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32799B1 - 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32799B1
KR102832799B1 KR1020250034427A KR20250034427A KR102832799B1 KR 102832799 B1 KR102832799 B1 KR 102832799B1 KR 1020250034427 A KR1020250034427 A KR 1020250034427A KR 20250034427 A KR20250034427 A KR 20250034427A KR 102832799 B1 KR102832799 B1 KR 10283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door
stand
center
fire hydr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50034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5003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327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3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3279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전 거치대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관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급수관 및 소방호스를 내장하도록 후면패널을 갖는 거치함, 상기 거치함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연결된 도어로 구성된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에 있어서, 소화전 거치대로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충돌을 사전에 판단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모듈,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설치되어 검지모듈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을 보호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 상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어퍼 에어백모듈, 상기 어퍼 에어백모듈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검지모듈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을 보호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 하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로워 에어백모듈, 및 상기 어퍼 에어백모듈과 상기 로워 에어백모듈의 팽창 시 상기 도어의 내면 중앙으로 펼쳐지면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센터가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hydrant stand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that can safely protect a water supply pipe installed inside the fire hydrant stand from external imp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hydrant holder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comprising a holder having a rear panel to accommodate a water pipe and a fire hose, and a door connec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holder, the technical idea including: a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a vehicle approaching the fire hydrant holder, determines a collision in advance, and outputs an operation signal; an upper airbag module that is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holder and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to protect the water pipe; a lower airbag module that is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holder to form a storage space under the upper airbag module and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to protect the water pipe; and a center guard member tha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while unfol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when the upper airbag module and the lower airbag module are expanded to protect against impact.

Description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 {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전 거치대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관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hydrant stand for a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re hydrant stand for a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y that can safely protect a water supply pipe installed inside the fire hydrant stand from external impact.

주지된 바와 같이, 소화전은 소방호스를 장치하기 위하여 상수도의 급수관에 설치하는 소방시설로서, 건축용 옥내 소화전은 발신기 및 표시등과 함께 거치대 내에 설치된다.As is well known, a fire hydrant is a firefighting facility installed in a water supply pipe to install a fire hose, and an indoor fire hydrant for building use is installed in a stand together with a transmitter and a pilot light.

일반적으로 소화전 거치대는 빌딩이나 상업 시설 또는 아파트 등 건축물의 실내 및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다.Typically, fire hydrant stands are installed indoors or in underground parking lots of buildings, commercial facilities, or apartments.

근래에는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소화전 거치대가 이동하는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함(1)과 도어(2)가 파손되는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소화전 거치대의 파손 부위는 거치함(1)의 전면에 자리하는 도어(2)가 주를 이룬다.Recently, there have been frequent incidents of fire hydrant stands installed in underground parking lots being damaged by collisions with moving vehicles, as shown in Fig. 5, resulting in the stand (1) and door (2) being damaged. The main damaged area of the fire hydrant stand is the door (2) located at the front of the stand (1).

그리고 소화전 거치대의 내부에는 소방호스(20)를 연결하는 급수관(10)이 마련되는데, 종래의 소화전 거치대는 얇은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함체 모양으로 제조되므로, 차량의 충돌로부터 내부 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nd, inside the fire hydrant stand, a water supply pipe (10) is provided to connect a fire hose (20).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fire hydrant stand i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body by processing a thin metal plat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nternal equipment could not be safely protected from collision with a vehicle.

특히,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소화전 거치대 내부의 급수관(10) 및 물의 급수를 제어하는 밸브(11)가 파손될 경우 누수로 인하여 막대한 피해로 이어지게 되므로, 급수관(10) 및 밸브(11)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된다.In particular, if the water supply pipe (10) and the valve (11)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stand are damaged due to a vehicle collision, it may lead to significant damage due to water leakage, so a technology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water supply pipe (10) and valve (11) is required.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9695호(공개일자 2009년01월23일)(0001) 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09-0009695 (Publication date: January 23, 200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전 거치대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관을 차량 등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hydrant stand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that can safely protect a water supply pipe installed inside the fire hydrant stand from external impacts such as from vehic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수관 및 소방호스를 내장하도록 후면패널을 갖는 거치함, 상기 거치함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연결된 도어로 구성된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에 있어서, 소화전 거치대로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충돌을 사전에 판단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모듈,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설치되어 검지모듈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을 보호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 상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어퍼 에어백모듈, 상기 어퍼 에어백모듈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검지모듈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을 보호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 하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로워 에어백모듈, 및 상기 어퍼 에어백모듈과 상기 로워 에어백모듈의 팽창 시 상기 도어의 내면 중앙으로 펼쳐지면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센터가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hydrant holder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comprising a holder having a rear panel to accommodate a water pipe and a fire hose, and a door connec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holder, the technical idea including: a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a vehicle approaching the fire hydrant holder, determines a collision in advance, and outputs an operation signal; an upper airbag module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holder and inflates obliquely towar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to protect the water pipe; a lower airbag module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holder to form a storage space under the upper airbag module and inflates obliquely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to protect the water pipe; and a center guard member tha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while unfol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when the upper airbag module and the lower airbag module are inflated and protects against impact.

상기 어퍼 에어백모듈은,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케이스, 상기 어퍼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검지모듈로부터 입력된 작동 신호에 따라 점화를 하는 어퍼점화기, 상기 어퍼점화기의 점화로 질소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어퍼케이스에 내장된 어퍼인플레이터, 상기 어퍼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질소 가스에 의해 도어의 내면 상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어퍼에어백, 및 상기 어퍼에어백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어퍼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airbag module may include an upper cas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mounting box, an upper igniter built into the upper case and igniting according to an operating signal input from the detection module, an upper inflator built into the upper case to generate nitrogen gas by ignition of the upper igniter, an upper airbag that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by the nitrogen gas generated from the upper inflator,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a tip of the upper airba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se.

상기 로워 에어백모듈은,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워케이스, 상기 로워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검지모듈로부터 입력된 작동 신호에 따라 점화를 하는 상기 로워점화기, 상기 로워점화기의 점화로 질소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로워케이스에 내장된 로워인플레이터, 상기 로워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질소 가스에 의해 도어의 내면 하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로워에어백, 및 상기 로워에어백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워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로워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lower airbag module may include a lower cas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above mounting box, a lower igniter built into the lower case and igniting according to an operating signal input from the detection module, a lower inflator built into the lower case to generate nitrogen gas by ignition of the lower igniter, a lower airbag that is obliquely expanded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by the nitrogen gas generated from the lower inflator, and a lower cover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lower airba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se.

상기 센터가드부재는, 상기 어퍼커버와 상기 로워커버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어퍼에어백과 상기 로워에어백이 팽창할 때에 상기 도어의 내면을 넓게 보호하도록 펼쳐지는 센터에어백, 및 상기 센터에어백이 펼쳐질 때에 상기 어퍼커버와 상기 로워커버 사이에서 분리되는 센터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enter guard member may include a center airbag tha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o connect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that is expanded to widely protect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when the upper airbag and the lower airbag inflate, and a center cover that is separat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when the center airbag is expanded.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전 거치대로 근접하는 차량의 충돌을 검지모듈에서 사전에 판단하면, 어퍼에어백과 로워에어백은 도어의 내면 상하부로 각각 경사지게 팽창되어 차량의 충격으로부터 상하부 급수관을 1차로 완화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센터에어백은 도어의 내면 중앙으로 팽창되어 어퍼에어백과 로워에어백의 중첩을 통해 차량의 충격으로부터 상하부 급수관을 2차로 완화할 수 있으므로, 소화전 거치대의 내부에 장치된 급수관을 차량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by the above-described solution means, if a collision of a vehicle approaching a fire hydrant stand is determined in advance by a detection module, the upper airbag and the lower airbag are inflated obliquely toward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door, respectively, to primarily alleviate the upper and lower water pipes from the impact of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the center airbag is infl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o secondarily alleviate the upper and lower water pipes from the impact of the vehicle through the overlapping of the upper and lower airbags, so that the water pipes installed inside the fire hydrant stand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external impact of the vehicle, thereby having a very useful effect.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지게 팽창 작동하는 어퍼에어백과 로워에어백이 어퍼스토퍼와 로워스토퍼에 의해 팽창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통제되므로 센터에어백과 함께 작동의 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wit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the upper airbag and the lower airbag, which operate to expand obliquely, are controlled so that they do not expand beyond the range of expansion by the upper stopper and the lower stopper, so that the stability of operation together with the center airbag can be improved, which is a very useful effect.

더하여,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어퍼 에어백모듈과 로워 에어백모듈 및 센터가드부재는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e) 구조를 이루어, 한 번 사용 후 고정된 형태의 거치함의 후면패널에서 분리하여 새 제품을 다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wit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the upper airbag module, the lower airbag module, and the center guard member form a single assembly structure, so that after one use, the product can be separated from the rear panel of the fixed-type mounting box and a new product can be reinstalled, so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of reducing costs in terms of econom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화전 거치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화전 거치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화전 거치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종래의 파손된 소화전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fire extinguish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fire extinguisher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fire extinguish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oken fire extinguisher stan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shapes of components depicted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parts may be depic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는 거치함(100)과, 도어(200)와, 검지모듈(300)과, 어퍼 에어백모듈(400)과, 로워 에어백모듈(500) 및 센터가드부재(600)를 포함한다.A fire hydrant stand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nd (100), a door (200), a detection module (300), an upper airbag module (400), a lower airbag module (500), and a center guard member (600).

거치함(100)은 전면이 개방된 사각 함체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거치함(100)의 후면에는 지하 주차장의 기둥이나 벽면에 고정되도록 후면패널(110)이 구비된다.The mounting box (100) is formed in a square body shape with an open front, and a rear panel (110)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mounting box (100) so that it can be fixed to a pillar or wall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거치함(100)의 내부는 수평으로 형성된 구획판(120)에 의해 상부의 전기실(100a)과 하부의 소화실(100b)로 구획되고, 상부의 전기실(100a)에는 발신기 단자대와 중계기 선로 등이 설치되며, 하부의 소화실(100b)에는 급수관(10)과 소방호스(20) 등이 장치된다.The interior of the stand (100) is divided into an upper electrical room (100a) and a lower fire extinguishing room (100b) by a horizontally formed partition plate (120). A transmitter terminal block and a repeater line, etc. are installed in the upper electrical room (100a), and a water supply pipe (10) and a fire hose (20), etc. are installed in the lower fire extinguishing room (100b).

도 1을 참조하면, 급수관(10)은 거치함(100)의 상부에서 인입되어 소화실(100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치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급수관(10) 중 어느 하나는 본관으로 구현되고, 다른 하나는 보조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ater supply pipe (10) may be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100) and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ire extinguishing chamber (100b), respectively. One of these two water supply pipes (10) may be implemented as a main pipe, and the other may be implemented as an auxiliary pipe.

도어(200)는 거치함(100)의 일측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소화실(100b)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한다.The door (20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radle (100) by a hinge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fire extinguishing chamber (100b).

도 1을 참조하면, 도어(200)의 내면 상부에는 어퍼스토퍼(21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어퍼에어백(440)의 팽창을 단속한다. 어퍼스토퍼(210)는 도어(200)의 내면 상부로 경사지게 팽창하는 어퍼에어백(440)이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통제하여 후술하는 센터에어백(610)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Referring to Fig. 1, an upper stopper (210)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door (200) to control the expansion of the upper airbag (440) described later. The upper stopper (210) controls the upper airbag (440) that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door (200) so that it does not go beyond the range, thereby controlling the smooth operation of the center airbag (610) described later.

어퍼스토퍼(210)는 도어(200)의 내면 상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어퍼에어백(440)이 팽창하는 상사점을 단속하는 어퍼 수평스토퍼(211), 어퍼 수평스토퍼(211)의 단부에 하향 수직으로 연결되어 어퍼에어백(440)이 거치함(100)의 후면패널(110) 방향으로 이동을 저지하는 어퍼 수직스토퍼(212), 어퍼 수직스토퍼(212)의 단부에 둥글게 말리도록 형성되어 팽창하는 어퍼에어백(440)이 어퍼 수직스토퍼(212)와 어퍼 수평스토퍼(211) 방향으로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어퍼 컬링스토퍼(213)를 포함한다.The upper stopper (210)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stopper (211) that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door (200) to control the top dead center at which the upper airbag (440) expands, an upper vertical stopper (212) that is vertically connected downward to an end of the upper horizontal stopper (211) to prevent the upper airbag (440) from moving toward the rear panel (110) of the mounting case (100), and an upper curling stopper (213) that is formed to be rounded at an end of the upper vertical stopper (212) to guide the expanding upper airbag (440) to enter toward the upper vertical stopper (212) and the upper horizontal stopper (211).

이러한 어퍼 수평스토퍼(211)와 어퍼 수직스토퍼(212) 및 어퍼 컬링스토퍼(213)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일체로 성형한 후 용접으로 도어(200)의 내면에 접합할 수 있다.These upper horizontal stopper (211), upper vertical stopper (212), and upper curling stopper (213) can be formed integrally by processing a single metal plate and then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by welding.

그리고 도어(200)의 내면 하부에는 로워스토퍼(22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로워에어백(540)의 팽창을 단속한다. 로워스토퍼(220)는 도어(200)의 내면 하부로 경사지게 팽창하는 로워에어백(540)이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통제하여 후술하는 센터에어백(610)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And, a lower stopper (220) is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door (200) to control the expansion of the lower airbag (540) described later. The lower stopper (220) controls the lower airbag (540) that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inner lower side of the door (200) so that it does not go beyond the range, thereby controlling the smooth operation of the center airbag (610) described later.

로워스토퍼(220)는 도어(200)의 내면 하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로워에어백(540)이 팽창하는 하사점을 단속하는 로워 수평스토퍼(221), 로워 수평스토퍼(221)의 단부에 상향 수직으로 연결되어 로워에어백(540)이 거치함(100)의 후면패널(110) 방향으로 이동을 저지하는 로워 수직스토퍼(222), 로워 수직스토퍼(222)의 단부에 둥글게 말리도록 형성되어 팽창하는 로워에어백(540)이 로워 수직스토퍼(222)와 로워 수평스토퍼(221) 방향으로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로워 컬링스토퍼(223)를 포함한다.The lower stopper (220) includes a lower horizontal stopper (221) that is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to control the lower dead point at which the lower airbag (540) expands, a lower vertical stopper (222) that is connected vertically upward to an end of the lower horizontal stopper (221) to prevent the lower airbag (540) from moving toward the rear panel (110) of the mounting box (100), and a lower curling stopper (223) that is formed to be rounded at an end of the lower vertical stopper (222) to guide the expanding lower airbag (540) to enter toward the lower vertical stopper (222) and the lower horizontal stopper (221).

이러한 로워 수평스토퍼(221)와 로워 수직스토퍼(222) 및 로워 컬링스토퍼(223)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일체로 성형한 후 용접으로 도어(200)의 내면에 접합할 수 있다.These lower horizontal stopper (221), lower vertical stopper (222), and lower curling stopper (223) can be formed integrally by processing a single metal plate and then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by welding.

검지모듈(300)은 소화전 거치대로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충돌을 사전에 판단하여 어퍼 에어백모듈(400)과 로워 에어백모듈(500)로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The detection module (300) detects a vehicle approaching the fire extinguisher stand, determines a collision in advance based on this, and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upper airbag module (400) and lower airbag module (500).

검지모듈(300)은 소화전 거치대의 주변으로 근접하는 물체를 촬영하여 분별하는 카메라, 소화전 거치대로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 카메라와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검사하고 분석 및 판단하여 어퍼 에어백모듈(400)과 로워 에어백모듈(500)로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on module (300) may include a camera that photographs and identifies objects approaching the hydrant stand, various sensors that detect vehicles approaching the hydrant stand, and a control unit that inspects, analyzes, and determines information input from the camera and various sensors and outputs an operating signal to the upper airbag module (400) and the lower airbag module (500).

여기서, 카메라와 각종 센서는 거치함(10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부는 전기실(100a) 또는 소화실(100b)에 장착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and various sensors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and (100), and the control unit can be mounted in the electrical room (100a) or the fire extinguishing room (100b).

어퍼 에어백모듈(400)은 검지모듈(300)의 작동 신호에 따라 도어(200)의 내면 상부로 경사지게 팽창되어 급수관(1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upper airbag module (400)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according to the operating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300) to protect the water supply pipe (10).

도 1을 참조하면, 어퍼 에어백모듈(400)은 거치함(100)의 후면패널(110) 중앙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 the upper airbag module (40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ear panel (110) of the mounting box (100).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어퍼 에어백모듈(400)은, 거치함(100)의 후면패널(110) 중앙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케이스(410), 어퍼케이스(410)에 내장되어 검지모듈(300)로부터 입력된 작동 신호에 따라 점화를 하는 어퍼점화기(420), 어퍼점화기(420)의 점화로 질소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어퍼케이스(410)에 내장된 어퍼인플레이터(430), 어퍼인플레이터(430)에서 발생된 질소 가스에 의해 도어(200)의 내면 상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어퍼에어백(440), 어퍼에어백(440)의 선단에 결합되어 어퍼케이스(4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어퍼커버(4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1, the upper airbag module (400) includes an upper case (410)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ear panel (110) of the mounting box (100), an upper igniter (420) that is built into the upper case (410) and ignites according to an operating signal input from a detection module (300), an upper inflator (430) that is built into the upper case (410) to generate nitrogen gas by the ignition of the upper igniter (420), an upper airbag (440) that is inflated obliquely towar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by the nitrogen gas generated from the upper inflator (430), and an upper cover (450) that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airbag (440)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se (410).

어퍼케이스(410)는 전면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급수관(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면패널(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어퍼케이스(410)의 상부에는 어퍼브래킷(411)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어퍼브래킷(411)은 나사결합에 의해 후면패널(1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upper case (410)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front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ar panel (1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ater supply pipe (10). An upper bracket (411)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410), and this upper bracket (411)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ear panel (110) by screw connection.

어퍼점화기(420)는 소화전 거치대로 근접하는 차량의 충돌을 판단하는 검지모듈(300)의 작동 신호에 따라 점화회로에 전류를 인가하여 불꽃을 생성한다.The upper igniter (420) applies current to the ignition circuit to generate a spark according to the operating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300) that determines a collision of a vehicle approaching the fire extinguisher stand.

어퍼인플레이터(430)는 어퍼점화기(420)에서 생성한 불꽃에 의해 가스발생제를 연소시켜서 발생한 질로 가스를 어퍼에어백(44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The upper inflator (430) combusts a gas generator by a flame generated from the upper igniter (420) and supplies the generated nitrogen gas to the interior of the upper airbag (440).

어퍼에어백(440)은 어퍼인플레이터(430)에서 공급된 질소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실(100b)의 상부에 장치된 급수관(10)의 전면을 감싸므로 도어(200)에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을 1차로 완화시킬 수 있다. 어퍼에어백(440)의 선단 하부에는 후술하는 센터가드부재(600)의 센터에어백(610) 상단이 연이어져 통하도록 연결되어, 어퍼인플레이터(430)에서 공급된 질소 가스를 센터에어백(610)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upper airbag (440) is inflated by nitrogen gas supplied from the upper inflator (430) and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water supply pipe (10) installed at the top of the fire extinguishing chamber (100b) as shown in Fig. 4, thereby primarily alleviating the impact of a vehicle colliding with the door (200).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airbag (610) of the center guard member (600)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airbag (440) so that the nitrogen gas supplied from the upper inflator (430) is supplied to the center airbag (610).

어퍼커버(450)는 어퍼에어백(440)의 팽창 시 어퍼케이스(410)에서 분리되어 도어(200)의 내면 상부로 향하게 된다. 어퍼커버(450)의 하부에는 어퍼케이스(410)의 하부로 돌출되게 확장된 어퍼익스텐션(451)이 일체로 구비되어 센터에어백(610)의 상단이 고정된다. 어퍼커버(450)의 선단에는 탄력 및 완충 기능을 갖도록 실리콘, 스펀지 따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어퍼완충슈(4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어퍼완충슈(460)는 어퍼에어백(440)의 팽창으로 인하여 어퍼스토퍼(210)에 충돌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한다. 어퍼완충슈(4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윤곽을 갖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cover (45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case (410) when the upper airbag (440) expands and is directed towar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An upper extension (451)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410)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4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airbag (610) is fixed thereto. An upper cushioning shoe (46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silicone, sponge, etc. to have elasticity and cushioning functions may be provided at the tip of the upper cover (450). This upper cushioning shoe (460) functions to cushion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upper airbag (440) expands and collides with the upper stopper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ushioning shoe (460)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rounded outline as illustrated in FIG. 2.

로워 에어백모듈(500)은 검지모듈(300)의 작동 신호에 따라 도어(200)의 내면 하부로 경사지게 팽창되어 급수관(1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lower airbag module (500)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according to the operating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300) to protect the water supply pipe (10).

도 1을 참조하면, 로워 에어백모듈(500)은 어퍼 에어백모듈(400)의 하부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거치함(100)의 후면패널(110)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 the lower airbag module (500) is installed on the rear panel (110) of the mounting box (100) to form a storage spac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irbag module (400).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로워 에어백모듈(500)은, 거치함(100)의 후면패널(1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워케이스(510), 로워케이스(510)에 내장되어 검지모듈(300)로부터 입력된 작동 신호에 따라 점화를 하는 로워점화기(520), 로워점화기(520)의 점화로 질소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로워케이스(510)에 내장된 로워인플레이터(530), 로워인플레이터(530)에서 발생된 질소 가스에 의해 도어(200)의 내면 하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로워에어백(540), 로워에어백(540)의 선단에 결합되어 로워케이스(5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로워커버(5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a lower airbag module (500) includes a lower case (510)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a rear panel (110) of a mounting box (100), a lower igniter (520) that is built into the lower case (510) and ignites according to an operating signal input from a detection module (300), a lower inflator (530) that is built into the lower case (510) to generate nitrogen gas by ignition of the lower igniter (520), a lower airbag (540) that is inflated obliquely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by the nitrogen gas generated from the lower inflator (530), and a lower cover (550) that is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lower airbag (540)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se (510).

로워케이스(510)는 전면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급수관(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후면패널(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로워케이스(510)의 하부에는 로워브래킷(511)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로워브래킷(511)은 나사결합에 의해 후면패널(1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ower case (510)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front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ar panel (1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ater supply pipe (10). A lower bracket (51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510), and this lower bracket (511)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ear panel (110) by screw connection.

로워점화기(520)는 소화전 거치대로 근접하는 차량의 충돌을 판단하는 검지모듈(300)의 작동 신호에 따라 점화회로에 전류를 인가하여 불꽃을 생성한다.The lower igniter (520) applies current to the ignition circuit to generate a spark according to the operating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300) that determines a collision of a vehicle approaching the fire extinguisher stand.

로워인플레이터(530)는 로워점화기(520)에서 생성한 불꽃에 의해 가스발생제를 연소시켜서 발생한 질로 가스를 로워에어백(54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The lower inflator (530) combusts a gas generator by a flame generated from the lower igniter (520) and supplies the generated nitrogen gas to the interior of the lower airbag (540).

로워에어백(540)은 로워인플레이터(530)에서 공급된 질소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실(100b)의 하부에 장치된 급수관(10)의 전면을 감싸므로 도어(200)에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을 1차로 완화시킬 수 있다. 로워에어백(540)의 선단 상부에는 후술하는 센터에어백(610)의 상단이 연이어져 통하도록 연결되어, 로워인플레이터(530)에서 공급된 질소 가스를 센터에어백(610)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lower airbag (540) is inflated by nitrogen gas supplied from the lower inflator (530) and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water supply pipe (1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e extinguishing chamber (100b) as shown in Fig. 4, thereby primarily alleviating the impact of a vehicle colliding with the door (200). The upp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lower airbag (54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airbag (610) described later so as to be continuous, thereby supplying the nitrogen gas supplied from the lower inflator (530) to the center airbag (610).

로워커버(550)는 로워에어백(540)의 팽창 시 로워케이스(510)에서 분리되어 도어(200)의 내면 하부로 향하게 된다. 로워커버(550)의 상부에는 로워케이스(510)의 상부로 돌출되게 확장된 로워익스텐션(551)이 일체로 구비되어 센터에어백(610)의 하단이 고정된다. 로워커버(550)의 선단에는 탄력 및 완충 기능을 갖도록 실리콘, 스펀지 따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로워완충슈(5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로워완충슈(560)는 로워에어백(540)의 팽창으로 인하여 로워스토퍼(220)에 충돌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한다. 로워완충슈(5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윤곽을 갖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cover (55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ase (510) when the lower airbag (540) expands and is directed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550) is provided with a lower extension (551)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lower case (510) and is integrally formed to fix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airbag (610). The lower cover (550)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cushioning shoe (56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silicone, sponge, etc. to have elasticity and cushioning functions. The lower cushioning shoe (560) functions to cushion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lower airbag (540) expands and collides with the lower stopper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ushioning shoe (560)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rounded outline as illustrated in FIG. 2.

센터가드부재(600)는 어퍼 에어백모듈(400)과 로워 에어백모듈(500)의 팽창 시 도어(200)의 내면 중앙으로 펼쳐지면서 차량의 충격으로부터 도어(200)의 중앙 부분을 넓게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center guard member (600) is spread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when the upper airbag module (400) and lower airbag module (500) are expanded, thereby broadly protec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door (200) from impact from the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센터가드부재(600)는 어퍼 에어백모듈(400)과 로워 에어백모듈(500)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enter guard member (600) is stored in a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airbag module (400) and the lower airbag module (500).

센터가드부재(600)는 어퍼커버(450)와 로워커버(550) 사이를 연결하도록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어퍼에어백(440)과 로워에어백(540)이 팽창할 때에 도어(200)의 내면을 넓게 보호하도록 펼쳐지는 센터에어백(610), 센터에어백(610)이 펼쳐질 때에 어퍼커버(450)와 로워커버(550) 사이에서 분리되는 센터커버(620)를 포함한다.The center guard member (600) is stored in a storage space to connect the upper cover (450) and the lower cover (550), and includes a center airbag (610) that is expanded to widely protect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when the upper airbag (440) and the lower airbag (540) are inflated, and a center cover (620) that is separated between the upper cover (450) and the lower cover (550) when the center airbag (610) is expanded.

센터에어백(610)의 상단은 어퍼에어백(440)의 선단 하부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연결되고, 하단은 로워에어백(540)의 선단 상부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연결되어, 어퍼인플레이터(430)와 로워인플레이터(530)에서 공급된 질소 가스에 의해 팽창된다. 그리고 센터에어백(610)의 상단은 어퍼커버(450)에서 확장된 어퍼익스텐션(451)에 고정되고, 하단은 로워커버(550)에서 확장된 로워익스텐션(551)에 고정된다. 이러한 센터에어백(610)은 도어(200)의 내면 중앙으로 팽창되었을 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에어백(440)과 로워에어백(540)에 중첩되므로, 차량의 충격으로부터 상하부 급수관(10)을 2차로 완화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center airbag (61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airbag (440) so as to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it,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lower airbag (540) so as to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it, and is inflated by nitrogen gas supplied from the upper inflator (430) and the lower inflator (530).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airbag (610) is fixed to the upper extension (451) extended from the upper cover (450), and the lower part is fixed to the lower extension (551) extended from the lower cover (550). When the center airbag (610) is inflated to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it overlaps the upper airbag (440) and the lower airbag (540) as illustrated in FIG. 4, and thus the upper and lower water supply pipes (10) can be secondarily alleviated from the impact of the vehicle.

센터커버(620)는 어퍼커버(450)에서 확장된 어퍼익스텐션(451)과 로워커버(550)에서 확장된 로워익스텐션(551)을 연결하여 센터에어백(610)이 펼쳐질 때에 쉽게 분리되도록 필름 재질로 이루어진다. 센터커버(620)는 수납공간에 포개진 센터에어백(610)을 가려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도록 거치함(100)과 어퍼 에어백모듈(400) 및 로워 에어백모듈(500)과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enter cover (620) is made of a film material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when the center airbag (610) is deployed by connecting the upper extension (451) extended from the upper cover (450) and the lower extension (551) extended from the lower cover (550). The center cover (620) can be made of the same color as the holder (100) and the upper airbag module (400) and the lower airbag module (500) to provide a neat appearance by covering the center airbag (610) covered in the storage spac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s follows.

먼저, 소화기 거치대의 주변으로 차량이 가까이 접근하면 검지모듈(300)은 차량의 근접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차량의 충돌을 사전에 판단하여 어퍼 에어백모듈(400)과 로워 에어백모듈(500)로 작동 신호를 출력한다.First, when a vehicle approaches the perimeter of the fire extinguisher stand, the detection module (300)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vehicle and, based on this, determines in advance that the vehicle will collide, and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upper airbag module (400) and the lower airbag module (500).

이러한 검지모듈(300)의 작동 신호에 따라, 어퍼 에어백모듈(400)의 어퍼에어백(440)은 도어(200)의 내면 상부로 경사지게 팽창하고, 로워 에어백모듈(500)의 로워에어백(540)은 도어(200)의 내면 하부로 경사지게 팽창한다.According to the operating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300), the upper airbag (440) of the upper airbag module (400)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and the lower airbag (540) of the lower airbag module (500)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이어서, 어퍼에어백(440)은 어퍼스토퍼(210)에 의해 안내되고 팽창하는 상사점이 단속되며 이동이 저지된다. 이때, 어퍼에어백(4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실(100b)의 상부에 장치된 급수관(10)의 전면을 감싸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Next, the upper airbag (440) is guided by the upper stopper (210) and the expansion top point is blocked and the movement is prevented. At this time, the upper airbag (440)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water supply pipe (1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e extinguishing chamber (100b) as shown in Fig. 4 to alleviate the impact caused by a vehicle collision.

동시에, 로워에어백(540)은 로워스토퍼(220)에 의해 안내되고 팽창하는 하사점이 단속되며 이동이 저지된다. 이때, 로워에어백(5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실(100b)의 하부에 장치된 급수관(10)의 전면을 감싸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lower airbag (540) is guided by the lower stopper (220) and the expansion of the lower dead point is blocked and the movement is prevented. At this time, the lower airbag (540)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water supply pipe (1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e extinguishing chamber (100b) as shown in Fig. 4 to alleviate the impact caused by a vehicle collision.

이와 함께, 센터에어백(610)은 어퍼인플레이터(430)와 로워인플레이터(530)에서 공급된 질소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의 중앙 부분을 넓게 보호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enter airbag (610) is inflated by nitrogen gas supplied from the upper inflator (430) and the lower inflator (530) to widely protect the central portion of the door (200) as shown in FIG. 4.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화전 거치대로 근접하는 차량의 충돌을 검지모듈(300)에서 사전에 판단하면, 어퍼에어백(440)과 로워에어백(540)은 도어(200)의 내면 상하부로 각각 경사지게 팽창되어 차량의 충격으로부터 상하부 급수관(10)을 1차로 완화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센터에어백(610)은 도어(200)의 내면 중앙으로 팽창되어 어퍼에어백(440)과 로워에어백(540)의 중첩을 통해 차량의 충격으로부터 상하부 급수관(10)을 2차로 완화할 수 있으므로, 소화전 거치대의 내부에 장치된 급수관(10)을 차량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f the collision of a vehicle approaching the fire hydrant stand is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detection module (300), the upper airbag (440) and the lower airbag (540) are each inflated obliquely towar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to primarily alleviate the upper and lower water supply pipes (10) from the impact of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the center airbag (610) is infl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0) to secondarily alleviate the upper and lower water supply pipes (10) from the impact of the vehicle through the overlapping of the upper airbag (440) and the lower airbag (540),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 (10) installed inside the fire hydrant stand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external impact of the vehicle.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경사지게 팽창 작동하는 어퍼에어백(440)과 로워에어백(540)이 어퍼스토퍼(210)와 로워스토퍼(220)에 의해 팽창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통제되므로 센터에어백(610)과 함께 작동의 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pper airbag (440) and the lower airbag (540) that operate to expand in an inclined manner are controlled so that they do not expand beyond the range of expansion by the upper stopper (210) and the lower stopper (220),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bility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together with the center airbag (610).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퍼 에어백모듈(400)과 로워 에어백모듈(500) 및 센터가드부재(600)는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e) 구조를 이루어, 한 번 사용 후 고정된 형태의 거치함(100)의 후면패널(110)에서 분리하여 새 제품을 다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pper airbag module (400), the lower airbag module (500), and the center guard member (600) form a single assembly structure, so that after one use, the product can be separated from the rear panel (110) of the fixed-type stand (100) and reinstalled as a new product,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sts can be reduced in economic term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technical idea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cope thereof.

10 : 급수관 20 : 소방호스
100 : 거치함 200 : 도어
300 : 검지모듈 400 : 어퍼 에어백모듈
500 : 로워 에어백모듈 600 : 센터가드부재
10: Water pipe 20: Fire hose
100 : Stand 200 : Door
300: Detection module 400: Upper airbag module
500: Lower airbag module 600: Center guard member

Claims (4)

급수관 및 소방호스를 내장하도록 후면패널을 갖는 거치함, 상기 거치함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연결된 도어로 구성된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에 있어서,
소화전 거치대로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충돌을 사전에 판단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모듈;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설치되어 검지모듈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을 보호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 상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어퍼 에어백모듈;
상기 어퍼 에어백모듈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검지모듈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을 보호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 하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로워 에어백모듈; 및
상기 어퍼 에어백모듈과 상기 로워 에어백모듈의 팽창 시 상기 도어의 내면 중앙으로 펼쳐지면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센터가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
A fire hydrant stand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comprising a stand having a rear panel to accommodate a water pipe and a fire hose, and a door connec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stand,
A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a vehicle approaching the fire extinguisher stand, judges a collision in advance, and outputs an operating signal;
An upper airbag module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above-mentioned cradle and inflated obliquely towar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to protect the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detection module;
A lower airbag module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above-mentioned cradle to form a storage space at the bottom of the above-mentioned upper airbag module and inflated obliquely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door to protect the above-mentioned water pip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above-mentioned detection module; and
A center guard member that is stored in a storage space to protect against impact while unfol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when the upper airbag module and the lower airbag module are inflated;
A fire hydrant stand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에어백모듈은,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케이스, 상기 어퍼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검지모듈로부터 입력된 작동 신호에 따라 점화를 하는 어퍼점화기, 상기 어퍼점화기의 점화로 질소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어퍼케이스에 내장된 어퍼인플레이터, 상기 어퍼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질소 가스에 의해 도어의 내면 상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어퍼에어백, 및 상기 어퍼에어백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어퍼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
In claim 1,
The above upper airbag module,
A fire hydrant holder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upper cas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holder; an upper igniter built into the upper case and igniting according to an operating signal input from the detection module; an upper inflator built into the upper case to generate nitrogen gas by ignition of the upper igniter; an upper airbag that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by the nitrogen gas generated from the upper inflator; and an upper cover connected to a tip of the upper airba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s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워 에어백모듈은,
상기 거치함의 후면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워케이스, 상기 로워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검지모듈로부터 입력된 작동 신호에 따라 점화를 하는 로워점화기, 상기 로워점화기의 점화로 질소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로워케이스에 내장된 로워인플레이터, 상기 로워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질소 가스에 의해 도어의 내면 하부로 경사지게 팽창되는 로워에어백, 및 상기 로워에어백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워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로워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
In claim 2,
The above lower airbag module,
A fire hydrant holder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lower cas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ear panel of the above-mentioned holder; a lower igniter built into the lower case and igniting according to an operating signal input from the above-mentioned detection module; a lower inflator built into the lower case to generate nitrogen gas by ignition of the lower igniter; a lower airbag that expands obliquely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by the nitrogen gas generated from the lower inflator; and a lower cover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lower airba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s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터가드부재는,
상기 어퍼커버와 상기 로워커버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어퍼에어백과 상기 로워에어백이 팽창할 때에 상기 도어의 내면을 넓게 보호하도록 펼쳐지는 센터에어백, 및 상기 센터에어백이 펼쳐질 때에 상기 어퍼커버와 상기 로워커버 사이에서 분리되는 센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
In claim 3,
The above center guard member,
A fire hydrant stand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enter airbag tha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o connect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that expands to widely protect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when the upper airbag and the lower airbag inflate, and a center cover that is separat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when the center airbag expands.
KR1020250034427A 2025-03-18 2025-03-18 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 Active KR1028327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0034427A KR102832799B1 (en) 2025-03-18 2025-03-18 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0034427A KR102832799B1 (en) 2025-03-18 2025-03-18 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832799B1 true KR102832799B1 (en) 2025-07-11

Family

ID=9639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34427A Active KR102832799B1 (en) 2025-03-18 2025-03-18 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32799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288A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Automotive Fire Protection Devices
JP2002535198A (en) * 1999-01-28 2002-10-22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Airbag module
JP2005239128A (en) * 2004-02-24 2005-09-08 Takata Corp Twin air bag device
US20070108743A1 (en) * 2003-09-16 2007-05-17 Inova Gmbh Airba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said device
KR20090009695A (en) 2007-07-20 2009-01-23 가부시키가이샤 이타치보리 세이사꾸쇼 Fire hydrant storage box
KR20190106527A (en)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태화 distributing board
CN211530430U (en) * 2019-11-25 2020-09-18 河北涛振新能源设备制造有限公司 Explosion-proof type switch board of strong and weak electric separation
KR102288213B1 (en) * 2021-03-08 2021-08-10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Fire hydrant holder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KR20240149512A (en) * 2023-04-06 2024-10-15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safety bag for battery pack protection and fire suppressio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288A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Automotive Fire Protection Devices
JP2002535198A (en) * 1999-01-28 2002-10-22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Airbag module
US20070108743A1 (en) * 2003-09-16 2007-05-17 Inova Gmbh Airba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said device
JP2005239128A (en) * 2004-02-24 2005-09-08 Takata Corp Twin air bag device
KR20090009695A (en) 2007-07-20 2009-01-23 가부시키가이샤 이타치보리 세이사꾸쇼 Fire hydrant storage box
KR20190106527A (en)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태화 distributing board
CN211530430U (en) * 2019-11-25 2020-09-18 河北涛振新能源设备制造有限公司 Explosion-proof type switch board of strong and weak electric separation
KR102288213B1 (en) * 2021-03-08 2021-08-10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Fire hydrant holder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KR20240149512A (en) * 2023-04-06 2024-10-15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safety bag for battery pack protection and fire suppres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474B1 (en) Fire suppression water tank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6266926B1 (en) Gas generator deployed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714492B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vehicle
KR101878073B1 (en) Curtain air bag of vehicle
US5542696A (en) Seat mounted air bag module
KR102613475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vehicle of indoor parking lot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80326939A1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KR102613474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the same
US11351956B2 (en) Airbag device
KR20160101430A (en) Device for Extinguishing Fire of Engine Room and Method thereof
KR102832799B1 (en) Fire Hydrant Stand For Construction
KR102703364B1 (en) Screen-type electric vehicle fire suppression device
KR20160008376A (en) Side curtain airbag for vehicle
JP2001277966A (en) Air bag device for pedestrian
KR102716568B1 (en) Electric Vehicle Fire Suppression System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JPWO2016194521A1 (en) Curtain airbag device
JP2024169459A (e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US11938890B2 (en) Cushion for pedestrian airbag
JP7313276B2 (en) protective body
JP2007210370A (en) Module structure of curtain airbag
KR19980032499A (en) Gas bag
KR102566414B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Vehicle Engine Room
JP2021105297A5 (en)
JP7144653B2 (en) pedestrian protection
KR102731266B1 (en) Fire suppression water tank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