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9632B1 - Intraocular Imaging Device - Google Patents
Intraocular Imag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9632B1 KR102759632B1 KR1020230165482A KR20230165482A KR102759632B1 KR 102759632 B1 KR102759632 B1 KR 102759632B1 KR 1020230165482 A KR1020230165482 A KR 1020230165482A KR 20230165482 A KR20230165482 A KR 20230165482A KR 102759632 B1 KR102759632 B1 KR 1027596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pth
- interest
- eye
- image
- reg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원은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굴절시키는 광원측 렌즈부; 상기 광원측 렌즈부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의 일부분을 안구 측으로 반사시키고, 안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을 굴절시키는 센서측 렌즈부; 상기 센서측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수집하여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를 조절하는 깊이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와 센서측 렌즈부에 의해 결정되는 초점은, 상기 관심영역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inside of an eye, comprising: a light source; a light source-side lens unit that refracts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 splitter that reflects a portion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toward the eye and transmi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eye; a sensor-side lens unit that refract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plitter; an image sensor that collect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nsor-side lens unit and obtains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and a depth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wherein a focus determined by the image sensor and the sensor-side lens unit can be located inside the region of interest.
Description
본원은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미지 센서와 센서측 렌즈부에 의해 결정되는 초점이 상기 관심영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가 안구 내 유리체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유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that acquires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within the eye, and enables acquisition of an image of the vitreous body by allowing a focus determined by an image sensor and a sensor-side lens unit to be positioned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while allowing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within the eye to be positioned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itreous body within the eye.
도 1을 참고하면, 사람의 안구는 망막에 빛의 초점을 맞추는 데 도움을 주는 투명한 가장 바깥쪽 층인 각막, 빛이 통과하는 동공, 홍채 뒤에 배치되며,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하는 수정체,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시세포가 있는 망막, 안구 내부를 채우면서 눈의 모양을 유지하는 유리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홍채와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을 포함한 안구 근육은 초점을 조절하고 시력을 유지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human eye can be made up of the cornea, the transparent outermost layer that helps focus light on the retina, the pupil through which light passes, the lens located behind the iris that refracts light to form an image on the retina, the retina with photoreceptor cells that convert light into electrical signals, and the vitreous body that fills the inside of the eye and maintains the shape of the eye. The eye muscles, including those that control the iris and lens, help control focus and maintain vision.
한편, 눈 앞에 먼지나 벌레처럼 생긴 이물질이 떠다니는 것을 느끼는 증상인 비문증은 유리체의 투명한 물질이 변성되어 작은 부유물이 뜨거나 혼탁이 생겨 눈으로 들어가는 빛을 가려 발생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10대를 포함한 젊은 층에서도 발생하는 질병이다. 비문증은 신경성 스트레스, 만성피로, 영양 불균형, 약물 부작용으로 인해 생기는 경우, 라식/라섹 수술 부작용으로 인해 생기는 경우, 외상으로 인해 생기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지만, 명확하게 어떤 요인이 어떤 과정을 거쳐 발생하는 지에 대해 불분명하다. 갑작스럽게 다수의 비문이 나타났다면 망막박리를 비롯한 망막 상에 어떤 질병이 나타났거나, 당뇨에 걸린 사람의 경우 망막병증의 증후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문증 발생 시 유리체 내부를 부유 물질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floaters, which is a symptom of feel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bugs floating in front of the eyes, is a disease that occurs when the transparent substance of the vitreous body degenerates, causing small floaters or cloudiness to form, blocking the light entering the eyes. Recently, it has been occurring in young people including teenagers. There are various causes of floaters, such as nervous stress, chronic fatigue, nutritional imbalance, side effects of medications, side effects of LASIK/LASEK surgery, and trauma, but it is unclear which factors and which process cause them. If a large number of floaters suddenly appear, it may be a sign of a disease on the retina, such as retinal detachment, or, in the case of diabetes, a symptom of retinopathy. Therefore, a device that can photograph floating substances inside the vitreous body when floaters occur is necessary.
종래 안구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로는 망막이나 안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망막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으로부터 망막의 영상을 획득하였다.Conventional devices for obtaining images of the inside of the eyeball have obtained images of the retina or fundus by irradiating light onto the retina and obtaining images of the retina from the reflected light.
그러나, 망막의 경우 안구 저면에서 불투명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빛을 통해 비교적 쉽게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투명한 유리체 내부 유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안구 내부에 초점을 맞춰 안구 내부 소정 깊이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관심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작은 부유물들을 판별해내야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etina, since it exists in an opaque state at the bottom of the eyeball, it is relatively easy to obtain an image through reflected light by irradiating it with light, but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image of the fluid inside the vitreous body, which is transparent overall.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inside of the eyeball, set a region of interest at a certain depth inside the eyeball, and discern small floaters from the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911441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underlying this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911441.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원은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미지 센서와 센서측 렌즈부에 의해 결정되는 초점이 상기 관심영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가 안구 내 유리체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유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inside the eye that can acquire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and can acquire an image of the vitreous body by allowing a focus determined by an image sensor and a sensor-side lens unit to be located inside the region of interest, while allowing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to be located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itreous body inside the eye.
또한, 본원은 설정된 간격에 따라 안구 내부 깊이를 달리하여 유리체 영역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capable of acquiring images of the vitreous region by varying the depth inside the eye according to a set interval.
또한, 본원은 각 안구 내부 깊이에서 획득한 영상을 합성하여 비문 검출을 위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image for detecting a nodule by synthesizing images acquired at each depth inside the eye.
또한, 본원은 안구의 각 부분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that minimizes reflections of various forms of light from each part of the ey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task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굴절시키는 광원측 렌즈부; 상기 광원측 렌즈부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의 일부분을 안구 측으로 반사시키고, 안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을 굴절시키는 센서측 렌즈부; 상기 센서측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수집하여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를 조절하는 깊이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와 센서측 렌즈부에 의해 결정되는 초점은, 상기 관심영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task, an eye interior image acquisi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ght source; a light source-side lens unit that refracts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 splitter that reflects a portion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toward the eyeball and transmi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eyeball; a sensor-side lens unit that refract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plitter; an image sensor that collect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nsor-side lens unit and acquires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ball; and a depth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ball, wherein a focus determined by the image sensor and the sensor-side lens unit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region of interest.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깊이조절부의 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관심영역의 깊이는, 상기 안구 내 유리체에 대응되는 범위 내가 되도록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determined by the control of the depth control unit can be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itreous body in the ey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깊이조절부는, 상기 관심영역의 깊이가 설정된 간격을 따라 달라지도록, 상기 안구에 대하여 적어도 센서측 렌즈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설정된 간격을 따라 달라지는 안구 내부 깊이에서 관심영역 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control unit moves at least the sensor-side lens uni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ye so that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varies along a set interval, and the image sensor can obtain an image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at a depth inside the eye that varies along the set interval.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깊이조절부는,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안구 내부의 제1 기준 깊이를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이 상기 제1 기준 깊이로부터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센서측 렌즈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control unit can set a first reference depth inside the eye from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and move at least the sensor-side lens uni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o that the region of interest moves to one side from the first reference depth.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깊이조절부는,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안구 내부의 제2 기준 깊이를 더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이 상기 제1 기준 깊이와 제2 기준 깊이 사이의 깊이를 가지도록, 적어도 센서측 렌즈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control unit can further set a second reference depth inside the eye from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and move at least the sensor-side lens uni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o that the region of interest has a depth between the first reference depth and the second reference depth.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깊이는 안구 내부를 진행하는 광의 경로에 따른 망막의 깊이 또는 수정체의 안구 내측 일단의 깊이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제2 기준 깊이는, 안구 내부를 진행하는 광의 경로에 따른 망막의 깊이 또는 수정체의 안구 내측 일단의 깊이 중 다른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erence depth may be set to one of the depth of the retina along the path of light traveling inside the eye or the depth of the inner end of the lens, and the second reference depth may be set to the other of the depth of the retina along the path of light traveling inside the eye or the depth of the inner end of the lens.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영역 내 초점의 피사계심도는, 설정된 간격보다 작도록 결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field of the focus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determined to be smaller than a set interval.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플리터와 안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플리터로부터 안구 측으로 향하는 광의 광축을 가변시키는 광축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axis adjust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splitter and the eyeball and changes the optical axis of light directed from the splitter toward the eyeball.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축조절부는, 동일한 안구 내부 깊이에서 복수의 관심영역을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관심영역은, 적어도 다른 하나의 관심영역과 적어도 일부분 오버랩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axis adjusting unit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at the same depth inside the eye,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may be determined to overlap at least partially with at least one other region of interest.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플리터를 통해 안구에 입사되는 광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광원과 광원측 렌즈부의 상기 스플리터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lt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with respect to the splitter so as to adjust the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eye through the splitter.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과 상기 스플리터 사이에 제1 편광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스플리터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제2 편광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olarizing filter may be plac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splitter, and a second polarizing filter may be placed between the splitter and the image sensor.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은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미지 센서와 센서측 렌즈부에 의해 결정되는 초점이 상기 관심영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가 안구 내 유리체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유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inside the eye that acquires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and enables an image of the vitreous body by allowing a focus determined by an image sensor and a sensor-side lens unit to be located inside the region of interest, while allowing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to be located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itreous body inside the eye.
또한, 본원은 설정된 간격에 따라 안구 내부 깊이를 달리하여 유리체 영역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images of the vitreous region by varying the depth inside the eyeball according to set intervals.
또한, 본원은 각 안구 내부 깊이에서 획득한 영상을 합성하여 비문 검출을 위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n image for detecting inscriptions by synthesizing images acquired from each depth inside the eye.
또한, 본원은 안구의 각 부분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that minimizes reflection of various forms of light from each part of the eye.
다만, 본원의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영상획득부(1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깊이조절부(20)가 이미지 센서를 고정한 채 센서측 렌즈부(14)를 이동시켜 안구 내부 초점 깊이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깊이조절부(20)가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 사이의 거리를 고정시킨 채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안구 내부 초점 깊이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구 내부에 결정된 관심영역(ROI)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축조절부(16)에 의해 동일한 안구 내부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관심영역이 결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피사계심도를 벗어난 위치의 객체와 피사계심도 내 위치한 객체에 대한 상이 맺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영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ey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of Figure 2.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 depth adjustment unit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ing the depth of focus inside the eye by moving the sensor-side lens unit (14) while fixing the image sensor.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a depth adjustment unit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ing the depth of focus inside the eye by moving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fix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determined inside the ey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that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having the same depth inside the eye are determined by an optical axis adjustment unit (1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formation of an image for an object located outside the depth of field and an object located within the depth of field.
Figure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acqui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or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 component in betwee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n element is located “on,” “above,” “below,” “under,” or “below” another elemen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an element is in contact with another elemen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element exists between the two elemen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ever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rather includes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순서를 달리 표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1", "제2" 등을 표시하지 않은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can be used to indicate a different order of identical or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and can be interpreted as components tha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components that are not indicated as "first", "second", etc.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면,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In addition, terms related to direction or position (upper side, upper surface, lower side, etc.)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1, 이하 본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장치는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미지 센서와 센서측 렌즈부에 의해 결정되는 초점이 상기 관심영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가 안구 내 유리체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유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장치(1)는 영상획득부(10), 깊이조절부(20) 및 지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n image acquisition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evice acquires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within the eye, and allows a focus determined by an image sensor and a sensor-side lens unit to be positioned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while allowing an image of the vitreous body to be acquired by allowing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within the eye to be positioned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itreous body within the eye. Referring to FIG. 2, the device (1) may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0), a depth adjustment unit (20), and a support unit (30).
영상획득부(10)는 안구에 광을 조사하고 안구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집하여 안구 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0)는 조사된 광을 안구 측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켜 진행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제1 경통(10a)과, 안구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광을 수집하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제2 경통(1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획득부(10)는 제1 경통 및 제2 경통 내부에 배치되는 광원(11), 광원측 렌즈부(12), 스플리터(13), 센서측 렌즈부(14), 이미지 센서(15)를 포함하며, 광축조절부(16), 틸팅부(17) 및 편광필터(18a, 1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can irradiate light to the eyeball and collect light reflected from the eyeball to acquire an image inside the eyeball.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can include a first optical tube (10a) arranged to refract or reflect the irradiated light toward the eyeball and propagate it, and a second optical tube (10b) arranged to collect light reflected from the eyeball and acquire an image. 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includes a light source (11), a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a splitter (13), a sensor-side lens unit (14), and an image sensor (15) arranged inside the first optical tube and the second optical tube, and can further include an optical axis adjustment unit (16), a tilting unit (17), and a polarizing filter (18a, 18b).
도 3을 참고하면, 광원(11)은 안구 내부 촬영을 위해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 기반의 광원일 수 있다. 광원(1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통한 유리체 영역의 촬영을 위해 가시광대역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근적외선을 통한 유리체 영역 촬영을 위해 700~1000nm 범위의 방출 스펙트럼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른 스펙트럼 영역의 방출선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light source (11) may be a lamp or light emitting diode-based light source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eye. A light emitting diode in the visible light band may be used for photographing the vitreous region throug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 and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n emission spectrum in the range of 700 to 1000 nm may be used for photographing the vitreous region through near infrared rays. In addition,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n emission line in a different spectral range may be used.
광원측 렌즈부(12)는 광원(11)에서 인입된 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원측 렌즈부(12)는 광원에서 인입된 광을 확산할 수 있으며, 광원측 렌즈부(12)의 구경을 조절하는 조리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측 렌즈부(12)는 광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통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평행한 빛에 가깝게 굴절시킬 수 있다.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can refract light drawn in from the light source (11). In one embodiment,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can diffuse light drawn in from the light source, and an aperture (not shown) for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can be provided. As illustrated in FIG. 3,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can refract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nto light close to parallel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the path of the light.
스플리터(13)는 광원측 렌즈부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의 일부분을 안구 측으로 반사시키고, 안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플리터(13)는 광의 일부분은 반사하고, 일부분은 투과시킴으로써 광의 일부분의 진행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플리터(13)는 하프미러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플리터(13)는 제1 경통(10a)과 제2 경통(10b)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으로는 광원(11)과 광원측 렌즈부(12)가 배치되고(예를 들면 스플리터의 상측, 도 3의 12시 방향), 다른 일측 방향으로는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가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면 스플리터의 후방, 도 3의 3시 방향). 이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광원측 센서부렌즈부를 거쳐 진행하는 광은 스플리터(13)에 의해 굴절되어 안구 내부로 진행할 수 있다. 반대로, 안구 내부에서 반사된 광은 스플리터(13)로 입사되어 스플리터를 거쳐 센서측 렌즈부(14)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플리터는 프리즘 2개를 결합한 큐빅 형태로 마련되는 하프미러일 수 있으며, 프리즘의 빗면을 통해 광의 굴절 및 투과가 수행될 수 있다.The splitter (13) may be provided to reflect a portion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toward the eyeball and transmit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eyeball. The splitter (13) may change the path of a portion of the light by reflecting a portion of the light and transmitting a portion of the light. In one embodiment, the splitter (13) may be provided as a half mirror. The splitter (13) may be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first optical tube (10a) and the second optical tube (10b) intersect, and a light source (11) and a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may be arranged on one side (for example, on the upper side of the splitter, in the 12 o'clock direction of FIG. 3), and a sensor-side lens unit (14) and an image sensor (15) may be arranged on the other side (for example, on the rear side of the splitter, in the 3 o'clock direction of FIG. 3). Accordingly, light that passes from the light source through the sensor lens section on the light source side can be refracted by the splitter (13) and can pass into the eyeball. Conversely, light reflected inside the eyeball can be incident on the splitter (13) and pass through the splitter to the sensor lens section (14). In one embodiment, the splitter can be a half mirror formed in a cubic shape by combining two prisms, and light can be refract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ism.
일 실시예에서, 스플리터(13)는 편광 스플리터로 구비되어 P편광은 투과하고 S편광은 반사할 수 있다. 광원측 렌즈부(12)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은, 스플리터(13)에 의해 P편광에 해당하는 광은 통과하고, S편광에 해당하는 광은 진행경로가 90도 굴절되어 반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plitter (13) is provided as a polarization splitter so that P-polarized light can be transmitted and S-polarized light can be reflected. Light that passes through the lens unit (12) on the light source side can be reflected by having the light corresponding to P-polarized light pass through the splitter (13) and the light corresponding to S-polarized light refract 90 degrees along its path.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플리터(13)와 안구 사이에는 대물렌즈가 배치될 수 있는데, 대물렌즈는 스플리터(13)에서 인입된 광이 안구 내부로 입사된 후, 안구 내부가 맺힌 상을 확대할 수 있다. 다만, 대물렌즈는 스플리터(13)와 안구 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센서측 렌즈부(14)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n objective lens may be placed between the splitter (13) and the eyeball, and the objective lens may magnify an image formed inside the eyeball after light from the splitter (13) is incident on the inside of the eyeball. However, the objective lens may not be placed between the splitter (13) and the eyeball, but may be replaced by at least one lens forming the sensor-side lens section (14).
다음으로, 센서측 렌즈부(14)는 안구로부터 반사되어 영상획득부 내부로 입사된 후 스플리터(13)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센서측 렌즈부(14)는 이미지 센서(15)에 안구 내부의 상이 맺히도록 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상술한 광원측 렌즈부(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센서측 렌즈부(14)의 구경을 조절하는 조리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Next, the sensor-side lens unit (14) can refract light that is reflected from the eyeball, enters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plitter (13). The sensor-side lens unit (14) can refract light so that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eyeball is formed on the image sensor (15). As described in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described above, it can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the path of light, and an aperture (not shown) that adjusts the diameter of the sensor-side lens unit (14) can be provided.
이미지 센서(15)는 센서측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수집하여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안구 내부에서 반사되어 진행하는 광을 수집하여 안구 내부 영상을 획득하므로, 광축과 이미지축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영역은 스플리터(13)를 통해 안구 내부로 입사되는 광의 진행경로와 이미지 센서와 센서측 렌즈부에 의해 결정되는 안구 내부 초점에 따라 결정되는 안구 내부의 소정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관심영역 내부의 영상이 이미지 센서(15)에 맺힌 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5)를 통해 관심영역 내부의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영역이 영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와 센서측 렌즈부에 의해 결정되는 안구 내부 초점은 유리체가 위치하는 영역 내부로 설정되어, 유리체 영역 내에서 반사된 비문 또는 부유체, 또는 공극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비문을 검출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장치는 유리체 내 부유체나 공극을 검출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영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이미지를 뜻하기보다는, 일 시점에 이미지 센서(15)에서 획득한 안구 내부의 정지된 이미지,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안구 내부 깊이를 달리하면서 획득한 안구 내부의 깊이별 이미지들을 총칭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image sensor (15) can collect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unit on the sensor side to obtain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Since the image of the inside of the eye is obtained by collecting light that is reflected and propagates inside the eye, the optical axis and the image axis can be the same. Here,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understood as a predetermined region inside the ey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ath of light incident inside the eye through the splitter (13) and the focus inside the eye determined by the image sensor and the lens unit on the sensor side, and an image inside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obtained as an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15). An area such as a circle or square inside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obtained as an image through the image sensor (15). In one embodiment, the focus inside the eye determined by the image sensor and the lens unit on the sensor side is set to the inside of the region where the vitreous body is located, so that an image of a floater or void reflected inside the vitreous body region can be obtain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detecting inscriptions, but this device can also be understood as detecting floating bodies or voids in the vitreous. In this case, the image may be understood a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collectively refers to a still image of the inside of the eye acquired from the image sensor (15) at one point in time and depth-specific images of the inside of the eye acquired while varying the depth of the inside of the ey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rather than an image that changes over time.
일 실시예에서, 광원(11) 및 광원측 렌즈부(12)는 제1 경통(10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1)으로부터 조사되어 광원측 렌즈부(12)를 거친 광은 스플리터(13)를 통해 굴절되어 안구 측으로 향할 수 있다. 즉, 제1 경통(10a)은 안구 내부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와 소정 각도를 가진 채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일예로, 제1 경통(10a)이 안구 내부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안구 내부로부터 반사된 광은 스플리터(13)를 통과하여 제2 경통(10b)으로 향할 수 있으며, 제2 경통(10b) 내부의 센서측 렌즈부(14)를 거쳐 이미지 센서(15)에 상을 맺을 수 있다. 제1 경통(10a)과 제2 경통(10b)의 배치가 달라지는 경우, 광의 진행경로를 변경하는 미러가 배치될 수 있는데, 진행경로의 변경을 위해 배치되는 미러는 평판 미러로서 이미지 센서(15)에 맺히는 상의 광학적 성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11) and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may be arranged inside the first optical tube (10a).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11) and passing through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may be refracted through the splitter (13) and directed toward the eyeball. That is, the first optical tube (10a) may not be arranged parallel to the path of light incident on the inside of the eyeball an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the first optical tube (10a)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path of light incident on the inside of the eyeball.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side of the eyeball may pass through the splitter (13) and directed to the second optical tube (10b), and may form an image on the image sensor (15) through the sensor-side lens unit (14) inside the second optical tube (10b). Whe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light tube (10a) and the second light tube (10b) is different, a mirror that changes the path of light may be arranged. The mirror arranged to change the path of light may be a flat mirror so as not to affect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15).
도 7을 참고하면, 광축조절부(16)는 스플리터와 안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플리터로부터 안구 측으로 향하는 광의 광축을 가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축조절부(16)는 갈바노미터일 수 있다. 갈바노미터는 입사된 광을 원하는 각도로 편향시키기 위한 것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갈바노미터는 X축 갈바노미터와 Y축 갈바노미터가 한 쌍을 이뤄 광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통상의 갈바노미터를 참고하여 이해될 수 있다. 즉, 광축조절부(16)는 안구 내부에서 다른 부분의 영상을 획득하고자 할 때 광의 진행경로를 변화시켜 광축을 xy 좌표계를 따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관심영역을 상하 방향(y축 방향) 또는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른 관심영역(ROI) 내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optical axis adjusting unit (16)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plitter and the eyeball to vary the optical axis of light directed from the splitter toward the eyeball. In one embodiment, the optical axis adjusting unit (16) may be a galvanometer. The galvanometer is configured to deflect incident light to a desired angle and may include a mirror unit that reflects the light and a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mirror unit. The galvanometer may be configured by a pair of an X-axis galvanometer and a Y-axis galvanometer to vary the optical axis, and may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a typical galvanometer. That is, when an image of another part inside the eyeball is to be obtained, the optical axis adjusting unit (16) changes the path of the light to move the optical axis along the xy coordinate system, and accordingly moves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up-down direction (y-axis direction) or left-right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reby obtaining an image within another region of interest (ROI).
광축조절부(16)가 안구 내부로 진행하는 광의 광축을 조절하여 안구 내부에서 복수의 관심영역을 결정할 때, 복수의 관심영역은 동일한 안구 내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관심영역(ROI)은 안구 내부의 동일한 Z1 깊이에서 좌우 방향(x축 방향),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평행이동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the optical axis adjustment unit (16) adjusts the optical axis of light traveling inside the eyeball to determine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inside the eyeball, the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can have the same depth inside the eyeball. That is, the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ROI) can be understood as regions that are moved in parallel in the left-righ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up-down direction (y-axis direction) at the same Z1 depth inside the eyeball.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관심영역은 광축조절부(16)에 의해 적어도 다른 하나의 관심영역과 적어도 일부분 오버랩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한 안구 내부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관심영역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관심영역(ROI)은 이웃한 다른 관심영역(ROI)과 일부분 오버랩될 수 있다. 관심영역의 오버랩을 통해 오버랩된 부분에서 더욱 많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오버랩된 부분에서 3차원 영상의 생성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비문의 검출이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may be determined by the optical axis adjustment unit (16) to overlap at least partially with at least one other region of interest. As illustrated in FIG. 7, among the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having the same intraocular depth, one region of interest (ROI) may partially overlap with another adjacent region of interest (ROI). Through the overlapping of the regions of interest, more images can be acquired in the overlapping portion, thereby making it easier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image in the overlapping portion, and detecting an inscription can be performed.
여기서, 복수의 관심영역 중 오버랩되는 부분은 관심영역 중 비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비문이 존재하는 확률이 높은 부분을 포함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예로, Z1 깊이를 가지는 일 관심영역에서 영상을 획득하였을 때 관심영역 내 소정 영역에서 비문 존재 확률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영역이 이웃하는 관심영역 사이에서 오버랩되도록 복수의 관심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갈바노미터로 구비되는 광축조절부(16)에 의해 광축을 변경시켜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부분 오버랩되는 3개 또는 4개의 관심영역(ROI)을 결정한 후 영상을 획득하고, 복수의 관심영역 사이 오버랩된 부분에서 비문을 더욱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비문 존재 확률은 이미지 센서(15)에서 획득한 영상을 소정 영상 처리를 거쳐 황반이나 망막에 대응되는 부분이 제거된 영상 중 비문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분포로부터 연산하거나 파악할 수 있다. 비문의 존재를 검출하거나, 비문 존재 확률을 도출하는 것은 공지된 이미지 처리 방법, 또는 유리체 내 비문이 검출된 이미지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영상의 소정 범위 내 비문 존재 확률을 도출하도록 학습된 학습모델에 의할 수 있다.Here, the overlapping portion among the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can be determined to include a portion in which an inscription exists among the regions of interest or a portion with a high probability of the presence of an inscription. For example, when an image is acquired from a region of interest having a depth of Z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bability of the presence of an inscription is high in a certain region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can be set so that the region overlaps with neighboring regions of interest. Referring to Fig. 7, by changing the optical axis by the optical axis adjustment unit (16) equipped with a galvanometer, three or four regions of interest (ROIs) that overlap in a certain portion in the left-right or up-down direction are determined, and then an image is acquired, and an inscription can be detected more precisely in the portion overlapp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At this time, the probability of the presence of an inscription can be calculated or determined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scription among the image acquired from the image sensor (15) from which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acula or retina is removed through a certain image processing.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scription or deriving the probability of the presence of an inscription can be done by a known image processing method, or by a learning model that learns to derive the probability of the presence of an inscription within a certain range of an image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an image in which an inscription is detected in the vitreous body as learning data.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광축조절부(16)가 안구 내부로 진행하는 광의 광축을 가변시키지 않고, 스플리터(13)를 포함하는 영상획득부(10)가 상하 방향(y축 방향) 또는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안구 내부의 관심영역(ROI)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획득부(10)가 전후 방향(z축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음으로써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를 변화시키지 않은 채 동일한 안구 내부 깊이 내에서 복수의 관심영역(ROI) 내 유리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the optical axis adjustment unit (16) does not change the optical axis of light traveling inside the eye,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including the splitter (13)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up-down direction (y-axis direction) or left-right direction (x-axis direction) to set a different region of interest (ROI) inside the eye.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does not move in the front-back direction (z-axis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vitreous images within a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ROI) within the same depth inside the eye without changing the depth inside the eye of the region of interest.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틸팅부(17)는 스플리터를 통해 안구에 입사되는 광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광원(11)과 광원측 렌즈부(12)의 스플리터(13)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광이 안구 내부로 진행함에 따라 각막, 수정체와 망막에서 광의 반사가 일어나는데, 틸팅부(17)는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거나 반사를 피하는 각도로 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구 내부의 결정된 관심영역에 대하여, 망막에서 반사를 회피하기 위해 틸팅부(17)를 통해 광을 사선 방향으로 안구 내부로 입사시킬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tilting unit (17) can adjust the angle of the light source (11) and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with respect to the splitter (13) so as to adjust the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eye through the splitter. As the light travels inside the eye, reflection of the light occurs on the cornea, lens, and retina, and the tilting unit (17) can irradiate the light at an angle that minimizes or avoids reflection of the light. In one embodiment, for a determined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light can be incident on the eye in an oblique direction through the tilting unit (17) so as to avoid reflection on the retina.
편광필터(18a, 18b)는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 통과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편광필터는 선형으로 구비된 편광필터로서, 일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 편광필터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편광필터는 P편광만 통과하도록 필터링할 수 있으며, P편광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P편광이 가장 많이 통과하여 고순도의 P편광을 제공할 수 있다.The polarizing filter (18a, 18b) may be provided to allow only light vibrating in a specific 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polarizing filter is a linearly provided polarizing filter that allows only light vibrating in one 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polarizing filter. For example, the polarizing filter may filter to allow only P polarization to pass through, and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P polarization to allow the most P polarization to pass through, thereby providing high-purity P polarization.
제1 편광필터(18a)는 광원(11)과 스플리터(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편광필터(18a)는 광원측 렌즈부(12)와 스플리터(13) 사이에서 편광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The first polarizing filter (18a) can be placed between the light source (11) and the splitter (13). Preferably, the first polarizing filter (18a) can pass polarized light between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12) and the splitter (13).
제2 편광필터(18b)는 스플리터(13)와 이미지 센서(15) 사이에 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편광필터(18b)는 스플리터(13)와 센서측 렌즈부(14) 사이에서 편광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A second polarizing filter (18b) may be placed between the splitter (13) and the image sensor (15). Preferably, the second polarizing filter (18b) may allow polarized light to pass between the splitter (13) and the sensor-side lens unit (14).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장치(1)의 깊이조절부(20)는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깊이조절부(20)는 이미지 센서(15)와 센서측 렌즈부(14)에 의해 결정되는 안구 내부 초점의 안구 내부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관심영역(ROI)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는 안구 내 유리체에 대응되는 범위 내일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심영역은 안구 내부 유리체 영역의 일단으로서의 Z0, 안구 내부 유리체 영역의 타단으로서의 Zmax 사이의 깊이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4, and 6, the depth adjustment unit (20) of the device (1) can adjust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The depth adjustment unit (20) can adjust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ROI) by adjusting the depth of the intraocular focus determined by the image sensor (15) and the sensor-side lens unit (14).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 can be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itreous body inside the eye. That is, as described below,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formed with a depth between Z0 as one end of the intraocular vitreous body area and Zmax as the other end of the intraocular vitreous body area.
또한, 깊이조절부(20)는 관심영역의 깊이가 설정된 간격을 따라 달라지도록, 안구에 대하여 적어도 센서측 렌즈부(12)를 전후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15)는 설정된 간격을 따라 안구 내부 깊이에서 관심영역 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th control unit (20) can move at least the sensor-side lens unit (1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yeball so that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varies along the set interval. Accordingly, the image sensor (15) can acquire an image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at the depth inside the eyeball along the set interval.
유리체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깊이조절부(20)는 안구 내부에 설정된 제1 기준 깊이로부터, 안구 내부에 설정된 제2 기준 깊이까지 관심영역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To obtain an image of the vitreous body region, the depth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from a first reference depth set inside the eyeball to a second reference depth set inside the eyeball.
깊이조절부(20)는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안구 내부의 제1 기준 깊이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기준 깊이는, 관심영역이 그로부터 전후 방향(z축 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기준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준 깊이는 안구 내부 중 망막이 위치한 부분일 수 있다. 동일한 광을 조사하는 경우, 망막 부분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통해 망막 부분을 파악하는 것이 투명한 유체가 채워진 유리체 영역을 파악하는 것에 비해 용이하므로, 이미지 센서(15)를 통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관심영역 내 망막 부분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먼저 파악하고, 망막 부분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는 관심영역의 깊이를 제1 기준 깊이(Z0)로 결정할 수 있다. 깊이조절부(20)는 제1 기준 깊이(Z0)로부터 관심영역이 망막에서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관심영역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깊이조절부는 Z0으로부터 Z1, Z2를 거쳐 Zmax 까지 관심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depth control unit (20) can set a first reference depth inside the eyeball from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inside the eyeball. The first reference depth can be understood as a reference point from which the region of interest moves to one s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first reference depth can be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eyeball where the retina is located. When irradiating the same light, it is easier to identify a retina portion through light reflected from the retina portion than to identify a vitreous body region filled with a transparent fluid. Therefore,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a retina portion is located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from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15), and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from which an image of the retina portion is acquired can be determined as the first reference depth (Z0). The depth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so that the region of interest moves away from the retina (backward) from the first reference depth (Z0). 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depth control unit can move the region of interest from Z0 through Z1, Z2, and up to Zmax.
제1 기준 깊이는 안구 내부를 진행하는 광의 경로에 따른 망막의 깊이 또는 수정체의 안구 내측 일단의 깊이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제2 기준 깊이는, 안구 내부를 진행하는 광의 경로에 따른 망막의 깊이 또는 수정체의 안구 내측 일단의 깊이 중 다른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기준 깊이는 광의 경로에 따른 망막의 깊이(Z0)일 수 있으며, 제2 기준 깊이는 광의 경로에 따른 수정체의 안구 내측 일단의 깊이(Zmax)일 수 있다. The first reference depth may be set to either the depth of the retina along the path of light traveling inside the eye or the depth of the inner end of the lens, and the second reference depth may be set to the other of the depth of the retina along the path of light traveling inside the eye or the depth of the inner end of the lens.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reference depth may be the depth of the retina (Z0) along the path of light, and the second reference depth may be the depth of the inner end of the lens (Zmax) along the path of light.
이때, 깊이조절부(20)는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가 제1 기준 깊이로부터 제2 기준 깊이까지 변화되도록, 적어도 센서측 렌즈부(12)를 안구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미지 센서(15)는 설정된 간격을 따라 달라지는 안구 내부 깊이에서 관심영역 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관심영역의 깊이는 광의 경로에 따른 망막의 깊이(Z0)부터 광의 경로에 따른 수정체의 안구 내측 일단의 깊이(Zmax)까지의 범위 내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pth adjustment unit (20) moves at least the sensor-side lens unit (12)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eyeball so that the depth inside the eyeball of the region of interest changes from the first reference depth to the second reference depth, and the image sensor (15) can acquire an image inside the region of interest at the depth inside the eyeball that changes along the set interval. That is,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within a range from the depth of the retina (Z0) along the path of light to the depth of the inner end of the eyeball of the lens along the path of light (Zmax).
도 4를 참고하면, 깊이조절부(20)는 관심영역의 깊이 조절을 위해 이미지 센서(15)를 고정시킨 채 센서측 렌즈부(1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의 (a)에서, 센서측 렌즈부(14)를 전방 측(안구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에 의해 결정되는 안구 내부 초점이 수정체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관심영역의 깊이를 조절하여 관심영역을 일측(수정체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4의 (b) 참조). 또한, 센서측 렌즈부(14)를 후방 측(이미지 센서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에 의해 결정되는 안구 내부 초점이 망막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관심영역의 깊이를 조절하여 관심영역을 타측(망막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4의 (c) 참조).Referring to FIG. 4, the depth adjustment unit (20) can move the sensor-side lens unit (14)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ile fixing the image sensor (15) in order to adjust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In FIG. 4 (a), by moving the sensor-side lens unit (14) to the front side (eye side), the internal focus of the eye determined by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moves to the lens side, and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adjusted to move the region of interest to one side (the lens side) (see FIG. 4 (b)). In addition, by moving the sensor-side lens unit (14) to the rear side (image sensor side), the internal focus of the eye determined by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moves to the retina side, and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adjusted to move the region of interest to the other side (the retina side) (see FIG. 4 (c)).
도 5를 참고하면,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 사이의 거리를 고정시킨 채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의 (a)에서,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센서(15) 사이의 거리를 고정시킨 채,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센서(15)를 후방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에 의해 결정되는 안구 내부 초점이 수정체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관심영역의 깊이를 조절하여 관심영역을 일측(수정체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5의 (b) 참조). 또한,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센서(15)를 전방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에 의해 결정되는 안구 내부 초점이 망막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관심영역의 깊이를 조절하여 관심영역을 타측(망막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5의 (c) 참조).Referring to FIG. 5,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fixed. In FIG. 5 (a), by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fixed and moving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toward the rear, the focus inside the eye determined by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can be moved toward the lens side, and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adjusted to move the region of interest to one side (the lens side) (see FIG. 5 (b)). In addition, by moving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to the front side, the focus inside the eye determined by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can be moved to the retina side, and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adjusted to move the region of interest to the other side (retina side) (see (c) of FIG. 5).
도 5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센서(15)를 고정한 채 센서측 렌즈부(14)만을 움직여 안구 내부 초점의 깊이를 변화시키면 이미지 센서(15)에 맺히는 상의 크기가 변화하는 반면 초점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깊이조절부(20)는, 먼저 이미지 센서(15)를 고정시킨 채 센서측 렌즈부(1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안구 내부 초점의 깊이를 망막 측 제1 기준 깊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를 동시에 이동시켜 안구 내부 초점이 망막 측의 제1 기준 깊이로부터 수정체 측의 제2 기준 깊이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설정된 간격에 따라 달라지는 안구 내부 깊이에서 관심영역 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4, by changing the depth of focus inside the eye by moving only the sensor-side lens unit (14) while fixing the image sensor (15), the size of the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15) changes, while fine adjustment of the focus is possible. Accordingly, the depth adjustment unit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st adjust the depth of focus inside the eye to the first reference depth on the retina side by moving the sensor-side lens unit (14)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ile fixing the image sensor (15). Thereafter,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can be moved simultaneously so that the focus inside the eye moves from the first reference depth on the retina side to the second reference depth on the lens side. In this process, an image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acquired at the depth inside the ey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set interval.
도 8을 참고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 내 초점의 피사계심도는, 설정된 간격보다 작도록 결정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깊이에서 영상 획득을 위해 결정되는 간격은 초점심도(D2)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안구에 대한 센서측 렌즈부(14)와 이미지 센서(15)의 이동거리, 영상 획득 주기, 센서측 렌즈부나 광원측 렌즈부의 성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피사계심도는 안구 내부 초점의 전후 방향을 따라 초점이 맞아 있는 것처럼 보이는 범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피사계심도 바깥에 위치하는 객체는 획득된 영상에서 흐리게 보일 수 있다. 일예로, 피사계심도(D1)는 설정된 간격, 즉 Z1과 Z2 사이의 z축 방향을 따른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depth of field of the focus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ermined to be smaller than the set interval. The interval determined for image acquisition at different depths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pth of focus (D2), 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with respect to the eye, the image acquisition cycle, and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side lens unit or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The depth of field may be understood as a range that appears to be in focu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internal focus of the eye, and an object located outside the depth of field may appear blurry in the acquired image. For example, the depth of field (D1) may be smaller than the set interval, that is, the distance along the z-axis direction between Z1 and Z2.
Z0Z2 깊이에서 관심영역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도 8의 (a) 및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Z0 깊이에 있는 객체는 피사계심도 내에 존재하여 상이 초점 심도 내에 맺혀 정초점을 이루게 되고, Z1 깊이에 있는 객체는 피사계심도 바깥에 존재하므로 상이 초점 심도 바깥에 맺히게 되어 획득한 영상에서 흐리게 보이게 된다. 반면, 도 8의 (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영역을 Z1 깊이로 옮기게 되면, Z2Z1 깊이에 있는 객체(Z1 깊이에 대해 피사계심도 내 깊이에 위치하는 객체)는 정확한 상이 맺혀 흐리지 않게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맺힌 상을 기반으로 획득한 영상 중 설정된 정도 이상 흐리게 보이는 객체들은 피사계심도 바깥에 존재하는 객체로 판단될 수 있으며,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에 대응되는 객체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시시예에서, 도 8의 Z0Z1 깊이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Z1Z2 깊이에서 영상을 획득하므로, Z1Z0과 Z2Z1 사이의 간격은 피사계심도보다 넓은 간격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사계심도 바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객체에 대한 정확한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관심영역의 깊이를 조절하여 해당 객체의 상이 초점 심도 내에 맺히도록 센서측 렌즈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region of interest is determined at the Z0Z2 depth, as shown in (a) and (b) of Fig. 8, an object at the Z0 depth exists within the depth of field, so the image is formed within the depth of focus to form a point of focus, and an object at the Z1 depth exists outside the depth of field, so the image is formed outside the depth of focus and appears blurry in the acquired ima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ion of interest is moved to the Z1 depth as shown in (b) and (c) of Fig. 8, an object at the Z2Z1 depth (an object located at a depth within the depth of field with respect to the Z1 depth) is accurately imaged and appears not blurry. Accordingly, objects that appear blurry beyond a set degree among the images acquired based on the images formed on the image sensor can be determined as objects that exist outside the depth of field, and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depth inside the eye of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determined. In one example, since an image is acquired at a depth of Z0Z1 in Fig. 8 and an image is acquired at a depth of Z1Z2,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Z1Z0 and Z2Z1 be set to a wider interval than the depth of field. In addition, in case of wanting to acquire an accurate image of an object judged to be located outside the depth of field,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adjusted to move the lens unit on the sensor side so that the image of the object is formed within the depth of focus.
본 장치(1)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은 유리체 영역의 투명한 부분에 대한 영상을 포함하므로, 후술하는 이미지 생성부(미도시)에서는, 피사계심도를 벗어나 흐리게 보이는 객체를 영상에서 제거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심영역이 위치하는 안구 내부 깊이로부터 피사계심도 범위 내에 위치하는 비문 등의 객체만 영상에 남길 수 있다. 피사계심도가 작은 하는 센서측 렌즈부(14)를 사용함으로써, 영상을 획득하는 관심영역의 깊이 사이의 설정된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 정확한 안구 내부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is device (1) includes an image of a transparent portion of the vitreous body area, the image generation unit (not shown) described below performs processing such as removing objects that appear blurry and are outside the depth of field from the image, so that only objects such as inscriptions located within the depth of field range from the depth of the eyeball where the region of interest is located, as shown in FIG. 9, can remain in the image. It is preferable to acquire an accurate image of the inside of the eyeball by using a sensor-side lens unit (14) with a small depth of field so that the set interval between the depths of the region of interest for which the image is acquired is minimized.
정리하면, 본 장치(1)는 비교적 안구 내부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한 제1 기준 깊이로부터, 유리체 영역에 해당하는 제2 기준 깊이까지 안구에 대해 안구 내부 초점을 일정한 속도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관심영역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관심영역의 깊이가 일정하게 달라짐에 따라 설정된 간격을 주기로 안구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관심영역의 깊이 변화는, 센서측 렌즈부(14) 및 이미지 센서(15)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고, 안구의 위치와 함께 안구 내부 초점을 도출하는 기하학적인 연산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In summary, the device (1) can adjust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by moving the internal focus of the eyeball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t a constant speed from a first reference depth, which is relatively easy to determine the position inside the eyeball, to a second reference depth corresponding to the vitreous body region. As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changes constantly, an image inside the eyeball can be acquired at set intervals. At this time, the change in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derived through a geometric operation that detect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ensor-side lens unit (14) and the image sensor (15) and derives the internal focus of the eyeball together with the position of the eyeball.
본 장치(1)는 이미지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는 이미지 센서(15)에서 획득한 영상을 합성하여 도 9와 같은 고해상도의 이미지 또는 3차원 이미지를 포함하는 비문 등의 검출을 위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esent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generation unit (not shown). The image generation unit may synthesize images acquired from an image sensor (15) to generate an image for detection of a high-resolution image or a three-dimensional image, such as that shown in FIG. 9, such as an inscription.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생성부는 동일한 안구 내부 깊이에서 복수의 관심영역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합성하여 보다 큰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의 합성에 의해, 오버랩된 부분을 포함하는 통합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관심영역 사이 오버랩된 부분은 이미지 합성에 의해 더욱 정밀한 비문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generation unit can synthesize images acquired from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at the same depth inside the eyeball to generate at least one larger integrated image. By synthesizing the image generation unit, an integrated image including overlapping portions can be generated. In this cas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overlapping portions between the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can enable more precise inscription detection by image synthesis.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생성부(미도시)는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깊이를 가지는 관심영역에서 획득한 영상을 합성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Z1 깊이를 가지는 관심영역에서 획득한 영상과, Z2 깊이를 가지는 관심영역에서 획득한 영상을 interpolation 방법 등을 통해 합성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generation unit (not shown) can generate an image by synthesizing images acquired in a region of interest having depths spaced apart by a set interval. For example, an image can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an image acquired in a region of interest having a depth of Z1 and an image acquired in a region of interest having a depth of Z2 through an interpolation method or the like.
나아가, 이미지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처리 기법을 통해 영상으로부터 목적하는 비문 등의 검출 대상 외에 다른 객체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생성부는 황반과 같은 부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피사계심도를 넘어 설정된 정도 이상 흐리게 보이는 객체를 제거함으로써, 설정된 안구 내부 깊이에서의 비문 등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image generation unit can remove objects other than the target detection target, such as the inscription, from the image through at least one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example, the image generation unit can remove a part such as the macula, and by removing objects that appear blurry beyond a set depth of fiel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age of the inscription, etc. at a set depth inside the eye.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생성부는 획득한 영상에 대하여 영상의 깊이와 좌표(x, y, z축에 따른 관심영역의 좌표)를 태깅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생성부는 획득한 영상들에 대해 안구 내부의 고유좌표를 부여함으로써, 영상들을 스피팅, 모핑 등의 과정을 통해 3차원 이미지로 합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generation unit can tag the depth and coordinates (coordinates of the region of interest along the x, y, and z axes) of the acquired images. That is, the image generation unit can synthesize the images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through processes such as spitting and morphing by assigning unique coordinates inside the eye to the acquired images.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30)는 상술한 영상획득부(10) 및 깊이조절부(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깊이조절부(20)에 의해 영상획득부(10)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30) 상에서 전후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구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30)는 바닥으로부터 연장되어 영상획득부(10) 및 깊이조절부(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영상획득부(10) 및 깊이조절부(20)가 소정 범위 내에서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레그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과 내부에 비치된 안구 검진 장비와 같은 공지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support (30) is provided to suppor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and the depth adjustment unit (20) described abov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can move in a direction including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support (30) by the depth adjustment unit (20) to acquire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eye. The support (30) can extend from the floor to stably fix the positions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and the depth adjustment unit (20), and can be provided so tha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 and the depth adjustment unit (20) can move in the front-back, left-right, or up-down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support (30) may have a plurality of support legs extending downward as illustrated in FIG.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known form such as an eye examination device placed inside an ophthalmologist.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manner.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
10: 영상획득부
11: 광원
12: 광원측 렌즈부
13: 스플리터
14: 센서측 렌즈부
15: 이미지 센서
16: 광축조절부
17: 틸팅부
18: 편광필터
20: 깊이조절부
30: 지지부1: Device for acquiring intraocular images
10: Video acquisition department
11: Light source
12: Lens section on the light source side
13: Splitter
14: Sensor side lens section
15: Image sensor
16: Optical axis adjustment section
17: Tilting section
18: Polarizing filter
20: Depth adjustment section
30: Support
Claims (11)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굴절시키는 광원측 렌즈부;
상기 광원측 렌즈부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의 일부분을 안구 측으로 반사시키고, 안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을 굴절시키는 센서측 렌즈부;
상기 센서측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수집하여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관심영역의 안구 내부 깊이를 조절하는 깊이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와 센서측 렌즈부에 의해 결정되는 초점은, 상기 관심영역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깊이조절부의 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관심영역의 깊이는, 상기 안구 내 유리체에 대응되는 범위 내이고,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유리체의 비문이 검출되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In the device for obtaining images inside the eye,
light source;
A light source-side lens section that refracts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 splitter that reflects a portion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section on the light source side toward the eyeball and transmi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eyeball;
A sensor-side lens section that refracts light passing through the splitter;
An image sensor that collects light passing through the above sensor-side lens section to obtain an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within the eye; and
Including a depth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pth inside the eye of the above area of interest,
The focus determined by the image sensor and the sensor-side lens is located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determined by the control of the depth control unit is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vitreous body in the eye,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wherein an inscription in the vitreous body is detected from the acquired image.
상기 깊이조절부는,
상기 관심영역의 깊이가 설정된 간격을 따라 달라지도록, 상기 안구에 대하여 적어도 센서측 렌즈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설정된 간격을 따라 달라지는 안구 내부 깊이에서 관심영역 내 영상을 획득하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epth adjustment part,
Move at least the sensor-side lens par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ye so that the depth of the region of interest varies along a set interval,
The above image sensor is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that acquires an imag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at an intraocular depth that varies according to a set interval.
상기 깊이조절부는,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안구 내부의 제1 기준 깊이를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이 상기 제1 기준 깊이로부터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센서측 렌즈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depth adjustment part,
From the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within the eye, a first reference depth within the eye is set,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wherein at least a sensor-side lens unit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o that the region of interest moves to one side from the first reference depth.
상기 깊이조절부는,
안구 내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안구 내부의 제2 기준 깊이를 더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이 상기 제1 기준 깊이와 제2 기준 깊이 사이의 깊이를 가지도록, 적어도 센서측 렌즈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In paragraph 4,
The above depth adjustment part,
From the image of the region of interest within the eye, a second reference depth within the eye is further set,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wherein at least a sensor-side lens unit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o that the region of interest has a depth between the first reference depth and the second reference depth.
상기 제1 기준 깊이는 안구 내부를 진행하는 광의 경로에 따른 망막의 깊이 또는 수정체의 안구 내측 일단의 깊이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제2 기준 깊이는, 안구 내부를 진행하는 광의 경로에 따른 망막의 깊이 또는 수정체의 안구 내측 일단의 깊이 중 다른 하나로 설정되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In paragraph 5,
The above first reference depth is set to either the depth of the retina along the path of light traveling inside the eye or the depth of the inner end of the eyeball of the lens.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depth is set to the other of the depth of the retina along the path of light traveling inside the eye or the depth of the inner end of the lens.
상기 관심영역 내 초점의 피사계심도는, 설정된 간격보다 작도록 결정되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wherein the depth of field of focus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is determined to be smaller than a set interval.
상기 스플리터와 안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플리터로부터 안구 측으로 향하는 광의 광축을 가변시키는 광축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axis adjustment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plitter and the eyeball to vary the optical axis of light directed from the splitter toward the eyeball.
상기 광축조절부는,
동일한 안구 내부 깊이에서 복수의 관심영역을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관심영역은, 적어도 다른 하나의 관심영역과 적어도 일부분 오버랩되도록 결정되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In Article 8,
The above optical axis adjustment unit,
Determine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at the same intraocular depth,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ons of interest are determined to overlap at least partially with at least one other region of interest.
상기 스플리터를 통해 안구에 입사되는 광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광원과 광원측 렌즈부의 상기 스플리터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ilting unit that adjusts the angle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source-side lens unit with respect to the splitter, so as to adjust the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eye through the splitter.
상기 광원과 상기 스플리터 사이에 제1 편광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스플리터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제2 편광필터가 배치되는 것인, 안구 내부 영상 획득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n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wherein a first polarizing filter is plac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splitter, and a second polarizing filter is placed between the splitter and the image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65482A KR102759632B1 (en) | 2023-11-24 | 2023-11-24 | Intraocular Imaging Device |
| PCT/KR2024/013290 WO2025110430A1 (en) | 2023-11-24 | 2024-09-04 | Intraocular image acquisi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65482A KR102759632B1 (en) | 2023-11-24 | 2023-11-24 | Intraocular Imaging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59632B1 true KR102759632B1 (en) | 2025-01-24 |
Family
ID=943848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65482A Active KR102759632B1 (en) | 2023-11-24 | 2023-11-24 | Intraocular Imaging Devic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59632B1 (en) |
| WO (1) | WO2025110430A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000342A (en) * | 2006-06-22 | 2008-01-10 | Topcon Corp | Ophthalmic equipment |
| KR20190005485A (en) * | 2017-07-07 | 2019-01-16 | 부산대학교병원 | Polarization beam splitter for prevention from internal reflection and ofnone-mydriatic fundus camera with linear polarization filter |
| KR20200067476A (en) * | 2018-12-04 | 2020-06-12 | 김선호 | digital microscope of contact type for ophthalmology |
| US20210153735A1 (en) * | 2017-07-27 | 2021-05-27 | Topcon Corporation | Ophthalmic system, ophthalmi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ophthalmic diagnos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DK3804606T3 (en) * | 2019-10-07 | 2022-06-13 | Optos Plc | Ophthalmic IMAGE FORMATION SYSTEM |
-
2023
- 2023-11-24 KR KR1020230165482A patent/KR102759632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9-04 WO PCT/KR2024/013290 patent/WO202511043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000342A (en) * | 2006-06-22 | 2008-01-10 | Topcon Corp | Ophthalmic equipment |
| KR20190005485A (en) * | 2017-07-07 | 2019-01-16 | 부산대학교병원 | Polarization beam splitter for prevention from internal reflection and ofnone-mydriatic fundus camera with linear polarization filter |
| US20210153735A1 (en) * | 2017-07-27 | 2021-05-27 | Topcon Corporation | Ophthalmic system, ophthalmi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ophthalmic diagnosing method |
| KR20200067476A (en) * | 2018-12-04 | 2020-06-12 | 김선호 | digital microscope of contact type for ophthalmolog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5110430A1 (en) | 2025-05-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4799810B (en)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 |
| JP633852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ye topography | |
| JP5026741B2 (en) | Operation method of ophthalmic examination apparatus | |
| KR100339259B1 (en) | Three dimensional real-time image apparatus of ocular retina | |
| US9861279B2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eye position | |
| JP5748129B2 (en) | Ophthalmoscope and eye observation method | |
| JP5820059B2 (en) | Instruments for examining or incising human eyes | |
| CN102438505A (en) | Ophthalmology oct system and ophthalmology imaging method | |
| JP2003517339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ocular aberration refraction | |
| CN101379424A (en) | 3-dimensional moving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neighboring object | |
| WO2023025062A1 (en) | Multi-modal eye imaging system | |
| KR102759632B1 (en) | Intraocular Imaging Device | |
| FI131536B1 (en) | Ophthalmic examination apparatus and alignment method | |
| JP7409610B2 (en) | ophthalmology equipment | |
| US11246484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eye measurement with in-focus iris and scleral imaging | |
| JP7484231B2 (en) | Objective eye examination device | |
| JP7349713B2 (en) | ophthalmology equipment | |
| JP6057621B2 (en) | Ophthalm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6886939B2 (en) | Topographer and method for mapping corneal surface | |
| JP7002192B2 (en) | Ophthalmologic photography equipment | |
| US8967803B2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uto-focusing method thereof | |
| CN202136323U (en) | Eye imaging device | |
| US20240138675A1 (en) | Ophthalmic visualization using confocal mems scanning | |
| BR102022014004A2 (en) | OPTRONIC EQUIPMENT FOR OBTAINING IMAGE OF THE FUNDUS OF THE EYE VIA THE DECONVOLUTION METHOD OF THE COMPOSITE OPTICAL TRANSFER FUNCTION OF THE LENS SYSTEM COMBINED WITH OPTICAL EFFECTS FROM THE PATIENT'S EYE | |
| JP2021069714A (en) | Fundus photography device and eye disease inspection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