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5346B1 - Cake packaging vessel - Google Patents
Cake packaging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5346B1 KR102785346B1 KR1020220028332A KR20220028332A KR102785346B1 KR 102785346 B1 KR102785346 B1 KR 102785346B1 KR 1020220028332 A KR1020220028332 A KR 1020220028332A KR 20220028332 A KR20220028332 A KR 20220028332A KR 102785346 B1 KR102785346 B1 KR 1027853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ke
- packaging container
- outer box
- opening
- lid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5721 COVID-19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3 baked goods and baking mix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88—Plastic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는 케이크를 수용할 수 있는 외지함, 내간지 및 케이크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는 상기 케이크 외면을 둘러싸고, 상기 내간지는 제1면,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 및 제2면과 각각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는 뚫려 있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는 상기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상기 내간지 및 상기 케이크 고정구 간 결합 및 분리가 모두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ake packaging container includes an outer box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ke, an inner box, and a cake fixing member, wherein the cake fixing member surrounds an outer surface of the cake, the inner box includes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opposite the first surface, and a side surfac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ncludes a cake fixing member attachable/detachable portion, the cake fixing member attachable/detachable portion is open, and the cake fixing member attachable/detachable portion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ake fixing member, so that both coupling and detachment between the inner box and the cake fixing member are possible.
Description
유통 안전성 및 품질 안전성이 확보되고, 친환경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케이크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This relates to a cake packaging container that ensures distribution safety and quality safety and is excellent in eco-friendliness and economy.
일반적으로 기념일이나 행사 등에 케익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크는 케이크 포장 용기에 담겨 배송되는데, 최근 코로나 19 등의 전염병 창궐이 장기화되면서 자연스레 재택근무 및 비대면 문화가 확산 및 정착됨에 따라, 케이크 등의 베이커리 제품 또한 온라인 배송 판매가 급증하고 있고, 온라인 전용 케이크 제품 출시가 크게 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케이크 포장 용기를 보면 케이크를 단순히 플라스틱 케이스로 덮은 후 이를 종이박스 등에 담는 게 전부였다.Cakes are commonly used for anniversaries and events. These cakes are delivered in cake packaging containers. Recently, as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has become prolonged, the work-from-home and non-face-to-face culture has naturally spread and become established, so bakery products such as cakes are also rapidly increasing in online delivery sales, and the launch of online-only cake products is also increasing significantly. However, most cake packaging containers are simply covering the cake with a plastic case and putting it in a paper box.
플라스틱은 그 특성 상 냉동 환경에서 깨짐성이 추약하고, 플라스틱 용기와 케이크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외지함의 높이 간 유격이 없어 포장된 케이크 유통 중 용기에 직접적인 충격이 발생하여, 케이크를 덮고 있는 플라스틱 케이스가 깨짐으로써, 플라스틱 조각이 케이크 위에 떨어진 채로 배송이 되는 사고가 드물지 않게 발송하고 있다.Plastic is fragile in a frozen environment due to its nature, and there is no cleara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plastic container and the outer box that makes up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direct impact occurs to the container during distribution of the packaged cake, causing the plastic case covering the cake to break, resulting in pieces of plastic falling on the cake during delivery.
특히 코로나 19 등으로 인해 케이크 온라인 배송 사건이 급격이 늘면서, 실제로 플라스틱 조각이 케이크 내에 삽입되어 있음에도 이를 모르고 케이크를 먹다가 상처가 나, 소비자들로부터 항의를 받는 제조사들이 생각보다 많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는 자칫 잘못하면 위급한 사상사고로 연결될 수도 있어서 이를 마냥 두고만 볼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다.In particular, as the number of online cake delivery incidents has increased rapidly due to COVID-19, there are more manufacturers than expected who are receiving complaints from consumers who got hurt while eating cakes without knowing that plastic pieces were actually inserted inside the cakes. These accidents can easily lead to serious injuries, so we cannot just ignore this problem.
그리고, 코로나 19 등의 전염병이 없어진다 하여도 이미 보편화된 비대면 문화로 이미 확대된 온라인 배송 시장으로 인해 케이크의 소규모 내지 대규모 배송 기술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And, even i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disappear, interest in small-scale and large-scale cake delivery technology is expected to steadily increase due to the already expanded online delivery market with the already widespread non-face-to-face culture.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면체형 종이 케이크 포장 상자를 케이크 포장 용기로 사용할 경우, 종이 케이크 포장 상자를 다단으로 적재하는 것 자체는 용이하나, 하단에 위치한 케이크 포장 상자가 하중을 버티지 못하고 눌리거나 찌그러질 우려가 있고, 이 경우, 내부에 든 케이크를 덮는 플라스틱 등이 또한 눌려 손상될(깨질) 우려가 있다. 설사 깨지지 않더라도 케이크의 모양이 변형될 우려가 크며, 상기 플라스틱 덮개 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더더욱 케이크의 모양 보존은 기대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However, when commonly used hexagonal paper cake packaging boxes are used as cake packaging containers, it is easy to stack the paper cake packaging boxes in multiple tiers, but there is a risk that the cake packaging box located at the bottom may not be able to withstand the load and may be pressed or crushed, and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that the plastic covering the cake inside may also be pressed and damaged (broken). Even if it does not break,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shape of the cake may be deformed, and if the plastic cover, etc. is not used, it becomes even more difficult to expect the shape of the cake to be preserved.
또한, 운송 및 배송 중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해 케이크 포장 상자는 흔들릴 수밖에 없으므로, 케이크 포장 상자 내 케이크를 온전한 모양으로 보존하면서 소비자에게까지 배송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In addition, since the cake packaging box is bound to shake due to the shaking of the vehicle during transportation and delivery, it is never easy to deliver the cake inside the cake packaging box to the consumer while preserving its shape intact.
일 구현예는 케이크 포장 용기로서, 다단으로 쌓거나 흔들림이 있더라도 품질 안정성을 매우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케이크 포장 용기만으로도 케이크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으며, 소비자들로 하여금 케이크의 훼손없이 케이크를 포장 용기로부터 쉽게 넣고 빼는 것이 가능한 케이크 포장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ich can ensure excellent quality stability even when stacked in multiple tiers or shaken, and furthermore, can increase the marketability of a cake with just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and provides a cake packaging container that allows consumers to easily put cakes in and take them out of the packaging container without damaging the cake.
일 구현예에 따르면, 케이크를 수용할 수 있는 외지함(1), 내간지(2) 및 케이크 고정구(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는 상기 케이크 외면을 둘러싸고, 상기 내간지는 제1면(22),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21) 및 상기 제1면 및 제2면과 각각 연결된 측면(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는 뚫려 있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는 상기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상기 내간지 및 상기 케이크 고정구 간 결합 및 분리가 모두 가능한, 케이크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ake packaging container is provided, which includes an outer box (1)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ke, an inner box (2), and a cake fixing member (3), wherein the cake fixing member surrounds an outer surface of the cake, the inner box includes a first surface (22), a second surface (21)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side surface (23)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ncludes a cake fixing member attaching/detaching portion (24), wherein the cake fixing member attaching/detaching portion is open, and the cake fixing member attaching/detaching portion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ake fixing member, so that both coupling and detachment between the inner box and the cake fixing member are possible.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는 상기 외지함에 수용되는 케이크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The height of the above cake fixture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ake accommodated in the above outer box.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는 상기 외지함의 높이와 같거나 보다 낮을 수 있다.The height of the above cake fixture may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box.
상기 내간지의 측면 높이는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The side height of the above inner wall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ake fixture.
상기 외지함의 밑면(16)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A)은 제1 개폐부(1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양 끝단이 모두 상기 외지함의 옆면 양쪽에 각각 삽입 가능할 수 있다.Among the sides forming the bottom surface (16) of the above outer box, one side (A) is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11), and both ends of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can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sides of the above outer box.
상기 외지함의 옆면(17)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B)은 뚜껑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부(15)는 덮개부(13), 상기 덮개부 양 옆에 위치하는 내측부(14) 및 제2 개폐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폐부는 양 끝단이 모두 상기 외지함의 옆면 양쪽에 각각 삽입 가능할 수 있다.Among the sides forming the side surface (17) of the outer box, one side (B) is connected to the lid portion, and the lid portion (15) includes a lid portion (13), an inner portion (14)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id portion, and a second opening/closing portion (12), and both ends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sides of the outer box.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지함 내부로 삽입 가능할 수 있다.The above inner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box.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개폐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abov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may have a shape that surround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상기 제1면은 전면(全面)이 막혀 있을 수 있다.The above first side may be completely blocked.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외지함의 밑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The area of the above first surface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x.
상기 외지함의 옆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은 뚜껑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부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 양 옆에 위치하는 내측부 및 제2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덮개부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One of the sides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of the above outer box is connected to a lid portion, and the lid portion includes a lid portion, an inner portion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lid portion, and a second opening/closing portion, and the area of the first side may be the same as the area of the lid portion.
상기 제1면의 모양은 상기 덮개부의 모양과 동일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above first side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above cover part.
상기 케이크 포장 용기는 상기 외지함 내부에 케이크 받침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ake packaging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cake stand (4) inside the outer box.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고정판(5)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ke stand may include a fixed plate (5) having a high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상기 고정판은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면적은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The above fixed plate is position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but the area of the above fixed plate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상기 고정판은 개구 패턴(51)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xed plate may include an opening pattern (51).
상기 내간지의 일 측면은 상기 외지함의 옆면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One side of the above inner wall may be connected to a side of the above outer wall.
상기 외지함, 내간지 및 케이크 고정구는 모두 종이일 수 있다.The above outer box, inner box and cake holder may all be made of paper.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종이일 수 있다.The above cake stand can be made of paper.
상기 고정판은 종이일 수 있다.The above fixed plate may be made of paper.
상기 케이크 고정구는 케이크 띠지일 수 있다.The above cake fixture may be a cake band.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의 구조로 인해 부자재가 단순화되어 케이크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포장 용기를 각각 맞춤형으로 개발할 필요가 없으며, 내간지의 제1면에 브랜드의 소개나 제품에 대한 스토리텔링 또는 레시피 등을 기재할 수 있기에 케이크 포장 용기만으로도 제품에 대한 상품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materials are simplified, so there is no need to develop customized packaging containers for each size or shape of the cake, and since the front page of the inner magazine can contain an introduction of the brand, storytelling about the product, or recipes, the market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greatly enhanced with just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는 또한 그 구조로 인해 케이크를 넣고 빼는 작업이 손쉬워(원터치 타입),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structure that makes it easy to put in and take out cakes (one-touch type),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for consumers.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는 다단으로 적재되거나 운송 중 심한 흔들림이 있더라도 용기 자체의 구조적 강성의 보강에 의해 외형적인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바, 안정적인 케이크 배송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ke packaging container can minimize external deformation by reinforc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ntainer itself even when stacked in multiple layers or subjected to severe shaking during transport, thereby enabling stable delivery of cakes.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모두 종이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케이크에 플라스틱이 포함되는 사고(플라스틱 용기 깨짐에 의한 이물 클레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최근 플라스틱 사용 규제에 따른 법규에도 부합하고, 또한 친환경적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ake packaging container can be composed entirely of paper without using plastic, in which case accidents involving plastic in cakes (foreign substance claims due to plastic container breakag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is complies with recent laws and regulations on plastic use, and is also environmentally friendly.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독립적으로 종래 케이크 포장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독립적으로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내간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내간지에서 제1면이 없는 내간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외지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외지함 내부에 고정판을 포함하는 케이크 받침대 및 케이크 고정구가 위치한 케이크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에 내간지가 결합된 케이크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내간지를 구성하는 제1면에 브랜드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의 외지함 뚜껑부를 열고, 내간지를 제거한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순차적으로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를 열어 내부의 케이크를 케이크 포장 용기로부터 분리해내는 작업을 차례로(도 15 → 도 16 → 도 17 → 도 18 → 도 19 → 도 20 → 도 21)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s 1 to 3 are photographs each independently showing a conventional cake packaging container.
FIGS. 4 and 5 are drawings each independently showing an inner sheet constituting a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an inner sheet without a first side in an inner sheet forming a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S. 7 to 10 are drawings each independently showing an outer box constituting a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rawing showing a cak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cake stand and a cake fixing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outer box.
Fig. 12 is a drawing showing a cake packaging container with an inner paper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ke fixture of Fig. 11.
Figure 13 is a drawing showing that the first side of the inner cover of Figure 12 can tell a story about the brand.
Figure 14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opening the outer lid and removing the inner paper.
FIGS. 15 to 21 are drawings showing sequentially (FIG. 15 → FIG. 16 → FIG. 17 → FIG. 18 → FIG. 19 → FIG. 20 → FIG. 21) the operation of opening a cake packaging container and separating the cake inside from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implementation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implementation examples described herei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enlarged and shown. Similar parts are designated by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or plate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is said to be "directly on"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between.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는 케이크를 수용할 수 있는 외지함(1), 내간지(2) 및 케이크 고정구(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는 상기 케이크 외면을 둘러싸고, 상기 내간지는 제1면(22),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21) 및 상기 제1면 및 제2면과 각각 연결된 측면(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는 뚫려 있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는 상기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상기 내간지 및 상기 케이크 고정구 간 결합 및 분리가 모두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ake packaging container includes an outer box (1)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ke, an inner box (2), and a cake fixing member (3), wherein the cake fixing member surrounds an outer surface of the cake, the inner box includes a first surface (22), a second surface (21)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side surface (23)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ncludes a cake fixing member attachment/detachment portion (24), the cake fixing member attachment/detachment portion is open, and the cake fixing member attachment/detachment portion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ake fixing member, so that both coupling and detachment between the inner box and the cake fixing member are possible.
종래에는 상기 내간지가 전혀 없었기에, 케이크의 운반 중 필연적으로 품질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고, 설사 케이크가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운반된다 하여도 케이크 포장 용기로부터 케이크의 모양 훼손없이 케이크를 분리해내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또한, 내간지를 대신하여 플라스틱 용기로 케이크를 덮어 케이크를 운반하기도 하였는데, 케이크 운반 시에는 케이크가 냉장/냉동 상태에 놓이게 되는 특성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이 쉽게 깨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the past, since there was no such inner liner at all, quality and safety issues inevitably occurred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ake, and even if the cake was transported while being preserved in its original form, it was very difficult to separate the cake from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without damaging its shape. In addition, instead of the inner liner, the cake was sometimes transported by covering it with a plastic container, b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ake being placed in a refrigerated/frozen state when transporting i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lastic could easily break.
그러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전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며, 포장 품질안전성(냉장/냉동 환경에서 깨짐성이 취약한 플라스틱 용기의 배송 중 깨짐으로 인한 이물 클레임 및 외지함의 찌그러짐으로 인한 케이크 모양 훼손 등) 뿐만 아니라, 친환경성(플라스틱 불요), 생산성/경제성(부자재 단순화 및 제품 규격별 용기 개발 불요), 상품성(내간지에 브랜드 등의 스토리텔링 등이 가능) 및 편의성(케이크의 모양 훼손없이 케이크를 넣고 빼는 작업이 쉬움)까지 갖추고 있는, 매우 혁신적인 케이크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However,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solve all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ecause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very innovative cake packaging container that not only ensures packaging quality and safety (foreign substance claims due to breakage during delivery of a plastic container that is prone to breakage in a refrigerated/frozen environment, damage to the shape of the cake due to crushing of the outer box, etc.), but also is environmentally friendly (no plastic required), productive/economical (simplification of auxiliary materials and no need to develop containers according to product specifications), marketability (brand storytelling, etc. are possible on the inner paper), and convenience (easy to put in and take out the cake without damaging the shape of the cake).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상기 내간지는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제2면에 대향하는 제1면을 가지고 있기에, 케이크 고정구로 둘러싸여 있는 케이크를 보다 완벽하게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케이크를 보다 견고하게 감싸서 케이크를 흔들림 등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제1면을 통해 상품성 제고를 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ner paper constituting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a first side facing a second side including a cake fixing attachment/detachment portion, the cake surrounded by the cake fixing attachment can be more completely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cake can be wrapped more firmly to protect the cake from shaking, etc., and, as described below, the marketabilit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first side.
예컨대,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는 상기 외지함에 수용되는 케이크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간지가 상기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를 통해 상기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와 결합했을 때, 내간지에 의한 케이크의 모양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cake fixture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ake accommodated in the outer box. In this case, when the inner paper is combin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cake fixture through the cake fixture detachable portion, the shape of the ca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inner paper.
예컨대,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는 상기 외지함의 높이와 같거나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가 상기 외지함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케이크 포장 상자를 닫았을 때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 및 상기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에 결합된 내간지가 구부러지거나 모양이 변형됨으로 인해 내부의 케이크 모양이 크게 훼손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cake fixture may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box. If the height of the cake fixtur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box, when the cake packaging box is closed, the shape of the cake inside may be significantly damaged due to the upper part of the cake fixture and the inner paper combin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cake fixture being bent or deformed.
예컨대, 상기 내간지의 측면 높이는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내간지의 측면 높이가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케이크 포장 상자를 닫았을 때 상기 내간지의 높이로 인해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 및 내간지가 구부러지거나 모양이 변형됨으로 인해 내부의 케이크 모양이 크게 훼손될 수 있고, 내간지를 구성하는 제2면이 상기 외지함 밑면(바닥면) 또는 후술하는 케이크 받침대에 위치하게 되어 내간지가 케이크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크 고정구를 고정하는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de height of the inner sheet may be the same as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ake holder. If the side height of the inner shee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ake holder, when the cake packaging box is closed, the shape of the cake inside may be significantly damaged due to the upper part of the cake holder and the inner sheet being bent or deformed due to the height of the inner sheet, and the second surface constituting the inner sheet may b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x or the cake stand described below, so that the inner sheet may not properly perform its role of holding the cake holder surrounding the cake.
예컨대, 상기 외지함의 밑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은 제1 개폐부(1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양 끝단이 모두 상기 외지함의 옆면 양쪽에 각각 삽입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지함의 옆면, 예컨대 상기 제1 개폐부와 연결된 한 변과 마주보고 있는, 밑면을 구성하는 다른 한 변을 포함하는 옆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은 뚜껑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부(15)는 덮개부(13), 상기 덮개부 양 옆에 위치하는 내측부(14) 및 제2 개폐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폐부는 양 끝단이 모두 상기 외지함의 옆면 양쪽에 각각 삽입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지함 내부로 삽입 (가능)할 수 있고,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개폐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가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one of the sides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x is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closing portion (11), and both ends of the first opening/closing portion can be inserted (possibly) into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box. Furthermore, one of the sides forming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box, for example, including the other side forming the bottom surface and facing the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clos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id portion, and the lid portion (15) includes the lid portion (13), an inner portion (14)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lid portion, and a second opening/closing portion (12), and both ends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portion can be inserted (possibly) into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box. In addition, the inner portion can be inserted (possibly)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box,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portion can have a form that surrounds the first opening/closing portion. This structure can greatly increase consumer convenience by enabling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one touch.
예컨대, 상기 제1면은 전면(全面)이 막혀 있는, 즉 뚫려 있는 부분이 없는 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것처럼 케이크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여 이물질 등이 삽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간지가 상기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 견고한 케이크 보호가 가능하고, 무엇보다 상기 제1면에 그림이나 글씨 또는 최근 기술발달에 따른 얇은 디스플레이 등을 적용함으로써 여러가지 광고 효과를 꾀할 수 있는 바, 종래 케이크 포장 용기가 가지던 기능성(단순 포장 기능)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ide may be completely closed, that is, may be a side without an open portion. Through this,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 the cake be more completely block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preventing the insertion of foreign substances, etc. in advance, but also the inner paper can be more firmly bo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ke holder, enabling sturdy cake protection, and above all, by applying a picture or text, or a thin display according to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etc. to the first side, various advertising effects can be achieved, and thus the functionality (simple packaging function) of conventional cake packaging containers can be greatly expanded.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면이 없는 내간지를 사용할 경우 케이크 고정구를 견고하게 붙들지 못해 흔들림에 의한 케이크의 훼손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운송 중 내간지가 케이크 고정구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케이크 고정구를 훼손시키거나 그 모양을 변형시킴으로 인해 간접적으로 케이크 고정구 내부의 케이크 모양 훼손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면이 없을 경우, 내간지 자체의 내구성이 크게 떨어져 쉽게 찢어짐으로써, 내간지가 없는 경우보다 오히려 못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For example, when using an inner sheet without the first side as in Fig. 6, it is difficult to prevent damage to the cake due to shaking because the cake fixture cannot be firmly held, and the inner sheet may move up and down the cake fixture during transport, damaging the cake fixture or deforming its shape, which may indirectly have a great impact on damage to the shape of the cake inside the cake fixture.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first side, the durability of the inner sheet itself is greatly reduced, and it may tear easily, resulting in a situation that is worse than when there is no inner sheet.
예컨대,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외지함의 밑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면의 면적이 상기 외지함 밑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클 경우에는 상기 내간지가 상기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어려울 수 있다.For example, the area of the first side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x. If the area of the first sid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x, it may be difficult for the inner paper to be firm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ke fixture.
예컨대, 상기 외지함의 옆면, 예컨대 상기 제1 개폐부와 연결된 한 변과 마주보고 있는, 밑면을 구성하는 다른 한 변을 포함하는 옆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은 뚜껑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부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 양 옆에 위치하는 내측부 및 제2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덮개부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간지가 상기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f the sides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for example,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forming the bottom, facing the side constituting the outer box, is connected to the lid portion, and the lid portion includes the lid portion, an inner portion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lid portion,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he area of the first surface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lid portion. In this case, the inner paper may be more firm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ke fixture.
예컨대, 상기 내간지의 일 측면은 상기 외지함의 옆면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간지를 구성하는 일 측면의 일부분이 상기 외지함의 옆면, 즉 케이크 고정구와 대면하고 있는 옆면의 상단부와 결합(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내간지가 케이크 포장 용기에 일체화된 형태의 케이크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one side of the inner paper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outer paper box. For example, a part of one side forming the inner paper may be joine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ide of the outer paper box, that is, the side facing the cake fixing member. In this case, a cake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the inner paper is integrated into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can be provided.
예컨대, 상기 외지함, 내간지 및 케이크 고정구는 모두 종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는 일체 종이로만 구성되기에 매우 친환경적이며, 이는 최근의 플라스틱 사용 규제 법규에도 부합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outer box, inner box, and cake holder may all be made of paper. In this case,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made entirely of paper, making it very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also complies with recent plastic usage regulation laws.
예컨대, 상기 케이크 고정구는 케이크 띠지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ake holder may be a cake band.
예컨대, 상기 케이크 포장 용기는 상기 외지함 내부에 케이크 받침대(4) 및/또는 고정판(5)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cake stand (4) and/or a fixing plate (5) inside the outer box.
예컨대, 상기 케이크 받침대 및 고정판은 모두 종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용기는 일체 종이로만 구성되기에 매우 친환경적이며, 이는 최근의 플라스틱 사용 규제 법규에도 부합하는 것이다.For example, both the cake stand and the fixing plate may be made of paper. In this case, the cak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made entirely of paper, making it very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also complies with recent plastic usage regulation laws.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편평한 상부면을 가지며 케이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above cake stand has a flat upper surface and can support the load of the cake. The above cake stand can have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such as triangles, squares, hexagons, circles, ovals, etc.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놓여 진 케이크 하부면이 잔류하지 않도록 비교적 평활한, 예를 들어 다소 미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케이크 하부면의 잔류를 막기 위하여 적어도 상부면에 케이크과의 접착력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cake stand may have a relatively smooth, for example somewhat slippery, surfac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ake placed on it does not remain. For example, the cake stand may have a coating layer formed on at least the upper surface thereof made of a material with low adhesion to the cake so as to prev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cake from remaining.
상기 케이크 받침대로는 공지된 케이크 받침대를 활용할 수도 있다.As the above cake stand, any known cake stand can be used.
상기 고정판은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에 위치되되,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고정판은 비교적 평활하고 다소 미끄러운 상기 케이크 받침대 표면에 비해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므로, 케이크가 배송 중 미끄러지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다.The above fixed plat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and may have a high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Since the fixed plate has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compared to the relatively smooth and somewhat slippery surface of the cake stand, the cake can be fixed so that it does not slip during delivery and can be maintained in position.
상기 고정판은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되, 고정판의 면적은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을 모두 고정판으로 덮는 것보다 상기 케이크 받침대에 잔류하는 케익을 줄일 수 있다.The above fixing plate is position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but the area of the fixing plate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Accordingly, cake remaining on the cake stand can be reduced compared to cov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with the fixing plate.
상기 고정판은 소정의 개구 패턴(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을 이용하면 고정판의 케이크 위치 고정 기능을 발현하면서도, 고정판과 케이크 하부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상기 케이크 받침대에 잔류하는 케이크를 더욱 줄일 수 있다.The above fixed plate may include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51). By utilizing the above opening pattern, the cake position fixing function of the fixed plate can be realized while reduc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lower part of the cake,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cake remaining on the cake stand.
상기 개구 패턴의 형상, 수량 등은 상기 고정판의 구체적인 형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판이 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 패턴 또한 상기 고정판보다 작은 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quantity, etc. of the above opening pattern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shape of the above fixed plate. For example, the above fixed plate may be formed in a star shape, and the above opening pattern may also be formed in a star shape smaller than the above fixed plate.
또는 상기 고정판이 물결모양의 모서리를 갖는 팔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 패턴은 사각형, 작은 원, 큰 원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xed plate may be formed in an octagonal shape with wavy edges, and the opening patter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a small circle, or a large circle.
상기 고정판의 구체적인 형상과 개구 패턴의 형상, 수량 등은 상기 고정판의 케이크 위치 고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구매자의 취향이나 심미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The specific shape of the above fixed plate, the shape of the opening pattern, the quantity, etc.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fixed plate can perform the function of fixing the cake position, and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aste or aesthetics of the purchaser, for examp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외지함
11: 제1 개폐부
12: 제2 개폐부
13: 덮개부
14: 내측부
15: 뚜껑부
16: 외지함의 밑면
17: 외지함의 옆면
2: 내간지
21: 제2면
22: 제1면
23: 측면
24: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
3: 케이크 고정구
4: 케이크 받침대
5: 고정판
51: 개구 패턴
A: 제1 개폐부와 연결된, 외지함의 밑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
B: 뚜껑부와 연결된, 외지함의 옆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1: Foreign
11: 1st opening
12: Second opening
13: Cover
14: Medial side
15: Lid
16: Bottom of the outer box
17: Side of the outer space
2: My inner self
21: Page 2
22: Page 1
23: Side
24: Cake fixing attachment/detachment part
3: Cake holder
4: Cake Stand
5: Fixed plate
51: Aperture pattern
A: One of the edges forming the bottom of the outer box,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B: One of the edges forming the side of the outer box, connected to the lid
Claims (20)
상기 외지함, 내간지 및 케이크 고정구는 모두 종이이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는 상기 케이크 외면을 둘러싸고,
상기 내간지는 전면(全面)이 막혀 있는 제1면,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 및 제2면과 각각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은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는 뚫려 있고,
상기 케이크 고정구 탈부착부는 상기 케이크 고정구 상단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상기 내간지 및 상기 케이크 고정구 간 결합 및 분리가 모두 가능하고,
상기 외지함의 밑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은 제1 개폐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양 끝단이 모두 상기 외지함의 옆면 양쪽에 각각 삽입 가능하고,
상기 외지함의 옆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은 뚜껑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부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 양 옆에 위치하는 내측부 및 제2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폐부는 양 끝단이 모두 상기 외지함의 옆면 양쪽에 각각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개폐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외지함의 옆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한 변은 뚜껑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부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 양 옆에 위치하는 내측부 및 제2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덮개부의 면적과 동일하고,
상기 제1면의 면적은 상기 외지함의 밑면의 면적보다 작은, 케이크 포장 용기.
Includes an outer box, an inner box and a cake holder to accommodate the cake;
The above outer box, inner box and cake holder are all made of paper.
The above cake fixture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cake,
The above inner wall includes a first side whose entire surface is blocked, a second side facing the first side, and side surfac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d the second side includes a cake fixing attachment/detachment portion.
The above cake fixing attachment/detachment part is open,
The above cake fixing attachment/detachment part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cake fixing part, so that both combination and separation between the inner paper and the cake fixing part are possible.
One of the sides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x is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section, and both ends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section can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sides of the outer box.
One of the sides forming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box is connected to the lid portion, and the lid portion includes the lid portion, an inner port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id portion,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are insertable into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box,
The above second opening has a shape that surrounds the above first opening,
One of the sides forming the side of the outer box is connected to the lid portion, and the lid portion includes a lid portion, an inner port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id portion,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The area of the above first side is equal to the area of the above cover,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area of the first side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outer box.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는 상기 외지함에 수용되는 케이크의 높이보다 높은, 케이크 포장 용기.
In paragraph 1,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height of the cake holder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ake accommodated in the outer box.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는 상기 외지함의 높이와 같거나 보다 낮은, 케이크 포장 용기.
In paragraph 2,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height of the cake fixing member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box.
상기 내간지의 측면 높이는 상기 케이크 고정구의 높이보다 낮은, 케이크 포장 용기.
In paragraph 3,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side height of the inner wall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ake holder.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지함 내부로 삽입 가능한, 케이크 포장 용기.
In paragraph 1,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inner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box.
상기 제1면의 모양은 상기 덮개부의 모양과 동일한, 케이크 포장 용기.
In paragraph 1,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shape of the first side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cover.
상기 케이크 포장 용기는 상기 외지함 내부에 케이크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케이크 포장 용기.
In paragraph 1,
A cake packaging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cake stand inside the outer box.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케이크 포장 용기.
In Article 13,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cake stand includes a fixed plate having a high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상기 고정판은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면적은 상기 케이크 받침대 상부면 면적보다 작은, 케이크 포장 용기.
In Article 14,
The above fixed plate is position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area of the above fixed plate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stand.
상기 고정판은 개구 패턴을 포함하는, 케이크 포장 용기.
In Article 14,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above fixed plate includes an opening pattern.
상기 내간지의 일 측면은 상기 외지함의 옆면과 연결되어 있는, 케이크 포장 용기.
In paragraph 1,
A cak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one side of the inner paper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outer paper.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종이인, 케이크 포장 용기.
In Article 13,
The above cake stand is a paper cake packaging container.
상기 케이크 고정구는 케이크 띠지인, 케이크 포장 용기.
In paragraph 1,
The above cake holder is a cake holder, a cake packaging contain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28332A KR102785346B1 (en) | 2022-03-04 | 2022-03-04 | Cake packaging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28332A KR102785346B1 (en) | 2022-03-04 | 2022-03-04 | Cake packaging vesse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31401A KR20230131401A (en) | 2023-09-13 |
| KR102785346B1 true KR102785346B1 (en) | 2025-03-21 |
Family
ID=880206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28332A Active KR102785346B1 (en) | 2022-03-04 | 2022-03-04 | Cake packaging vesse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85346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322629A (en) * | 2000-05-12 | 2001-11-20 | Mic Brain Center:Kk | Package of easily damaged goods such as cake |
| KR200340376Y1 (en) * | 2003-10-23 | 2004-01-31 | 한중제약주식회사 | Packing box for vessel |
| KR200376338Y1 (en) * | 2004-11-17 | 2005-03-09 | 김중배 | Seaweed wrapping box |
| JP2007145389A (en) * | 2005-11-30 | 2007-06-14 | Yanai Shiko Kk | Assembling paper carton |
| KR102122581B1 (en) * | 2019-04-11 | 2020-06-15 |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 Cake packaging vessel |
-
2022
- 2022-03-04 KR KR1020220028332A patent/KR1027853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322629A (en) * | 2000-05-12 | 2001-11-20 | Mic Brain Center:Kk | Package of easily damaged goods such as cake |
| KR200340376Y1 (en) * | 2003-10-23 | 2004-01-31 | 한중제약주식회사 | Packing box for vessel |
| KR200376338Y1 (en) * | 2004-11-17 | 2005-03-09 | 김중배 | Seaweed wrapping box |
| JP2007145389A (en) * | 2005-11-30 | 2007-06-14 | Yanai Shiko Kk | Assembling paper carton |
| KR102122581B1 (en) * | 2019-04-11 | 2020-06-15 |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 Cake packaging vesse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31401A (en) | 2023-09-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296120B1 (en) | Multiple pastry box | |
| RU2494024C1 (en) | Dismountable packaging system for demonstration of containers | |
| KR200492642Y1 (en) | Package box and goods dispenser | |
| US20100078444A1 (en) | Compressed tissue product | |
| US7303115B1 (en) | Cupcake crate | |
| US20110180446A1 (en) |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 transport | |
| RU2401233C2 (en) | Method of packing edible products | |
| US5741535A (en) | Fragile food product package | |
| US20190218010A1 (en) | Packaging system and method | |
| US12151866B2 (en) | Packaging system for distribution, storing and displaying fragile items | |
| EP1281622B1 (en) | Packaging body of semirigid material for storing and displaying goods | |
| KR102785346B1 (en) | Cake packaging vessel | |
| JP2001322629A (en) | Package of easily damaged goods such as cake | |
| US20080283443A1 (en) | Display pack and packaging assembly | |
| KR20100003634U (en) | Cookie box | |
| US20070007158A1 (en) | Packaging f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ducts packed in individual packagings | |
| US5984103A (en) | Protective packaging for pagers and the like | |
| WO2013144635A2 (en) | A container and method of packaging goods | |
| KR100859816B1 (en) | Delivery Pizza Supports | |
| JP6090677B1 (en) | Lunch box | |
| US7823732B2 (en) | Storage and display carton with multiple display orientations | |
| EP0841253A2 (en) | Packaging box | |
| JP2004217270A (en) | Packaging container for confectionery | |
| KR102152418B1 (en) | Buffer vessel for packaged food | |
| US20180029743A1 (en) | Egg packag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