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40777B1 - Floating dock - Google Patents
Floating dock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40777B1 KR102840777B1 KR1020200076944A KR20200076944A KR102840777B1 KR 102840777 B1 KR102840777 B1 KR 102840777B1 KR 1020200076944 A KR1020200076944 A KR 1020200076944A KR 20200076944 A KR20200076944 A KR 20200076944A KR 102840777 B1 KR102840777 B1 KR 1028407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rail
- floating dock
- pair
- wheels
- foothol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플로팅 도크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벽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에 있어서, 수직벽의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부품 등의 이송 대상물을 적재 및 이송하는 크레인부 및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되 수직벽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마련되는 발판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A floating dock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loating dock may be provided including a floor surface that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a pair of vertical walls that are arrang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floor surface, at least one guide rail that extend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s, a crane section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loads and transports an object to be transported, such as a part, and a step section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forms a workspace for a worker, but is provided so as to be accessible and spaced from the vertical walls.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의 건조 또는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d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dock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construction or maintenance of floating structures of various sizes.
일반적으로 도크(Dock)는 선박 등의 부유식 구조물을 건조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 조선소 또는 항만 등에 건설되는 설비로서, 크게 드라이 도크(Dry dock)와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로 나뉜다.In general, a dock is a facility built in a shipyard or port to build or repair floating structures such as ships, and is broadly divided into a dry dock and a floating dock.
이중 플로팅 도크는 단면이 凹 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해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운용된다. 플로팅 도크는 내부에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하고, 밸러스트 탱크에 수용되는 배수의 저장량을 조절함으로써 해상에서의 부유 정도를 조절한다.The double-floating dock features a concave cross-section and operates while floating on the sea for efficient operation. The floating dock features multiple ballast tanks, and the amount of ballast water stored in the tanks is adjusted to control the degree of floating on the sea.
이러한 플로팅 도크는 육상에 건설되는 드라이 도크에 비해 건설비용 및 건설기간을 감축할 수 있으며, 선박의 건조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건조 또는 유지보수의 대상이 되는 선박의 폭과 높이에 따라 플로팅 도크의 폭과 높이가 상응하여야 하므로 선박의 크기에 따라 적용되는 플로팅 도크의 크기도 다양해져야 하며, 나아가 플로팅 도크에 선체 또는 블록을 탑재한 상태에서 중량의 부품이나 기계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각종 설비가 설치되는 공간이나, 작업자가 진입 도는 이동 가능한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se floating docks offer the advantages of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periods compared to dry docks built on land, and facilitating efficient shipbuild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However, because the width and height of the floating dock must be proportional to the width and height of the vessel being built or maintained, the applicable floating dock size must vary depending on the vessel's size. Furthermore, there is the need for additional space to accommodate various facilities capable of moving heavy parts or machinery while the hull or block is loaded onto the floating dock, as well as for workers to enter and move around.
본 실시 예는 부유식 구조물의 건조 또는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플로팅 도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floating dock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or maintenance work of a floating structure.
본 실시 예는 다양한 크기의 선체 또는 블록에 적용 가능한 플로팅 도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floating dock applicable to hulls or blocks of various sizes.
본 실시 예는 부유식 구조물의 건조 또는 유지보수에 요구되는 중량의 부품이나 기계장치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플로팅 도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floating dock capable of smoothly moving heavy parts or machinery required for construction or maintenance of a floating structure.
본 실시 예는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플로팅 도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aims to provide a floating dock that can stably secure a worker's work space.
본 실시 예는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 도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floating dock that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worke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벽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의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부품 등의 이송 대상물을 적재 및 이송하는 크레인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직벽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마련되는 발판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ating dock including a floor surface arranged horizontally and a pair of vertical walls arrang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floor surface may be provided, the floating dock including at least one guide rail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s, a crane unit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loads and transports an object to be transported such as a part, and a step unit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forms a workspace for a worker, and is provided to be able to approach and move away from the vertical walls.
발판부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바디프레임과, 일단이 각각의 상기 바디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벽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과,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며 상측면에 상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footrest may be provided including a plurality of body frames that are movably arranged on the guide rail,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each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frames and extending inwardly of the vertical wall, and a base plate that is arranged between a pair of support frames arranged on both sides and provides the work space on the upper side.
발판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단과 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확장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footing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expansion supports provided between the two ends of the base plate and the pair of support frames arranged on both sides thereof.
각각의 상기 확장지지대는 내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링크부재와, 외측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내측 단부가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외측 단부에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Each of the above expansion supports may be provide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link members each having an inner end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second link members each having an outer end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on the support frame, but having an inner end provided to be retractable into the outer end of each of the first link members.
상기 발판부는 각각의 상기 바디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구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휠과, 상기 제1 휠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제1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oothol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wheel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body frames and the guide rails to enable rolling movement, and a plurality of first driving devices for driving the first wheels.
크레인부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리어바디와, 상기 캐리어바디와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구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휠과, 상기 제2 휠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와, 상기 캐리어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 대상물이 탑재 및 지지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crane unit may be provided including a carrier body that is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guide rail, a plurality of second wheels that are provided between the carrier body and the guide rail to be movable in a rolling manner, a second driving device that drives the second wheels, and a hook that is connected to the carrier body and on which the transport object is loaded and supported.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는 부유식 구조물의 건조 또는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floating doc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or maintenance work of a floating structure.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는 다양한 크기의 선체 또는 블록에 적용할 수 있다.The floating doc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hulls or blocks of various sizes.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는 부유식 구조물의 건조 또는 유지보수에 요구되는 중량의 부품이나 기계장치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floating d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moothly move heavy parts or machinery required for construction or maintenance of a floating structure.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는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The floating doc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stably secure a working space for workers.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는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loating doc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workers.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부의 바디프레임이 가이드레일 상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부가 수직벽에 대해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부가 수직벽으로 접근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크레인부가 가이드레일 상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d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ure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frame of the foo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on a guide rail.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othol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paced apart from a vertical wall.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othol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pproaches a vertical wall.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an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on a guide rai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may omit portion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nd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d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10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의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벽(120)과, 수직벽(120)의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130)과,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며 부품 등의 이송 대상물이 적재되는 크레인부(150)와,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되 수직벽(120)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마련되는 발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floating d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loor surface (110) arranged horizontally, a pair of vertical walls (120) arrang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floor surface (110), a plurality of guide rails (130)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s (120), a crane part (150)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s (130) and loads objects to be transported, such as parts, and a foothold part (140)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s (130) and forms a workspace for a worker, but is provided to be able to approach and move away from the vertical walls (120).
바닥면(110)은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측에 선박(10)이 거치될 수 있으며, 바닥면(110)의 양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벽(120)이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플로팅 도크(100)는 단면의 형상이 凹 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측 공간에 건조 또는 유지보수 대상의 선박(10)이 거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닥면(110) 및 수직벽(120)의 내부에는 밸러스트(Ballast) 탱크가 복수개 마련된다.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플로팅 도크(100)를 침하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밸러스트 탱크 내부로부터 물을 배출시켜 플로팅 도크(100)를 부유시킬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110) is arranged horizontally at the bottom so that a ship (10) can be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a pair of vertical walls (120) arranged vertically can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110). As a result, the floating dock (100) has a concave cross-section, and a ship (10) to be built or maintained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ballast tanks are provided inside the bottom surface (110) and the vertical walls (120).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allast tanks to sink the floating dock (100), and conversely,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allast tanks to float the floating dock (100).
가이드레일(130)은 수직벽(120)의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복수개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30)에는 후술하는 발판부(140)의 제1 휠(145) 및 크레인부(150)의 제2 휠(152)이 구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발판부(140) 및 크레인부(150)가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필요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30)은 후술하는 발판부(140) 및 크레인부(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휠(145) 또는 제2 휠(152)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가이드홈(미도시)이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rail (130)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20), and a plurality of guide rails may be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wheel (145) of the footing part (140) and the second wheel (152) of the crane par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on the guide rail (130) to be able to roll, so that the footing part (140) and the crane part (150) can move to a required position along the guide rail (130). In addition, the guide rail (130) may have a guide groove (not shown)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30)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wheel (145) or the second wheel (152) is seated so as to stably support the footing part (140) and the crane par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prevent them from coming off.
발판부(140)는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며, 상측에 작업자가 직립하거나 각종 부품 또는 장치들이 지지되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발판부(140)는 플로팅 도크(100)에 적치되는 선박(10)의 너비 또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공간을 수직벽(120)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foothold (140) moves along the guide rail (130) and is provided to form a workspace on the upper side where a worker can stand upright or various parts or devices can be supported. In addition, the foothold (140) can be provided to enable the workspace to be approached and separated from the vertical wall (120)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vessel (10) loaded on the floating dock (100) or the worker's needs.
발판부(140)는 가이드레일(13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바디프레임(141)과, 일단이 각각의 바디프레임(1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벽(120)의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42)과, 가이드레일(130) 상에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2) 사이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143)와, 베이스플레이트(143)의 양단과 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2)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확장지지대(144)와, 각각의 바디프레임(141)과 가이드레일(130) 사이에 마련되어 구름 이동하는 복수의 제1 휠(145)과, 각각의 바디프레임(141)에 마련되어 제1 휠(145)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제1 구동장치(미도시)와, 가이드레일(130) 상에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프레임(141)에 각각 마련되어 한 쌍의 제1 구동장치의 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1 제어장치(미도시)와, 각각의 제1 구동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otrest (140) comprises a plurality of body frames (141) that are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guide rail (130),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42) that are rotatably connected at one end to each body frame (141) and extend toward the inside of the vertical wall (120), a base plate (143) that is supported between a pair of support frames (142) that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130), a pair of extension supports (144) that are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base plate (143)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142) that support it, a plurality of first wheels (145) that are provided between each body frame (141) and the guide rail (130) and that move in a rolling manner, a plurality of first driving devices (not shown) that are provided on each body frame (141) and drive the first wheels (145), and a pair of body frames (141) that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130). It may include a first control device (not shown) that independently controls the operation of a pair of first driving devices, and a first power device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first driving devices.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디프레임(141)이 가이드레일(130) 상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바디프레임(141)은 복수의 제1 휠(145)이 가이드레일(13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 및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구동장치와 제1 제어장치 및 제1 전원장치가 탑재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141)은 하나의 가이드레일(130) 상에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디프레임(141)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지지프레임(142)이 수직벽(120)의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가이드레일(130)이 수직벽(120)의 내측면에 3개 조를 이루어 마련되고, 바디프레임(141)은 하나의 가이드레일(130)에 한 쌍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이드레일(130)과 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디프레임(141)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dy frame (1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pported on a guide rail (130). 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body frames (141) may be provided and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wheels (145) can be rotatably received on the guide rail (130),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irst driving device, a first control device, and a first power device may be mounted. The body frames (141) may be arranged in pai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guide rail (130), and as shown in FIG. 2, a support frame (1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inside of a vertical wall (120) on the front of each body frame (141). Meanwhile, in FIG. 2, guide rails (130) are provided in groups of three on the inner surface of a vertical wall (120), and body frames (141) are provided in pairs on one guide rail (130), but the number of guide rails (130) and the pair of body frames (141) provided thereon may vary as needed.
바디프레임(141)은 복수의 제1 휠(145)이 가이드레일(130)의 상면 및 하면을 따라 구름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휠(145)은 각 바디프레임(141)에 탑재되는 제1 구동장치(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바디프레임(141)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구동장치는 모터, 각종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는 제1 전원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으며, 제1 전원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장치(미도시)는 제1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되, 각각의 제1 구동장치의 작동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발판부(140)가 수직벽(120) 또는 선박(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body frame (141)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30) by having a plurality of first wheels (145) roll al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rail (130). The plurality of first wheels (145) can rotate by receiving power from a first driving device (not shown) mounted on each body frame (141), thereby performing movement of the body frame (141). The first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motor and various gears. The first driving device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first power device (not shown), and the first power device may be formed of a rechargeable battery, etc.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device (not show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device, and independently controls the operating direction of each first driving device, so that the footrest (140) can approach and move away from the vertical wall (120) or the ship (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지지프레임(142)은 일단이 각각의 바디프레임(141)의 전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수직벽(120)의 내측 또는 선체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프레임(142)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이 후술하는 베이스플레이트(143)의 외측 단부 측에 각각 연결되어 베이스플레이트(14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142) may be rotatably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ront of each body frame (141), and may extend toward the inside of the vertical wall (120) or the hull side. Each support frame (142) may be extended in a bar shape,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base plate (143) described below,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base plate (143).
베이스플레이트(143)는 각 지지프레임(142)의 타단에 연결 및 지지되며, 최하단의 가이드레일(130)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디프레임(141) 및 이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4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43)는 상측면에 작업자가 직립하거나 각종 부품이나 장치가 지지되는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143)가 판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활한 배수를 위해 격자 형태의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ase plate (143) is connected and supported at the other end of each support frame (142), and can be provided between a pair of body frames (141) provided on the lowermost guide rail (130) and the support frames (142) connected thereto. The base plate (143) can form a work space on the upper side where a worker can stand upright or where various parts or devices are supported. In Fig. 3, the base plate (143)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a plate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o that shape, and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in a grid-like structure for smooth drainage.
발판부(140)가 수직벽(120) 또는 선체에 대해 접근 및 이격하는 동작에 따라, 베이스프레임의 양단과 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2) 사이에 확장 및 신축 동작하는 한 쌍의 확장지지대(144)가 마련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foothold (140) toward and away from the vertical wall (120) or the hull, a pair of expansion supports (144) that expand and contrac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ends of the base frame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142) arranged on both sides thereof.
각각의 확장지지대(144)는 내측 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143)의 양단에 각각 연결 및 지지되는 제1 링크부재(144a)와, 외측 단부가 지지프레임(142) 상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및 지지되며 내측 단부가 제1 링크부재(144a)의 외측 단부에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링크부재(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링크부재(144b)의 외측 단부는 지지프레임(142)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인입되되,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및 지지될 수 있다.Each expansion support member (144) may include a first link member (144a) whose inner end is connected and supported to each end of the base plate (143), and a second link member (144b) whose outer end is connected and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on the support frame (142) and whose inner end is provided so as to be insertable into the out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44a). To this end, the out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44b) may be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42), a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and supported by a rotational shaft.
제1 링크부재(144a)와 제2 링크부재(144b)는 외경을 달리함으로써, 제2 링크부재(144b)가 제1 링크부재(144a)의 내측에 인입 및 돌출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부재(144a)는 내부가 빈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되, 내경이 제2 링크부재(144b)의 외경에 상응하게 마련됨으로써 제2 링크부재(144b)가 제1 링크부재(144a)의 내측으로 인입됨으로써 축소되고, 제2 링크부재(144b)가 제1 링크부재(144a)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The first link member (144a) and the second link member (144b) may have different outer diameters, so that the second link member (144b) may be provided in a telescopic structure in which it is inserted and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144a). Specifically, the first link member (144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with an empty interior, but the inner diameter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link member (144b), so that the second link member (144b) may be reduc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144a), and may be expanded by being protruded from the first link member (144a).
이하에서는 발판부(14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operation of the footrest (140) is described.
도 4는 발판부(140)가 수직벽(120)에 대해 이격 또는 선체로 접근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발판부(140)가 수직벽(120)으로 접근 또는 선체에 대해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hold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wall (120) or approaches the hull,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hold (140) is approaching the vertical wall (120) or spaced apart from the hull.
도 4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를 갖는 선체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탑승하는 발판부(140)가 수직벽(12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선체에 보다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 제어장치는 각 바디프레임(141)에 마련되는 제1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하나의 가이드레일(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바디프레임(141)이 서로 접근하도록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로써 각 바디프레임(141)에 연결 및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42)이 펼쳐짐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43)가 수직벽(120)에 대해 이격되어 선체에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확장지지대(144)는 제2 링크부재(144b)의 내측 단부가 제1 링크부재(144a)의 외측 단부로 인입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43)의 이동에 대응하여 축소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performing work on a hull having a relatively small width, the step (140) on which the worker rides need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wall (120) so as to be closer to the hull. To this end, the first control devic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device provided in each body frame (141) so that a pair of body frames (141) installed on one guide rail (130) move inward so as to approach each other, and thereby the support frame (142)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each body frame (141) is spread out, so that the base plate (143)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wall (120) and approach the hull. At this time, the expansion support member (144) can be reduc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base plate (143) by having the inn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44b) inserted into the out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44a).
이와는 반대로, 도 5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큰 너비를 갖는 선체가 플로팅 도크(100)의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선체의 외면 형상에 따라 작업자가 탑승하는 발판부(140)를 수직벽(120)으로 접근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제어장치는 각 바디프레임(141)에 마련되는 제1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하나의 가이드레일(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바디프레임(141)이 서로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각 바디프레임(141)에 연결 및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42)이 접혀짐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43)가 수직벽(120)을 향해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확장지지대(144)는 제2 링크부재(144b)의 내측 단부가 제1 링크부재(144a)의 외측 단부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Conversely, referring to FIG. 5, when a hull having a relatively large width enters the inside of the floating dock (100) or when the step (140) on which the worker boards needs to approach the vertical wall (120) depending on the outer shape of the hull, the first control devic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device provided in each body frame (141) to move a pair of body frames (141) installed on one guide rail (130) outward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the support frame (142)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each body frame (141) is folded, so that the base plate (143) can approach the vertical wall (120). At this time, the expansion support member (144) can be expanded by causing the inn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44b) to protrude from the out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44a).
한편, 발판부(14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 제어장치는 각 바디프레임(141)에 마련되는 제1 구동장치의 작동방향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발판부(140)에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 대상위치를 향해 발판부(140)를 선체의 선수 측 또는 선미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제어장치는 제1 구동장치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거나,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제1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it is desir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foothold (140), the first control device can equally control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first driving device provided in each body frame (141). As a result, the foothold (140) can be moved toward the bow or stern of the hull toward the work target location while the worker is riding on the foothold (140). The first control device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device 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device based on an input signal from the worker.
크레인부(150)는 부품 또는 장치 등의 이송 대상물이 적재되며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송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The crane section (150) is provided to load objects to be transported, such as parts or devices, and move the objects to be transported to the required location.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크레인부(150)가 가이드레일(130) 상에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크레인부(150)는 가이드레일(13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리어바디(151)와, 캐리어바디(151)와 가이드레일(130) 사이에 마련되어 구름 이동하는 복수의 제2 휠(152)과, 캐리어바디(151)에 마련되어 제2 휠(152)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미도시)와, 캐리어바디(151)에 연결 및 지지되고 이송 대상물이 탑재 및 지지되는 후크(153)와, 제2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장치(미도시)와, 제2 구동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장치(154)를 포함할 수 있다.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ane par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a guide rail (130). Referring to FIG. 2 and FIG. 6, the crane part (150) may include a carrier body (151) that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guide rail (130), a plurality of second wheels (152) that are installed between the carrier body (151) and the guide rail (130) and move in a rolling manner, a second driving device (not shown) that is installed on the carrier body (151) and drives the second wheels (152), a hook (153) that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carrier body (151) and on which a transport object is loaded and supported, a second control device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device, and a second power device (154) that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driving device.
캐리어바디(151)는 복수의 제2 휠(152)이 가이드레일(13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 및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구동장치와 제2 제어장치 및 제2 전원장치(154)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바디(151)의 하측에는 후크(153)가 연결 및 지지될 수 있으며, 각종 부품 및 장치 등의 이송 대상물이 후크(153)에 걸려져 탑재 및 지지됨으로써, 캐리어바디(151)와 함께 목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arrier body (151) can accommodate and provide a plurality of second wheels (152) that can rotate on the guide rail (130),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cond driving device, a second control device, and a second power device (154) can be mounted. In addition, a hook (153) can be connect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rrier body (151), and objects to be transported, such as various parts and devices, can be hung on the hook (153) and mounted and supported, thereby moving to a target position together with the carrier body (151).
캐리어바디(151)는 복수의 제2 휠(152)이 가이드레일(130)의 상면 및 하면을 따라 구름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레일(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휠(152)은 캐리어바디(151)에 탑재되는 제2 구동장치(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캐리어바디(151)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구동장치는 모터, 각종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장치는 제2 전원장치(15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으며, 제2 전원장치(154)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장치(미도시)는 제2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캐리어바디(151) 및 후크(153)가 자동적으로 이동하거나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캐리어바디(151) 및 후크(153)를 작업 대상위치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The carrier body (151)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30) by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wheels (152) roll al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rail (130). The plurality of second wheels (152) can rotate by receiving power from a second driving device (not shown) mounted on the carrier body (151) to perform movement of the carrier body (151), and the second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motor and various gears. The second driving device can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a second power device (154), and the second power device (154) can be formed of a rechargeable battery, etc.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device (not shown)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device, thereby automatically moving the carrier body (151) and the hook (153) or moving the carrier body (151) and the hook (153) toward the work target position based on an input signal of a worker.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sole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플로팅 도크 110: 바닥면
120: 수직벽 130: 가이드레일
140: 발판부 141: 바디프레임
142: 지지프레임 143: 베이스플레이트
144: 확장지지대 145: 제1 휠
150: 크레인부 151: 캐리어바디
152: 제2 휠 153: 후크100: Floating dock 110: Floor surface
120: Vertical wall 130: Guide rail
140: Footrest 141: Body frame
142: Support frame 143: Base plate
144: Extension support 145: First wheel
150: Crane section 151: Carrier body
152: Second wheel 153: Hook
Claims (6)
상기 수직벽(120)의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30);
상기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며, 이송 대상물을 적재 및 이송하는 크레인부(!50); 및
상기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직벽(120)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마련되는 발판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140)는
상기 가이드레일(13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바디프레임(141)과, 일단이 각각의 상기 바디프레임(1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벽(12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42)과,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142) 사이에 마련되며 상측면에 상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143)를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In a floating dock (100) including a floor surface (110) arranged horizontally and a pair of vertical walls (120) arrang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floor surface (110),
At least one guide rail (130) formed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20);
A crane part (!50) that moves along the above guide rail (130) and loads and transports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nd
It includes a foothold (140) that moves along the above guide rail (130) and forms a workspace for the worker, but is provided so as to be accessible and separated from the vertical wall (120);
The above foothold (140)
A floating d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body frames (141) that are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above guide rail (130),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42) that are rotatably connected at one end to each of the body frames (141) and extending inwardly of the vertical wall (120), and a base plate (143) that is arranged between a pair of the support frames (142) arranged on both sides and provides the work space on the upper side.
상기 발판부(14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3)의 양단과 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142)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확장지지대(144)를 더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oothold (140)
A floating dock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expansion supports (144) provided between the two ends of the base plate (143)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142) arranged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확장지지대(144)는
내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3)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링크부재(144a)와, 외측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42) 상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내측 단부가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144a)의 외측 단부에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링크부재(144b)를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expansion support (144)
A floating d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link members (144a) whose inner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se plate (143), and a plurality of second link members (144b) whose outer ends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on the support frame (142), but whose inner ends are provided to be insertable into the outer ends of each of the first link members (144a).
상기 발판부(140)는
각각의 상기 바디프레임(141)과 상기 가이드레일(130) 사이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휠(145)과, 상기 제1 휠(145)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제1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In paragraph 4,
The above foothold (140)
A floating dock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wheels (145) that are arranged to be cloud-movable between each of the body frames (141) and the guide rails (130), and a plurality of first driving devices that drive the first wheels (145).
상기 크레인부(150)는
상기 가이드레일(13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리어바디(151)와, 상기 캐리어바디(151)와 상기 가이드레일(130) 사이에 마련되어 구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휠(152)과, 상기 제2 휠(152)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와, 상기 캐리어바디(151)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 대상물이 탑재 및 지지되는 후크(153)를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rane part (150)
A floating dock comprising a carrier body (151) that is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guide rail (130), a plurality of second wheels (152) that are provided between the carrier body (151) and the guide rail (130) to be movable in a rolling manner, a second driving device that drives the second wheels (152), and a hook (153) that is connected to the carrier body (151) and on which the transport object is loaded and suppor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76944A KR102840777B1 (en) | 2020-06-24 | 2020-06-24 | Floating d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76944A KR102840777B1 (en) | 2020-06-24 | 2020-06-24 | Floating dock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58528A KR20210158528A (en) | 2021-12-31 |
| KR102840777B1 true KR102840777B1 (en) | 2025-07-31 |
Family
ID=791776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76944A Active KR102840777B1 (en) | 2020-06-24 | 2020-06-24 | Floating doc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407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70233A (en) | 2022-06-10 | 2023-12-1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loating dock guide device |
| CN115158604B (en) * | 2022-07-05 | 2023-12-05 |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 Discrete jig fram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77486Y1 (en) * | 2004-12-03 | 2005-03-08 | 박민혜 | Guide Rail for Hoist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46905B1 (en) * | 2011-02-18 | 2013-03-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tructure for disassembling abandoned ship |
| KR20170124714A (en) | 2016-05-03 | 2017-11-1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hip or offshore floater manufacturing method on floating dock |
| KR101816698B1 (en) * | 2016-05-11 | 2018-01-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caffold apparatus for offshore plant |
| KR20200030196A (en) * | 2018-09-12 | 2020-03-2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Outside workbench for offshore structures |
-
2020
- 2020-06-24 KR KR1020200076944A patent/KR1028407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77486Y1 (en) * | 2004-12-03 | 2005-03-08 | 박민혜 | Guide Rail for Hois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58528A (en) | 2021-12-3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457357B2 (en) | Subsea wellbore operations vessel | |
| EP2823105B1 (en) | An offshore system comprising a rig and a cantilever | |
| KR102840777B1 (en) | Floating dock | |
| EP3204288B1 (en) | Subsea wellbore operations vessel | |
| KR100796628B1 (en) | Scaffolding device and scaffolding installation method for insulation system of cargo tank of LNC ship | |
| KR20110028302A (en) | Support platform for workers in charge of maintenance and manufacturing of vehicles | |
| US4111144A (en) | Ship's docking plant | |
| KR101141594B1 (en) | Balance keeping crane and vessel with the crane | |
| US6162003A (en) | Installation for storing objects, especially boats | |
| JP2001302182A (en) | Cargo handling method, swing device of lifting machine, and hanging jig | |
| WO2010096376A2 (en) |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 |
| KR102021981B1 (en) | Slip way apparatus for docking of ship | |
| KR101498212B1 (en) | Carrier for vessel building | |
| KR20180047118A (en) | ance model line moving and storage equipment using the same model line | |
| CN202283980U (en) | Slideway component, skid component, slideway and skid for moving ship | |
| JP3952800B2 (en) | Dock work unit | |
| JP2003341989A (en) | Movable working unit for dock | |
| KR102022097B1 (en) | Slip way apparatus for docking of ship, and method for docking in the slip way | |
| KR101459618B1 (en) | Semi-submersible heavy weight carrier | |
| GB2130987A (en) | Moving and setting a ship down on land | |
| CN115230882B (en) | A submersible deployment and recovery guide device | |
| KR101466888B1 (en) | Buoyancy casing moving method of Semi-submersible heavy weight carrier | |
| CN223279306U (en) | Material transfer device for shipbuilding | |
| EA026463B1 (en) | Laying ramp for laying a pipeline on the bed of a body of wa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aying ramp | |
| JP3385267B2 (en) | Overhead traveling cra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