanoparticles such as SiO2 or TiO2, and the form of air bubbles, i.e. pores, may also provide the same effect.

하우징(113)과 광 확산 패널(114) 사이에는 복수개의 스페이서(11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스페이서(115)는 일측이 하우징(113)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판(112)에 연결되고 타측이 광 확산 패널(114)을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복수개의 스페이서(115)는 입체 기둥 형상일 수 있다.A plurality of spacers (115) may be formed between the housing (113) and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The plurality of spacers (115) ar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112)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113) and the other side supports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pacers (115) may have a three-dimensional pillar shape.

복수개의 스페이서(115)는 광원(111)을 피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가 피부에 부착 또는 거치된 상태에서 광원(111)은 피부와 거리가 최대 5cm 미만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최대 5cm 미만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스페이서(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3)의 소형화를 위하여, 스페이서(115)의 높이는 1cm 내외로 구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pacers (115) are formed at a height that can separate the light source (111) from the sk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is attached or placed on the ski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111) and the skin is set to be less than 5 cm at the most. Accordingly, a plurality of spacers (115) having a height that can maintain the distance of less than 5 cm at the most can be formed. At this time, in order to miniaturize the housing (113), the height of the spacers (115) can be configured to be about 1 cm.

광원(111)에서 방사된 자외선 광은 광 확산 패널(114)을 투과하여 피부에 균일한 방사 조도로 조사되어 체내 비타민 D를 합성한다. 체내 비타민 D 합성은 표피와 진피 사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즉, 7-DHC 또는 프로비타민 D3 물질이 자외선광을 받아 여러 형태의 중간 물질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비타민 D로 변환되는 기전임이 알려져 있다. 시험관 용액 실험을 통해 7-DHC 물질에 자외선 B(280~320nm) 파장의 빛을 조사하였을 때 이러한 변환이 태양광에 비해 수십 배 이상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1) penetrates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and is irradiated to the skin with uniform irradiance to synthesize vitamin D in the body. It is known that the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is a mechanism in which 7-dehydrocholesterol, i.e., 7-DHC or provitamin D3, which naturally exists between the epidermis and the dermis, receives ultraviolet light and is converted into vitamin D through various forms of intermediate substances. Through a test tube solution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when light with a wavelength of ultraviolet B (280-320 nm) was irradiated to the 7-DHC substance, this conversion can occur dozens of times more efficiently than sunlight.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를 팔에 착용한 예시도이고,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체결부의 확대 측면도이다.FIG. 6 is an example diagram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orn on an arm, FIG. 7 is an example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8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fastening part of FIG. 5.

도 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는 인체의 팔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는 팔을 감싸는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발 또는 종아리 등과 같은 신체 다른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wraps around an arm of a human body. However,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is not limited to a form that wraps around an arm, and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wraps around other parts of the body, such as a foot or calf.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일측에는 내측에 설치된 광원(111)이 실장된 기판(112)과 연결된 케이블이 노출되고, 케이블은 제어 장치(120)와 연결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a cable connected to a substrate (112) on which a light source (111) installed inside is mounted is exposed, and the cable can be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120).

이때, 하우징(도 2, 도 3, 도 4, 도 5의 113)은 인체의 팔을 감쌀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ousing (113 in FIGS. 2, 3, 4, and 5)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wrap around the arm of a human body.

도 7을 참조하면, 광원(111)을 내장한 하우징(113)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크로테이프(116)가 부착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크로테이프(116)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t least one Velcro tape (116)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a housing (113) having a built-in light source (111), and at least one fastening portion (117) that is fastened to at least one Velcro tape (116)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체결부(117)는 밸크로테이프(116)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버클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117) serves to secure the Velcro tape (116)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ckle.

체결부(117)가 설치되지 않은 하우징(113)의 부위, 즉, 팔이 빠져나오는 위치에는 별도의 광 차단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광 차단부(113a)는 하우징(113)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13)을 팔에 감싸도록 착용한 상태에서 팔과 하우징(113)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광 차단부(113a)로 차폐함으로써, 팔에 조사되는 자외선 광이 외부에 유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A separate light blocking part (113a)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housing (113) where the fastening part (117) is not installed, i.e., in a position where the arm comes out. The light blocking part (113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13), so that when the housing (113) is worn around the arm,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arm and the housing (113) is shielded with the light blocking part (113a), thereby preventing ultraviolet light irradiated on the arm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이때, 밸크로테이프(116)의 조임 정도에 따라 팔의 크기에 하우징(113)의 굽힘 반경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3)의 굽힘 정도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광 차단부(113a)는 신축형 밴드와 같이 형태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ending radius of the housing (113) can be adjusted to the size of the arm depending on the degree of tightening of the Velcro tape (116). At this time, the light blocking portion (113a)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change shape, such as an elastic band, so that it can respond depending on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housing (113).

또한, 체결부(117)를 지지하고 있는 돌출 구조물인 광 차단부(113b)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착용시 그 모서리가 팔에 밀착되어 자외선 빛이 새어 나오는 것을 막는 광 차단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blocking member (113b), which is a protruding structure supporting the fastening member (117), can serve as a light blocking member by preventing ultraviolet light from leaking out when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is worn by having its edge pressed against the arm.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부(117)는 버클 링(Bukle Ring)의 형상일 수 있다. 버클 링 내부의 구멍에 밸크로테이프(도 7의 116)가 끼워져 하우징(113)이 팔에 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astening portion (117) may be in the shape of a buckle ring. A Velcro tape (116 in Fig. 7) may be inserted into a hole inside the buckle ring to enable the housing (113) to be fixed to the arm.

이처럼,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는 팔을 감싸며 팔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착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wraps around the arm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arm.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입체 사시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 패널이 광 차단부(113b)에 수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 패널이 광 차단부(113b)에 수용된 후 상태를 나타낸다.FIG. 9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0 shows a state before a light diffusio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 a light blocking unit (113b), and FIG. 11 shows a state after a light diffusio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 a light blocking unit (113b).

도 9를 참조하면, 피부에 밀착되는 하우징(113)의 내측에는 도 2 ~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스페이서(115)가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9, a plurality of spacers (115)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13)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s described in FIGS. 2 to 5.

하우징(113)의 양단에는 밸크로테이프(도 7의 116)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부(117)가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17)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113) to secure Velcro tapes (116 in Fig. 7).

하우징(113)의 내측 상단부에는 장력 경감 구조(tension relieving structure)가 형성될 수 있다. 장력 경감 구조는 복수개의 돌기들(118)일 수 있다. 기판(112)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이 돌기들(118)에 묶이거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하우징(113)의 외부에서 케이블이 당겨질 때 그 장력이 기판(112)과 케이블이 연결된 부위에 전달되지 않도록 장력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A tension relieving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3). The tension relieving structure may b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8). When a cable drawn from the substrate (112) is tied to the protrusions (118) or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tension is relieved so that when the cable is pull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3), the tens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portion where the substrate (112) and the cable are connected.

하우징(113)의 내측 상하부에는 후크(hook)들(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후크들(119)은 광 확산 패널(114)이 하우징(113)의 외부로 미끌어져 나가지 않도록 하우징(113) 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 확산 패널(114)이 피부에 밀착되기 전에 광 확산 패널(114)은 후크들(119)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광 확산 패널(114)의 상/하 양단은 후크들(119)과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를 피부에 밀착시키면 하우징(113)이 휘면서 곡률이 변한다. 이 상태에서 광 확산 패널(114)은 스페이서들(115)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곡률 반경 차이로 인해 광 확산 패널(114)이 후크들(119)이 설치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후크들(119)에 밀착된다. 따라서, 광 확산 패널(114)에 추가적인 응력(shear stress)이 걸리지 않아 광 확산 패널(114)이 찢어지거나 뒤틀리지 않고 피부와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Hooks (119)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s of the housing (113). These hooks (119) serve to fix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within the housing (113) so that it does not slip out of the housing (113). Before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is not accommodated in the hooks (119),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form a predetermined space with the hooks (119). In this state, when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the housing (113) bends and the curvature changes. In this state,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is not fixed to the spacers (115), so tha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radius of curvature,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s (119) are installed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oks (119). Accordingly, no additional stress (shear stress) is applied to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so that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can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kin without being torn or distorted.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도 7에서 설명한 광 차단부(113b)는 광 확산 패널(114)이 피부에 밀착되기 전에 광 확산 패널(114)과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를 피부에 밀착시키면 도 11과 같이 광 확산 패널(114)이 광 차단부(113b)에 밀착된다. 따라서, 광 차단부(113b)는 광원(111)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빛이 외부에 방출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the light blocking unit (113b) described in FIG. 7 forms a predetermined space with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before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In this state, when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the light diffusion panel (11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ght blocking unit (113b) as shown in FIG. 11. Accordingly, the light blocking unit (113b) can block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1)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20)는 전류 모듈(Current Supply Module)(121), 전원부(122), 제어부(123), 사용자 조작부(124), 표시부(125), 메모리(126) 및 알람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control device (120) may include a current supply module (121), a power supply unit (122), a control unit (123), a user operation unit (124), a display unit (125), a memory (126), and an alarm unit (127).

전류 모듈(121)은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복수의 광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류 모듈(121)은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12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복수의 광원(111)으로 공급하여 복수의 광원(111)을 발광시킨다. The current module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The current module (121) supplies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2)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3) to caus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to emit light.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모듈(121)은 케이블로 연결된 복수의 광원(111)에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urrent module (121) can supply current to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connected by cable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모듈(121)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복수의 광원(111)에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 장치(12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광원(111)을 구동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urrent module (121) can supply current to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11)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manner. The control device (120) can remotely drive the light sources (111) using wireless power transfer.

전원부(122)는 외부 전원을 광원(111) 구동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어댑터 또는 자체로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122) may include an adapter that converts external power into a power source suitable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111) or a battery that can supply power on its own.

제어 장치(120)는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여 광원(111)을 구동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120) can drive the light source (111) using direct current power or alternating current power.

제어 장치(120)는 외부 전원을 광원(111) 구동에 적합한 전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 또는 자체로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외장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can use an adapter that converts external power into direct current power of a potential suitable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111) or an external battery that can supply power on its own.

제어부(123)는 광원(111)의 광 조사 세기, 광 조사 시간, 광 조사 시계열 루틴, 광 조사 시작과 종료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광 조사 시계열 루틴은 시간에 따른 광 조사와 광 중단의 과정을 의미한다.The control unit (123) can control the light irradiation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111), the light irradiation time, the light irradiation time series routine, the start and end of the light irradiation, etc. Here, the light irradiation time series routine means the process of light irradiation and light stop according to time.

제어부(123)는 저장된 광원 구동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예를 들어, MCU(microcontroller unit) 일 수 있다. 제어부(123)는 사용자 조작부(124)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류 모듈(121)의 전류 공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피부에 광의 조사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3) executes a stored light source driving control program and may be, for example, an MCU (microcontroller unit). The control unit (123) determines whether to supply current to the current module (121) according to a user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operation unit (124), thereby controlling whether to irradiate light to the skin.

이때, 전원부(122)와 전류 모듈(121) 사이에는 릴레이 스위치나 반도체 방식의 전압 제어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릴레이 스위치나 반도체 방식의 전압 제어 스위치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서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3)는 전류 모듈(121)에서 광원(111)에 공급하는 전류를 시작, 유지하거나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relay switch or a semiconductor-type voltage control switch may be inclu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122) and the current module (121), and the relay switch or the semiconductor-type voltage control switch may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3).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123) can control to start, maintain, or stop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module (121) to the light source (111).

표시부(125)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명령, 제어부(123)의 동작, 광원(111)의 구동 여부 등과 같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5) can display information such as commands according to user operatio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23), and whether the light source (111) is driven.

통상, 광선 치료를 실시할 때 일정 기간 이상 주기적으로 사용된다. 제어부(123)는 홍반 방지를 위하여 1회 구동시에 피부에 닿는 최대 방사 조도(irradiance) 영역에서 최소 홍반 용량(minimal erythema doses, MED) 미만 조건을 충족하도록 1회당 조사 시간을 제한 할 수 있다. Normally, it is used periodica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performing light therapy. In order to prevent erythema, the control unit (123) can limit the irradiation time per time so that it satisfies the condition of less than the minimum erythema doses (MED) in the maximum irradiance range that reaches the skin at one time of operation.

또한, 최소 홍반 용량 미만 조건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장시간 자외선 노출시 발생할 수 있는 색소침착이나 피부암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부(123)는 1회 자외선 노출 용량을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condition of less than the minimum erythema dose is not met, the control unit (123) can additionally limit the single ultraviolet exposure dose to prevent pigmentation or skin cancer that may occur during long-term ultraviolet exposure.

제어부(123)는 광원(111)의 1회 구동시 광 조사 시간을 제한하여 자외선 과다 노출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광원(111)을 사전 설정 시간 동안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광원(111)의 광 조사가 시작된 후, 사전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광원(111)의 광 조사를 자동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한 예시에 따르면, 제어부(123)는 전류 모듈(121)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스위치를 온 시킨 시점부터 기 설정된 타이머, 예를 들어, 10분을 설정하고, 타이머가 만료하면,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어부(123)는 광원(111)의 1회 조사 시간을 일정 시간으로 제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can prevent side effects due to excessive exposure to ultraviolet rays by limiting the light irradiation time when the light source (111) is driven once. The control unit (123) can drive the light source (111)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123) can automatically stop the light irradiation of the light source (111)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light irradiation of the light source (111) has started.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123) can set a preset timer, for example, 10 minutes, from the time when the relay switch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of the current module (121) is turned on, and turn off the relay switch when the timer expires. By doing so, the control unit (123) can limit the light irradiation time of the light source (111) once to a certain time.

제어부(123)는 광원(111)의 광 조사가 시작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를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3)는 광원(111)에게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출력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타이머를 구동하고, 타이머가 만료하면 광원(111)에게 구동에 필요한 전력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3) can stop the light irradiation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light irradiation of the light source (111) has star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3) can start a preset timer from the time when the power required for driving is output to the light source (111), and when the timer expires, the power output required for driving to the light source (111) can be stopped.

제어부(123)는 광선 치료를 실시하는 경우 1회당 피부에 도달하는 최대 방사 조도가 0.4 mW/cm2 기준일 때 약 1분 내외로 광원(111)을 구동할 수 있다. 방사 조도는 빛이 조사되는 면에서 자외선 감응 포토다이오드 등과 같은 자외선 광 센서(도 2, 도 3의 112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방사 조도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제작시 측정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23) can drive the light source (111) for about 1 minute when the maximum irradiance reaching the skin per time is 0.4 mW/cm 2 when performing light therapy. The irradiance can be measured using an ultraviolet light sensor (112c in FIGS. 2 and 3) such as an ultraviolet-sensitive photodiode on the surface to which light is irradiated. The irradiance can also be measured when manufacturing a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또는 자외선 광 센서(도 2, 도 3의 112c)를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 제어부(123)는 조사면의 방사조도와 내측에 위치한 광 센서(112c)의 출력값 간의 상관관계를 캘리브레이션 하여, 최대 허용 방사조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제어부(123)는 최대 허용 방사조도를 초과한 경우 광원(111)에 제공되는 전력 출력을 실시간으로 줄여 최대 허용 방사조도 이내로 운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after positioning the ultraviolet light sensor (112c in FIGS. 2 and 3) inside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the control unit (123) may calibr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rradiance of the irradiance surfac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light sensor (112c) located inside, to monitor whether the maximum allowable irradiance is exceeded. If the maximum allowable irradiance is exceeded, the control unit (123) may reduce the power output provided to the light source (111) in real time to operate within the maximum allowable irradiance.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광선 치료는 피부 홍반 등의 부작용 방지를 위해 최소 1일 이상 경과 후 동일 신체부위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총 광량은 시간 뿐만 아니라 광 조사 면적을 통해서도 조절할 수 있으며, 광 조사 면적을 늘리면 동일한 양의 비타민 D 합성을 위한 광 조사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홍반 형성 등 부작용 방지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유효 광 조사 영역은 50cm^2 이상이 될 수 있다. 치료자는 광 조사 면적을 늘리는 효과를 보기 위해 복수의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를 신체의 다른 부위에 조사하거나, 동일 기기를 신체의 다른 부위에 시차를 두고 조사할 수 있다.Light therapy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can be irradiated to the same body part after at least 1 day to prevent side effects such as skin erythema. At this time, the total amount of light can be controlled not only by time but also by the light irradiation area. If the light irradiation area is increased, the light irradiation time for the same amount of vitamin D synthesis can be shortened, and it can also be effective in preventing side effects such as erythema formation. The effective light irradiation area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can be 50 cm^2 or more.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ight irradiation area, the therapist can irradiate multiple wearable lighting devices (110) to different parts of the body, or irradiate the same device to different parts of the body with a time difference.

제어부(123)는 전류 모듈(121)의 전류 공급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총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can control the total amount of light by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time of the current module (121).

제어부(123)는 전류 모듈(121)에 연결된 광원(111)들 중에서 전류가 공급되는 광원의 개수 및/또는 광원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광 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3) can control the light irradiation area by selectively driving the number of light sources supplied with current and/or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s among the light sources (111) connected to the current module (121).

메모리(126)는 기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기기 사용자 별로 사용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Memory (126) can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user and usage records for each device user.

알람부(127)는 청각적 알람을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메시지 출력, 벨 소리 등을 출력할 수 있다.The alarm unit (127) can output an auditory alarm to the outside. For example, it can output a voice message, a bell sound, etc.

제어부(123)의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구동 제어 동작에 대해 실시예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driving control operation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of the control unit (123) is described by example as follows.

도 1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control ope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23)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구동을 실행한다(S101). 즉, S101에서 제어부(123)는 전류 모듈(121)로 하여금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에게 전류를 공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control unit (123) executes driving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S101). That is, in S101, the control unit (123) can instruct the current module (121) to supply current to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제어부(123)는 사전 정의된 타이머를 실행(S102)하고, 사전 정의된 타이머의 만료 여부를 확인(S103)하여, 사전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하면,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구동을 중단한다(S104). 즉, S104에서 제어부(123)는 전류 모듈(121)로 하여금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에게 전류 공급을 중단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executes a predefined timer (S102), checks whether the predefined timer has expired (S103), and, if the predefined timer has expired, stops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S104). That is, in S104, the control unit (123) can instruct the current module (121) to stop supplying current to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control ope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23)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광 센서(112c)로부터 방사 조도 센싱값을 수신한다(S201). S201에서, 제어부(12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광 센서(112c)와 연결되어 방사 조도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control unit (123) receives an irradiance sensing value from the light sensor (112c)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S201). In S201, the control unit (123) can be connected to the light sensor (112c) wired or wirelessly to receive the irradiance sensing value.

제어부(123)는 S201에서 수신한 방사 조도 센싱값에 기초하여 최대 허용 방사 조도를 초과하는지 모니터링한다(S202). The control unit (123) monitors whether the maximum allowable irradiance is exceeded based on the irradianc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S201 (S202).

제어부(123)는 S202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S201에서 수신한 방사 조도 센싱값이 최대 허용 방사 조도를 초과하는지 판단(S203)한다.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of S202, the control unit (123) determines (S203) whether the irradianc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S201 exceeds the maximum allowable irradiance.

S203에서 방사 조도 센싱값이 최대 허용 방사 조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부(123)는 S201 부터 다시 수행한다. If the irradiance sensing value in S203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irradiance, the control unit (123) performs the process again from S201.

S203에서 방사 조도 센싱값이 최대 허용 방사 조도를 초과하면, 제어부(123)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에 공급하는 전력 출력을 조정한다(S204). 예를 들어, 제어부(123)는 전류 출력량, 전류 출력 시간, 전류가 공급되는 광원 개수, 광원 위치 등을 조정할 수 있다.If the irradiance sensing value in S203 exceeds the maximum allowable irradiance, the control unit (123) adjusts the power output supplied to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S204).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3) can adjust the current output amount, current output time, the number of light sources to which current is supplied, the light source position, etc.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control operation of a wear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23)는 사용자 조작부(124)로부터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구동 명령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 받는다(S301).Referring to FIG. 15, the control unit (123) receives a driving command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from the user operation unit (124) (S301).

제어부(123)는 S301에서 입력 받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 기록을 메모리(126)로부터 조회한다(S302). 이때, 메모리(126)는 내장 메모리를 도시하였지만, 외부 메모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메모리는 서버 컴퓨터에 포함될 수 있고, 제어부(123)는 서버 컴퓨터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searches for a usage record match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in S301 from the memory (126) (S302). At this time, the memory (126) is shown as a built-in memory, but an external memory may be used. For example, the external memory may be included in a server computer, and the control unit (123)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computer vi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제어부(123)는 S302에서 조회한 이전 사용 기록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S303). 예를 들어,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이용 시간은 24시간 이후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S302에서 조회한 이전 사용 기록을 토대로, 특정 사용자의 마지막 사용 시점으로부터 정해진 기한, 예컨대, 24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구동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1일 사용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based on the previous usage record checked in S302 (S303). For example, the usage time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may be limited to 24 hours or more. Accordingly, based on the previous usage record checked in S302, if a set period of time, for example, 24 hours, has not passed since the last usage time of a specific user,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may not be operated, thereby limiting the number of daily usages.

제어부(123)는 S303의 결정에 기초하여 구동 가능 여부를 판단(S304)한다. 제어부(123)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구동 불허를 결정한 경우, 알람부(127)에게 구동 불가 알람의 출력을 요청하거나 표시부(125)에게 구동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305). The control unit (123) determines whether operation is possible based on the decision of S303 (S304). If the control unit (123) determines that operation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is not permitted, it may request the alarm unit (127) to output an operation impossibility alarm or request the display unit (125) to output an operation impossibility message (S305).

제어부(123)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구동 허용을 결정한 경우,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구동을 실행(S306)하고, 사용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S307). S307에서 제어부(123)는 S301에서 입력 받은 사용자 식별 정보와 구동 시작 시간을 저장하고, 이후 웨어러블 조명 장치(110)의 사용이 종료되면 종료 시간을 메모리(126)에 기록할 수 있다. If the control unit (123) determines to allow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the control unit (123) can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S306) and store the usage record (S307). In S307, the control unit (123) can sto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rt time input in S301, and then, when the use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110) is terminated, record the end time in the memory (126).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devices and methods, but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14)

인체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착용 부위의 피부에 자외선 광을 방사하는 웨어러블 조명 장치, 그리고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를 구동 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는,
인체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부위에 설치되어 체내 비타민 D를 유도하기 위한 자외선 광을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인체의 피부에 방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상기 피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광의 확산을 일으켜 상기 피부에 도달하는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를 균일하게 하는 광 확산 패널,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광 확산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을 상기 피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시킬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광 확산 패널 사이에 에어(air) 갭(gap)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spacer), 그리고
상기 피부에 방사되는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를 측정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복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LED 소자는,
전극 배선이 설치된 연성 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에 상기 전극 배선과 접속되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조작부, 그리고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이전 사용 기록을 조회하여 마지막 사용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사용 시점으로부터 정해진 기한이 경과하였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를 구동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식별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구동 시작 시간 및 구동 종료 시간과 매칭한 사용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웨어러블 조명 장치의 1회 구동시에 피부에 닿는 최대 방사 조도(irradiance) 영역에서 최소 홍반 용량(minimal erythema doses, MED) 미만 조건을 충족하는 1회당 조사 시간을 기준으로 최대 방사 조도를 설정하고, 상기 광 센서로부터 상기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방사 조도 측정값이 상기 최대 방사 조도를 초과하면 전류가 공급되는 광원 개수 및 광원 위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광 조사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피부에 방사되는 자외선 광의 방사 조도를 낮추는,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
A wearable lighting device formed into a wearable structure on the human body and 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skin of the wearing area, and
A wearable ligh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and includes a control device that drives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The above wearable lighting device,
A housing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A light source installed in the inner part of the housing to radiate ultraviolet light to the skin of a human body contained within the housing to induce vitamin D in the body;
A light diffusion panel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skin, which causes diffusion of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uniformly irradiate the ultraviolet light reaching the skin;
A plurality of space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ght diffusion panel, are formed at a height that allows the light source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kin, thereby forming an air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light diffusion panel, and
Including a light sensor that measures the irradiance of ultraviolet light radiated to the skin,
The above light source is,
Contains multiple LED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The above multiple LED elements,
The electrode wiring is connected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n which the electrode wiring is installed and arranged in series or parallel.
The above control device,
A user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driving command for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is included that checks the last usage time by looking up the previous usage record matching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based on whether a set period of time has passed since the last usage time.
The above control unit,
If it is decided to operate the above wearable lighting device,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to create and store a usage record that matches the operating start time and operating end time of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which sets the maximum irradiance based on a single irradiation tim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of less than the minimal erythema doses (MED) in the maximum irradiance area reaching the skin when the wearable lighting device is operated once, receives an irradiance measurement value of the ultraviolet light from the light sensor, and selectively operates the number of light sources to which current is supplied and the positions of the light sources to adjust the light irradiation area when the irradiance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maximum irradiance, thereby lowering the irradiance of the ultraviolet light irradiated to the skin.
제1항에서,
상기 광 확산 패널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자외선 광이 입사되는 경계면에 광 확산을 일으키는 3차원 패턴이 형성되는,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light diffusion panel,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in which a three-dimensional pattern causing light diffusion is formed at the interface where ultraviolet light is incident from the above light source.
제2항에서,
상기 3차원 패턴은,
상기 경계면에서 상기 광 확산 패널을 향하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마이크로 패턴을 포함하는,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
In paragraph 2,
The abov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comprising a micro pattern having an inwardly concave shape facing the light diffusion panel at the above boundary surface.
제1항에서,
상기 광 확산 패널은,
상기 광 확산 패널과 굴절율이 다르고 상기 자외선 광의 광 확산을 일으키는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light diffusion panel,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comprising light scattering particles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from the light diffusion panel and causing light diffusion of the ultraviolet light.
제1항에서,
상기 광 확산 패널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재질의 자외선 투과율 이상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light diffusion panel,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made of a material with UV transmittance higher than that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은,
인체의 팔을 감쌀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크로테이프가 부착되고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크로테이프와 체결되어 상기 밸크로테이프를 고정시키며, 상기 팔을 감싸며 상기 팔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착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housing,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which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wrap around the arm of a human body, has at least one Velcro tape attached to a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has a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that is fastened to the at least one Velcro tape to secure the Velcro tape, and has a structure that wraps around the arm and is detachably worn on the arm.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자외선 광이 외부에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기 위한 광 차단부가 일체 형성 또는 조립 형성되는,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housing,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wherein a light block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or assembled to block the above ultraviolet ligh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제1항에서,
상기 전극 배선에는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 장치가 접속되는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성 PCB의 후면 중에서 상기 복수개의 광원이 설치된 지점과 근접 지점에 피부로의 열 전달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히트 싱크가 설치되는,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
In paragraph 1,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wherein a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wiring to which a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is connected, and a heat sink is installed at a point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PCB close to the point wher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installed to minimize heat transfer to the skin.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 공급하는 전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류 모듈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전류 모듈의 전류 공급이 시작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류 공급을 중단시키는, 체내 비타민 D 생성 유도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 device,
It further includes a current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supplies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he above control unit,
A system for inducing vitamin D production in the body, which is connected to the current module, controls the current supply of the current module, and stops the current supply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current supply of the current module has star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12717A 2021-01-29 2022-01-27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Active KR1027576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86,946 US12121740B2 (en) 2021-01-29 2022-01-28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2831 2021-01-29
KR1020210012831 2021-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120A KR20220110120A (en) 2022-08-05
KR102757630B1 true KR102757630B1 (en) 2025-01-21

Family

ID=8282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717A Active KR102757630B1 (en) 2021-01-29 2022-01-27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76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4649B1 (en) * 2023-02-10 2025-03-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lide type far-infrared radiation irradiator for shoulder pain relief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25084809A1 (en) * 2023-10-18 2025-04-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ed apparatus for endoscope and endoscope apparatus including same
CN221905418U (en) * 2023-12-29 2024-10-29 深圳市影友摄影器材有限公司 Wearable beauty instrument and beauty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99613A1 (en) * 2017-09-30 2019-04-04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Wearable Ultraviolet Light Phototherap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986B1 (en) * 2014-09-17 2016-04-14 전자부품연구원 Personal Photo Dynamic Therapy patch and PD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531163B1 (en) * 2015-04-10 2023-05-11 주식회사 뉴라이프그룹 Infrared irradiation device and infrared irradiation method
CN106474629B (en) * 2016-09-30 2019-05-14 北京创盈光电医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hototherap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99613A1 (en) * 2017-09-30 2019-04-04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Wearable Ultraviolet Light Phototherap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120A (en)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57630B1 (en)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KR101496370B1 (en) Light emitting device for use in therapeutic and/or cosmetic treatment
US8202307B2 (en) Phototherapy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hyperbilirubinemia and other diseases
KR101807533B1 (en) LED Mask
US20160129279A1 (en) Wearable therapeutic light source
EP2051774B1 (en) System of plaster and radiation device
US20070208397A1 (en) Device and method of phototherapy for jaundiced infants
US20070208395A1 (en) Phototherap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Phototherapy to a Body Surface
US20100114263A1 (en) Phototherapy garment
US20060206171A1 (en) Devices, methods and kits for radiation treatment via a target body surface
KR20160013846A (en) light therapy bandage system
US20110264174A1 (en) Light Emmitting Apparatus
CN107249688A (en) Light irradiation device
US20240416141A1 (en) Phototherapy mask
US20220143420A1 (en) Wearable light stimulation systems and methods
CN203816098U (en) Hand-held phototherapy apparatus
CN106474629A (en) A kind of phototherapy apparatuss
US12121740B2 (en)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nducing synthesis of vitamin d in the body
KR20150082761A (en) LED lighting apparatus for inducing synthesis in the body of vitamin D
KR20180115629A (en) Stand type light emitting apparatus
CN114470529A (en) Intelligent LED osteoporosis therapeutic apparatus and use method thereof
KR102097047B1 (en) photo therapy apparatus using led
CN117065225A (en) Ultraviolet therapeu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040493A1 (en) Phototherapy Systems, Methods of Using a Phototherapy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 Phototherapy System
TWM483061U (en) Handheld light thera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