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2298B1 - 미엘린 장애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엘린 장애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2298B1 KR102772298B1 KR1020197037688A KR20197037688A KR102772298B1 KR 102772298 B1 KR102772298 B1 KR 102772298B1 KR 1020197037688 A KR1020197037688 A KR 1020197037688A KR 20197037688 A KR20197037688 A KR 20197037688A KR 102772298 B1 KR102772298 B1 KR 1027722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sp
- disease
- myelin
- lpc
- tre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2—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fis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5—Polycationic or polyanionic oligopeptides, polypeptides or polyamino acids, e.g. polylysine, polyarginine, polyglutamic acid or peptide TA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6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fish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6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bir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2g는 ISP가 리솔레시틴 (LPC)-탈수초화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재수초화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로부터의 LPC 병변의 대표적인 LFB 염색된 절편. 파선은 병변 부위의 경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 2b; 3, 7, 14 및 21 dpl에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마우스에서 병변이 있는 척수의 부피의 정량적 분석. (n=4 마우스/군, ANOVA F(3,12)=16.41; 시닥(Sidak's) 다중 비교 검정, 14dpl: P LPC + Veh 대 LPC +ISP = 0.0003; 21dpl: P LPC + Veh 대 LPC +ISP <0.0001). 도 2c: 14 및 21dpl에 비히클- 및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MBP 및 DAPI에 대한 이중 면역염색. 파선은 병변 부위의 경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스케일 바 = 100 ㎛. 도 2d: 14dpl에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 조직에서의 MBP 발현에 대한 웨스턴 블롯 분석. 데이터는 β-액틴 단백질 발현으로 정규화된 것이다. (n=4 마우스/군, ANOVA F(3,12)=24.21;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con 대 LPC + Veh < 0.0001, P LPC + Veh 대 LPC +ISP = 0.0276). 도 2e: 14dpl에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로부터의 LPC 병변의 대표적인 전자 현미경 영상. 스케일 바=5 ㎛. 도 2e: 14dpl에 비히클 또는 ISP1100 처리된 마우스로부터의 LPC-유도성 병변 중 수초화된 축삭의 개수. (n=3마리 마우스/군, P=0.0001, t=14.26, df=4;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도 2g: 14dpl에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마우스의 LPC-병변 중 미엘린 g-비 (LPC+veh 군, g-비= 0.9103 ±0.003583; LPC+ISP 군, g-비=0.8741± 74103599; 3마리 마우스/군으로부터의 재수초화된 축삭 n=139, P<0.0001, t=7.142, df=276;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제시된 것이다. *P<0.05, **P<0.01, *** p < 0.001.
도 3a-3c는 ISP가 LPC 처리된 기관형 소뇌 배양물에서 재수초화를 가속화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MBP 및 신경필라멘트-200 (NF200)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나이브 (Con) 절편에서의 정상적인 수초화, 시험관내 1일째 (div: day in vitro))의 LPC-유도성 탈수초화, 및 8div 및 14div에 LPC-탈수초화된 소뇌 슬라이스에서의 ISP 처리 후 증가된 재수초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 3b: 비처리 (대조군으로서 100%) 대비 소뇌 슬라이스에서의 상대적인 MBP 면역반응성 (즉, MBP 및 NF200의 공동국재화). (군당 3회의 독립 반복 실험으로부터의 슬라이스 n=9, ANOVA F(5,48)=230.4, 터키 다중 비교 검정, 8dpl: P LPC + Veh 대 LPC +ISP < 0.0001, 14dpl: P LPC + Veh 대 LPC +ISP < 0.0001). 도 3c: 8div 및 14div에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소뇌 슬라이스에서의 MBP 발현에 대한 웨스턴 블롯 분석. 데이터는 β-액틴 단백질 발현으로 정규화된 것이다. (n=3 독립 반복 실험/군. 8div: ANOVA F(3,8)=58.89,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Veh 대 LPC + Veh < 0.0001, P LPC + Veh 대 LPC +ISP = 0.0187; 14div: ANOVA F(3,8)=6.281,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Veh 대 LPC + Veh < 0.048, P LPC+Veh 대 LPC +ISP = 0.025).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제시된 것이다. *P<0.05, **P<0.01, *** p < 0.001.
도 4a-4d는 ISP가 두 EAE 및 LPC 모델에서 모두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CSPG) 로드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Iba1 및 Cat301 (아그레칸 특이적 항체)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유도 후 41일째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 EAE 마우스와 비교하여 ISP 처리된 마우스의 흉부 척수에서 CSPG 및 소교세포/대식세포의 축적이 감소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 4b: LPC 탈수초화 마우스에서 14dpl에 ISP 처리 후 CSPG의 축적이 감소되었음을 보여주는, MBP, Cat301 및 CS56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특이적 항체)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 스케일 바=100 ㎛. 도 4c: LPC 탈수초화 마우스에서 7dpl에 ISP 처리 후 CSPG의 축적이 감소되었음을 보여주는, Iba1, GFAP, MBP, Cat301 및 CS56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 스케일 바=100 ㎛. 도 4d: 7dpl에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LPC 마우스의 척수에서 Iba1, GFAP, MBP, Cat301 및 CS56의 면역형광 강도의 상대적 정량화. (n=3마리 마우스/군, Iba1: P=0.1848, t=1.6, df=4; Cat301: P=0.0092, t=4.719, df=4; GFAP: P=0.1111, t=2.039, df=4; CS56: P=0.0028, t=6.55, df=4; MBP: P>0.9999, t=0, df=4; 베르시칸: P=0.0095, t=4.669, df=4;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제시된 것이다. **P<0.01.
도 5a-5i는 ISP가 CSPG-분해 프로테아제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5b: CSPG 구배 통과 검정법은 ISP 처리가 CSPG 구배를 통한 PDGFRα+ 또는 O4+ OPC의 통과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 5c: 비히클 또는 ISP 처리 후, CSPG 장벽을 통과하는 PDGFRα+ 또는 O4+ OPC의 양에 대한 면역염색 정량화. (3회의 독립 반복 실험으로부터의 스폿 n=9. PDGFRα: P<0.0001, t=7.99, df=16; O4: P<0.0001, t=9.419, df=16,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제시된 것이다. 도 5d: CS56 및 PDGFRα+ OPC가 CSPG 장벽을 통과하여 CS56 "음영부" (삽도 및 화살표 표시)를 남김에 따른, ISP 처리 이후의 CSPG 분해를 도시한 CSPG 장벽 상의 CS56 및 PDGFRα+ OPC의 대표적인 면역염색 영상. 도 5e: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OPC 조정 배지 (CM)를 비히클 대조군 또는 2.5 uM ISP 또는 스크램블된-ISP (SISP)로 처리하고, 아그레칸 (20 ug/mL) 또는 라미닌 (10 ug/mL)과 함께 인큐베이션시킨 후, 웨스턴 블롯을 통해 분석하였다. 도 5f: CS56 면역블롯팅을 통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모이어티를 정량화한 결과, ISP 처리 후 CS56이 유의적으로 분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원 ANOVA, 던넷(Dunnett's) 사후 검정, P=0.0432, F(2,12)=4.131, N=5 웨스턴 블롯. 도 5g: 라미닌 면역블롯팅의 정량화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음을 보여준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9024, F(2,15)=0.1034), N=6 웨스턴 블롯). 도 5h: EnzChek 프로테아제 활성 검정법에서 소광된 카세인은 일단 절단되고 나면, 형광을 낸다. 도 5i: 대조군과 비교하여 2.5 μM ISP로 처리된 OPC CM에서의 EnzChek 프로테아제 활성 검정법의 정량화는 유의적인 프로테아제 활성을 나타낸다 (일원 ANOVA 던넷 사후 검정, P=0.0015, F(2,18)=9.534, 7회의 반복 실험으로부터 N=26). 그래프는 웨스턴 블롯의 산점도 대표도 또는 표준 오차 평균과 함께 각 반복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P<0.05, **P<0.01, *** p < 0.001. n.s., 비유의적.
도 6a-6i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추가로 특징화하기 위해, ISP가 MMP-2 분비 및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6a에서, 배양된 OPC를 비히클 대조군 또는 2.5 μM ISP 또는 SISP로 처리하고, 농축시킨 후, 자이모그래피 분석을 위해 젤라틴 SDS/PAGE 겔 상에 로딩하였다. 25 ng의 재조합 MMP-9 또는 MMP-2는 양성 대조군으로서 작용하였다. 도 6b: 젤라틴 자이모그래피의 활성 MMP-2 레인의 정량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ISP 처리 후의 유의적인 MMP-2 활성을 나타낸다 (일원 ANOVA, 던넷 사후 검정, P=0.0161, F(2,12)=5.937, N=5 자이모그램). 도 6c: ISP 처리 후 증진된 MMP-2 발현이 농축된 OPC 조정 배지 (CM)의 웨스턴 블롯에서 확인되었다. 도 6d: MMP-2 면역블롯팅의 정량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ISP 처리 후 유의적으로 증진되었다 (일원 ANOVA, 던넷 사후 검정, P=0.0150, F(2,15)=5.63, N=6 웨스턴 블롯). 그에 반해, 도 6e에서, MMP-10 면역블롯팅은 처리군 사이에서 비유의적이었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9619, F(2,15)=0.03899, N=6 웨스턴 블롯). 도 6i: ISP가 CSPG를 분해하는 프로테아제의 분비를 유도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배양된 OPC를 2.5 uM ISP와 함께, 또는 사용하지 않고, 하기 약물로 처리하였다: 엑소사이토시스 억제제 Exo1 10 ug/mL), 일반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제 GM6001 (25 uM), 또는 특이적 MMP-2 억제제 (OA-Hy, 칼바이오켐(Calbiochem)), 100 nM). 수집된 CM을 아그레칸 (20 ug/mL)과 함께 인큐베이션시키고, CS56으로 면역블롯팅하였다. 도 6j: CS56의 정량화는 대조군, Exo1+ISP, GM6001+ISP, 및 OA-Hy + ISP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ISP 유도성 CSPG 분해를 나타낸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10, F(7,32)=4.749 N=5 웨스턴 블롯). 도 6h; OPC 체세포 및 돌기에 농축되어 있는 MMP-2를 보여주는 O4+ (적색) OPC의 면역염색. 그래프는 웨스턴 블롯의 산점도 대표도 또는 표준 오차 평균과 함께 각 반복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P<0.05. n.s., 비유의적.
도 7a-7f는 ISP-유도성 MMP-2 활성이 OPC 이동 및 CSPG 탈억제를 통한 재수초화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ISP-유도성 프로테아제 활성이 OPC 이동 및 재수초화에 관여하는지 여부를 묻기 위해, 도 7a에서, 배양된 OPC를 CSPG 스폿 구배로 커버슬립에 플레이팅하고, 비히클 대조군, 2.5 μM ISP 또는 SISP, 25 uM GM6001 +/- ISP 또는 SISP, 또는 100 nM MMP-2 억제제 (OA-Hy) +/- ISP 또는 SISP로 처리하였다. CSPG 장벽을 통과하는 O4+ OPC의 양을 계수하였고, 도 7b에서, 정량화하고,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ISP 처리 (N=37 스폿, 5회 반복 실험)는 대조군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02, F(11,48)=5.013), GM6001+ISP (N=20 스폿), 또는 OA-Hy + ISP (N=20 스폿) 처리와 비교하여 CSPG 장벽을 통과하는 O4+ OPC 이동이 더 크게 진행되도록 유의적으로 유도하였다. N(스폿)=31 대조군, 26 SISP, 18 GM6001, 20 GM6001+SISP, 18 OA-Hy, 19 OA-Hy+SISP). 도 7c: 재수초화가 프로테아제 억제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P7-9 소뇌 슬라이스를 모두 18시간 동안 LPC로 처리한 후, 대조군 비히클, 2.5 μM ISP 또는 SISP, 25 uM GM6001+/- ISP, 또는 100 nM OA-Hy +/- ISP로 9일 동안 처리한 후, 신경필라멘트 (NF200) 또는 MBP로 염색하였다. 도 7d: MBP 및 신경필라멘트 공동국재화를 통해 재수초화를 정량화하였다. ISP 처리 (최대 총 13개의 절편을 이용한 4회 반복 실험으로부터의 영상 N=35)는 대조군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01, F (8, 88) = 13.61), GM6001 + ISP (N=28), 및 OA-Hy + ISP (N=23) 군과 비교하여 MBP-신경필라멘트 공동국재화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N(영상)=17 대조군, 22 SISP, 48 GM6001, 20 GM6001+SISP, 22 OA-Hy, 22 OA-Hy +SISP. 그래프는 웨스턴 블롯의 산점도 대표도 또는 표준 오차 평균과 함께 각 반복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P<0.05, **P<0.01, *** p < 0.001. 도 7e 및 7f: 소뇌 슬라이스 배양물을 LPC 처리 전 48시간 동안 렌티바이러스 구축물로 처리하였다. 비히클 또는 ISP (2.5 μM)로 6일 동안 처리하였다. 이어서, MBP 면역형광 (녹색)을 NF200 (적색)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05. F(3, 116)=6.395. 10개의 슬라이스로부터의 영상 N=약 30). 그래프는 웨스턴 블롯의 산점도 대표도 또는 표준 오차 평균과 함께 각 반복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도 8a-8f는 ISP가 LPC-유도성 탈수초화 마우스 모델에서 MMP-2 발현 증가를 통해 미엘린 수복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 MMP-2 및 DAPI의 면역조직화학법으로부터의 대표적인 영상은 나이브 또는 LPC 비히클 대조군 척수와 비교하여 LPC 주사 후 7일째 (dpl: day post LPC injection)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MMP-2의 수준이 증가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파선은 병변 부위의 경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 8b: 7dpl에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MMP-2의 면역형광 강도의 상대적 정량화 (n=3마리 마우스/군, ANOVA F(2,6)=48.12,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con 대 LPC = 0.0075, P LPC 대 LPC +ISP = 0.0056). 도 8c: 7dpl에 나이브,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 조직에서의 MBP 발현에 대한 웨스턴 블롯 분석. 데이터는 β-액틴 단백질 발현으로 정규화된 것이다. (n=3마리 마우스/군, ANOVA F(2,6)=33.14;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con 대 LPC = 0.0168, P LPC 대 LPC +ISP = 0.0143). 도 8d: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14dpl에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Olig2+ OPC가 MMP-2를 발현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흰색 화살표 표시는 MMP-2 및 Olig2의 공동국재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e: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14dpl에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Iba1+ 세포 (소교세포/대식세포)가 MMP-2를 발현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흰색 화살표 표시는 MMP-2 및 Iba1의 공동국재화를 나타낸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 8f: 나이브, 비히클, ISP, MMP-2 억제제 (OA-Hy), 또는 MMP-2 shRNA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로부터의 LPC 병변의 대표적인 에리오크롬 시아닌 (미엘린) 염색. 파선은 병변 부위의 경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 8g: 18dpl에 비히클, ISP, MMP-2 억제제 (OA-Hy), 또는 MMP-2 shRNA 처리된 마우스에서 병변이 있는 척수의 부피의 정량적 분석. (n=4 마우스/군, ANOVA F(5,18)=169.7;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LPC 대 LPC +ISP < 0.0001; P LPC +ISP 대 LPC +ISP+ OA - Hy <0.0001; P LPC +ISP 대 LPC +ISP+ MMP -2 shRNA <0.0001; PLPC 대 LPC+OA-Hy =0.0279).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제시된 것이다. *P<0.05, *** p < 0.001.
도 9a-9d는 MS 마우스 모델에서의 CSPG 로드 증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9b: 대표적인 LFB 염색된 절편 및 Cat301 및 CS56의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유도 후 28 및 48일째 EAE 마우스의 흉부 척수에의 CSPG 축적을 보여주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시된 Cat301 (아그레칸 CSPG) 및 CS56 (CSPG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모이어티)의 픽셀 강도 정량화. (Cat301: n=3마리 마우스/군, ANOVA F(2,6)=163.9,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con 대 EAE D28 =0.0007, P EAE D28 대 EAE D41 = 0.0001; CS56: n=3마리 마우스/군, ANOVA F(2,6)=168.7,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con 대 EAE D28 =0.0052, P EAE D28 대 EAE D41 < 0.0001). 도 9c 및 9d: 대표적인 LFB 염색된 절편 및 Cat301 및 CS56의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유도 후 7dpl 및 14dpl에 LPC 탈수초화 이후 병변 부위에의 CSPG 축적을 보여주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시된 Cat301 및 CS56의 픽셀 강도 정량화. (Cat301: n=3마리 마우스/군, ANOVA F(2,6)=269.7,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con 대 7 dpl < 0.0001, P 7dpl 대 14 dpl < 0.0001; CS56: n=3마리 마우스/군, ANOVA F(2,6)=105,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con 대 7 dpl < 0.0001, P 7dpl 대 14 dpl = 0.0011).
도 10a-10e는 PTPσ 발현이 EAE 및 LPC 후에 증진된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a: PTPσ 및 Olig2의 대표적인 면역세포화학 영상은 시험관내에서 성장된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전구 세포 상에서의 PTPσ 발현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b: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RNA-서열분석 트랜스크립톰 데이터베이스 (web.stanford.edu/group/barres_lab/)로부터 수득된 세포 특이적 PTPRD (PTPδ), PTPRS (PTPσ), PTPRF (LAR) 및 RTN4R (Nogo) mRNA 수준을 그래프로 나타낸 대표도. FPKM은 단편/전사체 서열의 킬로베이스/100만 개의 지도화된 단편을 나타낸다. 도 10c: PTPσ, CC1, 및 MBP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시험관내 OPC 배양물 중 CC1+ 또는 MBP+ 세포에서의 PTPσ 발현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d: EAE 또는 LPC-유도성 탈수초화 마우스의 흉부 척수에서의 PTPσ 발현에 대한 웨스턴 블롯 분석. 데이터는 β-액틴 단백질 발현으로 정규화된 것이다 (n=4마리 마우스/군. P con 대 EAE =0.012, t=3.558, df=6; P con 대 LPC=0.0012, t=5.775, df=6;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도 10e: PTPσ 및 Olig2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유도 후 28일째 EAE 마우스의 척수 중 Olig2+ 세포에서 PTPσ 발현이 증가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스케일 바=50 ㎛.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제시된 것이다. *P<0.05, **P<0.01.
도 11a 및 11b는 ISP는 재수초화가 발생됨에 따라, CSPG 제거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1a: MBP 및 Cat301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8dpl 및 14dpl에 LPC-탈수초화된 소뇌 슬라이스에서 ISP 처리 후 CSPG의 존재량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 11b: 4dpl, 8dpl 및 14dpl에 LPC 탈수초화된 소뇌 슬라이스에서 비히클 또는 ISP 처리 후 Cat301의 면역형광 강도의 상대적 정량화 (군당 3회의 독립 반복 실험으로부터의 슬라이스 n=9, 이원 ANOVA F(2,6)=30.78, 시닥 다중 비교 검정, 8dpl: P LPC + Veh 대 LPC +ISP < 0.0001, 14dpl: P LPC + Veh 대 LPC +ISP = 0.0325). ). *P<0.05, *** p < 0.001, n.s: 비유의적.
도 12a-12f는 ISP가 EAE 마우스 모델에서 염증을 조정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도 12a: Iba1 및 GFAP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EAE 유도 후 41일째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소교세포 및 성상세포의 활성화가 각각 감소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스케일 바= 100 ㎛. 도 12b: 41일째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Iba1 및 GFAP의 면역형광 강도의 상대적 정량화 (n=3마리 마우스/군, Iba1: P=0.0016, t=7.608, df=4; GFAP: P=0.0113, t=4.448, df=4.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도 12c: iNOS (M1 소교세포 마커) 및 아르기나제-1 (M2 소교세포 마커)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은 28일째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M2 소교세포가 증가 및 M1 소교세포가 감소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스케일 바= 100 ㎛. 도 12d: 41일째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iNOS 및 아르기나제-1의 상대적 면역형광의 정량화 (n= 3마리 마우스/군, NOS: P=0.0008, t=9.114, df=4; 아르기나제-1: P=0.0014, t=7.824, df=4.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도 12e: 대표적인 룩솔 패스트 블루 염색 영상은 18일째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마우스의 탈수초화 부위에는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2f: 18일째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탈수초화 부위의 정량화는 EAE 모델에서의 탈수초화 수준과 유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n=3마리 마우스/군, P=0.8559, t=0.1936, df=4,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P<0.05, *** p < 0.001, n.s: 비유의적.
도 13a-13f는 ISP가 CSPG 상에서의 OPC 동원 및 생존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a: 7dpl에 비히클- 및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증식하는 OPC (Olig2+)를 보여주는 Ki67 면역염색의 대표적인 영상. 흰색 화살표 표시는 Olig2+/Ki67+ 세포를 나타낸다. 스케일 바=100 ㎛. 도 13b: 7dpl에 비히클- 및 ISP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 중 Olig2+ 세포/㎟, Ki67+ 세포/㎟ 및 Olig2+/Ki67+ 세포/㎟를 보여주는 면역염색의 정량화. (n=3마리 마우스/군, Olig2: P=0.0012, t=1.6, df=4; Ki67: P=0.0449, t=2.883, df=4; Olig2+/Ki67+: P=0.056, t=2.666, df=4.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제시된 것이다. 도 13c: 척수 LPC 주사 후 7div 동안 비히클 또는 ISP로 처리된 동물. 절편을 Olig2, Ki67, 및 DAPI로 염색하였다. b) LPC 절편에서 Olig2, Ki67, 및 공동국재화된 Olig2 및 Ki67의 정량화. c) OPC를 아그레칸/라미닌-미리 코팅된 커버슬립 상에서 배양하고, 비히클 대조군, 2.5 μM ISP 또는 SISP로 처리하고, O4 및 Ki67로 염색하였다. 도 13d: Ki67을 군 사이에서 비유의적으로 변화하였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8998, F(2,9)=0.1068, N=12 영상, 각각 4회 반복 실험 및 각각 3회 반복). 도 13e: OPC를 아그레칸/라미닌 상에서 배양하고, 2div 동안 대조군 또는 2.5 μM ISP로 처리한 후, 2시간 동안 비히클 또는 LPC (1 ㎍/mL)와 인큐베이션시킨 후, DAPI 및 TUNEL 염색을 수행하였다. 도 13f: DAPI+ 세포 대비 TUNEL+ 정량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ISP 처리된 (N=40 영상, 4회 반복 실험) OPC의 유의적인 생존을 나타낸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21, F(3,36)=5.96). ISP-처리는 LPC 처리된 세포의 생존을 증진시켰다 (N(영상)=36 대조군, 28 각각 LPC 처리된 군). 그래프는 웨스턴 블롯의 산점도 대표도 또는 표준 오차 평균과 함께 각 반복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P<0.05, **P<0.01, *** p < 0.001.
도 14a-14g는 ISP가 OPC 돌기 성장 및 성숙화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a: 유도 후 41일째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EAE 마우스의 흉부 척수에서 Olig2 및 CC1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 영상. 스케일 바=50 ㎛. 도 14b: 유도 후 41일째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EAE 마우스의 흉부 척수에서 Olig2+ 세포/㎟ 및 CC1+ 세포/㎟에 대한 면역염색의 정량화. (n=3마리 마우스/군, Olig2: P=0.0189, t=3.811, df=4; CC1: P=0.0019, t=7.259, df=4.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도 14c: 14dpl에 비히클 또는 ISP 처리된 LPC 마우스의 척수에서 DAPI 및 CC1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적 영상. 파선은 병변 부위의 경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스케일 바=100 ㎛. 도 14d: 14dpl에 정규화된 CC1+ 올리고덴드로사이트 밀도에 대한 면역염색의 정량화. (n=3마리 마우스/군, P=0.0044, t=5.789, df=4. 양측 독립 스튜던트 t 검정). 도 14e: ISP 또는 비히클의 존재하에서 폴리-1-리신 또는 CSPG 상에 플레이팅한 후의 OPC의 성숙화의 대표적인 면역조직화학적 영상. 스케일 바=100 ㎛. 도 14f: ISP 또는 비히클의 존재하에서 폴리-1-리신 (대조군) 또는 CSPG 상에의 OPC 플레이팅 후, 성숙한 OL의 상대적인 비율의 정량화. (n= 3회의 독립 반복 실험, O4: ANOVA F(2,6)=1.321, P=0.3347; MBP: ANOVA F(2,6)=30.99,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Con 대 CSPG + Veh = 0.0005, P CSPG + Veh 대 CSPG +ISP =0.0175). 도 14g: 6일째 ISP 또는 비히클의 존재하에서 폴리-1-리신 (대조군) 또는 CSPG 상에의 OPC 플레이팅 후, MBP+ 풋프린트의 크기 비교. (n= 3회의 독립 반복 실험, ANOVA F(2,6)=40.96,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Con 대 CSPG + Veh = 0.0003, P CSPG + Veh 대 CSPG +ISP =0.0052).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제시된 것이다. *P<0.05, **P<0.01, *** p < 0.001. n.s., 비유의적.
도 15는 프로테아제 검정법의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어느 프로테아제가 ISP 처리에 의해 상향조절될 수 있는지를 스크리닝하는 것을 시작으로, 배양된 OPC를 시험관내에서 4일 동안 비히클 대조군 또는 2.5 μM ISP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조정 배지를 정질적 프로테아제 어레이 (R & D 시스템즈(R & D Systems))와 인큐베이션시키고, 현상시켰다. 이어서, 대조군 OPC CM 대비 ISP 처리된 OPC CM의 픽셀 강도의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도 16a-16h는 ISP가 용량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CS56 분해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ISP 처리된 OPC CM은 CS56 스폿을 분해할 수 있다. 도 16a: 비히클 대조군, 2.5 μM ISP 또는 SISP로 처리된 OPC를 시험관내에서 2일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 CM을 수집하고, 아그레칸/라미닌 스폿과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시켰다의 추가의 서브세트를 오직 배지하고만 동일 기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스폿을 CS56 또는 라미닌으로 면역염색하고, 스폿 테두리의 픽셀 강도를 기록하였다. 도 16b: 관심의 대상이 되는 황색 영역은 스폿의 측정 부분을 나타내는 것인, CS56 염색된 스폿의 대표적인 영상. 도 16c: CS56 면역염색된 스폿의 정량화는 ISP 처리된 OPC CM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CSPG를 유의적으로 분해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원 ANOVA, 던넷 사후 검정, P=0.0001, F(5,72)=45.19). N(영상, 5회 반복 실험)=69 대조군, 104 ISP, 95 ISP, 31 오직 배지만). 도 16d: 라미닌 염색된 스폿의 대표적인 영상. 도 16e: 라미닌 염색된 스폿의 정량화는 군들 사이에 유의적인 변화는 없음을 나타낸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818, F(3,85)=2.312), N(영상, 5회 반복 실험)=133 대조군, 134 ISP, 114 SISP, 34 오직 배지만). 도 16f: CS56 분해를 확인하기 위해, OPC를 다양한 양의 ISP 또는 비히클 대조군으로 처리하고, 고정된 농도의 아그레칸 (20 ㎍/mL)와 함께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16g: CS56의 웨스턴 블롯 분석 및 후속하여 CS56 밴드의 정량화 (도 16h)는 2.5 및 5 μM 용량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ISP 처리된 CS56 분해를 나타낸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49, F(5,12)=6.112, N=3 웨스턴 블롯). 그래프는 웨스턴 블롯의 산점도 대표도 또는 표준 오차 평균과 함께 각 반복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도 17a-17g는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ISP-유도성 CSPG 분해, 및 후속하여 CSPG-OPC 탈억제를 약화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OPC에 미치는 기능적 효과를 사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7a 및 17b는 CS56-면역염색된 스폿을 비히클 대조군, 2.5 μM ISP, 또는 25 μM GM6001 +/- ISP 처리된 OPC CM과 함께 인큐베이션시킨 검정법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정량화된 CS56 면역반응성은 대조군 및 GM6001+ISP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ISP-유도성 CS56 분해를 나타낸다 (일원54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01, F (3, 37) = 21.43), N(영상, 3회 반복 실험)=24 대조군, 17 ISP, 19 GM6001, 20 GM6001+ISP). 유사하게, 도 17c 및 17d는 비히클 대조군, 2.5 μM ISP, 또는 100 nM MMP-2 억제제 (OA-Hy) +/- ISP로 처리된 아그레칸 스폿이 비히클 대조군 및 MMP-2 억제제 (OA-Hy) + ISP와 비교하여 ISP-유도성 분해를 나타내었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1, F (3, 44)=31.50). N=24 영상 각각). 도 17e: MMP-2 억제제가 아폽토시스에 영향을 주었는지 여부를 사정하기 위해, 아그레칸/라미닌 미리 코팅된 커버슬립 상에서 배양된 OPC를 시험관내에서 2일 동안 ISP, 100 nM MMP-2 억제제 (OA-Hy) +/- ISP로 처리하였다. 처리된 OPC 서브세트를 추가로 LPC (1 ug/mL)로 챌리지하고,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고, TUNEL/DAPI 염색을 수행한다. MMP-2 억제제 (OA-Hy)는 TUNEL+ 세포/총 세포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LPC-ISP 처리와 비교하여 MMP-2 억제제 (OA-Hy)는 심지어 ISP로 처리한 경우에도, LPC 처리 후 아폽토시스를 증가시켰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01, F(7,21)=29.66), N=2 반복 실험, 각각 2 웰). 도 17F: 아그레칸/라미닌 상에서 배양된 OPC의 100 nM MMP-2 억제제 (OA-Hy) 처리는 ISP 처리 단독과 비교하여 MBP 풋프린트를 유의적으로 추가로 감소시켰다 (일원 ANOVA, P=0.0001, F(3,112)=228.3), N(세포, 총 5회 반복 실험)=128 대조군, 126 ISP, 191 OA-Hy, 222 OA-Hy+ISP). 그래프는 표준 오차 평균과 함께 각 반복 실험의 평균의 산점도 대표도를 나타낸다.
도 18a-17e는 MMP-2의 shRNA 넉 다운이 CSPG 상의 OPC 성숙화 및 이동을 감소시켜 소뇌 슬라이스에서 재수초화를 제한한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a: 대조군 렌티바이러스 스크램블된 shRNA, 또는 MMP-2를 표적화하는 렌티바이러스 입자 발현 shRNA 구축물로 48시간 동안 감염된 OPC 배양물, 이어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GAPDH와 비교하여 MMP-2 넉 다운 사정. 도 18b 및 18c: 라미닌 및 저농도의 아그레칸 (1 ㎍/mL) 상에서 배양된, 스크램블된 shRNA 또는 MMP-2를 표적화하는 shRNA의 렌티바이러스 감염된 OPC를 MBP로 면역염색한 후, 48시간 동안 비히클 또는 ISP (2.5 μM)로 처리하였다. MBP 부위를 정량화하였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13, F(3, 158)=6.677, 2회 반복으로부터의 세포 N=100). 도 18d 및 18e: OPC (O4, 적색)를 48시간 렌티바이러스 구축물로 감염시킨 후, 스폿 검정 상에 플레이팅하여 ISP (2.5 μM) 존재 또는 부재하의 아그레칸 (녹색)을 통과하는 이종을 사정하였다. 아그레칸 스폿을 통과하는 OPC 개수를 계수하였다 (일원 ANOVA, 터키 사후 검정, P=0.0015, F(3, 44)=6.056. 2회 반복으로부터의 스폿 N=40).
도 19a-19d는 MMP-2는 LPC-탈수초화된 마우스 모델에서 ISP-유도성 재수초화를 매개한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a: 비히클, ISP 또는 MMP-2 억제제 (OA-Hy)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로부터의 CS56 및 DAPI의 면역조직화학법으로부터의 대표적인 영상은 LPC 주사 후 14일째의 MMP-2-매개 CS56 분해를 보여주는 것이다. 파선은 척수의 등쪽 백질의 경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스케일 바= 100 ㎛. 도 19b: 14dpl에 비히클, ISP 또는 MMP-2 억제제 (OA-Hy)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CS56의 면역형광 강도의 상대적 정량화 (n=3마리 마우스/군, ANOVA F(3,8)=76.08,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LPC 대 LPC +ISP < 0.0001, P LPC +ISP 대 LPC +ISP+ OA - Hy = 0.0079, P LPC 대 LPC + OA - Hy = 0.0026). 도 19c: 비히클, ISP 또는 MMP-2 억제제 (OA-Hy)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로부터의 Olig2 및 DAPI의 면역조직화학법으로부터의 대표적인 영상은 LPC 주사 후 14일째의 MMP-2-매개 OPC 이동을 보여주는 것이다. 파선은 병변 부위의 경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스케일 바= 100 ㎛. 도 19d: 14dpl에 비히클, ISP 또는 MMP-2 억제제 (OA-Hy) 처리된 마우스의 척수에서 Olig2+ 세포 개수의 정량화 (n=3마리 마우스/군, ANOVA F(3,8)=21.58, 터키 다중 비교 검정, P LPC 대 LPC +ISP = 0.0074, P LPC +ISP 대 LPC+ISP+OA-Hy = 0.0088, P LPC 대 LPC+OA-Hy = 0.0385).
Claims (25)
- 치료제를 포함하는, 수초화(myelination) 또는 재수초화(remyelination)가 필요한 인간 대상체에서 수초화 또는 재수초화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치료제가 서열 번호: 5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간 대상체가 다발성 경화증을 제외한 미엘린 관련 장애를 앓거나, 또는 상기 미엘린 관련 장애의 위험이 있으며, 상기 미엘린 관련 장애가 수초 탈락성 장애, 백질위축성 장애 또는 말초 신경계의 탈수초성 질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치료되는 인간 대상체에게 전신으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인간 대상체에서 인식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 치료제를 포함하는, 미엘린 관련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 대상체에서 미엘린 관련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치료제가 서열 번호: 5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고, 인간 대상체에서 수초화 또는 재수초화를 촉진하며,
상기 인간 대상체가 다발성 경화증을 제외한 미엘린 관련 장애를 앓거나, 또는 상기 미엘린 관련 장애의 위험이 있고, 상기 미엘린 관련 장애가 수초 탈락성 장애, 백질위축성 장애 또는 말초 신경계의 탈수초성 질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치료되는 인간 대상체에게 전신으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전구 세포 이동, 분화, 증식 또는 성숙화를 유도, 촉진 또는 조정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미엘린 관련 장애가 횡단성 척수염,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 길랭-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데빅병(Devic's disease), 백질위축성 장애, 백질뇌병증, 백질위축증, 부신척수신경병증(adrenomyeloneuropathy), 뇌힘줄황색종증(cerebrotendinous xanthomatosis), 크라베병(Krabbe disease), 알렉산더병(Alexander's disease), 펠리체우스-메르츠바허병(Pelizaeus Merzbacher disease: PMD), 말초 신경계의 탈수초성 질환, 또는 샤르코-마리-투드병(Charcot-Marie-Tooth disea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미엘린 관련 장애가 성인 발병 상염색체 우성 백질위축증 (ADLD), 아이카디-구티에레스 증후군(Aicardi-Goutieres syndrome), 알렉산더병, CADASIL, 카나반병(Canavan disease), CARASIL, 뇌힘줄황색종증, 아동기 운동실조 및 뇌 저수초형성(CACH)/소멸 백질 질환 (VWMD), 파브리병(Fabry disease), 푸코시드축적증(fucosidosis), GM1 강글리오시드증, 크라베병, L-2-히드록시글루타르산뇨증, 피질 낭종을 동반한 거대뇌성 백질뇌병증(megalencephalic leukoencephalopathy with subcortical cysts), 이염색성 백질위축증, 다종 술파타제 결손증, 펠리체우스-메르츠바허병(PMD), Pol III-관련 백질위축증, 레프섬병(Refsum disease), 살라병(salla disease), 쇼그렌-라손 증후군(Sjogren-Larsson syndrome), X-연관 부신백질위축증, 또는 젤베거 증후군(Zellweger syndrome) 스펙트럼 장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201762531251P | 2017-07-11 | 2017-07-11 | |
| US62/531,251 | 2017-07-11 | ||
| PCT/US2018/041636 WO2019014342A1 (en) | 2017-07-11 | 2018-07-11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YELIN DISEASE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39621A KR20200039621A (ko) | 2020-04-16 |
| KR102772298B1 true KR102772298B1 (ko) | 2025-02-25 |
Family
ID=6500181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7037688A Active KR102772298B1 (ko) | 2017-07-11 | 2018-07-11 | 미엘린 장애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Country Status (8)
| Country | Link |
|---|---|
| US (1) | US20200230205A1 (ko) |
| EP (1) | EP3651785A4 (ko) |
| JP (1) | JP7538602B2 (ko) |
| KR (1) | KR102772298B1 (ko) |
| CN (1) | CN111093684A (ko) |
| AU (2) | AU2018301399B2 (ko) |
| CA (1) | CA3064463A1 (ko) |
| WO (1) | WO201901434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212872A1 (en) * | 2021-04-02 | 2022-10-06 |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ccelerating oligodendrocyte maturation |
| WO2025092748A1 (zh) * | 2023-11-01 | 2025-05-08 | 拜西欧斯(北京)生物技术有限公司 | 多肽衍生物、其药物组合物及其用途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50366949A1 (en) * | 2012-04-09 | 2015-12-24 |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ihibiting the activity of lar family phosphatases |
Family Cites Families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731058A (en) | 1986-05-22 | 1988-03-15 | Pharmacia Deltec, Inc. | Drug delivery system |
| US5670617A (en) | 1989-12-21 | 1997-09-23 | Biogen Inc | Nucleic acid conjugates of tat-derived transport polypeptides |
| US5804604A (en) | 1989-12-21 | 1998-09-08 | Biogen, Inc. | Tat-derived transport polypeptides and fusion proteins |
| DE69128037T2 (de) | 1990-11-13 | 1998-05-07 | Immunex Corp., Seattle, Wash. | Bifunktionelle wählbare fusionsgene |
| US6063630A (en) | 1991-11-05 | 2000-05-16 | Transkaryotic Therapies, Inc. | Targeted introduction of DNA into primary or secondary cells and their use for gene therapy |
| WO1994028143A1 (en) | 1993-05-21 | 1994-12-08 | Targeted Genetics Corporation | Bifunctional selectable fusion genes based on the cytosine deaminase (cd) gene |
| US5368562A (en) | 1993-07-30 | 1994-11-29 | Pharmacia Deltec,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mbulatory medical devices such as drug delivery devices |
| GB9718609D0 (en) | 1997-09-02 | 1997-11-05 | Imp College Innovations Ltd | Fusion protein |
| CA2417454A1 (en) | 2000-07-31 | 2002-02-07 | Active Motif | Peptide-mediated delivery of molecules into cells |
| EP1931660B1 (en) * | 2005-09-29 | 2012-08-01 | Sanofi | Phenyl-[1,2,4]-oxadiazol-5-one derivatives with phenyl group,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s |
| US10258672B2 (en) * | 2014-10-09 | 2019-04-16 |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root avulsion injury |
-
2018
- 2018-07-11 JP JP2019571337A patent/JP7538602B2/ja active Active
- 2018-07-11 CN CN201880042147.3A patent/CN111093684A/zh active Pending
- 2018-07-11 KR KR1020197037688A patent/KR102772298B1/ko active Active
- 2018-07-11 WO PCT/US2018/041636 patent/WO2019014342A1/en not_active Ceased
- 2018-07-11 US US16/630,271 patent/US20200230205A1/en active Pending
- 2018-07-11 CA CA3064463A patent/CA3064463A1/en active Pending
- 2018-07-11 EP EP18832119.4A patent/EP3651785A4/en active Pending
- 2018-07-11 AU AU2018301399A patent/AU2018301399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11-25 AU AU2024266863A patent/AU2024266863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50366949A1 (en) * | 2012-04-09 | 2015-12-24 |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ihibiting the activity of lar family phosphatas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JP2020527132A (ja) | 2020-09-03 |
| AU2018301399A1 (en) | 2019-12-19 |
| AU2024266863A1 (en) | 2024-12-12 |
| EP3651785A1 (en) | 2020-05-20 |
| US20200230205A1 (en) | 2020-07-23 |
| AU2018301399B2 (en) | 2024-08-29 |
| CN111093684A (zh) | 2020-05-01 |
| CA3064463A1 (en) | 2019-01-17 |
| JP7538602B2 (ja) | 2024-08-22 |
| WO2019014342A1 (en) | 2019-01-17 |
| KR20200039621A (ko) | 2020-04-16 |
| EP3651785A4 (en) | 2021-07-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129285B2 (en) | TDP-43 mitochondrial localization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neurogenerative disease | |
| JP2019501210A (ja) | 神経細胞の損失予防及び再生の効能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 |
| AU2024266863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yelin disorders | |
| US20250154199A1 (en) | Peptides for treating pain or reducing pain sensitivity | |
| US20250215052A1 (en) | Inhibitors of pick1 and uses thereof | |
| US10898550B2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root avulsion injury | |
| US10548984B2 (en) | RVG Derived peptides | |
| JPWO2007139120A1 (ja) | アミロイドβクリアランス促進剤 | |
| CA3064479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 |
| HK40037093A (en) | Peptides and other agents for treating pain and increasing pain sensitivity | |
| HK40037093B (en) | Peptides and other agents for treating pain and increasing pain sensitivit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3-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gran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3-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