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0350B1 - Wireless reel swap error det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reel swap error detec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0350B1 KR102760350B1 KR1020170013720A KR20170013720A KR102760350B1 KR 102760350 B1 KR102760350 B1 KR 102760350B1 KR 1020170013720 A KR1020170013720 A KR 1020170013720A KR 20170013720 A KR20170013720 A KR 20170013720A KR 102760350 B1 KR102760350 B1 KR 102760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er
- barcode
- reel
- component
- par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오삽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 및 상기 부품 실장기에 장착된 부품 릴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스캔부;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를 스캔한 결과를 발신하고, 상기 스캔된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피더 ID와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와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가상 릴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부품 릴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 및 상기 스캔된 부품 릴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isinsertion checking device, comprising: a scanning unit which scans a barcode of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a barcode of a component reel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a communication unit which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server, transmits a result of scanning the barcode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receives a feeder ID corresponding to the scanned barcode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a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nd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received virtual reel code and stores a list of component names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f the component reel as a database; and a control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es the identity of the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nd the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f the scanned component reel.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삽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실장 장치에서 칩에 실장되는 부품이 오삽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checking whether a component mounted on a chip in a mounting device is misinserted.
일반적인 SMT(Surface Mount Technology) 생산 공정은 프린팅-부품 실장-리플로우의 단계로 구성되고, 부품 실장 단계에서는 부품 실장기(chip mounter)가 사용된다. 부품 실장기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부품을 실장해서 부품이 안착된 기판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부품 실장기에 의해 기판에 부품이 안착된 이후, 리플로우를 거쳐 열처리를 통해 칩이 완성된다.The general SMT (Surface Mount Technology) production process consists of the steps of printing, component mounting, and reflow, and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chip mounter) is used in the component mounting step.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is a device that mounts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o form a substrate on which components are mounted. After components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by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they undergo reflow and heat treatment to complete the chip.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부품 실장기(100)의 구성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다. 부품 실장기(100)는 피더 장착슬롯(103)에 연결된 피더(104)를 통해 부품을 공급받고, 내부에 수용된 마운트 헤드(미도시)가 피더(104)에서 공급받은 부품을 픽업해 기판상으로 이동하여 정해진 위치에 부품을 실장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component mounting machine (100) can be understood.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100) receives components through a feeder (104) connected to a feeder mounting slot (103), and a mount head (not shown) housed inside picks up the components supplied from the feeder (104), moves them onto a substrate, and mounts the components at a designated location.
그러나 부품 실장기(100)에 사용되는 부품은 육안에 의해 구분하기 힘들 정도의 작은 사이즈로, 테이프에 수용되어 테이프가 감긴 릴의 형태로 부품 실장기(100)에 제공되거나, 트레이에 안착되어 제공된다. 작업자의 육안으로 부품의 종류를 구분하기 힘들고, 한 기판에 안착되어야 하는 부품의 종류가 매우 많은 경우, 이를 일일히 육안으로 확인하고 점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parts used i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100) are of such a small size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with the naked eye, and are provided to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100) in the form of a reel in which the tape is wound or installed on a tray. It is difficult for a worker to distinguish the types of parts with the naked eye, and when there are many types of parts that need to be installed on one board,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and inspect them one by one.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부품이 공급되는 릴이나 트레이의 표면에는 바코드를 인쇄하거나 부착하고, 부품 실장기(100)에는 바코드 리더(101)를 연결하여 부품 실장기(100)에 연결된 릴이나 트레이에 어떤 부품이 얼마나 포함되어 제공되는지, 혹시 오삽된 부품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바코드 리더(101)는 작업 효율을 위해 부품 실장기(100)의 전후면에 하나씩 총 두개가 배치될 수 있다.To overcome these problems, a barcode is printed o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el or tray through which the parts are supplied, and a barcode reader (101) is connected to the parts mounting device (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parts and how much are included in the reel or tray connected to the parts mounting device (100) and whether there are any incorrectly inserted parts. For work efficiency, a total of two barcode readers (101) can be placed, one on the front and the other on the back of the parts mounting device (100).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 리더(101)는 유선으로, 모든 부품 실장기(100)에 장착되어야 하고, 연결된 선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 범위가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코드를 스캔한 뒤, 해당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품 실장기(100)에 장착된 모니터(102)로 시선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하나의 릴 또는 트레이에 대해서 점검이 완료된 뒤에야 그 다음 릴 또는 트레이로 작업을 옮겨갈 수 있는 싱글 베이스 기반의 작업단위로 인해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s shown, the barcode reader (101) is wired and must be installed on all component mounting machines (100),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s work range is limited by the connected wire.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fter scanning the barcode, the line of sight must be moved to the monitor (102) installed on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100) to check the res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is long due to the single-base-based work unit in which work can be moved to the next reel or tray only after inspection is completed on one reel or tra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작업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동시에 여러 릴 또는 트레이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오삽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sinsertion checking device that can perform work on multiple reels or trays simultaneously without limiting the work range of a work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는,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 및 상기 부품 실장기에 장착된 부품 릴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스캔부;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를 스캔한 결과를 발신하고, 상기 스캔된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피더 ID와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와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가상 릴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부품 릴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 및 상기 스캔된 부품 릴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wireless misinsertion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canning unit that scans a barcode of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a barcode of a component reel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a communication unit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server, transmits a result of scanning the barcode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receives a feeder ID corresponding to the scanned barcode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a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nd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received virtual reel code and stores a list of component names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f the component reel as a database; and a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es the identity of the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nd the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f the scanned component reel.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는,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이 상기 스캔된 부품 릴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과 상이할 때,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that displays an error message when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is different from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a barcode of the scanned component re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조회 가능한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한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가 조회 불가능할 때,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can be retrie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interface unit can display an error message when the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cannot be retrieved.
상기 통신부는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매핑 정보가 더 수신될 때, 상기 수신한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를 삭제할 수 있다.The above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nd the storage unit can delete a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when the above mapping information is further receiv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피더 ID에 대응하는 새로운 가상 릴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can generate a new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상기 부품 실장기에 장착된 상기 부품 릴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mponent reels mounted on the above component moun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units.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오삽 확인 장치가 무선으로 제공되어, 작업자의 작업 범위가 넓어진다.The wireless misplacement detection device expands the operator's working range.
멀티 베이스 단위로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By performing tasks in multi-base units, you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asks.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diverse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기존의 부품 실장기 및 부품 실장기에 연결된 유선 바코드 리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 및 무선 오삽 확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가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를 스캔한 경우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가 부품 릴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가 부품 릴의 바코드를 스캔한 경우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의 매핑 정보 유무에 따른 작동 과정의 변화를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arts mounting machine and a wired barcode reader connected to the parts mounting machin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a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face when a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barcode of a component mounting devic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a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barcode of a parts reel.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face when a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barcode of a parts reel.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changes in the operating process of a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pp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a meaning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all not be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as used herei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mention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drawings and/or schematic drawings, which are ide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form of the examples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etc. In addition,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illu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llustrated to some extent enlarg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compon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components when used or operated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depicted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ir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3) 및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nent mounting device (3) and a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3) 및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는 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별개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3) and th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nected by wires and are configured separately.
부품 실장기(3)는 피더(4)에 의해 공급되는 부품을 마운트 헤드(미도시)를 이용해 픽업하고 기판에 실장한다. 따라서 피더(4)가 장착될 수 있는 피더 장착슬롯(31)를 전면에 구비한다. 피더 장착슬롯(31)은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하나의 기판에 실장해야 하는 부품 실장기(3)의 특성상 복수의 피더(4)가 결합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피더(4)가 장착되는 피더 장착슬롯(31) 역시 복수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도 2에서는 일부 피더 장착슬롯(31)이 피더(4)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 피더 장착슬롯(31)은 피더(4)와 결합되지 않은 상황을 도시하였다.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3) picks up components supplied by the feeder (4) using a mount head (not shown) and mounts them on a substrate. Accordingly, a feeder mounting slot (31) on which a feeder (4) can be mounted is provided on the front. Since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3) must mount various types of components on a single substrate, the feeder mounting slot (31) must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feeders (4),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feeder mounting slots (31) on which the feeders (4) are mounted are also provided. In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tuation is illustrated in which some feeder mounting slots (31) are combined with the feeder (4), and other some feeder mounting slots (31) are not combined with the feeder (4).
부품 실장기(3)에는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barcode)가 부착 또는 인쇄된다.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는 부품 실장기(3)의 피더 ID에 매칭되는 정보를 담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서버가 저장하고 있어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서버로부터 관련 정보를 조회할 수도 있다. A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s attached or pri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3).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contains information matching the feeder ID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3). Such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stored in a server, so that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may search for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는 후술할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스캔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2에서는 부품 실장기(3)의 전면 소정 영역에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가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scanned by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described later. In Fig. 2,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s expressed as be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front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3), but the position of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의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고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3G, LTE 등의 무선 모뎀이 설치되어 있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코드의 스캔이 가능하고 선이 연결되지 않아 휴대가 용이하며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핸드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고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WLAN, Wibro 등을 이용해 AP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이 가능함과 동시에 영상 또는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한 태블릿 피씨,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mobile terminal. Here, the mobile terminal can be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smart phone,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etc., which can be used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and which can us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installing a wireless modem such as 3G or LTE, and which can scan barcodes, and which is easy to carry because it is not connected to a wire, and which includes an input means.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an be a wearable device such as a tablet PC or smart watch, which can be used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and which can be connected to an AP using WLAN, Wibro, etc.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ich can capture videos or imag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22)와, 바코드를 스캔하는 스캔부(24)를 구비한다. 무선 오삽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has an interface unit (22)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receives commands, and a scanning unit (24) that scans a barcode.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misinsertion device is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는 통신부(21), 제어부(23), 스캔부(24), 저장부(25) 및 인터페이스부(22)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a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 a control unit (23), a scanning unit (24), a storage unit (25), and an interface unit (22).
스캔부(24)는 바코드를 스캔하는 구성요소로,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와 부품 릴(41)에 인쇄 또는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대응하는 정보를 스캔하는 구성요소이다. 바코드 스캐너는 바코드의 스캔을 위해 바코드에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빛이 바코드에서 흡수 또는 반사되면서 반사된 빛이 바코드 스캐너로 돌아온다. 돌아온 빛으로부터 스캔부(24)는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디코더(미도시)를 이용해 컴퓨터 등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스캔부(24)는 단색광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과 같이 바코드를 스캔할 수도 있고, 가시광선을 촬상하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로 구성되어 바코드의 이미지를 촬상한 후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바코드 영역을 추출하고 인식할 수도 있으며 스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canning unit (24) is a component that scans barcodes, and is a component that scans barcodes (30) of a parts mounting machine and barcodes printed or attached to a parts reel (41) to scan corresponding information. The barcode scanner irradiates light onto the barcode to scan the barcode, and when the irradiated light is absorbed or reflected by the barcode, the reflected light returns to the barcode scanner. From the returned light, the scanning unit (24) converts the scanned barcode information into a form that can be used by a computer, etc., using a decoder (not shown). The scanning unit (24) may scan the barcode using a monochromatic light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method, or may be configured with a lens and an image sensor that capture visible light to capture an image of the barcode and then extract and recognize the barcode area from the captured image. The scann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통신부(21)는 서버와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간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통신부(21)는 서버(미도시)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간단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부품 실장기(3)에 포함될 수도 있다. 통신부(21)는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스캔한 경우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스캔한 결과를 서버로 발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피더 ID, 상기 피더 ID에 연결된 가상 릴 코드,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통신부(21)는 무선 통신을 위해 3G 모뎀 또는 LTE 모뎀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지그비(ZigBee), 무선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unit (21) is a component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nd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The communication unit (21)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by exchanging control signals with the server (not shown) or exchanging simple data. Th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may be included i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3). When the communication unit (21) scans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t transmits the result of scanning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to the server, and requests and receives from the server a corresponding feeder ID, a virtual reel code connected to the feeder ID, and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The communication unit (21) may include a 3G modem or an LTE mod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also use ZigBee, WLAN, Bluetooth,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저장부(25)는 부품 릴의 바코드(40)에 대응하는 부품명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해두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저장매체가 저장부(25)에 구비되어야 한다. 저장매체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SD(Secure Digital) 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저장부(25)에 미리 부품 릴의 바코드(40)에 대응하는 부품명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서버에 저장되고,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스캔한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서버로 전송해, 서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응하는 부품명을 찾아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25) is a component that stores a list of component names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40) of the component reel as a database. Therefore,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data must be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25). As the storage medium, an HDD (Hard Disk Drive), an SSD (Solid State Drive), an SD (Secure Digital) card, etc. can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names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40) of the component reel are stored in advance in a database in the storage unit (25), but the database may be stored in a server, and the barcode (40) of the component reel scanned by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so that the server finds the corresponding component name in the stored database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제어부(23)는 스캔부(24), 저장부(25), 통신부(21) 및 인터페이스부(22)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3)는 전력원과 연결되어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고, 각 구성요소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전달하는 매개자로써 작용하기도 한다.The control unit (23) is connected to the scanning unit (24), the storage unit (25), the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interface unit (22) and serves to control th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The control unit (23)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serves to transmit power to each component, and also acts as a mediator to transmit signals and data between each component.
제어부(23)는 상기 통신부(21)가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을 인터페이스부(22)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과 스캔부(24)에서 스캔된 부품 릴의 바코드(40)에 대응하는 부품명을 저장부(25)에서 조회하여 상호간의 동일성을 판단한다. 만일 서로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현재 피더(4)에 장착된 부품 릴(41)이 올바른 종류인 것이므로 검사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서로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현재 피더(4)에 장착된 부품이 오삽된 것이므로 에러 메시지를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23) can cause the communication unit (21) to display a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on the interface unit (22), and the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nd the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40) of the component reel scanned by the scan unit (24) are searched for in the storage unit (25)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identical. If they are determined to be identical, the component reel (41) currently mounted on the feeder (4) is the correct type and thus passes the inspection. However, if they are determined to be different, the component currently mounted on the feeder (4) is incorrectly inserted and thus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2).
또한 제어부(23)는 통신부(21)가 피더 ID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를 더 수신한 경우,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를 저장부(25)가 삭제하도록 하고, 새로운 가상 릴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새로운 가상 릴 코드는 저장부(25)에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ommunication unit (21) receives additional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the control unit (23) can cause the storage unit (25) to delete the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nd generate a new virtual reel code. The newly generated virtual reel cod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제어부(23)는 기본적인 논리 연산이 가능해야 하므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등 논리 연산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23) must be capable of basic logical operations, so semiconductor devices capable of logical operations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a microprocessor,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nd an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an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인터페이스부(22)는 사용자에게 스캔된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에 대응하는 피더 ID,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 스캔한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 등의 정보를 열람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부(22)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는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체크 모드, 인스톨 모드 등의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2)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a feeder ID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30) of the scanned component mounting device, a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scanned reel code, etc.,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m, and receives a user's selection. Accordingly, the interface unit (22)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and a user interface (User Interface) tha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can receive a user's selection.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22) may include an input means to receive a user's selection (settings such as a check mode and an install mode).
또한 인터페이스부(22)는 가상 릴 코드를 서버로부터 조회 불가능할 때 또는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이 스캔된 부품 릴의 바코드(40)에 대응하는 부품명과 상이할 때,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terface unit (22) can display an error message when the virtual reel code cannot be retrieved from the server or when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is different from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40) of the scanned part re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의 인터페이스부(22)에 사용되는 입력 수단은 터치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입력 수단이 별도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력 수단으로는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리모콘 등이 있다. 만약 터치 기능을 제공한다면 입력 수단은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일체로 장착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좌표, 터치의 횟수 및 세기 등을 검출한다.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터치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별도의 터치 패드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미세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팁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The input means used in the interface unit (22) of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provide a touch function, in which case the input means is provided separately. The most commonly used input means generally include a mouse, a keyboard, a joystick, a remote control, etc. If the touch function is provided, the input means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may be mount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device, but may not be. The touch sensor detects a touch occurring in the display device and detects the coordinates of the area where the touch occurred, the number of touches, the intensity of the touches, etc. Even if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provides a touch function, if the display device does not include a touch sensor, a separate touch pad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touch may be performed using a fing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using a stylus pen equipped with a tip through which a microcurrent can flow, etc.
이하,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를 이용하여 부품 실장기(3)의 오삽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to 6, a process for checking whether a component mounting device (3) is misinserted using a wireless misinsertion checking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오삽 확인 장치(2)의 스캔부(24)를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와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스캔부(24)가 작동하여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인식하는 경우, 스캔부(24)는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인식한 결과를 제어부(23)를 통해 통신부(21)로 전달하고, 통신부(21)는 서버로 상기 결과를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can unit (24) of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can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When the scan unit (24) operates to recognize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the scan unit (24) transmits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to the communication unit (21) via the control unit (23),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erver.
서버는 상기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통신부(21)로 전달한다. 상기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는, 스캔된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에 대응하는 피더 ID,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 및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이 있을 수 있고, 추가로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는 스캔한 부품 실장기(3)에 매칭되어, 해당 부품 실장기(3)에 대한 작업을 시작한다. The server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to the communication unit (21).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may include a feeder ID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30) of the scanned component mounting device, a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nd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nd additionally,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ccordingly,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is matched to the scanned component mounting device (3) and starts work on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ounting device (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스캔한 경우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face when a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barcode (30) of a component mounting device.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한 무선 오삽 확인 장치(2)의 제어부(23)는, 수신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2)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도 4에는 이러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유저 인터페이스(221)가 도시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23) of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that has received the abov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displays the received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interface unit (22). Fig. 4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221) on which such information is displayed.
피더 ID는 해당 부품 실장기(3)가 어떤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부품 실장기(3)에는 복수의 피더 장착슬롯(31)이 배치될 것이고, 각 피더 장착슬롯(31)에 장착되어야 하는 피더(4)에 대한 정보가 가상 릴 코드가 된다. 또한 각 피더(4)를 통해 공급되어야 하는 부품의 이름이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이 된다. The feeder ID is an identifier that indicates what kind of device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ounting device (3) is. A plurality of feeder mounting slots (31) will be arranged i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3), and information about the feeder (4) to be mounted in each feeder mounting slot (31) becomes a virtual reel code. In addition, the name of the component to be supplied through each feeder (4) becomes the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유저 인터페이스(221)에서는 스캔부(24)가 바코드를 스캔한 부품 실장기(3)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221)에 각 피더 장착슬롯(31)의 번호(2211), 해당 피더 장착슬롯(31)에 결합되는 피더(4)가 수용하고 있어야 하는 부품명(2212), 해당 부품의 개수(2213)가 표시된다.In the user interface (221), information about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3) that scanned the barcode by the scanning unit (24) is displayed. Referring to Fig. 4, the user interface (221) displays the number (2211) of each feeder mounting slot (31), the name of the component (2212) that the feeder (4) connected to the feeder mounting slot (31) must accommodate, and the number (2213) of the compon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스캔하는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a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barcode (40) of a parts reel.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는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스캔한 후, 부품 실장기(3)의 피더 장착슬롯(31)에 설치된 피더(4)가 수용하고 있는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스캔한다. 도 5는 피더 장착슬롯(31)에 설치되는 피더(4)의 구조를 나타낸다.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scans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then scans the barcode (40) of the component reel accommodated by the feeder (4) installed in the feeder mounting slot (31)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3). Fig. 5 shows the structure of the feeder (4) installed in the feeder mounting slot (31).
피더(4)는 부품 릴(41)과 상기 부품 릴(41)을 수용하는 피더 바디(42)로 구성된다. 특정 종류의 부품을 수용한 테이프를 감아놓아 대량으로 부품을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 릴(41)이 피더 바디(42)에 장착된다. 피더 장착슬롯(31)에 연결되는 피더 바디(42)가 부품 릴(41)로부터 테이프를 풀어 부품을 부품 실장기(3)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부품이 공급된다. 부품 실장기(3)의 마운트 헤드는 피더(4)를 통해 노출된 부품을 픽업 밑 실장할 수 있도록 준비된다.The feeder (4) is composed of a parts reel (41) and a feeder body (42) that accommodates the parts reel (41). A parts reel (41) that winds a tape that accommodates a specific type of parts so that parts can be transported and stored in large quantities is mounted on the feeder body (42). Parts are supplied in such a way that the feeder body (42), which is connected to the feeder mounting slot (31), unwinds the tape from the parts reel (41) to expose the parts to the parts mounting device (3). The mount head of the parts mounting device (3) is prepared so that the parts exposed through the feeder (4) can be picked up and mou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부품 릴의 바코드(40)가 부품 릴(41)의 일측면에 존재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부품 릴(41)의 원주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테이프 피더(4)가 사용되는 상황을 표현하였으나, 트레이 피더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code (40) of the parts reel is expressed as existing on one side of the parts reel (41), but it may b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rts reel (41) and its lo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s a situation in which a tape feeder (4) is used, the same method can be used for a tray feeder.
부품 릴의 바코드(40)는 부품 릴(41)의 일측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무선 오삽 확인 장치(2)의 스캔부(24)를 부품 릴의 바코드(40)에 인접하도록 위치시켜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스캔한다. 바람직하게는 피더 장착슬롯(31)에 번호가 매겨지고, 피더 장착슬롯(31)의 번호순으로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스캔한다. 그러나 피더(4)에 바코드가 추가로 형성되어, 피더(4)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피더(4)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수도 있다.The barcode (40) of the parts reel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arts reel (41). Therefore, the scanning unit (24) of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barcode (40) of the parts reel to scan the barcode (40) of the parts reel. Preferably, the feeder mounting slots (31) are numbered, and the barcode (40) of the parts reel is scanned in the numerical order of the feeder mounting slots (31). However, a barcode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feeder (4), and the process of scanning the barcode of the feeder (4)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feeder (4) from the server by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may be further inclu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스캔한 경우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face when a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barcode (40) of a parts reel.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스캔한 경우, 제어부(23)는 스캔한 부품 릴의 바코드(40)에 대응하는 부품명을 저장부(25)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조회된 부품명과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본래 부품 실장기(3)의 해당 피더 장착슬롯(31)에 제공되어야 할 부품의 명칭과 현재 실제 배치된 부품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When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scans the barcode (40) of the parts reel, the control unit (23) searches the database of the storage unit (25) for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40) of the scanned parts reel,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arched part name matches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received from the server.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name of the part that should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feeder mounting slot (31) of the original parts mounting device (3) matches the part that is actually placed at the moment.
만일 동일성 판단 결과 서로 동일하다 판단되면, 검사를 통과한다. 따라서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22)는 체크박스(2214) 항목에 통과함을 나타내는 표식(2215)을 표시한다. 그러나 서로 상이하다 판단되는 경우 올바른 부품 릴(41)이 배치되지 않은 것이므로, 인터페이스부(22)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If the result of the identity determination is judged to be identical, the inspection is passed. Therefo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rface unit (22) displays a mark (2215) indicating that the check box (2214) has passed. However, if it is judged to be different, the correct component reel (41) is not placed, so the interface unit (22) outputs an error message.
작업자는 하나의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스캔한 뒤 해당 부품 릴(41)에 대한 동일성 검사가 종료되기를 기다렸다가 그 다음 부품 릴(41)에 대해서 검사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연속적으로 스캔하고,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동시에 바코드가 스캔된 복수의 부품 릴(41)에 대해 동일성 검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싱글 베이스 기반의 검사를 수행한 종래기술에 비해 멀티 베이스로 검사 수행 단위를 증가시킨 본 발명은 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worker may scan the barcode (40) of one parts reel and wait for the identity check for the corresponding parts reel (41) to be completed before inspecting the next parts reel (41). Alternatively, the barcodes (40) of multiple parts reels may be scanned sequentially, and the wireless misinsertion checking device (2) may perform identity checks on multiple parts reels (41) whose barcodes have been scanned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inspection units to multiple bases compared to the prior art that performs inspection based on a single base,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inspection.
또한 복수의 작업자가 복수의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를 사용하여 동일성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복수의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를 이용해 동일한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스캔하도록 하고, 각각 다른 피더(4)에 배치된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스캔하도록 하여 동시에 하나의 부품 실장기(3)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multiple workers can perform identity checks using multiple wireless misinsertion verification devices (2). By using multiple wireless misinsertion verification devices (2), the barcode (30) of the same component mounting machine is scanned, and the barcode (40) of the component reel placed in each different feeder (4) is scanned, so that work on one component mounting machine (3)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In this way, the time required for inspection can be shortened.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를 이용한 동일성 검사 과정을 살펴본다. Referring to Fig. 7 below,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ss using a wireless misinsertion verification device (2) will be examin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오삽 확인 장치(2)의 스캔부(24)를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와 인접하게 위치시키고, 스캔부(24)가 작동하여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인식한다(S100). 스캔부(24)는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인식한 결과를 제어부(23)를 통해 통신부(21)로 전달하고, 통신부(21)는 서버로 상기 결과를 전송한다.The scanning unit (24) of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the scanning unit (24) operates to recognize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S100). The scanning unit (24) transmits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to the communication unit (21) via the control unit (23),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erver.
상기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버로부터 통신부(21)가 수신한다(S200). 상기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는, 스캔된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에 대응하는 피더 ID,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 및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이 있을 수 있고, 추가로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는 스캔한 부품 실장기(3)에 매칭되어, 해당 부품 실장기(3)에 대한 작업을 시작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 receiv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 recognition result from the server (S200).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 recognition result may include a feeder ID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30) of the scanned component mounting device, a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nd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nd additionally,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ccordingly,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is matched to the scanned component mounting device (3) and starts work on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ounting device (3).
제어부(23)는 수신한 피더 ID에 대응되는 가상 릴 코드를 서버로부터 조회할 수 있는지 통신부(21)를 통해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파악한다(S300). 만일 서버로부터 가상 릴 코드를 조회할 수 없는 경우, 검사를 진행할 수 없으므로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S800). The control unit (23) determines whether the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can be retrieved from the server by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 (S300). If the virtual reel code cannot be retrieved from the server, the inspection cannot be performed and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2) (S800).
만일 조회가 가능하다면, 조회된 가상 릴 코드 및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을 서버로부터 통신부(21)가 전송받는다(S400). If a search is possible, the searched virtual reel code and the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r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communication unit (21) (S400).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는 부품 실장기(3)의 피더 장착슬롯(31)에 설치된 피더(4)가 수용하고 있는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스캔한다(S500). 부품 릴의 바코드(40)를 무선 오삽 확인 장치(2)가 스캔한 경우, 제어부(23)는 스캔한 부품 릴의 바코드(40)에 대응하는 부품명을 저장부(25)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조회된 부품명과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600). 본래 부품 실장기(3)의 해당 피더 장착슬롯(31)에 제공되어야 할 부품의 명칭과 현재 실제 배치된 부품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scans the barcode (40) of the parts reel accommodated by the feeder (4) installed in the feeder mounting slot (31) of the parts mounting machine (3) (S500). When 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scans the barcode (40) of the parts reel, the control unit (23) searches the database of the storage unit (25) for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40) of the scanned parts reel,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arched part name matches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received from the server (S600).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name of the part that should have been originally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feeder mounting slot (31) of the parts mounting machine (3) matches the part that is actually currently placed.
만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것이므로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S800). 그러나 서로 일치하는 경우, 검사가 완료된 것이므로 체크박스 항목에 통과하였음을 나타내는 표식을 표시하고, 모든 부품 릴(41)에 대해서 검사가 완료된 경우 검사 완료 메시지를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표시한다(S700).If they do not match, the inspection has not been passed, so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S800). However, if they match, the inspection has been completed, so a mark indicating that it has passed is displayed in the checkbox item, and if the inspection has been completed for all parts reels (41), an inspection completion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2) (S700).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매핑 정보가 있는 경우의 동일성 검사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Below, we will look at a method for checking identity when there is mapping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삽 확인 장치(2)의 매핑 정보 유무에 따른 작동 과정의 변화를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change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a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pping information.
무선 오삽 확인 장치(2)는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30)를 스캔하고 인식한 결과를 서버로 전송해서 서버로부터 피더 ID를 전달받는다.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정보 중, 피더 ID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가 포함되었을 수 있다. 매핑 정보란 제조사에 따라 가상 릴 코드 또는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 등의 정보를 각 제조사의 명명법에 따라 작성해 놓은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사용하는 부품 실장기(3)의 규칙을 따르도록 해당 정보를 변경해줄 필요가 존재한다.The wireless misinsertion confirmation device (2) scans the barcode (30)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transmits the recognition result to the server, and receives the feeder ID from the server. Amo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may be included. Mapping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such as a virtual reel code or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etc., written according to the naming method of each manufacturer,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o that it follows the rules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3) currently in use.
제어부(23)는 수신한 피더 ID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가 통신부(21)를 통해서 더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201), 만일 매핑 정보가 있다면 수신한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 및 연관 데이터를 삭제한다(S202). 새로 초기화시키기 위함이다. 가상 릴 코드 및 연관 데이터가 삭제된 후, 새로운 가상 릴 코드를 생성하여 수신한 피더 ID에 매핑시킨다(S203). 매핑시킨다는 의미는 상이한 두 정보에 대해 서로 연결관계를 형성해준다는 의미이다. The control unit (23) determines whether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is further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 (S201), and if there is mapping information, the virtual reel code and associa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are deleted (S202). This is to initialize anew. After the virtual reel code and associated data are deleted, a new virtual reel code is generated and mapped to the received feeder ID (S203). Mapping means form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pieces of informa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2 : 무선 오삽 확인 장치 3 : 부품 실장기
4 : 피더 21 : 통신부
22 : 인터페이스부 23 : 제어부
24 : 스캔부 25 : 저장부
30 :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 31 : 피더 장착슬롯
40 : 부품 릴의 바코드 41 : 부품 릴
42 : 피더 바디 100 : 종래 기술의 부품 실장기
101 : 종래 기술의 바코드 리더 102 : 종래 기술의 모니터
103 : 종래 기술의 피더 장착슬롯 104 : 종래 기술의 피더
221 : 유저 인터페이스2: Wireless mis-insertion verification device 3: Parts mounting machine
4: Feeder 21: Communications Department
22: Interface section 23: Control section
24: Scan section 25: Storage section
30: Barcode of the parts mounting machine 31: Feeder mounting slot
40: Barcode on parts reel 41: Parts reel
42: Feeder body 100: Conventional component mounting machine
101: Barcode reader of the prior art 102: Monitor of the prior art
103: Feeder mounting slot of conventional technology 104: Feeder of conventional technology
221 : User Interface
Claims (6)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를 스캔한 결과를 발신하고, 상기 스캔된 부품 실장기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피더 ID와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와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가상 릴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부품 릴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 및 상기 스캔된 부품 릴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오삽 확인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부품 실장기에는 상기 부품 릴을 복수개 구비하는 피더를 실장하는 피더 장착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피더 장착슬롯에는 번호가 매겨지고, 상기 스캔부는 상기 피더 장착슬롯의 번호순으로 상기 부품 릴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무선 오삽 확인 장치는 상기 부품 릴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와 상기 부품 실장기의 해당 피더 장착슬롯에 실제 배치된 부품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동일성 검사를 진행하고,
상기 부품 릴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부품 릴에 대한 동일성 검사를 진행할 때, 하나의 부품 릴에 대해 동일성 검사의 종료 후 다음 부품 릴에 대한 동일성 검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거나, 복수의 부품 릴의 바코드를 연속적으로 스캔하고 동시에 동일성 검사가 수행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피더에는 추가로 바코드가 형성되어, 상기 스캔부는 상기 피더에 형성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무선 오삽 확인 장치는 상기 피더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휴대용 무선 오삽 확인 장치.A scanning unit that scans the barcode of a parts mounting machine and the barcode of a parts reel mounted on the parts mounting machine;
A communication unit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server, transmits the result of scanning the barcode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receives a feeder ID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f the scanned component mounting device, a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and a componen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received virtual reel code and stores a list of part names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f the part reel in a database; and
A portable wireless misinsertion checking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for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and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f the scanned part reel;
The above component mounting machine is equipped with a feeder mounting slot for mounting a feeder having a plurality of the above component reels.
The feeder mounting slots are numbered, the scanning unit scans the barcode of the parts reel in the numerical order of the feeder mounting slots, and the wireless misinsertion checking device performs an identity check to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f the parts reel matches the parts actually placed in the corresponding feeder mounting slot of the parts mounting machine.
When performing an identity check on the above-mentioned parts reel by scanning the barcode of the above-mentioned parts reel, the identity check on the next parts reel is performed sequentially after the identity check on one parts reel is completed, or the barcodes of multiple parts reels are scanned continuously and the identity check is performed simultaneously.
A portabl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wherein a barcode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feeder, the scanning unit scans the barcode formed on the feeder, and th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to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er.
상기 가상 릴 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이 상기 스캔된 부품 릴의 바코드에 대응하는 부품명과 상이할 때,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오삽 확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portabl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that displays an error message when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reel code is different from the part name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f the scanned part re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조회 가능한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된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가 조회 불가능할 때,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휴대용 무선 오삽 확인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can be retrie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above interface unit is a portabl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that displays an error message when the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cannot be retrieved.
상기 통신부는 상기 피더 ID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매핑 정보가 더 수신될 때, 상기 수신된 피더 ID에 대응하는 가상 릴 코드를 삭제하는 휴대용 무선 오삽 확인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er ID,
The storage unit is a portabl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that deletes a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when more mapping information is receiv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피더 ID에 대응하는 새로운 가상 릴 코드를 생성하는 휴대용 무선 오삽 확인 장치.In paragraph 4,
The above control unit is a portabl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that generates a new virtual reel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er ID.
상기 부품 실장기에 장착된 상기 부품 릴은 복수개로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 오삽 확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portable wireless misinsertion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ponent reel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13720A KR102760350B1 (en) | 2017-01-31 | 2017-01-31 | Wireless reel swap error detec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13720A KR102760350B1 (en) | 2017-01-31 | 2017-01-31 | Wireless reel swap error detectin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89083A KR20180089083A (en) | 2018-08-08 |
| KR102760350B1 true KR102760350B1 (en) | 2025-02-03 |
Family
ID=632302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13720A Active KR102760350B1 (en) | 2017-01-31 | 2017-01-31 | Wireless reel swap error detec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60350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273598A (en) * | 2002-03-19 | 2003-09-26 | Seiko Epson Corp | Work support system, work support method, and program therefor |
| WO2008042322A2 (en) | 2006-09-29 | 2008-04-10 |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 Inventory manager service and assistant for pcb manufacturing |
| WO2010132593A2 (en) | 2009-05-13 | 2010-11-18 | Accu-Assembly Incorporated | Detecting component carrier tape splicing |
| JP2013026439A (en) * | 2011-07-21 | 2013-02-04 | Fuji Mach Mfg Co Ltd | Component mounting lin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33084A (en) * | 2004-10-14 | 2006-04-19 | 주식회사 제타테크 |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feeder erroneous install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mounting of chip mounter |
| KR20070048987A (en) * | 2005-11-07 | 2007-05-10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Feeder Recognition System of Chip Mounter Using RDF |
| KR20140112003A (en) * | 2014-08-27 | 2014-09-22 | 박호열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tion management of surface mounted tfchnology |
| KR102022474B1 (en) | 2015-01-08 | 2019-09-18 |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 Tape Reel Splicing System |
-
2017
- 2017-01-31 KR KR1020170013720A patent/KR1027603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273598A (en) * | 2002-03-19 | 2003-09-26 | Seiko Epson Corp | Work support system, work support method, and program therefor |
| WO2008042322A2 (en) | 2006-09-29 | 2008-04-10 |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 Inventory manager service and assistant for pcb manufacturing |
| WO2010132593A2 (en) | 2009-05-13 | 2010-11-18 | Accu-Assembly Incorporated | Detecting component carrier tape splicing |
| JP2013026439A (en) * | 2011-07-21 | 2013-02-04 | Fuji Mach Mfg Co Ltd | Component mounting li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89083A (en) | 2018-08-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027017B2 (en) |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and method | |
| CN102783041B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
| US10715974B2 (en) | Methods for provisioning a wireless beacon | |
| CN104137035B (en) | Gesture and the motor performance control of equipment are read for multi-mode | |
| US10890986B2 (en) | Electronic pe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 US830284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scanner | |
| CN110188044A (en) | Process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the equipment of software error | |
| EP2320350B1 (en) | Annotation of optical images on a mobile device | |
| US20220092533A1 (en) |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 |
| EP3182651A1 (en) |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cataloged smart devices | |
| CN107908990B (en) | Radio frequency card positioning scanning system | |
| EP2843474A1 (en) | Storage information update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for manag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 |
| JP2022000926A (en) | Trace method | |
| CN114445759A (en) | Data sharing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sampling,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 JP6409766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component confirm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 KR102760350B1 (en) | Wireless reel swap error detecting device | |
| JP2005100315A (en) | Paper document information operation system and information operation method | |
| CN105808460B (en) | External equipment recognition methods,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CN107392268B (en) |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parts to be assembled | |
| JP5240468B2 (en) | RFID tag communication system | |
| US20220063109A1 (en) | Determining the center position of a semiconductor wafer | |
| US11347329B2 (en) | Electronic pe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 US20240393866A1 (en) | Re-mapped operator action as response to prompt | |
| JP2020019234A (en) | Recording device, record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TWI828217B (en) |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identification after mounting to pair circuit boar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3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4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4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12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5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