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16596B1 - Methods for providing risk-minimizing behavior considering traffic and vehicle and road systems supporting the sam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s for providing risk-minimizing behavior considering traffic and vehicle and road systems supporting the sam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16596B1
KR102816596B1 KR1020230171551A KR20230171551A KR102816596B1 KR 102816596 B1 KR102816596 B1 KR 102816596B1 KR 1020230171551 A KR1020230171551 A KR 1020230171551A KR 20230171551 A KR20230171551 A KR 20230171551A KR 102816596 B1 KR102816596 B1 KR 10281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ad
vehicle
lane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1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시복
이용기
박정태
신유영
이나라
하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17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165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1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165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B60W60/0018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by employing degraded modes, e.g. reducing speed, in response to subopti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6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direction of tra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최소화 동작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주행 중 이상 상태가 발생한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도로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른 차량에게 정차 가능한 정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 도로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지대를 자율주행 차량에게 제공함으로써 긴급 상황(fallback) 상황에 대한 안전한 정차를 수행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supporting a risk minimization ope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f a vehicle in which an abnormality has occurred during driving and traffic information on a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calculating lane information of the road; and providing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at which the vehicle can stop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oad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 zon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is provided to an autonomous vehicle, thereby enabling safe stopp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fallback).

Description

교통량을 고려한 위험 최소화 동작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차량 및 도로 시스템{Methods for providing risk-minimizing behavior considering traffic and vehicle and road systems supporting the same method}{Methods for providing risk-minimizing behavior considering traffic and vehicle and road systems support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위험 최소화 동작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supporting risk minimization operations.

최근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자율주행차량은 운전의 편의성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다양한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완성차 또는 자동차 부품업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IT 기업에서도 향상된 통신 및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기술을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Autonomous vehicles, which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recently, are receiving attention not only for the convenience of driving but also as a fundamental alternative for solving various traffic problems in modern society. Accordingly, not only existing automakers or auto parts manufacturers but also various IT companies are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o commercializ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based on improved communication and computing technologies.

이러한 자율주행 시스템은 도로 규정 내에서 안전하게 목적지 까지의 주행을 위하여 차로 내 주행을 전제로 경로에 따른 차로의 변경 등을 위한 조향 및 가속과 감속을 제어하도록 한다.These autonomous driving systems control steer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for lane changes along the route, assuming driving within the lane to safely reach the destination within road regulations.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에 따르면,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지원장치(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부터 완벽한 자율주행시스템(ADS, Automatic Driving System)는 0단계부터 5단계까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도움이 필요 없는 자율주행시스템은 3단계 이상의 시스템으로 구분하고 있다. 3단계의 시스템에서는 비상 대응 사용자(FRU, Fallback-Ready User)가 비상 상황에서 대처해야 하며, 4단계 이상의 시스템에서는 자율주행시스템에 고장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스스로 대응(Fallback)할 수 있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여기서 자율주행시스템의 대응이란 고장이 날 경우 스스로 최소위험상태(MRC, Minimal Risk Condition)인 주/정차 상태로 위험 최소화 동작(MRM, Minimal Risk Maneuvers)을 수행 해야함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 autonomous vehicles can be classified from Level 0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to Level 5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Level 3 (Level 5). Autonomous driving systems that do not require driver assistance are classified as Level 3 or higher. Level 3 systems require an emergency response user (FRU, Fallback-Ready User) to respond in emergency situations, while Level 4 or higher systems require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to be able to respond (fallback) on its own eve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breakdown. Here,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s response means that in the event of a breakdown, it must perform Minimal Risk Maneuvers (MRM) by itself in the Minimum Risk Condition (MRC) or parking/stopping state.

그러나 MRM이 작동해야 하거나 FRU가 대응한다고 하더라도 고장/실패 등의 비상 상황에서 자차량의 인지 센서를 기반으로 안전지대를 확인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인지 센서에 고장이 발생했을 수 있으며, 정상 작동하더라도 주변 장애물에 의하여 안전지대가 폐색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4차로 도로에서 자차량이 1차로에 위치 시 주변 교통류에 의하여 갓길의 상황을 정확히 알기 어려울 수 있는 경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차량의 대응 방법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However, even if MRM should operate or FRU responds, there is a limit to confirming the safety zone based on the vehicle's perception sensor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breakdown/failure. The perception sensor may have malfunctioned, and even if it operates normally, the safety zone may be blocked by surrounding obstacles. For example, in a four-lane road,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lane,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shoulder situation due to surrounding traffic flow, and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specific vehicle response method for such situa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사고나 위급 상황의 발생 시 도로의 차량 센서를 바탕으로 정차 가능한 안전지대를 차량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One of the various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vehicle with a safe stopping zone based on vehicle sensors on the road when an accident or emergency occurs.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주행 중인 도로의 교통 상황을 기준으로 안전지대의 제공 방식을 결정하는 기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various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safety zone based on the traffic conditions of a road on which a vehicle is driving.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로 차로 인식 기반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행 중 이상 상태가 발생한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도로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른 차량에게 정차 가능한 정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a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a risk minimization operation based on lane recognition is preferably provided, comprising: a step of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f a vehicle in which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while driving and traffic volume information of a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 step of calculating lane information of the road; and a step of providing the vehicle with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at which the vehicle can stop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oad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상기 주행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 상 또는 도로 상의 길 어깨의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on a road including the driving road or on the shoulder of a road on the road.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도로의 교통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traffic volume on the road.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도로의 교통량에 포함된 타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be determined based on lane information of the road on which other vehicles are driving included in the traffic volume of the road.

상기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에 기 설치된 표식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ane information calculates the lane informa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based on the markings already installed on the road.

상기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에 기 설치된 좌측 또는 우측 표식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종방향 위치에 따른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ane information calculates the la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based on the left or right markings already installed on the road.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로 차로 인식 기반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서버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행 중 이상 상태가 발생한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도로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른 차량에게 정차 가능한 정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for lane recognition-based risk minimization operation as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processor; a memory for loading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a storage for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wherein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an operation for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f a vehicle in which an abnormality has occurred while driving and traffic volume information of a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 operation for calculating lane information of the road, and an operation for providing the vehicle with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at which the vehicle can stop based on the calculated road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eatures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y are not contradictory or exclusive to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 도로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지대를 자율주행 차량에게 제공함으로써 긴급 상황(fallback) 상황에 대한 안전한 정차를 수행하도록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 zon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 driving road is provided to an autonomous vehicle, thereby enabling a safe stop in an emergency situation (fallback).

본 발명은 사고나 위급 상황 시 차량 센서를 활용하여 정차 가능한 안전지대를 차량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 안전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vehicle with a safe stopping zone by utilizing a vehicle senso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emergenc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road safety.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중인 도로의 교통 상황을 기준으로 안전지대의 제공 방식을 결정하는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교통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safety zone based on the traffic conditions of a road on which a vehicle is driving, thereby enabling a quick and efficient response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본 발명은 도로 상황에 더 잘 대응하고, 사고 발생 시 운전자와 다른 도로 사용자의 안전을 적극적으로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better response to road conditions and actively ensures the safety of drivers and other road user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대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대 제공 시나리오를 예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대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that provides a safety zone provision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afety z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7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safety zone provision scenari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provid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afe z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hel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ever be limited. Unless clearly us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 includes the plural form.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other than thos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최소화 동작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supporting risk minimization ope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최소화 동작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차량(200)과 통신하며,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ade with reference to FIG. 1. A system supporting a risk minimization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er (300) that communicates with a vehicle (2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서버(300)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클라이언트(차량(200), 사용자 등)가 송신하는 정보들을 수집하고 저장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추가적으로 정보 처리에 따른 결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er (300) collects and stores information transmitted by clients (vehicles (200), users, etc.)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based on the cloud, and can provide stored information or additionally provide results according to information processing at the request of the client.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300)는 클라이언트로 차량(200) 내에 설치된 다양한 제어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현재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일련의 정보들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도로의 상황 및 상황에 따른 제어 정보들을 생성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rver (300) can collect current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provide a seri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by communicating with various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200) as a client, and for example, can generate and provid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dition of a specific road.

현재 클라우드 환경은 과거 물리적 서버(300) 기반의 운용 방식에서 점차 가상화 기술을 접목하여 유연성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특정한 서버(300)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다.The current cloud environment is gradually expanding its flexibility by incorporating virtualization technology from the past physical server (300)-based operation method, so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erver (300) and can be diversified depending on the network implementation method.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텔레매틱스(Telematics)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한다. 통신 기술로서는, 셀룰러(4G, LTE 등),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이동통신기반-차량/사물통신(C-V2X)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system of this embodiment provides convenience to drivers by utilizing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 telematics system. As communication technologies, cellular (4G, LTE, etc.),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and mobile communication-based vehicle/things communication (C-V2X) methods can be utilized.

C-V2X는 LTE, 5G와 같은 셀룰러 이동통신망을 통해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교통차량 센서, 보행자, 네트워크 등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차량 통신 기술로 카메라, 레이더, 차량 센서 등에 의존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기존 V2X에 이동통신기술을 접목해 다른 차량 및 차량 센서 등과의 실시간 통신으로 돌발 상황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C-V2X is a vehic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allows vehicles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other vehicles, traffic vehicle sensors, pedestrians, networks, etc. vi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LTE and 5G. It combine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existing V2X that relies on cameras, radar, and vehicle sensors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nabling real-time communication with other vehicles and vehicle sensors to recognize unexpected situations.

이러한 통신 기술을 통해 차량과 차량(V2V: Vehicle to Vehicle)간 통신 또는 차량과 노변 장치(400)(RSU: Road Side Unit)간 통신(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등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통신 기술 등을 통해 서버(300)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며 저장되는 데이터를 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se communication technologies,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 or vehicle-to-roadside unit (RSU) communication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is possible, 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data that is continuously updated and stored in the server (300) can be provided to the vehicle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즉 서버(300)는 직접적으로 차량과 통신하는 대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로의 지점에 설치된 노변 장치(400)와 통신하며 이동하는 차량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stead of communicating directly with a vehicle, the server (300) communicates with a roadside device (400) installed at a point on the road to increase accessibility and can collect and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a moving vehicle.

또한, 서버(300)는 도로의 다양한 시설물로 예를 들어 표지판(500)과 통신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300)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road facilities, for example, signboards (500), and provide safety zo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서버(3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대상 차량(200)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을 포함하는 수동 운전 차량 또는 자율주행을 위해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의 조향을 위한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arget vehicle (200)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00) may be a manually driven vehicle including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or a vehicle capable of driving in which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for autonomous driving are operating normally and, in particular, a device for steering the vehicle is operating normally.

차량(200)은 물리적으로 고장 요소가 전혀 없는 완벽한 정상 상태의 주행 중인 차량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자율주행 또는 운전자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고장의 발생으로 긴급 정차를 야기시키는 차량을 포함한다.The vehicle (200) is not limited to a vehicle in perfect normal running condition with no physical malfunction elements, and includes a vehicle that causes an emergency stop due to a malfunction that relatively affects autonomous driving or driver driving.

구체적으로 차량(200) 중 고장 상황이 발생한 차량(200)은 자율주행을 위해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 등 중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거나, 또는 차량의 가속 또는 조향을 위한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차량(200)을 의미할 수 있다. Specifically, a vehicle (200) in which a breakdown has occurred may refer to a vehicle (200) in which some of the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for autonomous driving are operating abnormally, o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n which a device for acceleration or steering of the vehicle is operating abnormally.

이때 차량(200)은 자율주행 또는 주행 제어 시스템의 구성중 일부에 고장(Fallback) 상황이 발생하여, MRC(Minimal Risk Condition) 상태로 천이 하기 위한 MRM(Minimal Risk Maneuver, 위험 최소화 동작)에 따른 제어가 요구되는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200) may mean a vehicle that requires control according to MRM (Minimal Risk Maneuver) to transition to MRC (Minimal Risk Condition) state due to a failure (Fallback) in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autonomous driving or driving control system.

이 경우 차량(200)은 차량의 상태에 따라 서버(300)로부터 비상 주/정차가 가능한 안전지대 정보를 제공받아 안전지대를 향해 자율주행 또는 수동주행을 통해 주행할 수 있다. 서버(300)는 차량(200)으로부터 안전지대 요청을 받을 경우, 후술하는 방법을 통해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안전지대 중 최적의 안전지대를 추출하여 차량(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hicle (200) can receive information on a safe zone where emergency parking/stopping is possible from the server (300)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drive toward the safe zone through autonomous driving or manual driving. When the server (300) receives a request for a safe zone from the vehicle (200), it can extract an optimal safe zone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safe zones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below and provide it to the vehicle (200).

상술한 안전지대란, 주차 가능 지역으로써, 교통법에 의거하여 주차가 가능한 공간으로, 길 어깨, 휴게소, 졸음 쉼터 등 주 도로에서 벗어나 차량의 주차를 허용하는 지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는 정차 가능 지역으로써, 갓길과 같이, 정상 차량의 주행은 주행을 불허하나 고장 등 부득이한 경우에 한해 주/정차를 허용하는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afe zone refers to a parking area, a space where parking is permitted in accordance with traffic laws, and can refer to an area where parking of vehicles is permitted away from the main road, such as a road shoulder, rest area, or rest stop, or a stopping area, such as a shoulder, where normal vehicle driving is prohibited, but stopping/parking is permitted only in unavoidable cases, such as in the case of a breakdown.

안전지대의 요청은, 비상 대응 사용자(FRU)의 요청 또는 자율주행시스템의 요청에 의하여 요구될 수 있다.A request for a safe zone may be requested by an emergency response unit (FRU) or by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비상 대응 사용자(FRU, Fallback Ready User)의 요청이란, 운전자의 매뉴얼 운전 중 발생하는 고장, 자율주행 중 승객 사정(Passenger violence)으로 인하여 비상 주/정차를 수행해야 할 경우, 승객 혹은 운전자 등 비상 대응 사용자(FRU)가 안전지대 검색을 요청함을 의미할 수 있다.A request from a Fallback Ready User (FRU) may mean that a passenger or driver, or other FRU, requests a search for a safe zone when an emergency parking/stop is required due to a breakdown that occurs during manual driving or passenger violence during autonomous driving.

자율주행시스템의 요청이란, 자율주행시스템에 의하여 차량의 운전자 제어권이 넘어가 있는 경우, 시스템의 판단에 의하여 안전지대 검색을 요청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A request from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may mean that, when the driver's control of the vehicle is transferred to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the system may request a search for a safe zone at its discretion.

추가적으로 안전지대의 요청 과 제공은 차량(200) 주변의 다른 차량(200') 또는 노변 장치(400)와 같은 주변 차량 센서 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200)의 일시적 통신 불능 또는 고장 상황의 인지 불능 상태인 경우 주변 차량이 비정상 주행을 확인하고 이를 서버(300)에 전달하고 안전지대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후 V2V 통신을 통해 안전지대를 차량(200)에게 전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quest and provision of a safe zone can also be performed by other vehicles (200') around the vehicle (200) or surrounding vehicle sensors such as roadside devices (40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emporary communication failure or failure of the vehicle (200), surrounding vehicles can confirm abnormal driving and transmit this to the server (300) and request a safe zone. The safe zone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200) later through V2V communication.

안전지대에 대한 적합도는 차량(200)과 안전지대 사이의 거리, 차로 정보에 따른 차로 변경 수, 교통량 등 주행의 난이도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적합도 점수가 낮을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 서버(300)는 가장 최적의 안전지대로 차량(200)이 주행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The suitability for a safe zone is calculated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200) and the safe zone, the number of lane changes according to lane information, the traffic volume, and the difficulty of driving. A lower suitability score has a higher priority, and the server (300) guides the vehicle (200) to drive to the most optimal safe zone.

또한 차량(200)은 차로 변경 등이 어려운 고장 상황이 발생한 경우 또는 고장 상황에서 운전자에 의한 수동 주행이 불가한 경우에는 주행 차로 내 정차를 수행하거나, 인접 차로 내 정차를 위험 최소화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vehicle (200) has a breakdown that makes it difficult to change lanes, or when manual driving by the driver is not possible in a breakdown situation, the vehicle can perform a stop in the driving lane or a stop in an adjacent lane as a risk minimization action.

또는 차량(200)의 현재 상태가 차로 변경이 가능한 정도의 상황인 경우에는 차로 변경을 통해 도로의 길 어깨(Road Shoulder)에 정차할 수 있도록 안전지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 혼잡이나 2차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Or, if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200) is such that a lane change is possible, the risk of traffic congestion or secondary accidents can be minimized by providing safety zone information so that the vehicle can stop on the road shoulder by changing lanes.

서버(300)는 차량(200)의 주행 중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안전지대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server (300) can update information on whether a safe zone is used by collecting data while the vehicle (200) is driving.

서버(300)는 선 정의된 안전지대의 사용 가능 유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며, 차량(200)의 안전지대 정보 요청 시, 이를 기반으로 차량(200)의 최적 안전지대 후보군을 제공함과 동시에 차량(200)의 정차 위치, 경로, 고장 상태 등의 정보를 차량(200) 주변의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전체 교통류의 제어를 위한 신호들을 주변 차량들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rver (300) continuously updates the availability of a predefined safe zone, and when a vehicle (200) requests safe zone information, provides an optimal safe zone candidate group for the vehicle (200)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the vehicle's (200) stopping location, route, and breakdown status to service users around the vehicle (200), and can also provide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traffic flow to surrounding vehicles.

본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이상의 대상 차량의 개별적인 주행 안내와 함께 도로 전체의 상황을 고려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erver (300) can also perform contro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overall road situation along with individual driving guidance of the above target vehicles.

예를 들어 서버(300)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교통량의 증가로 도로가 정체되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 별로 주행 차로를 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server (300) can receiv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assign driving lanes to each vehicle to alleviate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increased traffic volume.

차량(200)은 고장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위험 최소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위험 최소화 동작의 유형에 따라 안전지대로 정차할 수 있다.The vehicle (200) can perform a risk minimization operation to minimize the risk due to a breakdown, and can stop in a safe zone depending on the type of risk minimization operation.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가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지대로 길 어깨에 대한 구체적인 정차 구역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setting a specific stopping area on the shoulder of a road as a safe zone that can minimize risk by using a server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를 참고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지대 제공 시스템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Referring to FIG. 2,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safety zon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서버(300)는 안전지대 제공을 위하여 주행 도로 내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획득한다(S100).First, the server (300) obtains status information of vehicles on the road and traffic volume information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s are driving in order to provide a safe zone (S100).

예를 들어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직접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노변 장치(400)가 수집한 정보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300) can receive status information directly from a vehicle via a network or can collect information collected by a roadside device (400) via a network.

상태 정보는 현재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로써 현재의 위치, 차량의 속도, 자율주행 여부, 고장의 발생 여부 등 일련의 정보들일 수 있다.Status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driving of the vehicle, and can be a series of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location, vehicle speed, whether it is autonomous driving, and whether a breakdown has occurred.

또는 보다 상세한 차량의 제어상태와 차량의 제원 등 차량 제어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Or, it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control, such as more detailed vehicle control status and vehicle specifications.

예를 들어 수신되는 차량의 정보는 자율주행을 위한 다양한 모듈 중 동작 가능한 모듈로서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의 제어 가능성(Lateral Control), 감가속을 위한 파워트레인(Powertrain), 브레이크(brake)의 제어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being receive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lability of the lateral direction (Lateral Control), the powertrain for deceleration and acceleration, and the controllability of the brakes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as an operable module among various modules for autonomous driving.

또한, 서버(300)는 주행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rver (300) can obtain traffic volume information on the driving road.

차선변경 하고자 하는 주행 도로 상의 교통량 정보로 교통밀도를 기반으로, 차선변경 가능여부, 차선변경 소요시간, 차선변경에 소요되는 거리 등을 산출할 수 있다.Based on traffic density and traffic volume information on the road on which you wish to change lanes, you can calculate whether lanes can be changed, the time required to change lanes, and the distance required to change lanes.

예를 들어 차선변경 하고자 하는 차로 상의 교통밀도는, 차량 내부의 센서 또는 노변 장치(40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ffic density on the lane to be changed can be obtained through a sensor inside the vehicle or a roadside device (400).

또는, 주변 차량(200')이 제공하는 V2X 정보 (각 차량의 위치/속도 등을 제공하는 BSM 정보 등)을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V2X information provided by surrounding vehicles (200') (such as BSM information providing location/speed of each vehicle).

BSM(Basic Safety Message) 정보는 차량과 관련된 주요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데이터 요소이다. 이 정보는 주로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시스템의 일환으로 사용되며, 자율주행 차량 및 현대적인 교통 관리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BSM은 차량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합니다. 이는 GPS 좌표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식별하고, 주변 차량 및 인프라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BSM (Basic Safety Message) information is a key data element that provides key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This information is mainly used as part of the V2X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 system and can play a key role in autonomous vehicles and modern traffic management systems. BSM provides the exact location of the vehicle. It can be used to identif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hrough GPS coordinates and to determine the relative location to surrounding vehicles and infrastructure.

또한, 차량의 현재 속도 정보도 BSM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이동 방향과 헤딩(방위각)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의 가속도 정보는 급가속 또는 급감속 상황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며 차량의 크기와 형태(예: 세단, SUV, 트럭 등)에 대한 정보도 BSM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can also be transmitted through the BSM.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heading (azimuth) information of the vehicle can also be included.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used to detect sudden acceleration or sudden deceleration situations, and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shape of the vehicle (e.g. sedan, SUV, truck, etc.) can also be included in the BSM.

예를 들어 주변 차량의 속도들을 기준으로 제한 속도와 비교하여 교통 밀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raffic density can be indirectly assessed by comparing the speed of surrounding vehicles to the speed limit.

다음 서버는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산출한다(S200).The following server calculates lane information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S200).

본 실시예에서 차로 정보는 차량의 현재 주행 도로 중 몇번째 차로를 주행하는 지를 정의하는 정보 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lan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defining which lane the vehicle is currently driving on among the driving roads.

차로 정보는 차량에 탑재된 센서,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된 차로 들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Lane information can be derived based on lanes acquired through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such as camera sensors.

도 3을 참고하면, 차량(200)의 좌우측 영역(210)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내 차로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로를 기초로 최종적으로 차량이 몇 차로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3, a camera that collects images of the left and right areas (210) of a vehicle (200) is used to detect lanes in the image, and based on the detected lanes, it is determined in which lane the vehicle is ultimately located.

차량(200)에 탑재된 센서와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차선정보 분류 방식을 통해 차선 인식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자신의 차선과 인접한 차선, 또는 자신의 차선과 인접한 두 개의 차선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200)은 차선 인식 정보를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한다.Lane recognition information is efficiently classified through a lane information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sensors and cameras mounted on a vehicle (200). For example, the camera can obtain information on its own lane and adjacent lanes, or information on two lanes adjacent to its own lan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the vehicle (200) classifies lane recognition information into three categories.

차선 인식 정보는 1) 인접 차선, 2) 한 차선 건너 인접 차선, 3) 세 번째 차선 또는 그 이상의 차선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만약 카메라나 자율주행 차량의 탑재 센서가 인접 차선만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 시스템은 인접 차선과 한 차선 건너 또는 그 이상의 차선으로만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Lane recognition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into 1) adjacent lane, 2) adjacent lane one lane across, 3) third lane or more, and if the camera or the autonomous vehicle's onboard sensors can only recognize adjacent lanes, the system can also classify only adjacent lanes and lanes one lane across or more.

본 실시예에서는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통행인 경우 특히 우측 차선의 정보는 이러한 판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driving on the right side of the road based on the direction of travel, information on the right lane in particular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decision.

기술적으로 차량(200)은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수신하고, 영상 내에서 객체로 하나 이상의 차선 마킹과 차선 마킹 각각의 차선 패턴 및 차선 색상을 검출할 수 있다. Technically, the vehicle (200) can receive an image acquired from a camera and detect one or more lane markings as objects within the image and a lane pattern and lane color of each lane marking.

차량(200)은 좌측 또는 우측의 분류 결과(L, R)에 따라 차로 정보를 산출하고 길 어깨에 도달하기 위한 차로 변경 횟수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vehicle (200) can also calculate lane inform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L, R) of left or right and calculate the number of lane changes to reach the road shoulder.

다만, 경우에 따라서 차로가 전체 도로의 주행 차로들의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외부와 연계하여 차로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in some cases, when it is difficult for a lane to obtain information on all driving lanes on the road, it is possible to obtain lane information by linking with an external source.

즉 차량은 차로 정보를 차량 자체의 센싱 결과 외 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a vehicle can obtain lane information by receiving extern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vehicle's own sensing results.

도 4를 참고하면, 차량은 외부의 인프라와 통신을 통해 V2I (Vehicle-to-Infrastructure) 기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는 차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vehicle can obtain lane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V2I (Vehicle-to-Infrastructu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external infrastructure.

예를 들어 차량은 GPS 등을 통해 센싱된 현재의 위치를 외부의 인프라로 제공하고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의 전체 주행 차로 수 대비 센싱 정보를 기초로 차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 vehicle can provide its current location sensed through GPS or other means to an external infrastructure, and can also calculate lane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lanes on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또는 서버(300) 노변 장치(400)를 통해 주행 중인 차량(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200)의 좌우측에 남아있는 차선의 수(L,R)를 파악하고, 이를 V2I(Vehicle-to-Infrastructure) 통신을 통해 차량(200)에게 전달할 수 있다.Or, the location of a vehicle (200) in motion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through a server (300) roadside device (400), and based on this location information, the number of lanes (L, R) remain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200) can be identified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200) through V2I (Vehicle-to-Infrastructure) communication.

차량(200)은 전달된 정보를 사용하여 길 어깨까지 남은 차선 수, 필요한 차로 변경 횟수, 그리고 차로 변경을 통해 노변에 정차하기까지 소요되는 거리 및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The vehicle (200) can use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number of lanes remaining to the shoulder of the road, the number of lane changes required, and the distance and time it will take to stop at the side of the road after a lane change.

또는, 외부의 인프라에서 직접 요청한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접 차로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차로 정보를 차량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directly derive lane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a vehicle requested directly from an external infrastructure and provide the derived lane information to the vehicle.

나아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200)은 외부의 설치된 고정 시설물, 예를 들어 노변 표지 시설물(34-1, 34-2)을 기반으로 한 차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Furthermore, referring to FIG. 5, the vehicle (200) can derive lane information based on external installed fixed facilities, for example, roadside sign facilities (34-1, 34-2).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델리네이터와 같은 도로 시설물은 도로의 좌측과 우측 끝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차량(200)은 이러한 시설물을 활용하여 차량은 주행 중인 차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분리대의 위치는 도로의 중앙 또는 우측 차선의 끝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가드레일은 도로의 외곽 또는 갓길과 인접한 차선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Road facilities such as a median strip, guardrail, and delineator can indicate the left and right end locations of a road. A vehicle (200)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lane in which it is driving by utilizing these facilities. For example, the location of a median strip can indicate the center of a road or the end of a right lane, and a guardrail can indicate the location of a lane adjacent to the edge of a road or a shoulder.

차량(200)은 탑재된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의 센서로 도로 표지시설물과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현재 차로의 위치를 추정한다. 이 센서들은 주변 환경에 대한 고해상도 데이터를 제공하며, 도로 표면의 선, 표지판, 그리고 기타 시설물을 식별하는 데 필요한 시각적 정보를 수집한다.The vehicle (200) estimates the current lane positio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road sign facilities using sensors such as mounted cameras, radars, and lidars. These sensors provide high-resolution data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ollect visual information necessary to identify lines, signs, and other facilities on the road surface.

또한, 교통안전시설물과 도로시설물은 차선 위치를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설물은 차선의 시작과 끝, 교차로의 위치, 차선 변경 지점 등 주요 도로 구조를 명확히 하여 차량의 주행 차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road facilities can be used to estimate lane positions. These facilities can clearly identify major road structures such as the beginning and end of lanes, intersection locations, and lane change points, thereby enabling the calculation of vehicle driving lane information.

이상의 차량(200)은 센싱된 노편 표지 시설물을 기반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고 위치 기반의 전체 주행 차로 수 대비 센싱 정보를 기초로 차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above vehicle (200) can estimat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nsed road marking facilities and calculate lane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driving lanes based on the location.

이때,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는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차로 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ane information of the driving road may include the number of right lanes located on the right based on the direction of travel.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안전 지대의 정차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우측 통행이 기준인 국가에서는 도로의 우측에 위치하는 길 어깨에 정차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control for stopping in a safe zone can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so for example, in a country where right-hand traffic is the standard, stopping can be performed on the shoulder of the road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oad.

따라서, 차량의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차로 수 값을 차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Therefore, the number of right lanes located on the right side based o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can be obtained as lane information.

반대로, 좌측 통행을 기준으로 하는 국가의 경우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는 상기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차로 수 값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Conversely, in countries where left-hand traffic is the standard, the lane information of a driving road may also include the number of left lanes located on the left side based on the direction of travel.

또는, 고속 도로가 아닌 시내 주행 상황인 경우 예를 들어 일방 통행의 상황에서는 우측 통행이 기준인 국가에서도 좌측의 정차도 가능하므로 좌측 차로 수 값을 포함하여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in a city driving situation, not a highway, for example, in a one-way traffic situ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value including the number of left lanes, as stopping on the left is also possible in countries where right-hand traffic is the standard.

또한, 서버(300)는 교통 상황에 따라서 상술한 차로 정보의 획득을 위하 주변 차량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server (300) can also use surrounding vehicles to obtain the above-described lane information depending on traffic conditions.

교통 상황에 따라 주변 차량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차량(200)의 현재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카메라로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surrounding vehicles increases depending on traffic conditions,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lane information on the current driving road of the vehicle (200) using a camera.

도 6을 참고하면, 차량(200)은 우측 영역(210)의 옆 차로에 위치하는 타차량(200')에 의해 차량(200)의 카메라 시야가 가려지는 경우 카메라로 인식된 옆 차로의 타차량(200')을 통해 차로 수 정보를 추가로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camera view of the vehicle (200) is obstructed by another vehicle (200') located in the lane next to the right area (210), it is also possible to additionally calculate lane number information through another vehicle (200') in the lane next to it recognized by the camera.

예를 들어, 우측 차로에 위치한 타차량(20'0)이 정확한 차선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이 타차량(200')은 V2V(Vehicle-to-Vehicle)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200)들과 차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인프라 센터나 엣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부족하거나 정확하지 않을 때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의 어떤 타차량(200')이 도로 공사로 인해 일시적으로 폐쇄된 차선의 정보를 갖고 있으면, 이 타차량(200')은 V2V를 통해 이 정보를 차량(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200)보다 정확한 차선 변경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도로 안전과 효율적인 교통 흐름에 기여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nother vehicle (20'0) located in the right lane has accurate lane information, the other vehicle (200') can share the lane information with the vehicles (200) using V2V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This can be particularly useful whe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rastructure center or edge is insufficient or inaccurate. For example, if another vehicle (200') in the vicinity has information about a lane that is temporarily closed due to road construction, the other vehicle (200') can transmit this information to the vehicle (200) via V2V. This can allow the vehicle (200) to establish a more accurate lane change plan, which can contribute to overall road safety and efficient traffic flow.

구체적으로 도 7을 참고하면, 차량(200)은 가려진 영역의 원인이 되는 타 차량(200')을 식별하고 해당 차량과의 V2V 통신을 통해 해당 차량이 인식한 차로 수 정보(R')를 기초로 현재 차량의 차로 수 정보(R=R'+1)를 추w정하는 것도 가능하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the vehicle (200) can identify another vehicle (200') that is the cause of the obscured area and estimate the current vehicle's lane number information (R=R'+1) based on the lane number information (R') recognized by the vehicle through V2V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다음 서버(300)는 차량에게 정차 가능한 정차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S300).The next server (300) provides the vehicle with information on a possible stopping location (S300).

정차 위치 정보는 센서를 통한 차로의 인식 및 차로의 변경이 가능한 경우의 안전지대를 정의하는 도로 내 영역으로 잠재적인 정차 구역(Potential Stopping Area)일 수 있다.Th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may be a potential stopping area, which is an area within the road that defines a safe zone where lane recognition and lane changes are possible through sensors.

정차 위치 정보는 차량이 직접 감지하는 것 외에 통신 모듈이 동작 가능하여 외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300) 또는 차량 센서로부터 정차 위치 정보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vehicle directly detecting the stop location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also operate to receive the stop location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ource, preferably a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vehicle sensor.

구체적으로 정차 위치 정보는 위험 최소화 동작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risk minimization action.

본 실시예에서 위험 최소화 동작의 유형(MRM(Minimal Risk Maneuver) type)은 자율주행의 고장 상태 또는 고장 상태의 심각도와 같은 내부적 환경과 또는 안전지대 상황 등의 외부적 환경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ype of risk minimization maneuver (MRM (Minimal Risk Maneuver) type) can be determined by identifying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 failure state of autonomous driving or the severity of a failure state, o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 safe zone situation.

MRM 유형은 정차 상황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도로 내 정차(Traffic Lane Stop)의 경우 직진 정차(Straight stop), 차로 내 정차(In-lane stop), 인접 차로 정차(Adjacent Lane stop)로 구분될 수 있다. MRM types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stopping situations, and in the case of traffic lane stops,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straight stop, in-lane stop, and adjacent lane stop.

직진 정차는 가장 긴급한 또는 고장 상태가 심각한 상황으로 현재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방향에서 제동이 수행되며 차량(10)이 정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측면조향(Lateral control), 가속제어(Acceleration) 및 차로변경(Lane Change)의 제어가 필요치 않으며, 제동을 위한 감속제어(Deceleration)가 수행된다.Straight-line stop means that the vehicle (10) is stopped by brak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currently traveling, which is the most urgent or serious situation in which a breakdown is occurring. Therefore, lateral steering (lateral control), acceleration control, and lane change control are not required, and deceleration control for braking is performed.

차로 내 정차는 현재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차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제동이 수행되며 차량(10)이 정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속제어(Acceleration) 및 차로변경(Lane Change)의 제어가 필요치 않으며, 차로를 유지하기 위한 측면조향(Lateral control) 및 제동을 위한 감속제어(Deceleration)가 수행된다.Stopping in a lane means that the vehicle (10) stops while braking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e lane in which the vehicle (10) is currently driving. Therefore, acceleration control and lane change control are not necessary, and lateral steering to maintain the lane and deceleration control for braking are performed.

인접 차로 정차는 현재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차로를 벗어나 보다 안전한 다른 차로로 차량(10)이 이동하며 제동이 수행되어 차량(10)이 정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접 차로 정차에서는 현재 주행중인 차로를 벗어나기 위한 가속제어(Acceleration)와 다른 차로로 이동하기 위한 차로변경(Lane Change)의 제어와 차로 이동 및 차로를 유지하기 위한 측면조향(Lateral control) 및 제동을 위한 감속제어(Deceleration)가 수행된다.Adjacent lane stop means that the vehicle (10) moves from the lane in which the vehicle (10) is currently driving to another safer lane and performs braking to stop the vehicle (10). In adjacent lane stop, acceleration control for leaving the current lane, lane change control for moving to another lane, lateral steering for moving to and maintaining the lane, and deceleration control for braking are performed.

이 외의 정차 타입으로 안전 지대의 감지를 조건으로 외부 서버(300)나 도로 주변 유닛(RSU:Road Side Unit)을 통해 검색된 안전지대가 사용 가능한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 stop type can be distinguished in which a safe zone is available by searching for it through an external server (300) or a road side unit (RSU) under the condition of detecting a safe zone.

안전 갓길이나 주/정차 구역에 정차하기 위한 길 어깨 정차(Road Shoulder stop), 주차 차로 정차(Parking Lane stop) 로 구분될 수 있다.It can be divided into road shoulder stop and parking lane stop for stopping in a safe road shoulder or parking/stopping area.

본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정차 위치 정보로 획득된 차로 정보를 기초로 길 어깨의 구체적인 위치를 길 어깨 정차가 가능한 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rver (300) can provide a specific location of the shoulder of the road to a vehicle capable of stopping on the shoulder of the road based on the lane information obtained as th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길 어깨 정차의 경우 길 어깨가 도로(lane)을 포함하는 정도의 폭, 예를 들어 2m 이상을 가지는 경우를 완전 길 어깨 정차(Full-shoulder stop), 그렇지 않은 경우 절반 길 어깨 정차(Half-shoulder stop)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shoulder stops, if the shoulder of the road is as wide as the road (lane), for example, if it is more than 2m, it can be categorized as a full-shoulder stop, otherwise it can be categorized as a half-shoulder stop.

이상 결정된 MRM 유형은 내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결정된 타입에 따라 MRM 동작을 실행시킨다. 최종 결정된 타입으로 차량(10)이 정차하게 되면 이때의 차량(10)은 MRC(Minimal Risk Condition)로 위험이 최소화된 상태가 된다.The above-determined MRM type can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and the MRM operation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When the vehicle (10) stops in the final determined type, the vehicle (10) at that time becomes a MRC (Minimal Risk Condition) in which the risk is minimiz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길 어깨 상의 정차 위치 정보는 주행 도로의 차로 수를 고려하여 차로의 변경 필요 및 가능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houlder of the road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changing lanes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lanes on the driving road.

먼저 정차 위치 정보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현재 속도를 기준으로 차량이 주행 가능한 거리 및 정차에 걸리는 종방향의 운행에 따른 정차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First, the stop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istance the vehicle can drive based on the current speed and the stopping time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movement required to stop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이때, 정차 시간은 획득된 차로 정보를 기초로 길 어깨까지 도달하기 위한 차로 변경 수에 따른 횡방향의 운행에 따른 차로 변경 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pping time can consider the lane change time according to the lateral driv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ne changes to reach the road shoulder based on the acquired lane information.

즉, 종방향의 정차 소요 시간 및 횡방향의 차로 변경 거리에 따른 시간으로 종합한 정차 필요 시간을 고려하여 최종 정차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That is, the final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stopping time, which is calcul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stopping ti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ime required for changing lanes in the lateral direction.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정차 위치 정보는 도로 구역의 교통량을 더욱 판단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stop location information can further determine the traffic volume of the road area.

자율주행 차량이 고장 상황임에도 길 어깨 정차를 위한 정상적이지 않은 차로 변경으로 교통 체증을 유발할 수 있다.Self-driving cars can cause traffic congestion by making abnormal lane changes to stop on the shoulder of a road even when they are in a breakdown state.

따라서, 서버(300)는 현재의 교통 상황을 통해서 안전 지대를 결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rver (300) can determine a safe zone through the current traffic situation.

예를 들어 정체가 덜한 경우에는 차로 변경이 비교적 수월한 반면 도 5와 같이 정체가 심한 경우는 차로 변경이 어려우므로 정체가 덜한 경우 인접한 안전 지대를 판단하되 정체가 심한 경우 직진 후 정차할 수 있도록 안전 지대를 원거리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raffic congestion is light, it is relatively easy to change lanes, but when traffic congestion is heavy, as in Fig. 5, it is difficult to change lanes. Therefore, when traffic congestion is ligh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nearby safe zone, but when traffic congestion is heavy,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a safe zone far away so that you can go straight and then stop.

이때 교통 상황은 차량들의 속도와 교통 밀도를 통해 상대적인 등급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서버(300)는 종방향의 정차 소요 시간 및 횡방향의 차로 변경 거리에 따른 시간으로 종합한 정차 필요 시간에 교통 상황의 등급을 가중치로 반영하여 최종 정차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ffic situation can be calculated as a relative grade through the speed of vehicles and traffic density, and the server (300) can determine the final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grade of the traffic situation as a weight in the stopping time synthesized by the time required for stopp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ime according to the distance for changing lanes in the lateral direction.

종방향의 시간은 예를 들어 현재 차량의 속도를 기준으로 엔진브레이크 등의 자연 감속시의 대략적 감속도(예를 들어 0.5m/s2)로 정차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Longitudinal time can be calculated as the time taken to stop at an approximate deceleration rate (e.g. 0.5 m/s2) corresponding to natural deceleration such as engine braking, based on the current vehicle speed, for example.

또한, 차량의 차로 변경을 위한 횡방향 이동 속도는 예를 들어 임계 속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임계 속도를 통해 차로 변경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하여 주변 차량이 차로 변경을 인식하고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Additionally, the lateral movement speed for the vehicle to change lanes can be set to, for example, below a threshold speed. The threshold speed allows the lane change time to be sufficiently long so that surrounding vehicles can recognize the lane change and avoid collisions.

또한, 차량은 차로 변경 중에는 전방 및 후방 차량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전방 차량이 정차하거나 급감속하는 상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차로 변경을 제한하며, 후방 차량과의 안전한 거리 유지를 위해, 차량은 방향지시등을 사용하여 차로 변경 의도를 표시하고, 후방 차량이 이를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후방 차량이 감속을 시작하기까지의 반응 시간을 고려하여 반응 시간 이후 차량은 감속과 차로 변경을 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may limit lane changes when the vehicle in front is expected to stop or decelerate rapidly to avoid collisions with the vehicles in front and behind during lane changes, and may use turn signals to indicate its intention to change lanes to maintain a safe distance from the vehicle behind, providing sufficient time for the vehicle behind to recognize and react. Considering the reaction time until the vehicle behind begins to decelerate, the vehicle may initiate deceleration and lane changes after the reaction time.

다음 서버(300)는 교통량 정보가 가중치로 적용된 정차 필요 시간 및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전방 특정 거리 내에 있는 가능한 후보 정차 지점들을 산출한다. The next server (300) calculates the stopping time required with traffic volume information applied as a weight and possible candidate stopping points within a certain distance ahead of the vehicle's current location.

예를 들어, 서버(300)는 거리가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1 정차 위치 정보로 산정할 수 있다. 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정차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대응 시간이 중요한 상황에서 유용하며, 차량이 빠르게 멈춰야 할 때 선호될 수 있다. 다만 주변 환경의 위험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수 있으며 덜 안전한 정차 지점을 선택할 위험이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300) can calculate the closest location as the first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The goal is for the vehicle to stop at the closest location to its current location, which is useful in situations where response time is important, and may be preferred when the vehicle needs to stop quickly.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risk factors may not be sufficiently considered, and a less safe stopping point may be selected.

서버(300)는 정차 위치 정보 내 설계 속도 대비 결정된 길 어깨의 폭을 기준으로 안전 지대를 결정하되,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가 설계 속도인 경우의 최소 임계 거리 전방의 안전 지대를 정차 위치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300) determines a safe zone based on the width of the road shoulder determined in comparison with the design speed in th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an provide a safe zone ahead of the minimum critical distance when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the design speed as th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 도로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지대를 자율주행 차량에게 제공함으로써 긴급 상황(fallback) 상황에 대한 안전한 정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 zon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 driving road can be provided to an autonomous vehicle, thereby enabling safe stopp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fallback).

이하, 도 8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300)는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 중 하나 이상은 범용 컴퓨팅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되며 따라서 프로세서(processor)(308), 입출력 I/O(302), 메모리 장치(memory)(304), 인터페이스(interface)(306), 스토리지(312) 및 버스(314, bus)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8), 입출력 I/O(302), 메모리 장치(304), 스토리지(312) 및/또는 인터페이스(306)는 버스(314)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버스(314)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The server (3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ing devic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authentication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on a general-purpose computing processor and thus may include a processor (308), an input/output I/O (302), a memory device (304), an interface (306), a storage (312), and a bus (314). The processor (308), the input/output I/O (302), the memory device (304), the storage (312), and/or the interface (306)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via the bus (314). The bus (314) corresponds to a path through which data is moved.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8)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308)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 MPU (Micro Processor Unit),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a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 microprocess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ntrolle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nd logic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s similar thereto.

입출력 I/O 장치(302)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304)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I/O device (30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 keyboard, a touchscreen, and a display device. The memory device (304) may store data and/or programs, etc.

인터페이스(306)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6)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10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모리 장치(304)는 프로세서(308)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메모리로서, 고속의 디램 및/또는 에스램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terface (306)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data to or receiving data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face (306) may be wired or wireless. For example, the interface (1040) may include an antenna or a wired/wireless transceiver, etc. Although not shown, the memory device (304) may further include a high-speed DRAM and/or SRAM, etc. as an operating memory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308).

내부의 스토리지(312)는 여기에 설명된 일부 또는 모든 모듈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 구성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사기 탐지 조건 설정 및 탐지 방법의 선택된 양태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al storage (312) stores programming and data configurations that provide the functionality of some or all of the modules described herein. For example, it may include logic to perform selected aspects of the fraud detection condition setting and detection methods described above.

메모리 장치(304)는 스토리지(312)에 저장된 상술한 사기 탐지 방법을 수행하는 각 단계를 포함하는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고 프로세서가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memory device (304) loads a program or application with a set of instructions including each step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fraud detection method stored in the storage (312) and enables the processor to perform each step.

나아가, 노변 장치(400) 역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상의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the roadside device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that performs the operations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 도로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지대를 자율주행 차량에게 제공함으로써 폴백 상황에 대한 안전한 정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고장 상황의 발생 시 도로의 차량 센서를 바탕으로 정차 가능한 길 어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지대에 대한 안내 정보를 차량 센서를 기반으로 공유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에 따른 전송 주기로 안전 지대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 제공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 zon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driving road is provided to an autonomous vehicle, thereby enabling safe stopping in a fallback situation. In addition, when a breakdown situation occurs, risk can be minimized by providing information on a shoulder of a road where stopping is possible based on a vehicle sensor on the roa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econdary accidents by sharing guidance information on a safe zone based on a vehicle senso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update and provide safe zone information at a transmission cycl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thereby enhancing stabilit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by equivalents of the claims.

Claims (12)

차로 인식 기반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행 중 이상 상태가 발생한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도로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른 차량에게 정차 가능한 정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도로의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노변 표지 시설물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차로 수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차로 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정차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 정차하기 까지의 차로 변경 횟수를 제공하고,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자연 감속시의 감속도를 고려한 종방향의 시간 및 산출된 차로 수 값에 따라 임계 속도 이하의 속도를 고려한 횡방향의 시간에 따른 정차 필요 시간 내 도달 가능한 위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
In a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risk minimization operation based on lane recognition,
A step for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f a vehicle in which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while driving and traffic volume information on a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 step of calculating lane information of the above driving road; and
Including a step of providing a vehicle with stop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generated road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The steps for producing information by the above method are:
The number of lanes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b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side sign facility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based o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oad.
The step of providing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Using the number of lanes calculated above, the number of lane changes until stopping at the location according to th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a risk minimization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as a position that can be reached within the stopping time required based on longitudinal time considering deceleration during natural deceleration and transverse time considering a speed below the critical speed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lan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상기 주행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 상 또는 도로 상의 길 어깨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
In paragraph 1,
A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risk minimization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on a road including the driving road or on the shoulder of a road on the ro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도로의 교통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
In paragraph 1,
A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risk minimization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traffic volume on the roa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도로의 교통량에 포함된 타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
In the third paragraph,
A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risk minimization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on the lane of a road on which other vehicles are driving included in the traffic volume of the roa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에 기 설치된 표식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
In paragraph 4,
A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minimizing ris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ane information calculates the lane informa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based on the markings already installed on the roa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에 기 설치된 좌측 또는 우측 표식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종방향 위치에 따른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
In paragraph 5,
A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minimizing ris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ane information calculates la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based on the left or right markings already installed on the road.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차로 인식 기반 위험 최소화 동작을 위한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행 중 이상 상태가 발생한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도로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른 차량에게 정차 가능한 정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은,
상기 주행 도로의 통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노변 표지 시설물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차로 수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산출된 차로 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정차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 정차하기 까지의 차로 변경 횟수를 제공하고,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자연 감속시의 감속도를 고려한 종방향의 시간 및 산출된 차로 수 값에 따라 임계 속도 이하의 속도를 고려한 횡방향의 시간에 따른 정차 필요 시간 내 도달 가능한 위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processor,
a memory for loading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said processor, and
Including storage for storing the above computer program,
The above computer program,
In a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information for risk minimization operation based on lane recognition,
An operation for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f a vehicle in which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while driving and traffic information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 operation for calculating lane information of the above driving road, and
Includes an operation of providing a vehicle with stop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road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The operation of producing information by the above method is as follows:
The number of lanes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b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side sign facility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based o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oad.
The action of providing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Using the number of lanes calculated above, the number of lane changes until stopping at the location according to th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as a position that can be reached within the stopping time required based on the longitudinal time considering the deceleration during natural deceleration and the transverse time considering a speed below the critical speed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lan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상기 주행 도로를 포함하는 도로 상 또는 도로 상의 길 어깨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In paragraph 7,
A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on a road including the driving road or on the shoulder of a road on the roa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도로의 교통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In paragraph 7,
A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traffic volume on the roa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정보는 도로의 교통량에 포함된 타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In Article 9,
A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topping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lane information of a driving road of another vehicle included in the traffic volume of the roa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은 상기 도로에 기 설치된 표식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In Article 10,
A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lane information calculates the lane informa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based on the markings installed on the roa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은 상기 도로에 기 설치된 좌측 또는 우측 표식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중인 주행 도로의 종방향 위치에 따른 차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In Article 11,
A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lane information calculates la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based on the left or right markings installed on the road.
KR1020230171551A 2023-11-30 2023-11-30 Methods for providing risk-minimizing behavior considering traffic and vehicle and road systems supporting the same method Active KR102816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1551A KR102816596B1 (en) 2023-11-30 2023-11-30 Methods for providing risk-minimizing behavior considering traffic and vehicle and road systems supporting the sam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1551A KR102816596B1 (en) 2023-11-30 2023-11-30 Methods for providing risk-minimizing behavior considering traffic and vehicle and road systems supporting the sam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816596B1 true KR102816596B1 (en) 2025-06-04

Family

ID=9601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1551A Active KR102816596B1 (en) 2023-11-30 2023-11-30 Methods for providing risk-minimizing behavior considering traffic and vehicle and road systems supporting the sam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1659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6285A (en) * 2015-04-03 2016-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Travel controlling device and travel controlling method
JP2020125976A (en) * 2019-02-05 2020-08-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management system, vehicle management device, and vehicle management method
JP7237109B2 (en) * 2021-05-07 2023-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and vehicle driving support method
KR20230053294A (en) * 2021-10-14 2023-04-21 한국자동차연구원 System for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on minimal risk cond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6285A (en) * 2015-04-03 2016-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Travel controlling device and travel controlling method
JP2020125976A (en) * 2019-02-05 2020-08-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management system, vehicle management device, and vehicle management method
JP7237109B2 (en) * 2021-05-07 2023-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and vehicle driving support method
KR20230053294A (en) * 2021-10-14 2023-04-21 한국자동차연구원 System for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on minimal risk cond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3035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10783789B2 (en) Lane change estimation device, lane change estim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024176B2 (en)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304333B2 (en) Method an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for determining a driving intention for a vehicle
US11225249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498577B2 (en) Behavior prediction device
JP6885462B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US20180056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Vehicle Path Planning Technical Field
US20220314968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20180173236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program
CN112660156A (en) Vehicle control system
US116577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US20140358841A1 (en) Vehicle behavior prediction device and vehicle behavior prediction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KR201900148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driving route of a vehicle based on a emergency vehicle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US20120078498A1 (en) Vehicular peripheral surveillance device
US20230174106A1 (en) Path checking device and path checking method
JP4877364B2 (en) Object detection device
WO2017126250A1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evice
CN110562222B (en) Emergency braking control method for curve scene, vehicle-mounte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042160B2 (en) Autonomous driving trajectory determination device
US12036978B2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US20220281482A1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10599790B (en) Method for intelligent driving vehicle to get on and stop, vehicle-mounte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0115516A1 (en) Travel assistance method and travel assistance device
US20230166767A1 (en) Path checking device, path checking method and vehicle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