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0009B1 - System for measuring underground pipelin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measuring underground pipeli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0009B1 KR102750009B1 KR1020230039757A KR20230039757A KR102750009B1 KR 102750009 B1 KR102750009 B1 KR 102750009B1 KR 1020230039757 A KR1020230039757 A KR 1020230039757A KR 20230039757 A KR20230039757 A KR 20230039757A KR 102750009 B1 KR102750009 B1 KR 102750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ensor
- tube
- point
- underground pipe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7/00—Tracing profiles
- G01C7/06—Tracing profiles of cavities, e.g. tu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01C17/28—Electromagnetic compasses
- G01C17/30—Earth-inductor compass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은 지중관로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튜브부; 상기 튜브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센서부; 상기 튜브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센서부를 이동시키는 무선주행부;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튜브부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중관로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may include: a tube portion arranged to b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side an underground pipeline; a sensor portion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tube portion; a wireless driving portion moving the sensor portion by inject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tube portion or sucking in air present inside the tube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underground pipeline us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while the sensor portion moves inside the tube portion.
Description
본 개시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지중관로는 땅속에 설치하는 관형(管形)의 통로를 의미하며, 지하에는 가스관, 수도관, 유류 이송관, 전선관 등의 다양한 종류의 지중관로가 매설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지하에는 기존에 매설된 지중관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굴착 작업시 지중관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지하에 매설된 지중관로를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면 작업시 지중관로의 파손 및 인명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Underground pipelines refer to tubular passages installed underground, and various types of underground pipelines such as gas pipes, water pipes, oil transport pipes, and electric wire pipes are buried underground. Usually, since there are existing underground pipelines buried underground, great care must be taken not to damage the underground pipelines during excavation work, and if the underground pipelines buried underground are not clearly identified,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underground pipelines and casualties during work.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0645에는 지하에 매설된 파형관의 내부에 탐지장비를 투입하고 파형관을 탐지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탐지장비를 견인줄과 연결하고, 견인줄을 당기면서 탐지장비를 움직이는 기존의 측량 방식은 견인줄을 설치하거나 해제하는 과정이 번거로울뿐더러, 배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견인줄의 흔들림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하여 측정 정확도가 떨어지고, 탐지장비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30645 proposes a technology for detecting a corrugated pipe by inserting a detection device into the interior of the corrugated pipe buried underground. However, the existing surveying method of connecting the detection device to a tow rope and moving the detection device while pulling the tow rope has the problem that not only is the process of installing or removing the tow rope cumbersome, but as the length of the pipe increases,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shaking of the tow rope, which reduces the measurement accuracy, and it is inconvenien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detection device.
그리고, 지중관로 내부에 물, 유류, 기타 장애물 등이 존재할 경우, 지중관로 내부를 이동하는 탐지장비의 움직임이 주변 환경에 의해 제한되어 측정이 어렵거나 측정 정확도가 저하될 가능성도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적 한계를 개선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if there is water, oil, or other obstacles inside the underground pipeline, the movement of the detection equipment moving inside the underground pipeline may be restri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king measurement difficult or reducing the measurement accurac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that improv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echnologies is required.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에 매설된 지중관로를 쉽게 파악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easily identifying underground pipelines laid underground.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견인줄을 사용하지 않아도 지중관로의 내부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other purpose of providing a technology capable of detecting the inside of an underground pipeline without using a tow line.
그리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지중관로의 내부를 탐지시 측정 데이터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other purpose of providing a technology capabl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measurement data when detecting the inside of an underground pipeline.
아울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지중관로의 내부 환경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enables stable measurement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ternal environment of an underground pipelin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은 지중관로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튜브부; 상기 튜브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센서부; 상기 튜브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센서부를 이동시키는 무선주행부;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튜브부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중관로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may include: a tube portion arranged to b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side an underground pipeline; a sensor portion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tube portion; a wireless driving portion moving the sensor portion by inject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tube portion or sucking in air that was inside the tube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underground pipeline us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while the sensor portion moves inside the tube portion.
또한, 센서부는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및 가속도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는 3차원 좌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data.
그리고, 튜브부는 상기 센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튜브 몸체부재; 및 상기 튜브 몸체부재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매립된 강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강선부재는 상기 튜브 몸체부재의 둘레를 따라서 감겨진 구조로서, 상기 강선부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나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And, the tube part includes a tube body part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so that the sensor part can pass through; and a steel wire part embed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part; and the steel wire part has a structure that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tube body part, and the steel wire part can have a spiral structu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아울러,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튜브 몸체부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강선부재를 감지하는 강선 감지부재; 및 상기 강선 감지부재에 의해 생성된 감지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강선부재의 검출횟수와 상기 강선부재의 간격당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가 이동한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ncludes a steel wi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steel wire member when the sensor unit moves along the internal space of the tube body member;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detection data generated by the steel wire dete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an analyze the detection data and derive the distance moved by the sensor unit by using the number of detections of the steel wire member and distance information per interval of the steel wire member.
또한,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은 상기 튜브부와 다른 튜브부를 서로 연결하는 튜브체결부; 및 상기 지중관로의 내부에 상기 튜브부를 위치시키는 튜브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ub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tube portion and another tube portion; and a tube installation portion positioning the tube portion inside the underground pipeline.
그리고, 무선주행부는 상기 튜브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하는 제1무선주행부; 및 상기 튜브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하는 제2무선주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wireless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wireless driving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ube unit to inject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tube unit or to suck air from inside the tube unit; and a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unit to inject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tube unit or to suck air from inside the tube unit.
아울러,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은 상기 튜브부의 제1지점에 설치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튜브부의 제2지점에 설치되는 제2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지중관로의 일단에 대응되는 지점이며,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지중관로의 타단에 대응되는 지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installed at a first point of the tube section; and a second display unit installed at a second point of the tube section; wherein the first point may be a point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line, and the second point may be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underground pipeline.
또한, 센서부가 상기 제1지점 또는 제2지점에 도달할 경우, 상기 센서부는 해당 지점에 위치한 제1표시부 또는 제2표시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nsor unit reaches the first point or the second point, the sensor unit can detect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and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그리고, 센서부가 상기 제1지점 또는 제2지점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해당 지점에서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되, 사전에 측정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며, 상기 거리정보는 지상의 제1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1표시부까지의 거리정보 및 지상의 제2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2표시부까지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the sensor unit reaches the first point or the second point, 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t the corresponding point, and corrects the measurement data using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in advance,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istance information from a first reference point on the ground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a second reference point on the ground to the second display unit.
아울러, 센서부는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센서 몸체부재; 상기 제1무선주행부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접촉되기 위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제1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무선주행부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접촉되기 위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제2플레이트부재; 상기 센서의 진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센서를 고정시키는 방진부재; 일정한 무게를 갖는 웨이트부재; 및 상기 센서 몸체부재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모(毛)가 결합되어 형성된 브러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sensor body member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nsor; a first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contacting air emitted from the first wireless driving unit; a second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contacting air emitted from the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a vibration-proof member for fixing the sensor to prevent vibration of the sensor; a weight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a brush member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hairs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nsor body member.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센서부가 튜브부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중관로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에 매설된 지중관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지중관로에 대한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반영하여 지중관로 정보가 포함된 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unit can generate a three-dimensional image of an underground pipeline us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while moving inside the tube unit, the underground pipeline laid underground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d underground pipeline can be reflected in map data to produce a map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underground pipelin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는 무선주행부의 공압에 의해 튜브부의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센서부에 견인줄을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견인줄을 사용하는 측량 방식에 비해 센서부의 설치와 준비과정이 편리한 장점이 있고, 견인줄의 흔들림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중관로의 내부 탐지시 측정 데이터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part can freely move inside the tube part by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wireless driving part,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 tow rope to the sensor part, and compared to a surveying method using a tow rop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tall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of the sensor part is convenient, and since noise generation due to shaking of the tow rope can be prevente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data can be improved when detecting the inside of an underground pipeline.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중관로의 내부에 튜브부를 배치하고, 센서부는 튜브부의 내부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지중관로 내에 물, 유류, 기타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센서부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특정 장애물에 의해 센서부의 측정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ube part is placed inside the underground pipe and the sensor part moves inside the tube part, even if water, oil, or other obstacles exist inside the underground pipe, the movement of the sensor part is not restricted, stable measurement is possible, and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sensor part is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by a specific obstacl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echnical detail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references in this specification to “one” or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to the same embodiment, but rather mean at least one.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In the examples below,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not used in a limiting sense but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examples below,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different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examples below,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10)은 튜브부(100), 센서부(200), 무선주행부(300), 제어부(400), 튜브체결부(500), 튜브설치부(600), 제1표시부(700), 제2표시부(800), 제1튜브고정부(910) 및 제2튜브고정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10) may include a tube section (100), a sensor section (200), a wireless driving section (300), a control section (400), a tube connecting section (500), a tube installation section (600), a first display section (700), a second display section (800), a first tube fixing section (910), and a second tube fixing section (920).
일 실시예에서 튜브부(100)는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관로(2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중관로(20)의 내부에는 튜브부(1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튜브부(100)는 탄성과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부(100)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연질 폴리염화비닐, 불소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전술한 종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the tube portion (100) may be at least partially placed inside an underground pipe (20) that is buried underground. For example, a part or all of the tube portion (100) may be inserted inside the underground pipe (20). According to one specific example, the tube portion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 and flexible. For example, the tube portion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silicone, soft polyvinyl chloride, or fluororesin, but is not limited to the types described above.
일 실시예에서 튜브부(100)는 튜브 몸체부재(110) 및 강선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 몸체부재(110)는 후술할 센서부(2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관이다. 튜브 몸체부재(110)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는 강선부재(120)가 매립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ube member (100) may include a tube body member (110) and a steel wire member (120). The tube body member (110) is a tube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so that a sensor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pass through. A steel wire member (120) may be embed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member (110).
강선부재(120)는 튜브 몸체부재(110)의 둘레를 따라서 감겨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강선부재(120)는 튜브 몸체부재(1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감기되, 튜브 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강선부재(120)는 서로 인접한 강선부재(120)들이 일정한 간격(W)으로 이격된 나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강선부재(120)의 나선형 구조에서 임의의 강선부재(120) 및 인접한 강선부재(120) 간의 간격(W)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steel wire member (1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tube body member (110). In one specific example, the steel wire member (120) may be formed to rotate and be woun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tube body member (110), an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member (110). In addition, the steel wire member (120) may have a spiral structure in which adjacent steel wire members (120) are spaced apart at a constant interval (W). That is, in the spiral structure of the steel wire member (120), the interval (W) between any steel wire member (120) and adjacent steel wire members (120) may be maintained consta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선부재(120)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금속은 은, 구리, 금, 알루미늄, 텅스텐, 아연, 니켈, 철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 member (12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For example, the conductive met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ver, copper, gold, aluminum, tungsten, zinc, nickel, iron, and alloys thereof.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00)는 튜브부(10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센서부(200)에 내장된 단수 또는 복수개의 센서(231)를 이용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0)는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및 가속도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231)를 통해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200) can move along the interior of the tube unit (100). The sensor unit (200) can generate measurement data using a single or multiple sensors (231) built into the sensor unit (200).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00) can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d can generat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data through these sensors (231).
일 실시예에서 무선주행부(300)는 튜브부(10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튜브부(100)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튜브부(100) 내에 위치한 센서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주행부(300)는 제1무선주행부(310) 및 제2무선주행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무선주행부(310)는 튜브부(100)의 일단에 연결되며, 튜브부(10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튜브부(100)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2무선주행부(320)는 튜브부(100)의 타단에 연결되며, 튜브부(10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튜브부(100)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driving unit (300) can move the sensor unit (200) located inside the tube unit (100) by inject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tube unit (100) or by sucking air that was inside the tube uni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driving unit (300) can include a first wireless driving unit (310) and a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320). The first wireless driving unit (3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ube unit (100) and can inject air into the inside of the tube unit (100) or suck air that was inside the tube unit (100). The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unit (100) and can inject air into the inside of the tube unit (100) or suck air that was inside the tube unit (100).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제1무선주행부(310)가 튜브부(10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때, 제2무선주행부(320)는 작동하지 않거나, 튜브부(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1무선주행부(310)가 공기를 주입할 때, 제2무선주행부(320)가 공기를 흡입하면 센서부(200)의 이동속도를 상승시켜 보다 신속하게 센서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무선주행부(320)가 튜브부(10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때, 제1무선주행부(310)는 작동하지 않거나, 튜브부(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다. 제2무선주행부(320)가 공기를 주입할 때, 제1무선주행부(310)가 공기를 흡입하면 보다 신속하게 센서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specific example, when the first wireless driving unit (310) injects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tube unit (100), the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320) may not operate or may suck air inside the tube unit (100). If the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320) sucks air when the first wireless driving unit (310) injects air, the moving speed of the sensor unit (200) can be increased to move the sensor unit (200) more quickly. When the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320) injects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tube unit (100), the first wireless driving unit (310) may not operate or may suck air inside the tube unit (100). If the first wireless driving unit (310) sucks air when the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320) injects air, the sensor unit (200) can be moved more quickly.
각 무선주행부는 주입압력과 흡입압력을 조절하여 센서부(20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며 센서부(2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 각 무선주행부의 작동은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제어부(4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Each wireless driving unit can control the movement speed of the sensor unit (200)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unit (200) by controlling the injection pressure and suction pressur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operation of each wireless driving unit can be controlled manually or automatically by the control unit (40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센서부(200)가 튜브부(10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중관로(20)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장치(410),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420),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되는 메모리(430) 및 메모리(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44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00) can generate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underground pipeline (20) us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00) while moving inside the tube unit (100).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00) can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410) that communicates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a display (420) that outputs screen information, a memory (430) that stores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44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430) and executes th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00)는 강선 감지부재(210), 통신부재(220), 센서 몸체부재(230), 제1플레이트부재(240), 제2플레이트부재(250), 방진부재(260), 웨이트부재(270) 및 브러시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강선 감지부재(210)는 센서부(200)가 튜브 몸체부재(1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할 때, 튜브 몸체부재(110) 내에 매설된 강선부재(120)를 감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200) may include a wire detection unit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 sensor body unit (230), a first plate unit (240), a second plate unit (250), a dustproof unit (260), a weight unit (270), and a brush unit (280). In one embodiment, the wire detection unit (210) may detect a wire member (120) embedded in the tube body unit (110) when the sensor unit (200) moves along the internal space of the tube body unit (110).
일 구체예에 따르면, 강선 감지부재(210)는 카메라 및 홀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선 감지부재(210)가 카메라로 구현될 경우, 카메라에는 광원이 구비되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강선부재(120)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가 강선부재(120)를 촬영하여 만든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400)가 수신하면, 제어부(400)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촬영된 강선부재(120)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pecific example, the steel wire detection member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mera and a Hall sensor. If the steel wire detection member (210) is implemented as a camera, the camera is equipped with a light source so that the steel wire member (120) can be clearly captured even in a dark environment. Whe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image data created by the camera capturing the steel wire member (120), the control unit (400) can analyze the image data and check the number of steel wire members (120) captured.
강선 감지부재(210)가 홀센서로 구현될 경우, 홀센서는 강선부재(120)에 흐르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강선부재(120)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선부재(120)에 전류가 인가되면 강선부재(120)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센서부(200)의 이동시 홀센서는 강선부재(120)에 흐르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강선부재(120)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가 측정한 자기장 데이터를 제어부(400)가 수신하면, 제어부(400)는 자기장 데이터를 분석하여 센서부(200)가 통과한 구간에 몇 개의 강선부재(120)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wire detection member (210) is implemented as a Hall sensor, the Hall sensor can detect a magnetic field flowing in the wire member (120) to identify the wire member (120). For example,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wire member (120),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wire member (120), and when the sensor unit (200) moves, the Hall sensor can detect the wire member (120) by measuring the magnetic field flowing in the wire member (120). Whe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magnetic field data measured by the Hall sensor, the control unit (400) can analyze the magnetic field data to determine how many wire members (120) exist in the section through which the sensor unit (200) passed.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재(220)는 강선 감지부재(210)에 의해 생성된 감지 데이터(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 자기장 데이터 등)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20) can transmit detection data (e.g., image data, magnetic field data, etc.) generated by the wire detection unit (210) to the control unit (4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의 메모리(430)에는 강선부재(120)의 간격당 거리정보가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30)에는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강선부재(120)의 이미지를 식별하는 이미지 식별 프로그램이 기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430)에는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기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tance information per interval of the steel wire member (120)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430) of the control unit (400). In addition, an image identification program that identifies an image of the steel wire member (120) included in the image data may be pre-stored in the memory (430). In addition, a program that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 data may be pre-stored in the memory (43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통신부재(220)로부터 전송된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강선부재(120)의 검출횟수와 강선부재(120)의 간격당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센서부(200)가 이동한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00) analyzes the detec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can derive the distance moved by the sensor unit (200) using the number of detections of the steel wire member (120)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per interval of the steel wire member (120).
예를 들어, 제어부(400)의 프로세서(440)는 이미지 식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가 감지한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센서부(200)가 이동한 구간에 강선부재(120)가 몇 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 강선부재(120)들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센서부(200)가 이동한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프로세서(440)가 확인한 강선부재(120)의 검출횟수가 3일 경우, 강선부재(120)의 간격당 거리(일 예로, 1mm)에 2를 곱하여 센서부(200)가 이동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440) of the control unit (400) may analyze the detection data detected by the camera using an image identification program, check how many steel wire members (120) exist in the section in which the sensor unit (200) moved, and then derive the distance moved by the sensor unit (200) using the intervals between the steel wire members (120). As a specific example, if the number of detections of the steel wire members (120) confirmed by the processor (440) is 3, the distance moved by the sensor unit (200)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distance per interval of the steel wire members (120) (for example, 1 mm) by 2.
일 실시예에서 센서 몸체부재(230)는 센서(23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하우징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플레이트부재(240)는 센서 몸체부재(230)의 전면에 설치되며, 제1무선주행부(310)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접촉되기 위한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플레이트부재(250)는 센서 몸체부재(230)의 후면에 설치되며, 제2무선주행부(320)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접촉되기 위한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 현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body member (230) is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nsor (231).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late member (24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nsor body member (230)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contact with air emitted from the first wireless driving unit (310).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plate member (25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ensor body member (230)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contact with air emitted from the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320).
일 실시예에서 방진부재(260)는 센서부(200)의 이동시 센서(231)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센서(231)를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다. 센서부(200)에 설치된 센서(231)는 방진부재(260)에 의해 진동이 방지됨에 따라, 센서부(200)의 이동시에도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므로 센서(231)가 측정한 측정값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bration-proof member (260) can support or fix the sensor (231) to prevent the sensor (231) from shaking when the sensor unit (200) moves. Since the sensor (231) installed in the sensor unit (200) is prevented from vibrating by the vibration-proof member (260), stable measurement is possible even when the sensor unit (200) moves, so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231) can be improved.
일 실시예에서 웨이트부재(270)는 일정한 무게를 가지며 센서 몸체부재(230)의 내부 하단에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트부재(270)에 의해 센서부(200)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므로 센서부(200)가 튜브부(100) 내에서 빠르게 이동하더라도 센서부(200)가 360도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며, 안정적인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member (270) has a constant weight and can be moun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ensor body member (2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nsor unit (200) is directed downward by the weight member (270), even if the sensor unit (200) moves quickly within the tube unit (100), the sensor unit (2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360 degrees, and stable measurement can be achieved.
일 실시예에서 브러시부재(280)는 센서 몸체부재(23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모(毛, 281)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281)는 천연모 및 인조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시부재(280)는 센서부(200)의 이동시 센서부(2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센서(231)의 중심을 유지시킬 수 있고, 센서부(200)의 안정적인 이동을 돕는다.In one embodiment, the brush member (28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ristles (28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body member (230). In one embodiment, the bristles (28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atural bristles and artificial brist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rush member (280) may minimize shaking of the sensor member (200) when the sensor member (200) moves, thereby maintaining the center of the sensor (231), and assist in stable movement of the sensor member (200).
한편, 센서부(200)는 튜브부(10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재(미도시)와,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와, 센서부(200)의 이동시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ember (not shown) that stores measurement data measured while moving inside the tube unit (100),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that measures the surrounding temperature, and an infrared camera (not shown) that captures infrared images when the sensor unit (200) moves.
일 실시예에서 튜브체결부(500)는 튜브부(100)와 다른 튜브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부(100)는 일정한 길이(일 예로, 10미터)로 형성될 수 있고, 튜브체결부(500)에 의해 복수개의 튜브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ube connecting portion (500) can connect the tube portion (100) to another tube portion. For example, the tube portion (100) can be formed to a certain length (for example, 10 meters), and a plurality of tube portion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ube connecting portion (500).
일 구체예에서 3개의 튜브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1튜브부, 제2튜브부 및 제3튜브부가 튜브체결부(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제2튜브부가 지중관로(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무선주행부(310)는 제1튜브부와 연결될 수 있고, 제2무선주행부(320)는 제3튜브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부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튜브부의 설치와 해제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when three tube sections are connected and used, the first tube section, the second tube section, and the third tube s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ube connection section (500), and the second tube section can be placed inside the underground pipe (20). In this case, the first wireless driving section (31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tube section, and the second wireless driving section (320) can be connected to the third tube section. When a plurality of tube sections are connected and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ube sections can be easily installed and remove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일 실시예에서 튜브설치부(600)는 튜브부(100)를 운반하여 지중관로(20)의 내부에 튜브부(1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튜브설치부(600)는 튜브부(100)를 견인하여 지중관로(20)의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견인기로 적용될 수 있다. 지중관로(20)를 지하에 매설하기 전에 튜브설치부(600)를 이용하여 튜브부(100)를 지중관로(20)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지중관로(20)를 지하에 매설한 상태에서 지중관로(20) 내부에 튜브부(100)를 삽입하는 방식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tube installation unit (600) can transport the tube portion (100) and position the tube portion (100) inside the underground pipe (20). In one specific example, the tube installation unit (600) can be applied as a towing device that can tow the tube portion (100) and position it inside the underground pipe (20). Before burying the underground pipe (20) underground, the tube installation unit (600) can be used to position the tube portion (100) inside the underground pipe (20), or the tube portion (100) can be inserted inside the underground pipe (20) while the underground pipe (20) is buried underground.
일 실시예에서 제1표시부(700)와 제2표시부(800)는 센서부(200)가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장치로서, 제1표시부(700)는 튜브부(100)의 제1지점(P1)에 설치될 수 있고, 제2표시부(800)는 튜브부(100)의 제2지점(P2)에 설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표시부(700)와 제2표시부(800)는 자성체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1표시부(700)와 제2표시부(800)는 센서부(200)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전송하는 RF 송신장치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1표시부(700)와 제2표시부(800)는 센서부(200)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신호를 전송하는 NFC 송신장치로 적용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display unit (7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800) are identification devices that can be identified by the sensor unit (200). The first display unit (700) can be installed at a first point (P1) of the tube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800) can be installed at a second point (P2) of the tube unit (100). In one specific example, the first display unit (7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800) can be applied as magnetic materials. In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first display unit (7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800) can be applied as RF transmitters that transmit RF (Radio Frequency) signals to the sensor unit (200). In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first display unit (7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800) can be applied a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ransmitters that transmit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ignals to the sensor unit (200).
일 실시예에서 제1지점(P1)은 지중관로(20)의 일단에 대응되는 지점이며, 제2지점(P2)은 지중관로(20)의 타단에 대응되는 지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200)가 제1지점(P1) 또는 제2지점(P2)에 도달할 경우, 센서부(200)는 해당 지점에 위치한 제1표시부(700) 또는 제2표시부(800)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가 제1표시부(700) 또는 제2표시부(800)의 감지결과를 수신하면 제1무선주행부(310) 및 제2무선주행부(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point (P1) may be applied as a point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 (20), and the second point (P2) may be applied a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underground pipe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sensor unit (200) reaches the first point (P1) or the second point (P2), the sensor unit (200) may detect the first display unit (700) or the second display unit (800)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and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400). In on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display unit (700) or the second display unit (800), the control unit (400) may stop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wireless driving unit (310) and the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320).
일 실시예에서 지면에 설치되는 제1튜브고정부(910)는 튜브부(100)의 하부에서 튜브부(100)의 일단을 지지 및 고정하여 튜브부(100)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지면에 설치되는 제2튜브고정부(920)는 튜브부(100)의 하부에서 튜브부(100)의 타단을 지지 및 고정하여 튜브부(100)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튜브고정부(910) 및 제2튜브고정부(920)에 의해 튜브부(100)의 일단과 타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튜브부(100)가 지하에서 지면으로 올라올 때 꺾이는 것이 방지되며, 각 무선주행부에 의한 공기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tube fixing unit (910) installed on the ground can support and fix one end of the tube unit (100) at the bottom of the tube unit (100) to prevent the tube unit (100) from bending. The second tube fixing unit (920) installed on the ground can support and fix the other end of the tube unit (100) at the bottom of the tube unit (100) to prevent the tube unit (100) from ben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inc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ube unit (100) are stably supported by the first tube fixing unit (910) and the second tube fixing unit (920), the tube unit (100) is prevented from bending when it rises from underground to the ground, and air injection by each wireless driving unit can be performed smooth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200)가 제1지점(P1) 또는 제2지점(P2)에 도달할 경우, 제어부(400)는 해당 지점에서 센서부(200)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보정하되, 사전에 측정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에 측정된 거리정보는 지상의 제1기준점(S1)으로부터 제1표시부(700)까지의 제1거리정보 및 지상의 제2기준점(S2)으로부터 제2표시부(800)까지의 제2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거리정보와 제2거리정보는 메모리(430)에 기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sensor unit (200) reaches the first point (P1) or the second point (P2),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00) at the corresponding point and corrects the same, and may correct the measurement data using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in advance. Here,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in advan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reference point (S1) on the ground to the first display unit (700) and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eference point (S2) on the ground to the second display unit (800). In addition,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may be pre-stored in the memory (4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430)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측정된 제1위치좌표 정보와 제2위치좌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다. 제1위치좌표 정보는 제1기준점(S1)에 대한 위치정보이고, 제2위치좌표 정보는 제2기준점(S2)에 대한 위치정보이다. 그리고, 제1기준점(S1)으로부터 제1표시부(700)까지의 제1거리정보와, 제2기준점(S2)으로부터 제2표시부(800)까지의 제2거리정보도 사전에 측정되어 메모리(430)에 기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430) may pre-store first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and second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measured by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 first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reference point (S1), and the second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reference point (S2). In addition,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reference point (S1) to the first display unit (700) and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eference point (S2) to the second display unit (800) may also be measured in advance and pre-stored in the memory (430).
일 실시예에서 제1표시부(700)의 위치좌표는 제1기준점(S1)의 위치좌표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으로 적용되며, 제2표시부(800)의 위치좌표는 제2기준점(S2)의 위치좌표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준점(S1)과 제1표시부(700) 간의 거리가 2미터일 경우, 제1표시부(700)의 위치좌표는 제1기준점(S1)의 위치좌표로부터 2미터 이격된 지점으로서 메모리(430)에 기저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display unit (700) may be applied as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S1) by a specific distance,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display unit (800) may be applied as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S2) by a specific distance.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point (S1) and the first display unit (700) is 2 meter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display unit (7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430) as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S1) by 2 meters.
마찬가지로, 제2기준점(S2)과 제2표시부(800) 간의 거리가 2미터일 경우, 제2표시부(800)의 위치좌표는 제2기준점(S2)의 위치좌표로부터 2미터 이격된 지점으로서 메모리(430)에 기저장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point (S2) and the second display unit (800) is 2 meter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display unit (800) can be stored in the memory (430) as a point 2 meters away from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S2).
센서부(200)가 제1지점(P1)에서 출발하여 제2지점(P2)에 도달하는 경우(즉, B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부(200)가 제2지점(P2)에 도달한 후에 제2지점(P2)에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일 예로,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제어부(400)가 수신하면, 제어부(400)는 측정 데이터를 확인하고 보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측정 데이터가 제2표시부(800)의 위치좌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정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제2지점(P2)에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제2표시부(800)의 위치좌표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200)가 제2지점(P2)에 위치할 때 측정한 측정 데이터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제2기준점(S2)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제2지점(P2)의 위치가 정확하게 보정될 수 있으므로 드리프트 오차에 의해 센서(231)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Here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sensor unit (200) starts from the first point (P1) and reaches the second point (P2) (i.e., moves in the B direction). After the sensor unit (200) reaches the second point (P2), if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measurement data (for example, 3D coordinate data) measured at the second point (P2), the control unit (400) can check the measurement data and determine whether to correct it. That is, the control unit (400) can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ment data match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display unit (800), and if it exceeds a certain error range, the control unit (400) can change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at the second point (P2) to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display unit (800). Accordingly,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when the sensor unit (200) is located at the second point (P2),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int (P2) can be accurately corrected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S2),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ensor (231) being lowered due to drift error.
센서부(200)가 제2지점(P2)에서 출발하여 제1지점(P1)에 도달하는 경우(즉, A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부(200)가 제1지점(P1)에 도달한 후에 제1지점(P1)에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일 예로,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제어부(400)가 수신하면, 제어부(400)는 측정 데이터를 확인하고 보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측정 데이터가 제1표시부(700)의 위치좌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정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제1지점(P1)에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제1표시부(700)의 위치좌표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200)가 제1지점(P1)에 위치할 때 측정한 측정 데이터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제1기준점(S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제1지점(P1)의 위치가 정확하게 보정될 수 있다.Here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sensor unit (200) starts from the second point (P2) and reaches the first point (P1) (i.e., moves in the direction A). After the sensor unit (200) reaches the first point (P1), if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measurement data (for example, 3D coordinate data) measured at the first point (P1), the control unit (400) can check the measurement data and determine whether to correct it. That is, the control unit (400) can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ment data match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display unit (700), and if it exceeds a certain error range, the control unit (400) can change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at the first point (P1) to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display unit (700). Accordingly,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when the sensor unit (200) is located at the first point (P1),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P1) can be accurately corrected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S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센서부가 튜브부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중관로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에 매설된 지중관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지중관로에 대한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반영하여 지중관로 정보가 포함된 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unit can generate a three-dimensional image of an underground pipeline us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while moving inside the tube unit, the underground pipeline laid underground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d underground pipeline can be reflected in map data to produce a map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underground pipelin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는 무선주행부의 공압에 의해 튜브부의 내부를 신속하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센서부에 견인줄을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견인줄을 사용하는 측량 방식에 비해 센서부의 설치와 준비과정이 편리한 장점이 있고, 견인줄의 흔들림에 의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중관로의 내부 탐지시 측정 데이터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part can move quickly and freely inside the tube part by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wireless driving part,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 tow rope to the sensor part, and compared to a surveying method using a tow rop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tall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of the sensor part is convenient, and since noise generation due to shaking of the tow rope can be prevente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data can be improved when detecting the inside of an underground pipelin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시간에 여러번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도관, 송수관, 유류관, 전력선관 등의 다양한 지중관로 내에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ultiple measurements can be made in a short period of time, measurement reproducibility can be secured, an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underground pipes such as water pipes, water transmission pipes, oil pipes, and power line pipes.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중관로의 내부에 튜브부를 배치하고, 센서부는 튜브부의 내부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지중관로 내에 물, 유류, 기타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센서부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특정 장애물에 의해 센서부의 측정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ube part is placed inside the underground pipe and the sensor part moves inside the tube part, even if water, oil, or other obstacles exist inside the underground pipe, the movement of the sensor part is not restricted, stable measurement is possible, and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sensor part is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by a specific obstacl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튜브부의 강선부재를 이용하여 센서부가 이동한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지중관로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tance moved by the sensor part can be accurately measured using the steel wire member of the tube part, it is easy to determine the internal state of the underground pipelin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above-described examples have only been describ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ir equivalents.
10 :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
100 : 튜브부
110 : 튜브 몸체부재
120 : 강선부재
W : 강선부재 간격
200 : 센서부
210 : 강선 감지부재
220 : 통신부재
230 : 센서 몸체부재
231 : 센서
240 : 제1플레이트부재
250 : 제2플레이트부재
260 : 방진부재
270 : 웨이트부재
280 : 브러시부재
281 : 모
300 : 무선주행부
310 : 제1무선주행부
320 : 제2무선주행부
400 : 제어부
410 : 통신장치
420 : 디스플레이
430 : 메모리
440 : 프로세서
500 : 튜브체결부
600 : 튜브설치부
700 : 제1표시부
800 : 제2표시부
910 : 제1튜브고정부
920 : 제2튜브고정부
20 : 지중관로
P1 : 제1지점
P2 : 제2지점
S1 : 제1기준점
S2 : 제2기준점10: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100 : Tube section
110 : Tube body member
120 : No steel wire
W: Spacing of steel wire members
200 : Sensor section
210 : No steel wire detection
220: Absence of communication
230 : Sensor body part
231 : Sensor
240: First plate member
250 : Second plate member
260 : Dustproofing material
270 : Weight Absence
280 : No brush
281 : Mother
300 : Wireless Driving Unit
310: 1st Radio Driving Unit
320: 2nd Radio Driving Unit
400 : Control Unit
410 : Communication device
420 : Display
430 : Memory
440 : Processor
500 : Tube joint
600 : Tube installation section
700 : 1st display section
800 : Second display section
910: 1st tube fixing part
920: 2nd tube fixing part
20: Underground pipeline
P1: First point
P2: 2nd point
S1: First reference point
S2: Second reference point
Claims (10)
상기 튜브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센서부;
상기 튜브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센서부를 이동시키는 무선주행부;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튜브부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중관로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A tube section designed to be placed at least partially inside an underground pipeline;
A sensor section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above tube section;
A wireless driving unit that moves the sensor unit by inject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tube unit or by sucking in air that was inside the tube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underground pipeline us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while the sensor unit moves inside the tube un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상기 센서부는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및 가속도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는 3차원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nsor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measurement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ree-dimensional coordinate data.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상기 튜브부는
상기 센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튜브 몸체부재; 및
상기 튜브 몸체부재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매립된 강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강선부재는 상기 튜브 몸체부재의 둘레를 따라서 감겨진 구조로서, 상기 강선부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나선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ube part
A tube body member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so that the sensor section can pass through; and
Including a steel wire member embed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 tube body member;
The above steel wire member is a structure woun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tube body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wire member has a spiral structu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튜브 몸체부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강선부재를 감지하는 강선 감지부재; 및
상기 강선 감지부재에 의해 생성된 감지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강선부재의 검출횟수와 상기 강선부재의 간격당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가 이동한 거리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sensor part
A steel wire detection member that detects the steel wire member when the sensor member moves along the internal space of the tube body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for transmitting detection data generated by the above-mentioned steel wire detection member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detection data and derives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sensor unit by using the number of detections of the steel wire memb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per interval of the steel wire member.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상기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은
상기 튜브부와 다른 튜브부를 서로 연결하는 튜브체결부; 및
상기 지중관로의 내부에 상기 튜브부를 위치시키는 튜브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A tub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above tube portion and another tube portion; and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tube installation part for positioning the tube part inside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pipe.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상기 무선주행부는
상기 튜브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하는 제1무선주행부; 및
상기 튜브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흡입하는 제2무선주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wireless driving unit
A first wireless driving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ube part and inject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tube part or sucking in air from the inside of the tube part; and
A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part and injects air into the inside of the tube part or sucks in air from the inside of the tube part; characterized by including: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상기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은
상기 튜브부의 제1지점에 설치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튜브부의 제2지점에 설치되는 제2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지중관로의 일단에 대응되는 지점이며,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지중관로의 타단에 대응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A first display unit installed at a first point of the above tube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isplay section installed at a second point of the above tube section;
The above first point is a point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 and the above second point i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underground pipe.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지점 또는 제2지점에 도달할 경우, 상기 센서부는 해당 지점에 위치한 제1표시부 또는 제2표시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In Article 7,
When the sensor unit reaches the first point or the second point, the sensor unit detects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located at the point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지점 또는 제2지점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해당 지점에서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되, 사전에 측정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며, 상기 거리정보는 지상의 제1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1표시부까지의 거리정보 및 지상의 제2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2표시부까지의 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In Article 8,
When the sensor unit reaches the first point or the second point, 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t the corresponding point, and corrects the measurement data using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in advance,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reference point on the ground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eference point on the ground to the second display unit.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상기 센서부는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센서 몸체부재;
상기 제1무선주행부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접촉되기 위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제1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무선주행부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접촉되기 위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제2플레이트부재;
상기 센서의 진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센서를 고정시키는 방진부재; 및
상기 센서 몸체부재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모(毛)가 결합되어 형성된 브러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 측량 시스템.In Article 6,
The above sensor part
A sensor body member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a sensor;
A first plate member having a constant area to be contacted by air emitted from the first wireless driving unit;
A second plate member having a constant area to be contacted by air emitted from the second wireless driving unit;
A vibration-proof member that fixes the sensor to prevent vibration of the sensor; and
A brush member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hai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body memb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Underground pipeline surveying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39757A KR102750009B1 (en) | 2023-03-27 | 2023-03-27 | System for measuring underground pipeli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39757A KR102750009B1 (en) | 2023-03-27 | 2023-03-27 | System for measuring underground pipeline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45207A KR20240145207A (en) | 2024-10-07 |
| KR102750009B1 true KR102750009B1 (en) | 2025-01-07 |
Family
ID=9311556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39757A Active KR102750009B1 (en) | 2023-03-27 | 2023-03-27 | System for measuring underground pipelin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50009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005120A (en) | 2018-01-17 | 2018-05-08 | 上海市地下空间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A kind of underground pipe gallery and underground garage connecting taxiway structure based on road |
| KR102062265B1 (en) | 2019-06-27 | 2020-01-03 | 주식회사 힘센기술 | Method for installation of uv irradiation device and repair underground water pine by non shrinkable type for maintaining expandability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88635B1 (en) * | 2010-07-01 | 2012-10-08 | 주식회사 테노바엔비타 | Ventury tube type Nano Bubble proceded water Generator |
| KR102014460B1 (en) * | 2017-07-17 | 2019-08-26 | 주식회사 뉴컨스텍 | Diagnosis of the depression amount of the back of the pipeline and filler injection device and diagnosis of the backside depression of the pipeline using the same and filling method |
-
2023
- 2023-03-27 KR KR1020230039757A patent/KR1027500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005120A (en) | 2018-01-17 | 2018-05-08 | 上海市地下空间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A kind of underground pipe gallery and underground garage connecting taxiway structure based on road |
| KR102062265B1 (en) | 2019-06-27 | 2020-01-03 | 주식회사 힘센기술 | Method for installation of uv irradiation device and repair underground water pine by non shrinkable type for maintaining expandabilit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45207A (en) | 2024-10-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719646B1 (en) | Pipe mapping systems and methods | |
| US11204436B1 (en) | Dual sensed locating systems and methods | |
| US10955583B1 (en) | Boring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 |
| CN101652679B (en) |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earth-moving machinery | |
| EP3881045A2 (en) | Pipe inspection and/or mapping camera heads, systems, and methods | |
| CN101542317B (en) | Localization system for an earthmoving machine | |
| KR101041780B1 (en) | Underground pipelin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 |
| US20210063269A1 (en) | Water leak detector device and leak detection procedure | |
| KR101306882B1 (en) |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For Underground Utilities | |
| KR101860262B1 (en) | Location and depth measuring method of a underground objects | |
| WO2015012382A1 (en) | Buried-pipeline measurement device and buried-pipeline measurement method | |
| JPH10503587A (en) | Finder | |
| US9869602B2 (en) | Pipeline leak detection device and method | |
| KR101306154B1 (en) | Apparatus for position-information of underground pipe having prominence impact absorbing member | |
| KR101499173B1 (en) | Device for measuring position and displacement of facility | |
| CN111425188A (en) | Variable frequency sound source-based sleeve pipe external armored optical cable orientation system and data acquisition method | |
| KR20250060859A (en) |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progress measurement system using sensor and measurement method | |
| KR101753278B1 (en) | Sewage Pipe Position Detecting System by Using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and Robot | |
| KR102750009B1 (en) | System for measuring underground pipelines | |
| KR101445257B1 (en) | Locator Detection Method of Inspection Module of Pipe and Locator System thereof | |
| KR102116937B1 (en) | Underground pipe investigation apparatus | |
| CN218599480U (en) | Snakelik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water pipe leakage detection device | |
| JP6216587B2 (en) | Sensor embedding system and method | |
| WO2020138544A1 (en) | Method for location exploration and depth measurement of underground pipeline | |
| US7579962B1 (en) | Duct mapping device using sond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1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