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23273B1 - 모듈식 증강 및 가상 현실 놀이기구 어트랙션 - Google Patents

모듈식 증강 및 가상 현실 놀이기구 어트랙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23273B1
KR102823273B1 KR1020217012127A KR20217012127A KR102823273B1 KR 102823273 B1 KR102823273 B1 KR 102823273B1 KR 1020217012127 A KR1020217012127 A KR 1020217012127A KR 20217012127 A KR20217012127 A KR 20217012127A KR 102823273 B1 KR102823273 B1 KR 10282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onboard
systems
offboard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678A (ko
Inventor
패트릭 존 고어겐
다니엘 마리 홀스틴
토마스 마누엘 트루히요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5701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96874A/ko
Publication of KR2021006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2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232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63F13/52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 A63F13/525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according to dedicated instructions from a player, e.g. using a secondary joystick to rotate the camera around a player's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43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involving concurrently two or more players on the same game device, e.g. requir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controllers or of a specific view of game data for each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1Server architecture
    • A63F2300/516Server architecture connected to a local network, e.g. in a plane, hot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놀이공원 시스템은 승객을 수용하기 위한 좌석을 갖는 탑승 차량과, 탑승 차량과 통합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온보드 게임 시스템을 갖는 온보드 시스템을 갖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을 포함한다.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은 각각의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AR 경험, 또는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는 온보드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게임 내에서 제공된다. 온보드 게임 시스템은 탑승 차량에 통합되고, 나머지 온보드 게임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온보드 게임 시스템 중 하나의 전부 또는 일부의 즉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모듈식 증강 및 가상 현실 놀이기구 어트랙션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9월 25일 제출된 "MODULAR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RIDE ATTRACTION"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62/736,433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고,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가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여기에 개시된 주제는 놀이공원 어트랙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놀이공원 어트랙션에서 증강 경험, 가상 현실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놀이공원 또는 테마파크는 손님(예컨대, 가족 및/또는 모든 연령의 사람들)에게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다양한 어트랙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어트랙션은 롤러코스터와 같은 놀이기구, 모션 플랫폼을 갖는 고정식 놀이기구, 다크 라이드(dark r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놀이기구를 따라 테마 환경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테마 환경은 전통적으로 장비, 가구, 건물 레이아웃, 소품, 장식 등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테마 환경의 복잡함에 따라, 테마 환경을 배치 및 교체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 판명될 수 있다. 놀이기구의 모든 승객을 즐겁게 해주는 테마 환경을 배치하는 것도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테마 환경이 일부 승객에게는 흥미로울 수 있지만, 다른 승객에게는 흥미롭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기술이,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 및 영화 산업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계속 향상됨에 따라, 손님은 최첨단 기술을 반영하는 보다 몰입감 있는 경험을 기대하기 시작할 수 있다. 매일 수천 명의 손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한 어트랙션의 복잡함 및 사용 정도에 따라, 이러한 어트랙션의 기능성을 수정, 업그레이드, 교체, 또는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에 상응하는 특정한 실시예가 아래에 요약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실시예의 가능한 형태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려는 것일 뿐이다. 실제로, 본 실시예는 후술하는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놀이공원 시스템은 승객을 수용하기 위한 좌석을 갖는 탑승 차량과, 탑승 차량과 통합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온보드 게임 시스템을 갖는 온보드 시스템을 갖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을 포함한다.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은 각각의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AR 경험, 또는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는 온보드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게임 내에서 제공된다. 온보드 게임 시스템은 탑승 차량에 통합되고, 나머지 온보드 게임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온보드 게임 시스템 중 하나의 전부 또는 일부의 즉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은 승객을 수용하기 위한 칸 및 좌석을 갖는 차체와,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의 각각의 승객이 온보드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증강 현실(AR) 및/또는 가상 현실(VR) 게임에 참여할 수 있게 하도록 각각이 각각의 좌석과 연관된 온보드 게임 시스템을 포함한다.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은 AR 또는 VR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게임 컴퓨터와, 게임 컴퓨터와 통신하고 AR 또는 VR 그래픽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를 포함한다. 차량은 온보드 게임 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온보드 게임 시스템과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온보드 게임 서버와, 온보드 게임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객으로부터 AR 및/또는 VR 게임과 관련된 게임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차량 표시 관리자(vehicle show supervisor, VSS)도 포함한다. VSS는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온보드 게임 서버에 게임 입력을 중계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은 탑승 차량과 통합된 온보드 시스템을 포함한다. 온보드 시스템은 탑승 차량의 각각의 좌석에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갖고, 온보드 시스템은 적어도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공유 게임 내에서 증강 현실(AR) 경험,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온보드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를 갖는 오프보드 시스템도 포함한다. 오프보드 시스템은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공유 게임 중에 발생하는 AR 또는 VR 이벤트와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의 동작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오프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측면, 및 이점은 비슷한 부호가 도면 전체에 걸쳐 비슷한 부분을 표현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한 측면에 따른, 모듈식 아키텍처를 갖는 놀이공원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한 측면에 따른, 도 1의 놀이공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듈식 아키텍처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한 측면에 따른, 증강 현실 및/또는 가상 현실(AR/VR) 경험을 제공하도록 오프보드 시스템과 조정하는 온보드 시스템을 갖는 탑승 차량을 포함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의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한 측면에 따른, 도 3의 탑승 차량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온보드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한 측면에 따른, 도 4의 온보드 시스템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한 측면에 따른, 도 3의 탑승 차량의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한 측면에 따른, 도 3의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의 오프보드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한 측면에 따른, 도 3의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온보드 시스템 및 오프보드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정한 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실제 구현의 모든 특징이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임의의 공학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임의의 이러한 실제 구현의 개발에서, 구현에 따라 다를 수 있는 시스템 관련 제약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의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구현 고유의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을 소모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를 위한 설계, 제작, 및 제조의 일상적인 작업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통적인 기술에 비해 유연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어트랙션 테마를 변경할 수 있는 어트랙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이제 인식되고 있다. 어트랙션 중단 시간을 크게 발생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주요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 유지보수, 또는 교체를 쉽게 허용하는 어트랙션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도 이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하나의 예로서, 탑승 차량을 사용하는 테마파크 어트랙션은 역사적으로 기술적 갱신 업그레이드와 연관된 긴 리드 타임을 가졌다. 따라서, 이들 어트랙션 내의 첨단 기술(예컨대, 증강 또는 가상 현실)은 가정용 소비자 제품에서 이용 가능한 기술에 의해 쉽게 추월당할 수 있다.
특히, 기술적 갱신, 특히 첨단 기술의 초기 통합을 따르는 기술적 갱신의 즉시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하는 어트랙션(예컨대, 탑승 차량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현재 인식되고 있다. 예컨대, 놀이기구 미학(ride aesthetic) 및 동작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모두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신속하게 수행되어야 하는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는 놀이기구 설계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이제 인식되고 있다. 이들 및 다른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본 개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아키텍처를 제공하여 시스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어느 하나가 업데이트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놀이공원 어트랙션은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은 온보드 경험(예컨대, 사용자 및/또는 탑승 차량에 국한된 경험)을 구동하는 (예컨대, 탑승 차량 내의) 온보드 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다. 예컨대, 온보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표시 기구(예컨대,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를 통해 제공되는 시각적 경험을 포함할 수 있는 증강 현실 및/또는 가상 현실(AR/VR) 경험으로 이어지는 게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은 온보드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특정한 측면을 조정하고 특정한 놀이공원 어트랙션과 연관된 조명 시스템, 애니메트로닉스, 미디어 시스템(예컨대, 투사 표시 시스템 및 사운드 시스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다른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하는 (예컨대, 탑승 차량 밖의) 오프보드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온보드 및 오프보드 시스템은 승객의 탑승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온보드 및 오프보드 시스템과 그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놀이공원 어트랙션의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개별적으로 또는 따로따로 교체, 유지, 수정, 업그레이드 등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온보드 시스템" 및 "오프보드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놀이공원 어트랙션에서 전체적인 경험을 생성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는 두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서 사용되고, 이들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탑승 차량과 관련된 임의의 특정한 배치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여기에서 상세하게 논의된 하나의 구현에서, 온보드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는 탑승 차량에 위치할 수 있고(예컨대, 탑승 차량과 함께 이동한다), 오프보드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는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예컨대, 탑승 차량과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온보드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탑승 차량과 동일 장소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예컨대, 탑승 차량에 위치하지 않지만, 탑승의 적어도 일부 동안 탑승 차량의 가까이에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온보드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탑승 차량에 의해 횡단되는 경로를 따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온보드 시스템의 이들 구성요소는 탑승 차량이 온보드 경험을 구동하기 위해 경로를 따른 위치에 있거나 그 위치 근처에 있을 때 탑승 차량에 위치하는 온보드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와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탑승 차량은 경로를 따라 물리적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예컨대, 고정되거나, 암석과 같은 장소에서 이동하거나, 경로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일부 경우에, 온보드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탑승 차량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온보드 시스템의 이들 구성요소는 온보드 경험을 구동하기 위해 탑승 차량에 위치하는 온보드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와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어트랙션은 탑승 차량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지만, 대신에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표시 기구(예컨대, HMD), 스피커, 및/또는 햅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대화형 구성요소를 착용하거나 휴대하여 어트랙션을 통해 걷거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일부 경우에, 온보드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거나 휴대될 수 있고(예컨대, 사용자와 함께 이동한다), 오프보드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예컨대,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온보드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와 동일 장소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거나 휴대되지 않지만, 놀이공원 어트랙션의 적어도 일부 동안 사용자의 가까이에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부 경우에, 온보드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횡단되는 경로를 따른 위치 또는 사용자에게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온보드 시스템의 이들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온보드 경험을 구동하기 위해 경로를 따른 위치 또는 그 위치 근처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거나 휴대되는 온보드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와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온보드 시스템은 (예컨대, 놀이공원 어트랙션의 물리적 경계의 외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탑승 차량 및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예컨대, 온보드 경험을 생성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탑승 차량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거나 휴대되는 온보드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와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오프보드 시스템은 전체 경험을 생성하기 위해 온보드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함께 동작하는 (예컨대, 온보드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구별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프보드 시스템은 놀이공원 어트랙션 내의 탑승 차량 및/또는 사용자를 둘러싸는 환경에서 안개, 연기, 바람, 및/또는 빛과 같은 오프보드 경험을 구동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세하게 논의된 특정한 실시예는 논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HMD를 통해 제시된 시각적 경험을 포함하지만, AR/VR 경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시각화될 수 있는 시각적 표현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시각적 경험 생성기(예컨대, 휴대용 디스플레이, 차량 장착형 디스플레이, 가상 망막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의 망막에 투사하는 망막 프로젝터)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을 통해 제시되는 시각적 경험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여기에 개시된 HMD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시각적 경험 생성기로 대체되거나 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AR/VR 경험은 시각적 경험, 하나 이상의 스피커 기구를 통해 제공되는 청각적 경험, 및/또는 하나 이상의 햅틱 기구를 통해 제공되는 촉각적 경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AR/VR 경험은 청각적 경험만을 포함하거나 촉각적 경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을 염두에 두고, 도 1은 하나 이상의 어트랙션(12)을 포함할 수 있는 놀이공원(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어트랙션(12)은 복수의 사용자(14)(예컨대, 손님, 고객)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놀이공원(10)은 중단 시간 및 놀이공원(10)의 전체적인 미학 및 동작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기술적인 갱신, 업데이트 등을 수용하기 위해 다중 계층 시스템 기초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다중 계층 시스템 기초구조의 모듈성은 시스템의 다른 요소(예컨대,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변경(예컨대, 업데이트, 교체, 추가, 및/또는 제거)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특정한 실시예에서, 놀이공원(10)은 제 1 어트랙션(16), 제 2 어트랙션(18), 및 제 3 어트랙션(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놀이공원(10)은 임의의 적합한 수의 어트랙션(12)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각각의 어트랙션(12)은, 여기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특정한 어트랙션(12)과 연관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28)의 메모리 디바이스(26)에 저장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4)를 사용하고 이와 상호작용(예컨대, 통신)할 수 있는 물리적 구성요소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임의의 적합한 수의 컨트롤러(28)가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어트랙션(12)은 각각의 컨트롤러(28)와 연관될 수 있다. 놀이공원(10)은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28)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는 놀이공원(10)의 환경(29)(예컨대, 대기열) 내에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환경(29)은 어트랙션(1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는 응용 특유의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대표할 수 있는 프로세서(30)를 채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28)는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 및 놀이공원(1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3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디바이스(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는 하나 이상의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26)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비 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머신 실행 가능한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30) 또는 임의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를 갖는 다른 머신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는 통신 시스템(32)을 통해 놀이공원(10)의 요소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32)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비 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통신은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통신 시스템(32)은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와 같은 유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예컨대, 주변 장치)는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로서 분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또는 입력/출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14) 중 하나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컨트롤러(28)에 보낼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대화형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은 대화형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예컨대, 버튼, 노브,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동작 가능한 요소, 스티어링 컨트롤, 트리거)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그리고 입력 신호의 결과로서, 출력 디바이스는 컨트롤러(28)로부터 또한/또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직접 수신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 예컨대, 컨트롤러(28)는 수신된 입력에 따라 적절한 응답을 제공하기 위해 놀이공원(10) 내의 출력 디바이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동작을 통해 또는 표시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적합한 시각적 경험 생성기에 의한 이미지/정보의 표시를 통해 신호에 따라 반응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어트랙션(16)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와 관련하여, 입력 디바이스는 AR/VR 도구 및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와 같은 AR/VR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가 HMD를 통해 표시되므로 출력 디바이스는 HM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어트랙션(18)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와 관련하여,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14)가 탑승 주기 동안 상호작용할 수 있는 탑승 디바이스(예컨대, 도구)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 디바이스는 애니메트로닉스 표시품 및 탑승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어트랙션(20)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와 관련하여, 입력 디바이스는 스티어링 휠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 디바이스는 스코어보드 및 게임 플로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놀이공원(10)은 임의의 적합한 수 및 유형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를 갖는 임의의 적합한 수의 어트랙션(12)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R/VR 디바이스는 입력을 생성하고 다른 하드웨어 요소가 응답을 출력하게 하기 위해 어트랙션(12)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출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결국, 응답은 AR/VR 디바이스에 대한(예컨대, AR/VR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출력 변경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성요소(22)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4)의 각각은 다양한 요인에 기초하여 교체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컨대, 새로운 기술, 영화 또는 다른 미디어 공개, 계절적 변화, 시각, 일상적인 유지보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은 놀이공원(10)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4)에 대한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구성요소(예컨대, 하드웨어 구성요소(22)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4))가 놀이공원(10) 내에서 도입, 업데이트, 또는 변경되는 경우, 구성요소가 놀이공원(10)의 다른 구성요소와 상호작용(예컨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요소는 놀이공원에 등록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28)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놀이공원(10)의 구성요소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어트랙션의 각각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모듈식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의 예를 예시하기 위해, 도 2는 놀이공원(10)의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블록도이다.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은 게임 계층(52), 소프트웨어 계층(54)(예컨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계층), 및 하드웨어 계층(56)(예컨대, 하드웨어 아키텍처 계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 게임 계층(52) 및 소프트웨어 계층(54)은 각각 컨트롤러(28)의 메모리(26)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게임 계층(52) 및 소프트웨어 계층(54)은 통신 시스템(32)을 통해 하드웨어 계층(5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게임 계층(52)은 어트랙션(12)이 어트랙션(12)의 요소(예컨대, 하드웨어 구성요소(22)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4))와 상호작용하거나, 이를 변경 및/또는 조작할 때의 로직을 결정하는 게임 로직(5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게임 계층(52)은 게임 로직(58)을 가동 및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계층(54)은 하나 이상의 게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60), 하나 이상의 래퍼(wrapper) API(62), 및 다수의 래퍼(64)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 API(60)는 임의의 게임 구현(예컨대, 특정한 어트랙션(12)의 게임 로직(58))이 소프트웨어 계층(54) 및 하드웨어 계층(56)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언어 세트를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게임 로직(58)은 놀이공원(10) 내에서 다양한 환경 자극(예컨대, 하드웨어 구성요소(22)를 통해 수행되는 반응)을 트리거하기 위해 게임 API(60)와 통신할 수 있다.
래퍼 API(62)는 게임 API(60)로부터 래퍼(64)에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래퍼(64)는 표준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준수, 확장, 및/또는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요소이고 환경 자극과 연관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래퍼 API(62)에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래퍼(64)는 특정한 하드웨어 구성요소(22)와 연관된 드라이버와 통신할 수 있으므로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환경 자극과 연관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래퍼(64)와 연관될 수 있다. 래퍼(64)는 하드웨어 계층(56)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와 소프트웨어 계층(54)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4) 사이의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 구성요소(22)가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되는 경우, 변경 또는 업데이트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4)의 동작, 로직, 및/또는 빌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4)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래퍼(64)는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4)와 호환되도록 하드웨어 구성요소(22)를 업데이트할 필요성을 감소 및/또는 방지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22) 또는 특징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새로 추가된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래퍼(64)가 소프트웨어 계층(54)에 추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새로 추가된 래퍼(64)는 신호(예컨대, 메시지, 이벤트)의 적절한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래퍼 API(62)에 등록될 수 있다.
하드웨어 계층(56)은, 여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쉽게 교체 및/또는 업데이트 가능하게 구성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새로운 하드웨어 구성요소(22)의 구현 및 기존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에 대한 업데이트를 개선하기 위해 (예컨대, 표준화된 유닛으로 구성되는) 모듈식 설계, 표준(예컨대, 범용) 장착 지점, 및 동적 내부 구성을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소프트웨어 계층(54) 내의 구성요소 및 하드웨어 계층(56) 내의 다른 하드웨어 구성요소(22)와 통신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3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범용 인터페이스 버스(GPIB)(70)(예컨대, 범용 인터페이스(GPI))를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특정한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활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수단을 통한 직접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유닛의 동작 위치에서 쉽게 교체될 수 있는 모듈식 구성요소인 현장 교체용 유닛(line replaceable unit, LRU)(72)을 활용할 수 있고 또한/또는 그 현장 교체용 유닛일 수 있다. 특히, LRU(72)는 (예컨대, "현장에서") 어트랙션(12)에서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고, 이는 어트랙션(12)의 감소된 중단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하드웨어 계층(56) 내의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예컨대, 전원 공급 장치 표준, 입력 및 출력 모듈 표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와 연관된 제한된 수(예컨대, 하나)의 표준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드웨어 구성요소(22)의 일부(또는 전부)가 추가되거나 변경되어야 한다면, 그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준(예컨대, 일반, 범용, 모듈식) 구성요소로 인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요소(22)의 모듈식 설계는 올바른 구현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 지침, 및 모범 사례에 기초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자가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동작을 계속하는 것이 적합한지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 구성요소(22)는 하드웨어 구성요소(22)가 의도된 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22)의 동작 상태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22)가 그 제품 수명의 끝에 가까워지고 있는지 여부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22) 내의 부품이 교체/업데이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하드웨어 구성요소(22)의 입력 및 출력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73)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공원(10) 내의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예시된 바와 같이, 놀이공원(10)은 제 2 어트랙션(18)으로서 놀이기구(80)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80)는 테마에 따라 고정 장비, 건물 레이아웃, 소품, 장식 등과 같은 다양한 특징을 갖는 환경(2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놀이기구(80)는 다크 라이드 또는 다른 유사한 스릴 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탑승 경로(82)(예컨대, 탑승 경로(82)를 따르는 탑승 차량(84)의 전진 및/또는 후진 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폐쇄 루프 트랙 또는 폐쇄 루프 트랙의 시스템, 탑승 경로(82)를 따르는 탑승 차량(84)의 수직 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수직 연장 트랙)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 경로(82)는 사용자(14)가 탑승 차량(84)에 의해 수용되는 동안에 탑승 차량(84)이 이동할 수 있는 기초구조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 경로(82)는 탑승 차량(84)의 움직임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예컨대, 탑승 경로(82)는 탑승 차량(84)의 움직임이 탑승 경로(82) 이외의 전자 시스템, 자기 시스템, 또는 다른 유사한 시스템 기초구조를 통해 제어될 수 있는 제어된 경로로 대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탑승 차량(84)의 탑승 경로는 물리적으로 정확한 경로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14)가 자신의 이동 경로, 투시도 등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다른 놀이공원 어트랙션은 사용자(14)가 어트랙션을 볼 수 있게 하도록 놀이기구(80)에 충분히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어트랙션은 건물(86) 또는 유사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탑승 차량(84)이 4인승 차량으로서 예시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탑승 차량(84)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 승객의 그룹을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승객 공간(예컨대, 1, 2, 4, 8, 10개 또는 그보다 많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놀이기구(80)는 하나의 탑승 차량(84)을 갖는 것으로서 예시될 수 있지만, 놀이기구(80)는 임의의 수의(예컨대, 1, 2, 4, 8, 10개 또는 그보다 많은) 탑승 차량(84)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되어야 한다. 탑승 차량(84)이 탑승 경로(8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14)에게 이동하는 풍경의 여행(예컨대, 테마에 따른 고정 장비, 건물 레이아웃, 소품, 장식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테마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풍경은 놀이기구(80)를 둘러싸는 환경 및/또는 놀이기구(80)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기초구조 내의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4)는 놀이기구(80)가 매우 즐거운 경험인 것을 알 수 있지만, 특정한 실시예에서, 그들의 탑승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특히,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 효과 및 다른 엔터테인먼트(예컨대, 멀티미디어 엔터테인먼트)로 사용자(14)에게 제공되는 탑승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은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92)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다른 시각적 경험 생성기, 스피커, 햅틱 기구)를 통해 사용자(14)에게 증강 현실 및/또는 가상 현실(AR/VR) 경험을 제공하도록 함께 구성되는 탑승 차량(84)과 통합되는 온보드 시스템(8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을 포함한다. 예컨대, 탑승 차량(84)이 탑승 경로(82)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은, 온보드 시스템(88)을 통해, 각각의 HMD(92)에서 사용자(14)에게 보여질 AR/VR 물체(94)(건물(86) 위에 떠 있는 광대로서 나타내어짐)와 같은 AR/VR 이미지 또는 특징을 조정할 수 있다. 오프보드 시스템(90)은 디스플레이, 애니메트로닉스 등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의 동작은 HMD(92)에 제시된 시각화와 조정될 수 있다.
실제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은 온보드 시스템(8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을 조정하여 사용자(14)의 탑승 경험을 집합적으로 그리고 협력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오프보드 시스템(90)의 전부 또는 일부는 탑승 경로(82)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탑승 차량(84)이 탑승 경로(82)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은, 오프보드 시스템(90)을 통해, 탑승 경로(82)를 따라 배치된 조명 시스템, 사운드 시스템, 애니메트로닉스, 표시 시스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제공되는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매체를 조정할 수 있다.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은 통신 시스템(32), 예컨대 사용자(14)에게 다양한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온보드 시스템(88) 및/또는 오프보드 시스템(90)에서의 서버, 라우터, 통신 모듈, 안테나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온보드 시스템(8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은, 예컨대, 온보드 표시 이벤트와 오프보드 표시 이벤트 사이의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네트워크(96)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예컨대, 오프보드 시스템(90)은 온보드 시스템(84)과 협력하여 오프보드 시스템(90)의 기능에 의해 제어되는 애니메이션 소품(98)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애니메이션 소품(98)은 다트를 쏘는 대포이다. 대포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대포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 효과(예컨대, 충격파), 소리 및/또는 빛 효과 등도 광대(AR 물체(94))의 렌더링 및 표시와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온보드 시스템(8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동작을 조정함으로써, 대포(애니메이션 소품(98))가 광대 및 광대의 풍선을 추적하여 외견상으로 다트로 풍선을 쏴서 터뜨리고 광대가 땅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온보드 시스템(88)은 탑승 차량(84)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내어지지만, 온보드 시스템(88)의 구성요소는 탑승 차량(84)에 대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예컨대, 탑승의 적어도 일부 동안 탑승 차량(84)과 동일 장소에 배치되도록 탑승 경로(82)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은 탑승 경로를 따라 이동하지 않는 고정식 탑승 차량을 갖는 어트랙션 및/또는 탑승 차량을 갖지 않는 어트랙션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어트랙션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온보드 시스템(88)의 특징, 오프보드 시스템(90)의 특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은 유지보수 및 기술적인 갱신을 쉽게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업데이트된 기술은 광대, 다트 등의 보다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갱신 가능한 설계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4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의 온보드 시스템(88)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블록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온보드 시스템(88)은 탑승 차량(84)에 배치되거나 이와 통합된 전용 시스템이다. 온보드 시스템(88)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보드 시스템(84)의 모든 구성요소가 탑승 차량(84)에 물리적으로 위치하도록 탑승 차량(84)과 통합될 수 있거나, 온보드 시스템(88)이 온보드 시스템(88)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가 탑승 차량(84)에 물리적으로 위치하고 온보드 시스템(88)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가 물리적으로 탑승 차량(84)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도록(예컨대, 탑승 차량(84)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탑승 차량(84)과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탑승 차량(84)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수 있고 온보드 경험을 구동하기 위해 네트워크(96)를 통해 온보드 시스템(88)의 다른 구성요소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어트랙션은 탑승 차량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지만, 대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기구(예컨대, HMD), 스피커, 및/또는 햅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대화형 구성요소를 착용하거나 휴대하여 어트랙션을 통해 걷거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일부 경우에, 온보드 시스템(88)의 모든 구성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거나 휴대될 수 있고(예컨대,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고),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모든 구성요소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예컨대,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온보드 시스템(88)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와 동일 장소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거나 휴대되지 않지만, 놀이공원 어트랙션의 적어도 일부 동안 사용자의 가까이에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부 경우에, 온보드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횡단되는 경로를 따른 위치에 배치되거나 사용자에게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온보드 시스템(88)의 이들 구성요소는 온보드 경험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자가 경로를 따른 위치에 있거나 그 위치 근처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거나 휴대되는 온보드 시스템(88)의 다른 구성요소와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온보드 시스템(88)의 일부 구성요소는 사용자 및/또는 탑승 차량(84)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보드 시스템(88)은 온보드 시스템(88)의 다양한 특징 사이에서 통신을 관리하거나 이 통신의 관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네트워크 스위치(110)(예컨대,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축된 로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10)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112)를 통해 온보드 시스템(88)과 네트워크(96)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스위치(110) 및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112)는 단일 디바이스(예컨대, 통신 디바이스)에 함께 통합될 수 있다. 예로서, 스위치(110)는 라우터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일 수 있고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112)는 모뎀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온보드 시스템(88)은 온보드 시스템(88)과 네트워크(96)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통신 구성요소(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112) 및 스위치(110)는 분리될 수 있지만,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 및 커넥터를 활용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예컨대, 스위치(110)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케이블, 또는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온보드 게임 서버(114), VSS(116), 및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과의 (온보드 시스템(88) 내부의) 내부 네트워크 연결을 갖는다. 이들 특징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온보드 게임 서버(114), 차량 표시 관리자(vehicle show supervisor, VSS)(116), 및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은, 예시된 바와 같이, 탑승 차량(84)에 탑재된 다양한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또한/또는 서로 연결된다. 이들 연결은 하나 이상의 통신 연결, 전원 연결 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특정한 구성요소에 대해 하나의 블록만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는 다수의 디바이스로서 도시될 수 있고 별표(asterisk)로 지정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은 단일 박스로서 나타내어지지만, 이 단일 박스는, 특정한 실시예에서, 사용자(14) 중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예컨대, 탑승 차량(84)의 각각의 좌석)에 대해 중복하여 배치되는 일련의 특징(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을 표현할 수 있다. 다시, 탑승 차량(84)의 맥락에서, 사용자(14)는,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 차량(84)의 승객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중복하여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예시된 특징은 추적 센서(1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추적 시스템(124)은 하나 이상의 추적 센서(120)에 연결된 것으로서 예시된다. 추적 시스템(124)은 HMD(92), 사용자(14), 탑승 차량(84),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위치, 장소, 방향, 존재 등을 나타내는 추적 센서(1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탑승 차량(84)에 배치되거나 이와 통합된 특수 목적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적 시스템(124)은 다양한 추적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추적 센서(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처리하여 온보드 게임 서버(114)에 추적 정보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실제로, 추적 시스템(124)은 추적 데이터의 수신과 이에 수반되는 온보드 시스템(88) 및/또는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다양한 특징에 의한 응답 사이의 레이턴시를 최소화하기 위해 온보드 게임 서버(114)에 대한 직접 네트워크 연결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추적 데이터가 온보드 시스템(8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은 반드시 시스템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직접 연결은 기술적인 갱신 및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적 센서(120)는 방향 및 위치 센서(예컨대, 가속도계, 자력계, 자이로스코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동작 추적 센서(예컨대, 전자기 및 솔리드 스테이트 동작 추적 센서), 관성 측정 장치(IMU), 존재 센서, 및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적 센서(120)는 HMD(92)에 배치되거나 이와 통합될 수 있으므로, HMD의 움직임 및 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추적 시스템(124)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각각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 보는 관점, 시야, 보는 관심사, 게임과의 상호작용 등을 결정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추적 시스템(124)은 탑승 차량(84)의 위치, 방향, 속도, 모션 벡터, 또는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탑승 차량(84)의 동작 정보를 추적하기 위해 추적 센서(1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각각의 사용자(14)가 그들의 경험에 대해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게 하도록 사용자(14)의 각각에 대해 존재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탑승 차량(84)의 각각의 좌석 또는 승객 공간에 배치되거나 이와 통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휴대용 컨트롤러, 조이스틱, 푸시 버튼, 스티어링 휠 등과 같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의 다른 특징을 사용하여 HMD(92)에 구축된 AR/VR 환경에 상이한 동작 및/또는 효과가 적용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사용자(14)가 AR/VR 환경에서 상이한 방향(예컨대, 위, 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AR/VR 기능의 캐릭터 또는 물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이지만 비 제한적인 예로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승객이 AR/VR 환경에서 AR/VR 기능의 물체를 선택하거나 잡거나/놓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사용자(14)가 속도 및/또는 방향을 변경하는 것과 같이 탑승 차량(8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정보가 사용자(14)에게 통신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표시 스크린 및/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는 VSS(116)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VSS(116)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예컨대, 유형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SoC(system-on-chip) 디바이스,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iut), 또는 일부 다른 유사한 프로세서 구성)를 포함할 수 있다. VSS(116)는 도 1에 나타낸 컨트롤러(28) 중 하나인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VSS(116)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그리고 예컨대 게임 로직의 실행으로 인해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에 의해 제공된 명령에 응답하여 온보드 시스템(88)의 다양한 동작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 및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그리고 이들로부터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VSS(116)는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VSS(116)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 및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비 제한적인 예로서, VSS(116)는 전원 공급 명령, 리셋 명령을 위해, 그리고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으로부터의 전력 표시를 위해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대한 다수의 전압 연결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동작 중에, VSS(116)는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의 온/오프 상태를 리셋 및/또는 변경하기 위해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연결이 VSS(116)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22)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가 하나 이상의 표시 스크린 및/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VSS(116)는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 디바이스의 타이밍, 특정한 콘텐츠(예컨대, 표시된 콘텐츠)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차량 표시 효과 디바이스(126)가 VSS(116)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제어될 수도 있다. 예로서, 이러한 디바이스(126)는 차량 조명, 탑승 차량(84)의 자동화된 디바이스, 탑승 차량(84)의 효과 디바이스(예컨대, 공기 대포, 물 대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예시되고 언급된 바와 같이, VSS(116)는 전력 사이클링, 전력 상태 제어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대한 하나 이상의 직접 연결을 갖는다. 그러나, VSS(116)는 탑승 차량(84)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VSS(11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그리고 다른 탑승 차량(84), 오프보드 표시 요소 등과 관련된 온보드 게임 서버(11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스티어링 기능(예컨대, 차축, 바퀴)을 제어할 수 있다.
실제로, 특정한 놀이기구 어트랙션에서, 각각이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세트를 갖는 다수의 탑승 차량(84)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 사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다수의 사용자(14)로부터의 입력이 각각의 사용자의 경험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로부터의 입력은, 단순히 개별 사용자에 대응하는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직접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VSS(116)와 스위치(110) 사이의 로컬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96)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의 제공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온보드 게임 서버(1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사용자의 입력은 탑승 차량(84) 및 네트워크(96)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조정 및 통신되고, 이는 입력이 개별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 및 VSS(116)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는 처리되지 않기 때문에(또는 최소한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낮은 레이턴시로 빠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 개시된 VSS(116)의 능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온보드 게임 서버(114)와 같은 온보드 시스템(88)의 다른 처리 구성요소(예컨대, 처리 또는 컴퓨팅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수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22)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각각이 제어되는 다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이 있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아키텍처는 대응하는 활동이 다른 입력 디바이스(122) 또는 다른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서 수행될 필요 없이 개별적으로 수행될 즉시 교체,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유형의 연결 및 통신 방식은, 예컨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의해 수행되는 그래픽 렌더링 활동에서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조정 및 제어된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탑승 차량(84)에 대해 네트워크(96)에서 정보가 송신 및 수신되는 방법을 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특수 목적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오프보드 시스템(90)에 그리고 오프보드 시스템(90)으로부터 그리고 다른 탑승 차량(84)에 네트워크(96)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탑승 차량(84)에 대한 네트워크 데이터 트래픽을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정보 계층(예컨대, 통신 계층)에 따라 특정한 유형의 데이터가 다른 데이터보다 우선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행하여질 수 있다.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하나 이상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예컨대, 유형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SoC(system-on-chip) 디바이스,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일부 다른 유사한 프로세서 구성)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새로운 디바이스, 교체 디바이스, 또는 수리된 디바이스의 즉시 통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적절한 표준(예컨대, 독점 표준, IEEE 표준)에 따라 통신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서버 컴퓨터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일반적으로, 온보드 시스템(88)과 오프보드 시스템(90) 사이 및 온보드 시스템(88)의 다양한 구성요소 사이의 다양한 정보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정보는 스위치(110)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스위치(110)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예컨대, 통신 네트워크(96) 및 탑승 차량(84)의 로컬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안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정보(예컨대, 데이터 패킷)를 목적지 노드(예컨대, 온보드 시스템(88)의 다양한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라우터 또는 임의의 적합한 네트워킹 장치이다. 예로서,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스위치(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추적 시스템(124),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 및 VSS(116) 사이에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정보 유형(예컨대, 정보 우선순위)에 따라 정보의 통신을 조정하거나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상이한 유형의 정보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결정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그 상대적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이러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정보 계층에서, 놀이기구(8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는 제 1 유형일 수 있고,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경험의 생성과 관련된 정보는 제 2 유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놀이기구(80)의 동작 및/또는 안전을 보장하거나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고, 게임 관련 알림 또는 게임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는 두 번째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서 결정된 다른 정보를 통신하기 전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서 결정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실질적인 의미에서, 예컨대, 하나의 탑승 차량(84)이 정지된 것으로서 식별되는 경우, 이 정보는 다른 정보(예컨대, 게임 정보)가 송신되기 전에 (예컨대, 나머지 탑승 차량(84)의 비상 정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른 탑승 차량(84)에 통신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정보의 유형 및 상대적 우선순위와, 네트워크(96)의 이용 가능한 대역폭,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경험의 타이밍, 데이터 패킷의 크기 등과 같은 다른 요인에 기초하여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다양한 정보의 통신을 효과적으로 조정 또는 동기화하고 중요한 정보의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은, 일반적으로, HMD(92)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다른 시각적 경험 생성기, 스피커, 햅틱 기구)를 통해 사용자(14)에게 게임 경험(예컨대, AR/VR 경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탑승 차량(84)의 각각의 좌석 또는 승객 공간은 전용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은 승객이 공유 게임(예컨대, 멀티플레이어 게임)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은 탑승 차량(84)(또는 다수의 탑승 차량(84))의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의 실시예의 개략도인 도 5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은 전체적으로 AR/VR 그래픽으로 향상되는 게임 경험을 사용자(14) 중 한 명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예컨대, 이용 가능한 좌석의 수 및 탑승 차량(84)에 의해 제공되는 대응하는 온보드 게임 시스템에 따라) 제 1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A), 제 2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B), …, 제 n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N)을 포함하는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을 예시한다. 여기에서는 제 1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A)과 관련하여 특정한 구성요소가 설명되지만, 모든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구성요소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접근방식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통합될 수 있다.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은 탑승 차량(84)의 각각의 좌석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그 대신에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은 좌석 그룹(예컨대, 사용자의 팀) 또는 전체적으로 탑승 차량(84)에 제공될 수 있고, AR/VR 경험은 다수의 HMD(92) 및/또는 다른 유형의 시각적 경험 생성기(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온보드 시스템(88)은 탑승 차량(84)을 갖지 않는 어트랙션에서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은 각각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A)은 적절한 게임 로직으로 프로그래밍된 게임 컴퓨터(140)를 포함하고, 도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빠른 유지보수, 교체, 및 기술적인 갱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통합될 수 있는 적절한 렌더링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통합할 수 있다. 예컨대, 게임 컴퓨터(140)는 그래픽 렌더링 및 오버레이와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된 처리 회로(142) 및 메모리 회로(1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게임 컴퓨터(140)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처리 회로(142) 및 메모리 회로(144)는 게임 로직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실제 환경의 저장된 맵, 모션 프로파일 정보, 및 HMD(92)를 통해 실제 공간에 가상 물체를 배치하기 위한 스테이지의 기하학적 구조에 기초하여 실제 탑승 차량(84)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각각의 게임 컴퓨터(140)가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대해 이들 기능을 수행할 수 있거나, 특정한 기능이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의 상이한 게임 컴퓨터(140)에 걸쳐 공유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A)의 게임 컴퓨터(140)는 콘텐츠를 렌더링하고 제 1 사용자의 행동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제 2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B)의 게임 컴퓨터(140)는 콘텐츠를 렌더링하고 제 2 사용자의 행동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렌더링 및 시뮬레이션은, 특정한 실시예에서,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걸쳐 통신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한 실시예에서,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입력 레이턴시를 줄이기 위해 모든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아직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를 통신하거나 최소한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게임 컴퓨터(140)는 직접 메모리 액세스 능력과 같은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다 정교한 프로그래밍 및 통신을 가질 수 있다.
게임 컴퓨터(140)는 (예컨대, 배선으로 접속된) 통신 및 전력 전도체를 통해 HMD(9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컨대, HMD(92)는 본질적으로 게임 컴퓨터(14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로 간주될 수 있다. 게임 컴퓨터(140)는 HMD(92)에 전력 및 통신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HMD(92)는 컨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해 반드시 로컬 전원 또는 로컬 처리 회로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게임 컴퓨터(140)와 HMD(92) 사이의 연결은 임의의 적절한 통신 및 전력 표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게임 컴퓨터(140)는 임의의 적절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 임의의 적절한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또는 다른 통신, 전원, 및/또는 연결 표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HMD(92)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또는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HMD(92)는 탑승 차량(84)에 테더링될 수 있고, HMD(92)와 탑승 차량(84)에 또한/또는 탑승 차량(84) 내에 위치한 게임 컴퓨터(14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인터페이스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탑승 차량(84)에 대한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거나 없애면서 HMD(92)에서 유지보수(예컨대, 상이한 사용자(14)에 의한 사용 사이의 청소)가 수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HMD(92)는, 일반적으로, 게임 컴퓨터(140)에 의해 렌더링된 AR/VR 환경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HMD(92)는 AR/VR 특징의 투사 및/또는 오버레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 전자 안경을 포함할 수 있다. HMD(92)는 가속도계, 자력계, 자이로스코프, GPS 수신기, 동작 추적 센서, 전자기 및 솔리드 스테이트 동작 추적 센서, IMU, 존재 센서 등과 같은 방향 및/또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제로, 특정한 실시예에서, HMD(92)는 도 4에 설명된 추적 센서(120)를 통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AR/VR 그래픽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HMD(92)는 표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게임 컴퓨터(140)는 사용자(14)와 연관된 정보를 식별하는 것에 따라 콘텐츠를 렌더링할 수도 있다. 예컨대, 예시된 게임 컴퓨터(140)는 식별 시스템(14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식별 시스템(146)은 일반적으로 사용자(14)와 연관되는 디바이스(예컨대,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 웨어러블 등)로부터 사용자(14)에 관한 식별 정보를 읽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식별 시스템(146)은 각각의 사용자(14)의 신원을 결정하기 위해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field communication),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식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 시스템(146)은 사용자(14)와 관련된 일부 측면, 예컨대 사용자(14)의 팀 조합(예컨대, "외양간 동물" 팀 대 "광대" 팀)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14)에 의해 휴대되는 RFID 태그를 읽기 위한 RFID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식별 시스템(146)에 의해 검출된 정보는 사용자의 정보와 연관되는 콘텐츠를 렌더링함으로써 개인화된 게임 경험을 생성하기 위해 게임 컴퓨터(14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4)가 광대 팀에 있는 경우, 콘텐츠는 광대 테마(예컨대, 풍선, 솜사탕)에 따라 렌더링될 수 있다.
보다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탑승 차량(84)은 오디오 출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A)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148) 및 하나 이상의 오디오 디바이스(150)를 포함한다. 오디오는 사용자(14)의 각각의 대한 전용 방식으로, 예컨대 각각의 사용자(14) 고유의 헤드폰, 각각의 사용자(14)의 머리 영역에 근접한 스피커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오디오는 전체 탑승 차량(84)에 제공될 수 있지만, 전용 신호가 탑승 차량(84)의 각각의 스피커에 제공되어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 등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DSP(148)는 게임 컴퓨터(140)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오디오 효과를 생성하고 오디오 신호를 하나 이상의 오디오 디바이스(150)에 출력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이 전체 탑승 차량(84)에 대해 공유되는 실시예에서, 탑승 차량(84)마다 단지 하나의 DSP(148)가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탑승 차량(84)의 모든 게임 컴퓨터(140)는 동일한 DSP(148)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한 실시예의 실행에서, 게임 컴퓨터(14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입력이 식별 시스템(146)으로부터의 것이 아니거나 전력 신호가 아니면 스위치(110) 및 온보드 게임 서버(114)(예컨대, 도 4 참조)로부터 통신된다. 입력에 기초하여, 게임 컴퓨터(140)는 HMD(92)를 사용하여 표시될 그래픽을 처리하고 렌더링할 수 있다. 게임 컴퓨터(140)는 그래픽의 렌더링과 함께 DSP(148)에 오디오 정보를 제공하여, DSP(148)가 하나 이상의 오디오 디바이스(150)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입력은 각각의 사용자(14)에 대한 AR/VR 경험을 생성하는 데 유용한 정보와 같은 온보드 게임 서버(114)를 통해 통신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은 사용자의 위치, 방향, 초점 거리, 응시 방향, 시야, 움직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관련되거나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입력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탑승 차량의 위치, 방향, 모션 벡터, 속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관련되거나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입력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승객의 사용자 정보(예컨대, 결제 정보, 멤버십 정보와 같은 사용자/승객에 의해 제공되거나 승인된 임의의 적합한 정보), 개인 정보(예컨대, 나이, 키, 특별한 요구사항 등), 게임 정보(예컨대, 테마 어트랙션과 연관된 AR/VR 게임에 관한 정보, AR/VR 게임에서 사용자/승객이 연관되는 특정한 캐릭터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게임 이력에 관한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되거나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식별 시스템(146)에 의해 검출된 정보는 게임 컴퓨터(140)가 사용자 정보, 개인 정보, 게임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의 특정한 부분에 각각의 사용자(14)를 링크하거나 연관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입력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의 휴대용 컨트롤러, 조이스틱, 푸시 버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동작과 같은 AR/VR 특징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 또는 상호작용과 관련되거나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게임 컴퓨터(140)는 사용자(14)에 의해 적용되는 동작(예컨대, 물줄기를 쏘는 것, AR 또는 VR 물체를 잡는 것과 같은 AR/VR 환경에서의 동작)에 대응하는 AR/VR 특징을 생성할 수 있다. 입력은 공유 게임(예컨대, 다수의 플레이어를 갖는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와 관련되거나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동일한 게임에 참여된 사용자(14)가 그들의 HMD(92)에서 동일한 AR/VR 특징을 볼 수 있도록, 공유 게임에 참여되는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의 게임 컴퓨터(140)는 AR/VR 특징의 생성 및 렌더링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탑승 차량(84)과 통합된 온보드 시스템(88)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예를 예시하는 탑승 차량(84)의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온보드 시스템(88)의 특정한 구성요소는 탑승 차량(84)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탑승 차량(84)은 그 전부 또는 일부에 액세스 패널(153)이 장착될 수 있는 전방 부분(152A), 후방 부분(152B), 측면 부분(152C), 및 바닥 부분(152D)을 포함하는 차체(152) 또는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액세스 패널(153)은 차체(152)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패널(153)은 탑승 차량(84)의 기계적 특징 및/또는 온보드 시스템(88)의 특징에 쉽게 액세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탑승 차량(84)의 하나 이상의 좌석 또는 승객 공간(154)(예컨대, 4개의 좌석)은 한 명 이상의 승객(사용자(1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탑승 차량(84)은 사용자(14)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22), HMD(92) 등과 같은 다양한 특징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시트(154) 앞에 하나 이상의 전면 패널(156)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온보드 시스템(88)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은 배열로 탑승 차량(84)과 통합되고 또한/또는 탑승 차량(84)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예로서 제공되고, 다른 실시예에서, 배열은 적어도 탑승 차량(84)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시된 예에서, 온보드 게임 서버(114)는 차체(152)의 전방 부분(152A)에 있을 수 있다.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 또는 그 각각의 특징의 일부는 그 각각의 좌석(154)에 사용 가능할 만큼 가까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예로서,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의 HMD(92)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통해 전면 패널(156)에 테더링될 수 있다.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의 식별 시스템(146) 및 오디오 디바이스(150)는 전면 패널(156)에 배치되거나 이와 통합될 수도 있다.
게임 컴퓨터(140)의 각각은, 예컨대, 좌석(154)의 각각의 하나의 또는 그 아래의 공간 또는 칸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는 각각의 전면 패널(156)과 통합되고 또한/또는 각각의 좌석(154)에 인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좌석(154)은 전용 HMD(92), 식별 시스템(146), 오디오 디바이스(150), 게임 컴퓨터(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를 갖는다. 추적 시스템(124)이 기능성에 적합한 위치에서 탑승 차량(84)에 배치되거나 이와 통합될 수 있다. 예컨대, 추적 시스템(124)의 센서(120)(예컨대, 가속도계, GPS 수신기, 존재 센서, 동작 추적 센서) 중 일부는 차체(152)의 전방 부분(152A)에 배치될 수 있고, 센서(120)(예컨대, IMU, 자이로스코프)의 일부는 HMD(92)에 배치되거나 이와 통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보드 시스템(88)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교체, 수정, 유지보수, 업그레이드 등을 위해 액세스 패널(153)을 통해 쉽게 액세스 가능한 방식으로 탑승 차량(84)과 통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탑승 차량(84)의 온보드 시스템(88)은 네트워크(96)를 통해 오프보드 시스템(90)과 통신한다. 오프보드 시스템(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에 의해 생성된 AR 및/또는 VR 그래픽을 보완하도록 설계되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의 오프보드 시스템(90)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오프보드 시스템(90)은 탑승 경로(82)에 근접하여 또는 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오프보드 시스템(90)은 온보드 시스템(88)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특정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프보드 시스템(90)은 네트워크(96)와의 연결을 확립하고 오프보드 시스템 구성요소 사이에 로컬 네트워크를 확립하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160)(예컨대, 모뎀) 및 스위치(162)(예컨대,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프보드 시스템(90)은 오프보드 시스템(90)과 네트워크(96)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통신 구성요소(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다양한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은 WLAN, WWAN, 및 NFC와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162)는 오프보드 게임 서버(164),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166), 및 놀이기구 표시 관리자(ride show supervisor, RSS)(168)에 직접 연결된다. 별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상이한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166)이 있을 수 있다.
RSS(168)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RSS(168)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예컨대, 유형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SoC(system-on-chip) 디바이스,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일부 다른 유사한 프로세서 구성)를 포함할 수 있다. RSS(168)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조명 시스템(170), 하나 이상의 애니메트로닉스(172), 또는 다른 소품을 사용하여 오프보드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RSS(168)는 그 동작을 제어하거나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조명 시스템(170) 및 하나 이상의 애니메트로닉스(172)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RSS(168)는 하나 이상의 조명 시스템(170)의 강도, 입사각, 온/오프 상태, 색상, 및 다른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RSS(168)는 하나 이상의 애니메트로닉스(172) 또는 다른 소품의 움직임, 온/오프 상태, 및 다른 동작(예컨대, 음향 효과, 조명 효과)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SS(168)는 온보드 시스템(88)에 의해 렌더링된 AR/VR 경험에 기초하여 또는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다른 요소와 협력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 시스템(170) 및 하나 이상의 애니메트로닉스(172)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조명 시스템(170)은 천장 조명, 램프, 벽 조명, 외부 조명 등과 같은 다양한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애니메트로닉스(172)는 특정한 실물과 똑같은 움직임을 모방하는 다양한 로봇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자동화된 표시 효과와 같은 다른 소품은, 예컨대 온보드 시스템(88)의 동작과 협력하여 스위치(162)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RSS(16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166)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166)은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예컨대, 유형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SoC(system-on-chip) 디바이스,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일부 다른 유사한 프로세서 구성)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166)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174)을 사용하여 승객에게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하고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166)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예컨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해) 미디어 시스템(174)에 송신할 수 있고, 미디어 시스템(174)은 탑승 경로(82)를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표시 디바이스(예컨대, 투사 표시 디바이스, 디지털 표시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사운드 디바이스(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다. 조정된/동기화된 타이밍 또는 스케줄로 오디오/비디오 콘텐츠가 상이한 미디어 시스템(174)에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166)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174)의 제어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오프보드 게임 서버(164)는 특별히 프로그래밍된 서버 컴퓨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오프보드 게임 서버(164)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예컨대, 유형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SoC(system-on-chip) 디바이스,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일부 다른 유사한 프로세서 구성)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프보드 게임 서버(164)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96)를 통해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다양한 구성요소 사이 및 온보드 시스템(88)과 오프보드 시스템(90) 사이의 다양한 정보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정보가 스위치(162)를 통해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라우팅될 수 있다. 스위치(162)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안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데이터 패킷)를 목적지 노드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라우터 또는 임의의 적합한 네트워킹 디바이스이다. 예로서, 오프보드 게임 서버(164)는 스위치(162)를 통해 RSS(168)와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166) 사이에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오프보드 게임 서버(164)는 온보드 게임 서버(11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정보 유형 및/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정보의 통신을 조정하거나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보드 게임 서버(164)는 통신을 효과적으로 조정하거나 동기화하고 중요한 정보의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도 8은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온보드 시스템(8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온보드 시스템(88)은 온보드 게임 서버(114) 및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을 포함한다. 온보드 시스템(88)은 VSS(116) 및 차량 표시 효과(126)뿐만 아니라, 차량 제어 관리자(vehicle control supervisor, VCS)(200), 차량 컨트롤러/모터(202)(예컨대, 스티어링 컨트롤러, 모터), 및 차량 센서(204)도 포함한다. 차량 센서(204)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추적 센서(120)의 예일 수 있다. 온보드 시스템(88)은, 예컨대, 다른 유형의 도 4의 추적 센서(120) 및 추적 시스템(124),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2)와 같은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VCS(20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VCS(2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예컨대, 유형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SoC(system-on-chip) 디바이스,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일부 다른 유사한 프로세서 구성)를 포함할 수 있다. VCS(200)는 온보드 시스템(88)의 다른 구성요소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및/또는 명령에 응답하여 탑승 차량(84)의 다양한 동작 및 움직임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VCS(200)는 차량 센서(204)로부터 (예컨대, 탑승 차량(84)의 위치, 방향, 속도, 모션 벡터, 또는 다른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예컨대, 연결 지점(206)을 통해) 온보드 서버(114)로부터 게임 정보를, 또한/또는 다른 탑승 차량(84), 오프보드 표시 효과(208)(예컨대, 조명 시스템(170), 애니메트로닉스(172))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VCS(200)는 수신된 신호 및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 차량(84)의 움직임(예컨대, 트랙을 따른 전진 및/또는 후진)을 제어하도록 차량 컨트롤러/모터(202)에 지시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VSS(116)와 VCS(200) 사이에서 정보가 교환될 수 있도록 VCS(200)는 또한 VSS(11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VCS(200) 및 VSS(116)는, 예컨대, 차량 표시 효과(126) 및 탑승 차량(84)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센서(204)로부터의 신호는 온보드 게임 서버(114)에 제공될 수도 있고, 이는 온보드 게임 서버(114)가 온보드 게임 시스템(118)을 통해 플레이되는 게임과 같은 다른 효과 또는 이벤트와 탑승 차량(84)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오프보드 시스템(90)은 오프보드 게임 서버(164),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166), 및 미디어 시스템(174)을 포함한다. 오프보드 시스템(90)은 RSS(168), 오프보드 표시 효과(208), 및 놀이기구 제어 관리자(ride control supervisor, RCS)(210)도 포함한다. RCS(21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RCS(210)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예컨대, 유형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SoC(system-on-chip) 디바이스,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일부 다른 유사한 프로세서 구성)를 포함할 수 있다. RCS(210)는, 예컨대, 온보드 시스템(88)의 구성요소 및/또는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및/또는 명령에 응답하여 (예컨대, 탑승 경로(82)를 따른) 어트랙션 내의 다수의 상이한 탑승 차량의 다양한 동작 및 움직임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보드 시스템(8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다양한 통신 연결, 전력 연결 등을 표현하는 연결 지점(206)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연결 중 일부는 도 4 및 도 7과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된 스위치(110),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112), 스위치(162), 및/또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160)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연결 지점(206)은 일반적으로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의 임의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및 관련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RSS(168) 및 VSS(116)는 연결 지점(206)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8(및 다른 도면)의 특정한 연결은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의 다양한 구성요소 사이에서 (예컨대, 양방향 통신을 나타낼 수 있는 연결 라인 및 단방향 통신을 나타낼 수 있는 화살표를 통해) 예시되지만, 여기에 나타내어지고 설명된 구성요소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예컨대, 일부 예시된 연결이 제거될 수 있고 또한/또는 일부 다른 연결이 추가될 수 있고, 단방향 연결이 양방향 연결일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도 8(및 다른 도면)의 특정한 구성요소가 예시되지만, 예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가 제거될 수 있고 또한/또는 일부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논의된 처리 기능은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구성요소 사이에서 분할되거나 분산될 수도 있다(예컨대, VSS(116)의 일부 기능이 온보드 게임 서버(11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은 온보드 시스템(8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을 포함하고, 각각은 자신의 개별적으로 구별되는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들 기능성이 결합되면, 게임 효과 및 다른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고, 전반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탑승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온보드 시스템(8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의 다양한 부분/구성요소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구별되는 기능성을 갖도록, 온보드 시스템(88) 및 오프보드 시스템(90)의 각각 내에, 모듈성이 내장된다. 이들 모든 기능성은 협력적이고 공동의 방식으로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에 의해 제어되고 조절되지만, 개별적인 구별되는 기능성은 유연하게 재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반적인 탑승 경험의 엔지니어링(예컨대, 설계, 수정, 업그레이드, 유지보수, 교체 등)은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50)의 특성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기술적 효과는 유연성(확장성, 업그레이드 가능성, 교체 가능성, 유지보수의 편의성, 빠른 배포 등), 높은 비용 효율(예컨대, 단순화된 계획 및 엔지니어링), 및 예측 가능성(예컨대, 쉽게 테스트되고 검증된 설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만이 여기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많은 수정 및 변경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정신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의 특정한 요소는 서로 결합되거나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놀이공원 시스템은, 승객을 수용하기 위한 좌석을 갖는 탑승 차량과, 상기 탑승 차량과 통합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게임 시스템을 포함하는 온보드(on-board)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는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게임 내에서 제공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게임 중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의 조정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에 통합되고,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개별 게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나머지 게임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게임 시스템을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즉시 제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임 시스템을 다른 게임 시스템으로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에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온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에 배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 중 하나이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HMD의 움직임, 방향, 또는 양쪽 모두를 추적하도록 구성된 추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추적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차량 표시 관리자(vehicle show supervisor, VSS)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추적 시스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및 상기 VSS 사이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제 1 유형의 정보가 다른 유형의 정보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로 통신되는 정보 계층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및 상기 VSS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위한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게임 컴퓨터와, 상기 탑승 차량에 테더링되고 상기 게임 컴퓨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상기 렌더링된 그래픽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게임 컴퓨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대응하는 게임 시스템에 대응하는 좌석을 차지하는 승객에 관한 식별 정보를 회수하도록 구성된 식별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 컴퓨터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온보드 시스템과 통신하는 오프보드(off-board)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오프보드 표시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각각이 오프보드 게임 컴퓨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표시 효과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관리자 시스템(ride supervisor system, RSS)과,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그리고 상기 RSS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오프보드 네트워크 스위치와, 상기 오프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 및 상기 RSS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RSS 사이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오프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오프보드 게임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의 각각의 미디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를 위한 미디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탑승 차량은 탑승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은, 승객을 수용하기 위한 승객 칸 및 좌석을 갖는 차체와,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은 상기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의 각각의 승객이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증강 현실(AR) 게임 또는 가상 현실(VR) 게임에 참여할 수 있게 하도록 각각의 좌석과 연관되고,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은 AR 그래픽 또는 VR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게임 컴퓨터와, 상기 게임 컴퓨터와 통신하고 상기 AR 그래픽 또는 상기 VR 그래픽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를 포함함 - 과, 상기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의 승객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AR 게임 또는 상기 VR 게임과 관련된 게임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차량 표시 관리자(vehicle show supervisor, VSS)와, 상기 VSS 및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에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온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승객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게임 입력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AR 게임 또는 상기 VR 게임의 조정을 하게 구성되도록, 상기 VSS로부터 상기 게임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으로의 상기 게임 입력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체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또는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 또는 상기 VSS에 대한 즉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VSS에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각각의 좌석은 상기 AR 게임 또는 상기 VR 게임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게임 입력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다.
각각의 HMD는 추적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통합 추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 시스템은 상기 HMD의 움직임 및 방향에 관한 추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HMD가 연관되는 각각의 좌석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에 상기 추적 데이터를 배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가 상기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과 상기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공유되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네트워킹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은, 탑승 차량과 통합된 온보드 시스템 -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각각의 좌석에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적어도 상기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공유 게임 내에서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복수의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승객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공유 게임 중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의 조정을 하도록 구성됨 - 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온보드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를 갖는 오프보드 시스템 -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공유 게임 중에 발생하는 상기 AR 이벤트 또는 상기 VR 이벤트의 조정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의 동작을 상기 공유 게임과 조정하는 오프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함 - 을 포함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과 통합되어, 놀이공원에서의 탑승 동안 탑승 경로를 따라 상기 탑승 차량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는 조명 시스템, 애니메이션 소품, 로봇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시스템, 사운드 시스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게임 시스템을 갖는 온보드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게임 내에서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 중에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각각의 게임 시스템의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 중 하나이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HMD의 동작, 방향 또는 양쪽 모두를 추적하도록 구성된 추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추적 시스템은 상기 온보드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차량 장착형 디스플레이 또는 차량 장착형 망막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 중 하나이다.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각각의 게임 시스템의 각 청각적 또는 촉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온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에 배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차량 표시 관리자(vehicle show supervisor, VSS)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제 1 유형의 정보가 다른 유형의 정보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로 통신되는 정보 계층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과 상기 VSS 간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에 대한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게임 컴퓨터와, 상기 탑승 차량에 테더링되고 상기 게임 컴퓨터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 -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상기 렌더링된 그래픽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게임 컴퓨터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게임 시스템과 관련된 상기 탑승 차량의 상기 승객 중 하나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식별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 컴퓨터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을 포함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의 오프보드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오프보드 표시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에서 떨어져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될 미디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에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중 나머지 게임 시스템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게임 시스템을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임 시스템을 다른 게임 시스템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게임 시스템을 포함하는 온보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탑승 차량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게임 내에서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 중에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승객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 노브,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동작 가능한 요소, 스티어링 컨트롤, 트리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오프보드 표시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오프보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각각 오프보드 게임 컴퓨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표시 효과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관리자 시스템(ride supervisor system, RSS)과,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그리고 상기 RSS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오프보드 네트워크 스위치와, 상기 오프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RSS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RSS 간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오프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 각각의 오프보드 게임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의 각 미디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될 미디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제 1 부분은 상기 탑승 차량과 통합되어 탑승 경로를 따라 상기 탑승 차량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제 2 부분은 상기 탑승 차량의 상기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상기 제 1 부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은, 탑승 차량과 통합된 온보드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각 좌석을 위한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적어도 상기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공유 게임 내에서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복수의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공유 게임 중에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를 상기 복수의 승객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온보드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를 갖는 오프보드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는 조명 시스템, 애니메이션 소품, 로봇 장치, 안개 기계, 바람 기계, 디스플레이 시스템, 사운드 시스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오프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게임 중에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의 조정에 따라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의 동작을 상기 공유 게임과 조정한다.

Claims (40)

  1. 놀이공원 시스템으로서,
    승객을 수용하기 위한 좌석을 갖는 탑승 차량과,
    상기 탑승 차량과 통합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게임 시스템을 포함하는 온보드(on-board) 시스템
    을 포함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는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게임 내에서 제공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게임 중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의 조정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에 통합되고,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개별 게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나머지 게임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게임 시스템을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즉시 제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임 시스템을 다른 게임 시스템으로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에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온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에 배포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 중 하나이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HMD의 움직임, 방향, 또는 양쪽 모두를 추적하도록 구성된 추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추적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차량 표시 관리자(vehicle show supervisor, VSS)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추적 시스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및 상기 VSS 사이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정보 계층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및 상기 VSS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보 계층에서 제 1 유형의 정보는 다른 유형의 정보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로 통신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위한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게임 컴퓨터와,
    상기 탑승 차량에 테더링되고 상기 게임 컴퓨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상기 렌더링된 그래픽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게임 컴퓨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대응하는 게임 시스템에 대응하는 좌석을 차지하는 승객에 관한 식별 정보를 회수하도록 구성된 식별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 컴퓨터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온보드 시스템과 통신하는 오프보드(off-board)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오프보드 표시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각각이 오프보드 게임 컴퓨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표시 효과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관리자 시스템(ride supervisor system, RSS)과,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그리고 상기 RSS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오프보드 네트워크 스위치와,
    상기 오프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 및 상기 RSS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RSS 사이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오프보드 게임 서버
    를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오프보드 게임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의 각각의 미디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를 위한 미디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차량은 탑승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13.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으로서,
    승객을 수용하기 위한 승객 칸 및 좌석을 갖는 차체와,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은 상기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의 각각의 승객이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증강 현실(AR) 게임 또는 가상 현실(VR) 게임에 참여할 수 있게 하도록 각각의 좌석과 연관되고,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은 AR 그래픽 또는 VR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게임 컴퓨터와, 상기 게임 컴퓨터와 통신하고 상기 AR 그래픽 또는 상기 VR 그래픽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를 포함함 - 과,
    상기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의 승객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AR 게임 또는 상기 VR 게임과 관련된 게임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차량 표시 관리자(vehicle show supervisor, VSS)와,
    상기 VSS 및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에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온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승객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게임 입력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사이에서 공유되는 상기 AR 게임 또는 상기 VR 게임의 조정을 하게 구성되도록, 상기 VSS로부터 상기 게임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으로의 상기 게임 입력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또는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 또는 상기 VSS에 대한 즉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패널을 포함하는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VSS에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각각의 좌석은 상기 AR 게임 또는 상기 VR 게임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게임 입력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되는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
  16.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HMD는 추적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통합 추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 시스템은 상기 HMD의 움직임 및 방향에 관한 추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HMD가 연관되는 각각의 좌석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온보드 게임 시스템에 상기 추적 데이터를 배포하도록 구성되는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가 상기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과 상기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공유되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네트워킹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듈식 놀이공원 탑승 차량.
  18.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으로서,
    탑승 차량과 통합된 온보드 시스템 -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각각의 좌석에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적어도 상기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공유 게임 내에서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복수의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승객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공유 게임 중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의 조정을 하도록 구성됨 - 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온보드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를 갖는 오프보드 시스템 -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공유 게임 중에 발생하는 상기 AR 이벤트 또는 상기 VR 이벤트의 조정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의 동작을 상기 공유 게임과 조정하는 오프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과 통합되어, 놀이공원에서의 탑승 동안 탑승 경로를 따라 상기 탑승 차량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는 조명 시스템, 애니메이션 소품, 로봇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시스템, 사운드 시스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
  21.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으로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게임 시스템을 갖는 온보드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게임 내에서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 중에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각각의 게임 시스템의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 중 하나이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HMD의 동작, 방향 또는 양쪽 모두를 추적하도록 구성된 추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추적 시스템은 상기 온보드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차량 장착형 디스플레이 또는 차량 장착형 망막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 중 하나인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각각의 게임 시스템의 각 청각적 또는 촉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 내에서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온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에 배포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차량 표시 관리자(vehicle show supervisor, VSS)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는 정보 계층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및 상기 VSS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보 계층에서 제 1 유형의 정보는 다른 유형의 정보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로 통신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온보드 게임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AR 경험, 또는 상기 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에 대한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게임 컴퓨터와,
    상기 탑승 차량에 테더링되고 상기 게임 컴퓨터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 - 상기 각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는 상기 렌더링된 그래픽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게임 컴퓨터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게임 시스템과 관련된 상기 탑승 차량의 상기 승객 중 하나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식별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 컴퓨터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을 포함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의 오프보드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오프보드 표시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에서 떨어져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될 미디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에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온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중 나머지 게임 시스템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게임 시스템을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임 시스템을 다른 게임 시스템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하는
    놀이공원 시스템의 탑승 차량.
  33.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으로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게임 시스템을 포함하는 온보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탑승 차량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의 각각의 게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게임 내에서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 중에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승객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 노브,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동작 가능한 요소, 스티어링 컨트롤, 트리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오프보드 표시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오프보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각각 오프보드 게임 컴퓨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표시 효과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관리자 시스템(ride supervisor system, RSS)과,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그리고 상기 RSS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오프보드 네트워크 스위치와,
    상기 오프보드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RSS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과 상기 RSS 간의 통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오프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보드 게임 시스템 각각의 오프보드 게임 컴퓨터는 상기 복수의 게임 시스템 사이에 공유되는 상기 게임과 협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시스템의 각 미디어 시스템에 의해 표시될 미디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제 1 부분은 상기 탑승 차량과 통합되어 탑승 경로를 따라 상기 탑승 차량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제 2 부분은 상기 탑승 차량의 상기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의 상기 제 1 부분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모듈식 어트랙션 시스템.
  38.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으로서,
    탑승 차량과 통합된 온보드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각 좌석을 위한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적어도 상기 시각적 경험 생성기 디바이스를 통해 공유 게임 내에서 증강 현실(AR) 경험, 또는 가상 현실(VR) 경험, 또는 양쪽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시스템은 상기 탑승 차량의 복수의 승객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공유 게임 중에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를 상기 복수의 승객으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온보드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탑승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를 갖는 오프보드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는 조명 시스템, 애니메이션 소품, 로봇 장치, 안개 기계, 바람 기계, 디스플레이 시스템, 사운드 시스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보드 시스템은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오프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게임 중에 발생하는 AR 이벤트 또는 VR 이벤트의 조정에 따라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프보드 표시 디바이스의 동작을 상기 공유 게임과 조정하는
    놀이공원 어트랙션 시스템.
KR1020217012127A 2018-09-25 2019-09-25 모듈식 증강 및 가상 현실 놀이기구 어트랙션 Active KR10282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7019973A KR20250096874A (ko) 2018-09-25 2019-09-25 어트랙션 시스템 및 어트랙션 시스템용 탑승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6433P 2018-09-25 2018-09-25
US62/736,433 2018-09-25
US16/580,543 US11562539B2 (en) 2018-09-25 2019-09-24 Modular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ride attraction
US16/580,543 2019-09-24
PCT/US2019/052950 WO2020068977A1 (en) 2018-09-25 2019-09-25 Modular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ride attra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7019973A Division KR20250096874A (ko) 2018-09-25 2019-09-25 어트랙션 시스템 및 어트랙션 시스템용 탑승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678A KR20210062678A (ko) 2021-05-31
KR102823273B1 true KR102823273B1 (ko) 2025-06-20

Family

ID=698849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7019973A Pending KR20250096874A (ko) 2018-09-25 2019-09-25 어트랙션 시스템 및 어트랙션 시스템용 탑승 차량
KR1020217012127A Active KR102823273B1 (ko) 2018-09-25 2019-09-25 모듈식 증강 및 가상 현실 놀이기구 어트랙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7019973A Pending KR20250096874A (ko) 2018-09-25 2019-09-25 어트랙션 시스템 및 어트랙션 시스템용 탑승 차량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1562539B2 (ko)
EP (3) EP4599910A2 (ko)
JP (2) JP7443346B2 (ko)
KR (2) KR20250096874A (ko)
CN (2) CN112714666B (ko)
CA (1) CA3111625A1 (ko)
ES (2) ES3036389T3 (ko)
MY (1) MY207106A (ko)
SG (1) SG11202101783RA (ko)
WO (1) WO2020068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1638B2 (ja) * 2019-04-23 2023-09-2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生成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示方法
US11777943B2 (en) * 2020-04-30 2023-10-03 Universal City Studios Llc Entertainment interaction based on accessing a separate system to populate a hidden field
US11559749B2 (en) * 2020-08-18 2023-01-24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hrust-vectored practical fluid flow effects
US11756376B2 (en) * 2020-09-29 2023-09-12 Universal City Studios Llc Guest-facing gam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2175560B2 (en) * 2021-05-10 2024-12-24 Cerence Operating Company Touring circuitry for an immersive tour through a touring theater
US20220401849A1 (en) * 2021-06-18 2022-12-22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ion mapping for an attraction system
JP7218400B2 (ja) * 2021-06-28 2023-02-06 株式会社ポケモン 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US20230213925A1 (en) * 2022-01-05 2023-07-06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scene monitoring
EP4499251A1 (en) * 2022-03-30 2025-02-05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responses to interactions within an interactive environment
US11995249B2 (en) 2022-03-30 2024-05-28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responses to interactions within an interactive environment
US12079384B2 (en) 2022-04-21 2024-09-03 Universal City Studios Llc Artificial intelligence (AI)-assisted and dynamic ride profile head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CN119053376A (zh) * 2022-04-21 2024-11-29 环球城市电影有限责任公司 人工智能(ai)辅助和动态乘坐简档头部跟踪系统和方法
US20230345215A1 (en) * 2022-04-26 2023-10-26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ride attractions
USD1023209S1 (en) 2022-05-26 2024-04-16 Sally Industries, Inc. Indoor amusement ride
CN115300899B (zh) * 2022-06-29 2025-02-1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游戏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车辆
CN115225619B (zh) * 2022-06-30 2024-09-27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车载增强现实系统、通信实现方法以及车辆
KR102826046B1 (ko) 2022-09-15 2025-06-26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 관광지 액티비티 체험 시스템
US20240189733A1 (en) * 2022-12-07 2024-06-13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 and method for an on-board animated figure in a ride environment
US20240226760A1 (en) * 2023-01-10 2024-07-11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and personalized attributes in a ride vehicle
US20250095123A1 (en) * 2023-09-18 2025-03-20 Universal City Studios Llc Imag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WO2025064361A1 (en) * 2023-09-18 2025-03-27 Universal City Studios Llc Imag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9381A (ja) * 1997-05-13 1998-11-24 Yoshimasa Tanaka 移動体用遊戯装置
EP1194876B1 (en) * 1999-05-10 2011-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6409599B1 (en) 1999-07-19 2002-06-25 Ham On Rye Technologies, Inc. Interactive virtual reality performance theater entertainment system
WO2008045464A2 (en) * 2006-10-10 2008-04-17 Wms Gaming Inc. Multi-player, multi-touch table for use in wagering game systems
JP4927887B2 (ja) * 2009-01-30 2012-05-0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情報表示方法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CN102151407A (zh) 2011-01-27 2011-08-17 深圳市远望落星山科技有限公司 一种互动轨道车
US20130030645A1 (en) * 2011-07-28 2013-01-31 Panasonic Corporation Auto-control of vehicle infotainment system based on extracted characteristics of car occupants
AU2014248874B2 (en) * 2013-03-11 2019-07-11 Magic Leap, Inc.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US9463379B1 (en) * 2013-12-17 2016-10-11 Thinkwell Group Ride vehicle mounted interactive game system
EP3129111A4 (en) * 2014-04-08 2018-03-07 Eon Reality, Inc. Interactive virtual reality systems and methods
US10010798B2 (en) * 2014-08-05 2018-07-03 Zip Holdings, Llc Unattended, self-guided, zip-line, tour system and method
HUE031114T2 (en) * 2014-08-11 2017-06-28 Mack Rides Gmbh & Co Kg Procedure for operating an apparatus, in particular fairground entertainment equipment, means of transport, fitness machine or the like
US9884254B2 (en) 2014-09-05 2018-02-06 Trigger Global Inc. Augmented reality gaming systems and methods
US9610510B2 (en) * 2015-07-21 2017-04-04 Disney Enterprises, Inc. Sensing and managing vehicle behavior based on occupant awareness
US11112266B2 (en) 2016-02-12 2021-09-07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for motion-synchronized AR or VR entertainment experience
DE102016104337A1 (de) * 2016-03-09 2017-09-14 Vr Coaster Gmbh & Co. Kg Positionsbestimmung und Ausrichtung eines Virtual Reality Headsets und Fahrgeschäft mit einem Virtual Reality Headset
CN105641928A (zh) 2016-04-06 2016-06-08 深圳星火互娱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动感车
US20170323482A1 (en) 2016-05-05 2017-11-09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tereoscopic,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images
CN205730323U (zh) 2016-05-27 2016-11-30 上海合昊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游乐乘骑项目的增强现实交互系统
JP6615732B2 (ja) * 2016-10-31 2019-12-04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US20180217966A1 (en) * 2017-01-31 2018-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eb rendering for smart module
US12153723B2 (en) 2017-03-06 2024-11-26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ayered virtual features in an amusement park environment
JP7143625B2 (ja) * 2018-05-09 2022-09-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通信装置
US20180345154A1 (en) * 2018-08-10 2018-12-06 Derek Thomas Arena For Live Action Gaming, Mission Quests and Puzzle Solving Attr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5311A2 (en) 2023-10-25
EP3856380A1 (en) 2021-08-04
ES2965132T3 (es) 2024-04-11
SG11202101783RA (en) 2021-03-30
KR20210062678A (ko) 2021-05-31
JP2024069244A (ja) 2024-05-21
ES3036389T3 (en) 2025-09-18
US20200098190A1 (en) 2020-03-26
US20230115812A1 (en) 2023-04-13
EP4599910A2 (en) 2025-08-13
US11741680B2 (en) 2023-08-29
US11562539B2 (en) 2023-01-24
EP4265311A3 (en) 2024-02-14
JP7443346B2 (ja) 2024-03-05
CN112714666A (zh) 2021-04-27
CN112714666B (zh) 2023-05-23
KR20250096874A (ko) 2025-06-27
US20240046579A1 (en) 2024-02-08
WO2020068977A1 (en) 2020-04-02
EP3856380B1 (en) 2023-09-13
EP4265311B1 (en) 2025-05-21
MY207106A (en) 2025-01-30
JP2022500153A (ja) 2022-01-04
CA3111625A1 (en) 2020-04-02
CN116712737A (zh)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823273B1 (ko) 모듈식 증강 및 가상 현실 놀이기구 어트랙션
JP7198213B2 (ja) 拡張乗り物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133344A (ko) 혼합 현실 체험 기구의 제어 장치 및 방법
HK40051081A (en) Modular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ride attraction
HK40051081B (en) Modular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ride attraction
US202303215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player state caches locally on ride vehicles
KR20240171150A (ko) 플레이어 상태 캐시를 라이드 차량에 국지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HK40016435A (en) Augmented ride system and method
HK1226982B (zh) 操作装置,尤其为游乐设施、运输工具、健身设备等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7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5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