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80914B1 -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reporting breakaway of safety area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reporting breakaway of safety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0914B1
KR102780914B1 KR1020220170393A KR20220170393A KR102780914B1 KR 102780914 B1 KR102780914 B1 KR 102780914B1 KR 1020220170393 A KR1020220170393 A KR 1020220170393A KR 20220170393 A KR20220170393 A KR 20220170393A KR 102780914 B1 KR102780914 B1 KR 10278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rver
control unit
processor
current lo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85484A (en
Inventor
황준열
임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와이엠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와이엠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와이엠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2017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0914B1/en
Publication of KR2024008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54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091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 오프 상태에서도 현재 위치를 서버에 보고 가능한 농업용 차량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농업용 차량은, 제어유닛부(10)와 텔레매틱스부(20)를 구비한다. 제어유닛부는, 엔진제어유닛, 트랜스미션제어유닛, 그리고 유압 제어를 위한 유압제어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텔레매틱스부는, 제어유닛부(10)의 정보를 차량용 통신으로 전달받고, 챠량의 현재 위치 파악을 위한 GNSS모듈과, 상기 GNSS모듈에서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그리고 프로세서의 처리하에 서버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인 슬립모드에서 프로세서는 온상태의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가지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서버(30)로 보고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gricultural vehicle capable of reporting its current location to a server even when the engine is off. The agricultura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rol unit (10) and a telematics unit (20).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engine control unit, a transmission control unit, and a hydraulic control unit for hydraulic control. In addition, the telematics uni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0) through vehicle communication, includes a GNSS module for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gnal from the GNSS modu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under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or. In the sleep mode 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off, the processor repor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server (30) with a period longer than the period in the on state.

Description

안심구역 이탈 보고 기능을 가지는 농업용 차량{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reporting breakaway of safety area}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reporting breakaway of safety area

본 발명은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심구역을 벗어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주기적으로 현재 위치를 서버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농업용 차량의 안심구역 이탈 보고 기능을 가지는 농업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vehicle such as a trac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safe zone departure reporting function configured to periodically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gricultural vehicle to a server even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when the agricultural vehicle leaves a safe zone.

최근에는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차량에서도 텔래매틱스 기능을 도입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행 특허로써 한국 특허 제10-2415915호는 차량의 고장을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toward introducing telematics functions to agricultural vehicles such as tractors to enable them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as a prior patent, Korean Patent No. 10-2415915 proposed a technology that enables rapid response by transmitting vehicle failures to a server.

농업용 차량은 실질적으로 정해진 영역 이내에서 주행하고, 이러한 영역 내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차량이 이러한 안심 구역을 벗어나게 되는 일도 발생하지 않을 수 없는데, 차주의 운전에 의하여 일어난 경우에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도난으로 의심되는 경우에는 특정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It can be said that agricultural vehicles are generally driven within a practically designated area and work is performed within this area.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the vehicle will leave this safe zone. Even if this happens due to the driver's driving, it can be said that specific measures are necessary if theft is suspected.

본 발명은 농업용 차량이 설정된 안심구역을 벗어난 경우, 이러한 사실을 서버로 신속하게 보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농업용 차량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 서버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고, 차주 및 관리자 등에게 이러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that can quickly report to a server when the agricultural vehicle leaves a set safe zone. The server can store this information and send this information to the vehicle owner, manager, etc.

여기서 본 발명은 안심구역을 벗어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현재 차량의 위치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안하고자 하며, 특히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신호만을 주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배터리의 최소 사용으로 장기간 차량의 현재위치를 서버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한다. 더욱이 이때의 주기는 차량의 운행 상태보다 길게 설정함으로써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unction that can periodically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server eve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while out of the safe zone, and in particular, it is designed to repor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server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 minimal battery usage by periodically transmitting only the minimum signal when the ignition is off. Furthermore, the period at this time is set longer tha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so as to efficiently use the battery.

본 발명의 농업용 차량은, 제어유닛부와 텔레매틱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유닛부는, 차량의 엔진 제어를 위한 엔진제어유닛, 트랜스미션의 제어를 위한 트랜스미션제어유닛, 그리고 유압 제어를 위한 유압제어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텔레매틱스부는, 제어유닛부(10)의 정보를 차량용 통신으로 전달받고, 챠량의 현재 위치 파악을 위한 GNSS모듈과, 상기 GNSS모듈에서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그리고 프로세서의 처리하에 서버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The agricultura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rol unit section and a telematics section. The control unit section includes an engin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a hydraul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In addition, the telematics section receives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section (10) through vehicle communication, includes a GNSS module for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 processor for processing signals from the GNSS modu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server under processing by the processor.

여기서 차량의 시동이 온상태인 운행모드에서 프로세서는 주기적으로 차량의 위치를 서버에 보고하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인 슬립모드에서 프로세서는 온상태의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가지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보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차량의 현재위치가 안심구역을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서버로 이벤트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서버는 이러한 안심구역 이탈 신호를 저장하고 여러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Here, in the driving mode where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processor periodically reports the vehicle's location to the server, and in the sleep mode where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processor repor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server with a longer period than the period in the on state. In addi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has left the safe zone and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server. In addition, the server can store this safe zone departure signal and transmit it to multiple terminal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어서, 차주 또는 관리인은 서버를 통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차량이 설정된 안심구역을 이탈하면, 서버는 즉시 이를 파악하고 필요한 단말기로 통보할 수 있는 관리상의 편의성도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in real time, so that the owner or manager can conveniently identify and manag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server. In addition, if the vehicle leaves the set safe zone, the server can immediately identify this and notify the necessary terminal, so management convenience can also be expected.

또한 이러한 차량의 위치보고는 운행 상태뿐만 아니라, 슬립 상태에서도 주기적으로 GNSS모듈 및 프로세서를 활성화시켜서 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 슬립 상태에서의 보고 주기는 운행상태의 보고주기보다 현저하게 길게 설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차량의 도난 등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난에 대응하는 면에서의 잇점도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report of these vehicles can be reported to the server by activating the GNSS module and processor periodically not only in the driving state but also in the sleep state. The reporting cycle in the sleep state is set to b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reporting cycle in the driving state, thereby responding to the battery consumption problem. This is expected to be advantageous in responding to theft, as it allows for a quick and accurate response to vehicle theft, etc.

도 1은 본 발명 농업용 차량의 기능을 보이는 블럭도.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agricultura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based on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농업용 차량은 안심구역 이탈 보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설정된 안심구역을 이탈하는 경우, 차량은 서버에게 이러한 사실을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버는 이러한 안심구역 이탈 사실을 개인단말기를 통하여 알릴 수 있어서, 차주 및 관리자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agricultura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fe zone departure reporting function. That is, when the vehicle leaves the set safe zone, the vehicle has a function to transmit this fact to the server. In addition, the server can notify this safe zone departure fact through a personal terminal, so that the vehicle owner and manager can quickly identify i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업용 차량은, 다수의 제어유닛으로 구성되는 제어유닛부(10)와, 상기 제어유닛부(10)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처리하고 서버(30)에 송신하기 위한 텔레매틱스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유닛부(10)는 트랙터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agricultura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section (10)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and a telematics section (20) for proces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section (10) and transmitting it to a server (30). The control unit section (10) includes several control units that control each part of the tractor.

예를 들면, 제어유닛부(10)는, 엔진의 제어와 관련된 엔진제어유닛(ECU), 트랜스미션의 제어와 관련된 트랜스미션제어유닛(TCU), 그리고 유압관련 부품의 제어와 관련된 유압제어유닛(HCU) 등을 포함한다. 이렇게 제어유닛부(10)에 포함되는 제어유닛들은 차량용 통신(예를 들면 캔통신)을 통하여 텔레매틱스부(20)에 해당 유닛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고한다. 차량용 통신에 의한 정보의 송수신은 실질적으로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unit (10) includes an engine control unit (ECU) related to engine control,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related to transmission control, and a hydraulic control unit (HCU) related to control of hydraulic components. The control units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unit (10) report the current status of the corresponding units to the telematics unit (20) in real time through vehicle communication (e.g., CAN communication). Sinc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through vehicle communication is substantially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러한 제어유닛부(10)에서의 정보는 텔레매틱스부(20)의 프로세서(24)에 의하여 처리된다. 텔레매틱스부(20)의 프로세서(24)는 기입력된 알고리듬에 따라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주기보고유닛(24)을 포함할 수 있다. 주기보고유닛(24)은 정해진 주기에 따라서 해당하는 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유닛이다. 이러한 주기보고유닛(24)의 주기적 보고 중의 하나는 예를 들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들 수 있다.Information in the control unit (10) is processed by the processor (24) of the telematics unit (20). The processor (24) of the telematics unit (20)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units according to a pre-input algorithm,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periodic reporting unit (24). The periodic reporting unit (24) is a unit that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30) according to a set period. One of the periodic reports of the periodic reporting unit (24) may include, for exampl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그리고 텔레매틱스부(20)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상에 있는 물체(차량)의 위치·고도·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새틀라이트 시스템(GNS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22a)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GNSS모듈(22a)은 차량의 위치, 속도, 고도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프로세서(24)에 의하여 처리된다. And the telematics unit (20) includes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22a)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ltitude, and speed of objects (vehicles) on the ground using artificial satellites. This GNSS module (22a)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speed, altitude, etc. of the vehicle, and this information is processed by the processor (24).

여기서 GNSS모듈(22a)에서 보고하는 차량의 위치정보 등은 프로세서(24) 중에서도 주기보고유닛(24a)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농업용 차량은 안심구역 이탈 보고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GNSS모듈(22a)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보고유닛(24)이 처리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Here,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reported by the GNSS module (22a) is processed by the periodic reporting unit (24a) among the processors (24). That is, the agricultura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fe zone departure reporting function, and is based on the periodic reporting unit (24) proces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NSS module (22a).

여기서 안심구역은 차주 또는 관리자의 설정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차량의 홈에서 반경 몇 킬로미터 이내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으로, 기준점(예를 들면 차주의 집)에 대하여 설정되는 반경을 가지는 원형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수의 좌표를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영역을 별도로 입력함으로써 설정될 수도 있고, 일정한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다른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safe zone is determined by the settings of the owner or manager, and can be set, for example, within a radius of several kilometers from the vehicle's home. As an example, it can be set as a circular area with a radius set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oint (e.g., the owner's home). In addition, it can be set by separately entering an area created by connecting multiple coordinates,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various other known methods for designating a certain area.

그리고 텔레매틱스부(20)에는, 그 외에도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22b), 이동물체의 속도와 방향,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관성측정유닛(IMU : Inertial Measurement Unit), 그리고 프로세서(24)의 처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d)가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telematics unit (20)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22b)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30),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speed, direction, gravity, and acceleration of a moving object, and a memory (22d) for storing information through processing by a processor (24).

또한 텔레매틱스부(20)의 프로세서(24)에는, 상술한 주기보고유닛(24a) 이외에도, 차량과 관련하여 서버(30)에 즉시 보고하도록 제어하는 즉시보고유닛(24b), 차량의 고장 정보를 보고하는 고장보고유닛(24c), 차량의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작업유닛(24d), 그리고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주행유닛(24e) 등이 인스톨되어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eriodic reporting unit (24a), the processor (24) of the telematics unit (20) is installed with an immediate reporting unit (24b) that controls immediate reporting to the server (30) in relation to the vehicle, a failure reporting unit (24c) that reports failur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work unit (24d) for repor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a driving unit (24e) for reporting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이와 같은 프로세서(24)의 각 처리 유닛은 착량의 센서 또는 제어유닛부(1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분류하고 처리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기보고유닛(24a)는, 제어유닛부(10) 또는 상술한 GNSS모듈(22a) 등의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 중에서, 주기적으로 서버에 보고해야 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라고 할 수 있다. Each processing unit of such a processor (24) can be said to be preset to classify and proces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sensor of the landing or a control unit (10). For example, the periodic reporting unit (24a) can be said to be a processor that processes information that must be periodically reported to a server amo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nit such as the control unit (10) or the above-described GNSS module (22a).

텔레매틱스부(20)의 통신모듈(22b)은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30)의 통신모듈(32)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상술한 통신모듈(32)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34)와,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6)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서버(30)는, 프로세서(34)에 의하여 텔레매틱스부(20)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부(36)에 저장하고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2b) of the telematics unit (20)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32) of the server (3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server (30) is equipped with a processor (34)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odule (32), and a storage unit (36) that stores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his server (30) process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lematics unit (20) by the processor (34)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36).

그리고 주기보고유닛(24a), 즉시보고유닛(24b), 고장보고유닛(24c), 작업유닛(24d), 그리고 주행유닛(24e)에서 처리되는 각각의 정보는 이미 설계자에 의하여 정해지고 분류된 것이다. 다음에는 안전구역의 이탈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동작에 대하여 순서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And each piece of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eriodic reporting unit (24a), the immediate reporting unit (24b), the failure reporting unit (24c), the work unit (24d), and the driving unit (24e) has already been determined and classified by the designer. Nex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departure from the safety zone will be examined in sequence.

먼저 차량의 시동이 온되면 프로세서(24)는 운행모드를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운행모드에서는 정해진 시간 주기에 따라서 주기보고유닛(24a)에 의하여 주기보고 정보가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30)로 전송된다. 이러한 주기보고 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정보는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즉, GNSS모듈(22a)에서 측정되는 차량의 위치정보는 일정한 시간 주기마다 서버(30)로 보고된다. First,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processor (24) starts the driving mode. In this driving mode, periodic repor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by the periodic report unit (24a) according to a set time period. Among these periodic repor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NSS module (22a) is reported to the server (30) at regular time periods.

이와 같이 즉시보고유닛(24b)은 차량의 현재 위치가 안심구역 내에 있는지를 항상 판단하게 된다. 즉, 차량이 운행모드에 있을 때, 주기보고유닛(24a)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서버(30)로 전송함과 동시에, 즉시보고유닛(24b)은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이 안심구역 내에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GNSS모듈(22a)에서 측정되는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저장된 안심구역 반경과 비교함으로써, 안심구역 내에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way, the immediate reporting unit (24b) always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within the safe zone. That is, when the vehicle is in the driving mode, the periodic reporting unit (24a) transmits the vehicle'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 according to the set period, and at the same time, the immediate reporting unit (24b)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within the safe zon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by compa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GNSS module (22a) with the stored safe zone radius, i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within the safe zone.

그리고 제12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의 현재위치가 안심구역을 이탈한 경우, 즉시보고유닛(24b)은 이상 이벤트 발생신호를 서버(30)에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안심지역 이탈 신호는, 오차 및 정확성을 고려하여, 입력된 안심 지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하였다고 판단한 후, 서버(30)에게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이탈 신호를 안심 지역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면 보고함으로써, 지피에스의 오차 및 신호의 정확성을 고려할 때 더욱 바람직하다.And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out of the safe zone as a result of the judgment in step 12, the immediate reporting unit (24b) transmits an abnormal event occurrence signal to the server (30).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such a safe zone departure signal to the server (30) after judging that it has depart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nput safe zone, taking into account errors and accuracy. It is more preferable to report the departure signal when it has depart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afe zone, considering the GPS error and the accuracy of the signal.

서버(30)는 프로세서(24)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받고, 차량이 안심구역을 이탈한 경우 안심구역 이탈이라는 이벤트 발생을 수신받게 된다. 통신모듈(32)을 통하여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서버(30)는 프로세서(34)의 제어하에 필요한 정보는 저장부(36)에 저장된다. 그리고 프로세서(34)는 정해진 알고리듬을 따라서 안심구역 이탈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에게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rver (30) periodically receives the vehicl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rocessor (24), and when the vehicle leaves the safe zone, it receives an event occurrence of a safe zone departure. The server (30), which receives this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2), stores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36)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4). In addition, the processor (34) can also transmit the safe zone departure event information to a user or administrator, etc., according to a set algorithm.

이와 같이 엔진의 시동이 온상태인 운행모드에서 차량의 위치 송신 주기는 후술하는 시동오프시 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24)의 보고 주기는 운행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운행모드와 달리,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프로세서(24)는 슬립모드로 전환된다. In this way, in the driving mode with the engine turned on, the vehicle position transmission cycle is set shorter than when the engine is turned off, as described later. And the reporting cycle of the processor (24) is the same while the driving mode is maintained. Unlike this driving mode, when the vehicle engine is turned off, the processor (24)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일반적인 차량에서 슬립모드로 전환되면 실질적으로 프로세서(24)의 전원도 차단되기 때문에 차량의 위치를 송신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차량이 슬립모드로 전환되면, 프로세서(24)는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입력(인스톨)되어 있어서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마다 GNSS모듈(22a)을 통하여 현재 위치를 받아서 주기보고유닛(24a)를 통하여 현재 위치를 서버(30)로 송신한다. In a typical vehicle, when the vehicle switches to sleep mode, the power to the processor (24) is also cut off, so the vehicle's location cannot be transmitt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switches to sleep mode, the processor (24) is input (installed) to be activated periodically, so that it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GNSS module (22a) at set times (for example, 1 hour) and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to the server (30) through the periodic reporting unit (24a).

이와 동시에 즉시보고유닛(24b)은 안심구역의 이탈여부를 판단하고, 이탈이라고 판단하면 안심구역을 이탈했다는 이벤트를 서버(30)에게 보낸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운행모드에서 즉시보고유닛(24a) 및 즉시보고유닛(24b)의 보고 주기는 상대적으로 짧고, 슬립모드에서의 보고 주기는 상대적으로 길다. 이는 운행모드에서는 발전기의 구동을 고려한 것이고, 슬립모드에서는 배터리를 고려하여 보다 장기간 현재 차량의 위치를 보고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immediate reporting unit (24b)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safe zone, and if so, sends an event indicating that the vehicle has left the safe zone to the server (30). As described above, the reporting cycles of the immediate reporting unit (24a) and the immediate reporting unit (24b) in the driving mode are relatively short, and the reporting cycle in the sleep mode is relatively long. This is designed to take into account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 in the driving mode, and to allow the vehicle's current location to be report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n the sleep mode, taking into account the battery.

여기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최종 처리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술한 프로세서(24)는 실질적으로 배터리의 잔량을 파악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의 잔량을 고려하여 프로세서(24)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잔량이 매우 낮기 때문에, 슬립상태의 긴 주기 이후에 다음의 보고를 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이러한 내용의 신호를 서버(30)에 전송한다. Here, we will look at the fi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The above-described processor (24) actually determines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consider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the processor (24) performs the following processing.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ext report cannot be made after a long period of sleep state because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very low, a signal of this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

이와 같이 현재의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차회의 위치 보고가 불가능한 경우, 안심지역 이탈 보고 서비스가 종료될 수 있음을 미리 서버(30)에게 통지함으로써 관리자의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동이 온되어 차량의 배터리가 송신신호를 보낼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데이터의 송신은 다시 활성화되어 정상 동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In this way, if the next location report is not possible based on the current remaining battery level, the server (30) can be notified in advance that the safe zone departure report service may be terminated, thereby inducing a quick response from the manager. Then, when the engine is turned on and the vehicle battery becomes capable of sending a transmission signal, the transmission of the location data as described above will be reactivated, enabling normal opera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심구역을 이탈하였는가의 여부를 보고함과 같이, 특히 시동이 오프된 상태의 슬립상태에서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현재 위치 및 이탈 여부를 보고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가능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하다.As discuss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iodically wake up from a sleep state with the engine off and report the current location and whether or not it has left the safe zone, in particular, by reporting whether or not it has left the safe zone. It is possible that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is technical category, and it is natural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ovisions of the patent law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10 .... 제어유닛부
20 ..... 텔레매틱스부
22a ..... GNSS모듈
22b ..... 통신모듈
22c ..... 관성측정유닛
22d ..... 저장부
24 ..... 프로세서
30 ..... 서버
10 .... Control unit section
20 ..... Telematics Department
22a ..... GNSS module
22b ..... communication module
22c ..... inertial measurement unit
22d ..... storage
24 ..... processor
30 ..... server

Claims (1)

차량의 엔진 제어를 위한 엔진제어유닛, 트랜스미션의 제어를 위한 트랜스미션제어유닛, 그리고 유압 제어를 위한 유압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제어유닛부(10);
상기 제어유닛부(10)의 정보를 전달받고, 챠량의 현재 위치 파악을 위한 GNSS모듈과, 상기 GNSS모듈에서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그리고 프로세서의 처리하에 서버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텔레매틱스부(20)로 구성되고;
차량의 시동이 온상태인 운행모드에서 프로세서는 주기적으로 차량의 위치를 서버에 보고하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인 슬립모드에서 프로세서는 온상태의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가지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보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현재위치가 안심구역을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서버로 이벤트신호를 전달하고, 슬립모드에서 배터리의 잔량이 다음 보고를 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그 내용을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구역 이탈 보고 기능을 가지는 농업용 차량.





A control unit section (10) including an engin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gine of a vehicle,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a hydraulic control unit for hydraulic control;
It is composed of a telematics unit (20)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0), includes a GNSS module for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 processor for processing signals from the GNSS modu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server under processing by the processor;
In the driving mod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processor periodically reports the vehicle's location to the server, and in the sleep mod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processor reports the vehicle's current location to the server with a longer period than the period in the on state;
An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safe zone departure repor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has left the safe zone and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serv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n sleep mode does not allow for a further report,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KR1020220170393A 2022-12-08 2022-12-08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reporting breakaway of safety area Active KR102780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393A KR102780914B1 (en) 2022-12-08 2022-12-08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reporting breakaway of safety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393A KR102780914B1 (en) 2022-12-08 2022-12-08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reporting breakaway of safety ar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5484A KR20240085484A (en) 2024-06-17
KR102780914B1 true KR102780914B1 (en) 2025-03-14

Family

ID=9171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393A Active KR102780914B1 (en) 2022-12-08 2022-12-08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reporting breakaway of safety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091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5232B2 (en) * 2011-08-06 2015-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position transmitter
JP6125038B2 (en) * 2014-10-03 2017-05-10 ヤンマー株式会社 Repor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7888A (en) * 1975-06-17 1978-01-12 Ici Ltd Aldose to ketose conversion
KR102816802B1 (en) * 2019-04-11 2025-06-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System for Failure Diagnosis of Agricultural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5232B2 (en) * 2011-08-06 2015-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position transmitter
JP6125038B2 (en) * 2014-10-03 2017-05-10 ヤンマー株式会社 Repor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5484A (en) 202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04189B (en) Automatic driving system, fault alarming method and device
US10614639B2 (en) In-vehicle control device and in-vehicle recording system
US6415210B2 (en) 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management station
US91714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information from vehicle devices via a vehicle data bus
US8391831B2 (en) In-vehicle terminal for emergency notification
CN103348388B (en)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US8406951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vehicles
US11713849B2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monitoring a pressure tank system
US20020123833A1 (en) Vehicle diagnostic system
JP5830162B2 (en) Work machine, work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chine management method
US9716926B2 (en) Remote weather sensing for harvesting conditions
CN106347374A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fusing vehicle environment information
CN110291421B (en) Satellite electric wave sensitivity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working vehicle
US1157897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a telematics device with an asset tracker
EP1355278A1 (en) A computerized system for managing motor-vehicle maintenance
WO2016179095A1 (en) Configurable obd isolation
CN110461678A (en) The detection of automotive vehicle road water
EP42211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a non-interfering mode in a telematics device
CN110588547A (en) Flameout judgment method and device, vehicle-mounted system and storage medium
US9761138B2 (en) Automatic yard move status
KR102780914B1 (en)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reporting breakaway of safety area
US115528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non-interfering mode in a telematics device
JP5274070B2 (en) Work machine position management system and work area data update method
JP4289696B2 (en) Diagnostic equipment for vehicles
JP7525543B2 (en) Vehicle behavior judgment system, vehicle driving diagno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