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8728B1 - Image instrument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instrument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8728B1 KR102788728B1 KR1020190057006A KR20190057006A KR102788728B1 KR 102788728 B1 KR102788728 B1 KR 102788728B1 KR 1020190057006 A KR1020190057006 A KR 1020190057006A KR 20190057006 A KR20190057006 A KR 20190057006A KR 102788728 B1 KR102788728 B1 KR 102788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view
- measuring device
- viewing angle
- characteris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57—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by analyzing the image formed by the object to be test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78—Detecting defects of the object to be tested, e.g. scratches or dust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1—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e.g. mirr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영상 계측 장치는, 표시 패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촬상하여 표시 패널이 표시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표시 패널의 영상을 영상 획득부로 반사시키는 영상 반사부; 및 영상이 반사되는 각도에 따라 획득된 영상의 색상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표시 패널의 시야각 특성을 결정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는 한 번의 촬상으로 복수의 반사 각도들에 대응하는 영상들을 동시에 획득한다. An image measuring device includes: a stage on which a display panel is mounted;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aptures an image of a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acquire an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an image reflection unit that reflects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an imag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t least one of color and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acquired image according to an angle at which the image is reflected to determine a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of the display panel. The image acquisition unit simultaneously captures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lection angles with a single cap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계측 장치 및 영상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pection system for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measuring device and an image measuring system.
영상 계측 장치는 표시 장치(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을 광학적으로 분석한다. 영상 계측 장치는 휘도, 색상 등이 분석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아가, 분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소 불량, 영상 편차 등을 보정할 수 있다. The image measuring device captures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and optically analyzes the captured image. The image measuring device generates image data analyzed for brightness, color, etc., and can further correct pixel defects, image deviation, etc. based on the analyzed image data.
카메라의 단일 렌즈로 평면 형태의 표시면의 영상을 촬상하는 영상 계측 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은, 필연적으로 이미지 중앙부 외 나머지 영역에서 시야각 차이에 의한 영상 특성의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Images output from an image measuring device that captures images of a flat display surface with a single lens of a camera inevitably have deviations in image characteristics due to differences in field of view in the remaining areas ex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imag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한 번의 촬상으로 복수의 시야각들에 대한 영상 특성을 획득하는 영상 계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measuring device that acquires image characteristics for multiple viewing angles with a single capture.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urposes,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계측 장치는, 표시 패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촬상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표시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표시 패널의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부로 반사시키는 영상 반사부; 및 상기 영상이 반사되는 각도에 따라 획득된 영상의 색상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시야각 특성을 결정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는 한 번의 촬상으로 복수의 반사 각도들에 대응하는 영상들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age on which a display panel is mounted;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aptures an image of a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capture an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an image reflection unit that reflects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an imag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t least one of color and brightness information of an image captured according to an angle at which the image is reflected to determine a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of the display panel.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simultaneously capture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lection angles with a single captur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획득부는, 상기 표시면의 목표 지점(target spot)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목표 지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반사부에 반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include a camera that acquires a first image using light incident vertically from a target spot of the display surface, and acquires a second image u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target spot to the image reflection uni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반사부는, 상기 카메라의 관측 시야(field of view)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mirror)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reflector may include at least one mirror member positioned within a field of view of the camera.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러 부재는 평평한 반사면을 포함하는 전반사 미러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mirror member can be a total reflection mirror comprising a flat reflective surfac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반사 미러는 상기 목표 지점의 영상을 광을 상기 영상 획득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tal reflection mirror can reflect light of the image of the target point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석부는 상기 목표 지점과 상기 카메라 사이의 수직 축과 상기 목표 지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러 부재로 입사되는 광 경로 사이의 각도를 상기 표시 패널에 대한 시야각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nalysis unit can determine the angle between a vertical axis between the target point and the camera and a light path incident from the target point to the at least one mirror member as a viewing angle for the display panel.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들 각각의 스펙트럼 삼자극치를 분석하여 휘도 및 색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특성을 검출하는 특성 검출부; 및 상기 제1 영상의 제1 영상 특성과 상기 제2 영상의 제2 영상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제2 영상의 상기 시야각 특성을 결정하는 시야각 특성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unit may include a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that analyzes spectral tristimulus valu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to detect image characteristics including information on brightness and color; and a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of the first image with the second image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image to determin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imag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석부는, 상기 미러 부재의 광학 특성이 반영된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시야각 특성 결정부에 제공하는 영상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nalysis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correction unit that generates correction parameters reflect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member and provides the correction parameters to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uni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야각 특성 결정부는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영상 특성에 적용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가 적용된 상기 제2 영상 특성과 상기 제1 영상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ing unit can apply the correction parameter to the second image characteristic and compare the second image characteristic to which the correction parameter is applied with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영상을 포함하는 표시면 전체의 2D 영상인 제3 영상을 더 획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mera can further acquire a third image, which is a 2D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including the first imag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특성 검출부는 상기 제3 영상의 영상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제1 영상 특성과 상기 제3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목표 지점 이외의 영역에 적용되는 영상 오프셋을 산출하는 오프셋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can detect the image characteristic of the third image. The image analysis unit can further include an offset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with the third image and calculates an image offset applied to an area other than the target point of the display panel.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목표 지점에 대한 정면 시점의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목표 지점에 대하여 기 설정된 시야각에 대응하는 측면 시점의 영상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image may be an image of a frontal view with respect to the target point, and the second image may be an image of a side view corresponding to a preset view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target poin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러 부재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미러 부재 및 제2 미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mirror member may include a first mirror member and a second mirror member that are arranged opposite each other.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에 반사되지 않는 상기 표시면 전체의 정면 시점 영상,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에 대한 총 반사 횟수가 홀수 회인 광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표시면 전체의 제1 측면 시점 영상,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에 대한 총 반사 횟수가 짝수 회인 광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표시면 전체의 제2 측면 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cquisition unit can generate a front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that is not ref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a first side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obtained by light having an odd total number of reflections against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and a second side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obtained by light having an even total number of reflections against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측면 시점 영상은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의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정면 시점 영상과 상기 제2 측면 시점 영상에 대하여 좌우 반전된 영상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ide view image may be an image flipp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ront view image and the second side view image based on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정면 시점 영상의 기 설정된 제1 목표 지점의 영상 특성과 상기 제1 측면 시점 영상의 기 설정된 제2 목표 지점의 영상 특성 및 상기 제2 측면 시점 영상의 지 설정된 제3 목표 지점의 영상 특성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시점 영상들에 대응하는 시야각 특성들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unit may compare image characteristics of a first preset target point of the frontal view image, image characteristics of a second preset target point of the first side view image, and image characteristics of a third preset target point of the second side view image to determin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view images.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러 부재는,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방출되는 광을 상기 영상 획득부로 반사시키는 곡면 미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mirror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mirror member that reflects light emitted vertically from the display surface toward the image acquisition uni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 및 상기 곡면 미러 부재에 반사되지 않는 표시면 전체의 제1 정면 시점 영상,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 중 하나에 반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표시면 전체의 측면 시점 영상, 및 상기 곡면 미러 부재에 반사되어 획득되는 제2 정면 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cquisition unit can generate a first front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that is not ref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mirror elements and the curved mirror element, a side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obtained by reflection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irror elements, and a second front view image obtained by reflection on the curved mirror elemen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제1 정면 시점 영상의 영상 특성과 상기 제2 정면 시점 영상의 영상 특성을 비교하여 시야각 특성들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unit can determin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frontal view image with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frontal view imag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계측 장치는, 기 설정된 계조의 테스트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measu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test image of a preset grayscale and supplies it to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계측 장치는 복수의 미러 부재들을 포함함으로써 정면 시점 영상뿐만 아니라 복수의 시야각들에 대응하는 측면 시점 영상들을 1회 촬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시야각들에 대한 시야각 특성들의 측정 및 보상을 위한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며, 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The imag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side view images corresponding to multiple viewing angles as well as a front view image by including a plurality of mirror members in a single shot. Accordingly, the time for measuring and compensating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for viewing angles of the display panel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and the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획득된 영상들의 비교 분석에 의해 시야각들에 따른 영상 특성(시야각 특성)이 비교적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야각 특성이 표시 장치의 설계 및 구동에 적용됨으로써 영상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image characteristics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iewing angles can be calculated relatively accurately by comparative analysis of acquired images. Therefore,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by applying thes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to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계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계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 계측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분석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영상 계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영상 계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showing an imag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analysis unit included in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1.
FIG. 4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1.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계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n imag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계측 장치(1000)는 스테이지, 영상 획득부(100), 영상 반사부(200), 및 영상 분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계측 장치(1000)는 영상 생성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image measuring device (1000) may include a stage, an image acquisition unit (100), an image reflection unit (200), and an image analysis unit (300). In one embodiment, the image measuring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generation unit (400).
영상 계측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이 표시하는 영상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표시 패널(10)의 영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계측 장치(1000)는 분석된 영상을 기초로 영상 보정 값 또는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measuring device (1000) can capture an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10) and analyze the captured image to determine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10). Furthermore, the image measuring device (1000) can generate an image correction value or correction parameter based on the analyzed image.
영상 획득부(100)는 표시 패널(10)의 표시면을 촬상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00)는 표시 패널(10)이 표시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소정의 스테이지 상에 실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capture an image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acquire an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10). The display panel (10) can be mounted and fixed on a predetermined stage.
영상 획득부(100)는 카메라 또는 영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단일 렌즈를 포함하며, 표시 패널(10)의 표시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영상 획득부(1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면의 영상을 검출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may include a camera or an image sensor. For example, the camera may include a single lens and may b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However,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may include sensors that detect images of the display surface in various ways.
영상 획득부(100)의 카메라는 소정의 관측 시야(FOV)를 가지며, 관측 시야(FOV)에 대응하는 영역의 영상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즉, 카메라의 관측 시야(FOV)는 표시 패널(10)의 표시면보다 크다. 이에 따라, 표시면의 영상뿐만 아니라 관측 시야(FOV)에 포함되는 영역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관측 시야(FOV)는 카메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The camera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has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FOV) and can generate and output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eld of view (FOV). That is, the field of view (FOV) of the camera is larger than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Accordingly, not only the image of the display surface but also the image of the area included in the field of view (FOV) can be output. The field of view (FOV) can become wider as it gets farther away from the camera.
일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부(100)의 카메라는 표시면의 목표 지점(TS)으로부터 렌즈를 향해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목표 지점(TS)으로부터 영상 반사부(200)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은 각각 목표 지점(TS)에 대응하는 영상이다. 또한, 영상 획득부(100)는 표시면 전체의 2D 영상인 제3 영상을 더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면으로부터 직접 방출되는 광 및 영상 반사부(200)로부터 반사되는 광은 렌즈를 통해 집광되어 영상 획득부(100)에 제공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mera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acquire a first image using light that is incident vertically toward the lens from a target point (TS) of the display surface, and can acquire a second image using light that is reflected and incident on the image reflection unit (200) from the target point (TS). That i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images that each correspond to the target point (TS). 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further acquire a third image that is a 2D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For example, light directly emitted from the display surface and light reflected from the image reflection unit (200)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lens and provided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영상 획득부(100)는 제1 내지 제3 영상들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IMG)를 영상 분석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IMG)는 관측 시야(FOV) 내에 포함되는 모든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IMG)는 2D 사진으로 영상 분석을 위한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provide image data (IMG)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images to the image analysis unit. In one embodiment, the image data (IMG) can include all image information included within the field of view (FOV). In addition, the image data (IMG) can be displayed on a screen for image analysis as a 2D photo.
한편, 표시 패널(10)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른 영상 특성은 디스플레이 특성의 중요한 요소이다.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사용자의 시점(예를 들어, 사용자와 표시 장치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다르게 시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 시점의 영상은 화소에서 수직으로 방출된 광에 대해 비교적 작은 각도로 진행하여 시인되는 반면, 측면 시점의 영상은 화소에서 수직으로 방출된 광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진행하여 시인된다. 이에 따라, 측면 시점의 영상의 한 화소가 시인되는 범위(면적)가 정면 시점의 영상에 대비하여 줄어들게 되고, 측면 시점 의 영상의 휘도가 정면 시점의 영상의 휘도보다 낮게 시인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user's viewing angle for the display panel (10) ar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display characteristics.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ay be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ser's viewpoint (e.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image from the front viewpoint is perceived at a relatively small angle relative to the light vertically emitted from the pixel, whereas the image from the side viewpoint is perceived at a relatively large angle relative to the light vertically emitted from the pixel. Accordingly, the range (area) in which one pixel of the image from the side viewpoint is perceived is reduced compared to the image from the front viewpoint, and the brightness of the image from the side viewpoint may be perceived as lower than the brightness of the image from the front viewpoint.
뿐만 아니라, 정면 시점의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와 측면 시점의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서 측면 시점의 영상은 정면 시점의 영상과 다른 광 간섭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로부터 방출된 광은 커버 글라스 등을 투과한 광과 재반사된 광이 보강 간섭 또는 상쇄 간섭되어 시인될 수 있다. 이 때, 정면 시점의 영상에 비해 측면 시점의 영상에서 광의 보강 간섭 또 는 상쇄 간섭이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광의 보강 간섭과 상쇄 간섭은 광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며, 이에 따라 측면 시점의 영상의 색상이 정면 시점의 영상과 다르게 시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에서 백색광이 방출될 때 정면에서는 백색광이 시인되지만 측면에서는 광의 경로차에 의한 파장 이동에 의해 greenish, bluish, reddish 등의 색 변이가 시인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pixel displaying the front view image and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pixel displaying the side view imag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ide view image may be affected by different light interference from the front view image. For example, the light emitted from the pixel may be perceived as the light penetrating the cover glass, etc. and the light re-reflected through the constructive interference or destructive interference. At this time, the constructive interference or destructive interference of the light may be more severe in the side view image than in the front view image. This constructive interference and destructive interference of the light varie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and accordingly, the color of the side view image may be perceived differently from the front view image. For example, when white light is e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white light is perceived from the front, but color changes such as greenish, bluish, and reddish may be perceived from the side due to wavelength shift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path of the light.
다시 말하면, 측면 시야각에 따라 동일한 영상의 휘도 및 색상이 다르게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야각에 따라 시인되는 영상이 달라지는 시야각 특성의 분석이 필요하다. In other words, the brightness and color of the same image may be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de viewing angle. Therefore, analysis of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perceived ima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is necessary.
기존의 영상 계측 장치로는 표시 패널에 대한 1회 영상 촬상으로 정면 시점 영상의 정보와 시야각에 따른 영상 특성 데이터를 동시에 얻을 수 없다. 즉, 동일한 영상에 대하여 여러 각도에서 복수회 촬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야각 특성이 산출될 수 있다. Existing image measuring devices cannot simultaneously obtain frontal view image information and image characteristic data according to viewing angle with a single image capture of the display panel. In other words,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can be derived using data captured multiple times from multiple angles for the same image.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계측 장치(1000)는 관측 시야(FOV) 내에 배치되는 영상 반사부(200)를 포함함으로써, 1회 촬상으로 정면 시점의 데이터 및 다양한 시야각들에 대한 시야각 특성(VAD)이 산출될 수 있다. However, the image measuring device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reflector (200) positioned within a field of view (FOV), so that data for a frontal viewpoint and field of view characteristics (VAD) for various field of view can be calculated with a single capture.
영상 반사부(200)는 표시 패널(10)의 영상을 영상 획득부(100)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반사부(200)는 목표 지점(TS)의 영상을 반사시켜 카메라의 렌즈(영상 획득부(100))에 입사시킬 수 있다.The image reflection unit (200) can reflect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In one embodiment, the image reflection unit (200) can reflect the image of the target point (TS) and make it enter the lens of the camera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영상 반사부(200)는 카메라의 관측 시야(FOV)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반사부(200)로부터 반사된 영상이 영상 데이터(IMG)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mage reflector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mirror member positioned within the field of view (FOV) of the camera. Accordingly, an image reflected from the image reflector (200)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data (IMG).
미러 부재는 평평한 반사면을 포함하는 평면 미러 형태의 전반사 미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 부재는 99% 이상의 전반사율을 갖는 광학용 미러일 수 있다. The mirror member may be a total reflection mirror in the form of a plane mirror including a flat reflective surface. For example, the mirror member may be an optical mirror having a total reflection rate of 99% or more.
미러 부재는 목표 지점(TS)의 영상이 카메라의 렌즈로 입사되도록 관측 시야(FOV) 내에서 카메라 렌즈 및 목표 지점(TS)과 적절한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미러 부재는 표시면(즉, 목표 지점(TS))에 대한 측면 시점의 영상(즉, 소정의 시야각에서 보이는 영상)을 영상 획득부(1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irror member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field of view (FOV) to have an appropriate angle with respect to the camera lens and the target point (TS) so that the image of the target point (TS) is incident on the camera lens. The mirror member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image of a side view (i.e., an image seen from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of the display surface (i.e., the target point (TS))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면 시야각들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미러 부재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미러 부재들 각각은 전반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획득부(100)는 대상에 대한 한 번의 촬상으로 복수의 반사 각도들(즉, 시야각들)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0)의 영상들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mirror elements may be respectively arrang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side viewing angles. Each of the mirror elements may perform total reflection. According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may simultaneously acquire images of the display panel (10)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flection angles (i.e., viewing angles) with a single capture of the object.
영상 분석부(300)는 영상이 반사되는 각도에 따라 획득된 영상의 색상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표시 패널(10)의 시야각 특성(VAD)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300)는 목표 지점(TS)과 카메라 사이의 수직 축과 목표 지점(TS)으로부터 미러 부재로 입사되는 광 경로 사이의 각도를 표시 패널(10)의 시야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determin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VAD) of the display panel (10) by analyzing at least one of the color and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acquired image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image is reflected.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determine the angle between the vertical axis between the target point (TS) and the camera and the light path incident from the target point (TS) to the mirror member as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panel (10).
영상 분석부(300)는 영상 데이터(IMG)에 대한 광학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색차계, 분광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영상 분석부(300)는 영상 데이터(IMG)로부터 휘도 정보, 색좌표 정보, 색온도 정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광학기, 계측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analysis unit (300) may include a colorimeter, a spectrometer, etc. that can perform optical analysis on image data (IMG). However,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e image analysis unit (3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optical devices, measuring devices, etc. that can measure brightness information, color coordinate information,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etc. from image data (IMG).
일 실시예에서, 영상 분석부(300)는 영상 반사부(200)에 포함되는 미러 부재의 광학 특성(예를 들어, 광반사, 광굴절, 광흡수 특성)을 영상 데이터(IMG)에 추가으로 반영할 수 있다. 미러 부재의 광학 특성이 적용된 영상 데이터(IMG)의 분석으로 좀 더 정밀한 시야각 특성(VAD)이 산출될 수 있다. 시야각 특성(VAD)은 메모리, 보정 장치 등의 외부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additionally reflect the optical characteristics (e.g., light reflection, light refraction, light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member included in the image reflection unit (200) to the image data (IMG). By analyzing the image data (IMG) to which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member are applied, more precis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can be derived.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can be provid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emory or a correction device.
영상 생성부(400)는 기 설정된 계조의 테스트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분석부(300)에 포함되는 제어부가 영상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CON)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CON)를 영상 생성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생성부(400)는 제어 신호(CON)에 응답하여 시야각 특성(VAD) 및 기타 영상 특성을 산출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1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image generation unit (400) can generate a test image of preset gradation and supply it to the display panel (10). For example,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CO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mage generation unit (400) and provide the control signal (CON) to the image generation unit (400). The image generation unit (400) can supply an image signal for calculating a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VAD) and other image characteristics to the display panel (10)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C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계측 장치(1000)는 복수의 미러 부재들을 이용하여 정면 시점 영상뿐만 아니라 복수의 시야각들에 대응하는 측면 시점 영상들을 1회 촬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의 시야각들에 대한 시야각 특성들의 측정 및 보상을 위한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며, 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measuring device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not only a frontal view image but also side view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viewing angles by taking a single shot using a plurality of mirror members. Accordingly, the time for measuring and compensating f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for viewing angles of the display panel (10)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and the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도 2는 도 1의 영상 계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계측 장치(1000)는 복수의 미러 부재들(MR1, MR2, MR3)을 포함하는 영상 반사부(200)를 포함하며, 영상 획득부(100)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영상들(IM1 내지 IM3)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IMG)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n image measuring device (1000) includes an image reflection unit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mirror members (MR1, MR2, MR3), and can generate image data (IMG) including first to third images (IM1 to IM3) us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100).
표시 패널(10)은 소정의 스테이지(600)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카메라(120)와 표시 패널(10)의 목표 지점(TS)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지점(TS)은 표시면의 중앙의 일부 화소들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0) may be mounted on a predetermined stage (600). The camera (120) and the target point (TS) of the display panel (10) may be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For example, the target point (TS) may be an area including some pixels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surface.
도 2에 도시된 영상 데이터(IMG)는 카메라(120)의 관측 시야(FOV)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목표 지점(TS)으로부터 카메라(120)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L0로 표시됨)에 의해 제1 영상(IM1)이 획득될 수 있다. 제1 영상(IM1) 시야각이 0°인 조건에서의 영상이며, 정면 시점 영상일 수 있다. The image data (IMG) illustrated in FIG. 2 may includ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eld of view (FOV) of the camera (120). The first image (IM1) may be acquired by light (indicated by L0) incident perpendicularly on the camera (120) from the target point (TS). The first image (IM1) is an imag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field of view is 0°, and may be a frontal view image.
표시 패널(10)의 표시면의 전체 영상은 제3 영상(IM3)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영상(IM3)은 제1 영상(IM1)을 포함할 수 있다.The entire image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can be acquired as a third image (IM3). In one embodiment, the third image (IM3) can include the first image (IM1).
영상 반사부(200)는 제1 내지 제3 미러 부재들(MR1 내지 M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미러 부재들(MR1 내지 MR3) 각각은 관측 시야(FOV)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mage reflector (200) may include first to third mirror elements (MR1 to MR3). Each of the first to third mirror elements (MR1 to MR3) may be positioned within a field of view (FOV).
제2 영상들(IM2)은 영상 반사부(200)로부터 반사되는 광에 의해 획득된 목표 지점(TS)의 영상들일 수 있다. 제2 영상들(IM2)은 제1 내지 제3 미러 부재들(MR1 내지 MR3) 각각에 대응하는 제2-1 영상(IM2-1), 제2-2 영상(IM2-2), 및 제2-3 영상(IM2-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images (IM2) may be images of the target point (TS) acquired by light reflected from the image reflector (200). The second images (IM2) may include a second-first image (IM2-1), a second-second image (IM2-2), and a second-third image (IM2-3)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mirror members (MR1 to MR3).
제1 미러 부재(MR1)는 목표 지점(TS)으로부터 입사되는 제1 광(L1)을 반사하여 카메라(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광(L1)은 목표 지점(TS)에 대응하는 영상의 광들 중 제1 미러 부재(MR1)로 방출되는 광들의 집합일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지점(TS)과 카메라(120) 사이의 수직 축(예를 들어, L0에 대응함)과 목표 지점(TS)으로부터 제1 미러 부재(MR1)로 입사되는 광 경로 사이의 각도가 제1 시야각(A1)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제1 미러 부재(MR1)는 제1 시야각(A1)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미러 부재(MR1)의 반사에 의해 획득된 제2-1 영상(IM2-1)은 제1 시야각(A1)에서 바라보는 목표 지점(TS)의 영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야각(A1)은 약 15°에 대응할 수 있다. The first mirror member (MR1) can reflect the first light (L1) incident from the target point (TS) and provide it to the camera (120). The first light (L1) can be a set of lights emitted from the first mirror member (MR1) among the lights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oint (TS). Here, the angle between the vertical axis (corresponding to L0, for example) between the target point (TS) and the camera (120) and the light path incident from the target point (TS) to the first mirror member (MR1) can be determined as the first viewing angle (A1). That is, the first mirror member (MR1)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viewing angle (A1), and the second-first image (IM2-1) acquired by the reflection of the first mirror member (MR1) can be determined as an image of the target point (TS) viewed from the first viewing angle (A1). For example, the first viewing angle (A1) can correspond to about 15°.
영상 데이터(IMG)의 출력 화면에서, 제2-1 영상(IM2-1)은 제1 미러 부재(MR1)로부터 카메라(120)로 제공되는 광 경로의 연장선 상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the output screen of the image data (IMG), the second-first image (IM2-1) can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an extension of the optical path provided from the first mirror member (MR1) to the camera (120).
제2 미러 부재(MR2)는 목표 지점(TS)으로부터 입사되는 제2 광(L2)을 반사하여 카메라(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미러 부재(MR2)는 제2 시야각(A2)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2 미러 부재(MR2)의 반사에 의해 획득된 제2-2 영상(IM2-2)은 제2 시야각(A2)에서 바라보는 목표 지점(TS)의 영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야각(A2)은 약 30°에 대응할 수 있다. The second mirror member (MR2) can reflect the second light (L2) incident from the target point (TS) and provide it to the camera (120). The second mirror member (MR2)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viewing angle (A2), and the second-second image (IM2-2) acquired by reflection of the second mirror member (MR2) can be determined as an image of the target point (TS) viewed from the second viewing angle (A2). For example, the second viewing angle (A2) can correspond to about 30°.
제3 미러 부재(MR3)는 목표 지점(TS)으로부터 입사되는 제3 광(L3)을 반사하여 카메라(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미러 부재(MR3)는 제3 시야각(A3)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3 미러 부재(MR3)의 반사에 의해 획득된 제2-3 영상(IM2-3)은 제3 시야각(A3)에서 바라보는 목표 지점(TS)의 영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시야각(A3)은 약 60°에 대응할 수 있다. The third mirror member (MR3) can reflect the third light (L3) incident from the target point (TS) and provide it to the camera (120). The third mirror member (MR3)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viewing angle (A3), and the second-third image (IM2-3) acquired by reflection of the third mirror member (MR3) can be determined as an image of the target point (TS) viewed from the third viewing angle (A3). For example, the third viewing angle (A3) can correspond to about 60°.
도 2에는 영상 반사부(200)가 3개의 미러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미러 부재들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러 부재들의 위치 및 각도는 원하는 시야각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image reflector (200) in FIG. 2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ree mirror elements, the number of mirror elements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mirror element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desired viewing angle.
한편, 도 2에는 미러 부재들이 표시 패널(10)에 대하여 일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미러 부재들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미러 부재들은 제2 시야각(A2)에 대응하여 표시 패널(10) 좌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일 시야각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들에서 관측되는 목표 지점(TS)의 영상들이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시야각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향들에 대한 시야각 특성(VAD)이 측정 및 산출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mirror members are illustrated in FIG. 2 as being arrang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 the positions of the mirror members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irror members may b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ewing angle (A2). In this case, images of the target point (TS) observed from various directions for the same viewing angle can be acquired. Accordingly,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for various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same viewing angle can be measured and calcul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계측 장치(1000)는 제1 내지 제3 미러 부재들(MR1 내지 MR3)을 포함함으로써 정면 시점 영상뿐만 아니라 복수의 시야각들에 대응하는 측면 시점 영상들을 1회 촬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의 시야각들에 대한 시야각 특성들의 측정 및 보상을 위한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며, 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mage measuring device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not only a front view image but also side view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viewing angles with a single capture by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mirror members (MR1 to MR3). Accordingly, the time for measuring and compensating f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for viewing angles of the display panel (10)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and the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도 3은 도 1의 영상 계측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분석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analysis unit included in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분석부(300)는 특성 검출부(320) 및 시야각 특성 결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300)는 영상 보정부(360) 및 오프셋 결정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image analysis unit (300) may include a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320) and a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unit (340). The image analysis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correction unit (360) and an offset determination unit (380).
특성 검출부(320)는 영상 데이터(IMG)로부터 제1 내지 제3 영상들(IM1 내지 IM3)의 영상 특성들(IC1 내지 IC3)을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성 검출부(320)는 제1 및 제2 영상들(IM1, IM2) 각각의 스펙트럼 삼자극치를 분석하여 휘도 및 색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영상 특성들(IC1, IC2)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영상 특성(IC1)은 제1 영상(IM1)의 휘도 및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320) can detect the image characteristics (IC1 to IC3) of the first to third images (IM1 to IM3) from the image data (IMG), respectively. In one embodiment, the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320) can detect the first and second image characteristics (IC1, IC2) including luminance and color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spectral tristimulus valu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M1, IM2).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IC1) can include luminance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IM1).
도 3에서는, 제2 영상 특성(IC2)은 제2-1 영상(IM2-1)에 대응하는 영상 특성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영상 특성(IC2)은 제2-1 영상(IM2-1)의 휘도 및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Fig. 3, the second image characteristic (IC2) is described as an image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the second-first image (IM2-1). The second image characteristic (IC2) may include brightness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second-first image (IM2-1).
일 실시예에서, 특성 검출부(320)는 제1 내지 제3 영상들(IM1 내지 IM3)에 대한 광학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색차계, 분광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eature detection unit (320) may include a colorimeter, a spectrometer, or the like capable of performing optical analysis on the first to third images (IM1 to IM3).
시야각 특성 결정부(340)는 특성 검출부(320)로부터 제1 및 제2 영상 특성들(IC1, IC2)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시야각 특성 결정부(340)는 제1 영상 특성(IC1)과 제2 영상 특성(IC2)을 비교하여 제1 영상(IM1)에 대한 제2 영상(IM2)의 시야각 특성(VAD)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특성(IC1)을 기준으로, 제1 영상(IM1)과 제2 영상(IM2)의 휘도 차이, 및 측정된 계조 차이가 시야각 특성(VAD)으로 산출될 수 있다.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ing unit (340) can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image characteristics (IC1, IC2) from the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320).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ing unit (340) can compare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IC1) and the second image characteristic (IC2) to determin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VAD) of the second image (IM2)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IM1). For example, based on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IC1), the luminance difference and the measured grayscal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image (IM1) and the second image (IM2) can be calculated as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VAD).
일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부(360)는 미러 부재의 광학 특성이 반영된 보정 파라미터(CP)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보정부(360)는 제1 미러 부재(MR1)의 광학 특성이 반영된 보정 파라미터(CP)를 생성할 수 있다. 미러 부재에 따라 표면의 평평도, 반사율 등이 다를 수 있다. 또한, 미러 부재에 따라 파장 별 반사율이 상이할 수도 있다. 영상 보정부(360)는 이러한 미러 부재의 광학 특성이 반영된 보정 파라미터(CP)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 파라미터(CP)는 시야각 특성 결정부(340)에 제공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correction unit (360) can generate a correction parameter (CP) that reflect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member. For example, the image correction unit (360) can generate a correction parameter (CP) that reflect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mirror member (MR1). Depending on the mirror member, the flatness, reflectivity, etc. of the surface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the reflectivity by wavelength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irror member. The image correction unit (360) can generate a correction parameter (CP) that reflect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member. The correction parameter (CP) can be provided to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unit (340).
시야각 특성 결정부(340)는 제2 영상 특성(IC2)에 보정 파라미터(CP)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상 특성(IC2)이 보정될 수 있고, 시야각 특성(VAD)이 좀 더 정밀하게 산출될 수 있다.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ing unit (340) can apply a correction parameter (CP) to the second image characteristic (IC2). Accordingly, the second image characteristic (IC2) can be corrected, and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VAD) can be calculated more precisely.
일 실시예에서, 시야각 특성 결정부(340)는, 기 설정된 시야각들(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시야각들(A1 내지 A3))의 시야각 특성(VAD)들을 보간(interpolation)하여, 전체 시야각들에 대한 시야각 특성(VAD)들을 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unit (340) can interpolat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of preset viewing angles (e.g., the first to third viewing angles (A1 to A3)) to produc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for all viewing angles.
추가적으로, 시야각 특성(VAD)들에 기초한 시야각 보상이 진행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field of view compens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field of view characteristics (VADs).
오프셋 결정부(380)는 제1 영상 특성(IC1)과 제3 영상(IM3)의 영상 특성인 제3 영상 특성(IC3)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0)로부터 목표 지점(TS)을 제외한 표시면의 일부 영역에 시야각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3 영상(IM3)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는 시야각 차이에 의한 영상 편차가 산출될 수 있다. The offset determination unit (380) can receive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IC1) and the third image characteristic (IC3), which is the image characteristic of the third image (IM3). As shown in Fig. 2, a field of view is generated in a part of the display surface excluding the target point (TS) from the camera (120). Accordingly, an image deviation due to a field of view difference can be calcul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image (IM3).
오프셋 결정부(380)는 제3 영상(IM3)과 제1 영상 특성(IC1)을 비교하여 제1 영상 특성(IC1)과 다른 부분에 대한 영상 오프셋(OF)을 산출할 수 있다. 영상 오프셋(OF)은 표시면의 해당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표시면에 대한 시야각 특성이 정면 시점에 의한 영상 특성으로 보상될 수 있다. The offset determination unit (380) can compare the third image (IM3) with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IC1) to calculate the image offset (OF) for the part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IC1). The image offset (OF) can b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surface. Accordingly,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for the entire display surface can be compensated for by the image characteristic by the frontal viewpoint.
이와 같이, 영상 분석부(300)가 다양한 시야각들에 대한 시야각 특성(VAD)을 산출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영상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by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lculating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for various viewing angles.
도 4는 도 1의 영상 계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1.
도 4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FIG. 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se components are omitt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반사부(200)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미러 부재(MR1) 및 제2 미러 부재(MR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image reflector (200) may include a first mirror member (MR1) and a second mirror member (MR2) that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영상 획득부(100)는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MR1, MR2)에 반사되지 않는 표시면 전체의 정면 시점 영상(FV1)을 생성할 수 있다. 정면 시점 영상(FV1)은 시야각을 0°로 가정하여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정면 시점 영상(FV1)에는 기 설정된 목표 지점(TS)의 영상인 제1 목표 지점 영상(TS1)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지점(TS)은 표시 패널(10)의 표시면에 가상으로 설정된 일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목표 지점(TS)은 복수의 목표 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면 내부의 위치에 따른 시야각 특성(VAD)이 산출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generate a front view image (FV1)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that is not ref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MR1, MR2). The front view image (FV1) can be an image acquired assuming a viewing angle of 0°. The front view image (FV1) can include a first target point image (TS1) that is an image of a preset target point (TS). Here, the target point (TS) can be an area virtually set on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However, this is exemplary, and the target point (TS) can include a plurality of target points. In this case, a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VAD) according to a position within the display surface can be calculated.
표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MR1, MR2)에 반사되어 카메라(120)에 입사될 수 있다.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surface can be ref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MR1, MR2) and incident on the camera (120).
영상 획득부(100)는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MR1, MR2)에 대한 총 반사 횟수가 홀수 회인 광에 의해 획득되는 표시면 전체의 영상인 제1 측면 시점 영상(SVI1)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미러 부재(MR1)에만 반사되는 광(L2로 표시됨)에 의해 제1 측면 시점 영상(SVI1)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측면 시점 영상(SVI1)은 제1 시야각(A1')에 대응하는 영상일 수 있다. 제1 측면 시점 영상(SVI1)에는 목표 지점(TS)의 영상인 제2 목표 지점 영상(TS2)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측면 시점 영상(SVI1)은 제1 미러 부재(MR1)를 기준으로 정면 시점 영상(FVI)과 좌우 반전된 영상일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generate a first side view image (SVI1), which is an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obtained by light having an odd number of total reflections on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MR1, MR2).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ide view image (SVI1) can be generated by light (indicated by L2) reflected only on the first mirror member (MR1). The first side view image (SVI1) can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a first viewing angle (A1'). The first side view image (SVI1) can include a second target point image (TS2), which is an image of a target point (TS). The first side view image (SVI1) can be an image that is flipp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ront view image (FVI) with respect to the first mirror member (MR1).
영상 획득부(100)는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MR1, MR2)에 대한 총 반사 횟수가 짝수 회인 광에 의해 획득되는 표시면 전체의 영상인 제2 측면 시점 영상(SVI2)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로부터 방출되어 제2 미러 부재(MR2)에 반사된 후 제1 미러 부재(MR1)에 반사되어 영상 획득부(100)로 입사되는 광(L3로 표시됨)에 의해 제2 측면 시점 영상(SVI2)이 획득될 수 있다. 즉, 제2 측면 시점 영상(SVI2)은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MR1, MR2)에 총 2회 반사되어 생성된 표시면의 영상이다. 제1 측면 시점 영상(SVI1)은 제2 시야각(A2')에 대응하는 영상일 수 있다. 제1 측면 시점 영상(SVI1)에는 목표 지점(TS)의 영상인 제3 목표 지점 영상(TS3)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generate a second side view image (SVI2), which is an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obtained by light having an even number of total reflections on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MR1, MR2).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ide view image (SVI2) can be obtained by light (indicated by L3) that is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0), reflected by the second mirror member (MR2), and then reflected by the first mirror member (MR1) and is incident on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That is, the second side view image (SVI2) is an image of the display surface generated by being reflected a total of two times by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MR1, MR2). The first side view image (SVI1) can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ewing angle (A2'). The first side view image (SVI1) can include a third target point image (TS3), which is an image of a target point (TS).
영상 분석부(300)는 제1 내지 제3 목표 지점 영상들(TS1 내지 TS3)의 영상 특성들을 측정(검출)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300)는 제1 목표 지점 영상(TS1)의 영상 특성과 제2 목표 지점 영상(TS2)의 영상 특성을 비교하여 제1 시야각(A1')에 상응하는 시야각 특성(VAD)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영상 분석부(300)는 제1 목표 지점 영상(TS1)의 영상 특성과 제3 목표 지점 영상(TS3)의 영상 특성을 비교하여 제2 시야각(A2')에 상응하는 시야각 특성(VAD)을 결정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measure (detect)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o third target point images (TS1 to TS3).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compare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arget point image (TS1) with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target point image (TS2) to determine the view angle characteristic (VAD)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ew angle (A1'). Similarly,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compare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arget point image (TS1) with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target point image (TS3) to determine the view angle characteristic (VA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ew angle (A2').
영상 데이터(IMG)를 이용하여 시야각 특성(VAD)을 산출하는 방식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field of view characteristics (VAD) using image data (IMG)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so any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된 제3 및 제4 측면 시점 영상들(SVI3, SVI4)은 각각 제1 및 제2 측면 시점 영상들(SVI1, SVI2)과 다른 방향에서 측정되는 영상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측면 시점 영상(SVI3)은 표시 패널(10)에 대하여 제1 시야각(A1')으로 제3 측면 시점 영상(SVI3)과는 다른 방향에서 관측되는 영상일 수 있다. The third and fourth side view images (SVI3, SVI4) illustrated in FIG. 4 may correspond to images measur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 view images (SVI1, SVI2),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third side view image (SVI3) may be an image observ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third side view image (SVI3) at a first viewing angle (A1')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anel (10).
제3 측면 시점 영상(SVI3)은 제4 목표 지점 영상(TS4)을 포함할 수 있고, 제4 측면 시점 영상(SVI4)은 제5 목표 지점 영상(TS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측면 시점 영상들(SVI3, SVI4)에 의한 시야각 특성(VAD)들 또한 제1 목표 지점 영상(TS1)과의 비교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The third side view image (SVI3) may include a fourth target point image (TS4), and the fourth side view image (SVI4) may include a fifth target point image (TS5). The field of view characteristics (VAD) of the third and fourth side view images (SVI3, SVI4) may also be deriv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first target point image (TS1).
도 5는 도 1의 영상 계측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1.
도 5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FIG. 5,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se components are omitted.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반사부(200)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미러 부재(MR1) 및 제2 미러 부재(MR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반사부(200)는 표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방출되는 광을 영상 획득부로 반사시키는 곡면 미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5, the image reflection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mirror member (MR1) and a second mirror member (MR2) that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image reflection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mirror member that reflects light emitted vertically from the display surface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영상 반사부(200)는 제1 곡면 미러 부재(CMR1) 및 제2 곡면 미러 부재(CMR2)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reflector (200) may include a first curved mirror member (CMR1) and a second curved mirror member (CMR2).
영상 획득부(100)는 미러 부재들(MR1, MR2, CMR1, CMR2)에 반사되지 않는 표시면 전체의 제1 정면 시점 영상(FVI1)을 생성할 수 있다. 정면 시점 영상(FVI1)은 시야각이 0°인 것으로 가정한 영상이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generate a first front view image (FVI1)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that is not reflected by the mirror members (MR1, MR2, CMR1, CMR2). The front view image (FVI1) is an image assuming a field of view of 0°.
또한, 영상 획득부(100)는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MR1, MR2) 중 하나에 반사되어 획득되는 표시면 전체의 측면 시점 영상(SVI)을 생성할 수 있다. 측면 시점 영상(SVI)은 제1 시야각(A1")에 대응하는 영상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generate a side view image (SVI)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that is acquired by being reflected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MR1, MR2). The side view image (SVI) can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ewing angle (A1").
한편, 표시 패널(10)의 중앙 영역(또는, 도 2의 목표 지점(TS))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도 카메라(120)의 렌즈로부터 시야각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야각에 의한 왜곡이 시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면의 소정의 제1 영역(AA)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카메라(120)에 수직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시야각(A2") 이하의 시야각들이 존재한다. Meanwhile, a field of view from the lens of the camera (120) may exist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cent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10) (or, the target point (TS) of FIG. 2). Accordingly, distortion due to the field of view may be recognized. For example, light emitted from a predetermined first area (AA) of the display surface is not vertically incident on the camera (120).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5, field of view angles lower than the second field of view (A2") exist.
제1 곡면 미러 부재(CMR1)는 제1 영역(AA)으로부터 수직으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켜 카메라(12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획득부(100)는 제1 영역(AA)의 정면 시점 영상인 제2 정면 시점 영상(FVI2)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IMG)의 출력 화면에서, 제2 정면 시점 영상(FVI2)은 관측 시야(FOV) 중 제1 곡면 미러 부재(CMR1)로부터 카메라(120)로 제공되는 광 경로의 연장선 상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The first curved mirror member (CMR1) can reflect light emitted vertically from the first area (AA) and provide it to the camera (120). According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generate a second frontal view image (FVI2), which is a frontal view image of the first area (AA). In the output screen of the image data (IMG), the second frontal view image (FVI2) can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an extension of the light path provided from the first curved mirror member (CMR1) to the camera (120) in the field of view (FOV).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곡면 미러 부재(CMR2)는 제2 영역(BB)으로부터 수직으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켜 카메라(12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획득부(100)는 제2 영역(BB)의 정면 시점 영상인 제3 정면 시점 영상(FVI3)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IMG)의 출력 화면에서, 제3 정면 시점 영상(FVI3)은 관측 시야(FOV) 중 제2 곡면 미러 부재(CMR2)로부터 카메라(120)로 제공되는 광 경로의 연장선 상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Likewise, the second curved mirror member (CMR2) can reflect light emitted vertically from the second region (BB) and provide it to the camera (120). According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00) can generate a third frontal view image (FVI3) which is a frontal view image of the second region (BB). In the output screen of the image data (IMG), the third frontal view image (FVI3) can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an extension of the light path provided from the second curved mirror member (CMR2) to the camera (120) in the field of view (FOV).
일 실시예에서, 영상 분석부(300)는 측면 시점 영상(SVI)과 제1 정면 시점 영상(FVI1)을 비교하여 제1 시야각(A1")에 대한 시야각 특성(VAD)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시야각(A1")에 대한 시야각 특성(VAD)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들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determine a field of view characteristic (VAD) for a first field of view (A1") by comparing the side view image (SVI) with the first front view image (FVI1). The field of view characteristic (VAD) for the first field of view (A1") can be calculated by the method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영상 분석부(300)는 제1 정면 시점 영상(FVI1)의 제1 영역(AA)의 영상 특성과 제2 정면 시점 영상(FVI2)의 영상 특성을 비교하고, 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영역(AA)에 대한 시야각의 영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0° 내지 제2 시야각(A")의 시야각 특성(VAD)들이 산출될 수 있다.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compare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rea (AA) of the first frontal view image (FVI1) with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frontal view image (FVI2), and calculate the influence of the viewing angle on the first area (AA)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ccordingly,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of 0° to the second viewing angle (A") can be calculated.
일 실시예에서, 영상 분석부(300)는 제1 영역(AA)의 영상 특성과 제2 정면 시점 영상(FVI2)의 영상 특성을 비교한 결과(및/또는 제2 영역(BB)의 영상 특성과 제3 정면 시점 영상(FVI3)의 영상 특성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정면 시점 영상(FVI1)에서 시야각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A)의 영상 특성은 제2 정면 시점 영상(FVI2)의 영상 특성으로 대체되거나 제2 정면 시점 영상(FVI2)의 영상 특성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remove the field of view component from the first frontal view image (FVI1)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rea (AA) with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frontal view image (FVI2) (and/or a result of compar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area (BB) with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frontal view image (FVI3)). For example,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rea (AA) can be replaced with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frontal view image (FVI2) or corrected based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frontal view image (FVI2).
일 실시예에서, 영상 분석부(300)는 시야각 성분이 제거된 제1 정면 시점 영상(FVI1, 즉, 보정된 제1 정면 시점 영상)의 영상 특성과 측면 시점 영상(SVI)의 영상 특성을 비교하여 제1 시야각(A1")에 대한 시야각 특성(VAD)을 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unit (300) can compare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a first frontal view image (FVI1, i.e., a corrected first frontal view image) from which the field of view component has been removed with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a side view image (SVI) to derive the field of view characteristic (VAD) for the first field of view (A1").
즉, 도 5의 영상 계측 장치는 제2 시야각(A") 이하의 미소 시야각에 의한 시야각 특성(VAD)들까지 정밀하게 측정 및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영상 계측 장치와 비교하여, 전체 시야각들에 대하여 산출된 시야각 특성(VAD)의 정밀도 및 정확도가 더 개선될 수 있다. That is,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5 can precisely measure and calculat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for micro viewing angles below the second viewing angle (A"). Therefore, compared to the image measuring device of Fig. 4,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calculate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for all viewing angles can be further improv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계측 장치(1000)는 복수의 미러 부재들을 포함함으로써 정면 시점 영상뿐만 아니라 복수의 시야각들에 대응하는 측면 시점 영상들을 1회 촬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의 시야각들에 대한 시야각 특성들의 측정 및 보상을 위한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며, 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measuring device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side view images corresponding to multiple viewing angles as well as a front view image by including a plurality of mirror members in a single shot. Accordingly, the time for measuring and compensating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for viewing angles of the display panel (10)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and the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획득된 영상들의 비교 분석에 의해 시야각들에 따른 영상 특성(시야각 특성(VAD))이 비교적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야각 특성(VAD)이 표시 장치의 설계 및 구동에 적용됨으로써 영상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image characteristics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according to viewing angles can be calculated relatively accurately by comparative analysis of acquired images. Therefore,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by applying thes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VAD) to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10: 표시 패널 100: 영상 획득부
120: 카메라 200: 영상 반사부
300: 영상 분석부 320: 특성 검출부
340: 시야각 특성 결정부 360: 영상 보정부
380: 오프셋 결정부 400: 영상 생성부
1000: 영상 계측 장치 TS: 목표 지점
MR1~MR3: 미러 부재 CMR1, CMR2: 곡면 미러 부재10: Display panel 100: Image acquisition unit
120: Camera 200: Image Reflector
300: Image analysis section 320: Feature detection section
340: Field of view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unit 360: Image correction unit
380: Offset determination unit 400: Image generation unit
1000: Image measuring device TS: Target point
MR1~MR3: Mirror absence CMR1, CMR2: Curved mirror absence
Claims (20)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촬상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표시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표시 패널의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부로 반사시키는 영상 반사부; 및
상기 영상이 반사되는 각도에 따라 획득된 영상의 색상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시야각 특성을 결정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는 한 번의 촬상으로 복수의 반사 각도들에 대응하는 영상들을 동시에 획득하며,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표시면의 목표 지점(target spot)으로부터 방출되며 상기 영상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직접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목표 지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반사부에 반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 A stage on which the display panel is mounted;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cquires an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An image reflection unit that reflects an image of the above display panel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An image analysis unit is included to determin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by analyzing at least one of color and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obtained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image is reflected.
The above image acquisition unit simultaneously acquires images corresponding to multiple reflection angles with a single capture,
The above image acquisition unit,
An imag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mera that acquires a first image using light that is emitted from a target spot of the display surface and is directly incident vertically without being reflected by the image reflector, and acquires a second image u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target spot to the image reflector.
상기 카메라의 관측 시야(field of view)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mirror)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image reflector,
An imag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t least one mirror member positioned withi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상기 제1 및 제2 영상들 각각의 스펙트럼 삼자극치를 분석하여 휘도 및 색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특성을 검출하는 특성 검출부; 및
상기 제1 영상의 제1 영상 특성과 상기 제2 영상의 제2 영상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제2 영상의 상기 시야각 특성을 결정하는 시야각 특성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 In the 6th paragraph, the image analysis unit,
A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that analyzes the spectral tristimulus valu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to detect image characteristics including brightness and color information; and
An imag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ing unit that compares a first image characteristic of the first image with a second image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image to determin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imag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상기 미러 부재의 광학 특성이 반영된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시야각 특성 결정부에 제공하는 영상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In the 7th paragraph, the image analysis unit,
An imag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mage correction unit that generates correction parameters reflect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member and provides the correction parameters to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unit.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제1 영상 특성과 상기 제3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목표 지점 이외의 영역에 적용되는 영상 오프셋을 산출하는 오프셋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 In the 10th paragraph, the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detects the image characteristic of the third image,
The above image analysis unit,
An imag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offset determining unit that compares the first image characteristic with the third image to calculate an image offset applied to an area other than the target point of the display panel.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에 반사되지 않는 상기 표시면 전체의 정면 시점 영상,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에 대한 총 반사 횟수가 홀수 회인 광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표시면 전체의 제1 측면 시점 영상,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에 대한 총 반사 횟수가 짝수 회인 광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표시면 전체의 제2 측면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 In the 13th paragraph,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 imag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front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that is not ref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a first side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obtained by light having an odd total number of reflections against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and a second side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obtained by light having an even total number of reflections against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상기 정면 시점 영상의 기 설정된 제1 목표 지점의 영상 특성과 상기 제1 측면 시점 영상의 기 설정된 제2 목표 지점의 영상 특성 및 상기 제2 측면 시점 영상의 지 설정된 제3 목표 지점의 영상 특성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시점 영상들에 대응하는 시야각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 In the 14th paragraph, the image analysis unit,
An imag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view images by compar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arget point set in the frontal view image,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target point set in the first side view image, and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target point set in the second side view image, respectively.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방출되는 광을 상기 영상 획득부로 반사시키는 곡면 미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 In the 13th paragraph, the at least one mirror member,
An imag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urved mirror member that reflects light emitted vertically from the display surface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 및 상기 곡면 미러 부재에 반사되지 않는 표시면 전체의 제1 정면 시점 영상, 상기 제1 및 제2 미러 부재들 중 하나에 반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표시면 전체의 측면 시점 영상, 및 상기 곡면 미러 부재에 반사되어 획득되는 제2 정면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 In the 17th paragraph,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 imag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first front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that is not ref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and the curved mirror member, a side view image of the entire display surface obtained by reflection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irror members, and a second front view image obtained by reflection on the curved mirror member.
상기 제1 정면 시점 영상의 영상 특성과 상기 제2 정면 시점 영상의 영상 특성을 비교하여 시야각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 In the 18th paragraph, the image analysis unit,
An imag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frontal view image with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frontal view image.
기 설정된 계조의 테스트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계측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n imag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mag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test image of a preset gradation and supplies the same to the display panel.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57006A KR102788728B1 (en) | 2019-05-15 | 2019-05-15 | Image instrumentation apparatus |
| CN202010120227.5A CN111947891B (en) | 2019-05-15 | 2020-02-26 | Image measu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57006A KR102788728B1 (en) | 2019-05-15 | 2019-05-15 | Image instrument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33052A KR20200133052A (en) | 2020-11-26 |
| KR102788728B1 true KR102788728B1 (en) | 2025-04-02 |
Family
ID=7333693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57006A Active KR102788728B1 (en) | 2019-05-15 | 2019-05-15 | Image instrument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88728B1 (en) |
| CN (1) | CN111947891B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94305B1 (en) | 2009-11-10 | 2010-11-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Inspec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
| KR101171989B1 (en) * | 2009-08-25 | 2012-08-07 | 주식회사 넥스트아이 | A inspecting apparatus and inspecting method of Backlight unit |
Family Cites Familie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94515A (en) * | 1992-09-11 | 1994-04-05 | Olympus Optical Co Ltd | Light divergence characteristic measuring device |
| JP3231268B2 (en) * | 1997-11-19 | 2001-11-19 | 大塚電子株式会社 | Optical viewing angle measuring device |
| JP3421299B2 (en) * | 2000-03-28 | 2003-06-30 | 科学技術振興事業団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viewing angle dependence and location dependence of luminance |
| TW200510692A (en) * | 2003-09-05 | 2005-03-16 | Hawkeye Vision Technology Co Ltd | Tilted view angle optic inspection method for panel and device thereof |
| JP2007017400A (en) * | 2005-07-11 | 2007-01-25 | Sony Corp | View angle characteristic measuring method and view angle characteristic measuring device |
| JP2010008188A (en) * | 2008-06-26 | 2010-01-14 | Fujitsu Ltd | Apparatus of inspecting display panel, inspection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using it |
| KR101379817B1 (en) * | 2009-07-07 | 2014-04-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pparatus for inspecting back light assembly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display device |
| KR20140007583A (en) * | 2012-07-09 | 2014-01-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panel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160004811A (en) * | 2014-07-04 | 2016-01-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
| CN106249450A (en) * | 2016-09-05 | 2016-12-21 | 凌云光技术集团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LCDs detecting system |
-
2019
- 2019-05-15 KR KR1020190057006A patent/KR102788728B1/en active Active
-
2020
- 2020-02-26 CN CN202010120227.5A patent/CN111947891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71989B1 (en) * | 2009-08-25 | 2012-08-07 | 주식회사 넥스트아이 | A inspecting apparatus and inspecting method of Backlight unit |
| KR100994305B1 (en) | 2009-11-10 | 2010-11-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Inspec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33052A (en) | 2020-11-26 |
| CN111947891A (en) | 2020-11-17 |
| CN111947891B (en) | 2025-05-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931924B2 (en) |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a correction model of a camera for the correction of an aberration | |
| RU2500984C2 (en) |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 measurement of item surface | |
| KR102771154B1 (en) | Three-dimensional sensor with counterposed channels | |
| EP1517550A2 (en) | Projector with tilt angle measuring device | |
| US20080111989A1 (en) | Transparent material inspection system | |
| TWI484283B (en) | Image measurement method, image measurement apparatus and image inspection apparatus | |
| US20130194169A1 (en) | Screen light computation device or method | |
| US10955235B2 (en) | Distance measurement apparatus and distance measurement method | |
| US10551174B2 (en) | Calibration method of image measuring device | |
| CN105937887B (en) | Three-dimensional surface shape measurement method based on three-valued three-color cross-grid stripes | |
| US10803623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 CN113848044B (en) | Method for detecting brightness and chrominance consistency of display screen | |
| JP7310606B2 (en) | Two-dimensional flicker measuring device and two-dimensional flicker measuring method | |
| TWI668439B (en) | Method of measuring surface topography | |
| CN113483892B (en) | A multispectral imag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 |
| KR102788728B1 (en) | Image instrumentation apparatus | |
| KR10265537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pectral radiance luminance and image | |
| CN110174351B (en) | Color measuring device and method | |
| JP5076938B2 (en) | Color measuring method and color measuring apparatus | |
| CN111220087B (en) | Surface topography detection method | |
| KR100852093B1 (en) | Stripe-Light Range Finding System and Method Minimizing Errors | |
| TWI805969B (en) | Surface topography measuring system | |
| US2025027132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haracterizing an optical lens for correcting optical aberrations introduced by said optical lens in an image | |
| JP2017026519A (en) |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alibration device | |
| CN114577136A (en) | Surface topography detection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