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29967B1 - 비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29967B1
KR102829967B1 KR1020190054167A KR20190054167A KR102829967B1 KR 102829967 B1 KR102829967 B1 KR 102829967B1 KR 1020190054167 A KR1020190054167 A KR 1020190054167A KR 20190054167 A KR20190054167 A KR 20190054167A KR 102829967 B1 KR102829967 B1 KR 10282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cell
priority
lb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565A (ko
Inventor
김상범
데르 벨데 힘케 반
정상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29967B1/ko
Priority to PCT/KR2020/006042 priority patent/WO2020226439A1/ko
Priority to US17/609,172 priority patent/US12127054B2/en
Publication of KR2020012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2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299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disclosure)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L LBT 실패를 겪는 단말의 셀 선택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비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CELL RESELECTION OPERATION IN UNLICENSED B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본 개시(disclosure)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L LBT 실패를 겪는 단말의 셀 선택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말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NR 이동통신을 수행할 때, 소정의 채널 품질을 고려하면서 우선 순위가 높은 셀에 camping-on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이 camping-on한 셀로 엑세스를 시도할 때, 해당 셀이 동작하는 비면허 주파수가 타 통신개체에 의해 경쟁이 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단말은 연속적으로 UL LBT 실패를 겪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말이 소정의 횟수 이상 UL LBT 실패를 겪거나 혹은 이로 인해 소정의 횟수 이상 연결 성립 과정(connection setup)을 실패하는 경우, camping-on하고 있는 셀이 속한 비면허 주파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UL LBT 실패로 인해 RLF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UL LBT 실패가 발생했던 셀(혹은 상기 셀이 속한 주파수)을 RLF 이후 셀 선택 동작에서 배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지속적으로 UL LBT 실패를 겪는 상황에서 별도의 S-Criteria의 Qoffsettemp 값을 적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단말이, 보다 경쟁이 덜한 주파수에 camping-on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향링크의 혼잡으로 인해 단말이 연속적으로 UL LBT 실패를 겪는 경우, 실패를 겪은 셀을 다시 선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UL LBT 실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주파수별 우선 순위 정보가 SIB을 통해 broadcast 되거나, dedicated RRC signalling인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통해 특정 단말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비면허 대역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e는 제 1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f는 제 1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단말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g는 제 2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h는 제 2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단말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i는 제 3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j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k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서 Radio Link Monitoring (RLM)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에서 Radio Link Failure (RLF)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e는 본 발명에서 연속적인 UL LBT 실패로 인해 트리거된 RLF 및 re-establishment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f는 본 발명에서 RLF 이후 cell selection 및 re-establishment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2g는 LBT Type 1을 기술한 도면이다.
도 2h는 LBT Type 2를 기술한 도면이다.
도 2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New Radio, NR)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 (New Radio Node B, 이하 gNB)(1a-10) 과 AMF (1a-05, New Radio Core Network)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1a-15)은 gNB (1a-10) 및 AMF (1a-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a에서 gNB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 (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gNB는 NR UE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1a-20).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gNB (1a-10)가 담당한다.
하나의 g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기존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AMF (1a-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AMF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AMF이 MME (1a-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 (1a-30)과 연결된다. LTE-NR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단말은 gNB뿐 아니라, eNB에도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1a-35).
도 1b는 기존 LTE 기술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주파수별 우선 순위 정보가 SIB을 통해 broadcast 되거나, dedicated RRC signalling인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통해 특정 단말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이란 이동하는 단말기가 가장 채널 상태가 양호한 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서빙 셀을 재선택하는 과정이다. 네트워크는 주파수별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대기 모드에 있는 단말들의 셀 재선택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한 단말이 두 주파수 f1와 f2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였으며, f1이 f2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다면, 단말이 f1에 머무를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단말이 f2에 있더라도, f2의 채널 상태가 좋지 않다면, f1으로 변경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priority) 정보는 SIB을 통해 broadcast 되거나, dedicated RRC signalling인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통해, 특정 단말에게 제공된다.
단말이 SIB을 통해 이미 주파수들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가지고 있더라도, UE-specific 우선 순위 정보를 RRC signalling으로 제공받으면, SIB의 우선 순위 정보는 무시된다. 각 주파수의 우선 순위 정보는 하기 cellReselectionPriority IE을 통해 전달되며, 총 X+1 단계의 우선 순위 중 하나를 부여받게 된다. 낮은 값일수록, 우선 순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0’은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의미한다.
CellReselectionPriority information element
Figure 112019047304574-pat00001
RAT 간의 주파수들은 동일한 우선 순위를 부여 받을 수 없다. 단말의 IDLE 상태가 ‘camped on any cell state’이라면, SIB을 통해 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하며, RRC signalling으로 받은 우선 순위 정보는 사용하지 않고 저장만 하고 있는다. cellReselectionPriority IE은 optional IE로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해당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는 부여되지 않은 것이다. 이 때, 단말은 해당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단계로 간주한다.
단말은 1b-00단계에서 SIB을 통해, EUTRA 뿐만이 아니라, 다른 RAT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들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 받는다. 그러나, 반드시 모든 주파수에 대해 우선 순위 정보가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camp한 서빙 셀의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 역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1b-05 단계에서 이를 확인한다. 만약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다면, 상기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단계로 간주한다. 단말은 1b-15 단계에서 각 주파수들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받으면, 연결 모드(Connected mode)에서 대기 모드 (IDLE mode)로 전환한다. 상기 RRC 메시지에는 주파수의 우선 순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UE-specific한 정보로서, 일반적으로 SIB으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보다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단말은 1b-20 단계에서 상기 RRC 메시지에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존재한다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제 1 타이머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 1 타이머를 1b-25 단계에서 구동시킨다. 단말은 현재의 대기 모드 상태가 ‘camped on any cell state’ 인지 또는 ‘camped normally state’인지를 530단계에서 판단한다. ‘camped normally state’는 단말이 suitable cell에 camp하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Suitable cell이란 단말에게 일반적인 서비스 (normal service)을 제공해줄 수 있는 셀로서, 아래와 같은 세부적인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셀이다.
- 셀이 selected PLMN, registered PLMN 또는 equivalent PLMN list 내의 한 PLMN에 해당
- Barring되지 않은 셀
- Cell selection criterion을 만족하는 셀
-‘camped on any cell state’는 단말이 suitable cell에 camp하지 못해, acceptable cell에 camp하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Acceptable cell에서는 일반적인 서비스는 불가능하며, 응급 콜 (emergency call)만 단말이 시도할 수 있다. Acceptable cell은 아래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셀이다.
- Barring되지 않은 셀
- Cell selection criterion을 만족하는 셀
만약, 단말이 ‘camped on any cell state’ 대기 상태라면,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로부터 제공받은 우선 순위 정보 대신에 1b-15 단계로 되돌아가 SIB으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한다. 단말이 ‘camped normally’ 대기 상태라면, 단말은 아래의 세 가지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1b-35 단계에서 판단한다. 세 가지 조건은 하기와 같다.
- 단말이 연결 모드로 전환됨
- 제 1 타이머가 만료됨
- NAS 요청에 따라, PLMN 선택 과정이 수행됨
위의 조건들은 어느 하나의 조건이라도 만족된다면, 단말은 1b-40 단계에서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로부터 제공받은 우선 순위 정보는 폐기되며, 1b-15 단계로 되돌아가, SIB으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한다. 그렇지 않고, 어느 조건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로부터 제공받은 우선 순위 정보를 1b-45 단계에서 적용한다.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단말이 특정 주파수의 측정에 영향을 준다. 현재의 서빙 셀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주파수에 대해서 단말은 측정(measurement)을 항상 수행한다. 이에 반해, 서빙 셀과 동일한 주파수(intra-frequency) 또는 이보다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다른 주파수는 단말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해당 주파수에 대한 측정을 항상 수행하지 않는다. 측정 수행 여부는 서빙 셀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수행한다.
셀 재선택은 채널 상태가 양호한 셀로 이동하기 위해 수행하는데, 현재 서빙 셀의 채널 QoS가 양호한데 굳이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낮은 주파수로 이동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채널 측정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특정 임계값을 기준으로 측정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동일한 주파수(intra-frequency)의 경우에, 특정 임계값 Sintrasearch 보다 서빙 셀의 QoS가 동일하거나 낮을 경우 동일 주파수의 다른 셀들에 대해 채널 측정을 수행한다.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낮은 다른 주파수에 대해서는, 특정 임계값 Snonintrasearch 보다 서빙 셀의 QoS가 동일하거나 낮은 경우, 해당 다른 주파수의 셀들에 대해 채널 측정을 수행한다. 채널 QoS는 일반적으로 RSRP와 RSRQ을 고려한다.
이렇게 측정을 수행하다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high보다 높아지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한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low보다 높고 서빙 셀의 QoS가 ThreshServing-low보다 낮아지면, 단말은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한다.
도 1c는 본 발명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신호 세기와 상관없이 우선 순위 높은 주파수 혹은 RAT에 대해서는 항상 inter-freq/RAT 측정을 수행한다.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신호 세기가 SintraSearch (1c-25)보다 낮다면, 단말은 intra-freq 측정을 수행한다.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신호 세기가 SnonintraSearch(1c-30)보다 낮다면, 단말은 우선 순위가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와 동일한 혹은 낮은 주파수에 대해 inter-freq/RAT 측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단계적으로 단말 측정을 트리거하는 이유는 주변 셀 측정으로 인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1c-10)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high (1c-35)보다 높아지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한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1c-00)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low(1c-15)보다 높고 서빙 셀의 QoS가 ThreshServing-low(1c-20)보다 낮아지면, 단말은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한다.
셀 재선택 시에는 수신 신호 세기 (RSRP) 혹은 수신 신호 품질 (RSRQ)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신호 세기 혹은 수신 신호 품질은 S-criteria로 계산된 값을 의미한다. 즉, Srxlev 혹은 Squal이다.
Srxlev = Qrxlevmeas - (Qrxlevmin + Qrxlevminoffset) - Pcompensation - Qoffsettemp
Squal = Qqualmeas - (Qqualmin + Qqualminoffset) - Qoffsettemp
상기 식들에서 각 값은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9047304574-pat00002
[표 2]
Figure 112019047304574-pat00003
특히 NR로의 inter-RAT 셀 재선택의 경우엔, Srxlev이 이용되며, 상기 Srxlev 값은 상기 특정 임계값 ThreshX-high 혹은 ThreshX-low와 비교한다. 본 발명에서는 LTE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특정 NR 주파수에 대해 q-RxLevMinSUL 값을 제공하고, 단말이 SUL을 지원한다면, 상기 NR 주파수에 속한 NR 셀로의 inter-RAT 셀 재선택을 수행할 시, 상기 Srxlev의 Qrxlevmin 값으로 상기 q-RxLevMinSUL 값을 적용하여, 상기 Srxlev 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q-RxLevMinSUL 값은 NR 주파수별로 제공되며, 특정 NR 주파수에 속한 NR 셀들이 SUL을 지원한다면, 상기 특정 NR 주파수에 대한 q-RxLevMinSUL 값이 제공된다. SUL을 지원하지 않은 NR 주파수에 대해서는 상기 q-RxLevMinSUL 값이 제공되지 않는다. 수신 신호 품질, 즉 RSRQ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따로 Threshserving-lowQ, ThreshX-lowQ, ThreshX-highQ을 브로드캐스트로 단말에게 제공한다.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할 때는 Threshserving-lowP, ThreshX-lowP, ThreshX-highP를 사용한다.
도 1d는 비면허 대역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하는 NR 이동통신을 NR-U라고 칭한다. NR-U에서는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PCell을 통해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SCell을 설정하는 시나리오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PCell 시나리오가 존재한다. 후자의 경우, 단말에서는 cell (re)selection, 페이징 모니터링 등 대기 모드 (RRC_Idle)에서의 동작이 지원되어야 한다.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는 WiFi와 같은 타시스템/단말 및 타사업자의 NR-U 시스템/단말과의 경쟁을 통해, 소정의 시간 동안 채널을 점유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쟁을 통한 채널 점유 및 데이터 전송 동작을 LBT 동작이라고 한다. 상기 LBT 동작은 소정의 시간마다 수행되며, 이 때, 경쟁에서 이긴 통신주체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상향링크에서 프리엠블, 제어 메시지, 사용자 데이터 등 어떤 것을 전송하기 위해서 상향링크 LBT 동작 (UL LBT)을 먼저 수행해야 한다. 상기 UL LBT을 성공적으로 완료한다면, 상기 단말은 상향링크로 보내고자 하는 것을 전송할 수 있다. 실패하는 경우엔,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다시 UL LBT 동작을 트리거한다. 통상 상기 UL LBT 실패는 단말에서 인지 가능하다.
NR-U을 지원하는 대기 모드 단말 (1d-15)은 다른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NR-U 셀들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NR-U 셀이 속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전술하였듯이, 시스템 정보 혹은 dedicated RRC 메시지를 통해 셀 재선택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있다. 상기 단말은 소정의 채널 품질을 고려하면서 우선 순위가 높은 NR-U에 camping-on하게 된다.
상기 단말이 상기 camping-on한 셀로 엑세스를 시도할 때, 해당 셀이 동작하는 비면허 주파수 (1d-05)가 타 통신개체에 의해 경쟁이 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단말은 연속적으로 UL LBT 실패를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단말이 소정의 횟수 이상 UL LBT 실패를 겪거나 혹은 이로 인해 소정의 횟수 이상 연결 성립 과정 (connection setup)을 실패하는 경우, 상기 camping-on하고 있는 셀이 속한 비면허 주파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 상황에서 적용하는 신규 별도의 S-Criteria의 Qoffsettemp 값을 적용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문제 상황에서 상기 주파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가장 낮게 간주하거나, 상기 주파수를 bar 상태로 간주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방법들을 통해, 상기 단말은 경쟁이 덜한 주파수 (1d-10)에 camping-on할 수 있게 된다.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NR-U 셀과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일반 셀이 혼재해 있을 수 있다. 사업자는 상기의 시나리오에서 단말들이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일반 셀에 우선적으로 camping-on하도록 설정하고 싶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비면허 주파수와 면허 주파수에 상이한 셀 재선택 우선순위 값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외 다른 대안으로 별도의 비면허 주파수마다 별도의 Qoffsettemp을 제공하고, 이를 셀 선택, 재선택 과정에 적용하는 방법, 비면허 주파수에 적용되는 별도의 ThreshX-high 및 ThreshX-low 값을 제공하고, 이를 셀 선택, 재선택 과정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e는 제 1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 1 실시 예에서 기지국 (1e-10)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하기 3 가지의 파라미터를 단말 (1e-05)에 제공한다 (1e-15). 상기 시스템 정보는 항상 브로드캐스팅되는 SIB1이다.
- connEstFailOffset-lbtFailure
- connEstFailCount-lbtFailure
- connEstFailOffsetValidity-lbtFailure
상기 단말은 상기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상기 단말은 엑세스를 트리거한다 (1e-20). 상기 단말은 연결 성립 (connection setup) 과정을 시작하며, 상기 셀에 랜덤 엑세스를 시도하기 위해, UL LBT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셀이 동작하는 비면허 주파수가 혼잡하여 상기 연결 성립 과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연속적으로 UL LBT 실패가 발생하여, 결국 상기 연결 성립 과정이 실패한다 (1e-25). 상기 연결 성립 과정 실패가 상기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발생하면 (1e-30), 상기 셀이 속한 비면허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모든 셀들에 대해, 셀 선택 혹은 재선택 과정에서 도출하는 상기 S-Criteria에 상기 connEstFailOffset-lbtFailure 값을 Qoffsettemp 값으로 적용하고 (1e-35), 상기 connEstFailOffsetValidity-lbtFailure 값을 가진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1e-40). 이는 상기 혼잡한 비면허 주파수에 우선적으로 camping-on할 확률을 감소시킨다. 즉, 이는 상기 비면허 주파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상기 connEstFailOffset-lbtFailure 값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 (1e-45)될 때까지 상기 S-Criteria에 적용된다 (1e-50).
상기 셀에서의 연속적인 UL LBT 실패는 상기 비면허 주파수가 혼잡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frequency-specific하며, 상기 셀이 동작하는 비면허 주파수에 다른 셀들도 있다면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셀들에도 적용된다. 상기 파라미터들이 적용하는 조건은 상기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연결 성립 과정 샐패가 발생하는 경우 외, 다른 대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상향링크 LBT 실패가 발생할 때
-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LBT 실패가 발생하여 RLF가 발생할 때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f는 제 1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단말 동작의 순서도이다.
1f-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파라미터들을 제공받는다.
1f-1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RRC 연결 성립 과정을 트리거한다.
1f-1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UL LBT 실패로 인해 상기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상기 RRC 연결 성립 과정을 실패한다.
1f-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셀이 속한 비면허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모든 셀들에 대해, 셀 선택 혹은 재선택 과정에서 도출하는 상기 S-Criteria에 상기 connEstFailOffset-lbtFailure 값을 Qoffsettemp 값으로 적용하고, 상기 connEstFailOffsetValidity-lbtFailure 값을 가진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1f-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connEstFailOffset-lbtFailure을 상기 혼잡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속한 모든 셀들의 S-Criteria에 대입하여,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한다.
1f-30 단계에서 만약 상기 비면허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재선택하였다면, 상기 단말은 상기 셀로 RRC 연결 성립 과정을 트리거한다. 상기 connEstFailOffset-lbtFailure을 도입하여도, 여전히 상기 혼잡한 비면허 주파수에 속한 셀들 중 하나를 재선택하면, 상기 셀로 RRC 연결 성립 과정을 트리거하고, UL LBT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도 1g는 제 2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 2 실시 예에서 기지국 (1g-10)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하기 3 가지의 파라미터를 단말 (1g-05)에 제공한다 (1g-15). 상기 시스템 정보는 항상 브로드캐스팅되는 SIB1이다.
- cellReselectionPriority
- connEstFailCount-lbtFailure
- connEstFailOffsetValidity-lbtFailure
상기 단말은 상기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상기 cellReselectionPriority 정보는 RRCRelease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RRCRelease 메시지를 통해 제공될 경우, 상기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제공된 상기 cellReselectionPriority 정보는 무시된다. 상기 단말은 상기 cellReselectionPriority 정보를 고려하여,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고, 하나의 셀에 camping-on한다. 상기 단말은 엑세스를 트리거한다(1g-20). 상기 단말은 연결 성립 (connection setup) 과정을 시작하며, 상기 셀에 랜덤 엑세스를 시도하기 위해, UL LBT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셀이 동작하는 비면허 주파수가 혼잡하여 상기 연결 성립 과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연속적으로 UL LBT 실패가 발생하여, 결국 상기 연결 성립 과정이 실패한다(1g-25). UL LBT 실패로 기인하여, 상기 연결 성립 과정 실패가 상기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발생하면(1g-30), 상기 셀이 속한 비면허 주파수를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것으로 간주하거나 혹은 bar (엑세스 불가능) 상태로 간주한다(1g-35).
이 때, 상기 connEstFailOffsetValidity-lbtFailure 값을 가진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1g-40). 이는 상기 혼잡한 비면허 주파수에 우선적으로 camping-on할 확률을 감소시킨다. 즉, 이는 상기 비면허 주파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장 낮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조정 혹은 bar 상태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 (1g-45)될 때까지 적용된다 (1g-50). 상기 셀에서의 연속적인 UL LBT 실패는 상기 비면허 주파수가 혼잡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frequency-specific하며, 상기 셀이 동작하는 비면허 주파수에 다른 셀들도 있다면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셀들에도 적용된다. 상기 파라미터들이 적용하는 조건은 상기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연결 성립 과정 샐패가 발생하는 경우 외, 다른 대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상향링크 LBT 실패가 발생할 때
-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LBT 실패가 발생하여 RLF가 발생할 때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h는 제 2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단말 동작의 순서도이다.
1h-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파라미터들을 제공받는다.
1h-1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RRC 연결 성립 과정을 트리거한다.
1h-1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UL LBT 실패로 인해 상기 connEstFailCount-lbtFailure 횟수만큼 상기 RRC 연결 성립 과정을 실패한다.
1h-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셀이 속한 비면허 주파수를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것으로 간주하거나 혹은 bar (엑세스 불가능) 상태로 간주한다. 이 때, 상기 connEstFailOffsetValidity-lbtFailure 값을 가진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1h-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조정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고려하여,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한다.
1h-30 단계에서 만약 상기 혼잡한 비면허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재선택하였다면, 상기 단말은 상기 셀로 RRC 연결 성립 과정을 트리거한다. 상기 조정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도입하여도, 여전히 상기 혼잡한 비면허 주파수에 속한 셀들 중 하나를 재선택하면, 상기 셀로 RRC 연결 성립 과정을 트리거하고, UL LBT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도 1i는 제 3 실시 예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에서는 UL LBT 실패로 인해 소정의 횟수만큼 연속적으로 RRC 연결 성립 과정이 실패하는 경우에만 (혹은 UL LBT 실패로 인해 해당 비면허 주파수의 혼잡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해당 혼잡한 비면허 주파수를 deprioritization 한다. 그러나,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NR-U 셀과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일반 셀이 혼재에 있는 시나리오에서, 사업자는 단말들이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일반 셀에 우선적으로 camping-on하도록 설정하고 싶을 수도 있다. 혹은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비면허 주파수와 면허 주파수에 상이한 셀 재선택 우선순위 값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 외 다른 대안으로 제 3 실시 예에서는 하기 두 가지의 방법들을 제안한다.
옵션 1: 별도의 비면허 주파수마다 별도의 Qoffsettemp을 제공하고, 이를 셀 선택, 재선택 과정에서 상기 주파수에 속한 셀들의 S-Criteria 도출 시 상기 값을 적용하는 방법. 본 발명에서 상기 값을 QoffsetTempForUnlicensed라 칭한다.
옵션 2: 비면허 주파수에 적용되는 별도의 ThreshX-high 및 ThreshX-low 값을 제공하고, 이를 셀 선택, 재선택 과정에 적용하는 방법.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값을 각각 ThreshX-highForUnlicensed, ThreshX-lowForUnlicensed로 칭한다.
기지국 (1i-10)은 단말 (1i-05)에게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1i-15). 옵션 1 인 경우, 만약 단말이 NR-U 기술을 지원한다면, 해당 비면허 주파수에 속한 셀들의 S-Criteria값을 도출할 때, QoffsetTempForUnlicensed을 QoffsetTemp 대신 적용한다 (1i-20).
옵션 2 인 경우, 만약 단말이 NR-U 기술을 지원한다면, 현재 camping-on 하고 있는 주파수보다 높은 우선 순위 값을 가진 비면허 주파수에 대해서는 ThreshX-highForUnlicensed을 ThreshX-high 대신 적용하고, 현재 camping-on 하고 있는 주파수보다 낮은 우선 순위 값을 가진 비면허 주파수에 대해서는 ThreshX-lowForUnlicensed을 ThreshX-low 대신 적용한다 (1i-25).
도 1j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j-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j-20), 저장부(1j-30), 제어부(1j-40)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1j-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1j-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j-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1j-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1j-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1j-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은 상기 RF처리부(1j-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은 상기 RF처리부(1j-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상기 RF처리부(1j-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상기 RF처리부(1j-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상기 RF처리부(1j-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상기 RF처리부(1j-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j-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j-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j-30)는 상기 제어부(1j-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j-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j-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j-20) 및 상기 RF처리부(1j-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j-40)는 상기 저장부(1j-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j-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j-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k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처리부(1k-10), 기저대역처리부(1k-20), 백홀통신부(1k-30), 저장부(1k-40), 제어부(1k-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1k-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1k-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k-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1k-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1k-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1k-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상기 RF처리부(1k-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상기 RF처리부(1k-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상기 RF처리부(1k-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상기 RF처리부(1k-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백홀통신부(1k-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백홀통신부(1k-30)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저장부(1k-40)는 상기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k-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k-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k-40)는 상기 제어부(1k-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k-50)는 상기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k-5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상기 RF처리부(1k-10)을 통해 또는 상기 백홀통신부(1k-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k-50)는 상기 저장부(1k-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k-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2a-05, 2a-10, 2a-15, 2a-20)과 MME (2a-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2a-30, Serving-Gateway)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2a-35)은 ENB(2a-05 ~ 2a-20) 및 S-GW(2a-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2a에서 ENB(2a-05 ~ 2a-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2a-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2a-05 ~ 2a-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2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2a-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2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b-05, 2b-40), RLC (Radio Link Control 2b-10, 2b-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b-15, 2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b-05, 2b-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b-10, 2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2b-15, 2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b-20, 2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2c는 본 발명에서 Radio Link Monitoring (RLM)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 물리 계층은 서빙 셀의 CRS로부터 하향링크 신호 품질을 측정한다 (2c-05). 상기 신호 품질이 특정 임계값 Qout 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2c-10). 상기 임계값은 PDCCH에서 측정되는 특정 BLER과 대응되는 신호 품질 값이다. 만약, 상기 신호 품질이 특정 임계값 Qout 보다 낮다면, 상기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에 ‘out-of-sync’ 지시자를 전달한다. LTE 기술에서 상기 동작을 RLM이라고 칭한다. 만약 상기 지시자가 특정 횟수 이상 상기 상위 계층에 전달되면, 상기 상위 계층은 특정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RLF을 선언한다 (2c-15).
도 2d는 본 발명에서 Radio Link Failure (RLF)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RLF은 RLM으로부터의 결과에 따라 선언될 수 있다. 단말 물리 계층은 특정 주기, Qout evaluation period 마다 서빙 셀의 CRS로부터 하향링크 신호 품질이 특정 임계값 Qout 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신호 품질이 특정 임계값 Qout 보다 낮다면, 상기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에 ‘out-of-sync’ 지시자를 전달한다. 최소 지시자가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 후 (2d-05), 특정 횟수 N310만큼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면 특정 타이머 T310이 구동한다 (2d-10).
상기 물리 계층은 서빙 셀의 CRS로부터 하향링크 신호 품질이 특정 임계값 Qin 보다 높은지 여부도 판단한다. 만약 상기 신호 품질이 특정 임계값 Qin 보다 높다면, 상기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에 ‘in-sync’ 지시자를 전달한다. 상기 지시자가 특정 횟수만큼 상기 상위 계층에 전달되면, 상기 구동 중인 T310 타이머를 중지시킨다. 만약 상기 T310 타이머가 중지되지 못하고, 만료되면, 상기 상위 계층은 RLF을 선언한다 (2d-15). 상기 RLF 선언 후, 상기 단말은 또 다른 타이머 T311을 구동시킨다. 상기 단말은 새로운 suitable cell을 찾으며, 이를 상기 T311이 만료될 때까지 찾지 못하면,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2d-25). 만약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suitable cell을 찾게 되면, T301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셀로 re-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한다 (2d-20). 상기 T301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re-establishment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지 못하면, 상기 단말은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2d-30).
상기 re-establishment가 성공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셀에 연결 모드를 지속한다. RLF는 상기 RLM 동작에 의해 선언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조건에 따라서 선언될 수 있다. 랜덤 엑세스가 실패하는 경우에도 RLF가 선언될 수 있다 (2d-35). 또한, RLC 계층에서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여도, 성공적으로 패킷을 전달하지 못한 경우에도 RLF가 선언된다 (2d-40). 상기 T301, T311 동작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표 3]
Figure 112019047304574-pat00004
RLF가 선언되는 또 다른 경우는 핸드오버가 실패하는 경우이다. 단말은 핸드오버 설정정보, mobilityControlInfo IE을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면 (2d-45), T304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상기 T304의 타이머 값은 상기 mobilityControlInfo에서 제공된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타겟 셀과의 랜덤 엑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 핸드오버 실패로 간주하고 RLF을 선언한다 (2d-50).
도 2e는 본 발명에서 연속적인 UL LBT 실패로 인해 트리거된 RLF 및 re-establishment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면허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NR 셀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중이거나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중인 단말은 연속적으로 UL LBT 실패를 겪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속적인 UL LBT 실패가 RLF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은 셀 선택 (cell selection) 동작을 통해, suitable cell을 찾고, 상기 셀로 re-establishment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UL LBT 실패는 이전 셀의 채널 품질이 열악해졌기 때문이 아니라 상향링크가 혼잡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셀 선택 동작에서 이전 셀이 다시 선택될 가능성이 높고, re-establishment 동작을 수행하여도 해당 비면허 주파수에서의 혼잡도가 급격하게 양호해지지 않는다면, 다시 UL LBT 실패가 발생할 것이다. 즉, 상기 re-establishment도 UL LBT 실패로 인해 실패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UL LBT 실패로 인해 RLF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UL LBT 실패가 발생했던 셀 (혹은 상기 셀이 속한 주파수)을 RLF 이후 셀 선택 동작에서 배제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 혹은 dedicated RRC 시그널링을 통해, 두 가지 파라미터, lbtFailCount, validity timer를 제공받는다 (2e-05). 상기 단말의 물리 계층은 UL LBT 실패를 감지하며, 상기 lbtFailCount 횟수만큼 UL LBT 실패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단말의 MAC 계층에 알린다 (2e-10). 혹은 상기 물리 계층은 매번 UL LBT 실패를 상기 MAC 계층에 알리고, 상기 MAC 계층이 상기 상기 lbtFailCount 횟수만큼 UL LBT 실패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MAC 계층은 상기 lbtFailCount 횟수만큼 UL LBT 실패가 발생함을 인지하면, 이를 상기 단말의 RRC에게 알린다 (2e-15). 이 때, 상기 RRC는 UL LBT 실패로 인한 RLF을 선언한다 (2e-20). 상기 단말은 셀 선택 동작을 트리거하고 하나의 suitable cell을 찾는다 (2e-25).
상기 단말은 상기 RLF가 UL LBT 실패로 인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RLF가 UL LBT 실패로 인해 발생하였다면, 상기 UL LBT 실패가 발생했던 서빙 셀 또는 상기 서빙 셀이 속한 주파수를 상기 셀 선택 동작에서 배제한다. 즉, 셀 선택 동작에서 고려되는 주파수로 간주하지 않는다 (bar 상태로 간주). 그리고, 상기 validity timer 값을 가지는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주파수는 상기 셀 선택 동작에서 배제된다.
다른 대안으로는 별도의 QoffsetTemp 값을 정의한다. 상기 값은 해당 셀이 시스템 정보로, 혹은 dedicated RRC 시그널링으로 제공된다. 만약 상기 RLF가 UL LBT 실패로 인해 발생하였다면, 상기 셀 선택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UL LBT 실패가 발생했던 서빙 셀 혹은 해당 주파수에 속한 모든 셀들의 S-Criteria을 도출할 때, 상기 신규 QoffsetTemp 값을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validity timer 값을 가지는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값을 적용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방법을 적용하여 선택한 suitable cell (2e-30)에 re-establishment 동작을 트리거한다 (2e-35).
도 2f는 본 발명에서 RLF 이후 cell selection 및 re-establishment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2f-05 단계에서 단말은 단말 능력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도 2f-1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 혹은 dedicated RRC 시그널링을 통해, 두 가지 파라미터, lbtFailCount, validity timer를 제공받는다.
도 2f-1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물리 계층은 UL LBT 실패를 감지하며, 이를 상기 단말의 MAC 계층에 알린다.
도 2f-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MAC 계층은 상기 lbtFailCount 횟수만큼 UL LBT 실패가 발생함을 상기 단말의 RRC에게 알린다.
도 2f-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RRC는 UL LBT 실패로 인한 RLF을 선언한다.
도 2f-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만약 상기 RLF가 UL LBT 실패로 인해 발생하였다면, 상기 단말은 셀 선택 동작에서 상기 RLF가 발생했던 이전 서빙 셀 또는 상기 서빙 셀이 속한 주파수를 배제한다. 상기 규칙은 특정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유효하다.
도 2f-3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셀 선택 동작을 통해, 하나의 suitable cell을 찾았다.
도 2f-4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셀로 re-establishment 동작을 트리거한다.
도 2f-4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동작을 위해, 상기 셀로 랜덤 엑세스를 수행한다.
도 2g는 LBT Type 1을 기술한 도면이다.
LBT Type 1은 전송 전에 다른 주변 기기들이 전송하는 지를 들어보는 시간을 랜덤하게 정하여, 해당 랜덤한 시간동안 채널이 비어있을 때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 때 고정된 시간(Td)만큼 우선 들어보고, 비어있을 때, 랜덤한 시간 (N) 동안 채널이 비어있는지를 판단한다.
이 때, 트래픽의 우선순위 및 중요도 등에 따라 상기 Td 및 N의 값을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차등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총 4가지의 차등적인 등급이 있다. 상기 등급을 채널접속 우선순위등급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CAPC)라 한다.
또한, 상기 CAPC에 따라 Td = 16 + mp* 9 (μs) 의 시간 길이를 갖고, N = random (0, CWp) * 9 (μs) 를 갖으며, CW 값은 CWmin,p 부터 시작했다가, 전송에 실패할 때 마다 약 두배로 늘어나며, 최대 CWmax,p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CAPC가 3인 방식을 사용하여 LBT를 수행하는 경우, Td는 16 + 3*9 = 43 μs의 길이를 갖고, N은 초기 전송의 경우 0에서 15 사이의 랜덤값을 선택하고, 만약 예를 들어 7을 선택한 경우 N은 7 * 9 = 63 μs 이 되어, 통신기기는 106 μs 동안 채널이 비어 있을 때 Data를 전송한다.
Figure 112019047304574-pat00005
만약 상기의 예시 (N을 위해 7을 선택한 경우), 채널이 비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중간에 (예를 들어, 상기 7 중에 3 만큼 지나고 4 만큼 경우) 채널이 다른 기기에 의해 점유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즉, 수신한 신호세기 (RSSI)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단말은 해당 채널 점유가 끝날 때 까지 기다린 다음, 다시 Td만큼 기다린 후 상기 남은 4만큼의 시간동안 채널이 비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CAPC 가 낮은 LBT 방식이 높은 우선순위의 트래픽을 전송할 때 사용된다.
도 2h는 LBT Type 2를 기술한 도면이다.
LBT Type 2는 전송 전에 다른 주변 기기들이 전송하는 지를 들어보는 시간이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해당 고정된 시간동안 채널이 비어있을 때 즉시 전송하는 방법이다. 즉 본 예시 도면에서 통신기기가 전송이 필요할 때 Tshort (=Tf+Ts) 동안의 고정된 시간 동안 채널을 들어보고 (센싱해보고) 비어 있다고 판단하면 즉시 data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즉, 이는 우선순위가 매우 높은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LBT 방식이다. 이에 따라 도 2g에서 전술한 랜덤엑세스프리앰블 및 전술한 PUCCH 등은 중요도가 높은 신호로 본 LBT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도 2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i를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2i-01), 단말 제어부(2i-02), 저장부(2i-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 제어부((2i-02)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2i-01)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i-01)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SIB 또는 dedicated RRC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i-0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제어부(2i-02)는 앞서 기술한 도면과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제어부(2i-02)는 SIB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 및 타이머 값을 이용하여, UL LBT 실패 여부를 판단하고, 적절한 셀로의 RRC re-establishment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송수신부(2i-01)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2i-03)는 송수신부(2i-01)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단말 제어부(2i-02)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j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2j-01), 기지국 제어부(2j-02), 저장부(2j-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 제어부(2j-02)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2j-01)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j-01)는 예를 들어, 본 발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IB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기지국 제어부(2j-0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제어부(2j-02)는 단말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SIB에 단말의 UL LBT 실패 여부 판단을 위한 파라미터 및 타이머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송수신부(2j-01)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2j-03)는 송수신부(2j-01)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기지국 제어부(2j-02)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Listen Before Talk(LBT) 실패와 관련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LBT 실패를 감지하는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 및 셀 재선택과 연관된 우선 순위를 유지하기 위한 타이머 정보를 포함하고;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셀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LBT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 정보에 의해 설정된 횟수만큼 LBT 실패가 감지된 것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횟수만큼의 LBT 실패에 기초하여,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우선 순위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우선 순위는 상기 타이머 정보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가 구동중인 동안 유지되며;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셀 재선택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셀 재선택과 연관된 오프셋 값을 더 포함하고, 및
    상기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동안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셀에 대한 셀 선택 기준을 수신 신호 정보에서 상기 오프셋 값을 차감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셀 재선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관한 우선 순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셀 재선택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임계값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 정보는 채널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와 연관되고, 및
    상기 셀 재선택이 다수의 비면허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셀 재선택은 상기 임계값 정보에 더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셀 재선택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Listen Before Talk(LBT) 실패와 관련된 파라미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단말이 LBT 실패를 감지하는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 및 셀 재선택과 연관된 우선 순위를 유지하기 위한 타이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된 LBT 실패와 관련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상기 생성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셀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LBT가 수행되고, 상기 카운트 정보에 의해 설정된 횟수만큼 LBT 실패가 감지된 경우,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우선 순위는 셀 재선택과 연관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로 결정되고, 및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우선 순위는 상기 타이머 정보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하는 송수신부; 및
    Listen Before Talk(LBT) 실패와 관련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LBT 실패를 감지하는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 및 셀 재선택과 연관된 우선 순위를 유지하기 위한 타이머 정보를 포함하고,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셀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LBT를 수행하고,
    상기 카운트 정보에 의해 설정된 횟수만큼 LBT 실패가 감지된 것을 확인하며,
    상기 횟수만큼의 LBT 실패에 기초하여,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우선 순위로 결정하며,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우선 순위는 상기 타이머 정보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가 구동중인 동안 유지되며,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셀 재선택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셀 재선택과 연관된 오프셋 값을 더 포함하고,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동안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셀에 대한 셀 선택 기준을 수신 신호 정보에서 상기 오프셋 값을 차감하여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관한 우선 순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삭제
  13. 삭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선택된 셀을 기반으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성립 과정을 트리거링하도록 더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 하는 송수신부; 및
    Listen Before Talk(LBT) 실패와 관련된 파라미터 정보를 확인하되,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단말이 LBT 실패를 감지하는 횟수에 대한 카운트 정보 및 셀 재선택과 연관된 우선 순위를 유지하기 위한 타이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된 LBT 실패와 관련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생성하고, 및
    상기 단말에게 상기 생성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셀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LBT가 수행되고, 상기 카운트 정보에 의해 설정된 횟수만큼 LBT 실패가 감지된 경우,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우선 순위는 셀 재선택과 연관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로 결정되고, 및
    상기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우선 순위는 상기 타이머 정보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90054167A 2019-05-09 2019-05-09 비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82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167A KR102829967B1 (ko) 2019-05-09 2019-05-09 비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0/006042 WO2020226439A1 (ko) 2019-05-09 2020-05-07 비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7/609,172 US12127054B2 (en) 2019-05-09 2020-05-07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operation in unlicensed b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167A KR102829967B1 (ko) 2019-05-09 2019-05-09 비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65A KR20200129565A (ko) 2020-11-18
KR102829967B1 true KR102829967B1 (ko) 2025-07-04

Family

ID=7305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167A Active KR102829967B1 (ko) 2019-05-09 2019-05-09 비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127054B2 (ko)
KR (1) KR102829967B1 (ko)
WO (1) WO2020226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54555B1 (ko) 2019-12-10 202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260816A1 (ja) * 2020-06-24 2021-12-3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15002872B (zh) * 2021-03-02 2024-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13727400B (zh) * 2021-09-02 2024-08-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择优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6033498A (zh) * 2021-10-27 2023-04-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接入方法、驻留方法、装置、用户设备及存储介质
EP4503715A4 (en) * 2022-07-26 2025-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hannel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20153706A (zh) * 2022-11-04 2025-06-13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基于小区状态的移动性控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6458A2 (en) 2016-02-02 2017-08-10 Intel IP Corporation Listen-before-talk (lbt) failure dur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WO2017167746A1 (en) 2016-04-01 2017-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controlling relative measurements in the presence of lb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4050A1 (ko) * 2015-03-06 201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18618B1 (ko) * 2015-04-15 2018-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 상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453182B (zh) * 2015-08-07 2020-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前导发送方法和装置
WO2017067003A1 (zh) * 2015-10-23 2017-04-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选择驻留小区的方法和装置
WO2017178973A1 (en) * 2016-04-11 2017-10-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wireless device feedback on secondary cel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via the unlicensed spectrum
EP3432674B1 (en) * 2016-05-23 2021-07-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s
KR20180018247A (ko) * 2016-08-12 2018-02-21 남정길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3512287B1 (en) * 2016-09-06 2023-08-02 LG Electronics Inc.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on-licensed band and device supporting same
WO2020068768A1 (en) * 2018-09-25 2020-04-02 Idac Holdings, Inc. Uplink based forward mobility
KR20200035822A (ko) 2018-09-27 2020-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lbt 실패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294883B (zh) * 2019-01-31 2021-12-1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小区重选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6458A2 (en) 2016-02-02 2017-08-10 Intel IP Corporation Listen-before-talk (lbt) failure dur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WO2017167746A1 (en) 2016-04-01 2017-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controlling relative measurements in the presence of lbt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900937*
3GPP R2-1901189
3GPP R2-1901674
3GPP R2-190738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65A (ko) 2020-11-18
WO2020226439A1 (ko) 2020-11-12
US12127054B2 (en) 2024-10-22
US20220232437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2846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base station to report LBT failure informa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US12395912B2 (en) Mobility load balan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825795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3585097B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ectively performing standby mode opera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829967B1 (ko) 비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688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7948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cket duplication by considering dual connectivity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9248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base station to report LBT failure informa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KR102761361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0458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07212A1 (en) Method for processing node failure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direction information therein
US111469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200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KR20200035826A (ko) 백홀 액세스 통합 시스템에서 노드 실패 처리 방법 및 redirection 정보 전송 방법
EP38187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823164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연결 단말이 빠르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839973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163869A (ko) 차세대 이통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 단말의 QoE 측정에 관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2486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