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5619B1 -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5619B1
KR102785619B1 KR1020190031406A KR20190031406A KR102785619B1 KR 102785619 B1 KR102785619 B1 KR 102785619B1 KR 1020190031406 A KR1020190031406 A KR 1020190031406A KR 20190031406 A KR20190031406 A KR 20190031406A KR 102785619 B1 KR102785619 B1 KR 102785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istance
processor
positio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558A (ko
Inventor
장종훈
강두석
김현철
양이
윤세종
강문석
권은지
남명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5619B1/ko
Priority to EP19919939.9A priority patent/EP3903529B1/en
Priority to PCT/KR2019/015828 priority patent/WO2020189875A1/en
Priority to US16/721,276 priority patent/US11399372B2/en
Publication of KR2020011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56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03Transmission of data between radar, sonar or lidar systems and remote stations
    • G01S7/006Transmission of data between radar, sonar or lidar systems and remote stations using shared front-end circuitry, e.g. antenn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n unwanted signal, e.g. interference or idl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와 통신 방식이 다른 제 2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세션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세션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제 1 주기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측위 통신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및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거리 및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A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periodic positioning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측위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주기적으로 깨어나서(wake up), 거리 측정을 위한 측위 신호(예: beacon)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항상 깨어있거나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측위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지정된 주기에 기반하여 측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위 통신은, 무선 통신 채널(또는, 세션(session))이 종료되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측위 통신의 대상인 외부 전자 장치가 주변에 없음에도 측위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류 소모 및/또는 측위의 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지정된 주기로 측위 통신을 수행할 때,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빠르게 좁혀지는 경우, 측정된 거리의 갱신이 늦어지고 데이터 지연(latency)이 길어져서 측위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 및 이에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전류 소모량을 줄이고 측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소비 전력이 적고 인식 거리가 긴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측위 통신(예: UWB(ultra wide band) 통신)의 활성화를 위한 트리거(trigger)로 사용함으로써 전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와 통신 방식이 다른 제 2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세션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세션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제 1 주기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측위 통신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및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거리 및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UWB 통신 회로; 상기 UWB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UWB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주기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측위 통신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및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거리 및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류 소모량을 줄이고 측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측위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 및 안테나 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프로세서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7a, 7b 및 도 7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차량 간의 거리의 변화 추세에 따른 측위 통신의 동적 주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프로세서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프로세서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BLE(Bluetooth low energy), UWB(ultra wide band),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기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및 안테나 모듈(197)에 대한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BLE 통신 회로(210), UWB 통신 회로(220), NFC 통신 회로(230), 또는 WiFi 통신 회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안테나 모듈(197)은 BLE 통신 회로(210)와 연결된 BLE 안테나(250), UWB 통신 회로(220)와 연결된 UWB 안테나(260), NFC 통신 회로(230)와 연결된 NFC 안테나(270), 및 WiFi 통신 회로(240)와 연결된 WiFi 안테나(280)를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BLE 통신 회로(210), UWB 통신 회로(220), NFC 통신 회로(230), 또는 WiFi 통신 회로(24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BLE 통신 회로(21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2))와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BLE 통신에 사용되도록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BLE 통신 채널(또는, BLE 세션(session))의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 BLE 통신 회로(210)는 BLE 통신 채널을 통한 외부 전자 장치와의 BLE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BLE 통신 회로(210)는, 송신 시에,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되어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BLE 대역의 RF 신호로 변환하여 BLE 안테나(25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BLE 통신 회로(210)는, 수신 시에, BLE 대역(예: 약 2.4 GHz)의 RF 신호를 BLE 안테나(250)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RF 신호를 기저대역(예: 수MHz 이하)의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UWB 통신 회로(22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2))와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UWB 통신에 사용되도록 지정된 주파수 대역(예: 약 3.1~10.6GHz)에 대응하는 UWB 통신 채널(또는, UWB 세션(session))의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 UWB 통신 회로(220)는 UWB 통신 채널을 통한 외부 전자 장치와의 UWB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UWB 통신 회로(220)는, 송신 시에,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되어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UWB 대역의 RF 신호로 변환하여 UWB 안테나(26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UWB 통신 회로(220)는, 수신 시에, UWB 대역의 RF 신호를 UWB 안테나(260)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무선 통신 모듈(192)은 UWB 안테나(26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서 UWB 대역의 RF 신호를 걸러 UWB 통신 회로(220)로 전달하는 필터(예: UWB 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UWB 안테나(260)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안테나(260)는 RF 신호 송수신용 제 1 안테나와, RF 신호 수신 전용 제 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NFC 통신 회로(23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2))와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NFC 통신에 사용되도록 지정된 주파수 대역(예: 약 13.56MHz)에 대응하는 NFC 통신 채널(또는, NFC 세션(session))의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 NFC 통신 회로(230)는 NFC 통신 채널을 통한 외부 전자 장치와의 NFC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NFC 통신 회로(230)는, 송신 시에,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되어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예: 결제 정보를 포함)를 NFC 대역의 RF 신호로 변환하여 NFC 안테나(27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NFC 통신 회로(230)는, 수신 시에, NFC 대역의 RF 신호를 NFC 안테나(270)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WiFi 통신 회로(24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2))와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WiFi 통신에 사용되도록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WiFi 통신 채널(또는, WiFi 세션(session))의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 WiFi 통신 회로(240)는 WiFi 통신 채널을 통한 외부 전자 장치와의 WiFi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WiFi 통신 회로(240)는, 송신 시에,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되어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WiFi 대역의 RF 신호로 변환하여 WiFi 안테나(28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WiFi 통신 회로(240)는, 수신 시에, WiFi 대역의 RF 신호를 WiFi 안테나(280)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20)와 측위(positioning)(예: 거리 측정)를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측위 통신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 및 그 변화 추세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변화 추세는 거리의 변화가 있을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거리 변화가 있다면, 좁혀질지 또는 반대로 넓어질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화 추세는, 거리가 좁혀지거나 넓어질 때, 좁혀지는(또는, 넓어지는) 속도 및/또는 단위 시간 당 속도의 변화량(가속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변화량으로부터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변화량(예: 현재 거리 값 - 이전 거리 값)이 음의 값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간의 거리가 좁혀지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변화량이 양의 값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간의 거리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계산된 변화량으로부터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넓어질 때의 속도 및/또는 가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176)(예: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2)의 이동 상태를 인식(예: 속도 또는 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변화량 및 상기 이동 상태에 기반하여, 변화 추세를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176)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질 때, 전자 장치(102)의 속도 또는 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예: RSSI)의 변화량 및 상기 이동 상태(예: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변화 추세를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세기가 강해지고 있는 추세일 때 인식된 제 1 이동 방향을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102)에 가까워지고 있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세기가 약해지고 있는 추세일 때 인식된 제 2 이동 방향(예: 제 1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176)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질 때, 전자 장치(102)의 속도 또는 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거리 및/또는 변화 추세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프로세서(120)의 동작들(30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310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의 활성화를 위해, 무선 통신 모듈(197)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측위 통신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 및 그 변화 추세에 적어도 기반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통신 회로(220)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예: 슬립(sleep) 상태 또는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인에이블(enable) 상태로 상태 전환된 것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고, 수립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와 측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BLE는, 다른 근거리 통신 기술(예: UWB)보다 상대적으로 측위의 정확도는 낮으나 소비 전력은 적고 인식 거리(예: 외부 전자 장치가 주변에 존재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가 길기 때문에, 측위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리거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102)와 연결을 위한 신호(예: advertising 또는 broadcasting 패킷)를 BLE 통신 회로(2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102)는 Advertiser(또는, Broadcaster)로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1)는 Observer로서 신호를 주기적으로 스캐닝(scanning)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예: RSSI)가 지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120)는 UWB 통신을 이용한 측위 통신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에 따라,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UWB 통신 회로(220)가 디스에이블 상태인 경우,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UWB 통신 회로(220)를 인에이블 상태로 상태 전환할 수 있고,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고, 수립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와 측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BLE 통신 회로(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예: advertising 또는 broadcasting 패킷)의 세기(예: RSSI)의 변화를 감시(monitor)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감시에 기반하여, 세기의 변화 추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기가 강해지고 있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UWB 통신을 이용한 측위 통신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고, 수립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와 측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BLE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립된 BLE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세션 정보(예: 무선 통신 채널, 세션 ID, 또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교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수립된 BLE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와 측위 통신 방식(예: 측위 통신의 주기, SS(single side)-TWR(two way ranging), 또는 DS(double side)-TWR)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교환된 UWB 세션 정보에 기반하여,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고, 수립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와 측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BLE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립된 BLE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예: 세기가 지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UWB 통신을 이용한 측위 통신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에 따라,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고, 수립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와 측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BLE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립된 BLE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의 변화량을 감시할 수 있고, 이러한 감시에 기반하여(예: 감시 결과 세기가 강해지고 있는 추세로 인식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한 측위 통신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고, 수립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와 측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리거 용도로 WiFi 통신 회로(240)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WiFi 통신 회로(240)을 이용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외부 전자 장치(102)를 탐색하는 기능(예: NAN(neighborhood aware networking))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101)와 WiFi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립된 WiFi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세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교환된 UWB 세션 정보에 기반하여,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고, 수립된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1)와 측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320에서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주기로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예: IEEE 802.15.4에 정의된 poll message)를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기는, 동작 320의 수행 전에, 두 장치들(101, 102)이 미리 알고 있는 초기 값(또는, 디폴트(default)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동작 320의 수행 전에, 외부 전자 장치(102)와 교환한 정보로부터 측위 통신의 주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기는, 상기 동작 310이 수행되는 동안, 두 장치들(101, 102) 중 하나가 결정하고 다른 하나에 전달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무선 통신 채널(예: BLE 통신 채널 및/또는 UWB 통신 채널)을 스캔(scan)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102)의 존재(예: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102)로 채널 수립을 요청하기 위해 전달하는 패킷(packet)의 페이로드(payload) 또는 헤더(header)의 IE(information element) 부분에 주기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기는, 프로세서(120)가 무선 통신 채널(예: BLE 통신 채널 및/또는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예: advertising 또는 broadcasting 패킷)의 세기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결정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기의 수치가 높을수록 상기 주기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3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를 보낸 시점, 응답 메시지를 받은 시점, 및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102)에 의해 계산되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거리에 관한 정보로부터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동작 330에서 프로세서(120)는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하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조건은 인식된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경우, 입력 장치(예: 터치스크린)를 통해 프로세서(120)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외부 전자 장치(102)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 차량 도어 잠금 또는 오픈)인 경우, 또는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차량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거리의 변화 추세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176)(예: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질 때, 전자 장치(102)의 속도 및/또는 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340에서 프로세서(120)는 거리 및/또는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두 장치들(101, 102)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지정된 반경 내 영역(range)을 제 1 영역이라 하고 반경 밖의 영역을 제 2 영역이라고 했을 때, 상기 반경은 주기 변경의 조건이 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인식된 거리가 임계치(상기 반경)를 상회할 경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1 주기로 유지하고, 임계치 이내인 경우, 측위 통신 주기를 제 1 주기보다 짧은 제 2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인식된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경우 측위 통신 주기를 제 1 주기로 유지하고, 임계치를 상회할 경우 측위 통신 주기를 제 1 주기보다 긴 제 3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최대 반경, 최소 반경, 최소 주기, 및 최대 주기로 구성된 테이블(예: 아래의 표 1)이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식된 거리 및 상기 테이블에 이용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계산할 수 있다. 최대 반경, 최소 반경, 최소 주기, 및 최대 주기 중 적어도 하나는 어플리케이션 별(예: 표 1에서 App A, B, 및 C)로 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최대 반경, 최소 반경, 최소 주기, 및 최대 주기가 어플리케이션 별(예: 표 1에서 App C 및 D)로 다르지 않고 동일할 수도 있다.
App Name 최소 반경(m)
(minRadius)
최대 반경(m)
(maxRadius)
최소 주기(ms)
(minPeriod)
최대 주기(ms)
(maxPeriod)
A 10 100 1000 10000
B 50 20 2000 5000
C 100 10 1000 10000
D 100 10 1000 1000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가 외부 전자 장치(102)와 세션(예: BLE 통신 채널 및/또는 UWB 통신 채널) 수립한 후,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5))은, 거리 정보 및 센서 정보(예: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주기 정보(예: 최대 반경, 최소 반경, 최소 주기, 및 최대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주기 정보는 서비스 프레임 워크(예: 도 1의 미들웨어(144))로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블(예: 표 1)을 구성할 수 있고, 이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API(예: SetRangingPeriod();)를 사용하여,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20)에 액세스하여, 주기 계산 시,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테이블은 패킷의 페이로드나 헤더에 포함되어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계산될 주기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포그라운드(foreground) 어플리케이션 또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어플리케이션)에 해당되는 주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그 실행 화면이 현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중이긴 하나 그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화 추세를 나타내는 값(A)이, 주기 계산 시, 가중치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수학식 1 * A"를 이용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거리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거나 거리의 변화가, 지정된 제 1 시간 동안,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A를 제 1 가중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좁혀지는 추세인 것으로 인식될 경우 A를 제 1 가중치 값과 다른(예: 보다 작은) 제 2 가중치 값으로 설정하고, 거리가 넓어지는 추세인 것으로 인식될 경우 A를 제 1 가중치 값 및 제 2 가중치 값과 다른(예: 제 1 가중치 값보다 큰) 제 3 가중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보행 정도의 속도로 좁혀지는 추세인 것으로 인식될 경우, A를 제 4 가중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4 가중치 값은 상기 제 2 가중치 값과 동일 또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달리는 정도의 속도로 좁혀지는 추세인 것으로 인식될 경우, A를 제 5 가중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5 가중치 값은 제 4 가중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보행 정도의 속도로 넓어지는 추세인 것으로 인식될 경우, A를 제 6 가중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6 가중치 값은 제 3 가중치 값과 동일 또는 이보다 클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달리는 정도의 속도로 넓어지는 추세인 것으로 인식될 경우, A를 제 7 가중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7 가중치 값은 제 6 가중치 값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계산된 가속도 값에 따라 A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좁혀지고 있는 추세일 때, 가속도 값이 클수록 A에 작은 값을 부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넓어지는 추세일 때, 가속도 값이 클수록 A에 큰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프로필(예: 연령대, 키, 또는 몸무게) 및/또는 헬스 정보(예: 심박 정보, 혈당 정보, 또는 스트레스 정보)와 연관된 값(B)이 가중치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수학식1*A*B" 또는 "수학식 1*B"를 이용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190)을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예: GPS 정보)와 연관된 값(C)이 가중치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위치가 지정된 곳(예: 집)일 때 주기가 지정되지 않은 곳(예: 마트)일 때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학식1*A*B*C", "수학식1*A*C", "수학식 1*B*C", 또는 "수학식1*C"를 이용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350에서 프로세서(120)는 변경된 주기로 제 2 측위 시작 메시지를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동작 350을 수행하기 전, 변경된 주기에 관한 정보를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예: BLE 또는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제 2시간(제 1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거리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예: 전자 장치(101)의 방향이나 속도의 변화 없음), 측위 통신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을 위한 외부 전자 장치(102)와의 무선 통신 채널(또는,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측위 통신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의 이동이 인식될 경우,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을 재개(상기의 동작들(300)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거리의 변화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 모듈(197)을 통해 전송될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가 좁혀지고 있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신호의 세기를 줄일 수 있고 반대로, 거리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신호의 세기를 늘릴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의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는 동작들(40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410에서 프로세서(120)는 BLE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420에서 프로세서(120)는 BLE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한 측위 통신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신호의 세기가 점점 강해지는 추세이거나, 또는 상기의 두 조건들이 모두 만족할 경우,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의 활성화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43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에 따라, UWB 통신 채널 수립 시에 필요한 UWB 세션 정보(예: 무선 통신 채널, 세션 ID,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BLE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와 교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작 430에서 프로세서(120)는 BLE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와 측위 통신의 주기와 관련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440에서 프로세서(120)는, 교환된 UWB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UWB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가 SS-TWR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들(50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10에서 프로세서(120)는 무선 통신 모듈(192)(예: UWB 통신 회로(220))을 이용하여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예: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에 포함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와 관련된 정보는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의 페이로드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무선 통신 모듈(192)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는, 외부 전자 장치(102)가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를 처리(예: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걸린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예: 시간 값)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난 후 지정된 슬립(sleep) 시간 동안(예: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만큼의 시간 동안), 슬립 상태(sleep state)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립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102)는 무선 통신 모듈(예: 상기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로서 예컨대, UWB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 또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난 후 상기 슬립 시간 동안, 상기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예: UWB 통신 회로(220))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102))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슬립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를 보낸 시점, 응답 메시지를 받은 시점, 및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를 보낸 시점, 응답 메시지를 받은 시점, 및 시간 정보로부터 제1 측위 시작 메시지가 전자 장치(101)에서 전송되고 나서 외부 전자 장치(102)에 도달하는데 까지 소요된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소요 시간에 광속을 곱하여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40에서 프로세서(120)는 계산된 거리에 적어도 기반하여(예: 상기 수학식 1, 또는 가중치(A, B, C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결정(예: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5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슬립 시간이 경과된 후, 결정된 주기와 계산된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측위 시작 메시지를,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102)가, 상기의 동작들(510, 520, 530)과 동일한 동작들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가 DS-TWR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들(60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10에서 프로세서(120)는 무선 통신 모듈(192)(예: UWB 통신 회로(220))을 이용하여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예: UWB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동작 610에 앞서, 측위 시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채널을 외부 전자 장치(102)와 수립하고 나서 측위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는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반응하여 제 1 측위 시작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20에서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응답 메시지를, 무선 통신 모듈(192)을 이용하여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30에서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의 최종(final) 메시지를, 무선 통신 모듈(192)을 이용하여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는, 외부 전자 장치(102)가 제 1 응답 메시지를 처리(예: 최종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걸린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예: 시간 값)를 최종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는, 최종 메시지를 전송하고 난 후 지정된 슬립 시간 동안(예: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만큼의 시간 동안), 슬립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립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102)는 상기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 또한, 최종 메시지를 수신하고 난 후 상기 슬립 시간 동안, 상기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예: UWB 통신 회로(220))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102))와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슬립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4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 1 응답 메시지를 보낸 시점, 최종 메시지를 받은 시점, 및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 1 응답 메시지를 보낸 시점, 최종 메시지를 받은 시점, 및 시간 정보로부터 제1 응답 메시지가 전자 장치(101)에서 전송되고 나서 외부 전자 장치(102)에 도달하는데 까지 소요된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소요 시간에 광속을 곱하여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50에서 프로세서(120)는 계산된 거리에 적어도 기반하여(예: 상기 수학식 1, 또는 가중치(A, B, C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결정(예: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6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슬립 시간이 경과된 후, 무선 통신 모듈(192)을 이용하여 제 2 측위 시작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70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주기와 계산된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응답 메시지를, 무선 통신 모듈(192)을 이용하여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102)가, 상기의 동작들(610, 620, 630, 640)과 동일한 동작들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도 7a, 7b 및 7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710)와 차량(720) 간의 거리의 변화 추세에 따른 측위 통신의 동적 주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71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차량(720)(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2)간의 거리가 좁혀지는 추세로 사용자 장치(710)가 차량 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제 1 변화 추세(731)에 따른 제 1 주기로 사용자 장치(710)와 차량(720) 간에 제 1 측위 통신(733)이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장치(710)와 차량(720)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추세로 사용자 장치(710)가 차량으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제 2 변화 추세(741)에 따른 제 2 주기(제 1 주기보다 긴 주기)로 사용자 장치(710)와 차량(720) 간에 제 2 측위 통신(743)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710)는, 차량(720)과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710)는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제 1 변화 추세(731) 또는 제 2 변화 추세(741)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710)는 인식된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1 주기 또는 제 2 주기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기를 차량(720)에 알려주어 차량(720)과 측위 통신을, 설정된 주기에 맞춰,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장치(71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된 가속도 값에 기반하여 제 1 주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710)는 가속도 값이 클수록 제 1 주기를 더 짧게 그리고 제 2 주기를 더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720)(예: 전자 장치(101))은, 사용자 장치(710)(예: 외부 전자 장치(102))와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차량(720)은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제 1 변화 추세(731) 또는 제 2 변화 추세(741)를 인식할 수 있다. 차량(720)은 인식된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1 주기 또는 제 2 주기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기를 사용자 장치(710)에 알려주어 사용자 장치(710)와 측위 통신을, 설정된 주기에 맞춰,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차량은 계산된 변화량으로부터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2)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넓어질 때의 가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차량(720)은 인식된 가속도 값에 기반하여 제 1 주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720)은 가속도 값이 클수록 제 1 주기를 더 짧게 그리고 제 2 주기를 더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 1 주기로 제 1 측위 통신(73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710)가 이동을 멈춘 경우 측위 통신의 주기가 제 3 주기(제 1 주기보다 긴 주기)로 변경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710)와 차량(720) 간에 제 3 주기로 제 3 측위 통신(753)이 수행될 수 있다. 이동을 멈춘 상태가 주어진 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측위 통신의 주기는 제 4 주기(제 3 주기보다 긴 주기)로 변경되거나 측위 통신이 중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주기로 제 1 측위 통신(73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710)(예: 전자 장치(101))는, 계산된 변화량 또는 인식된 가속도 값에 기반하여, 거리 변화가 없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710)는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3 주기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기를 차량(720)(예: 외부 전자 장치(102))에 알려주어 차량(720)과 측위 통신을, 설정된 주기에 맞춰, 수행할 수 있다. 제 3 주기로 제 3 측위 통신(75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710)는, 거리 변화가 주어진 시간 동안,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4 주기(제 3 주기보다 긴 주기)로 변경하거나 측위 통신을 중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주기로 제 1 측위 통신(73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720)(예: 전자 장치(101))은,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거리 변화가 없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720)은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3 주기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기를 사용자 장치(710)(예: 외부 전자 장치(102))에 알려주어 사용자 장치(710)와 측위 통신을, 설정된 주기에 맞춰, 수행할 수 있다. 제 3 주기로 제 3 측위 통신(75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720)은, 거리 변화가 주어진 시간 동안,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4 주기(제 3 주기보다 긴 주기)로 변경하거나 측위 통신을 중지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 2 주기로 제 2 측위 통신(74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710)가 이동을 멈춘 경우 측위 통신의 주기가 제 5 주기(제 2 주기보다 긴 주기)로 변경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710)와 차량(720) 간에 제 5 주기로 제 4 측위 통신(763)이 수행될 수 있다. 이동을 멈춘 상태가 주어진 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측위 통신의 주기는 제 6 주기(제 5 주기보다 긴 주기)로 변경되거나 측위 통신이 중지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주기로 제 2 측위 통신(74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710)(예: 전자 장치(101))는, 거리 변화가 없음을 인식한 것에 기반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5 주기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기를 차량(720)(예: 외부 전자 장치(102))에 알려주어 차량(720)과 측위 통신을, 설정된 주기에 맞춰, 수행할 수 있다. 제 5 주기로 제 4 측위 통신(76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710)는, 거리 변화가 주어진 시간 동안,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6 주기(제 5 주기보다 긴 주기)로 변경하거나 측위 통신을 중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주기로 제 2 측위 통신(74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720)(예: 전자 장치(101))은, 거리 변화가 없음을 인식한 것에 기반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5 주기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기를 사용자 장치(710)(예: 외부 전자 장치(102))에 알려주어 사용자 장치(710)와 측위 통신을, 설정된 주기에 맞춰, 수행할 수 있다. 제 5 주기로 제 4 측위 통신(763)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720)은, 거리 변화가 주어진 시간 동안,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제 6 주기(제 5 주기보다 긴 주기)로 변경하거나 측위 통신을 중지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800)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히 기재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BLE 통신 회로(210), UWB 통신 회로(220), 및 NFC 통신 회로(230)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통신 방식을 통해 BLE 통신 회로(2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 방식을 통해 UWB 통신 회로(22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I2C(inter IC) 통신 방식을 통해 NFC 통신 회로(23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SPI 통신 방식을 통해 보안 모듈(81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보안 모듈(810)(예: eSE(embedded secure element))은 I2C 통신 방식을 통해 UWB 통신 회로(230)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INT(interrupt) 핀을 통해 UWB 통신 회로(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안 모듈(8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NFC 통신 회로(230)에서 하나의 모듈(예: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UWB 통신 회로(220)는 외부 전자 장치(102)와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UWB 안테나(260)를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UWB 안테나(260)는 RF 신호 송수신용 제 1 안테나(821)와, RF 신호 수신 전용 제 2 안테나(8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821)는 제 1 필터(830)(예: UWB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스위치(840)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840)는 UWB 통신 회로(220)에 연결된 송신 라인(Tx) 또는 제 1 수신 라인(Rx1)에 제 1 필터(830)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 2 안테나(822)는 제 2 필터(850)(예: UWB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UWB 통신 회로(220)에 연결된 제 2 수신 라인(Rx2)에 연결될 수 있다. UWB 통신 회로(220)는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달할 정보(예: 측위 시작 메시지)를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제 1 안테나(821)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UWB 통신 회로(220)는 제 1 안테나(821) 또는 제 2 안테나(822)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로부터 정보(예: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102)로 송신 또는 수신할 메시지를 보안 모듈(810)을 통해 UWB 통신 회로(220)와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모듈(810)은,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달할 정보(예: 사용자 인증 정보, 결제 정보, 또는 차량의 도어 잠금(또는 오픈) 명령)을 위한 암호화 키 요청을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보안 모듈(810)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 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 있고, 암호화 키를 UWB 통신 회로(220)로 전달할 수 있다. UWB 통신 회로(220)는 암호화 키를 제 1 안테나(821)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보안 모듈(810)은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를 UWB 통신 회로(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암호화 키를 복호화하여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900)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히 기재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운영체제(142), 미들웨어(144), 및 어플리케이션(146)은 BLE 통신 회로(210), UWB 통신 회로(220), NFC 통신 회로(230), 또는 보안 모듈(810)을 제어하여 측위 통신과 관련된 기능 및/또는 측위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운영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의 관리(예: 할당 또는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체제(142)는 드라이버(910)와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92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910)는 BLE 통신 회로(210)를 구동하기 위한 블루투스 드라이버(911), UWB 통신 회로(220)를 구동하기 위한 UWB 드라이버(912), NFC 통신 회로(230)를 구동하기 위한 NFC 드라이버(913), 또는 보안 모듈(810)을 구동하기 위한 보안 드라이버(914)(예: eSE SPI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HAL(920)는 블루투스 HAL(921), UWB HAL(922), NFC HAL(923), 또는 보안 HAL(924)(예: eSE SPI HAL)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블루투스 서비스(931), UWB 서비스(932), 보안 서비스(933), 블루투스 프레임워크(934), UWB 프레임워크(935), 또는 OMAPI(open mobil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936)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서비스(931)는 BLE 서비스(931a)를 포함할 수 있다. UWB 서비스(932)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매니저(932a), UWB 어댑터(932b), 보안 매니저(932c), 거리 측정 매니저(ranging manager)(932d), 위치 측정 매니저(localization manager)(932e), 및 주어진 기능(예: 거리 측정)을 다른 통신 방식(예: BLE)으로 핸드 오버 하도록 구성된 핸드 오버 매니저(932f)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프레임워크(934)는 공개된(open) BLE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934a)를 포함할 수 있다. UWB 프레임워크(935)는 공개된 UWB API(935a)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UWB를 이용한 거리 및 위치 측정을 지원하는 UWB 측위 어플리케이션(941), UWB를 이용한 지불 및 로열티 지급을 지원하는 UWB 결제 어플리케이션(942), UWB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예: 차량)의 제어(예: 도어 잠금 또는 해제)를 지원하는 UWB 제어 어플리케이션(9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프로세서(120)의 동작들(100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0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2의 BLE 통신 회로(2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2))와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2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세션 정보(예: UWB 통신 채널, 세션 ID,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측위 통신의 주기, SS(single side)-TWR(two way ranging), 또는 DS(double side)-TWR)에 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30에서 프로세서(120)는, 세션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제 2 무선 통신 회로(예: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4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주기로,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예: 도 5의 동작 510 및 520, 또는 도 6의 동작 610, 620 및 630)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50에서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및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60에서 프로세서(120)는, 인식된 거리 및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위를 위한 프로세서(120)의 동작들(110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10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UWB 통신 회로(예: 도 2의 UWB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2))와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20에서 프로세서(120)는,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제 1 주기로,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예: 도 5의 동작 510 및 520, 또는 도 6의 동작 610, 620 및 630)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30에서 프로세서(120)는, 측위 통신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및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40에서 프로세서(120)는, 인식된 거리 및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측위 통신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무선 통신 회로(예: BLE 통신 회로(210));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와 통신 방식이 다른 제 2 무선 통신 회로(예: UWB 통신 회로(220));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세션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세션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제 1 주기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측위 통신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및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거리 및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BLE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 또는 세기의 변화량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측위 통신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UWB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측위 통신을 위한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주기적인 상기 측위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가 없거나, 또는 지정된 시간 동안 거리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지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은 제 3 주기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4 주기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가속도 값의 변화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질 때, 상기 가속도 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 3 주기를 짧게 설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넓어질 때, 상기 가속도 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 4 주기를 길게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주기를 포함하는 측위 시작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측위 시작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측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측위 시작 메시지의 전송 시점,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점,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식된 거리에 관한 정보는, 다음에 전송될 측위 시작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주기에 관한 정보는, 다음에 전송될 측위 시작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측위 시작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 주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반응으로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최종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측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 시점, 상기 최종 메시지의 수신 시점, 및 상기 최종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식된 거리에 관한 정보는, 다음에 전송될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주기에 관한 정보는, 다음에 전송될 응답 시작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식된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경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인 경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주기적인 상기 측위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지는 추세인 것으로, 또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추세인 것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변화 추세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질 때, 상기 전자 장치의 가속도를 계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으로써 상기 변화 추세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주기적인 상기 측위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가, 지정된 시간 동안,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을 비활성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종료함으로써 상기 측위 통신을 비활성화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UWB 통신 회로(예: UWB 통신 회로(220)); 상기 UWB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UWB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주기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측위 통신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및 거리의 변화 추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거리 및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02: 전자 장치
108: 서버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92: 무선 통신 모듈
197: 안테나 모듈
210: BLE 통신 회로
220: UWB 통신 회로
230: NFC 통신 회로
240: WiFi 통신 회로
810: 보안 모듈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와 통신 방식이 다른 제 2 무선 통신 회로;
    프로세서; 및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세션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세션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제 1 주기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측위 통신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가 없거나, 또는 지정된 시간 동안 거리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지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은 제 3 주기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4 주기로 설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는 BLE 통신 회로이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는 UWB 통신 회로인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BLE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 또는 세기의 변화량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측위 통신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UWB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측위 통신을 위한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가속도 값의 변화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질 때, 상기 가속도 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 3 주기를 짧게 설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넓어질 때, 상기 가속도 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 4 주기를 길게 설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주기를 포함하는 측위 시작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측위 시작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측위 통신을 시작하고,
    상기 측위 시작 메시지의 전송 시점,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점,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통신 중에 인식된 거리에 관한 정보는,
    다음에 전송될 측위 시작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전자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통신 중에 변경된 주기에 관한 정보는,
    다음에 전송될 측위 시작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측위 시작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 주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반응으로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최종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측위 통신을 시작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 시점, 상기 최종 메시지의 수신 시점, 및 상기 최종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통신 중에 인식된 거리에 관한 정보는,
    다음에 전송될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전자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통신 중에 변경된 주기에 관한 정보는,
    다음에 전송될 응답 시작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전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경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인 경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주기적인 상기 측위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지는 추세인 것으로, 또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추세인 것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하는 추세를 인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질 때, 상기 전자 장치의 가속도를 계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하는 추세를 인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주기적인 상기 측위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가, 지정된 시간 동안,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을 비활성화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종료함으로써 상기 측위 통신을 비활성화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UWB 통신 회로;
    프로세서; 및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UWB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제 1 주기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측위 통신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가 없거나, 또는 지정된 시간 동안 거리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지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은 제 3 주기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4 주기로 설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8.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는 동작;
    상기 제 1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세션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세션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는 동작;
    상기 제 2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지정된 제 1 주기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측위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측위 통신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복수의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거리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동작;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가 없거나, 지정된 시간 동안 거리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좁혀지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은 제 3 주기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계산된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추세로 인식될 경우 상기 측위 통신의 주기를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4 주기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회로는 BLE 통신 회로이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회로는 UWB 통신 회로인 방법.
  20. 삭제
KR1020190031406A 2019-03-19 2019-03-19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Active KR10278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06A KR102785619B1 (ko) 2019-03-19 2019-03-19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EP19919939.9A EP3903529B1 (en) 2019-03-19 2019-11-19 Electronic device providing periodic positioning communication vi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PCT/KR2019/015828 WO2020189875A1 (en) 2019-03-19 2019-11-19 Electronic device providing periodic positioning communication vi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US16/721,276 US11399372B2 (en) 2019-03-19 2019-12-19 Electronic device providing periodic positioning communication vi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06A KR102785619B1 (ko) 2019-03-19 2019-03-19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58A KR20200111558A (ko) 2020-09-29
KR102785619B1 true KR102785619B1 (ko) 2025-03-26

Family

ID=7251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406A Active KR102785619B1 (ko) 2019-03-19 2019-03-19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99372B2 (ko)
EP (1) EP3903529B1 (ko)
KR (1) KR102785619B1 (ko)
WO (1) WO2020189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5894B2 (en) * 2019-07-09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for exchanging ranging information
KR102762088B1 (ko) 2019-10-01 2025-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20210359767A1 (en) * 2020-05-14 2021-11-18 M2M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paration of a plurality of moving objects
JP7441116B2 (ja) * 2020-05-26 2024-02-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383583B2 (ja) 2020-07-30 2023-11-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US20230288552A1 (en) * 2020-08-04 2023-09-14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estimating a distance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251629B1 (ko) * 2020-12-03 2021-05-13 주식회사 노드톡스 다양한 센서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초저전력 무선 센서 모듈
KR20220095740A (ko) * 2020-12-30 2022-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송신 방법
US11722841B2 (en) * 2021-01-14 2023-08-08 Qorvo Us, Inc. Vehicle-mounted ranging system
KR20220117645A (ko) * 2021-02-17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3055873B (zh) * 2021-03-11 2022-09-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间的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20143352A (ko) * 2021-04-16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Uwb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3115439B (zh) * 2021-04-20 2023-06-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方法及相关设备
US12156112B2 (en) 2021-04-20 2024-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ultra-wideband communication based on account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12996109B (zh) * 2021-04-21 2023-03-14 四川巨微集成电路有限公司 基于uwb和蓝牙技术融合的定位方法、移动装置及目标装置
CN113207087B (zh) * 2021-04-27 2022-09-23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设备连接方法、系统、无线通信设备和存储介质
EP4279953A4 (en) * 2021-04-28 2024-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positioning communication
KR20220147974A (ko) * 2021-04-28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측위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2022178931A (ja) * 2021-05-21 2022-12-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KR20220167162A (ko) * 2021-06-11 202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Uwb 서비스를 제공 위한 방법 및 장치
DE102021003617A1 (de) * 2021-07-13 2023-01-19 Mercedes-Benz Group AG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momentanen Abstands zwischen einem Kraftfahrzeug und einem mobilen elektronischen Identifikationsgeber
EP4120701B1 (en) * 2021-07-16 2024-05-01 Lopos BV An energy efficient proximity awareness device
EP4351184A4 (en) * 2021-10-18 2025-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ositioning communication through uwb communication channel
EP4376447A4 (en) * 2021-11-03 2024-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GEOFENCE AND OPERATING METHOD
CN114501409A (zh) * 2022-03-11 2022-05-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交互方法及相关装置
EP4475570A4 (en) * 2022-03-29 2025-04-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2024049041A (ja) * 2022-09-28 2024-04-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R3152696A1 (fr) * 2023-08-30 2025-03-07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Communication UWB entre système de véhicule et identifiant portatif
FR3155401A1 (fr) * 2023-11-13 2025-05-16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Utilisation d’un identifiant portatif pour communiquer avec un système de véhicule
FR3156956A1 (fr) * 2023-12-15 2025-06-20 Banks And Acquirers International Holding Procédé de transaction « mains libres » à l’aide d’un terminal mobile
KR20250104628A (ko) * 2023-12-29 202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8731A (ja) * 2006-04-03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距離測定方法、距離測定システム、車両搭載情報管理装置、携帯機、及び車両内利用情報管理システム
US20120119948A1 (en) * 2010-11-11 2012-05-17 Shinichiro Tsuda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628A (ko) 2005-11-02 2007-05-07 전자부품연구원 저전력 소비형 초광대역 송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시스템
JP4724187B2 (ja) * 2008-01-22 2011-07-1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無線接続される外部記憶装置に対するアクセス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2010136216A (ja) 2008-12-05 2010-06-17 Olympus Imaging Corp 携帯機器
KR101588800B1 (ko) * 2010-11-16 2016-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속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단말 간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EP3321857B1 (en) * 2013-06-04 2019-11-20 Isolynx, LLC Object tracking system optimization and tools
JP6428214B2 (ja) 2014-12-03 2018-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相対位置測定装置、プログラム
KR102077238B1 (ko) * 2015-07-01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 설립 방법
DE102017103201A1 (de) * 2016-02-26 2017-08-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für eine Aktivierung mindestens einer Sicherheitsfunktion eines Sicherheitssystems eines Fahrzeuges
US10477344B1 (en) * 2016-05-17 2019-11-12 CSC Holdings, LLC Relative device localization
WO2018011792A1 (en) * 2016-07-12 2018-01-18 Daniel Aljadeff Methods and systems for the location and monitoring of mobile units
JP6729112B2 (ja) * 2016-07-14 2020-07-2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80083570A (ko) 2017-01-13 2018-07-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의 레인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2665991B1 (ko) 2017-02-24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제어 방법
US10328900B1 (en) * 2017-12-04 2019-06-25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vehicle passive keyless entry triggered by smartphone proximity detection
US10849079B2 (en) * 2018-09-26 2020-11-24 Apple Inc. Power control for synchronization and discovery messages in D2D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8731A (ja) * 2006-04-03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距離測定方法、距離測定システム、車両搭載情報管理装置、携帯機、及び車両内利用情報管理システム
US20120119948A1 (en) * 2010-11-11 2012-05-17 Shinichiro Tsuda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3529B1 (en) 2024-02-28
EP3903529A4 (en) 2022-02-23
WO2020189875A1 (en) 2020-09-24
US20200305142A1 (en) 2020-09-24
KR20200111558A (ko) 2020-09-29
EP3903529A1 (en) 2021-11-03
US11399372B2 (en)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85619B1 (ko)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US1121893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2775191B1 (ko)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EP4109218B1 (en) Mobile phone comprising a touch screen with an in-display fingerprint sensor
US1197335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external device for adjusting wireless power to be transmitted from external device on basis of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US11405963B2 (en) Electronic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780769B1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758435B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wi-fi communication and mobile hotspot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US113372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US12213077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network on basis of Wi-Fi direct protocol, and method related thereto
US115034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US2020021831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back off using grip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EP3989612A1 (en) Bluetooth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2306690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related to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782171B1 (ko)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