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98096B1 -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launch vehicle - Google Patents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launch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98096B1
KR102798096B1 KR1020240148273A KR20240148273A KR102798096B1 KR 102798096 B1 KR102798096 B1 KR 102798096B1 KR 1020240148273 A KR1020240148273 A KR 1020240148273A KR 20240148273 A KR20240148273 A KR 20240148273A KR 102798096 B1 KR102798096 B1 KR 10279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valve
carrier
pintle
co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48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헌
Original Assignee
블루젯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젯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젯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14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980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9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980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는 바디어셈블리(100);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직선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구동어셈블리(200); 상기 구동어셈블리(200)와 결합되어 직선이동되는 캐리어어셈블리(300);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의 이동에 따라 개도값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는 하나의 모터를 통해 2개의 밸브어셈블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사체, 비행체 또는 우주탐사선과 같이 무게가 중요한 장치에서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ssembly (100); a drive assembly (200)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100) and generating a linear stroke; a carrier assembly (300) coupled to the drive assembly (200) and moving linearly; and a plurality of valve assemblies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100) and having an opening valu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rrier assembly (300).
The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load in a device where weight is important, such as a launch vehicle, an aircraft, or a space probe, because two valve assemblies can be controlled simultaneously by one motor.

Description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launch vehicle}{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launch vehicle}

본 발명은 발사체에 사용되는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used in a launch vehicle.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부분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유량을 조절한다. 유체가 흐르는 부분의 면적은 핀틀의 스트로크를 변화시켜 구현한다. A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rate regulates the flow rate by changing the area of the fluid flow area. The area of the fluid flow area is implemented by changing the stroke of the pintle.

액체로켓엔진이나 항공기 엔진의 추력은 엔진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조절하므로 유량제어밸브는 엔진의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다. The thrust of a liquid rocket engine or aircraft engin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fluid supplied to the engine, so the flow control valve is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the engine.

일반적으로 밸브의 핀틀은 전동모터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하다. In general, the pintle of the valve can be easily controlled using an electric motor.

무게가 중요하지 않은 지상용 엔진은 유량제어 밸브마다 각각의 전동모터로 제어를 한다. For ground engines where weight is not important, each flow control valve is controlled by a separate electric motor.

그러나 발사체, 비행체 또는 우주탐사선과 같이 무게가 중요한 장치에서는 밸브마다 전동모터를 설치하면 무게가 증가되어 발사체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devices where weight is important, such as launch vehicles, aircraft, or space probes, installing an electric motor for each valve increases the weight, which has a problem in affecting the launch vehicl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495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2495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9870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9870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모터를 통해 복수개의 밸브를 조절할 수 있는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valves through a single motor.

본 발명은, 바디어셈블리(100);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직선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구동어셈블리(200); 상기 구동어셈블리(200)와 결합되어 직선이동되는 캐리어어셈블리(300);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의 이동에 따라 개도값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which comprises: a body assembly (100); a drive assembly (200)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100) and generating a linear stroke; a carrier assembly (300) coupled to the drive assembly (200) and moving linearly; and a plurality of valve assemblies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100) and having an opening valu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rrier assembly (300).

상기 바디어셈블리(10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메인바디(110)와, 상기 메인바디(110)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어셈블리(200)가 조립되는 서포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body assembly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10) that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 supporter (120) tha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to which the drive assembly (200) is assembled.

상기 구동어셈블리(20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결합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모터(210)와, 상기 전동모터(2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스크류드라이버(220)와,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와 치합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를 따라 직선이동되는 액추에이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riving assembly (200)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210)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operat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 screwdriver (220) 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210) and rotated, and an actuator (230) engaged with the screwdriver (220) and mov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screwdriver (220) when the screwdriver (220) rotates.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기 메인바디(110)를 관통하여 상기 서포터(12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The above screwdriver (220) can be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supporter (120) by penetrating the main body (110).

상기 밸브어셈블리는, 제 1 밸브어셈블리(400)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가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의 작동 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가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The above valve assembly includes a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a second valve assembly (500), and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carrier assembly (30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is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rrier assembly (300), and when the carrier assembly (300) operates,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can be controlled simultaneously.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230)와 조립되며, 상기 액추에이터(230)와 함께 이동되는 코어바디(350)와, 상기 코어바디(350) 및 액추에이터(230)를 조립시키는 메인조립부재(340)와, 상기 코어바디(35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 및 코어바디(350)를 조립시키는 제 1 조립부재(310)와, 상기 코어바디(35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 및 코어바디(350)를 조립시키는 제 2 조립부재(320)와, 상기 코어바디(3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110)를 관통하게 배치되는 메인로드(360)와, 상기 메인로드(360)에 결합된 로드가이드(370)와, 상기 로드가이드(370) 및 메인바디(1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가이드(370) 및 메인바디(11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80)와,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와 교차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에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캐리어(430)와,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와 교차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에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캐리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rier assembly (300)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assembled with the actuator (230), and includes a core body (350)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actuator (230), a main assembly member (340) that assembles the core body (350) and the actuator (230), a first assembly member (310) that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ore body (350) and assembles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the core body (350), a second assembly member (320) that is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body (350) and assembles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and the core body (350), and a second assembly member (320) that is coupled to the core body (350) and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110). It may include a main load (360), a load guide (370) coupled to the main load (360), an elastic member (380) disposed between the load guide (370) and the main body (110)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ad guide (370) and the main body (110), a first carrier (430) intersectingly assembled with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and providing a linear driving force to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a second carrier (530) intersectingly assembled with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and providing a linear driving force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상기 메인바디(110)는,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드라이버홀(111)과, 상기 메인로드(36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메인로드홀(112)과,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1 밸브홀(113)과,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2 밸브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driver hole (111) through which the screwdriver (22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ain rod hole (112) through which the main rod (36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valve hole (113) through which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valve hole (114) through which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액추에이터(230)는, 상기 코어바디(350)와 조립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아우터관통홀(231)이 형성되는 아우터액추에이터(232)와, 상기 아우터액추에이터(232)에 조립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이너관통홀(233)이 형성된 이너액추이이터(234)와, 상기 아우터액추에이터(2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와 조립되는 액추에이터조립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actuator (230) may include an outer actuator (232) assembled with the core body (350) and having an outer penetration hole (231) formed through which the screwdriver (22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inner actuator (234) assembled to the outer actuator (232) and having an inner penetration hole (233) formed through which the screwdriver (22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actuator assembly part (235) protruding forward from the outer actuator (232) and assembled with the carrier assembly (300).

상기 코어바디(350)는,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립부재(310)가 끼움결합되는 제 1 코어홈(351)과,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320)가 끼움결합되는 제 2 코어홈(352)과,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조립부재(340)가 끼움결합되는 메인코어홈(354)과, 상기 메인로드(36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코어로드홀(3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body (350) may include a first core groove (351)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into which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is fitted, a second core groove (352) arranged on the right side and into which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is fitted, a main core groove (354) arranged on the rear side and into which the main assembly member (340) is fitted, and a core rod hole (355) through which the main rod (36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고정되는 제 1 밸브하우징(410)과, 상기 제 1 밸브하우징(410)에 삽입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 1 핀틀(420)과, 상기 제 1 핀틀(420) 및 캐리어어셈블리(300)를 결합시키는 제 1 캐리어(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고정되는 제 2 밸브하우징(510)과, 상기 제 2 밸브하우징(510)에 삽입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 2 핀틀(520)과, 상기 제 2 핀틀(520) 및 캐리어어셈블리(300)를 결합시키는 제 2 캐리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alve assembly (400) may include a first valve housing (410) fixed to the main body (110), a first pintle (420) inserted into the first valve housing (410)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a first carrier (430) connecting the first pintle (420) and the carrier assembly (30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may include a second valve housing (510) fixed to the main body (110), a second pintle (520) inserted into the second valve housing (510)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a second carrier (530) connecting the second pintle (520) and the carrier assembly (300).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는 하나의 모터를 통해 2개의 밸브어셈블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사체, 비행체 또는 우주탐사선과 같이 무게가 중요한 장치에서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control two valve assemblies through one motor,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load in devices where weight is important, such as launch vehicles, aircraft, or space probes.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는 캐리어어셈블리(30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밸브어셈블리에서 각 핀틀의 축이 틀어지는 것을 조립부재의 탄성변형을 통해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because it can compensate for the axis of each pintle in a plurality of valve assemblies spaced apart from the carrier assembly (300)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assembly member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7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어셈블리의 작동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어셈블리의 작동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어셈블리의 작동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제 1 밸브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제 2 밸브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4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의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right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5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Figure 1.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8 is a right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9 is an opera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arrier assembly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10 is an operating plan view of the carrier assembly shown in Figure 1.
Figure 11 is an operational front view of the carrier assembly illustrated in Figure 1.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valve assembly illustrated in Fig. 7.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valve assembly illustrated in Fig. 7.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could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ould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configured to"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for example, hardware-wise or software-wise, "suitable for," "capable of," "modified to,"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can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doing so together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7는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우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어셈블리의 작동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어셈블리의 작동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어셈블리의 작동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제 1 밸브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제 2 밸브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ack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4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 FIG. 5 is a plan view of FIG. 1, FIG. 6 is a bottom view of FIG. 1,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FIG. 8 is a right side sectional view of FIG. 1, FIG. 9 is an opera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assembly illustrated in FIG. 1, FIG. 10 is an operational plan view of the carrier assembly illustrated in FIG. 1, FIG. 11 is an operational front view of the carrier assembly illustrated in FIG. 1,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first valve assembly illustrated in FIG. 7, and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second valve assembly illustrated in FIG. 7.

본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는, 바디어셈블리(100)와,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직선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구동어셈블리(200)와, 상기 구동어셈블리(200)와 결합되어 직선이동되는 캐리어어셈블리(300)와,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의 이동에 따라 개도값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한다.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body assembly (100), a drive assembly (200)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100) and generating a linear stroke, a carrier assembly (300) coupled to the drive assembly (200) and moving linearly, and a plurality of valve assemblies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100) and having an opening valu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rrier assembly (300).

상기 바디어셈블리(10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메인바디(110)와, 상기 메인바디(110)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어셈블리(200)가 조립되는 서포터(120)를 포함한다.The above body assembly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that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 supporter (120) tha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to which the drive assembly (200) is assembled.

상기 서포터(120)가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측에 조립된다. The above supporter (120) is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상기 구동어셈블리(20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결합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모터(210)와, 상기 전동모터(2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스크류드라이버(220)와,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와 치합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를 따라 직선이동되는 액추에이터(230)를 포함한다.The above driving assembly (2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includes an electric motor (210) operat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 screwdriver (220) 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210) and rotated, and an actuator (230) engaged with the screwdriver (220) and mov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screwdriver (220) when the screwdriver (220) rotates.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기 메인바디(110)를 관통하여 상기 서포터(12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above screwdriver (220) penetrates the main body (110) and is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supporter (120).

상기 밸브어셈블리는, 제 1 밸브어셈블리(400)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The above valve assembly includes a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a second valve assembly (500).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230)와 조립되며, 상기 액추에이터(230)와 함께 이동되는 코어바디(350)와, 상기 코어바디(350) 및 액추에이터(230)를 조립시키는 메인조립부재(340)와, 상기 코어바디(35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 및 코어바디(350)를 조립시키는 제 1 조립부재(310)와, 상기 코어바디(35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 및 코어바디(350)를 조립시키는 제 2 조립부재(320)와, 상기 코어바디(3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110)를 관통하게 배치되는 메인로드(360)와, 상기 메인로드(360)에 결합된 로드가이드(370)와, 상기 로드가이드(370) 및 메인바디(1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가이드(370) 및 메인바디(11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80)와,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와 교차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에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캐리어(430)와,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와 교차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에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캐리어(530)를 포함한다. The carrier assembly (300)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assembled with the actuator (230), and includes a core body (350)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actuator (230), a main assembly member (340) that assembles the core body (350) and the actuator (230), a first assembly member (310) that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ore body (350) and assembles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the core body (350), a second assembly member (320) that is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body (350) and assembles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and the core body (350), and a second assembly member (320) that is coupled to the core body (350) and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110). It includes a main load (360), a load guide (370) coupled to the main load (360), an elastic member (380) disposed between the load guide (370) and the main body (110)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ad guide (370) and the main body (110), a first carrier (430) intersectingly assembled with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and providing a linear driving force to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a second carrier (530) intersectingly assembled with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and providing a linear driving force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바디(110)는 탑뷰로 볼 때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but can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상기 메인바디(110)는,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드라이버홀(111)과, 상기 메인로드(36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메인로드홀(112)과,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1 밸브홀(113)과,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2 밸브홀(114)을 포함한다.The above main body (110) includes a driver hole (111) through which the screwdriver (22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ain rod hole (112) through which the main rod (36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valve hole (113) through which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valve hole (114) through which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드라이버홀(111)의 전방에 상기 메인로드홀(112)이 일렬 배치되고, 상기 제 1 밸브홀(113), 메인로드홀(112) 및 제 2 밸브홀(114)이 좌우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 The main load hole (112) is arranged in a row in front of the driver hole (111), and the first valve hole (113), the main load hole (112), and the second valve hole (114)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메인로드홀(112)의 좌측에 상기 제 1 밸브홀(113)이 배치되고, 상기 메인로드홀(112)의 우측에 상기 제 2 밸브홀(114)이 배치된다.The first valve hole (113)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load hole (112), and the second valve hole (114) is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load hole (112).

상기 서포터(120)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서포터탑(125)과, 상기 서포터탑(125)의 좌측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제 1 사이드서포터(121)와, 상기 서포터탑(125)의 우측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제 2 사이드서포터(122)와, 상기 서포터탑(125)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상단(220a)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서포터홀(126)을 포함한다. The above supporter (120) includes a supporter top (125) positioned opposit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first side supporter (121) bent downward from the left edge of the supporter top (125)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second side supporter (122) bent downward from the right edge of the supporter top (125)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supporter hole (126) penetrating the supporter top (125)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upper end (220a) of the screwdriver (220) is rotatably inserted.

상기 서포터(120)는 상기 제 1 사이드서포터(121)에서 좌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메인바디(110)와 체결결합되는 제 1 사이드결합부(121a)와, 상기 제 1 사이드서포터(121)에서 우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메인바디(110)와 체결결합되는 제 2 사이드결합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The above supporter (120) further includes a first side coupling portion (121a) that is bent to the left from the first side supporter (121) and fastened and connected with the main body (110), and a second side coupling portion (not shown) that is bent to the right from the first side supporter (121) and fastened and connected with the main body (110).

상기 제 1 사이드서포터(121) 및 제 2 사이드서포터(122) 사이에 서포터공간(124)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공간(124)에 상기 액추에이터(230)가 배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230)가 상기 서포터공간(124)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 supporter space (12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 supporter (121) and the second side supporter (122), and the actuator (230) is placed in the supporter space (124). The actuator (230)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er space (124).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상단(220a)이 상기 서포터(12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액추에이터(230)의 횡방향 이동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230)의 수직이동에 대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upper end (220a) of the screwdriver (220) is rotated while being fixed to the supporter (120), the lateral movement of the actuator (230) can be suppressed, and the precision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ctuator (230) can be improved.

특히, 상기 액추에이터(230)가 상기 서포터공간(124)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서포터(120)가 상기 액추에이터(230)를 보호할 수 있고, 외력 또는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파손의 위험을 낮출 수 있고, 작동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actuator (230) is placed in the supporter space (124), the supporter (120) can protect the actuator (230), reduce the risk of damage even when external force or impact occurs, and have the characteristic of ensuring operational reliability.

상기 전동모터(210)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드라이버홀(111)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above electric motor (210)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and specifically,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driver hole (111).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하단이 상기 전동모터(210)에 조립되어 회전되고, 상단이 상기 서포터홀(126)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The lower part of the above screwdriver (220) is assembled to the electric motor (210) and rotates, and the upper par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upporter hole (126).

상기 전동모터(210)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30)가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와 치합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회전 시 상기 액추에이터(230)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above electric motor (210) rotates, the screwdriver (220) can be rotated in place. The actuator (230) is engaged with the screwdriver (220), and when the screwdriver (220) rotates, the actuator (230) can be moved linearly in the up-and-down direction.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외주면에 치형이 형성된다.A tooth shap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 screwdriver (220).

상기 액추에이터(230)는, 상기 코어바디(350)와 조립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아우터관통홀(231)이 형성되는 아우터액추에이터(232)와, 상기 아우터액추에이터(232)에 조립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이너관통홀(233)이 형성된 이너액추이이터(234)와, 상기 아우터액추에이터(2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와 조립되는 액추에이터조립부(235)를 포함한다. The above actuator (230) includes an outer actuator (232) that is assembled with the core body (350) and has an outer penetration hole (231) formed through which the screwdriver (22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inner actuator (234) that is assembled to the outer actuator (232) and has an inner penetration hole (233) formed through which the screwdriver (22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actuator assembly part (235)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outer actuator (232) and is assembled with the carrier assembly (300).

상기 이너관통홀(233)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치형과 치합되며,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시킨다.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enetration hole (233), engages with the teeth of the screwdriver (220), and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crewdriver (220) into linear motion.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치합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와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A mating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a screwdriver (22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nd a tooth shape that meshes with the screwdriver (220) can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상기 코어바디(350)가 상기 메인조립부재(340)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230)와 일체로 조립된다.The above core body (350) is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actuator (230) through the main assembly member (340).

상기 코어바디(350)는 탑뷰로 볼 때, "ㅗ"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바디(350)는 견고한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The above core body (350) is formed in an “ㅗ”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above core body (350) is formed of a solid metal materi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메인조립부재(340), 제 1 조립부재(310) 및 제 2 조립부재(32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The above main assembly member (340), first assembly member (310), and second assembly member (320) ar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상기 코어바디(350)는,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립부재(310)가 끼움결합되는 제 1 코어홈(351)과,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320)가 끼움결합되는 제 2 코어홈(352)과,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조립부재(340)가 끼움결합되는 메인코어홈(354)과, 상기 메인로드(36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코어로드홀(355)을 포함한다. The core body (350) includes a first core groove (351)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into which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is fitted, a second core groove (352) arranged on the right side and into which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is fitted, a main core groove (354) arranged on the rear side and into which the main assembly member (340) is fitted, and a core rod hole (355) through which the main rod (36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코어홈(351)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으로 개구된다. The above first core home (351) is formed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opened to the left.

상기 제 2 코어홈(352)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으로 개구된다. The above second core home (352) is formed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opened to the left.

상기 메인코어홈(354)이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후방측으로 개구된다. The above main core home (354) is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opened toward the rea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의 조립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 1 코어홈(351)이 전후 방향으로도 개구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의 조립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 2 코어홈(352)이 전후 방향으로도 개구되고, 상기 메인조립부재(340)의 조립편의성을 위해, 상기 메인코어홈(354)이 후방으로도 개구된다. In this embodiment,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ing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the first core home (351) is ope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ing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the second core home (352) is ope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ing the main assembly member (340), the main core home (354) is opened in the rear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코어홈(351)은 좌측이 잘린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의 축중심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코어홈(352)은 우측이 잘린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의 축중심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메인코어홈(354)은 배면이 잘린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의 축중심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re home (35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left side cut off, and the axis center of the cylinder is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second core home (35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right side cut off, and the axis center of the cylinder is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main core home (35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back side cut off, and the axis center of the cylinder is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제 1 조립부재(310), 제 2 조립부재(320) 및 메인조립부재(340)는 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above first assembly member (310), second assembly member (320), and main assembly member (340) are formed in a columnar shape.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에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와 끼움결합되는 제 1 조립부재홈(31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립부재홈(315)이 좌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A first assembly member groove (315) that is fit-fitted with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and the first assembly member groove (315) is positioned facing the left.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에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와 끼움결합되는 제 2 조립부재홈(32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홈(325)이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A second assembly member groove (325) is formed in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to be fitted with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groove (325) is positioned facing the right.

상기 메인조립부재(340)에 상기 액추에이터(230)과 끼움결합되는 메인조립부재홈(345)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조립부재홈(345)이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다. A main assembly member groove (345) that is fit-fitted with the actuator (230) is formed in the main assembly member (340), and the main assembly member groove (345) is positioned facing rearward.

상기 메인조립부재홈(345)에 상기 액추에이터(230)의 액추에이터조립부(235)가 끼움결합된다. The actuator assembly part (235) of the actuator (230) is fitted into the main assembly member home (345).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바디(11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형되어 상기 메인로드홀(112)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로드(360)가 관통되는 메인바디하우징(115)를 더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10) is concavely shaped downward to form the main rod hole (112) and further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15) through which the main rod (360) passes.

상기 메인바디하우징(115)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 제 1 바디하우징부(115a)와, 상기 제 1 바디하우징부(115a)의 저면을 형성하는 제 2 바디하우징부(115b)를 포함한다. The above main body housing (11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first body housing part (115a) with upper and lower sides open, and a second body housing part (115b)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housing part (115a).

상기 메인바디하우징(115)의 내부에 상기 메인로드(360)를 감싸 마찰을 저감시키는 로드베어링(390)이 더 배치된다. 상기 로드베어링(390)이 상기 메인바디하우징(115)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바디하우징부(115b)지지된다. A load bearing (390) is further placed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115) to reduce friction by wrapping the main load (360). The load bearing (39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15) and supported by the second body housing part (115b).

상기 메인바디하우징(115)의 상측 개구면이 상기 메인로드홀(112)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바디하우징부(115b)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디하우징관통홀(1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로드(360)가 상기 바디하우징관통홀(116)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above main body housing (115) forms the main rod hole (112). The second body housing portion (115b) further includes a body housing penetration hole (116) that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ain rod (360)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body housing penetration hole (116).

상기 탄성부재(380)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A coil spring is used as the above elastic member (380).

상기 탄성부재(380)의 상단이 상기 제 2 바디하우징부(115b)의 저면에 지지된다. The upper end of the above elastic member (380)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housing part (115b).

상기 로드가이드(370)는 상기 메인로드(360)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로드가이드하우징(372)과, 상기 로드가이드하우징(372)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로드가이드지지부(374)를 포함한다. The above load guide (370) includes a load guide housing (372) through which the main load (360) passes, and a load guide support part (374)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load guide housing (372).

상기 탄성부재(380)의 하단이 상기 로드가이드지지부(374)에 지지된다. The lower end of the above elastic member (380) is supported on the load guide support member (374).

상기 로드가이드(370)가 상기 메인로드(360)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로드(360)의 하측에 조립되고, 상기 로드가이드지지부(374)를 지지하는 로드가이드스토퍼(376)를 더 포함한다.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load guide (370) from moving along the main load (360), a load guide stopper (376) is further included, which is assemb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load (360) and supports the load guide support member (374).

그래서 상기 탄성부재(380)는 상기 메인바디하우징(115) 및 로드가이드지지부(374)를 탄성지지하고, 의도치 않은 상기 메인로드(360)의 상하 이동 또는 진동을 억제하여 유량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380) has the characteristic of elastically supporting the main body housing (115) and the rod guide support member (374) and suppressing unintended up-and-down movement or vibration of the main rod (360), thereby improving the precision of flow control.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고정되는 제 1 밸브하우징(410)과, 상기 제 1 밸브하우징(410)에 삽입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 1 핀틀(420)과, 상기 제 1 핀틀(420) 및 캐리어어셈블리(300)를 결합시키는 제 1 캐리어(430)를 포함한다.The above first valve assembly (400) includes a first valve housing (410) fixed to the main body (110), a first pintle (420) inserted into the first valve housing (410)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a first carrier (430) that connects the first pintle (420) and the carrier assembly (300).

상기 제 1 캐리어(430)가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의 제 1 조립부재홈(315)에 끼움결합된다.The above first carrier (430) is fitted into the first assembly member groove (315) of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상기 제 1 캐리어(430)는, 상기 제 1 핀틀(42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1 캐리어바디부(432)와, 상기 제 1 캐리어바디부(432)에서 수평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의 제 1 조립부재홈(315)에 끼움결합되는 제 1 캐리어조립부(435)와, 상기 제 1 캐리어바디부(4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핀틀(420)이 삽입되는 제 1 캐리어홀(434)를 포함한다. The first carrier (430) includes a first carrier body part (432) through which the first pintle (420) is arranged to pass through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carrier assembly part (435) that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first carrier body part (432) and is fitted into the first assembly part groove (315) of the first assembly part (310), and a first carrier hole (434) tha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first carrier body part (432)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irst pintle (420) is inserted.

상기 제 1 캐리어(43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바디(350)의 상하 이동에 따른 변위를 상기 제 1 핀틀(42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carrier (430) is formed of a solid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to transmit displacement resulting from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core body (350) to the first pintle (420).

상기 제 1 조립부재(310)가 탄성이 없거나 극히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작오차, 조립오차, 열변형 또는 작동 시 상기 제 1 핀틀(420)의 축이 틀어지는 경우에 상기 제 1 핀틀(420)이 제 1 밸브하우징(41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여 작동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If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no elasticity or extremely low elasticity,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first pintle (420) forms a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first valve housing (410) and the operation stops due to manufacturing errors, assembly errors, thermal deformation, or when the axis of the first pintle (420) is twisted during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 1 조립부재(310)가 상기 코어바디(350) 및 제 1 캐리어(430)의 상대 변위 또는 상대 회전에 따른 차이를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핀틀(420)의 축이 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in relative displacement or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ore body (350) and the first carrier (430), thereby suppressing the axis of the first pintle (420) from being twisted.

상기 제 1 핀틀(420)이 최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밸브하우징(410) 내부에 높은 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핀틀(420)은 상기 제 1 밸브하우징(410) 밖으로 나가려는 힘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스크류드라이버(220) 하부에 모멘트가 발생하여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파손될 수 있다. When high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first valve housing (410) while the first pintle (420) is moved to the maximum, a force is generated on the first pintle (420) to move out of the first valve housing (410), and accordingly, a moment is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wdriver (220), which may cause the screwdriver (220) to be damag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포터(120)로 스크류드라이버(220)를 지지하여 스크류드라이버(2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o prevent this, the screwdriver (220)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er (120) to prevent damage to the screwdriver (220).

상기 제 1 핀틀(420)은, 상기 제 1 캐리어바디부(4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1 핀틀바디부(422)와, 상기 제 1 핀틀바디부(422)의 하단에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밸브하우징(410) 내부에 삽입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제 1 유량조절부(424)를 포함한다. The first pintle (420) includes a first pintle body part (422) that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first carrier body part (43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flow rate control part (424) that is formed pointedly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ntle body part (422)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valve housing (410) to control the flow rate.

상기 제 1 핀틀바디부(422)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above first pintle body part (422) is formed in an overall cylindrical shape.

상기 제 1 유량조절부(424)는 하측이 뾰족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above first flow control unit (424) is formed in a cone shape with a pointed lower 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핀틀바디부(422)를 상기 제 1 캐리어바디부(432)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핀틀바디부(422)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1 캐리어바디부(432)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 1 로어핀틀너트(426)와, 상기 제 1 핀틀바디부(422)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1 캐리어바디부(4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 어퍼핀틀너트(428)을 더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ecure the first pintle body part (422) to the first carrier body part (432), a first lower pintle nut (426) that is screw-connected with the first pintle body part (422)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body part (432), and a first upper pintle nut (428) that is screw-connected with the first pintle body part (422)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body part (432) are further included.

상기 제 1 밸브하우징(410)은 상기 메인바디(1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 1 밸브바디(415)와, 상기 제 1 밸브바디(415)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로 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핀틀(420)이 상하로 이동되어 내부 단면을 가변시키는 제 1 유체조절중공(411)과, 상기 제 1 밸브바디(415)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 1 유체조절중공(4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유체가 공급되는 제 1 유체공급홀(412)과, 상기 제 1 유체조절중공(411)과 연통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유체가 토출되는 제 1 유체토출중공(413)을 포함한다. The first valve housing (410) includes a first valve body (415)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first fluid regulating hollow (411) formed so as to be concav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alve body (415) and having a cross-section that narrows downwardly, and in which the first pintle (420) moves up and down to vary the internal cross-section, a first fluid supply hole (41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valve body (415)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luid regulating hollow (411) and through which fluid is supplied, and a first fluid discharge hollow (413) formed so as to be concave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 cross-section that narrows upwardly, and through which fluid is discharged.

상기 제 1 유체조절중공(411) 및 제 1 유체토출중공(413)의 사이에 제 1 넥(41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넥(414)이 상기 제 1 유체조절중공(411) 및 제 1 유체토출중공(413)의 최소단면적을 형성한다. A first neck (41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uid control cavity (411) and the first fluid discharge cavity (413). The first neck (414) forms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fluid control cavity (411) and the first fluid discharge cavity (413).

상기 제 1 유체조절중공(411)의 하부가 상기 제 1 넥(414)을 향해 단면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체토출중공(413)의 상부가 상기 제 1 넥(414)을 향해 단면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luid control cavity (411)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whose cross-section narrows toward the first neck (414),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luid discharge cavity (413)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whose cross-section narrows toward the first neck (414).

상기 제 1 넥(414)의 단면적이 상기 제 1 유량조절부(424)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량조절부(424)가 상기 제 1 넥(414)을 폐쇄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neck (414) is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flow control unit (424), and the first flow control unit (424) can close the first neck (414).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밸브홀(113)을 통해 상기 제 1 유체조절중공(411)으로 삽입되고, 상기 메인바디(110)에 지지되며, 상기 제 1 핀틀(420)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 1 밸브커버(440)와, 상기 제 1 핀틀(42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밸브커버(440)의 상측에 밀착되는 제 1 어퍼부시(450)와, 상기 제 1 핀틀(42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밸브커버(440)의 하측에 밀착되는 제 1 로어부시(460)를 더 포함한다.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further includes a first valve cover (440)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fluid control hollow (411) through the first valve hole (113), is supported by the main body (110), and has the first pintle (420) positioned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 first upper bushing (450) that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intle (4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alve cover (440), and a first lower bushing (460) that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intle (4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valve cover (440).

상기 제 1 밸브커버(44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above first valve cover (44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제 1 밸브커버(440)는, 상기 제 1 밸브홀(113)에 삽입되어 끼움고정되고, 중심에 상기 제 1 핀틀(420)이 관통되는 제 1 밸브커버홀(441)이 형성되는 제 1 밸브커버바디부(442)와, 상기 제 1 밸브커버바디부(442)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측면에 지지되는 제 1 밸브커버지지부(444)와, 상기 제 1 밸브커버바디부(442)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핀틀(4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 1 밸브커버밀착부(445)를 포함한다. The first valve cover (440) includes a first valve cover body part (442)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rst valve hole (113) and has a first valve cover hole (441)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first pintle (420) penetrates, a first valve cover support part (444) that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valve cover body part (442)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first valve cover contact part (445)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alve cover body part (44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ntle (420).

상기 제 1 어퍼부시(450)가 상기 제 1 밸브커버홀(441)의 상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밸브커버밀착부(445)에 지지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upper bush (450)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alve cover hole (441) and supported by the first valve cover contact portion (445).

상기 제 1 밸브커버홀(441)에 상기 제 1 어퍼부시(4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어퍼지지링(452)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어퍼지지링(452)이 상기 제 1 밸브커버홀(441)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A first upper support ring (452) may be further placed in the first valve cover hole (441) to prevent the first upper bushing (450) from being detached, and the first upper support ring (452) may be fitted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alve cover hole (441).

상기 제 1 로어부시(460)가 상기 제 1 밸브커버홀(441)의 하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밸브커버밀착부(445)에 지지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lower bushing (460)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valve cover hole (441) and supported by the first valve cover contact portion (445).

상기 제 1 밸브커버홀(441)에 상기 제 1 로어부시(4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로어지지링(462)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로어지지링(462)이 상기 제 1 밸브커버홀(441)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A first lower support ring (462) may be further placed in the first valve cover hole (441) to prevent the first lower bushing (460) from coming off, and the first lower support ring (462) may be fitted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alve cover hole (441).

상술한 구조를 통해 상기 제 1 핀틀(420)이 직선이동되더라도 유체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even if the first pintle (420) moves in a straight line, leakage of fluid can be suppressed.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는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의 구성과 동일하단. The above second valve assembly (5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 first valve assembly (400).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고정되는 제 2 밸브하우징(510)과, 상기 제 2 밸브하우징(510)에 삽입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 2 핀틀(520)과, 상기 제 2 핀틀(520) 및 캐리어어셈블리(300)를 결합시키는 제 2 캐리어(530)를 포함한다.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includes a second valve housing (510) fixed to the main body (110), a second pintle (520) inserted into the second valve housing (510)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a second carrier (530) that connects the second pintle (520) and the carrier assembly (300).

상기 제 2 캐리어(530)가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의 제 2 조립부재홈(325)에 끼움결합된다.The above second carrier (530) is fitted into the second assembly member groove (325) of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상기 제 2 캐리어(530)는, 상기 제 2 핀틀(52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2 캐리어바디부(532)와, 상기 제 2 캐리어바디부(532)에서 수평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의 제 2 조립부재홈(325)에 끼움결합되는 제 2 캐리어조립부(535)와, 상기 제 2 캐리어바디부(5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핀틀(520)이 삽입되는 제 2 캐리어홀(534)를 포함한다. The second carrier (530) includes a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through which the second pintle (520) is positioned to pass vertically, a second carrier assembly part (535) that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and is fitted into the second assembly part groove (325) of the second assembly part (320), and a second carrier hole (534) that is formed to pass vertically through the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and into which the second pintle (520) is inserted.

상기 제 2 캐리어(53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바디(350)의 상하 이동에 따른 변위를 상기 제 2 핀틀(52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second carrier (530) is formed of a solid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to transmit displacement resulting from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core body (350) to the second pintle (520).

상기 제 2 조립부재(320)가 탄성이 없거나 극히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작오차, 조립오차, 열변형 또는 작동 시 상기 제 2 핀틀(520)의 축이 틀어지는 경우에 상기 제 2 핀틀(520)이 제 2 밸브하우징(51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여 작동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If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no elasticity or extremely low elasticity,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second pintle (520) forms a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valve housing (510) and the operation stops due to manufacturing errors, assembly errors, thermal deformation, or when the axis of the second pintle (520) is twisted during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 2 조립부재(320)가 상기 코어바디(350) 및 제 2 캐리어(530)의 상대 변위 또는 상대 회전에 따른 차이를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핀틀(520)의 축이 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in relative displacement or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ore body (350) and the second carrier (530), thereby suppressing the axis of the second pintle (520) from being twisted.

상기 제 2 핀틀(520)이 최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밸브하우징(510) 내부에 높은 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2 핀틀(520)은 상기 제 2 밸브하우징(510) 밖으로 나가려는 힘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스크류드라이버(220) 하부에 모멘트가 발생하여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파손될 수 있다. When high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second valve housing (510) while the second pintle (520) is moved to the maximum, a force is generated to cause the second pintle (520) to move out of the second valve housing (510), and accordingly, a moment is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wdriver (220), which may cause the screwdriver (220) to be damag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포터(120)로 스크류드라이버(220)를 지지하여 스크류드라이버(2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o prevent this, the screwdriver (220)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er (120) to prevent damage to the screwdriver (220).

상기 제 2 핀틀(520)은, 상기 제 2 캐리어바디부(5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2 핀틀바디부(522)와, 상기 제 2 핀틀바디부(522)의 하단에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밸브하우징(510) 내부에 삽입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제 2 유량조절부(524)를 포함한다. The second pintle (520) includes a second pintle body part (522) that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flow rate control part (524) that is formed pointedly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intle body part (522)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valve housing (510) to control the flow rate.

상기 제 2 핀틀바디부(522)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above second pintle body part (522) is formed in an overall cylindrical shape.

상기 제 2 유량조절부(524)는 하측이 뾰족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above second flow control unit (524) is formed in a cone shape with a pointed lower 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핀틀바디부(522)를 상기 제 2 캐리어바디부(532)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핀틀바디부(522)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2 캐리어바디부(532)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 2 로어핀틀너트(526)와, 상기 제 2 핀틀바디부(522)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2 캐리어바디부(5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2 어퍼핀틀너트(528)을 더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ecure the second pintle body part (522) to the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a second lower pintle nut (526) that is screw-connected with the second pintle body part (522)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and a second upper pintle nut (528) that is screw-connected with the second pintle body part (522)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are further included.

상기 제 2 밸브하우징(510)은 상기 메인바디(1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 2 밸브바디(515)와, 상기 제 2 밸브바디(515)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로 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핀틀(520)이 상하로 이동되어 내부 단면을 가변시키는 제 2 유체조절중공(511)과, 상기 제 2 밸브바디(515)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 2 유체조절중공(5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유체가 공급되는 제 2 유체공급홀(512)과, 상기 제 2 유체조절중공(511)과 연통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유체가 토출되는 제 2 유체토출중공(513)을 포함한다. The second valve housing (510) includes a second valve body (515)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second fluid regulating hollow (511) formed so as to be concav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valve body (515) and having a cross-section that narrows downwardly, and in which the second pintle (520) moves up and down to vary the internal cross-section, a second fluid supply hole (51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valve body (515)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fluid regulating hollow (511) and through which fluid is supplied, and a second fluid discharge hollow (513) formed so as to be concave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 cross-section that narrows upwardly, and through which fluid is discharged.

상기 제 2 유체조절중공(511) 및 제 2 유체토출중공(513)의 사이에 제 2 넥(51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넥(514)이 상기 제 2 유체조절중공(511) 및 제 2 유체토출중공(513)의 최소단면적을 형성한다. A second neck (514)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luid control cavity (511) and the second fluid discharge cavity (513). The second neck (514) forms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fluid control cavity (511) and the second fluid discharge cavity (513).

상기 제 2 유체조절중공(511)의 하부가 상기 제 2 넥(514)을 향해 단면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체토출중공(513)의 상부가 상기 제 2 넥(514)을 향해 단면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luid control cavity (511)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whose cross-section narrows toward the second neck (514),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luid discharge cavity (513)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whose cross-section narrows toward the second neck (514).

상기 제 2 넥(514)의 단면적이 상기 제 2 유량조절부(524)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량조절부(524)가 상기 제 2 넥(514)을 폐쇄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neck (514) is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524), and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524) can close the second neck (514).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는, 상기 제 2 밸브홀(114)을 통해 상기 제 2 유체조절중공(511)으로 삽입되고, 상기 메인바디(110)에 지지되며, 상기 제 2 핀틀(520)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 2 밸브커버(540)와, 상기 제 2 핀틀(52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밸브커버(540)의 상측에 밀착되는 제 2 어퍼부시(550)와, 상기 제 2 핀틀(52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밸브커버(540)의 하측에 밀착되는 제 2 로어부시(560)를 더 포함한다.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further includes a second valve cover (540) tha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luid control hollow (511) through the second valve hole (114), is supported by the main body (110), and has the second pintle (520) positioned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 second upper bushing (550) that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intle (5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alve cover (540), and a second lower bushing (560) that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intle (5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valve cover (540).

상기 제 2 밸브커버(54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above second valve cover (54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제 2 밸브커버(540)는, 상기 제 2 밸브홀(114)에 삽입되어 끼움고정되고, 중심에 상기 제 2 핀틀(520)이 관통되는 제 2 밸브커버홀(541)이 형성되는 제 2 밸브커버바디부(542)와, 상기 제 2 밸브커버바디부(542)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측면에 지지되는 제 2 밸브커버지지부(544)와, 상기 제 2 밸브커버바디부(542)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핀틀(5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 2 밸브커버밀착부(545)를 포함한다. The second valve cover (540) includes a second valve cover body part (542)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cond valve hole (114) and has a second valve cover hole (541)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second pintle (520) penetrates, a second valve cover support part (544) that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alve cover body part (542)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second valve cover contact part (545)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alve cover body part (54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intle (520).

상기 제 2 어퍼부시(550)가 상기 제 2 밸브커버홀(541)의 상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2 밸브커버밀착부(545)에 지지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upper bush (550)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alve cover hole (541) and supported by the second valve cover contact portion (545).

상기 제 2 밸브커버홀(541)에 상기 제 2 어퍼부시(5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어퍼지지링(552)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어퍼지지링(552)이 상기 제 2 밸브커버홀(541)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A second upper support ring (552) may be further placed in the second valve cover hole (541) to prevent the second upper bushing (550) from coming off,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ring (552) may be fitted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alve cover hole (541).

상기 제 2 로어부시(560)가 상기 제 2 밸브커버홀(541)의 하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2 밸브커버밀착부(545)에 지지될 수 있다.The above second lower bushing (560)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valve cover hole (541) and supported by the second valve cover contact portion (545).

상기 제 2 밸브커버홀(541)에 상기 제 2 로어부시(5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로어지지링(562)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로어지지링(562)이 상기 제 2 밸브커버홀(541)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A second lower support ring (562) may be further placed in the second valve cover hole (541) to prevent the second lower bushing (560) from coming off,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ring (562) may be fitted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alve cover hole (541).

상술한 구조를 통해 상기 제 2 핀틀(520)이 직선이동되더라도 유체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even if the second pintle (520) moves in a straight line, leakage of fluid can be suppressed.

본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는 하나의 모터를 통해 2개의 밸브어셈블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사체, 비행체 또는 우주탐사선과 같이 무게가 중요한 장치에서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eature of minimizing the load in a weight-critical device such as a launch vehicle, an aircraft, or a space probe because it can control two valve assemblies simultaneously through one motor.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는 캐리어어셈블리(30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밸브어셈블리에서 각 핀틀의 축이 틀어지는 것을 조립부재의 탄성변형을 통해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the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characteristic of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because it can compensate for the axis of each pintle in a plurality of valve assemblies spaced apart from the carrier assembly (300)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assembly members.

도 14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의 사시도이다.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는, 바디어셈블리(100)와,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직선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구동어셈블리(200)와, 상기 구동어셈블리(200)와 결합되어 직선이동되는 캐리어어셈블리(300)와,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의 이동에 따라 개도값이 조절되는 제 1 밸브어셈블리(400), 제 2 밸브어셈블리(500) 및 제 3 밸브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body assembly (100), a drive assembly (200)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100) and generating a linear stroke, a carrier assembly (300) coupled to the drive assembly (200) and moving linearly, and a first valve assembly (400), a second valve assembly (500), and a third valve assembly (600) coupled to the body assembly (100) and having an opening valu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rrier assembly (300).

상기 제 3 밸브어셈블리(600)의 구성은 제 1 밸브어셈블리(400) 또는 제 2 밸브어셈블리(500)의 구성과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third valve assembly (600)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or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코어바디(350)의 전방에 상기 제 3 밸브어셈블리(600)가 조립되고, 상기 코어바디(350)의 상하 스트로크에 따라 상기 제 3 밸브어셈블리(600)의 제 3 핀틀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valve assembly (600) is assembled in front of the core body (350), and the third pintle of the third valve assembly (60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stroke of the core body (350) to control the flow rate.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by equivalents of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바디어셈블리
200 : 구동어셈블리
300 : 캐리어어셈블리
400 : 제 1 밸브어셈블리
500 : 제 2 밸브어셈블리
600 : 제 3 밸브어셈블리
100 : Body Assembly
200 : Drive Assembly
300 : Carrier Assembly
400: 1st valve assembly
500: 2nd valve assembly
600: 3rd valve assembly

Claims (10)

발사체를 위한 전동밸브에 있어서,
바디어셈블리(100);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직선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구동어셈블리(200);
상기 구동어셈블리(200)와 결합되어 직선이동되는 캐리어어셈블리(300);
상기 바디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의 이동에 따라 개도값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어셈블리는, 제 1 밸브어셈블리(400)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가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의 작동 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가 동시에 제어되고,
상기 바디어셈블리(10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메인바디(110)와, 상기 메인바디(110)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어셈블리(200)가 조립되는 서포터(12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어셈블리(20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결합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모터(210)와, 상기 전동모터(2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스크류드라이버(220)와,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와 치합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를 따라 직선이동되는 액추에이터(230)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230)와 조립되며, 상기 액추에이터(230)와 함께 이동되는 코어바디(350)와, 상기 코어바디(350) 및 액추에이터(230)를 조립시키는 메인조립부재(340)와, 상기 코어바디(35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 및 코어바디(350)를 조립시키는 제 1 조립부재(310)와, 상기 코어바디(35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 및 코어바디(350)를 조립시키는 제 2 조립부재(320)와, 상기 코어바디(3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110)를 관통하게 배치되는 메인로드(360)와, 상기 메인로드(360)에 결합된 로드가이드(370)와, 상기 로드가이드(370) 및 메인바디(1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가이드(370) 및 메인바디(11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80)와,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와 교차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에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캐리어(430)와,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와 교차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에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캐리어(530)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바디(350)는,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립부재(310)가 끼움결합되는 제 1 코어홈(351)과,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320)가 끼움결합되는 제 2 코어홈(352)과,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조립부재(340)가 끼움결합되는 메인코어홈(354)과, 상기 메인로드(36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코어로드홀(35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어홈(351)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 2 코어홈(352)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메인코어홈(354)이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후방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고정되는 제 1 밸브하우징(410)과, 상기 제 1 밸브하우징(410)에 삽입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 1 핀틀(420)과, 상기 제 1 핀틀(420) 및 캐리어어셈블리(300)를 결합시키는 제 1 캐리어(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 고정되는 제 2 밸브하우징(510)과, 상기 제 2 밸브하우징(510)에 삽입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 2 핀틀(520)과, 상기 제 2 핀틀(520) 및 캐리어어셈블리(300)를 결합시키는 제 2 캐리어(53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조립부재(340), 제 1 조립부재(310) 및 제 2 조립부재(320)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에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와 끼움결합되는 제 1 조립부재홈(31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립부재홈(315)이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에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와 끼움결합되는 제 2 조립부재홈(32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홈(325)이 우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캐리어(430)는,
상기 제 1 핀틀(42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1 캐리어바디부(432)와, 상기 제 1 캐리어바디부(432)에서 수평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 1 조립부재(310)의 제 1 조립부재홈(315)에 끼움결합되는 제 1 캐리어조립부(435)와, 상기 제 1 캐리어바디부(4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핀틀(420)이 삽입되는 제 1 캐리어홀(43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캐리어(530)는,
상기 제 2 핀틀(52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2 캐리어바디부(532)와, 상기 제 2 캐리어바디부(532)에서 수평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 2 조립부재(320)의 제 2 조립부재홈(325)에 끼움결합되는 제 2 캐리어조립부(535)와, 상기 제 2 캐리어바디부(5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핀틀(520)이 삽입되는 제 2 캐리어홀(534)를 포함하고,
탄성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 1 조립부재(310)가 상기 코어바디(350) 및 제 1 캐리어(430)의 상대 변위 또는 상대 회전에 따른 차이를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핀틀(420)의 축이 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탄성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 2 조립부재(320)가 상기 코어바디(350) 및 제 2 캐리어(530)의 상대 변위 또는 상대 회전에 따른 차이를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핀틀(520)의 축이 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
In an electric valve for a projectile,
Body assembly (100);
A driving assembly (200) coupled to the above body assembly (100) and generating a straight stroke;
A carrier assembly (300) that is coupled with the above driving assembly (200) and moves in a straight line;
It includes a plurality of valve assemblies, which are coupled to the above body assembly (100) and whose opening valu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rrier assembly (300);
The above valve assembly includes a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a second valve assembly (500).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carrier assembly (300)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and when the carrier assembly (300) operates,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are simultaneously controlled.
The above body assembly (100) is
It includes a main body (110) that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 supporter (120) tha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to which the driving assembly (200) is assembled.
The above driving assembly (200) is
It includes an electric motor (210)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operated by an authorized power source, a screwdriver (220) 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210) and rotated, and an actuator (230) engaged with the screwdriver (220) and mov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screwdriver (220) when the screwdriver (220) rotates.
The above carrier assembly (300) is
A core body (350)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ssembled with the actuator (230), and moved together with the actuator (230), a main assembly member (340) that assembles the core body (350) and the actuator (230), a first assembly member (310)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ore body (350) and that assembles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the core body (350), a second assembly member (320)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e body (350) and that assembles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and the core body (350), a main rod (360) that is coupled to the core body (350) and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110), and It includes a load guide (370) coupled to a main load (360), an elastic member (380) disposed between the load guide (370) and the main body (110)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ad guide (370) and the main body (110), a first carrier (430) intersectingly assembled with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and providing a linear driving force to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a second carrier (530) intersectingly assembled with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and providing a linear driving force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The core body (350) includes a first core groove (351)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into which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is fitted, a second core groove (352) arranged on the right side and into which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is fitted, a main core groove (354) arranged on the rear side and into which the main assembly member (340) is fitted, and a core rod hole (355) through which the main rod (360)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bove first core home (351) is formed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opened to the left,
The above second core home (352) is formed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opened to the left,
The above main core home (354) is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opened toward the rear,
The above first valve assembly (400) includes a first valve housing (410) fixed to the main body (110), a first pintle (420) inserted into the first valve housing (410)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a first carrier (430) that connects the first pintle (420) and the carrier assembly (300).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includes a second valve housing (510) fixed to the main body (110), a second pintle (520) inserted into the second valve housing (510)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a second carrier (530) that connects the second pintle (520) and the carrier assembly (300).
The above main assembly member (340),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ar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 first assembly member groove (315)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to be fitted with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and the first assembly member groove (315) is positioned facing the left side.
A second assembly member groove (325) is formed in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to be fitted with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groove (325) is positioned facing the right side.
The above first carrier (430) is,
The first carrier body part (432) through which the first pintle (420) is arrang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carrier assembly part (435) that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first carrier body part (432) and is fitted into the first assembly part groove (315) of the first assembly part (310), and the first carrier hole (434) that is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carrier body part (43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irst pintle (420) is inserted,
The above second carrier (530) is,
The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through which the second pintle (520) is arrang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carrier assembly part (535) that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and is fitted into the second assembly part groove (325) of the second assembly part (320), and the second carrier hole (534) that is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carrier body part (53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second pintle (520) is inserted,
The first assembly member (310)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lative displacement or relative rotation of the core body (350) and the first carrier (430), thereby preventing the axis of the first pintle (420) from being twisted.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wherein the second assembly member (320)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lative displacement or relative rotation of the core body (350) and the second carrier (530), thereby preventing the axis of the second pintle (520) from being twis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기 메인바디(110)를 관통하여 상기 서포터(12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
In claim 1,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projectile in which the screwdriver (220) penetrates the main body (110) and is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supporter (1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10)는,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드라이버홀(111)과, 상기 메인로드(36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메인로드홀(112)과,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40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1 밸브홀(113)과,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50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2 밸브홀(114)을 포함하는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
In claim 4,
The above main body (110) is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comprising a driver hole (111) through which the screwdriver (220)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ain rod hole (112) through which the main rod (360)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valve hole (113) through which the first valve assembly (400)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valve hole (114) through which the second valve assembly (500)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30)는,
상기 코어바디(350)와 조립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아우터관통홀(231)이 형성되는 아우터액추에이터(232)와, 상기 아우터액추에이터(232)에 조립되고, 상기 스크류드라이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이너관통홀(233)이 형성된 이너액추이이터(234)와, 상기 아우터액추에이터(2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캐리어어셈블리(300)와 조립되는 액추에이터조립부(235)를 포함하는 발사체를 위한 다중 유량제어 전동밸브.
In claim 7,
The above actuator (230) is
A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a launch vehicle, comprising: an outer actuator (232) assembled with the core body (350) and having an outer penetration hole (231) formed through which the screwdriver (220)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inner actuator (234) assembled to the outer actuator (232) and having an inner penetration hole (233) formed through which the screwdriver (220)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actuator assembly (235) protruding forward from the outer actuator (232) and assembled with the carrier assembly (30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40148273A 2024-10-28 2024-10-28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launch vehicle Active KR1027980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48273A KR102798096B1 (en) 2024-10-28 2024-10-28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launch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48273A KR102798096B1 (en) 2024-10-28 2024-10-28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launch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98096B1 true KR102798096B1 (en) 2025-04-22

Family

ID=9560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48273A Active KR102798096B1 (en) 2024-10-28 2024-10-28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launch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9809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8115A1 (en) * 2002-02-14 2003-09-11 Jansen Harvey B. Multi-channel pintle valve
KR101324957B1 (en) 2009-08-27 2013-11-04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low rate control valve
KR20210154441A (en) * 2020-06-12 2021-12-21 한국기계연구원 Electrically driven linear actuator
KR102398700B1 (en) 2017-06-09 2022-05-17 가부시키가이샤 니혼피스코 Flow control 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8115A1 (en) * 2002-02-14 2003-09-11 Jansen Harvey B. Multi-channel pintle valve
KR101324957B1 (en) 2009-08-27 2013-11-04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low rate control valve
KR102398700B1 (en) 2017-06-09 2022-05-17 가부시키가이샤 니혼피스코 Flow control valve
KR20210154441A (en) * 2020-06-12 2021-12-21 한국기계연구원 Electrically driven linear actu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6203B2 (en) Servo valve for controlling the fuel injecto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67767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11053819B2 (en) Valve bridge systems comprising valve bridge guide
JP2023503404A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US5213072A (en) Valve actuating mechanism in the cylinder head of a combustion engine
WO2010144559A2 (en) Piezoelectric direct acting fuel injector with hydraulic link
US10883392B2 (en) Valve bridge systems comprising valve bridge guide
KR102798096B1 (en) Multi-flow control electric valve for launch vehicle
JP7684476B2 (en) Valve bridge system to resist uncontrolled movement of the valve bridge
JP4417181B2 (en) Motor bearing holding structure
JP6302486B2 (en) FUEL INJECTION DEVICE HAVING FUEL GUIDING COMPONENT, FUEL INJECTION VALVE, AND CONNECTING MEMBER
US11319842B2 (en) Valve bridge comprising concave chambers
JP5355791B2 (en) Valve device
WO2003067077A1 (en) Pressure regulator for a fuel supply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8038848A (en) Fuel injection pump
KR20060123658A (en) Seal structure of the fuel passage and fuel injection valve having the seal structure
JP2006525456A (en) Injection nozzle
JP4537401B2 (en) Valve for liquid control
EP2069635B1 (en) Alternative fuel injector for dual fuel systems
US5865159A (en) Rocker arm for fuel injector operation
JP7717855B2 (en) Valve bridge with recessed chamber
JP5021374B2 (en) Gas fuel regulator
KR101134822B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intake and exhaust valve of an engine
US20220010870A1 (en) Integrated tappet assembly
JP2020112157A (en) Fuel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10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07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41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