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13933B1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13933B1
KR102813933B1 KR1020190172490A KR20190172490A KR102813933B1 KR 102813933 B1 KR102813933 B1 KR 102813933B1 KR 1020190172490 A KR1020190172490 A KR 1020190172490A KR 20190172490 A KR20190172490 A KR 20190172490A KR 102813933 B1 KR102813933 B1 KR 10281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ttery
battery module
connecting member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0096A (en
Inventor
백승률
김수열
윤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17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13933B1/en
Publication of KR2021008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0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1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1393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극 리드와 연결된 버스바; 상기 전지셀 적층체 상에 위치한 센싱 어셈블리; 및 상기 버스바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상기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접촉부의 중심부에 위치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module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ing electrode leads are stacked; a bus bar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s; a sensing assembly positioned on the battery cell stack;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bus bar and the sensing assembly,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the bus bar and a spring portion that brings the contact portion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us bar, and the spring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Figure R1020190172490
Figure R1020190172490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스바를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bar,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which have high applicability according to product group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are widely used in portable devices as well as electric or hybrid vehicles driven by electric power sources, and power storage devices. 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nergy source for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energy efficiency enhancement, not only because they can drastically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s, but also because they do not generate any by-products from energy use.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률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Currently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receiving attention due to their advantages such as the fact that they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secondary batteries, can be freely charged and discharged, have a very low self-discharge rate, and have high energy density.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 oxide and carbon material as positive and negative active materials, respectivel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each coated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ctive materials, are arranged with a separator between them, and an outer material, i.e., a battery case, that seals and stores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각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In general,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square secondary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to a metal can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to a pouch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uter packaging material.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대 당 1개 내지 3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해, 자동차 등과 같이 중대형 디바이스들에는 고출력 대용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모듈이 사용된다.While small mobile devices use one to three battery cells per device,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require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Accordingly,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that electrically connect multiple battery cells are used.

중대형 전지 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 모듈의 전지셀로써 주로 사용되고 있다.It is desirable for medium- and large-sized battery modules to be manufactured with as small a size and weight as possible, so square batteries and pouch-type batteries that can be stacked with high integration and have small weight per capacity are mainly used as battery cells for medium- and large-sized battery modules.

한편, 복수개의 전지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경우, 복수개의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에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Meanwhile, when configuring a battery pack by connecting multiple battery cells in series/parallel, it is common to configure a battery module composed of multiple battery cells and configure the battery pack by adding other components to at least one of the battery modules.

이러한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복수의 전지셀들을 연결하는 버스바 및 전지셀 적층체 상에 위치하여 전지셀의 전압과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 어셈블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버스바와 센싱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해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 공정에서 이러한 추가적인 용접 공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이러한 용접을 위해서 센싱 어셈블리의 일단을 버스바 보다 외측에 위치시켜야 했고, 용접부분이 외측에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Such a battery modu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bus ba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 sensing assembly positioned on the battery cell stack to measure the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s. At this time, a method such as welding was used in the past to connect the bus bar and the sensing assembly. Accordingly, such an additional welding process was requi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for such welding, one end of the sensing assembly ha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bus bar, and the welded portion ha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버스바와 센싱 어셈블리를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ith improved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by enabling simpler connection of a bus bar and a sensing assembly.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can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극 리드와 연결된 버스바; 상기 전지셀 적층체 상에 위치한 센싱 어셈블리; 및 상기 버스바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상기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접촉부의 중심부에 위치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module compris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ing electrode leads are stacked; a bus bar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s; a sensing assembly positioned on the battery cell stack;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bus bar and the sensing assembly,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comprises a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the bus bar and a spring portion that brings the contact portion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us bar, and the spring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상기 접촉부는 판상이며, 상기 스프링부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The above contact portion may be plate-shaped, and the above spring portion may be a plate spring.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버스바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The above spring portion can be bent by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s bar is located.

상기 접촉부와 상기 스프링부는 일체화될 수 있다.The above contact portion and the above spring portion can be integrated.

상기 스프링부는, 일 단부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고, 상기 일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단부가 상기 접촉부와 이격될 수 있다.The above spring portion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and the remaining ends excluding the one e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상기 전지 모듈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 후면에 각각 위치하는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상기 버스바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above battery module includes busbar frames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attery cell stack, respectively, and the busbar is mounted on the busbar frame,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busbar and the busbar frame.

상기 접촉부가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고,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과 접촉할 수 있다.The above contact portion can contact the bus bar, and the above spring portion can contact the bus bar frame.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busbar frame may include a detachment prevention member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외측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detachment prevention part may include an outer detachment prevention part arrang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part.

상기 스프링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는 내측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above spring portion, and the detachment prevention portion may include an inner detachment prevention portion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관통한 후 구부러질 수 있다.The abov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ensing assembly, and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bent after penetrating the sensing assembly.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연성평판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다.The above sensing assembly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or a flexible flat cable (FFC).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해, 용접 없이도 버스바와 센싱 어셈블리를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s bar and a sensing assembly can be connected more simply without welding by using a connecting member including a spring portion, thereby improving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and reducing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에 포함된 전지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 모듈에 포함된 전지셀 적층체 및 제1 버스바 프레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부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및 제1 버스바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연결부재와 제1 버스바 프레임이 서로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도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of Figure 1.
FIG. 3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cell stack and a first bus bar frame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of FIG. 1.
Figure 4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part “A”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B-B' of Figure 4.
Figure 6 is a partial view of part “C” of Figure 3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ng member and a first bus bar fram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8 and the first bus bar fra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are arbitrarily shown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 the thickness is shown enlarged to clearly express several layers and regions. And in the drawing, the thickness of some layers and regions is shown exaggeratedly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when we say that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or plate is "over" or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over" the 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Conversely, when we say that a part is "directly over"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between. Also, when we say that a part is "over" or "on" a reference part, it means that it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p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located "over" or "on"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ever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Addition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we say "in plan", we mean when the target portion is viewed from above, and when we say "in cross section", we mean when the target portion is viewed from the side in a cross-section cut vert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전극 리드(150)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지셀(110)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200); 전극 리드(150)와 연결된 버스바(300); 전지셀 적층체(200) 상에 위치한 센싱 어셈블리(400); 및 버스바(300)와 센싱 어셈블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연결부재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a battery modul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200)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including electrode leads (150) are stacked; a bus bar (3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s (150); a sensing assembly (400) positioned on the battery cell stack (200);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bus bar (300) and the sensing assembly (400). The connecting memb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100)에 포함된 전지셀(110)에 대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110)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100) of FIG. 1.

도 2를 참고하면, 전지셀(110)은 파우치형 전지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110)은 두 개의 전극 리드(150)가 서로 대향하여 전지 본체(113)의 일단부(114a)와 다른 일단부(114b)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리드(150)는 전극 조립체(미도시)와 연결되고, 전극 조립체(미도시)로부터 전지셀(110)의 외부로 돌출된다.Referring to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cell (110) is a pouch-type battery cell. For example, the battery cel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electrode leads (150) face each other and protrude from one end (114a) and the other end (114b) of the battery body (113).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de leads (150) are connected to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nd protrude from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110).

한편, 전지셀(110)은, 전지 케이스(114)에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수납한 상태로 전지 케이스(114)의 양 단부(114a, 114b)와 이들을 연결하는 일측부(114c)를 접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110)은 총 3군데의 실링부(114sa, 114sb, 114sc)를 갖고, 실링부(114sa, 114sb, 114sc)는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실링되는 구조이며, 나머지 다른 일측부는 연결부(115)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battery cell (110) can be manufactured by bonding the two ends (114a, 114b) of the battery case (114) and one end (114c) connecting them while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is stored in the battery case (114). In other words, the battery cel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otal of three sealing parts (114sa, 114sb, 114sc), and the sealing parts (114sa, 114sb, 114sc)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sealed by a method such as heat fusion, and the remaining other end can be formed as a connecting part (115).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도 2의 전지셀(110)이 y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전지셀 적층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전지셀(110) 각각의 전극 리드(150)가 전지셀 적층체(200)의 전면(x축 방향)과 후면(x축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battery cells (110) of FIG. 2 can be stacked along the y-axis direction to form a battery cell stack (200). Accordingly, the electrode leads (15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protrude toward the front (x-axis direction) and the rear (opposite to the x-axis) of the battery cell stack (200).

전극 리드(150)가 돌출되는 방향에 따라, 전지셀 적층체(200)의 전, 후면(x축 방향과 x축 반대 방향)에 버스바 프레임(310, 320)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셀 적층체(200)의 전면(x축 방향)에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이 위치할 수 있고, 전지셀 적층체(200)의 후면(x축 반대 방향)에 제2 버스바 프레임(320)이 위치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150) protrudes, busbar frames (310, 320) may be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x-axis direction and direction opposite to the x-axis) of the battery cell stack (200), respectively. Specifically, a first busbar frame (310) may be positioned at the front (x-axis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stack (200), and a second busbar frame (320)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x-axis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stack (200).

도 3은 도 1의 전지 모듈에 포함된 전지셀 적층체(200) 및 제1 버스바 프레임(310)에 대한 정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이 전지셀 적층체(200)와 결합된 모습을 x축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니다.FIG. 3 is a front view of the battery cell stack (200) and the first busbar frame (310)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of FIG. 1. Specifically, it is a view of the first busbar frame (310) combined with the battery cell stack (200) as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x-axis.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고하면,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300)가 제1 버스바 프레임(310)에 장착되고, 전지셀(110)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150)가 제1 버스바 프레임(310)에 형성된 슬릿에 통과한 뒤 구부러져 버스바(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의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서로 용접 접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지셀(110)들의 전극 리드(150)가 버스바(300)와 연결됨으로써, 전지셀(110)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ogether, at least one bus bar (300) is mounted on a first bus bar frame (310), and an electrode lead (150) protruding from a battery cell (110) may pass through a slit formed in the first bus bar frame (310) and then be bent to be connected to the bus bar (300).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ethod of this connection, but they may be connected by welding each other. In this way, by connecting the electrode leads (150) of the battery cells (110) to the bus bar (300), the battery cells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제1 버스바 프레임(310)에는 버스바(300) 외에도, 전지셀 적층체(200) 상에 위치한 센싱 어셈블리(400)의 일부 구성과 이러한 센싱 어셈블리(400)와 연결된 모듈 커넥터(410)가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busbar (300), the first busbar frame (310) may have a part of a sensing assembly (400) positioned on the battery cell stack (200) and a module connector (410) connected to the sensing assembly (400).

센싱 어셈블리(400)는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연성평판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다.The sensing assembly (40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or a flexible flat cable (FFC).

이러한 센싱 어셈블리(400)는 복수의 전지셀(110)들의 전압 및 온도를 센싱하고, 모듈 커넥터(410)를 통해 BMS(Battery Mamagement System)로 전기적 정보를 전달하여, 각 전지셀(110)의 과전압, 과전류, 과발열 등의 현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센싱 어셈블리(400)에는 전압센싱회로 및 온도센싱회로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is sensing assembly (400) senses the voltage and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and transmits electrical information to a BMS (Battery Manufacturing System) through a module connector (410), thereby detecting phenomena such as overvoltage, overcurrent, and overheating of each battery cell (110). Accordingly, the sensing assembly (400) may include a voltage sensing circuit and a temperature sensing circuit.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절단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부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500)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때,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스바의 도시를 생략하였다.FIG. 4 is a parti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A"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B-B' of FIG. 4, FIG. 6 is a partial view of "C" of FIG. 3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bus bar is omitted in FIG. 6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버스바(300)와 센싱 어셈블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부재(500)는 통전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재(500)를 통해 전지셀(110)들의 전압 정보가 버스바(300)를 거쳐 센싱 어셈블리(400)로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7, the battery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500) that connects a bus bar (300) and a sensing assembly (40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member (500) includes a material that can conduct electricity, and voltage information of the battery cells (110) can be transmitted to the sensing assembly (400) via the bus bar (30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500).

연결부재(500)는, 버스바(300)와 접촉하는 접촉부(510) 및 접촉부(510)를 버스바(300)에 밀착시키는 스프링부(520)를 포함하고, 스프링부(520)가 접촉부(5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프링부(520)의 외주를 따라 접촉부(510)가 위치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500) includes a contact portion (51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us bar (300) and a spring portion (520) that presses the contact portion (510) against the bus bar (300). The spring portion (52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510). In other words, the contact portion (510) may be loca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portion (520).

이러한 접촉부(510)는 판상일 수 있고, 스프링부(520)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접촉부(510)가 판상으로 구성되어 버스바(300)와 넓은 접촉 면적을 형성할 수 있고, 스프링부(520)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한정된 공간에서 접촉부(510)를 버스바(300)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판스프링의 스프링부(520)는 버스바(300)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x축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510) may be plate-shaped, and the spring portion (520) may be a plate spring. The contact portion (510) may be configured as a plate to form a wide contact area with the bus bar (300), and the spring portion (520) may be configured as a plate spring to effectively bring the contact portion (5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us bar (300) in a limited space. To this end, the spring portion (520) of the plate spring may be protruded and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s bar (300)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x-axis).

한편,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510)와 스프링부(520)는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별도의 탄성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부재(500) 자체가 판스프링의 스프링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을 활용할 수 있고, 연결부재(500)를 버스바(300)와 제1 버스바 프레임(310)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버스바(300)와 센싱 어셈블리(400)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프링부(520)의 탄성력이 접촉부(510)에 고르게 작용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ortion (510) and the spring portion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e integrated. That is, rather than providing a separate elastic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500) itself may be provided with the spring portion (520) of the plate spring. Accordingly, a limited spa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an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us bar (300) and the sensing assembly (400) is possible simply by positioning the connecting member (500) between the bus bar (300) and the first bus bar frame (310). In addi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ortion (520) can be evenly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5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스프링부(520)는, 일 단부(521)가 접촉부(510)와 연결되고, 일 단부(521)를 제외한 나머지 단부(522)가 접촉부(51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스프링부(520)가 접촉부(510)와 일체화되면서, 버스바(300)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x축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pring portion (520) may have one end (521)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510), and the remaining end (522) excluding one end (521) may be spaced from the contact portion (510). With this structure, the spring portion (5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ct portion (510) and may be bent by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s bar (300)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x-axis).

또한, 연결부재(500)는, 센싱 어셈블리(400)와의 결합을 위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500)에 형성된 결합부(530)가 센싱 어셈블리(400)를 관통한 후 구부러져, 연결부재(500)와 센싱 어셈블리(400)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ding connecting portion (530) for connection with the sensing assembly (400). Specifically, the connecting portion (530)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500) may be bent after penetrating the sensing assembly (400), thereby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500) and the sensing assembly (400).

종래에는 버스바(300)와 센싱 어셈블리(400)를 연결하기 위해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 공정에서 이러한 추가적인 용접 공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이러한 용접을 위해서 센싱 어셈블리(400)의 일단을 버스바(300) 보다 외측에 위치시켜야 했고, 용접부분이 외측에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In the past, methods such as welding were used to connect the bus bar (300) and the sensing assembly (400). Accordingly, this additional welding process was requi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for this welding, one end of the sensing assembly (400) ha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bus bar (300), and the welding portion ha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재(500)를 버스바(300)와 제1 버스바 프레임(310)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버스바(300)와 센싱 어셈블리(400)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해져, 종래의 용접 공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전지 모듈(100)을 제조함에 있어, 제조 공정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us bar (300) and the sensing assembly (400) is possible simply by positioning the connecting member (500) between the bus bar (300) and the first bus bar frame (310), so that a conventional welding process is unnecessary. Accordingly, when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100),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연결부재(500)를 버스바(300)와 제1 버스바 프레임(310)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므로, 자연히 센싱 어셈블리(400)의 일단과 연결부재(500)를 버스바(300) 보다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어, 센싱 어셈블리(400)의 일단과 연결부재(500) 등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member (500) is positioned between the bus bar (300) and the first bus bar frame (310), one end of the sensing assembly (400) and the connecting member (500) can naturally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rather than the outer side of the bus bar (300), thereby enabling protection for one end of the sensing assembly (400) and the connecting member (500).

도 5를 다시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버스바 프레임(310)에 버스바(300)가 장착되고, 연결부재(500)가 버스바(300)와 제1 버스바 프레임(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510)가 버스바(300)와 접촉하고, 스프링부(520)가 제1 버스바 프레임(310)과 접촉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5, as described above, the busbar (30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busbar frame (310), and the connecting member (5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usbar (300) and the first busbar frame (310).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510) may contact the busbar (300), and the spring portion (520) may contact the first busbar frame (310).

구체적으로,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의 고정부(311)에 버스바(300)가 삽입되어 버스바(300)가 x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520)가 제1 버스바 프레임(310)과 접촉하면서 접촉부(510)를 버스바(300)에 밀착시킨다. 고정부(311)에 의해 고정된 버스바(300)는 스프링부(520)의 탄성력에도 x축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접촉부(510)의 모든 부분이 버스바(300)와 강하게 접촉하게 되어 버스바(300)와 연결부재(500) 간의 통전이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busbar (3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311) of the first busbar frame (310) so that the busbar (300) can be stably mounted without being separated in the x-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spring portion (520) contacts the first busbar frame (310) and brings the contact portion (5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usbar (300). The busbar (300) fixed by the fixing portion (311) is not pushed in the x-axis direction eve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ortion (520), and all parts of the contact portion (510) come into strong contact with the busbar (300), so that current conduction is achieved between the busbar (300) and the connecting member (500).

한편, 이상 제1 버스바 프레임(310)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버스바 프레임(320)에도 연결부재(500)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description was made based on the first busbar frame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second busbar frame (320).

또한, 도 1에서 제일 우측에 위치한 버스바(30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버스바(300)들에도 연결부재(500)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scription is based on the bus bar (300) located at the far right in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00) can be applied equally to other bus bars (300).

이하, 도 8 및 도 9와 함께, 본 발명의 변형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및 제1 버스바 프레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스바의 도시는 생략하였다.Hereinafter, a connecting member and a first busbar fram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usbar is omitted in FIGS. 8 and 9.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500a) 및 제1 버스바 프레임(310a)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고, 도 9는 도 8의 연결부재(500a)와 제1 버스바 프레임(310a)이 서로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도이다FIG. 8 is a parti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ng member (500a) and a first busbar frame (310a)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artial diagram showing the connecting member (500a) and the first busbar frame (310a) of FIG. 8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500a)는 접촉부(510a) 및 스프링부(520a)를 포함하고, 센싱 어셈블리(400)와 연결되며, 버스바(미도시)와 제1 버스바 프레임(31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connecting member (5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act portion (510a) and a spring portion (520a), is connected to the sensing assembly (400), 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a bus bar (not shown) and a first bus bar frame (310a). Since this overlaps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content,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이때, 제1 버스바 프레임(310a)은, 연결부재(500a)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us bar frame (310a) may include a detachment prevention member (330) protruding toward the connecting member (500a).

이탈 방지부(330)는 스프링부(520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외측 이탈 방지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ment prevention part (330) may include an outer detachment prevention part (331) arrang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part (520a).

구체적으로, 스프링부(520a)는 접촉부(510a)와 일체화될 수 있으며, 일 단부(521a)가 접촉부(510a)와 연결되고, 일 단부(521a)를 제외한 나머지 단부(522a)가 접촉부(510a)와 이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pring portion (520a) can be integrated with the contact portion (510a), one end (521a) can be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510a), and the remaining ends (522a) except for one end (521a)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510a).

외측 이탈 방지부(331)는 스프링부(520a)의 외주 중 상기 나머지 단부(522a)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이탈 방지부(331)는 상기 나머지 단부(522a)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나, 도 8에서와 같이 나머지 단부(522a) 모두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detachment prevention member (331) may be arranged along the remaining end (522a)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member (520a). The outer detachment prevention member (331) may be arrang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maining end (522a), but it is preferable to be arranged along the entire remaining end (522a) as shown in FIG. 8.

또한, 외측 이탈 방지부(331)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도 8에서와 같이 이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 이탈 방지부(331)는 스프링부(520a)의 외주를 따라 이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detachment prevention parts (331)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but are preferably arranged to be connected as in Fig. 8. That is, the outer detachment prevention parts (331)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part (520a).

이러한 외측 이탈 방지부(331)를 통해, 버스바와 제1 버스바 프레임(310a)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재(500a)가 전지 모듈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external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31), the connecting member (500a) located between the bus bar and the first bus bar frame (310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a designated position due to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applied to the battery module.

한편, 스프링부(520a)에 관통구(523)가 형성될 수 있고, 이탈 방지부(330)는 관통구(523)를 통과하는 내측 이탈 방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through hole (523) may be formed in the spring portion (520a), and the detachment prevention portion (330) may include an inner detachment prevention portion (332)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523).

연결부재(500a)의 스프링부(520a)가 제1 버스바 프레임(310a)과 접촉할 때, 연결부재(500a)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이탈 방지부(332)가 관통구(523)를 통과할 수 있다.When the spring portion (520a) of the connecting member (500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bus bar frame (310a), the inner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332) protruding toward the connecting member (500a)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523).

이러한 내측 이탈 방지부(332)를 통해, 버스바와 제1 버스바 프레임(310a)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재(500a)가 전지 모듈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nner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32), the connecting member (500a) located between the bus bar and the first bus bar frame (310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a designated position due to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applied to the battery module.

도 9에서처럼, 연결부재(500a)는 스프링부(520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외측 이탈 방지부(331)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00a)는 관통구(523)를 통과하는 내측 이탈 방지부(332)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connecting member (500a) can be stably fixed by an outer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31) arrang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member (520a).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500a) can be stably fixed by an inner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32)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523).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부(330)는 외측 이탈 방지부(331) 또는 내측 이탈 방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고, 외측 이탈 방지부(331) 및 내측 이탈 방지부(332)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ment prevention unit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outer detachment prevention unit (331) or an inner detachment prevention unit (332), and may include both an outer detachment prevention unit (331) and an inner detachment prevention unit (332).

한편,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전지셀 적층체(200)를 수납하기 위한 모듈 프레임과 엔드 플레이트(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x축 방향)과 후면(x축 반대 방향)이 개방되고, 상면(z축 방향), 하면(z축 반대 방향) 및 양측면(y축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이 일체화된 모노 프레임(600)일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1, the battery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may include a module frame and an end plate (700) for accommodating a battery cell stack (200). As shown in FIG. 1, the module frame may be a mono frame (600) in which the front (x-axis direction) and the rear (opposite to the x-axis direction) are open, and the upper surface (z-axis direction), the lower surface (opposite to the z-axis direction), and both sides (y-axis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are integrated.

전지셀 적층체(200)는 전면(x축 방향)과 후면(x축 반대 방향)이 개방된 모노 프레임(600)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전면과 후면을 엔드 플레이트(700)가 덮을 수 있다. 모노 프레임(600)과 엔드 플레이트(700)의 접합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서로 용접 접합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 stack (200) can be housed in a mono frame (600) with an open front (x-axis direction) and a back (opposite to the x-axis direction), and the open front and back can be covered by an end plate (700).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joining of the mono frame (600) and the end plate (700), but they can be welded to each other.

전지셀 적층체(200)를 비롯한 전장품이 이러한 모노 프레임(600)과 엔드 플레이트(700)에 수납되어 보호될 수 있다.The entire body, including the battery cell stack (200), can be stored and protected in the mono frame (600) and end plate (700).

한편, 센싱 어셈블리(400)와 전지셀 적층체(200)가 모노 프레임(600)에 수납될 때, 센싱 어셈블리(4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센싱 어셈블리(400) 상에 커버 플레이트(900)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ensing assembly (400) and the battery cell stack (200) are housed in the mono frame (600), a cover plate (900) may be placed on the sensing assembly (400) to prevent damage to the sensing assembly (400).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의 모듈 프레임은 하면(z축 반대 방향) 및 양측면(y축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이 일체화된 U자형 프레임 및 상기 U자형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the module fram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haped frame having a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z-axis) and both sides (in the y-axis direction and its opposite direction) integrated therewith, and an upper plate covering the open top of the U-shaped frame.

앞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지 모듈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냉각 시스템 등의 각종 제어 및 보호 시스템과 함께 장착되어 전지 팩을 형성할 수 있다.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mounted together with various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s such as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a cooling system to form a battery pack.

상기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차 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The above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pecifically, it can be applied to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electric bicycles, electric cars, and hybri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that can use secondary batteri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지 모듈
110: 전지셀
200: 전지셀 적층체
300: 버스바
310: 제1 버스바 프레임
320: 제2 버스바 프레임
400: 센싱 어셈블리
500: 연결부재
510: 접촉부
520: 스프링부
100: Battery module
110: Battery cell
200: Battery cell stack
300: Busbar
310: 1st busbar frame
320: 2nd busbar frame
400: Sensing Assembly
500: Connection part
510: Contact
520: Spring part

Claims (13)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된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극 리드와 연결된 버스바;
상기 전지셀 적층체 상에 위치한 센싱 어셈블리; 및
상기 버스바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상기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접촉부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스프링부의 외주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부의 일 단부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고, 상기 일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단부가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는 전지 모듈.
A battery cell st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ing electrode leads;
A bus bar connected to the above electrode leads;
A sensing assembly positioned on the above battery cell stack; and
Including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above bus bar and the above sensing assembly,
The abov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contact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us bar and a spring portion that presses the contact portion against the bus bar.
The spr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is loca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portion,
A battery module in which one end of the spr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and the remaining ends excluding the one end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제1항에서,
상기 접촉부는 판상이며, 상기 스프링부는 판스프링인 전지 모듈.
In paragraph 1,
A battery module in which the above contact portion is plate-shaped and the above spring portion is a plate spring.
제2항에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버스바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부러지는 전지 모듈.
In paragraph 2,
A battery module in which the spring portion protrudes and b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s bar is located.
제1항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스프링부는 일체화된 전지 모듈.
In paragraph 1,
A battery module in which the above contact portion and the above spring portion are integrated.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 후면에 각각 위치하는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상기 버스바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
In paragraph 1,
It includes a bus bar frame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attery cell stack, respectively.
The busbar is mounted on the above busbar frame,
The above connecting member is a battery module located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us bar frame.
제6항에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버스바와 접촉하고,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과 접촉하는 전지 모듈.
In Article 6,
A battery module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bus bar and the spr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bus bar frame.
제6항에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In Article 6,
The above busbar frame is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detachment prevention member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제8항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외측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In Article 8,
A battery module wherein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prevention part includes an outer separation prevention part arrang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ing part.
제8항에서,
상기 스프링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는 내측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In Article 8,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above spring part,
The above detachment prevention part is a battery module including an inner detachment prevention par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관통한 후 구부러지는 전지 모듈.
In paragraph 1,
The abov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ensing assembly,
The above-mentioned joint is a battery module that is bent after penetrating the above-mentioned sensing assembly.
제1항에서,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연성평판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인 전지 모듈.
In paragraph 1,
The above sensing assembly is a battery module which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or a flexible flat cable (FFC).
제1항에 따른 전지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지 팩.A battery pack comprising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claim 1.
KR1020190172490A 2019-12-20 2019-12-20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ctive KR102813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490A KR102813933B1 (en) 2019-12-20 2019-12-20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490A KR102813933B1 (en) 2019-12-20 2019-12-20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096A KR20210080096A (en) 2021-06-30
KR102813933B1 true KR102813933B1 (en) 2025-05-27

Family

ID=7660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490A Active KR102813933B1 (en) 2019-12-20 2019-12-20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139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25B1 (en) * 2021-10-26 2024-02-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24196097A1 (en) * 2023-03-17 2024-09-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KR102618523B1 (en) * 2023-07-27 2023-12-28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Connection terminal integrated bus bar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8483A1 (en) * 2015-06-16 2018-05-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Assembled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848B1 (en) * 2017-11-16 2021-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Sensing Assembly and Busbar Assembly
KR102029368B1 (en) * 2018-01-30 2019-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Terminal for connecting to bus-bar and connecting structure of bus-ba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8483A1 (en) * 2015-06-16 2018-05-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Assembled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096A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4776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heat shrinkable tube
US11139539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KR102058689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KR102619201B1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KR101509474B1 (en)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art
JP3940342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2022393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2021501457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busbar
KR20130105596A (en) Power storage module
CN108140771B (en) Terminal arrangement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JP7258410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same
KR101736377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1984612B2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module housing
KR102813933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411256B1 (en) Module Assembly having the same
ES3035869T3 (en)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including same
JP7546678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4184706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3034775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4003912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16157949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523946B1 (en) Busbar fram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