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20140B1 -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height adjustment - Google Patents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height adjus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20140B1
KR102820140B1 KR1020250019089A KR20250019089A KR102820140B1 KR 102820140 B1 KR102820140 B1 KR 102820140B1 KR 1020250019089 A KR1020250019089 A KR 1020250019089A KR 20250019089 A KR20250019089 A KR 20250019089A KR 102820140 B1 KR102820140 B1 KR 102820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height
section
chair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50019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윤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Priority to KR1020250019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201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20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2014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는, 등판의 일지점에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장착홈; 전방에 상하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장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하조절편이 내장되며, 상기 장착홈을 커버하도록 조립되는 작동조립체; 및 상기 상하조절편에 조립되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요추 지지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요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의 구현과 조립의 간편함을 위하여 다양한 구조가 집약된 하나의 부품을 이용하여 부품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unting groove formed to open forward at a point on a backrest; an operating assembly formed with an upper and lower hole in the front, an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tha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upper and lower hole is built in, and is assembled to cover the mounting groove; and a lumbar support assembled to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up and down; In order to implement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to suit a user's body type and to facilitate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drastically reduced by using a single part in which various structures are integrated.

Description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height adjustment}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요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의 구현과 조립의 간편함을 위하여 다양한 구조가 집약된 하나의 부품을 이용하여 부품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chair capable of implementing a height-adjusting function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to suit the body type of a user and drasticall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by using a single part in which various structures are integrated for ease of assembly.

의자는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가구 중 하나이며, 특히 사무용 의자처럼 장시간 사용을 전제로 하는 경우 사용자 편의성과 인체공학적 설계가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Chairs are one of the essential pieces of furniture in daily life, and especially in cases where they are intended for long-term use, such as office chairs, user convenience and ergonomic design a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의자의 등판은 허리와 등을 지지하는 핵심 부분으로, 사용자의 자세와 체형에 맞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며, 이런 조정 기능은 개인 맞춤형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e backrest of a chair is a key part that supports the lower back and waist, and it needs to be able to adjust its position to suit the user's posture and body type. This adjustment fun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personalized comfort.

하지만, 종래의 의자는 등판 조정의 세밀성과 편의성 부족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체형이나 자세에 따라 맞춤형으로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부족하다. However, conventional chairs lack the precision and convenience of backrest adjustment, and specifically, they lack the flexibility to allow the user to adjust the seat to their body type or posture.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적합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허리와 등 부위에 피로가 누적되거나 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This makes it difficult for users to maintain proper posture, and increases the likelihood of fatigue or pain in the lower back and waist when sitting for long periods of time.

특히, 최근에는 의자에 앉아 공부를 하거나 사무를 보는 일이 많은 현대인들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업무를 볼 때 필연적으로 허리를 구부리게 되고, 상기와 같은 자세에서 장시간 학습이나 업무를 보게 됨에 따라 허리의 통증을 많이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In particular, many modern people who study or work while sitting on a chair these days inevitably bend their backs when working while sitting on a chair for a long time, and many of them complain of back pain as they study or work in the above posture for a long time.

이러한 통증의 원인은 척추의 하부인 요추 부분이 나쁜 자세로 장시간 유지됨에 따라 체중이 척추 전반에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요추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이며, 이러한 요추 부분의 피로감으로 인해 뻐근함과 통증을 느끼게 된다.The cause of this pain is that the lumbar region, the lower part of the spine, is maintained in a bad posture for a long time, so the body weight is not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the spine but is concentrated in the lumbar region. This fatigue in the lumbar region causes dullness and pain.

상술한 바와 같은 요추의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의자의 등판에 사용자의 요추가 위치되는 부분을 전방측으로 돌출시킨 요추 지지부가 적용되고 있다. In order to relieve lumbar fatigue as described above, a lumbar support part is applied to the back of the chair so that the part where the user's lumbar is located protrudes forward.

그러나, 종래의 요추 지지부는 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신체조건을 갖는 사용자의 요추를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umbar support is formed to be fixed in one pos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protect the lumbar of users with various physical conditions.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078658호에는 '조절식 요추 지지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가 개시되었으나, 상기 '조절식 요추 지지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이 떨어짐에 따라 생산성은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2078658 discloses a 'chair backrest having an adjustable lumbar support device', but the 'chair backrest having an adjustable lumbar support device' has a complex structure, which reduces assembly efficiency and thus has the disadvantage of poor productivity.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2078658호(Prior art document)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078658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요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의 구현과 조립의 간편함을 위하여 다양한 구조가 집약된 하나의 부품을 이용하여 부품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to provide a chair that can drastically reduce the number of parts by using a single part in which various structures are integrated for ease of assembly and to implement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to suit the user's body typ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는, 등판의 일지점에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장착홈; 전방에 상하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장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하조절편이 내장되며, 상기 장착홈을 커버하도록 조립되는 작동조립체; 및 상기 상하조절편에 조립되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요추 지지대;를 포함한다. The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omprises: a mounting groove formed to be opened forward at a point of a backrest; an operating assembly formed with an upper and lower hole in the front, and having an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built in tha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upper and lower hole, and assembled to cover the mounting groove; and a lumbar support assembled to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up and down.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조립체의 상하장공은, 상측 반원부, 하측 반원부 및 상기 상측 반원부와 상기 하측 반원부를 연결하는 중간 직선부로 형성된 제1 장공부; 상기 제1 장공부와 제1 단차부를 두고 형성되고, 상측 원호부, 하측 원호부 및 상기 상측 원호부와 상기 하측 원호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로 형성된 제2 장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holes of the operating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longitudinal portion formed by an upper semicircular portion, a lower semicircular portion, and an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semicircular portion and the lower semicircular portion; a second longitudinal portion formed by having the first longitudinal portion and the first step portion and forming an upper circular portion, a lower circular portion, and an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circular portion and the lower circular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연결부에는, 상기 상측 원호부 또는 상기 하측 원호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구비되며, 상기 상측 원호부, 하측 원호부 및 상기 그루브의 사이 간격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groove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upper circular portion or the lower circular portion,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upper circular portion, the lower circular portion and the groove can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조립체는, 상기 제2 장공부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측 원호부, 하측 원호부 및 상기 그루브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링형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장공부와 제2 단차부를 두고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하조절편은, 상기 제2 단차부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상하장공을 향해 돌출형성된 연결부싱;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요추 지지대는 상기 상하조절편의 연결부싱에 조립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operating assembly comprises: a ring-shaped elastic body that is elastically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second longitudinal portion and can be elastically fixed at any one of the upper circular portion, the lower circular portion, and the groove; and further comprises a slid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second longitudinal portion and the second step portion; and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comprises: a sliding body that slides within the sliding groove while being suspended over the second step portion; and a connecting bushing tha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upper and lower longitudinal holes from one side of the sliding body; and the lumbar support can be assembled to the connecting bushing of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싱은, 상기 링형 탄성체가 삽입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요추 지지대와 체결되는 체결키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싱에 대응하는 상기 요추 지지대에는 상기 체결키부에 삽입되는 체결키홈이 형성된 원통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necting bushing is formed including a cylindrical portion into which the ring-shaped elastic body is inserted; and a fastening key portion extending from the cylindrical portion and fastened to the lumbar support; and the lumbar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bushing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rotrusion having a fastening key groove formed therein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key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조립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하장공의 둘레를 따라서 전면으로 돌출된 상하 가이드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추 지지대에는, 상기 상하 가이드 돌부의 양측에 맞닿도록 돌출되어 상기 요추 지지대의 상하로 높이조절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상하 가이드 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 가이드 돌부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는, 상기 상하 가이드 돌부가 상기 한 쌍의 상하 가이드 블록의 사이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front part of the operating assembly is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that protrude for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holes, and the lumbar suppo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blocks that protrud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and guid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lumbar support upward and downward, and guide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so as to guide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between the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blocks.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홈의 내측 코너부에는 체결 및 고정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및 고정 블록에 마주하는 상기 작동조립체의 대응면에는 상기 체결 및 고정 블록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 및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 fastening and fixing block may be formed at an inner corner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fastening and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and fixing block is inserted and fixed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operating assembly facing the fastening and fixing block.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요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to suit the user's body type.

특히, 본 발명은 작동조립체에 제1 장공부, 제1 단차부, 제2 장공부, 제2 단차부, 슬라이딩홈을 각각 형성함에 따라 상하조절편의 설치와 작동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링형 탄성체의 작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부에 의해 요추 지지대와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는 구조가 집약적으로 형성되어 부품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n upper and lower adjustment member by forming a first long section, a first step section, a second long section, a second step section, and a sliding groove in the operating assembly, respectively, and also allows the operation of a ring-shaped elastic body to be performed in stages. In addition, a structure is intensively formed to facilitate combination with a lumbar support member by a guide projection formed on the front,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drastically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전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후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를 주요 구성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의 작동조립체를 도시한 전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의 작동조립체를 도시한 후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의 작동조립체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의 높이조절 작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able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assembly of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assembly of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assembly of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the height adjustment operation state of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such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above terms are used sole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plural items or any item among plural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present in between.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have,” etc.,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후면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를 주요 구성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abl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abl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components of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abl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40)를 갖는 의자는, 등판(20)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요추 지지대(40)의 위치를 상하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의자로,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과 활동에 맞는 최적의 자세를 취할 수 있다.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40) with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ir that provides a function of fre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umbar support (40)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backrest (20) up and down, and through this function, a user can assume an optimal posture that suits his or her physical condition and activity.

본 실시예의 의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게 요추 지지대(40)의 상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여 인체공학적 설계를 실현하고 있다.The chair of this embodiment has an ergonomic design with a function that allows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lumbar support (40) to be adjusted to suit the various needs of the user.

본 실시예의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20), 상기 등판(2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 지지대(40), 및 상기 좌판(10)과 등판(20)을 연결하는 후방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hair of this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1,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 (10) on which a user sits, a back plate (20) provid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seat plate (10) to support the user's back, a lumbar support (40) provided on the back plate (20) to support the user's lumbar region, and a rear bracket (30) connecting the seat plate (10) and the back plate (20).

상기 좌판(10)은 사용자가 앉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제작되고, 사용자의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폼 재질이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쿠션감을 느끼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above seat (10) is the part where the user sits, is generally manufactured in a flat shape, is configured to evenly distribute the user's weight, and is provided with foam material on the upper part to provide the user with a cushioned feeling and is configured to enable long-term use.

상기 좌판(10)의 크기와 형태는 사용자의 편안함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한다.The size and shape of the above seat (10)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to take into account the user's comfort, and can be configured to allow for position adjust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he user can sit comfortably.

상기 등판(20)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좌판(1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과 요추를 지지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The above-mentioned backrest (20) is a part that supports the user's back, and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seat (10)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lumbar region and help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상기 등판(20)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고, 사용자가 오랫동안 앉아 있어도 불편함이 없도록 형성되며, 좌판(10)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몸에 맞춰 약간의 구부러짐을 제공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above-mentioned backrest (20) is ergonomically designed to fit the user's body shape and is formed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even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It maintains a certain angle with the seat (10) and provides a slight bend to fit the user's body, allowing the user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상기 등판(20)은 상부와 하부 및 중간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정두께의 테를 이루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메쉬가 씌워져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backrest (20) is formed in a square shape with the upper, lower and middle part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frame of a certain thickness, and the front is covered with mesh to support the user's back.

상기 등판(20)의 프레임 부분은 상기 요추 지지대(40)의 설치를 위하여 중앙 부분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앙바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frame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backrest (20) is formed to include a central bar portion that crosses the central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 installation of the above-mentioned lumbar support (40).

상기 요추 지지대(40)는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등판(2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하부 척추(요추)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여 장시간 앉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요통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되며,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above lumbar support (40) is a part that supports the user's lumbar region, is provided on the backrest (20),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additional support to the user's lower spine (lumbar region) to help prevent back pain that may occur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up and d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후방브라켓(30)은 좌판(10)과 등판(20)을 연결하는 강도 높은 부품으로, 의자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좌판(10)과 등판(2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above rear bracket (30) is a high-strength component that connects the seat (10) and the back (20),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to the chair, and to ensure that the seat (10) and the back (20) can be firmly connected.

이하, 상기 요추 지지대(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과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4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의자는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40)를 포함한다.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umbar support (40) with a height-adjusting func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의자는, 상기 요추 지지대(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등판(20)의 일지점에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장착홈(20h)과, 전방에 상하장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장공(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하조절편(130)이 내장되며, 상기 장착홈(20h)을 커버하도록 조립되는 작동조립체(100)와, 상기 상하조절편(130)에 조립되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요추 지지대(4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unting groove (20h) formed to open forward at a point of a backrest (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40), an upper and lower hole (110) formed in the front, an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130) tha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upper and lower hole (110) is built in, an operating assembly (100) assembled to cover the mounting groove (20h), and a lumbar support (40) that is assembled to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130) and can be adjusted in height up and down.

상기 장착홈(20h)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20)을 구성하는 사각 형상의 중앙 부분을 가로지르는 중앙바 부분에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mounting groove (20h) may be formed to be open forward in the central bar portion cros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quare shape forming the upper plate (20), as shown in FIGS. 2 and 3.

상기 장착홈(20h)은 대략 사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고, 내측 코너부에는 체결 및 고정 블록(20h-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 및 고정 블록(20h-1)에는 볼트 조립을 위한 너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mounting groove (20h)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n approximately square shape, and a fastening and fixing block (20h-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orner, and a nut hole for bolt assembly can be formed in the fastening and fixing block (20h-1).

한편, 상기 체결 및 고정 블록(20h-1)에 마주하는 상기 작동조립체(100)의 대응면에는 상기 체결 및 고정 블록(20h-1)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 및 고정 홈(100h)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및 고정 홈(100h)을 관통하여 조립되는 볼트가 상기 너트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작동조립체(100)가 상기 장착홈(20h)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fastening and fixing groove (100h) i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operating assembly (100) facing the fastening and fixing block (20h-1) into which the fastening and fixing block (20h-1) is inserted and fastened, and a bolt that is assembled by penetrating the fastening and fixing groove (100h) is fastened to the nut hole, so that the operating assembly (100) can be fastened to the mounting groove (20h).

상기 작동조립체(100)는 전방에 상하장공(11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상하장공(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하조절편(130)이 내장된다.The above operating assembly (100) has an upper and lower hole (110) formed in the front, and an upper and lower adjustment member (130) tha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upper and lower hole (110) is built into the interior.

상기 작동조립체(100)는 상기 장착홈(20h)을 커버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상하조절편(130)은 상기 요추 지지대(40)와 조립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편(1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요추 지지대(4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The above operating assembly (100) is assembled to cover the mounting groove (20h), and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130) is assembled with the lumbar support (4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4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130).

상기 작동조립체(100)의 상하장공(11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공부(111)와 제2 장공부(115)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holes (110)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assembly (100) ar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ong part (111) and the second long part (115)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S. 4 to 6.

상기 제1 장공부(111)는 상측 반원부(111a), 하측 반원부(111b) 및 상기 상측 반원부(111a)와 상기 하측 반원부(111b)를 연결하는 중간 직선부(111c)로 형성된다.The above first section (111) is formed by an upper semicircular portion (111a), a lower semicircular portion (111b), and an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111c) connecting the upper semicircular portion (111a) and the lower semicircular portion (111b).

상기 제2 장공부(115)는 상기 제1 장공부(111)와 제1 단차부(113)를 두고 형성되되, 상측 원호부(115a), 하측 원호부(115b) 및 상기 상측 원호부(115a)와 상기 하측 원호부(115b)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115c)로 형성된다.The above second section (115) is formed by the first section (111) and the first step (113), and is formed by an upper circular section (115a), a lower circular section (115b), and an intermediate connecting section (115c) connecting the upper circular section (115a) and the lower circular section (115b).

상기 제2 장공부(115)의 중간 연결부(115c)에는, 상기 상측 원호부(115a) 또는 상기 하측 원호부(115b)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115d)가 구비되며, 상기 상측 원호부(115a), 하측 원호부(115b) 및 상기 그루브(115d)의 사이 간격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 연결부(115c)에 하나의 그루브(115d)가 형성된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상기 그루브(115d)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115c) of the second section (115)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groove (115d)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upper circular portion (115a) or the lower circular portion (115b),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upper circular portion (115a), the lower circular portion (115b), and the groove (115d)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one groove (115d)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115c) is exemplified,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wo or more grooves (115d) may be formed.

한편, 상기 작동조립체(100)는 상기 제2 장공부(115)와 제2 단차부(117)를 두고 형성된 슬라이딩홈(11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하조절편(130)은 상기 슬라이딩홈(119)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Meanwhile, the operating assembly (100) further includes a sliding groove (119) formed by the second long section (115) and the second step section (117), and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13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119) and assembled to enable sliding.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조절편(130)은 상기 제2 단차부(117)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홈(119)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본체(131)와, 상기 슬라이딩 본체(131)의 일측면에서 상기 상하장공(110)을 향해 돌출형성된 연결부싱(13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member (130) is formed by including a sliding body (131) that slides within the sliding groove (119) while being spanned over the second step (117), and a connecting bushing (133)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liding body (131) toward the upper and lower holes (110).

상기 상하조절편(130)의 연결부싱(133)은, 후술하게 될 링형 탄성체(120)가 삽입되는 원통부(133a)와, 상기 원통부(133a)에서 연장되어 상기 요추 지지대(40)와 체결되는 체결키부(133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connecting bushing (133) of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member (130) is formed by including a cylindrical portion (133a) into which a ring-shaped elastic body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a connecting key portion (133b) that extends from the cylindrical portion (133a) and is connected to the lumbar support member (40).

상기 연결부싱(133)에 대응하는 상기 요추 지지대(40)에는 상기 체결키부(133b)에 삽입되는 체결키홈(41a)이 형성된 원통돌출부(41)가 구비된다.The lumbar support (40) corresponding to the above connecting bushing (133)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rotrusion (41) having a fastening key groove (41a) formed therein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key portion (133b).

따라서, 상기 체결키부(133b)가 상기 체결키홈(41a)에 삽입되어 조립됨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편(130)과 상기 요추 지지대(40)가 조립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130) and the lumbar support (40) can be assembled by inserting the fastening key part (133b) into the fastening key groove (41a) and assembling it.

이러한 조립 구조에 따라서, 상기 상하조절편(1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요추 지지대(4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assembly structure, the upper and lower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member (4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member (130).

한편, 상기 작동조립체(100)는 상기 제2 장공부(115)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측 원호부(115a), 하측 원호부(115b) 및 상기 그루브(115d)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링형 탄성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operating assembly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ring-shaped elastic body (120) that can elastically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second section (115) and can be elastically fixed at any one of the upper circular portion (115a), the lower circular portion (115b), and the groove (115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형 탄성체(120)는 상기 연결부싱(133)의 원통부(133a)에 삽입되어 조립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ing-shaped elastic body (120) is inserted into and assembl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133a) of the connecting bushing (133).

이러한 조립 구조에 따라서, 상기 링형 탄성체(120)가 상기 상측 원호부(115a), 하측 원호부(115b) 및 상기 그루브(115d)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하조절편(130)의 위치가 단계적으로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조절편(130)과 조립된 요추 지지대(40)도 상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assembly structure,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130) can be adjusted stepwise and fixed at a position where the ring-shaped elastic body (120) is elastically fixed at any one of the upper circular portion (115a), the lower circular portion (115b) and the groove (115d), and as illustrated in FIG. 7, the lumbar support member (40) assembled with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iece (130) can also be adjusted stepwise in its upper and lower height.

한편, 상기 작동조립체(100)의 전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장공(110)의 둘레를 따라서 전면으로 돌출된 상하 가이드 돌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요추 지지대(4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가이드 돌부(101)의 양측에 맞닿도록 돌출되어 상기 요추 지지대(40)의 상하로 높이조절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상하 가이드 블록(43)이 형성된다.Meanwhile, on the front side of the operating assembly (100), as shown in FIG. 4, an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 (101) is formed that protrudes for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holes (110), and on the lumbar support (40), as shown in FIG. 3,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blocks (43) are formed that protrud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 (101) to guid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lumbar support (40) up and down.

특히, 상기 상하 가이드 돌부(101)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101h)이 형성되며, 이러한 안내홈(101h)에 의해 상기 상하 가이드 돌부(101)가 상기 한 쌍의 상하 가이드 블록(43)의 사이로 안내될 수 있게 되어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guide grooves (101h)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101), and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101) can be guided between the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blocks (43) by the guide grooves (101h),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bviou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which are written to include such many modifications.

10:좌판 20:등판
20h:장착홈 20h-1:체결용 고정 블록
30:후방브라켓 40:요추 지지대
41:원통돌출부 41a:체결키홈
43:상하 가이드 블록 100:작동조립체
100h:체결용 고정 홈 101:상하 가이드 돌부
101h:안내홈 110:상하장공
111:제1 장공부 111a:상측 반원부
111b:하측 반원부 111c:중간 직선부
113:제1 단차부 115:제2 장공부
115a:상측 원호부 115b:하측 원호부
115c:중간 연결부 115d:그루브
117:제2 단차부 119:슬라이딩홈
120:링형 탄성체 130:상하조절편
131:슬라이딩 본체 133:연결부싱
133a:원통부 133b:체결키부
10: Seat 20: Back
20h:Mounting groove 20h-1:Fixing block for fastening
30: Rear bracket 40: Lumbar support
41: Cylindrical protrusion 41a: Fastening key groove
43:Upper and lower guide blocks 100:Operating assembly
100h:Fixed groove for fastening 101: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101h:Guide Home 110:Up and Down
111:1st section 111a:Upper semicircle
111b: Lower semicircle 111c: Middle straight line
113: 1st step 115: 2nd section
115a:Upper arc part 115b:Lower arc part
115c:Middle joint 115d:Groove
117: 2nd step 119: Sliding home
120:Ring-shaped elastic body 130:Up-down adjustment piece
131: Sliding body 133: Connecting bushing
133a: Cylinder part 133b: Fastening key part

Claims (7)

등판의 일지점에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장착홈;
전방에 상하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장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하조절편이 내장되며, 상기 장착홈을 커버하도록 조립되는 작동조립체; 및
상기 상하조절편에 조립되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요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조립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하장공의 둘레를 따라서 전면으로 돌출된 상하 가이드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추 지지대에는,
상기 상하 가이드 돌부의 양측에 맞닿도록 돌출되어 상기 요추 지지대의 상하로 높이조절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상하 가이드 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 가이드 돌부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는,
상기 상하 가이드 돌부가 상기 한 쌍의 상하 가이드 블록의 사이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
A mounting groove formed to open forward at one point of the backrest;
An operating assembly in which an upper and lower hole is formed in the front, an upper and lower adjustment member tha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upper and lower hole is built in, and is assembled to cover the mounting groove; and
It includes a lumbar support member that is assembled to the above-mentioned upper and lower adjustment member and can be adjusted in height up and down;
On the front of the above operating assembly,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holes and protrude toward the front,
In the above lumbar support,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blocks are formed to protrude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and guide the upper and lower height adjustment of the lumbar support.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abl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are guided between the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blo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립체의 상하장공은,
상측 반원부, 하측 반원부 및 상기 상측 반원부와 상기 하측 반원부를 연결하는 중간 직선부로 형성된 제1 장공부;
상기 제1 장공부와 제1 단차부를 두고 형성되고, 상측 원호부, 하측 원호부 및 상기 상측 원호부와 상기 하측 원호부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로 형성된 제2 장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
In the first paragraph,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above operating assembly are:
A first longitudinal section formed by an upper semicircular portion, a lower semicircular portion, and an intermediate straight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semicircular portion and the lower semicircular portion;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abl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ection formed by having the first section and the first step section, and including an upper circular section, a lower circular section, and an intermediate connecting section connecting the upper circular section and the lower circular s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에는,
상기 상측 원호부 또는 상기 하측 원호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구비되며, 상기 상측 원호부, 하측 원호부 및 상기 그루브의 사이 간격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
In the second paragraph,
In the above intermediate connection,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abl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groove is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upper circular portion or the lower circular portion,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upper circular portion, the lower circular portion, and the groove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립체는,
상기 제2 장공부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측 원호부, 하측 원호부 및 상기 그루브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링형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장공부와 제2 단차부를 두고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하조절편은,
상기 제2 단차부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상하장공을 향해 돌출형성된 연결부싱;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요추 지지대는 상기 상하조절편의 연결부싱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operating assembly i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ing-shaped elastic body that can elastically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second section and can be elastically fixed at any one of the upper circular section, the lower circular section, and the groov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lid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second section and the second step section.
The abov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arts are,
It is formed by including a sliding body that slides within the sliding groove while being spanned by the second step; and a connecting bushing that is formed by protruding toward the upper and lower holes on one side of the sliding body;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umbar support is assembled to the connecting bushing of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싱은,
상기 링형 탄성체가 삽입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요추 지지대와 체결되는 체결키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싱에 대응하는 상기 요추 지지대에는 상기 체결키부에 삽입되는 체결키홈이 형성된 원통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
In paragraph 4,
The above connecting bushing is,
It is formed including a cylindrical portion into which the ring-shaped elastic body is inserted; and a fastening key portion extending from the cylindrical portion and fastened to the lumbar support;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abl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umbar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bushing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rotrusion having a fastening key groove formed therein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key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내측 코너부에는 체결 및 고정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및 고정 블록에 마주하는 상기 작동조립체의 대응면에는 상기 체결 및 고정 블록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 및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요추 지지대를 갖는 의자.
In the first paragraph,
A fastening and fixing block is formed on the inner corner of the above mounting groove,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with a height-adjustabl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fastening and fixing groove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operating assembly facing the fastening and fixing block, into which the fastening and fixing block is inserted and fixed.
KR1020250019089A 2025-02-14 2025-02-14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height adjustment Active KR1028201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0019089A KR102820140B1 (en) 2025-02-14 2025-02-14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height adjus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0019089A KR102820140B1 (en) 2025-02-14 2025-02-14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height adjus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820140B1 true KR102820140B1 (en) 2025-06-13

Family

ID=9601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19089A Active KR102820140B1 (en) 2025-02-14 2025-02-14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height adjus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2014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900B1 (en) * 2019-07-22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Lumbar supporting structure for back-rest of chair
KR102078658B1 (en) * 2019-10-16 2020-02-18 동성사무기기(주) Chair back with adjustable lumbar support
KR102468455B1 (en) * 2022-07-26 2022-11-18 신명수 Lumbar Support Device for Chair with Height Adjustment
KR102505888B1 (en) * 2022-08-11 2023-03-06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Backlest with lumbar support and chair with the same
KR20240001534U (en) * 2023-03-09 2024-09-20 한봉현 Chair back plate with lumbar support
KR20240001892U (en) * 2023-05-15 2024-11-22 김항수 device to prevent falling off of insect screen with adjustable lengt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900B1 (en) * 2019-07-22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Lumbar supporting structure for back-rest of chair
KR102078658B1 (en) * 2019-10-16 2020-02-18 동성사무기기(주) Chair back with adjustable lumbar support
KR102468455B1 (en) * 2022-07-26 2022-11-18 신명수 Lumbar Support Device for Chair with Height Adjustment
KR102505888B1 (en) * 2022-08-11 2023-03-06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Backlest with lumbar support and chair with the same
KR20240001534U (en) * 2023-03-09 2024-09-20 한봉현 Chair back plate with lumbar support
KR20240001892U (en) * 2023-05-15 2024-11-22 김항수 device to prevent falling off of insect screen with adjustable leng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9247A (en) One-piece shell chair
EP1401306B1 (en) Seats
CA1256011A (en) Ergonomic support
KR102206733B1 (en) Chair lumbar support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adjustment
JP2015027468A (en) Conforming back for seating unit
JPH11103967A (en) Chair
KR101193404B1 (en) Chair with waist supporter
JP7307537B2 (en) Chair
KR100942429B1 (en) Seat board of roller type and functional chair using the same
KR102820140B1 (en)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height adjustment
KR20090053341A (en) Frame chair
KR200191797Y1 (en) Chair to control position of the back of chair
KR200428384Y1 (en) Frame chair
KR102098953B1 (en) Chair with twistable backrest
JP2013123453A (en) Curvature changing mechanism of body support structure for chair
KR200371544Y1 (en) The chair having a head-rest and a hanger
KR102849550B1 (en) Chair body with synchronized structure by self-tension
KR102661446B1 (en) Functional seat chair
KR20200038585A (en) Chairs with adjustable lumbar support
KR200226584Y1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back of the chair
KR0140441Y1 (en) chair
KR900005960Y1 (en) Char having elastic frame
KR200409233Y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ackrest for chair
KR200253650Y1 (en) Headrest device for backrest of chair
KR200237319Y1 (en) Comfort sof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50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