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824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8246B1 KR102778246B1 KR1020180154727A KR20180154727A KR102778246B1 KR 102778246 B1 KR102778246 B1 KR 102778246B1 KR 1020180154727 A KR1020180154727 A KR 1020180154727A KR 20180154727 A KR20180154727 A KR 20180154727A KR 102778246 B1 KR102778246 B1 KR 102778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re
- tire pressure
- setting button
- state
- area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la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71—System initialisation, e.g. upload or calibr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74—Measurement control, e.g. setting measurement rate or calibrating of sensors; Further processing of measured values, e.g. filtering, compensating or slope monito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84—Detecting an ongoing tyre inf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복수 개의 타이어 주변에 설정된 일정 영역 내의 객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일정 영역 내에서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는지를 확인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의 설정 상태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의 학습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that detects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area set around a plurality of tires,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and sets a permitted or prohibited state of a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and determines whether to learn tire pressure based on the set state of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when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방식은 직접 방식과 간접 방식이 있다. 간접 방식의 경우, 네 개의 휠속 센서를 각 휠에 배치하고 휠속을 토대로 동반경 및 주파수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타이어 공기압을 측정하는 방식이다.There are two ways to measure tire pressure: direct and indirect. In the indirect method, four wheel speed sensors are placed on each wheel, and the wheel speed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diameter and frequency, and tire pressure is measur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타이어 공기압 감시 시스템(TPMS)은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고 학습된 타이어 공기압을 기준값으로 하여 타이어 공기압의 경고 제어를 수행한다.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TPMS) learns tire pressure and performs tire pressure warning control using the learned tire pressure as a reference value.
이때, 타이어 공기압 감시 시스템은 사용자가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조작하면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고 학습된 타이어 공기압을 기준값으로 저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learns the tire pressu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and stores the learned tire pressure as a reference value.
하지만, 타이어의 공기압이 저압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조작할 경우, 타이어 공기압 감시 시스템은 저압 상태의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게 되고 그로 인해 타이어 저압 경고를 위한 기준값을 너무 낮게 설정하게 된다. 이 경우, 타이어 공기압 시스템은 타이어 공기압이 저압인 상태에서도 경보를 하지 않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f the user arbitrarily operate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when the tire pressure is low,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will learn the low tire pressure and set the standard value for the low tire pressure warning too low. In this case, the tire pressure system will not sound an alarm even when the tire pressure is low, which can lead to a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공기 주입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여 공기압 설정 버튼이 오조작 되는 경우에 잘못된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that improves stability and reliability by preventing incorrect tire pressure from being learned in the event of an incorrect operation o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by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a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tire is infla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이어의 공기 주입 여부 판단 시 카메라 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타이어의 공기 주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that can determine whether a tire is inflated at low cost by using a camera or an ultrasonic sensor when determining whether a tire is inflat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는, 복수 개의 타이어 주변에 설정된 일정 영역 내의 객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일정 영역 내에서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는지를 확인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의 설정 상태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의 학습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comprises a sensor unit that detects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area set around a plurality of tires,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to set an allowable or disallowable state of a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and determines whether to learn tire pressure based on the set state of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when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상기 센서부는, 타이어 저압 경고 상태에서 각각의 타이어 주변에 설정된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each detecting an object located within first to fourth areas set around each tire in a tire low pressure warning state.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plurality of sensors ar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mera sensor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first to fourth areas.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각각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plurality of sensors are characterized by including ultrasonic sensors that each detect an object loca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area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어 저압 경고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허용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confirmed that an object is detec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tire low pressure warning state, the tir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set to an allowable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된 경우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이 허용 상태이면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and the tir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in an allowable state, the control unit learns and stores the tire air press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어 공기압의 저장 완료 상태를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that guides the completion of storage of the tire air press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어 저압 경고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 내에서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is not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in the tire low pressure warning state, the tir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set to a non-allowed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된 경우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이 미허용 상태이면 타이어 공기압의 학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and the tir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in a non-permitted state, learning of the tire air pressure is block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어 공기압의 상태 확인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guiding the confirmation of the status of the tire air press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객체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각각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with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based on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상기 제어부는, 타이어 공기압이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면 타이어 저압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tire low pressure warning when the tire pressure is detected to be below a standard value.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은, 복수 개의 타이어 주변에 설정된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일정 영역 내에서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는지를 확인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의 설정 상태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의 학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urpos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ep of detecting an objec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set around a plurality of tires, a step of checking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to set an allowable or disallowable state of a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learn tire pressure based on the set state of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when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공기 주입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여 공기압 설정 버튼이 오조작 되는 경우에 잘못된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ire is infl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rrect tire pressure from being learned in the event of an incorrect operation o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thereby improv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공기 주입 여부를 판단 시 카메라 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타이어의 공기 주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determine whether a tire is inflated at low cost by using a camera or an ultrasonic sensor when determining whether a tire is infl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7b are drawings illustrating examples that are referenced i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al flow for a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system in which a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stic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차량 내 타이어 공기압 감시 시스템(TPMS)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side a vehicle. At this time, the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ternal control units of the vehicle, or can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s of the vehicle by a separate connecting means. As an example, the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system (TPMS) inside the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제어부(110), 센서부(120), 출력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및 판단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제어부(110) 및 판단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a sensor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nd a judgment unit (160). Here,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judgment unit (16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processor.
제어부(110)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can process signals transmitted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차량에는 전방 좌측(FL), 전방 우측(FR), 후방 좌측(RL) 및 후방 우측(RR)에 각각 타이어가 구비된다. 센서부(120)는 차량에 구비된 네 개의 타이어 주변의 영역에 위치한 객체, 즉, 사람을 검출한다. 여기서, 전방 좌측(FL) 타이어 주변의 객체 검출 영역은 제1 영역, 전방 우측(FR) 타이어 주변의 객체 검출 영역은 제2 영역, 후방 좌측(RL) 타이어 주변의 객체 검출 영역은 제3 영역, 그리고 후방 우측(RR) 타이어 주변의 객체 검출 영역을 제4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vehicle is equipped with tires on the front left (FL), front right (FR), rear left (RL), and rear right (RR), respectively. The sensor unit (120) detects an object, i.e., a person, located in an area around the four tires equipped on the vehicle. Here, the object detection area around the front left (FL) tire can be defined as a first area, the object detection area around the front right (FR) tire can be defined as a second area, the object detection area around the rear left (RL) tire can be defined as a third area, and the object detection area around the rear right (RR) tire can be defined as a fourth area.
여기서, 센서부(120)는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센서는 차량의 전, 후, 좌, 우 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차량 주변의 360도 영역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Here,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multiple camera sensors that capture images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The multiple camera sensors may capture image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The images acquired by the multiple camera sensors may be images that capture a 360-degree area around the vehicle.
복수의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실시예는 도 2a를 참조하도록 한다.An example of an image acquired by multiple camera sensors is shown in Fig. 2a.
도 2a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210은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으로서, 각 영상을 탑뷰 영상으로 변환한 영상이다. 이때, 복수의 카메라 센서는 탑뷰 영상(210)으로부터 제1 내지 제4 영역(211~214)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 센서는 제1 내지 제4 영역(211~214)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복수의 카메라 센서는 제1 내지 제4 영역(211~214)으로부터 사람이 검출되면, 검출 정보를 제어부(110) 및/또는 판단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When a person is detected from the first to fourth areas (211 to 214), the plurality of camera sensors can transmi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0) and/or the judgment unit (160).
한편, 센서부(120)는 차량 주변의 영역에 위치한 객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that detect the movement of an object located in an area around the vehicle.
복수의 초음파 센서는 각각 전방 좌측(FL) 타이어, 전방 우측(FR) 타이어, 후방 좌측(RL) 타이어 및 후방 우측(RR) 타이어 혹은 그 주변에 배치되어 제1 내지 제4 영역에 위치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A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n or around the front left (FL) tire, the front right (FR) tire, the rear left (RL) tire, and the rear right (RR) tire to detect objects located in the first to fourth areas.
복수의 초음파 센서의 배치 구조에 대한 실시예는 도 2b를 참조하도록 한다.For an example of a layout structure of multiple ultrasonic sensors, refer to Fig. 2b.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의 초음파 센서는 제1 내지 제4 센서(121~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21)는 전방 좌측(FL) 타이어 또는 그 주변에 배치되어 제1 영역(221)에 위치한 사람을 검출할 수 있다. 제2 센서(122)는 전방 우측(FR) 타이어 또는 그 주변에 배치되어 제2 영역(222)에 위치한 사람을 검출할 수 있다. 제3 센서(123)는 후방 좌측(RL) 타이어 또는 그 주변에 배치되어 제3 영역(223)에 위치한 사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4 센서(124)는 후방 우측(RR) 타이어 또는 그 주변에 배치되어 제4 영역(224)에 위치한 사람을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may include first to fourth sensors (121 to 124). The first sensor (121) may be positioned at or around a front left (FL) tire to detect a person located in a first area (221). The second sensor (122) may be positioned at or around a front right (FR) tire to detect a person located in a second area (222). The third sensor (123) may be positioned at or around a rear left (RL) tire to detect a person located in a third area (223). In addition, the fourth sensor (124) may be positioned at or around a rear right (RR) tire to detect a person located in a fourth area (224).
제1 내지 제4 센서(121~124)는 제1 내지 제4 영역(211~214)으로부터 사람이 검출되면, 검출 정보를 제어부(110) 및/또는 판단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When a person is detected from the first to fourth areas (211 to 214), the first to fourth sensors (121 to 124) can transmit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0) and/or the judgment unit (160).
출력부(130)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 등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one or mor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operating status and results o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일 예로서, 출력부(130)는 타이어 공기압 상태 및/또는 타이어의 공기압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타이어의 공기압 상태에 따른 경고등을 점등하는 계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타이어의 공기압 상태에 따른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부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display that displays a message according to the tire pressure status and/or the tire pressure status.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dashboard that lights up a warning light according to the tire pressure status.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buzzer, etc. that outputs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tire pressure status.
이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3D display.
통신부(140)는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제어유닛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부(140)는 차량에 구비된 센서들과 각 제어유닛들 간의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electrical components and/or control units equipped in the vehicle.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sensors equipped in the vehicle and each control unit. 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module that supports vehicle network communication such a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and Flex-Ray communication.
또한, 통신부(14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or a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저장부(150)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50) can store data and/or algorith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일 예로서, 저장부(150)는 타이어 공기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설정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메시지를 안내하기 위한 명령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tire pressur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condi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whether to allow or not to allow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commands for guiding corresponding messages according to the allowable or not to allow setting status of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여기서, 저장부(150)는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orage unit (150)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nd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제어부(110)는 타이어의 저압 상태가 검출되면 출력부(130)를 통해 타이어 저압을 경고한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계기판의 타이어 저압 경고등을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타이어 저압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람을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When a low tire pressure condition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10) warns of low tire pressure through the output unit (13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light a low tire pressure warning light on the instrument pane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display a low tire pressure warning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or output a warning sound through an alarm.
판단부(160)는 타이어 저압 상태를 경고한 이후,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객체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각각 사람이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60)는 제1 내지 제4 영역에 대한 객체 검출 판단 결과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After warning of a low tire pressure condition, the judgment unit (160) determines whether a person is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with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based on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from multiple sensors while the vehicle is stationary. The judgment unit (160) transmits the object detection judgment results for the first to fourth areas to the control unit (110).
제어부(110)는 판단부(16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an set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to an allowable or disallowed state based on the judgment result of the judgment unit (160).
일 예로, 제어부(110)는 타이어 저압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영역에서 모두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허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타이어 저압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서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set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to the allowable state if it is confirmed that a person has been detected in all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low tire pressure stat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0) may set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to the disallowed state if it is confirmed that a person has not been detec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low tire pressure state.
차량에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또는 운전자)는 타이어 저압 경고 후 타이어 공기압 재 설정 시에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A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may be placed on the vehicle. Accordingly, the user (or driver) can operate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when resetting the tire pressure after a low tire pressure warning.
제어부(110)는 사용자(또는 운전자)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되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설정 상태를 확인한다.When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by the user (or driver), the control unit (110) checks whether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is allowed or not.
제어부(110)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이 허용 상태인 경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조작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타이어 공기압을 설정하고 이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타이어 공기압의 저장 완료 상태를 사용자(또는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When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is in the allowed state, the control unit (110) learns the tire pressu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s the tire pressure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and stores i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can inform the user (or driver) of the completion status of the storage of the tire pressure.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도록 한다.For examples of this, refer to FIGS. 3a and 3b.
도 3a를 참조하면, 타이어 저압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한 후에 제1 내지 제4 영역으로부터 모두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4 영역의 객체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허용 상태로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3a, if it is confirmed that a person has been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from all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after the vehicle has stopped in a state of low tire pressure, the control unit (110) set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to an allowed state based on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o fourth areas.
제어부(110)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허용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또는 운전자)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이 조작되면, 현재의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여 저장하고, 도 3b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타이어 공기압이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is operated by a user (or driver) while the control unit (110) is set to the allow state, the control unit (110) learns and stores the current tire pressure, and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ire pressure has been stored through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3b.
한편, 제어부(110)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이 미허용 상태인 경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이 조작되면 사용자(또는 운전자)에게 네 개의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한 후에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재 조작할 것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is not allowed, the control unit (110) can output a warning message to guide the user (or driver) to check the four tire pressures and then operate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again when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is operated.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4a 내지 도 7b를 참조하도록 한다.For examples of this, refer to FIGS. 4a to 7b.
도 4a를 참조하면, 타이어 저압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한 후에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전방 우측(FR), 후방 좌측(RL) 및 후방 우측(RR)의 제2 내지 제4 영역으로부터 일정시간 사람이 검출된 반면, 전방 좌측(FL)의 제1 영역으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10)는 제1 영역의 객체 미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4a, if it is confirmed that a person is detected from the second to fourth areas of the front right (FR), rear left (RL), and rear right (RR) among the first to fourth areas after the vehicle stops in a state of low tire pressure, while no person is detected from the first area of the front left (F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110) set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to a non-allowed state based on object non-det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이 경우, 제어부(110)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또는 운전자)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이 조작되면, 현재의 타이어 공기압을 저장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110)는 타이어의 저압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도 4b와 같이 네 개의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is operated by the user (or driver) while the control unit (110) has set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to a non-allowed state, the current tire pressure is not stored. At this time, since the low pressure state of the tire is maintained, the control unit (110) can guide the user to check the four tire pressures as shown in Fig. 4b.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타이어 저압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한 후에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전방 좌측(FL) 및 후방 우측(RR)의 제1 및 제4 영역으로부터 일정시간 사람이 검출된 반면, 전방 우측(FR) 및 후방 좌측(RL)의 제2 및 제3 영역으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10)는 제2 및 제3 영역의 객체 미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a, if it is confirmed that a person is detected from the first and fourth areas of the front left (FL) and the rear right (RR) among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vehicle stops in a state of low tire pressure, while no person is detected from the second and third areas of the front right (FR) and the rear left (R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110) set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to a non-allowed state based on object non-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areas.
이 경우, 제어부(110)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또는 운전자)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이 조작되면, 현재의 타이어 공기압을 저장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110)는 타이어의 저압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도 5b와 같이 네 개의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is operated by the user (or driver) while the control unit (110) has set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to a non-allowed state, the current tire pressure is not stored. At this time, since the low pressure state of the tire is maintained, the control unit (110) can guide the user to check the four tire pressures as shown in Fig. 5b.
도 6a를 참조하면, 타이어 저압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한 후에 제1 내지 제4 영역 중 후방 우측(RR)의 제4 영역으로부터 일정시간 사람이 검출된 반면, 전방 좌측(FL), 전방 우측(FR) 및 후방 좌측(RL)의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3 영역의 객체 미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6a, if it is confirmed that a person is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rom the fourth area of the rear right (RR) among the first to fourth areas after the vehicle stops in a state of low tire pressure, while no person is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rom the first to third areas of the front left (FL), front right (FR), and rear left (RL), the control unit (110) set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to a non-allowed state based on object non-det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o third areas.
이 경우, 제어부(110)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또는 운전자)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이 조작되면, 현재의 타이어 공기압을 저장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110)는 타이어의 저압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도 6b와 같이 네 개의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is operated by the user (or driver) while the control unit (110) has set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to a non-allowed state, the current tire pressure is not stored. At this time, since the low pressure state of the tire is maintained, the control unit (110) can guide the user to check the four tire pressures as shown in Fig. 6b.
도 7a를 참조하면, 타이어 저압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한 후에 제1 내지 제4 영역으로부터 모두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4 영역의 객체 미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7a, if it is confirmed that no person has been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rom any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after the vehicle has stopped in a state of low tire pressure, the control unit (110) set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to a non-allowed state based on object non-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o fourth areas.
이 경우, 제어부(110)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또는 운전자)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이 조작되면, 현재의 타이어 공기압을 저장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110)는 타이어의 저압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도 7b와 같이 네 개의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is operated by the user (or driver) while the control unit (110) has set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to a non-allowed state, the current tire pressure is not stored. At this time, since the low pressure state of the tire is maintained, the control unit (110) can guide the user to check the four tire pressures as shown in Fig. 7b.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사용자(또는 운전자)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21)이 오조작 되는 경우에 타이어 공기압이 잘못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tire pressure from being stored incorrectly when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21) is incorrectly operated by a user (or driver).
상기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메모리와 각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operates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hardware device including a memory and a processor that processes each operation, and may be driven in a form included in another hardware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or a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flow o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S. 8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al flow for a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은 카메라를 통한 공기 주입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를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First, Fig. 8 shows an operation of setting the allowable or disallowable status of the tir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ir is injected through the camera.
도 8을 참조하면,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센서부(120)에 의해 타이어 저압 상태가 검출되면(S100), 타이어 저압 상태를 경고한다(S110). Referring to Fig. 8, when a low tire pressure condit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20) (S100),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warns of a low tire pressure condition (S110).
이후,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차량이 정지 상태가 되는지를 확인한다(S120). 'S120' 과정에서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카메라 센서를 구동(wake-up)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취득한다(S130, S140).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차량의 전, 후, 좌, 우 방향에 배치되어 차량의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S120). If the vehicle is confirmed to be stopped in the 'S120' process,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wakes up the camera sensor to acquire images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S130, S140). Here, the camera sensors are plac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to acquire images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카메라 센서로부터 취득된 차량 주변 영상에서 미리 설정된 각 타이어 영역별 영상을 처리하여(S150), 각 타이어 영역에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존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내지 S190). 여기서, 각 타이어 영역은 전방 좌측 타이어의 주변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영역, 전방 우측 타이어의 주변 영역에 해당되는 제2 영역, 후방 좌측 타이어의 주변 영역에 해당되는 제3 영역, 그리고 후방 우측 타이어의 주변 영역에 해당되는 제4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processes images of each preset tire area from images of the vehicle surroundings acquired from the camera sensor (S150) and determines whether a person has been present in each tire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160 to S190). Here, each tire area may be set as a first area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of the front left tire, a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of the front right tire, a third area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of the rear left tire, and a fourth area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of the rear right tire.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S160' 내지 'S190' 과정을 통해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 모두에서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존재한 것으로 확인되면, 각 타이어에 공기가 주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변경된 타이어 공기압의 저장을 위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을 허용 상태로 설정한다(S200).I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a person is present in all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S160' to 'S190' processes, it determines that air has been injected into each tire and set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to the permitted state to store the changed tire pressure (S200).
한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S160' 내지 'S190' 과정을 통해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서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어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저압 상태의 타이어 공기압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다(S210).Meanwhile, i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no person is present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S160' to 'S190' processes, it determines that the tire is not inflated and set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to a non-permitted state to prevent low tire pressure from being stored (S210).
이 경우, 타이어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으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은 계속해서 미허용 상태로 유지된다.In this case, if the tire is not inflated,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will remain in an unacceptable state.
도 9는 초음파 센서를 통한 공기 주입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를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9 illustrates an operation for setting the allowable or disallowable status o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ir is injected through an ultrasonic sensor.
도 9를 참조하면,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센서부(120)에 의해 타이어 저압 상태가 검출되면(S300), 타이어 저압 상태를 경고한다(S310). Referring to Fig. 9, when a low tire pressure condit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20) (S300),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warns of a low tire pressure condition (S310).
이후,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차량이 정지 상태가 되는지를 확인한다(S320). 'S320' 과정에서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제1 센서 내지 제4 센서를 구동(wake-up)하여 차량 주변의 제1 내지 제4 영역을 탐지한다(S330, S340). Thereafter,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S320). If the vehicle is confirmed to be stopped in the 'S320' process,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wakes up the first to fourth sensors to detect the first to fourth areas around the vehicle (S330, S340).
여기서, 제1 내지 제4 센서는 초음파 센서로서, 타이어 주변에 위치한 객체를 검출한다. 제1 내지 제4 센서는 각 타이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서는 전방 좌측 타이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1 영역에 위치한 객체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는 전방 우측 타이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2 영역에 위치한 객체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센서는 후방 좌측 타이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3 영역에 위치한 객체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센서는 후방 우측 타이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4 영역에 위치한 객체를 탐지할 수 있다.Here, the first to fourth sensors are ultrasonic sensors that detect objects located around the tires. The first to fourth sensors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tires.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left tire and may detect an object located in the first area. In addition, the second senso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right tire and may detect an object located in the second area. In addition, the third senso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left tire and may detect an object located in the third area. In addition, the fourth senso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right tire and may detect an object located in the fourth area.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센서로부터의 제1 내지 제4 영역별 객체 탐지 결과를 분석하여(S350), 제1 내지 제4 영역에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존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0 내지 S390).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analyzes the object detection results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from the first to fourth sensors (S350) and determines whether a person has been present in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S360 to S390).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S360' 내지 'S390' 과정을 통해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 모두에서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존재한 것으로 확인되면, 각 타이어에 공기가 주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변경된 타이어 공기압의 저장을 위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을 허용 상태로 설정한다(S400).I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a person is present in all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S360' to 'S390' processes, it determines that air has been injected into each tire and set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to the permitted state to store the changed tire pressure (S400).
한편,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S360' 내지 'S390' 과정을 통해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서 일정시간 이상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어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저압 상태의 타이어 공기압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한다(S410).Meanwhile, i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no person is present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S360' to 'S390' processes, it determines that the tire is not inflated and sets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to a non-permitted state to prevent low tire pressure from being stored (S410).
이 경우, 타이어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으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은 계속해서 미허용 상태로 유지된다.In this case, if the tire is not inflated,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will remain in an unacceptable state.
도 10은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 조작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을 저장하고 안내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0 shows the operation of saving and guiding tire pressure by operating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도 8 및/또는 도 9의 과정들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가 설정된 후,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 조작으로 인해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S510),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설정 상태를 확인한다(S520).After the allowable or unallowable state o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is set by the processes of FIG. 8 and/or FIG. 9, when a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signal is input due to the user (or driver) operating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S510),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checks the allowable or unallowable setting state o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S520).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S520' 과정에서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이 허용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의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여 설정하고(S530), 타이어 공기압의 설정 결과를 안내한다(S540).I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confirms that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is in the allowed state in the 'S520' process, it learns and sets the current tire pressure (S530) and informs the result of the tire pressure setting (S540).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100)는 'S520' 과정에서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SET 버튼)이 미허용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어 공기압의 저장을 차단하고 타이어 공기압 상태를 확인할 것을 안내한다(S550).If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SET button) is not in a permitted state during the 'S520' process, it blocks the storage of tire pressure and guides the user to check the tire pressure status (S55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system in which a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Referring to FIG. 11, a computing system (10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1100), a memory (1300),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400),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500), storage (1600), and a network interface (1700) connected via a bus (1200).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해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processing on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1300) and/or storage (1600). The memory (1300) and storage (16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300) may include a ROM (Read Only Memory) (1310) and a RAM (Random Access Memory) (1320).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 soft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0). The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a storage medium (i.e., memory (1300) and/or storage (1600)), such as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00) such that the processor (1100)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In the alternative,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l to the processor (1100).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in a user terminal. In the alternative,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discrete components in a user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21: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 100: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
110: 제어부 120: 센서부
121~124: 초음파 센서 130: 출력부
140: 통신부 150: 저장부
160: 판단부21: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100: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10: Control unit 120: Sensor unit
121~124: Ultrasonic sensor 130: Output section
140: Communications 150: Storage
160: Judgment
Claims (20)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서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는지를 확인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의 설정 상태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의 학습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어 저압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정차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센서부의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타이어 저압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정차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허용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타이어 저압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정차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 내에서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A sensor unit that detects a low pressure condition of a tire mounted on a vehicle and detects an object located within first to fourth areas set around each tire;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within the first to fourth areas and sets the allowable or disallowable state o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and determines whether to learn the tire pressure according to the set state of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when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The above control unit
Activate the camera of the sensor unit based on the above tire low pressure status and the stationary status of the vehicle,
In the above tire low pressure state and the vehicle stopped state, if it is confirmed that an object is detec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tir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set to the allow state.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confirmed that an object is not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in the above tire low pressure state and the vehicle is stopped,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is set to a non-allowed state.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각각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In claim 1,
The above sensor part,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objects loca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areas.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된 경우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이 허용 상태이면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In claim 1,
The above control unit,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and the tire pressure is allowed, the tire pressure is learned and stor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어 공기압의 저장 완료 상태를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In claim 6,
The above control unit,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e completion status of storage of the tire press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된 경우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이 미허용 상태이면 타이어 공기압의 학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In claim 1,
The above control unit,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is not allowed to be operated when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learning of the tire pressure is block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어 공기압의 상태 확인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In claim 9,
The above control unit,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guiding the check of the status of the tire pressure.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객체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각각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 In claim 1,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with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based on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상기 제어부는,
타이어 공기압이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면 타이어 저압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In claim 1,
The above control unit,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tire low pressure warning when the tire pressure is detected to be below a standard value.
각각의 타이어 주변에 설정된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서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는지를 확인하여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의 설정 상태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의 학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타이어 저압 경고 상태에서 복수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의 타이어 주변에 설정된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의 허용 또는 미허용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는
타이어 저압 경고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허용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 내에서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Step for determining the low tire pressure condition and vehicle stop condition;
A step of detecting an object located within first to fourth areas set around each tire;
A step of setting the allowable or unallowable state of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by checking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in the first to fourth areas; and
Including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learn tire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us of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when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The step of detecting an object loca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regions is:
A step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including the first to fourth areas set around each tire using a plurality of camera sensors in a tire low pressure warning state; and
A step of detecting objects loca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regions from the above image, respectively,
The step for setting the allowable or unallowable status of the abov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is
Step of setting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to an allowable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an object is detec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tire low pressure warning state; and
A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setting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to a non-allowed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an object is not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타이어 저압 경고 상태에서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의 타이어 주변에 설정된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In claim 13,
The step of detecting an object loca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regions is:
A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detecting objects loca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areas set around each tire using a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in a tire low pressure warning state.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타이어 저압 경고 상태에서 각각의 타이어 주변에 설정된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내에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허용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 내에서 객체가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을 미허용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In claim 13,
The steps to set up above are:
Step of setting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to an allowable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an object is detected within the first to fourth areas set around each ti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tire low pressure warning state; and
A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setting the tire pressure setting button to a non-allowed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an object is not det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된 경우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이 허용 상태이면 타이어 공기압을 학습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In claim 16,
A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learning and storing the tire air pressure if the tir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in an allowable state when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상기 타이어 공기압의 저장 완료 상태를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In claim 17,
A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e completion status of saving the tire pressure.
상기 공기압 설정 버튼이 조작된 경우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설정 버튼이 미허용 상태이면 타이어 공기압의 학습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In claim 13,
A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blocking learning of tire air pressure if the tir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in a non-permitted state when the air pressure setting button is operated.
상기 타이어 공기압의 상태 확인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감시 방법.
In claim 19,
A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guiding the check of the status of the tire pressure.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4727A KR102778246B1 (en) | 2018-12-04 | 2018-12-04 |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
| DE102019114683.6A DE102019114683B4 (en) | 2018-12-04 | 2019-05-31 |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ire pressure |
| CN201910506950.4A CN111267558B (en) | 2018-12-04 | 2019-06-12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ire press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4727A KR102778246B1 (en) | 2018-12-04 | 2018-12-04 |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67649A KR20200067649A (en) | 2020-06-12 |
| KR102778246B1 true KR102778246B1 (en) | 2025-03-11 |
Family
ID=7068096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54727A Active KR102778246B1 (en) | 2018-12-04 | 2018-12-04 |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78246B1 (en) |
| CN (1) | CN111267558B (en) |
| DE (1) | DE102019114683B4 (en)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76642A (en) * | 2006-04-07 | 2007-10-25 | Calsonic Kansei Corp |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system, keyless entry system mounted vehicle, and transmission unit position detecting method |
| JP2009202675A (en) | 2008-02-26 | 2009-09-10 | Toyota Motor Corp | Irregular pneumatic tire pressure detecting device |
| JP2013014224A (en) * | 2011-07-04 | 2013-01-24 | Tokai Rika Co Ltd | Control device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
| JP2014014224A (en) | 2012-07-04 | 2014-01-23 | Funai Electric Co Ltd | Power circuit |
| KR101363061B1 (en) | 2012-12-21 | 2014-02-13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A tire management system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KR101418515B1 (en) | 2012-12-21 | 2014-07-09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A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A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US20160159274A1 (en) | 2013-11-22 | 2016-06-0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wheel assembly illumination lamp |
Family Cites Families (1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DE10237699A1 (en) | 2001-12-18 | 2003-07-17 | Volkswagen Ag |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nic tire pressure monitoring |
| JP3912119B2 (en) * | 2002-01-22 | 2007-05-09 | マツダ株式会社 |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t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ir pressure warning device for automobile |
| DE102005008022A1 (en) * | 2005-02-22 | 2006-08-31 | Daimlerchrysler Ag | Vehicle tires` pressure monitoring method, involves evaluating signals from sensor units for monitoring pressure of tires and deactivating pressure monitoring, if signals are received or not received within given time interval, respectively |
| US7218209B2 (en) * | 2005-03-16 | 2007-05-15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rrect tire pressure inflation during adjustment |
| DE102006008085A1 (en) | 2006-02-22 | 2007-08-23 |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 Reference value reporting process for tires involves reading only value pairs completely within one data telegram and using next one if one is incomplete |
| TWI460086B (en) | 2010-12-17 | 2014-11-11 | Orange Electronic Co Ltd | Standard pressure setting method for wireless tire pressure sensor |
| JP5642733B2 (en) * | 2012-06-04 | 2014-12-17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Misuse determin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tire pressure warning system |
| CN202896199U (en) * | 2012-11-20 | 2013-04-24 | 辛建成 | Automatic inflation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tire |
| MX367839B (en) * | 2013-05-09 | 2019-09-09 | Matlow Mell | A comprehensive tire pressure maintenance system. |
| DE102013216643A1 (en) | 2013-08-22 | 2015-02-26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al system on a motor vehicle |
| CN103921630A (en) * | 2014-04-30 | 2014-07-16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of tire pressure and vehicle |
| CN104354545B (en) * | 2014-10-17 | 2017-01-11 | 同致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 Automatic learning method and system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
| US10150339B2 (en) * | 2015-04-24 | 2018-12-11 | Advantage Enterpris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ire pressure |
| KR101788187B1 (en) * | 2015-12-10 | 2017-10-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ed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
-
2018
- 2018-12-04 KR KR1020180154727A patent/KR102778246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05-31 DE DE102019114683.6A patent/DE102019114683B4/en active Active
- 2019-06-12 CN CN201910506950.4A patent/CN111267558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76642A (en) * | 2006-04-07 | 2007-10-25 | Calsonic Kansei Corp |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system, keyless entry system mounted vehicle, and transmission unit position detecting method |
| JP2009202675A (en) | 2008-02-26 | 2009-09-10 | Toyota Motor Corp | Irregular pneumatic tire pressure detecting device |
| JP2013014224A (en) * | 2011-07-04 | 2013-01-24 | Tokai Rika Co Ltd | Control device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
| JP2014014224A (en) | 2012-07-04 | 2014-01-23 | Funai Electric Co Ltd | Power circuit |
| KR101363061B1 (en) | 2012-12-21 | 2014-02-13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A tire management system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KR101418515B1 (en) | 2012-12-21 | 2014-07-09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A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A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US20160159274A1 (en) | 2013-11-22 | 2016-06-0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wheel assembly illumination lamp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67649A (en) | 2020-06-12 |
| DE102019114683B4 (en) | 2023-11-16 |
| CN111267558B (en) | 2023-02-28 |
| CN111267558A (en) | 2020-06-12 |
| DE102019114683A1 (en) | 2020-06-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365641B2 (en) | Vehicle proximity alerting system and method | |
| KR102714973B1 (en) | Apparatus for assisting safety exit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 |
| KR10263435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 |
| KR2020010702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afe driving of vehicle | |
| US11807277B2 (en) |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 |
| KR102791241B1 (en) | Apparatus of managing vehicle invas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 |
| JP2017208750A (en) | Video monitoring device, video display system, and vehicle | |
| US20180272940A1 (en) | On-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on-vehicle display system, on-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JP2018125639A (en) | Therm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rared imaging apparatus, therm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thermal image processing program | |
| KR10261073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ire pressure of vehicle | |
| KR10232285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ving object using ultrasonic sensor, and alarming system thereof | |
| CN109204166B (en) | Graphical multilayer optical alarm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8633834B2 (en) | Alarm apparatus and alarming method | |
| KR10277824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 |
| KR2021003779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 |
| KR20180119344A (en) | Reg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region thereby | |
| US20190156133A1 (en) | Vehicle driving support apparatus and vehicle driving support program | |
| KR10269232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control of vehicle | |
| KR10221314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arking Alignment Based on Recognition of Parking Line | |
| CN111267557B (en) |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ire pressure | |
| KR20230071848A (en) | Display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mtrolling display | |
| KR10238343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fuel injection status | |
| KR101756092B1 (en) | A Ultrasound Sensing Module for a Vehicle Using an Application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Vehicle Using the Same | |
| KR102725344B1 (en) |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sig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276426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 control of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3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