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1171B1 - Variable pallet rack - Google Patents
Variable pallet r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1171B1 KR102751171B1 KR1020240101690A KR20240101690A KR102751171B1 KR 102751171 B1 KR102751171 B1 KR 102751171B1 KR 1020240101690 A KR1020240101690 A KR 1020240101690A KR 20240101690 A KR20240101690 A KR 20240101690A KR 102751171 B1 KR102751171 B1 KR 1027511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gth
- connecting portion
- support
- pallet rack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들; 상기 복수의 기둥들 사이에서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각각은, 제1 길이를 갖는 제1 부분;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는 제2 부분; 제3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들 중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양쪽 끝 각각에 배치된 기둥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서 노출된 상기 연결부의 노출 정도, 또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서 노출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의 노출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가변형 파렛트 랙이 개시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A variable pallet rack is disclosed, comprising: a plurality of column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loor surface; a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arranged in parallel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loor surf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s, wherein each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includes: a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length;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length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third length and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wherein a spacing between columns arrang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among the plurality of column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ex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r the degree of exposure of each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addition to this,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as identified through the present document.
Description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가변형 파렛트 랙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는 중소벤처기업부, 경상남도의 "경남지역기업 성장사다리 지원사업"으로 수행된 특허임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 to a variable pallet rack.
This patent was carried out as a "Gyeongnam Regional Enterprise Growth Ladder Support Project"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d Gyeongsangnam-do.
파렛트(pallet)는 상품 적재용 깔판으로서, 물류터미널이나 공장 같은 곳에서 사람들이 완성된 제품을 차곡차곡 쌓아 놓으면 이후 지게차 혹은 핸드파렛트(일명 차키)로 한번에 들어 차량이나 랙(rack)에 싣는 용도로 쓰인다. 이러한 파렛트의 측면에는 복수의 구멍들이 있으며, 이 구멍들을 통해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진 후 차량이나 랙으로 이동될 수 있다.A pallet is a platform for loading goods. In places such as logistics terminals or factories, people stack finished products one by one, and then they are lifted all at once by a forklift or hand pallet (also known as a chaki) and loaded onto a vehicle or rack. There are several holes on the side of these pallets, and the forks of the forklift can be inserted through these holes and moved onto a vehicle or rack.
물건이 적치된 파렛트를 보관하는 파렛트 랙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기둥들, 상기 기둥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결합된 복수의 제1 수평 지지부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수평 지지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수평 지지부들로 구성될 수 있다.A pallet rack for storing pallets on which goods are stacked may be composed of columns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a floor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connected horizontally and in parallel between the columns, and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supports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이러한 파렛트 랙은 파렛트의 크기에 따라 규격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렛트 랙은 지정된 규격(예: 가로 1,100mm 세로 1,100mm)의 파렛트에 대응되는 규격화된 크기로 생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렛트 랙 제조 업체들은 규격화된 크기에 기초하여 파렛트 랙을 제조하기 때문에, 파렛트 랙이 설치된 물류 창고의 공간 효율을 전혀 고려하지 못할뿐더러 최저가 입찰을 위하여 품질 및 안정성에 취약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These pallet racks can be standardiz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llet. For example, pallet racks can be produced in standardized sizes corresponding to pallets of a specified size (e.g., 1,100 mm wide x 1,100 mm long). Accordingly, pallet rack manufacturers manufacture pallet racks based on standardized sizes, so they do not consider the space efficiency of the logistics warehouse where the pallet racks are installed at all, and they have problems with quality and stability in order to bid for the lowest price.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물류 창고의 공간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한 가변형 파렛트 랙을 제공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 variable pallet rack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ace of a logistics warehouse can be provi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형 파렛트 랙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들; 상기 복수의 기둥들 사이에서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각각은, 제1 길이를 갖는 제1 부분;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는 제2 부분; 제3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들 중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양쪽 끝 각각에 배치된 기둥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서 노출된 상기 연결부의 노출 정도, 또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서 노출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의 노출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ariable pallet rack includes a plurality of columns arranged in a direction vertical to a floor surface; a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arranged in parallel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loor surf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s, each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including: a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length;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length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third length and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wherein a spacing between columns arrang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among the plurality of columns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ex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r the degree of exposure of each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1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 각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includes a first internal space ope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ngth, the second portion includes a second internal space ope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ngth, and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제1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오프닝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제2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오프닝들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오프닝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복수의 제2 오프닝들 중 어느 하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3 오프닝들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ngth, the second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ngth,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third opening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상기 연결부가 지정된 길이에 대응되는 노출 정도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중 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중 보강대가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표면은 굴곡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further includes a load reinforcing member arranged to wrap at least part of a peri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ex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to an ex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ed length, wherein when the load reinforcing member is arranged to wrap at least part of a peri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surfaces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a cur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에는, 상기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정렬된 복수의 거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은, 상기 거치 홈을 통해 상기 복수의 기둥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pillars has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med therein, which are align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s through the mounting groov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의 하측 단부와 지정된 거리 이내에서,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삽입된 말뚝 핀; 및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의 하측 단부에 일부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말뚝 핀과 연결되는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may include a pile pin inser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within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a fixing assembly connected to the pile pin while a portion of the pile pin is join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llar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중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말뚝 핀의 상측 제1 부분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삽입된 상기 말뚝 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말뚝 핀의 상측 제2 부분이 중간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ed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configured to allow an upper first portion of the pile pin to be inse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configured to allow an upper second portion of the pile pin to be inserted in the middle based on a position of the pile pin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por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말뚝 핀이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의 하측 단부와 지정된 거리 이내에서 불특정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부분이 상기 불특정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장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말뚝 핀이 배치된 상기 불특정 위치 및 상기 제1 장홀을 통하여 상기 말뚝 핀에 연결된 상기 제1 지지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단부가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may include a first long hole configured to adjust a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so that, when the pile pin is placed at an unspecified position within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s,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is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s corresponding to the unspecified position;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is fixed in a force-fit manner based on the unspecified position at which the pile pin is placed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connected to the pile pin through the first long ho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계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말뚝 핀에 배치된 상기 제1 장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복수의 홈들 중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장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단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 중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절곡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may include a second long hole formed in a step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and adjusting a position at which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is forcefully fit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first long hole arranged on the pile pin; and a bending projection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forcefully fit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은, 물류 창고의 공간에 따라 길이 조절됨으로써, 파렛트 랙이 설치된 물류 창고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can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of a logistics warehouse in which the pallet rack is installed by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logistics warehouse.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은, 물류 창고의 공간에 따른 적응적 길이 조절을 통해 물류 창고의 공간 효율을 높임으로써, 무인 지게차 등 물류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 파렛트 이동 동선을 최적화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can provide an environment for optimizing the pallet movement path in a logistics automation system such as an unmanned forklift by increasing the space efficiency of a logistics warehouse through adaptive length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logistics warehouse.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various effects may be provided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기둥 및 제1 수평 지지부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제1 수평 지지부 연장 또는 축소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제1 수평 지지부 연장 또는 축소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렉의 제1 수평 지지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기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고정 어셈블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고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조절된 크기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a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2b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2c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column and first horizontal support connecting structure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A is a drawing showing an extension or reduction structure of a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4b is a drawing showing an extension or reduction structure of a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4c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pillar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drawing showing a fixed assembly structure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fixing part illustrated in Figure 6.
FIG. 8 is a drawing showing adjusted sizes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conform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형 파렛트 랙(100)은 다단 선반을 제공함으로써, 물건이 적치된 파렛트를 여러 구획에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변형 파렛트 랙(100)은 기둥(110), 제1 수평 지지부(120) 및 제2 수평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ariable pallet rack (100) can divide and organize pallets on which items are stacked into several compartments by providing multi-level shelves. To this end, the variable pallet rack (100) can include a column (110), a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120), and a second horizontal support member (13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둥(110)은 제1 수평 지지부(12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110)은 제1 수평 지지부(120)의 양측에 2개씩 직립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수평 지지부(12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illars (110) can support both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120). For example, the pillars (110) can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120) in a state where two are uprightly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1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수평 지지부(120)는 기둥(110)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선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제1 수평 지지부(120) 각각의 양측은 기둥(110)의 길이 방향 중 일부분에 결합됨으로써, 선반 형태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120) may be arranged between the columns (110) to form a shelf shape. For example, both sides of each of the two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s (120) may be joined to a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columns (110), to form a shelf shap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수평 지지부(130)는 제1 수평 지지부(120)의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선반의 바닥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평 지지부(130)는 2개의 제1 수평 지지부(120) 사이에 지정된 간격마다 정렬됨으로써, 선반의 바닥 형태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13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120) to form a bottom shape of the shelf. For example,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130) may be aligned at a specified interval between two first horizontal support (120) to form a bottom shape of the shelf.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정면도이다.FIG. 2a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2b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2c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형 파렛트 랙(200)은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기둥들(210)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G)에 대하여 같은 높이에서 수평인 방향(예: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220) 각각은 제1 부분(221a) 및 제2 부분(221b)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222)를 이용해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기둥들(210)이 바닥면(G)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예: z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ariable pallet rack (200) can determine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s (210)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220). For example, each of a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s (220) arranged in parallel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in the x-axis direction) at the same height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G) can determine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s (21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e.g., in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G)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us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22) connecting the first part (221a) and the second part (221b).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부분(221a)은 바닥면(G)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수평 지지부(220)의 한쪽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221a)은 제1 부분(22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1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221a) may be one portion of a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arranged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loor surface (G). The first portion (221a)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space that is op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221a).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부분(221b)은 바닥면(G)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수평 지지부(220)의 다른 한쪽 부분일 수 있다. 제2 부분(221b)은 제2 부분(22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잇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portion (221b) may be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arranged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loor surface (G). The second portion (221b) may include a second internal space that is op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221b).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222)는 제1 부분(221a)의 제1 내부 공간 및 제2 부분(221b)의 제2 내부 공간 각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제1 부분(221a) 및 제2 부분(221b)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는 제1 연결부(222)가 제1 부분(221a) 및 제2 부분(221b) 사이에서 노출된 정도에 기초하여, 연장되거나 또는 축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2)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rtion (221a) and the second portion (221b) by being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internal space of the first portion (221a)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portion (221b).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220) may be extended or reduced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2) is ex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221a) and the second portion (221b).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222)는 제1 연결부(2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3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222)의 제3 내부 공간 한쪽에는 제1 부분(221a)이 삽입되고, 제3 내부 공간 다른 한쪽에는 제2 부분(221b)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는 제1 연결부(222)의 양측에서 노출된 제1 부분(221a) 및 제2 부분(221b) 각각의 노출 정도에 기초하여, 연장되거나 또는 축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2) may include a third internal space that is op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2). In this case, the first part (221a)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hird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2), and the second part (221b)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internal space.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220) may be extended or shortened based on the degree of exposure of each of the first part (221a) and the second part (221b)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수평 지지부(220)는 길이 연장 또는 길이 축소 이후, 기둥들(210)의 위치가 결정되면, 제2 연결부(240)를 통해 기둥들(240)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220) can be connected to the columns (240) via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40) after the positions of the columns (210) are determined after the length is extended or reduc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둥(210) 및 제1 수평 지지부(220)의 사이에는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사선 고정대(215)가 결합될 수 있다. 사선 고정대(215)의 일측은 기둥(210)에 결합되고, 사선 고정대(215)의 타측은 제1 수평 지지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평 지지부(220)의 상부에 하중(예: 물건이 적치된 파렛트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사선 고정대(215)는 제1 수평 지지부(220)의 양측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제공(예: 제1 수평 지지부(220)의 단위 면적당 응력 증가)함으로써, 상기 하중에 의한 제1 수평 지지부(220)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diagonal fixing member (215) arranged diagonally may be coupled between a column (210) and a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One side of the diagonal fixing member (215) may be coupled to the column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diagonal fixing member (215)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Accordingly, even if a load (e.g., a load due to a pallet on which an object is stacked)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the diagonal fixing member (215) provides a supporting force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toward the upper portion (e.g., an increase in stress per unit area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thereby preventing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from being bent due to the loa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둥(210)의 한쪽 면(예: 파렛트 랙(200)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에는 완충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부(230)는 제1 부재(231), 제2 부재(232) 및 탄성 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31)는 상기 기둥(210)의 한쪽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재(232)는 상기 바닥면(G)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제1 부재(231)와 지정된 간격을 두고 정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233)는 바닥면(G)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제1 부재(231) 및 제2 부재(2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230)는 파렛트를 운반하는 지게차의 포크 등이 기둥(210)에 부딪히더라도 탄성 부재(23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buffer member (230)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olumn (210) (e.g., a side facing outward from the pallet rack (200)). In one embodiment, the buffer member (230) may include a first member (231), a second member (232), and an elastic member (233). The first member (231)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lumn (210). The second member (232)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aligned with the first member (231) at a specified interval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loor surface (G). The elastic member (233)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member (231) and the second member (232)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loor surface (G). This buffer member (230) can absorb the shock by utiliz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33) even if the fork of a forklift transporting a pallet hits the pillar (2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둥(210)의 하부에는 높낮이 조절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높낮이 조절부(260)는 미끄럼 방지 부재(261) 및 핀 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261)는 바닥면(G)과 밀착될 수 있다. 핀 부재(262)는 기둥(210) 및 미끄럼 방지 부재(261) 사이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길이 조절 시, 미끄럼 방지 부재(261)의 회전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둥(210) 및 미끄럼 방지 부재(26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렛트 랙(200)은 평평하지 않은 바닥을 갖는 공장 등에 적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height adjustment member (260) may be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column (210). In on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60) may include an anti-slip member (261) and a pin member (262). The anti-slip member (26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G). The pin member (262) is screw-fastened between the column (210) and the anti-slip member (261), and when the length is adjusted, it rotate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anti-slip member (261), there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column (210) and the anti-slip member (261). Accordingly, the pallet rack (200) may be adaptably installed in a factory having an uneven floor, etc.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둥(210)의 다른 한쪽 면(예: 파렛트 랙(200)의 안쪽을 향하는 면)에는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 연장에 따른 하중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정 어셈블리(2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210)의 둘레 중 제1 수평 지지부로드빔(220)를 향하는 면의 하측 단부에는 말뚝 핀(P)과 결합된 고정 어셈블리(25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어셈블리(250)의 위치는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 연장에 따른 하중 증가 시 기둥(210)이 기울어질 수 있는 방향을 고려한 위치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fixing assembly (250) may b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lumn (210) (e.g., a side facing inward of the pallet rack (200)) to cope with an increase in load due to an extension in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For example, a fixing assembly (250) coupled with a pile pin (P) may be arranged on a lower end of a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lumn (210) facing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load beam (220). Here, the position of the fixing assembly (250) may be a posi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umn (210) may tilt when the load increases due to an extension in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기둥 및 제1 수평 지지부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제1 수평 지지부 연장 또는 축소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제1 수평 지지부 연장 또는 축소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rawing showing a column and a first horizontal support connecting structure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a is a drawing showing a first horizontal support extension or reduction structure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4b is a drawing showing a first horizontal support extension or reduction structure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수평 지지부(320)의 제1 부분(321a)은 제1 길이(L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21a)에는 제1 길이(L1)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오프닝들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321a)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320) may include a first length (L1).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may be formed in the first portion (321a) along a leng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ngth (L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부분(321a)의 한쪽은 제1 오프닝들을 통해 제1 연결부(32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21a)의 제1 오프닝들 중 어느 하나가 제1 연결부(322)의 제3 오프닝들(322a)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된 오프닝들을 통해 볼트 체결되면, 제1 부분(321a)의 한쪽은 제1 연결부(322)의 한쪽과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first portion (321a)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through the first openings. For example, if one of the first openings of the first portion (321a) is aligned with one of the third openings (322a)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and a bolt is fastened through the aligned openings, one end of the first portion (321a) can be coupled with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부분(321a)의 다른 한쪽은 제2 연결부(340)를 통해 기둥(3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21a)의 다른 한쪽 끝부분에 결합된 제2 연결부(340)의 돌출 부분이 기둥(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된 거치 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면, 제1 부분(321a)의 다른 한쪽은 기둥(310)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rtion (321a) can be coupled to the pillar (310) via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40). For example, when a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4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rtion (321a)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grooves alig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310),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rtion (321a) can be coupled to the pillar (3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수평 지지부(320)의 제2 부분(321b)은 제2 길이(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321b)에는 제2 길이(L2)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오프닝들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portion (321b)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320) may include a second length (l2).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321b) along a leng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ngth (L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부분(321b)의 한쪽은 제2 오프닝들을 통해 제1 연결부(32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321b)의 제2 오프닝들 중 어느 하나가 제1 연결부(322)의 제3 오프닝들(322a)중 어느 하나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된 오프닝들을 통해 볼트 체결되면, 제2 부분(321b)의 한쪽은 제1 연결부(322)의 다른 한쪽과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second portion (321b)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2) through the second openings. For example, if one of the second openings of the second portion (321b) is aligned with one of the third openings (322a)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2) and a bolt is fastened through the aligned openings, one end of the second portion (321b) can be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부분(321b)의 다른 한쪽은 상술한 제1 부분(321a) 및 기둥(310)의 결합 방식과 같이, 또 다른 제2 연결부(340)를 통해 다른 기둥(310)과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rtion (321b) may be connected to another column (310) via another second connecting portion (340), similar to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column (310) described abo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322)는 제3 길이(L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22)에는 제3 길이(L3)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3 오프닝들(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22)는 제1 부분(321a)의 한쪽 및 제2 부분(321b)의 한쪽 각각의 오프닝들과 연결된 상태에 따라 제1 수평 지지부(3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22)가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사이에서 제1 수평 지지부(320)의 외부로 노출된 정도가 제4 길이(L4)인 경우, 제1 수평 지지부(320)의 전체 길이는 제1 부분(321a)의 제1 길이(L1) 및 제2 부분(321b)의 제2 길이(L2)와 더불어 상기 제4 길이(L4)를 합한 제5 길이(L5)로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may include a third length (L3).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may have a plurality of third openings (322a)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length (L3).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0)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it i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penings of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321a) and one side of the second portion (321b). When the extent 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0) between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is the fourth length (L4),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0) can be extended to a fifth length (L5) that is the sum of the first length (L1) of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length (L2) of the second portion (321b) plus the fourth length (L4).
이에 따라,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320) 양쪽 끝 각각을 지지하는 기둥들(310) 사이의 간격은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사이에서 노출된 제1 연결부(322)의 노출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사이에서 노출된 제1 연결부(322)의 노출 정도가 수평 방향으로 5cm인 경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320) 양쪽 끝 각각을 지지하는 기둥들(310) 사이의 간격은 상기 5cm만큼 더 벌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사이에서 제1 연결부(322)가 노출되지 않는 경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320) 양쪽 끝 각각을 지지하는 기둥들(310) 사이의 간격은 5cm 줄어들 수 있다.Accordingly, the spacing between the columns (310) supporting each of the two end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32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ex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For example, when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ex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is 5 c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pacing between the columns (310) supporting each of the two end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320) can be further increased by the 5 cm.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is not ex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the spacing between the columns (310) supporting each of the two end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320) can be reduced by 5 cm.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322)가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사이에서 제1 수평 지지부(320)의 외부로 노출된 경우, 상기 노출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L6)를 포함하는 하중 보강대(323)가 제1 연결부(322)의 둘레를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중 보강대(323)는 제1 연결부(322)의 표면에 대하여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중 보강대(323)가 제1 연결부(322)의 둘레를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1 부분(321a)의 표면 및 제2 부분(321b)의 표면은 굴곡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0) between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a load reinforcing member (323) having a length (L6)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length may be arranged to w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For example, the load reinforcing member (323) may be coupled in a force-fit manner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In one embodiment, when the load reinforcing member (323) is arranged to w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the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321b)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a ben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322)는 제1 연결부(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3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322)의 제3 내부 공간 한쪽에는 제1 부분(321a)이 삽입되고, 제3 내부 공간 다른 한쪽에는 제2 부분(321b)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평 지지부(320)의 길이는 제1 연결부(322)의 양측에서 노출된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각각의 노출 정도에 기초하여, 연장되거나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22)의 양측에서 노출된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각각의 노출 정도가 제4 길이(L4)인 경우, 제1 수평 지지부(320)의 전체 길이는 제1 부분(321a)의 노출된 제4 길이(L4) 및 제2 부분(321b)의 노출된 제4 길이(L4)와 더불어 제1 연결부(322)의 길이인 제3 길이(L3)를 합한 제5 길이(L5)로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may include a third internal space that is op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In this case, the first part (321a)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hird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and the second part (321b)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internal space.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0) may be extended or shortened based on the degree of exposure of each of the first part (321a) and the second part (321b)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When the degree of exposure of each of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is the fourth length (L4),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0) can be extended to a fifth length (L5) that is the sum of the exposed fourth length (L4) of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exposed fourth length (L4) of the second portion (321b) plus the third length (L3) that is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322)의 제3 내부 공간을 통해 제1 연결부(322)의 양측으로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각각이 노출된 경우, 제1 부분(321a)의 및 제2 부분(321b) 각각의 둘레에는 제1 부분(321a)의 및 제2 부분(321b) 각각의 노출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L6)를 갖는 하중 보강대(322)가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are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2) through the third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2), a load reinforcing member (322) having a length (L6)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length of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may be arranged around each of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도 4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렉의 제1 수평 지지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c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수평 지지부(320)의 제1 부분(321a)(또는 제2 부분(321b))은 윗면(S1) 및 아랫면(S2)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321a) (or the second portion (321b))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32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S1) and a lower surface (S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윗면(S1)에는 제1 홈(F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F1)은 제1 연결부(322)를 향하는 방향에서부터 기둥(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홈(F1)의 기울기는 제1 연결부(322)를 향하는 방향에서부터 기둥(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바닥면(G)이 위치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홈(F1)은 수평면인 바닥면(G)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first groove (F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1). The first groove (F1) may be formed from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toward the pillar (210). Here,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groove (F1) may be inclined toward the direc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G) is located from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toward the pillar (210). That is, the first groove (F1) may have a shape that is inclined at a specifi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G), which is a horizontal plan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1 홈(F1)의 기울기로 인하여, 상기 윗면(S1)의 일측(예: 제1 연결부(322)를 향하는 방향)에서, 제1 홈(F1)의 깊이는 제1 깊이(d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윗면(S1)의 타측(예: 기둥(210)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1 홈(F1)의 깊이는 제2 깊이(d2)(예: 제1 깊이(d1)보다 큰 깊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groove (F1) described abov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S1) (e.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F1) may include a first depth (d1). Addition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S1) (e.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illar (210)),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F1) may include a second depth (d2) (e.g., a depth greater than the first depth (d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랫면(S2)에는 제2 홈(F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F2)은 제1 연결부(322)를 향하는 방향에서부터 기둥(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홈(F2)의 기울기는 제1 연결부(322)를 향하는 방향에서부터 기둥(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바닥면(G)이 위치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홈(F2)은 상기 제2 홈(F1)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바닥면(G)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econd groove (F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2). The second groove (F2) may be formed from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toward the pillar (210). Here,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groove (F2) may be inclined toward the direc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G) is located from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toward the pillar (210). That is, the second groove (F2) may have a shape that is inclined at a specifi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G)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groove (F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2 홈(F2)의 기울기로 인하여, 상기 아랫면(S2)의 일측(예: 제1 연결부(322)를 향하는 방향)에서, 제2 홈(F2)의 깊이는 제3 깊이(d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랫면(S2)의 타측(예: 기둥(210)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2 홈(F2)의 깊이는 제4 깊이(d4)(예: 제3 깊이(d3)보다 작은 깊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groove (F2) described above,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S2) (e.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the depth of the second groove (F2) may include a third depth (d3). Addition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S2) (e.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illar (210)), the depth of the second groove (F2) may include a fourth depth (d4) (e.g., a depth smaller than the third depth (d3)).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322)의 양측은 상술한 제1 홈(F1) 및 제2 홈(F2) 각각의 기울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including the third internal spac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each of the first groove (F1) and the second groove (F2)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제1 연결부(322)의 제3 내부 공간 양측에 삽입된 제1 수평 지지부(320)의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각각은 제1 연결부(322)의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지지력을 제공(예: 제1 수평 지지부(220)의 단위 면적당 응력 증가)함으로써, 상기 하중에 의한 제1 수평 지지부(220)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322)의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은, 벡터의 평행사변형 법칙에 따라, 제1 연결부(322)와 연결된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각각으로 분할되며, 이때 분할된 하중은 상술한 제1 부분(321a) 및 제2 부분(321b) 각각의 홈(예: 제1 홈(F1) 및 제2 홈(F2)) 기울기로 인하여 제1 연결부(322)에 더 큰 압축응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part (321a) and the second part (321b)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0)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third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322) provides a supporting force in response to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322) (e.g., an increase in stress per unit area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220)), thereby preventing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220) from being bent due to the load. Specifically,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is divided into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according to the parallelogram law of vectors, and at this time, the divided load can provide a greater compressive stress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2)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oves (e.g., the first groove (F1) and the second groove (F2)) of each of the first portion (321a) and the second portion (321b) described above.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기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pillar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파렛트 랙(200)의 기둥(310)은 제1 수평 지지부(320) 규격에 따라 제1 형태(500a) 또는 제2 형태(500b)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lumn (310) of the pallet rack (200) can be formed in a first shape (500a) or a second shape (500b)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320).
제1 형태(500a)를 참조하면, 기둥(310)은 제1 방향(예: x축 방향)에 대하여 제1 폭(W1)을 갖고, 제2 방향(예: y축 방향)에 대하여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first form (500a), the column (310) may have a first width (W1) in a first direction (e.g.,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width (W2) in a second direction (e.g., y-axis direction).
제2 형태(500b)를 참조하면, 기둥(310)은 제1 방향에 대하여 제3 폭(W3)을 갖고, 제2 방향에 대하여 제4 폭(W4)을 가질 수 있다. 제2 형태(500b)에 대응되는 기둥(310)은 제1 형태(500a)에 대응되는 기둥(310)보다 큰 규격의 기둥(310)으로서 보다 큰 제1 수평 지지부(320)을 지지하기 위한 특수 규격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second form (500b), the column (310) may have a third width (W3)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fourth width (W4) in the second direction. The column (3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rm (500b) may be a column (310) of a larger size than the column (3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rm (500a), and may be of a special size for supporting a larger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320).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고정 어셈블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고정부의 평면도이다.Fig. 6 is a drawing showing a fixed assembly structure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fixed part shown in Fig. 6.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어셈블리(250)는 복수의 기둥들(210) 각각의 하측 단부에 일부분이 결합된 상태에서, 말뚝 핀(P)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말뚝 핀(P)은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 연장에 따른 하중 증가 시 기둥(210)이 기울어질 수 있는 방향을 고려하여, 기둥(210)의 하측 단부와 지정된 거리 이내에서, 제1 방향(예: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방향(예: -z축 방향) 사이의 제3 방향(예: -x축 및 -z축 사이를 향하는 방향, 또는 +x축 및 -z축 사이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바닥면(G)에 비스듬히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G)에 박힌 말뚝 핀(P) 및 바닥면(G)은 제1 각도(A1)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바닥면(G)에 박힌 말뚝 핀(P)의 끝부분은 제2 각도(A2)를 갖는 꺾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꺾인 부분의 제2 각도(A2)는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 연장에 따른 하중 증가 시 기둥(210)의 기울어지는 방향에 저항하기 위하여, 말뚝 핀(P) 및 바닥면(G) 사이의 제1 각도(A1)보다 클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ed assembly (250) may be connected to the pile pin (P) while a portion thereof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s (210). Here, the pile pin (P) may be inserted obliquely into the floor surface (G) so as to face a third direction (e.g., a direction between the -x-axis and the -z-axis, or a direction between the +x-axis and the -z-axis) between the first direction (e.g., the -x-axis direction or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e.g., the -z-axis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ithin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column (210),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umn (210) may be tilted when the load increases due to the extension of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For example, the pile pin (P) embedded in the floor surface (G) and the floor surface (G) may form a first angle (A1). Additionally, the end of the pile pin (P) driven into the floor surface (G) may include a bent portion having a second angle (A2). The second angle (A2) of the bent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A1) between the pile pin (P) and the floor surface (G) in order to resist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column (210) when the load increases due to the extension of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어셈블리(250)는 제1 지지부(651) 및 제2 지지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ed assembly (25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651) and a second support member (65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651)는 중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말뚝 핀(P)의 상측 제1 부분(P1)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651)는 제1 장홀(651a) 및 복수의 홈들(651b)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member (65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first portion (P1) of the pile pin (P) is inse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member (651) may include a first long hole (651a) and a plurality of grooves (651b).
일 실시 예에서, 제1 장홀(651a)은 제1 지지부(6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말뚝 핀(P)이 기둥(310)의 하측 단부와 지정된 거리 이내에서 불특정 위치에 배치되면, 제1 지지부(651)의 일부분이 상기 불특정 위치에 대응하여 기둥(31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도록 제1 지지부(65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hole (651a)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enter is ope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51), and when the pile pin (P) is placed at an unspecified position within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column (310),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51) can be adjusted so that a par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5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umn (310) corresponding to the unspecified position.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홈들(651b)은 제1 지지부(651)의 상부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말뚝 핀(P)이 배치된 위치 및 제1 장홀(651a)을 통하여 말뚝 핀(P)에 연결된 제1 지지부(651)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지지부(652)의 일측 단부가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grooves (651b)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51), and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pile pin (P) is arranged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51) connected to the pile pin (P) through the first long hole (651a),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52) can be supported so as to be fixed in a forced fit mann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지지부(652)는 제1 지지부(651)에 삽입된 말뚝 핀(P)의 위치에 기초하여, 말뚝 핀(P)의 상측 제2 부분(P2)이 제2 지지부(65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중간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652)는 제2 장홀(652a) 및 절곡턱(652c)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member (65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econd portion (P2) of the pile pin (P) is inserted in the midd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52)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ile pin (P) insert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651).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member (652) may include a second long hole (652a) and a bending projection (652c).
일 실시 예에서, 제2 장홀(652a)은 제2 지지부(6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계단 형태로 형성되고, 말뚝 핀(P)에 배치된 제1 장홀(651a)의 위치에 따라 제2 지지부(652)의 일측 단부가 복수의 홈들(651b) 중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제2 장홀(652a)은 길이 방향의 중심부 내측에 계단 형태의 경사면(652b)이 형성되어 제2 장홀(652a)의 어느 한 위치에 삽입된 말뚝 핀(P)의 상부가,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 연장에 따른 하중 증가 시 기둥(210)의 기울어짐에 저항하여 지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ong hole (652a) is formed in a step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52), and the position at which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52) is forcibly fit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651b)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long hole (651a) arranged on the pile pin (P). In particular, the second long hole (652a) has a step-shaped inclined surface (652b)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ngitudinal center,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pin (P) inserted into one position of the second long hole (652a) can be fixed in the position to maintain the designated position by resisting the tilting of the column (210) when the load increases due to the extension of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일 실시 예에서, 절곡턱(652c)은 제2 지지부(652)의 일측 단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홈들(651b) 중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nding jaw (652c)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52) and can be force-fit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651b).
즉, 바닥면(G)에 일부 매설된 말뚝 핀(P)의 제1 부분(P1)에 제1 지지부(651)가 삽입 배치되고, 제1 지지부(651)를 통해 노출된 말뚝 핀(P)의 제2 부분(P2)이 제2 장홀(652a)에 삽입되면, 체결용 너트 등을 이용해 말뚝 핀(P)과 제1 지지부(651) 및 제2 지지부(652)가 체결 고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a first support portion (651) is inserted and placed into a first portion (P1) of a pile pin (P) partially buried in a floor surface (G), and a second portion (P2) of the pile pin (P) exposed through the first support portion (651) is inserted into a second hole (652a), the pile pin (P)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65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652) can be fastened and fixed using a fastening nut or the like.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 랙의 조절된 크기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drawing showing adjusted sizes of a variable pallet ra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형 파렛트 랙(200)은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제1 상태(800a) 내지 제4 상태(800d)와 같이 여러 형태로 파렛트 보관 크기를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ariable pallet rack (200) can expand or reduce the pallet storage size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first state (800a) to the fourth state (800d), depending on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제1 상태(800a)를 참조하면, 가변형 파렛트 랙(200)은 제1 규격(예: 가로 1,300mm 세로 1,300cm)에 해당되는 파렛트의 규격에 기초하여,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를 2,990mm까지 늘릴 수 있다.Referring to the first state (800a), the variable pallet rack (200) can increase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to 2,990 mm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palle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pecification (e.g., 1,300 mm wide and 1,300 cm long).
제2 상태(800b)를 참조하면, 가변형 파렛트 랙(200)은 제2 규격(예: 가로 1,200mm 세로 1,200cm)에 해당되는 파렛트의 규격에 기초하여,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를 2,790mm까지 늘릴 수 있다.Referring to the second state (800b), the variable pallet rack (200) can increase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to 2,790 mm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palle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pecification (e.g., 1,200 mm wide and 1,200 cm long).
제3 상태(800c)를 참조하면, 가변형 파렛트 랙(200)은 제3 규격(예: 가로 1,100mm 세로 1,100cm)에 해당되는 파렛트의 규격에 기초하여,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를 2,590mm까지 늘릴 수 있다.Referring to the third state (800c), the variable pallet rack (200) can increase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220) to 2,590 mm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pallet corresponding to the third specification (e.g., 1,100 mm wide and 1,100 cm long).
제4 상태(800d)를 참조하면, 가변형 파렛트 랙(200)은 제4 규격(예: 가로 1,000mm 세로 1,000cm)에 해당되는 파렛트의 규격에 기초하여, 제1 수평 지지부(220)의 길이를 2,390mm까지 늘릴 수 있다.Referring to the fourth state (800d), the variable pallet rack (200) can increase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member (220) to 2,390 mm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pallet corresponding to the fourth specification (e.g., 1,000 mm wide and 1,000 cm lo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Claims (9)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들;
상기 복수의 기둥들 사이에서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각각은,
제1 길이를 갖는 제1 부분;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는 제2 부분;
제3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들 중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양쪽 끝 각각에 배치된 기둥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서 노출된 상기 연결부의 노출 정도, 또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서 노출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의 노출 정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기둥들 및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각각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사선인 방향으로 배치된 사선 고정대가 결합되고,
상기 사선 고정대의 일측은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사선 고정대의 타측은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사선 고정대는,
상기 한쌍의 수평 지지부의 양측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의 하측 단부와 지정된 거리 이내에서,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삽입된 말뚝 핀; 및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의 하측 단부에 일부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말뚝 핀과 연결되는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중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말뚝 핀의 상측 제1 부분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삽입된 상기 말뚝 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말뚝 핀의 상측 제2 부분이 중간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말뚝 핀이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의 하측 단부와 지정된 거리 이내에서 불특정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부분이 상기 불특정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장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말뚝 핀이 배치된 상기 불특정 위치 및 상기 제1 장홀을 통하여 상기 말뚝 핀에 연결된 상기 제1 지지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단부가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홈들을 포함하는, 가변형 파렛트 랙.In variable pallet racks,
A plurality of column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surface;
A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s,
Each of the abov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A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length;
A second part having a second length and connected to the first part;
having a third length and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The spacing between the columns arranged at each end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among the plurality of column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expos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r the degree of exposure of each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a diagonal fixing member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is coupled,
One side of the above diagonal fixing memb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llars,
The other side of the above diagonal fixing memb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The above diagonal fixing member is,
Provides support in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horizontal supports,
A pile pin inser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within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Including a fixing assembly connected to the pile pin, with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llars joined,
The above fixed assembly,
A first support member for allowing the upper first part of the pile pin to be inse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an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ile pin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a second support member is included so that the upper second part of the pile pin is inserted in the middle.
The above first support member,
A first hole formed in an open shape at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and when the pile pin is placed at an unspecified position within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s, a part of the first suppor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umns corresponding to the unspecified position, there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and
A variable pallet r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to be fixed in a force-fit manner based on the unspecified position at which the pile pin is arranged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pile pin through the first long hole.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1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 각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가변형 파렛트 랙.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part includes a first internal space that is open along a leng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ngth,
The second portion includes a second internal space open along a leng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ngth,
A variable pallet rack,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제1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오프닝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제2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오프닝들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오프닝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복수의 제2 오프닝들 중 어느 하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3 오프닝들이 형성되는, 가변형 파렛트 랙.In the first paragraph,
In the first part,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re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ngth,
In the second part,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are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ngth,
A variable pallet rack, wherein a plurality of third openings are formed in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each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상기 한쌍의 제1 수평 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상기 연결부가 지정된 길이에 대응되는 노출 정도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중 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중 보강대가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표면은 굴곡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가변형 파렛트 랙.In the first paragraph,
Each of the above pair of first horizontal supports,
Further comprising a load reinforcing member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exposed to an exposure degree corresponding to a specified length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 variable pallet rack, wherein the surfaces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any bends, when the load reinforcing member is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복수의 기둥들 각각에는, 상기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정렬된 복수의 거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은, 상기 거치 홈을 통해 상기 복수의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형 파렛트 랙.In the first paragraph,
In each of the above plurality of pillars,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are formed align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variable pallet rack, wherein each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is arrang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s through the mounting grooves.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계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말뚝 핀에 배치된 상기 제1 장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복수의 홈들 중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장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단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 중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절곡턱을 포함하는, 가변형 파렛트 랙.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ond support member,
A second long hole formed in a step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adjusting a position at which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forcibly fit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long hole arranged on the pile pin; and
A variable pallet rack comprising a bending projection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forcefully fit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101690A KR102751171B1 (en) | 2024-07-31 | 2024-07-31 | Variable pallet r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101690A KR102751171B1 (en) | 2024-07-31 | 2024-07-31 | Variable pallet rack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51171B1 true KR102751171B1 (en) | 2025-01-09 |
Family
ID=942376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101690A Active KR102751171B1 (en) | 2024-07-31 | 2024-07-31 | Variable pallet rac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51171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254997A1 (en) * | 2005-04-11 | 2006-11-16 | Ridg-U-Rak, Inc. | Storage Rack Vibration Isolators and Related Storage Racks |
| KR20120013564A (en) * | 2010-08-05 | 2012-02-15 | (주) 지트시스템 | Adjustable rack structure |
| KR101941540B1 (en) * | 2018-12-04 | 2019-01-23 | 정형산 | Pallet rack |
| KR102598218B1 (en) | 2022-11-17 | 2023-11-03 | 주식회사 설택 | Bracket for Load Beam Combination of Pallet-Rack |
| KR20240039807A (en) | 2022-09-20 | 2024-03-27 | 주식회사 로지플러스 | Pallet track and its load beam coupling bracket |
-
2024
- 2024-07-31 KR KR1020240101690A patent/KR1027511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254997A1 (en) * | 2005-04-11 | 2006-11-16 | Ridg-U-Rak, Inc. | Storage Rack Vibration Isolators and Related Storage Racks |
| KR20120013564A (en) * | 2010-08-05 | 2012-02-15 | (주) 지트시스템 | Adjustable rack structure |
| KR101941540B1 (en) * | 2018-12-04 | 2019-01-23 | 정형산 | Pallet rack |
| KR20240039807A (en) | 2022-09-20 | 2024-03-27 | 주식회사 로지플러스 | Pallet track and its load beam coupling bracket |
| KR102598218B1 (en) | 2022-11-17 | 2023-11-03 | 주식회사 설택 | Bracket for Load Beam Combination of Pallet-Rack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705424B2 (en) | Pallet rack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items on a pallet rack system - Patents.com | |
| US20160137413A1 (en) | Storage shelf | |
| CN114206739A (en) | Shipping pallet and/or pallet therefor | |
| KR102751171B1 (en) | Variable pallet rack | |
| JP6995356B2 (en) | palette | |
| JP7732258B2 (en) | Support and Carrying Equipment | |
| JP7488029B2 (en) | Automated Warehouse System | |
| KR102151311B1 (en) | Assembly type stacking rack | |
| KR102709628B1 (en) | Rack seismic isolation device | |
| JP7515525B2 (en) | Pillar and beam connection structure | |
| JP6603735B2 (en) | Rack and storage system with pallet function | |
| KR101929824B1 (en) | Transportation case for car components | |
| KR20240039807A (en) | Pallet track and its load beam coupling bracket | |
| JP7578072B2 (en) | Support and Carrier | |
| JPH0243112A (en) | Shelf facility | |
| JP7355383B2 (en) | palette | |
| JP7243679B2 (en) | Goods storage shelf | |
| JP2020183271A (en) | Pallet supporter | |
| KR200493532Y1 (en) | Stacking rack with improved stiffness and anti-slip function | |
| KR20240001991U (en) | Post base with vertical columns of pallet-racks fixed | |
| KR102294711B1 (en) | Unmanned transfer and lifting vehicle | |
| JP5428153B2 (en) | Storage shelves and automated warehouses | |
| KR200207701Y1 (en) | Semiconductor Wafer Carrying Cart | |
| JP2021046271A (en) | rack | |
| JP3242970U (en) | nesting rac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7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8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2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