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46510B1 - System for failover for data center cooling equipment control - Google Patents
System for failover for data center cooling equipment control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46510B1 KR102846510B1 KR1020230171347A KR20230171347A KR102846510B1 KR 102846510 B1 KR102846510 B1 KR 102846510B1 KR 1020230171347 A KR1020230171347 A KR 1020230171347A KR 20230171347 A KR20230171347 A KR 20230171347A KR 102846510 B1 KR102846510 B1 KR 1028465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 cooling
- control system
- switching unit
- transis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2—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having electrical distribution arrangements, e.g. power supply or data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제어 센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냉방 요소 각각의 제어를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되어 스위치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력을 생성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에 의한 구동 전력에 따라 각각의 냉방 요소에 관한 스위칭 유닛을 제어하며, 구동 전력의 차단시 스위칭 유닛의 상태가 사전결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cooling of a data center is disclosed. The control system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system;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center and gener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one or more cooling elements; a transistor activated based on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generate driving power for driving a switching unit; and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latching relay for controlling a switching unit for each of the cool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driving power by the transistor, and maintaining a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n a predetermined state when the driving power is cut off.
Description
본 개시는 데이터 센터의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센터의 냉방 설비의 제어에 대한 문제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냉방 설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the management of a data cen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oling facility control system capable of responding to problems arising in the control of cooling facilities in a data center.
데이터 센터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IT 인프라를 보관하기 위한 물리적인 시설이다. 여기에는 서버, 데이터 스토리지 드라이브 및 네트워크 장비와 같이 IT 시스템에 필요한 컴퓨팅 인프라가 포함된다. 데이터 센터는 한 회사만 사용할 수 있도록 기존 IT 인프라를 보관하는 사적으로 소유되고 통제되는 온프레미스 시설에서 여러 회사 또는 고객이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가상화된 IT 인프라를 보관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소유한 원격 시설 또는 시설들의 네트워크로 진화했다. A data center is a physical facility for storing and managing digital data and hosting IT infrastructure. It includes the computing infrastructure required for IT systems, such as servers, data storage drives, and networking equipment. Data centers have evolved from privately owned and controlled on-premises facilities housing traditional IT infrastructure for a single company's use to remote facilities or networks of facilities owned by cloud service providers that house virtualized IT infrastructure for shared use by multiple companies or customers.
데이터 센터에 위치하는 IT 장비들은 전력을 소모하며 지속적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데이터 센터에서는 냉방 시스템을 두어 이를 해소하고 있다. 냉방 시스템은 데이터 센터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냉방 에너지의 절감을 위하여 최적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센터의 냉방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열이 발생하는 내부와 온도가 낮은 데이터 센터의 외부와의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 데이터 센터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성능의 고도화에 의하여 데이터 센터에서 소모하는 에너지와 발생하는 열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냉방 시스템에서 소모하는 에너지 또한 증가하고 있다. IT equipment located in data centers consumes power and can generate continuous heat. Data centers utilize cooling systems to address this issue. Cooling system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stable operation of data centers and must be optimized to conserve cooling energy. Data center cooling systems are typically configured to facilitate heat exchange between the hot interior and the cooler exterior of the data center.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data centers, driven by cloud compu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advancement of data center performance, the energy consumed and generated by data centers is increasing. This, in turn, is driv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cooling systems to alleviate this heat.
데이터 센터와 데이터 센터를 유지하기 위한 냉방 시스템은 모두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경감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냉방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뿐 아니라 데이터 센터의 고가용성의 유지 또한 중요하다. Both data centers and the cooling systems that maintain them consume significant energy, and research is ongoing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However, in the operation of cooling systems, maintaining high availability of the data center is also important, beyond energy conservation.
따라서, 데이터 센터의 고가용성을 보장하면서도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냉방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cooling systems tha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while ensuring high availability of data center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3709호는 데이터 센터 공기조화 시스템을 개시한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63709 discloses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센터의 고가용성을 보장하면서도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데이터 센터 냉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is conceiv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and relates to a data center cooling control system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while ensuring high availability of the data center.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제어 센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냉방 요소 각각의 제어를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되어 스위치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력을 생성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에 의한 구동 전력에 따라 각각의 냉방 요소에 관한 스위칭 유닛을 제어하며, 구동 전력의 차단시 스위칭 유닛의 상태가 사전결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ask,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cooling of a data center is disclosed. The control system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system;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center and gener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one or more cooling elements; a transistor that is activated based on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generates driving power for driving a switching unit; and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latching relay that controls a switching unit for each cooling element according to the driving power by the transistor, and maintains a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n a predetermined state when the driving power is cut off.
대안적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대안적으로,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냉방 요소는, 하나 이상의 칠러, 하나 이상의 펌프 및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oling element controlled by the above motion control signal may include one or more chillers, one or more pumps, and one or more valves.
대안적으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광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포토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ransistor may include a phototransistor that is activated by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대안적으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스위칭 유닛의 접점이 접촉되도록 하는 구동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스위칭 유닛의 접점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구동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ransistor may include a first transistor for generating driving power to cause the contacts of the switching unit to come into contact and a second transistor for generating driving power to cause the contacts of the switching unit to not come into contact.
대안적으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스위치부의 코일에 가해지는 전자기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ransis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istors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coil of the switch section.
대안적으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스위칭 유닛이 이동시 상기 스위칭 유닛이 접점의 폐회로 상태 또는 개방회로 상태로 전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스위칭 토글 노크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witch unit may include a switching toggle knock that causes the switching unit to be switched and fixed in a closed circuit state or an open circuit state of the contact when the switching unit moves according to the driving power of the transistor.
대안적으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코일에 의하여 가해지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접점의 폐회로 상태 또는 개방회로 상태로 동작하여 각각의 냉방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witching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oling element by operating the contacts in a closed or open circuit state by an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by the coil.
대안적으로, 상기 코일은, 상기 구동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 유닛의 접점을 폐회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전지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1 코일 및 상기 구동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 유닛의 접점을 개방회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il may include a first coil that generates an electromotive force to make the contacts of the switching unit into a closed circuit state when the driving power is applied, and a second coil tha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to make the contacts of the switching unit into an open circuit state when the driving power is applied.
대안적으로, 상기 래칭 릴레이는, 상기 스위칭 유닛의 상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변경하기 위한 수동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latching relay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operation unit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by user operation.
대안적으로, 상기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릴레이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relay power supply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of the transistor.
본 개시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센터의 고가용성을 보장하면서도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데이터 센터 냉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data center cooling control system tha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while ensuring high availability of the data center in a data center cooling control system.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데이터 센터 냉방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스위칭 유닛 제어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의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스위칭 유닛 제어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스위칭 유닛 제어를 나타낸 회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enter cool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a and FIG. 2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switching unit control of a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of a data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a and FIG. 3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switching unit control of a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of a data ce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a and FIG. 4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switching unit control of a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of a data ce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Various embodiments are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various description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se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터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component," "module," "system," and the like refer to computer-related entities, hardware, firmware, software,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or an execution of software. For example, a compon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procedure running on a processor, a processor, an object,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or a computer. For example, both an application running on a computing device and the computing device may be a component. One or more components may reside within a processor and/or a thread of execution. A component may be localized within a single computer. A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between two or more computers. Furthermore, these components may execute from various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various data structures stored therein. Components may communicate via local and/or remote processes, for example, by signals comprising one or more data packets (e.g., data from one component interacting with another component in a local system, a distributed system, and/or data transmitted to another system via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via signals).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rather than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context, "X employs A or B" is intended to mean either of the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That is, if X employs A; X employs B; or X employs both A and B, "X employs A or B" can apply to any of these cases. Furthermore,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and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associated items listed.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should be understood to imply the presence of the features and/or components in ques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components, and/or groups thereof. Furthermore,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the context to refer to the singular form, the singular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그리고,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이라는 용어는, “A만을 포함하는 경우”, “B 만을 포함하는 경우”, “A와 B의 구성으로 조합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nd, the term “at least one of A or B”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if it includes only A”, “if it includes only B”, or “if it is combined in the composition of A and B”.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further appreciate that the various illustrative logical blocks, configurations, modules, circuits, means, logics, and algorithm step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electronic hardware, computer software, or combinations of both. To clearly illustrate the interchangeability of hardware and software, various illustrative components, blocks, configurations, means, logics, modules, circuits, and steps have been described above generally in terms of their functionality. Whether such functionality is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depends up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overall system.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the described functionality in varying ways for each particular application. However, such implementation decision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causing a departur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 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데이터 센터 냉방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enter cool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데이터 센터 냉방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 센터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요소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냉방 요소들(10)은 데이터 센터 내부를 냉방하여 데이터 센터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냉방 요소들(10)은 하나 이상의 칠러(11), 펌프(12), 밸브(1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냉방 요소들은 데이터 센터의 구성, 구조, 발열양 등에 따라서 상이한 냉방 시나리오로 구성될 수 있다. 칠러(11)는 냉각제에서 열을 제거하는 설비이다. 냉각제는 펌프(12)에 의하여 순환되어 데이터 센터의 열을 제거할 수 있다. 데이터 센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가열된 냉각제는 펌프(12)에 의하여 이동되어 다시 칠러(11)에서 열이 제거될 수 있다. 밸브(13)는 칠러(11)와 펌프(12)에서 유동하는 냉각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밸브(13)가 열리는 경우, 냉각제가 이동될 수 있으며, 밸브(13)가 닫히는 경우 냉각제의 이동이 중단될 수 있다. 칠러(11), 펌프(12), 밸브(13)와 같은 냉각 요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센터에서 냉각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열이 제거된 냉각제를 펌프로 이동시키고, 냉각이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냉각제의 이동을 중지하여 냉각제의 열교환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A data center cooling control system may include cooling elements (10) for cooling a data center. The cooling elements (10) may include equipment necessary to cool the interior of the data center and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data center at an appropriate level. The cooling elements (10) may include one or more chillers (11), pumps (12), and valves (13). Each cooling element may be configured for a different cooling scenario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structure, heat generation, etc. of the data center. The chiller (11) is a facility that removes heat from a coolant. The coolant is circulated by a pump (12) to remove heat from the data center. The coolant heated by heat generated in the data center may be moved by the pump (12) and the heat may be removed again from the chiller (11). The valve (13)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oolant flowing in the chiller (11) and the pump (12). When the valve (13) is opened, the coolant can be moved, and when the valve (13) is closed, the movement of the coolant can be stopped. By using cooling elements such as a chiller (11), a pump (12), and a valve (13), the coolant with heat removed can be moved by the pump to the parts of the data center that require cooling, and the movement of the coolant can be stopped to the parts that do not require cooling, thereby saving the energy required for heat exchange of the coolant.
전술한 냉방 요소(10)들 각각은 제어 시스템(10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 센터(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냉방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센터(200)는 데이터 센터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센터의 냉방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센터(200)는 제어 시스템(100)과는 별개의 엔티티 일 수 있다. 제어 센터(2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센터에 대한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데이터 센터와 1 대 1 대응할 수도 있으며, 1 대 N 또는 N 대 N 대응 할 수도 있다. 제어 센터(200)는 데이터 센터의 상태(예를 들어, 부하 상태, 외부 환경 상태 등)에 기초하여 냉방 시나리오 대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수동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Each of the aforementioned cooling elements (10)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system (100). The control system (100) can receive control signals from a control center (200) and control the cooling elements. The control center (200) can control cooling of the data center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the data center. The control center (200) can be a separate entity from the control system (100). The control center (200) can perform status control for one or more data centers. The control system (100) can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data centers, or can correspond one-to-N or N-to-N. The control center (200)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oling scenario based on the status of the data center (e.g., load status, external environmental status, etc.), or can be manually generated by an operator.
제어 센터(20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각각의 냉방 요소들에 대한 제어 신호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시스템(100)의 동작 제어 신호는 제어 센터(200)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구동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센터(20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냉방 시나리오에 따라 각각의 냉방 요소의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센터(20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시나리오에 대한 명령일 수 있으며, 제어 시스템(100)에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냉방 요소들 각각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작 제어 신호는 제어 시스템(100)의 제어부에서 사전결정된 규칙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특정 칠러의 동작을 정지하는 신호인 경우, 제어 시스템(100)은 해당 제어 신호를 받아 해당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칠러에 연결된 스위치를 off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에서 제어 신호는 데이터 센터의 온도 설정에 관한 신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 시스템(100)은 해당 제어 신호를 받아 제어 센터에서 설정한 냉방 시나리오에 맞도록 칠러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해당 칠러에 연결된 스위치를 off 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에서 제어 시스템(100)의 동작 제어에 의하여 냉방 요소들(10) 각각의 동작 여부가 제어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동작의 정도는 각각의 냉방 요소에서 사전결정된 방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00)은 칠러의 동작 on을 결정할 뿐, 해당 칠러가 어느 온도로 동작할지는 해당 칠러의 냉방 시나리오에 따라서 별도로 결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동작은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center (200) may be a control signal for each cooling element. In this case,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system (100) may be a signal for hardware-driven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control center (200). For exampl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center (200) may be a control signal that direct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oling element according to a cooling scenario.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center (200) may be a command for a cooling scenario of the data center, and the control system (100) may appropriately control each cooling elemen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rule predetermined in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system (100). For example, if the control signal is a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a specific chiller, the control system (100)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and turn off a switch connected to the chiller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Also, 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regarding the temperature setting of the data center, in which case the control system (100)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and turn off the switch connected to the chille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hiller in accordance with the cooling scenario set by the control center.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peration of each cooling element (10) may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 system (100), and the degree of each operation may be determined in a predetermined manner for each cooling element. For example, the control system (100) may only determine whether the chiller is operated on, and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chiller will operate may be separ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oling scenario of the chiller.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어 시스템(100)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본다.Below, embodiments of the control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 및 도 2b 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스위칭 유닛 제어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FIG. 2a and FIG. 2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switching unit control of a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of a data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센터(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데이터 센터의 냉방을 위한 냉방 요소들(1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system (100) for cooling control of a data center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center (200) as described abov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oling element (10) for cooling the data center.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0)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부(120) 및 다른 요소들이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의 안정성을 위하여 전원 공급부(110)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10)는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감지하고 제어 센터(200)에 알리기 위한 전원 상태 모니터링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system (10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system.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supply power for the control unit (120) and other elements of the control system to operate. For control stability,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 power status monitoring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a problem in the power supply and notifying the control center (200).
제어부(120)는 제어 센터(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냉방 요소 각각의 제어를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 제어 신호는 제어 센터(200)에서 각각의 냉방 요소의 동작을 결정하는 시나리오에서 제어 신호와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제어 센터(200)의 냉방 시나리오에 대한 각각의 냉방 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120)에서 생성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실제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처리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center (200) and generate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one or more cooling elements.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in a scenario in which the control center (200) determines the operation of each cooling element, and may also be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0) to control each cooling element for the cooling scenario of the control center (200). The control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a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actual circu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a computer.
제어부(120)는 제어 센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냉방 요소(10) 각각의 제어를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제어 신호는 후술할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제어 신호는 하나 이상의 냉방 요소 각각에 대한 신호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냉방 요소 각각은 각각에 대응되는 스위치부(140)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각각의 스위치부(140)를 제어하기 위하여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center and generate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one or more cooling elements (10).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signal for driving a transistor to be described later.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for each of one or more cooling elements, and each of one or more cooling elements may be driven by a corresponding switch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control each of the switch units (140).
트랜지스터(130)는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되어 스위치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30)의 구동 전력에 의하여 스위치부(140)의 코일(141)이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코일(141)이 발생시킨 전자기력에 의하여 스위칭 유닛(142)이 이동하여 접점(145)이 개방회로 또는 폐회로 상태가 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130)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광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포토 트랜지스터 일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트랜지스터(130)를 활성화하기 위한 광을 발광시키는 발광 유닛(131)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유닛(131)은 제어부(120)의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하여 트랜지스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트랜지스터(130)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트랜지스터는 포토 트랜지스터로 제한되지 않는다. The transistor (130) can be activated based on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generate driving power for driving the switch unit. The coil (141) of the switch unit (140) can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by the driving power of the transistor (130), and the switching unit (142) can move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141) so that the contact (145) can be in an open circuit or closed circuit state. The transistor (130) can be a phototransistor that is activated by light activ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he control system (100) can include a light-emitting unit (131) that emits light for activating the transistor (130). The light-emitting unit (131) can activate the transistor by emitting light based on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0). The description of the transistor (130)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transistor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a phototransistor.
제어 시스템(100)은 스위칭 유닛(142)에 의한 접점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의 예시에서는 하나의 스위치부(140)를 제어하기 위하여 하나의 트랜지스터(130)가 구비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control system (100) may include one or more transistors to control the position of a contact by a switching unit (142). The examples of FIGS. 2A and 2B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one transistor (130) is provided to control one switching unit (140).
트랜지스터(130)가 활성화되어 구동 전력이 생성된 경우, 구동 전력에 따라서 코일(141)이 스위칭 유닛(142)에 전자기력을 가할 수 있으며, 스위칭 유닛(142)은 코일(141)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이동되어 접점(145)을 on/off로 전환할 수 있다. When the transistor (130) is activated and driving power is generated, the coil (141) can apply an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switching unit (142) according to the driving power, and the switching unit (142) can be mov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coil (141) to switch the contact (145) on/off.
트랜지스터(130)는 릴레이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코일(141)에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릴레이 전원 공급부(110)는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istor (130) can receive power from the relay power supply (150) and supply driving power to the coil (141). The relay power supply (110) can include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transistor.
본 개시의 스위치부(140)는 트랜지스터(130)에 의한 구동 전력에 따라 각각의 냉방 요소에 관한 스위칭 유닛이 제어되며, 구동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스위칭 유닛의 상태가 사전결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래칭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40)는 릴레이 방식으로 스위치부(140)에 가해지는 전력에 따라서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14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latching relay in which a switching unit for each cooling eleme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riving power by the transistor (130), and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s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state when the driving power is cut off. The switch unit (140) may open and close a circuit according to the power applied to the switch unit (140) in a relay manner.
스위치부(140)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되어 전력에 따라서 회로를 개방회로 또는 폐회로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회로의 상태가 전환된 후, 스위치부(140)에 가해지는 전력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회로의 마지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140)가 파워 릴레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스위치부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위치부(140)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되어 동작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의 소모가 불필요하여 제어 시스템에 의한 전력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140) is configured as a latching relay and can switch the circuit to an open circuit or closed circuit state depending on the power, and even if the power applied to the switch unit (140) is not maintained after the state of the circuit is switched, the final state of the circuit can be maintained. For example, if the switch unit (140) is configured as a power relay, power may be consumed to maintain the switching state of the switch unit. However, the switch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latching relay and thus does not require power consumption to maintain operation,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he control system.
또한, 본 개시의 제어 시스템(100)은 데이터 센터의 냉방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모종의 이유로 제어 시스템(10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제어부에 대한 전원 공급 차단, 제어부 장애, 트랜지스터에 대한 전력 공급 차단 등)에도 스위칭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칠러가 on되어 데이터 센터에 대한 냉방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제어 시스템(100) 상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칠러가 on인 상태는 유지되므로, 복구까지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데이터 센터에 대한 다양한 냉방 시나리오에서, 냉방 시스템을 에너지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 보다도 데이터 센터 자체의 가용성 유지가 보다 중요하게 취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은 장애 발생시에도 현재 냉방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애 복구 동안 데이터 센터의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냉방 요소에 대한 제어 회로가 개방회로가 되는 경우, 냉방 요소들이 동작하지 않게 되고 데이터 센터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제어 시스템에 대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장애 전의 냉방 제어 상태가 유지되므로 데이터 센터에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system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control the cooling of a data center, and can maintain a switching state eve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ontrol system (100) for some reason (e.g., power cut to the control unit, control unit failure, power cut to the transistor, etc.). For example, when a chiller is turned on and cooling is in operation for a data center, even if a failure occurs in the control system (100), the chiller remains on,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data center that may occur until recovery. In various cooling scenarios for a data center, maintaining the availability of the data center itself may be treated as more important than controlling the cooling system energy-efficiently. The control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chanically maintain the current cooling state even when a failure occurs, thereby maintaining the availability of the data center during recovery from the failure. For example, if a control system malfunction occurs and the control circuit for the cooling elements becomes an open circuit, the cooling elements may not operate and serious damage may occur to the data center. However, according to the control syste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a control system malfunction occurs, the cooling control state prior to the malfunction is maintain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hat may occur to the data cent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부(140)의 래칭 릴레이는 스위칭 유닛의 상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변경하기 위한 수동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위치부(140)에는 제어 시스템(100)의 장애 발생시 냉방 시나리오에 따라서 스위치부(140)의 on/off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부(140)는 제어 시스템(100)의 장애 발생시 마지막 동작 상태가 유지되어 데이터 센터에 대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데이터 센터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면서도 복구의 신속성과 데이터 센터 냉방 제어의 효율화를 위하여 냉방 시나리오 별로 on/off의 전환이 필요한 스위치부(140) 각각에는 냉방 시나리오 별 동작 상태에 대한 인디케이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환경이나 장애 유지 시간에 따라서 전환이 필요한 스위치부의 경우에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상태를 전환하기 용이하도록 시나리오에 따른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외기온이 30도인 환경에서 장애 시간이 5 시간을 경과하며, 일출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칠러의 추가적인 가동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추가적인 가동이 필요한 칠러에 대응되는 스위치에는 해당 상황에서 on으로 동작하여야 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인디케이터는 각각의 스위치부에 대하여 외부 환경, 데이터 센터의 부하량, 장애 유지 시간 등에 기초하여 색상 등 시각적 표시로 각각의 스위치부를 구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기온 상승 또는 데이터 센터의 부하량 상승 등 냉방 수요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on으로 전환하여야 하는 스위치에는 빨강색 인디케이터 등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전환이 필요한 스위치를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인디케이터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표시에 전원 공급이 필요치 않은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인디케이터는 각각의 스위치부에 구비되는 조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위치부에 구비되는 조명은 하나 이상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제어 시스템과 분리된 전원 제어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가 변화 가능한 조명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시스템의 장애 상황과 진행 상황에 따라서 각각의 인디케이터에서 표현되는 시각적 표시는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초기에는 on 상태로 두어야 할 스위치부가 장애 진행 상황에 따라서 off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인디케이터는 장애 시간에 따라 제어되어 작업자에게 off 스위치를 표시하도록 하는 시각적 표시를 표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atching relay of the switch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operation unit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by user operation. In addition, each switch unit (140) may additionally include an indicator for controlling the on/off state of the switch unit (140) according to the cooling scenario when a failure of the control system (100) occurs.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the data center by maintaining the last operating state when a failure of the control system (100) occurs.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data center while also ensuring a quick recovery and efficient data center cooling control, each switch unit (140) that requires on/off switching for each cooling scenario may be additionally equipped with an indicator for the operating state for each cooling scenario.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witch unit that requires switching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r the duration of the failure, an indicator including switch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enario may be included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easily manually switch the state. For a more specific exampl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outside temperature is 30 degrees, the outage time exceeds 5 hours and sunrise is expected, additional operation of the chiller may be required. In this scenario, th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chiller requiring additional operation may include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it should be turned on in that situation. That is, the above-mentioned indicator may be provided so that each switch unit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by color, etc.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load of the data center, the duration of the outage, etc. For example, in a case where additional cooling demand is expected due to an increase in the outside temperature or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data center, a switch that should be turned on may be provided with a red indicator, etc.,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the switch that needs to be turned on. In addition, the indicato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that does not require a power supply for display, such as an electronic ink display. In addition, the indicato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provided to each switch unit, and the light provided to each switch unit may express one or more colors and may be operated through power control separate from the control system. When indicators are implemented as variable lighting, the visual indications displayed on each indicator can change depending on the control system's fault status and progress. For example, if a switch that should be on at the beginning of a fault needs to be switched off as the fault progresses, the indicator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fault duration to display a visual indication to the operator to turn off the switch.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스위치부는 각각의 냉방 요소에 대응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위치부와 냉방 요소의 매핑 관계는 스위치부가 위치하는 공간에 표시되거나 제어 시스템(100)에 저장되거나, 작업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확인 가능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ach switch unit can correspond to each cooling element, and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switch unit and the cooling element can be displayed in the space where the switch unit is located, stored in the control system (100), or exist in a form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a terminal carried by an operator.
도 2a의 예시에서, 제어부(120)에 의하여 발광 유닛(131)이 구동되면, 트랜지스터(130)가 활성화되어 코일(141)에 전력을 공급하고, 코일(141)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스위칭 유닛(142)이 구동되어 접점(145)이 접촉 상태가 될 수 있다. 스프링(143)은 스위칭 유닛(142)의 위치에 따라서 스위칭 유닛(142)에게 힘을 가할 수 있다. 스프링(143)은 스위칭 유닛(142)이 개방 회로 위치에 있도록 힘을 가하거나 폐회로 위치에 있도록 힘을 가할 수도 있다. 스프링(143)의 탄성력의 방향은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2a,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131)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120), the transistor (130) is activated to supply power to the coil (141), and the switching unit (142) is drive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coil (141) so that the contact (145) can be brought into contact. The spring (143) can apply force to the switching unit (142)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unit (142). The spring (143) can apply force so that the switching unit (142) is in an open circuit position or can apply force so that it is in a closed circuit position.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43)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needs.
스위칭 토글 노크(144)는 스위칭 유닛(142)에 전자기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위칭 유닛(142)의 위치가 접점(145)의 폐회로 상태 또는 개방회로 상태로 전환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칭 토글 노크(144)는 스위칭 유닛(142)에 가해진 전자기력에 의해 스위칭 토글 노크(144)가 가압될 때 마다, 스위칭 유닛(142)의 최종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개방 회로 상태에서 스위칭 유닛(142)에 전자기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위칭 토글 노크(144)가 가압되어 스위칭 유닛(142)이 폐회로 상태에 위치하도록 스위칭 토글 노크(144) 내부의 기어가 전환되어 수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폐회로 상태에서 스위칭 유닛(142)에 전자기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위칭 토글 노크(144)가 가압되어 스위칭 유닛(142)이 개방회로 상태에 위치하도록 스위칭 토글 노크(144) 내부의 기어가 전환되어 확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스위칭 토글 노크(144)는 가압에 따라서 위치가 전환되는 2개 이상의 기어로 구동되며, 가압에 따라서 내부 기어의 맞물림 상태가 전환되어 스위칭 토글 노크(144)가 수축 또는 이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스위치부(140)가 하나의 코일(141)에 의하여 스위칭 유닛(142)에 전자기력을 가하는 경우에 접점의 상태가 개방회로 또는 폐회로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될 수 있다. 도 2b는 트랜지스터(130)에 의한 구동 전력에 의하여 코일(141)이 활성화되어 스위칭 유닛(142)에 전자기력을 가하고, 스위칭 유닛(142)에 의하여 가압된 스위칭 토글 노크(144)가 이완 상태로 전환되어 접점(145)이 개방 회로로 전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위칭 토글 노크(144)의 내부 기어에 대한 예시로는 한국등록특허 10-2399598호를 참조하며 해당 문헌의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통합된다.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can be configured to cause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unit (142) to be switched and fixed to the closed circuit state or the open circuit state of the contact (145) when an electro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142).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can cause the final position of the switching unit (142) to be changed whenever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is press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142). That is, when an electro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142) in the open circuit state, the gear inside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can be switched and maintained in a contracted state so that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is pressed and the switching unit (142) is positioned in the closed circuit state. When an electro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142) in a closed circuit state,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is pressurized, and the gear inside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is switched so that the switching unit (142) is positioned in an open circuit state and can be maintained in an expanded state.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is driven by two or more gears whose positions are switched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and the meshing state of the internal gears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so that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can be maintained in a contracted or relaxed state. Accordingly, when each switching unit (140) applies an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switching unit (142) by one coil (141), the state of the contact can be switched and maintained in an open circuit or closed circuit state.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coil (141) is activated by the driving power from the transistor (130), thereby applying an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switching unit (142), and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pressed by the switching unit (142) is switched to a relaxed state, thereby switching the contact (145) to an open circuit. For an example of the internal gear of the switching toggle knock (144), refer to Korean Patent No. 10-2399598,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의 데이터 센터 냉방 제어 시스템의 스위칭 유닛 제어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FIGS. 3A and 3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switching unit control of a data center cool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a 및 3b는 스위치부(140)가 2개의 코일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접점이 제어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3b에 관한 설명에서 도 2a 및 2b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Figures 3a and 3b are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witch unit (140) has contacts controlled by electromagnetic force from two coils. In the description of Figures 3a and 3b, descriptions of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ures 2a and 2b are as described above.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130)는 접점(145)이 접촉되도록 하는 구동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트랜지스터(1301) 및 접점(145)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구동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트랜지스터(130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ransistor (130) may include a first transistor (1301) for generating driving power to cause the contact (145) to come into contact and a second transistor (1302) for generating driving power to cause the contact (145) not to come into contact.
또한, 제어 시스템(100)은 각각의 트랜지스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트랜지스터에 대응되는 발광 유닛(1311, 1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의 예시와 같이 제 1 발광 유닛(1311)은 제 1 트랜지스터(1301)를 활성화 할 수 있으며 제 1 트랜지스터(1301)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1 코일(1411)에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코일(1411)은 스위칭 유닛(142)에 전자기력을 가하여 접점(145)이 폐회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칭 유닛(142)에 대한 이동이 완료되어 접점(145)이 폐회로가 된 경우 제어 시스템(100)은 제 1 발광 유닛(1311)을 비활성화 하고, 제 1 트랜지스터(1301) 또한 비활성화되어 코일에 대한 구동 전력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스위치부(140)는 래칭 릴레이를 이용하여 코일에 대한 구동 전력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스위칭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래칭 릴레이를 이용한 스위치부는 해당 상태에서 스위칭을 유지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으면서도, 스위치부의 접점(145)을 폐회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 등에 장애 발생시에도 스위치부는 동작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system (100) may include light emitting units (1311, 1312) corresponding to each transistor to activate each transistor. As in the example of FIG. 3A,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11) may activate the first transistor (1301) and, when the first transistor (1301) is activated, may provide driving power to the first coil (1411). The first coil (1411) may apply an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switching unit (142) to close the contact (145). When the movement of the switching unit (142) is completed and the contact (145) closes, the control system (100) may deactivat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11), and the first transistor (1301) may also be deactivated to stop providing driving power to the coil.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unit (140)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maintain a switching state even when the driving power supply to the coil is interrupted by using a latching relay. The switch unit using the latching relay can maintain the contact point (145) of the switch unit in a closed circuit state without consuming energy to maintain switching in the state, and the switch unit can be unaffected in its operating state eve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ontrol unit, etc.
제어부(120)가 스위치부(140)를 off 하고자 하는 경우 도 3b의 도시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 2 발광 유닛(1312)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제 2 발광 유닛(1312)에 의하여 제 2 트랜지스터(1312)가 활성화되어 제 2 코일(1412)에 구동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제 2 코일(1412)은 스위칭 유닛(142)에 전자기력을 가하여 접점(145)을 개방할 수 있다. 스위칭 유닛(142)에 대한 이동이 완료되어 접점(145)이 개방회로가 된 경우 제어 시스템(100)은 제 2 발광 유닛(1312)을 비활성화 하고, 제 2 트랜지스터(1302) 또한 비활성화되어 코일에 대한 구동 전력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스위치부(140)는 래칭 릴레이를 이용하여 코일에 대한 구동 전력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스위칭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20) wants to turn off the switch unit (140), the control unit (120) can activate the second light-emitting unit (1312) as illustrated in FIG. 3B. The second transistor (1312) is activated by the second light-emitting unit (1312), so that driving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coil (1412), and the second coil (1412) can apply an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switching unit (142) to open the contact (145). When the movement of the switching unit (142) is completed and the contact (145) becomes an open circuit, the control system (100) can deactivate the second light-emitting unit (1312), and the second transistor (1302) can also be deactivated to stop providing driving power to the coil.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unit (140)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maintain a switching state even when the supply of driving power to the coil is interrupted by using a latching relay.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데이터 센터 냉방 제어 시스템의 스위칭 유닛 제어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FIGS. 4A and 4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switching unit control of a data center cool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a 및 도 4b는 스위치부(140)가 1 개의 코일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접점이 제어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4b의 예시에서, 스위치부(140)는 1 개의 코일의 전자기력의 방향에 따라서 스위칭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FIGS.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witch unit (140) has a contact point controlled by an electromagnetic force from a single coil. In the examples of FIGS. 4A and 4B, the switching state of the switch unit (140) can be switch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from the single coil.
이를 위하여,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스위치부의 코일에 가해지는 전자기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4b의 예시에서는 4 개의 트랜지스터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코일의 전자기력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적절한 수의 트랜지스터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system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istors. The control system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istors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coil of the switch unit. Although four transistors are shown in the examples of FIGS. 4A and 4B,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n appropriate number of transistors capab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coil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폐회로 상태의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4a의 예시에서 제어부는 제 3 발광 유닛(1313) 및 제 6 발광 유닛(1316)을 활성화하여 제 3 트랜지스터(1303) 및 제 6 트랜지스터(1306)를 활성화 할 수 있다. 활성화된 제 3 트랜지스터(1303) 및 제 6 트랜지스터(1306)는 스위칭 유닛(142)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이동되게 하는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전력을 코일(1413)에 제공할 수 있다. Fig. 4a is an example showing the operation of a transistor in a closed circuit state. In the example of Fig. 4a, the control unit can activate the third transistor (1303) and the sixth transistor (1306) by activating the third light-emitting unit (1313) and the sixth light-emitting unit (1316). The activated third transistor (1303) and the sixth transistor (1306) can provide power to the coil (1413) in a direction tha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that moves the switching unit (142) to form a closed circuit.
도 4b는 개방회로 상태의 트랜지스터 동작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4b의 예시에서 제어부는 제 4 발과 유닛(1314) 및 제 5 발광 유닛(1315)을 활성화하여 제 4 트랜지스터(1304) 및 제 5 트랜지스터(1305)를 활성화 할 수 있다. 활성화된 제 4 트랜지스터(1304) 및 제 5 트랜지스터(1305)는 스위칭 유닛(142)이 개방회로를 구성하도록 이동되게 하는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전력을 코일(1413)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및 4b의 예시의 실시예에서 스위칭 유닛(142)은 전자기적인 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코일에 의하여 가해지는 전자기력의 방향에 따라서, 코일과 인력 또는 척력을 가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Fig. 4b is an example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istor in an open circuit state. In the example of Fig. 4b, the control unit can activate the fourth foot unit (1314) and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1315) to activate the fourth transistor (1304) and the fifth transistor (1305). The activated fourth transistor (1304) and fifth transistor (1305) can provide power to the coil (1413) in a direction tha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that moves the switching unit (142) to form an open circuit.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Figs. 4a and 4b, the switching unit (142) can have an electromagnetic polarity and can operate to have an attractive or repulsive force with the coil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by the coil.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서의 동작과 같이 접점의 상태가 전환된 후에는 다른 제어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모든 트랜지스터들이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칭 릴레이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접점의 상태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하여 접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하고, 제어 시스템(100)의 장애에 제어 상태가 영향받지 않을 수 있다. As in the operation of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fter the state of the contacts has been switched, all transistors may be deactivated until another control signal is received. As described above, the latching relay maintains the state of the contacts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even in such situations,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ed to maintain the contact state, and the control state may not be affected by a failure of the control system (100).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information and signals may be represented using any of a variety of different technologies and techniques. For example, the data, instructions, commands, information, signals, bits, symbols, and chips referenced in the above description may be represented by voltages, currents, electromagnetic waves, magnetic fields or particles, optical fields or particles, or any combination thereof.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various illustrative logical blocks, modules, processors, means, circuits, and algorithm step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electronic hardware, various forms of programs or design code (referred to herein, for convenience, as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To clearly illustrate this interchangeability of hardware and software, various illustrative components, blocks, modules, circuits, and steps have been described above generally in terms of their functionality. Whether such functionality is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depends up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overall system.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described functionality in varying ways for each particular application, but such implementation decision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causing a departur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The various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can be implemented as a method, apparatus, or article of manufacture using standard programming and/or engineering techniques. The term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es a computer program, carrier, or media accessible from any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For examp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agnetic storage devices (e.g., hard disks, floppy disks, magnetic strips, etc.), optical disks (e.g., CDs, DVDs, etc.), smart cards, and flash memory devices (e.g., EEPROMs, cards, sticks, key drives, etc.). Furthermore, various storage media presented herein include one or more devices and/or other machine-readable media for storing information.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esented processes is merely an example of exemplary approach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ocesses may be rearr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based on design priorities. The appended method claims provide elements of various steps in a sample order, but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present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disclosur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for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Claims (11)
제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제어 센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냉방 요소 각각의 제어를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되어 스위치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력을 생성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에 의한 구동 전력에 따라 각각의 냉방 요소에 관한 스위칭 유닛을 제어하며, 구동 전력의 차단시 스위칭 유닛의 상태가 사전결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래칭 릴레이, 상기 스위칭 유닛의 상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변경하기 위한 수동 조작 유닛 및 제어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냉방 시나리오에 따라서 스위치부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냉방 시나리오 별 동작 상태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스위치부는 구동 전력 없이 스위칭 유닛의 최종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냉방 요소의 동작을 지속시켜 데이터 센터의 고가용성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 As a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of a data center,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system;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center and gener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one or more cooling elements;
A transistor that is activat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motion control signal and generates driving power for driving a switch unit; and
A switch unit that controls a switching unit for each cooling element according to the driving power by the transistor, and includes a latching relay that maintains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n a predetermined state when the driving power is cut off, a manual operation unit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by user operation, and an indicator for the operation state of each cooling scenario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cooling scenario when a failure of the control system occurs;
including,
Even if a failure occurs in which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or the transistor is cut off, the switching unit mechanically maintains the final state of the switching unit without driving power, thereby continuing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element, thereby ensuring high availability of the data center.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상기 전원 공급부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냉방 요소는,
하나 이상의 칠러, 하나 이상의 펌프 및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cooling element controlled by the above motion control signal is,
Comprising one or more chillers, one or more pumps and one or more valves,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광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포토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ransistor,
A phototransistor that is activated by light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motion control signal,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스위칭 유닛의 접점이 접촉되도록하는 구동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스위칭 유닛의 접점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구동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ransistor,
A first transistor for generating driving power to cause the contacts of the switching unit to come into contact, and a second transistor for generating driving power to cause the contacts of the switching unit to not come into contact,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스위치부의 코일에 가해지는 전자기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ransistor,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istors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coil of the above switch section,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력에 따라 상기 스위칭 유닛이 이동시 상기 스위칭 유닛이 접점의 폐회로 상태 또는 개방회로 상태로 전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스위칭 토글 노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witch part,
Including a switching toggle knock that causes the switching unit to be switched and fixed in a closed circuit state or an open circuit state of the contact when the switching unit moves according to the driving power of the transistor.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상기 스위칭 유닛은,
코일에 의하여 가해지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접점의 폐회로 상태 또는 개방회로 상태로 동작하여 각각의 냉방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witching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oling element by operating the contacts in a closed or open circuit state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by the coil.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상기 코일은,
상기 구동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 유닛의 접점을 폐회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1 코일 및 상기 구동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 유닛의 접점을 개방회로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코일을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
In paragraph 8,
The above coil,
A first coil tha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to make the contact of the switching unit into a closed circuit state when the driving power is applied, and a second coil tha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to make the contact of the switching unit into an open circuit state when the driving power is applied,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상기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릴레이 전원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방 제어를 위한 제어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A relay power supply comprising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above transistor;
including more,
Control system for cooling control in data center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71347A KR102846510B1 (en) | 2023-11-30 | 2023-11-30 | System for failover for data center cooling equipment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71347A KR102846510B1 (en) | 2023-11-30 | 2023-11-30 | System for failover for data center cooling equipment contro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82718A KR20250082718A (en) | 2025-06-09 |
| KR102846510B1 true KR102846510B1 (en) | 2025-08-14 |
Family
ID=960195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71347A Active KR102846510B1 (en) | 2023-11-30 | 2023-11-30 | System for failover for data center cooling equipment contro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46510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60068B1 (en) * | 2017-07-24 | 2019-1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636615B2 (en) * | 2004-09-03 | 2009-12-22 |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 Power control system |
| US8987946B2 (en) * | 2011-12-28 | 2015-03-24 | Daikin Industries, Ltd. | Air conditioner |
| KR102644000B1 (en) * | 2021-11-05 | 2024-03-07 | 넥스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ESS operation device using latching relay |
-
2023
- 2023-11-30 KR KR1020230171347A patent/KR1028465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60068B1 (en) * | 2017-07-24 | 2019-1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82718A (en) | 2025-06-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954784B2 (en) | Reduced power failover | |
| US7199542B1 (en) | Fan operation adaptive control system | |
| CN114637387B (en) | Performance and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ulti-core heterogeneous chip | |
| US20130033213A1 (en) | Fan controlling circuit for server computer | |
| WO2014187073A1 (en) |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
| JP5555141B2 (en) |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WO2012156775A1 (en) | A method and a system for online and dynamic distribution an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s in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 |
| KR102846510B1 (en) | System for failover for data center cooling equipment control | |
| US20200293101A1 (en) | Variable redundancy data center power topology | |
| EP2391930A1 (en) | Method and system to lower power consumption | |
| US9703345B2 (en) | Electronic device and power management control method | |
| CN112462644A (en) | Information control cabinet, control method and device | |
| US20200056800A1 (en) |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devices | |
| CN209215917U (en) | Water regulator control circuit with super capacitor | |
| JP2018139060A (en) |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 |
| CN108388162A (en) | Wisdom electronic box and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method suitable for projection equipment power management | |
| CN114801846B (en) | A switching station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battery replacement station | |
| US20030088797A1 (en) | Adapting link speed of a network controller to available power supply | |
| CN207976750U (en) | A kind of data center's power & environment supervision system | |
| CN119482906B (en) | Annular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 of data cen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TW201640275A (en) | Deep off power states | |
| CN119446846A (en) | Reset circuit of magnetic latching relay,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N216873103U (en) | Self-locking device for step motor of cradle head during power-off and static states | |
| KR101098030B1 (en) |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ource | |
| US20250185145A1 (en) | Smart Utilization of Data Center Illumination Devic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