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01248B1 - Sorting system for goods transportation - Google Patents
Sorting system for goods transpor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01248B1 KR102801248B1 KR1020220106219A KR20220106219A KR102801248B1 KR 102801248 B1 KR102801248 B1 KR 102801248B1 KR 1020220106219 A KR1020220106219 A KR 1020220106219A KR 20220106219 A KR20220106219 A KR 20220106219A KR 102801248 B1 KR102801248 B1 KR 1028012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go
- air
- conveyor
- sorting system
- injection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65G15/2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91—Speed of the load carri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은 화물이 지정 위치로 소팅(sorting)되면서 안착되게 하는 복수 개의 카트(Cart)를 구비하는 소터 본체; 소터 본체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화물이 소터 본체의 카트에 안착될 수 있게 화물을 투입하는 오토 인덕션(Auto Induction); 및 오토 인덕션에 마련되며, 오토 인덕션을 통한 화물의 이송 시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지 않도록 화물을 서포팅하는 화물 서포팅 장치를 포함한다.A sorting system for transporting logistics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rting system for transporting logistics includes: a sort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carts for settling cargo while sorting cargo to a designated location; an auto induction positioned adjacent to the sorter body and for inserting cargo so that the cargo can be settling on the carts of the sorter body; and a cargo supporting device provided in the auto induction and supporting the cargo so that the cargo is not misalign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when transporting the cargo through the auto indu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 인덕션(Auto Induction)의 가속 구간에서 화물이 가속되더라도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화물을 소터 본체의 카트(Cart)에 정위치 안착시킬 수 있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rting system for transporting good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orting system for transporting goods that can place goods in the correct position on a cart of a sorter body by eliminating the phenomenon of goods being misalign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even when the goods are accelerat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of auto induction.
물류라는 용어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화물,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The term logistics is an abbreviation for physical distribution, and is a general term for the functions or activities that effectively move goods and products from producers to consumers. It generally refers to various activities such as packaging, unloading, transportation, storage, and information.
통상적으로 화물, 재화를 수송하는 데는 포장, 보관, 집하/적재, 수송, 하역/배달, 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친다. 어떠한 수송수단을 이용하든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화물, 재화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동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물적 유통(물류)인 것이다.Normally, the transportation of goods and materials involves several processes such as packaging, storage, collection/loading, transportation, unloading/delivery, and storage. Regardless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used, the movement of goods and materials is impossible without going through these processes. The comprehensive view of all of these movements is physical distribution (logistics).
근래에 들어서는 대량생산, 대량판매, 대량소비가 시대의 추세가 되었으며, 그 사이를 잇는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In recent years, mass production, mass sales, and mass consumption have become the trends of the times, and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need to improve the flow of materials between them has grown.
근대기업에서는 상업적 유통활동, 즉 거래의 부분만이 아니라, 화물을 소비자의 손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배달할 물류 활동이 중요한 부분으로서 부각되었다. 즉 경제발전과 함께, 생산비용의 인하만을 추구하다가는 격심한 기업경쟁에서 이길 수가 없으며, 유통비도 가능한 한 절감되도록 해야 한다는 견해가 대두되었다.In modern enterprises, not only the commercial distribution activities, that is, the transaction part, but also the logistics activities that accurately and quickly deliver goods to the hands of consumers have emerged as important parts. In other words, with economic development, the view emerged that it would be impossible to win in fierce corporate competition if only the reduction of production costs was pursued, and that distribution costs should also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현재, 물류 합리화의 수단으로서, 대도시 주변에 배달 센터, 트럭 터미널, 창고단지 등을 집중적으로 들어서게 하는 유통 센터의 건설, 컨테이너나 팔레트를 이용하여 수송의 일관화를 꾀하는 유닛 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의 추진, 각 수송기관의 유기적 결합으로 수송의 효율화를 지향하는 협동일관수송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국가에서 조성하고 있는 곳도 있다.Currently, as a means of logistics rationalization, the construction of distribution centers, which concentrate delivery centers, truck terminals, and warehouse complexes around large cities, the promotion of unit load systems, which seek to streamline transportation using containers or pallets, and cooperative integrated transportation, which aims to improve transportation efficiency through organic combination of each transportation agency, are being carried out, and some are being fostered by the government.
이처럼 물류라는 용어는 대단히 광범위한 용어이기는 하지만, 특정한 물품이나 물건(이하, 이들을 통틀어 화물이라 함)을 유통시키는 유통사의 환경으로 그 의미를 적용해 볼 때, 화물을 분류해서, 즉 소팅(sorting)해서 이송하는 일련의 행위를 물류라고도 볼 수 있다.Although the term logistics is a very broad term, when applying its meaning to the environment of a distributor distributing specific goods or item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argo), the series of actions of classifying, or sorting, cargo and transporting it can also be viewed as logistics.
물류 센터(설비)에서 화물을 소팅(sorting)하는 일련의 시스템을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이라 한다.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을 단순히 물류 소터(sorter)라 부르기도 한다.A series of systems for sorting cargo in a logistics center (facility) are called a logistics transport sorting system. A logistics transport sorting system is also simply called a logistics sorter.
이러한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은 다양한 설비, 즉 장치로 구성된다. 예컨대,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은 소터 본체의 지정 위치, 즉 복수 개의 카트(Cart)로 화물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투입하는 일련의 설비인 오토 인덕션(Auto Induction)을 포함한다.This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is composed of various facilities, i.e., devices. For example, the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includes an auto induction, which is a series of facilities that stably position cargo in designated locations on the sorter body, i.e., multiple carts.
이때, 폐루프로 구현된 소터 본체의 지정 위치인 해당 카트에 화물을 안정적으로 배치, 즉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오토 인덕션에 가속이 형성되는 가속 구간이 적용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가속에 따른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stably place or settle the cargo on the cart, which is the designated location of the sorter body implemented as a closed loop, an acceleration section in which acceleration is formed in the auto induction must be applie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cargo position is distort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resulting from the acceleration.
특히, 최근에는 폴리백(Polybag)이라 하여 비닐봉투 내에 화물을 포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화물은 부피 대비 중량이 적어서 오토 인덕션에 가속이 발생할 때, 공기 저항으로 인해 그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이 더더욱 심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화물이 소터 본체의 카트에 정위치 안착하기 어렵다.In particular, recently, there are many cases where cargo is packed in a plastic bag called a polybag. Since the weight of such cargo is small compared to its volume, the phenomenon of the cargo being out of position or flying due to air resistance when acceleration occurs in auto induction is bound to become even more severe.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cargo to be properly positioned on the cart of the sorter body.
이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다수 유통업체는 수동 분류하거나 전용 트레이(Tray)에 안착하여 분류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그로 인해 물동량 감소문제, 레이아웃(lay-out) 면적 증가문제, 투자비 및 원가 상승문제, 트레이 회수 시스템 추가 설치문제 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such problems, most distributors are applying methods of manual sorting or sorting by placing them on dedicated trays. Considering that this inevitably leads to problems such as reduced water flow, increased layout area, increased investment and production costs, and the need for additional installation of tray recovery systems,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necessary to solve these problems.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보다 작업동선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으며, 시스템의 크기를 줄어 콤팩트하게 구축할 수 있어서 설비비를 낮출 수 있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the work rout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reduce worker fatigue, and reduce equipment costs by reducing the size of the system and making it comp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이 지정 위치로 소팅(sorting)되면서 안착되게 하는 복수 개의 카트(Cart)를 구비하는 소터 본체; 상기 소터 본체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화물이 상기 소터 본체의 카트에 안착될 수 있게 화물을 투입하는 오토 인덕션(Auto Induction); 및 상기 오토 인덕션에 마련되며, 상기 오토 인덕션을 통한 화물의 이송 시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지 않도록 화물을 서포팅하는 화물 서포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gistics transport sorting system can be provided,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ort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carts for settling cargo while sorting cargo to a designated location; an auto induction arranged adjacent to the sorter body and for inserting cargo so that the cargo can be settling on the carts of the sorter body; and a cargo supporting device provided on the auto induction and supporting the cargo so that the cargo is not misalign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when the cargo is transported through the auto induction.
상기 화물 서포팅 장치는 에어(air)의 압력으로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지 않도록 유도하는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일 수 있다.The above cargo supporting device may be an air-jet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that prevents the cargo from being misaligned or blown away by air pressure.
상기 오토 인덕션은, 화물이 받는 리시브 컨베이어(Receive Conveyor);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되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와 인라인을 이루며,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보다 빠른 화물의 가속 구간을 형성하는 동기 컨베이어(Synchronization Conveyor); 및 상기 동기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되 단부 영역이 상기 소터 본체에 배치되어 화물이 상기 소터 본체의 카트로 합류되게 하는 정션 컨베이어(Junction Convey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auto induction may include a receive conveyor for receiving cargo; a synchronization conveyor connected to the receive conveyor for transporting cargo but forming an acceleration section of the cargo faster than the receive conveyor, and a junction conveyor connected to the synchronization conveyor for transporting cargo but having an end region disposed on the sorter body so that the cargo joins a cart of the sorter body.
상기 정션 컨베이어의 속도가 상기 동기 컨베이어와 같거나 상기 동기 컨베이어보다 빠를 수 있다.The speed of the above junction conveyor may be the same as or faster than the above synchronous conveyor.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와 상기 동기 컨베이어 사이에는 화물의 사이즈를 체크(check)하는 화물 사이즈 체크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A cargo size check unit that checks the size of the cargo can be placed betwee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conveyor and the above-mentioned synchronous conveyor.
상기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가 상기 동기 컨베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air-jet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can be placed on the above synchronous conveyor.
상기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는, 상기 동기 컨베이어에 배치되되 상기 동기 컨베이어의 화물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속 구간부를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및 상기 장치 프레임의 가속 구간부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며, 해당 가속 구간부를 지나는 화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air-jet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may include a device frame that is arranged on the synchronous conveyor and forms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ctions along the cargo transport direction of the synchronous conveyor; and an air-jet unit that is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acceleration sections of the device frame and sprays air onto cargo passing through the acceleration section.
상기 복수 개의 가속 구간부는,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와 이웃한 제1 가속 구간부; 상기 제1 가속 구간부와 연결되는 제2 가속 구간부; 및 양측이 상기 제2 가속 구간부 및 상기 정션 컨베이어에 배치되는 제3 가속 구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가속 구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acceleration sections include a first acceleration section adjacent to the receiving conveyor; a second acceleration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acceleration section; and a third acceleration section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acceleration section and the junction conveyor, and the air injection unit can be arranged in the first and second acceleration sections.
상기 동기 컨베이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기; 및 상기 속도 감지기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 분사유닛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 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ed detect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above-described synchronous conveyor; and a system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unit based on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peed detector.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팬 모터 타입(Fan Motor Type)으로 마련되는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일 수 있다.The above air injection unit may be a fan motor type air injection unit provided as a fan motor type.
상기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하는 유닛 케이싱; 상기 유닛 케이싱 내에 마련되되 에어를 발생시켜 화물로 분사하는 에어 블로워; 및 상기 에어 블로워를 지지하는 블로워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an motor-type air injection unit may include a unit cas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vice frame; an air blower provided within the unit casing that generates air and injects it onto cargo; and a blower supporter that supports the air blower.
상기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에어 블로워 및 상기 블로워 서포터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an motor-type air inj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al support member that rotatably supports the air blower and the blower supporter as one unit.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에어 노즐 타입(Air Nozzle Type)으로 마련되는 에어 노즐식 에어 분사유닛일 수 있다.The above air injection unit may be an air nozzle-type air injection unit provided as an air nozzle type.
상기 에어 노즐식 에어 분사유닛은,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공급덕트; 및 상기 에어 공급덕트에 위치별로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에어 공급덕트 내의 에어를 화물로 전달하는 에어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air nozzle-type air injection unit may include an air supply duct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and a plurality of air nozzles provid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air supply duct and transmitting air within the air supply duct to cargo.
상기 화물은 비닐봉투인 폴리백(Polybag)에 포장된 화물일 수 있다.The above cargo may be cargo packed in a polybag.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 인덕션(Auto Induction)의 가속 구간에서 화물이 가속되더라도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화물을 소터 본체의 카트(Cart)에 정위치 안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전의 물동량 감소문제, 레이아웃(lay-out) 면적 증가문제, 투자비 및 원가 상승문제, 트레이 회수 시스템 추가 설치문제 등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liminating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argo position is distort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even when the cargo is accelerat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of auto induction, the cargo can be properly placed on the cart of the sorter body,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material handled, an increase in the layout area, an increase in investment and production costs, and an additional installation of a tray recover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세도이다.
도 4는 소터 본체를 제외한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화물 서포팅 장치를 강조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에어 분사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의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소터 본체를 제외한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Figure 1 is a plan view of a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
Figure 3 is a detailed drawing of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3 excluding the sorter body.
Figure 5 is a drawing highlighting the cargo supporting device in Figure 4.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air injection unit.
Figure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the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of Figure 1.
Figure 8 is a plan view of a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of Figure 8 excluding the sorter body.
Figure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the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of Figure 8.
FIG. 11 is a side view of a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the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of Figure 11.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s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presented in each drawing represent the same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세도이고, 도 4는 소터 본체를 제외한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화물 서포팅 장치를 강조해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에어 분사유닛의 구조도이며, 도 7은 도 1의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1, FIG. 3 is a detailed view of FIG. 1, FIG. 4 is a side view of FIG. 3 excluding the sorter body, FIG. 5 is a drawing emphasizing a cargo supporting device in FIG. 4, FIG.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ir injection unit, and FIG.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the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of FIG. 1.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은 화물을 이송, 분류하는 물류 센터(설비)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오토 인덕션(120, Auto Induction)의 가속 구간에서 화물이 가속되더라도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화물을 소터 본체(110)의 카트(111, Cart)에 정위치 안착시킬 수 있게끔 한다. 여기서, 화물은 비닐봉투인 폴리백(Polybag)에 포장된 화물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orting system for transporting log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 logistics center (facility) that transports and classifies cargo, and eliminates the phenomenon of cargo being misalign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even when the cargo is accelerat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of auto induction (120), thereby allowing the cargo to be properly placed on a cart (111, Cart) of the sorter body (110). Here, the cargo may be cargo packed in a polybag, which is a plastic bag.
앞서도 잠시 언급한 것처럼 폐루프로 구현된 소터 본체(110)의 지정 위치인 해당 카트(111)에 화물을 안정적으로 배치, 즉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오토 인덕션(120)에 가속이 형성되는 가속 구간이 적용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가속에 따른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As briefly mentioned above, in order to stably place or settle a cargo on the cart (111), which is the designated location of the sorter body (110) implemented as a closed loop, an acceleration section in which acceleration is formed in the auto induction (120) must be applie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rgo position is distort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resulting from the acceleration.
특히, 최근에는 폴리백(Polybag)이라 하여 비닐봉투 내에 화물을 포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화물은 부피 대비 중량이 적어서 오토 인덕션(120)의 가속 구간에서 가속이 발생할 때, 공기 저항으로 인해 그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이 더더욱 심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화물이 소터 본체(110)의 카트(11)에 정위치 안착하기 어렵다.In particular, recently, there are many cases where cargo is packed in a plastic bag called a polybag. Since such cargo has a small weight relative to its volume, the phenomenon of the cargo being misalign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when acceleration occurs in the acceleration section of the auto induction (120) is bound to become even more severe.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cargo to be properly positioned on the cart (11) of the sorter body (110).
이에, 일반적으로는 수동 분류하거나 전용 트레이(Tray)에 안착하여 분류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지만, 그럴 경우, 물동량 감소문제, 레이아웃(lay-out) 면적 증가문제, 투자비 및 원가 상승문제, 트레이 회수 시스템 추가 설치문제 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ly, a method of sorting manually or sorting by placing on a dedicated tray has been generally applied, but in such a case,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material handled, an increase in the layout area, an increase in investment and cost, and an additional installation of a tray recovery system inevitably arise. To solve these problems,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은 소터 본체(110)와, 소터 본체(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오토 인덕션(120)과, 오토 인덕션(120)에 마련되는 화물 서포팅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orter body (110), an auto induction (120) positioned adjacent to the sorter body (110), and a cargo supporting device (140) provided on the auto induction (120).
소터 본체(110)는 화물이 지정 위치로 소팅(sorting)되면서 안착되게 하는 복수 개의 카트(111)를 구비한다. 화물 종류에 맞게 해당 카트(111)로 화물이 배치되어 안착될 수 있다.The sorter body (11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arts (111) that allow cargo to be placed while being sorted to a designated location. Cargo can be placed and placed on a corresponding cart (111) according to the type of cargo.
오토 인덕션(120)은 소터 본체(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화물이 소터 본체(110)의 카트(111)에 안착될 수 있게 화물을 투입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오토 인덕션(120)은 컨베이어 구조를 취한다.The auto induction (120) is placed adjacent to the sorter body (110) and is a means for loading cargo so that the cargo can be placed on the cart (111) of the sorter body (110). Therefore, the auto induction (120) takes on a conveyor structure.
이러한 오토 인덕션(120)은 화물이 받는 리시브 컨베이어(121, Receive Conveyor)와, 리시브 컨베이어(121)와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되 리시브 컨베이어(121)와 인라인을 이루며, 리시브 컨베이어(121)보다 빠른 화물의 가속 구간을 형성하는 동기 컨베이어(122, Synchronization Conveyor)와, 동기 컨베이어(122)와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되 단부 영역이 소터 본체(110)에 배치되어 화물이 소터 본체(110)의 카트(111)로 합류되게 하는 정션 컨베이어(123, Junction Conveyor)를 포함할 수 있다.This auto induction (120) may include a receive conveyor (121) that receives cargo, a synchronization conveyor (122) that is connected to the receive conveyor (121) to transport cargo but is inline with the receive conveyor (121) and forms an acceleration section of cargo that is faster than the receive conveyor (121), and a junction conveyor (123) that is connected to the synchronization conveyor (122) to transport cargo but has an end region disposed on the sorter body (110) so that the cargo joins the cart (111) of the sorter body (110).
리시브 컨베이어(121), 동기 컨베이어(122) 및 정션 컨베이어(123) 모두는 벨트 컨베이어 구조를 취한다. 다만, 정션 컨베이어(123)의 경우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단위 벨트 컨베이어(123a,123b,123c...) 구조를 취한다. 이는 정션 컨베이어(123)와 소터 본체(110)가 서로 비스듬히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각도는 30도 정도이나 이 각도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The receiving conveyor (121),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the junction conveyor (123) all adopt a belt conveyor structure. However, in the case of the junction conveyor (123), a structure of multiple unit belt conveyors (123a, 123b, 123c...) with different lengths is adopted. This is because the junction conveyor (123) and the sorter body (110) must be arranged at an angle to each other. The angle between them is about 30 degrees, but this angle can be changed as desired.
리시브 컨베이어(121)와 동기 컨베이어(122) 사이에는 화물의 사이즈를 체크(check)하는 화물 사이즈 체크유닛(130)이 배치될 수 있다.A cargo size check unit (130) that checks the size of cargo can be placed between the receiving conveyor (121) and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인라인 구조를 이루는 리시브 컨베이어(121), 동기 컨베이어(122) 및 정션 컨베이어(123)는 화물을 이송해서 소터 본체(110)의 카트(111)로 전달한다.The receiving conveyor (121),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the junction conveyor (123) forming an inline structure transport cargo and deliver it to the cart (111) of the sorter body (110).
이때, 앞서도 언급한 것처럼 폐루프로 구현된 소터 본체(110)의 지정 위치인 해당 카트(111)에 화물을 안정적으로 배치, 즉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오토 인덕션(120)에 가속이 형성되는 가속 구간이 적용될 수밖에 없다. 가속 구간은 동기 컨베이어(122) 및 정션 컨베이어(123)에 해당한다.At this time, 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stably place or settle the cargo on the cart (111), which is the designated location of the sorter body (110) implemented as a closed loop, an acceleration section in which acceleration is formed in the auto induction (120) must be applied. The acceleration section corresponds to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the junction conveyor (123).
이때, 동기 컨베이어(122)는 리시브 컨베이어(121)보다 가속 운전된다. 그리고, 정션 컨베이어(123)는 그 속도가 동기 컨베이어(122)와 같거나 동기 컨베이어(122)보다 빠를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정션 컨베이어(123)의 속도가 동기 컨베이어(122)보다 빠를 수 있다. 따라서, 화물은 리시브 컨베이어(121), 동기 컨베이어(122) 및 정션 컨베이어(123)를 지나면서 가속된 후, 소터 본체(110)의 카트(111)로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is accelerated more than the receiving conveyor (121). And, the speed of the junction conveyor (123)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or may be faster than that of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Typically, the speed of the junction conveyor (123) may be faster than that of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Accordingly, the cargo may be accel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receiving conveyor (121),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the junction conveyor (123),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art (111) of the sorter body (110).
이처럼 리시브 컨베이어(121), 동기 컨베이어(122) 및 정션 컨베이어(123)가 모두 정속도가 아니라 가속되어 운전될 경우, 그 위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화물, 특히, 본 실시예처럼 날리기 쉬운 비닐 화물인 경우에는 가속에 따른 공기 저항으로 인해 그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릴 수 있는데, 이럴 경우, 화물이 소터 본체(110)의 카트(11)에 정위치 안착하기 어렵다. 이에, 화물 서포팅 장치(140)가 적용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receiving conveyor (121),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the junction conveyor (123) are all operated at an accelerated speed rather than a constant speed, the cargo placed and transported thereon, especially in the case of vinyl cargo that is easy to blow away as in this embodiment, may be misalign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resulting from the acceleration.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cargo to be properly positioned on the cart (11) of the sorter body (110). Therefore, th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is applied.
화물 서포팅 장치(140)는 오토 인덕션(120)에 마련되며, 오토 인덕션(120)을 통한 화물의 이송 시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지 않도록 화물을 서포팅하는 역할을 한다.A cargo supporting device (140) is provided in the auto induction (120) and supports the cargo so that the cargo does not become misaligned or blow away due to air resistance when transporting the cargo through the auto induction (120).
본 실시예에서 화물 서포팅 장치(140)는 에어(air)의 압력으로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지 않도록 유도하는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140)로 적용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화물 서포팅 장치(140)는 에어(air)를 분사하는 구조를 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is applied as an air-injection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that induces the cargo to not be misaligned or blown away by the pressure of air. In other words, th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in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injects air.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140)를 적용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140)가 동기 컨베이어(122)에 배치되게 한다.In applying the air-jet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in this embodiment, the air-jet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is placed on a synchronous conveyor (122).
물론,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140)가 동기 컨베이어(122) 외에도 정션 컨베이어(123)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정션 컨베이어(123)에서 에어를 분사하면 오히려 화물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그 위치가 틀어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140)가 동기 컨베이어(122)에 배치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 air-jet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may be placed on the junction conveyor (123) in addition to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Howe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cargo may be distorted during the conveyance process when air is sprayed on the junction conveyor (123), the air-jet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is placed on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in this embodiment.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140)는 동기 컨베이어(122)에 배치되되 동기 컨베이어(122)의 화물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속 구간부(151~153)를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150)과, 장치 프레임(150)의 가속 구간부(151~153)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며, 해당 가속 구간부(151~153)를 지나는 화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An air-injection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may include a device frame (150) that is arranged on a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forms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ctions (151 to 153) along the cargo transport direction of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an air-injection unit (160) that is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acceleration sections (151 to 153) of the device frame (150) and injects air to cargo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acceleration sections (151 to 153).
여기서, 복수 개의 가속 구간부(151~153)는 리시브 컨베이어(121)와 이웃한 제1 가속 구간부(151)와, 제1 가속 구간부(151)와 연결되는 제2 가속 구간부(152)와, 양측이 제2 가속 구간부(152) 및 정션 컨베이어(123)에 배치되는 제3 가속 구간부(15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에어 분사유닛(160)은 제1 및 제2 가속 구간부(151,152)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에어 분사유닛(160)이 제3 가속 구간부(153)에도 배치되어 작용할 수 있지만, 테스트 결과 제3 가속 구간부(153)를 제외한 제1 및 제2 가속 구간부(151,152)에 에어 분사유닛(160)이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임을 입증했다.Here, the plurality of acceleration sections (151 to 153) may include a first acceleration section (151) adjacent to the receiving conveyor (121), a second acceleration section (152) connected to the first acceleration section (151), and a third acceleration section (153) arranged on both sides with the second acceleration section (152) and the junction conveyor (123), and the air injection unit (160)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and second acceleration sections (151, 152). Of course, the air injection unit (160) may also be arranged and operated in the third acceleration section (153), but the test results have proven that it is effective to arrange the air injection unit (160) in the first and second acceleration sections (151, 152) except for the third acceleration section (153).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 분사유닛(160)은 팬 모터 타입(Fan Motor Type)으로 마련되는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160)이며, 제1 및 제2 가속 구간부(151,152)에 복수 개로 배치된다.Meanwhile, the air injection unit (160) applied to this embodiment is a fan motor type air injection unit (160) provided as a fan motor type, and is arranged in multiple units in the first and second acceleration sections (151, 152).
이러한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160)은 장치 프레임(150)의 일측에 결합하는 유닛 케이싱(161)과, 유닛 케이싱(161) 내에 마련되되 에어를 발생시켜 화물로 분사하는 에어 블로워(162)와, 에어 블로워(162)를 지지하는 블로워 서포터(163)를 포함할 수 있다.This fan motor-type air injection unit (160) may include a unit casing (161)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vice frame (150), an air blower (162) provided within the unit casing (161) that generates air and injects it onto cargo, and a blower supporter (163) that supports the air blower (162).
유닛 케이싱(161)에는 에어 블로워(162) 및 블로워 서포터(163)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164)가 마련된다. 회전 지지부(164)로 인해 도 6처럼 에어 블로워(162) 및 블로워 서포터(163)가 한 몸체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의 작용으로 화물을 향한 에어의 분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The unit casing (161)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upport member (164) that supports the air blower (162) and the blower supporter (163) so as to be rotatable as one body. Due to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64), the air blower (162) and the blower supporter (163) can be rotated as one body as shown in Fig. 6, and the direction of air injection toward the cargo can be adjusted by this actio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에는 시스템의 컨트롤을 위한 수단으로서 속도 감지기(180)와 시스템 컨트롤러(190)가 더 탑재된다.Meanwhile, the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equipped with a speed detector (180) and a system controller (190) as means for controlling the system.
속도 감지기(180)는 동기 컨베이어(122)의 속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속도 감지기(18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에어 분사유닛(16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한다. 다시 말해, 가속이 있는 경우에만 시스템 컨트롤러(190)가 에어 분사유닛(160)을 동작시켜 화물로 에어(air)가 분사되게 한다.The speed detector (180) detects the speed of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Then, the system controller (190)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unit (160)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peed detector (180). In other words, the system controller (190) operates the air injection unit (160) only when there is acceleration, thereby causing air to be injected onto the cargo.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controller (190) that performs this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81, CPU), a memory (18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18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속도 감지기(18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에어 분사유닛(16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may be one of various computer processors that can be applied industrially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unit (160) based on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peed detector (180) in this embodiment.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18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The memory (182)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may be installed locally or remotely, and may be at least one readily available memory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or any digital storage form.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18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to support typical operations of the processor. The support circuit (18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output circuit, a subsystem, etc.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속도 감지기(18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에어 분사유닛(16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ystem controller (190)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unit (160)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peed detector (180). A series of control processes, etc.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2). Typically, a software routin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2). The software routine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another central processing unit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software routines, it is also possible for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execut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implemented as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Below, the operation of the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도 3처럼 오토 인덕션(120)의 리시브 컨베이어(121)에 놓인 화물, 즉 비닐 화물은 리시브 컨베이어(121), 동기 컨베이어(122) 및 정션 컨베이어(123)를 통해 이송된 후, 소터 본체(110)의 해당 카트(111)로 전달되는데, 동기 컨베이어(122)에서 화물 서포팅 장치(140)의 에어 분사유닛(160)이 에어를 화물로 분사하기 때문에 동기 컨베이어(122)에서 화물의 가속이 발생하더라도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화물을 소터 본체(110)의 카트(111)에 정위치 안착시킬 수 있다.As in Fig. 3, cargo, i.e., vinyl cargo, placed on the receiving conveyor (121) of the auto induction (120) is transported through the receiving conveyor (121),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the junction conveyor (123), and then delivered to the corresponding cart (111) of the sorter body (110). Since the air injection unit (160) of the cargo supporting device (140) injects air onto the cargo in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even if the cargo is accelerated in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the cargo does not shift in position or fly away, and as a result, the cargo can be properly positioned on the cart (111) of the sorter body (1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토 인덕션(120)의 가속 구간에서 화물이 가속되더라도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화물을 소터 본체(110)의 카트(111)에 정위치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operates with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argo is accelerat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of the auto induction (120), the phenomenon of the cargo being misalign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is eliminated, thereby enabling the cargo to be properly positioned on the cart (111) of the sorter body (11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9는 소터 본체를 제외한 도 8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of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of FIG. 8 excluding the sorter body, and FIG.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the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of FIG. 8.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은 소터 본체(110)와, 소터 본체(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오토 인덕션(120)과, 오토 인덕션(120)에 마련되는 화물 서포팅 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orter body (110), an auto induction (120) positioned adjacent to the sorter body (110), and a cargo supporting device (240) provided on the auto induction (120). The structure, function, and role of thes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avoided.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화물 서포팅 장치(240)가 에어 분사유닛(260)을 포함하는데, 이때의 에어 분사유닛(260)은 에어 노즐 타입(Air Nozzle Type)으로 마련되는 에어 노즐식 에어 분사유닛(260)으로 적용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go supporting device (240) includes an air injection unit (260), and the air injection unit (260) at this time is applied as an air nozzle-type air injection unit (260) provided as an air nozzle type.
이러한 에어 노즐식 에어 분사유닛(260)은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공급덕트(261)와, 에어 공급덕트(261)에 위치별로 복수 개 마련되며, 에어 공급덕트(261) 내의 에어를 화물로 전달하는 에어 노즐(262)을 포함할 수 있다.This air nozzle-type air injection unit (260) may include an air supply duct (261)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and an air nozzle (262) provided in multiple locations in the air supply duct (261) and delivering air within the air supply duct (261) to cargo.
큰 구조물인 에어 공급덕트(261)에 에어 노즐(262)이 위치별로 복수 개 마련되는데, 에어 노즐(262)들은 화물의 사이즈에 맞게 해당 에어 노즐(262)만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노즐(262)에는 개별적인 전자 밸브(미도시)가 부속될 수 있으며, 이 전자 밸브는 컨트롤러(29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nozzles (262) are provid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air supply duct (261), which is a large structure, and the air nozzles (262) can only operate the corresponding air nozzles (26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rgo. Accordingly, an individual electronic valve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air nozzle (262), and the operation of this electronic valve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90).
다시 말해, 컨트롤러(290)는 화물 사이즈 체크유닛(130)으로부터의 화물 사이즈 정보를 토대로 복수 개의 에어 노즐(262) 중 해당하는 에어 노즐(262)만 구동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290) can control to operate only the corresponding air nozzle (262) among the plurality of air nozzles (262) based on the cargo size information from the cargo size check unit (130).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오토 인덕션(120)의 가속 구간에서 화물이 가속되더라도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화물을 소터 본체(110)의 카트(111)에 정위치 안착시킬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the phenomenon of the cargo being misalign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even when the cargo is accelerat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of the auto induction (120) can be eliminated, thereby allowing the cargo to be properly positioned on the cart (111) of the sorter body (110).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FIG. 11 is a side view of a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the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of FIG. 11.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은 소터 본체(110)와, 소터 본체(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오토 인덕션(120)과, 오토 인덕션(120)에 마련되는 화물 서포팅 장치(340)와, 시스템 컨트롤러(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orting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orter body (110), an auto induction (120) arranged adjacent to the sorter body (110), a cargo supporting device (340) provided in the auto induction (120), and a system controller (390). The structure, function, and role of these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a duplicate description is avoided.
화물 서포팅 장치(140)는 동기 컨베이어(122)에 배치되되 동기 컨베이어(122)의 화물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속 구간부(151~153)를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150)과, 장치 프레임(150)의 가속 구간부(151~153)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며, 해당 가속 구간부(151~153)를 지나는 화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에어 분사유닛(160)은 제1 및 제2 가속 구간부(151,152)에 배치될 수 있다.A cargo supporting device (140) may include a device frame (150) that is arranged on a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forms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ctions (151 to 153) along the cargo transport direction of the synchronous conveyor (122), and an air injection unit (160) that is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acceleration sections (151 to 153) of the device frame (150) and injects air to cargo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acceleration sections (151 to 15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injection unit (160) may also be arranged on the first and second acceleration sections (151, 152).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에어 분사유닛(160) 역시, 팬 모터 타입(Fan Motor Type)으로 마련되는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160)일 수 있는데, 이러한 에어 분사유닛(160)에 유닛 무버(360, unit mover)가 연결된다. 유닛 무버(360)는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16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수단이며, 시스템 컨트롤러(390)에 의해 컨트롤된다.The air injection unit (160) applied to this embodiment may also be a fan motor type air injection unit (160) provided as a fan motor type, and a unit mover (360) is connected to this air injection unit (160). The unit mover (360) is a means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fan motor type air injection unit (160) and is controlled by a system controller (390).
본 실시예처럼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16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유닛 무버(360)가 더 적용되는 한편 이들이 시스템 컨트롤러(390)에 의해 컨트롤 될 경우, 비닐 화물로의 에어 분사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f a unit mover (360) that moves the position of a fan motor-type air injection unit (160) is further applied and these are controlled by a system controller (39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ir injection to vinyl cargo can be accurately set.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오토 인덕션(120)의 가속 구간에서 화물이 가속되더라도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는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화물을 소터 본체(110)의 카트(111)에 정위치 안착시킬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the phenomenon of the cargo being misaligned or blown away due to air resistance even when the cargo is accelerat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of the auto induction (120) can be eliminated, thereby allowing the cargo to be properly positioned on the cart (111) of the sorter body (110).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소터 본체 111 : 카트
120 : 오토 인덕션 121 : 리시브 컨베이어
122 : 동기 컨베이어 123 : 정션 컨베이어
130 : 화물 사이즈 체크유닛 140 : 화물 서포팅 장치
150 : 장치 프레임 151 : 제1 가속 구간부
152 : 제2 가속 구간부 153 : 제3 가속 구간부
160 : 에어 분사유닛 161 : 유닛 케이싱
162 : 에어 블로워 163 : 블로워 서포터
164 : 회전 지지부 180 : 속도 감지기
190 : 시스템 컨트롤러110: Sorter body 111: Cart
120: Auto Induction 121: Receive Conveyor
122: Synchronous conveyor 123: Junction conveyor
130: Cargo size check unit 140: Cargo supporting device
150: Device frame 151: First acceleration section
152: 2nd acceleration section 153: 3rd acceleration section
160: Air injection unit 161: Unit casing
162: Air blower 163: Blower supporter
164 : Rotating support 180 : Speed sensor
190 : System Controller
Claims (15)
상기 소터 본체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화물이 상기 소터 본체의 카트에 안착될 수 있게 화물을 투입하는 오토 인덕션(Auto Induction); 및
상기 오토 인덕션에 마련되며, 상기 오토 인덕션을 통한 화물의 이송 시 공기 저항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지 않도록 화물을 서포팅하는 화물 서포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오토 인덕션은,
화물이 받는 리시브 컨베이어(Receive Conveyor);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되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와 인라인을 이루며,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보다 빠른 화물의 가속 구간을 형성하는 동기 컨베이어(Synchronization Conveyor); 및
상기 동기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되 단부 영역이 상기 소터 본체에 배치되어 화물이 상기 소터 본체의 카트로 합류되게 하는 정션 컨베이어(Junction Conveyor)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 서포팅 장치는 상기 동기 컨베이어에 배치되고 상기 동기 컨베이어의 화물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속 구간부를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의 가속 구간부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며, 해당 가속 구간부를 지나는 화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을 구비하되 에어(air)의 압력으로 화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날리지 않도록 유도하는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이며,
상기 에어 분사식 화물 서포팅 장치가 상기 동기 컨베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속 구간부는,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와 이웃한 제1 가속 구간부;
상기 제1 가속 구간부와 연결되는 제2 가속 구간부; 및
양측이 상기 제2 가속 구간부 및 상기 정션 컨베이어에 배치되는 제3 가속 구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가속 구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A sort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carts for settling cargo while sorting it to a designated location;
An auto induction that is placed adjacent to the above sorter body and feeds cargo so that the cargo can be placed on the cart of the above sorter body; and
It is provided in the above auto induction and includes a cargo supporting device that supports the cargo so that the cargo does not shift in position or fly away due to air resistance when transporting the cargo through the above auto induction.
The above auto induction is,
Receive Conveyor where cargo is received;
A synchronization conveyor that is connected to the above receiving conveyor to transport cargo, but is inline with the receiving conveyor and forms an acceleration section of cargo that is faster than the receiving conveyor; and
It includes a junction conveyor that is connected to the above synchronous conveyor to transport cargo, but has an end area arranged on the sorter body so that the cargo joins the cart of the sorter body.
The above cargo supporting device is an air-jet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having a device frame that is arranged on the synchronous conveyor and forms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ctions along the cargo transport direction of the synchronous conveyor, and an air injection unit that is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acceleration sections of the device frame and injects air to cargo passing through the acceleration section, and induces the cargo to not be misaligned or blown away by the pressure of the air.
The above air-jet type cargo supporting device is placed on the above synchronous conveyor,
The above multiple acceleration sections are:
A first acceleration section adjacent to the above receiving conveyor;
a second acceleration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acceleration section; and
Both sides include the second acceleration section and the third acceleration section arranged on the junction conveyor,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jection unit is arranged in the first and second acceleration sections.
상기 정션 컨베이어의 속도가 상기 동기 컨베이어와 같거나 상기 동기 컨베이어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of the above junction conveyor is the same as or faster than that of the above synchronous conveyor.
상기 리시브 컨베이어와 상기 동기 컨베이어 사이에는 화물의 사이즈를 체크(check)하는 화물 사이즈 체크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a cargo size check unit for checking the size of cargo is arranged between the receiving conveyor and the synchronous conveyor.
상기 동기 컨베이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기;
상기 속도 감지기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 분사유닛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 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A speed detect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above synchronous conveyor;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ystem controller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injection unit based on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peed detector.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팬 모터 타입(Fan Motor Type)으로 마련되는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A sorting system for transporting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air injection unit is a fan motor type air injection unit.
상기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하는 유닛 케이싱;
상기 유닛 케이싱 내에 마련되되 에어를 발생시켜 화물로 분사하는 에어 블로워; 및
상기 에어 블로워를 지지하는 블로워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In Article 10,
The above fan motor type air injection unit,
A unit cas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above device frame;
An air blower provided within the above unit casing that generates air and sprays it onto the cargo; and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lower supporter supporting the air blower.
상기 팬 모터식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에어 블로워 및 상기 블로워 서포터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In Article 11,
The above fan motor type air injection unit,
A sorting system for material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otating support member that rotatably supports the air blower and the blower supporter as one unit.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에어 노즐 타입(Air Nozzle Type)으로 마련되는 에어 노즐식 에어 분사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A logistics transport sor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air injection unit is an air nozzle-type air injection unit provided as an air nozzle type.
상기 에어 노즐식 에어 분사유닛은,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공급덕트; 및
상기 에어 공급덕트에 위치별로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에어 공급덕트 내의 에어를 화물로 전달하는 에어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In Article 13,
The above air nozzle type air injection unit is,
An air supply duct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and
A sorting system for transporting cargo,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nozzles provid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air supply duct and transmitting air within the air supply duct to cargo.
상기 화물은 비닐봉투인 폴리백(Polybag)에 포장된 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용 소팅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A logistics transport sor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argo is cargo packed in a polybag, which is a plastic ba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06219A KR102801248B1 (en) | 2022-08-24 | 2022-08-24 | Sorting system for goods transpor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06219A KR102801248B1 (en) | 2022-08-24 | 2022-08-24 | Sorting system for goods transporta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28112A KR20240028112A (en) | 2024-03-05 |
| KR102801248B1 true KR102801248B1 (en) | 2025-04-30 |
Family
ID=902989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06219A Active KR102801248B1 (en) | 2022-08-24 | 2022-08-24 | Sorting system for goods transport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01248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511225A (en) * | 1999-10-04 | 2003-03-25 |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Double width cross belt sorting machine |
| JP2010279921A (en) * | 2009-06-08 | 2010-12-16 | Daio Engineering Co Ltd | Plastic sorting equipment |
| JP2017218299A (en) * | 2016-06-09 | 2017-12-14 |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 Transport device |
| JP2018192474A (en) * | 2018-08-29 | 2018-12-06 |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 Classification facility and classification method |
| JP2020164287A (en) | 2019-03-29 | 2020-10-08 |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 Tablet transport device and tablet prin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386881B2 (en) * | 1994-03-31 | 2003-03-17 | 三機工業株式会社 | Injection unit feeding device in sorting device |
| EP2947686A1 (en) * | 2014-05-19 | 2015-11-25 | Meyer Burger AG | Wafer processing method |
| KR101795440B1 (en) | 2016-07-06 | 2017-11-10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Smart Picking System |
-
2022
- 2022-08-24 KR KR1020220106219A patent/KR1028012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511225A (en) * | 1999-10-04 | 2003-03-25 |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Double width cross belt sorting machine |
| JP2010279921A (en) * | 2009-06-08 | 2010-12-16 | Daio Engineering Co Ltd | Plastic sorting equipment |
| JP2017218299A (en) * | 2016-06-09 | 2017-12-14 |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 Transport device |
| JP2018192474A (en) * | 2018-08-29 | 2018-12-06 |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 Classification facility and classification method |
| JP2020164287A (en) | 2019-03-29 | 2020-10-08 |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 Tablet transport device and tablet prin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28112A (en) | 2024-03-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95440B1 (en) | Smart Picking System | |
| JP5879443B2 (en) | Sorting mechanism with dynamic unloading | |
| JP3782349B2 (en) | Inclined tray sorting device | |
| JP4508233B2 (en) | Sorting device | |
| JP6437813B2 (en) | Sorting device | |
| JP6008805B2 (en) | Sorting system | |
| CN207756503U (en) | An intelligent double-vehicle sorting equipment | |
| JP2020075793A (en) | Sorting device | |
| KR1999008312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Article Processing | |
| CN107206431A (en) | Method and sorting device for sorting part goods | |
| KR102801248B1 (en) | Sorting system for goods transportation | |
| JP2018052671A (en) | Assortment apparatus | |
| CN108584410B (en) | Feeding system and feeding method | |
| US20240299985A1 (en) | Sorting method and goods-to-person sorting system | |
| JP6005009B2 (en) | Sorting system and loading method | |
| JP3518477B2 (en) | Logistics equipment | |
| JP2000247412A (en) | Article conveyance device for cargo handling facility | |
| JPH04112124A (en) | Article sorting device | |
| CN103269959A (en) | Picking and shipping method | |
| US7137502B2 (en) | Mail tray singulator and method of use | |
| CN113522772A (en) | Commodity letter sorting equipment with automatic feeding function | |
| JPH0834740B2 (en) | Goods sorting equipment | |
| KR102537460B1 (en) | Box supply system | |
| JPH07267307A (en) | Article receiving/delivering method in plane type automatic warehouse | |
| JP2000062914A (en) | Article carrying method and equipment therefor in cargo handling facilit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