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13497B1 - Ultrasonic Generator with Human body damage prevention fuction utilizing acceleration sensor - Google Patents
Ultrasonic Generator with Human body damage prevention fuction utilizing acceleration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13497B1 KR102813497B1 KR1020250040951A KR20250040951A KR102813497B1 KR 102813497 B1 KR102813497 B1 KR 102813497B1 KR 1020250040951 A KR1020250040951 A KR 1020250040951A KR 20250040951 A KR20250040951 A KR 20250040951A KR 102813497 B1 KR102813497 B1 KR 102813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eleration
- calculation value
- control unit
- ultrasonic generator
- acceleration calcul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4—Acceleration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5—Beam steering by modifying an excitation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는,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발생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하는 헤드캡; 상기 헤드캡 또는 상기 헤드캡 근처에 위치되어,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데이터는 설정시간(t)마다 측정된 x,y,z축 가속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시간(t)마다 서로 상이한 값인 제1가속도 계산값 및 제2가속도 계산값을 순차적으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주기(T)별로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에 기초하여, 서로 상이한 제3가속도 계산값 및 제4가속도 계산값을 순차적으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이 설정값보다 크지 않으면 사용자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human body damage by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which is used while being held by a user's hand, comprises: an ultrasonic generator which generates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a head cap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transmits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to the user's skin; an acceleration sensor which is located at or near the head cap and measures acceleration data;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or receives the acceleration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wherein the acceleration data includes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measured at each set time (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acceleration data and sequentially calculates a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a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which are different values at each set time (t), and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calculates a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a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t each set period (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user movement if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not greater than a set value and outputs a notification.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examples below relate to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human body damage prevention function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일반적으로 초음파 마사지기는 초음파를 이용해 피부 속 깊은 조직을 자극하여 근육, 관절 등의 통증을 완화하는 기기를 말한다. 초음파는 조직 내 미세한 진동을 유도하여 열 효과 및 미세한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근육 이완, 염증 완화, 혈액순환 촉진, 관절 건강 개선, 부종 감소 등을 가능하게 한다.In general, an ultrasonic massager is a device that uses ultrasonic waves to stimulate deep tissues under the skin to relieve pain in muscles, joints, etc. Ultrasonic waves induce microscopic vibrations in the tissues, providing a thermal effect and a microscopic massage effect, which allows muscle relaxation, inflammation relief, blood circulation promotion, joint health improvement, and swelling reduction.
이러한 초음파 마사지기는 최근 현대인의 만성 질환이라고 할 수 있는 거북목, 근육통 등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관절염, 오십견 등 관절 기능이 떨어지는 노인 인구에게도 도움이 되며, 격렬한 운동 후 근육 피로도를 회복해야 할 필요가 있는 운동선수들에게도 효과적이다.These ultrasonic massagers are not only effective for chronic diseases of modern people such as turtle neck and muscle pain, but are also helpful for the elderly with decreased joint function due to arthritis and frozen shoulder, and are also effective for athletes who need to recover from muscle fatigue after intense exercise.
최근에는 가정용 초음파 마사지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어, 물리 치료 센터를 가기 바쁜 사람들에게 편리한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Recently, many home ultrasonic massagers have been developed, providing convenient massage effects to people who are busy going to physical therapy centers.
다만, 가정용 초음파 마사지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초음파 마사지에 대한 전문지식 및 사용법 숙지 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몇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가정용에서 적용되는 저강도 집속 초음파(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가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성이 높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같은 부위에 초음파를 조사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users of home ultrasonic massagers may have some problems because they have low levels of expertise and familiarity with ultrasonic massage. Even though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applied at home is safe and does not damage tissues,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if ultrasound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ame area.
예를 들어, 같은 부위에 초음파를 장시간 조사할 경우 미세한 온도 상승이 발생하여, 국소적인 미세 염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과도할 경우 세포 대사가 비정상적으로 변할 위험이 있다. 또한, 특정 부위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는 경우 신경 과흥분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근육 경련이 유발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ultrasound is applied to the same area for a long time, a slight temperature increase may occur, which may cause local micro-inflammation, and if excessive, there is a risk that cell metabolism may change abnormally. In addition, if a specific area is continuously stimulated, it may cause a state of nerve hyperexcitation and abnormal muscle spasms.
가정용 초음파 마사지기의 이용 시 주의사항에 대해 고지하는 것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실수 또는 미숙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정용 초음파 마사지기 자체에 특정 부위에 초음파가 지속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탑재할 필요성이 있다.In addition to notifying precautions when using home ultrasonic massagers, it is necessary to install technology in the home ultrasonic massager itself to prevent problems from occurring due to user error or inexperience.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한 부위에 일정 시간 이상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embodiments aim to provide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human body damage prevention function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that prevents a user from irradiating one area with ultrasonic wav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한 부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uses an acceleration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no movement of the user in a certain area.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한 부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하여 인체 손상을 방지하는,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outputs a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user in one area,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는,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발생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하는 헤드캡; 상기 헤드캡 또는 상기 헤드캡 근처에 위치되어,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데이터는 설정시간(t)마다 측정된 x,y,z축 가속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시간(t)마다 서로 상이한 값인 제1가속도 계산값 및 제2가속도 계산값을 순차적으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주기(T)별로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에 기초하여, 서로 상이한 제3가속도 계산값 및 제4가속도 계산값을 순차적으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이 설정값보다 크지 않으면 사용자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damage to a human body by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which is used while being held by a user's hand, comprises: an ultrasonic generator which generates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a head cap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transmits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to the user's skin; an acceleration sensor which is located at or near the head cap and measures acceleration data;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or receives the acceleration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wherein the acceleration data includes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measured at each set time (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acceleration data and sequentially calculates a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a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which are different values at each set time (t), and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calculates a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a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t each set period (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user movement if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not greater than a set value and outputs a notification.
또한, 상기 설정주기(T)는 상기 설정시간(t)마다 설정횟수(N)만큼 측정된 기간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시간(t)마다 측정된 측정횟수를 누적하여 계산하고, 상기 누적된 측정횟수가 상기 설정횟수와 같으면, 상기 측정횟수를 리셋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tting period (T) is a period measured for a setting number of times (N) for each setting time (t), and the control unit calculates by accumulating the number of measurements measured for each setting time (t), and if the accumulated number of measurements is equal to the setting number of measurements, the number of measurements can be reset.
또한,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은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계산한, x,y,z축 가가속도 값이고,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을 기초로 추출된, x,y,z축 가가속도 값의 최소값 및 최대값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적된 측정횟수가 상기 설정횟수와 같으며,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을 기초로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 및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을 계산하고,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 및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은 상기 설정주기(T)동안 최종적으로 추출된 값이고,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은, x,y,z축별 x,y,z축 가가속도 값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차이값(dx,dy,dz)이고,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은, x,y,z축별 상기 차이값(dx,dy,dz)을 각각 제곱하여 합산한 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is an x-, y-, and z-axis jerk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acceleration data,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is a minimum value and a maximum value of x-, y-, and z-axis jerk values extracted based on the first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and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based on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the accumulated number of measurements is equal to the set number of times,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and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are values finally extracted during the set period (T),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is a difference value (dx, dy, dz) betwee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x-, y-, and z-axis jerk values for each of the x-, y-, and z-axes, and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ed value may be a value obtained by squaring and adding the difference values (dx, dy, dz) for each of the x-, y-, and z-axe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이 반복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반복된 알림 중 최초 알림 출력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경과된 시간이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초음파를 발생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notification is being repeated, it determines whether the elapsed time from the time of the first notification output among the repeated notifications exceeds a threshold tim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ultrasonic generator to stop generating ultrasonic waves.
또한, 초음파 발생 강도 및 시간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초음파 발생 강도에 따라 상기 초음파 발생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초음파 발생 강도별로 상기 설정시간(t), 상기 설정횟수(N), 상기 설정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ultrasonic generation intensity and tim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input ultrasonic generation intensity, and the control unit can set at least one of the set time (t), the set number of times (N), and the set valu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put ultrasonic generation intens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 부위에 지속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 또는 사용법 숙지 미숙으로 인한 인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a user from continuously irradiating one area with ultrasound, damage to the human body due to user error or lack of familiarity with the usage method can be prevented.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는지 없는지를 유의미하게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by utilizing the accelera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meaningfully detect whether the user is moving or not.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lert the user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moving.
또한, 사용자가 경고를 인지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한 부위에 초음파를 조사하더라도,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초음파 발생을 중단함으로써, 사용자의 대응 없이도 인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warning and continues to apply ultrasound to one area, damage to the human body can be prevented without the user's response by stopping the generation of ultrasou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사용자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지속적으로 사용자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때의 플로우 챠트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of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FIG. 4 i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moving in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 char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ontinuous user movement in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rights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such terms should be constru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describing an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illustra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the terms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singular, it includes a case where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there is a specifically explicit description.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When describ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 'upper ~', 'lower ~', 'next to ~', etc.,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right' or 'directly' is used.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When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or layer, this includes both cases where the other element is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element or layer, or where there are other layers or elem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The individual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1)는,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연결되는 헤드부(15)와, 상기 헤드부(15)에 장착되는 헤드캡(17)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n ultrasonic generato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art (10) that can be held by a user, a head part (15)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10), and a head cap (17) mounted on the head part (15).
이 때, 일예로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헤드부(15)는 일체형일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15)는 상기 헤드캡(17)이 장착되는 일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e body part (10) and the head part (15) may be integral, and the head part (15) may mean an area where the head cap (17) is mounted.
다른 예로, 상기 헤드부(15)는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head portion (15) may be in a form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부(40)는 상기 헤드캡(17)의 내부에 위치되는 초음파 발생소자(41, 미도시)와, 초음파 발생을 위한 초음파 회로부(43,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ultrasonic gen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generator (40) that generates ultrasonic waves. The ultrasonic generator (40) may include an ultrasonic generator element (41,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head cap (17) and an ultrasonic circuit (43, not shown) for generating ultrasonic waves.
상기 초음파 회로부(43)로부터 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초음파 발생소자(41)를 통해서 상기 헤드캡(17) 쪽으로 설정 강도의 초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헤드캡(17)을 통해, 사용자는 초음파를 전달받을 수 있다.When current is input from the above ultrasonic circuit (43), ultrasonic waves of a set intensity can be generated toward the head cap (17) through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41). That is, the user can receive ultrasonic waves through the head cap (17)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일 예로, 상기 초음파 발생소자(41)는 세라믹 진동소자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ultrasonic generator (41) may be a ceramic vibration element.
일 예로, 상기 헤드캡(17)은 금속 소재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d cap (17) may be made of metal.
초음파는 고속 진동을 통해 근육 속 깊은 곳까지 침투가 가능하며, 세포 조직을 마사지 하고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준다.Ultrasound can penetrate deep into the muscles through high-speed vibrations, massaging cell tissue and improving blood circu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초음파 발생장치(1)에서 발생하는 초음파는 저강도 집속 초음파(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로, 낮은 강도의 초음파를 전달하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하게 깊은 조직까지 초음파가 도달할 수 있으며, 조직을 가열하거나 파괴하지 않고 생리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sound generated from the ultrasound generator (1) is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and because it transmits low-intensity ultrasound, the ultrasound can safely reach deep tissues in the human body and induce physiological responses without heating or destroying the tissues.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1)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40)의 구동을 제어하고 후술할 센싱부(5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2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30)와, 센싱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gen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2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40) and processes data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a battery unit (30) that supplies power, and a sensing unit (50).
상기 센싱부(5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가속도 센서(510)에서 측정된 가속도 값을 수집할 수 있다.The above sensing unit (5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510) for determining the user's movement. The control unit (20) may collect the acceleration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510).
상기 가속도 센서(510)는 3축 센서일 수 있다. 즉, 상기 가속도 센서(510)는 x,y,z축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above acceleration sensor (510) may be a three-axis sensor. That is, the acceleration sensor (510) may measure x, y, and z-axis acceleration.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1)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60)와, 사용자에게 알림 또는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ultrasonic gen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60) for user input and an output unit (70)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or alarm to the user.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60)를 통해 원하는 초음파 발생 강도 및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the desired ultrasonic wave generation intensity and time through the input unit (60).
상기 입력부(60)는 사용자가 원하는 초음파 발생 강도 및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부(610)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입력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input unit (60) may include a button unit (610) for inputting the intensity and time of ultrasonic gener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a voice input unit (620) for inputting the user's voice.
일 예로, 상기 버튼부(610)는 전원버튼부, 모드버튼부, 시간버튼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tton section (610) may include a power button section, a mode button section, a time button section, etc.
또한, 상기 출력부(70)는 사용자에게 알림 또는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부(710)를 통해 알림 또는 알람을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판단 조건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710)를 통해 알림 또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알람은 설정된 소리 알람일 수 있으며, 상기 알림은 기 녹음된 음성 알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70) may include a speaker unit (710)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or alarm to the user. The user may receive a notification or alarm through the speaker unit (710). That is, the control unit (20) may control the speaker unit (710) to output a notification or alarm signal according to a judgment condition. For example, the alarm may be a set sound alarm, and the notification may be a pre-recorded voice notification.
또한, 상기 출력부(70)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알림을 하기 위한 진동출력부(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output unit (720) for notifying the user of vibration.
또한, 상기 출력부(70)는 LED를 출력하는 LED 출력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강도를 알려주기 위해 설정된 색상의 LED를 출력하도록 상기 LED 출력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n LED output unit (730) that outputs an L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LED output unit (730) to output an LED of a set color to indicate the intensity of ultrasonic waves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40).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70)는 사용자에게 경고를 제공하기 위해, 설정된 색상의 LED를 출력하도록 상기 LED 출력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LED output unit (730) to output an LED of a set color to provide a warning to the user.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는 통신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신부(80)를 통해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gen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8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may communicate wirelessly with a user terminal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80).
다른 예로, 상기 통신부(80)를 통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센싱부(5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data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8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사용자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플로우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지속적으로 사용자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때의 플로우 챠트이다.FIG. 4 is a flow chart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user movement in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 chart for determining when there is no continuous user movement in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가속도 센서(510)에서 측정된 가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control unit (20) can determine the user's movement based on acceleration data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510).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장치(1)에서 발생하는 초음파는 저강도 집속 초음파(LIFU,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이며, 초음파를 특정 조직에 집중적으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혈액순환 개선, 근육 이완 및 염증 완화, 통증 완화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At this time, the ultrasound generated from the ultrasound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LIFU), and can bring about effects such as improved blood circulation, muscle relaxation, inflammation relief, and pain relief by intensively transmitting ultrasound to a specific tissue.
상기 저강도 집속 초음파는 비침습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초음파이나, 지속적으로 같은 부위에 초음파를 조사할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같은 부위에 과도하게 오래 초음파를 초사하는지 추적할 필요가 있다.The above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is a non-invasive and highly safe ultrasound, but if ultrasound is continuously irradiated to the same area, i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so it is necessary to track whether the user is irradiating the same area with ultrasound for an excessively long tim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510)를 통해 측정한 가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가속도 계산값을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check whether the user is moving by calculating an acceleration value based on acceleration data measur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510).
일예로, 상기 가속도 센서(510)는 상기 헤드캡(17) 또는 상기 헤드캡(17)의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510)는 상기 헤드캡(17)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헤드부(15)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cceleration sensor (510) may be located on or near the head cap (17). The acceleration sensor (510) may be located inside the head cap (17) or on the head portion (15).
다른 예로, 상기 가속도 센서(510)는 상기 바디부(10)의 내부 중, 상기 헤드부(15) 또는 상기 헤드캡(17)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cceleration sensor (510) may be located at a location within the body (10) close to the head (15) or the head cap (17).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에 대해 너무 예민하게 판단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사용자의 초음파 발생 장치(1)의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판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movement of the user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moving. However, if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user is moving is made too sensitively,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using the ultrasonic generator (1), so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an appropriate determination.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가속도 센서(510)에서 측정한 가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가속도 계산값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고 알림을 출력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Below, an algorithm is described that calculates an acceleration value based on acceleration data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510) by the control unit (2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and output a notification.
상기 가속도 센서(510)는 설정시간(t)마다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S10).The above acceleration sensor (510) can measure acceleration data at set times (t) (S10).
이 때, 상기 가속도 센서(510)에서 측정하는 가속도 데이터는 x,y,z축 가속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cceleration data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510) may include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일 예로, 상기 설정시간(t)은 0.1s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 setting time (t) may be 0.1 s.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가속도 센서(510)에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할 때마다 측정횟수를 1씩 증가시킬 수 있다(S11). 이 때, 상기 측정횟수는 설정된 주기(T)동안 갱신되면서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S11단계에서 증가된 측정횟수를 측정횟수 업데이트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20) can increase the number of measurements by 1 each time the acceleration sensor (510) measures the acceleration data (S11). At this time, the number of measurements can be temporarily stored while being updated during a set period (T). The increased number of measurements in step S11 can be defined as the number of measurements update value.
또한, 상기 측정횟수는 리셋되기 전까지 갱신되면서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bove measurement count can be temporarily stored and updated until it is reset.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가속도 센서(510)에서 측정되는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2). 이 때, 상기 가속도 데이터는 설정시간(t)마다 측정된 x,y,z축 가속도 값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설정주기(T)동안 측정된 x,y,z축 가속도 값을 누적하여 수집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20) can collect the acceleration data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510) (S12). At this time, the acceleration data can be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measured at each set time (t). That is, the control unit (20) can accumulate and collect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measured during the set period (T).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수집된 가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제1가속도 계산값을 계산할 수 있다(S13). 이 때,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은 x,y,z축 가가속도 값일 수 있다. 가가속도는 시간에 따른 가속도 변화량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can calculate a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based on the collected acceleration data (S13). At this time, the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can be an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 The acceleration can mean the amount of acceleration change over time.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을 기초로 제2가속도 계산값을 추출할 수 있다(S14). 이 때,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x,y,z축 가가속도 값의 최소값(min), 최대값(max)을 추출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20) can extract a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based on the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S14). At this time,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can mean a value obtained by extracting the minimum value (min) and maximum value (max) of the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설정시간(t)마다 계산되는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20) can update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based on the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calculated for each set time (t).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직전에 추출된 제2가속도 계산값과, 새로 계산된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을 비교하여 추출된 값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새로 계산된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직전에 추출된 제2가속도 계산값이 수정(갱신)된 값일 수 있다.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be a value extracted by comparing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extracted just before with the newly calculated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n other words,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be a value in which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extracted just before is modified (updated) based on the size of the newly calculated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0)는 직전에 추출된 x,y,z축 가가속도 값의 최소값(min), 최대값(max)과, 새로 계산된 x,y,z축 가가속도 값을 축 별로 비교하여, 새로 계산된 x,y,z축 가가속도 값이 더 작거나 크면 x,y,z축 가가속도 값의 최소값(min), 최대값(max) 중 어느 하나를 수정(갱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minimum value (min) and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previously extracted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with the newly calculated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for each axis, and if the newly calculated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are smaller or larger, one of the minimum value (min) and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can be modified (updated).
여기서, 직전은 현재 시점보다 설정시간(t) 이전의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Here, immediately before can mean a point in time before a set time (t) from the current point in time.
또한,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상기 측정횟수가 리셋될 때, 함께 리셋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이 계산된 설정주기(T)동안에만 유효한 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be reset together when the number of measurements is reset. That is,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be a valid value only during the set period (T) during which the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calculated.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측정횟수가 설정횟수(N)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15).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0)는 S11단계에의 측정횟수 업데이트값이 설정횟수(N)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15).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can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of measurements is equal to the set number of measurements (N) (S15).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can determine whether the update value of the number of measurements in step S11 is equal to the set number of measurements (N) (S15).
상기 측정횟수 업데이트값이 상기 설정횟수(N)와 동일하지 않다면, 상기 제어부(20)는 이전 단계(S10-S14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측정횟수 업데이트값이 상기 설정횟수(N)와 동일하지 않다면, 상기 제1,2 가속도 계산값을 설정시간(t)마다 계산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If the above measurement count update value is not equal to the set count (N), the control unit (20) can repeat the previous step (steps S10-S14). That is, if the above measurement count update value is not equal to the set count (N), the control unit (20) can repeat calculating the first and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s at each set time (t).
상기 측정횟수 업데이트값이 상기 설정횟수(N)와 동일하다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측정횟수 업데이트 값을 리셋할 수 있다(S15).If the above measurement count update value is equal to the above setting count (N), the control unit (20) can reset the measurement count update value (S15).
이 때, 상기 측정횟수 업데이트값은 설정주기(T) 동안 누적된 측정횟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설정시간(t)마다 측정된 측정횟수를 누적하여 계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asurement count update value may be the accumulated measurement count during the set period (T). The control unit (20) may calculate the accumulated measurement count measured for each set time (t).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을 기초로, 제3가속도 계산값을 계산하고,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을 기초로 제4가속도 계산값을 계산할 수 있다(S17).The above control unit (20) can calculate a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based on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can calculate a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based on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S17).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x,y,z축별 제2가속도 계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제2 x축 가속도 계산값, 제2 y축 가속도 계산값, 제2 z축 가속도 계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x,y,z축별 제2가속도 계산값은 x,y,z축 별 가가속도의 최소값(min), 최대값(max)을 의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include a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include a second x-axis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 second y-axis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a second z-axis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n this case,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may mean a minimum value (min) and a maximum value (max) of the acceleration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설정주기(T)동안 최종적으로 추출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설정주기(T)는 설정시간(t)과 설정횟수(N)를 곱한 값일 수 있다.The abov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be a value finally extracted during a setting period (T). The above setting period (T) may be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setting time (t) and a setting number (N).
마찬가지로,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은 x,y,z축별 제3 가속도 계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은 제3 x축 가속도 계산값, 제3 y축 가속도 계산값, 제3 z축 가속도 계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x,y,z축별 제3가속도 계산값은 x,y,z축 별 가가속도의 최소값(min) 및 최대값(max)의 차이값을 의미할 수 있다.Likewise,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include a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include a third x-axis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 third y-axis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a third z-axis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n this case,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may mean a difference value between a minimum value (min) and a maximum value (max) of the acceleration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즉, 제3 x축 가속도 계산값(dx)은 제2 x축 가가속도의 최대값(max)에서 제2 x축 가가속도의 최소값(min)을 뺀 값이며, 제3 y축 가속도 계산값(dy)은 제2 y축 가가속도의 최대값(max)에서 제2 y축 가가속도의 최소값(min)을 뺀 값이며, 제3 z축 가속도 계산값(dz)은 제2 z축 가가속도의 최대값(max)에서 제2 z축 가가속도의 최소값(min)을 뺀 차이값이다.That is, the third x-axis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dx) is the differen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minimum value (min) of the second x-axis acceleration from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second x-axis acceleration, the third y-axis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dy) is the differen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minimum value (min) of the second y-axis acceleration from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second y-axis acceleration, and the third z-axis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dz) is the differen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minimum value (min) of the second z-axis acceleration from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second z-axis acceleration.
따라서,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은, x,y,z축별 x,y,z축 가가속도 값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차이값(dx,dy,dz)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be the difference (dx, dy, dz)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은 설정주기(T)동안 최종적으로 추출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설정주기(T)는 설정시간(t)과 설정횟수(N)를 곱한 값일 수 있다.The abov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be a value finally extracted during a setting period (T). The above setting period (T) may be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setting time (t) and a setting number (N).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은 x,y,z축별 제3가속도 계산값(dx, dy, dz)을 곱하여 합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은 dx^2+dy^2+dz^2을 의미할 수 있다.The abov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mean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nd adding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s (dx, dy, dz)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That is, the abov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mean dx^2+dy^2+dz^2.
다시 말하면,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은 x,y,z축별 상기 차이값(dx,dy,dz)을 각각 제곱하여 합산한 값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may be a value obtained by squaring and adding the difference values (dx, dy, dz)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이 때,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설정시간(t)마다 함께 순차적으로 계산되는 값이며, 서로 상이한 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re values that are sequentially calculated together every set time (t), and may be different values.
또한,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 및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은, 설정주기(T)마다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계산되는 값이며, 서로 상이한 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re values that are sequentially calculated based on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for each set period (T), and may be different values.
,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은 설정시간(t)마다 함께 계산되는 값이며, 서로 상이한 값일 수 있다.,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re values calculated together for each set time (t) and may be different values.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이 설정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S18).The above control unit (20) can determine whether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S18).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크다면,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18-1).If the abov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greater than the above setting value, the control unit (20) can determine that the user is moving (S18-1).
반면,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이 상기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18-2). 이는, 사용자가 유의미하게 같은 부위에 유의미한 시간 이상으로 지속하여 초음파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유의미하게는 사용자의 근육조직 특정 부위에 불편함을 초래할 것으로 판단되어 설정된 상황임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20) can determine that the user is not moving (S18-2).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user is continuously irradiating ultrasound to the same area for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At this time, it means that it is a situation that is set because it is judged to cause discomfort to a specific area of the user's muscle tissue.
이 때,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19). 상기 알림은 소리 알림, 음성 알림, 진동 알림, LED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not moving, it can output a notification (S19). The notification can be at least one of a sound notification, a voice notification, a vibration notification, and an LED notification.
S18-1, S19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20)는 이전 단계를 다시 반복할 수 있다.After steps S18-1 and S19, the control unit (20) can repeat the previous steps.
일 예로, 상기 제어부(20)는 입력된 초음파 발생 강도별로, 상기 설정시간(t), 상기 설정횟수(N), 상기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1)는 초음파 강도가 클수록 동일 부위, 동일 시간을 조사할 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에, 초음파 강도에 따라 사용자를 더 예민하게 케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may set at least one of the set time (t), the set number of times (N), and the set valu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put ultrasonic wave generation intensity. In this cas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1) is more likely to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when irradiating the same area and the same time as the ultrasonic wave intensity increases, so the user can be cared for more sensitively depending on the ultrasonic wave intensity.
다른 예로, 설정시간(t), 설정횟수(N), 설정값은, 사용자가 선택한 초음파의 강도에 무관하게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tting time (t), the setting number (N), and the setting value may be set to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ultrasound selected by the user.
위와 같이, 상기 제1,2,3,4가속도 계산값을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경우, 단순하게 가속도 값이 설정값과 큰지 여부에 따라 움직임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가 초음파 발생 장치(1)의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고도(예로, 알림이 빈번하게 울리는 불편함 등) 사용자의 인체에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게 효과적으로 장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determining the user's movement bas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be effectively guided to use the device without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s body (e.g., inconvenience of frequent notification sounds) and without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s body when using the ultrasonic generator (1), compared to simp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move based on whether the acceleration value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4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초음파 진동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가속도 센서(510)에서 측정되는 가속도 데이터를 상기 초음파 진동 데이터와 구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 can collect ultrasonic vibration data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4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by distinguishing acceleration data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510) from the ultrasonic vibration data based on the ultrasonic vibration data.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초음파 진동 데이터와,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초음파 진동 데이터에 영향 받지 않고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can separate the ultrasonic vibration data and the acceleration data by frequency band,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moving based on the acceleration data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ultrasonic vibration data.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가속도 센서(51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사용자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속도 센서(51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하이패스 필터(HPF) 및 로우패스 필터(LPF)를 통해 필터링하면, 사용자 손의 움직임과 초음파 진동을 구분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can filter the data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510) and use i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Specifically, if the data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510) is filtered through a high-pass filter (HPF) and a low-pass filter (LPF),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and ultrasonic vibration can be distinguish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직전 판단 주기(T)에서 알림을 출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 여기서 판단 주기(T)는 설정 주기(T)를 의미할 수 있으며, 직전 판단주기(T)는 상기 측정횟수가 리셋되기 전의 판단주기(T)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20) can determine whether a notification has been output in the previous judgment cycle (T) (S20). Here, the judgment cycle (T) may mean a setting cycle (T), and the previous judgment cycle (T) may mean a judgment cycle (T) before the number of measurements is reset.
상기 제어부(20)는 직전 판단 주기(T)에서 알림을 출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시 S20을 반복할 수 있다. 즉, 판단주기(T)마다 지속적으로 S20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abov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at a notification was not output in the previous judgment cycle (T), S20 can be repeated again. In other words, S20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for each judgment cycle (T).
상기 제어부(20)는 현재 판단주기(T)에서 알림을 출력하고 직전 판단 주기(T)에서도 알림을 출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즉 알림이 반복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반복된 알림 출력 중 최초 알림 출력 시점(t0 알람)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1).If the abov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at a notification is output in the current judgment cycle (T) and that a notification was also output in the previous judgment cycle (T), i.e., that a notification is being repeated,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elapsed time from the time of the first notification output (t0 alarm) among the repeated notification outputs exceeds the threshold time (S21).
반복된 알림 출력 중 최초 알림 출력 시점(t0 알람)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40)가 초음파를 발생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거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2).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elapsed from the first notification output time (t0 alarm) among repeated notification outputs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ultrasonic generator (40) to stop generating ultrasonic waves or control the supply of battery power to be stopped (S22).
즉,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의 초음파 발생장치(1)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20) can temporarily suspend the user's use of the ultrasonic generator (1).
반면, 반복된 알림 출력 중 최초 알림 출력 시점(t0 알람)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시 S20을 반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apsed time from the first notification output time (t0 alarm) among the repeated notification outputs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time, S20 can be repeated again.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초음파 발생 장치(1)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한 후에도 사용자가 계속하여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초음파 발생을 중단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 초래가능성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ltrasonic ge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ondarily prevent the possibility of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by stopping ultrasonic gener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continues to remain motionless even after outputt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알림을 듣지 못하였거나, 잠에 빠지는 등 의식을 잃은 경우에도 단순히 알림 출력 외에 사용자를 대신하여 초음파 발생을 중단함으로써, 더 큰 불편함의 초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 user does not hear the notification or loses consciousness due to falling asleep, the device can prevent further inconvenience by simply stopping the generation of ultrasound on behalf of the user in addition to outputting the not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계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shold tim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마찬가지로, 상기 설정시간(t), 상기 측정횟수(N), 상기 설정값도 사용자의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Likewise, the above-mentioned setting time (t), the above-mentioned number of measurements (N), and the above-mentioned setting value can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1: 초음파 발생 장치 10: 바디부
15: 헤드부 17: 헤드캡
20: 제어부 30: 배터리부
40: 초음파 발생부 50: 센싱부
60: 입력부 70: 출력부
80: 통신부1: Ultrasonic generator 10: Body
15: Head 17: Head cap
20: Control section 30: Battery section
40: Ultrasonic generator 50: Sensing unit
60: Input section 70: Output section
80: Communication Department
Claims (5)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하는 헤드캡;
상기 헤드캡 또는 상기 헤드캡 근처에 위치되어,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데이터는 설정시간(t)마다 측정된 x,y,z축 가속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시간(t)마다 서로 상이한 값인 제1가속도 계산값 및 제2가속도 계산값을 순차적으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주기(T)별로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에 기초하여, 서로 상이한 제3가속도 계산값 및 제4가속도 계산값을 순차적으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이 설정값보다 크지 않으면 사용자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여 알림을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발생 장치.In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damage to the human body by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which is used while the user holds it by hand,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generates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head cap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transmits ultrasonic waves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to the user's skin;
An acceleration sensor positioned at or near the head cap for measuring acceleration data;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or receives the acceleration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The above acceleration data includes x, y, and z axis acceleration values measured at each set time (t).
The above control unit receives the acceleration data and sequentially calculates a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a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which are different values, for each set time (t).
The above control unit sequentially calculates different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s and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s based on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for each set period (T),
The above control unit is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damage to the human body by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which determines that there is no user movement and outputs a notification if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set value.
상기 설정주기(T)는 상기 설정시간(t)마다 설정횟수(N)만큼 측정된 기간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시간(t)마다 측정된 측정횟수를 누적하여 계산하고, 상기 누적된 측정횟수가 상기 설정횟수와 같으면, 상기 측정횟수를 리셋하는,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발생 장치.In paragraph 1,
The above setting cycle (T) is a period measured for the setting number of times (N) for each setting time (t).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by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by accumulating the number of measurements measured at each set time (t), and if the accumulated number of measurements is equal to the set number of measurements, resets the number of measurements.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은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계산한, x,y,z축 가가속도 값이고,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은 상기 제1가속도 계산값을 기초로 추출된, x,y,z축 가가속도 값의 최소값 및 최대값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적된 측정횟수가 상기 설정횟수와 같으면, 상기 제2가속도 계산값을 기초로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 및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을 계산하고,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 및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은 상기 설정주기(T)동안 최종적으로 추출된 값이고,
상기 제3가속도 계산값은, x,y,z축별 x,y,z축 가가속도 값의 최소값 및 최대값의 차이값(dx,dy,dz)이고,
상기 제4가속도 계산값은, x,y,z축별 상기 차이값(dx,dy,dz)을 각각 제곱하여 합산한 값인,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발생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an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acceleration data.
The abov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extracted based on the above first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The abov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th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based on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when the accumulated number of measurements is equal to the set number of measurements.
The abov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nd the abov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are the values finally extracted during the above setting period (T),
The above third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x, y, and z-axis acceleration values (dx, dy, dz)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The above fourth acceleration calculation value is a value obtained by squaring the difference values (dx, dy, dz)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and adding them up.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by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이 반복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반복된 알림 중 최초 알림 출력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경과된 시간이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초음파를 발생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발생 장치.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bove notification is being repeated, determines whether the elapsed time from the time of the first notification output among the repeated notifications exceeds the threshold time,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by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to stop generating ultrasonic wav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apsed time has exceeded the threshold time.
초음파 발생 강도 및 시간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초음파 발생 강도에 따라 상기 초음파 발생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초음파 발생 강도별로 상기 설정시간(t), 상기 설정횟수(N), 상기 설정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손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발생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It further includes an input section for inputting the intensity and time of ultrasonic generation,
The above control unit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the input ultrasonic generation intensity,
An ultrasonic generator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human body by utilizing an accelera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at least one of the set time (t), the set number of times (N), and the set valu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put ultrasonic generation intensit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50040951A KR102813497B1 (en) | 2025-03-31 | 2025-03-31 | Ultrasonic Generator with Human body damage prevention fuction utilizing acceleration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50040951A KR102813497B1 (en) | 2025-03-31 | 2025-03-31 | Ultrasonic Generator with Human body damage prevention fuction utilizing acceleration sens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813497B1 true KR102813497B1 (en) | 2025-05-28 |
Family
ID=959331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50040951A Active KR102813497B1 (en) | 2025-03-31 | 2025-03-31 | Ultrasonic Generator with Human body damage prevention fuction utilizing acceleration sens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13497B1 (en) |
Citations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12703A (en) * | 1999-04-30 | 2000-11-14 | Og Giken Co Ltd | Ultrasonic treatment apparatus with safety device |
| JP2014054479A (en) * | 2012-09-14 | 2014-03-27 | Casio Comput Co Ltd | Biological information notification apparatus, biological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biological information notification program |
| KR20160064894A (en) | 2014-11-28 | 2016-06-08 | (주)에보소닉 | Skin massage appratus and method using sound pressure |
| US20180126160A1 (en) * | 2016-11-07 | 2018-05-10 | Lg Electronics Inc. | Skin care device |
| JP2018075323A (en) * | 2016-11-12 | 2018-05-17 | 株式会社クレイツ | Ultrasonic/minute-current combined apparatus for skin care |
| KR20190043378A (en) * | 2017-10-18 | 2019-04-26 | 김동수 | Skin beauty device using ultrasonic waves |
| KR102115501B1 (en) * | 2018-12-04 | 2020-05-26 | 김정은 | Body care motion tracking device and body car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JP2021052814A (en) * | 2018-01-31 | 2021-04-08 | 株式会社 Mtg | Cosmetic roller |
| JP2021074466A (en) * | 2019-11-13 | 2021-05-20 | 株式会社 Mtg | Beauty device |
| KR20220129756A (en) * | 2021-03-17 | 2022-09-26 | 주식회사 제이엘유 | Multiple ultrasonic handpiece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240168795A (en) * | 2023-05-23 | 2024-12-02 | 케이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 Handheld ultrasonic generator with anti-burn function |
| KR20240168800A (en) * | 2023-05-23 | 2024-12-02 | 케이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 Fixed type ultrasonic generator with anti-burn function |
-
2025
- 2025-03-31 KR KR1020250040951A patent/KR1028134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12703A (en) * | 1999-04-30 | 2000-11-14 | Og Giken Co Ltd | Ultrasonic treatment apparatus with safety device |
| JP2014054479A (en) * | 2012-09-14 | 2014-03-27 | Casio Comput Co Ltd | Biological information notification apparatus, biological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biological information notification program |
| KR20160064894A (en) | 2014-11-28 | 2016-06-08 | (주)에보소닉 | Skin massage appratus and method using sound pressure |
| US20180126160A1 (en) * | 2016-11-07 | 2018-05-10 | Lg Electronics Inc. | Skin care device |
| JP2018075323A (en) * | 2016-11-12 | 2018-05-17 | 株式会社クレイツ | Ultrasonic/minute-current combined apparatus for skin care |
| KR20190043378A (en) * | 2017-10-18 | 2019-04-26 | 김동수 | Skin beauty device using ultrasonic waves |
| JP2021052814A (en) * | 2018-01-31 | 2021-04-08 | 株式会社 Mtg | Cosmetic roller |
| KR102115501B1 (en) * | 2018-12-04 | 2020-05-26 | 김정은 | Body care motion tracking device and body car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JP2021074466A (en) * | 2019-11-13 | 2021-05-20 | 株式会社 Mtg | Beauty device |
| KR20220129756A (en) * | 2021-03-17 | 2022-09-26 | 주식회사 제이엘유 | Multiple ultrasonic handpiece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240168795A (en) * | 2023-05-23 | 2024-12-02 | 케이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 Handheld ultrasonic generator with anti-burn function |
| KR20240168800A (en) * | 2023-05-23 | 2024-12-02 | 케이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 Fixed type ultrasonic generator with anti-burn funct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212521748U (en) | Sleep physiological system | |
| US10799667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ting stimuli to the brain with biosensors | |
| WO2016176668A1 (en) | Breathing disorder detection and treatment device and methods | |
| US2019026990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uscle stimulation | |
| AU200926686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uscle stimulation | |
| US8630712B2 (en) | Respiration stimulation | |
| US20110034756A1 (en) | Sleep inducement apparatus | |
| JP2010540015A (en) | Gaming feedback device | |
| US11058349B2 (en) | Non-invasive handling of sleep apnea, snoring and emergency situations | |
| US20120212345A1 (en) | Device for the treatment of sleep-related conditions | |
| CN110753567A (en) | Brain health monitoring system based on eye impedance | |
| CN115227215A (en) | Non-invasive vagus nerve stimul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based on resonant breathing | |
| CN111542369A (en) | Nocturia reduction system | |
| KR102440214B1 (en) | Sleep Quality Improvement Method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and System Therefor | |
| AU201740465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leep monitoring and control | |
| WO2019226656A1 (en) | A non-pharmaceutical method of managing pain | |
| CN106730336A (en) | A kind of epilepsy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 | |
| KR102813497B1 (en) | Ultrasonic Generator with Human body damage prevention fuction utilizing acceleration sensor | |
| US10076280B2 (en) | Bone-conductive arousal induction apparatus | |
| KR102712721B1 (en) | User customized sleep management system for heating mat | |
| WO2019027491A1 (en) | Respiration monitor system with sensory alert | |
| CN114344071A (en) | Massage method, device, massage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system | |
| KR2021000735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xing stress based on electrocardiogram | |
| JP765243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lood flow changes in a subject's head - Patents.com | |
| JP6977218B1 (en) | Sleep promo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5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503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