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8278B1 - A suspension unit - Google Patents
A suspension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8278B1 KR102768278B1 KR1020230035730A KR20230035730A KR102768278B1 KR 102768278 B1 KR102768278 B1 KR 102768278B1 KR 1020230035730 A KR1020230035730 A KR 1020230035730A KR 20230035730 A KR20230035730 A KR 20230035730A KR 102768278 B1 KR102768278 B1 KR 1027682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spension arm
- wheel
- upper suspension
- arm
- lower suspen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은 휠; 일측이 상기 휠과 연결되는 제1 어퍼 서스펜션암;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 하단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휠과 연결되는 제2 로워 서스펜션암; 및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 및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의 타측과 연결되는 차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과 상기 차체가 연결되는 제1 지점은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과 상기 차체가 연결되는 제2 지점에 비하여 상기 휠에서 더 멀 수 있다.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 a first upper suspension arm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a second lower suspension arm positioned below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and a body connected to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wherein a first point at which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body are connected may be further from the wheel than a second point at which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and the body are conn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스펜션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uni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suspension)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고 주행 중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섀시 스프링,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흡수하는 쇽 업쇼버, 및 자동차가 좌 우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져 등으로 구성된다. In general, the suspension of a car consists of a chassis spring that connects the axle and the car body and cushions the shock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a shock absorber that absorbs the free vibration of the spring, and a stabilizer that prevents the car from shaking left and right.
현가장치는 설치위치에 따라 앞 현가장치와 뒤 현가장치로 나뉘는데, 앞 현가장치는 프레임과 차축을 연결하여 차의 중량을 지지하고, 바퀴의 진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조향기구의 일부가 설치된다. 또한, 앞 현가장치는 앞 차축의 형상에 따라 차축 현가식과 독립 현가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승차감이나 조종성을 중요시하는 승용차에서는 독립 현가식을 많이 사용하고, 버스나 트럭에서는 차축 현가식을 많이 사용한다. 특히, 독립 현가식은 차축을 분할하여 양쪽 바퀴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하여 승차감이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위시본 형식과 맥퍼슨 형식으로 크게 나뉜다. 이러한 현가 장치에서 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일명 콘트롤 암으로 불리우는 서스펜션 암은 휠과 제동장치 등을 차체에 연결하는 주요 부품이다. 서스펜션 암은 진동에 대해서 강성이 높아야 하며 동시에 경량화가 요구되어 스틸, 알루미늄, 플라스틱으로 그 재질이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나 강성이 높고 가벼운 서스펜션 암은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The suspension is divided into front suspension and rear suspension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front suspension connects the frame and the axle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vehicle, absorbs the vibration of the wheels, and installs part of the steering mechanism. In addition, the front suspension can be divided into axle suspension and independent suspensio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ront axle. In general, the independent suspension is used a lot in passenger cars that prioritize ride comfort and controllability, and the axle suspension is used a lot in buses and trucks. In particular, the independent suspension improves ride comfort and stability by dividing the axle so that the wheels on both sides move independently, and is largely divided into the wishbone type and the McPherson type. The suspension arm, also known as the control arm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wheel in this suspension device, is the main component that connects the wheel and the braking device to the body. The suspension arm must have high rigidity against vibration and at the same time be lightweight, so the material is changing to steel, aluminum, and plastic. However, the suspension arm with high rigidity and light weight has the disadvantage of low price competitivenes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중량의 상부 구조물을 가지는 차량에 안정성을 강화한 서스펜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spension unit with enhanced stability for a vehicle having a high-weight superstructur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은 휠; 일측이 상기 휠과 연결되는 제1 어퍼 서스펜션암;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 하단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휠과 연결되는 제2 로워 서스펜션암; 및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 및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의 타측과 연결되는 차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과 상기 차체가 연결되는 제1 지점은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과 상기 차체가 연결되는 제2 지점에 비하여 상기 휠에서 더 멀 수 있다.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 a first upper suspension arm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a second lower suspension arm positioned below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and a body connected to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wherein a first point at which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body are connected may be further from the wheel than a second point at which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and the body are connect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서스펜션 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suspen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은 상부에 높고 무거운 구조물을 적재하는 이동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구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The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rove driving stability when applied to a mobile device that loads a tall and heavy structure on top.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적용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정면도,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구동 방식을 도시한 정면도,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서스펜션암의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form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riving method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uspension arm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적용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lication form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 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은 휠(110), 일측이 휠(110)과 연결되는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하단에 위치하며, 일측이 휠(110)과 연결되는 제2 로워 서스펜션암(122) 및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의 타측과 연결되는 차체(140)를 포함하고,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차체(140)가 연결되는 제1 지점(161)은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과 차체(140)가 연결되는 제2 지점(162)에 비하여 휠(110)에서 더 멀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wheel (110), a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110), a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22) positioned below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110), and a body (14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and a first point (161) at which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body (140) are connected may be further from the wheel (110) than a second point (162) at which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and the body (140) are connected.
휠(110)은 다양한 동력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휠(110)은 차체(140)와 연결될 수 있다. 휠(110)은 서스펜션암(120)에 의해 차체(140)와 연결될 수 있다. 휠(110)은 내부에 전기로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휠(110)은 휠 연결부(150)에 의해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과 연결될 수 있다. 휠(110)은 2개가 차체(14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른 실시예의 경우, 차체(140)에는 4개의 휠이 설치될 수 있다. 차체(140)에는 짝수개의 휠(1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wheel (110) can be rotated by various powers. The wheel (110) can be connected to the body (140). The wheel (110) can be connected to the body (140) by a suspension arm (120). The wheel (110) can include an electric motor inside. The wheel (11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by a wheel connecting portion (150). Two wheels (110) can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40),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nother embodiment, four wheels can be installed on the body (140). An even number of wheels (110) can be installed on the body (140).
차체(140)는 도면에서 직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차체(140)는 상단에 다양한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경우, 차체(140)는 상단에 고중량의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body (140) is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solid in the drawing, but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exist. Various structures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40). In one embodiment, a support for supporting a heavy camera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2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일측이 휠(1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은 휠(1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은 차체(1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은 차체(14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차체(140)의 일측에는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이 두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두개의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은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110).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may be connected to the wheel (110).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140). At least on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140). Two first upper suspension arms (121)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1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wo first upper suspension arms (12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휠(1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차체(1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차체(14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차체(140)의 일측에는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이 두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두 개의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connected to the wheel (110).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140). At least on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40). Two first lower suspension arms (122)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wo first lower suspension arms (12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일 실시예에서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두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하나이거나 두개가 서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two,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one 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은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 및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 및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은 차체(140)에서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이 설치된 위치의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은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은 일측이 휠과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차체(140)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a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may be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vehicle body (140) to the positions where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are installe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One side of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may be connected to a wheel,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140).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 및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은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이 차체(140)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can be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are connected to the body (140).
도 2 에서, 일 실시에의 서스펜션 유닛은 휠(110) 두개가 차체(140)와 연결되도록, 차체(140)의 일측에는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이, 타측에는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 및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두개 이상의 휠(110)이 차체(140)와 연결되도록 서스펜션암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In FIG. 2, the suspension unit of one embodiment may be installed such that two wheels (110) are connected to the body (140), and a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a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40), and a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a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suspension arms may vary so that two or more wheels (110) are connected to the body (140).
일 실시예에서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 및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은 두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 및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은 하나이거나 두개가 서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may be two,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may be one 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은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The lengths of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과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은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은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The lengths of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may be different.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may be shorter than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는 서로 평행하지 않고, 서로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은 휠(110)과 가까운 일측이 차체(140)와 연결된 타측보다 높게 위치하여 지면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form an angl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may be positioned so that one side near the wheel (110) is higher than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ody (140) to form an angle with the ground.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과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는 서로 평행하지 않고, 서로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은 휠(110)과 가까운 일측이 차체(140)와 연결된 타측보다 높게 위치하여 지면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form an angl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may be positioned so that one side near the wheel (110) is higher than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ody (140) to form an angle with the ground.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지면과 평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른 실시예의 경우, 길이 방향으로 지면과 각을 이룰 수 있으나, 이 각도는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이 길이방향으로 지면과 이루는 각보다 작을 수 있다.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be parallel to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other embodiments, may form an angle with the gr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is angle may be smaller than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with the gr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서로 탄성부재(130)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을 연결할 수 있다.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astic member (130). The elastic member (130) can connect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과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은 서로 탄성부재(130)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과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을 연결할 수 있다.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astic member (130). The elastic member (130) can connect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탄성부재(130)는 당기는 탄성부재 또는 미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미는 힘의 탄성부재인 경우,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연결되는 부분이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과 연결되는 부분보다 휠에서 더 멀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당기는 힘의 탄성부재인 경우,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연결되는 부분이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과 연결되는 부분보다 휠에서 더 가까울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30) may be a pulling elastic member or a pushing elastic member. If the elastic member (130) is an elastic member of a pushing force,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may be further from the wheel tha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If the elastic member (130) is an elastic member of a pulling force,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may be closer to the wheel tha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일측이 휠(1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일측이 휠(110)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휠 연결부(1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110).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may have one side directly connected to the wheel (11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a wheel connection part (150) located therebetween.
휠 연결부(150)는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과 휠(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휠 연결부(150)는 휠(110)과 일체화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어, 그 존재를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wheel connection part (15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and the wheel (110). The wheel connection part (150) may be integrated with the wheel (110) or may not be formed separately, and thus its existence is not limited.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3 을 참조하면,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이 차체(140)와 연결된 제1 지점(161)과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이 차체(140)와 연결된 제3 지점(181) 사이의 거리(E)는,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이 차체(140)와 연결된 제2 지점(162)과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이 차체(140)와 연결된 제4 지점(182) 사이의 거리(F)보다 더 짧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istance (E) between the first point (161) at which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and the third point (181) at which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 between the second point (162) at which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and the fourth point (182) at which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제1 어퍼 서스텐션암(121)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1 지점(161)과 휠(110) 사이의 거리(A)는 제1 로워 서스텐션암(122)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2 지점(162)과 휠(110) 사이의 거리(B)에 비해 더 길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텐션암(121)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1 지점(161)은 제1 로워 서스텐션암(122)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2 지점(162)보다 휠(110)에서 더 멀 수 있다.The distance (A) between the first point (161) at which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and the wheel (110)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 between the second point (162) at which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and the wheel (110). The first point (161) at which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may be further from the wheel (110) than the second point (162) at which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제2 어퍼 서스텐션암(171)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3 지점(181)과 휠(110) 사이의 거리(C)는 제2 로워 서스텐션암(172)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4 지점(182)과 휠(110) 사이의 거리(D)에 비해 더 길 수 있다. 제2 어퍼 서스텐션암(171)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3 지점(181)은 제2 로워 서스텐션암(172)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4 지점(182)보다 휠(110)에서 더 멀 수 있다.The distance (C) between the third point (181) at which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and the wheel (110)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fourth point (182) at which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and the wheel (110). The third point (181) at which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may be further from the wheel (110) than the fourth point (182) at which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제1 어퍼 서스텐션암(121)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1 지점(161)과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3 지점(181) 사이의 거리(E)는 제1 로워 서스텐션암(122)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2 지점(162)과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이 차체(140)와 연결되는 제4 지점(182) 사이의 거리(F)보다 더 짧을 수 있다. The distance (E) between the first point (161) at which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and the third point (181) at which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 between the second point (162) at which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and the fourth point (182) at which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is connected to the body (140).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은 차체(140)에서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이 설치된 위치의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로워 서스펜션암(172)은 제2 어퍼 서스펜션암(171) 하단에 위치하며, 일측이 휠(110)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may b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140) where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is installe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172)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171) and one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wheel (110).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구동 방식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 를 참조하면,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 및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은 휠 연결부(150)와 연결된 일측이 위아래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텐션암(121)과 제1 로워 서스텐션암(122)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차체(140)는 좌우로 발생하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처음 자세로 돌아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can rotate up and down on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connection part (150). The vehicle body (140) can return to its initial position even when vibration occurs left and right due to the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서스펜션암의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hape of a suspension arm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5 를 참조하면,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θ1)는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θ2)와 다를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θ1)는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θ2)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어퍼 서스펜션암과 제2 로워 서스펜션암 간의 관계도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과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 간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ngle (θ1) formed by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with the ground may be different from the angle (θ2) formed by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with the ground. The angle (θ1) formed by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with the ground may be greater than the angle (θ2) formed by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with the g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may also be the sam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휠(110)은 내부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어퍼 서스펜션암(121)은 제1 로워 서스펜션암(122) 보다 길이가 더 길 수 있다.The wheel (110) may have a motor that generates power inside.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122).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Furtherm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휠 121: 제1 어퍼 서스펜션암
121: 제1 로워 서스펜션암 130: 탄성부재
140: 차체 150: 휠 연결부110: Wheel 121: First upper suspension arm
121: First lower suspension arm 130: Elastic member
140: Body 150: Wheel joint
Claims (9)
일측이 상기 휠과 연결되는 제1 어퍼 서스펜션암;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 하단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휠과 연결되는 제1 로워 서스펜션암; 및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 및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의 타측과 연결되는 차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과 상기 차체가 연결되는 제1 지점은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과 상기 차체가 연결되는 제2 지점에 비하여 상기 휠에서 더 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 및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과 상기 휠 사이에 위치하는 휠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휠 연결부는 상기 휠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휠 연결부는 상기 차체가 기울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서스펜션 유닛. wheel;
A first upper suspension ar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heel;
A first lower suspension arm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and
A body including: a bod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The first point at which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body are connected is configured to be further from the wheel than the second point at which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and the body are connected.
It further includes a wheel connect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and the wheel;
The above wheel connecting part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he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bove wheel connecting part is configured to tilt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 in response to the tilting of the vehicle body.
Suspension unit.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과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서스펜션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A suspension unit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 및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은 상기 휠 연결부와 연결된 일측이 위아래로 회전운동하는 서스펜션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upper suspension arm and the above first lower suspension arm are suspension units in which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connection part rotates up and down.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은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보다 길이가 더 긴 서스펜션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A suspension unit in which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is longer than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상기 휠은 내부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서스펜션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wheel is a suspension unit having a motor that generates power inside.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 로워 서스펜션암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보다 더 큰 서스펜션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A suspension unit in which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with the ground is greater than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lower suspension arm with the ground.
상기 차체에서 상기 제1 어퍼 서스펜션암이 설치된 위치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휠과 연결되는 제2 어퍼 서스펜션암; 및
상기 제2 어퍼 서스펜션암 하단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휠과 연결되는 제2 로워 서스펜션암을 더 포함하는 서스펜션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A second upper suspension arm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upper suspension arm is installed in the above body,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heel; and
A suspens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ower suspension arm positioned below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wheel.
상기 제2 어퍼 서스펜션암이 상기 차체와 연결된 제3 지점과 상기 제1 지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로워 서스펜션암이 상기 차체와 연결된 제4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은 서스펜션 유닛.
In Article 8,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at which the second upper suspension arm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first point is
A suspension unit in which the second lower suspension arm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point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second poi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35730A KR102768278B1 (en) | 2023-03-20 | 2023-03-20 | A suspension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35730A KR102768278B1 (en) | 2023-03-20 | 2023-03-20 | A suspension uni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41415A KR20240141415A (en) | 2024-09-27 |
| KR102768278B1 true KR102768278B1 (en) | 2025-02-17 |
Family
ID=929131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35730A Active KR102768278B1 (en) | 2023-03-20 | 2023-03-20 | A suspension uni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68278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306332A (en) * | 2005-04-28 | 2006-11-09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JP2016210378A (en) | 2015-05-13 | 2016-12-15 | Ntn株式会社 | Suspension structure for in-wheel motor driv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32834A (en) * | 1993-07-16 | 1995-02-03 | Toyota Motor Corp | Suspension device |
| KR102594580B1 (en) * | 2021-05-07 | 2023-10-25 | 공대원 | Driving axle assembly for a vehicle |
-
2023
- 2023-03-20 KR KR1020230035730A patent/KR1027682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306332A (en) * | 2005-04-28 | 2006-11-09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JP2016210378A (en) | 2015-05-13 | 2016-12-15 | Ntn株式会社 | Suspension structure for in-wheel motor driv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41415A (en) | 2024-09-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043063B2 (en) |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
| KR100293672B1 (en) | Suspension for vehicle | |
| KR101859436B1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 EP3127726B1 (en) | Pneumatic tandem axle suspension for a pair of rear axles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heavy goods vehicle | |
| RU2713263C2 (en) | Pneumatic axle suspension for rear axle of vehicle | |
| KR102768278B1 (en) | A suspension unit | |
| KR102440585B1 (en) | car suspension | |
| US12311716B2 (en) | Coilover damper with semi trailing arm on body on frame vehicle | |
| US20080303237A1 (en) | Idividual Wheel Suspension | |
| KR100313801B1 (en) |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
| KR102240958B1 (en) | Vehicle lower arm control apparatus for driving stability and soft ride comfort | |
| KR100427312B1 (en) |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
| JPH1142917A (en) |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 |
| JP2002144838A (en) | Air suspension device | |
| JP2001287525A (en) | Torsion bar air ride suspension | |
| KR100957161B1 (en) | Semi-trailing arm suspension for vehicles | |
| KR100412712B1 (en) | Rear multi-link suspension having a dual upper arm | |
| KR20080054815A (en) | Strut suspension of vehicle | |
| KR100507470B1 (en) | An ant-roll device of vehicles | |
| KR20140077040A (en) | Spring mounting unit for multi-link type suspension system | |
| KR100471753B1 (en) |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 |
| KR20030024376A (en) | Mount structure of trust insulator which can be variable of kingpin | |
| CN111655520A (en) | Wheel suspens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holding device and motor vehicle | |
| KR20030018914A (en) | Torsion beam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
| KR20070063152A (en) | Suspension of automobi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