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5198B1 - Desk with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 Google Patents

Desk with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5198B1
KR102785198B1 KR1020240184507A KR20240184507A KR102785198B1 KR 102785198 B1 KR102785198 B1 KR 102785198B1 KR 1020240184507 A KR1020240184507 A KR 1020240184507A KR 20240184507 A KR20240184507 A KR 20240184507A KR 102785198 B1 KR102785198 B1 KR 102785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table top
top plate
angle adjustment
improved safe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84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형
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형, 정지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형
Priority to KR102024018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51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519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의 각도가 변형되는 기능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 저면에 형성되는 조작레버가 책상 사용자의 다리 등에 걸리거나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동작하여 상판이 회전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책상의 사용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판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먼저 상판에 적재된 책이나 필기구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가 돌출되는 과정이 물리적으로 선행되도록 함으로써 책이나 노트, 필기구 등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having a function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table top,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sk having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in that the operating lev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top physically blocks the table top from rotating when the operating lever is caught on the leg of a desk user or is arbitrarily operated by impact,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desk,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rotate the table top, a protrusion that prevents books or writing instruments loaded on the table top from falling is physically protruded firs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books, notebooks, writing instruments, etc.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Desk with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Desk with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본 발명은 상판의 각도가 변형되는 기능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 저면에 형성되는 조작레버가 책상 사용자의 다리 등에 걸리거나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동작하여 상판이 회전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책상의 사용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판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먼저 상판에 적재된 책이나 필기구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가 돌출되는 과정이 물리적으로 선행되도록 함으로써 책이나 노트, 필기구 등의 추락에 따른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having a function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table top,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sk having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in that the operating lev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top physically blocks the table top from rotating when the operating lever is caught on the leg of a desk user or is arbitrarily operated by impact,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desk,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rotate the table top, a protrusion that prevents books or writing instruments loaded on the table top from falling is physically protruded first, thereby preventing damage caused by falling of books, notebooks, writing instruments, etc.

일반적으로 책상에 앉아서 독서를 하거나 공부를 할 때 수평으로 놓인 책상 상판에 책을 놓고 보면 고개를 숙이게 된다. 그러면 책을 볼 때 목이 꺽이게 되는 데, 이른 자세에서 장시간 독서를 하거나 공부를 하게 되면 목에 통증이 유발되고, 결과적으로 목 디스크가 발생하게 된다.Normally, when you sit at a desk and read or study, you put the book on the horizontal table top and look down. Then, your neck bends when you look at the book. If you read or study in this posture for a long time, it causes pain in the neck and eventually causes cervical disc herniation.

따라서, 최근에는 상판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다양한 종류의 책상이 개발되고 있는 데, 그 일례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등록된 등록특허 제10-2473307호(등록일: 2022년 11월29일) 상판 접이식 책상은, 판상으로 일정 크기를 가지며 저면에 접철수단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리프레임과, 상기 다리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부 일측이 접철수단과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횡바로 구성된 상판 접이식책상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은 일측에 스프링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타측에 이동장홈 및 제1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밀착되며 일측에 이동장홈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안내핀이 형성된 걸림부와 타측이 레버와 결합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연결부에 연결되며 일측에 걸림쇄기와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로 구성된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하부에 다리프레임의 단부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와, 측면에 지지횡바가 끼움되는 홈과, 전방측에 상기 레버의 걸림쇄기가 걸림되는 걸림부 및 후방측에 걸림턱을 갖는 제2체결부가 일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desks that can freely adjust the angle of the table top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and one example of this is the registered patent No. 10-2473307 (registration date: November 29, 2022) pre-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ble top folding desk is composed of a table top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folding mea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 leg fram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top, a pair of connecting bracket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frame and having one upper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lding means and a hinge pin, and a supporting transverse bar connecting the connecting brackets, wherein the folding means comprises a cover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in which a spring is accommodated on one side, a moving groove and a first fastening part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a fixing part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ving groove on one side and has a guide pin formed thereon, and a connecting part which is coupled to a lever on the other side, and a catcher formed on one side and a handle formed on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of the fixed part, It includes a lever member formed with a lever tha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connecting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a leg connecting portion to which an end of a leg frame is connected at the bottom, a groove to which a support transverse bar is fitted at the side, a catch portion at the front to which a catch catch of the lever is caught,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having a catch protrusion at the rear.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판 접이식 책상의 구성은 책상의 상판을 상부로 회전시켜 복수 개의 책상을 근접하게 접철하여 보관시 보관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책상에서 독서를 하거나 공부를 할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a folding desk with a top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problem that the angle of the top cannot be adjusted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when reading or studying at the desk because the top of the desk rotates upward to fold multiple desks closely togeth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torage space during storage.

다른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913665호(등록일: 2018년 10월 25일) 가구용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은, 하지지블록; 상기 하지지블록과 마주보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지지블록; 상기 하지지블록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상지지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하지지블록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스실린더; 상기 하지지블록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상지지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가스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실린더작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다.Another prior art, patent registration No. 10-1913665 (registration date: October 25, 2018), a height-adjusting device for furniture and a table having the same, comprises: a lower support block; an upper support block arranged on an upper side facing the lower support block; an elevating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block and the other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block; a gas cylinder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block and the other end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member; a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block and the other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block; and a cylinder operating member that operates the gas cylind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테이블은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구성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테이블에서 독서를 하거나 공부를 할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 table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structural feature that allows the height of the table to be adjusted, and thus has the problem that the angle of the table cannot be adjusted to maintain proper posture when reading or studying at the table.

더욱이, 상기와 같은 구성의 테이블은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실린더작동부재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테이블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실린더작동부재에 충격을 가하거나 사용자의 다리에 걸려 테이블의 사용 중 테이블이 상승하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a table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the operating cylinde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ab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and thus the table may rise while the user is using the table if the cylinder operating member is impacted or gets caught on the user's leg.

또 다른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716098호(등록일: 2017년 03월 07일)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지지부에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구동부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상판에 결합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힌지브라켓; 및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구동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작동부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강약을 조절하는 강약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브라켓의 힌지공은 상기 힌지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장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약조절부는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이동블럭; 및 상기 힌지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럭과 나사결합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prior art, registered patent No. 10-1716098 (registration date: March 7, 2017), includes a table top angle adjusting device, comprising: a driving unit; a hinge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ing unit and coupled to a support unit; and an operating unit hinge-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selectively operating the driving unit, and coupled to the table top; the hinge unit includes a hinge bracket coupled to the support unit; and a hinge axis hinge-connecting the hinge bracket and the driving unit; the hinge axis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operating unit; the hinge unit includes a strength adjusting unit that adjusts the strength of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 hinge hole of the hinge bracket is formed as a groove so that the hinge axis can move; the strength adjusting unit includes a movable block hinge-connected to the hinge axis and capable of sliding on the hinge bracket; An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djusting screw which is provided on the hinge bracket and is screw-connected with the moving block.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 역시 상판의 각도 조절을 위한 작동레버가 상판의 저면에 형성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책상의 사용시 사용자의 다리가 작동레버를 가압 또는 충격하여 상판이 임의로 회전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하여 책상에 거치된 노트, 필기구, 노트북 등의 물품이 추락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However, the table top angle adjustment device of the desk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also has an operating lever for adjusting the table top angl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able top, which causes the table top to rotate arbitrarily when the user's leg presses or impacts the operating lever when using the desk, as explained above. Due to the above problem, items such as notebooks, writing instruments, and laptops placed on the desk frequently fall and are damaged.

또한, 상기와 같은 물품의 추락은 상판에 독서시 책이 걸림되는 돌출부분이 없음으로 책, 노트북 등의 물품이 쉽게 추락하여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ems such as books and laptops can easily fall and be damaged because there is no protruding part on the table top for books to catch on when reading.

등록특허공보 제10-2473307호(등록일: 2022년 11월 29일) "상판 접이식 책상"Patent Publication No. 10-2473307 (Registration Date: November 29, 2022) "Folding Desk with Top Plate" 등록특허공보 제10-1913665호(등록일: 2018년 10월 25일) "가구용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Patent Publication No. 10-1913665 (Registration Date: October 25, 2018) "Height-adjusting device for furniture and table equipped with same" 등록특허공보 제10-1716098호(등록일: 2017년 03월 07일)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Patent Publication No. 10-1716098 (Registration Date: March 7, 2017) “Desk Top Angle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의 상판 저면에 형성되는 조작레버가 책상 사용자의 다리 등에 걸리거나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동작하여 상판이 회전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책상의 상판이 임의로 회전하여 거치물이 추락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책상의 사용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k with an improved form of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hich can improve the safety of use of the desk by physically blocking the operating lev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surface of the desk from rotating due to an impact or the like by getting caught on the leg of a desk user, thereby preventing the top surface of the desk from rotating arbitrarily and causing a mounted object to fal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조작레버의 작동이 상판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레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물리적으로 조작레버를 제어함으로써 조작레버의 걸림이나 충격에 의한 임의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으며, 조작레버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에 거치된 책, 노트북과 같은 거치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돌기가 자동으로 돌출됨으로써 상판의 회전과 거치물의 추락방지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k with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which can prevent arbitrary rotation due to snagging or impact of the table top by phys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ng lever so that the lever can be rotated by the user's action occurring in the upper part of the table top, and which can automatically protrude a snag to prevent falling of objects such as books and laptops placed on the table top by the user's action to operate the operating lever, thereby performing both the functions of rotating the table top and preventing falling of the objects placed on the table top.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형 또는 원형의 관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 지면과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보조다리프레임에 의하여 심플한 미관과 사용자의 걸림을 방지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다리프레임과, 상면 일측에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된 돌출수단이 삽입장공에 끼움되어 형성되며 저면에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레버가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다리프레임과 상판을 연결하며 다리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판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며 하부에 형성된 제2가스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제1연결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다리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판의 브라켓에 연결되며 일측에 제1가스실린더가 형성되어 제1가스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기울이는) 제2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된 연결브라켓 및, 상기 조작레버와 제1, 2 가스실린더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connecting bracket comprising a leg frame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tubular shape and configured in a form that prevents the user from tripping by an auxiliary leg frame connected to the groun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a top plate having a protruding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hat protrudes upward by the user's movement, which is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and having an operating lev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for adjusting the angle, a first connecting bracket that connects the leg frame and the top plat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g frame and has the other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of the top plate and moves the top plate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a second gas cylinder formed at the bottom, and a second connecting bracke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bracket and having one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g fram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racket of the top plate and having the first gas cylinder formed at one side to rotate (tilt) the top plate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as cylinder, and the operating lever and Contains a wir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gas cylinders,

여기서, 상기 상판의 조작레버는 돌출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됨과 동시에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재에 의하여 상판이 거치된 물품의 추락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lever of the table top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a protruding means, and at the same time, the falling of an object placed on the table top is prevented by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table top,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enabling the desk to have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상기 돌출수단은, 상판의 삽입장공에 삽입되며 중앙부분에 걸림쇄기가 형성된 버튼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돌출부를 갖는 삽입홈이 일측에 관통공과 연통되게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부에 제어핀과 일측에 걸림쇄기에 걸림되는 장홈과 돌출부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돌출부재 및, 상기 삽입홈에 수용되며 상부에 돌출부재가 밀착되어 돌출부재를 상부측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mentioned protrusion means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se having a button formed with a catcher in the central portion and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longitudinal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a protru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and having a control pin formed on the lower side, a groove formed on one side to catch on the catcher, and a catch protrusion formed on the protrusion, and a spring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having the protrusion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protrusion member upward.

상기 조작레버는, 상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과 일측에 와이어가 안내되는 와이어유입홈과 중앙부분에 끼움공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며 중앙분분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 및 타측에 끼움공을 관통하여 유입되는 제어핀이 삽입되는 홈이 일체로 형성된 회동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mentioned operating lever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xed plate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has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a wire inlet groove on one side through which a wire is guided, and a fitting hole on the central portion formed integrally therewith, a rotation lever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and has a wire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rough which a wire is connected, a rotation shaft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on one side, and a groove into which a control pin that is introduced by penetrating the fitting hole is inserted on the other side.

상기 고정판은 안내돌기가 형성된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레버는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안내돌기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하는 가이드접속편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회동레버는 가이드접속편이 안내돌기을 감싸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홈의 범위내에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fixed plate further includes a guide groove in which a guide projection is formed, and the above rotation lever further includes a guide connecting piece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connected in a form that wraps around the guide projection, wherein the above rotation le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within the range of the guide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connecting piece wraps around and is connected to the guide projection.

상기 회동레버는 일측에 사용자의 손이 끼움되는 파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mentioned rotary lever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grip groove on one side into which a user's hand is inser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은 다리프레임과 상판을 연결하는 제2연결브라켓에 설치된 제1가스실린더의 제어를 위하여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회동레버의 회전이 돌출수단에 형성된 제어핀에 의하여 제한됨으로써 회동레버가 책상 사용자의 다리 등에 걸리거나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동작하여 제1가스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이 임의로 회전하여 거치물이 추락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상판의 각도조절이 책상 사용자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sk having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tation of a rotation leve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top in order to control a first gas cylinder installed on a second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a leg frame and the table top, which is restricted by a control pin formed on a protruding means, thereby preventing the table top from rotating arbitrarily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gas cylinder by the rotation lever getting caught on the leg of the desk user or being arbitrarily operated by an impact, thereby preventing the table top from rotating arbitrarily and causing a mounted object to fall, thereby enabling the table top angle adjustment to be performed more stably by the desk user.

또한, 상기 돌출수단은 사용자가 상판의 회전을 위하여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통하여 돌출부재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하부의 제어핀이 조작레버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돌출부재가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동하여 상판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판에 거치된 책이나 노트북과 같은 물품이 돌출부재에 걸림되어 추락이 방지됨으로써 거치물의 추락에 따른 파손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상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과정에 돌출부재의 돌출이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생각을 못하더라도 자동으로 돌출되어 거치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means moves in a form in which the protruding member moves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o rotate the top plat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control pin is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lever and the protruding member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top plate, so that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op plate, items such as books or laptops placed on the top plate are caught on the protruding member and prevented from falling, thereby physically blocking damage to the placed items due to falling. 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of the protruding member is included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op plate, it automatically protrudes even without the user's thinking,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laced items from fal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은 다리프레임과 상판이 제1연결브라켓과 제2연결브라켓으로 연결되고, 제2연결브라켓에 형성된 제1가스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이 일정각도로 기울여서 사용할 수 있어 책상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책상을 장기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허리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제2가스실린더에 의하여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신체구조에 알맞는 책상의 상판 높이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환경에 대응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desk with improved safety and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g frame and a table top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ng bracket and a second connecting bracket, and the table top can be tilted at a certain angle by the operation of a first gas cylinder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bracket, thereby minimizing bending of the back of a desk user, thereby preventing back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using the desk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since the height of the table top can be adjusted by the second gas cylinder, a table top height suitable for each user's different body structure can be provided, thereby enabling the desk to respond to various usage environments,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and marketabilit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상판이 수평 상태일때 조작레버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상판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레버를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조작레버 부분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중 돌출수단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중 돌출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중 돌출수단의 돌출전과 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Figure 1 is a side view of a desk having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operating lever when the top plate of a desk with a top plate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horizontal state.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rating lever is operated to rotate the top plate of a desk having a top plate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 of the operating lever portion of a desk with an improved safety table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a desk having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a desk with an improved safety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rusion means of a desk having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sion means of a desk having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nd 10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trusion means before and after protrusion of a desk having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tak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to be limited thereby.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s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it is said that an element i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at other elem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 singular express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s" or "have" should be understoo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not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상판이 수평 상태일때 조작레버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상판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레버를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조작레버 부분의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중 돌출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중 돌출수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중 돌출수단의 돌출전과 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Among the attached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of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an operating lever when the top of the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horizontal state,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rating lever is operated to rotate the top of the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hotograph of an operating lever portion of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means of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means in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al states of the protruding means in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nd after protruding.

본 발명은 상판의 각도가 변형되는 기능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 저면에 형성되는 조작레버가 책상 사용자의 다리 등에 걸리거나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동작하여 상판이 회전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책상의 사용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판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먼저 상판에 적재된 책이나 필기구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가 돌출되는 과정이 물리적으로 선행되도록 함으로써 책이나 노트, 필기구 등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having a function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table top,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sk having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in that the operating lev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top physically blocks the table top from rotating when the operating lever is caught on the leg of a desk user or is arbitrarily operated by impact,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desk,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rotate the table top, a protrusion that prevents books or writing instruments loaded on the table top from falling is physically protruded firs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books, notebooks, writing instruments, etc.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100)은, 크게 하부에 복수 개의 캐스터(11)가 형성된 다리프레임(10)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레버(22)가 저면에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 돌출수단(21)이 형성된 상판(20) 및, 상기 상판(20)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가능한 형태로 다리프레임(10)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a desk (100) with improved safety and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g frame (10) having a plurality of casters (1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 table top (20) having an operating lever (22)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a protruding means (21)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connecting bracket (30) connected to the leg frame (10) in a form in which the angle and height of the table top (20) can be adjusted.

상기 다리프레임(10)은 각형 또는 원형의 관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 지면과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복수 개의 캐스터(11)가 형성된 보조다리프레임(12)에 의하여 책상 전체가 심플한 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걸림을 최소화하여 책상의 사용에 불편함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above leg frame (10) is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tubular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at the bottom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The auxiliary leg frame (12) formed with a plurality of casters (11) provides the entire desk with a simple appearance while minimizing user interference, preventing inconvenience in using the desk and maintaining a stably installed state.

상기 상판(20)은 책상의 크기에 따라 1인용 또는 2인용 등의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며 목재 또는 합성수지 판재로 구성되고 저면에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 table top (20) is formed in various sizes, such as for one person or two peop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esk, and is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board, and a storage box for storing small items can be option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상판(20)의 상면 일측에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재(219)가 형성된 돌출수단(21)이 삽입장공(24)에 끼움되어 형성되며 저면에 상판(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레버(22)와 중앙부분에 제1, 2연결브라켓(31, 32)이 연결되는 브라켓(2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rotruding member (219) that protrudes upward by the user's a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 and is fitted into an insertion hole (24) to form a protruding means, and an operating lever (22)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top plate (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a bracket (23) to which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rackets (31, 32) are connecte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상기 돌출수단(21)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20)의 삽입장공(24)에 삽입되며 중앙부분에 걸림쇄기(2111)가 형성된 버튼(21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돌출부(212)를 갖는 삽입홈(213)이 일측에 관통공(214)과 연통되게 형성된 케이스(215)와, 상기 케이스(215)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부에 제어핀(216)과 일측에 걸림쇄기(2111)에 걸림되는 장홈(217)과 돌출부(212)에 걸림되는 걸림턱(218)이 형성된 돌출부재(219) 및, 상기 삽입홈(213)에 수용되며 상부에 돌출부재(219)가 밀착되어 돌출부재(219)를 상부측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protrusion means (21)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se (215) in which a button (211) having a catcher (2111) formed in the center and a protrusion (21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a through hole (214) on one side, a protrusion member (219)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215) and has a control pin (216) formed at the bottom, a groove (217) formed at one side to catch the catcher (2111) and a catcher (218) formed at the protrusion (212), and a spring (220) which is received in the insertion groove (213)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member (219) at the top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protrusion member (219) upward.

또한, 상기 버튼(211)은 대략 "ㄷ"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케이스(215)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의 절곡부(2112)에 의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버튼(211)의 상부를 가압하면 절곡부(2112)가 변형되며 상부가 회전하여 외측에 형성된 걸림쇄기(2111)를 이동시켜 장홈(217)으로부터 빠짐으로써 돌출부재(219)는 스프링(220)의 탄성에 의하여 상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태에서 양측의 걸림턱(218)이 케이스(215)에 형성된 돌출부(212)에 걸림되어 상부로의 돌출이 제한된다.In addition, the button (211) is formed in an approximate "ㄷ" shape, with the lower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215) and the upper part formed to have elasticity by the lower folded part (2112), so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part of the button (211), the folded part (2112) is deformed and the upper part rotates to move the catch (2111) formed on the outside and fall out from the groove (217),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219) protrudes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220), and in the protruded state, the catches (218) on both sides are caught by the protruding part (212) formed on the case (215), so that the protrusion upward is limited.

상기 조작레버(22)는 크게 상판(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회동레버(60)로 구성된다.The above operating lever (22) is largely composed of a fixed plate (50)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 and a rotary lever (60) that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50) in a rotatable manner on one side.

상기 고정판(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일면이 상판(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55)과 일측에 와이어(40)가 안내되는 와이어유입홈(51)과 중앙부분에 끼움공(52) 및 타측에 안내돌기(53)가 형성된 가이드홈(54)이 일체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above fixed plate (50) is in the shape of a plate, one side of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and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55), a wire inlet groove (51) through which a wire (40) is guided on one side, a guide groove (54) having a fitting hole (52)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guide projection (53) formed on the other side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안내돌기(53)의 단부는 턱(55)이 형성되어 고정판(50)에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회동레버(60)의 회전범위를 제한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above guide projection (53) is formed with a jaw (55) to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ry lever (60) that is movably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50).

상기 회동레버(60)는 중앙분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되는 파지홈(61)과 와이어(40)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64)가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판(5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62) 및 타측에 끼움공(52)을 관통하여 유입되는 제어핀(216)이 삽입되는 홈(63) 및 중앙부분에 상기 가이드홈(54)에 삽입되고 안내돌기(53)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하는 가이드접속편(65)이 일체로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rotary lever (60) is formed with a grip groove (61) in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user's finger is gripped and a wire connection portion (64) to which a wire (40) is connected, a rotary shaft (62)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a fixed plate (50) on one side, a groove (63) into which a control pin (216) that penetrates the fitting hole (52) and is introduced on the other side is inserted, and a guide connection piece (65)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54) in the center portion and connected in a manner that surrounds the guide projection (53) is formed integrally.

상기 연결브라켓(30)은 일측이 상기 다리프레임(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판(20)의 브라켓(23)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며 하부에 형성된 제2가스실린더(34)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연결브라켓(31)과, 상기 제1연결브라켓(31)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다리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판(20)의 브라켓(23)에 연결되며 일측에 제1가스실린더(34)가 형성되어 제1가스실린더(33)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20)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기울이는) 제2연결브라켓(32)으로 구성된다.The above connecting bracket (30)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ng bracket (31)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g frame (10) at one end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23) of the upper plate (20) at the other end and moves the upper plate (20)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a second gas cylinder (34) formed at the lower end, and a second connecting bracket (32) that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bracket (31) and has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g frame (10) at the other end and has a first gas cylinder (34) formed at one end and rotates (tilts) the upper plate (20)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as cylinder (33).

또한, 상기 제1가스실린더(33)와 제2가스실린더(34)는 상판(20)의 저면에 형성된 각각의 조작레버(22)와 와이어(40)로 연결되어 책상 사용자가 조작레버(22)를 이용하여 쉽게 제1가스실린더(33)와 제2가스실린더(34)를 동작시켜 상판을 상하이동시키거나 회전이동 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gas cylinder (33) and the second gas cylinder (34)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perating levers (2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 and wires (40), so that the desk user can easily operate the first gas cylinder (33) and the second gas cylinder (34) using the operating lever (22) to move the top plate up and down or rotate it.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20)의 저면에 2개의 조작레버(22, 2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일측의 조작레버(22)는 제1가스실린더(33)와 와이어(40)로 연결되어 상판(20)을 회전시키는(기울이는) 구성이며, 타측의 조작레버(22')는 제2가스실린더(34)와 와이어(40)로 연결되어 상판(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사용되는 구성이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6, two operating levers (22, 2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 and the operating lever (22) on one side is configured to rotate (tilt) the top plate (20)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gas cylinder (33) and a wire (40), and the operating lever (22') on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move the top plate (20) up and down by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gas cylinder (34) and a wire (40) to adjust the height.

또한, 상기 조작레버(22, 22')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재(219)에 형성된 제어핀(216)을 일측에만 형성하거나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선택만으로 조작레버(22, 22')를 구성하는 회동레버(60, 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levers (22, 22') can be form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levers (60, 60') constituting the operating levers (22, 22') can be controlled only by selecting to form the control pin (216) formed on the protruding member (219) on only one side or on both sid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과정을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adjusting the table top angle of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as follows.

먼저, 도 9는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의 상판이 지면과 수평인 상태의 돌출수단(21)과 조작레버(22)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수단(21)의 돌출부재(219)는 케이스(215)의 내부에 수용되며 버튼(211)에 형성된 걸림쇄기(2111)가 돌출부재(219)의 장홈(217)에 끼움되어 돌출부재(219)가 스프링(220)의 탄성을 이기며 케이스(215)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된다.First, FIG. 9 shows the state of the protruding means (21) and the operating lever (22) of the desk having the table top having the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ith improved safety, when the table top is horizontal to the ground. As shown, the protruding member (219) of the protruding means (21)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215), and the catch (2111) formed on the button (211) is fitted into the groove (217) of the protruding member (219),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219) overcomes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220) and is maintained in the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215).

이때, 상기 돌출부재(219)의 하부에 형성된 제어핀(216)은 조작레버(22)의 고정판(50)에 형성된 끼움공(52)을 관통하여 회동레버(60)의 홈(63)에 끼움되어 회동레버(60)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서 상판(20)의 저면에 형성된 회동레버(60)가 사용자의 다리에 걸려 회전하거나 또는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판(20)의 임의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trol pin (216)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ember (219) penetrates the fitting hole (52) formed in the fixed plate (50) of the operating lever (22) and is fitted into the groove (63) of the rotation lever (60) to block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ever (60), thereby physically preventing the rotation lever (6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 from rotating due to the user's leg being caught or rotating arbitrarily due to impact, thereby substantially preventing arbitrary rotation of the top plate (20).

상기와 같이 상판(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판(20)을 회전시켜(기울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돌출수단(219)의 버튼(211)을 상부에서 가압하면 버튼(211)의 절곡부(2112)가 가압력에 의하여 절곡되며 버튼(211)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쇄기(2111)가 돌출부재(219)의 장홈(217)으로부터 빠짐되고 동시에 돌출부재(219)는 스프링(220)의 탄성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며 상판(20)의 상부로 돌출된다.In the case where the user wants to use the top plate (20) by rotating (tilting) it while the top plate (20) is fix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211) of the protruding means (219) from above, the bending portion (2112) of the button (211) is bent by the pressing force, and the catch (2111)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utton (211) is removed from the groove (217) of the protruding member (219),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ruding member (219) moves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220) and protrudes to the top of the top plate (20).

이와 같은 돌출부재(219)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20)이 회전시 상판 상부에 거치된 책이나 노트북과 같은 물품들이 돌출부재(219)에 걸림되어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the operation of the protruding member (219)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p plate (20) rotates, items such as books or laptops placed on the top pl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on the protruding member (219) and falling to the floor, thereby being damaged.

또한, 상부로 이동하는 돌출부재(219)는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18)이 케이스(215)에 형성된 돌출부(212) 또는 버튼(211)의 걸림쇄기(2111)에 걸림되어 상부로의 이동이 제함됨으로써 돌출부재(219)는 케이스(215) 내부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member (219) moving upward is prevented from moving upward by the catches (218) formed on both sides being caught by the catches (2111) of the protruding member (212) or the button (211) formed in the case (215),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219)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inside the case (215).

더욱이, 상기 돌출부재(219)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서 하부에 형성된 제어핀(216)이 상부로 이동하여 회동레버(60)의 홈(63)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회동레버(60)는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변형되며 사용자가 회동레버(60)의 파지홈(61)에 손가락을 파지하고 당기면, 회동레버(60)는 일측의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와이어연결부(64)에 연결된 와이어(40)가 당겨져 와이어(40)와 연결된 제1가스실린더(33)가 동작하여 상판(20)이 회전하는 것이다.Furthermore, as the protruding member (219) moves upward, the control pin (216) formed at the bottom moves upward and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63) of the rotation lever (60), so that the rotation lever (60) is transformed into a rotatable form, and when a user grips the grip groove (61) of the rotation lever (60) and pulls, the rotation lever (6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62) on one side, and the wire (40)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ion part (64) is pulled, so that the first gas cylinder (33) connected to the wire (40) operates and the top plate (20) rotates.

또한, 상기 회동레버(60)는 고정판(50)과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의 가이드접속편(65)이 고정판(50)의 가이드홈(54)에 삽입되고 안내돌기(53)를 감싸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홈(54)의 범위내에서 회전하도록 회전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무리한 힘으로 회동레버(60)를 당김하여 와이어(40)가 손상되거나 또는 회동레버(60)의 조립상태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책상의 내구성을 대단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tation lever (60)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50) and the lower guide connection piece (65)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54) of the fixed plate (50) and connected by wrapping around the guide projection (53),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range so that the rotation lever can rotate within the range of the guide groove (54), thereby preventing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wire (40) or damage to the assembly state of the rotation lever (60) due to the user pulling the rotation lever (60) with excessive forc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desk.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은 다리프레임과 상판을 연결하는 제2연결브라켓에 설치된 제1가스실린더의 제어를 위하여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회동레버의 회전이 돌출수단에 형성된 제어핀에 의하여 제한됨으로써 회동레버가 책상 사용자의 다리 등에 걸리거나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동작하여 제1가스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이 임의로 회전하여 거치물이 추락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상판의 각도조절이 책상 사용자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sk with improved safety and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al feature in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eve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top for controlling the first gas cylinder installed on the second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leg frame and the table top is restricted by the control pin formed on the protruding means, thereby preventing the table top from rotating arbitrarily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gas cylinder by the rotation lever getting caught on the leg of the desk user or being arbitrarily operated by an impact, thereby allowing the table top angle adjustment to be performed more stably by the desk user.

또한, 상기 돌출수단은 사용자가 상판의 회전을 위하여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통하여 돌출부재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하부의 제어핀이 조작레버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돌출부재가 상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동하여 상판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판에 거치된 책이나 노트북과 같은 물품이 돌출부재에 걸림되어 추락이 방지됨으로써 거치물의 추락에 따른 파손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상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과정에 돌출부재의 돌출이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생각을 못하더라도 자동으로 돌출되어 거치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means moves in a form in which the protruding member moves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o rotate the top plat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control pin is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lever and the protruding member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top plate, so that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op plate, an object such as a book or laptop placed on the top plate is caught on the protruding member and prevented from falling, thereby physically blocking damage to the placed object due to falling. 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of the protruding member is included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op plate, it automatically protrudes without the user thinking about it, and thus has the characteristic of preventing the placed object from fal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은 다리프레임과 상판이 제1연결브라켓과 제2연결브라켓으로 연결되고, 제2연결브라켓에 형성된 제1가스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이 일정각도로 기울여서 사용할 수 있어 책상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책상을 장기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허리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제2가스실린더에 의하여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신체구조에 알맞는 책상의 상판 높이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환경에 대응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desk with improved safety and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g frame and a table top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ng bracket and a second connecting bracket, and the table top can be tilted at a certain angl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as cylinder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bracket, thereby minimizing the back bending of the desk user, thereby preventing back disease that may occur when using the desk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n particular, since the height of the table top can be adjusted by the second gas cylinder, the desk table top height suitable for each user's different body structure can be provided, thereby enabling the desk to respond to various usage environments,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and marketabilit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다리프레임
11 : 캐스터 12 : 보조다리프레임
20 : 상판
21 : 돌출수단 22 : 조작레버
211 : 버튼 212 : 돌출부
213 : 삽입홈 214 : 관통공
215 : 케이스 216 : 제어핀
217 : 장홈 218 : 걸림턱
219 : 돌출부재 220 : 스프링
23 : 브라켓 24 : 삽입장공
30 : 연결브라켓
31 : 제1연결브라켓 32 : 제2연결브라켓
33 : 제1가스실린더 34 : 제2가스실린더
40 : 와이어
50 : 고정판
51 : 와이어유입홈 52 : 끼움공
53 : 안내돌기 54 : 가이드홈
55 : 볼트체결공
60 : 회동레버
61 : 파지홈 62 : 회전축
63 : 홈 64 : 와이어연결부
65 : 가이드접속편
10: Bridge Frame
11: Caster 12: Auxiliary leg frame
20 : Top plate
21: Protrusion means 22: Operating lever
211 : Button 212 : Protrusion
213 : Insertion groove 214 : Through hole
215 : Case 216 : Control pin
217: Janghom 218: Jaw
219: Protruding member 220: Spring
23: Bracket 24: Insert hole
30 : Connecting bracket
31: First connecting bracket 32: Second connecting bracket
33: 1st gas cylinder 34: 2nd gas cylinder
40 : Wire
50 : Fixed plate
51: Wire inlet groove 52: Fitting hole
53: Guide protrusion 54: Guide home
55 : Bolt fastener
60 : Rotation lever
61: Phage Home 62: Rotation Axis
63 : Home 64 : Wire connector
65: Guide Access

Claims (5)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은,
각형 또는 원형의 관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보조다리프레임(12)에 의하여 심플한 미관과 사용자의 걸림을 방지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다리프레임(10)과,
상면 일측에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재(219)가 형성된 돌출수단(21)이 삽입장공(24)에 끼움되어 형성되며 저면에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레버(22)가 형성되는 상판(20)과,
상기 다리프레임(10)과 상판(20)을 연결하며 다리프레임(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판(20)의 브라켓(23)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며 하부에 형성된 제2가스실린더(34)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연결브라켓(31)과, 상기 제1연결브라켓(31)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다리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판(20)의 브라켓(23)에 연결되며 일측에 제1가스실린더(34)가 형성되어 제1가스실린더(33)의 동작에 의하여 상판(20)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기울이는) 제2연결브라켓(32)으로 구성된 연결브라켓(30) 및,
상기 조작레버(22)와 제1, 2 가스실린더(33, 34)를 연결하는 와이어(4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상판(20)의 조작레버(22)는 돌출수단(21)의 동작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됨과 동시에 상판(20)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재(219)에 의하여 상판(20)거 거치된 물품의 추락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In a desk with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for improved safety,
The desk with the improved safety-enhanced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is
A leg frame (10)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tubular shape and configured with a simple appearance and a form that prevents the user from tripping by an auxiliary leg frame (12)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ground at the bottom,
A top plate (20) in which a protruding member (219) that protrudes upward by the user's moveme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is fitted into an insertion hole (24), and an operating lever (22) for adjusting the ang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 connecting bracket (30) comprising a first connecting bracket (31) that connects the leg frame (10) and the top plate (2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frame (10) and has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23) of the top plate (20) and moves the top plate (20)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a second gas cylinder (34)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bracket (32) that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racket (31) and has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g frame (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racket (23) of the top plate (20) and has the first gas cylinder (34) formed at one end to rotate (tilt) the top plate (20)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as cylinder (33), and
It includes a wire (40) connecting the above operating lever (22) and the first and second gas cylinders (33, 34).
Here, the operation lever (22) of the top plate (20)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protruding means (21), and at the same time, the falling of an item placed on the top plate (20) is prevented by the protruding member (219)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top plate (20), which is characterized by an improved safety feature of a table with a top plate angle adjustment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단(21)은,
상판(20)의 삽입장공(24)에 삽입되며 중앙부분에 걸림쇄기(2111)가 형성된 버튼(21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돌출부(212)를 갖는 삽입홈(213)이 일측에 관통공(214)과 연통되게 형성된 케이스(215)와,
상기 케이스(215)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부에 제어핀(216)과 일측에 걸림쇄기(2111)에 걸림되는 장홈(217)과 돌출부(212)에 걸림되는 걸림턱(218)이 형성된 돌출부재(219) 및,
상기 삽입홈(213)에 수용되며 상부에 돌출부재(219)가 밀착되어 돌출부재(219)를 상부측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In paragraph 1,
The above protruding means (21) is
A case (215) in which a button (211) is formed with a catch (2111)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24) of a top plate (20), and an insertion groove (213) having a protrusion (2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a through hole (214) on one side,
A protruding member (219)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215) and having a control pin (216) formed at the bottom, a groove (217) formed at one side to be caught by a catcher (2111) and a catch protrusion (218) formed at the protrusion (212), and
A desk with improved safety and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pring (220) that is accommodated in the above insertion groove (213) and provides elasticity to the upper side of the protruding member (219)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22)는,
상판(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55)과 일측에 와이어(40)가 안내되는 와이어유입홈(51)과 중앙부분에 끼움공(52)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며 중앙분분에 와이어(40)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64)가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판(5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62) 및 타측에 끼움공(52)을 관통하여 유입되는 제어핀(216)이 삽입되는 홈(63)이 일체로 형성된 회동레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In paragraph 1,
The above operating lever (22) is
A fixed plate (50)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20) and has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55), a wire inlet groove (51) through which a wire (40) is guided on one side, and a fitting hole (52) formed integrally in the central portion,
A desk with improved safety and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otation lever (60) that is formed integrally with a wire connection portion (64)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50) and has a wire (40)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a rotation shaft (62)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50) on one side, and a groove (63) into which a control pin (216) that penetrates the fitting hole (52) and is introduced on the other sid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0)은 안내돌기(53)가 형성된 가이드홈(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레버(60)는 가이드홈(54)에 삽입되고 안내돌기(53)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하는 가이드접속편(65)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회동레버(60)는 가이드접속편(65)이 안내돌기(53)을 감싸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홈(54)의 범위내에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fixed plate (50) further includes a guide groove (54) in which a guide projection (53) is formed,
The above-mentioned rotary lever (60) further includes a guide connecting piece (65)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54) and connect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guide projection (53).
Here, the rotation lever (60) is characterized by a desk having an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wherein the guide connecting piece (65) rotates within the range of the guide groove (54) while being connected by wrapping around the guide projection (5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60)는 일측에 사용자의 손이 끼움되는 파지홈(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상판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In the third paragraph,
A desk with improved safety and a table top angle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rotary lever (60) further includes a grip groove (61) on one side into which the user's hand fits.
KR1020240184507A 2024-12-12 2024-12-12 Desk with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Active KR102785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84507A KR102785198B1 (en) 2024-12-12 2024-12-12 Desk with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84507A KR102785198B1 (en) 2024-12-12 2024-12-12 Desk with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5198B1 true KR102785198B1 (en) 2025-03-21

Family

ID=9519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84507A Active KR102785198B1 (en) 2024-12-12 2024-12-12 Desk with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5198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20U (en) * 1989-06-29 1991-02-18
US20140048671A1 (en) * 2012-08-14 2014-02-20 Chi-Cheng Tsai Angle Inclining Structure for a Desk
KR101430895B1 (en) * 2014-03-18 2014-08-18 (주)제이와이 Angle adjusting structure of upper-board for desk
KR101528733B1 (en) * 2015-01-12 2015-06-15 (주)캠퍼스라인 The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KR101716098B1 (en) 2016-11-10 2017-03-14 주식회사 퍼맥스 Angle adjustor of upper-board for desk
KR20170055057A (en) * 2015-11-10 2017-05-19 주식회사 파세코 Angle Adjustor for Desk
KR20180037472A (en) * 2016-10-04 2018-04-12 김진용 Desk including book stand
KR101913665B1 (en) 2016-09-06 2018-12-28 권중안 Height adjustable apparatus and table using it
KR101987829B1 (en) * 2018-12-12 2019-06-12 (주)아모스아인스가구 Desk with adjustable angle and movement with improved structure
KR102473307B1 (en) 2021-04-21 2022-12-05 주식회사 대형 Top folding desk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20U (en) * 1989-06-29 1991-02-18
US20140048671A1 (en) * 2012-08-14 2014-02-20 Chi-Cheng Tsai Angle Inclining Structure for a Desk
KR101430895B1 (en) * 2014-03-18 2014-08-18 (주)제이와이 Angle adjusting structure of upper-board for desk
KR101528733B1 (en) * 2015-01-12 2015-06-15 (주)캠퍼스라인 The desk that can control angle of a desk board
KR20170055057A (en) * 2015-11-10 2017-05-19 주식회사 파세코 Angle Adjustor for Desk
KR101913665B1 (en) 2016-09-06 2018-12-28 권중안 Height adjustable apparatus and table using it
KR20180037472A (en) * 2016-10-04 2018-04-12 김진용 Desk including book stand
KR101716098B1 (en) 2016-11-10 2017-03-14 주식회사 퍼맥스 Angle adjustor of upper-board for desk
KR101987829B1 (en) * 2018-12-12 2019-06-12 (주)아모스아인스가구 Desk with adjustable angle and movement with improved structure
KR102473307B1 (en) 2021-04-21 2022-12-05 주식회사 대형 Top folding des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15720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27056A (en) Foldable chairs and foldable desks
US20070120034A1 (en) Xdeck laptop/book-holder
US11375788B2 (en) Luggage with support
US6715827B1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used in high chair for infants, toddlers, and small children
US20040083932A1 (en) Folding and tilting table
US8033038B2 (en) Ironing station
KR102037164B1 (en) Apparatus for link rotation type drawer for table and table apparatus including same
JP5177353B2 (en) Moving furniture, furniture with a top board and chairs
KR20170084994A (en) Ergonomic height-adjustable and angle-adjustable functional desk
KR102785198B1 (en) Desk with improved safety top angle adjustment
US7096527B2 (en) Bedspread holder
KR102614791B1 (en) Hybrid-furniture with multi-function
KR102061098B1 (en) Apparatus for folding type table
KR102473307B1 (en) Top folding desk
KR102026104B1 (en) Apparatus for driving blocking plate for table and table apparatus including same
JP3969271B2 (en) Table, desk leg equipment
KR200386295Y1 (en) A reading desk
KR100539466B1 (en) Folding table
JP5982151B2 (en) Furniture with folding table
US5660450A (en) Computer desk
KR200378221Y1 (en) A collapsible bed
KR102804038B1 (en) Single-person lecture table
JP3142992U (en) Desk and desk wagon
KR100369451B1 (en) Bed with storage area
KR200231430Y1 (en) A Studio C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1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