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19350B1 - Cable connector and connec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ble connector and connec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19350B1 KR102819350B1 KR1020240056449A KR20240056449A KR102819350B1 KR 102819350 B1 KR102819350 B1 KR 102819350B1 KR 1020240056449 A KR1020240056449 A KR 1020240056449A KR 20240056449 A KR20240056449 A KR 20240056449A KR 102819350 B1 KR102819350 B1 KR 102819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ed
- communication frame
- release
- separation
- cable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통신 케이블이 관통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통신 프레임; 통신 프레임의 일측면에 조립되며, 통신 프레임에 의해 장력을 형성하는 결속 해제부; 결속 해제부의 일측면에 조립되어 결속 해제부를 따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속 해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분리 방지부; 및 통신 프레임의 정면에 조립되어 결속 해제부와 결속되며, 분리 방지부가 결속 해제부와 결속이 해제되면 소켓 및 통신 프레임이 분리되도록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안한다.The present embodiments propose a cable connector including a communication frame implemented to allow a communication cable to pass through; a release member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forming tension by the communication frame;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release member and implemented to be detachable from the release member by moving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release member; and a lever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engaged with the release member, the lever moving to separate a socket and the communication frame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is engaged with the release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or and a conn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종래의 랜 케이블은 RJ45 규격의 케이블 커넥터를 양단에 갖는 패치 코드부로, 주로 네트워크 통신선으로 사용된다. 케이블 양단의 케이블 커넥터는 소켓에 결속할 수 있는 걸쇠 구조를 형성하며, 케이블 커넥터 상단의 누름 구조물을 눌러 소켓으로부터 케이블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다.Conventional LAN cables are patch cords with RJ45 standard cable connectors on both ends, and are mainly used as network communication lines. The cable connectors on both ends of the cable form a latch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a socket, and the cable connector can be separated from the socket by pressing the pressing structure on the top of the cable connector.
종래의 설치가 용이하고 재활용 가능한 RJ45 케이블 커넥터와, 분리 작업성이 향상된 패치코드부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결합구조로 RJ45 케이블 소켓과 케이블 커넥터의 구조에 의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으며, 케이블 통신장애 발생에 교체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커넥터 단자가 고밀도로 구축되어 있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아 결속해제 작업에 한계가 있고, 통신 경로에 따라 케이블이 꺾이는 경우 소켓으로부터 케이블 커넥터가 분리되는 구조상 작업에 한계가 있으며, 케이블 꺾음 방지 기구를 추가했을 때 통신 경로에 따른 케이블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Conventional RJ45 cable connectors that are easy to install and recyclable, and patch cord cable connectors with improved detachability, have the problem that they have to rely on the structure of the RJ45 cable socket and cable connector as a joining structure for cable connection, and when replacing a cable communication failure, the cable connector terminals are densely built so that they cannot be reached by the worker's hand, which limits the unbinding work, and when the cable is bent along the communication path, the structure limits the work because the cable connector is separated from the socket, and when a cable bending prevention device is added, there is a problem that cabl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ath is not eas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빠른 결속해제와 분리방지 기능을 갖는 RJ45 케이블 커넥터를 구현하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n RJ45 cable connector having quick release and anti-separation functions.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Additional, unspecifi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a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its effects.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이 관통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통신 프레임; 상기 통신 프레임의 일측면에 조립되며, 상기 통신 프레임에 의해 장력을 형성하는 결속 해제부; 상기 결속 해제부의 일측면에 조립되어 상기 결속 해제부를 따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속 해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분리 방지부; 및 상기 통신 프레임의 정면에 조립되어 상기 결속 해제부와 결속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가 상기 결속 해제부와 결속이 해제되면 소켓 및 상기 통신 프레임이 분리되도록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안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le connector is proposed, which includes a communication frame implemented so that a communication cable can pass through it; a release member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forming tension by the communication frame;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release member and implement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release member by moving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release member; and a lever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coupled with the release member, the lever moving so that a socket and the communication frame are separated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is coupled with the release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프레임은,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의 꺾임을 방지하는 코드부; 상기 코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이 위치하여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측면을 형성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가 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속 해제부를 당기는 롤러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frame comprises: a cord portion positioned at the rear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bent;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rd portion and forming a side on which the communication cable is positioned and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roller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pull the release portion as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moves toward the rear.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속 해제부는, 상기 통신 프레임의 상측에 조립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와 연결되는 결속 판; 및 상기 결속 판과 잠금 핀을 통해 조립되며, 상기 잠금 핀을 회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누름 판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release member includes a binding plate that is assemb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and a pressing plate that is assembled through the binding plate and the locking pin and is implemented so that the locking pin can be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속 판은, 상기 분리 방지부가 조립되어 고정되는 이동 홈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방지부는 상기 누름 판에 결속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 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inding plate includes a movable groove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assembled and fixed,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fixed to the movable groove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at which it is fixed to the pressing 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판은, 상기 통신 프레임에 의해 상기 잠금 핀을 기준으로 후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누름 판의 운동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바꿔 상기 통신 프레임에 형성되는 레버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ess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hang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ressing plate into a rotational direction as it moves rearwardly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in by the communication frame, thereby pressing a lever formed on the communication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판은, 상기 분리 방지부가 후면에서 조립되고, 상기 레버가 전면에서 조립되는 결속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홈은 상기 분리 방지부의 상측과 상기 레버의 하측이 서로 대응되도록 함께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essing plate includes a fastening groove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is assembled at the rear side and the lever is assembled at the front side, and the fasten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lever are fastened together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방지부는, 상기 결속 판에 고정되며, 상기 결속 판의 이동 홈을 따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하는 분리 이동부; 상기 분리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누름 판에 조립 또는 조립해제되는 방지 블록; 및 상기 분리 이동부 및 상기 방지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separation moving unit that is fixed to the binding plate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moving groove of the binding plate; a prevention block that is assembled or disassembled from the pressing pl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moving unit; and a connecting block that connects the separation moving unit and the prevention block.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지 블록은, 상기 누름 판의 결속 홈에 고정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 측이 돌출된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분리 이동부가 전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 블록이 일부 압착됨에 따라 상기 결속 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evention block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side protrudes so as to be fixable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pressing plat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as the separating moving part moves to the front and the connecting block is partially compres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는, 상기 통신 프레임의 전면에 조립되며, 상기 결속 해제부의 누름 판에 관통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ever is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implemented with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pressing plate of the release portion.
또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이 관통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통신 프레임; 상기 통신 프레임의 일측면에 조립되며, 상기 통신 프레임에 의해 장력을 형성하는 결속 해제부; 상기 결속 해제부의 일측면에 조립되어 상기 결속 해제부를 따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속 해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분리 방지부; 및 상기 통신 프레임의 정면에 조립되어 상기 결속 해제부와 결속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가 상기 결속 해제부와 결속이 해제되면 소켓 및 상기 통신 프레임이 분리되도록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및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접속 장치를 제안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nection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frame implemented so that a communication cable can pass through it; a release member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forming tension by the communication frame;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release member and implement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release member by moving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release member; and a cable connector including a lever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coupled with the release member, the lever moving so that the socket and the communication frame are separated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is coupled with the release member and is released; and a socket connected or disconnected from the cable conne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프레임은,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의 꺾임을 방지하는 코드부; 상기 코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이 위치하여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측면을 형성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가 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속 해제부를 당기는 롤러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frame comprises: a cord portion positioned at the rear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bent;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rd portion and forming a side on which the communication cable is positioned and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roller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pull the release portion as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moves toward the rear.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속 해제부는, 상기 통신 프레임의 상측에 조립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와 연결되는 결속 판; 및 상기 결속 판과 잠금 핀을 통해 조립되며, 상기 잠금 핀을 회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누름 판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release member includes a binding plate that is assemb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and a pressing plate that is assembled through the binding plate and the locking pin and is implemented so that the locking pin can be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방지부는, 상기 결속 판에 고정되며, 상기 결속 판의 이동 홈을 따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하는 분리 이동부; 상기 분리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누름 판에 조립 또는 조립해제되는 방지 블록; 및 상기 분리 이동부 및 상기 방지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separation moving unit that is fixed to the binding plate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moving groove of the binding plate; a prevention block that is assembled or disassembled from the pressing pl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moving unit; and a connecting block that connects the separation moving unit and the prevention block.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소켓으로부터 케이블 커넥터의 빠른 결속해제가 가능하며, 레버의 눌림을 방지하여 분리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quick disconnection of a cable connector from a socket and preventing pressing of the lever to perform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Even if an effect is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the effect and its provisional effect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결속 해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분리 방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결속 해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a release portion of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drawings showing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of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7 are drawings showing the release of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a meaning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all not be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particular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or and a conn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종래 기술에는 흔히 랜케이블로 불리며, RJ45 규격의 커넥터를 양단에 갖는 패치코드부로, 주로 네트워크 통신선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을 말하고, 케이블 양단의 커넥터는 소켓에 결속할 수 있는 걸쇠 구조를 갖고 있으며, 커넥터 상단의 누름구조물을 눌러 소켓으로부터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는 네트워크장비에 케이블 연결을 위한 결합구조로 RJ45 케이블 소켓과 커넥터의 구조에 의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으며, 케이블 통신장애 발생에 교체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커넥터 단자가 고밀도로 구축되어 있어 작업자의 손이 닿지않아 결속해제 작업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통신 경로에 따라 케이블이 꺾이는 경우, 소켓으로부터 커넥터가 분리되는 구조상 작업에 한계가 있었고, 케이블 꺾임 방지 기구를 추가 했을 때 통신 경로에 따른 케이블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In the prior art, it is commonly called a LAN cable, and it is a patch cord part having RJ45 standard connectors on both ends, and it refers to a cable mainly used as a network communication line, and the connectors on both ends of the cable have a latch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a socket, and the press structure on the top of the connector can be pressed to separate the connector from the socket.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RJ45 cable socket and connector cannot be relied on as a joint structure for connecting a cable to network equipment, an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replacement work due to a cable communication failure, the cable connector terminals are built at a high density and cannot be reached by the worker's hand, so there is a limit to the uncoupling work. In addition, if the cable is bent along the communication path, there is a limit to the work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or is separated from the socket, and when a cable bending prevention device is ad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cabl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ath.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10)는 빠른 결속 해제와 분리 방지 기능을 갖는 RJ45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빠른 결속 해제와 분리 방지 기능을 갖는 RJ45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 커넥터 후면에 기구물을 추가하고, 고밀도 케이블 구성에서 빠른 결속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추가된 기구물에 분리방지 구조물을 추가하여 보다 케이블링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소켓에 커넥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 통신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cabl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J45 cable having a quick release and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n RJ45 cable having a quick release and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a mechanism is added to the rear of the cable connector to enable quick release in a high-density cable configuration, and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is added to the added mechanism to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of cabling work and prevent a connector from falling out of a socket, thereby enabling smooth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10)는 고밀도 네트워크 구축 시설 중 유지보수가 빈번한 곳, 야외 데이터센터나 통신 중계소, 군용 쉘터, 열악한 환경에서 운용하는 전산 장비에 적용 가능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connector (10) can be applied to,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high-density network construction facilities where maintenance is frequent, outdoor data centers or communication relay stations, military shelters, and computer equipment operating in harsh environ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 커넥터(10)는 통신 프레임(100), 결속 해제부(200), 분리 방지부(300) 및 레버(400)를 포함한다. 케이블 커넥터(10)는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able connector (10) includes a communication frame (100), a release member (200),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00), and a lever (400). The cable connector (10) may omit some of the various component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1 or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통신 프레임(100)은 통신 케이블이 관통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frame (100) can be implemented so that a communication cable can pass through it.
통신 프레임(100)은 코드부(110), 연결부(120) 및 롤러(130)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frame (100) includes a code portion (110), a connection portion (120), and a roller (130).
코드부(110)는 후면에 위치하여 통신 케이블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케이블은 통신 프레임(100)의 내측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de section (110) is located at the rear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bent. Here, the communication cable can b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100).
연결부(120)는 코드부(110)와 연결되며, 통신 케이블이 위치하여 소켓과 연결되는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connected to the code portion (110) and can form a side where a communication cable is positioned and connected to the socket.
롤러(130)는 연결부(120)의 상측에 형성되며, 분리 방지부(300)가 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속 해제부(200)를 당길 수 있다.The roller (1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can pull the release portion (200) as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300) moves to the rear.
결속 해제부(200)는 통신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조립되며, 통신 프레임(100)에 의해 장력을 형성할 수 있다.The release member (200) is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100) and can form tension by the communication frame (100).
결속 해제부(200)는 결속 판(210) 및 누름 판(220)을 포함한다.The release member (200) includes a binding plate (210) and a pressing plate (220).
결속 판(210)은 통신 프레임(100)의 상측에 조립되며, 분리 방지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bonding plate (210) is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10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300).
결속 판(210)은 분리 방지부(300)가 조립되어 고정되는 이동 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nding plate (210) may include a movable groove (212)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00) is assembled and fixed.
분리 방지부(300)는 누름 판(220)에 결속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이동 홈(212)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00) can be fixed to the moving groove (212) considering the distance at which it is fastened to the pressing plate (220).
누름 판(220)은 결속 판(210)과 잠금 핀(230)을 통해 조립되며, 잠금 핀(230)을 회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ressing plate (220) is assembled through the binding plate (210) and the locking pin (230), and the locking pin (230) can be implemented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누름 판(220)은 통신 프레임(100)에 의해 잠금 핀(230)을 기준으로 후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 판(220)의 운동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바꿔 통신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레버(400)를 압착할 수 있다.As the pressing plate (220) moves rearward relative to the locking pin (230) by the communication frame (100),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ressing plate (220) can be changed to a rotational direction to press the lever (400) formed on the communication frame (100).
누름 판(220)은 분리 방지부(300)가 후면에서 조립되고, 레버(400)가 전면에서 조립되는 결속 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plate (220)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222) into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00) is assembled at the rear and the lever (400) is assembled at the front.
결속 홈(222)은 분리 방지부(300)의 상측과 레버(400)의 하측이 서로 대응되도록 함께 결속될 수 있다.The bonding groove (222) can be bonded together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and the lower side of the lever (400) correspond to each other.
분리 방지부(300)는 결속 해제부(200)의 일측면에 조립되어 결속 해제부(200)를 따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속 해제부(2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00) may be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member (200) and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release member (200) by moving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release member (200).
분리 방지부(300)는 분리 이동부(310), 방지 블록(320) 및 연결 블록(330)을 포함한다.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300) includes a separation moving unit (310), a prevention block (320), and a connection block (330).
분리 이동부(310)는 결속 판(210)에 고정되며, 결속 판(210)의 이동 홈(212)을 따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paration moving part (310) is fixed to the binding plate (210) and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moving groove (212) of the binding plate (210).
방지 블록(320)은 분리 이동부(310)의 이동에 따라 누름 판(220)에 조립 또는 조립해제될 수 있다.The prevention block (320) can be assembled or disassembled from the pressing plate (2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moving part (310).
방지 블록(320)은 누름 판(220)의 결속 홈(222)에 고정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 측이 돌출된 형태로 구현되며, 분리 이동부(310)가 전면으로 이동하고 연결 블록(330)이 일부 압착됨에 따라 결속 홈(222)에 고정될 수 있다.The prevention block (320)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side protrudes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222) of the pressing plate (220), and can be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222) as the separation moving part (310) moves to the front and the connecting block (330) is partially compressed.
연결 블록(330)은 분리 이동부(310) 및 방지 블록(320)을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ng block (330) can connect the separation moving part (310) and the prevention block (320).
레버(400)는 통신 프레임(100)의 정면에 조립되어 결속 해제부(200)와 결속되며, 분리 방지부(300)가 결속 해제부(200)와 결속이 해제되면 소켓 및 상기 통신 프레임이 분리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The lever (400) is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communication frame (100) and is engaged with the release member (200), and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00) is released from the release member (200), the socket and the communication frame can be moved to be separated.
레버(400)는 통신 프레임(100)의 전면에 조립되며, 결속 해제부(200)의 누름 판(220)에 관통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lever (400) is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communication frame (100) and can be implemented with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pressing plate (220) of the release portion (2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결속 해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rawing showing a release portion of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결속 해제부(200)는 결속 판(210), 누름 판(220) 및 잠금 핀(230)을 포함한다. 결속 해제부(2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elease member (200) includes a release plate (210), a pressing plate (220), and a locking pin (230). The release member (200) may omit some of the component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2 or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결속 해제부(200)는 분리 방지부(300)에 형성되는 잠금 핀이 누름 판(220) 및 레버(400) 사이에 위치하며, 누름 판(220)과 밀착하여 위치함에 따라 분리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lease member (200) has a locking pin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00)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220) and the lever (400), and can perform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by being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ing plate (220).
누름 판(220)은 요철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sing plate (220) may be implemented in a rough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결속 해제부(200)는 결속 판(210) 및 누름 판(220)이 잠금 핀(23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잠금 핀(230)을 기준으로 누름 판(220)이 롤러(130)에 의해 회전 할 수 있다.The release member (200) can be connected to a binding plate (210) and a pressing plate (220) through a locking pin (230), and the pressing plate (220) can be rotated by a roller (130) based on the locking pin (230).
결속 판(210)에 형성되는 이동 홈(212)은 분리 방지부(300)가 고정되어 분리 방지부(300)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분리 방지부(3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The moving groove (212) formed in the bonding plate (210)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is fixed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can be moved to the front or rear,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can be assembled so that it can be detached.
누름 판(220)에 형성되는 결속 홈(222)은 분리 방지부(300) 및 레버(400)가 조립될 수 있다.A bonding groove (222) formed on a pressing plate (220) can be assembl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00) and a lever (400).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분리 방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3 and 4 are drawings showing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of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리 방지부(300)는 분리 이동부(310), 방지 블록(320) 및 연결 블록(330)을 포함한다. 분리 방지부(300)는 도 3 및 도 4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300) includes a separation moving unit (310), a prevention block (320), and a connection block (330).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300) may omit some of the component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S. 3 and 4 or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분리 이동부(310)는 결속 판(210)에 고정되어, 결속 해제부(200)의 이동에 따라 분리 방지부(300)가 함께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separation moving part (310) can be fixed to the binding plate (210)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moves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binding release part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이동부(310)는 결속 판(210)의 이동 홈(212)에 조립되어 나사 체결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oving part (310) may be assembled into the moving groove (212) of the binding plate (210) and fixed in a screw fastening mann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방지 블록(320)은 적어도 일측이 돌출된 형태로 구현되어 누름 판(220)에 조립되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prevention block (320)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side protrudes, and when assembled to the pressing plate (220), movement can be restricted.
연결 블록(330)은 분리 이동부(310) 및 방지 블록(320) 사이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block (330) connects between the separation moving part (310) and the prevention block (320) and can form elasticity.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결속 해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5 to 7 are drawings showing the release of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 프레임(100)은 롤러(130)가 구비되며, 통신 케이블이 관통 가능한 연결부(120)와, 연결부(120)와 연결되어 통신 케이블(전선)의 꺾임을 방지하는 코드(110)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frame (100) is equipped with a roller (13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120) through which a communication cable can pass, and a cord (11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20)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wire) from being bent.
결속 해제부(200)는 통신 프레임(100) 및 롤러(130) 사이에 위치하며, 전면에서 레버(400)가 관통되는 구조를 형성하는 누름 판(220)을 포함한다The release member (200) is loca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frame (100) and the roller (130) and includes a pressing plate (220) that forms a structure through which a lever (400) penetrates from the front.
분리 방지부(300)는 결속 해제부(200)의 후면에서 연동되어 부착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can be attached in conjunction with the rear of the release part (200).
잠금 핀은 분리 방지부(300)에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lock pin may have a protruding structure 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300).
결속 해제부(200)의 결속 판(210)에 형성되는 이동 홈(212)에 분리 방지부(300)가 위치하며, 분리 방지부(300)의 라운드 형태의 홈은 엄지 손가락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방지부(300)를 잡고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분리 방지부(300)는 사용자의 손 또는 별도의 기구를 통해 잡고 이동시킬 수 있다.A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is positioned in a moving groove (212) formed in a binding plate (210) of a binding release part (200), and the round groov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can prevent the thumb from slipping. Specifically,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can be held and moved to the front or rear, and 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can be held and moved by the user's hand or a separate mechanism.
또한, 분리 방지부(300)를 당김에 따라 잠금 핀(230)이 누름 판(220)으로부터 1차 해제되며, 해제된 잠금 핀(230)은 기 설정된 위치에서 일부 벗어나도록 위치하게 되고, 결속 해제부(200)가 이동함에 따라 롤러(130)와 누름 판(2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소켓으로부터 커넥터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00) is pulled, the lock pin (230) is first released from the pressing plate (220), and the released lock pin (230) is positioned so as to be slightly displaced from the preset position, and as the release part (200) moves, the connector can be released from the socket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ller (130) and the pressing plate (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핀(230)은 결속 판(210) 및 누름 판(220) 사이에서 완전히 분리되거나, 또는 전면 또는 후면으로 압력을 가함에 따라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in (230) may be implemented so as to be completely separated between the binding plate (210) and the pressing plate (220), or so as to be locked or unlock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front or rea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통신 프레임(100)에 구비된 롤러(130)는 결속 해제부(200)를 당김으로써 누름 판(220)의 운동방향을 회전방향으로 바꿔 레버(400)를 누르는 기능을 실시할 수 있다.The roller (130)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frame (10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essing the lever (400)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ressing plate (220)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by pulling the release member (200).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10)는 기존 RJ45 케이블 커넥터에 롤러(130)가 구비된 통신 프레임(100)을 추가하고, 결속 해제부(200)를 당김으로 롤러(130)를 통과한 결속 해제부(200)가 장력을 형성하고, 롤러(130)에 의해 누름 판(220)이 레버(400)를 커넥터 하단으로 움직임으로서 결속 해제가 이뤄지고, 소켓으로부터 커넥터의 빠른 결속 해제가 가능하며, 그 외 분리방지 기능을 수행에 분리방지 기구로부터 형성된 잠금 핀(230)을 누름 판(220)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 커넥터의 레버(400)의 눌림을 방지하여 분리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able connector (10) adds a communication frame (100) equipped with a roller (130) to the existing RJ45 cable connector, and by pulling the release member (200), the release member (200) passing through the roller (130) forms tension, and the roller (130) causes the press plate (220) to move the lever (400) toward the bottom of the connector, thereby releasing the lock, enabling quick release of the connector from the socket, and in addition, by inserting a lock pin (230) formed from a separation prevention mechanism between the press plates (220), the lever (400) of the connector is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thereby perform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케이블 커넥터
100: 통신 프레임
200: 결속 해제부
300: 분리 방지부
400: 레버10: Cable connector
100: Communication Frame
200: Unbinding
300: Separation prevention unit
400: Lever
Claims (13)
상기 통신 프레임의 일측면에 조립되며, 상기 통신 프레임에 의해 장력을 형성하는 결속 해제부;
상기 결속 해제부의 일측면에 조립되어 상기 결속 해제부를 따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결속 해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분리 방지부; 및
상기 통신 프레임의 정면에 조립되어 상기 결속 해제부와 결속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가 상기 결속 해제부와 결속이 해제되면 소켓 및 상기 통신 프레임이 분리되도록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A communication frame implemented so that a communication cable can pass through it;
A release member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forming tension by the communication frame;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above release unit and moved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release unit, and implement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release unit; and
A cable connector comprising a lever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engaged with the release por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moving so that the socket and the communication frame are separated when the engagement with the release portion is released.
상기 통신 프레임은,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의 꺾임을 방지하는 코드부;
상기 코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이 위치하여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측면을 형성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가 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속 해제부를 당기는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mmunication frame is,
A cord section located at the rear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bent;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above code portion and forming a side where the communication cable is located and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cable connector comprising a rolle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pulling the release portion as the separation-preventing portion moves toward the rear.
상기 결속 해제부는,
상기 통신 프레임의 상측에 조립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와 연결되는 결속 판; 및
상기 결속 판과 잠금 핀을 통해 조립되며, 상기 잠금 핀을 회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누름 판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release part is,
A bonding plate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bove communication frame and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and
A cable connector comprising a pressing plate assembl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bonding plate and a locking pin, and implemented so that the locking pin can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상기 결속 판은,
상기 분리 방지부가 조립되어 고정되는 이동 홈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방지부는 상기 누름 판에 결속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 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bonding plate is,
It includes a moving groove in which the abov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assembled and fixed,
A cab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is fixed to the moving groove considering the distance fixed to the pressing plate.
상기 누름 판은,
상기 통신 프레임에 의해 상기 잠금 핀을 기준으로 후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누름 판의 운동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바꿔 상기 통신 프레임에 형성되는 레버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pressing plate,
A cab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ressing plate is changed to a rotational direction by moving rearwardly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in by the communication frame, thereby compressing a lever formed on the communication frame.
상기 누름 판은,
상기 분리 방지부가 후면에서 조립되고, 상기 레버가 전면에서 조립되는 결속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홈은 상기 분리 방지부의 상측과 상기 레버의 하측이 서로 대응되도록 함께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In paragraph 5,
The above pressing plate,
The abov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assembled at the rear, and includes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lever is assembled at the front,
A cab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bonding groove is bonded together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prevention part and the low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lever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분리 방지부는,
상기 결속 판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 해제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분리 이동부;
상기 분리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누름 판에 조립 또는 조립해제되는 방지 블록; 및
상기 분리 이동부 및 상기 방지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A separate moving part fixed to the above bonding plate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bonding release part;
A prevention block that is assembled or disassembled from the pressing pl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moving part; and
A cable connector comprising a connecting block connecting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moving part and the above-described prevention block.
상기 방지 블록은,
상기 누름 판의 결속 홈에 고정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 측이 돌출된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분리 이동부가 전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 블록이 일부 압착됨에 따라 상기 결속 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In Article 7,
The above prevention block is,
A cab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ide is implemented in a protruding form so as to be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above press plate, and the separation moving part moves to the front and the connection block is partially compressed so as to be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상기 레버는,
상기 통신 프레임의 전면에 조립되며, 상기 결속 해제부의 누름 판에 관통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lever,
A cab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embled on the front side of the above communication frame and implemented with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pressing plate of the above release section.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접속 장치.A communication frame implemented so that a communication cable can pass through it; a release member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forming tension by the communication frame;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release member and moving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release member and implement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release member; and a cable connector including a lever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communication frame and connected to the release member, and moving so that a socket and the communication frame are separated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is disconnected from the release member; and
A connecting device comprising a socke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from the above cable connector.
상기 통신 프레임은,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의 꺾임을 방지하는 코드부;
상기 코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이 위치하여 상기 소켓과 연결되는 측면을 형성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가 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속 해제부를 당기는 롤러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In Article 10,
The above communication frame is,
A cord section located at the rear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bent;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above code portion and forming a side where the communication cable is located and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connecting devic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including a roller that pulls the release portion as the separation-preventing portion moves toward the rear.
상기 결속 해제부는,
상기 통신 프레임의 상측에 조립되며, 상기 분리 방지부와 연결되는 결속 판; 및
상기 결속 판과 잠금 핀을 통해 조립되며, 상기 잠금 핀을 회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누름 판을 포함하는 접속 장치.In Article 10,
The above release part is,
A bonding plate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bove communication frame and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and
A connecting device including a pressing plate that is assembl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bonding plate and the locking pin, and is implemented so that the locking pin can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상기 분리 방지부는,
상기 결속 판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 해제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분리 이동부;
상기 분리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누름 판에 조립 또는 조립해제되는 방지 블록; 및
상기 분리 이동부 및 상기 방지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접속 장치.In Article 12,
The abov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A separate moving part fixed to the above bonding plate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bonding release part;
A prevention block that is assembled or disassembled from the pressing pl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moving part; and
A connecting device including a connecting block connecting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moving part and the above-mentioned prevention block.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056449A KR102819350B1 (en) | 2024-04-29 | 2024-04-29 | Cable connector and connec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056449A KR102819350B1 (en) | 2024-04-29 | 2024-04-29 | Cable connector and connec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819350B1 true KR102819350B1 (en) | 2025-06-10 |
Family
ID=9601195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056449A Active KR102819350B1 (en) | 2024-04-29 | 2024-04-29 | Cable connector and connec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19350B1 (en)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241766A (en) * | 1995-03-02 | 1996-09-17 | Fujitsu Ltd | Modular plug socket and communication related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
| JP2009505332A (en) * | 2005-08-08 | 2009-02-05 | ライヒル ウント デ−マッサリ アーゲー | Safety device for plugs (patch guard) |
| KR20110049903A (en) * | 2008-10-01 | 2011-05-12 |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 How to remove the connector,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
| US20110124217A1 (en) * | 2009-08-24 | 2011-05-26 | Archtech Electronics Corporation | Connector locking device |
| US8348686B1 (en) * | 2011-10-11 | 2013-01-08 | Li-Ping Huang | Plug security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or |
| US20140349506A1 (en) * | 2013-05-27 | 2014-11-27 | Bit64 Solutions Ltd. | Clip and latch substitution device for modular plugs |
| US20220368074A1 (en) * | 2011-02-08 | 2022-11-17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Rj type connector including a disengagement feature acting on the latch of the connector |
-
2024
- 2024-04-29 KR KR1020240056449A patent/KR1028193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241766A (en) * | 1995-03-02 | 1996-09-17 | Fujitsu Ltd | Modular plug socket and communication related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
| JP2009505332A (en) * | 2005-08-08 | 2009-02-05 | ライヒル ウント デ−マッサリ アーゲー | Safety device for plugs (patch guard) |
| KR20110049903A (en) * | 2008-10-01 | 2011-05-12 |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 How to remove the connector,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
| US20110124217A1 (en) * | 2009-08-24 | 2011-05-26 | Archtech Electronics Corporation | Connector locking device |
| US20220368074A1 (en) * | 2011-02-08 | 2022-11-17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Rj type connector including a disengagement feature acting on the latch of the connector |
| US8348686B1 (en) * | 2011-10-11 | 2013-01-08 | Li-Ping Huang | Plug security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or |
| US20140349506A1 (en) * | 2013-05-27 | 2014-11-27 | Bit64 Solutions Ltd. | Clip and latch substitution device for modular plug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262403B2 (en) |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 |
| DE60222732T2 (en) | Release mechanism with a pull tab and connector with such a release mechanism | |
| US8241053B2 (en) | Electrical cable with strength member | |
| US20090156043A1 (en) | Connector with an anti-unlocking system | |
| US20060094281A1 (en) | Latch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 US8961217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ntegrated latching system, strain relief, and EMI shielding | |
| CA2251743A1 (en) | Swiveling electrical connector | |
| CN102856727A (en) | Actuator for a connector | |
| US6609833B1 (en) | Latching system for connector assemblies | |
| KR102819350B1 (en) | Cable connector and connec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 CN110333577B (en) | A split crimp MPO plug | |
| US5257942A (en) | Lever-operated connector assembly | |
| US10914899B2 (en) |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optical connector | |
| CN113341506B (en) | Connector and connecting device for optical fiber | |
| JP2001110525A (en) | Connector assembly | |
| US20070093112A1 (en) | Electrical rail coupler assembly | |
| CA2211264A1 (en) | Improved suspension connector assembly for multiple pin electrical connector | |
| CN105210242B (en) | Latch link device assembly | |
| US20130337684A1 (en) | Stage Pin Connector | |
| WO2006034026A2 (en) | Electrical connector systems with latching assemblies and methods | |
| US4717353A (en) | Docking head and plate | |
| CN116845624A (en) | A rectangular electrical connector insertion and extraction tool used by astronauts outside the cabin | |
| CN111952765B (en) | Pull rope falling-off electric connector based on steel ball locking structure | |
| CN203932346U (en) | Cable joint connection in site device | |
| US20090000088A1 (en) | Mounting fixture for detachably fastening a cover plate in an aircraf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4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