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27511B1 -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 Google Patents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27511B1 KR102827511B1 KR1020240177017A KR20240177017A KR102827511B1 KR 102827511 B1 KR102827511 B1 KR 102827511B1 KR 1020240177017 A KR1020240177017 A KR 1020240177017A KR 20240177017 A KR20240177017 A KR 20240177017A KR 102827511 B1 KR102827511 B1 KR 1028275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
- module
- modules
- headwall
- receiv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or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nesting or sta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은 침대 및 상기 침대와 벽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복수개의 모듈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여,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은 어느 장소에서든 병실(중환자실, 응급실 포함) 내 의료 및 진료(또는 간병활동)시 필요한 부수설비로서 의료용 산소공급 포트 모듈, 콘센트 모듈, 스위치 모듈, 진공포트 모듈, 랜선포트 모듈, 선반이나 수납장 모듈, 보관함 모듈, 모니터링 모듈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 복지 시설, 가정집 또는 요양시설 등에 선택적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수요자의 선택권을 확장시키고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헤드월에 고정된 침대를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어 침대의 이용이 필요한 경우에 보조자는 언제든 편리하게 침대를 헤드월에서 탈거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어 불편하게 침대에서 침대 이용자를 옮기지 않아도 되어 시간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in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in a senior welfare facility includes a main frame having a bed and a plurality of modules that are selectively attached or detached between the bed and a wall, and the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in a senior welfare facility can provide medical oxygen supply port modules, outlet modules, switch modules, vacuum port modules, LAN port modules, shelf or storage modules, storage modules, and monitoring modules as auxiliary facilities necessary for medical treatment (or nursing activities) in a ward (including an intensive care unit or an emergency room) at any location, and therefore can be selectively and easily installed in senior welfare facilities, homes, or nursing facilities, thereby expanding the choices of users and providing convenience, and since the bed fixed to the headwall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when the use of the bed is necessary, an assistant can conveniently detach or attach the bed from the headwall at any time, and thus there is no need to move the bed user from the bed inconveniently, thereby reducing time and manpower, and thus reducing costs.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이용자 편의를 위한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examples below relate to a smart bed headwall system that is easy to expand into modules for the convenience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며 실버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분야로는 의료기관 또는 요양기관의 설립과 이를 이용하는 고령자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s we enter an aging society, the silver industry is growing rapidly. In this regard,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institutions or nursing facilities and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using them are rapidly increasing.
이에 따라 요양기관 또는 병원 등에서는 노인 복지를 위해 다양한 역?l을 하고 있으며, 특히 모듈라 헤드월 시스템(Medical modular headwall system, 이하 '헤드월 시스템'이라 함) 또는 웰 케어 유니트(Well care unit for medical)를 치료나 의료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노인들을 케어하기에 부족함이 없다.Accordingly, nursing homes and hospitals are playing various roles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and in particular, they are using the modular headwall system (Medical modular headwall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headwall system') or well care unit (Well care unit for medical) for treatment or medical purposes, so there is no shortage of care for the elderly.
이러한 헤드월 시스템은 시설물들이 하나로 조합된 세트 장(欌)로서 수납장 형태로 구비되어 병원이나 요양소의 침대 머리맡에 설치된다. 또, 모듈라 헤드월 시스템은 의료장비의 운용을 위해 전기 공급부가 구비되고, 치료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가스 공급부 등이 부가적으로 구비된다.These headwall systems are a set of facilities combined into one, and are installed in the form of a storage cabinet at the head of a bed in a hospital or nursing home. In addition, the modular headwall system is equipped with an electric supply section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and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gas supply section used for treatment purposes.
그러나, 실버산업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그 관리 체계에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은 것이 실정이며, 실례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용자)을 장시간 방치하여 운동신경이 더욱 둔화되거나, 몸에 욕창이 생기는 등 요양기관으로서의 제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However, as the silver industry is growing rapidly, there are still many shortcomings in its management system. For example, there are problems such as cases where elderly people (users) with limited mobility are left unattended for long periods of time, which further slows down their motor skills or causes bedsores to form, preventing the facility from fulfilling its role as a nursing home.
이에 따라 이용자 및 보호자들은 요양기관 외에 이용자가 제약 없이 활동이 가능하고 보호자도 언제든지 접촉하 수 있는 다른 장소(예, 집 등)에서 요양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지만 다른 장소에 헤드월 시스템을 모두 갖추기 위한 장비와 설치 공간 확보하는데 비용과 공간적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로 요양기관 외에 선택권이 없는 것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Accordingly, there are cases where users and their guardians want to receive treatment in other places (e.g., home, etc.) other than nursing facilities where users can move around without restrictions and guardians can contact them at any tim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choose a nursing facility due to the cost and space constraints in securing equipment and installation space to fully equip another location with the headwall system.
실시예들은 이용자 및 보호자들은 요양기관 외에 이용자가 제약 없이 활동이 가능하고 보호자도 언제든지 접촉하 수 있는 다른 장소(예, 집 등)에서 요양할 수 있도록 하여 요양기관 외에 선택권을 확장시킬 수 있는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embodiments provide a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to senior welfare facilities that can expand options beyond nursing homes by allowing users and their guardians to receive care in other locations (e.g., home, etc.) where users can move around without restrictions and their guardians can contact them at any time.
본 발명은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은 침대 및 상기 침대와 벽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복수개의 모듈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The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includes a main frame equipped with a bed and a plurality of modules that are selectively attached or detached between the bed and a wall.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모듈이 수용되게 일부가 개구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상기 수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와 상호 마주하게 상기 수용부 내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모듈이 삽입되는 선단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모듈을 가이드하는 모듈 슬라이딩바가 포함되어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 모듈매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frame may include a housing,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portion opened to receive the module in the housing, and an opening/closing door that slides in the receiv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portion, each facing each other and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nd a module sliding bar having a groove formed at a tip into which the module is inserted to guide the module, and at least one module embedd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또한, 상기 모듈은, 상기 수용부를 덮는 모듈 패널과, 상기 모듈 패널에 상기 모듈 슬라이딩바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고정바와 근접하여 상기 요홈에 후크 걸림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가 돌출된 상기 모듈 패널 일편의 반대편인 상기 모듈 패널의 타편에서 상기 후크부재를 가압하는 가압공과 상기 후크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가압공과 상기 후크부재 사이에서 상기 후크부재를 회전시키는 힌지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having a module panel covering the receiving portion, a hook member that is hooked into the groove by being close to a fixing bar that slides along the module sliding bar on the module panel, a pressurizing hole that presses the hook member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panel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module panel from which the hook member protrude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ok member, and a hinge that rotates the hook member between the pressurizing hole and the hook member.
또한, 상기 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여 후크형상으로 연장된 커넥터가 구비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커넥터의 일부가 인입되는 제1삽입구와 근접하여 수용구가 형성된 제2삽입구를 연결하는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삽입구와 상기 제2삽입구에 각각 돌출되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가압구와 제2가압구 중 어느 하나의 작동으로 타측의 가압구를 상승 및 하강시키며 상기 커넥터를 고정 및 해제하는 가압브라켓이 구비된 침대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d fixing means may include a fixing bracket having a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the bed,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extending in a hook shape toward the main frame, and a first insertion port into which a part of the connector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port having a receiving port formed close to the first insertion port,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port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a pressure bracket that raises and lowers the pressure port on the other side by the operation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ports, and fixes and releases the connector.
또한, 상기 침대 고정수단은, 상기 제2삽입구 내부의 상기 제2가압구를 향하여 회전하는 제1패널과 제2패널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패널이 상기 제2가압구를 일부 덮는 개폐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fixing means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panel having a first panel and a second panel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which rotate toward the second pressure port inside the second insertion port, so that the second panel partially covers the second pressure port.
실시예들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은 어느 장소에서든 병실(중환자실, 응급실 포함) 내 의료 및 진료(또는 간병활동)시 필요한 부수설비로서 의료용 산소공급 포트 모듈, 콘센트 모듈, 스위치 모듈, 진공포트 모듈, 랜선포트 모듈, 선반이나 수납장 모듈, 보관함 모듈, 모니터링 모듈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 복지 시설, 가정집 또는 요양시설 등에 선택적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수요자의 선택권을 확장시키고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mart bed head wall system, which is easy to expand into modules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embodiments, can provide medical oxygen supply port modules, outlet modules, switch modules, vacuum port modules, LAN port modules, shelf or storage modules, storage modules, and monitoring modules as auxiliary facilities necessary for medical treatment (or nursing activities) in a hospital room (including intensive care units and emergency rooms) at any location, and thus can be easily and selectively installed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homes, or nursing facilities, thereby expanding the choices of users and providing convenience.
또한,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에 따르면, 헤드월에 고정된 침대를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어 침대의 이용이 필요한 경우에 보조자는 언제든 편리하게 침대를 헤드월에서 탈거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어 불편하게 침대에서 침대 이용자를 옮기지 않아도 되어 시간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ar expansion in senior welfare facilities, the bed fixed to the headwal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so when the bed needs to be used, the assistant can conveniently detach or attach the bed to the headwall at any time, so there is no need to inconveniently move the bed user from the bed, which reduces time and manpower, and has the effect of saving costs.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투영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모듈을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의 침대와 메인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C'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D'의 단면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10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of Figure 2.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3 project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dule of Figure 2 from the back.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B-B' of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bed and a main frame of a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in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8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C' in Figure 7.
Figure 9 is a front view of Figure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of 'D-D' of Fig. 8.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10.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rights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such terms should be constru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describing an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illustra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the terms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singular, it includes a case where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there is a specifically explicit description.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When describ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 'upper ~', 'lower ~', 'next to ~', etc.,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right' or 'directly' is used.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When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or layer, this includes both cases where the other element is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element or layer, or where there are other layers or elem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The individual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투영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모듈을 배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의 침대와 메인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C'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9는 도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D-D'의 단면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10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mart bed head 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of FIG. 2, FIG. 4 is a plan view projecting a part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dule of FIG. 2 from the back,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B-B' of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bed and a main frame of a smart bed head 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C' of FIG. 7, FIG. 9 is a front view of FIG.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D-D' of FIG. 8,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10.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은 침대(10) 및 상기 침대와 벽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복수개의 모듈(30)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embodiment of a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includes a main frame (20) equipped with a bed (10) and a plurality of modules (30) that are selectively attached or detached between the bed and the wall.
침대(10)는 이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매트리스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침대 프레임(11)을 포함하고, 침대 프레임(11)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침대 프레임(11) 및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지지부(12)를 포함하여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bed (10) includes a mattress tha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user and a bed frame (11) that supports the mattress, and a support member (12) that extends from the bed frame (11) toward the ground and supports the bed frame (11) and the mattress, so as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이러한 침대(10)에는 벽체(W)에 접촉하며 침대(10)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침대(10)와 벽체(W) 사이에서 침대(10)를 벽체(W)에서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모듈(30)을 착탈하여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ed (10) can be in contact with the wall (W) and can fix the movement of the bed (10). The bed (10) can include a main frame (20) that improves the fixing force of the bed (10) to the wall (W) between the bed (10) and the wall (W) and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various modules (30).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을 설명하면, 메인 프레임(20)은 침대(10)에 연결되거나 벽체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침대(10)를 벽체(W)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은 다양한 모듈(30)을 블록형으로 착탈하여 이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모듈(30)로 교환시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mart bed head 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The main frame (2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bed (10) or fixed to the wall, so that the bed (10) can be fixed to the wall (W). The main frame (20) can be equipped with various modules (30) in a block shape to be replaced with a module (30) that the user wants to us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예컨대, 메인 프레임(20)은 하우징(21)과, 하우징(21)에 모듈(30)이 수용되게 일부가 개구된 수용부(221)와, 수용부(221)에서 슬라이딩하며 수용부(221)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222)와 상호 마주하게 수용부(221) 내부에 각각 구비되되, 모듈(30)이 삽입되는 선단에 요홈(2231)이 형성되어 모듈(30)을 가이드하는 모듈 슬라이딩바(223)가 포함되어 하우징(2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 모듈매립부(2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frame (20) may include a housing (21), a receiving portion (221) partially opened to receive a module (30) in the housing (21), an opening/closing door (222) that slides in the receiving portion (221)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portion (221) and is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21)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module sliding bar (223) that includes a groove (2231) formed at the tip into which the module (30) is inserted to guide the module (30), and at least one module embedding portion (22) provided in the housing (21).
하우징(21)은 일면이 벽체(W)에 고정되고 벽체(W)의 고정된 일면의 반대편인 타면에 침대(10)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21)은 침대(10)와의 사이에 모듈(30)이 삽입되어 매립되는 복수개의 모듈매립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21) may have one side fixed to a wall (W) and a bed (1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he fixed side of the wall (W). The housing (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dule embedding sections (22) in which modules (30) are inserted and embedd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bed (1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을 설명하면, 모듈매립부(22)는 하우징(2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듈(30)을 삽입시킬 수 있다. 모듈매립부(22)는 모듈(30)을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이 개구되어 수용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 smart bed head 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t least one module embedding section (22) is provided in a housing (21) so that a user can selectively insert a module (30) as needed. The module embedding section (22) accommodates a module (30) inside and may have one side open to include a receiving section (221).
수용부(221)는 개구된 일측으로 모듈(30)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여기서 수용부(221)는 일측이 개구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서로 연통되게 마주하는 양측이 개구되어 일측을 통해 모듈이 삽입되어지고 타측에 모듈을 외부 기기와 연결하거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된 수용부(221)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222)에 의해 모듈(30)이 고정되고 수용부(221)를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21) can be opened to allow a module (30) to be inserted and installed. For example, the receiving portion (221) is expressed as having one side open, but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can be opened so that a module can be inserted through one side and the module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other side. The module (30) can be fixed by an opening/closing door (222)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ed receiving portion (221), and the receiving portion (221) can be sealed on the inside.
개폐도어(222)는 도어부재(2221)와, 접철부재(2222)를 포함하여, 이용자가 도어부재(2221)를 수용부(221)에서 슬라이딩하며 접철부재(2222)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며 수용부(221)를 개폐 및 모듈(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door (222) includes a door member (2221) and a folding member (2222), and the user can slide the door member (2221) in the receiving portion (221) and the folding member (2222) can be unfolded or folded to open/close the receiving portion (221) and secure the module (30).
도어부재(2221)는 세로바 형태로 수용부(221)의 개구된 일측에서 가로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어부재(2221)는 접철부재(2222)와 모듈 슬라이딩바(223)가 도어부재(222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The door member (2221) can be slid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open portion (221) in the form of a vertical bar. The door member (2221) can be arranged with a folding member (2222) and a module sliding bar (223) interposed between the door member (2221).
예컨대 이용자는 도어부재(2221)를 가로측으로 밀게되면 모듈 슬라이딩바(223) 간의 거리가 멀어져 수용부(221) 내부에 면적이 확장되고, 접철부재(2222)는 밀리게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pushes the door member (2221) horizont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module sliding bars (223) increases, the area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21) expands, and the folding member (2222) may be pushed.
접철부재(2222)는 도어부재(2221)에 연결되어 수용부(221) 내주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접철부재(2222)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접철부재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folding member (2222) is connected to the door member (2221) and can slid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21), and may include a folding member groove in which the folding member (2222) slides internally.
접철부재(2222)는 도어부재(2221)에 가해지는 힘이 전달되어 도어부재(2221)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221)에는 접철부재(2222)의 슬라이딩을 지지하며 가이드하는 곡면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lding member (2222) can move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door member (2221) by transmitting the force applied to the door member (2221). Here, the receiving portion (221)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224) that supports and guides the sliding of the folding member (2222).
예컨대, 이용자가 수용부(221)에 모듈을 삽입하고자 할 경우 도어부재(2221)를 밀어서 수용부(221)를 개방시키면, 접철부재(2222)가 밀리게 되고, 곡면부(224)을 통해서 접철부재(2222)가 도어부재(2221)가 밀어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insert a module into the receiving portion (221), the door member (2221) is pushed to open the receiving portion (221), and the folding member (2222) is pushed, and the folding member (2222) can sl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member (2221) is pushed through the curved portion (224).
모듈 슬라이딩바(223)는 개폐도어(222)와 상호 마주하게 수용부(221) 내주면 및 개폐도어(222)에 각각 구비되어 모듈의 체결부(312)가 삽입되어 모듈(30)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module sliding bar (223)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21) and the opening/closing door (222)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module fastening portion (312) can be inserted to fix the module (30).
예컨대 모듈 슬라이딩바(223)는 수용부(221)와 도어부재(2221)에 각각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과, 서로 마주하는 면의 일부가 관통홀로부터 개구될 수 있다. 관통홀과 개구된 일부를 체결부(312)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dule sliding bar (223) is provided in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 (221) and the door member (2221), and has a through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ortion of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can be opened from the through hole. A fastening portion (312)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fastened.
모듈 슬라이딩바(223)는 모듈(30)이 삽입되는 선단에 요홈(223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모듈(30)의 후크부재(3122)가 체결되어 모듈(30)이 모듈 슬라이딩바(22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module sliding bar (223) has a groove (2231) formed at the tip where the module (30) is inserted, and a hook member (3122) of the module (30)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hereto, so that the module (30) can be fixed by the module sliding bar (223).
한편 메인 프레임(20)은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각각의 모듈매립부로 제공할 수 있고, 모듈매립부를 통합시켜 수용부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모듈매립부(22)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개가 선택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2에서 일부는 개폐도어 및 모듈 슬라이딩바가 적용된 것과 미적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Meanwhile, the main frame (20) can provide power from the outside by providing space inside and supplying it to each module embedding section, and can expand the space of the receiving section by integrating the module embedding sections. For example, each module embedding section (22) can be selectively manufactured in several unit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nd in Fig. 2, some are shown with and without an opening/closing door and module sliding bar applied.
모듈매립부(22)는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모듈(30)의 크기에 따라 개폐도어(222)를 개폐시키며 내부 수용 면적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공간활용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편한 슬라이딩 체결 방식으로 이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module mounting section (22) can adjust the internal storage area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door (22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dule (30) required by the user, so that optimal space utilization can be achieved and modules of various sizes can be used.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through a simple sliding fastening method.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을 설명하면, 모듈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침대(10)의 좌우측에 슬라이딩 선반 또는 수납장 등이 구비되거나 침대(10)의 상측에 의료용 산소공급 포트 모듈(31), 콘센트 모듈(32), 스위치 모듈, 진공포트 모듈, 랜선포트 모듈 등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a smart bed head 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shown in FIGS. 1 and 2, a module may be provided with sliding shelves or storage cabine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bed (10), or a medical oxygen supply port module (31), an outlet module (32), a switch module, a vacuum port module, a LAN port module, etc.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d (10) and may be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예컨대, 모듈(30)은 요양기관, 병원 등에서 인공호흡을 위한 산소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이산화질소 등이 중앙 집중 통제방식으로 하여금 각 병실에 공급되거나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이산화질소 통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dule (30) can supply oxygen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nitrogen dioxide for treatment purposes in a nursing home, hospital, etc. to each ward in a centrally controlled manner or can be supplied through a nitrogen dioxide tank equipped in the main frame (10).
여기서 메인 프레임(10)에는 가스터미널(gas terminal)이 부수적으로 설치되어 이용자를 향하여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공급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Here, a gas terminal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 to supply gas to users and control the supply amount, etc.
또한 모듈(30)은 치료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진공터미널(vacuum terminal)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진공터미널은 환자의 타액을 흡입하는 목적 등으로 사용되고, 이 또한 이용자마다 각각 별도로 조절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30) may be equipped with a vacuum terminal used for treatment purposes, and the vacuum terminal may be used for purposes such as suctioning a patient's saliva, and this may also be provided and controlled separately for each user.
또한 모듈(30)은 이용자 및 보호자가 생활하는 공간이므로 텔레비전, 라디오와 같은 편의시설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환자의 침대 가까운 곳에 콘센트(전원공급부)가 설치되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dule (30) is a space where the user and guardian liv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installing an outlet (power supply unit) near the patient's bed to enable the use of amenities such as a television and radio.
또한 모듈(30)은 응급상황이 발생할 것에 대비하여 이용자나 보호자가 의료진에게 급히 응급상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호출수단도 필요할 수 있다. 때문에 호출 수단이 구비된 모듈은 미리 설정한 의료인력(의사, 간호사 등)에게 알림으로 제공하여 이용자가 원활하게 케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30) may also need a calling means to enable the user or guardian to immediately report an emergency situation to medical personnel in case of an emergency. Therefore, a module equipped with a calling means can provide notifications to pre-set medical personnel (doctors, nurses, etc.)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smooth care.
이와 같은 모듈은 일부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어느 장소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수요자의 선택권이 확장될 수 있다.Although modules like this have been explained with some examples, various modules can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allowing easy access from any locati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expanding the user's choices.
모듈(30)은 의료용 산소공급 포트 모듈, 콘센트 모듈, 스위치 모듈, 진공포트 모듈, 랜선포트 모듈, 복수개의 모니터링 모듈, 외부 기구 및 기기 등에 연결되는 모듈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은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개발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산소공급 포트 모듈(31)을 예로 설명한다.Modules (30) can be equipped on the main frame (2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medical oxygen supply port module, an outlet module, a switch module, a vacuum port module, a LAN port module, multiple monitoring modules, modules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and equipment, etc., and these modules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Hereinafter, an oxygen supply port module (3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모듈(31)은 수용부(221)를 덮는 모듈 패널(311)과, 체결부(312)를 포함하여 메인 프레임(20)에 고정될 수 있다.The module (31) can be fixed to the main frame (20) including a module panel (311) covering the receiving portion (221) and a fastening portion (312).
모듈 패널(311)은 수용부(221)를 덮을 수 있다. 모듈 패널(311)은 장비(M)가 구비된 일측이 수용부(221)를 덮으며 장비(M)가 수용부(221)에 삽입되고, 타측이 이용자를 향할 수 있다. 모듈 패널(311)은 일측의 코너측에 모듈 슬라이딩바(223)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e panel (311) can cover the receiving portion (221). The module panel (311) can have one side equipped with equipment (M) covering the receiving portion (221), the equipment (M)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21),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user. The module panel (311) can include a fastening portion (312) that is slidably inserted and fastened to a module sliding bar (223) on a corner side of one side.
체결부(312)는 모듈 패널(311)에 모듈 슬라이딩바(223)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고정바(3121)와 근접하여 요홈(2231)에 후크 걸림되는 후크부재(3122)와, 후크부재(3122)가 돌출된 모듈 패널(311) 일편의 반대편인 모듈 패널(311)의 타편에서 후크부재(3122)를 가압하는 가압공(3123)과 후크부재(312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3124)와, 가압공(3123)과 후크부재(3122) 사이에서 후크부재(3122)를 회전시키는 힌지(3125)가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312) may be provided with a hook member (3122) that is hooked into a groove (2231) by a fixing bar (3121) that slides along a module sliding bar (223) on a module panel (311) and is close to the hook member (3122), a pressure hole (3123) that presses the hook member (3122)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panel (311)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module panel (311) from which the hook member (3122) protrudes, an elastic body (3124)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ok member (3122), and a hinge (3125) that rotates the hook member (3122) between the pressure hole (3123) and the hook member (3122).
고정바(3121)는 모듈 패널(311)의 일측에서 장비(M)를 사이에 두고 장비(M)의 코너측 일부를 감싸며 장비(M)와 같은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수개가 연장될 수 있다.The fixed bar (3121) can be extended in several pieces to face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quipment (M) and surround a part of the corner side of the equipment (M) with the equipment (M) in between on one side of the module panel (311).
고정바(3121)는 장비(M)를 감싸는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서 절곡되어 선단이 모듈 슬라이딩바(223)의 선단을 통해서 관통홀 및 개구된 일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The fixed bar (3121) is ben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that wraps around the equipment (M) so that the tip can slid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opening part through the tip of the module sliding bar (223).
후크부재(3122)는 고정바(3121)에 근접하여 모듈 패널(311)에서 연장된 후크몸체(3122a)와, 후크몸체(3122a)의 단부에 요홈(2231)에 후크 걸림되는 후크(3122b)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3122b)는 후크몸체(3122a)와 후크힌지(3125)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후크부재(3122)는 요홈(2231)에 걸림되는 후크(3122b)의 반대편에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3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member (3122) may include a hook body (3122a) extended from the module panel (311) in proximity to the fixed bar (3121), and a hook (3122b) hooked to a groove (2231) at an end of the hook body (3122a). The hook (3122b) may rotate by the hook body (3122a) and the hook hinge (3125). The hook member (3122) may include an elastic body (3124)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ok (3122b)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ok (3122b) hooked to the groove (2231).
가압공(3123)은 일측이 후크(3122b)와 연결되고 타측이 모듈 패널(311)의 타측에 일부 노출되어 작업자가 가압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가압공(3123)을 가압시 후크(3122b)가 힌지(3125)에 의해 회동하여 요홈(2231)에서 이탈할 수 있게 되어 모듈 패널(311)이 모듈 슬라이딩바(223)에서 탈거할 수 있다. The pressurized hole (3123)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hook (3122b) and the other side partially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panel (311) so that the worker can pressurize it. For example, when the pressurized hole (3123) is pressurized, the hook (3122b) can rotate by the hinge (3125) and be released from the groove (2231), so that the module panel (311) can be removed from the module sliding bar (223).
이후 작업자가 가압공(3123)을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면 탄성체(3124)에 의해 가압공(3123)을 원복시키게 되고 후크(3122b)도 힌지(312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복하게 되어 재사용을 준비할 수 있다.Afterwards, when the worker releases the force that was pressurizing the pressurized hole (3123), the pressurized hole (3123)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body (3124), and the hook (3122b) is also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rotating around the hinge (3125), thereby preparing for reuse.
이에 따르면 이용자는 모듈과 메인 프레임을 손쉽게 결합 및 모듈의 탈거를 위한 작동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ombine modules and main frames, and the operation for removing modules becomes more convenient, and when not in use, automatic operation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danger.
한편 평상시에 침대를 벽체에 고정된 메인 프레임에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응급상황 또는 필요시 침대를 이동시킬 수 없거나 분리를 위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침대를 메인 프레임에서 분리할 수 있는 침대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normal times, the bed can be used by fixing it to a main frame fixed to a wall. However,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bed cannot be moved in an emergency situation or when necessary, or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separate it. Therefor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 bed fixing means that can separate the bed from the main frame may be included.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의 침대와 메인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C'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9는 도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D-D'의 단면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10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bed and a main frame of a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in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8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C' of FIG. 7, FIG. 9 is a front view of FIG.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8,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10.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은, 침대(10)의 지지부(12)에 연결되고 메인 프레임(20)의 하우징(21)을 향하여 후크형상으로 연장된 커넥터(411)가 구비된 고정브라켓(41)과, 커넥터(411)의 일부가 인입되는 제1삽입구(241)와 근접하여 수용구가 형성된 제2삽입구(242)를 연결하는 연통홀(243)을 통해 제1삽입구(241)와 제2삽입구(242)에 각각 돌출되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가압구(422)와 제2가압구(423) 중 어느 하나의 작동으로 타측의 가압구를 상하강시키며 커넥터(411)를 고정 및 해제하는 가압브라켓(42)이 구비된 침대 고정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second embodiment of a smart bed head wall system that is easy to expand in modules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mart bed head wall system that is easy to expand in modules for a senior welfare facility comprises a bed equipped with a fixing bracket (41) that is connected to a support member (12) of a bed (10) and has a connector (411) that extends in a hook shape toward a housing (21) of a main frame (20), and a first insertion hole (241) into which a part of the connector (411)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hole (242) in which a receiving hole is formed in proximity to the first insertion hole (241)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243), and a first pressure hole (422) and a second pressure hole (423) that protrude from the first insertion hole (24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2) respectively but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raising and lowering the pressure hole on the other side and fixing and releasing the connector (411). It may include a fixing means (40).
메인 프레임(20)은 지지부(12)에 대응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복수개의 제1삽입구(241)와 제2삽입구(2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frame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241) and second insertion holes (242)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member (12).
제1삽입구(241)와 제2삽입구(242)는 상호 근접하며 수용 공간을 서로 연통홀(243)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질 수 있다. 제1삽입구(241)와 제2삽입구(242)에는 침대 고정수단(40)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hole (24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243) in the receiving space. A bed fixing means (40) can be provid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24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2).
침대 고정수단(40)은 커넥터(411)와 가압브라켓(42), 개폐패널(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bed fixing means (40) may include a connector (411), a pressure bracket (42), and an opening/closing panel (43).
커넥터(411)는 일측이 침대(10)의 지지부(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일측에서 연장되되 단부측이 돌출된 후크(411)형상일 수 있다. 커넥터(411)는 후크(411)가 모듈(30)이 배치된 상측을 향하는 상측을 향해 배치되어 제1삽입구(241)에 슬라이딩 삽입시킬 수 있다. The connector (411)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2) of the bed (10) and the other side in the shape of a hook (411) extending from one side but with a protruding end. The connector (411)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241) with the hook (411) facing upward toward the upper side where the module (30) is placed.
후크(411)는 제1가압구(421)에 체결되어 가압브라켓(42)의 작동으로 고정 및 해제될 수 있다.The hook (411) is connected to the first pressure member (421) and can be fixed and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bracket (42).
가압브라켓(42)은 연통홀(243)에 안착되는 브라켓 몸체(421)와, 제1삽입구(241)로 걸림홈(4221)이 형성되어 연장되되 걸림홈(4221)을 지면을 향하여 배치한 제1가압구(422)와, 제2삽입구(242)로 연장된 제2가압구(423)와, 브라켓 몸체(421)에 제1가압구(422)를 가압하면 제2가압구(423)를 가압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브라켓 힌지(424)와, 제2가압구(423)를 제2삽입구(242)에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izing bracket (42) may include a bracket body (421) that is secured in the communication hole (243), a first pressurizing member (422) that is extended to the first insertion hole (241) and has a catch groove (4221) formed therein and the catch groove (4221) positioned toward the ground, a second pressurizing member (423) that is extended to the second insertion hole (242), a bracket hinge (424) that rotates the second pressurizing member (42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ing direction when the first pressurizing member (422) is pressed against the bracket body (421), and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pressurizing member (423) in the second insertion hole (242).
예컨대, 커넥터(411)를 제1삽입구(241)로 삽입시키면, 후크(411)가 걸림홈(4221)에 안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nector (41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241), the hook (411) can be fixed by being seated in the engaging groove (4221).
한편, 제2삽입구(242)에는 작업자가 필요시에만 제2가압구(42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2삽입구(242)를 개폐시키는 개폐패널(43)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insertion port (242)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panel (43)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insertion port (242) so that the worker can operate the second pressurizing port (423) only when necessary.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면, 개폐패널(43)은 제2삽입구(242) 내부의 제2가압구(422)를 향하여 회전하는 제1패널(431)과 제2패널(432)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2패널이 제2가압구(422)를 일부 덮는 개폐패널(4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mart bed head wall system that is easy to expand modules in a senior welf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opening/closing panel (43) may include a first panel (431) and a second panel (432) that rotate toward a second pressure port (422) inside a second insertion port (242) and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so that the second panel partially covers the second pressure port (422).
예컨대, 커넥터(411)가 제1삽입구(241)로 삽입되면 후크(411)가 걸림홈(4221)에 걸림되어 침대는 메인 프레임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 후, 작업자가 발(F)로 개폐패널(431,432)을 제2삽입구(242)로 밀게 되면 제2패널(432)이 제2가압구(423)을 일부 덮으며 제2패널(432)의 가압으로 제2가압구(423)가 가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nector (41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241), the hook (411) is caught in the catch groove (4221), so that the bed can be tightly fixed to the main frame. After that, when the worker pushes the opening/closing panel (431, 432)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242) with the foot (F), the second panel (432) partially covers the second pressure port (423), and the second pressure port (423) can be pressurized by the pressure of the second panel (432).
또한 브라켓 힌지(424)에서 회전력을 제1가압구(422)로 전달하여 제2가압구(423)의 가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걸림홈(4221)에서 후크(411)가 해제되어 침대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bracket hinge (424)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ressure member (422) so that it oper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ssure direction of the second pressure member (423), thereby releasing the hook (411) from the engaging groove (4221) and allowing the bed to be removed from the main frame.
이와 같은 개폐패널(43)에 따르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제2삽입구(242)를 밀폐시켜 놓고 있기 때문에 침대(10)를 메인 프레임(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필요시 개폐패널(43)을 통과하여 제2가압구(422)를 작동시켜 침대(10)를 메인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ype of opening/closing panel (43), in general situations, the second insertion port (242) is sealed, so that the bed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frame (20), thereby protecting the user. In addition, when necessary, the bed (10) can be detached from the main frame (20) by operating the second pressure port (422) through the opening/closing panel (43), so that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따라서,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은 어느 장소에서든 병실(중환자실, 응급실 포함) 내 의료 및 진료(또는 간병활동)시 필요한 부수설비로서 의료용 산소공급 포트 모듈, 콘센트 모듈, 스위치 모듈, 진공포트 모듈, 랜선포트 모듈, 선반이나 수납장 모듈, 보관함 모듈, 모니터링 모듈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 복지 시설, 가정집 또는 요양시설 등에 선택적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수요자의 선택권을 확장시키고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smart bed head 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in senior welfare facilities can provide medical oxygen supply port modules, outlet modules, switch modules, vacuum port modules, LAN port modules, shelf or storage modules, storage modules, and monitoring modules as auxiliary facilities necessary for medical treatment (or nursing activities) in a hospital room (including intensive care units and emergency rooms) at any location, so it can be selectively and easily installed in senior welfare facilities, homes, or nursing facilities, thereby expanding the choices of users and providing convenience.
또한,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에 따르면, 헤드월에 고정된 침대를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어 침대의 이용이 필요한 경우에 보조자는 언제든 편리하게 침대를 헤드월에서 탈거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어 불편하게 침대에서 침대 이용자를 옮기지 않아도 되어 시간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ar expansion in senior welfare facilities, the bed fixed to the headwal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so when the bed needs to be used, the assistant can conveniently detach or attach the bed to the headwall at any time, so there is no need to inconveniently move the bed user from the bed, which reduces time and manpower, and has the effect of saving cost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 침대
20: 메인 프레임
30: 모듈
40: 침대 고정수단10: Bed
20: Main Frame
30: Module
40: Bed fixing means
Claims (3)
상기 침대와 벽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복수개의 모듈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모듈이 수용되게 일부가 개구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상기 수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와 상호 마주하게 상기 수용부 내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모듈이 삽입되는 선단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모듈을 가이드하는 모듈 슬라이딩바가 포함되어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 모듈매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상기 수용부를 덮는 모듈 패널과,
상기 모듈 패널에 상기 모듈 슬라이딩바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고정바와 근접하여 상기 요홈에 후크 걸림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가 돌출된 상기 모듈 패널 일편의 반대편인 상기 모듈 패널의 타편에서 상기 후크부재를 가압하는 가압공과 상기 후크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가압공과 상기 후크부재 사이에서 상기 후크부재를 회전시키는 힌지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복지 시설에 모듈 확장이 용이한 스마트 침대 헤드월 시스템.
bed; and
A main frame comprising a plurality of modules that are selectively removable between the bed and the wall,
The above main frame,
Housing and,
A module embedding un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partially opened to receive the module, and an opening/closing door that slides in the receiv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portion, and is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includes a module sliding bar having a groove formed at the tip into which the module is inserted to guide the module, and at least one module embedding un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The above module,
A module panel covering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A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an elderly welfare facility,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astening part having a hook member that is hooked into the groove by being close to a fixing bar that slides along the module sliding bar on the module panel, a pressurizing hole that presses the hook member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panel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module panel from which the hook member protrude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ok member, and a hinge that rotates the hook member between the pressurizing hole and the hook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177017A KR102827511B1 (en) | 2024-12-03 | 2024-12-03 |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177017A KR102827511B1 (en) | 2024-12-03 | 2024-12-03 |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827511B1 true KR102827511B1 (en) | 2025-07-01 |
Family
ID=9639660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177017A Active KR102827511B1 (en) | 2024-12-03 | 2024-12-03 |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27511B1 (en) |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04064U (en) * | 1995-07-11 | 1997-02-19 | 손월락 | bed |
| KR970020635U (en) * | 1995-11-20 | 1997-06-18 | 해태전자주식회사 | Wall-mounted folding bed |
| KR200202869Y1 (en) * | 2000-06-08 | 2000-11-15 | 한상기 | Bed with opening and shutting doors of a way folding over |
| US20070204401A1 (en) * | 2004-06-03 | 2007-09-06 | Heimbrock Richard H | Foldout Bed Headwall Structure |
| US20070251165A1 (en) * | 2004-06-03 | 2007-11-01 | Hill-Rom Services, Inc. | Foldout Bed Module |
| US20090064415A1 (en) * | 2007-09-07 | 2009-03-12 | Michael Payne | Portable Self-Contained Bed-On-Demand System |
| KR101377755B1 (en) | 2012-03-09 | 2014-03-24 | 이현숙 | Shelf module assembly |
| US20150075085A1 (en) * | 2008-10-16 | 2015-03-19 | Hill-Rom Services, Inc. | Modular wall for dividing rooms in a healthcare facility |
| KR102513603B1 (en) | 2021-04-09 | 2023-03-23 | 신응선 | Furniture with multi function |
-
2024
- 2024-12-03 KR KR1020240177017A patent/KR1028275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04064U (en) * | 1995-07-11 | 1997-02-19 | 손월락 | bed |
| KR970020635U (en) * | 1995-11-20 | 1997-06-18 | 해태전자주식회사 | Wall-mounted folding bed |
| KR200202869Y1 (en) * | 2000-06-08 | 2000-11-15 | 한상기 | Bed with opening and shutting doors of a way folding over |
| US20070204401A1 (en) * | 2004-06-03 | 2007-09-06 | Heimbrock Richard H | Foldout Bed Headwall Structure |
| US20070251165A1 (en) * | 2004-06-03 | 2007-11-01 | Hill-Rom Services, Inc. | Foldout Bed Module |
| US20090064415A1 (en) * | 2007-09-07 | 2009-03-12 | Michael Payne | Portable Self-Contained Bed-On-Demand System |
| US20150075085A1 (en) * | 2008-10-16 | 2015-03-19 | Hill-Rom Services, Inc. | Modular wall for dividing rooms in a healthcare facility |
| KR101377755B1 (en) | 2012-03-09 | 2014-03-24 | 이현숙 | Shelf module assembly |
| KR102513603B1 (en) | 2021-04-09 | 2023-03-23 | 신응선 | Furniture with multi funct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985274B1 (en) | Endboard for a patient support | |
| US11786427B2 (en) | Siderail power communication interface | |
| US20100205739A1 (en) | Thermoregulation equipment for patient room | |
| US7254850B2 (en) | Radial arm system for patient care equipment | |
| US10159616B2 (en) | Modular wall for dividing rooms in a healthcare facility | |
| CA1252160A (en) | Service outlet wall and rail system for use thereon | |
| US20130082582A1 (en) | Vertical cabinet door with flush front face | |
| JPH01268555A (en) | Hospital bed | |
| CA2517937A1 (en) | Hospital telephone and device controller | |
| US20070251165A1 (en) | Foldout Bed Module | |
| KR102827511B1 (en) | Smart bed headwall system with easy module expansion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 |
| US7600277B2 (en) | Foldout bed headwall structure | |
| US11969385B2 (en) | System and mattress for preventing pressure wounds | |
| CN107157664A (en) | Cardiological integrates monitor system | |
| JP2024501602A (en) | Patient support equipment and medical device networks | |
| US11028866B2 (en) | Monitor with handle and IV pole channel | |
| US20120286004A1 (en) | Module retainer | |
| JPH11290402A (en) | Nurse call base unit | |
| JP2006174955A (en) | Storage furniture and quasi-private rooms for large rooms | |
| KR102712582B1 (en) | Medical modular headwall system | |
| CN219982532U (en) | Apartment bed with illumination and electricity management | |
| US20250098983A1 (en) | Communication system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es | |
| US20190015280A1 (en) | Hospital room headboard assembly and method | |
| JP3100415U (en) | Fixed automatic infusion press | |
| JP2005073738A (en) | Clip table and calling slave un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6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