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21694B1 -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21694B1
KR102821694B1 KR1020180147232A KR20180147232A KR102821694B1 KR 102821694 B1 KR102821694 B1 KR 102821694B1 KR 1020180147232 A KR1020180147232 A KR 1020180147232A KR 20180147232 A KR20180147232 A KR 20180147232A KR 102821694 B1 KR102821694 B1 KR 10282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ulation
information
target area
base station
guidance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666A (ko
Inventor
최지원
김범민
최홍석
허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216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2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216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기지국의 셀 별로 수집된 접속자 정보 및 MDT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영역에 대한 실시간 인구 수와 과거 대비 상대적 인구 수를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하여금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인구 안내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pulation Guidance Service}
본 실시예는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별 위치 데이터를 활용한 특정 영역 내 산출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인구수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일일이 해당 장소에 방문하여 직접 숫자를 세어 기록하는 방식이나, 일부를 통해 전체를 추정하는 샘플 조사 등이 활용 되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들은 사람이 일일이 하기 때문에 자주 시행하지 못하며, 천문학 적인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전통적인 방식은 통계 기록, 집계, 분석을 모두 하여 결과를 보려면 최소 며칠 이상 지난 후 데이터를 확인하여 분석이 가능하여 실시간성이 필요한 곳에는 활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을 대신할 만한 내용으로 기지국 셀(Cell) 기반 인구밀도 분석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셀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 접속자 수가 많고 적은 셀이 생기기 때문에 실제 인구수와 상이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또한 셀의 실제 커버리지(Coverage)를 알기에는 매우 어렵고 지형별로 커버리지의 범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특정 지역의 인구 밀도를 알기에는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방법은 셀의 접속자수로 인구 밀도만을 판단하기 때문에 실제 인구수를 알 수 없고, 지나가는 차량에 타고있는 사용자도 모두 접속자로 카운트 되어 부정확한 결과값이 나올 수 있다.
이에, 전통적인 방식의 문제점과 기지국 Cell 기반의 인구밀도 분석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그 정확도는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기지국의 셀 별로 수집된 접속자 정보 및 MDT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영역에 대한 실시간 인구 수와 과거 대비 상대적 인구 수를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하여금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인구 안내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인구 안내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대상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영역 설정부; 상기 대상 영역을 서비스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셀에 대한 셀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하는 접속자 산출부; 및 상기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하여 수집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하는 인구정보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인구 안내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대상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대상 영역을 서비스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셀에 대한 셀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하여 수집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 10항에 청구된 인구 안내 서비스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셀 별로 수집된 접속자 정보 및 MDT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영역에 대한 실시간 인구 수와 과거 대비 상대적 인구 수를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하여금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인구 안내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존 통신 데이터 활용 인구 추산 기술들의 경우, 기지국 셀 커버리지 내 사용자 수를 카운트하여 해당 셀 반경 안의 인구 수를 추산하는 정도에 그쳤다. 이러한 방식들의 문제점은 해당 방식에서 사용하는 셀 커버리지와 실제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관점에서 필요한 특정 영역의 경계(Boundary)와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셀 별 단순 트래픽 분석 용도로는 적합하지만 특정 영역 내 정확한 인구수 산출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기존 기술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DT (Minimizing Driving Test)의 단말기 별 위치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영역 내에 인구 숫자를 보다 정확하게 추산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 및 외부 서버장치(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인구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에 포함된 구성 요소는 각각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인구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인구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동작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인구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며, 인구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영역(=장소)에 대한 실시간 인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10)는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특정 영역에 상응하여 산출된 실시간 인구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기 설정된 UI에 맞춰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가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와의 연동을 통해 제공하는 실시간 인구 정보는 실시간 인구 수와 과거 대비 상대적 인구 수에 대한 분석정보일 수 있다.
도 6의 (a) 및 (b)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탑재된 인구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인구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검색 가능토록 하는 검색 창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최근 검색 목록 및 추천 장소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최근 검색 목록은 최근 검색 창에 검색한 장소들을 순서대로 정렬 후 해당 장소들에 대한 인구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추천 장소 정보는 최근 검색 장소와 동일 카테고리 내 다른 장소들에 대한 정보와 해당 장소들에 대한 인구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 창을 통해 특정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가 입력될 시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인구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한 특정 장소에 대한 기본 정보와 더불어 해당 장소 및 주변의 다른 장소들에 대하여 산출된 인구 정보를 지도 상에 표기하는 방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들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특정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대상 영역에 대한 실시간 인구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사용자가 직접 구비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직접 특정 영역에 대한 인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기지국의 셀 별로 수집된 접속자 정보 및 MDT 대상 단말기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영역에 대한 실시간 인구 수와 과거 대비 상대적 인구 수를 분석하여 제공한다.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셀 커버리지가 전파 환경에 따라 상이함에 따라 야기되는 인구 분석의 오차 발생 문제를 MDT 대상 단말기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정하는 방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특정 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영역별로 인구 숫자를 명 단위로 추산할 수 있다. 즉,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기존 인구 안내 기술들이 단순히 셀의 인구 밀집도를 추산하는 것에 비해 특정 영역 단위의 인구 숫자까지 추산한다.
또한, 기존 기술들이 단순히 특정 영역에 대해 셀의 인구 밀집도를 추산하는 정도에 그쳤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는 특정 영역에 대해 과거의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과거 대비 어느 정도 증감율을 보이는 지 상대적인 비교 수치를 제공한다.
한편,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가 특정 영역에 대한 인구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의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후술토록 한다.
외부 서버장치(130)는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필요 정보들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서버장치(130)는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연동하여, 특정 영역과 관련하여 산출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서버장치(130)는 Infra DW 서버(132) 및 MDT 서버(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fra DW 서버(132)는 이동통신망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동통신사는 양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기지국부터 교환국까지의 시스템에서 발생한 로그 및 통계를 기록하여 분석 및 성능 개선에 활용 하고 있다. 전국 이동통신망 서비스를 위해서 좁게는 수백 미터 넓게는 수 킬로미터마다 기지국이 구축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가입자는 가장 가까운 혹은 신호가 가장 강한 기지국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이동통신사의 교환국까지 신호를 주고 받으며 통화나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의 사용자 수 통계와 기지국의 설치 주소를 통해 기지국 기반 접속자 수를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Infra DW 서버(132)는 기지국과 연동하여,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수집한다. 한편, 기지국 셀에서는 서비스를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접속 통계를 짧은 주기로 수집한다. 이때 주기 내에 셀과 단말기가 1회 이상 커넥션이 맺어지면 셀에서는 이를 접속자(사용자)로 판단하여 카운트하고 주기가 끝날 때 총 카운트된 접속자 수를 user count로 Infra DW 서버(132)로 제공한다.
MDT 서버(134)는 MDT가 적용된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셀의 품질 측정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집된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MDT란 단말기 기반 네트워크 품질 분석 기능으로 무선 품질이 나쁜 지역을 센싱할 때, 차량이나 도보를 사용한 품질 측정으로 생기는 문제점인 자원 과다 투입과 환경변화에 의한 파악 어려움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방안이다. 이러한, MDT 기술에 의하는 경우 일정 주기로 품질 측정 정보를 올려 운용자는 어느 위치가 평균적으로 무선품질이 나쁜지 센싱을 통해 품질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MDT가 적용된 단말은 주기 적으로 셀 단위 품질 수집을 하며, 품질 수집을 할 때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그리고 위치 데이터를 MDT 서버(134)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장치(130)는 성/연령별 LTE 가입자 비율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제공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120)로 제공하는 ATS(Advanced Targeting System)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영역 설정부(200), 접속자 산출부(210), 인구 정보 서비스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역 설정부(200)는 인구 안내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특정 영역 즉, 대상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역 설정부(200)는 핵심 지역 또는 장소별 기 분류된 경계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경계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영역 설정부(200)는 대상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Engineering Tool인 MOIRA에서 보유하고 있는 핵심 지역별 경계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영역 설정부(200)는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검색하면, 해당 장소에 대하여 기 설정된 경계 영역을 대상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영역 설정부(200)는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검색하면, 해당 지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경계 영역을 제공하고, 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계 영역을 대상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영역을 추가하거나, 기 설정된 경계 영역을 복수 개의 세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영역 설정부(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영역을 대상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접속자 산출부(210)는 대상 영역에 대한 인구정보를 1차적으로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자 산출부(210)는 기지국 Cell 기반의 인구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대상 영역에 대한 인구정보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접속자 산출부(210)는 대상 영역을 서비스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셀에 대한 셀 리스트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접속자 산출부(210)는 저장부(230) 상에 기 수집되어 저장된 영역별 셀 리스트 정보 중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에 매칭된 셀 리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별 셀 리스트 정보들은 외부 서버장치(130)와의 연동 등을 통해 기 수집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접속자 산출부(210)는 추출한 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셀들에 대한 접속자 정보를 수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자 산출부(210)는 외부 서버장치(130) 즉, Infra DW 서버(132)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의 기지국 셀들에 대한 접속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영역들에 대하여, 접속자 산출부(210)에 의해 수집되는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접속자 산출부(210)는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한다. 예컨대, 접속자 산출부(210)는 대상 영역을 서비스 하는 기지국 셀 리스트가 70개라고 하면, 해당 기지국 셀의 접속자 수를 모두 합산하여 상기의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접속자 카운팅 정보는 대상 영역에 대하여 1차적으로 산출되는 인구정보를 의미한다.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접속자 산출부(210)로부터 산출된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영역에 대한 실질적인 인구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접속자 산출부(210)의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인구정보는 대상 영역 주위를 넓게 아우르는 셀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인구 수이기 때문에 실제 특정했던 대상 영역의 경계 내에 있는 인구 수라고 보기 어렵다. 이 점에 기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산출부(210)로부터 산출된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기반으로 한 보정 절차를 수행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실질적인 인구정보를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접속자 산출부(210)로부터 산출된 접속자 카운팅 정보 및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하여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위치 데이터의 수집 대상이 되는 단말기는 대상 영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 셀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품질 수집 대상 단말기 즉, MDT 대상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MDT 서버(134)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의 MDT 대상 단말기에 의해 수집된 기지국 셀의 품질 측정결과 내 위치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대상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상응하는 인구 수를 상기 접속자 카운팅 정보에서 제외하여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대상 영역과 나머지 영역 상에 존재하는 단말기 간의 비율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 정보를 접속자 카운팅 정보에 곱한 값을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로서 제공한다. 예컨대, 대상 영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의 접속자 카운팅 정보가 10000이라하고, 대상 영역만을 특정하는 경계의 단말기의 위치정보 비율이 0.8이라고 하면, 대상 영역의 인구 수는 8000명이될 수 있다.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대상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마찬가지로,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분할 영역별 인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분할 영역 상에 존재하는 단말기에 대한 비율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 정보를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에 곱함으로써 각 분할 영역별 인구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영역의 인구수가 8000명이고, 대상 영역의 A 분할 영역과 B 분할 영역에 대한 상기의 비율 정보가 각각 0.2와 0,3인 경우, 각 분할 영역의 인구수는 1600명과 2400명이 될 수 있다.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현재 시점에서 산출된 대상 영역의 현재 인구 정보 및 이전 시점에서 산출된 대상 영역의 이전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영역 내 인구 증감률 정보를 포함하는 인구밀도 정보를 추가 산출하여 제공한다.
한편, 단순히 대상 지역의 인구 수준을 보고 전주 같은 요일 대비 현재 증감률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것은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유는 전주 같은 요일이라 할지라도 그 날이 공휴일이어서 유동인구 패턴이 완전히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 기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트래픽 패턴이 유사한 과거 날짜 대비 현재 증감률 수준을 산출한다. 즉,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대상 영역에 대응하여 수집된 트래픽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패턴을 갖는 트래픽 정보가 수집된 이전 시점을 산출하여 그룹화를 수행하고, 해당 그룹에 상응하는 대상 영역의 이전 인구 정보(ex: 그룹 내 각 이전 시점의 인구 정보에 대한 평균값)와 대상 영역의 현재 인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의 인구밀도 정보를 산출한다.
인구정보 서비스부(220)는 산출한 인구밀도 정보를 색깔별로 상이하게 표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대상 영역의 인구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기 수집하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서비스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셀에 대한 셀 리스트 정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구 안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인구 안내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대상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집한다(S302).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단계 S302의 대상 영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 셀에 대한 셀 리스트 정보를 추출한다(S304). 단계 S304에서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기 수집되어 저장된 영역별 셀 리스트 정보 중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에 매칭된 셀 리스트 정보를 추출한다.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단계 S304에서 추출한 셀 리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한다(S306). 단계 S306에서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Infra DW 서버(132)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의 기지국 셀들에 대한 접속자 정보를 수집하고, 각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합산하여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한다.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단계 S306에서 산출한 접속자 카운팅 정보 및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하여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한다(S308). 단계 S308에서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대상 영역과 나머지 영역 상에 존재하는 단말기 간의 비율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 정보를 접속자 카운팅 정보에 곱한 값을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로서 제공한다.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대상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분할 영역별 인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302 내지 S308은 앞서 설명된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인구 안내 서비스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 산출방법은 ① 내지 ⑤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①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인구 안내 서비스 대상으로서 설정된 대상 영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 셀에 대한 셀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기지국 셀들에 대한 접속자 정보(=User Count)를 수집한다.
②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단계 ①에서 수집한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합산하여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한다
③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단계 ②에서 산출한 접속자 카운팅 정보 및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하여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한다. 단계 ③에서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대상 영역과 나머지 영역 상에 존재하는 단말기 간의 비율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 정보를 접속자 카운팅 정보에 곱한 값을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로서 산출한다.
④, ⑤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120)는 대상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분할 영역 상에 존재하는 단말기에 대한 비율 정보를 산출 및 산출된 비율 정보를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에 곱함으로써 각 분할 영역별 인구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기 120: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
130: 외부 서버장치 132: Infra DW 서버
134: MDT 서버 200: 영역 설정부
210: 접속자 산출부 220: 인구정보 서비스부
230: 저장부

Claims (11)

  1. 인구 안내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대상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영역 설정부;
    상기 대상 영역을 서비스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셀에 대한 셀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하는 접속자 산출부; 및
    상기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하여 수집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하는 인구정보 서비스부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기 설정된 품질 수집(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 대상 단말기이며,
    상기 인구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집된 상기 기지국 셀의 품질 측정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설정정보는 인구정보를 산출하려는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이고,
    상기 대상 영역은 상기 설정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 산출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셀 리스트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구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상기 대상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상응하는 인구 수를 상기 접속자 카운팅 정보에서 제외하여 상기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인구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과 상기 나머지 영역 상에 존재하는 단말기 간의 비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비율 정보를 상기 접속자 카운팅 정보에 곱한 값을 상기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구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대상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분할 영역별 인구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구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각 분할 영역 상에 존재하는 단말기에 대한 비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 및 상기 비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분할 영역별 인구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구정보 서비스부는,
    현재 시점에서 산출된 상기 대상 영역의 현재 인구 정보 및 이전 시점에서 산출된 상기 대상 영역의 이전 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 내 인구 증감률 정보를 포함하는 인구밀도 정보를 추가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구정보 서비스부는,
    상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 영역에 대응하여 수집된 트래픽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패턴을 갖는 트래픽 정보가 수집된 이전 시점을 산출하여 그룹화를 수행하고, 상기 그룹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영역의 이전 인구 정보와 상기 대상 영역의 현재 인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인구밀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 장치.
  10. 인구 안내 서비스장치에서 수행되는 인구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구 안내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대상 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대상 영역을 서비스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셀에 대한 셀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지국 셀별 접속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에 상응하는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기지국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하여 수집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접속자 카운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기 설정된 품질 수집 대상 단말기이며,
    상기 대상 영역의 인구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집된 상기 기지국 셀의 품질 측정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설정정보는 인구정보를 산출하려는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이고,
    상기 대상 영역은 상기 설정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안내 서비스방법.
  11. 제 10항에 청구된 인구 안내 서비스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147232A 2018-11-26 2018-11-26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82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32A KR102821694B1 (ko) 2018-11-26 2018-11-26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32A KR102821694B1 (ko) 2018-11-26 2018-11-26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66A KR20200061666A (ko) 2020-06-03
KR102821694B1 true KR102821694B1 (ko) 2025-06-16

Family

ID=7108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232A Active KR102821694B1 (ko) 2018-11-26 2018-11-26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21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468B1 (ko) * 2021-08-26 2022-03-11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 탐방객의 실태 조사 장치 및 방법
KR102454232B1 (ko) * 2021-08-26 2022-10-14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하는 여가 및 휴양 실태조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77A (ja) 2001-10-09 2003-04-25 Oki Electric Ind Co Ltd 地域内人口算出システム
JP2011223120A (ja) * 2010-04-05 2011-11-04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上位ノード
JP2018117380A (ja) 2013-08-08 2018-07-26 インテル アイ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ユーザ機器分布情報収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00B1 (ko) * 2005-09-27 2011-1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밀집도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811958B2 (en) * 2009-04-06 2014-08-19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information analysis method
EP2469464A1 (en) * 2009-08-18 2012-06-27 NTT DoCoMo, Inc.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KR20140056461A (ko) * 2012-10-25 2014-05-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구 밀도 예측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80036411A (ko) * 2016-09-30 2018-04-09 김진호 관광지의 혼잡도를 추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77A (ja) 2001-10-09 2003-04-25 Oki Electric Ind Co Ltd 地域内人口算出システム
JP2011223120A (ja) * 2010-04-05 2011-11-04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上位ノード
JP2018117380A (ja) 2013-08-08 2018-07-26 インテル アイ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ユーザ機器分布情報収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66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2366B (zh) 基于大数据的目标价值区域分析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1547506B (zh) 基于信号接收强度信息指纹的gsm网络定位用户方法
CN109996186B (zh) 一种网络覆盖问题识别方法及装置、可读取存储介质
CN102065432B (zh) 一种基于传播模型的网络覆盖修正方法及系统
CN108156626B (zh) 轨道交通无线网络质量评估方法、装置及介质
CN103796227B (zh) 进行无线信号覆盖分析的方法和系统
EP3777253B1 (en) Wireless network service assessment
CN108307427B (zh) 一种lte网络覆盖分析、预测方法及系统
CN104754590B (zh) 一种评估长期演进lte网络站址的方法及装置
CN102387510A (zh) 一种网络覆盖范围修正方法及系统
CN108462966A (zh) 一种基于2g网络高铁小区rru定位识别方法及系统
CN114257957B (zh) 网络规划方法及装置、计算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079221A (zh) 一种利用扫频仪和测试手机联合分析移动网络状况的方法
KR102821694B1 (ko) 인구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CN111491255B (zh) 一种回填经纬度定位扩量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7889210B (zh) 楼宇用户定位方法和系统
Tripkovic et al. Unbiased benchmarking in mobile networks: The role of sampling and stratification
CN105208582B (zh) Lte网络中基于栅格干扰的信号优化的方法及系统
CN118338349A (zh) 5g测量报告的定位方法、装置、设备和介质
Cheng et al. The optimal sampling period of a fingerprint positioning algorithm for vehicle speed estimation
CN113133049A (zh) 确定主覆盖小区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Mangla et al. A Tale of Three Datasets: Towards Characterizing Mobile Broadband Access in the United States
CN105451246A (zh) Lte网络中基于小区干扰总量的信号优化方法及系统
TWI569225B (zh) A Method of Estimating Traffic Information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Model of Mobile Network Signaling
CN1778131A (zh) 用于测试移动电话网络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013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305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9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