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91962B1 -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 Google Patents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91962B1
KR102791962B1 KR1020220045749A KR20220045749A KR102791962B1 KR 102791962 B1 KR102791962 B1 KR 102791962B1 KR 1020220045749 A KR1020220045749 A KR 1020220045749A KR 20220045749 A KR20220045749 A KR 20220045749A KR 102791962 B1 KR102791962 B1 KR 102791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maintenance
inspection
management
perform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46834A (en
Inventor
연규문
Original Assignee
연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문 filed Critical 연규문
Priority to KR102022004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91962B1/en
Publication of KR2023014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9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9196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건축물의 기계설비 등 시설물에 대한 유지보수 및 점검 업무 시 필요한 기초 기술 자료와 항목, 점검 요령, 기록 양식 등을 플랫폼 자체에 저장하고, 센서나 감지부의 설치 여부와는 관계없이 각종 시설물들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받아 시설관리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관리 주체가 건축물의 각종 설비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유지관리업무의 문서화 작업을 지원하고 시설물 고장 시 수리 업체 연계,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소모품 구매, 유지보수관리자 등의 구인/구직 및 장비나 공구의 렌탈(임대)을 중개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latform that stores basic technical data and items, inspection methods, record forms, etc.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on facilities such as mechanical equipment of each building in the platform itself, and automatically or manually receives data on various facilities regardless of whether sensors or detectors are installed and utilizes them for facility management work, thereby enabling the management entity to safely and efficiently manage various facilities of a building, and further supports the documentation work of maintenance work and mediates linkages with repair companies in the event of facility breakdown, purchases consumables for facility maintenance, recruitment/job seeking of maintenance managers, etc., and rental (lease) of equipment or tools.

Description

스마트 시설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본 발명은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서버와 건축물 내의 PC에 인터넷을 통해 설치된 기본 프로그램과 관리 주체의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건축물에 설치된 기계설비 등 시설물의 유지관리점검, 성능점검 및 문서화 작업을 지원하고 시설물 고장 시 수리 업체 연계,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소모품 구매 및 유지보수관리자 등의 구인/구직을 중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latform configured to support maintenance inspection, performance inspection and documentation of facilities such as mechanical equipment installed in a building through a server based on an established database and a basic program installed via the Internet on a PC within a building and an app installed on a smart phone of a management entity, and to mediate linkage with a repair company in the event of a facility breakdown, purchase of consumables for facility maintenance, and recruitment/job search for maintenance managers, etc.

특히 PC에 설치되는 기본프로그램은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PC에서 작업한 내용이 서버에 자동 저장되고, 또한 스마트폰에서 내용을 입력하거나 수정하면 서버로 전송되어 내용이 자동 저장되어, 이를 서버에서 바로 PC나 스마트폰에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에서 입력한 내용이 서버뿐 아니라 PC에도 전송되고, 역으로 PC에서 작업한 내용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동시에 구현되는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basic program installed on a PC is a web-based program, so that the content worked on on the PC is automatically saved on the server, and also, when content is entered or modified on a smartphone,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automatically saved, and this is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server to the PC or smartphone, so that the content entered on the smartphone is transmitted not only to the server but also to the PC, and conversely, the content worked on the PC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implemented simultaneously.

건물의 시설물은 크게 ①건축(건물/내부마감재/방수/창호), 토목, 조경 ②기계설비(공조/냉방/난방/환기 설비, 송풍기, 펌프, 위생설비(급수, 오배수), 수처리, 승강기, 도시가스, 주방설비, 물탱크, 기타 각종 특수설비 등) ③전기/통신설비(전원, 조명, 통신, 주차관제, 출입통제/보안, CCTV, 방송설비 등 ④소방설비(스프링클러, 소화전, 소방감지기, 제연설비, 비상방송설비, 피난설비 등)로 구성되어져 있다.The building's facilities are largely composed of ① architecture (building/interior finishing materials/waterproofing/windows), civil engineering, landscaping ② mechanical equipment (air conditioning/cooling/heating/ventilation equipment, blowers, pumps, sanitary equipment (water supply, sewage/wastewater), water treatment, elevators, city gas, kitchen equipment, water tanks, and other special equipment, etc.) ③ electrical/communication equipment (power, lighting, communications, parking control, access control/security, CCTV, broadcasting equipment, etc.) ④ firefighting equipment (sprinklers, fire hydrants, fire detectors, smoke extraction equipment, emergency broadcasting equipment, evacuation equipment, etc.)

그동안 전기설비나 소방설비, 승강기 등은 시설물 관리에 대한 법률이 있어서 최소한의 관리나 점검이 이루어져 왔으나, 기계설비는 관련 법률적 의무가 없어서 유지관리에 대한 업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기계설비의 수명 단축이나 부실한 관리, 이로 인한 에너지 효율 저하, 각종 설비 사고로 인한 국민 생활의 불안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past, electrical equipment, fire equipment, elevators, etc. were managed and inspected to a minimum because there were laws on facility management, but mechanical equipment had no related legal obligations, so maintenance work was not properly performed, resulting in problems such as shortened lifespan of mechanical equipment, poor management, decreased energy efficiency due to this, and anxiety in people's lives due to various facility accident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 기계설비법이 제정되었으며, 이 법에 따라 국토교통부에서는 기계설비 유지관리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고시(2021. 8. 9. 시행)하였다. 이 고시에 의하면 표 1과 같이 건축 규모에 따라 일정 자격의 유지관리자를 선임해 지자체에 신고하여야 하고, 고시에 명시된 기계설비들에 대해서는 주기적 점검과 반기별 1회 이상 유지관리 점검표의 기록, 연 1회 이상 성능점검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건축물의 기계설비의 소유자나 관리 주체들에게는 새롭게 추가된 유지관리 업무로 인한 실무적 부담과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 상황이다. 이 기계설비법에 따른 유지관리기준 고시에 따라 2023년부터는 적용 대상이 전국적으로 44,220개 건물에서 연간 약 2조4000억원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국토교통부에서는 예상하고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Mechanical Facilities Act was recently enacted, and in accordance with this Ac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stablished and announced (effective August 9, 2021) standards for the maintenance of mechanical facilities. According to this announcement, as shown in Table 1, a maintenance manager with certain qualifications must be appointed according to the building scale and reported to the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for the mechanical facilities specified in the announcement, periodic inspections, recording of maintenance checklists at least once every six months, and performance inspections at least once a year are mandatory. As a result, the owners or managers of the mechanical facilities of each building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actical burden and cost due to the newly added maintenance work.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maintenance standards according to this Mechanical Facilities Ac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xpects that from 2023, 44,220 buildings nationwide will be subject to the application, resulting in an annual cost of approximately KRW 2.4 trillion.

(표 1) 시설규모별 유지관리자 자격 및 경력 기준(Table 1) Maintenance manager qualifications and experience criteria by facility size

한편, 종래의 등록특허 10-2022010호(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와 같은 시설물에 대한 관리 플랫폼은 대부분 기존의 설비에 설치된 센서나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로직이나 제어부의 판단에 의해 전산 처리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Meanwhile, most management platforms for facilities, such as the conventional registered patent No. 10-2022010 (IoT-based building and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device and method thereof), mainly process data input from sensors or detection units installed in existing facilities through control logic or judgment of the control unit.

이로 인해 자동제어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시설물의 관리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현장의 유지관리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점검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업무 지침이나 기술적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기 때문에 기술 역량이 낮은 유지관리자들에게는 기존의 시설관리 플랫폼이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This has limitations in its application to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that are not equipped with automatic control equipment, and because it does not provide on-site maintenance managers with specific work instructions or technical information on what to inspect and how to inspect it, the usability of existing facility management platforms or software programs is greatly limited for maintenance managers with low technical capabilities.

즉, 시설의 모든 설비에 대해서가 아니라 감지부가 설치된 장치에 한정되거나, 또는 입력되는 정보의 범위 내에서 플랫폼의 시설관리 관련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밖에 없으며, 그나마 플랫폼이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해 어떻게 시설관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술적 판단은 온전히 사용자의 개인적 역량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그 사용 효과는 시설마다 크게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In other words, the platform's facility management process cannot proceed without limitation to the devices in which the sensor is installed, or within the scope of the input information, not for all the facilities in the facility. In addition, the technical judgment on how to manage the facility using the platform or software program is entirely determined by the user's individual capabilities, so the effectiveness of its use is bound to vary greatly from facility to facility.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22010호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022010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각 건축물의 기계설비 등 시설물에 대한 유지보수 및 점검 업무 시 필요한 기초 기술 자료와 항목, 점검 요령, 기록 양식 등을 플랫폼 자체에 내장하고, 센서나 감지부의 설치 여부와는 관계없이 각종 시설물들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받아 시설관리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관리 주체가 건축물의 각종 설비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impro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embeds basic technical data and items, inspection methods, record forms, etc.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on facilities such as mechanical equipment of each building into the platform itself, and constructs a platform that can automatically or manually input data on various facilities and utilize it for facility management work regardless of whether sensors or detection units are installed, thereby enabling the management entity to safely and efficiently manage various facilities of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된 기계설비 등 시설물의 유지관리점검, 성능점검 및 문서화 작업을 지원하고 시설물 고장 시 수리 업체 연계,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소모품 구매, 유지보수관리자 등의 구인/구직 및 장비나 공구의 렌탈(임대)을 중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maintenance inspection, performance inspection and documentation work of facilities such as mechanical equipment installed in a building, and enables linkage with repair companies in case of facility breakdown, purchase of consumables for facility maintenance, recruitment/job seeking of maintenance managers, and rental (lease) of equipment or tools.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상의 웹(Web)을 이용해 각종 정보와 프로세스가 가동되는 웹 기반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현장의 유지관리자의 스마트폰과 사무실의 데스크탑 컴퓨터(PC)가 웹(Web)을 통해 원활하고 신속하게 연동되도록 한다. 또한 감지부나 센서가 설치된 장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자가 현장에서 수동으로 입력하는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지관리 업무에 필요한 각종 서류나 자료가 자동으로 작성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 web-based platform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and processes are operated using the web onlin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ast, and allows the smartphone of a maintenance manager in the field and the desktop computer (PC) in the office to be smoothly and quickly linked through the web. In addition, it automatically creates various documents and data required for maintenance work using not only data input from equipment equipped with a detection unit or sensor, but also various data manually input by a maintenance manager in the field.

아울러, PC의 프로그램이나 스마트폰의 앱 상의 주요 기능 항목들에 대하여는 관련된 기술 자료나 양식, 업무 처리에 대한 요령(도움말) 등을 미리 서버(DB)에 저장해 놓음으로써 유지관리자의 기술 역량이 부족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시설관리 프로그램이나 앱을 사용하면 시설관리 업무의 실효성이나 편차가 크게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by pre-saving related technical data, forms, tips (help) for processing work, etc. for major functions of PC programs or smartphone apps in a server (DB), even if the technical capabilities of a maintenance manager are insufficient, the effectiveness or deviation of facility management work will not be greatly reduced when using the facility management program or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서비스 플랫폼은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를 스마트폰으로 시설물이 설치된 현장에서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정확한 시설물 점검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입력된 점검결과와 DB에 저장된 기술자료 등으로부터 유지관리계획서/성능점검계획서,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 및 성능점검결과보고서 등 문서화 작업을 을 자동적으로 지원하여 유지관리업무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또한 시설물 고장 시 수리 업체 연계,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소모품 구매, 유지보수관리자 등의 구인/구직 및 장비나 공구의 렌탈(임대)을 중개함으로써 유지관리업무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Th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facility maintenance work to be entered into the site where the facility is installed using a smartphone, thereby enabling accurate facility inspections, etc., and automatically supports documentation work such as a maintenance plan/performance inspection plan, a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and a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based on the entered inspection results and technical data stored in a DB,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maintenance work. In addition, the service platform can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maintenance work by mediating linkages with repair companies in the event of a facility breakdown, purchase of consumables for facility maintenance, recruitment/job seeking of maintenance managers, etc., and rental (lease) of equipment or tools.

도 1은 본 발명의 서비스 플랫폼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서비스 플랫폼의 앱이 지원하는 유지관리업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은 시설물 유지관리 대상 현황표의 일 예시를 보여주고, 도 3b, 3c는 개별 시설물인 냉동기와 보일러 현황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시설물 유지관리 대상 점검표의 일 예시를 보여주고, 도 4b, 4c는 개별 시설물인 냉동기와 보일러 유지관리 점검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는 시설물 성능점검 대상 점검표의 일 예시를 보여주고, 도 5b, 5c는 개별 시설물인 냉동기와 보일러 성능점검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도 6b는 시설물 성능점검 결과보고서(앞, 뒷쪽)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maintenance work supported by an app of the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shows an example of a facility maintenance target status table, and Figures 3b and 3c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a refrigerator and boiler status table, which are individual facilities.
Figure 4a shows an example of a facility maintenance checklist, and Figures 4b and 4c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maintenance checklists for individual facilities, such as refrigerators and boilers.
Figure 5a shows an example of a checklist for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and Figures 5b and 5c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performance inspection lists for individual facilities, such as refrigerators and boilers.
Figures 6a and 6b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s (front and back).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시설관리 서비스 플랫폼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건축물과 그 건축물에 설치된 기계설비 등 시설물(이하 ‘시설물’이라 한다)에 대한 시설물 데이터(시설물 현황표, 유지관리 점검표, 성능점검표 등)를 저장한 시설물 데이터베이스(DB), 시설물의 기술자료나 유지관리메뉴얼, 유지관리업무와 관련된 점검이력 및 각종 문서를 저장한 문서자료 DB, 시설물 수리등록업체 DB 등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버에서는 앱을 구동시키는 현장의 시설물 점검자의 스마트폰에 점검표 등을 표출시켜 현장에서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시설물 유지관리에 필요한 시설물 유지관리계획서/성능점검계획서, 시설물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 및 성능점검결과보고서 등을 자동 작성하여 제공하며, 또한 필요한 점검 이력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FIG. 1 is a drawing showing a smart facility management servic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acility data (facility status table, maintenance inspection checklist, performance inspection checklist, etc.) for a building and facilities such as mechanical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cilities”) are stored, a document data DB storing technical data or maintenance manuals for the facilities, inspection history and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maintenance work, a facility repair registration company DB, etc. are built, and using these, a server supports the on-site facility inspector who runs an app to display inspection lists, etc. on his/her smartphone so that he/she can write them directly on-site, and automatically creates and provides a facility maintenance plan/performance inspection plan, a facility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and a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necessary for facility maintenance, and can also support the searching of necessary inspection histories.

또한 시설물의 정비/수리공사, 자재구매/재고관리, 구인/구직, 장비임대렌탈 등 시설물 유지, 보수에 관련된 업무를 스마트폰과 PC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의 개략도를 보여준다.It also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vice platform that can support work related to facility maintenance and repair, such as facility maintenance/repair work, material purchase/inventory management, recruiting/job seeking, and equipment rental, through smartphones and PCs.

도 1에서 이러한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는 1) 문서자료 DB, 2) 시설물 DB, 3) 시설물 수리 등록업체 DB, 4) 소모품 판매업체 DB, 5) 구인/구직 DB, 6) 장비/공구 렌탈 DB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In Fig. 1, the database (DB) for providing such a service platform may be composed of 1) a document DB, 2) a facility DB, 3) a facility repair registration company DB, 4) a consumables sales company DB, 5) a job search/recruitment DB, and 6) an equipment/tool rental DB.

1) 문서자료 DB1) Document data DB

각 건축물(ID)에 대해 관리주체가 보유해야 하는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지침서(도면, 시방서, 장비 선정계산서, 유지관리 매뉴얼 등), 각종 공문서 및 시설관리 업무 관련 서류(일일근무일지, 점검이력, 유지관리/성능점검계획서, 유지관리 점검결과보고서, 성능점검 결과보고서 등)를 DB에 저장할 수 있다.For each building (ID), the management entity can store maintenance guidelines (drawings, specifications, equipment selection calculations, maintenance manuals, etc.), various official documents, and documents related to facility management (daily work logs, inspection history, maintenance/performance inspection plan,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etc.) in the DB.

2) 시설물 DB2) Facility DB

각 건축물(ID)에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현황표를 작성하여 DB에 저장할 수 있다. You can create a status table of facilities installed in each building (ID) and save it in the DB.

이러한 시설물현황표는 장비번호(설계 도면상의 장비번호), 설치일자, 설치위치, 제조회사, 모델번호, 각 시설물의 세부 제원, 사용용도(보일러의 경우 “난방용”“급탕용”등)나 공급처(공조기의 경우 "3층 연구실용", "1층 로비/복도용") 등 필요한 데이터가 기재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의 입력 항목은 각 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기술자들의 판단에 근거하여 미리 입력하여 저장되는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항목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메뉴를 구비할 수 있다.This facility status table can record necessary data such as equipment number (equipment number on design drawings), installation date, installation location, manufacturer, model number, detailed specifications of each facility, intended use (in the case of boilers, “for heating,” “for hot water supply,” etc.) or supplier (in the case of air conditioners, “for 3rd floor research lab,” “for 1st floor lobby/hallway”), and the input items of these data are entered in advance and saved based on the judgment of specialists wh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and a menu can be provided to add or change item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이러한 현황표의 각 항목에 기재되는 데이터는 준공인허가 업무 시 “기계설비 사용 전 검사”를 받기 위해 작성된 시설물 유지관리 매뉴얼, 도면, 각종 검사증 등을 이용하여 기본 자료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The data recorded in each item of this status table can be extracted from basic data using facility maintenance manuals, drawings, and various inspection certificates prepared for “pre-use inspection of mechanical equipment” during the completion permit process.

이러한 각 시설물의 현황표는 예시로서 도 3b(냉동기), 3c(보일러)에 보여지고 있고, 이러한 각 시설물의 현황표는 예시로서 도 3b(냉동기), 3c(보일러)에 보여지고 있고, 통상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대부분 종류의 시설물들에 대해서도 전문기술자들에 의하여 미리 작성된 시설물 현황표들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근무지에 설치된 시설물에 해당하는 현황표를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다.The status tables of each of these facilities are shown in examples in Fig. 3b (refrigerator) and 3c (boiler), and since facility status tables prepared in advance by specialists for most types of facilities installed in general buildings are stored, users can view status tables corresponding to facilities installed at their workplaces on their PCs or smartphones.

또한 이러한 건축물(ID)에 설치된 시설물들 각각에 대한 현황표들이 DB에 저장되므로, 각 ID(건축물) 별로 설치된 시설물들의 목록을 보여주는 시설물 유지관리 대상 현황표(도 3a 참조)는 개별 현황표로부터 자동으로 작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tatus tables for each facility installed in these buildings (IDs) are stored in the DB, a facility maintenance status table (see Figure 3a) showing a list of facilities installed for each ID (building) can be automatically created and stored from the individual status tables.

또한 각 건축물(ID)에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점검표를 작성하여 DB에 저장한다. Additionally, a checklist for the facilities installed in each building (ID) is created and stored in the DB.

이러한 각 시설물 점검표의 양식과 점검 항목은 각 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문기술자들의 검토와 판단에 의하여 정리된 내용으로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시설물 점검표의 일부 양식이나 항목은 추가하거나 변경해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The format and inspection items of each facility inspection list are organized based on the review and judgment of specialist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and are stored in the DB. There is a function that allows users to add or change some formats or items of the facility inspection list according to their needs.

각 시설물의 유지관리점검표는 외관, 운전, 안전에 대해 각 항목별로 점검주기를 “일일”“주간”“월간”“분기”중 하나로 정할 수 있고, 또한 점검주기별로 매월 1일은 월간 점검항목, 매주 월요일은 주간 점검항목, 화~금요일은 일일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해당 일자 또는 해당 요일에 점검해야 하는 항목들이 밝게 활성화될 수 있다.The maintenance checklist for each facility can set the inspection cycle for each item regarding appearance, operation, and safety as “daily,” “weekly,” “monthly,” or “quarterly,” and also, by inspection cycle, the 1st of every month can be used for monthly inspection items, every Monday for weekly inspection items, and Tuesday through Friday for daily inspections, so that the items to be inspected on that date or on that day can be brightly activated.

만일 다른 점검 주기의 내용이 일일 점검 시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칸의 활성화가 수동으로도 가능하도록 하여 입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ontent of other inspection cycles during daily inspection, the corresponding box can be activated manually so that it can be entered.

이러한 각 시설물의 유지관리점검표는 예시로서 도 4b(냉동기), 4c(보일러)에 보여지고 있고, 설치된 다른 시설물에 대해서도 DB에 저장된 유지관리점검표를 현장에서 시설물 점검 시 선택하여 모두 입력, 저장되어야 한다. The maintenance checklist for each of these facilities is shown in examples in Figures 4b (refrigerator) and 4c (boiler), and for other installed facilities, the maintenance checklists stored in the DB must be selected, entered, and stored when inspecting the facilities on site.

또한 이러한 건축물(ID)에 설치된 시설물들 각각에 대한 점검표들이 DB에 저장되므로, 각 ID(건축물) 별로 설치된 점검 대상 시설물들의 목록을 보여주는 시설물 유지관리 대상 점검표(도 4a 참조)는 유지관리점검표의 작성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목록이 추출되어 작성,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hecklists for each facility installed in these buildings (IDs) are stored in the DB, the facility maintenance target checklist (see Figure 4a) showing the list of inspection target facilities installed for each ID (building)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created, and stored based on whether or not a maintenance checklist has been created.

그리고, 반기 1회 이상 기록하게 되어 있는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는 미리 기초적인 내용과 구성 항목이 프로그래밍화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지정한 기간 동안에 작성된 상기 유지관리점검표와 상기 유지관리 대상 점검표가 자동으로 추출되어 해당 구성 항목에 업로드되어 생성되고, 그 외 필요한 사항(시설 유지관리자 인적 사항/직책/연락처, 연간 유지관리계획서, 예산서 등)을 PC나 스마트폰으로 수동 입력하거나 업로드하면 전체적인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And, the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which is to be recorded at least once every six months, has its basic contents and components programmed in advance. The maintenance inspection list and the maintenance target checklist created during the period specified by the user are automatically extracted and uploaded to the relevant components to be created. If other necessary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position/contact information of the facility maintenance manager, annual maintenance plan, budget, etc.) is manually entered or uploaded via a PC or smartphone, the entire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is automatically created.

위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면 시설관리 업무 중 프로그램 또는 앱을 이용해 작성된 데이터들을 추후 다른 업무 과정에서 프로그램 또는 앱이 자동 추출하여 활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서류의 중복 작성으로 인한 업무 손실을 최소화하고 정보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ata created using a program or app during facility management work is automatically extracted and utilized by the program or app in another work process at a later time,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ork loss due to duplicate creation of documents can be minimized and consistency and continuity of information can be maintained.

또한 각 건축물(ID)에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성능점검표를 작성하여 DB에 저장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performance checklist for facilities installed in each building (ID) can be created and stored in the DB.

이러한 각 시설물의 성능점검표들의 각 항목은 각 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문기술자의 검토와 판단에 의해 정리된 내용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성능점검 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일부 내용을 추가 또는 변경하여 작성할 수 있는 메뉴(기능)를 구비하고 있다. 각 시설물의 성능점검표는 예시로서 도 5b(냉동기), 5c(보일러)에 보여지고 있고, 또한 시설물 성능점검 대상 점검표(도 5a)는 각 시설물의 성능점검표의 작성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항목별로 내용이 자동으로 작성될 수 있다. Each item of the performance checklist for each facility is pre-saved with the content organized by the review and judgment of a specialist technicia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and has a menu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add or change some of the content when performing a performance check. The performance checklist for each facility is shown as an example in Fig. 5b (refrigerator) and Fig. 5c (boiler), and in addition, the facility performance checklist (Fig. 5a) can automatically create content for each item by extracting data on whether a performance checklist for each facility has been created.

3) 시설물 수리 등록업체 DB3) DB of registered facility repair companies

시설물 고장 시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발주할 수 있도록, 수리 및 공사가 가능한 지역의 시설물별 수리 가능한 업체를 DB에 저장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시설물 제조사의 A/S센터의 목록도 포함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orders to be placed via PC or smartphone in the event of a facility failure, a list of repair companies in each area where repairs and construction are possible is stored in the DB and provided. In this case, a list of the A/S centers of the facility manufacturer may also be included.

또한 시설물의 주요 수리 아이템의 표준단가를 저장하여, 자동견적서, 계약서 등을 생성하는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it can be used as data to create automatic estimates, contracts, etc. by storing the standard unit price of major repair items of the facility.

4) 소모품 판매업체 DB4) Consumables vendor DB

유지관리 업무 중 필요한 각종 자재, 소모품, 기기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업체를 연계하거나 자재를 납품하는 지역 등록업체를 저장하여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으로 구매발주를 할 수 있다. You can place purchase orders online by linking to online shopping malls that sell various materials, consumables, and equipment needed for maintenance work, or by storing and providing local registered companies that supply materials.

또한 유지보수용 자재 재고 데이터를 저장하여 재고관리도 할 수 있다.You can also manage inventory by storing maintenance material inventory data.

5) 구인/구직 DB5) Recruitment/Job Search DB

분야 및 등급별 자격증 소지자를 탐색 또는 구인하여 구직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등급 등이 정해진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선임을 위한 구인정보를 받아, 구인/구직을 매칭 또는 중개할 수 있고, 나아가 일용직 인력 소요 시 일용직 인력 파견을 중개할 수 있도록 인력회사를 등록 저장할 수 있다.Search for or recruit qualification holders by field and level, store job seeker information in a database, receive job information for the appointment of mechanical equipment maintenance managers with level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building, and match or mediate job offers/job seekers. Furthermore, when day laborers are needed, you can register and save a staffing company to mediate the dispatch of day laborers.

6) 장비/공구 렌탈 DB6) Equipment/tool rental DB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중고 장비나 공구의 임대 서비스를 위해 임대 가능한 중고 장비나 공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Information on used equipment or tools available for rent can be stored in a database for use as a rental service for used equipment or tools so that they can be traded via a PC or smartphone.

도 2는 이러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업무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스마트 폰에 설치되는 앱의 A) 문서관리, B) 작업관리, C) 에너지관리, D) 민원처리, A/S, E) 유지관리점검/성능점검, F) 정비/수리공사업무관리, G) 자재구매/재고관리, H) 구인구직/임대렌탈의 모듈을 통해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스마트폰의 앱 위주로 설명을 하고 있지만, 시설물 점검 등 일부 유지관리업무를 제외하고는 PC에도 기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gure 2 shows the service tasks provided by such a platform, and through the modules of A) document management, B) work management, C) energy management, D) civil complaint processing, A/S, E) maintenance inspection/performance inspection, F) maintenance/repair work management, G) material purchase/inventory management, and H) job recruitment/rental,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tasks can be comprehensively performed through the apps installed on smartphones. Although the explanation here focuses on the smartphone app,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basic program can be installed on a PC to perform related tasks, except for some maintenance tasks such as facility inspection.

또한 회원으로 가입한 각 건축물에 대해 ID와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스마트 시설관리”가칭)라는 앱에 접속하면, 각 건축물(ID)에 대해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by granting an ID and password to each building registered as a member and accessing the app (tentative name “Smart Facility Management”),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for each building (ID).

A) 문서관리 모듈A) Document Management Module

스마트 폰의 앱에서 문서관리 모듈을 터치하여 보여지는 문서 목록에서 해당 문서를 터치하여 필요한 서류 등을 쉽게 찾거나, 또는 점검 내용 확인이 필요할 경우 ‘점검 이력’을 터치하고, ‘점검일자를 선택 또는 입력하면 해당 일의 유지관리 점검표(일일이든 주간이든 월간이든)가 표출되어 점검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Touch the document management module in the app on your smartphone, and you can easily find the documents you need by touching the document in the document list that appears, or if you need to check the inspection details, touch ‘Inspection History’ and select or enter the ‘Inspection Date’, and the maintenance inspection list for that day (whether daily, weekly, or monthly) will be displayed, allowing you to check the inspection details.

B) 작업관리 모듈B) Task Management Module

작업관리모듈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작성된 일일근무일지가 보여지는데, 여기서 다른 모듈을 사용함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자동 추출된 근무 실적 이외에 시설물 보수 등 기타 업무를 추가 작성하고 서명하여 상급자에게 전자결재를 상신한다. 이를 상급자가 전자결재함으로써 상급자는 각 담당자별 업무처리 실적을 알 수 있고, 결재가 끝난 일일근무일지는 업무처리 이력으로 검색이 가능하여 작업 및 근무관리가 용이하다.When you touch the work management module, you will see the automatically created daily work log. Here, in addition to the work performanc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saved data by using other modules, you can add other work such as facility maintenance, sign, and submit electronic approval to your superior. By having the superior electronically approve this, the superior can see the work processing performance of each person in charge, and the daily work log that has been approved can be searched as a work processing history, making it easy to manage work and tasks.

C) 에너지 관리 모듈C) Energy Management Module

상수도, 전기,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여 앱에서 수동으로 검침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전자식 계량기가 설치된 경우 해당 계기로부터 전자화된 데이터로 자동 수신하여 검침량으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지정하는 기간 동안의 각 에너지 사용량을 집계하거나 추이 분석 자료를 표출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시설물의 손상이나 노후화에 따른 정비 및 교체 수요 파악, 에너지 절약 운전 등의 시설관리 업무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By measuring the usage of water, electricity, gas, etc., you can manually input the metered values into the app or, if an electronic meter is installed, automatically receive the electronic data from the meter and save it as a metered amount. It also has a function to aggregate each energy usage for a period specified by the user or display trend analysis data.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acility management tasks such as identifying maintenance and replacement needs due to damage or aging of facilities and energy-saving operation.

또한, 에너지 관리 모듈에서는 각 에너지원별로 계절별, 시간별, 용도별 단가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지정된 사용 기간별로 자동으로 검침량에 따른 사용 요금이 산출되며, 검침량이 저장된 각 시설(보일러, 냉동기, 급수/급탕설비)이나 에너지원(가스, 수도, 전기 등)별, 사용처(임대, 공용, 자가)별로 사용량이나 요금 현황을 일별/월별로 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nergy management module stores unit prices by season, time, and purpose for each energy source, usage fees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based on the metered amount for the specified usage period, and the usage or fee status can be viewed daily/monthly for each facility (boiler, refrigerator, water supply/hot water supply facility) where the metered amount is stored, or for each energy source (gas, water, electricity, etc.), or for each usage location (rental, public, private).

D) 민원처리, A/S 모듈D) Complaint handling, A/S module

민원처리, A/S 모듈은 회원사나 고객들의 불편사항을 접수하고 처리 결과를 실시간으로 기록 정리하는 “민원처리”민원처리 실적 및 현황을 자동 집계하여 보여주는 “민원통계”의 하위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plaint handling and A/S modules can be composed of sub-modules of “complaint handling”, which receives complaints from members or customers and records and organizes the processing results in real time, and “complaint statistics”, which automatically compiles and displays the performance and status of complaint handling.

민원이나 A/S의 접수는 전화로 접수받아 시설관리자가 앱을 이용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나, 별도로 개설되어 본 모듈과 링크된 인터넷 Web 사이트를 통해 민원인이 직접 입력하면 자동으로 본 앱에 접수되도록 연동될 수 있다.Complaints or A/S requests can be received by phone and the facility manager can directly input the information using the app. However, if the complainant inputs the information directly through a separate Internet website linked to this module, it can be automatically received in the app.

또한 앱에서 민원처리실적을 입력할 때 작업 내용을 글씨로 입력하는 것 이외에도 사진이나 작업자의 녹음 기록을 업로드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writing the work details when entering the civil complaint handling performance in the app, you can also upload photos or worker recordings.

E) 유지관리점검/성능점검 모듈E) Maintenance/Performance Inspection Module

유지관리점검/성능점검 모듈에는 ⓐ시설물 현황표, ⓑ유지관리점검표, ⓒ성능점검표, ⓓ유지관리계획서, ⓔ성능점검계획서,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 ⓖ성능점검결과보고서의 7개의 하위 모듈이 있다. The maintenance inspection/performance inspection module has seven sub-modules: ⓐ Facility status table, ⓑ Maintenance inspection table, ⓒ Performance inspection table, ⓓ Maintenance plan, ⓔ Performance inspection plan, ⓕ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and ⓖ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 시설물현황표ⓐ Facility status table

시설물현황표 모듈을 터치하면 각 ID(건축물)별로 설치된 유지관리 대상 현황표가 보여지고(도 3a 참조), 각 시설물 장비를 터치하면 시설물 DB로부터 선택한 시설물의 입력되어 있는 시설물현황표(도 3b, 3c 참조)를 자동 추출하여 보여준다. 시설물현황표의 내용 중 입력되어 있지 않은 항목들을 선택하여 관리자가 해당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하면 새로 입력된 데이터는 시설물 DB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When the facility status table module is touched, the maintenance target status table installed for each ID (building) is displayed (see Figure 3a), and when each facility equipment is touched, the facility status table (see Figures 3b and 3c) entered for the selected facility is automatically extracted and displayed from the facility DB. If the administrator selects items that are not entered in the facility status table and enters the corresponding contents and saves them, the newly entered data can be updated in the facility DB.

또한 개별 시설물현황표는 출력하거나, 명판으로 제작하여 장비에 부착함으로써 업무에 활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개별 시설물현황표에 장비를 쉽게 인식하거나, 찾을 수 있도록 해당 장비 번호를 누르면 장비의 사진을 PC나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ividual facility status table can be printed or made into a nameplate and attached to the equipment for use in work. Furthermore, a function can be added to the individual facility status table to easily recognize or find the equipment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equipment number, and a photo of the equipment can be viewed on a PC or smartphone.

ⓑ 유지관리점검표ⓑ Maintenance checklist

유지관리점검표 모듈의 우, 상측에는 점검해야 할 점검 건수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점검표 모듈을 터치하면 점검해야 할 시설물 목록과 해당 시설물의 점검주기별 건수가 보여줌으로써 해당 건축물(ID)의 각 시설물에 대해 금일 점검해야 할 일일, 주간, 월간 등 점검주기별 업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number of items to be inspected can be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of the maintenance checklist module, and when the checklist module is touched, a list of facilities to be inspected and the number of items for each inspection cycle for the corresponding facilities are displayed,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daily, weekly, monthly, etc. inspection cycle tasks to be inspected for each facility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ID).

점검자는 해당 시설물로 이동하여 설비에 부착된 QR코드나 NFC카드를 스마트폰으로 앱에서 인식시키면 시설물 DB로부터 해당 시설물의 유지관리점검표가 자동으로 추출되어 표시되도록 하여 현장 기반의 유지관리 점검 업무를 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된 유지관리점검표의 각 항목에 대해 점검결과(적합 O, 부적합 X, 해당없음 /)를 표시한다.The inspector can go to the facility and scan the QR code or NFC card attached to the equipment with the app on his/her smartphone, so that the maintenance inspection list for the facility is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facility DB and displayed, allowing on-sit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At this time, the inspection result (suitable O, unsuitable X, not applicable /) is displayed for each item of the activated maintenance inspection list.

또한 장비 성능 관련 항목인 온도나 압력 등 필요한 수치를 직접 확인하여 “비고”란에 기재하여 점검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지만, 센서나 다른 자동제어설비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결과 값이 입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you can perform inspection work by directly checking necessary values such as temperature or pressure, which are related to equipment performance, and recording them in the “Notes” column, but you can also input data from sensors or other automatic control equipment and automatically input the result values.

또한 각 점검항목들에 대하여 비고란에는 특이사항을 기록하거나 또는 음성 녹음이나 사진 촬영 업로드가 가능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for each inspection item, the notes column can be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allows for recording special notes or uploading voice recordings or photos.

또한, 보여지는 상기 점검해야 할 시설물 목록의 일측면에는 해당 시설물의 유지관리 점검 업무를 위한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관련 DB에서 추출하여 확인할 수 있는 기능 버튼을 둘 수 있다. 이 기능 버튼은 “점검 요령”“시설물현황표”“제작도면”“유지관리매뉴얼”“각종 검사증”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기능 버튼 터치 시 문서자료 DB로부터 관련 자료가 자동 추출되어 화면에 보여진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list of facilities to be inspected, a function button can be placed to extract and check various information or data for maintenance inspection work of the facility from the relevant DB. This function button can be composed of “Inspection Tips,” “Facility Status Table,” “Production Drawing,” “Maintenance Manual,” “Various Inspection Certificates,” etc., and when each function button is touched, related data is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document data DB and displayed on the screen.

ⓒ 성능점검표ⓒ Performance Checklist

성능점검표 모듈을 터치하면 시설물 목록이 보여지고, 성능점검을 하는 시설물을 터치하면 해당 시설물의 성능점검표(도 5b, 5c 참조)가 보여지므로, 각종 계측기나 장비를 사용하여 시설물의 성능 점검한 후 앱을 이용해 성능점검표를 작성하면 된다.When you touch the performance checklist module, a list of facilities will be displayed, and when you touch the facility for which you are performing a performance check, the performance checklist for that facility (see Figures 5b and 5c) will be displayed. After checking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y using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or equipment, you can create a performance checklist using the app.

이 경우에도 장비 성능 관련 항목인 온도나 압력 등 필요한 수치를 직접 확인하여 작성할 수도 있지만, 센서나 다른 자동제어설비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결과 값이 입력될 수 있다.In this case, you can also directly check and write the necessary values, such as temperature or pressure, which are related to equipment performance, but you can also input data from sensors or other automatic control equipment and automatically input the result values.

또한 성능점검 검사자에게 임시 비빌번호를 부여하여 앱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원활한 성능검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여지는 상기 시설물 목록의 일측면에는 해당 시설물의 “유지관리점검이력확인”기능 버튼을 구비하고 있어 성능점검 검사자가 업무상 필요할 경우 문서자료 DB에 저장된 유지관리 점검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 temporary password can be given to the performance inspection inspector to grant him/her the authority to use the app in a limited manner, thereby enabling smooth performance inspection. One side of the above facility list shown above has a “Check maintenance inspection history” function button for the facility in question, so that the performance inspection inspecto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maintenance inspection list stored in the document data DB when necessary for work.

ⓓ 유지관리계획서ⓓ Maintenance plan

유지관리계획서 모듈을 터치하면 시설물 유지관리계획서를 구성하는 각 항목별 입력창이 터치하면 보여지는 아래와 같은 하위모듈이 표시되고, 이들 입력창에 입력이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계획서 생성”기능 버튼을 누르면 (a)~(h)로 구성된 유지관리계획서 파일이 자동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되고 문서자료 DB의 지정된 위치에 자동 저장하게 된다.When you touch the maintenance plan module, the input windows for each item that makes up the facility maintenance plan are displayed, and when you touch them, the following sub-modules are displayed. When the input in these input windows is completed and the “Create Plan” function button is finally pressed, the maintenance plan file consisting of (a) to (h) is automatically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nd is automatically saved to the designated location in the document data DB.

(a) 유지관리 계획의 개요 : 미리 표준화된 내용이 저장되어 있고,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내용을 수정한 후 저장할 수 있다.(a) Overview of the maintenance plan: Pre-standardized content is stored, and users can modify and save the content if necessary.

(b) 유지관리 시설물 현황 : 시설물 DB에 저장된 시설물현황표의 데이터를(b) Status of maintenance facilities: Data from the facility status table stored in the facility DB

그대로 추출해 본 유지관리 시설물 현황 모듈에 보여준다.The status of the maintenance facilities is displayed in the module as it is extracted.

(c) 유지관리 조직 구성 : 미리 저장되어 있던 양식이 화면에 표시되고, 각 빈 칸에 성함, 직책, 담당업무, 연락처 등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할 수 있고, 아래와 같이 하나의 예로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c) Maintenance organization structure: A pre-saved form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you can enter information such as name, position, job responsibilities, and contact information in each blank space and then save it. An input window may be displayed as an example, as shown below.

■ 시설물 유지관리 조직■ Facility maintenance organization

■ 시설물 유지관리 업체 현황■ Status of facility maintenance companies

■ 점검 대행, 위탁 업체 현황■ Status of inspection agency and consignment company

(d) 주요 유지관리 계획 : 미리 저장되어 있던 양식이 화면에 표시되고, 각 빈 칸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할 수 있는데, 하나의 예로 아래와 같이 작성될 수 있다.(d) Major Maintenance Plan: A pre-saved form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you can fill in the required information in each blank space and save it. One example is as follows.

(e) 설비별 유지관리 점검 세부 내용 : 시설물 DB에 저장되어 있는 유지관리점검표 빈 양식이 자동으로 추출되어 이 칸에 자동 입력된다.(e) Details of maintenance inspection by facility: The blank form of the maintenance inspection table stored in the facility DB is automatically extracted and entered in this field.

(f) 유지관리 예산 : 시설관리 조직에서 작성한 별도의 유지관리 예산자료 파일을 업로드한 후 저장한다.(f) Maintenance Budget: Upload and save a separate maintenance budget data file prepared by the facility management organization.

(g) 비상 상황 대응 매뉴얼 : 미리 표준화된 내용을 저장해 놓고,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내용을 수정하여 작성 후 저장할 수 있다.(g) Emergency response manual: Standardized content is stored in advance, and users can edit and save the content when necessary.

(h) 교육 훈련 계획 : 시설관리 조직에서 작성한 별도의 교육 훈련 계획 자료 파일을 업로드한 후 저장할 수 있다.(h) Education and Training Plan: A separate education and training plan data file prepared by the facility management organization can be uploaded and saved.

ⓔ 성능점검계획서ⓔ Performance Inspection Plan

성능점검계획서 모듈을 터치하면 성능점검계획서를 구성하는 각 항목별 입력창이 터치하면 보여지는 아래와 같은 하위모듈이 표시되고, 이들 입력창에 입력이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계획서 생성”기능 버튼을 누르면 (a)~(e)로 구성된 성능점검계획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되고 문서자료 DB의 지정된 위치에 자동 저장된다.When you touch the performance inspection plan module, the input window for each item that makes up the performance inspection plan is displayed, and when you touch it, the sub-modules shown below are displayed. When the input in these input windows is completed and the “Create Plan” function button is finally pressed, the performance inspection plan consisting of (a) to (e) is automatically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utomatically saved to the designated location in the document data DB.

(a) 성능점검의 목적 : 미리 표준화된 내용을 저장해 놓고,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내용을 수정한 후 저장할 수 있다.(a) Purpose of performance check: To save pre-standardized content and allow users to modify and save the content if necessary.

(b) 시설물 성능점검 대상 점검표 : 시설물 DB에 저장된 시설물 성능점검 대상 점검표가 자동 추출되어 표시되고, 각 장비별 수량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후 저장할 수 있다.(b)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target checklist: The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target checklist saved in the facility DB is automatically extracted and displayed, and the quantity for each equipment can be directly entered by the user and then saved.

(c) 성능점검 계획 : 미리 표준화된 양식을 저장해 놓고 사용자가 일정이나 예산 등 해당되는 항목을 입력한 후 저장할 수 있다.(c) Performance check plan: A standardized form can be saved in advance, and users can input relevant items such as schedules and budgets and then save them.

(d) 시설물별 성능점검 세부 내용 : 시설물 DB에 저장되어 있는 성능점검표 빈 양식이 자동으로 추출되어 이 항목 입력창에 자동 입력된다.(d) Performance inspection details for each facility: The blank form of the performance inspection table stored in the facility DB is automatically extracted and entered into this entry window.

(e) 성능점검 중 유의 사항 : 미리 입력되어 있는 내용(안전관리, 주의사항, 설비 손상 시 처리방안 등)이 자동 입력되도록 하고,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내용을 수정하거나 추가한 후 저장할 수 있다. (e) Notes during performance inspection: Pre-entered information (safety management, precautions, handling measures in case of equipment damage, etc.) is automatically entered, and if necessary, the user can modify or add the information and then save it.

이러한 성능점검계획서의 입력자는 해당 건물에서 시설관리 업무를 하고 있는 시설관리자로, 위와 같이 성능점검계획서를 작성해서 건물주나 시설관리 주체에게 보고하여 결재 받아 외부의 성능점검업 등록업체에게 성능점검 용역을 발주하는 기본 자료로 사용된다. The person who enters this performance inspection plan is the facility manager who is in charge of facility management in the building. The plan is written as above and reported to the building owner or facility management entity for approval. This is then used as basic data for ordering performance inspection services from an external performance inspection business registered company.

ⓕ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 모듈을 터치하면 “유지관리 점검기간”을 입력하는 창이 표시되고, 유지관리 점검 시작일과 종료일을 선택하고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 생성”기능 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기간의 점검결과를 자동으로 반영한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되고 문서자료 DB에 저장된다.When you touch the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s Report module, a window for entering the “Maintenance Inspection Period” will appear, select the maintenance inspection start date and end date, and touch the “Create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s Report” function button. A report automatically reflecting the inspection results for the corresponding period will be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aved in the document data DB.

생성된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에는 각 시설물별로 유지관리점검표가 자동 생성되는데, 문서자료 DB에 저장된 선택한 기간 동안의 유지관리점검표의 각 점검 항목별 정상과 부적합의 횟수를 자동 집계하여 해당 항목의 칸에 정상(n회), 부적합(m회)와 같이 표시되며, 선택한 기간 동안의 부적합 이력은 별도의 리스트로 정리되어 자동으로 첨부된다.In the generated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a maintenance inspection list is automatically generated for each facility, and the number of normal and non-conformances for each inspection item in the maintenance inspection list for the selected period stored in the document data DB is automatically tallied and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item's box as normal (n times) and non-conformance (m times). In addition, the non-conformance history for the selected period is organized into a separate list and automatically attached.

ⓖ 성능점검결과보고서G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s Report

성능점검결과보고서 모듈을 터치하면, 성능점검결과보고서를 구성하는 각 항목별 입력창이 터치하면 보여지는 아래와 같은 하위모듈이 표시되고, 이들 입력창에 입력이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계획서 생성”기능 버튼을 누르면 (a)~(i)로 구성된 성능점검결과보고서 파일이 자동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되고 문서자료 DB의 지정된 위치에 자동 저장하게 된다. When you touch the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module, the input window for each item that makes up the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will be displayed, and when you touch it, the sub-modules shown below will be displayed. When the input in these input windows is completed and the “Create Plan” function button is finally pressed, the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file consisting of (a) to (i) will be automatically cre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utomatically saved to the designated location in the document data DB.

(a) 기계설비 성능점검 결과보고서 :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양식(도 6 참조)이 자동 표출되고 빈 칸(점검현장 개요, 관리주체, 점검기간 등)에 내용들을 입력한 후 저장할 수 있다.(a) Machine equipment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A pre-saved form (see Figure 6) is automatically displayed, and you can enter the contents in the blank spaces (inspection site overview, management entity, inspection period, etc.) and then save it.

(b) 성능점검의 목적 : 성능점검계획서의 내용이 자동으로 추출되어 입력되는데, 일부 변경할 내용이 있으면 수정 후 저장할 수 있다.(b) Purpose of performance inspection: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inspection plan are automatically extracted and entered. If there are any changes to be made, they can be modified and saved.

(c) 시설물 성능점검 대상 점검표 : 성능점검계획서의 내용이 자동으로 추출되어 입력되는데, 일부 변경된 내용이 있으면 수정 후 저장할 수 있다.(c)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target checklist: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inspection plan are automatically extracted and entered. If there are any changes, they can be modified and saved.

(d) 점검결과 내역서 :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양식(도 6 참조)이 자동 표출되고, 점검결과와 부적합 내역은 아래 (f)의 시설물 별 성능점검 세부 내용에 첨부된 성능점검표의 내용 중 부적합으로 체크된 내용들이 자동으로 입력되고, 그 외 빈칸의 내용을 입력하거나 자동으로 추출되어 입력된 부적합 내용 중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수정 후 저장할 수 있다.(d) Inspection result details: A pre-saved form (see Figure 6) is automatically displayed, and the inspection results and nonconformance details are automatically entered by entering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inspection table attached to the facility-specific performance inspection details in (f), and if there is anything to be corrected among the blank spaces or automatically extracted nonconformance details, you can correct and save it.

(e) 시설물별 성능점검 세부 내용 : 현장에서 성능점검을 실시하면서 미리 저장한 시설물 성능점검표들이 자동으로 추출되어 이 입력창에 자동으로 입력된다.(e) Performance inspection details for each facility: When a performance inspection is conducted on site, the pre-saved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tables are automatically extracted and automatically entered into this input window.

(f) 시설물별 성능 분석 : 성능점검업체가 별도로 작성한 파일을 업로드한 후 저장한다. (f) Performance analysis by facility: Upload and save a file separately prepared by the performance inspection company.

(g) 유지관리지침서의 적정성 : 성능점검업체가 별도로 작성한 파일을 업로드한 후 저장한다.(g) Appropriateness of maintenance instructions: Upload and save a file separately prepared by the performance inspection company.

(h) 내구연수에 따른 노후도 : 성능점검업체가 별도로 작성한 파일을 업로드한 후 저장한다.(h) Aging according to service life: Upload and save a file separately prepared by the performance inspection company.

(i) 시설 개선 및 에너지 절감 제안 사항 : 성능점검업체가 별도로 작성한 파일을 업로드한 후 저장한다.(i) Facility improvement and energy saving suggestions: Upload and save a file separately prepared by the performance inspection company.

F. 정비/수리공사업무관리 모듈F. Maintenance/Repair Work Management Module

정비/수리공사업무관리 모듈을 터치하면 아래의 6가지 하위 모듈이 표시되며 구현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When you touch the maintenance/repair work management module, the six sub-modules below are displayed, and the implemented contents are as follows.

(1) 시설물 수리, 교체 : 본 하위모듈을 들어가면 먼저 표준단가가 입력된 장비의 목록이 표시되며, 장비를 선택하면 수리하고자 하는 부속품의 명칭을 선택하는 스크롤바가 표시되고, 부속품을 선택하면, 부속품의 용량이나 사양을 선택하는 스크롤바가 뜨고, 이후 수량을 선택하는 입력창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장비→부속품→용량/사양→수량 선택 순)(1) Facility repair, replacement: When you enter this sub-module, a list of equipment with standard unit prices is displayed first. When you select equipment, a scroll bar is displayed for selecting the name of the accessory you wish to repair. When you select an accessory, a scroll bar for selecting the capacity or specifications of the accessory appears, and then an input window for selecting the quantity is displayed sequentially. (Equipment → Accessories → Capacity/Specification → Select Quantity)

이 부분까지 입력하고 나면 “견적서 생성”“발주”라는 버튼이 생성되는데, “견적서 생성”을 누르면 자동으로 견적서가 표출되고 “인쇄”나 “저장”버튼이 생성되어 인쇄하거나 DB에 저장되어 활용할 수 있다.Once you have entered this part, buttons called “Create Quotation” and “Place Order” will be created. When you click “Create Quotation,” the quotation will be automatically displayed and a “Print” or “Save” button will be created so that you can print it or save it to the DB for use.

이후 전자결재나 이루어지고 나면 다시 이 모듈에 들어와서 견적서를 생성했던 목록 중 결재가 난 견적서를 선택한 후 “발주”버튼을 터치하면 그 지역에 해당 장비의 수리가 가능하여 사전에 등륵하였던 수리업체들에게 자동으로 알림 문자가 전달되고, 문자를 받은 수리업체 담당자들이 문자의 “확인”글씨를 누르게 되면 앱에서 발주된 내용이 표시되는 앱 화면으로 자동 입장하게 되고, 이후 “공사를 진행하겠습니다”라는 버튼을 선택하면 공사를 발주 받는 것으로 확인되고, 이후 해당 시설을 방문하여 발주된 공사를 수행하고 본 플랫폼을 통하여 수리업체에서 “대금 지급 요청”버튼을 누르면 문건을 발주한 발주처의 사전에 지정된 담당자에게 알림 문자가 전달된다. After the electronic approval is completed, you can return to this module, select the approved estimate from the list of estimates you created, and touch the “Place Order” button. This will automatically send a notification text message to the repair companies that have registered in advance, as repairs for the equipment in that area are possible. When the repair company staff who received the text message click on the “Confirm” button in the text message, you will automatically enter the app screen where the order details are displayed. After that, if you select the “I will proceed with the construction,” it will be confirmed that you have placed an order for the construction. After that, you can visit the facility, perform the ordered construction, and when the repair company clicks the “Request Payment” button through this platform, a notification text message will be sent to the previously designated staff member of the ordering party who placed the order.

이후 본 플랫폼의 지정된 계좌로 공사 대금이 입금되면 결재액의 일정한 비율을 플랫폼 사용료로 공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수리업체의 사전 등록 계좌로 이체함After the construction cost is deposited into the designated account of this platform, a certain percentage of the payment amount is deducted as a platform usage fee and the remaining amount is transferred to the repair company's pre-registered account.

(2) 시설공사 입찰, 발주, 계약 : 본 하위모듈에 들어가게 되면 “공사명”“공사 기간”“공사 내용”“입찰기한”을 간략히 입력하는 창이 뜨고, 해당 내용을 입력한 후 “입찰 세부 자료”입력창에 내역서와 도면, 입찰안내서 등 관련 서류 파일을 업로드 한 후 “전자입찰 진행”버튼을 선택하여 사전에 등록된 지역의 공사업체들에게 문자로 알림이 전달된다. (2) Facility construction bidding, ordering, contract: When you enter this sub-module, a window will appear where you can briefly enter the “construction name,” “construction period,” “construction content,” and “bidding deadline.” After entering the relevant information, upload related document files such as the list of items, drawings, and bidding guide in the “bidding details” input window, and then select the “Proceed with electronic bidding” button to send a text message notification to construction companies in the pre-registered area.

이후 공사업체가 지정된 입찰기한까지 견적서를 제출하는 메뉴를 통해 제출하면 발주처에서 견적서 내용을 검토하여 하여 최종 낙찰자를 선정할 수 있다. 한편 등록업체에게도 이러한 시설관리 앱이 설치된다면, 입찰 알림 시 앱에 표시되는 기능 및 견적서를 제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Afterwards, if the construction company submits a quotation through the menu by the designated bidding deadline, the ordering party can review the quotation contents and select the final successful bidder. Meanwhile, if this facility management app is installed for registered companies, they can be provided with functions that are displayed in the app when receiving bid notifications and functions that allow them to submit quotations.

낙찰자 선정 후 발주 받은 업체가 현장에 들어와 공사를 하고, 공사 완료 후 “대금 지급 요청”버튼을 누르면 공사를 발주한 발주처의 사전에 지정된 담당자에게 알림 문자가 전달되고, 이후 본 플랫폼의 지정된 계좌로 공사 대금이 입금되면 결재액의 일정한 비율을 플랫폼 사용료로 공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수리업체의 사전 등록계좌로 이체될 수 있다.After the successful bidder is selected, the company that received the order enters the site and carries out the construction. Aft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if the “Payment Request” button is pressed, a notification text message will be sent to the previously designated person in charge of the ordering party that placed the construction order. After the construction cost is deposited into the designated account of this platform, a certain percentage of the payment amount will be deducted as a platform usage fee, and the remaining amount can be transferred to the repair company’s pre-registered account.

(3) 긴급출동서비스 : 정전, 단수, 승강기 고장, 배관 터짐, 배관 막힘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긴급출동서비스 모듈에 들어와 지정된 양식의 몇가지 내용(긴급한 상황의 내용에 대한 간단한 서술과 담당자 연락처)을 입력한 후 “긴급출동서비스 요청”버튼을 누르면, 사전에 등록된 공사업체에게 문자 알림이 가고, 응답(회신)한 업체가 현장에 들어와 긴급 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 (3) Emergency dispatch service: When a power outage, water outage, elevator failure, pipe burst, or pipe blockage occurs, the user enters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module, enters some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form (a brief descrip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for the person in charge), and then presses the “Request emergency dispatch service” button. A text message will be sent to the pre-registered construction company, and the company that responds (replies) will be able to enter the site and proceed with the emergency construction.

공사내용에 따라 정산한 금액을 입력해 넣는 창과 대금 지급 요청을 하고, 발주처에서 공사 대금이 본 플랫폼의 지정계좌로 입금되면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공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공사업체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A window is created where the calculated amoun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ntent is entered and a payment request is made. When the construction cost is deposited into the account designated by this platform by the ordering party, a certain percentage of the fee is deducted and the remaining amount is transferred to the construction company's account.

(4) 콜센터 : 콜센터 모듈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본 플랫폼의 운영사의 콜센터로 전화가 연결되어 유선으로 기술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4) Call Center: When you touch the call center module, a call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call center of the operator of this platform, allowing you to receive technical consultation over the phone.

(5) 기술 자료 : 플랫폼 운영사의 관리자가 기술 관련한 자료들을 등록해 놓고 앱 사용자 누구나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자료 게시판으로, 운영사 관리자뿐만 아니라 각종 자재업체나 제조업체, 또는 각 시설의 유지관리자들도 볼만한 자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5) Technical data: This is a data bulletin board where platform operator managers register technical data and make it available for all app users to view. This allows not only operator managers but also various material suppliers, manufacturers, and maintenance managers of each facility to post data of interest.

상기 기술 자료 하위모듈을 들어가면 공종(기계설비, 전기통신설비, 소방설비, 건축/조경/토목)을 선택하는 아이콘이 표시되고, 원하는 공종을 선택해 들어가면 최신 등록 자료순으로 업로드된 자료의 목록이 표시되며, 필요한 자료 행을 클릭하면 해당 자료의 세부 내용과 파일 다운로드 창이 뜬다.When you enter the above technical data submodule, an icon for selecting the type of work (mechanical equipment, telecommunication equipment, fire equipment, architecture/landscape/civil engineering) is displayed. When you select the desired type of work and enter, a list of uploaded data in order of the most recent registration data is displayed. When you click on the row of the required data, the details of the data and a file download window appear.

자료를 열람한 후에 평가(별점주기) 팝업 창이 떠서 별점을 줄 수 있도록 해 추후 다른 사용자가 평가 수준을 목록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After viewing the material, a pop-up window will appear to allow you to rate it, so that other users can see the rating level in a list later.

(6) Q&A : 시설관리 유지관리 업무와 관련한 각종 Q&A를 진행하는 질의응답 게시판, 플랫폼 운영자뿐만 아니라 일반 앱 사용자들도 질의에 답변을 달 수 있도록 한다.(6) Q&A: A question and answer bulletin board where various Q&As related to facility management and maintenance work are conducted. Not only platform operators but also general app users can post answers to questions.

G.자재구매/재고관리 모듈G. Material Purchase/Inventory Management Module

자재구매/재고관리 모듈을 터치하면 아래와 같이 2개의 하위모듈이 표시된다.When you touch the Material Purchase/Inventory Management module, two sub-modules are displayed as shown below.

(1) 자재구매 모듈(1) Material purchase module

자재구매 모듈을 터치하면 “온라인 쇼핑몰”과 “자재 납품입찰”두 가지 기능버튼이 있고, 동시에 화면에는 업체들의 이벤트 광고나 홍보 제품 이미지가 뜬다.When you touch the material purchase module, there are two function buttons: “Online Shopping Mall” and “Material Supply Bid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creen displays event advertisements and promotional product images from companies.

“온라인 쇼핑몰”을 클릭하면 별도의 쇼핑몰 사이트로 연결되고, “자재 납품입찰”을 클릭하면 구매하고자 하는 자재 목록을 업로드 할 수 있는 입력창이 뜨고, “견적 요청”이라는 버튼이 생성되고, “견적 요청”을 클릭하면 사전에 앱에 등록된 지역의 자재 업체에게 알림문자가 통지되고, 문자를 받은 업체는 앱에 들어가 견적 요청한 사용자의 업로드 파일을 다운받아 견적서를 제출한 후 사용자에게 발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Clicking on “Online Shopping Mall” will take you to a separate shopping mall site, clicking on “Material Delivery Bidding” will bring up an input window where you can upload a list of materials you wish to purchase, and a button called “Request a Quote” will be created, and clicking on “Request a Quote” will send a text message to local material suppliers registered in the app in advance, and the suppliers who receive the text message will be able to enter the app, download the uploaded file of the user who requested a quote, submit a quote, and then send it to the user.

견적서가 제출되면 구매처의 지정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구매처의 담당자가 확인하여 “발주”버튼을 클릭하면 다시 해당 자재 납품업체에게 해당 건이 발주되었음을 알리는 문자가 전송되며, 자재 납품이 이루어지면 납품업체가 “대금 지급 요청”버튼을 누르고, 구매처의 대금이 플랫폼으로 입금되면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공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자재 납품업체에게 입금한다.Once the quotation is submitted,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designated person in charge of the purchasing site, and whe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urchasing site confirms and clicks the “Place Order” button, a text message is sent to the material supplier notifying that the order has been placed. Once the material is delivered, the supplier clicks the “Request Payment” button, and when the purchaser’s payment is deposited into the platform, a certain percentage of the fee is deducted and the remaining amount is deposited to the material supplier.

(2) 유지보수 자재관리 모듈(2) Maintenance material management module

유지보수 자재관리 모듈을 터치하면 “기계설비”“전기통신설비”“건축/영선/조경”“소방”등 자재의 대분류를 선택하는 버튼이나 스크롤바가 화면에 표시되고, 하나의 대분류 품목을 선택해 들어가면 해당 품목의 재고 리스트가 아래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다.When you touch the maintenance material management module, buttons or scroll bars for selecting major categories of materials such as “mechanical equipment,” “telecommunication equipment,” “construction/shipping/landscaping,” and “firefighting”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when you select a major category item, the inventory list for that item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below.

자재가 새로 입고되면 “입고량”에, 자재를 사용했으면 “사용량”에 해당 수량을 입력하고 “수정”버튼을 누르면 해당 품목의 내용과 재고량이 자동으로 수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신규 품목이면 품목, 규격, 단위 등 다른 내용들도 입력할 수 있다.)When new materials are received, enter the corresponding quantity in “Amount received” and when materials are used, enter the corresponding quantity in “Amount used” and click the “Modify” button. The contents and inventory quantity of the item will be automatically modified and saved. (If it is a new item, you can also enter other contents such as item, specification, and unit.)

또한 해당 자재의 세부적인 입출고 내용을 알고 싶으면 “품목”란의 해당 자재를 클릭하면 해당 자재의 입출고 세부 내역이 팝업창으로 뜨도록 할 수 있다.Also, if you want to know the detailed receipt/shipment details of the material, you can click on the material in the “Item” column to display the detailed receipt/shipment details of the material in a pop-up window.

H.구인구직/임대렌탈 모듈H. Job Search/Rental Module

구인구직/임대렌탈 모듈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구인구직”“임대/렌탈”의 하위모듈이 있다.If you select the “Job Search/Rental” module, there are sub-modules for “Job Search” and “Rental/Rental” as shown below.

(1) 구인구직 모듈 (1) Job search module

구인구직 모듈을 터치하면 “구인”“구직”“일용/인력파견”3가지 메뉴가 있고, “구인”에 들어가면 필요로 하는 자격이나 경력, 구인하는 곳의 시설물 현황, 연락처 등이 표시된 구인 목록이 표시되고, 일측면에 “구인 등록”이라는 기능 버튼이 있다.When you touch the job search module, there are three menus: “Recruitment,” “Job Seeking,” and “Daily/Human Resources Dispatch.” When you click on “Recruitment,” a list of job openings is displayed, showing required qualifications or experience, facility status of the place recruiting, contact information, etc. On one side, there is a function button called “Register Job Opening.”

“구인 등록”기능 버튼을 누르면 자격이나 경력, 구인하는 곳의 시설물 현황, 연락처 등 각종 내용을 입력하는 팝업창이 뜨고, 해당 내용들을 입력한 후 “등록”버튼을 누르면 구인 목록에 등재된다.When you click the “Register Job” function button, a pop-up window will appear where you can enter various information such as qualifications, work experience, facility status of the job posting, and contact information. After entering the information and clicking the “Register” button, you will be listed on the job posting list.

“구직”메뉴에 들어가면 사전에 앱에 미리 등록된 구직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입력한 정보(지역, 자격증, 경력, 직종, 희망 건물이나 직종 등)가 표시된 구직 목록이 표시되고, 일측면에 “구직 신청”기능 버튼이 있다. When you enter the “Job Search” menu, a list of job searches will be displayed, showing information entered by job seekers who have pre-registered in the app (region, qualifications, career, job type, desired building or job type, etc.), and there is a “Job Search Application” function button on one side.

“구직 신청”기능 버튼을 누르면 구직자가 본인의 희망 사항들을 각 입력칸에 입력하는 팝업 창이 열리고, 입력한 후 “구직 등록”기능 버튼을 눌러 저장하면 구직 목록에 추가되어 표시된다.When you click the “Apply for Job” function button, a pop-up window will open where the job seeker can input their desired information into each input field. After inputting the information, click the “Register for Job” function button to save it, and it will be added to the job search list and displayed.

“일용/인력파견”메뉴를 선택해 들어가면, 급하게 일용직이 필요한 사용자가 필요한 내용(작업 일시, 소요 인원, 작업 내용, 기타 사항)을 입력하는 팝업창이 열리고, 각 항목을 입력한 후 “인력 요청”버튼을 누르면 사전에 앱에 등록된 인력파견업체에 문자 알림이 전송된다.When you select the “Daily/Manpower Dispatch” menu, a pop-up window will open where users who urgently need daily workers can enter the necessary information (work date and time, number of people required, work content, and other details). After entering each item and pressing the “Manpower Request” button, a text message notification will be sent to the manpower dispatch company registered in the app in advance.

특정 인력파견업체가 앱에서 해당 인력파견 건을 확인한 후 “인력 파견 진행하겠습니다”라는 버튼을 누르면 인력파견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다시 인력파견 건이 성사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이 전송되고, 해당 인력 파견 건이 진행되고 나면 인력파견업체가 “대금 지급 요청”버튼을 눌러서 대금 지급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플랫폼으로 대금이 입금되면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인력파견업체의 등록 계좌로 입금시킨다.When a specific staffing agency confirms a staffing dispatch case in the app and clicks the “Proceed with staffing dispatch” button,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user who requested the staffing dispatch notifying that the staffing dispatch case has been completed. Once the staffing dispatch case is in progress, the staffing agency clicks the “Request payment” button to request payment. When the payment is deposited from the user to the platform, the remaining amount minus a certain percentage of commission is deposited into the staffing agency’s registered account.

(2) 임대/렌탈 모듈 (2) Rental/Lease Module

임대/렌탈 모듈을 터치하면 임대/렌탈 하고자 하는 각종 공구나 장비의 아이콘들이 표시(함마드릴, 절단기, 용접기, 테스터기, 청소, 조경, 전동리프트 등)되고,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각 사용자들이 임대/렌탈 하기 위해 올려놓은 제품들과 임대/렌탈을 원하는 사용자들이 올려놓은 내용들이 목록으로 표시되고, 아울러 일측에는 “임대/렌탈 등록”기능 버튼이 있어, 임대/렌탈을 하고자 하는 공구나 장비를 등록시킬 수 있다.When you touch the rental/rental module, icons for various tools or equipment that you want to rent/rent will be displayed (hammer drills, cutters, welders, testers, cleaning, landscaping, electric lifts, etc.), and when you click on the icon, a list of products that each user has uploaded for rent/rental and the content uploaded by users who want to rent/rent will be displayed, and in addition, there is a “rental/rental registration” function button on one side, so that you can register tools or equipment that you want to rent/rent.

임대/렌탈을 희망하는 제품이 있으면 해당 제품을 클릭해 들어가서 내용을 확인한 후 “임대/렌탈 요청”이라는 기능 버튼을 클릭하면, 임대/렌탈 기간과 사용자의 위치를 입력하는 팝업창이 뜨고, 이후 내용을 입력한 후 “작성 완료”버튼을 누르면 해당 건이 임대/렌탈 등록을 한 등록자에게 문자로 알림이 전송된다.If there is a product you wish to rent/lease, click on the product to enter the details, then click on the “Rental/Lease Request” function button. A pop-up window will appear asking you to enter the rental/lease period and your location. After entering the details and clicking on the “Complete” button, a text message notification will be sent to the registrant who registered the rental/lease for that item.

이후 임대/렌탈 등록자가 “수락”을 하면 계약이 성사되고 상호간의 연락을 통해 제품의 임대/렌탈이 이루어지고, 이후 임대/렌탈 사용자의 대금이 입금되면 일정 비율의 금액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을 임대/렌탈 등록자에게 입금한다.Afterwards, if the lessor/rental registrant “accepts,” the contract is concluded and the product is rented/rented through mutual contact. Afterwards, when the lessor/rental user’s payment is deposited, a certain percentage of the amount is deducted and the remaining amount is deposited to the lessor/rental registrant.

임대/렌탈 제품을 등록하고자 할 경우 “렌탈/임대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제품의 상세 정보(대분류, 품목, 규격, 수량, 용도, 사진, 렌탈 가능기간, 기타 참고사항 등)를 입력하는 입력창이 뜨고, 각 내용을 입력한 후 “등록”버튼을 누르면 해당하는 대분류 렌탈/임대 목록에 추가되어 등록될 수 있다.If you wish to register a rental/rental product, click the “Register Rental/Rental” button and an input window will appear where you can ente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category, item, specifications, quantity, use, photo, rental period, other notes, etc.). After entering each item, click the “Register” button to add it to the corresponding rental/rental list and register it.

100 : 건축물, 200 : 컴퓨터(PC)
300 : 스마트폰, 400 : 유,무선 통신수단
500 : 서버, 510 : 데이터베이스(DB)
100 : Building, 200 : Computer (PC)
300: Smartphone, 400: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500: Server, 510: Database (DB)

Claims (9)

건축물에 설치된 시설물,
상기 시설물에 대해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PC나 스마트폰에서 시설물 유지관리업무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서버,
상기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앱의 유지관리점검/성능점검 모듈은 건축물(ID) 별로 설치된 시설물에 대해서 시설물 유지관리업무를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시설물 데이터는 시설물 유지관리 및 성능 점검을 위한 시설물 현황표, 시설물 점검표, 시설물 성능점검표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시설물 데이터는 기술전문가에 의해 시설물의 노후화, 수리 등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수정되어 유지관리업무에 반영될뿐 아니라, 시설물의 성능 점검을 위해 성능검사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시설물의 유지관리점검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지원하고, 각종 계측기나 장비로 시설물의 온도나 압력 등 필요한 수치를 직접 확인하여 성능점검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시설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Facilities installed in buildings,
A database that stores data for maintenance and performance inspection of the above facilities.
A server that supports facility maintenance work on a PC or smartphone using data from the above database.
The maintenance inspection/performance inspection module of the app installed on the above smart phone performs facility maintenance work for facilities installed by building (ID), and the facility data of the above database consists of a facility status table, facility inspection table, and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table for facility maintenance and performance inspection, and furthermore, the facility data is continuously revised by technical experts in response to aging and repair of the facility and reflected in the maintenance work, and is characterized by granting authority to a performance inspector to use it for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supporting confirmation of the maintenance inspection history of the facility, and supporting creation of a performance inspection table by directly checking necessary values such as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facility with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or equipment.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 건축물(ID)에 대한 문서자료 DB, 시설물 DB, 시설물 수리 등록업체 DB, 소모품 판매업체 DB, 구인/구직 DB, 장비/공구 렌탈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시설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In claim 1,
The above database is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ocument DB for each building (ID), a facility DB, a facility repair registration company DB, a consumables sales company DB, a job search/recruitment DB, and an equipment/tool rental DB.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앱은 문서관리, 작업관리, 에너지관리, 민원처리,A/S, 정비/수리공사업무관리, 자재구매/재고관리, 구인구직/임대렌탈 모듈이 추가되어,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시설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In claim 2,
The above smartphone app is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characterized by performing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tasks with the addition of document management, work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civil complaint processing, A/S, maintenance/repair work management, material purchase/inventory management, and job search/rental modules.
청구항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관리점검/성능점검 모듈의 하위모듈인 유지관리계획서 모듈, 유지관리점검결과보고서 모듈, 성능점검계획서 모듈, 성능점검결과보고서 모듈은 해당 항목마다 입력창이 표시되고, 이 입력창에는 상기 각 하위모듈의 작성에 사용되는 상기 시설물데이터(시설물 현황표, 시설물 점검표, 시설물 성능점검표)와 미리 저장된 표준화된 문구가 반영되어 표시되면, 이를 수정하거나 필요한 사항을 기재함으로써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시설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In claim 1 or 3,
The maintenance plan module, mainten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module, performance inspection plan module, and performance inspection result report module, which are sub-modules of the above maintenance inspection/performance inspection module, display input windows for each item, and when these input windows reflect the facility data (facility status table, facility inspection list,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list) used for creating each of the above sub-modules and the standardized phrases saved in advance, they are automatically created by modifying them or entering necessary information, which is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수리공사업무관리, 자재구매, 구인구직, 렌탈/임대 모듈을 통해 등록된 수요자와 공급자에게 거래 업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전자결재 금액의 일정 비율로 수수료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시설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In claim 3,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that provides transaction services to registered demanders and suppliers through the maintenance/repair work management, material purchase, job search, and rental/lease modules, and in this case, receives a commission as a certain percentage of the electronic payment amount.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관리점검/성능점검 모듈의 하위인 유지관리 점검표 모듈과 상기 민원처리, A/S 모듈에서는 점검 결과나 처리 결과를 기재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련 사진이나 음성녹음을 업로드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시설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In claim 3,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maintenance checklist module, which is a sub-module of the above maintenance check/performance check module, and the above complaint processing and A/S modules not only record inspection or processing results, but also upload related photos or voice recording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45749A 2022-04-13 2022-04-13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Active KR1027919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49A KR102791962B1 (en) 2022-04-13 2022-04-13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49A KR102791962B1 (en) 2022-04-13 2022-04-13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834A KR20230146834A (en) 2023-10-20
KR102791962B1 true KR102791962B1 (en) 2025-04-03

Family

ID=8851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749A Active KR102791962B1 (en) 2022-04-13 2022-04-13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919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6348B1 (en) * 2024-06-26 2025-03-06 주식회사 시너젠 AI based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manufacturing fac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780B1 (en) 2011-04-11 2011-11-01 (주)사인포스트커뮤니케이션 Defect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phone
KR102053620B1 (en) * 2018-02-19 2019-12-09 국립부산과학관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xhibition hal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861B1 (en) * 2004-07-16 2006-08-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acility maintenance system and facility maintenance
KR101695522B1 (en) * 2014-11-28 2017-01-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Build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KR102022010B1 (en) 2018-03-02 2019-09-18 (주)디비넥스트 Platform for totally maning a building and a facility based on iot, method of the same
KR102122590B1 (en) * 2018-09-14 2020-06-12 에스티엘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780B1 (en) 2011-04-11 2011-11-01 (주)사인포스트커뮤니케이션 Defect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phone
KR102053620B1 (en) * 2018-02-19 2019-12-09 국립부산과학관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xhibition h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834A (en)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839B2 (en) Project planning system
US20030078798A1 (en) 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US20140172479A1 (en) Integrated Customer Profiling, Service Provider Matching and Smart Order, Creation System and Method
US20050080702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piling real property information from a central database
US20120072256A1 (en) Vehicle Impound and Auctioning Management System
US20050071376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real property through a central database
KR20130047776A (en) Stand alone domain each construction web site with auto maker and using it for the group system
US20170104823A1 (en) Fire service and equipment inspection test and maintenance system
KR2017013709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on-site risk management
Wood Building care
US20130290135A1 (en) Request for proposal system and method for real estate management
US2013029005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enovation of a property
US20110055099A1 (en)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Healthcare Organizations on a Temporary Basis
CN108665384A (en) A kind of household service platform based on internet
Lai Operation and maintenance budgeting for commercial buildings in Hong Kong
KR102791962B1 (en) A service platform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JP2010267219A (en)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urnbaugh Risk management on large capital projects
KR20100134238A (en) Integrated Business Group Operation System and Method
TW511019B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jobs, managing financing, and/or providing materials
Rad et al. Project Planning Techniques Book
JP2008123469A (en) Management system of property management information, human management information, real estate information
McIlvaine et al. Next Step Toward Widespread Residential Deep Energy Retrofits
Samadyo et al. Implementation of Mobile-Based E-Kost System to Optimize Online Search, Booking, and Payment
JP2003524840A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ales of house mod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