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46865B1 -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46865B1
KR102846865B1 KR1020230175885A KR20230175885A KR102846865B1 KR 102846865 B1 KR102846865 B1 KR 102846865B1 KR 1020230175885 A KR1020230175885 A KR 1020230175885A KR 20230175885 A KR20230175885 A KR 20230175885A KR 102846865 B1 KR102846865 B1 KR 102846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mage code
data
unit
c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50086328A (ko
Inventor
오종택
Original Assignee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17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46865B1/ko
Publication of KR20250086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86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4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468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은 제1 동작 제어부, 이미지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제1 저장부 및 제1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그리고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제2 동작 제어부, 제2 저장부 및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코드를 상기 제1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정보 추출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코드에 대한 데이터 프레임이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하고, 설정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이 입력되면,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을 일련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정렬하여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하고, 각 데이터 프레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종류에 맞는 재생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각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를 일련번호의 순서대로 재생하여 상기 제2 출력부에 출력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APPARATUS FOR OUTPUTTING IMAGE CODE}
본 발명은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관련 있는 정보를 담고 있는 연속 이미지 코드에 담겨있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출력하는 연속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코드(bar code)나 2차원 큐알(QR) 코드(Quick Response code)와 같은 이미지 코드를 스캐너로 스캐닝하거나 카메라로 인식하여,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기술과 방법은 일반화되어 있다.
바코드나 큐알 코드는 인식의 대상이 되는 물체에 부착되어 대상 물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큐알 코드의 경우에는 ASCII 코드로 최대 4,296자까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웹 사이트 링크를 포함할 경우 해당 웹 사이트로 이동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입수할 수도 있다.
ASCII 코드나 QR 코드를 사용하여 스캐너 또는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로 해당 물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지만, 하나의 이미지 코드로는 수집할 수 있는 정보량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웹 사이트 링크 주소를 통해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망이 연결되어야 하는 조건이 있으며, 해당 웹 사이트의 유해성이 확인되지 않아 사용자가 보안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로 접속하는 것이 위험하다.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65293호(등록일자: 2013년05월10일, 발명의 명칭: 일회용 스캔코드 발행 기능을 구비한 서버장치, 일회용 스캔코드 인식 기능을 구비한 고객 단말장치 및 일회용 스캔코드 처리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연속적인 이미지 코드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은 제1 동작 제어부, 상기 제1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미지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제1 저장부, 상기 제1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및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추출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동작 제어부, 상기 제2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2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코드를 상기 제1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정보 추출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코드에 대한 데이터 프레임이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하고, 설정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이 입력되면,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을 일련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정렬하여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하고, 각 데이터 프레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종류에 맞는 재생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각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를 일련번호의 순서대로 재생하여 상기 제2 출력부에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코드는 연속적인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에 해당하는 연속적인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는 상기 제1 출력부에 동시에 출력되어 상기 제1 출력부의 동일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전체 프레임의 길이 정보가 저장되는 프레임 길이 정보 필드, 데이터 종류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필드, 일련번호가 저장되는 일련번호 필드, 오류 검출 부호나 정정 부호가 저장되는 필드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종류는 음향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추출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코드는 바코드(bar code)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추출부는 바코드 스캐너일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제어부는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연속적인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이 입력되지 않으면, 일련번호의 정렬동작 없이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프레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종류에 맞는 재생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제2 출력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은 상기 제1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의 감지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동작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미지 코드를 상기 제1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출력부로 상기 이미지 코드의 출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연속적인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코드의 촬영 동작이나 스캐닝 동작을 통해 이미지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수집이 바로 이루어지므로,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랜 공유기에 접속하기 위해 비밀 번호 입력 등의 번거로운 설정도 불필요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은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종류와 관련된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의 재생이 이루어지므로, 큐알 코드를 통한 웹 사이트 링크에 접속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로 경우, 해킹이나 피싱 등의 보안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카메라나 스캐너를 이용한 간단한 동작을 이용하여 이미지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수집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저렴한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의 수집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에 사용된 큐알 코드의 일 예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이다.
도 5b는 도 5a의 데이터 필드의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1를 참고하면,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100)은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 및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에 출력된 이미지 코드에 담겨있는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코드의 일 예는 큐알 코드이지만, 본 발명은 큐알 코드에 한정되지 않고 바코드 등과 같이 다양한 이미지 코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움직임 감지부(11), 움직임 감지부(11)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예, 제1 동작 제어부)(12), 제1 동작 제어부(12)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예, 제1 저장부)(13), 제1 동작 제어부(12)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예, 제1 출력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의 구성요소들(11-14)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는 이들 구성요소(11-14)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1)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로부터 설정 범위 이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부(11)에 의해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는 설정 범위 이내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즉 설정 범위 이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이미지 코드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동작 제어부(12)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동작 제어부(12)는 움직임 감지부(11)에 의해 설정 범위 이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설정 범위 이내에 제1 출력부(14)로 출력되는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동작 제어부(12)는 제1 출력부(14)로 이미지 코드를 출력하여, 출력된 이미지 코드에 저장되어 정보를 사용자가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저장부(13)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출력부(14)로 출력되는 이미지 코드는 제1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장부(13)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출력부(14)는 제1 동작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시각 및 청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출력부(14)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음향 출력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동작 제어부(12)의 동작에 따라 제1 동작 제어부(12)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동작 제어부(12)는 제1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코드를 읽어와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제1 동작 제어부(12)의 동작에 의해 제1 동작 제어부(1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예의 정보 수집 장치(20)는, 카메라(21), 카메라(21)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예, 제2 동작 제어부)(22), 제2 동작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예, 제2 저장부)(23), 제2 동작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예, 제2 출력부)(24), 그리고 제2 동작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의 구성요소들(21-25) 역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는 이들 구성요소(21-25)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카메라(21)는 이미지 코드를 촬영하여 이미지 코드를 인식해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예에서, 이미지 코드의 종류가 큐알 코드로서 본 예의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라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 코드의 종류가 바코드인 경우, 본 예의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는 바코드 스캐너를 카메라(21) 대신 구비하거나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바코드 스캐너와 카메라(21)는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 추출부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이미지 코드의 종류에 따라 정보 추출부의 종류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제2 동작 제어부(22)는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프로세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동작 제어부(22)는 정보 추출부의 동작에 의해 이미지 코드에서 추출된 정보가 입력되면, 이들 정보를 처리하여 이미지 코드에서 각각 추출된 정보를 제2 출력부(24)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출력부(14)로 출력되는 이미지 코드가 연속적인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인 경우, 제2 동작 제어부(22)는 각 이미지 코드에서 추출된 정보를 취합하여 제2 출력부(24)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저장부(23)는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저장부(23)는 제1 저장부(13)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미 기술한 것과 같은 다양한 저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제2 출력부(24) 역시 제1 출력부(14)와 동일하게 제2 동작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시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출력부(24) 역시 디스플레이 모듈과 음향 출력 모듈을 구비할 수 있어, 제2 동작 제어부(22)의 동작에 따라 제2 동작 제어부(22)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제2 동작 제어부(2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동작 제어부(22)는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이미지 코드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5)는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와 통신 시스템(도시하지 않음) 사이, 또는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와 다른 전자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25)는 이동통신 모듈,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모듈은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갖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와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본 예에서 사용중인 큐알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예의 큐알 코드는 다른 큐알 코드와 구분을 하는 경계, 코드 방향을 알려주는 세 개의 정사각형인 위치 검출 패턴, 코드 스캔 방향을 알려주는 정사각형인 얼라인먼트 패턴, 코드 내 정보가 담긴 개별 단위의 인지를 용이하게 하는 타이밍 패턴, 큐알 코드 심벌에서 사용되는 오류 정정과 마스크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코드를 판독할 때 우선적으로 읽히는 부분인 포맷 정보, 그리고 희거나 검은 작은 사각형들로 각각이 데이터를 담고 있고 단위(cell)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큐알 코드는 이들 정보 이외에, 각 큐알 코드의 일련 번호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는 연속적인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는 서로 연관된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고, 이런 경우, 연속적인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는 한 세트의 이미지 패턴을 구성할 수 있으면, 각 이미지 코드에는 정해진 일련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이미지 패턴은 서로 연관된 정보를 담고 있고, 각 이미지 코드에 담겨 있는 정보의 출력 순서에 따라 일련 번호가 정해질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의 동작이 시작되면(S10), 제1 동작 제어부(12)는 움직임 감지부(11)로부터 인가되는 움직임 신호를 판독하여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는 지 판단할 수 있다(S11).
움직임 감지부(1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된 상태로 판단되면(S12), 제1 동작 제어부(12)는 제1 출력부(14)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설정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한 상태로 판단되면(S12), 제1 동작 제어부(12)는 이 시점에 출력이 정해져 있는 이미지 코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
따라서, 출력이 정해져 있는 이미지 코드가 존재하면(S13), 제1 동작 제어부(12)는 제1 저장부(13)에 해당하는 이미지 코드를 얽어와 제1 출력부(14)로 출력할 수 있다(S14).
이때, 제1 출력부(14)로 출력되는 이미지 코드는 연속적인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를 구비한 한 세트의 이미지 코드로서 연속 이미지 코드이거나 하나의 이미지 코드일 수 있다.
따라서, 한 세트의 이미지 코드인 경우, 이들 이미지 코드는 서로 연관된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출력부(14)는 제1 동작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제1 출력부(14)로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이미지 코드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한 세트의 이미지 코드를 구성하는 각 이미지 코드의 출력 위치 및 출력 순서는 일련 번호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일련번호의 순서대로 차례로 한 세트의 각 이미지 코드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각 이미지 코드에 담겨있는 정보의 취합 동작은 일련번호의 순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단계(S12)에서 움직임 감지부(1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 즉 제1 출력부(14)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설정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 코드가 정해져 있더라도 제1 동작 제어부(12)는 해당 이미지 코드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출력부(14) 앞의 설정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바코드나 큐알 코드를 출력하더라도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고 있는 바코드나 큐알 코드를 인지할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 바코드나 큐알 코드를 출력하더라도 제1 출력부(14)에 출력된 바코드나 큐알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획득할 사람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제1 동작 제어부(12)는 제1 출력부(14)의 설정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미지 코드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이미지 코드의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움직임 감지부(11)를 이용하여 제1 출력부(14)에 이미지 코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동작 제어부(12)의 동작에 의해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10)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코드가 출력되면,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에 의해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 코드의 정보 획득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는 이미지 코드는 현재 제1 출력부(14)로 출력되는 영상의 종류나 영상 출력 시간에 따라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동작 제어부(12)는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게 출력되는 이미지 코드가 정해져 있거나 영상 출력 시간에 출력되는 이미지 코드가 정해져 경우, 제1 동작 제어부(12)는 움직임 감지부(11)에 의해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해당 이미지 코드를 제1 저장부(13)에서 읽어와 제1 출력부(14)의 해당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고하여,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의 사용자는 촬영부를 이용하여 제1 출력부(14)에서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 코드인 큐알 코드를 촬영하여 큐알 코드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수집 장치의 촬영부는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고 있는 각 큐알 코드에 대한 각각의 촬영 동작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제2 동작 제어부(22)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a에 촬영부의 동작에 의해 본 예의 큐알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촬영부를 이용하여 제1 출력부(14)에 출력된 큐알 코드에 대한 인식 동작이 완료되면, 큐알 코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도 5a와 같은 구조의 데이터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데이터 프레임의 첫 번째 필드는 전체 프레임의 길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프레임 길이 정보 필드, 두 번째 필드에는 데이터 종류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어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가 음향 정보인지, 동영상 정보인지 또는 텍스트 정보인지 등을 알려줄 수 있다.
세 번째 필드는 일련번호(sequence number)가 저장되는 일련번호 필드로서 전체 파일에서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네 번째 필드는 오류 검출 부호나 정정 부호가 저장되는 필드로서, 데이터 프레임 전체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거나 정정까지 할 수 있는 채널 코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 필드는 데이터 필드로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도 5b는 본 예의 큐알 코드에 포함된 데이터 구조의 일 예로서, 도 5a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5b에서, 데이터의 종류는 mp3 데이터 일 수 있다. 도 5b의 경우, 데이터 종류가 음향 정보인 mp3 데이터이므로, mp3 스트리밍 음향 신호가 재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부나 스캐너 등을 이용해 수집된 각 이미지 코드의 데이터 프레임은 제2 동작 제어부(22)로 입력될 수 있고, 제2 동작 제어부(22)는 수집된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종류에 맞는 상태로 음향, 동영상 또는 텍스트의 상태로 제2 출력부(2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출력부(14)에 한 세트의 이미지 코드가 출력되는 경우, 한 세트의 이미지 코드에 각각 추출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데이터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연속된 큐알 코드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연속된 큐알 코드 각각에서 이미 알려진 형식의 정지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 예의 정보 수집 장치는 각 큐알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정지 영상 정보를 일련번호 순으로 재생하여, 동영상으로 재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는 한 장의 큐알 코드에 하나 이상의 음향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스캐너나 촬영부의 동작으로 해당 이미지 코드에 대한 인식 동작이 완료되어 해당 이미지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 데이터나 동영상 프레임이 수집되어 제2 동작 제어부(22)로 입력되면, 제2 동작 제어부(22)는 입력되는 음향 데이터이나 동영상 데이터를 음향 재생 프로그램이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제2 출력부(24)를 통해 해당하는 음향이나 동영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음향 데이터는, 예를 들어, wav 형식이나 mp3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음향 데이터가 wav 형식의 데이터인 경우, 음향 재생 프로그램에 해당 음향데이터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음향의 재생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음향 데이터가 mp3 형식의 데이터인 경우, 재생을 위해서는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 정보가 필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예의 큐알 코드의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에는 데이터의 형식 또는 종류, 오류 검출 코드, 전체 메시지에서의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위치및 보안 정보 중에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메시지는 서로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어 제2 출력부(24)의 한 화면에 동시에 출력되는 복수 개의 큐알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 개의 큐알 코드 각각이 담고 있는 각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로 편집할 때, 하나의 메시지로 편집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전체 메시지에서의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위치는 복수 개의 큐알 코드가 담고 있는 정보를 순서대로 정렬하여 편집할 때, 각 큐알 코드가 담고 있는 정보의 정렬 순서를 나타낼 수 있고, 본 예의 경우 각 큐알 코드에 부여된 일련 번호일 수 있다.
큐알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은 TS 포맷(format)이나 mp4 포맷 등 다양한 형식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형식이나 동영상 형식은 스트리밍 전송 방식으로 큐알 코드가 하나씩 표시될 때마다 음향 신호 또는 동영상 신호로 재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 예의 큐알 코드는 매우 큰 크기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수 있고, 본 예의 큐알 코드마다 데이터의 형식 또는 종류 뿐만 아니라 오류 검출 코드, 전체 정보에서의 위치 및 보안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수집 장치는 큐알 코드를 통해 연속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큰 데이터 파일을 만들 수 있다. 이때, 데이터 프레임의 연결 순서는 각 큐알 코드의 일련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정해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연속적인 큐알 코드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생성된 데이터 파일은 하나의 한글(hwp) 파일, pdf 파일, 워드(word) 파일 또는 엑셀 파일일 수 있다. 또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데이터 파일은 하나의 mp4 동영상 파일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 파일의 생성을 위해,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큐알 코드의 형식에 대한 규격 표준화가 국내외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때와 장소에 무관하게 어디서나 모든 기기에서 연속적인 큐알 코드를 이용하여 대량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되돌아가면, 정보 수집 장치의 제2 동작 제어부(22)는 촬영부를 통해 각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 프레임이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저장부(23)에 저장할 수 있다(S21).
다음, 제2 동작 제어부(22)는 촬영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프레임의 개수가 설정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복수 개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2).
설정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이 촬영부로부터 입력된 상태이면, 제2 동작 제어부(22)는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는 연속적인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예, 큐알 코드)에 대한 각각의 촬영 동작을 통해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의 수집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한다.
설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입력된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는 제1 출력부(14)에 동시에 출력되어 제1 출력부(14)의 동일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화면은 설정된 개수의 연속적인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의 연속적인 출력으로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는 화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속적인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는 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출력될 때, 각 프레임에 해당하는 화면에 연속적으로 출력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동작 제어부(22)는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에서 일련번호를 확인하여, 수집된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을 확인된 일련 번호 대로 차례대로 정렬하여 제2 저장부(23)에 저장할 수 있다(S23). 이때, 재정렬 방식은 오름차순 방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출력부(14)에서 서로 관련된 데이터를 담고 있는 연속적인 복수 개의 큐알 코드가 표시되면, 제2 동작 제어부(22)는 각 큐알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일련번호의 순서대로 각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 프레임을 정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 동작 제어부(22)는 각 큐알 코드의 각 데이터 프레임의 해당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S24).
이때, 수집된 데이터의 종류는 음향 정보, 동영상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다음, 제2 동작 제어부(22)는 정렬된 일련의 순서대로 파악된 종류에 맞게 데이터의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25).
하지만, 단계(S22)에서 설정시간 동안 복수 개의 데이터가 프레임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2 동작 제어부(22)는 제1 출력부(14)에 다른 이미지 코드에 담겨 있는 정보와 무관한 독립된 정보를 담고 있는 하나의 이미지 코드, 예를 들어 큐알 코드가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어, 카메라(21)로부터 하나의 큐알 코드에 대한 데이터 프레임이 획득되어 입력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는 이미지 코드가 다른 이미지 코드와 무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개별적이고 별개의 이미지 코드인 경우, 이 별개의 이미지 코드는 일렬번호가 저장되지 않을 수 있거나 이미 정해진 값(예, '0')을 갖는 일련번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출력부(14)로 출력된 큐알 코드의 개수가 하나로서, 하나의 큐알 코드에서 획득된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이 입력되면, 제2 동작 제어부(22)는 획득된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에서 일련번호를 확인한 후 일련번호를 번호 순으로 정렬하는 동작없이 바로 제2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해당 필드에서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종류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해당 데이터를 재생해 제2 출력부(24)로 바로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출력부(14)에 연속적으로 출력된 복수 개의 큐알 코드가 존재할 경우, 제2 동작 제어부(22)는 동일한 세트에 속하는 각 데이터 프레임에서 해당 필드의 값을 이용해 각 데이터 프레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일련순서대로 각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의 종류에 맞는 재생 프로그램을 하나씩 구동시켜 일련순서대로 데이터 프레임의 각 데이터를 재생시켜 제2 출력부(2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순번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재생 동작이 완료된 후 다음 순번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재생 동작이 완료되며, 첫 번째 순번부터 마지막 순번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재생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설정 시간 내에 개의 큐알 코드에서 데이터의 수집이 이루어진 경우, 일련번호 1번의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종류는 음향이고, 일련번호 2번의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종류는 동영상이며, 일련번호 3번의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종류는 텍스트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동작 제어부(22)는 일련번호의 순서대로 각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일 예로, 일련번호 1번의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음향 데이터를 위해 음향 재생 프로그램을 동작시킨 후, 수집된 음향 데이터를 입력하여 수집된 음향 데이터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제2 동작 제어부(22)는 일련번호 2번의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동작시킨 후, 수집된 동영상 데이터를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수집된 동영상 데이터가 제2 출력부(24)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2 동작 제어부(22)는 일련번호 3번의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텍스트 종류를 재생할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수집된 텍스트 데이터가 제2 출력부(24)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설정 시간 내에 수집된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이 모두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예, 텍스트 데이터)인 경우, 제2 동작 제어부(22)는 해당 종류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동작시킨 후, 첫 번째의 일련번호의 데이터부터 마지막 일련번호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각 큐알 코드에서 개별적으로 수집된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재생되어 제2 출력부(24)로 출력되므로, 하나의 파일처럼 재생될 수 있다.
하지만, 설정 시간 동안 제1 촬영부를 통해 수집된 큐알 코드의 데이터 프레임이 복수 개가 아닌 경우, 제2 동작 제어부(22)는 하나의 큐알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필드에서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한 후, 판단된 종류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수집된 데이터의 출력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서로 관련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를 연속하여 출력하여, 정해진 순서에 맞게 각 이미지 코드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이미지 코드를 이용하는 대신,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영화나 드라마가 표시되는 제1 출력부(14)의 한 쪽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코드가 표시되고, 이때, 표시되는 이미지 코드는 현재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내용과 관련된 있는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출력부(14)에 출력되는 이미지 코드를 이용하여 현재 출연자가 입고 있는 옷이나 액세서리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정보 수집 장치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랜 공유기에 접속하기 위해 비밀 번호 입력 등의 번거로운 설정도 불필요하며, 바로 이미지 코드의 촬영 동작이나 스캐닝 동작을 통해 이미지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 바로 데이터에 관련된 재생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해 해당 데이터의 재생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큐알 코드를 통한 웹 사이트 링크에 접속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이런 경우, 해킹이나 피싱 등의 보안 문제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카메라(21)를 장착한 다양하고 저렴한 단말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간단하게 이미지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시스템 10: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20: 이미지 코드 정보 수집 장치 11: 움직임 감지부
12: 제1 동작 제어부 13: 제1 저장부
14: 제1 출력부 21: 카메라
22: 제2 동작 제어부 23: 제2 저장부
24: 제2 출력부

Claims (11)

  1.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미지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의 감지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코드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에 출력이 정해져 있는 이미지 코드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에 출력이 정해져 있는 이미지 코드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미지 코드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코드는 연속적인 복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에 해당하는 연속적인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미지 코드는 상기 출력부에 동시에 출력되어 상기 출력부의 동일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각 데이터 프레임은,
    전체 프레임의 길이 정보가 저장되는 프레임 길이 정보 필드;
    데이터 종류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필드;
    일련번호가 저장되는 일련번호 필드;
    오류 검출 부호나 정정 부호가 저장되는 필드;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필드
    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종류는 음향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인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인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코드는 바코드(bar code)인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설정 범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출력부로 상기 이미지 코드의 출력을 수행하지 않는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KR1020230175885A 2023-12-06 2023-12-06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Active KR10284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5885A KR102846865B1 (ko) 2023-12-06 2023-12-06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5885A KR102846865B1 (ko) 2023-12-06 2023-12-06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86328A KR20250086328A (ko) 2025-06-13
KR102846865B1 true KR102846865B1 (ko) 2025-08-14

Family

ID=9601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5885A Active KR102846865B1 (ko) 2023-12-06 2023-12-06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468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8730A1 (en) * 2011-08-24 2013-02-28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imited Terminal device
US20150254486A1 (en) * 2014-03-04 2015-09-10 Seiko Epson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image pickup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8164301A1 (ko) * 2017-03-09 2018-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293B1 (ko) 2011-12-21 2013-05-20 (주)코리아센터닷컴 일회용 스캔코드 발행 기능을 구비한 서버장치, 일회용 스캔코드 인식 기능을 구비한 고객 단말장치 및 일회용 스캔코드 처리방법
US8770484B2 (en) * 2012-09-21 2014-07-08 Alcatel Lucent Data exchange using streamed barcod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8730A1 (en) * 2011-08-24 2013-02-28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imited Terminal device
US20150254486A1 (en) * 2014-03-04 2015-09-10 Seiko Epson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image pickup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8164301A1 (ko) * 2017-03-09 2018-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86328A (ko) 202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4799B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data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4239566B (zh) 视频搜索的方法及装置
CN102034073B (zh) 条形码辨识方法及条形码辨识装置
WO2019161809A1 (zh) 基于4g/5g网络和二维码扫描识别的记录系统及方法
KR101310881B1 (ko) 스마트 로봇 장치 및 스마트 로봇 장치를 이용한 동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39146A (ko) 다중 코드 인식 방법 및 시스템
Zhang et al. Aesthetic QR codes based on two-stage image blending
CN111290688A (zh) 多媒体笔记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01095A (zh) 一种识别损坏二维码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01296441A (zh) 一种扫描二维条码发送消息的方法及装置
CN111539236A (zh) 一种一次性读取多个条码的方法
KR102846865B1 (ko) 이미지 코드 출력 장치
US20240249095A1 (en) Barcode scanning with automatic pick mode operation
CN101556618A (zh) 流媒体播放方法及终端
KR102472194B1 (ko) Ai 기술을 활용한 개인 미디어 컨텐츠 장면분석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07034625A (ja) 情報表示装置
CN112653612B (zh) 消息处理方法、设备以及系统、消息服务器
US2016017373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ata registration method, and data registration program
CN110580423A (zh) 智能设备的个性化配置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4520935B2 (ja) 情報転送システム及び情報転送方法
CN113542866B (zh) 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20018508A1 (en) Obtaining a resource to read a symbol
JP3723948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バーコード読み取り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67007B2 (en) Processing images of a display
US20090206159A1 (en)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 Barcode Using Imag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