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26138B1 - Fabry-Perot wide angle resonator - Google Patents
Fabry-Perot wide angle reson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26138B1 KR102826138B1 KR1020160167057A KR20160167057A KR102826138B1 KR 102826138 B1 KR102826138 B1 KR 102826138B1 KR 1020160167057 A KR1020160167057 A KR 1020160167057A KR 20160167057 A KR20160167057 A KR 20160167057A KR 102826138 B1 KR102826138 B1 KR 1028261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lective surface
- layer
- perot
- fabry
- w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54—Non-comb or non-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81—Special shape reson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01P7/105—Multimode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사이에 음굴절을 보이는 하나 이상의 음굴절 층; 및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사이에 양굴절을 보이는 하나 이상의 양굴절 층;을 더 포함하고, 소정의 파장 영역에서 넓은 입사각 범위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negative refractive layer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at least one positive refractive layer exhibiting positiv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sonates over a wide incident angle range in a predetermined wavelength reg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넓은 입사각 또는 방출각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패브리-페로(Fabry-Perot) 광각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having nearly the same resonant frequency for a wide incident or emission angle.
패브리-페로 공진 파장이란, 두 개의 거울을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하여 두 거울 사이에서 빛이 반복하여 반사되어, 왕복하는 빛의 경로의 길이가 빛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는 경우, 보강 간섭이 발생하는 파장을 말한다. The Fabry-Perot resonance wavelength is the wavelength at which constructive interference occurs when two mirrors are placed facing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and light is repeatedly reflected between the two mirrors, so that the length of the round-trip path of the light is an integer multiple of the wavelength of the light.
이 때, 두 거울은 각각 위상 지연을 가질 수 있으며, 3차원 공간에서 반복하여 반사되는 빛이 가지는 위상 지연은 거울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상 지연을 가질 수 있고(평행 방향 공진 모드, longitudinal resonance mode), 뿐만 아니라 거울과 평행한 방향에 수직하는 두 방향에 대하여도 위상 지연을 가질 수 있다(수직 방향 공진 모드, transverse resonance mode). 통상 패브리-페로 공진기는 서로 다른 수직 방향 공진 모드들이 각기 다른 공진 파장을 가지므로, 공진에 의한 흡광 효율의 향상이나 자발 방출 효율의 향상 등의 물리적 현상이 서로 다른 파장에서 나타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wo mirrors can each have a phase delay, and the phase delay of the light repeatedly reflected in three-dimensional space can have a phase delay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irrors (longitudinal resonance mode), and can also have a phase delay for two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irrors (transverse resonance mode). Typically, since the different vertical resonance modes of the Fabry-Perot resonator have different resonance wavelengths, physical phenomena such as the improvement of absorption efficiency due to resonance or the improvement of spontaneous emission efficiency appear at different wavelengths.
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세기는 일정하나, 위상이 거리에 따라 비례하여 지연되는 모드에서 흡광 소자의 경우, 공진기 외부에서 거울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입상광으로 여기될 수 있고, 발광소자의 경우, 기울어진 방출광을 여기할 수 있다. 이때, 기울진 각도에 따라 그 공진 파장이 상이하므로, 소자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n a mode where the intens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nstant but the phase is delayed proportionally with distance, in the case of an absorptive element, the light can be excited with an inclined incident light with respect to the normal direction of the mirror from outside the resonator, and in the case of a light-emitting element, the inclined emission light can be excited. In this case, since the resonance wavelength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clined ang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element is degraded.
예컨대, OLED 기반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시야각이 커지면 빛의 세기가 감소하거나, 빛의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수직 방향 공진 모드에 관계없는, 입사각 또는 방출각에 관계 없이 거의 동일한 공진 파장을 가지는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를 필요로 한다.For example, in OLED-based display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viewing angle increases, the light intensity decreases or the color of the light appears different.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that has almost the same resonance wavelength regardless of the incident or emission angle and regardless of the vertical resonance mode is requir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사각에 관계 없이 작동하는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by providing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that operates regardless of the angle of incidenc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사이에 음굴절을 보이는 하나 이상의 음굴절 층; 및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사이에 양굴절을 보이는 하나 이상의 양굴절 층;을 더 포함하고, 소정의 파장 영역에서 넓은 입사각 범위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comprises a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negative refractive layer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at least one positive refractive layer exhibiting positiv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sonates in a wide incident angle range in a predetermined wavelength region.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평행 방향 모드에서 다수의 수직 방향 모드가 거의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입사각이나 방출각에 따라 공진 주파수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태양전지,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아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레이저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마이크로 웨이브와 같은 가시광선 이외의 전자기파는 물론 음파에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in which a plurality of perpendicular modes in a specific parallel directional mode have almost the same resonant frequency has little change in resonant frequency depending on the incident angle or the emission angle, and therefore can be usefully used in solar cells, light-emitting diode (LED) displays,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s, lasers, and the like, and can also be used for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visible light such as microwaves as well as sound wav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실시예에 따른 광 결정을 이용한 음굴절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광 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실시예에 따른 부정 부호 유효 유전율 텐서(indefinite effective permittivity tensor)를 가지는 메타 물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실시예에 따른 음굴절을 보이는 메타표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hotonic crystal structure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negative refractive layer using a photonic crystal according to a parti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amaterial having an indefinite effective permittivity tensor according to a parti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asurface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a parti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패브리-페로 공진 파장이란, 두 개의 거울을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하여 두 거울 사이에서 빛이 반복하여 반사되어, 왕복하는 빛의 경로의 길이가 빛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는 경우, 보강 간섭이 발생하는 파장을 말한다. The Fabry-Perot resonance wavelength is the wavelength at which constructive interference occurs when two mirrors are placed facing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and light is repeatedly reflected between the two mirrors, so that the length of the round-trip path of the light is an integer multiple of the wavelength of the light.
패브리-페로 공진 조건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The Fabry-Perot resonance condition can be describ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공진기 내부에 진공이 아닌 굴절율을 가지는 매질을 포함하는 경우, 매질의 굴절률에 의하여 매질 내의 파장은 진공에서의 파장과 상이하므로, 상기 수학식은 파장이 아닌 파수(wave number)를 이용하여 작성되었고, m이 정수일 때가 공진 조건이 된다.When a medium having a refractive index other than vacuum is included inside the resonator, the wavelength inside the medium is different from the wavelength in vacuum due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dium, so the above mathematical formula is written using wave numbers rather than wavelengths, and the resonance condition is when m is an integer.
패브리-페로 공진기에 사용되는 두 개의 거울 중 하나 또는 두 개 모두가 반사율이 100% 미만이고, 투과율이 0% 초과인 경우, 외부에서 공진기에 도달한 빛은 공진기 내부로 흡수(태양 전지 등의 흡광 소자)되거나, 공진기 내부에서 생성된 빛이 외부로 방출(LED 등의 발광 소자)될 수 있다.If one or both of the two mirrors used in a Fabry-Perot resonator have a reflectivity of less than 100% and a transmittance of greater than 0%, light reaching the resonator from the outside may be absorbed into the resonator (a light-absorbing element such as a solar cell), or light generated inside the resonator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a light-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흡광 소자는 공진기 내부로 입사되는 빛의 파장과 공진 파장이 유사할 경우, 공진 현상에 의하여 더 많은 빛을 흡수하여 흡광 효율이 증가한다. When the wavelength of light incident on the inside of the resonator is similar to the resonant wavelength, the absorption element absorbs more light through the resonance phenomenon, thereby increasing the absorption efficiency.
발광 소자는 발광체의 발광 파장이 공진기의 공진 파장과 일치하는 경우, 퍼셀 효과(Purcell effect)에 의하여 자발 방출 계수(spontaneous emission rate)이 증가하여 빛의 방출 효율이 증가할 수 있고, 발광체에서 공급되는 빛의 양이 흡수되거나 공진기 외부로 방출되는 양에 비해 충분할 경우, 유도 방출(stimulated emission) 현상에 의해 레이저를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emission wavelength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matches the resonant wavelength of the resonator, the spontaneous emission rate increases due to the Purcell effect, which can increase the light emission efficiency. When the amount of light suppli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is sufficient compared to the amount absorbed or emitted outside the resonator, a laser can be implemented by the stimulated emission phenomenon.
패브리-페로 공진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거울을 이용하는 대신, 두 개의 매질의 경계면을 거울을 대신하여 사용하거나, 그레이팅 구조(grating structure) 또는 광 결정 구조(photonic crystal structur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거울은 반사율이 0% 보다 크고 100% 보다 작은 경계면으로 볼 수 있다.Instead of using two mirrors as described above, the Fabry-Perot resonator can use the boundary of two media instead of mirrors, or can use a grating structure or a photonic crystal structure. That is, the mirror can be viewed as a boundary with a reflectivity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00%.
특히 한 쪽 반사면(거울)은 위상이 180도 바뀌는 위상 지연 반사면이고, 다른 한 쪽 반사면(거울)은 위상이 바뀌지 아니하는 거울이면, 왕복 거리가 파장x(정수+0.5)인 경우 보강 간섭이 발생한다. 일반적 표현으로 각 반사면의 위상 지연이 Φ1, Φ2이라 하면, 다음 식을 따른다.In particular, if one reflective surface (mirror) is a phase retardation reflector whose phase is changed by 180 degrees, and the other reflective surface (mirror) is a mirror whose phase is not changed, constructive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round trip distance is wavelength x (integer + 0.5). In general terms, if the phase retardations of each reflective surface are Φ 1 and Φ 2 , the following equation applies.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다수의 수직 방향 공진 모드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공진 파장을 가질 수 있다.The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nearly identical resonance wavelengths for multiple vertical resonance modes.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통상의 매질과 음굴절을 보이는 매질을 이용하여 광각 공진기를 구현한다. 이 때, '음의 굴절률을 가지는 매질'과 '음굴절을 보이는 매질'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The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wide-angle resonator using a normal medium and a medium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In this case, the ‘medium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d the ‘medium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are different concepts.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양 굴절층과 음 굴절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수직 방향 공진 모드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공진 파장을 가진다. 달리 말하면, 넓은 범위 입사각 또는 방출각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공진 파장을 가진다. 양굴절을 보이는 통상의 매질에서의 위상 지연과 음굴절을 보이는 매질에서의 위상 지연이 서로 반대 부호로 나타나야 하며, 양굴절을 보이는 매질과 음굴절을 보이는 매질의 경계면에서 임피던스 차이에 의하여 부분적인 반사가 나타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전체 왕복 위상 지연이 공진 조건을 동일한 파장에서 충족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ve refractive layer and a negative refra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lmost the same resonance wavelength for a plurality of vertical resonance modes. In other words, it has almost the same resonance wavelength for a wide range of incident or emission angles. The phase retardation in a normal medium exhibiting positive refractive index and the phase retardation in a medium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should have opposite signs, and considering that partial reflection may occur due to the impedance differenc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medium exhibiting positive refractive index and the medium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the entire round-trip phase retardation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resonance condition is satisfied at the same waveleng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의 구조도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structural diagram of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제1 반사면, 제2 반사면, 음굴절 층 양굴절층을 포함한다.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reflective surface, a second reflective surface, a negative refractive layer and a positive refractive layer.
상기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은 ① 전도성이 있는 금속성 물질로 만들어진 거울, ② 그레이팅 구조, 광 결정 구조로 만들어진 거울, ③ 임피던스가 다른 두 매질의 경계면을 반사면으로 하는 거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abov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surfaces may be any one of ① a mirror made of a conductive metallic material, ② a mirror made of a grating structure or a photonic crystal structure, and ③ a mirror that uses the boundary of two media with different impedances as a reflective surface.
상기 제1 반사면과 제2 반사면 사이에 상기 음굴절 층 및 상기 양굴절 층이 존재하며, 상기 음굴절 층에 인접하는 제1 매질에 의하여 상기 제1 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양굴절 층에 인접하는 제2 매질에 의하여 상기 제2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negative refractive layer and the positive refractive layer exist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can be formed by a first medium adjacent to the negative refractive layer,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can be formed by a second medium adjacent to the positive refractive layer.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사이에 존재하는 층은 2개 이상일 수 있다.There may be two or more layers present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도 1(b)는 제2 반사면, 음굴절 층, 양굴절 층, 음굴절 층, 제1 반사면 순서로 적층된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나타내고, 도 1(c)는 제2 반사면, 양굴절 층, 음굴절 층, 양굴절 층, 제1 반사면 순서로 적층된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나타내고, 도 1(d)는 제2 반사면, 양굴절 층, 음굴절 층, 양굴절 층, 음굴절 층, 제1 반사면 순서로 적층된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나타낸다. 상술한 적층 순서 및 적층된 층의 수는 예시적인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FIG. 1(b) shows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laminated in the order of a second reflective surface, a negative refractive layer, a positive refractive layer, a negative refractive layer, and a first reflective surface, FIG. 1(c) shows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laminated in the order of a second reflective surface, a positive refractive layer, a negative refractive layer, a positive refractive layer, and a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FIG. 1(d) shows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laminated in the order of a second reflective surface, a positive refractive layer, a negative refractive layer, a positive refractive layer, a negative refractive layer, and a first reflective surface. The above-described stacking order and the number of stacked layers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양굴절 층 및 음굴절 층은, 각각이 여러 개의 적층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양굴절 층 및 음굴절 층은 밴드 갭이 상이한 서로 다른 반도체 물질들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특히 음굴절 층(음굴절을 보이는 층)은 광 결정 구조, 3차원 메타 물질 및 메타 표면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ve refractive layer and the negative refractive layer may each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For example, the positive refractive layer and the negative refractive lay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different semiconductor materials having different band gaps are laminated. In particular, the negative refractive layer (a layer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may be formed using a photonic crystal structure, a three-dimensional metamaterial, and a metasurface.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실시예에 따른 광 결정을 이용한 음굴절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광 결정 구조의 역격자 공간을 나타낸다.FIG. 2 shows the reciprocal lattice space of a photonic crystal structure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negative refractive layer using a photonic crystal according to a parti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차원 구조체가 목표 파장의 반 파장 수준의 주기로 반복되어 형성된 결정은 각 단위 구조에서 산란되는 빛의 상쇄 간섭 및 보강 간섭에 의하여 독특한 광학적 특성이 나타나는 복합 구조 매질을 광 결정(photonic crystal)이라 한다. 이러한 광 결정 구조에서 음굴절 현상이 나타난다. 구체적인 밴드 엣지 근방에 나타나는 음굴절 현상과 상위 밴드에서 밴드 중심(감마 포인트) 근방에서 나타나는 음굴절 현상이 있다.A photonic crystal is a composite structural medium in which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formed by repeating at a period of half the wavelength of the target wavelength, and which exhibits unique optical properties due to destructive interference and constructive interference of light scattered from each unit structure. The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occurs in this photonic crystal structure. There is a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that appears near a specific band edge and a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that appears near the band center (gamma point) in the upper band.
도 2는 격자 구조의 역격자 공간에서 브릴루앙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중심인 감마 포인트에서 가장 먼 점, 예컨대, 도 2(a)의 입방 결정에 R 근방이나, 체심 입방 결정에서 H 근방 또는 면심 입방 결정에서 X 근방에서 첫 번째 밴드 및 두 번째 밴드의 모드들이 음굴절을 보이는데, 이를 밴드 엣지 근방에서의 음굴절 현상이라 한다.Figure 2 illustrates the Brillouin zone in the reciprocal lattice space of the lattice structure. At the point farthest from the central gamma point, for example, near R in a cubic crystal in Figure 2(a), near H in a body-centered cubic crystal, or near X in a face-centered cubic crystal, the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exhibit negative refraction, which is called the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near the band edge.
상술한 첫 번째 밴드 및 두 번째 밴드인 하위 밴드에서는 감마 포인트에 가장 먼 점 근방에서 음굴절 현상이 나타나지만, 상위 밴드(예컨대, 세 번째 밴드)에서는 감마 포인트를 중심으로 그 근 방에서 음굴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입방 결정, 체심 입방 결정, 면심 입방 결정에서는 모두 세 번째 밴드의 감마 포인트 근방에서 음굴절 현상이 나타난다.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which are the lower bands described above, the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appears near the point farthest from the gamma point, but in the upper band (e.g., the third band), the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can appear near the gamma point. In the cubic crystal, the body-centered cubic crystal, and the face-centered cubic crystal illustrated in Fig. 2, the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appears near the gamma point of the third band.
3차원 구조체가 특정 파장의 반파장보다 작은 수준의 간격으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반복되고, 각 단위 구조체가 특정 파장에 공진 현상을 가지는 경우, 공진 파장 근방 또는 다른 파장에서 독특한 광학적 특성이 나타나는 복합 매질을 메타 물질(metamaterial)이라 하는데, 메타 물질을 이용하여 음굴절 층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repeat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at intervals smaller than half a wavelength of a specific wavelength, and each unit structure has a resonance phenomenon at a specific wavelength, the composite medium that exhibits unique optical properties near the resonance wavelength or at other wavelengths is called a metamaterial, and a negative refractive layer can be formed using a metamaterial.
구체적으로 전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유전율 또는 투자율의 부호가 바뀌는 부정부호 메타물질을 이용하여 음굴절 층을 형성할 수 있고, 유전율과 투자율이 모두 음의 값을 가지는 이중 네거티브 메타물질을 이용하여 음굴절 층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a negative refractive layer can be formed using a negative sign metamaterial in which the sign of the permittivity or permeability chang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and a negative refractive layer can be formed using a double negative metamaterial in which both the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have negative values.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실시예에 따른 부정 부호 유효 유전율 텐서(indefinite effective permittivity tensor)를 가지는 메타 물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amaterial having an indefinite effective permittivity tensor according to a parti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타 물질의 유효 유전은 일반적으로 2차원 텐서인데, 이를 행렬로 표현할 때, 그 행렬이 부정 부호 행렬이 되는 경우, 부정 부호 메타 물질이라 한다. The effective dielectric of a metamaterial is generally a two-dimensional tensor. When this is expressed as a matrix, if the matrix becomes a negated matrix, it is called a negated metamaterial.
도 3에 도시된 와이어(도 3(a)), 박막(도 3(b)), 타원 회전체(도 3(c)) 부분은 유전율의 실수 부분이 음수인 전도체 부분이며, 그 주변은 유전율의 실수 부분이 양수인 유전체 부분을 의미한다. 전도체 물질의 유전율 실수 부분의 절대값이 유전체 물질의 유전율 실수 부분의 절대값보다 훨씬 클 경우, 도 3(a)의 전도체 와이어 형상은 와이어에 평행한 방향의 전기장에 대하여 유효 유전율이 음수이고, 와이어에 수직인 평면상의 전기장에 대하여 유효 유전율이 양수일 수 있다. 와이어를 거울면에 수직이 되도록 배열하면, 음굴절 현상이 나타난다.The wire (Fig. 3(a)), thin film (Fig. 3(b)), and elliptical solid of revolution (Fig. 3(c)) portions illustrated in Fig. 3 are conductive portions whose real part of permittivity is negative, and the surrounding area means a dielectric portion whose real part of permittivity is positive.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much larg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material, the conductive wire shape of Fig. 3(a) can have an effective permittivity that is negative for an electric fiel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re, and an effective permittivity that is positive for an electric fiel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ire. When the wires are arranged perpendicular to a mirror surface, a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occurs.
전도체 물질의 유전율 실수 부분의 절대값이 유전체 물질의 유전율 실수 부분의 절대값보다 상당히 큰 값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 전도체 물질과 유전체 물질의 부피비와 전도체 물질의 형상에 의하여 방향에 따른 유효 유전율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와이어에 평행한 방향의 전기장에 대하여 유효 유전율이 양수이고, 와이어에 수직인 평면상의 전기장에 대하여 유효 유전율이 음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체 물질의 유전율 실수 부분의 절대값이 작은 경우에는 와이어를 대신하여 반사면에 평행한 박막(도 3(b)) 적층 구조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의 음굴절 현상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material, the effective permittivity may differ in the direction depending on the volume ratio of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dielectric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conductive material. In particular, the effective permittivity may be positive for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wire, and negative for an electric fiel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i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small, a thin film (Fig. 3(b)) laminated structure parallel to the reflective surface can be used instead of the wire to cause the negative refractive phenomenon in the desired direction.
도 3(c)는 와이어와 박막 대신, 반사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열한 타원 회전체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타원 기둥, 사각기둥, 육각기둥일 수 있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FIG. 3(c) shows an elliptical body of revolution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reflective surface instead of a wire and a thin film, but this may be an elliptical column, a square column, or a hexagonal colum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3(c)의 구조에서 전도체의 길이에 따라 반사면의 수직 방향의 공진 파장보다 짧은 파장에서 유전율의 실수 부분이 음수일 수 있으므로, 음굴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Fig. 3(c), since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may be negative at a wavelength shorter than the resonant wave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flective surfac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conductor, a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may occur.
메시(Mesh) 구조(그물망 구조)의 메타물질을 이용하면 가시광선 영역에서 유효 투자율(permeability)의 실수 부분이 음수이고, 유효 유전율(permittivity)의 실수 부분도 음수인 매질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자율과 유전율의 실수 부분이 모두 음인 이중 네거티브 메타물질을 이용하여 음굴절 현상을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이중 네거티브 물질은 상기 메시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By using a metamaterial with a mes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medium in which the real part of the effective permeability is negative in the visible light range and the real part of the effective permittivity is also negative. In this way, a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can be exhibited by using a double negative metamaterial in which the real parts of both the permeability and the permittivity are negative. The above double negative material can also be implemented using a structure other than the above mesh structure.
특정 파장보다 작은 수준의 높이를 가지는 구조체가 평면 상에서 상기 특정 파장의 반파장보다 작은 수준의 간격으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반복하고, 상기 구조체의 형상과 반복적인 주기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나타나는데, 공진 파장 주변 또는 다른 파장에서 독특한 광학적 특성이 나타나는 복합표면을 메타표면(metasurface)라 한다. 메타표면을 이용하여 음굴절 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A metasurface is a composite surface in which a structur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a specific wavelength is repeated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on a plane at an interval smaller than half a wavelength of the specific wavelength, and a resonance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shape and repeating period of the structure, and unique optical properties are exhibited around the resonance wavelength or at other wavelengths. The negative refraction phenomenon can be implemented using a metasurface.
메타표면은 파장보다 작은 수준의 높이를 가지는 표면 구조를 가지므로, 얇은 두께로 인하여 빛의 경로를 보기 어려워, 통상적인 '굴절률'을 쉽게 관측하기 어려울 수 있어, 메타표면에서의 음굴절은 하술하는 바와 같이 엄밀하게 정의한다.Since the metasurface has a surface structure with a height smaller than the wavelength, it is difficult to see the path of light due to its thin thickness, and it may be difficult to easily observe the usual 'refractive index', so the negative refraction in the metasurface is strictly defined as described below.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입사각 θ의 각도(0≤?<90°) 방향으로 메타표면에 도달하는 입사파가 표면표면을 통과하여 투과파가 되는 상황을 고려하자. 반파장 보다 작은 단위 구조체가 균일하게 배치된 메타표면의 경우 입사파가 균일 평면파(uniform plane wave)이면, 투과파도 균일 평면파가 된다. Consider the situation where an incident wave that reaches the meta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incident angle θ (0≤?<90°) from the surface norm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surface and becomes a transmitted wave. In the case of a metasurface in which unit structures smaller than half a wavelength are uniformly arranged, if the incident wave is a uniform plane wave, the transmitted wave also becomes a uniform plane wave.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실시예에 따른 음굴절을 보이는 메타표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asurface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a parti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타표면 상의 점 중에서 입사파 쪽에 위치하는 점 A와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메타표면의 두께만큼 점 A와 떨어진 점 B가 있다. 점 B의 투과파의 위상으로부터 점 A의 입사파의 위상을 뺀 값을 "메타표면에서의 위상 지연"이라 하고, 상기 위상 지연에 대하여, 입사각이 증가함에 따라 위상 지연이 감소하면 양굴절 메타표면이라 하고, 입사각이 증가함에 따라 위상 지연이 증가하면 음굴절 메타표면이라 한다.Among the points on the metasurface, there is a point A located on the incident wave side and a point B locat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and separated from the point A by the thickness of the metasurface.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hase of the incident wave at point A from the phase of the transmitted wave at point B is called the “phase lag on the metasurface.” If the phase lag decreases as the incident angle increases, it is called a positive refractive metasurface, and if the phase lag increases as the incident angle increases, it is called a negative refractive metasurface.
음굴절 층 및 양굴절 층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N개의 층이 제1 반사면과 제2 반사면에 삽입된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의 공진 조건은 다음과 같다.The resonance conditions of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in which N layers including at least one negative refractive layer and one positive refractive layer are inserted into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re as follows.
는 p층에서의 파수를 의미하고, 는 p층의 높이를 의미한다. N은 전체 층의 수이다. means the wavenumber in the p layer, represents the height of the p layer. N is the total number of layers.
상술한 바와 같이 입사각 θ에 따라 파수 가 변화하고, 이는 음굴절 층 또는 양굴절 층의 광학 특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입사각 에 따른 와 높이 를 층별로 조절함으로써, 입사각 θ에 무관하게 값이 일정하게 되도록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를 설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venumber depends on the angle of incidence θ. changes, and this is determ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negative or positive refractive layer, so it depends on the angle of incidence. Wow height By controlling it layer by layer, regardless of the angle of incidence θ,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s can be designed so that the values are constant.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는 실제 각 층의 경계면에서 반사가 존재하고, 입사각 θ에 따른 의 값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음굴절 층 또는 양굴절 층의 구조 선택과 두께 선택은 간단히 구할 수는 없고, 전달 행렬법(transfer matrix method) 또는 유한 차분 시간 영역 방법(finite difference time-domain Method)에 의하여 적절한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The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reflections at the boundaries of each layer and according to the angle of incidence θ. Since the values of can appear in various ways, the structure selection and thickness selection of the negative or positive refractive layer cannot be simply obtained, and an appropriate structure can be selected by the transfer matrix method or the finite difference time-domain method.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obvious that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patent claims.
Claims (8)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사이에 음굴절을 보이는 하나 이상의 음굴절 층; 및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 사이에 양굴절을 보이는 하나 이상의 양굴절 층;
을 포함하는
소정의 파장 영역에서 넓은 입사각 범위에서 공진하는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로서,
상기 음굴절 층은 광 결정 구조, 3차원 메타 물질, 및 메타 표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
In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comprising a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One or more negative refractive layers exhibit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At least one bi-refractive layer exhibiting positive refraction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Including
A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that resonates over a wide range of incidence angles in a given wavelength range.
The above-mentioned negative refractive layer is formed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photonic crystal structure, a three-dimensional metamaterial, and a meta surface.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상기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은,
그레이팅 구조 또는 광 결정 구조로 만들어진 반사면인 것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surfaces are,
A reflective surface made of a grating structure or a photonic crystal structure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상기 제1 반사면 위에 존재하는 제1 반사층; 및
상기 제2 반사면 아래에 존재하는 제2 반사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층은,
상기 제1 반사면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 층과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가지고,
상기 제2 반사층은,
상기 제2 반사면 바로 위에 존재하는 층과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제1 반사층과 상기 제1 반사면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 층의 경계면이고,
상기 제2 반사면은,
상기 제2 반사층과 상기 제2 반사면 바로 위에 존재하는 층의 경계면인 것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
In the first paragraph,
A first reflective layer pres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A second reflective layer present beneath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Including more,
The above first reflective layer is,
Having a different impedance from the layer existing directly below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The above second reflective layer is,
It has a different impedance from the layer existing directly above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The above first reflective surface is,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the layer existing directly below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The above second reflective surface is,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and the layer existing directly above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상기 음굴절 층은,
3차원 구조의 광 결정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광 결정 구조체는,
특정 파장의 반 파장 수준의 주기로 반복되어 형성된 결정을 단위 구조로 하고,
상기 단위 구조는,
입방 결정 구조, 체심 입방 결정 구조, 면심 입방 결정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negative refractive layer is,
It is composed of a three-dimensional photonic crystal structure,
The above photonic crystal structure is,
The unit structure is a crystal formed by repeating a cycle at the level of a half wavelength of a specific wavelength,
The above unit structure is,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cubic crystal structure, a body-centered cubic crystal structure, and a face-centered cubic crystal structure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상기 음굴절 층은,
상기 제2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제외한 음굴절 층 부분은 유전율의 실수 부분이 양수인 유전체로 채워지는 3차원 메타 물질이고,
상기 전도체 물질의 유전율의 실수 부분은 음수이고,
상기 전도체 물질의 실수 부분의 절대값이 상기 유전체의 유전율의 실수 부분의 절대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negative refractive layer is,
A three-dimensional metamaterial in which a wi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negative refractive layer excluding the wire is filled with a dielectric having a positiv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above conductive material is negat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great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상기 음굴절 층은,
제2 반사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박막 및 상기 박막을 제외한 음굴절 층 부분은 유전율의 실수 부분이 양수인 유전체로 채워지는 3차원 메타 물질이고,
상기 전도체 물질의 유전율의 실수 부분은 음수이고,
상기 전도체 물질의 실수 부분의 절대값이 상기 유전체의 유전율의 실수 부분의 절대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negative refractive layer is,
A three-dimensional metamaterial comprising a thin film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a negative refractive layer portion excluding the thin film filled with a dielectric having a positive real part of permittivity,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above conductive material is negat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small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상기 음굴절 층은,
상기 제2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제외한 음굴절 층 부분은 유전율의 실수 부분이 양수인 유전체로 채워지는 3차원 메타 물질이고,
상기 전도체 물질의 유전율의 실수 부분은 음수이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음굴절 층 내에서, 제2 반사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2이상 일직선상에 분리되어 배열되고, 그 길이가 공진 파장보다 짧은 것이고,
상기 전도체 물질의 실수 부분의 절대값이 상기 유전체의 유전율의 실수 부분의 절대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negative refractive layer is,
A three-dimensional meta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wire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negative refractive layer excluding the wires filled with a dielectric having a positiv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above conductive material is negative,
The above wire,
Within the above-mentioned negative refractive layer, two or more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their lengths are shorter than the resonant wavelength.
characterized in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great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real part of th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상기 음굴절 층은 하나이고,
상기 양굴절 층은 하나이고,
각 층의 입사각 θ에 대한 파수와 높이의 곱을 산출하여
산출한 곱의 합이 일정하도록 각 층을 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리-페로 광각 공진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negative refractive layer is one,
The above refractive layer is one,
Calculate the product of wavenumber and height for the angle of incidence θ at each layer.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height of each layer so that the sum of the products produced is constant.
Fabry-Perot wide-angle resonato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7057A KR102826138B1 (en) | 2016-12-08 | 2016-12-08 | Fabry-Perot wide angle reson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7057A KR102826138B1 (en) | 2016-12-08 | 2016-12-08 | Fabry-Perot wide angle resona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65788A KR20180065788A (en) | 2018-06-18 |
| KR102826138B1 true KR102826138B1 (en) | 2025-06-27 |
Family
ID=6276811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67057A Active KR102826138B1 (en) | 2016-12-08 | 2016-12-08 | Fabry-Perot wide angle resona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261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703374B (en) * | 2019-11-05 | 2025-05-16 | 苏州大学 | Optical dielectric metal metagrating based on Fabry-Perot resonance |
| KR102358017B1 (en) * | 2020-12-30 | 2022-02-08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ctromagnetic metamaterial absorber composed with parallelogram pixels |
| CN113808568B (en) * | 2021-08-27 | 2024-06-14 | 哈尔滨工程大学 | Multi-frequency acoustic super surface capable of regulating and controlling refraction angle of underwater acoustic wave |
| CN115693165B (en) * | 2022-10-18 | 2025-07-22 | 同济大学 | Multilayer broadband tunable anti-reflection impedance matching method and super-surface structur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35709B1 (en) | 1993-04-30 | 2002-08-21 |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 Photodetector with a resonant cavity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658037B2 (en) * | 2001-04-11 | 2003-12-02 | Eastman Kodak Company | Incoherent light-emitting device apparatus for driving vertical laser cavity |
| KR20120075182A (en) * | 2010-12-28 | 2012-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Optical modulator using multiple fabry-perot resonant modes and 3d image acquisition apparatus |
| KR101941170B1 (en) * | 2011-12-12 | 2019-0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Transmissive image modulator using multi Fabry-Perot resonant modes and multi absorption modes |
-
2016
- 2016-12-08 KR KR1020160167057A patent/KR1028261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35709B1 (en) | 1993-04-30 | 2002-08-21 |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 Photodetector with a resonant cavit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65788A (en) | 2018-06-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826138B1 (en) | Fabry-Perot wide angle resonator | |
| Banerjee | Enhanced refractometric optical sensing by using one-dimensional ternary photonic crystals | |
| JP5671455B2 (en) | Optical metapolarizer device | |
| JP6112708B2 (en) | Metamaterial | |
| US10036839B2 (en) | Direction-selective interferometric optical filter | |
| US9513415B2 (en) | Optical filter configured to transmit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 |
| CN103364955A (en) | Planar optical element and design method thereof | |
| EP2617079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 |
| US9880336B2 (en) |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photoluminescent layer | |
| EP3171204A1 (en) | Electromagnetic wave reflector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US10458623B2 (en) | Optical device comprising light reflection film | |
| JP2015191230A (en) | resonant element | |
| US20130269508A1 (en) | Shock wave barrier using multidimensional periodic structures | |
| JP2016051162A (en) | Retardation plate with periodic asymmetric openings in metal film | |
| CN106486574A (en) | Possesses the light-emitting component of photoluminescent layers | |
| JPWO2009072573A1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 KR20190040442A (en) | Quantum dot light modulator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 CN115986033A (en) | Synchrotron radiation orthogonal linearly polarized light resonant cavity light-emitting diode | |
| JP7474203B2 (en) | Spectral filter including at least two coupled Fabry-Perot structures - Patent Application 20070123333 | |
| WO2021115069A1 (en) | Broadband reflector and electromagnetic wave reflection method | |
| JP6333122B2 (en) | Metal slit array | |
| JP2021124683A (en) | Optical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optical devices | |
| Huang et al. | Investigation of omnidirectional reflection band in ZnTe/ZnSe distributed Bragg reflector | |
| TWI395348B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 |
| KR20190049374A (en) | Optical modulating devic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