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01092B1 - A dryer - Google Patents

A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01092B1
KR102801092B1 KR1020210193496A KR20210193496A KR102801092B1 KR 102801092 B1 KR102801092 B1 KR 102801092B1 KR 1020210193496 A KR1020210193496 A KR 1020210193496A KR 20210193496 A KR20210193496 A KR 20210193496A KR 102801092 B1 KR102801092 B1 KR 10280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pace
dryer
main body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02983A (en
Inventor
조선형
Original Assignee
조선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형 filed Critical 조선형
Priority to KR102021019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01092B1/en
Publication of KR2023010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9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0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0109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3Movable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carts, trolleys, pallet-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건조물이 위치할 수 있고 출입구를 갖는 건조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습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복수의 배출홀 및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건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건조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모듈 및 상기 건조 공간의 건조환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은 상기 건조 공간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 편차 없이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과 평행하게 유동하여 상기 건조물과 접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drying space formed inside, in which a drying object can be positioned and having an entrance and exit,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rough which moist air can be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inlet holes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a partition section partitioning the drying space; at least one drying module disposed in the drying space and capable of generating wind for drying the drying object; and a control section controlling the drying environment of the drying space, wherein the wind can flow parallel to the inner floor of the main body without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rying space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drying object.

Description

건조기{A dryer}{A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일반적으로, 농작물은 건조되어 가공된 식품 또는 식재료로 유통되기도 한다. 일례로 수확된 고추를 고춧가루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제거해야 한다. 수분 제거 방법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자연상태 그대로 건조하는 방식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열을 가하는 건조기 방식 등이 있다.In general, crops are dried and distributed as processed foods or ingredients. For example, in order to process harvested peppers into pepper powder, the moisture must be removed. There are methods for removing moisture, such as using solar heat to dry them naturally, and using a dryer that artificially applies heat using electric energy.

자연 상태에서 건조물을 건조할 경우 날씨에 영향을 크게 받기에 다량의 고추를 신속하게 건조하기 어렵다.When drying a product in a natural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quickly dry a large quantity of peppers because it is greatly affected by the weather.

도 1을 참고하면, 건조기(10)는 건조 공간(17)이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16), 건조 공간(17)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농작물과 같은 건조물이 놓일 수 있는 채반(14), 본체부(16)에 건조 공간(17)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12) 및 바람의 온도를 높이는 발열장치(1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ryer (10) includes a main body (16) having a drying space (17) formed inside, a tray (14) arrang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in the drying space (17) and on which drying materials such as crops can be placed, a blower (12) that supplies wind to the main body (16) and the drying space (17), and a heating device (11) that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wind.

송풍기(12)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부(16)의 외부 공기가 발열장치(11)를 지나면서 가열된다. 가열된 바람(이하 온풍이라 함)은 송풍기(12)와 건조 공간(17)을 연결하는 통로(15)를 지나 본체부(16)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송풍구(13)를 통해 건조 공간(17)으로 유입되어 채반(14)의 건조물과 접촉한다. 채반(14)의 건조물은 온풍에 의해 건조가 진행된다.As the blower (12) rotates, the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16) is heated as it passes through the heating device (11). The heated wi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rm air) passes through the passage (15) connecting the blower (12) and the drying space (17) and flows into the drying space (17) through the blower hole (13)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16)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ied material in the tray (14). The dried material in the tray (14) is dried by the warm air.

건조기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건조하므로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아 건조가 신속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발열장치와 근접한 건조물과 발열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건조물의 건조율이 달라지게 되었다.Since the dryer uses electric energy to dry crop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unaffected by the weather and drying is done quickly. However, the drying rate of the object closest to the heating device and the object furthest from the heating device differs.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7353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7353

본 발명은 위치가 다른 건조물들을 편차 없이 균일하게 건조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er that dries objects located in different locations uniformly without deviation.

본 발명은 대용량의 건조물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er capable of drying a large amount of dry material simultaneously.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를 갖는 건조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공간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 및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건조물이 위치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건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건조 공간에 복수 배치되어 상기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건조모듈 및 상기 건조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 공간의 건조환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은 복수 배치된 상기 건조모듈에 의해 상기 건조 공간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 편차 없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평행하게 상기 건조 공간을 순환하면서 상기 건조물과 접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ying space having an entrance is formed inside, an exhaust hole through which air of the drying space can be discharged and an inflow hole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are formed, and a main body part in which a drying object can be positioned, a partition part that partitions the drying space, a plurality of drying modules arranged in the drying space and capable of generating wind for drying the drying object, and a control part connected to the drying modules to control the drying environment of the drying space, wherein the wind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rying object while circulating in the drying space parallel to the inner floor of the main body part without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rying space by the plurality of drying modules arranged.

상기 구획부는 상기 건조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격벽, 그리고 상기 통로를 열거나 막을 수 있는 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에는 건조모듈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상면과 상기 건조 공간의 상부 둘레와 접하고 상기 격벽의 하면은 상기 건조 공간의 바닥과 접하며, 상기 격벽의 길이 방향 일면과 타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과 접하지 않아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과 상기 격벽의 일면과 타면 사이에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순환통로가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partition divides the drying spac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d includes a partition wall having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a door capable of opening or blocking the passage, and drying modules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eriphery of the drying space, a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drying space, and one longitudinal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do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a circulation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one and the other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건조모듈은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히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히팅부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 공간으로 송풍한다.The drying module includes a movable frame, at least one blower arrang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 heating unit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wherein the blower blows air heated by the heating unit into the drying space.

상기 건조기는 상기 유입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기를 상기 건조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부, 그리고 상기 배출홀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물의 건조로 발생한 습공기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한다.The above dryer further includes an inlet portion arranged in the inlet hole to introduce external air of the main body into the drying space, and a discharge portion arranged in the discharge hole to discharge moist air generated by drying the dry produc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배출부는 내부에 상하 관통된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몸체, 그리고 상기 배출몸체에 배치되어 건조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거나 차단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The above discharge unit includes a discharge body having upper and lower penetrating passages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closing member arranged in the discharge body to connect or block the drying space from the outside.

상기 건조기는 제습모듈을 더 포함한다.The above dryer further includes a dehumidifying module.

상기 건조기는 상기 건조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물이 놓일 수 있는 건조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대는 이동 가능한 건조대 프레임, 그리고 상기 건조대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채반을 포함한다.The above dryer can be positioned in the drying space and further includes a drying rack on which the drying material can be placed, the drying rack including a movable drying rack frame and a plurality of tray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drying rack frame.

상기 건조대는 상하 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채반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부에 의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건조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The above drying rack further includes a guide section arranged between the vertically adjacent trays to guide the wind supplied by the blower section to the drying rack.

상기 건조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출입구에서 내부로 상기 건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를 더 포함한다.The above dryer further includes a transport section that is movably arranged on the inner floor of the main body section and capable of moving the drying object from the entrance to the interior.

상기 건조기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내부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바람의 유동을 보조하는 유동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above dryer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and further includes a flow member arranged at an inner edge of the main body to assist the flow of the wi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모듈은 건조 공간의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바람의 대류 현상을 최소화시켜, 서로 다른 위치의 건조물이 동시에 건조되므로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module generates wi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of the drying space to minimize the wind convection phenomenon, so that objects in different locations are dried simultaneously, thereby improving dry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는 가열된 바람이 순환하며 건조가 수행되기에 위치가 다른 대용량의 건조물들을 편차 없이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er can evenly dry large-capacity objects located in different locations without deviation because drying is performed by circulating heated air. Accordingly, drying efficiency is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부는 건조 공간 내부의 습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출시켜 건조 공간의 저습도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section exhausts moist air inside the drying space to the outside of the dryer to maintain a low humidity state in the drying space. Accordingly, the drying efficiency is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부는 건조 공간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건조 공간의 풍압을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section maintains the air pressure of the drying space by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drying space. Accordingly, the drying efficiency is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습모듈은 건조 시 발생되는 습공기의 수증기만 제거하고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를 건조 공간에 다시 유입시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건조 공간 외부의 습도 및 날씨와 무관하게 건조를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ying module removes only the water vapor of the humid air generated during drying and re-introduces the air from which the water vapor has been removed into the drying spac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Accordingly, drying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humidity and weather outside the drying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대의 가이드부는 선형의 공기 흐름을 채반 쪽으로 이동시켜 건조물과 접촉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of the drying rack moves a linear air flow toward the sieve to increase the air flow rate in contact with the drying material. Accordingly, the drying efficiency is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가 회전함에 따라 건조대가 건조기 내부로 이동되어 작업자가 직접 건조대를 이동시키는 거리가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건조를 위한 준비 과정의 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nveying member rotates, the drying rack is moved inside the dryer, thereby minimizing the distance that the worker has to directly move the drying rack.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the preparation process for drying is improved.

도 1은 종래의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체부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구획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2의 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3의 건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나타낸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건조대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개략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ry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Figure 2.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mpartment of Figure 3.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scharge section of Figure 2.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ing module of Figure 3.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ing rack of Figure 3.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of Fig. 3.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dr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ing rack of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ying unit of Figure 11.
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n, a dr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체부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구획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도 3의 건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3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FIG. 2,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mpartment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scharge section of FIG. 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ing module of FIG. 3,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ing rack of FIG. 3,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ection of FIG. 3.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건조기(100)는 본체부(110), 구획부(160), 건조모듈(12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dryer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compartment (160), a drying module (120), and a control unit (180).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건조물이 위치할 수 있는 건조 공간(200)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0)의 일면은 개방되어 출입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114)에는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어가 개방되기에 건조 공간(200)으로 건조물을 투입시키거나 빼낼 수 있다.A drying space (200) in which a drying object can be located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0).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open to form an entrance (114). A door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114)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Since the door is opened, a drying object can be put into or taken out of the drying space (200).

본체부(110)의 상면에는 건조 공간(200)과 본체부(110)의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홀(112)과 유입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건조물 건조 시 건조 공간(200)의 공기는 배출홀(112)을 통해 본체부(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외부 공기는 유입홀(113)을 통해 건조 공간(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홀(113)의 주변에는 본체부(110)의 외부에서 빗물,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An exhaust hole (112) and an inlet hole (11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connect the drying space (200)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When drying a dry object, air in the drying space (200)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exhaust hole (112). Air outside the main body (1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drying space (200) through the inlet hole (113). A cover (not shown) is arranged around the inlet hole (113) to prevent rainwater, dust, etc. from being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본체부(110)의 둘레는 건조 공간(20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둘레에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The perimeter of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with a transparent window (not shown) that allows the drying space (200) to be visually observed. In addition, an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installed around the perimeter of the main body (110).

이와 같은 본체부(11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화물 수송에 쓰이는 컨테이너(container)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10) is the same as that of a container used for cargo transport of a known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4를 더 참고하면, 구획부(160)는 격벽(161), 그리고 문(162)을 포함하며, 건조 공간(200)을 구획한다.Referring further to FIG. 4, the compartment (160) includes a bulkhead (161) and a door (162), and divides the dry space (200).

격벽(161)은 건조 공간(200)에 위치하여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건조 공간(200)은 격벽(161)에 의해 제1 공간(210)과 제2 공간(220)으로 구획되어 있다.The partition wall (161) is located in the dry space (200) and is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The dry space (200)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210) and a second space (220) by the partition wall (161).

격벽(161)의 상면과 하면은 본체부(110)의 내부면과 접하고 있으며 길이 방향 양단은 본체부(110)의 내부면과 떨어져 있다. 이에 격벽(161)의 양단과 본체부(110)의 내부면의 사이에 제1 공간(210)과 제2 공간(220)을 연결하는 순환통로(230)가 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lkhead (161)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longitudinal ends are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ly, a circulation passage (230) connecting the first space (210) and the second space (220) is formed between the two ends of the bulkhead (16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그리고 격벽(161)의 길이 방향 중앙에는 제1 공간(210)과 제2 공간(220)을 연결하는 통로(16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공간(210)의 건조물은 통로(163)를 통해 제2 공간(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And, a passage (163) connecting the first space (210) and the second space (22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bulkhead (161). The building material in the first space (210) can move to the second space (220) through the passage (163).

문(162)은 통로(163)에 배치되어 통로(163)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건조 시 문(162)은 통로(163)를 폐쇄할 수 있다. 그러나 통로(163)는 개방된 상태에서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The door (162) is arranged in the passage (163) and can open or close the passage (163). When drying, the door (162) can close the passage (163). However, drying can proceed while the passage (163) is open.

도 5를 더 참고하면, 건조모듈(120)은 송풍부(121), 히팅부(122), 프레임(123) 및 이동부재(124)를 포함하며, 건조물 건조를 위한 열을 생성할 수 있다. 건조모듈(120)은 제1 공간(210)과 제2 공간(220)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공간(210)은 건조모듈(120)에 의해 출입구(114)와 차단되어 있고, 제2 공간(220)은 본체부(110)의 출입구(114)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건조물은 출입구(114)를 통해 제2 공간(220)으로 투입되어 제1 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5, the drying module (120) includes a blower (121), a heating unit (122), a frame (123), and a moving member (124), and can generate heat for drying a drying object. The drying module (120) is arranged in a first space (210) and a second space (220), respectively. The first space (210) is blocked from the entrance (114) by the drying module (120), and the second space (220) is connected to the entrance (114)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ly, the drying object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220) through the entrance (114) and moved to the first space (210).

제1 공간(210)의 건조모듈(120)은 순환통로(230)를 통해 제2 공간(220)의 공기를 제1 공간(210)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 공간(220)의 건조모듈(120)은 순환통로(230)를 통해 제1 공간(210)의 공기를 제2 공간(2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drying module (120) of the first space (210) can move air of the second space (220) to the first space (210)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230), and the drying module (120) of the second space (220) can move air of the first space (210) to the second space (220)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230).

프레임(123)은 복수의 막대가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123)의 일측에는 히팅부(122)가 결합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23)의 측면 또한 복수의 막대가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상하로 두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23)은 홀이 복수 형성되어 있기에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공기의 의동을 방해하지 않는다.The frame (123) has a rectangular prism shape formed by combining multiple rods, and a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123) into which a heating unit (122) can be combined. The side of the frame (123) is also formed by combining multiple rods, and two holes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Since the frame (123) has multiple holes formed, it has an open structure and does not impede the movement of air.

이동부재(124)는 케스터(ca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124)는 프레임(123)과 결합되어 본체부(110)의 내부 바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건조모듈(120)은 건조 공간(200)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부재(124)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레임(123)은 본체부(110)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movable member (124) may include a castor. The movable member (124) is coupled with the frame (123) and can move along the inner floor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ly, the drying module (120) can move freely in the drying space (200). However, the movable member (124)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frame (123)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히팅부(122)는 프레임(123)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히팅부(122) 주위의 공기는 55℃ 내지 65℃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온도가 55℃ 미만인 경우 건조 효율이 저하되며, 65℃를 초과하는 경우 건조물이 탈 수 있다.The heating unit (12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123). The air around the heating unit (122) can be heated to a temperature of 55°C to 65°C. If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55°C, the drying efficiency is reduced, and if it exceeds 65°C, the dried material may be burned.

송풍부(121)는 하우징, 팬, 모터, 여과망을 포함하며 프레임(123)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다. 송풍부(121)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가열된 히팅부(122) 주위의 공기는 건조 공간(200)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blower (121) includes a housing, a fan, a motor, and a filter net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123). The blower (121) can be driven by a motor to generate wind. At this time, the air around the heated heating unit (122) can flow into the drying space (200).

도 6을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본체부(110)에 배치되어 건조 공간(200)의 건조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6, 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in the main body (110) to control the drying environment of the drying space (200).

제어부(180)는 작업자가 건조기(100)의 건조모듈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는 타이머, 제습센서, 온도센서, 카메라 및 통신부 등이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allows the operator to operate the drying module of the dryer (100). In addition, a timer, a dehumidific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camera, and a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80).

타이머는 건조기(100)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기설정된 건조 시간을 초과하면 건조기(100)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건조모듈(120)의 과부하로 인한 화재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The timer can set the operating time of the dryer (100). If the preset drying time is exceeded, the power of the dryer (100) can be cut off. Accordingly, the drying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burning, and fire accidents due to overload of the drying module (120) can be prevented.

제습센서는 건조 공간(200)에 위치하여 건조 시 건조 공간(200)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습센서는 건조 공간(200)의 습도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제어부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dehumidification sensor is located in the drying space (200) and can measure the humidity of the drying space (200) during drying. The dehumidification sensor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humidity of the drying space (200) exceeds or falls below a preset value.

온도센서는 건조 공간(200)에 위치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건조 공간(200)의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값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8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히팅부(122)의 온도를 상승시켜 건조 공간(20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히팅부(122)의 온도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건조 공간(200)은 최적의 건조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can be located in the drying space (200) to measure th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ensor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80)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drying space (200) is lower than or higher than a set valu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180) can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122)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space (200).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exceeds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180) de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122). Accordingly, the drying space (200) can be maintained at an optimal drying temperature.

카메라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건조 공간(200)을 촬영하여 제어부(180)로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camera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can capture images of the dry space (200) and transmit them to the control unit (180). The control unit (180) can store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통신부는 제어부(180)가 수신한 습도, 온도, 영상 등의 정보를 관리자에게 송출할 수 있다. 관리자는 단말기를 통해 건조기(100)의 현황을 통신이 가능한 곳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can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humidity, temperature, and image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80) to the manager. The manager can check the status of the dryer (100) in real time through the terminal in a place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유입부(150)(도 2 참조)를 더 참고할 수 있다. 유입부(150)는 유입홀(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유입부(150)는 제어부(180)와 연결되어 제어부(180)의 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유입부(150)가 작동함에 따라 본체부(110)의 외부 공기를 건조 공간(20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The dry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refer to the inlet (150) (see FIG. 2). The inlet (1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let hole (113). The inlet (1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80) and can be operat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80). As the inlet (150) operates, the external air of the main body (1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drying space (200).

도 6을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배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140)는 배출몸체(141) 및 개폐부재(142)를 포함하며 제어부(180)와 연결되어 제어부(180)의 신호에 의해 건조 공간(200)의 공기를 본체부(1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6, the dry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unit (140). The discharge unit (140) includes a discharge body (141) and an opening/closing member (142), and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180) so as to discharge air in a drying space (20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80).

배출몸체(141)는 본체부(110)의 외부에서 배출홀(112)과 연결되어 있다. 배출몸체(141)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이에 건조 공간(200)은 배출몸체(141)를 통해 본체부(110)의 외부와 연동되어 있다.The discharge body (14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12)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body (141) is perfor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ccordingly, the drying space (20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discharge body (141).

개폐부재(142)는 배출몸체(141)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부(110)의 배출홀(112)을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개폐부재(142)가 개방되면 건조 공간(200)의 공기는 배출몸체(141)를 통해 본체부(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member (14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body (141) and can open or block the discharge hole (112)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opening/closing member (142) is opened, air in the drying space (2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discharge body (141).

배출부(140)는 제습모듈(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dehumidifying module (not shown).

제습모듈은 배출몸체(141)와 연결되어 있어 건조 공간(20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제습모듈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습모듈은 유입홀(113)과 연결되어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를 건조 공간(20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에 건조 공간(200)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필요 없이 완전순환형 방식으로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body (141) so that air discharged from the drying space (200) can pass through it. The dehumidifying module can remov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air. In addition, the dehumidify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inlet hole (113) so that air from which water vapor has been removed can be introduced into the drying space (200). Accordingly, the object can be dried in a complete circulation manner without the need to introduce air from outside the drying space (200).

이와 같은 제습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공기 중에서 수증기를 분리하는 제습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is dehumidifying module is identical to that of a known dehumidifier that separates water vapor from air,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제습모듈에는 발열기가 배치될 수 있다. 발열기는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가 건조 공간(200)으로 유입되므로 건조모듈(120)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Meanwhile, a heater may be placed in the dehumidifying module. The heater may heat the air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Since the he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drying space (200), energy consumption of the drying module (120) may be minimized.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건조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대(130)는 건조대 프레임(133) 및 채반(131)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dry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rying rack (130). The drying rack (130) includes a drying rack frame (133) and a strainer (131).

건조대 프레임(133)은 베이스(135) 및 기둥(136)을 포함한다.The drying frame (133) includes a base (135) and a pillar (136).

베이스(135)는 기설정된 넓이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35)에는 건조대 이동부재(134)가 결합되어 있다.The base (135) is formed with a preset width. A drying movable member (134) is connected to the base (135).

기둥(136)은 베이스(135)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기둥(136)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다. 기둥(136)의 내측면에는 기둥(136)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걸림턱(도시하지 않음)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A pillar (136)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base (135). A plurality of pillars (136) are arranged along the edg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136), a plurality of catches (not shown) ar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length of the pillar (136).

채반(131)은 복수의 기둥(136) 사이에 위치하여 가장자리가 걸림턱에 놓여 있다. 채반(131)은 기둥(13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다. 채반(131)은 타공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채반(131)에는 건조물이 놓일 수 있다.The sieve (131) is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columns (136) and has its edge resting on a catch. A plurality of sieves (131) are arranged along the length of the columns (136). The sieve (131) is perforat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A dry object can be placed on the sieve (131).

이와 같은 건조대(130)는 건조대 이동부재(124)에 의해 건조 공간(200)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통로(163)를 통해 제1 공간(210)에서 제2 공간(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A drying rack (130) like this can be moved in the drying space (200) by the drying rack moving member (124) and can be moved from the first space (210) to the second space (220) through the passage (163).

다음은 도 9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건조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drye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바람의 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wi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출입구(114)를 통해 제2 공간(220)으로 건조물이 놓인 건조대(130)를 투입할 수 있다. 제2 공간(220)의 건조대(130)는 통로(163)를 통해 제1 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공간(210)과 제2 공간(220)에 건조대(130)가 위치한 상태에서 건조모듈(120)을 작동시켜 건조 공간(20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drying rack (130) on which a drying material is placed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220) through an entrance (114). The drying rack (130) of the second space (220) can be moved to the first space (210) through a passage (163). In this way,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space (200) can be increased by operating the drying module (120) while the drying rack (130) is positioned in the first space (210) and the second space (220).

이때 히팅부(122)는 주변의 공기 온도를 55℃ 내지 65℃로 형성한다. 송풍부(121)를 작동시켜 히팅부(122)의 주변 공기는 제1 공간(210)으로 유동시킨다. 바람은 건조 공간(200)의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킨다.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122) forms the surrounding air temperature to 55°C to 65°C. By operating the blower unit (121), the surrounding air of the heating unit (122) flows into the first space (210). The wind is gener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of the drying space (200).

바람은 제1 공간(210)의 건조대(130)를 통과하면서 건조물과 접촉할 수 있다. 건조물의 수분은 배출되어 공기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1 공간(210)에서 건조물과 접촉한 바람은 순환통로(230)를 통해 제2 공간(220)의 건조모듈(1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220)의 건조모듈(120) 주변 공기 온도는 제1 공간(210)의 건조모듈(120)에서 생성된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수 있다.The wind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rying material while passing through the drying rack (130) of the first space (210). The moisture of the drying material can be discharged and flow along with the air. The wind that has come into contact with the drying material in the first space (210) can be located in the drying module (120) of the second space (220)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230). At this time, the air temperature around the drying module (120) of the second space (220) can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drying module (120) of the first space (210).

제2 공간(220)의 히팅부(122)는 주변의 공기 온도를 설정 온도로 높일 수 있다. 제2 공간(220)의 송풍부(121)를 작동시켜 히팅부(122)의 주변 공기는 제1 공간(210)으로 유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건조 공간(200)에서는 바람이 순환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22) of the second space (220) can raise the surrounding air temperature to a set temperature. By operating the blower unit (121) of the second space (220), the surrounding air of the heating unit (122) flows into the first space (210). In this way, wind can circulate in the drying space (200).

한편, 습도센서는 건조 공간(200)의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송신하고 제어부(180)는 수신된 습도 값에 따라 개폐부재(142)를 개폐시켜 습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humidity sensor measures the humidity of the dry space (2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80), and the control unit (180)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closing member (142) according to the received humidity value to discharge moist air.

배출부(140)는 건조가 수행됨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건조 공간(200)은 저습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exhaust unit (140) discharges moist air generated as drying is perform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drying space (200) can maintain a low humidity state.

또한, 배출부(140)가 습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건조 공간(200)의 공기 밀도가 낮아져 풍압이 낮아지게 된다. 유입부(150)는 회전운동으로 외부의 공기를 건조 공간(200)으로 유입시켜, 건조 공간(200)의 공기 밀도를 유지시킨다. 유입부(150) 없이 본체부(110)에 형성된 유입홀(113)만 있어도 건조 공간(200) 외부의 공기는 건조모듈(12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unit (140) discharges wet air, the air density of the drying space (200) decreases, thereby lowering the wind pressure. The inlet unit (150) rotates to induce external air into the drying space (200), thereby maintaining the air density of the drying space (200). Even if there is only an inlet hole (113) formed in the main body (110) without the inlet unit (150), the air outside the drying space (200) can be sucked in by the drying module (120).

한편, 제습모듈(도시하지 않음)은 배출구(143)와 유입홀(113)에 연결될 수 있다. 습공기는 배출부(140)를 지나 제습모듈로 유입되고, 제습모듈은 습공기로부터 수증기를 분리할 수 있다. 수증기가 분리된 공기는 유입홀(113)을 지나 건조 공간(200)으로 다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의 습도 및 온도와 무관하게 건조물을 완전순환형으로 건조할 수 있다.Meanwhile, a dehumidifying module (not shown) can be connected to the outlet (143) and the inlet hole (113). The humid air passes through the outlet (140) and flows into the dehumidifying module, and the dehumidifying module can separate water vapor from the humid air. The air from which the water vapor has been separated flows back into the drying space (200) through the inlet hole (113). Accordingly, the drying material can be dried in a complete circulation manner regardless of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external air.

제습모듈에는 발열기가 배치될 수 있다. 발열기는 제습모듈에서 수증기가 분리된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는 유입홀(113)을 지나 건조 공간(200)으로 다시 유입된다. 외부로부터 건조 공간(200)에 유입되는 공기는 히팅부(122)를 통해 가열해야 하지만, 발열기가 배치될 경우 히팅부(122)가 추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팅부(122)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A heater may be placed in the dehumidifying module. The heater heats the air from which water vapor has been separated in the dehumidifying module, and the heated air passes through the inlet hole (113) and flows back into the drying space (200). Air flowing into the drying space (200) from the outside must be heated by the heating unit (122), but if the heater is placed, the heating unit (122) may not operate additionally. Accordingly, the load on the heating unit (122) can be reduced.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하여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나타낸 평단면도이다.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a)는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유동부재(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yer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member (111) while includ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9.

유동부재(111)는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 양단 모서리에 결합되어 제1 공간(210)에서 제2 공간(220)으로, 제2 공간(220)에서 제1 공간(210)으로 유동하는 바람을 가이드한다.The fluid member (111) is coupled to both longitudinal edges inside the main body (110) to guide wind flowing from the first space (210) to the second space (220) and from the second space (220) to the first space (210).

유동부재(111)는 바람이 수직으로 형성된 건조 공간(200)의 모서리를 지날 때 벽에 부딪혀 유속이 저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luid member (111) can minimize the flow rate being hindered by the wind hitting the wall when passing through the edge of a vertically formed drying space (200).

이외 다른 구성은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포함될 수 있다.Other configurations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건조대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ing rack of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ying rack of FIG. 11.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도 2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그대로 포함한다. 다만 건조대는 다른 구성을 갖는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10. However, the drying rack has a different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130)는 건조대 프레임(133), 채반(131) 및 가이드부(132)를 포함한다. 건조대 프레임(133)과 채반(131)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 프레임 및 채반과 같은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drying rack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ying rack frame (133), a sieve (131), and a guide part (132). The drying rack frame (133) and the sieve (131)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al effects as the drying rack frame and the sie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so a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가이드부(132)는 원기둥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이웃한 채반 사이에 위치하여 양 끝이 건조대 프레임(133)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건조대 프레임(133)에는 가이드부(132)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이 발생하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The guide part (132) is shaped like a cylinder and is positioned between adjacent tray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end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drying frame (133). A driving part (not shown) that generates power to rotate the guide part (132) is arranged on the drying frame (133).

회전하는 가이드부(132)는 채반(131) 사이를 통과하는 바람을 채반(131)에 놓인 건조물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물은 더 많은 유량의 바람과 접촉하게 되어 더욱 빠르게 건조될 수 있다.The rotating guide member (132) can cause the wind passing between the trays (131) to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dry object placed on the tray (131). Accordingly, the dry object can come into contact with a greater amount of wind and be dried more quickly.

이외 다른 구성은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포함될 수 있다.Other configurations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하여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b)는 도 2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이송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dryer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unit (170) while includ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12.

이송부(170)는 제2 공간(220)의 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이송부(170)는 출입구(114)에 위치한 건조대(130)를 제2 공간(22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건조대(130)를 건조 공간(200)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배치시킬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70)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second space (220). The transfer unit (170) can move the drying rack (130) located at the entrance (114)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space (220). Accordingly, the manager can place the drying rack (130) into the drying space (200) without applying physical force.

이와 같은 이송부(17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is transport unit (170)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yor belt of a known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외 다른 구성은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포함될 수 있다.Other configurations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2.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건조기 11: 발열장치
12: 송풍기 13: 송풍구
14: 선반 15: 통로
16: 본체 17: 건조 공간
100: 건조기 100a: 건조기
100b: 건조기 110: 본체부
111: 유동부재 112: 배출홀
113: 유입홀 114: 출입구
120: 건조모듈 121: 송풍부
122: 히팅부 123: 프레임
124: 이동부재 130: 건조대
131: 채반 132: 가이드부
133: 건조대 프레임 134: 건조대 이동부재
135: 베이스 136: 기둥
140: 배출부 141: 배출몸체
142: 개폐부재 143: 배출구
150: 유입부 160: 구획부
161: 격벽 162: 문
163: 통로 170: 이송부
180: 제어부 200: 건조 공간
210: 제1 공간 220: 제2 공간
230: 순환통로
10: Dryer 11: Heating device
12: Blower 13: Blower
14: Shelf 15: Aisle
16: Body 17: Drying space
100: dryer 100a: dryer
100b: Dryer 110: Main body
111: Floating member 112: Discharge hole
113: Inlet hole 114: Entrance
120: Drying module 121: Blower
122: Heating part 123: Frame
124: Moving parts 130: Drying rack
131: Chaeban 132: Guide
133: Drying rack frame 134: Drying rack moving member
135: Base 136: Pillar
140: Discharge part 141: Discharge body
142: Opening member 143: Exhaust port
150: Inlet 160: Compartment
161: Bulkhead 162: Door
163: Aisle 170: Transfer
180: Control unit 200: Drying space
210: Space 1 220: Space 2
230: Circular passage

Claims (10)

출입구를 가지며 건조물이 위치할 수 있는 건조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 공간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 및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건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건조 공간에 복수 배치되어 상기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건조모듈,
상기 건조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 공간의 건조환경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건조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물이 놓일 수 있는 건조대
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대는
이동 가능한 건조대 프레임,
상기 건조대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채반 및
상하 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채반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모듈의 송풍부에 의해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건조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은 복수 배치된 상기 건조모듈에 의해 상기 건조 공간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 편차 없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평행하게 상기 건조 공간을 순환하면서 상기 건조물과 접촉할 수 있는
건조기.
A main body having an entrance and an interior formed with a drying space in which a drying object can be located, and an exhaust hole formed to discharge air from the drying space and an inflow hole formed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
A partition section dividing the above-mentioned dry space,
A drying module arranged in multiple places in the above drying space and capable of generating wind for drying the above drying material,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bove drying module and controlling the drying environment of the above drying space; and
A drying rack that can be located in the above drying space and on which the above drying material can be placed
Including,
The above drying rack
Movable drying rack frame,
A plurality of siev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above drying frame and
A guide section arranged between adjacent sie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guiding the wind supplied by the blower of the drying module to the drying unit.
Including,
The above wind can circulate through the drying space parallel to the inner floor of the main body without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rying space by the multiple arranged drying modules and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rying object.
dryer.
제1항에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건조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격벽, 그리고
상기 통로를 열거나 막을 수 있는 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에는
건조모듈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상면과 상기 건조 공간의 상부 둘레와 접하고 상기 격벽의 하면은 상기 건조 공간의 바닥과 접하며,
상기 격벽의 길이 방향 일면과 타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과 접하지 않아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과 상기 격벽의 일면과 타면 사이에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순환통로가 형성된
건조기.
In paragraph 1,
The above section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above-mentioned dry spac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d forming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A door that can open or block the above passage
Including,
In the above first space and the above second space
The drying modules are arranged respectivel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ulkhea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erimeter of the drying sp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head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drying spac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ove bulkhead do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circulation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ulkhead.
dryer.
제1항에서,
상기 건조모듈은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는 히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히팅부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 공간으로 송풍하는
건조기.
In paragraph 1,
The above drying module
Movable frame,
At least one blower arranged on one side of the above frame, and
Heating unit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above frame
Including,
The above blower blows air heated by the heating unit into the drying space.
dryer.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유입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기를 상기 건조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부, 그리고
상기 배출홀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물의 건조로 발생한 습공기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In paragraph 1,
An inlet portion arranged in the above inlet hole to introduce external air from the main body portion into the drying space, and
A discharge unit positioned in the discharge hole above to discharge moist air generated by drying the above-mentioned dry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ncluding more
dryer.
삭제delete 제5항에서,
상기 배출부는
내부에 상하 관통된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몸체, 그리고
상기 배출몸체에 배치되어 건조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거나 차단시키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건조기.
In Article 5,
The above discharge part
A discharge body having upper and lower perforated passages formed inside, and
An opening/closing member arranged in the above discharge body to connect or block the drying space from the outside
Including
dryer.
제5항에서,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어 있고, 발열기가 배치되어 있는 제습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공간에서 배출되는 습공기는 상기 제습모듈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제습모듈은 상기 습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발열기는 상기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제습모듈은 상기 유입홀과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건조기.
In Article 5,
A dehumidifying module installed in the above discharge section and having a heater arranged therein
Including more,
The humid air discharged from the above drying space can pass through the dehumidifying module, the dehumidifying module can remov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humid air, the heater heats the air from which the water vapor has been removed, and the dehumidify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inlet hole to introduce the heated air into the drying space.
dryer.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출입구에서 내부로 상기 건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
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In paragraph 1,
A transfer unit that is movably positioned on the inner floor of the main body and can move the building from the entrance to the inside
Including more
dryer.
제1항에서,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내부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바람의 유동을 보조하는 유동부재
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In paragraph 1,
It is made of a curved surface and is placed on the inner corner of the main body.
A fluid member that assists the flow of the above wind
Including more
dryer.
KR1020210193496A 2021-12-30 2021-12-30 A dryer Active KR1028010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496A KR102801092B1 (en) 2021-12-30 2021-12-30 A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496A KR102801092B1 (en) 2021-12-30 2021-12-30 A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983A KR20230102983A (en) 2023-07-07
KR102801092B1 true KR102801092B1 (en) 2025-04-24

Family

ID=8715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496A Active KR102801092B1 (en) 2021-12-30 2021-12-30 A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010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6308B1 (en) * 2023-07-12 2024-10-15 주식회사 티에이치티 Dry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53Y1 (en) * 2003-05-31 2003-08-19 김길용 Room for Drying Walleye Pollack
US20070240328A1 (en) * 2006-04-18 2007-10-18 Mike Moles Continuous air flow dehydrator and method for improved energy efficiency
JP2016223716A (en) * 2015-06-01 2016-12-28 株式会社ネスター Dryer
KR101741205B1 (en) * 2017-01-24 2017-05-29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Dehumidification dryer for cold and hot air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R101925759B1 (en) * 2018-10-24 2018-12-05 민대동 An equipment for drying red pepp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353Y1 (en) 2005-03-04 2005-06-17 김봉섭 Easy to dry pepper dryer
KR20100053340A (en) * 2008-11-12 2010-05-20 박종수 Heat pipe and the blower the continuation multi dry system which uses cool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53Y1 (en) * 2003-05-31 2003-08-19 김길용 Room for Drying Walleye Pollack
US20070240328A1 (en) * 2006-04-18 2007-10-18 Mike Moles Continuous air flow dehydrator and method for improved energy efficiency
JP2016223716A (en) * 2015-06-01 2016-12-28 株式会社ネスター Dryer
KR101741205B1 (en) * 2017-01-24 2017-05-29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Dehumidification dryer for cold and hot air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R101925759B1 (en) * 2018-10-24 2018-12-05 민대동 An equipment for drying red pe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983A (en)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018B2 (en) Apparatus for bulk drying of sliced and granular materials
US6438862B1 (en) Drying apparatus for coffee beans and similar crops
KR102206227B1 (en) Hot Air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Marine Products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US4224743A (en) Food dehydrating machine
US20040025366A1 (en) Drying apparatus for granular bulk and sliced materials
KR102801092B1 (en) A dryer
KR100622676B1 (en) Airflow Control Downflow Hot Air Circulation Bulk Dryer
KR100762370B1 (en) dryer
US5438917A (en) Device for ripening fruit
KR101446071B1 (en) Food dryer
JP4966919B2 (en) Insecticides for fruits and vegetables
LT6175B (en) Bulk foods drying machinery
KR200471445Y1 (en)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JP4284530B2 (en) Dehumidifying dryer
BG63980B1 (en) Drier
KR100578030B1 (en) Stationary Far Infrared Dryer
KR101772383B1 (en) Four side hot air electric dryer
KR101763563B1 (en)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rying apparatus applying cooling system
JPH1172288A (en) Housing unit for object to be dried, rack with the same and drying method using rack
KR20090056573A (en) dryer
KR20210042708A (en) Dryer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R200470488Y1 (en)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CA2409066A1 (en) Apparatus for bulk drying of sliced and granular materials
GB2199644A (en) Dryer
RU2029207C1 (en) Domestic d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