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48406B1 - Printing apparatus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Printing apparatus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48406B1 KR102848406B1 KR1020220067240A KR20220067240A KR102848406B1 KR 102848406 B1 KR102848406 B1 KR 102848406B1 KR 1020220067240 A KR1020220067240 A KR 1020220067240A KR 20220067240 A KR20220067240 A KR 20220067240A KR 102848406 B1 KR102848406 B1 KR 1028484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electrode
- driving unit
- unit
- ec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6—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locally applied jets of electroly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03—3D structures, e.g. superposed patterned lay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25D17/04—External supporting frames or struc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8—Rins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6—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 C25D21/18—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of electroly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4—Electroplating with moving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 전착에 의한 적층법(ECAM,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을 이용하여 기판에 금속원료를 선택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S-ECAM(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고도 회로기판 상에 칩을 실장하기 위한 접합층을 형성할 수 있는 S-ECAM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S-ECAM) printing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epositing metal materials on a substrate using an electrochemical deposition-based lamination method (ECAM,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AM printing device capable of forming a bonding layer for mounting chips on a circuit board without using a mask.
Description
본 발명은 S-ECAM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화학 전착에 의한 적층법(ECAM,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을 이용하여 기판에 금속원료를 선택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S-ECAM(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S-ECAM prin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S-ECAM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printing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epositing a metal raw material on a substrate using an electrochemical deposition lamination method (ECAM,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한국등록특허 제10-2392201호(다중전극모듈을 구비하는 선택적 전기화학 전착을 이용한 3차원 프린팅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2392199호(선택적 전기화학 전착을 이용한 3D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2382806호(펄스 피크를 이용하여 갭제어를 수행하는 선택적 전기화학 전착을 이용한 3D 프린팅 장치) 등에는 선택적 전기화학 전착을 이용한 3D 프린팅 장치가 개시된다.Korean Patent No. 10-2392201 (3D printing device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deposition having a multi-electrode module), Korean Patent No. 10-2392199 (Control method for 3D printing device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deposition), Korean Patent No. 10-2382806 (3D printing device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deposition performing gap control using pulse peak) disclose 3D printing devices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deposition.
도 1은 종래 선택적 전기화학 전착을 이용한 3차원 프린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기판과 전극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3D printing device using conventional selective electrochemical deposition, and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a substrate and electrode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선택적 전기화학 전착을 이용한 3차원 프린팅 장치(10)는 전해액(11)을 수용하는 터브(20), 상기 터브(20)에 수용된 전해액(11)에 침지된 상태로 놓여지는 기판(12), 전극홀더(31)와 상기 전극홀더(31)에 소정간격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전극(32)을 구비하는 다중전극모듈(30), 상기 다중전극모듈(30)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구동부(13), 상기 기판(12)과 상기 복수의 전극(32)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0) 및 상기 구동부(13)와 상기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여 상기 기판(12) 상에 상기 전해액(11)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선택적으로 전착시켜 적층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conventional 3D printing device (10)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deposition includes a tub (20) that accommodates an electrolyte (11), a substrate (12) placed in a state of being immersed in the electrolyte (11) accommodated in the tub (20), a multi-electrode module (30) having an electrode holder (31)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32) arrang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electrode holder (31), a driving unit (13)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multi-electrode module (30), a power supply unit (50) for applying power to the substrate (12)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32), and a control unit (14)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13) and the power supply unit (50) to selectively deposit and laminate metal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11) on the substrate (12).
상기 기판(12)과 상기 복수의 전극(32)의 밑면(33)은 서로 마주한 상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터브(20)에 수용된 전해액(11)에 침지될 수 있다.The substrate (12) and the bottom surface (33)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32) can b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11) contained in the tub (20) while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예를 들어, 상기 기판(12)은 상기 터브(20) 내에 구비되는 지지대(21)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터브(20)에 수용된 전해액(11)에 침지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극(32)은 상기 구동부(13)의 동작에 의한 상기 다중전극모듈(3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32)의 밑면(33)이 상기 터브(20)에 수용된 전해액(11)에 침지되어 상기 기판(12)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bstrate (12) can b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11) contained in the tub (20) while being placed on a support (21) provided in the tub (20),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32) can b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11) contained in the tub (20) with the bottom surfaces (33)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32) facing the substrate (1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by the movement of the multi-electrode module (30)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3).
그리고, 상기 기판(12)과 상기 복수의 전극(32)의 밑면(33)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한 상태로 상기 터브(20)에 수용된 전해액(11)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극(32)을 (+), 상기 기판(12)을 (-)로 하여 상기 기판(12)과 상기 복수의 전극(32)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기판(12) 상에는 상기 전극(32)의 밑면(33)이 마주하는 영역(17)에 상기 전해액(11)에 포함된 금속이온이 전착(electrochemical deposition)됨에 따라 적층될 수 있다.And, when the substrate (12) and the bottom surfaces (33)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32)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11) contained in the tub (20) while facing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m, the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50) to apply power to the substrate (12)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32) by mak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32) (+) and the substrate (12) (-), the metal ion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11) can be electrochemically deposited on the area (17) where the bottom surfaces (33) of the electrodes (32) face each other on the substrate (12), thereby being laminated.
따라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구동부(13)와 상기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여 상기 기판(12) 상에 상기 전해액(11)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선택적으로 전착시켜 적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 can selectively deposit and laminate the metal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11) on the substrate (12)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3) and the power supply unit (50).
상기 구동부(13)는 상기 다중전극모듈(30)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다중전극모듈(30)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구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driving unit (13)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ulti-electrode module (30),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drive the multi-electrode module (30)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3)는 상기 다중전극모듈(30)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기판(12) 상에 적층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소정높이 적층 후 예를 들어, 기 설정된 1 레이어 적층이 완료 후에는 상기 다중전극모듈(30)을 수직방향으로 대략 상기 1 레이어 적층된 높이만큼 이동시켜 상기 기판(12)과 상기 복수의 전극(32)의 밑면(3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3) can horizontally move the multi-electrode module (30) to select a position where it is stacked on the substrate (12), and after stack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for example, after a preset 1-layer stacking is completed, the multi-electrode module (30) can be moved vertically by approximately the 1-layer stacking height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substrate (12) and the bottom surface (33)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32).
즉, 상기 구동부(13)는 상기 다중전극모듈(30)을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전극(32)의 밑면(33)과 상기 기판(12) 사이의 갭을 포함하는 3차원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unit (13) can drive the multi-electrode module (30) to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including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33)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32) and the substrate (12).
한편, 종래에는 반도체 회로기판 상에 칩을 실장하기 위한 접합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마스크를 이용한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노광 공정과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스트립 공정 등으로 인하여, 높은 장비 가격과 투자비, 긴 공정시간, 환경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다.Meanwhile, in the past, a method using a mask was mainly used to form a bonding layer for mounting chips on a semiconductor circuit board, but this method had problems such as high equipment cost, investment cost, long process time, and increased environmental cost due to the exposure process and the strip process for removing photoresist.
본 발명은 전기화학 전착에 의한 적층법을 이용하여 기판에 금속원료를 선택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S-ECAM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S-ECAM printing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laminating a metal raw material on a substrate using a lamination method by electrochemical de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고도 회로기판 상에 칩을 실장하기 위한 접합층을 형성할 수 있는 S-ECAM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S-ECAM printing device capable of forming a bonding layer for mounting a chip on a circuit board without using a mask.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배스; 상기 배스에 구비되며, 상부에 기판이 놓이는 기판지지부; 전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전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전극홀더와, 상기 전극홀더의 밑면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모듈; 상기 전극모듈을 움직이는 제1구동부; 상기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상기 기판을 음극(cathode)으로 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 전해액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해액을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기판에 형성된 기판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전극홀더에 형성된 전극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을 움직이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가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을 정렬시키며, 상기 전극과 상기 기판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전극홀더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극에 마주하는 상기 기판의 소정영역에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S-ECAM printing device comprises: a bath; a substrate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bath and having a substrate placed thereon; an electrode module including an electrode holder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an electrolyt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electroly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holder; a first driving unit for moving the electrode module; a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power using the electrode as an anode and the substrate as a catho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electrolyte; a pump for supplying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inlet; a camera module including a camera for detecting a substrat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n electrod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electrode holder; a seco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amera module;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and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detected by the camera overlap each other to alig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and applies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while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electrode holder in a state where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depositing metal ion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facing the electrod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한 후,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한 후, 상기 카메라에 인식된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가 서로 중첩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을 정렬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camera detect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then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camera detects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and then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and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recognized by the camera overlap each other, thereby aligning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일측에 상기 카메라가 구비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단개구부와, 상기 몸통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내부에는 상기 상단개구부로 입사한 빛과 상기 하단개구부로 입사한 빛을 상기 카메라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빔스플리터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the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mera module, an upper opening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 lower opening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 beam splitter may be mounted inside the body to reflect light incident through the upper opening an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ower opening toward the camera.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상단개구부에는 상단조명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단개구부에는 하단조명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하단조명부는 온(on) 상기 상단조명부는 오프(off)시키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하단조명부는 오프(off) 상기 상단조명부는 온(on)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lighting unit provided in the upper opening, a lower lighting unit provided in the lower opening, and the control unit can turn on the lower lighting unit and turn off the upper lighting unit when the camera detect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and can turn off the lower lighting unit and turn on the upper lighting unit when the camera detects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배스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지지부 상부에 놓인 기판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기판지지부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상기 기판지지부 상부에 놓인 기판을 고정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urizing unit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bath to pressurize a substrate placed on top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and a vacuum pump that fixes the substrate placed on top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through a vacuum hole formed in the substrate support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스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rod)와, 상기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기판을 가압하도록 하는 제3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d rotat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th, and a third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rod to pressurize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기판을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an operate the vacuum pump to fix the substrate while the substrate is pressurized by the pressuriz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전극모듈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갭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모듈의 밑면이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갭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ree gap sensors are provided in the electrode module,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first driving unit according to detection of the gap sensor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i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럭과, 상기 클리닝블럭을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리닝블럭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제4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block for cleaning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and a fourth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leaning block,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so that the cleaning block moves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전극모듈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이 침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격벽프레임과, 상기 격벽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5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벽이 상기 기판지지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5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frame having a partition wall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are immersed by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electrode module, and a fifth driving unit that moves the partition wall frame,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fth driving unit so that the partition wall is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럭; 상기 클리닝블럭을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 상기 전극모듈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이 침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격벽프레임; 및 상기 격벽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5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리닝블럭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제4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격벽이 상기 기판지지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5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block for cleaning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a fourth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leaning block; a partition frame having a partition wall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are immersed by an electrolyte discharged from an outlet of the electrode module; and a fifth driving unit for moving the partition wall frame; wherei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so that the cleaning block moves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fth driving unit so that the partition wall is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unit.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제3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배스 일측에 위치하는 로드가 기판지지부 상부에 놓인 기판을 가압하도록 하는 기판가압 단계; 상기 기판이 가압된 상태에서 진공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기판지지부 하부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고정 단계; 상기 기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3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기판가압 해제 단계;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과 전극모듈을 정렬시키는 정렬 단계; 상기 제1구동부와, 전원공급부와,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모듈의 밑면에 형성된 전극에 마주하는 상기 기판의 소정영역에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키는 프린팅 단계; 및 제4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클리닝블럭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는 클리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 control method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bstrate pressurization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hird driving unit so that a rod located at one side of a bath pressurizes a substrate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a substrate support unit; a substrate fixing step of operating a vacuum pump while the substrate is pressurized so that the substrate is fixed through a vacuum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a substrate pressurization releasing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while the substrate is fixed so that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substrate is released; an alignment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first driving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to align the substrate and an electrode module; a printing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 power supply unit, and a pump to deposit metal ions contained in an electrolyte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facing an electrod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and a cleaning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fourth driving unit so that a cleaning block moves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제5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이 전해액에 침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이 상기 기판지지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격벽이 구비된 격벽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격벽형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형성 단계는 상기 정렬 단계 이전 또는 상기 프린팅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trol method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forming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fifth driving unit to move a partition frame provided with the partition so that the partition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are immersed in an electrolyte is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unit, and the partition forming step can be performed before the alignment step or before the printing step.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클리닝 단계 이전에,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5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모듈과 상기 격벽프레임이 상기 기판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전극모듈과 상기 격벽프레임을 수직이동시키는 간격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trol method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efore the cleaning step, a gap forming step of vertically moving the electrode module and the partition frame so that the electrode module and the partition frame are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by a preset gap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fifth driv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정렬 단계는, 상기 전극모듈에 구비된 갭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모듈의 밑면이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하는 전극모듈 레벨링 단계; 상기 제2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카메라모듈에 구비된 카메라가 상기 기판에 형성된 기판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을 이동시키는 기판 얼라인 마크 감지 단계; 상기 제1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극모듈에 형성된 전극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상기 전극모듈을 이동시키는 전극 얼라인 마크 감지 단계; 및 상기 제1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가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에 중첩하도록 상기 전극모듈을 이동시키는 얼라인 마크 중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trol method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de module leveling step in which the alignment step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ccording to detection by a gap sensor provided in the electrode modul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i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a substrate alignment mark detection step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camera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moves the camera module so that the camera detects a substrat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substrate; an electrode alignment mark detection step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electrode module moves so that the camera detects an electrod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electrode module; and an alignment mark overlapping step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detected by the camera overlap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프린팅 단계는 상기 제1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의 간격이 기 설정된 초기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극모듈을 하강시키는 초기간격 형성 단계;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전해액을 상기 전극모듈에 형성된 유입구로 공급하는 전해액공급 단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이 상기 전극모듈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에 마주하는 상기 기판의 소정영역에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키는 전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trol method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itial gap forming step in which the printing step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to lower the electrode modul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forms a preset initial gap; an electrolyte supply step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pump is controlled to supply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an inlet formed in the electrode module; and an electrodeposition step in which, while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formed in the electrode module, the metal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are electrodeposit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facing the electrod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클리닝 단계는 진공펌프와 에어컴프레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control method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step can be performed by operating at least one of a vacuum pump and an air compresso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기판가압 단계는 상기 기판지지부에 구비된 근접센서가 상기 기판을 감지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pressing step can be performed when a proximity sensor provided in the substrate support detects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에 의하면, 전기화학 전착에 의한 적층법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회로기판 상에 칩을 실장하기 위한 접합층을 형성할 수 있어서, 마스크를 이용하는 경우 필요한 노광 공정과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스트립 공정 등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낮은 장비 가격 및 투자비, 공정시간의 단축, 환경비용 극소화 등의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nding layer for mounting a chip on a circuit board can be formed without using a mask by using a lamination method by electrochemical deposition, so that an exposure process and a strip process for removing a photoresist, which are required when using a mask, are not required,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lower equipment price and investment cost, shortened process time, and minimization of environmental costs.
본 발명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선택적 전기화학 전착을 이용한 3차원 프린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기판과 전극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스와 가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가압부가 기판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스와 기판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판지지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홀더의 밑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리닝블럭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2에 따른 클리닝블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4는 격벽프레임이 배스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격벽프레임이 기판지지부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5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3D printing device using conventional selective electrochemical deposition.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substrate and electrode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Figure 5,
FIG. 7 is a drawing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h and a pressuriz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izing part is pressing a substrate.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s and a substrate suppo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lan view of Figure 10,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1,
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ubstrate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bottom view of a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drawing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an electrode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Figure 19,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a clean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block according to Fig. 22,
FIG. 2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ulkhead frame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bath.
Figure 2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lkhead frame is locat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Fig. 2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fth dri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s a drawing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hav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ver)",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ver)", "상(on)" 및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refore do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hen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ver", "on" or "under" the substrate, each layer (film), region, pad or pattern, "over", "on" and "under" include both being formed "directly" or "indirectly" via another layer.
또한, "~상에"라 함은 대상 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on ~” means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objec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located abov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면', '밑면', '상방', '하방'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구성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relative terms such as 'upper', 'lower', 'top', 'bottom', 'upper', 'lower', etc. may b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terms.
각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실시되거나 함께 실시될 수 있으며,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게 일부 구성요소는 제외될 수 있다.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together, and some components may be exclud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배면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rear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배스(bath)(120), 상기 배스(120)에 구비되며 상부에 기판(130)이 놓이는 기판지지부(200),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전극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n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h (120), a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provided in the bath (120) and having a substrate (130) placed thereon, and an electrode module (300)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상기 기판(130)은 회로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회로기판 상에 칩을 실장하기 위한 접합층을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above substrate (130) may be a circuit board. For example,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form a bonding layer for mounting a chip on a circuit board.
상기 전극모듈(300)은 전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전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전극홀더와, 상기 전극홀더의 밑면에 소정간격 복수개 구비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above electrode module (300) may include an electrode holder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electrolyt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electroly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hold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전극모듈(300)을 움직이는 제1구동부(101), 상기 전극홀더의 밑면에 형성된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상기 기판(130)을 음극(cathode)으로 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102), 전해액이 저장되는 저장부(103), 상기 저장부(103)에 저장된 전해액을 상기 전극홀더의 유입구로 공급하는 펌프(10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101) that moves the electrode module (300), a power supply unit (102) that applies power using the electrod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holder as an anode and the substrate (130) as a cathode, a storage unit (103) that stores an electrolyte, and a pump (104) that supplies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to the inlet of the electrode hold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제1구동부(101), 상기 전원공급부(102), 상기 펌프(104)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that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101), the power supply unit (102), and the pump (104).
따라서, 상기 전극과 상기 기판(130)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전극홀더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102)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전극과 마주하는 상기 기판(130)의 소정영역에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2) while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130)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electrode hold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etal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can be deposit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130) facing the electrode.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극과 상기 기판(130)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10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과 상기 기판(130)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과 상기 기판(130)이 전해액에 침지될 수 있도록 상기 펌프(10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과 상기 기판(130)이 상기 전극홀더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과 상기 기판(13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0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전극에 마주하는 상기 기판(130)의 소정영역에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킴으로써 프린팅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01) so that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130)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104) so that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130) can b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while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130) are spaced apart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02) so that power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130) while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130)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electrode holder. Then, printing can be performed by depositing metal ion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130) facing the electrode.
상기 배스(120)는 상기 전극홀더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배스(120)에는 상기 수용된 전해액을 상기 저장부(103)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저장부(103)에 모인 전해액은 상기 펌프(104)의 작동에 의해 다시 상기 전극홀더의 유입구로 공급됨으로서, 상기 전해액은 순환할 수 있다. The bath (120) has a space for receiving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electrode holder, and the bath (12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ceived electrolyte to the storage unit (103). Then, the electrolyte collected in the storage unit (103) is supplied again to the inlet port of the electrode holder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104), so that the electrolyte can circulat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MA 프린팅 장치(100)는 프린팅 조건 예를 들어, 압력, 유량 등의 전해액 조건,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의 갭 조건, 정전류, 정전압 등의 전원공급 조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05)와, 사용자가 상기 조건들을 입력할 수 있는 UI와 기판 상에 전착이 이루어지는 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MA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105) that can input printing conditions, such as electrolyte conditions such as pressure and flow rate, gap conditions betwee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power supply conditions such as constant current and constant voltage, and a UI that allows a user to input the conditions and a display unit (106) that displays a state in which electrodeposition is performed on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MA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기판(130)에 형성된 기판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전극홀더에 형성된 전극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는 카메라모듈(140)과, 상기 카메라모듈(140)을 움직이는 제2구동부(10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구동부(10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MA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40) equipped with a camera that detects a substrat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substrate (130) and an electrod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electrode holder, and a second driving unit (107) that moves the camera module (140),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107).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가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101)와 상기 제2구동부(107)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을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n, the control unit (110) can alig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by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unit (10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07) so that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and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detected by the camera overlap each oth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기판지지부(200)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놓인 기판을 고정하는 진공펌프(vacuum pump)(108)와, 공압을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10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진공펌프(108)와 상기 에어컴프레서(109)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acuum pump (108) that fixes a substrate placed on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through a vacuum hole formed in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nd an air compressor (109) that generates air pressure,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108) and the air compressor (109).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drawing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에서의 상부는 기판(120) 상에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이 전착되는 즉, 프린팅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베이스프레임(111), 상부프레임(112), 상기 베이스프레임(111)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2)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3)이 구비될 수 있다. In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is a space where metal ion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are deposited on the substrate (120), that is, printing is performed, and may include a base frame (111), an upper frame (112), and a support frame (113)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ase frame (111) to support the upper frame (11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스(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동부(101)는 상기 상부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bath (120) can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 and the first driving unit (101) can be fixed to the upper frame (112).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배스(120)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놓인 기판(130)을 가압하는 가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urizing unit (150)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bath (120) to pressurize a substrate (130) placed on top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기판(130)이 상기 가압부(15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108)를 작동하여 상기 기판(13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can operate the vacuum pump (108) to fix the substrate (130) while the substrate (130) is pressurized by the pressurizing unit (15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한편, 상기 기판(130)의 상면에는 기판 얼라인 마크(1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모듈(300)의 밑면에는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에 대응하는 전극 얼라인 마크(145)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30), and an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corresponding to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300).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는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의 정렬을 위한 것이다.The abov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and the above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are for alignment of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상기 카메라모듈(140)에는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를 감지하는 카메라(142)가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camera module (140) may be equipped with a camera (142) that detect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and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상기 제2구동부(107)는 좌우, 전후방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모듈(140)은 상기 제2구동부(107)의 구동에 따라 좌우, 전후방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107) may be provided to enable left-right, front-back, and rearward driving, and the camera module (140) may be provided to enable left-right, front-back, and rearward movemen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107).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카메라모듈(140)을 지지하는 지지부(146)와, 상기 지지부(146)의 좌우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좌우가이드부(147)와, 상기 상부프레임(112)에 고정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147)의 전후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전후방가이드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n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46) that supports the camera module (140), a left-right guide member (147) that guides left-right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146), and a front-rear guide member (148) that is fixed to the upper frame (112) and guides the front-rear movement of the first guide member (147).
그러면, 상기 카메라모듈(140)은 상기 제2구동부(107)의 구동에 따라 좌우, 전후방 움직임이 가능해질 수 있다.Then, the camera module (140) can move left and right an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107).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40)은 일측에 상기 카메라(142)가 구비되는 몸통(160)과, 상기 몸통(16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단개구부(161)와, 상기 몸통(16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개구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camera module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160) having the camera (142) provided on one side, an upper opening (161)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160), and a lower opening (162)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160).
또한, 상기 몸통(160) 내부에는 상기 상단개구부(161)로 입사한 빛과 상기 하단개구부(163)로 입사한 빛을 상기 카메라(14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빔스플리터(163)와, 상기 빔스플리터(163)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카메라(142)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학계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side the body (160), a beam splitter (163) that reflects light incident through the upper opening (161) an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ower opening (163) toward the camera (142), and an optical system that allows light reflected from the beam splitter (163) to be incident on the camera (142)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상단개구부(161)에는 상단조명부(164)가 구비되고, 상기 하단개구부(162)에는 하단조명부(16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개구부(161)와 상기 하단개구부(162)에는 각각 렌즈(166)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opening (161)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lighting unit (164), the lower opening (162)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lighting unit (165), and the upper opening (161) and the lower opening (162) may each be provided with a lens (166).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상단조명부(164)와 상기 하단조명부(165)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on/off of the upper lighting unit (164) and the lower lighting unit (165).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42)에 감지된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가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101)와 상기 제2구동부(107)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을 정렬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an alig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by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unit (10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07) so that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and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detected by the camera (142) overlap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42)가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107)를 제어한 후, 상기 카메라(142)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101)를 제어한 후, 상기 카메라(142)에 인식된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가 서로 중첩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10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을 정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second driving unit (107) so that the camera (142) detect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then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101) so that the camera (142) detects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and then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101) so that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recognized by the camera (142) and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overlap each other, thereby aligning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42)가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를 감지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하단조명부(165)는 온(on) 상기 상단조명부(164)는 오프(off)시키고, 상기 카메라(142)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를 감지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하단조명부(165)는 오프(off) 상기 상단조명부(164)는 온(on)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can turn on the lower lighting unit (165) and turn off the upper lighting unit (164) when the camera (142) detect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and can turn off the lower lighting unit (165) and turn on the upper lighting unit (164) when the camera (142) detects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그러면,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 감지시 상기 상단조명부(164)에서 들어오는 빛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 감지시 상기 하단조명부(165)에서 들어오는 빛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카메라(142)는 쉽게 상기 기판 전극 얼라인 마크(144)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를 감지할 수 있다. Then, when detecting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the light noise coming from the upper lighting unit (164) can be reduced, and conversely, when detecting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the light noise coming from the lower lighting unit (165) can be reduced, and accordingly, the camera (142) can easily detect the substrate electrode alignment mark (144) and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또한,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는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t least two substrate alignment marks (144) can be formed, and at least two electrode alignment marks (145)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ubstrate alignment marks (144).
이때, 상기 카메라모듈(140)은 상기 2개 이상의 기판 얼라인 마크(144)와 전극 얼라인 마크(145)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wo or more camera modules (140) may be provided so as to simultaneously detect two or more substrate alignment marks (144) and electrode alignment marks (145).
그러면,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을 더 정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The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can be aligned more precisely.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스와 가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가압부가 기판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h and a pressuriz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izing unit is pressing a substrat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150)는 상기 배스(120) 일측에 구비되는 로드(rod)(152)와, 상기 로드(152)를 회전시켜 상기 기판(130)을 가압하도록 하는 제3구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a pressurizing unit (1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d (15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th (120), and a third driving unit (153) that rotates the rod (152) to pressurize the substrate (13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놓인 기판(130)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3구동부(15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153) to pressurize the substrate (130) placed on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3구동부(153)를 작동하여 상기 기판(130)이 상기 가압부(15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108)를 작동하여 상기 기판(130)을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can operate the third driving unit (153) to operate the vacuum pump (108) while the substrate (130) is pressurized by the pressurizing unit (150) to fix the substrate (130).
그러면, 상기 기판(130)을 평평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기판(130)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놓이게 되면, 상기 기판(130)의 중심부가 들뜬 상태가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들뜬 상태의 기판(130)을 평평하게 하기 위하여 가압하는 것이며, 가압에 의해 평평해진 기판(130)을 그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130)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108)를 작동하는 것이다.Then, the substrate (130) can be fixed in a flat state. When the substrate (130) is placed on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the center of the substrate (130) becomes lifted. In this embodiment, the substrate (130) in the lifted state is pressed to make it flat, and in order to fix the substrate (130) that has been flattened by the pressurization in that state, the vacuum pump (108) is operated while the substrate (130) is pressurized.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3구동부(153)는 상기 로드(152)를 상기 기판(130) 상부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기판(130) 상부로 회전된 로드(152)를 하강시켜 상기 기판(130)을 가압하도록 하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 third driving unit (15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ry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rod (152) above the substrate (130), and a vertical driving unit that lowers the rod (152) rotated above the substrate (130) to pressurize the substrate (130).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제3구동부(153)는 상기 로드(152)를 회전시키면서 하강시키는 로터리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는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에 의한 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driving unit (153) may be a rotary actuator that rotates and lowers the load (152). The rotary actuator may be operated by pneumatic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109).
상기 로터리 액추에이터는 출력축이 있는 설정된 각도 범위를 회전 왕복운동하는 실린더로서, 이를 활용하면 하나의 구성으로 회전과 수직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153)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The above rotary actuator is a cylinder that rotates and reciprocates within a set angular range with an output shaft. By utilizing this, rotation and vertical movemen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one configur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153).
또한, 상기 로드(152)의 단부 하단에는 상기 로드(152)가 상기 기판(130)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기판(130)의 손상을 방지하는 손상방지부재(15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상방지부재(154)로는 고무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damage prevention member (154)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end of the load (152) to prevent damage to the substrate (130) when the load (152) presses the substrate (130). For example, a rubber pad may be used as the damage prevention member (154).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스와 기판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 단면도로서 제1실링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s and a substrat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of Fig. 10,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1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ealing member is provided.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판지지부(200)에는 상기 진공펌프(108)에 연결되는 진공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to 12, a vacuum hole (201)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108) may be formed in a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판지지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진공홀(201)로 전해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A first seal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to prevent electrolyte from flowing into the vacuum hole (201).
예를 들어, 상기 제1실링부재(220)는 소정간격 이격한 상태로 상기 진공홀(201)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eal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vacuum hole (20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러면, 상기 기판(130)이 상기 진공펌프(108)에 의해 하방 즉, 상기 기판지지부(200)의 상면 방향으로 밀착하는 경우, 상기 기판(130)은 상기 제1실링부재(220)를 압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진공홀(201)로 전해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n, when the substrate (130) is pressed downward, i.e.,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by the vacuum pump (108), the substrate (130) presses the first sealing member (220),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into the vacuum hole (201).
이와 같이, 상기 기판(130)이 상기 제1실링부재(220)를 압착하여 상기 진공홀(201)로 전해액 유입이 방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펌프(104)를 작동하여 상기 저장부(103)에 저장된 전해액을 상기 전극모듈(300)의 유입구로 공급할 수 있다.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substrate (130) presses the first sealing member (220)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into the vacuum hole (201), the control unit (110) can operate the pump (104) to supply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to the inlet of the electrode module (300).
상기 기판지지부(200)의 상면에는 끼움홈(203)이 소정간격 이격한 상태로 상기 진공홀(201)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실링부재(220)는 상기 끼움홈(20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진공홀(201)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insertion grooves (203)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vacuum hole (20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vacuum hole (201)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203).
한편, 상기 기판지지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진공홀(201)이 다수개가 형성된 진공홀형성영역(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실링부재(220)는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in which a plurality of vacuum holes (201) are form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예를 들어, 상기 기판지지부(200)의 상면에는 끼움홈(203)이 소정간격 이격한 상태로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실링부재(220)는 상기 끼움홈(20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insertion grooves (203)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203).
상기 기판지지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이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놓인 기판(130)을 고르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실링부재(220)도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 plurality of vacuum hole forming areas (210)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n, the substrate (130)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can be evenly and firmly fix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first sealing members (220) may be provided equal to the number of vacuum hole forming areas (210).
상기 기판지지부(200) 하부에는 상기 진공펌프(108)에 연결되는 연결관(122)이 결합하는 결합홀(20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홀(205)과 상기 진공홀(201) 사이에는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홀(207)이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ng hole (205)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to which a connecting pipe (122)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108) is connected, and a connecting hole (207)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hole (205) and the vacuum hole (201) to allow them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기판지지부(200) 표면에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이 형성된 경우, 상기 결합홀(205)은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 하부에 하나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홀(207)의 상부 단면 크기는 상기 진공홀형성역(210)에 형성된 다수개의 진공홀(201) 모두를 포함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홀(207)은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테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나의 연결관(122)만으로도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홀(210)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the coupling hole (205) can be formed one by one at the bottom of the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and at this time, the upper cross-sectional size of the connecting hole (207) can have a size that includes all of the plurality of vacuum holes (201) formed in the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For example, the connecting hole (207) can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 becomes wider as it goes upward. Then, vacuum pressure can be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vacuum holes (210) formed in the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with only the one connecting pipe (122).
상기 배스(120)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122)이 관통하는 관통홀(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지지부(200)는 상기 관통홀(123)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지지부(200)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관통홀(123)로 전해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링부재(223)가 구비될 수 있다.A through hole (123)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ipe (122) passes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bove-mentioned bath (120),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may be provided above the through hole (123), and a second sealing member (22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to prevent electrolyte from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123).
예를 들어, 상기 배스(120) 내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지지부(200)를 지지하는 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13)은 상기 돌출부(125)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rotrusion (125) protruding upward and supporting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ath (120), and the through hole (13)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125).
이때, 상기 돌출부(125) 주위에는 전해액을 수용하는 공간(12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실링부재(223)는 상기 돌출부(125) 상부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지지부(200) 하부 테두리와 상기 돌출부(125) 상부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223)가 삽입되는 끼움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pace (128) for receiving an electrolyte may be formed around the protrusion (125), the second sealing member (22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protrusion (125), and an insertion groove (124) into which the second sealing member (223)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lower edg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nd the upper edge of the protrusion (125).
또한, 상기 배스(120)에는 상기 공간(128)에 모여진 전해액을 상기 저장부(103)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21)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th (12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21) to discharge the electrolyte collected in the space (128) to the storage unit (103).
또한, 상기 배스(120)에는 상기 기판지지부(20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클리닝부의 전후방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벽(127)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n addition, the bath (12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walls (127)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to suppor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회로기판 상에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프린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회로기판 상에 칩을 실장하기 위한 접합층을 마스크 없이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에 따른 상기 기판(130)의 손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Meanwhile,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int metal ions contained in an electrolyte onto a circuit board. For example,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form a bonding layer for mounting a chip on a circuit board without a mas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damage to the substrate (130) due to pressure.
이를 위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면에는 상부에 놓인 기판(130)을 감지하는 근접센서(207)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기판(130)의 정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기판(130)의 가장자리가 걸림되는 걸림턱(205)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proximity sensor (207) for detecting a substrate (130)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may be provided, and a catch (205)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to catch the edge of the substrate (130) so as to guide the correct position of the substrate (130).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근접센서(207)가 상기 기판(130)을 감지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기판(130)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 정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substrate (130)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based on whether the proximity sensor (207) detects the substrate (130).
상기 기판(130)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면의 상기 걸림턱(205) 안쪽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기판(130)의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걸림턱(205)에 걸친 상태가 되면, 상기 기판(130)은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면과 소정간격 들뜬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근접센서(207)는 상기 기판(130)을 감지할 수 없다.If the substrate (130) is not positioned inside the catch (20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nd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substrate (130) hangs over the catch (205), the substrate (130) is lif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so the proximity sensor (207) cannot detect the substrate (130).
반대로, 상기 기판(130)이 상기 걸림턱(205) 안쪽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기판(130)은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면과 들뜬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근접센서(207)는 상기 기판(130)을 감지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substrate (130) is located inside the catch (205), the substrate (130) is not lif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so the proximity sensor (207) can detect the substrate (130).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근접센서(207)이 상기 기판(130)을 감지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기판(130)이 상기 걸림턱(205) 안쪽에 위치하였는지 여부 즉, 상기 기판(130)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 정위치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substrate (130) is located inside the catch (205), that is, whether the substrate (130) is locat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based on whether the proximity sensor (207) detects the substrate (130).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근접센서(207)가 상기 기판(130)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가압부(150)가 상기 기판(130)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150) 예를 들어, 상기 제3구동부(153)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판(130)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에 따른 상기 기판(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unit (150), for example, the third driving unit (153), so that the pressurizing unit (150) presses the substrate (130) when the proximity sensor (207) detects the substrate (130), thereby guiding the substrate (130)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substrate (130) due to pressuriz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근접센서(207)에 의해 상기 기판(130)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기판(130)이 상기 걸림턱(205) 안쪽에 위치하지 않고 일부라도 상기 걸림턱(205)에 걸쳐진 상태라고 판단하고, 작업자에게 상기 기판(130)이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았음을 알리는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substrate (130) is not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207),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substrate (130) is not located inside the catch (205) but is partially hanging over the catch (205), and can generate a warning sound or warning light to inform the operator that the substrate (130) is not located in the correct position.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기판(130)이 상기 가압부(15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108)를 작동하여 상기 기판(130)을 고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10) can operate the vacuum pump (108) to fix the substrate (130) while the substrate (130) is pressurized by the pressurizing unit (150).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진공홀(20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기판(130)이 견고하게 고정되었는지 또는 상기 진공홀(201) 내부가 완전하게 밀폐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substrate (130) is firmly fixed or whether the inside of the vacuum hole (201) is completely sealed by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vacuum hole (201).
만약, 상기 진공홀(201) 내부의 압력이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진공홀(201) 내부가 완전 밀폐된 경우가 아닌 상태로서 상기 기판(130)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모든 작동을 정지시킨 후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If the pressure inside the vacuum hole (201)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inside of the vacuum hole (201) is not completely sealed and that the substrate (130) is not firmly fixed, and stops all operations and then generates a warning sound or warning light to notify the operator of this.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판지지부의 부분 단면도이다.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ubstrate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기판지지부(200)는 상기 기판지지부(200)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플레이트(23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30) 하부에 결합하는 하부플레이트(23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upper plate (230)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nd a lower plate (234)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30).
상기 상부플레이트(230)의 상면에는 상기 진공홀(201)이 다수개가 형성된 진공홀형성영역(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실링부재(220)가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A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in which a plurality of vacuum holes (201) are form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30),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vacuum hole forming area (210).
상기 하부플레이트(234)의 하부에는 상기 진공펌프(108)에 연결되는 연결관(122)이 결합하는 결합홀(205)이 형성될 수 있다.A joining hole (205)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234) to which a connecting pipe (122)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108) is joined.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230)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홀(205)과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에 형성된 다수개의 진공홀(201)을 연결하는 연결홈(20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홈(208)의 상방 단면 크기는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에 형성된 다수개의 진공홀(201) 모두를 포함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나의 연결관(122)만으로도 상기 진공홀형성영역(210)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홀(210)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ng groove (208)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30) to connect the joining hole (205) and a plurality of vacuum holes (201) formed in the vacuum hole forming region (210), and the upper cross-sectional size of the connecting groove (208) may have a size that includes all of the plurality of vacuum holes (201) formed in the vacuum hole forming region (210). Then, vacuum pressure can be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vacuum holes (210) formed in the vacuum hole forming region (210) with only the one connecting pipe (122).
상기 배스(120)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122)이 관통하는 관통홀(123)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34)는 상기 관통홀(123)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34)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관통홀(123)로 전해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링부재(223)가 구비될 수 있다.A through hole (123)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ipe (122) passes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bove bath (120), the lower plate (234) is provided above the through hole (123), and a second sealing member (223) that prevents electrolyte from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12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lower plate (234).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2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34) 사이에는 상기 연결홈(208)으로 전해액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홈(208) 주위를 둘러싸는 제3실링부재(2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2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3실링부재(225)가 삽입되는 끼움홈(227)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hird sealing member (225) surrounding the connection groove (208)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230) and the lower plate (234) to prevent electrolyte from flowing into the connection groove (208). At this time, an insertion groove (227) into which the third sealing member (225)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230) and the lower plate (234).
상기 기판지지부(200)를 제작함에 있어서, 하나의 플레이트에 서로 크기가 다른 진공홀(201)과 결합홀(205)을 각각 상부와 하부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기판지지부(200)와 같이, 다수의 진공홀(201)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230)와 결합홀(205)이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234)를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상부플레이트(23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34)를 결합하면, 상기 기판지지부(200)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In manufacturing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vacuum holes (201) and coupling holes (205) of different siz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single plate, but, as in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f an upper plate (230) in which a plurality of vacuum holes (201) are formed and a lower plate (234) in which coupling holes (205) are formed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the upper plate (230) and the lower plate (234) are combined,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can be easily manufactur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홀더의 밑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bottom view of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drawing showing the bottom of an electrod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선택적 전기화학 전착을 이용한 3차원 프린팅 장치(10)(도 1 및 2 참조)에는, 전극(32)은 다중전극모듈(30)을 통해 전원공급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판(12)은 직접 전원공급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개시되는데, 종래와 같이 기판(12)을 직접 전원공급부(50)에 연결하는 것은 공간상 제약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In a conventional 3D printing device (10)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deposition (see FIGS. 1 and 2), an electrode (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50) through a multi-electrode module (30), and a substrate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power supply unit (50). However,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directly connecting the substrate (12) to the power supply unit (50) due to space constraints.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반도체 회로기판 상에 칩을 실장하기 위한 접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기판은 반도체 회로기판 이고, 전극은 상기 반도체 회로기판 상에 접합층을 형성할 영역이어서, 상기 영역에 프린팅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극이 상기 영역 주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상기 기판 상에는 서로 통전되지 않은 여러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기판을 직접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는 매우 어렵다. In particular,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form a bonding layer for mounting a chip on a semiconductor circuit board, wherein the substrate is a semiconductor circuit board, and the electrode is an area on the semiconductor circuit board where the bonding layer is to be formed, so that in order to print on the area, the electrode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rroundings of the area, but since there are several areas on the substrate that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very difficult to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 the substrate to a power supply uni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은 전극뿐만 아니라 기판까지도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 electrode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not only the electrode but also the substr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300)은 전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312)와 상기 유입구(312)를 통해 유입된 전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313)가 구비되는 전극홀더(310)와, 상기 전극홀더(310)의 밑면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전극(320)과, 상기 전극홀더(310) 상부에 결합하는 커버(330)와, 상기 커버(330)에 고정되는 양극플레이트와(340)와, 상기 커버(330)에 고정되는 음극플레이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4 to 18, an electrode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de holder (310) having an inlet (312) through which an electrolyte is introduced and an outlet (313)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12) is discharged, a plurality of electrodes (320)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holder (310), a cover (3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holder (310), an anode plate (340) fixed to the cover (330), and a cathode plate (350) fixed to the cover (330).
상기 양극플레이트(340)는 상기 전원공급부(102)의 양극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음극플레이트(350)는 상기 전원공급부(102)의 음극에 연결될 수 있다. The abov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can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power supply unit (102), and the above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can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ower supply unit (102).
에를 들어, 상기 양극플레이트(340)에는 상기 전원공급부(102)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연결부(342)가 구비되고, 상기 음극플레이트(350)에는 상기 전원공급부(102)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연결부(352)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330)에는 상기 양극연결부(342)와 상기 음극연결부(352)가 상기 커버(33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전원연결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art (342)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power supply unit (102),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may be provided with a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art (352)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ower supply unit (102), and the cover (33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ion groove (331) that allows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art (342) and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art (352) to protrude outside the cover (330).
상기 전극홀더(310)에는 상기 전극(320)과 상기 양극플레이트(340)를 연결하는 양극프로브(360)와, 상기 기판(130)과 상기 음극플레이트(350)를 연결하는 음극프로브(37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electrode holder (310) may be provided with an anode probe (360) that connects the electrode (320) and the anode plate (340), and a cathode probe (370) that connects the substrate (130) and the cathode plate (350).
상기 음극프로브(370)는 상단은 상기 음극플레이트(350)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전극홀더(310) 하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된 하단은 상기 기판(130)에 연결될 수 있다.The cathode probe (370) may have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cathode plate (350), a lower end protruding below the electrode holder (310), and the protruding low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130).
상기 전극홀더(310)에는 상기 양극프로브(360)가 삽입되는 양극프로브홀(315)과, 상기 양극프로브홀(315) 하단에 상기 전극(320)이 고정되는 고정홈(316)과, 상기 음극프로브(370)가 삽입되는 음극프로브홀(317)이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holder (310) may be formed with an anode probe hole (315) into which the anode probe (360) is inserted, a fixing groove (316) into which the electrode (320) is fixed at the bottom of the anode probe hole (315), and a cathode probe hole (317) into which the cathode probe (370) is inserted.
상기 양극프로브(360)는 상기 양극프로브홀(315)에 삽입되어 하단은 상기 전극(320)에 접촉하고 상단은 상기 양극플레이트(340)에 접촉하여 상기 전극(320)과 상기 양극플레이트(3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above anode probe (360) is inserted into the anode probe hole (315) so that the lower end contacts the electrode (320) and the upper end contacts the anode plate (340),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320) and the anode plate (340).
상기 음극프로브(370)는 상기 음극프로브홀(317)에 삽입되어 하단은 상기 전극홀더(310) 하부로 돌출되고 상단은 상기 음극플레이트(350)에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된 하단은 상기 기판(130)에 접촉되어 상기 기판(130)과 상기 음극플레이트(3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above cathode probe (370) is inserted into the cathode probe hole (317), and the lower end protrudes below the electrode holder (310) and the upper end can contact the cathode plate (350). The protruding lower end can contact the substrate (13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ubstrate (130) and the cathode plate (350).
그러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300)은 상기 전극(320)뿐만 아니라 상기 기판(130)까지도 상기 전원공급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Then, the electrode module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ectrically connect not only the electrode (320) but also the substrate (130) to the power supply unit (102).
상기 양극프로브(360)는 양극프로브몸체(361)와, 상기 양극프로브몸체(361)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양극플레이트(340)에 접촉하는 양극상단접촉부(362)와, 상기 양극프로브몸체(361)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전극(320)에 접촉하는 양극하단접촉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anode probe (360) may include an anode probe body (361), an anode upper contact portion (362)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anode probe body (361) and in contact with the anode plate (340), and an anode lower contact portion (363)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anode probe body (361) and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320).
또한, 상기 양극프로브(360)는 상기 양극프로브몸체(361) 상단과 상기 양극상단접촉부(362) 사이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양극상단탄성부재(36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양극상단접촉부(362)는 상기 양극상단탄성부재(364)에 의해 상기 양극플레이트(340)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ode probe (360) may include an anode upper elastic member (364)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anode probe body (361) and the anode upper contact portion (362) to provide upward elasticity. Then, the anode upper contact portion (362) can stably contact the anode plate (340) by the anode upper elastic member (364).
또한, 상기 양극프로브(360)는 상기 양극프로브몸체(361) 하단과 상기 양극하단접촉부(363) 사이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양극하단탄성부재(36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양극하단접촉부(363)는 상기 양극하단탄성부재(365)에 의해 상기 전극(320)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ode probe (360) may include an anode lower elastic member (365)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anode probe body (361) and the anode lower contact portion (363) to apply elastic force downward. Then, the anode lower contact portion (363) can stably contact the electrode (320) by the anode lower elastic member (365).
상기 양극상단탄성부재(364)와 상기 양극하단탄성부재(365)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 anode upper elastic member (364) and the anode lower elastic member (365) may use springs.
상기 양극프로브(360)는 상기 전극(320)과 상기 양극플레이트(3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프로브몸체(361), 상기 양극상단접촉부(362) 및 상기 양극하단접촉부(363)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 예를 들어, 구리 또는 금도금이 된 메탈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양극상단접촉부(362)와 상기 양극하단접촉부(363)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 예를 들어, 구리 또는 금도금이 된 메탈소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프로브몸체(361)에는 상기 양극상단접촉부(362)와 상기 양극하단접촉부(36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366)이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anode probe (360)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 (320) and the anode plate (340). For example, the anode probe body (361), the anode upper contact portion (362), and the anode lower contact portion (363)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r a gold-plated metal material. Alternatively, the anode upper contact portion (362) and the anode lower contact portion (363)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r a gold-plated metal material, and the anode probe body (361) may be provided with a wire (366)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anode upper contact portion (362) and the anode lower contact portion (363).
마찬가지로, 상기 음극프로브(370)는 상기 음극프로브홀(317)에 삽입하는 음극프로브몸체(371), 상기 음극프로브몸체(371)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음극플레이트(350)에 접촉하는 음극상단접촉부(372), 상기 음극프로브몸체(371)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전극홀더(3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130)에 접촉하는 음극하단접촉부(373)를 포함할 수 있다. Likewise, the cathode probe (370) may include a cathode probe body (371) inserted into the cathode probe hole (317), a cathode upper contact portion (372)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thode probe body (371) and contacting the cathode plate (350), and a cathode lower contact portion (373)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thode probe body (371) and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holder (310) and contacting the substrate (130).
또한, 상기 음극프로브(370)는 상기 음극프로브몸체(371) 상부와 상기 음극상단접촉부(372) 사이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음극상단탄성부재(374)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thode probe (370) may include a cathode upper elastic member (374)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cathode probe body (371) and the cathode upper contact portion (372) to provide upward elasticity.
그러면, 상기 음극상단접촉부(372)는 상기 음극상단탄성부재(374)에 의해 상기 음극플레이트(350)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Then, the cathode upper contact portion (372) can stably contact the cathode plate (350) by the cathode upper elastic member (374).
또한, 상기 음극프로브(370)는 상기 음극프로브몸체(371) 하단과 상기 음극하단접촉부(373) 사이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음극하단탄성부재(37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음극하단접촉부(373)는 상기 음극하단탄성부재(375)에 의해 상기 기판(130)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hode probe (370) may include a cathode lower elastic member (375)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athode probe body (371) and the cathode lower contact portion (373) to apply elastic force downward. Then, the cathode lower contact portion (373) can stably contact the substrate (130) by the cathode lower elastic member (375).
상기 음극상단탄성부재(374)와 상기 음극하단탄성부재(375)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 cathode upper elastic member (374) and the above cathode lower elastic member (375) may use springs.
상기 음극프로브(370)는 상기 기판(130)과 상기 음극플레이트(3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극프로브몸체(371), 상기 음극상단접촉부(372) 및 상기 음극하단접촉부(373)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 예를 들어, 구리 또는 금도금이 된 메탈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음극상단접촉부(372)와 상기 음극하단접촉부(373)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 예를 들어, 구리 또는 금도금이 된 메탈소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프로브몸체(371)에는 상기 음극상단접촉부(372)와 상기 음극하단접촉부(37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376)이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cathode probe (370)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ubstrate (130) and the cathode plate (350). For example, the cathode probe body (371), the cathode upper contact portion (372), and the cathode lower contact portion (373)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a copper or gold-plated metal material. Alternatively, the cathode upper contact portion (372) and the cathode lower contact portion (373)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a copper or gold-plated metal material, and the cathode probe body (371) may be provided with a wire (376)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cathode upper contact portion (372) and the cathode lower contact portion (373).
한편, 상기 양극플레이트(340)와 상기 음극플레이트(350)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높이차를 두고 상기 커버(330)에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can be fixed to the cover (330) with a height difference so that they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커버(330)에는 서로 높이차가 발생하는 단턱부(333)와 안착홈(334)이 형성되고, 상기 양극플레이트(340)와 상기 음극플레이트(35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단턱부(333)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안착홈(334)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ver (330) may be formed with a step portion (333) and a fixing groove (334)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may be fix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tep portion (333), and the other may be fixed in a state secured in the fixing groove (334).
도 1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333)는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34)은 상기 단턱부(333)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홈(334)에는 상기 안착홈(334)에 안착하는 양극플레이트(340) 또는 음극플레이트(3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블럭(335)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step portion (333)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the cover, the fixing groove (334)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tep portion (333), and the fixing groove (334)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block (335) for fixi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or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to be fixed in the fixing groove (334).
또한, 상기 안착홈(334)에 안착하는 양극플레이트(340) 또는 음극플레이트(350)는 상기 안착홈(334)의 형상에 형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or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that is seated in the above-mentioned seating groove (334) may have a shape that conforms to the shape of the above-mentioned seating groove (334).
또한, 상기 단턱부(333)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양극플레이트(340) 또는 음극플레이트(350)는 접촉방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or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that is fixed in a supported state on the above-mentioned step portion (333) may have a contact prevention hole formed therein.
예를 들어,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음극플레이트(350)는 상기 단턱부(333)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양극플레이트(340)는 상기 안착홈(334)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 상기 음극플레이트(350)에는 상기 양극프로브(360)가 상기 음극플레이트(35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접촉방지홀(353)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is fix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tep portion (333)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is fixed in a stat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334), a contact prevention hole (353) may be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to prevent the positive electrode probe (360) from contacting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반대로, 상기 양극플레이트(340)는 상기 단턱부(333)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음극플레이트(350)는 상기 안착홈(334)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 상기 양극플레이트(340)에는 상기 음극프로브(370)가 상기 양극플레이트(35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접촉방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is fix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tep portion (333)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50) is fixed in a stat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334), a contact preven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40) to prevent the negative electrode probe (370) from contacti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50).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300)은 상기 커버(33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구동부(101)에 결합고정되는 브래킷(304)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de module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acket (304)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330)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unit (101).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극모듈(300)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갭센서(307)가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lectrode module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t least three gap sensors (307).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극모듈(300)의 밑면이 상기 기판(13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갭센서(307)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10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01) based on detection by the gap sensor (307)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300) i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130).
상기 전극홀더(310)에는 상기 갭센서(307)가 삽입하는 갭센서홀(318)과, 상기 유입구(312)와 상기 배출구(313)를 연결하는 연결유로(3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홀더(310)의 밑면에는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가 적어도 2개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holder (310) may be formed with a gap sensor hole (318) into which the gap sensor (307) is inserted, and a connecting passage (314) connecting the inlet (312) and the outlet (313), and at least two electrode alignment marks (14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holder (310).
상기 전극(320)은 상기 고정홈(316)에 부착고정되는 pt sheet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홈(316)은 상기 부착된 pt sheet의 밑면이 상기 전극홀더(310)의 밑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320) may be a PT sheet that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316), and the fixing groove (316) may be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attached PT sheet is level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holder (310).
또한, 상기 유입구(312)는 상기 전극홀더(31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13)는 상기 전극홀더(310)의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nlet (312)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electrode holder (310), and the outlet (313)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lectrode holder (310).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FIG. 19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FIG. 19.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럭(400)과, 상기 클리닝블럭을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4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4구동부(40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을 클리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9 and 20, an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leaning block (400) for cleaning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a fourth driving unit (402) for moving the cleaning block,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402) to clea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예를 들어,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상기 배스(120)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4구동부(402)는 상기 클리닝블럭(400)을 전후방,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클리닝블럭(400)이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을 클리닝하도록 상기 제4구동부(40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eaning block (400)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bath (120), and the fourth driving unit (402)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cleaning block (40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vertically, and the control unit (11)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402) so that the cleaning block (400) moves betwee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cleans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다른 실시 예로, 도 1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4구동부(402)는 상기 클리닝블럭(400)을 전방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에 의한 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9, the fourth driving unit (402) may be configured as a cylinder that moves the cleaning block (400) horizontally forward, and the cylinder may be operated by air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109).
또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클리닝블럭(400)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판(130)의 상부 클리닝이 가능한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ylinder may be provided at a height that enables cleaning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130) when the cleaning block (400) moves horizontally forward.
여기서, 상기 클리닝이 가능한 높이는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밑면 높이가 상기 기판(130)의 상면 높이와 동일한 높이일 수 있으며, 상기 높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으로부터의 높이일 수 있다. Here, the height at which cleaning is possible may be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block (400) being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130), and the height may be the height from the base frame (111).
그러면,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상기 제4구동부(402)에 의한 수평이동만으로도 상기 전극(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을 클리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제4구동부(402)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Then, since the cleaning block (400) can clean the electrod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only by horizontal movement by the fourth driving unit (402),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402) can be simplified.
예를 들어, 상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극모듈(300)을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두께만큼 상기 기판(130)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상기 제4구동부(402)를 작동시키면,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자동적으로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을 클리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10) operates the fourth driving unit (402) after spacing the electrode module (300) away from the substrate (130) by 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block (400), the cleaning block (400) can automatically move betwee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to clea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일반적으로, 상기 기판(130) 상에 프린팅 공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에는 전해액이 묻어 있게 되므로,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상기 기판(130)와 상기 전극모듈(300)에 묻어 있는 전해액을 클리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general, after a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substrate (130),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are covered with electrolyte, so the cleaning block (400) can be configured to clean the electrolyte covered o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예를 들어,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에 묻어있는 전해액을 흡수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스폰지 또는 러버(rubber)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클리닝블럭(400)이 스폰지 또는 러버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전해액 이외의 이물질도 클리닝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cleaning block (400) may be composed of a sponge or rubber capable of absorbing or removing the electrolyte remaining o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Of course, even if the cleaning block (400) is composed of a sponge or rubber, it is possible to clean foreign substances other than the electrolyte.
또한,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하부에는 가이드볼(40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스(120)에는 상기 가이드볼(403)을 지지하는 지지벽(12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수평이동시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uide ball (403)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block (400), and a support wall (127) for supporting the guide ball (403) may be provided at the bath (120). Then, sagging of the cleaning block (400) can be prevented when the cleaning block (400) moves horizontally.
또한, 상기 클리닝블럭(400)이 스폰지 또는 러버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브래킷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이드볼(403)은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block (400) is made of sponge or rubber, the cleaning block (400) can be fixed to a bracket, and at this time, the guide ball (403) can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racket.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에 묻은 전해액을 블로윙하거나 셕션하는 방식으로 클리닝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leaning block (400) may be configured to clea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by blowing or suctioning the electrolyte.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리닝블럭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2에 따른 클리닝블럭의 분해사시도이다.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clean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block according to Fig. 22.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클리닝블럭(400)은 상기 진공펌프(108) 또는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에 연결되는 연결관(401)이 결합하는 결합홀(404)과, 상기 결합홀(404)에 연결되는 내부유로(405)와, 상기 내부유로(405)를 외부와 연결하는 배기홀(406)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1 and 22, the cleaning block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upling hole (404) to which a connecting pipe (401)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108) or the air compressor (109) is coupled, an internal flow path (405)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404), and an exhaust hole (406) connecting the internal flow path (405) to the outside.
그러면, 상기 배기홀(406)을 통해 외부로 상기 진공펌프(108)의 진공압력이 발생하여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에 묻어있는 전해액 등의 이물질이 셕션되거나, 상기 배기홀(406)을 통해 외부로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의 공압이 발생하여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에 묻어있는 전해액 등의 이물질이 블로윙되면서,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은 클리닝될 수 있다.Then,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108) is generated externally through the exhaust hole (406) to suction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electrolyte stuck to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or the air pressure of the air compressor (109) is generated externally through the exhaust hole (406) to blow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electrolyte stuck to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thereby cleaning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상기 결합홀(404)은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유로(405)는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내부에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기홀(406)은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joining hole (404)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cleaning block (400), the internal flow path (405) may be formed lo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leaning block (400) inside the cleaning block (400), and the exhaust hole (406)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leaning block (400).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하나의 블럭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상기 전극모듈(300)을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블럭(410)과, 상기 기판(130)을 클리닝하는 제2클리닝블럭(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leaning block (400) may be provided as a single block, bu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leaning block (400) may include a first cleaning block (410) for cleaning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a second cleaning block (420) for cleaning the substrate (130).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의 제1결합홀(414)은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의 제1내부유로(415)는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의 내부에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의 제1배기홀(416)은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 상부에 위치하는 전극모듈(300)을 클리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hole (414) of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415) of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inside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and the first exhaust hole (416) of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so as to be able to clean the electrode module (300) located above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의 제2결합홀(424)은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의 제2내부유로(425)는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의 내부에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의 제2배기홀(426)은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판(130)을 클리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hole (424) of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the second internal flow path (425) of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inside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and the second exhaust hole (426) of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so as to be able to clean the substrate (13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상기 제1결합홀(414)은 상기 진공펌프(108) 또는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결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결합홀(424)도 상기 진공펌프(108) 또는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hole (414) can be coupled with a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108) or the air compressor (109), and similarly, the second coupling hole (424) can be coupled with a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108) or the air compressor (109).
다만, 상기 제1배기홀(416)은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의 상단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1결합홀(414)이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의 연결관과 결합하면,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의 공압에 의해 상방으로 블로윙이 발생하면서 전해액이 넓게 비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홀(414)은 상기 진공펌프(108)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411)과 결합하여 상기 진공펌프(108)의 진공압력에 의한 셕션으로 상기 전극모듈(300)을 클리닝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exhaust hole (416) is formed at the top of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when the first coupling hole (414) is coupled with the connection pipe of the air compressor (109),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electrolyte is widely scattered as upward blowing occurs due to the air pressure of the air compressor (109). Therefo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coupling hole (414) is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ipe (411)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108) so that the electrode module (300) can be cleaned by suction due to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108).
이때, 상기 제2 결합홀(424)은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421)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홀(426)은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의 하단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2결합홀(424)이 상기 제2연결관(421)과 결합하더라도,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의 공압에 의한 블로윙이 하방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전해액이 비산하는 문제는 크지 않은 반면,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의 공압에 의한 블로윙과 상기 진공펌프(108)의 진공압력에 의한 셕션 모두를 이용할 수 있어서, 클리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hole (424) can be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ipe (421)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109). Since the second exhaust hole (426)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even if the second coupling hole (424) is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ipe (421), the blowing by the air pressure of the air compressor (109) occurs downward, so the problem of the electrolyte scattering is relatively small, while both the blowing by the air pressure of the air compressor (109) and the suction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108) can be utilized, so that the cleaning effect can be maximized.
또한,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과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클리닝블럭(410)과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커넥터블럭(419)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block (400) may include a connector block (419)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and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to firmly fix the first cleaning block (410) and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또한,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클리닝블럭(420)에는 상기 제4구동부(402)에 결합하는 결합부(427)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cleaning block (420) located at the rear of the cleaning block (40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427) coupled to the fourth driving part (402).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4는 격벽프레임이 배스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격벽프레임이 기판지지부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lkhead frame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a bath, and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lkhead frame is positioned above a substrate support portion.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전극모듈(300)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320)이 침지되는 공간(451)을 형성하는 격벽(452)이 구비되는 격벽프레임(450)과, 상기 격벽프레임(450)을 이동시키는 제5구동부(4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격벽(452)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5구동부(4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3 to 25, an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rtition frame (450) having a partition wall (452) that forms a space (451) in which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320) are immersed by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a fifth driving unit (470) that moves the partition wall frame (450),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fth driving unit (470) so that the partition wall (452) is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예를 들어, 도 2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5구동부(470)는 상기 격벽프레임(450)을 전방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에어컴프레셔(109)에 의한 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3, the fifth driving unit (470) may be configured as a cylinder that moves the bulkhead frame (450) horizontally forward, and the cylinder may be operated by pneumatic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109).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프린팅 공정시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의 간격은 대략 200마이크로미터 정도 수준으로 그 간격이 매우 작기때문에, 상기 전극모듈(300)의 배출구(313)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서도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310)은 침지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와 같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별도의 격벽(452)을 설치하여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320)이 상기 전극모듈(300)의 배출구(313)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침지가 용이하도록 할수도 있다. In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during the printing process is very small, at about 200 micrometers, so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310) can b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13) of the electrode module (300). However, as in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separate partition wall (452)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to facilitate the immersion of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320)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13) of the electrode module (300).
이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와 같이, 상기 격벽(452)은 상기 배스(120) 후방에 위치하다가 프린팅 공정시에만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상기 격벽(452)이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프린팅 공정 외의 공정 예를 들면, 기판고정 공정, 기판과 전극모듈의 정렬 공정, 클리닝 공정 등과 같은 다른 공정시 많은 방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as in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wall (452)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bath (120) and to move forward only during the printing proces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If the partition wall (452) is fix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it may cause significant interference during other processes, such as a substrate fixing process, a substrate and electrode module alignment process, a cleaning process, etc., other than the printing process.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5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다.Fig. 2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fth dri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5구동부(470)는 상기 격벽프레임(450)을 전후방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the fifth driving unit (4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the bulkhead frame (45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격벽프레임(45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이동가이드프레임(463)과, 상기 수직이동가이드프레임(463)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가이드프레임(465)을 포함하고, 상기 제5구동부(470)는 상기 수직이동가이드프레임(463)을 전후방 수평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472)와, 상기 격벽프레임(450)을 수직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47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n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rtical movement guide frame (463) that guides vertical movement of the partition frame (450), and a horizontal movement guide frame (465) that guides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rtical movement guide frame (463), and the fifth driving unit (470) may include a horizontal driving unit (472) that horizontally moves the vertical movement guide frame (463) forward and backward, and a vertical driving unit (474) that vertically moves the partition frame (450).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평구동부(472)와 상기 수직구동부(474)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격벽(452)을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driving unit (472) and the vertical driving unit (474), so that when the partition wall (452) is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는 상기 기판(130)이 놓여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5구동부(450)가 상기 격벽프레임(450)을 수평이동만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면, 상기 격벽프레임(450)이 수평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판(130)에 걸리게 되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면에 밀착시키기 어렵다.Since the substrate (13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as in the above embodiment, if the fifth driving member (450) is configured to only allow the partition frame (450) to move horizontally, the partition frame (450) gets caught on the substrate (130) when moving horizontally, making it difficult to adher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다. Fig. 2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프린팅 공정시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상기 격벽(252)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프린팅 공정 이후에는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 클리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osition the partition wall (252) on top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during the printing process, and can be configured to enable cleaning of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after the printing process.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럭(400)과, 상기 클리닝블럭(400)을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402)와, 상기 전극모듈(300)의 배출구(312)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320)이 침지되는 공간(451)을 형성하는 격벽(452)이 구비되는 격벽프레임(450)과, 상기 격벽프레임(450)을 이동시키는 제5구동부(4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클리닝블럭(400)이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제4구동부(40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격벽(452)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5구동부(4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leaning block (400) for cleaning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a fourth driving unit (402) for moving the cleaning block (400), a partition frame (450)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52) for forming a space (451) in which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320) are immersed by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12) of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a fifth driving unit (470) for moving the partition frame (450),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402) so that the cleaning block (400) moves betwee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The operation of the fifth driving unit (47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bulkhead (452) is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4구동부(402)는 상기 클리닝블럭(400)을 전방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실린더(402)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ourth driving unit (402) may be configured as a cylinder (402) that horizontally moves the cleaning block (400) forward.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100)는 상기 격벽프레임(450)과 상기 실린더(402)가 고정되는 브래킷(460)과, 상기 브래킷(56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이동가이드프레임(463)과, 상기 수직이동가이드프레임(463)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가이드프레임(465)을 포함하고, 상기 제5구동부(470)는 상기 수직이동가이드프레임(463)을 전후방 수평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472)와, 상기 브래킷(460)을 수직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474)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460) to which the bulkhead frame (450) and the cylinder (402) are fixed, a vertical movement guide frame (463) that guides vertical movement of the bracket (560), and a horizontal movement guide frame (465) that guides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rtical movement guide frame (463), and the fifth driving unit (470) may include a horizontal driving unit (472) that horizontally moves the vertical movement guide frame (463) forward and backward, and a vertical driving unit (474) that vertically moves the bracket (460).
그러면, 상기 클리닝블럭(400)과 상기 실린더(402)는 상기 격벽프레임(450)과 함께 수평이동되고 수직이동될 수 있어서, 상기 S-ECAM 프린팅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Then, the cleaning block (400) and the cylinder (402) can be mov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gether with the bulkhead frame (450), so tha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ECAM printing device (100) can be simplified.
또한, 상기 실린더(402)가 상기 격벽프레임(450)과 함께 상기 브래킷(460)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402)는 상기 격벽프레임(45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래킷(460)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ylinder (402) is fixed to the bracket (460) together with the bulkhead frame (450), the cylinder (402) can be fixed to the bracket (460)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ulkhead frame (450).
이때, 상기 실린더(402)가 상기 브래킷(460)에 고정되는 높이는 상기 클리닝블록(400)이 수평이동하는 경우 상기 격벽프레임(450)의 하부 클리닝이 가능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린더(402)는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상면이 상기 격벽프레임(450)의 밑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at which the cylinder (402) is fixed to the bracket (460) can be fixed at a height at which the lower part of the bulkhead frame (450) can be cleaned when the cleaning block (400) moves horizontally. For example, the cylinder (402) can be fixed at a height at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block (400) is locat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head frame (450).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직구동부(47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격벽프레임(450)의 밑면이 상기 전극모듈(300)의 밑면에 수평하도록 상기 격벽프레임(450)을 수직이동시킨 후, 상기 실린더(402)를 작동하여 상기 클리닝블럭(400)을 수평이동시키면, 상기 클리닝블럭(400)은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 사이를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기판(130)의 상부와 상기 전극모듈(300)의 하부 뿐만 아니라 상기 격벽프레임(450)의 하부도 동시에 클리닝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474) to vertically move the partition frame (450)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frame (450) is horizont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then operates the cylinder (402) to horizontally move the cleaning block (400), so that the cleaning block (400) can move horizontally betwee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simultaneously clean not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1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module (300), but also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frame (450).
또한,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하부에는 가이드볼(403)이 구비되고, 상기 배스(120)에는 상기 가이드볼(403)을 지지하는 지지벽(127)이 구비될 수 있음은,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a guide ball (403)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block (400), and a support wall (127) for supporting the guide ball (403) may be provided at the bath (120).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방법의 각 단계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for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Each step of the control method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10).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8 is a drawing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S-ECAM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S100)은 상기 제3구동부(15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배스(1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152)가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놓인 기판(130)을 가압하도록 하는 기판가압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8, a control method (S100) of an S-ECAM printing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bstrate pressurization step (S110)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153) so that the load (152)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th (120) presses the substrate (130) placed on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상기 기판가압 단계(S110)는 상기 기판지지부(200)에 형성된 근접센서(207)가 상기 기판(130)을 감지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The above substrate pressurizing step (S110) can be performed when the proximity sensor (207) formed on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detects the substrate (130).
상기 제어방법(S100)은, 상기 기판가압((S110) 단계 이후, 상기 기판(130)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108)를 작동하여 상기 기판지지부(200) 하부에 형성된 진공홀(201)을 통해 상기 기판(130)을 고정하는 기판고정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method (S100) may include a substrate fixing step (S120) in which, after the substrate pressurization step (S110), the vacuum pump (108) is operated while the substrate (130) is pressurized to fix the substrate (130) through a vacuum hole (20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200).
상기 제어방법(S100)은, 상기 기판고정 단계(S120) 이후, 상기 기판(1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3구동부(15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130)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기판가압 해제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method (S100) may include a substrate pressure release step (S130) that releases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substrate (13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153) after the substrate fixing step (S120) while the substrate (130) is fixed.
상기 제어방법(S100)은, 상기 기판가압 해제 단계(S130) 이후, 상기 제1구동부(101)와 제2구동부(107)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을 정렬시키는 정렬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method (S100) may include, after the substrate pressure release step (S130), an alignment step (S140)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0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07) to alig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상기 정렬 단계(S140)는 상기 전극모듈(300)에 구비된 갭센서(307)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10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모듈(300)의 밑면이 상기 기판(13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하는 전극모듈 레벨링 단계(S141)와, 상기 제2구동부(107)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40)에 구비된 카메라(142)가 상기 기판(130)에 형성된 기판 얼라인 마크(144)를 감지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40)을 이동시키는 기판 얼라인 마크 감지 단계(S142)와, 상기 제1구동부(10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142)가 상기 전극모듈(300)에 형성된 전극 얼라인 마크(145)를 감지하도록 상기 전극모듈(300)을 이동시키는 전극 얼라인 마크 감지 단계(S143)와, 상기 제1구동부(10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142)에 감지된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145)가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144)에 중첩하도록 상기 전극모듈(300)을 이동시키는 얼라인 마크 중첩 단계(S1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lignment step (S140) includes an electrode module leveling step (S141)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01) according to detection by the gap sensor (307) provided in the electrode module (300)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300) i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130), a substrate alignment mark detection step (S14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107) so that the camera (142)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140) moves the camera module (140) so that the camera detect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formed on the substrate (130), and an electrode alignment mark detection step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01) so that the camera (142) moves the electrode module (300) so that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formed on the electrode module (300) is detected. It may include a step (S143) and an alignment mark overlapping step (S144)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01) to move the electrode module (300) so that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145) detected by the camera (142) overlap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144).
상기 제어방법(S100)은, 상기 정렬 단계(S140) 이후, 상기 제1구동부(101)와, 상기 전원공급부(102)와, 상기 펌프(10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모듈(300)의 밑면에 형성된 전극(320)에 마주하는 상기 기판(130)의 소정영역에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키는 프린팅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method (S100) may include a printing step (S150) of, after the alignment step (S140),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01), the power supply unit (102), and the pump (104) to deposit metal ion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130) facing the electrode (32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300).
상기 프린팅 단계(S150)는 상기 제1구동부(10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320)의 간격이 기 설정된 초기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극모듈(300)을 하강시키는 초기간격 형성 단계(S151)와, 상기 펌프(10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103)에 저장된 전해액을 상기 전극모듈(300)에 형성된 유입구(312)로 공급하는 전해액공급 단계(S152)와,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320)이 상기 전극모듈(300)의 배출구(313)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10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320)에 마주하는 상기 기판(130)의 소정영역에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키는 전착 단계(S1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inting step (S150) may include an initial gap forming step (S151) of lowering the electrode module (30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01)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320) forms a preset initial gap, an electrolyte supply step (S152) of supplying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 to the inlet (312) formed in the electrode module (30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104), and an electrodeposition step (S153) of depositing metal ion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130) facing the electrode (32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02) while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320)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13) of the electrode module (300).
상기 기 설정된 초기 간격은 작업자가 상기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한 간격일 수 있다. The above preset initial interval may be an interval entered by the worker through the input unit (105).
상기 제어방법(S100)은, 상기 프린팅 단계 이후, 상기 제4구동부(40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클리닝블럭(400)이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모듈(300)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는 클리닝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method (S100) may include a cleaning step (S16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402) after the printing step to cause the cleaning block (400) to move between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module (300).
상기 클리닝 단계(S160)는 상기 진공펌프(108)와 상기 에어컴프레셔(10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above cleaning step (S160) can be performed by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vacuum pump (108) and the air compressor (109).
또한, 상기 제어방법(S100)은, 상기 제5구동부(4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130)과 상기 전극(320)이 전해액에 침지되는 공간(451)을 형성하는 격벽(452)이 상기 기판지지부(20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격벽(452)이 구비된 상기 격벽프레임(450)을 이동시키는 격벽형성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S100) may include a partition forming step (S170)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fth driving unit (470) to move the partition frame (450) provided with the partition (452) so that the partition (452) forming a space (451) in which the substrate (130) and the electrode (320)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is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unit (200).
상기 격벽형성 단계(S170)는 상기 정렬 단계(S140) 이전 또는 상기 프린팅 단계(S15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bulkhead formation step (S170) may be performed before the above-mentioned alignment step (S140) or before the above-mentioned printing step (S150).
또한, 상기 제어방법(S100)은, 상기 클리닝 단계(S160) 이전에, 상기 제1구동부(101)와 상기 제5구동부(4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모듈(300)과 상기 격벽프레임(450)이 상기 기판(13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전극모듈(300)과 상기 격벽프레임(450)을 수직이동시키는 간격형성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S100) may include a gap forming step (S180) for vertically moving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the partition frame (450) so that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the partition frame (450) are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130) by a preset gap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101) and the fifth driving unit (470) before the cleaning step (S160).
상기 기 설정된 간격은 상기 클리닝블럭(400)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일 수 있으며, 상기 간격형성 단계(S180)는 상기 전극모듈(300)이 상기 격벽(452)에 삽입되어 상기 전극모듈(300)의 밑면과 상기 격벽프레임(450)의 밑면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The above preset interval may be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block (400), and the interval forming step (S180)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electrode module (300) is inserted into the partition wall (452)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3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frame (450) are paralle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화학 전착에 의한 적층법(ECAM,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을 이용하여 기판에 금속원료를 선택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S-ECAM(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실시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AM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printing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epositing a metal raw material on a substrate using an electrochemical deposition-based lamination method (ECAM,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the embodiment thereof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all modifications that can be made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S-ECAM 프린팅 장치 110 : 제어부
120 : 배스(bath) 130 : 기판
200 : 기판지지부 300 : 전극모듈
400 : 클리닝블럭 450 : 격벽프레임100: S-ECAM printing device 110: Control unit
120: Bath 130: Board
200: substrate support 300: electrode module
400: Cleaning block 450: Bulkhead frame
Claims (18)
상기 배스에 구비되며, 상부에 기판이 놓이는 기판지지부;
전해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전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전극홀더와, 상기 전극홀더의 밑면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모듈;
상기 전극모듈을 움직이는 제1구동부;
상기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상기 기판을 음극(cathode)으로 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
전해액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해액을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기판에 형성된 기판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전극홀더에 형성된 전극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는 카메라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을 움직이는 제2구동부;
상기 전극모듈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이 침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격벽프레임;
상기 격벽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5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가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을 정렬시키며, 상기 전극과 상기 기판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전극홀더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극에 마주하는 상기 기판의 소정영역에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키며, 상기 격벽이 상기 기판지지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5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S-ECAM 프린팅 장치.bass;
A substrat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above bath and having a substrate placed on top;
An electrode module comprising an electrode holder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electrolyt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electroly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holder;
A first driving unit that moves the above electrode modul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using the electrode as an anode and the substrate as a cathode;
A storage unit where the electrolyte is stored;
A pump that supplies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inlet;
A camera module having a camera that detects a substrat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n electrod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electrode holder;
A second driving unit that moves the above camera module;
A partition frame having a partition wall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are immersed by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electrode module;
A fifth driving unit that moves the above bulkhead frame; and
An S-ECAM print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and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detected by the camera overlap each other to alig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a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while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electrode holder in a state where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deposit metal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facing the electrod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fth driving unit so that the partition wall is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한 후,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한 후, 상기 카메라에 인식된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가 서로 중첩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camera detect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then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camera detects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and then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and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recognized by the camera overlap each other, thereby aligning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상기 카메라모듈은 일측에 상기 카메라가 구비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단개구부와, 상기 몸통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내부에는 상기 상단개구부로 입사한 빛과 상기 하단개구부로 입사한 빛을 상기 카메라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빔스플리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amera module includes a body having the camera on one side, an upper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 lower opening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eam splitter is provided inside the body to reflect light incident through the upper opening an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ower opening toward the camera.
상기 상단개구부에는 상단조명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단개구부에는 하단조명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하단조명부는 온(on) 상기 상단조명부는 오프(off)시키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하단조명부는 오프(off) 상기 상단조명부는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upper opening is provided with an upper lighting unit, and the lower opening is provided with a lower lighting unit.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lower lighting unit and turns off the upper lighting unit when the camera detect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and turns off the lower lighting unit and turns on the upper lighting unit when the camera detects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상기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배스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지지부 상부에 놓인 기판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기판지지부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상기 기판지지부 상부에 놓인 기판을 고정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S-ECAM prin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ssurizing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th and pressurizing a substrate placed on top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and a vacuum pump that fixes the substrate placed on top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through a vacuum hole formed in the substrate support unit.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스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rod)와, 상기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기판을 가압하도록 하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In paragraph 5,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izing unit includes a rod rotat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th, and a third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rod to pressurize the substr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In paragraph 5,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vacuum pump to fix the substrate while the substrate is pressurized by the pressurizing unit.
상기 전극모듈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갭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모듈의 밑면이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갭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lectrode module is equipped with at least three gap sensors,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based on detection by the gap sensor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i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럭과, 상기 클리닝블럭을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리닝블럭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제4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AM printing device includes a cleaning block for cleaning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and a fourth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leaning block.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so that the cleaning block moves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상기 S-ECAM 프린팅 장치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럭; 및
상기 클리닝블럭을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리닝블럭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제4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AM printing device
A cleaning block for cleaning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and
Including a fourth driving unit that moves the above cleaning block;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so that the cleaning block moves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상기 기판이 가압된 상태에서 진공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기판지지부 하부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고정 단계;
상기 기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3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기판가압 해제 단계;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과 전극모듈을 정렬시키는 정렬 단계;
상기 제1구동부와, 전원공급부와,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모듈의 밑면에 형성된 전극에 마주하는 상기 기판의 소정영역에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키는 프린팅 단계; 및
제4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클리닝블럭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모듈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는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고,
제5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이 전해액에 침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이 상기 기판지지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격벽이 구비된 격벽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격벽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형성 단계는 상기 정렬 단계 이전 또는 상기 프린팅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 A substrate pressurizing ste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so that a load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th presses a substrate placed on top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A substrate fixing step of operating a vacuum pump while the substrate is pressurized to fix the substrate through a vacuum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bstrate support member;
A substrate pressure release step for releasing the pressure state of the substrat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while the substrate is fixed;
An alignment step for aligning the substrate and electrode modul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 printing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ump to deposit metal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facing the electrod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and
A cleaning ste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ourth driving unit to move the cleaning block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module;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forming step of moving a partition frame provided with the partition so that the partition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is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support par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fth driving unit,
A control method for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bulkhead forming step is performed before the above-mentioned alignment step or before the above-mentioned printing step.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클리닝 단계 이전에,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5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모듈과 상기 격벽프레임이 상기 기판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전극모듈과 상기 격벽프레임을 수직이동시키는 간격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In paragraph 12,
A control method for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method includes a gap forming step of vertically moving the electrode module and the partition frame so that the electrode module and the partition frame are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by a preset gap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fifth driving unit before the cleaning step.
상기 정렬 단계는,
전극모듈에 구비된 갭센서의 감지에 따라 제1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모듈의 밑면이 상기 기판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하는 전극모듈 레벨링 단계;
제2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카메라모듈에 구비된 카메라가 상기 기판에 형성된 기판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을 이동시키는 기판 얼라인 마크 감지 단계;
상기 제1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극모듈에 형성된 전극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도록 상기 전극모듈을 이동시키는 전극 얼라인 마크 감지 단계; 및
상기 제1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전극 얼라인 마크가 상기 기판 얼라인 마크에 중첩하도록 상기 전극모듈을 이동시키는 얼라인 마크 중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In paragraph 12,
The above sorting step is,
An electrode module leveling ste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first driving unit based on detection by a gap sensor provided in the electrode modul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i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A substrate alignment mark detection ste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to move the camera module so that the camera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detects a substrat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substrate;
An electrode alignment mark detection ste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to move the electrode module so that the camera detects an electrode alignment mark formed on the electrode module; and
A control method of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lignment mark overlapping ste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to move the electrode module so that the electrode alignment mark detected by the camera overlaps the substrate alignment mark.
상기 프린팅 단계는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의 간격이 기 설정된 초기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극모듈을 하강시키는 초기간격 형성 단계;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전해액을 상기 전극모듈에 형성된 유입구로 공급하는 전해액공급 단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전극이 상기 전극모듈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극에 마주하는 상기 기판의 소정영역에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전착시키는 전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In paragraph 12,
The above printing steps are
An initial gap forming step of lowering the electrode module by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forms a preset initial gap;
An electrolyte supply ste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to supply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inlet formed in the electrode module; and
A control method for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lectrodeposition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to deposit metal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bstrate facing the electrode while the substrate and the electrode ar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formed in the electrode module.
상기 클리닝 단계는 진공펌프와 에어컴프레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In paragraph 12,
A control method for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leaning step is performed by operating at least one of a vacuum pump and an air compressor.
상기 기판가압 단계는 상기 기판지지부에 구비된 근접센서가 상기 기판을 감지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 프린팅 장치의 제어방법.
In paragraph 12,
A control method for an S-ECAM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trate pressurizing step is performed when a proximity sensor provided in the substrate support detects the substrate.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67240A KR102848406B1 (en) | 2022-05-31 | 2022-05-31 | Printing apparatus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US18/995,878 US20250198032A1 (en) | 2022-05-31 | 2023-04-26 | S-ecam pr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PCT/KR2023/005675 WO2023234565A1 (en) | 2022-05-31 | 2023-04-26 | S-ecam pr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0250094900A KR20250114253A (en) | 2022-05-31 | 2025-07-14 | Electrochemical deposi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67240A KR102848406B1 (en) | 2022-05-31 | 2022-05-31 | Printing apparatus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50094900A Division KR20250114253A (en) | 2022-05-31 | 2025-07-14 | Electrochemical deposit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67270A KR20230167270A (en) | 2023-12-08 |
| KR102848406B1 true KR102848406B1 (en) | 2025-08-25 |
Family
ID=89166790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67240A Active KR102848406B1 (en) | 2022-05-31 | 2022-05-31 | Printing apparatus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20250094900A Pending KR20250114253A (en) | 2022-05-31 | 2025-07-14 | Electrochemical deposition apparatus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50094900A Pending KR20250114253A (en) | 2022-05-31 | 2025-07-14 | Electrochemical deposi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2) | KR102848406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38157B1 (en) * | 2020-12-22 | 2021-12-10 |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 Plating apparatus, pre-wet treatment method and cleaning treatment method |
| KR102392201B1 (en) * | 2020-12-21 | 2022-04-28 | (주)애니캐스팅 | 3D printing apparatus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with multi electrode modul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75203A (en) * | 1998-03-18 | 1999-10-15 | 윤종용 | Etching equipment |
| KR100662564B1 (en) * | 2004-08-19 | 2006-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lignment device |
| KR102206594B1 (en) * | 2014-02-21 | 2021-02-02 |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 Pressure module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substrate |
| KR102109375B1 (en) * | 2015-10-02 | 2020-05-12 |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 Device for aligning substrate |
-
2022
- 2022-05-31 KR KR1020220067240A patent/KR102848406B1/en active Active
-
2025
- 2025-07-14 KR KR1020250094900A patent/KR20250114253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92201B1 (en) * | 2020-12-21 | 2022-04-28 | (주)애니캐스팅 | 3D printing apparatus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with multi electrode module |
| KR102338157B1 (en) * | 2020-12-22 | 2021-12-10 |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 Plating apparatus, pre-wet treatment method and cleaning treatment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114253A (en) | 2025-07-29 |
| KR20230167270A (en) | 2023-12-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50114466A (en) | Electrochemical deposition apparatus | |
| KR20250114255A (en) | Printed circuit board deposition apparatus | |
| KR20250114254A (en) | Electrochemical deposition apparatus | |
| JP6934127B1 (en) | Plating equipment, pre-wet treatment method and cleaning treatment method | |
| JP6222145B2 (en) | Metal film forming apparatus and film forming method | |
| KR102491862B1 (en) | Leakage inspection method, leakage inspection apparatus, electroplating method, and electroplating apparatus | |
| TWI663684B (en) | Wafer processing system with chuck assembly maintenance module | |
| US20100200284A1 (en) | Substrate manufacturing apparatus,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ball-mounted substrate, and electronic component-mounted substrate | |
| KR102848406B1 (en) | Printing apparatus using selective electrochemic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 KR102188565B1 (en) | Display Panel Test Device | |
| KR100638411B1 (en) | Mount head and transfer head | |
| US20250198032A1 (en) | S-ecam pr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070187257A1 (en) | Electrolytic processing apparatus and electrolytic processing method | |
| JP6333065B2 (en) | Coating device | |
| KR102778048B1 (en) | S-ECAM printing apparatus for easy to clean | |
| JP6506244B2 (en) | Ball mounting device | |
| JP4147368B2 (en) | Mount head | |
| JP4415326B2 (en) | Ball mounting device | |
| JP7701815B2 (en) | Inspection Equipment | |
| JP2001007136A (en) |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transfer head | |
| JP4243745B2 (en) | Head and workpiece positioning device and positioning method | |
| KR20250047881A (en) | Liquid process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 |
| JPH1115469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ductive balls | |
| JP2004346345A (en) | Tool for measuring clearance between substrate and anode head, method for regulating clearance, and plating device | |
| JP2001316891A (en) | Solu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the energization of electrod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7-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