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5688B1 -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 Google Patents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5688B1
KR102765688B1 KR1020200100763A KR20200100763A KR102765688B1 KR 102765688 B1 KR102765688 B1 KR 102765688B1 KR 1020200100763 A KR1020200100763 A KR 1020200100763A KR 20200100763 A KR20200100763 A KR 20200100763A KR 102765688 B1 KR102765688 B1 KR 10276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nector
magnet
current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0152A (en
Inventor
선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00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5688B1/en
Publication of KR2022002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1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568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ransformers or co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시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결합부 및 알람부를 포함한다. 결합부는 외부 커넥터와 결합된다. 알람부는 자석, 자석을 둘러쌓는 코일을 포함한다. 결합부가 외부 커넥터와 결합되는 경우, 코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된다. 교류 전류가 코일을 흐르는 동안, 교류 전류 및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코일은 진동한다. 알람부는 코일의 진동에 의해 알람 소리를 발생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mated with a mating connector. The connector includes a mating portion and an alarm portion. The mating portion is mated with an external connector. The alarm portion includes a magnet and a coil surrounding the magnet. When the mating portion is mated with the external connector, an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While the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the coil vibrates due to an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alternating current and the magnet. The alarm portion generates an alarm soun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coil.

Description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는 커넥터{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laptops, video cameras, and mobile phones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energy storage batteries, robots, and satellites has become full-fledged, research on high-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is actively being conducted.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은 커넥터(connector)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배터리 팩을 외부 장치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Currently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in the spotlight due to their advantages such as free charging and discharging, very low self-discharge rate, and high energy density, as they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secondary batteries. Since these secondary batteries contain various flammable substances, there is a risk of overheating, explosion, etc. due to overcharging, overcurrent, and other physical external impacts. Therefore, the battery pack can be separated from an external device depending on the situation using a connector.

통상적인 경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 락킹부에 의해 락킹 노이즈가 발생한다. 사용자는 락킹 노이즈에 의해, 커넥터 간의 결합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결합 성공시에도 락킹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던가, 락킹 노이즈가 너무 순간적으로 발생하여, 사용자가 결합의 성공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Normally, when a connector is mated with an opposing connector, a locking noise is generated by the locking part.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mating between the connectors is successful by the locking noi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cking noise does not occur even when mating is successful, or the locking noise occurs too instantaneously, so that the user cannot accurately recognize whether the mating is successful.

본 발명은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시,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coupled with a mating connec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결합부 및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외부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알람부는 자석, 자석을 둘러쌓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가 외부 커넥터와 결합되는 경우, 코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교류 전류가 코일을 흐르는 동안, 교류 전류 및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코일은 진동할 수 있다. 알람부는 코일의 진동에 의해 알람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and an alarm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with an external connector. The alarm portion may include a magnet and a coil surrounding the magnet.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with the external connector, an alternating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coil. While the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the coil may vibrate due to an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alternating current and the magnet. The alarm portion may generate an alarm soun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co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커넥터 및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자석, 자석을 둘러쌓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가 외부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 커넥터로부터 수신되는 전류의 위상을 조정하고, 컨트롤러는 위상이 조정된 전류를 코일로 인가할 수 있다. 코일로 위상이 조정된 전류가 흐르는 동안, 전류 및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코일은 진동할 수 있다. 커넥터는 코일의 진동에 의해 알람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or and a controller. The connector may include a magnet and a coil surrounding the magnet.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with an external connector, a phase of a current received from the connector may be adjusted, and the controller may apply the phase-adjusted current to the coil. While the phase-adjusted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the coil may vibrate due to an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urrent and the magnet. The connector may generate an alarm soun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co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자석, 자석을 둘러쌓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 코일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교류 전류에 의해 전자기력을 받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코일의 진동에 의해, 커넥터의 진동 막은 알람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성공적으로 결합하였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다.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gnet and a coil surrounding the magnet.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with a mating connector, the coil may receive an electromagnetic force due to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lternating current, and may vibrate accordingly. By the vibration of the coil, a vibration membrane of the connector may generate an alarm sound. Therefore, a user can more accurately know whethe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cessfully coupled with the mating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상대 커텍터와 결합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알람부(130)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도 4a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b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전류가 제 1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코일(132)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b는 전류가 제 2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코일(132)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알람부(130)가 알람 소리를 발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Figure 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unit (130) of Figure 1.
Figure 4a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Fleming's left-hand rule.
Figure 4b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Fleming's left-hand rule.
Figure 5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on the coil (132) when current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Figure 5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on the coil (132) when current flows in the second direc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explaining how the alarm unit (130) generates an alarm soun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서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docu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본 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With respect to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document,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The expression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various embodiments can describe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do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can be re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an also be renamed as the first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 some cases, even if a term is defined in this document, i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상대 커텍터와 결합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및 도 2가 함께 참조된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nd FIG. 2 are referred to together.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커넥터(100), 배터리(미도시), 및 BMS(Battery Monitoring System)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BMS 컨트롤러(150)는 배터리를 모니터링하거나, 커넥터(100)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MS 컨트롤러(150)는 커넥터(100)로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or (100), a battery (not shown), and a BMS (Battery Monitoring System) controller (150). The BMS controller (150) may monitor the battery or manage the connector (100). Specifically, the BMS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current input to the connector (100).

커넥터(100)는 배터리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200)는 차량, 휴대용 카메라, 휴대폰 등 다양한 장치들의 내부 회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100)가 다양한 장치들의 내부 회로들과 연결되고, 커넥터(200)가 배터리 팩과 연결될 수도 있다. 커넥터(100)는 커넥터(2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00)가 커넥터(200)와 결합하는 경우, 커넥터(100)에 연결된 배터리로부터 커넥터(200)에 연결된 회로들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회로들은 부하 회로들로 표현된다. The connector (100) can be connected to a battery. In this case, the connector (200) can be connected to internal circuits of various devices such as a vehicle, a portable camera, and a mobile 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nector (100) can be connected to internal circuits of various devices, and the connector (200) can also be connected to a battery pack. The connector (100) can be coupled with the connector (200). When the connector (100) is coupled with the connector (200),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battery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0) to the circuits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circuits that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are expressed as load circuits.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결합부(120) 및 알람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30)는 자석(131), 코일(132) 및 진동 막(1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 다른 구성들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된다. 커넥터(200)는 하우징(210), 결합부(220) 및 락킹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100) may include a housing (110), a coupling portion (120), and an alarm portion (130). The alarm portion (130) may include a magnet (131), a coil (132), and a vibration membrane (133),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larm portion (13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onnector (200) may include a housing (210), a coupling portion (220), and a locking portion (230).

커넥터들(100, 200) 중 하나는 수형 커넥터(male connector)이고, 다른 하나는 암형 커넥터(female connector)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커넥터(100)가 수형 커넥터이고, 커넥터(200)가 암형 커넥터인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One of the connectors (100, 200) may be a male connector and the other may be a female connector. In this specification, the connector (100) is illustrated as a mal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200) is illustrated as a female connec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결합부(12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결합부(120)에 4개의 단자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부(22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20)에 포함되는 단자들의 개수는 결합부(120)에 포함된 단자들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결합부(220)에 4개의 단자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coupl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In FIG. 1, the coupling portion (12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four terminal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upling portion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number of terminals included in the coupling portion (22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erminals included in the coupling portion (120). In FIG. 1, the coupling portion (22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four terminal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커넥터(100)가 커넥터(200)와 결합하는 경우, 결합부(120)의 복수의 단자는 결합부(220)의 복수의 단자에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100)가 커넥터(200)와 결합하는 경우, 결합부(120) 및 결합부(220)의 복수의 단자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When the connector (100) is coupled with the connector (200),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upling portion (120) can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upling portion (220). When the connector (100) is coupled with the connector (200),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coupling portion (120) and the coupling portion (220).

하우징(110)은 결합부(120)를 둘러싸는 구조물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결합부(220)를 둘러싸는 구조물일 수 있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00)가 커넥터(200)와 결합하는 경우, 하우징(210)은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들(110, 210)은 절연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들(110, 210)은 직육면체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housing (110) may b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coupling portion (120). The housing (110) may include the coupling portion (120) therein. The housing (210) may b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coupling portion (220). The housing (210) may include the coupling portion (220) therein. When the connector (100) is coupled with the connector (200), the housing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The housings (110, 21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housings (110, 210) are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락킹부(230)는 하우징(210)의 일부분 위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커넥터(200)는 락킹부(2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커넥터(100)와 커넥터(200)가 성공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락킹부(230)에서 락킹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커넥터(100)와 커넥터(200)가 성공적으로 결합된다는 것은 커넥터들(100, 200) 간의 결합으로 인해, 일 커넥터에 연결된 배터리로부터 나머지 커넥터에 연결된 부하 회로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락킹 노이즈는 순간적으로 발생하고,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락킹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The locking portion (230)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housing (210). However, the connector (200) may not include the locking portion (230). When the connector (100) and the connector (200) are successfully coupled, locking noise may occur in the locking portion (230). Successful coupling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connector (200) means tha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battery connected to one connector to the load circuit connected to the other connector due to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100, 200). However, since the locking noise occurs momentarily and does not persist, it may be difficult for a user to recognize whether the locking noise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알람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00)는 알람부(130)를 이용하여, 커넥터(200)와 성공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보다 지속 시간이 긴 알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larm unit (130). The connector (100) may generate an alarm signal with a longer duration when successfully coupled with the connector (200) by using the alarm unit (130).

본 명세서의 도면을 참조하여서는 알람부(130)가 하우징(110)의 윗 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람부(130)는 하우징(110)의 일 면(예로서, 옆 면, 밑 면, 윗 면)에 위치할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is specification, the alarm unit (130) is depicted as being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larm unit (130) may be positioned on one surface (e.g., the side surface,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알람부(13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되며, 도 1을 참조하여서는 간단하게 설명된다. 알람부(130)는 자석(131), 자석을 둘러쌓는 코일(132), 코일을 둘러쌓는 하우징 부, 자석 및 코일의 위에 올려진 진동 막(1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석(131)이 원기둥 형태의 자석인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석(131)은 직육면체 등의 형태일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larm unit (130)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5 to 7, and ar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alarm unit (130) may include a magnet (131), a coil (132) surrounding the magnet, a housing unit surrounding the coil, and a vibration membrane (133) placed on top of the magnet and the coil. In this specification, the magnet (131) is depicted as a cylindrical magne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gnet (131) may have a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코일(132)의 일 단은 BMS 컨트롤러(150)와 연결되고, 타 단은 결합부(120)의 하나의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120)의 단자들 중 코일(132)과 연결된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단자들 중 하나는 BMS 컨트롤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일렬로 나열된 결합부(120)이 단자들 중, 첫 번째 단자는 코일(132)의 일 단과 연결되고, 마지막 단자는 BMS 컨트롤러(150)와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120)가 결합부(220)와 성공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결합부(120)의 단자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단자들 중 하나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나머지 단자들에도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결합부(120)가 결합부(220)와 성공적으로 결합되고, BMS 컨트롤러(150)로부터 전류가 출력되는 경우, BMS 컨트롤러(150)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코일(132)을 흐를 수 있다. One end of the coil (132) may be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coupling unit (120). Of the terminals of the coupling unit (120), one of the remaining terminals except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il (132) may be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For example, among the terminals of the coupling units (120) arranged in a row, the first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132), and the last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When the coupling unit (120) is successfu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unit (220), the terminals of the coupling unit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means that when current flows through one of the terminals, current also flows through the remaining terminals. Therefore, when the coupling part (120) is successfully coupled with the coupling part (220) and current is output from the BMS controller (150), the current output from the BMS controller (150) can flow through the coil (132).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200)가 커넥터(100)와 결합되기 이전의 구성이 도시된다. 이 경우, 커넥터(100)의 단자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BMS 컨트롤러(150)에서 코일(132)의 일 단자 또는 BMS 컨트롤러(150)와 연결된 일 단자로 전류를 출력하더라도, 상기 전류는 코일(132)을 흐르지 못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nfiguration before the connector (200) is coupled with the connector (100) is illustrated. In this case, the terminals of the connector (100)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ly, even if the BMS controller (150) outputs current to one terminal of the coil (132) or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the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coil (132).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200)가 커넥터(100)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이 도시된다. 이 경우, 커넥터(200)의 단자들에 의해, 커넥터(100)의 단자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BMS 컨트롤러(150)에서 코일(132)의 일 단자 또는 BMS 컨트롤러(150)와 연결된 일 단자로 전류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전류가 코일(132)을 흐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onfiguration is illustrated in which a connector (200) is coupled with a connector (100). In this case, the terminals of the connector (1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terminals of the connector (200). Accordingly, when current is output from the BMS controller (150) to one terminal of the coil (132) or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the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coil (132).

BMS 컨트롤러(150)는 코일(132)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BMS 컨트롤러(150)는 코일(132)로 출력되는 전류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BMS 컨트롤러(150)는 코일(132)로 출력되는 전류의 위상을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코일(132)로 교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The BMS controller (150) can output current to the coil (132). The BMS controller (150) can adjust the phase of the current output to the coil (132). The BMS controller (150) can output an alternating current to the coil (132) by periodically changing the phase of the current output to the coil (132).

또한, BMS 컨트롤러(150)는 코일(132)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코일(132)로 교류 전류가 출력되는 시간에 따라, 알람 소리의 지속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132)로 교류 전류가 출력되는 시간과 알람 소리의 지속 시간은 비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MS controller (150) can adjust the time for outputting the AC current to the coil (132). Depending on the time for outputting the AC current to the coil (132), the duration of the alarm sound can be determined. Specifically, the time for outputting the AC current to the coil (132) and the duration of the alarm sound can be proportional.

알람부(130)의 하우징 부의 일 부분은 자석(131)의 일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하우징 부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부는 하우징 부와 접촉된 자석(131)의 일 부분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결합부(120)가 결합부(220)와 성공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하우징 부와 자석(131)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자기장, 코일(132)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코일(132)에 전자기력이 작용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of the alarm unit (130)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magnet (131). The housing portion may be made of a metal or an alloy. Accordingly, the housing portion may be magnetized with the same polarity as a portion of the magnet (131) in contact with the hous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upling portion (120) is successfully coupled with the coupling portion (220), an electromagnetic force may be applied to the coil (132) by a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portion and the magnet (131) and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132).

코일(132)에 교류 전류가 흐르므로, 코일(132)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코일(132)은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코일(132)은 진동하며, 진동 막(133)을 타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막(133)은 알람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Since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132),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on the coil (132) can change periodically. Accordingly, the coil (132) can vibrate due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The coil (132) vibrates and can strike the vibrating membrane (133). Accordingly, the vibrating membrane (133) can generate an alarm sound.

즉, 알람부(130)는 결합부(120)가 결합부(220)와 결합되고 BMS 컨트롤러(150)가 커넥터(130)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동안, 알람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BMS 컨트롤러(150)가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시간, BMS 컨트롤러(150)가 전류의 위상을 조절하는 주기(즉, 교류 전류의 주기) 등을 조절하여, 알람 소리의 지속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속 시간이 보다 긴 알람 소리를 통해, 커넥터들(100, 200) 간의 결합 성공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alarm unit (130) can generate an alarm sound while the coupling unit (120)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unit (220) and the BMS controller (150) outputs an AC current to the connector (130).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duration of the alarm sound, etc. by controll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BMS controller (150) outputs the AC current, the cycle during which the BMS controller (150) controls the phase of the current (i.e., the cycle of the AC current), etc.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recognize whether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100, 200) is successful through an alarm sound with a longer duration.

도 3은 도 1의 알람부(130)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알람부(130)의 단면이 도시된다. 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unit (130) of Fig. 1. Referring to Fig. 3, a cross-section of the alarm unit (130) is illustrated.

알람부(130)는 자석(131), 코일(132), 진동 막(133), 절연체들(134_1~134_4) 및 하우징 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larm unit (130) may include a magnet (131), a coil (132), a vibration membrane (133), insulators (134_1 to 134_4), and a housing unit (135).

자석(131)은 제 1 극 및 제 2 극으로 구성된다. 제 1 극은 N극 또는 S극일 수 있으며, 제 2 극은 S극 또는 N극일 수 있다. 자석(131)의 극성을 나누는 경계면은 진동 막(133)과 평행할 수 있다. The magnet (131) is composed of a first pole and a second pole. The first pole can be a N pole or a S pole, and the second pole can be a S pole or a N pole. The boundary surface dividing the polarities of the magnet (131) can be parallel to the vibrating membrane (133).

코일(132)은 자석(131)을 둘러쌀 수 있다. 코일(132)은 자석(131)의 옆 면을 따라 자석(131)을 둘러쌀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코일(132)의 일 단은 도 1의 BMS 컨트롤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코일(132)의 타 단은 도 1의 결합부(120)의 일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il (132) can surround the magnet (131). The coil (132) can surround the magnet (131) along a side surface of the magnet (131).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ne end of the coil (132) can be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of FIG. 1. The other end of the coil (132) can be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coupling portion (120) of FIG. 1.

하우징 부(135)는 자석(131) 및 코일(132)을 둘러쌀 수 있다. 즉, 하우징 부(135)의 내부에 자석(131) 및 코일(132)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부(135)의 윗면은 오픈되어 있고, 진동 막(133)이 하우징 부(135)의 윗 면을 덮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132)이 도 1에 도시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감기는 경우, 하우징 부(135)의 옆 면이 오픈되어 있고, 진동 막(133)이 하우징 부(135)의 옆 면을 덮을 수도 있다. The housing part (135) may surround the magnet (131) and the coil (132). That is, the magnet (131) and the coil (132) may be included inside the housing part (135).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35) may be open, and the vibration membrane (133) ma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3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coil (132) is wou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llustrated in FIG. 1,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35) may be open, and the vibration membrane (133) may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3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람부(130)의 구성에 따르면, 코일(132)은 자석(131)의 경계선(또는, 경계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132)의 진동에 의해 알람부(130)가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자석(131)의 경계면과 진동 막(133)이 평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내용이 자석(131)의 경계면과 진동 막(133)이 수평면에 평행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고, 자석(131)의 경계면과 진동 막(133)이 수직이 아닌 것으로 충분하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132) can vibr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line (or boundary surface) of the magnet (131). Therefore, in order for the alarm unit (130) to generate an alarm sound by the vibration of the coil (132), the boundary surface of the magnet (131) and the vibration membrane (133) can be parallel. However, the above content does not mean that the boundary surface of the magnet (131) and the vibration membrane (133) must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and it is sufficient that the boundary surface of the magnet (131) and the vibration membrane (133) are not perpendicular.

하우징 부(135)의 옆 면 위에 절연체(134_2)가 위치할 수 있다. 절연체(134_2) 위에 코일(132)의 일 단이 놓일 수 있고, 코일(132)의 일 단 위에 절연체(134_1)가 놓일 수 있다. 즉, 절연체들(134_1, 134_2) 사이를 코일(132)의 일 단이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들(134_1, 134_2) 사이를 통과한 코일(132)의 일 단은 BMS 컨트롤러(150) 또는 결합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An insulator (134_2)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35). One end of the coil (132) may be placed on the insulator (134_2), and an insulator (134_1) may be placed on one end of the coil (132). That is, one end of the coil (132) may pass between the insulators (134_1, 134_2), and one end of the coil (132) that passes between the insulators (134_1, 134_2) may be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or the coupling portion (120).

절연체(134_2)가 올려진 하우징 부(135)의 옆 면과 마주보는 하우징 부(135)의 옆 면에 절연체(134_4)가 위치할 수 있다. 절연체(134_4) 위에 코일(132)의 타 단이 놓일 수 있고, 코일(132)의 타 단 위에 절연체(134_3)가 놓일 수 있다. 즉, 절연체들(134_3, 134_4) 사이를 코일(132)의 타 단이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들(134_3, 134_4) 사이를 통과한 코일(132)의 타 단은 BMS 컨트롤러(150) 또는 결합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An insulator (134_4) may be positioned on a side of the housing portion (135) facing th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135) on which the insulator (134_2) is placed. The other end of the coil (132) may be placed on the insulator (134_4), and the insulator (134_3) may be placed on the other end of the coil (132).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coil (132) may pass between the insulators (134_3, 134_4),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132) that has passed between the insulators (134_3, 134_4) may be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or the coupling portion (120).

예로서, 절연체들(134_1, 134_2) 사이를 통과한 코일(132)의 일 단이 BMS 컨트롤러(150)와 연결되는 경우, 절연체들(134_3, 134_4) 사이를 통과한 코일(132)의 타 단은 결합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절연체들(134_1, 134_2) 사이를 통과한 코일(132)의 일 단이 결합부(120)와 연결되는 경우, 절연체들(134_3, 134_4) 사이를 통과한 코일(132)의 타 단은 BMS 컨트롤러(150)와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one end of the coil (132) passing between the insulators (134_1, 134_2) is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the other end of the coil (132) passing between the insulators (134_3, 134_4) can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120). As another example, when one end of the coil (132) passing between the insulators (134_1, 134_2)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120), the other end of the coil (132) passing between the insulators (134_3, 134_4) can be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150).

자석(131)의 일 부분은 하우징 부(135)의 일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하우징 부(135)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구성되므로, 하우징 부(135)와 접촉된 자석(131)의 일 부분의 극성으로 자화될 수 있다.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 부(135)는 자석(131)의 N극과 접촉할 수 있으며, 하우징 부(135)는 N극으로 자화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magnet (131)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35). Since the housing portion (135) is made of a metal or an alloy, it may be magnetized with the polarity of a portion of the magnet (13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portion (135).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housing portion (135) may be in contact with the N pole of the magnet (131), and the housing portion (135) may be magnetized with the N pol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 부(135)가 N극으로 자화된 것으로 가정된다. N극으로 자화된 하우징 부(135)와 자석(131)의 S극에 의해, 하우징 부(135)와 자석(131)의 S극 사이의 공간에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하우징 부(135)와 자석(131)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132)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자기장이 발생한 공간에 위치한 코일(132)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코일(132)은 전자기력을 받을 수 있다. 전자기력의 방향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결정되며,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된다. For the convenience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housing portion (135) is magnetized toward the N pole. A magnetic field may be gener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portion (135) and the S pole of the magnet (131) by the housing portion (135) magnetized toward the N pole and the S pole of the magnet (131). Current may flow through the coil (132) located between the housing portion (135) and the magnet (131). Whil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132) located in the space where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the coil (132) may receive an electromagnetic force.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determined by Fleming's left-hand rule, and details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자기장 및 전류에 의해 코일(132)에 전자기력이 작용할 수 있다. 코일(132)로 교류 전류가 흐르므로, 코일(132)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빠르게 변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코일(132)이 진동할 수 있다. 코일(132)은 진동하면서 진동 막(133)을 타격할 수 있따. 따라서, 코일(132)이 진동 막(133)을 타격함으로써, 알람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An electromagnetic force may be applied to the coil (132) by a magnetic field and current. Since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132),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coil (132) may change periodically. The coil (132) may vibrate due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that changes rapidly periodically. The coil (132) may strike the vibrating membrane (133) while vibrating. Therefore, an alarm sound may be generated when the coil (132) strikes the vibrating membrane (133).

도 4a 및 도 4b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a 및 도 4b가 함께 설명된다. FIG. 4a and FIG. 4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Fleming's left-hand rule. To help understand the invention, FIG. 4a and FIG. 4b are explained together.

도 4a는 자기장이 발생한 공간에 위치하고, 전류가 흐르는 도선을 도시한다. 자기장이 발생한 공간에 위치하는 도선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도선은 힘을 받을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도선에 작용하는 힘은 전자기력으로도 표현된다. Figure 4a illustrates a conductor located in a space where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nd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a conductor located in a space where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the conductor can experience a for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the force acting on the conductor is also expressed as an electromagnetic force.

전자기력의 방향은 자기장의 방향과,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의해 결정되며,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알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왼손의 검지가 가르키는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 중지가 가르키는 방향이 전류의 방향인 경우, 엄지가 가르키는 방향이 도선이 받는 전자기력의 방향이 된다.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determined by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and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 and can be easily found using Fleming's left-hand rule. As shown in Figure 4b, if the direction pointed by the index finger of the left hand is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and the direction pointed by the middle finger is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the direction pointed by the thumb is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experienced by the conductor.

도 5a는 전류가 제 1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코일(132)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b는 전류가 제 2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코일(132)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a 및 도 5b가 함께 설명된다. FIG. 5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on the coil (132) when the current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FIG. 5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on the coil (132) when the current flows in the second direction. To help understanding the invention, FIG. 5a and FIG. 5b are explained together.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하우징 부(135)는 N극으로 자화된 것으로 가정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석(131)의 S극이 하우징 부(135)에 접촉되는 경우 하우징 부(135)는 S극으로 자화될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housing portion (135) is assumed to be magnetized to the N po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S pole of the magnet (1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using portion (135), the housing portion (135) can be magnetized to the S pole.

하우징 부(135)와 자석(131)의 S극 사이에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자기장의 방향은 하우징 부(135)로부터 자석(131)의 S극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A magnetic field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housing portion (135) and the S pole of the magnet (131).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may be from the housing portion (135) toward the S pole of the magnet (131).

코일(132)에는 교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여서는 전류가 제 1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가정되고, 도 5b를 참조하여서는 전류가 제 2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듯이 코일(132)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도 1의 BMS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n alternating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coil (132). Referring to FIG. 5A, it is assumed that the current flows in a first direction, and referring to FIG. 5B, it is assumed that the current flows in a second direc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132) can be controlled by the BMS controller (150) of FIG. 1.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전류가 제 1 방향(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고, 자기장의 방향이 하우징 부(135)로부터 자석(131)의 S극을 향하는 방향인 경우, 코일(132)은 위쪽(즉, 진동 막(133) 쪽)으로 전자기력을 받을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전류가 제 2 방향(즉,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고, 자기장의 방향이 하우징 부(135)로부터 자석(131)의 S극을 향하는 방향인 경우, 코일(132)은 아래쪽으로 전자기력을 받을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a, when the current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i.e., from left to right) and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from the housing portion (135) toward the S pole of the magnet (131), the coil (132) can receive an electromagnetic force upward (i.e., toward the vibrating membrane (133)). As illustrated in FIG. 5b, when the current flows in the second direction (i.e., from right to left) and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from the housing portion (135) toward the S pole of the magnet (131), the coil (132) can receive an electromagnetic force downward.

코일(132)에 교류 전류가 흐르는다는 것은 코일(132)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빠르게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일(132)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코일(132)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방향도 빠르게 바뀔 수 있다. 코일(132)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방향이 위아래로 빠르게 바뀜에 따라, 코일(132)이 진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코일(132)의 진동에 의해 알람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The fact that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132) means that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132) quickly changes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132)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on the coil (132) can also quickly change. As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on the coil (132) quickly changes up and down, the coil (132) can vibrat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 alarm sound can be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coil (132).

도 6은 알람부(130)가 알람 소리를 발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이 함께 참조된다. Fig.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how the alarm unit (130) generates an alarm sou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1 is also referred to.

S110 동작에서, 커넥터들(100, 200)이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들(100, 200) 중 하나는 수형 커넥터이고, 나머지 하나는 암형 커넥터일 수 있다. In the S110 operation, connectors (100, 200) can be mated. One of the connectors (100, 200) can be a male connector and the other can be a female connector.

S120 동작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배터리 팩은 BMS 컨트롤러(150)를 이용하여, 코일(132)로 교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2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battery pack can output AC current to the coil (132) using the BMS controller (150).

S130 동작에서, 코일(132)에 교류 전류가 흐르는 동안, 교류 전류 및 코일(132)이 위치한 공간의 자기장에 의해, 코일(132)은 전자기력을 받을 수 있다.In the S130 operation, while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132), the coil (132) can receive an electromagnetic force due to the alternating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of the space where the coil (132) is located.

S140 동작에서, 코일(132)은 전자기력에 의해, 위아래로 진동할 수 있다. In the S140 operation, the coil (132) can vibrate up and down by electromagnetic force.

S150 동작에서, 코일(132)의 진동이 진동 막(133)에 전달되어, 알람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e S150 operation, the vibration of the coil (132)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membrane (133), and an alarm sound may be generated.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tents are specific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so embodiments that can be simply designed or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include technologi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of this invention.

Claims (11)

외부 커넥터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자석, 상기 자석을 둘러쌓는 코일을 포함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커넥터의 복수의 핀들과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핀들 중 제 1 핀은 BMS(Battery Monitoring System)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코일은 일단이 상기 BMS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핀들 중 제 2 핀과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외부 커넥터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1 핀과 상기 제 2 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BMS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류가 상기 코일로 인가되고,
상기 교류 전류가 상기 코일을 흐르는 동안,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코일은 진동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코일의 진동에 의해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고,
상기 BMS 컨트롤러는, 주기적으로 상기 교류 전류의 위상을 조정하는 커넥터.
A mating portion that mates with an external connector; and
An alarm unit comprising a magnet and a coil surrounding the magnet,
The above-mentione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ns that are respectively coupled with a plurality of pins of the external connector,
Among the above plurality of pins, the first pin is connected to a BMS (Battery Monitoring System) controller,
The above coil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BMS controll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pin among the plurality of pins,
When the above-mentioned coupling part is coupled with the external connector, the first pin and the second pin ar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he AC current output from the BMS controller is applied to the coil,
While the above AC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the coil vibrates due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AC current and the magnet.
The above alarm unit generates an alarm sound by the vibration of the coil,
The above BMS controller is a connector that periodically adjusts the phase of the AC curr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자석과 상기 코일을 둘러쌓는 하우징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의 일부는 상기 자석의 제 1 극과 접촉하는 커넥터.
In claim 1,
The above alarm unit further includes a housing unit surrounding the magnet and the coil,
A connector in which a portion of the above housing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ole of the magne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코일의 상기 진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의 제 2 극과 상기 하우징 부 사이의 공간에 발생하는 자기장과 상기 공간을 지나는 상기 코일에 흐르는 상기 교류 전류에 의해, 상기 코일에 상기 전자기력이 작용하여 상기 코일이 진동하고,
상기 코일이 진동하며 상기 진동 막을 타격하여, 상기 알람 소리가 발생하는 커넥터.
In claim 4,
The above alarm unit further includes a vibrating membrane that vibrates by the vibration of the coil,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coil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pole of the magnet and the housing part and the alternating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assing through the space, causing the coil to vibrate.
A connector in which the coil vibrates and strikes the vibrating membrane, thereby generating the alarm soun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하우징 부와 접촉되는 제 1 절연체, 상기 진동 막과 접촉되는 제 2 절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일 단은 상기 제 1 절연체 및 상기 제 2 절연체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커넥터.
In claim 5,
The above alarm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insulator in contact with the housing unit and a second insulator in contact with the vibration membrane,
A connector in which one end of the coil passes between the first insulator and the second insulator a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자석, 상기 자석을 둘러쌓는 코일을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외부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커넥터로부터 수신되는 전류의 위상을 주기적으로 조정하고, 상기 위상이 조정된 전류를 상기 코일로 인가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코일로 상기 위상이 조정된 전류가 흐르는 동안, 상기 전류 및 상기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코일은 진동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코일의 진동에 의해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는 배터리 팩.
a connector comprising a magnet, a coil surrounding the magnet; and
When the above connector is coupled with an external connector, a controller is included that periodically adjusts the phase of the current received from the above connector and applies the current with the adjusted phase to the coil.
While the phase-adjusted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the coil vibrates due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urrent and the magnet.
The above connector is a battery pack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by vibration of the above coi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이고,
상기 외부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인 배터리 팩.
In claim 7,
The above connector is a male connector,
The battery pack has the above external connector as a female connecto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부 커넥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일단이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부의 일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다른 일 단자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In claim 7,
The abov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with the external connector,
The above coil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coupling part,
Another terminal of the above joint is a battery pack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삭제dele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일 면이 오픈되어 있는 하우징 부; 및
상기 오픈되어 있는 상기 일 면을 덮는 진동 막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In claim 7,
The above connectors:
A housing portion containing the coil inside and having one side open; and
A battery pack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membrane covering the above-mentioned open one side.
KR1020200100763A 2020-08-11 2020-08-11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Active KR102765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63A KR102765688B1 (en) 2020-08-11 2020-08-11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63A KR102765688B1 (en) 2020-08-11 2020-08-11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152A KR20220020152A (en) 2022-02-18
KR102765688B1 true KR102765688B1 (en) 2025-02-11

Family

ID=8049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763A Active KR102765688B1 (en) 2020-08-11 2020-08-11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568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148B1 (en) * 2002-09-26 2007-11-2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Drive mechanism
KR101420320B1 (en) * 2013-03-26 2014-07-17 신 렬 이 Ultra Slim diaphragm driving Speaker
JP2020027712A (en) * 2018-08-10 2020-02-20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Connector unit and power supply cable un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6382U (en) * 1991-03-30 1992-10-16 ヤマハ株式会社 Connector device connection ala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148B1 (en) * 2002-09-26 2007-11-2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Drive mechanism
KR101420320B1 (en) * 2013-03-26 2014-07-17 신 렬 이 Ultra Slim diaphragm driving Speaker
JP2020027712A (en) * 2018-08-10 2020-02-20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Connector unit and power supply cabl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152A (en)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354B1 (en) Battery pack having a spring to connect at least two battery cells
JP6578435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2207222B1 (en) Battery pack
US20160006187A1 (en) Double contact point switch and a magnetic connector having the double contact point switch
CN104578231B (en) Charger and charging system
US80166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adaptor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onnecting electronic device and power adaptor
CN109844996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US10559804B2 (en) Battery pack
JP5813135B2 (en) Mobile charger
KR20190040402A (en) Bus bar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ode lead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6531945B (en) Parallel battery module
CN110036506B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00123067A (en) Connecto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2765688B1 (en) Connector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JP2012100411A (en) Battery pack device and storage method thereof
JP2020518109A (en) Flat cable with improved short-circuit prevention function
KR20140107917A (en) Coupl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08269962A (en) A kind of battery and battery protecting apparatus
US11705587B2 (en) Terminal case having the improved function of estimating state of secondary battery
CN106410917A (en) Charging system and mobile terminal
EP4096028A1 (en) Connector structure including magnet
KR102162508B1 (en) Electric circuit using reed switch for switch over and switching method using reed switch
KR101800814B1 (en) Battery pack having an USB charger terminal
KR20150058808A (en) Battery case
KR20170124835A (en) Apparatus for energy harv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6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