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892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8924B1
KR102758924B1 KR1020200001664A KR20200001664A KR102758924B1 KR 102758924 B1 KR102758924 B1 KR 102758924B1 KR 1020200001664 A KR1020200001664 A KR 1020200001664A KR 20200001664 A KR20200001664 A KR 20200001664A KR 102758924 B1 KR102758924 B1 KR 10275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support
holder
display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8354A (ko
Inventor
김태헌
조철용
김지수
최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20000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892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80092079.9A priority patent/CN114930269B/zh
Priority to PCT/KR2020/012877 priority patent/WO2021141209A1/en
Priority to CN202410381070.XA priority patent/CN118038750A/zh
Priority to EP20911953.6A priority patent/EP4018285B1/en
Priority to EP25175609.4A priority patent/EP4580200A3/en
Priority to US17/031,233 priority patent/US11796124B2/en
Publication of KR2021008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354A/ko
Priority to US18/368,663 priority patent/US120852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89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pan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pann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2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fri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 및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지지장치 및 모바일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되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는 거치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바일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및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도형 등의 데이터 정보 및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이 시청자와 마주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는 직접 자신을 촬영하여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춤 연습 또는 운동을 할 때 실시간으로 자신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를 설치하면, 사생활 침해 및 보안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카메라 설치 시 발생하는 비용 증가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지 않고도 카메라의 사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거치장치에 모바일 장치를 거치함으로써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자동으로 페어링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거치장치에 모바일 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장치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지지장치 및 모바일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되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는 거치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바일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전(全)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화면 표시 영역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전면 보다 크게 마련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을 향해 연장되는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후면 지지부 및 상기 측면 지지부와 상기 후면 지지부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교차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360°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홀더의 회전 범위는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볼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홀더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가이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장착부에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제1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스토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와 결합되고, 상기 홀더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가이드 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1회전 가이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모바일 장치의 타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제1지지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페어링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로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교차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360°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홀더의 회전 범위는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전(全)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페어링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로서, 임의의 회전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지 않고도 카메라의 사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거치장치에 모바일 장치를 거치함으로써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자동으로 페어링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거치장치에 모바일 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장치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로서, 모바일 장치가 거치장치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세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제2지지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홀더가 장착부에 대해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홀더가 장착부에 대해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제2지지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홀더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거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로서, 모바일 장치가 거치장치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지지장치(2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되어 모바일 장치(2)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정보, 자료, 데이터 등을 문자, 도형, 그래프, 영상 등으로 표시하여 주는 장치로서, 텔레비전,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가로 변의 길이와 세로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장변(長邊)과, 단변(短邊)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장치(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결합되는 지지몸체(21)와, 지지몸체(21)의 후방에 결합되는 스탠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20)는 지지몸체(21)와 스탠드(22)가 각각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자립할 수 있다.
지지장치(20)는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피커(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30)는 지지몸체(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피커(30)는 지지몸체(21)의 내부로서, 지지몸체(2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되는 영상과 함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피커(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독자적으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30)는 모바일 장치(2)와 같은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기기에서 재생하는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거치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를 지지함으로써 모바일 장치(2)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거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거치장치(100)는 별도의 부재 없이도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외부 기기의 일종으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모바일 장치(2)의 보급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 장치(2)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모바일 장치(2)에서 표시되는 영상 및 소리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출력하는 미러링(mirroring)이나 모바일 장치(2)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만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출력하는 캐스팅(casting)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미러링이나 캐스팅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장치(2)의 페어링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다양한 방법을 통해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장치(1)가 페어링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최근에는 카메라로 직접 자신을 촬영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또한, 춤 연습을 하거나 운동을 할 때,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동작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화면을 거울처럼 사용하는 거울 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거울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를 설치하면, 사생활 침해 및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설치 시 발생하는 비용 증가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 별도의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장치(1)가 거울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거치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장치(100)에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2)를 거치하고,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장치(1)를 페어링함으로써 거울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므로, 모바일 장치(2)의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가 거울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기기인 모바일 장치(2)의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활용하면, 카메라 설치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비용 증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에만 모바일 장치(2)를 거치장치(100)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로 인한 사생활 침해나 보안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거치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모바일 장치(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의 전면 또는 후면을 커버하지 않도록 모바일 장치(2)를 지지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모바일 장치(2)가 거치장치(100)에 거치되었을 때, 모바일 장치(2)의 전면인 디스플레이부가 거치장치(10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를 거치장치(100)에 거치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장치(2)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를 거치장치(100)에 거치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장치(2)의 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또는 모바일 장치(2)의 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세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장변이 세로로 배치되고, 단변이 가로로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이러한 배치를 세로 모드라 한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위치에 위치한다고 표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장변이 가로로 배치되고, 단변이 세로로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이러한 배치를 가로 모드라 한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위치에 위치한다고 표현한다.
사용자는 영상의 화면 비율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세로 모드로 배치하거나 가로 모드로 배치할 수 있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로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종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세로 영상을 표시하면, 화면의 양 측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아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최근에는 세로 영상과 가로 영상이 모두 사용되는 추세이므로, 다양한 화면 비율을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세로 영상을 표시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세로 모드로 배치하고, 가로 영상을 표시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가로 모드로 배치할 수 있어 화면 표시 영역(11)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양한 화면 비율을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회전하거나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회전시키거나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장치(20)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20)는 모터의 구동력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회전시키지 않고, 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거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가로 모드로 배치되더라도 모바일 장치(2)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거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가로 모드로 배치되더라도 모바일 장치(2)가 거치장치(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모바일 장치(2)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배치와 무관하게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배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에서 각각 거울 모드, 미러링, 캐스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2)에 가로 영상이 재생되고 있을 때, 모바일 장치(2)를 거치장치(100)에 거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가로 모드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이미 가로 모드로 배치된 경우에는 모바일 장치(2)가 거치되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세로 모드로 배치된 상태에서 가로 영상이 재생되는 모바일 장치(2)가 거치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미러링 또는 캐스팅 의도를 선(先)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세로 모드로 배치되었을 때에도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의해 커버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스피커(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배치와 관계 없이 안정적으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스피커(30)가 지지장치(20)의 외부에서 보이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스피커(30)의 전방에는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메탈 재질의 커버 또는 패브릭(fabric) 소재의 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장치(100)는 별도의 부재 없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장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거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세로로 배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거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세로 모드로부터 가로 모드로 회전할 때 지지장치(2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거치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가로로 배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세로로 배치되었을 때, 거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거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세로 모드로 배치되었을 때, 지지장치(20)의 상단보다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장치(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장착되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 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거치장치(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과 지지장치(20)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면, 거치장치(100)의 장착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거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둘레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제2지지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거치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프레임(15)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110)와, 장착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바일 장치(2)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5)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프레임(15)은 전면(15a)과, 측면(15b)과, 후면(15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15)의 전면(15a)은 화면 표시 영역(11)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5)의 전면(15a)을 화면 표시 영역(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화면 표시 영역(11)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5)의 측면(15b)은 프레임의 전면(15a)과 연결되고, 화면 표시 영역(11)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5)의 측면(15b)은 프레임(15)의 전면(15a)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5)의 후면(15c)은 프레임(15)의 측면(15b)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장착부(1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프레임(15)에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10)는 별도의 부재가 없이도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장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별도의 부재가 없이도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장착부(1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프레임(15)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장착 홈(110a)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탄성 홈(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110)는 프레임(15)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지지부(111)와, 프레임(15)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측면 지지부(112)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후면 지지부(113) 및 측면 지지부(112)와 후면 지지부(113)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홈(110a)은 전면 지지부(111)와 측면 지지부(112) 및 탄성 연결부(114)의 일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홈(110b)은 후면 지지부(113)와 탄성 연결부(114)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지지부(111)는 프레임(15)의 전면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프레임(15)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측면 지지부(112)는 프레임(15)의 측면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프레임(15)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면 지지부(113)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의 일 부분과 접촉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 연결부(114)는 측면 지지부(112)와 후면 지지부(113)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 연결부(114)는 곡선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연결부(114)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 연결부(114)는 그 두께가 대략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 연결부(114)의 두께가 일정하고, 탄성 연결부(114)가 곡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과 탄성 연결부(114) 사이에는 탄성 홈(110b)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지지부(111)와 측면 지지부(112)는 프레임(15)의 전면 및 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탄성 연결부(114)는 프레임(15)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곡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탄성 연결부(114)는 후면 지지부(113)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더라도 부러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곡선 형상으로 인해, 탄성 연결부(114)의 탄성 한도가 커질 수 있다. 탄성 연결부(114)의 탄성 한도가 커짐으로써, 후면 지지부(113)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거치장치(100)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장착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분리할 때, 후면 지지부(113)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탄성 연결부(114)의 곡선 형상으로 인해 탄성 연결부(114)의 탄성 한도가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후면 지지부(113)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탄성 연결부(114)는 거치장치(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장착된 후에도 후면 지지부(113)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텐션을 가함으로써 거치장치(100)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거치장치(100)는 탄성 연결부(114)가 탄성 변형된 후 원상 회복하려는 복원력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거치장치(100)에 고정할 수 있다.
홀더(120)는 모바일 장치(2)가 거치장치(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모바일 장치(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홀더(120)는 모바일 장치(2)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지지부(130)와, 모바일 장치(2)의 타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30)는 장착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부(140)는 제1지지부(1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부(140)는 제1지지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부(140)가 제1지지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제2지지부(140)가 인출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는 서로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거나 가장 가깝게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인 모바일 장치(2)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140)는 외력을 가함으로써 제1지지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가 가장 멀게 위치하는 경우,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인 모바일 장치(2)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제2지지부(140)를 이동시킨 후, 모바일 장치(2)를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가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 사이에 배치된 이후에 제2지지부(140)에 대한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제2지지부(140)가 제1지지부(130)를 향해 이동하고, 모바일 장치(2)가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홀더가 장착부에 대해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홀더가 장착부에 대해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00)에서, 홀더(120)는 장착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120)는 장착부(110)에 결합된 상태로,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홀더(120)는 제1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회전축(r1)은 도면에 표시된 y축과 나란한 직선을 가리킬 수 있다. 홀더(120)는 제1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범위에 제한 없이 360˚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홀더(120)는 제1회전축(r1)과 교차하는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회전축(r2)은 도면에 표시된 z축과 나란한 직선을 가리킬 수 있다. 홀더(120)는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는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범위가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부(110)는 전면 지지부(111)와, 측면 지지부(112)와, 후면 지지부(113) 및 탄성 연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지지부(111)와 측면 지지부(112)는 프레임(15)의 형상과 대응되는 장착 홈(110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지지부(112)는 회전 가이드 홈(112a)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홈(112a)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거치장치(100)는 홀더(120)를 장착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150)와 회전 스토퍼(16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토퍼(16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스토퍼 바디(162)와, 스토퍼 바디(162)로부터 돌출되고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 돌기(16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토퍼(160)는 장착부(110)의 회전 가이드 홈(112a)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 돌기(161)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이드 홈(112a)에 마련되는 체결부(112b)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50)는 제1회전 가이드(151)와 제2회전 가이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가이드(151)와 제2회전 가이드(152) 사이에는 회전 스토퍼(1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회전 가이드(151)는 회전 스토퍼(160)의 체결 돌기(161)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홀(153)과, 후술할 체결부재(S2, 도 10 참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체결 홀(154)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이드 홀(153)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가이드 홀(153)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회전 가이드(151)는 회전 가이드 홈(112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홈(112a)과 제1회전 가이드(151)는 대략 반원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회전 가이드(151)는 가이드 홀(153)과 제1체결 홀(15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홀(153)에는 회전 스토퍼(160)의 체결 돌기(161)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홀(153)은 회전 스토퍼(16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체결 돌기(161)는 가이드 홀(153) 범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홀더(120)의 제2회전축(r2)에 대한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제1체결 홀(154)에는 체결부재(S2)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재(S2)는 제1체결 홀(154)을 통과하여 샤프트부(130a)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회전 가이드(152)는 회전 스토퍼(160)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홈(155)과, 체결부재(S2)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체결 홀(156)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55)은 스토퍼 바디(162)와 대응되도록 아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 바디(162)는 가이드 홈(155)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홈(155)은 스토퍼 바디(16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제2체결 홀(156)에는 체결부재(S)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재(S2)가 제2체결 홀(156)을 관통하지 않도록 제2체결 홀(156)의 직경은 체결부재(S2)의 헤드부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체결 홀(156)의 둘레에는 체결부재(S2)의 헤드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 가이드(151)와 제2회전 가이드(152)는 회전 스토퍼(160)를 사이에 두고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토퍼(16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홀(153)과 가이드 홈(155)은 회전 스토퍼(160)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는 샤프트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130a)는 회전 가이드(150)와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부(130a)는 홀더(120)가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홀더(120)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00)에서, 홀더(120)는 제1지지부(130)와, 제1지지부(130)에 결합되는 제1레일 플레이트(131)와, 제2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40)에 결합되는 제2레일 플레이트(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샤프트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30)는 샤프트부(130a)를 통해 장착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레일 플레이트(131)는 제1지지부(130)의 내부에서 제1지지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레일 플레이트(131)는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132)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32)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은 제2지지부(140)의 슬라이드 이동 시 부드러운 움직임을 위한 것이므로, 레일(132)의 개수는 2개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다.
제1레일 플레이트(131)는 제2지지부(14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13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4)는 제1레일 플레이트(131)의 일 면으로부터 후술할 제2플레이트(141)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레일 플레이트(141)는 제2지지부(140)의 내부에서 제2지지부(1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레일 플레이트(141)는 제1레일 플레이트(131)의 레일(132)과 대응되는 레일 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가이드(142)는 레일(132)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레일(132)과 마찬가지로 그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제2레일 플레이트(141)는 스토퍼(134)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140)가 인출되면, 스토퍼(134)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레일 플레이트(141)와 함께 스토퍼 홈(143)이 이동하게 된다. 제2지지부(140)는 스토퍼(134)가 스토퍼 홈(143)의 단 부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고, 스토퍼(134)가 스토퍼 홈(143)의 단 부에 위치한 이후에는 스토퍼(134)가 스토퍼 홈(143)에 걸리기 때문에 제2지지부(14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레일 플레이트(131)와 제2레일 플레이트(141)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13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3)는 그 일 단(133a)이 제1레일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제1탄성부재 홀(13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3)는 그 타단(133b)이 제2레일 플레이트(141)에 형성된 제2탄성부재 홀(14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3)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탄성부재(133)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3)는 제2지지부(140)가 제1지지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 변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3)는 제2지지부(140)가 제1지지부(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탄성부재(133)의 탄성력 이상의 힘을 가함으로써 제2지지부(140)를 인출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2)를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제2지지부(14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제1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지지부(130)과 제2지지부(140)가 모바일 장치(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에는 상기한 장착부(110)의 구조가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10)는 전면 지지부(111)와 측면 지지부(112)를 형성하는 제1부재와, 후면 지지부(113)와 탄성 연결부(114)를 형성하는 제2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된 체결부재(S1)에 의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장착부(110)는 전면 지지부(111), 측면 지지부(112), 후면 지지부(113) 및 탄성 연결부(114)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을 참고하면, 체결부재(S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회전 가이드와 제2회전 가이드(152)를 관통하여 샤프트부(130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140)는 스토퍼(134)가 스토퍼 홈(143)의 단 부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제2지지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장착되는 장착부(210)와, 제1지지부(221)와, 제1지지부(221)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지지부(222)를 포함하는 홀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10)는 프레임(15)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 지지부(211)와, 프레임(15)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222)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과 접촉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면 지지부(213)와, 후면 지지부(213)와 측면 지지부(212)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지지부(211)와 측면 지지부(212) 사이에는 장착 홈(210a)이 형성될 수 있고, 후면 지지부(213)와 탄성 연결부(214) 사이에는 탄성 홈(210b)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210)와 관련하여 상기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22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221)에 인입될 수 있다. 제2지지부(222)가 제1지지부(221)에 인입되어 있을 때,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222)는 외력에 의해 제1지지부(221)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부(222)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지지부(221)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모바일 장치(2)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거치장치에서, 홀더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200)에서 홀더(220)는 장착부(210)의 홀더 지지부(2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 지지부(215)는 장착부(21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220)는 홀더 지지부(215)에 볼조인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220)는 홀더 지지부(215)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즉, 홀더(220)는 그 회전축이 고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홀더(220)는 임의의 회전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거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4와 도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거치장치(200)는 홀더 지지부(215)를 포함하는 장착부(210)와, 제1지지부(221)와, 제1지지부(221)의 내부에 결합되고 제2탄성부재(240)의 일 단부(241)가 결합되는 탄성부재 지지부(230)와, 제2탄성부재(240)의 타 단부(242)가 결합되는 제2지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더(220)를 홀더 지지부(215)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볼조인트부(221a, 250, 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볼조인트부(221a, 250, 260)는 홀더 지지부(215)에 마련되는 볼하우징(221a)과, 볼하우징(221a)에 삽입되는 볼(260)과, 볼하우징(221a)과 결합하여 볼(260)의 위치를 고정하는 볼고정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20)는 홀더 지지부(215)에 볼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부(221)의 후면에 형성된 볼하우징(221a)에 볼(260)을 삽입할 수 있다. 볼하우징(221a)은 내부에 볼(260)을 수용할 수 있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볼하우징(221a)은 나사산을 갖는 다수의 돌기 내부에 볼(26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볼고정부재(250)는 나사산을 갖는 내면(2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볼고정부재(250)는 체결부재(S4)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2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볼고정부재(250)는 사용자가 볼고정부재(250)를 회전시킬 때,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톱니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톱니부(253)는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 중 하나이므로 다른 구조를 통해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볼고정부재(250)가 볼하우징(221a)에 나사 결합되기 이전에는 홀더(22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홀더(220)를 원하는 각도에 고정하기 위해, 볼고정부재(250)를 볼하우징(221a)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볼고정부재(250)가 볼하우징(221a)과 나사 결합되면, 홀더(2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홀더(220)가 홀더 지지부(215)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S4)를 홀더 지지부(215)의 후면에 형성된 제1체결부(215a) 및 볼(260)에 마련되는 제2체결부(261)에 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220)를 홀더 지지부(215)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제1지지부(22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볼조인트부(221a, 250, 260)에 의해 홀더 지지부(215a)에 볼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221)는 탄성부재 지지부(23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홀(221b)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 지지부(230)는 제1결합홀(221b)에 대응되는 제2결합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홀(221b)과 제2결합홀(231)의 위치를 대응시킨 후,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부재 지지부(230)를 제1지지부(221)에 결합할 수 있다.
탄성부재 지지부(230)에는 제2탄성부재(240)의 일 단부(241)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3탄성부재 홀(23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부(222)는 제2탄성부재(240)의 타 단부(242)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4탄성부재 홀(2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40)는 그 일단(241)이 탄성부재 지지부(230)에 연결되고, 그 타단(242)이 제2지지부(222)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 지지부(230)는 제1지지부(221)에 결합되므로, 제2탄성부재(240)는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의 종류에는 한정이 없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탄성부재(240)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제2탄성부재(240)는 제2지지부(222)가 제1지지부(221)로부터 인출되면, 제2지지부(222)가 제1지지부(221)를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모바일 장치(2)가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지지부(221)는 제2지지부(22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222)는 스토퍼(221c)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홈(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21c)는 스토퍼 홈(222b) 내에서 이동 가능하므로 제2지지부(222)의 이동 범위는 제한된다.
도 16은 도 1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10)는 전면 지지부(211)와 측면 지지부(212)를 형성하는 제1부재와, 후면 지지부(213)와 탄성 연결부(214)를 형성하는 제2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된 체결부재(S3)에 의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장착부(210)는 전면 지지부(211), 측면 지지부(212), 후면 지지부(213) 및 탄성 연결부(214)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을 참고하면, 체결부재(S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 지지부(215)의 후방에서 제1체결부(215a)와, 볼고정부재(250)의 관통홀(252)을 관통하여 볼(260)의 제2체결부(26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볼고정부재(250)를 회전시켜 볼고정부재(250)와 볼하우징(221a)의 결합력을 조절함으로써 홀더(220)를 자유롭게 회전시키거나 홀더(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221)는 스토퍼(221c)를 포함하고, 스토퍼(221c)는 제2지지부(222)의 스토퍼 홈(222b)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지지부(222)는 스토퍼(221c)가 스토퍼 홈(222b)의 일 단부에 위치할 때까지 제1지지부(22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장착되는 거치장치(100, 200)에 모바일 장치(2)가 거치됨으로써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자동으로 페어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각각 가속도 센서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의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속도 센서 근처로 접근시켜 태그하면,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속도 센서는 서로의 접근 속도 및 태그 과정에서 발생한 터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2)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장착된 거치장치(100, 200)에 거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 내의 가속도 센서는 임계값 이상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충격을 감지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감지 즉시 주변 디바이스로 BLE(Bluetooth Low Energy) 페어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장치(2) 내의 가속도 센서 역시 마찬가지로 임계값 이상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임계값 이상의 충격을 감지하면 BLE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과 페어링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페어링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지그비,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페어링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의 화면을 그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미러링하거나, 모바일 장치(2)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페어링되면, 모바일 장치(2)의 전방 카메라 모듈(미도시) 또는 후방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사용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거울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모바일 장치(2)로부터 모바일 장치(2)의 식별정보, 모바일 장치(2)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될 컨텐츠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5G 셀룰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5G 셀룰러 데이터 통신망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2)에서 재생되거나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디스플레이 모듈
20 : 지지장치
21 : 지지몸체
30 : 스피커
100, 200 : 거치장치
110, 210 : 장착부
120, 220 : 홀더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모바일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되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바일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거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모바일 장치의 타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 수직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전(全)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 표시 영역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전면 보다 크게 마련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을 향해 연장되는 후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후면 지지부 및
    상기 측면 지지부와 상기 후면 지지부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360°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홀더의 회전 범위는 제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볼조인트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홀더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가이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장착부에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제1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스토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와 결합되고, 상기 홀더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 가이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가이드 홈에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가이드 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1회전 가이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제1지지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화면 표시 영역과,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페어링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모바일 장치의 타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 수직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360°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홀더의 회전 범위는 제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전(全)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삭제
KR1020200001664A 2020-01-06 2020-01-06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758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64A KR102758924B1 (ko) 2020-01-06 2020-01-06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0/012877 WO2021141209A1 (en) 2020-01-06 2020-09-23 Display apparatus
CN202410381070.XA CN118038750A (zh) 2020-01-06 2020-09-23 显示设备
EP20911953.6A EP4018285B1 (en) 2020-01-06 2020-09-23 Display apparatus
CN202080092079.9A CN114930269B (zh) 2020-01-06 2020-09-23 显示设备
EP25175609.4A EP4580200A3 (en) 2020-01-06 2020-09-23 Display apparatus
US17/031,233 US11796124B2 (en) 2020-01-06 2020-09-24 Display apparatus
US18/368,663 US12085221B2 (en) 2020-01-06 2023-09-15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64A KR102758924B1 (ko) 2020-01-06 2020-01-0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354A KR20210088354A (ko) 2021-07-14
KR102758924B1 true KR102758924B1 (ko) 2025-01-24

Family

ID=7665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664A Active KR102758924B1 (ko) 2020-01-06 2020-01-0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796124B2 (ko)
EP (2) EP4580200A3 (ko)
KR (1) KR102758924B1 (ko)
CN (2) CN118038750A (ko)
WO (1) WO2021141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1249S1 (en) * 2019-01-02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device with display
USD968399S1 (en) * 2019-01-02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device with display
KR102706341B1 (ko) * 2020-01-06 2024-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45371B2 (en) * 2021-12-08 2024-04-02 1LSS Inc. Fixed angle car mount for a mobil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01559A1 (en) * 2014-04-21 2015-10-22 Edward Wu Apparatus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to 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8249B2 (ja) * 1994-11-10 1998-10-08 日本コントロール工業株式会社 カメラスタンド
US5881986A (en) * 1996-02-02 1999-03-16 Hegarty; David Document support monitor and engageable universally positionable document holder
US5901937A (en) * 1997-06-04 1999-05-11 Compeau; Marc S. Apparatus for attaching personalized fixtures to personal computer and workstation monitors
US6043976A (en) * 1997-10-24 2000-03-28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Co., Ltd. Docking base for a portable computer
JPH11149328A (ja) * 1997-11-19 1999-06-02 Nec Yonezawa Ltd 多画面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5906348A (en) * 1997-12-30 1999-05-25 Orenstein; Adam M. Beverage holder for a video monitor
US5988582A (en) * 1998-06-12 1999-11-23 Olivo; Nello Office system for mounting upon a PC monitor
TW412138U (en) * 1998-10-28 2000-11-11 Senor Tech Co Ltd Display device base
JP2000181423A (ja) * 1998-12-18 2000-06-30 Kyocera Corp マルチモニタ
WO2000041433A1 (en) * 1999-01-04 2000-07-13 Britannia Investment Corporation Loudspeaker mounting system comprising a flexible arm
US6078497A (en) * 1999-01-29 2000-06-20 Hewlett-Packard Comp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nhanced speaker system
US6298942B1 (en) * 1999-04-28 2001-10-09 U.S. Philips Corporation Housing having a loudspeaker system
US6481681B1 (en) * 2000-08-30 2002-11-19 3Com Corporation Clip apparatus for a laptop computer
JP2002158944A (ja) * 2000-09-07 2002-05-31 Canon Inc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周辺機器
KR100399608B1 (ko) * 2001-05-10 2003-09-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이동 단말용 홀더
US6543168B1 (en) * 2001-09-24 2003-04-08 James G. Moore Computer monitor picture frame
US6798457B2 (en) * 2001-09-26 2004-09-28 Digeo, Inc. Camera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eye-to-eye communication
US6600827B2 (en) * 2001-10-03 2003-07-29 Kuan-Yu Chou Externally mounted speaker for notebook computer
US6533236B1 (en) * 2001-10-25 2003-03-18 The Auto Club Group Apparatus for holding interconnectable cards
US6532146B1 (en) * 2002-01-23 2003-03-11 Slide View Corp. Computer display device with dual lateral slide-out screens
US6667877B2 (en) * 2001-11-20 2003-12-23 Slide View Corp. Dual display device with lateral withdrawal for side-by-side viewing
KR100490356B1 (ko) 2003-01-20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007907B2 (en) * 2003-04-01 2006-03-07 Chul Huh Adjustable keyboard stand
US20050047616A1 (en) * 2003-09-03 2005-03-03 Noel Lee Flat panel monitor frame with integral speakers
US7823856B2 (en) * 2004-01-22 2010-11-02 Axzo Press Llc Hinge and binding apparatus for displaying cards and papers in the workplace
US8270651B2 (en) * 2004-02-24 2012-09-18 Ksc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of audio-visual components
US7593031B2 (en) * 2004-04-16 2009-09-22 Polycom, Inc. Integrated desktop videoconferencing system
US7431253B2 (en) * 2005-06-03 2008-10-07 Kye Systems Corp. Support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 equipment
KR100842530B1 (ko) * 2005-08-23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US7453686B2 (en) * 2005-08-29 2008-11-18 Elbex Video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display panels onto wall surface
NZ570595A (en) * 2006-02-08 2011-06-30 David Common Shield for a computer screen having horizontal and verical adjustement of viewing area and overall position
KR200424387Y1 (ko) * 2006-06-08 2006-08-22 강동연 듀얼 디스플레이 프레젠테이션 장치
TW200807068A (en) * 2006-07-21 2008-02-01 Benq Corp Display device
US20080103637A1 (en) * 2006-10-30 2008-05-01 Bliven Robert P Method and structures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an electronic device
US7681856B1 (en) * 2006-12-05 2010-03-23 Emmanuel Thomas Document holder
JP2008249926A (ja) * 2007-03-30 2008-10-16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フレーム筐体及び表示装置
US8317146B2 (en) * 2007-10-05 2012-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KR20090036190A (ko) * 2007-10-09 2009-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7889481B2 (en) * 2007-11-08 2011-02-15 Sideline, Inc. Secondary computing device display
US7813118B2 (en) * 2008-04-14 2010-10-12 Bose Corporation Device bracket with integrated device hub
CN101561682A (zh) 2008-04-18 2009-10-21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数位相框
US7611117B1 (en) * 2008-08-07 2009-11-03 Lang Jr Joseph Laptop computer document holder
US20100053027A1 (en) * 2008-08-29 2010-03-04 James Ian Tonnison Multiple monitors
CN101714313A (zh) * 2008-10-08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器
JP2010181962A (ja) * 2009-02-03 2010-08-19 Seiko Instruments Inc 携帯用電子機器
KR101060912B1 (ko) 2009-07-21 2011-08-30 삼성전기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0352B1 (ko) 2009-12-03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9153112B1 (en) * 2009-12-21 2015-10-06 Masimo Corporation Modular patient monitor
US20120037771A1 (en) * 2010-08-11 2012-02-16 Kitchen Michael S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Peripheral Devices to a Computer
US20120083314A1 (en) * 2010-09-30 2012-04-05 Ng Hock M Multimedi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With Motion Tracking
US20120134519A1 (en) * 2010-11-29 2012-05-31 Caldes Douglas G Integrated television Mount and Audio System
US8582284B2 (en) * 2011-02-23 2013-11-12 Target Brands, Inc. Media display fixture for an electronic kiosk
WO2012145224A1 (en) * 2011-04-20 2012-10-26 Pieco Multi-configuration computer
US8833716B2 (en) * 2011-10-14 2014-09-16 Ergotron, Inc. Tablet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WO2013056107A1 (en) * 2011-10-14 2013-04-18 Ergotron, Inc. Tablet storage device
KR20130065979A (ko) * 2011-12-12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342035B1 (ja) * 2012-04-27 2013-11-1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8350889B1 (en) * 2012-06-28 2013-01-08 Shammoh Ali A A J Integrated computer, television, and telephone
KR20140002938A (ko) * 2012-06-28 2014-01-09 (주)에듀카와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US9995432B1 (en) * 2012-10-03 2018-06-12 Dimitri Girault Portable computing tablet holster
US20180043840A1 (en) * 2012-11-20 2018-02-15 Kenu, Inc. Portable device holder
US9428947B2 (en) * 2012-12-04 2016-08-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inge mechanism and panel apparatus
US9215428B2 (en) * 2013-01-07 2015-12-15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monitoring system
US20130161473A1 (en) * 2013-01-22 2013-06-27 Wahiba Gandiboyina Maneuverable, attachable picture frame with detachable base
CN105284013B (zh) * 2013-05-03 2017-03-22 诺曼·R·伯恩 可互换的基座系统
GB2520331B (en) * 2013-11-18 2020-02-12 Dovetail Tech Ltd Auxiliary screen mounting system
US9766850B2 (en) * 2014-03-24 2017-09-19 David Eisenberg Multiple screen arrangement for mobile device
USD739771S1 (en) * 2014-04-30 2015-09-29 Thermo Electron Scientific Instruments Llc Spectrometer
WO2016018222A1 (en) * 2014-07-28 2016-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necting a peripheral device
US9568952B2 (en) * 2014-09-09 2017-02-14 Portal Dual Inc. Display device apparatus
US10405658B2 (en) * 2014-11-07 2019-09-10 Mark McCrate Auxiliary bracket for electronic display
US9501096B2 (en) 2015-03-26 2016-11-22 Tangible Play, Inc. Display positioning system
US9804652B2 (en) * 2015-09-01 2017-10-31 Humanscale Corporation Computer docking station
US10901475B2 (en) * 2015-09-01 2021-01-26 Humanscale Corporation Computer docking station
US9778705B2 (en) * 2015-09-04 2017-10-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contacts at an exterior surface
US10066784B2 (en) * 2016-05-12 2018-09-04 Peter H. Wessels Folding handheld device holding system
US10375346B2 (en) * 2016-06-07 2019-08-06 Leon Hand-Crafted Speakers, Inc. Component rack for a display
US20180010622A1 (en) * 2016-07-06 2018-01-11 Chen-Source Inc. Connection clamp
US10791836B2 (en) * 2016-07-11 2020-10-06 Reit Lab, Llc Mounting apparatus for securing a device to a flat monitor
TWI586051B (zh) * 2016-10-26 2017-06-01 勝德國際研發股份有限公司 掛吊式插座裝置
US10942569B2 (en) * 2017-06-26 2021-03-09 SonicSensor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ensory-enhanced audio-visual recordings
EP3555878A4 (en) * 2017-06-29 2020-09-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IGUOUS PLANAR DISPLAY USABLE TO OBTAIN A ZONE ACTING AS A PRIMARY DISPLAY AND A AREA ACTING AS A SECONDARY DISPLAY
US10459487B2 (en) * 2017-07-17 2019-10-29 Fz Engineering Support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9035667A1 (en) * 2017-08-16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E102017129827B3 (de) * 2017-11-07 2019-03-28 Fujitsu Client Computing Limited Computersystem
KR102438108B1 (ko) * 2017-11-10 2022-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429884B1 (en) * 2017-12-14 2019-10-01 David W. Brittingham Adjustable monitor frame for retaining and displaying a book and thin planar objects
US10146272B1 (en) * 2018-04-24 2018-12-04 Dell Products L.P. Externally mounted internal component retention system
CN110413046B (zh) * 2018-04-30 2023-09-08 云创科技有限公司 辅助监视器及辅助显示系统
KR102465746B1 (ko) * 2018-07-03 2022-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다중 패널 표시 장치
US11320856B2 (en) * 2018-07-13 2022-05-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lay systems and devices
US10619787B1 (en) * 2018-08-29 2020-04-14 Facebook, Inc. Mounting systems for a video-conferencing device, video conferenc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0485120B1 (en) * 2018-10-03 2019-11-1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nclosures including an interlocking device
CN112025586A (zh) * 2019-06-03 2020-12-0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旋转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01559A1 (en) * 2014-04-21 2015-10-22 Edward Wu Apparatus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to a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580200A2 (en) 2025-07-02
WO2021141209A1 (en) 2021-07-15
US20210207761A1 (en) 2021-07-08
CN118038750A (zh) 2024-05-14
US11796124B2 (en) 2023-10-24
CN114930269B (zh) 2024-04-16
EP4018285A4 (en) 2022-10-19
EP4018285C0 (en) 2025-06-18
KR20210088354A (ko) 2021-07-14
EP4018285B1 (en) 2025-06-18
US12085221B2 (en) 2024-09-10
US20240003484A1 (en) 2024-01-04
CN114930269A (zh) 2022-08-19
EP4018285A1 (en) 2022-06-29
EP4580200A3 (en) 202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589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063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584820B2 (ja) 車載機器
US10567622B2 (en) Camera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CN105190732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9118824B2 (en) Prompting apparatus
KR102510389B1 (ko) 소형 카메라 짐벌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08848296A (zh) 一种摄像头组件、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BR112015016419B1 (pt) Aparelho de exibição que fornece interações com usuário
US9594397B2 (en) Display apparatus
JP6518963B2 (ja) 車載機器
KR2016000133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KR201300791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6351545U (zh) 支腿、耳挂、佩戴支架及头戴式设备
CN215344799U (zh) 摄像模组组装结构及电子设备
CN214663034U (zh) 一种交互显示屏组件
CN115808789A (zh) 框架、佩戴支架及头戴式设备
KR102537619B1 (ko) 자동차 주행 촬영을 위한 전자식 제어 카메라 리그 장치
KR202500875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5808787A (zh) 头戴式设备
KR20160141482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