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5910B1 -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 Google Patents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5910B1 KR102765910B1 KR1020220064579A KR20220064579A KR102765910B1 KR 102765910 B1 KR102765910 B1 KR 102765910B1 KR 1020220064579 A KR1020220064579 A KR 1020220064579A KR 20220064579 A KR20220064579 A KR 20220064579A KR 102765910 B1 KR102765910 B1 KR 1027659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istical
- orthodontic bracket
- target
- custom
- mandibul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10000004283 inciso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41000282465 Can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4763 bicuspi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6010061274 Maloccl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357 third mola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373 mandib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050 maxill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일면이 대상치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의 파라미터는 다수의 대상치들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얻은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에 상기 대상치가 속하는 통계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파라미터는 토크각, 앵글레이션, 회전옵셋 및 인-아웃 중 하나 이상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comprising: a base portion having one surface attached to a target tooth; and a body portion having a slot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to which an orthodontic wire is inserted; wherein a parameter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is determined based on a statistical group to which a target tooth belongs among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obtained from a statistical distribution of a plurality of target teeth; and wherein the parameter is at least one of a torque angle, an angulation, a rotational offset, and an in-ou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형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that can be mass-produced in a certain shape.
인체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치아들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기형 요인에 의해서 치아 배열(치열)이 고르지 못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치열이 고르지 못한 상태를 부정교합이라 하는 데, 이러한 부정교합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외모에 악영향을 미치는 심미적인 문제와, 음식 섭취나 부정확한 발음의 언어 구사 등 기능적인 문제를 야기한다.The teeth in the human mouth can have an uneven shape due to congenital or acquired deformities. This uneven condition is called malocclusion, and this malocclusion causes aesthetic problems that negatively affect a person's appearance, as well as functional problems such as eating and speaking with incorrect pronunciation.
이러한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치과 치료 수단으로서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둘러싼 치조골의 개조와 함께 치아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교정 브라켓과 와이어가 사용되고 있다.As a dental treatment method to correct such malocclusion, orthodontic brackets and wires are used to cause the teeth to move by applying continuous force to the teeth and remodeling the alveolar bone surrounding the teeth.
구체적으로는, 교정 브라켓은 치아에 부착되며, 와이어는 교정 브라켓과 결합하여 교정 브라켓에 지속적인 힘을 가한다. 여기서, 교정 브라켓은 상악 및 하악의 치아 각각에 배치되므로, 복수 개가 사용되고, 복수 개의 교정 브라켓은 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치아는 좌측 어금니에서부터 우측 어금니까지 곡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도 치아의 배열에 대응하여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가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에 힘을 가하여, 치조골을 개조하므로, 치아가 이동하여 치열이 교정된다.Specifically, the orthodontic bracket is attached to the teeth, and the wire is combined with the orthodontic bracket to apply continuous force to the orthodontic bracket. Here, the orthodontic bracket is plac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so a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are used, and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ire. Since the teeth are arranged in a curved shape from the left molar to the right molar, the wire is also formed in an arch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This wire applies force to the bracket attached to the teeth, remodeling the alveolar bone, so that the teeth move and the teeth are corrected.
한편, 종래의 기성 교정 브라켓은 일정한 형태로 정형화되어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환자마다 치아의 형상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않고 정형화된 교정 브라켓을 부착시켜 놓고 교정을 하여 교정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mass-produced because they are standardized in a certain shape, and are therefore inexpensiv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orthodontic treatment is reduced because standardized orthodontic brackets are attached without considering the shape of each patient's teeth.
맞춤형 교정 브라켓은 환자의 치아에 맞추어 제작하므로 교정의 효율이 좋지만,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s are manufactured to fit the patient's teeth, so they are effective for orthodontic treatment, but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and impossible to mass-produ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환자를 커버하며 일정한 형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that covers a large number of patients and can be mass-produced in a consistent form.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일면이 대상치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의 파라미터는 다수의 대상치들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얻은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에 상기 대상치가 속하는 통계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파라미터는 토크각, 앵글레이션, 회전옵셋 및 인-아웃 중 하나 이상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comprising: a base portion having one surface attached to a target tooth; and a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slot formed into which an orthodontic wire is inserted; wherein a parameter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is determined based on a statistical group to which a target tooth belongs among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obtained from a statistical distribution of a plurality of target teeth; and wherein the parameter is at least one of a torque angle, an angulation, a rotational offset, and an in-ou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치의 치아 종류는 상악 중절치, 상악 측절치, 상악 견치, 상악 소구치, 상악 제 1 대구치, 하악 4 전치, 하악 견치, 하악 제 1 소구치, 하악 제 2 소구치, 하악 제 1 대구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oth types of the target teeth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xillary central incisor, a maxillary lateral incisor, a maxillary canine, a maxillary premolar, a maxillary first molar, a mandibular fourth incisor, a mandibular canine, a mandibular first premolar, a mandibular second premolar, and a mandibular first mola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분포는 기성 교정 브라켓으로 교정한 환자의 대상치에 대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may be for target teeth of patients corrected with pre-existing orthodontic bracket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은, 서로 연속하며 상기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may be defin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to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크각은 상기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통계 그룹의 중앙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rque angle may be a median of one of the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대상치의 통계적 분포를 90%이상 커버하는 복수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교정 브라켓의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때문에, 기성 교정 브라켓임에도 맞춤형 교정 브라켓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ameters of the orthodontic bracket are determined from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that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each target value, the effect of a 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 can be expected even though it is a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측면도로서, 토크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의 상면도로서, 앵글레이션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의 정면도로서, 회전옵셋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1 의 측면도로서, 인-아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상악 및 하악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서로 다른 토크각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8 은 서로 다른 앵글레이션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9 은 서로 다른 회전옵셋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10 은 서로 다른 인-아웃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and is a drawing explaining the torque angle.
Figure 3 is a top view of Figure 1, and is a drawing explaining it in terms of angles.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1, and is a drawing explaining the rotation offset.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1, and is a drawing explaining in-out.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maxilla and mandible.
Figure 7 is about customized prefabricated orthodontic brackets having different torque angles.
Figure 8 is about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s having different angulations.
Figure 9 is about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s having different rotational offsets.
Figure 10 is about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having different in-out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ever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or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but the components or step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ordinal number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hould be interpret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or step from other components or ste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은 베이스부(110) 및 바디부(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portion (110) and a body portion (120).
베이스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인 치아부착면(111)은 접착제에 의해 치아에 부착된다. 이때, 베이스부(110)는 치아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치아의 전면은 입술을 바라보는 치아의 표면이고, 치아의 후면은 전면의 반대쪽 면으로서, 혀를 바라보는 치아의 표면을 의미한다.The base part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one side,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is attached to the teeth by an adhesive. At this time, the base part (110) may be attached not only to the front side of the teeth but also to the back side. Here, the front side of the teeth is the surface of the teeth facing the lips, and the back side of the teeth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ront side, meaning the surface of the teeth facing the tongue.
또한,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은 치아에 보다 잘 부착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은 평면으로 형성되어도 좋다.In addition,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so as to better attach to the teeth.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한편, 바디부(120)는 베이스부(11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와이어가 수용되는 슬롯(121)을 구비한다. 여기서, 슬롯(121)은 상측이 개구되도록, 바디부(120)의 외면으로부터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슬롯(121)의 바닥면은 바디부(120)의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근원심장축(X)을 따라 수평하도록 형성되며, 슬롯(121)의 벽면은 바닥면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바디부(120)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Meanwhile, the body part (1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and has a slot (121) in which a wire is received. Here, the slot (121) is formed to be sunken in a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toward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art (110) so that the upper side is open. Specifically,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121) is formed to be horizontal along the mesio-radial axis (X)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2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slot (121)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body part (120)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아울러, 슬롯(121)에 와이어가 삽입되면 바디부(120)와 와이어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슬롯(121)은 와이어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롯(121)의 벽면은 와이어의 외주면에 밀착된다.In addition, when a wire is inserted into the slot (121), the body part (120) and the wire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lot (121)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and thus the wall surface of the slot (1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은 상기 바디부(12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슬롯(121)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 및 지지할 수 있는 클립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ip portion (130) tha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20) and can receive and support a wire within the slot (121).
클립부(130)의 일단에는 베이스부(110)와 바디부(120)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1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리 형상의 후크(132)가 형성된다. 클립부(130)가 바디부(120)에 조립되면, 후크(132)는 슬롯(121)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후크(132)의 단부 내면에 와이어의 상단이 지지된다. 즉, 슬롯(121)에 와이어가 삽입되면, 후크(132)의 단부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가 지지될 수 있다.An insertion portion (131)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body portion (1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lip portion (130), and a ring-shaped hook (132) is formed at the other end. When the clip portion (130) is assembled to the body portion (120), the hook (132) covers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slot (12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ire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hook (132). That is, when a wire is inserted into the slot (121), the wire can be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from the end of the hook (132).
한편, 교정 브라켓은 와이어의 힘을 이용해서 교정 시에 필요한 힘을 치아에 가하고, 이로 인해 치열교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치아에 가해지는 힘 또는 치아의 배열은 토크각, 앵글레이션, 회전옵셋, 및 인-아웃으로 구성되는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파라미터는 교정효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파라미터들에 대해서 설명한다.Meanwhile, the orthodontic bracket applies the force required for orthodontic treatment to the teeth using the force of the wire, thereby achieving orthodontic treatment. At this time, the force applied to the teeth or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is determined by parameters consisting of torque angle, angulation, rotational offset, and in-out, so the parameters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orthodontic efficiency. Hereinafter, the parameters will be described.
도 2 는 도 1 의 측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슬롯(121)은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토크각(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As shown in Fig. 2, the slot (121) can be formed to have a torque angle (α) by being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상세하게는, 슬롯(121)의 바닥면의 근원심장축(X) 방향 중심을 슬롯(121)의 근원심장축(X)에 수직하도록 통과하는 세로축을 이라 하고, 상기 세로축()이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과 교차하는 교차점(B1)에서의 치아부착면(111)에 대한 접선을 라 하고, 상기 접선()에 수직하는 세로축을 라 할 때, 토크각(α)은 세로축()과 세로축() 사이의 각도이다.In detail, the ver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esial-cardiac axis (X)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121) is perpendicular to the mesial-cardiac axis (X) of the slot (121). , and the vertical axis ( ) is a tangent to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at the intersection point (B1) where the base part (110) intersects with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And the tangent line ( )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When , the torque angle (α) is the vertical axis ( ) and vertical axis ( ) is the angle between them.
즉, 이러한 토크각(α)을 다르게 표현하면, 슬롯(121)의 바닥면과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의 접선()에 수직인 세로축() 사이의 각도이다.That is, if we express this torque angle (α) differently, it is the tangent line ( )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121) and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 ) is the angle between them.
이때, 토크각(α)은,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에 접선에 수직인 선()을 기준으로 교합면측으로 기울어지면 양(+)의 값을 갖고, 치은측으로 기울어지면 음(-)의 값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torque angle (α) is a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line to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ortion (110). ) has a positive (+) value when it is tilted toward the occlusal plane, and a negative (-) value when it is tilted toward the gingival side.
도 3 은 도 1 의 상면도로서, 앵글레이션(β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슬롯(121)의 근원심장축(X)에 수직한 세로축()은 중앙 교합-치은간 축()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는데, 그 세로축()과 중앙 교합-치은간 축()이 이루는 각도를 앵글레이션(β이라고 한다.Fig. 3 is a top view of Fig. 1, and is a drawing explaining the angle (β). As shown in Fig. 3, the vertical axis () perpendicular to the root-center axis (X) of the slot (121) ) is the central occlusal-gingival axis ( ) can be tilted about the vertical axis ( ) and the central occlusal-gingival axis ( ) is called angulation (β).
도 4 는 도 1 의 정면도로서, 회전옵셋(γ)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슬롯(121)의 양단에서 베이스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선을 , 라 할 때, 상기 수선(, )과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의 교차점(B2, B3)을 연결하는 축()이 근원심장축(X)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회전옵셋(γ)이라고 한다.Fig. 4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is a drawing explaining the rotation offset (γ). As shown in Fig. 4, a perpendicular lin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lot (121) toward the base portion (110) , When the above line is , ) and the axis connecting the intersection point (B2, B3) of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art (110) ) with respect to the mesocardial axis (X) is called the rotational offset (γ).
도 5 는 도 1 의 측면도로서, 인-아웃(d)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슬롯(121)의 바닥면과, 슬롯(121)의 바닥면의 근원심장축(X) 방향 중심을 슬롯(121)의 근원심장축(X)에 수직하도록 통과하는 세로축()이 베이스부(110)의 치아부착면(111)과 교차하는 교차점(B1) 사이의 거리를 인-아웃(d)이라고 한다.Fig. 5 is a side view of Fig. 1, and is a drawing explaining the in-out (d). As shown in Fig. 5,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121) and the vertical axis (X)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121) in the direction of the mesial axis (X) of the slot (121) perpendicular to the mesial axis (X) of the slot (121) ) is called the in-out (d) distance between the intersection point (B1) where the base part (110) intersects the tooth attachment surface (111).
도 6은 상악 및 하악의 평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악은 중심에서부터 어금니 방향을 따라서, 중절치(U1), 측절치(U2), 견치(U3), 제1 소구치(U4), 제2 소구치(U5), 제 1대구치(U6), 제 2 대구치(U7) 및 제 3 대구치(U8) 순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은 중심에서부터 어금니 방향을 따라서, 중절치(L1), 측절치(L2), 견치(L3), 제1 소구치(L4), 제2 소구치(L5), 제 1대구치(L6), 제 2 대구치(L7) 및 제 3 대구치(L8)순으로 배치된다.Fig. 6 is a plan view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s shown in Fig. 6, the maxilla is arranged in the following order from the center toward the molars: a central incisor (U1), a lateral incisor (U2), a canine (U3), a first premolar (U4), a second premolar (U5), a first molar (U6), a second molar (U7), and a third molar (U8). In addition, as illustrated, the mandible is arranged in the following order from the center toward the molars: a central incisor (L1), a lateral incisor (L2), a canine (L3), a first premolar (L4), a second premolar (L5), a first molar (L6), a second molar (L7), and a third molar (L8).
한편, 일반적인 교정 브라켓은 상악 및 하악의 대상치 각각에 배치된다. 교정 브라켓은 대상치의 형상 및 각도에 따라 적절한 파라미터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지만, 기성 교정 브라켓은 파라미터값이 일정하여 교정의 효율이 떨어지고, 맞춤형 교정 브라켓은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고 고가라는 단점이 있었다.Meanwhile, general orthodontic brackets are placed on each target tooth of the upper and lower jaws. The orthodontic brackets should be formed to have appropriat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hape and angle of the target teeth, but the parameter values of the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s are fixed,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the 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s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mass-produce and expensive.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파라미터를 다수의 대상치들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s of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re determined from a statistical distribution of a plurality of target teeth.
대상치들의 통계적 분포는, 예를 들면 대상치의 형상, 각도 및 인접한 대상치와의 배열 각도에 대한 통계적 분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기성 교정 브라켓을 사용하여 부정교합을 치료한 환자의 대상치로부터 상기 통계적 분포를 도출함이 바람직하다.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arget teeth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tatistical distributions of the shape, angle, and arrangement angle of the target teeth with respect to adjacent target teeth.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derive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rom the target teeth of patients whose malocclusion was treated using pre-existing orthodontic bracket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에 따르면 상악의 치아를 중절치(U1), 측절치(U2), 견치(U3), 소구치(제 1 소구치(U4)와 제 2 소구치(U5)) 및 제 1 대구치(U6)로 그루핑하고, 하악의 모든 치아를 4전치(중절치(L1)와 측절치(L2)), 견치(L3), 제 1 소구치(L4), 제 2 소구치(L5) 및 제 1 대구치(L6)로 그루핑할 수 있다. 상악 제 2 대구치(U7), 상악 제 3 대구치(U8), 하악 제 2 대구치(L7) 및 하악 제 3 대구치(L8)의 경우 측정의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악 중절치(U1), 상악 측절치(U2), 상악 견치(U3), 상악 소구치(U4), 상악 제 1 대구치(U5), 하악 4전치(L1, L2), 하악 견치(L3), 하악 제 1 소구치(L4), 하악 제 2 소구치(L5) 및 하악 제 1 대구치(L6) 중 하나 이상만 포함해도 좋다.Meanwhile, according to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eth of the upper jaw can be grouped into a central incisor (U1), a lateral incisor (U2), a canine (U3), premolars (first premolars (U4) and second premolars (U5)), and a first molar (U6), and all the teeth of the lower jaw can be grouped into four incisors (central incisors (L1) and lateral incisors (L2)), a canine (L3), a first premolars (L4), a second premolars (L5), and a first molar (L6). The upper second molars (U7), the upper third molars (U8), the lower second molars (L7), and the lower third molars (L8) are excluded from the measurement targe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t may include onl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maxillary lateral incisor (U2), maxillary canine (U3), maxillary premolar (U4), maxillary first molar (U5), mandibular four incisors (L1, L2), mandibular canine (L3), mandibular first premolar (L4), mandibular second premolar (L5), and mandibular first molar (L6).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악 중절치(U1), 상악 측절치(U2), 상악 견치(U3), 상악 소구치(U4), 상악 제 1 대구치(U5), 하악 4전치(L1, L2), 하악 견치(L3), 하악 제 1 소구치(L4), 하악 제 2 소구치(L5) 및 하악 제 1 대구치(L6)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각각의 대상치에 대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파라미터가 결정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ameters of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for each target tooth can be determined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U1), maxillary lateral incisor (U2), maxillary canine (U3), maxillary premolar (U4), maxillary first molar (U5), mandibular four incisors (L1, L2), mandibular canine (L3), mandibular first premolar (L4), mandibular second premolar (L5), and mandibular first molar (L6).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대상치 대한 통계적 분포를 복수개의 통계 그룹으로 구분하여, 각 통계 그룹에서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대상치의 통계적 분포는 통상적으로 N개(N은 자연수이며 통상적으로 2 내지 9의 숫자가 될 수 있다)의 통계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대상치별로 N 개의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이 결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each target tooth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and parameters of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may be determined for each statistical group. At this time,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each target tooth may be typically divided into N statistical groups (N is a natural number and may typically be a number from 2 to 9), and accordingly, N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s (100) may be determined for each target tooth.
즉,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파라미터는 다수의 대상치들의 통계적 분포로부터 얻은 복수개의 통계 그룹들 중에 상기 대상치가 속하는 통계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parameters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re determined based on the statistical group to which the target value belongs among multiple statistical groups obtained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a plurality of target valu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통계 그룹은 각 대상치의 통계적 분포를 60% 이상 커버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통계 그룹은 각 대상치의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통계 그룹은 서로 연속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접하는 통계 그룹간 그 경계에서 서로 중복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may be defined to cover at least 6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each target valu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may be defined to cover at least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each target value. Here, the plurality of statistical groups may be defin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overlap with each other at the boundary between adjacent statistical groups.
아울러, 각 통계 그룹의 대표값은 중앙값, 평균값, 최빈값 등 해당 통계 그룹 내에 속하는 값이기만 하면 충분하다.In addition, the representative value of each statistical group is sufficient as long as it is a value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statistical group, such as the median, mean, or mode.
도 7 은 서로 다른 토크각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용 브라켓(100)은 대상치의 각도의 통계적 분포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결정된 토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토크각 이외의 파라미터(앵글레이션, 회전옵셋, 인-아웃 등)는 소정의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Fig. 7 relates to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having different torque angles.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to have a torque angle determined from a statistical group of statistical distributions of angles of target teeth. Here, parameters other than the torque angle (angulation, rotational offset, in-out, etc.) can be fixed to a predetermined value.
예를 들면, 대상치의 각도의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는 4 개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 -5.8°, = 1.8°, = 9.4° 및 = 17.0° 의 토크각이 결정되면, 도 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베이스부(110)와 바디부(120)는 , , 및 의 토크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from four statistical groups that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target angle. = -5.8°, = 1.8°, = 9.4° and = When the torque angle of 17.0°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7, the base part (110) and the body part (120)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 , and can be arranged to form a torque angle.
도 8 은 서로 다른 앵글레이션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용 브라켓(100)은 대상치의 각도의 통계적 분포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결정된 앵글레이션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앵글레이션 이외의 파라미터(토크각, 회전옵셋, 인-아웃 등)는 소정의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FIG. 8 relates to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having different angulations.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to have an angulation determined from a statistical group of statistical distributions of angles of target teeth. Here, parameters other than the angulation (torque angle, rotational offset, in-out, etc.) can be fixed to a predetermined value.
예를 들면, 대상치의 각도의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는 4 개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 0°, = 2°, = 4° 및 = 6° 의 앵글레이션이 결정되면, 도 8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베이스부(110)와 바디부(120)는 , , 및 의 앵글레이션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from four statistical groups that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target angle. = 0°, = 2°, = 4° and = When the angulation of 6°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8, the base part (110) and the body part (120)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 , and can be arranged to form an angle of .
도 9 은 서로 다른 회전옵셋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용 브라켓(100)은 대상치의 각도의 통계적 분포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결정된 회전옵셋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옵셋 이외의 파라미터(토크각, 앵글레이션, 인-아웃 등)는 소정의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Fig. 9 relates to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having different rotational offsets.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to have a rotational offset determined from a statistical group of statistical distributions of angles of target teeth. Here, parameters other than the rotational offset (torque angle, angulation, in-out, etc.) can be fixed to a predetermined value.
예를 들면, 대상치의 각도의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는 4 개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 0°, = 2°, = 4° 및 = 6° 의 회전옵셋이 결정되면, 도 9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베이스부(110)와 바디부(120)는 , , 및 의 회전옵셋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from four statistical groups that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target angle. = 0°, = 2°, = 4° and = When the rotation offset of 6°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9, the base part (110) and the body part (120)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 , and can be arranged to form a rotational offset.
도 10 은 서로 다른 인-아웃을 가지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기성 교정용 브라켓(100)은 대상치의 인접한 대상치와의 배열각도의 통계적 분포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결정된 인-아웃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아웃 이외의 파라미터(토크각, 앵글레이션, 회전옵셋 등)는 소정의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Fig. 10 relates to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having different in-outs.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to have an in-out determined from a statistical group of statistical distributions of arrangement angles of a target tooth with respect to adjacent target teeth. Here, parameters other than the in-out (torque angle, angulation, rotational offset, etc.) can be fixed to a predetermined value.
예를 들면, 대상치의 인접한 대상치와의 배열각도의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는 4 개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 0mm, = 0.2mm, = 0.4mm 및 = 0.6mm 의 인-아웃이 결정되면, 도 10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베이스부(110)와 바디부(120)는 , , 및 의 인-아웃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from four statistical groups that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array angles of the target object with its adjacent target objects. = 0mm, = 0.2mm, = 0.4mm and = When the in-out of 0.6 mm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10, the base part (110) and the body part (120)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 , and can be arranged to form an in-out.
이와 같이,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100)의 파라미터를 각 대상치의 통계적 분포를 90%이상 커버하는 복수의 통계 그룹으로부터 결정하면, 기성 교정 브라켓임에도 맞춤형 교정 브라켓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parameters of the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100) are determined from multiple statistical groups that cover more than 90%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each target tooth, the effect of the 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 can be expected even though it is a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
110 베이스부
120 바디부
130 클립부100 custom made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s
110 bass section
120 body part
130 clip section
Claims (5)
일면이 대상치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바디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의 파라미터는 토크각, 앵글레이션, 회전옵셋 및 인-아웃 중 하나 이상이고, 각 파라미터는 복수의 대표값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베이스부는, 각 파라미터 별로 복수의 대표값들 중 하나의 대표값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각 파라미터의 복수의 대표값들 각각은 환자들의 대상치의 각 파라미터와 연관된 통계적 분포를 커버하는 통계 그룹들 각각에서 결정되고,
상기 통계적 분포는 기성 교정 브라켓으로 교정한 환자들의 대상치에 대한 것이고,
상기 통계 그룹들은,
상기 통계적 분포를 90% 이상 커버하도록 정의되고,
인접한 통계 그룹과 중복되는 영역없이 서로 연속하도록 배치되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For custom made orthodontic brackets,
A base portion having one side attached to the target; and
A body part having a slot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into which a corrective wire is inserted;
The parameters of the above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are at least one of torque angle, angulation, rotation offset and in-out, and each parameter includes multiple representative values.
The above body part and the above base part are arranged to form one representative value among a plurality of representative values for each parameter,
Each of the multiple representative values of each parameter is determined from each of the statistical groups covering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associated with each parameter of the target values of the patients,
The above statistical distribution is for the target teeth of patients corrected with pre-existing orthodontic brackets.
The above statistical groups are,
It is defined to cover more than 90% of the above statistical distribution,
Custom, prefabricated orthodontic brackets that are positioned contiguously with no overlapping areas with adjacent statistical groups.
상기 대상치의 종류는 상악 중절치, 상악 측절치, 상악 견치, 상악 소구치, 상악 제 1 대구치, 하악 4 전치, 하악 견치, 하악 제 1 소구치, 하악 제 2 소구치, 하악 제 1 대구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In paragraph 1,
A custom-made orthodontic bracket, wherein the types of the above target teeth include at least one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maxillary lateral incisor, maxillary canine, maxillary premolar, maxillary first molar, mandibular fourth incisor, mandibular canine, mandibular first premolar, mandibular second premolar, and mandibular first molar.
상기 복수의 대표값들은 상기 통계 그룹들 각각의 중앙값인, 맞춤형 기성 교정 브라켓.In paragraph 1,
The above multiple representative values are the median values of each of the above statistical groups, a customized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64579A KR102765910B1 (en) | 2022-05-26 | 2022-05-26 |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64579A KR102765910B1 (en) | 2022-05-26 | 2022-05-26 |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64882A KR20230164882A (en) | 2023-12-05 |
| KR102765910B1 true KR102765910B1 (en) | 2025-02-11 |
Family
ID=8915749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64579A Active KR102765910B1 (en) | 2022-05-26 | 2022-05-26 |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65910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216258B2 (en) | 2004-02-06 | 2009-01-28 | アンドレアス・ニーデルヴァンゲル | How to select a bracket to b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an abnormal tooth position |
| JP2011081844A (en) | 1999-12-29 | 2011-04-21 | Ormco Corp | Custom orthodontic applianc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
| JP4746043B2 (en) | 2004-07-30 | 2011-08-10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Automatic adjustment of orthodontic brackets to desired occlusal height in a three-dimensional (3D) environment |
| US20180368942A1 (en) * | 2006-10-20 | 2018-12-27 | Align Technology, Inc. |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ree-dimensional brackets on teeth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29717B1 (en) * | 2014-10-31 | 2016-06-16 |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 Orthodontic bracket system |
-
2022
- 2022-05-26 KR KR1020220064579A patent/KR1027659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081844A (en) | 1999-12-29 | 2011-04-21 | Ormco Corp | Custom orthodontic applianc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
| JP4216258B2 (en) | 2004-02-06 | 2009-01-28 | アンドレアス・ニーデルヴァンゲル | How to select a bracket to b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an abnormal tooth position |
| JP4746043B2 (en) | 2004-07-30 | 2011-08-10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Automatic adjustment of orthodontic brackets to desired occlusal height in a three-dimensional (3D) environment |
| US20180368942A1 (en) * | 2006-10-20 | 2018-12-27 | Align Technology, Inc. |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ree-dimensional brackets on teeth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64882A (en) | 2023-12-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615898B2 (en) | Tube for orthodontics | |
| CN111588490A (en) | Shell-shaped tooth appliance, design method of dental appliance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appliance system | |
| US20230058890A1 (en) | Direct bonding guide systems | |
| CN107174355A (en) | Detachable tooth row correcting device | |
| US20200297460A1 (en) | Orthodontic systems and methods | |
| JP2009535174A (en) | Orthodontic appliance with adjusted bracket profile | |
| US9987104B2 (en) | Orthodontic lingual device | |
| US20220218445A1 (en) | Single arch mandibular advancer | |
| Mhetre et al. |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 for Management of Class I Malocclusion | |
| Özer et al. | Bilaterally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eatment: a case report | |
| JP2019503241A (en) |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 |
| KR20160050900A (en) | Orthodontic bracket system | |
| US11317993B2 (en) | Orthodontic device for overbite correction | |
| Jawale | Adjunctive Orthodontic Treatment in an Adult Patient with Mutilated Dentition | |
| KR102765910B1 (en) |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 |
| WO2022074702A1 (en) | Orthodontic mouthpiece and orthodontic means using mouthpiece | |
| Shetty et al. | Clear aligner therepy–A review. | |
| US11730570B2 (en) | Bracket | |
| McNally et al. | Orthodontic retention: why when and how? | |
| KR102765909B1 (en) |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 |
| KR102765908B1 (en) |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 |
| JP3242254U (en) | orthodontic bracket | |
| Sabuncuoglu et al. | Orthodontic approach to dilacerated central incisor localized horizontally on the anterior nasal spine: a case report | |
| WO2019217993A1 (en) | An orthodontic anchorage assembly | |
| Goutham et al. | G-technique: an effective and precise method for rapid derotation of teeth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