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10314B1 -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10314B1
KR102810314B1 KR1020220049638A KR20220049638A KR102810314B1 KR 102810314 B1 KR102810314 B1 KR 102810314B1 KR 1020220049638 A KR1020220049638 A KR 1020220049638A KR 20220049638 A KR20220049638 A KR 20220049638A KR 102810314 B1 KR102810314 B1 KR 10281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hite
saffron
flowered
leaf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0099A (ko
Inventor
남궁우
한정흠
김유연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10314B1/ko
Publication of KR2023015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1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103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세잎쥐손이(Geranium kunthii) 추출물, 흰꽃나도사프란(Zephyrnathes candida) 추출물, 또는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 또는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은 피부색소인 멜라닌 합성속도를 결정하는 티로시나아제 효소를 억제하는 효능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Geranium kunthii and Zephyrnathes candida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of melanin hyperpigmentation}
본 발명은 큰세잎쥐손이(Geranium kunthii) 추출물, 흰꽃나도사프란(Zephyrnathes candida) 추출물, 또는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 및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이 조직은 크게 3가지, 즉, 표피, 진피, 그리고 피하조직으로 나누어진다. 사람의 피부색은 주로 피부의 표피와 진피 사이에 위치한 멜라노사이트 세포에서 형성된 멜라닌의 양 및 분포도에 따라 피부의 색이 진하고 옅게 나타난다.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세포 내에서 타이로시나아제의 효소반응으로 합성된 검은 색소인 멜라닌은 멜라노좀의 형태로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세포에서 주위의 표피 세포에 전달되고, 생성되는 검은 색소인 멜라닌의 양에 따라 검정색의 진함이 달라진다.
멜라닌은 햇빛 중 자외선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더 깊숙이 있는 세포들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면 피부 홍반, 피부병변이 심화되고 과도하고 반복적인 자외선은 피부에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나아가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 세포에서 티로신(Tyrosine)의 효소 및 비효소적 산화반응을 거쳐 생성되는데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티로시나아제 관련 단백질 1(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과 티로시나아제 관련 단백질 2(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가 알려져 있다. 또한 주요한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는 cyclic monophosphate/protein kinase A(cAMP/PKA) 경로로서, cAMP는 PKA, cAMP resposive element binding protein 1(CREB1)을 경유하여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ITF)의 발현을 촉진한다. MITF는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중요한 전사 조절 인자로 티로시나아제, 티로시나아제 관련 단백질1과 티로시나아제 관련 단백질 2의 전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효소는 조직 중에 존재하는 티로신이라고 하는 아미노산에 작용하는 도파퀴논을 생성시키며 이 도파퀴논으로부터 여러 단계의 자동 산화과정을 거쳐 흑색 색소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단계의 어느 과정 중에 작용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여러 방법으로 미백용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첫 번째로는 멜라닌 생성의 주요 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으로, 이 방법에 의한 조성물은 광 산란제 또는 광 차단제를 함유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형성/활성을 차단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두번째는 효소산(코직산), 루시놀, 에릭산 또는 알부틴과 같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멜라닌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세번째로는 도파크롬을 안정화하여 흑색 멜라닌인 유-멜라닌(Eu-Melanin)으로의 진행을 저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네 번째는 티로신이 도파와 도파크롬을 거쳐 복잡한 산화와 축합반응을 거치는 동안에, 강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여 미백효과를 낼 수 있는 비타민 C와 같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로는, 효소 또는 AHA(Alpha Hydroxy Acid)등을 사용하여, 생성된 멜라닌을 각질층에서 제거 및 환원시켜 줄 수 있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효능과 성능에 있어 자외선 차단제나 티로시나아제 저해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화장품 분야에서는 미백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아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티로시나아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처방계 중에서의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등으로 사용의 한계가 있다.
중국공개특허 제10,3641,839호
본 발명자는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되어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탁월한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재를 찾고자 120가지의 시료들을 스크리닝하던 중,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및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고, 특히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의 경우 현저히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은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발명은 인체에 안정하면서 멜라닌 억제 활성이 우수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 또는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에서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중량비는 1:5 내지 5: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 또는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침착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에서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중량비는 1:5 내지 5: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 또는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은 우수한 안전성과 더불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통하여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없이 멜라닌 색소 억제를 통한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큰세잎쥐손이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농도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농도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큰세잎쥐손이:흰꽃나도사프란(5:1) 혼합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농도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큰세잎쥐손이:흰꽃나도사프란(3:1) 혼합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농도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큰세잎쥐손이” 또는 “Geranium kunthii”란 산지에서 자라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흰꽃나도사프란” 또는 “Zephyrnathes candida”란 남아메리카 원산의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White amaryllis” 또는 “Autumn Zephyrlily”라고도 부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피부 미백"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색소 침착"은 체내에 있는 색소의 양이 비정상적인 경우 또는 색소가 나타나는 장소에 이상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기미 및 주근깨 등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멜라닌(Melanin)”은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 등 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색소 성분으로 인체 표피층의 멜라닌 세포(Melanocyte) 내의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합성되는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에 의해 티로신(Tyrosine)을 시발 물질로 하여 멜라닌이 생합성된다. 생합성된 멜라닌은 자외선과 같은 피부자극에 대해 저항력을 높여 주지만, 과도한 멜라닌 합성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과 같은 색소 침착을 일으키기 때문에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측정은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하나의 중요한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은 착즙물, 조추출물, 분획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조추출물은 큰세잎쥐손이 또는 흰꽃나도사프란을 추출용매와 접촉시켜 얻어지는 것으로서,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리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조추출물에 대하여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을 분리한 것을 말한다. 상기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은 상기 조성물 중에 큰세잎쥐손이 또는 흰꽃나도사프란의 추출물, 그의 분획물, 또는 소분획물이 각각 또는 그 혼합물로서 포함된 것일 수 있고, 단리된 화합물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소분획물은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혼합추출물"은 2종 이상의 원물의 추출물을 의미하며, 2종 이상의 원물의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과, 2종 이상의 원물을 혼합하여 함께 추출 용매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치료(treatment)”란 질병을 앓거나 또는 질병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게, 상기 개체의 상태의 개선, 질병 진행의 지연, 증상 발생의 지연 또는 증상 진행의 둔화 등을 포함한 효과를 제공하는 임의의 형태의 치료 또는 예방(prevention)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 “치료”는 증상의 발생을 예방하는, 개체의 예방적 치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료” 및 “예방”은 증상의 치유 또는 완전한 제거를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개선"은 상태의 완화 또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큰세잎쥐손이 또는 흰꽃나도사프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및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큰세잎쥐손이 또는 흰꽃나도사프란의 지상부의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로부터 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일부분은 큰세잎쥐손이의 줄기, 잎, 꽃, 꽃잎 또는 종실일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된 상기 큰세잎쥐손이의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는 분쇄 또는 세절되거나 적당하게 건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아세톤, 알콜, 예를 들면, C1-C6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또는 부틸렌글리콜 등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다.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1 내지 100(w/w)%, 예를 들면, 1 내지 99.5(w/w)%, 10 내지 100(w/w)%, 20 내지 100(w/w)%, 20 내지 80(w/w)%, 20 내지 60(w/w)%, 20 내지 40(w/w)%, 또는 30(w/w)%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도움을 받은 추출(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아임계 수추출은 초가열된 수추출(superheated water extraction) 또는 가압된 열수 추출(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HWE)라고도 한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4℃ 내지 70℃, 예를 들면, 4℃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70℃, 15℃ 내지 70℃, 20℃ 내지 70℃, 4℃ 내지 50℃, 10℃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40℃, 10℃ 내지 35℃, 또는 10℃ 내지 30℃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이 가온된 추출인 경우,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가 끓는 온도 또는 식물체로부터 원하는 성분이 추출되는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100℃ 이상, 120℃ 이상, 140℃ 이상, 160℃ 이상, 또는 20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고, 구체적인 예를 들면, 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9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에 필요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시간 내지 2개월, 예를 들면, 1시간 내지 1개월, 1시간 내지 15일, 1시간 내지 10일, 1시간 내지 5일, 1시간 내지 3일, 1시간 내지 2일, 1시간 내지 1일, 5시간 내지 1개월, 5시간 내지 15일, 5시간 내지 10일, 5시간 내지 5일, 5시간 내지 3일, 5시간 내지 2일, 5시간 내지 1일, 10시간 내지 1개월, 10시간 내지 15일, 10시간 내지 10일, 10시간 내지 5일, 10시간 내지 3일, 또는 10시간 내지 2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큰세잎쥐손이의 지상부의 전체, 그 일부분, 종실,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여물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질소건조 또는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된 이후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매로 재용매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분획물(fraction)"은 상기 큰세잎쥐손이 추출물이 그 일부의 성분으로 나누어진 물질, 즉 분획되어진 물질을 나타낸다. 상기 분획물은 용매 분획화(fractionation)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 분획화는 큰세잎쥐손이 추출물을 용매와 혼합하고 상기 용매에 존재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명백하게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분획물을 배제하는 순수 추출물로서 해석되지는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1 중량% 내지 1 중량%, %,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1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0.1 중량% 내지 2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 내지 10 중량%의 큰세잎쥐손이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상기 추출물을 유효한 양,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추출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피부노화 개선용, 항산화용 또는 항염증용인,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노화 개선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외인성 요인 또는 내인성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요인은 여러 가지 외부 요인, 예컨대 자외선(광)을 말하고 내인성 요인은 연대기적 요인이라고도 지칭되며 주로 시간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요인을 말한다. 즉, 상기 피부 노화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공해, 담배연기, 화학물질 등에 의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조기 노화 증상 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어감에 의해 피부세포의 증식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노화 현상을 포함하며 주름, 탄력 감소, 피부 쳐짐 및 건조 현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주름은 내ㆍ외부 요인의 변화에 의한 자극이 피부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변화시켜 주름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시켜 조직 중에 존재하는 티로신에 작용하는 도파퀴논의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큰세잎쥐손이 추출물과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1:100 내지 100:1, 예를 들어 1:50 내지 50:1, 1:30 내지 30:1, 1:20 내지 20:1, 1:10 내지 10:1, 1:1 내지 5:1, 1:5 내지 1:1, 1:5 내지 5:1, 1:3 내지 3:1, 또는 1:2 내지 2:1 1:1, 2:1, 3:1, 5:1, 1:2, 1:3, 1: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 2:1, 3:1, 5:1, 1:2, 1:3, 1: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2, 1:3, 1:5, 3: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젤, 앰플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의 종류는 제형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며, 통상적인 성분으로 예를 들어 물, 계면활성제, 알코올, 유분,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부형제 또는 담체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특정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 형 에멀젼, 유중수 형 에멀젼, 페이스크성 무수 생성물,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지질 소포체, 비이온성 지질 소포체,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보디오일, 수중유 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 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치크칼라, 아이브로우펜슬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마스크시트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화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큰세잎쥐손이 또는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침착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및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침착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멜라닌 색소 침착 관련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또는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멜라닌 색소 침착 관련 질환은 멜라닌 색소의 밸런스가 균형을 잃고 멜라닌이 피부에 과다 침착하여 발생되는 질환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멜라닌 세포에서 생산되는 멜라닌은 UV를 흡수하는 역할을 통해 피부세포를 UV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멜라닌형성(melanogenesis)이 과도하게 진행이 되면 기미, 주근깨, 일광흑색증, 노인성 색소반, 흑색종과 같이 다양한 과색소침착증(hyperpigmentary disorder)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펩티드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항암 활성을 갖는 공지의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일 수 있다. 상기 고형 제제는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는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제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탈크와 같은 윤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 상기 액상 제제는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제제는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또는 및 좌제일 수 있다.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제는 식물성 기름 또는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성 기름은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올리브 오일일 수 있다.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에틸올레이트일 수 있다. 좌제의 기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또는 글리세로젤라틴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유도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예를 들면, 약 0.0001 ㎎/㎏ 내지 약 100 ㎎/㎏, 또는 약 0.001 ㎎/㎏ 내지 약 100 ㎎/㎏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24회, 2일 내지 1주에 1 내지 7회, 또는 1개월 내지 12개월에 1 내지 24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유도체,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0.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미용 개선, 예를 들어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염증 억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당 일당 0.1 ㎎ 내지 1,000 ㎎, 예를 들면, 0.1 ㎎ 내지 500 ㎎, 0.1 ㎎ 내지 100 ㎎, 0.1 ㎎ 내지 50 ㎎, 0.1 ㎎ 내지 25 ㎎, 1 ㎎ 내지 1,000 ㎎, 1 ㎎ 내지 500 ㎎, 1 ㎎ 내지 100 ㎎, 1 ㎎ 내지 50 ㎎, 1 ㎎ 내지 25 ㎎, 5 ㎎ 내지 1,000 ㎎, 5 ㎎ 내지 500 ㎎, 5 ㎎ 내지 100 ㎎, 5㎎ 내지 50 ㎎, 5 ㎎ 내지 25 ㎎, 10 ㎎ 내지 1,000 ㎎, 10 ㎎ 내지 500 ㎎, 10 ㎎ 내지 100 ㎎, 10 ㎎ 내지50 ㎎, 또는 10 ㎎ 내지 25 ㎎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유제,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등의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젤리,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의 임의의 건강식품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제제화를 위해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 각종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큰세잎쥐손이(Geranium kunthii) 또는 흰꽃나도사프란(Zephyrnathes candida)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실시예 1. 생약 추출물의 제조
큰세잎쥐손이(Geranium kunthii) 및 흰꽃나도사프란(Zephyranthes candida) 각각 100 g을 95 % 에탄올 1000 ㎖에 상온에서 7일동안 침적하여 추출한 후,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1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추출여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로 감압 농축 건조하여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 개별추출물, 및 상기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료 흰꽃나도샤프란 큰세잎쥐손이
혼합추출물 1 1 1
혼합추출물 2 1 2
혼합추출물 3 1 3
혼합추출물 4 1 5
혼합추출물 5 2 1
혼합추출물 6 3 1
혼합추출물 7 5 1
실시예 2. 티로시나아제의 억제 활성 측정
우선, 1 M, pH 6.8 인산염완충액(phosphate buffer, PB) 50mL을 L-DOPA 20 mg에 혼합하여 2 mM L-DOPA 용액을 제조하였다. 96-웰 플레이트를 준비하고, 블랭크(Blank)에는 DMSO 2 μl, PB 160 μl, 음성 대조군에는 DMSO 2 μl, PB 120 μl, 및 나머지 well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개별추출물 또는 혼합추출물 시료를 각각 2 μl, PB 120 μl 첨가하였다. 그 다음, 티로시나아제 1 ml에 PB 9 ml를 혼합하고 블랭크를 제외한 모든 웰에 40 μl씩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2 mM L-DOPA 용액을 40 μl씩 모든 웰에 분주하여 37℃에서 10 분간 반응시킨 후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양성대조군으로서 Arbutin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 1-(각 시료 흡광도/음성대조군의 흡광도)x100
시료 IC50 (μg/ml)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97.8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 92.0
혼합추출물 1(큰:흰=1:1) 97.9
혼합추출물 2(큰:흰=2:1) 88.9
혼합추출물 3(큰:흰=3:1) 85.3
혼합추출물 4(큰:흰=5:1) 82.6
혼합추출물 5(큰:흰=1:2) (100 이상)
혼합추출물 6(큰:흰=1:3) (100 이상)
혼합추출물 7(큰:흰=1:5) 92.2
Arbutin (200 이상)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 및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 혼합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은 모두 알부틴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개별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이 3: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추출물의 경우 IC50가 52.7μg/ml로서 가장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세포독성 평가
24-웰 플레이트에 RAW 264.7 cell을 20*104 cells/ml의 농도로 시딩하고, 50, 25, 12.5, 6.25, 3.125 μg/ml로 희석한 시료들을 각 웰에 2.5 μl씩 첨가한 후, 37℃, 5% CO2 배양기로 24 내지 72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다. 그 다음, 페놀레드가 없는 새로운 배지로 바꾸어 주고, 바로 Premix WST-1을 웰 당 10 μl씩 첨가해 37℃, 5% CO2 배양기로 1 내지 4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을 한 뒤 흡광도를 측정하기 전에 1분정도 섞어준 후 96 웰 플레이트로 옮겨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큰세잎쥐손이(CC50 > 50 μg/ml) 추출물(도 1)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흰꽃나도사프란(CC50 = 23.3 μg/ml) 추출물(도 2)에서는 세포독성이 확인되었으나, 큰세잎쥐손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에서는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에서 나타났던 세포독성이 50 μg/ml 이상에서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 또는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에서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중량비는 1:5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큰세잎쥐손이 추출물, 흰꽃나도사프란 추출물, 또는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침착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에서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노사프란의 중량비는 1:5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색소 침착 관련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또는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20049638A 2022-04-21 2022-04-21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ctive KR10281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638A KR102810314B1 (ko) 2022-04-21 2022-04-21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638A KR102810314B1 (ko) 2022-04-21 2022-04-21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099A KR20230150099A (ko) 2023-10-30
KR102810314B1 true KR102810314B1 (ko) 2025-05-26

Family

ID=8855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638A Active KR102810314B1 (ko) 2022-04-21 2022-04-21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103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7988A (ja) 2015-01-09 2015-06-11 Fontec R&D株式会社 ゲンノショウコ組成物の製造方法
CN111467294A (zh) 2020-05-28 2020-07-31 海南武国中医生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美白淡斑清洁皮肤的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1839A (en) 1970-02-05 1972-02-15 Houdaille Industries Inc Viscous torsional vibration damp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7988A (ja) 2015-01-09 2015-06-11 Fontec R&D株式会社 ゲンノショウコ組成物の製造方法
CN111467294A (zh) 2020-05-28 2020-07-31 海南武国中医生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美白淡斑清洁皮肤的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2 :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8. NO. 1 PP. 72~76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099A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2126840B1 (ko) 무궁화 꽃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무궁화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조성물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047588A (ko) 큰도꼬마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91499B1 (ko)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01305B1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18472B1 (ko) 개싱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810314B1 (ko)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76933B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89209B1 (ko) 구아이아콜, 피톨 및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136753A (ko) 박태기나무 또는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30026580A (ko) 천연물 유래 나노소포체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80078588A (ko) 배향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738007B1 (ko) 화이트 트러플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789765B1 (ko) 구기자 잎의 생물전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777268B1 (ko) 진득찰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33432B1 (ko) 싱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6131B1 (ko) 인삼 및 뽕나무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840764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468186B1 (ko) 벌노랑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90429B1 (ko) 필로둘신(Phyllodulc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또는 모발의 멜라닌 색소 조절용 조성물
KR102229943B1 (ko) 마에루아 에둘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72742B1 (ko) 서향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2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