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3973B1 - Mr damp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r damp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3973B1
KR102753973B1 KR1020220153637A KR20220153637A KR102753973B1 KR 102753973 B1 KR102753973 B1 KR 102753973B1 KR 1020220153637 A KR1020220153637 A KR 1020220153637A KR 20220153637 A KR20220153637 A KR 20220153637A KR 102753973 B1 KR102753973 B1 KR 102753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vehicle
cover part
fl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71756A (en
Inventor
이은준
Original Assignee
(주)이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샥스 filed Critical (주)이샥스
Priority to KR102022015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3973B1/en
Publication of KR2024007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1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397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향상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MR 댐퍼를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용 MR 댐퍼는 실린더부, 로드, 본체부, 플럭스링부,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를 포함한다. 실린더부의 내부에는 MR 유체가 채워진다. 로드는 실린더부의 외부로 연장된다. 본체부는 로드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실린더부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실린더부의 내부를 압축 공간과 신장 공간으로 나눈다. 플럭스링부는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실린더부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며, 본체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MR 유체가 이동하는 간극을 형성한다. 제1커버부는 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압축 공간에 위치되고, 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슬롯을 가진다. 제2커버부는 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신장 공간에 위치되고, 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슬롯을 가진다. 제1커버부는 압축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경사면을 가지고, 제2커버부는 신장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경사면을 가진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MR damper capable of providing improved ride quality. Here, the vehicle MR damper includes a cylinder portion, a rod, a main body portion, a flux ring portion, a first cover portion, and a second cover portion. The inside of the cylinder portion is filled with MR fluid. The ro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d and reciprocates inside the cylinder portion to divide the inside of the cylinder portion into a compression space and an extension space. The flux ring portion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and forms a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through which MR fluid moves. The first cover port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positioned in the compression space, and has a first slot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ap. The second cover por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positioned in the extension space, and has a second slot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ap. The first cover par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space and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over par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expansion space and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Description

차량용 MR 댐퍼{MR DAMPER FOR VEHICLE}MR DAM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MR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향상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MR 댐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R damp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MR damper capable of providing improved ride comfort.

일반적으로, 자기유변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 이하 'MR 유체'라 한다)는 자기장 하에서 입자가 체인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MR 유체와 전자석을 이용하면 전류의 세기에 따라 저항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현가 장치에 적용되는 차량용 MR댐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Magneto-Rheological Flu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MR fluid') generates resistance to the flow of fluid by forming chains of particles under a magnetic field. Since the resistance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by using such MR fluid and an electromagnet, it is widely used as an MR damper for vehicles applied to the suspension system of vehicles.

이와 같은 차량용 MR댐퍼는 실질적인 댐퍼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황 마다 다른 감쇠계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압축 운동에서는 낮은 감쇠력이 요구되고, 신장 운동에서는 높은 감쇠력이 요구된다.In order to secure the actual damper performance, such vehicle MR dampers require different damping coefficien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low damping force is required in compression motion, and high damping force is required in extension motion.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MR댐퍼는 이러한 감쇠력 제어가 즉각적이지 못하여 향상된 승차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vehicle MR damper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provide improved ride comfort because the damping force control is not immediat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2-0109503호(2022.08.05.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2-0109503 (Published on August 5, 202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향상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MR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R damper capable of providing improved ride comfor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MR 유체가 채워진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를 압축 공간과 신장 공간으로 나누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MR 유체가 이동하는 간극을 형성하는 플럭스링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슬롯을 가지는 제1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신장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슬롯을 가지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압축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1경사도를 이루는 제1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신장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2경사도를 이루는 제2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경사도는 상기 제2경사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MR 댐퍼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er part filled with MR fluid; a ro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part; a main body part coupled to one end of the rod and reciprocating inside the cylinder part to divide the inside of the cylinder part into a compression space and an expansion space; a flux ring part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move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and forms a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through which the MR fluid moves; a first cover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art, positioned in the compression space, and having a first slot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ap; And a second cover part having a second slo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art and positioned in the extens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gap, wherein the first cover part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space and forms a first slope between 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and the second cover part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space and forms a second slope between 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and the first slope is smaller than the second slo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본체부 몸체와, 상기 본체부 몸체에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과, 상기 본체부 몸체의 일단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를 가지며,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헤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홀이 개방되지 않도록 덮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has a main body body, a mounting hole formed penetrating the main body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a head formed protruding at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allow the head to be inserted, and can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mounting hole so that it is not ope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헤드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MR 유체가 상기 장착홀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실링 부재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part may have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o block MR fluid from moving into the mounting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 중 하나 이상은 곡선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s a curved inclined surfac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버부는 압축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경사면을 가지고, 제2커버부는 신장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점도의 MR 유체를 사용함에도 발열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높은 상대 속도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감쇠력 증가 현상이 억제되어 제어가능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빠른 가진 속도에서도 감쇠력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space and have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expansion space and have a second inclined surface. Through this, even when using a high-viscosity MR fluid, the heat generation phenomen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phenomenon of a rapid increase in damping force occurring at a high relative speed can be suppressed, thereby expanding the controllable range. In addition, since damping force control is possible even at a high excitation speed, the ride comfort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경사면의 경사도가 제2경사면의 경사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부가 압축 이동 시에 감쇠력이 본체부가 신장 이동 시에 감쇠력보다 작아 향상된 차량 승차감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of the first slope can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lope of the second slope. Through this, the damping force when the main body moves in compression is smaller than the damping force when the main body moves in extension, so that an improved vehicle ride quality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에서 실린더부를 절개하여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제1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제1커버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제2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비교예로서의 차량용 MR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 및 도 6의 비교예의 감쇠력 특성(F-V선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ylinder section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ver part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centered on the first cover part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ver part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MR damper as a comparative example.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FV diagram)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first cover part and a second cover part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join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에서 실린더부를 절개하여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through a cylinder por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MR 댐퍼는 실린더부(100), 로드(200), 본체부(300), 플럭스링부(400), 제1커버부(500) 및 제2커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ehicle MR damper may include a cylinder portion (100), a rod (200), a main body portion (300), a flux ring portion (400), a first cover portion (500), and a second cover portion (600).

실린더부(100)의 내측에는 MR 유체(150)가 채워질 수 있다. 실린더부(100)의 일단부는 막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단부에는 캡(190)이 결합되어 MR 유체(150)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실린더부(100)는 차량의 차체 구조물(미도시) 또는 차량의 바퀴 구조물(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cylinder part (100) can be filled with MR fluid (150). One end of the cylinder part (100) can be formed to be blocked, and a cap (190) can be coupled to the other end to block the outflow of the MR fluid (150). The cylinder part (100) can be connected to a body structure (not shown) of a vehicle or a wheel structure (not shown) of a vehicle.

로드(200)는 캡(190)을 통과해서 실린더부(100)의 내부 및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실린더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The rod (200) can extend into and out of the cylinder part (100) through the cap (190), and can be reciproca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part (10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본체부(300)는 로드(20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실린더부(100) 내부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본체부(300)에 의해 실린더부(100)의 내부는 압축 공간(S1)과 신장 공간(S2)으로 나뉠 수 있다. The main body (3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d (200) and can reciprocally move inside the cylinder (100). The inside of the cylinder (100) can be divided into a compression space (S1) and an expansion space (S2) by the main body (300).

차량용 MR 댐퍼가 도 1과 같이 설치되는 경우, 차량이 하측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는 본체부(300)가 하향 이동되어 압축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 차량의 리바운드(Rebound) 운동에서는 본체부(300)가 상향 이동되어 신장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When a vehicle MR damper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1, when the vehicle receives a downward force, the main body (300) moves downward to cause a compress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rebounds, the main body (300) moves upward to cause an extension process.

이하에서는, 편의상 압축 과정이 이루어질 때 본체부(300)가 이동되는 방향의 공간, 즉 도 1 및 2를 참고했을 때, 본체부(300)를 기준으로 실린더부(100)의 하측 공간을 압축 공간(S1)으로 정의하고, 신장 과정이 이루어질 때 본체부(300)가 이동되는 방향의 공간, 즉, 본체부(300)를 기준으로 실린더부(100)의 상측 공간을 신장 공간(S2)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 하측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sp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300) moves when the compression process is performed, that is, the space below the cylinder part (1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00)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s defined as a compression space (S1), and the sp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300) moves when the expansion process is performed, that is, the space above the cylinder part (1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00), is defined as an expansion space (S2). In addition, for convenience,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are defin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plained.

상세히, 본체부(300)는 본체부 몸체(310), 장착홀(320) 및 헤드(330)를 가질 수 있다.In detail, the main body (300) may have a main body body (310), a mounting hole (320), and a head (330).

본체부 몸체(310)는 본체부(3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장착홀(320)은 본체부 몸체(310)에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헤드(330)는 본체부 몸체(310)의 하단부 중앙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홀(320)은 헤드(3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310) can form the body of the main body (300), and the mounting hole (320) can be form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310)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The head (330) can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310), and the mounting hole (320) can be formed to penetrate the head (330).

로드(200)의 하단부는 장착홀(320)의 상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로드(200)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홀(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자기코일(700), 전선(240) 등은 관통홀(210)을 통해 장착홀(320)로 삽입될 수 있다. 장착홀(320)에는 자기코일(700), 전선(240) 등을 위한 터미널(250)이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rod (20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hole (320). A through hole (210) can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in the rod (200), and a magnetic coil (700), a wire (240), etc.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320) through the through hole (210). A terminal (250) for the magnetic coil (700), the wire (240), etc. can be provided in the mounting hole (320).

플럭스링부(400)는 본체부 몸체(310)의 외주면(311)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실린더부(100)의 내주면(401)과 밀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플럭스링부(400)는 본체부 몸체(310)의 외주면(311)과의 사이에 MR 유체(150)가 이동하는 간극(G)을 형성할 수 있다. 간극(G)을 통해, 압축 공간(S1)의 MR 유체는 신장 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있고, 신장 공간(S2)의 MR 유체는 압축 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lux ring part (40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311) of the main body (310) and can be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401) of the cylinder part (100). The flux ring part (400) can form a gap (G) between the main body (310) and the outer surface (311) through which the MR fluid (150) moves. Through the gap (G), the MR fluid in the compression space (S1) can move to the expansion space (S2), and the MR fluid in the expansion space (S2) can move to the compression space (S1).

자기코일(700)은 본체부 몸체(310)에 감기도록 구비되고, 자기코일(7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이 간극(G)으로 전달되어 MR 유체(150)의 점도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면 본체부(300)의 이동 저항이 커지게 되고, 이를 통해, 감쇠력이 제어될 수 있다. The magnetic coil (700) is provided to be wound around the main body (310), and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magnetic coil (700), a magnetic field is transmitted to the gap (G), so that the viscosity of the MR fluid (150) can increase. Then, the movement resistance of the main body (300) increases, and through this, the damping force can be controlled.

플럭스링부(400)는 하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411)과, 상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421)을 가질 수 있다.The flux ring part (400) may have a first screw thread (41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art and a second screw thread (42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ar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제1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ver part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커버부(500)는 본체부(3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압축 공간(S1)에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As seen in FIGS. 2 and 3, the first cover part (500) can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300) and positioned to face the compression space (S1).

구체적으로, 제1커버부(500)는 삽입홈(510), 제3나사산(520), 제1슬롯(530) 및 제1경사면(540)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ver part (500)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510), a third screw thread (520), a first slot (530),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540).

삽입홈(510)은 제1커버부(5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510)으로는 본체부 몸체(310)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330)가 삽입될 수 있다. An insertion groove (510) may be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first cover portion (500), and a head (330)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10).

제3나사산(520)은 제1커버부(5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 내측에 형성된 제1나사산(41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third screw thread (520) can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can be screw-connect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41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flux ring part (400).

제1커버부(500)가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본체부 몸체(3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면, 제1커버부(500)는 본체부 몸체(310)에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320)을 덮게 되어 장착홀(320)이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ver part (500) is screw-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ux ring part (400) a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310), the first cover part (500) covers the mounting hole (320) formed through the main body (310), thereby preventing the mounting hole (320) from being opened.

제1슬롯(530)은 제1커버부(500)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롯(530)은 간극(G)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공간(S1)의 MR 유체(150)는 제1슬롯(530)을 통해 간극(G)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반대로 간극(G)의 MR 유체(150)는 제1슬롯(530)을 통해 압축 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slot (530)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500), and a plurality of slots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he first slot (530) may be connected to the gap (G). Accordingly, the MR fluid (150) of the compression space (S1) may move to the gap (G) through the first slot (530), and conversely, the MR fluid (150) of the gap (G) may move to the compression space (S1) through the first slot (53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제1커버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centered on the first cover part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커버부(500)가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 몸체(310)에 결합되면, 제1커버부(500)의 상면과 본체부 몸체(310)의 하면 사이에는 제1밀착영역(P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부(500)의 삽입홈(510)의 내주면(511)과 본체부 몸체(310)의 헤드(330)의 외주면(331) 과의 사이에는 제2밀착영역(P2)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first cover part (500) is screw-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lux ring part (400)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310), a first contact area (P1) can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0). In addition, a second contact area (P2) can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511) of the insertion groove (510) of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the outer surface (331) of the head (330) of the main body (310).

제1밀착영역(P1)에 더해서, 헤드(330) 및 삽입홈(510)에 의해 형성되는 제2밀착영역(P2)에 의해 제1커버부(500)와 본체부 몸체(310) 사이의 밀착 면적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슬롯(530) 또는 간극(G)의 MR 유체가 제1커버부(500) 및 본체부 몸체(310) 사이를 통해 본체부 몸체(310)의 장착홀(3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first contact area (P1),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the main body (310) can be increased by the second contact area (P2) formed by the head (330) and the insertion groove (510). Through this, the MR fluid of the first slot (530) or gap (G)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mounting hole (320) of the main body (31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the main body (310).

다시 말하면, 제1커버부(500)가 장착홀(320)의 하단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제1밀착영역(P1) 및 제2밀착영역(P2)에 의해 제1커버부(500) 및 본체부 몸체(310) 사이의 틈새 경로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제1슬롯(530) 또는 간극(G)의 MR 유체(150)가 본체부 몸체(310)의 장착홀(320)로 스며드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cover part (500) is formed to cover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hole (320), and the gap path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the main body (310) is increased by the first contact area (P1) and the second contact area (P2), so that the MR fluid (150) of the first slot (530) or gap (G)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seeping into the mounting hole (320) of the main body (310).

더하여, 제1커버부(500)는 실링 부재(550)를 가질 수 있다. 실링 부재(550)는 헤드(330)의 외주면(331)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어 헤드(330)의 외주면(331)과 삽입홈(510)의 내주면(5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밀착영역(P2)의 기밀성을 높여 MR 유체(150)가 장착홀(320)로 이동되는 누유 문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ver part (500) may have a sealing member (550). The sealing member (550) may be provided to circumferentially surround the outer surface (331) of the head (330) and may be placed between the outer surface (331) of the head (330) and the inner surface (511) of the insertion groove (510). Through this, the airtightness of the second contact area (P2) may be increased, and the leakage problem of the MR fluid (150) moving to the mounting hole (320)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제2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ver part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커버부(600)는 본체부(30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신장 공간(S2)에 위치될 수 있다.As seen in FIG. 2 and FIG. 5, the second cover part (600) can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300) and positioned in the extension space (S2).

구체적으로, 제2커버부(600)는 결합홀(610), 제4나사산(620), 제2슬롯(630) 및 제2경사면(640)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cover part (600) may have a joining hole (610), a fourth screw thread (620), a second slot (630),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640).

결합홀(610)은 제2커버부(600)에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610)로는 로드(200)가 삽입될 수 있다. A coupling hole (610) can be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cover part (600)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 rod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610).

제4나사산(620)은 제2커버부(6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럭스링부(400)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된 제2나사산(42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fourth screw thread (620) can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600) and can be screw-connected with the second screw thread (42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flux ring part (400).

더하여, 제2커버부(600)는 제1키홈(650)을 가질 수 있다. 제1키홈(650)은 결합홀(610)의 내주면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ver part (600) may have a first key groove (650). The first key groove (65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610).

또한, 로드(20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제1키홈(650)에 대응되는 제2키홈(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키홈(650) 및 제2키홈(220)에는 키링(66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로드(20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기밀링(6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key groove (2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groove (65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200), and a key ring (66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key groove (650) and the second key groove (220). In addition, a sealing ring (67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200).

제1키홈(650) 및 제2키홈(220)에 키링(6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커버부(600)가 플럭스링부(40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면, 키링(660)은 본체부 몸체(310)와 제2커버부(60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고, 로드(200)가 본체부 몸체(310)에서부터 상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본체부 몸체(310)를 구속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cover part (600) is screw-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ux ring part (400) while the key ring (660) is connected to the first key home (650) and the second key home (220), the key ring (660) can be fixed between the main body (310) and the second cover part (600), and can restrain the main body (310) so that the rod (200) is not separated upward from the main body (310).

제2슬롯(630)은 제2커버부(600)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롯(630)은 간극(G)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신장 공간(S2)의 MR 유체(150)는 제2슬롯(630)을 통해 간극(G)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반대로 간극(G)의 MR 유체(150)는 제2슬롯(630)을 통해 신장 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slot (630)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ver portion (600), and a plurality of slots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he second slot (630) may be connected to the gap (G). Accordingly, the MR fluid (150) of the extension space (S2) may move to the gap (G) through the second slot (630), and conversely, the MR fluid (150) of the gap (G) may move to the extension space (S2) through the second slot (63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커버부(500)의 하부는 압축 공간(S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커버부(500)의 하부에는 제1경사면(5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슬롯(530)의 하단부는 제1경사면(5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ver part (50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space (S1) and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and accordingly, a first inclined surface (54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ver part (500).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lot (530) may be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540).

이렇게 되면, 제1경사면(540) 및 제1슬롯(530)은 구배축소(Gradual Contraction) 관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본체부(300)가 하향 이동 시에 압축 공간(S1)의 MR 유체(150)가 제1슬롯(530)으로 유입될 때, 유동 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540) and the first slot (530) are in the form of a gradient contraction tube, when the main body (300) moves downward and the MR fluid (150) of the compression space (S1) flows into the first slot (530), the flow resistance can be reduced.

그리고, 제1슬롯(530)의 하단부는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410)보다 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lot (530)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lower part (410) of the flux ring part (400).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커버부(500)의 하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제1슬롯(530)의 하단부 중에서 제1커버부(500)의 반경방향 쪽의 하단부(531)는 제1커버부(500)의 중심방향 쪽의 하단부(532)보다 더 상측에 형성되게 되는데, 제1슬롯(530)의 하단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위치의 하단부(531)도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410)보다는 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슬롯(530)의 하단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위치의 하단부(531)도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410)에서부터 제1거리(D1) 만큼은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ver part (500)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lower part (531)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lot (530)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part (500) is formed higher than the lower part (532) of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part (500). The lower part (531) at the relatively highest position among the lower parts of the first slot (530) may also be formed lower than the lower part (410) of the flux ring part (400). That is, the lower part (531) at the relatively highest position among the lower parts of the first slot (530) may also be formed lower by a first distance (D1) from the lower part (410) of the flux ring part (400).

만일,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410)가 제1슬롯(530)의 하단부(53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면, 제1슬롯(530)의 하측 영역(S11)이 굴곡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본체부 몸체(310)가 하향 이동 시에, 제1슬롯(530)의 하측 영역(S11)에서는 MR 유체(150)의 와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MR 유체(150)가 제1슬롯(530)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 저항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If the lower portion (410) of the flux ring portion (40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portion (531) of the first slot (530), the lower region (S11) of the first slot (530) is formed to be curved, so that when the main body (310) moves downward, a vortex phenomenon of the MR fluid (150) may occur in the lower region (S11) of the first slot (530). This may act as a cause of flow resistance that prevents the MR fluid (150) from smoothly flowing into the first slot (530).

그러나, 제1슬롯(530)의 하단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위치의 하단부(531)가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410)보다 더 하측에 형성되면, 본체부 몸체(310)가 하향 이동 시에 이러한 와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어 MR 유체(150)가 제1슬롯(530)으로 더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However, if the lower part (531) at the relatively highest position among the lower parts of the first slot (530) is formed lower than the lower part (410) of the flux ring part (400), such a vortex phenomenon may not occur when the main body (310) moves downward, and the flow resistance may be reduced, so that the MR fluid (150) may flow more stably and smoothly into the first slot (530).

그리고, 통상적으로 MR 유체의 점도는 일반 댐퍼 오일의 점도와 비교했을 때 매우 크다. 따라서, 자기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동 저항에 의해 심한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And, the viscosity of MR fluid is usually very large compared to the viscosity of general damper oil. Therefore, even when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magnetic coil, severe heat generation occurs due to flow resistance.

또한, 통상적으로 MR 유체의 점도는 일반 댐퍼 오일의 점도와 비교했을 때 매우 크기 때문에, 본체부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 자기코일에 의한 자기장의 영향에 의한 감쇠력보다 MR 유체의 점도에 의한 감쇠력 효과가 커질 수 있다. 이는 전류 인가에 의한 제어 효율성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됨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는 승차감 및 주행안전성의 효과 저하를 야기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viscosity of MR fluid is usually much larger than that of general damper oil,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main body increases, the damping force effect due to the viscosity of MR fluid may be greater than the damping force due to the magnetic field by the magnetic coil. This means that the control efficiency due to current application is rapidly reduced, and therefore, this may cause a decrease in the effect of ride comfort and driving safety.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경사면(540)이 형성되고, 제1슬롯(530)의 하단부가 모두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410)보다 더 하측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동 저항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고점도의 MR 유체를 사용함에도 발열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높은 상대 속도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감쇠력 증가 현상이 억제되어 제어가능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빠른 가진 속도에서도 감쇠력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다.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540) and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slot (530) further down than the lower end (410) of the flux ring portion (400), the flow resistance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rough this, even when using a high-viscosity MR fluid, the heat generation phenomen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phenomenon of a rapid increase in damping force occurring at a high relative speed can be suppressed, thereby expanding the controllable range. In addition, since damping force control is possible even at a high excitation speed, the ride comfort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그리고, 제2커버부(600)는 본체부(30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신장 공간(S2)에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ver part (600) can be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300) and positioned to face the extension space (S2).

또한, 제2커버부(600)의 상부는 신장 공간(S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커버부(600)의 상부에는 제2경사면(6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슬롯(630)의 상단부는 제2경사면(6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ver part (600)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by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space (S2), and accordingly, a second inclined surface (6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over part (600).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lot (63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40).

이렇게 되면, 제2경사면(640) 및 제2슬롯(630)도 완만한 축소관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본체부(300)가 상향 이동 시에 신장 공간(S2)의 MR 유체(150)가 제2슬롯(630)으로 유입될 때, 유동 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second slope (640) and the second slot (630) also take the form of a gentle reduction pipe, when the main body (300) moves upward and the MR fluid (150) of the extension space (S2) flows into the second slot (630), the flow resistance can be reduced.

그리고, 제2슬롯(630)의 상단부는 플럭스링부(400)의 상단부(420)보다 더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커버부(600)에서도, 제2슬롯(630)의 상단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위치의 상단부(631)는 플럭스링부(400)의 상단부(420)에서부터 제2거리(D2) 만큼은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부 몸체(310)가 상향 이동 시에, 제2슬롯(630)의 상측 영역(S21)에서는 MR 유체(150)의 와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어 MR 유체(150)가 제2슬롯(630)으로 더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점도의 MR 유체를 사용함에도 발열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높은 상대 속도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감쇠력 증가 현상이 억제되어 제어가능 범위가 확대될 수 있으며, 빠른 가진 속도에서도 감쇠력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다.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lot (630)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part (420) of the flux ring part (400). That is, in the second cover part (600), the upper part (631) of the second slot (630) at a relatively lowest position may be formed higher from the upper part (420) of the flux ring part (400) by a second distance (D2). Through this, when the main body (310) moves upward, the vortex phenomenon of the MR fluid (150) may not occur in the upper region (S21) of the second slot (630), and the flow resistance may be reduced, so that the MR fluid (150) may be more stably and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slot (630). In addition, even when using high viscosity MR fluid, the heat generation phenomen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 phenomenon of rapid increase in damping force that occurs at high relative speeds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controllable range can be expanded, and since damping force control is possible even at high excitation speeds, the ride comfort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한편, 앞에서는 제1커버부(500)와 플럭스링부(400), 제2커버부(600)와 플럭스링부(400)가 각각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나사 결합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the flux ring part (400), and the second cover part (600) and the flux ring part (400) are each connected by screw connection,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crew connection method and may be connected in other ways.

도 6은 비교예로서의 차량용 MR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MR damper as a comparative example.

도 6의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에서는 제1커버부(50)의 중앙에 오픈홀(52)이 형성되며, 제1커버부(50)의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41)가 제1슬롯(53)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며, 제2커버부(60)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플럭스링부(400)의 상단부(42)가 제2슬롯(63)보다 더 상측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와 차이가 있다.In the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6, an open hole (5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cover part (50),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0) is formed flat, the lower portion (41) of the flux ring part (40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slot (53),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60) is formed flat, and the upper portion (42) of the flux ring part (40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slot (63), which is different from the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차량용 MR 댐퍼에서는, 제1커버부(50)의 하면 및 제1슬롯(53)이 급격한 축소(Sudden Contraction)관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본체부(300)가 하향 이동 시에 압축 공간의 MR 유체가 제1슬롯(53)으로 유입될 때, 유동 저항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자기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동 저항에 의해 심한 발열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vehicle MR damper of Fig. 6,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0) and the first slot (53) are in the form of a sudden contraction tube, when the main body part (300) moves downward and the MR fluid in the compressed space flows into the first slot (53), the flow resistance may increase. Accordingly, even when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magnetic coil, severe heat generation may occur due to the flow resistance.

또한, 플럭스링부(400)의 하단부(41)가 제1슬롯(53)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본체부(300)가 하향 이동 시에, 제1슬롯(530)의 하측 영역에서는 MR 유체의 와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MR 유체가 제1슬롯(53)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 저항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wer part (41) of the flux ring part (40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slot (53), when the main body part (300) moves downward, a vortex phenomenon of the MR fluid may occur in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slot (530), and this may act as a cause of flow resistance that prevents the MR fluid from smoothly flowing into the first slot (53).

마찬가지로, 제2커버부(60)의 상면 및 제2슬롯(63)도 급격한 축소관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본체부(300)가 상향 이동 시에 신장 공간의 MR 유체가 제2슬롯(63)으로 유입될 때, 유동 저항이 커질 수 있고, 유동 저항에 의해 심한 발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플럭스링부(400)의 상단부(42)가 제2슬롯(63)보다 더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본체부(300)가 상향 이동 시에, 제2슬롯(630)의 상측 영역에서는 MR 유체의 와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MR 유체가 제2슬롯(63)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 저항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Likewis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60) and the second slot (63) are in the form of a rapidly contracting tube, when the main body part (300) moves upward and the MR fluid in the extension space flows into the second slot (63), the flow resistance may increase and severe heat generation may occur due to the flow resistance. In addition, since the upper part (42) of the flux ring part (400) is located higher than the second slot (63), when the main body part (300) moves upward, a vortex phenomenon of the MR fluid may occur in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slot (630), and this may act as a cause of the flow resistance that prevents the MR fluid from smoothly flowing into the second slot (63).

차량용 MR 댐퍼에서는 자기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본체부(300)가 철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부(50,500) 및 제2커버부(60,600)는 비철금속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알루미늄은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비교예에서와 같이 제1커버부(50) 및 제2커버부(60)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면 본체부(300)가 왕복 이동함에 따라, 제1커버부(50) 또는 제2커버부(60)가 본체부(300)에서부터 들뜨거나 휘는 등의 형상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커버부(50) 및 제2커버부(60)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되면,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재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vehicle MR damper, in order to form a magnetic field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magnetic coil, the main body (300) may be formed of an iron material. In addition, the first cover part (50, 500) and the second cover part (60, 600) may be formed of a non-ferrous metal material, for example, aluminum. However, since aluminum has low strength, if the first cover part (50) and the second cover part (60) are formed in a flat shape as in the comparative example, as the main body part (300) reciprocates, the first cover part (50) or the second cover part (60) may be deformed, such as being lifted or bent from the main body part (300).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ver part (50) and the second cover part (60) may be increased, but this may cause problems such as increased weight and increased material costs.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커버부(500)에 제1경사면(540)이 형성되고, 제2커버부(600)에 제2경사면(640)이 형성되면, 제1커버부(500) 및 제2커버부(600)의 형상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커버부(500) 및 제2커버부(600)의 내구성도 증가될 수 있다.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540) is formed on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40) is formed on the second cover part (600),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the second cover part (600) can be prevented, and through this, the durability of the first cover part (500) and the second cover part (600) can also be increased.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부(100)의 내주면(110)과 제1경사면(540)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를 제1경사도(A1)라고 하고, 실린더부(100)의 내주면(110)과 제2경사면(640)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를 제2경사도(A2)라고 할 때, 제1경사도(A1)는 제2경사도(A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경사면(540)이 제2경사면(640)보다 더욱 급격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nd, as seen in Fig. 2,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10) of the cylinder part (100)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54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inclination (A1), an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10) of the cylinder part (10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40)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inclination (A2), the first inclination (A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inclination (A2). That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540) may be formed to have a steeper inclination tha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40).

제1경사도(A1)가 제2경사도(A2)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본체부 몸체(310)가 하향 이동되는 압축 과정 시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감쇠력이 발생할 수 있고, 본체부 몸체(310)가 상향 이동되는 신장 과정 시에는 상대적으로 큰 감쇠력이 발생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slope (A1) is formed smaller than the second slope (A2), a relatively small damping force can be generated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in which the main body (310) moves downward, and a relatively large damping force can be generated during the extension process in which the main body (310) moves upwar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 및 도 6의 비교예의 감쇠력 특성(F-V선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F-V diagram)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6.

차량의 승차감 향상을 위해서는 압축 방향으로는 낮은 감쇠력 발생 특성이 나타내야 하고, 신장 방향으로는 높은 감쇠력 발생 특성을 나타내야 하는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경사도(A1)가 제2경사도(A2)보다 작게 형성되면, 본체부(300)가 압축 이동 시에 감쇠력(B1)은 본체부(300)가 신장 이동 시에 감쇠력(B2)보다 작아 비대칭을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상된 차량 승차감이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ride comfort of a vehicle, it is necessary to exhibit low damping force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and high damping force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the extension direction. As shown in FIG. 7, if the first inclination (A1) is formed smaller than the second inclination (A2), the damping force (B1) when the main body (300) moves in compression may be smaller than the damping force (B2) when the main body (300) moves in extension, thereby forming an asymmetry, and through this, an improved vehicle ride comfort may be provided.

반면, 도 6의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는 제1커버부(50)의 하면과 제2커버부(60)의 상면이 모두 평평하기 때문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 방향의 감쇠력(C1) 특성과 신장 방향의 감쇠력(C2) 특성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승차감 향상에 제한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60) of the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6 are both flat, as shown in Fig. 7, the damping force (C1) characteristic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and the damping force (C2) characteristic in the extension direction are formed symmetrically, and therefore, the improvement in ride comfort may be limi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MR 댐퍼의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first cover part and a second cover part of a vehicle MR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경사면(540a) 및 제2경사면(640a) 중 하나 이상은 곡선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at least on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540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40a) can be formed as a curved inclined surface.

여기서, 곡선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형태의 곡선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록한 형태의 곡선 형상일 수도 있다.Here, the curve shape may be a concave curve shape as show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a convex curve shap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실린더부 200: 로드
300: 본체부 330: 헤드
400: 플럭스링부 500: 제1커버부
540: 제1경사면 550: 실링 부재
600: 제2커버부 640: 제2경사면
700: 자기코일
100: Cylinder part 200: Rod
300: Body 330: Head
400: Flux ring part 500: First cover part
540: 1st slope 550: Sealing member
600: 2nd cover 640: 2nd slope
700: Magnetic coil

Claims (5)

MR 유체가 채워진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를 압축 공간과 신장 공간으로 나누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MR 유체가 이동하는 간극을 형성하는 플럭스링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슬롯을 가지는 제1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신장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간극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슬롯을 가지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압축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1경사도를 이루는 제1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신장 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2경사도를 이루는 제2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경사도는 상기 제2경사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MR 댐퍼.
Cylinder section filled with MR fluid;
A rod extending outside the above cylinder portion;
A main body part coupled to one end of the above load and reciprocating inside the cylinder part to divide the inside of the cylinder part into a compression space and an expansion space;
A flux r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and forms a gap through which the MR fluid moves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A first cover part having a first slot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ap and positioned in the compression spa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art; and
A second cover par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art and has a second slot formed to be positioned in the extens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gap.
The first cover portion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space and forms a first slop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expansion space and forms a second slop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An MR damp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lope is smaller than the second slo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본체부 몸체와, 상기 본체부 몸체에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과, 상기 본체부 몸체의 일단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헤드를 가지며,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헤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홀이 개방되지 않도록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MR 댐퍼.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ain body has a main body, a mounting hole formed penetrating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a head formed protruding at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main body.
A vehicle MR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ver part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so that the head is inserted, and is join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part to cover the mounting hole so that it is not open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헤드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MR 유체가 상기 장착홀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실링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MR 댐퍼.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first cover part
A vehicle MR damper characterized by having a sealing member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o block MR fluid from moving into the mount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 중 하나 이상은 곡선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MR 댐퍼.
In the first paragraph,
An MR damp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inclined surface.
삭제delete
KR1020220153637A 2022-11-16 2022-11-16 Mr damper for vehicle Active KR1027539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637A KR102753973B1 (en) 2022-11-16 2022-11-16 Mr damp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637A KR102753973B1 (en) 2022-11-16 2022-11-16 Mr damp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1756A KR20240071756A (en) 2024-05-23
KR102753973B1 true KR102753973B1 (en) 2025-01-14

Family

ID=9128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637A Active KR102753973B1 (en) 2022-11-16 2022-11-16 Mr damp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397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2013A (en) 2012-05-22 2013-12-05 Somic Ishikawa Inc Bra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8761B2 (en) * 2008-06-02 2014-03-12 ロード・コーポレーション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with improved on-state yield strength
KR101686113B1 (en) * 2015-03-10 2016-12-13 주식회사 만도 Pressurized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s
KR102479160B1 (en) * 2020-12-08 2022-12-20 주식회사 네오테크 Piston assembly for MR damper
KR20220109503A (en) 2021-01-28 2022-08-05 현대로템 주식회사 MR Dampe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2013A (en) 2012-05-22 2013-12-05 Somic Ishikawa Inc Bra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1756A (en)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61542B (en) Hydraulic compression stop cup of damper
KR100406086B1 (en) Step valve
US6464049B2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tunable for smooth transitions
EP1437526B1 (en) Magnetorheological piston and damper assembly
JP5653367B2 (en) Triple tube shock absorber with shortened intermediate tube
US6318519B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tunable for smooth transitions
EP2037149B1 (en) Piston valve assembly of continuous damping control damper
CN214698940U (en) Extension assembly for damper and damper
GB2277978A (en) Vibration damper for a motor vehicle.
US20100006383A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shock absorber including the same
CN115435037A (en) Damper with hydraulic end stop
KR102753973B1 (en) Mr damper for vehicle
CN103671675B (en) Hydraulic bjuffer and valve
JPWO2019069413A1 (en) Pressure buffer and damping force generation mechanism
EP2143971B1 (en) Piston valve assembly and damper including the same
CN117628102A (en) Shock absorber for vehicle
KR102749245B1 (en) Valve actuator and shock absorber using the same
US7240776B2 (en) Bottom valve apparatus of hydraulic shock absorber
KR10272971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ux ring of MR damper and Flux ring of MR damper
WO2025077066A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and vehicle
WO2025077067A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and vehicle
EP4421347A1 (en) Double chamfered hydraulic compression stop sleeve
US20240280159A1 (en) Double chamfered hydraulic compression stop sleeve
KR102768586B1 (en) Shock absorber
JP2007057058A (en) Friction adding mechanism for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