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43629B1 - Exclusive device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 Google Patents

Exclusive device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43629B1
KR102843629B1 KR1020230068357A KR20230068357A KR102843629B1 KR 102843629 B1 KR102843629 B1 KR 102843629B1 KR 1020230068357 A KR1020230068357 A KR 1020230068357A KR 20230068357 A KR20230068357 A KR 20230068357A KR 102843629 B1 KR102843629 B1 KR 10284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ing
angle
ball
fitted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170193A (en
Inventor
남택민
Original Assignee
남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택민 filed Critical 남택민
Priority to KR102023006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43629B1/en
Publication of KR2024017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70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4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4362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실내외에서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한 다음 등을 기대고 누워 경추 부분과 등 근육을 이완시켜 스트레칭하거나, 코어 근육 강화나 좌우 신체의 균형을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specifically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which allows a user to adjust the angle to fit his or her body indoors or outdoors, lie down with his or her back against it, and stretch the cervical spine and back muscles by relaxing them, or perform exercises to strengthen core muscles or balan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Description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EXCLUSIVE DEVICE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EXCLUSIVE DEVICE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본 발명은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실내외에서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한 다음 등을 기대고 누워 경추 부분과 등 근육을 이완시켜 스트레칭하거나, 코어 근육 강화나 좌우 신체의 균형을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specifically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specifically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that allows a user to adjust the angle to fit his or her body indoors or outdoors, lie down with his or her back against it, and stretch the cervical spine and back muscles by relaxing them, or perform exercises to strengthen core muscles or balan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스트레칭은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인대를 늘려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근육 긴장과 통증을 줄이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며,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운동 수행, 운동 후 회복, 자세 개선, 부상 예방 등에 도움이 된다.Stretching improves flexibility by relaxing muscles or lengthening ligaments. It helps with exercise performance, recovery after exercise, improving posture, and preventing injuries by reducing muscle tension and pain,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reducing stress.

이러한 스트레칭은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이며, 탄력성 있는 스트레칭 밴드, 바닥에 쿠션을 제공하여 척추를 받쳐주는 요가 매트, 몸을 받치거나 도와주는 요가 블록, 근육을 마사지하고 이완하는데 사용되는 폼 롤러 등의 간단한 장비를 사용하여 어디서나 수행할 수 있다.These stretches are relatively easy to do and can be done anywhere using simple equipment such as elastic stretching bands, a yoga mat to cushion the floor and support the spine, a yoga block to support or assist the body, and a foam roller to massage and relax the muscles.

하지만, 스트레칭 도구를 이용하여 척추를 지지하고 안정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코어 근육을 강화하거나, 좌우 신체의 균등한 유지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수행하지는 못한다. 즉, 스트레칭 도구는 근육이나 인대의 이완을 위한 것으로서, 코어 근육을 강화하거나 신체의 좌우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함께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stretching tools do not strengthen the core muscles that support and stabilize the spine, nor do they allow for exercises that help maintain even left-right balance. In other words, stretching tools are designed to relax muscles and ligaments, and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strengthen core muscles or perform exercises that help maintain left-right balanc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추 부분과 등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과 코어 근육 강화나 좌우 신체의 균형을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performing stretching to relax the cervical spine and back muscles, and exercises to strengthen core muscles or balan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고 상단에 볼을 끼운 다음 등을 기대고 누워 경추 부분과 등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을 수행하거나, 또는 하단에 볼을 끼운 다음 사용자가 플랭크 자세를 취하거나 두 발로 올라서서 균형을 유지하여 코어 근육 강화나 신체의 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angle to fit his or her body, place the ball on top, lie down with his or her back against it, and perform stretching to relax the cervical spine and back muscles, or place the ball on the bottom, and then assume a plank position or stand on both feet to maintain balance, thereby strengthening the core muscles or performing balance exercises for the body.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Next, prior art inventions existing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explained, and then technical matters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achieve differently from the prior art inventions will be described.

먼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85362호(2017.12.28.)는 인체의 자기 무게의 중력과 기구의 슬라이딩 기능을 이용하여 쉽고, 깊게 그리고 안전하게, 코어 근육 즉 외복사근, 척추기립근, 장요근과 이상근 등 상 하체의 근육을 강화시켜 주거나 이완시켜 주는 운동 장치에 관한 선행발명이다.First,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85362 (December 28, 2017) is a prior invention regarding an exercise device that uses the gravity of the human body's own weight and the sliding function of the device to easily, deeply, and safely strengthen or relax the muscles of the upper and lower body, such as the external oblique muscles, erector spinae muscles, psoas major, and piriformis muscles.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134650호(2012.04.09.)는 발판부는 적어도 일측 단부에 지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받침부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서 상기 발판부의 지지부의 단부가 걸쳐져 발판부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요홈 형태로 된 제 1 받침단이 형성되어, 다리와 허리 스트레칭을 위하여 발판부의 양단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지지부들에 의해 그 자체로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음과 함께, 복수의 받침단이 형성된 받침부에 의해 발판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높이를 달리 배치하여 사용하는 스트레칭기구에 관한 선행발명이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134650 (April 9, 2012) is a prior invention regarding a stretching device in which a footrest is formed so that a support portion protrudes at at least one end, a support portion has a trapezoidal cross-section, and a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groove shape so that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footrest can be hung so that the footrest can be arranged inclinedly, and the footrest can be arranged inclinedly by the support portion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t both ends of the footrest for leg and waist stretching, and the user can easily arrange the footrest at different heights as needed by the suppor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하지만, 본 발명은 전용기구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경추 부분과 등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과 코어 근육을 강화하는 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절한 높이와 미끄러짐이 있는 슬라이더의 도움과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근육 강화 운동과 유연성 향상 운동을 수행하는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85362호, 및 허리와 허벅지 및 종아리근육의 스트레칭 및 자세 교정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적합한 높이로 간편하게 받침대에 대한 발판의 경사도를 선택하여 조정하는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134650호와 비교해 볼 때, 현저한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stretching to relax the cervical spine and back muscles and balance exercise to strengthen the core muscles through simple operation of a dedicated device, and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iguration when compared with the Korean Utility Model No. 0485362, which perform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flexibility improvement exercise using the help of a slider with an appropriate height and sliding ability and the force of gravity, and the Korean Patent No. 1134650, which allows the user to easily select and adjust the incline of the footrest relative to the support to an appropriate height in order to stretch the waist, thigh, and calf muscles and correct pos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실내외에서 스트레칭과 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perform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indoors and outdoor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고 상단에 볼을 끼운 다음, 등을 기대고 누워 경추 부분과 등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adjust the angle to fit his or her body, place a ball on top, lie down with his or her back against it, and perform stretching to relax the cervical spine and back muscles.

또한, 본 발명은 하단에 볼을 끼워 사용자가 플랭크 자세를 취하거나 두 발로 올라서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통해서 코어 근육을 강화하거나 신체의 좌우 균형을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that can strengthen core muscles or perform exercises for left-right balance of the body by inserting a ball into the bottom and having the user take a plank position or stand on both feet to maintain balance.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tasks that this embodiment seeks to accomplish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는, 하판부; 일 측을 구부려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 결합하는 것을 통해서 각도를 조절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판부의 저면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lower part; an upper part that adjusts an angle by bending one side and join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and at least one ball that is fit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r is fit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art.

또한,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는, 상기 상판부의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각도가 조절된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상기 볼을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에 기대고 누운 사용자의 등 부위와 맞닿은 상기 볼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등 부위의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각도가 조절된 상기 상판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경추 부위의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the upper part is adjusted, and the ball is fit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which the angle is adjusted, so that the back of the user who is lying down leaning against the upper part is stretched by the ball, and at the same time, the cervical part of the user is stretched by the upper part of which the angle is adjusted.

또한,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는, 상기 상판부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아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 그대로 위치되고, 상기 하판부의 저면에 상기 볼을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볼을 중심으로 상기 하판부의 양 측 저면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여 균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the upper part is not adjusted, so that it is positioned as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and the ball is fitted a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art, and the movement of the user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 prevents the bottom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from touching the floor, thereby allowing balance exercise to be performed.

또한, 상기 상판부는,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조절할 때 파지되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를 운반할 때 파지되는 제2 손잡이부; 상면 일 측단에 상기 제1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부의 각도가 조절될 때 일 측면이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기대고 누울 때 경추를 포함한 머리 부분이 위치되는 제1 지지부; 상면 일 측단에 상기 제2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기대고 누울 때 등 부분이 위치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handle part that is gripped when the angle of the upper part is adjusted; a second handle part that is gripped when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is carried; a first support part in which the first handle par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when the angle of the upper part is adjusted, and where the head including the cervical vertebrae is positioned when the user leans or lies down; a second support part in which the second handle par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where the back is positioned when the user leans or lies down; and at least one first hole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art so that the at least one ball is fitted into it.

또한,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저면 일 측과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일 측 사이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상판부의 일 측과 상기 하판부의 일 측 사이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각각은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결합부를 중심으로 구부러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one side of the lower plate portion; wherein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by a hinge,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bent arou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o adjust an angle.

또한, 상기 제1 홀은, 내측면이 내부 공간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상기 볼이 상기 제1 홀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in a round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so that the ball to be fitted can move on the first hole.

또한, 상기 하판부는, 각도 조절을 위해 구부러진 상기 상판부의 일 측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각도 조절용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하판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ngle adjustment groove in which one side of the upper part bent for angle adjustment is joined and supported; and at least one second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so that the at least one ball is fitted into it.

또한, 상기 각도 조절용 홈은,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깎아 형성된 수직면; 상기 수직면의 끝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하부로 가면서 점차 경사지게 깎아 형성되며, 각도 조절을 위해 결합되는 상기 상판부의 일 측면과 맞닿는 중앙 돌출면; 및 상기 중앙 돌출면의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경사지게 깎아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gle adjustment groov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vertical surface formed by cutt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 central protruding surface formed by gradually cutting downwards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vertical surface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upper plate that is coupled for angle adjustment; and an inclined surface formed by gradually cutting upwards from an end of the central protruding surface.

또한, 상기 각도 조절용 홈은,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하판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상기 상판부의 경사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gle adjustment groove is formed at least on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lope of the upper part decreases as it goes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또한, 상기 제2 홀은, 내측면이 내부 공간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상기 볼이 상기 제2 홀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in a round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so that the ball to be fitted can move on the second hol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고 상단에 볼을 끼운 후 등을 기대고 눕는 동작만으로 경추 부분과 등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perform stretching to relax the cervical spine and back muscles by simply adjusting the angle to fit his or her body, placing the ball on top, and lying down with his or her back against i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단에 볼을 끼운 다음 플랭크 자세를 취하거나 두 발로 올라서서 균형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코어 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좌우 신체의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elping to strengthen core muscles and maintain bal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odies by having the user perform balance exercises by placing a ball on the bottom and then assuming a plank position or standing on both feet.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를 펼친 상태의 전면과 배면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의 스트레칭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the front and back of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a stretching state of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exercise state for strengthening core muscles of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inventions that are retrograde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modifying, or deleting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However,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am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를 펼친 상태의 전면과 배면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의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respectively,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100)는 사용자가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각도 조절을 수행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근육 부분이나 경추 부분을 이완시켜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 user can perform stretching by easily relaxing the muscles or cervical spine while adjusting the angle to fit his or her body indoors or outdoors.

또한,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100)는 사용자가 별도의 각도 조절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코어 근육 강화를 포함한 신체의 균형을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100) can perform exercises for body balance, including strengthening core muscles, even without the user performing separate angle adjustment.

이를 위해서,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10), 하판부(120), 볼(130), 제1 결합부(140), 제2 결합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part (110), a lower part (120), a ball (130), a first connecting part (140), a second connecting part (150), etc., as shown in FIGS. 1 to 3.

상기 상판부(110)는 최소 2단의 접이식(예: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일 측을 구부려 상기 하판부(120)의 상면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upper part (110) is composed of at least two foldable parts (e.g., a first support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by the user bending one side and fitting it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120).

즉, 사용자가 등 부위의 근육이나 경추 부위를 스트레칭하고자 할 때, 자신의 신체 사이즈나 원하는 스트레칭 강도 조절을 위해 각도(즉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a user wants to stretch the muscles in the back or cervical region, the angle (i.e. height) can be adjusted to suit the user's body size or desired stretching intensity.

이때 상기 상판부(110)는 제1 손잡이부(111), 제2 손잡이부(112), 제1 지지부(113), 제2 지지부(114), 제1 홀(1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handle part (111), a second handle part (112), a first support part (113), a second support part (114), a first hole (115), etc.

상기 제1 손잡이부(111)는 상기 상판부(110)의 상면 일 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상판부(110)의 각도를 조절할 때 파지하는 부분이다.The above first handle portion (1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0) and is a portion that the user holds when adjusting the angl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0).

상기 제2 손잡이부(112)는 상기 제1 손잡이부(111)가 구비된 상기 상판부(110)의 상면 일 측의 대향되는 다른 일 측(즉 반대 방향)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110)를 운반할 때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handle portion (112)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i.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0) on which the first handle portion (111) is provided, and is configured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hold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110) when carrying it.

상기 제1 지지부(113)는 상면 일 측단에 상기 제1 손잡이부(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부(110)의 각도가 조절될 때 일 측면이 상기 하판부(1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지지된다.The first support portion (113) is provided with the first handle portion (111)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when the angl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0) is adjusted, one side is supported by being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20).

일 예로, 상기 제1 지지부(113)는 사용자의 각도 조절 조작에 의해 높이가 변경된 다음, 사용자가 기대고 누울 때, 경추를 포함한 머리 부분이 위치된다.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13) is changed by the user's angle adjustment operation, and then the head part including the cervical vertebra is positioned when the user leans or lies down.

상기 제2 지지부(114)는 상면 일 측단에 상기 제2 손잡이부(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기대고 누울 때, 등 부분이 위치된다.The second support member (114) is provided with the second handle member (112)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back is positioned when the user leans or lies down.

이때 상기 제2 지지부(114)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 길이가 상기 제1 지지부(113)의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누워서 기댈 때 등 부위가 보다 많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114) be formed so that the left-right length is longer than the left-right lengt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13) based on the drawing. This is to allow the back area to be in greater contact when the user lies down and leans back.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113)와 제2 지지부(114)는 제1 결합부(140)를 통해 상호간에 결합된다.Here, the first support member (113)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40).

상기 제1 홀(115)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130)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122)에 형성되며,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부(110)의 상면에 상기 볼(130)이 위치된다.The first hole (115)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so that at least one ball (130) can be fitted into it, and the ball (1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member (110) with reference to FIG. 1.

이때 상기 제1 홀(115)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이 내부 공간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 홀(115)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볼(130)이 상기 제1 홀(115) 상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hole (115) is formed so that the inner surface protrudes in a round shape toward the inner space, as illustrated in (b) of Fig. 2. In this way, the ball (130) fitted into the first hole (115) can move on the first hole (115).

또한, 상기 제1 홀(115)은 도면상에서 상기 상판부(110)의 중심 라인상에 2개를 형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기에서 설명할 상기 하판부(120)에 구비된 제2 홀(122) 역시 상기 제1 홀(115)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 하판부(120)의 중심 라인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hole (115) is described as having two holes formed on the center line of the upper part (110) in the dra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one or three or more. Similarly, the second hole (122) provided in the lower part (120) described below is also preferably formed on the center line of the lower part (12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holes (115).

한편, 상기 상판부(110)는 목재, 합성수지 등의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며, 판상의 사각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표면은 코팅 처리하여 물에 젖거나 벌레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판부(120) 역시 상기 상판부(110)와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판부(110)와 하판부(120)의 형상은 사각 형태 이외에 원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Meanwhile, the upper part (110) is formed of a solid material such as wood or synthetic resin, and is generally configured in a square plate shape. In addition, the surface can be coated to prevent it from getting wet or being contaminated by insects or foreign substances. In addition, the lower part (120) can also be configured with the same material and shape as the upper part (110),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pes of the upper part (110) and the lower part (12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to a square shape.

상기 하판부(120)는 일 측(예: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우측면)이 상기 제2 결합부(150)에 의해 상기 상판부(110)와 결합되며, 상기 상판부(110)의 일 측이 끼움 결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110) on one side (e.g., the right side based on FIGS. 2 and 3) by the second connecting part (150), and one side of the upper part (110) is fitted to support it.

이때 상기 하판부(120)는 각도 조절용 홈(121)과 제2 홀(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art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oove (121) for angle adjustment and a second hole (122).

상기 각도 조절용 홈(121)은 상기 하판부(120)의 일 측에 형성되어, 각도 조절을 위해 구부러진 상기 상판부(110)의 일 측(즉, 상기 제1 지지부(113)의 일 측)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above angle adjustment groove (1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120) so that one side of the upper plate (110) bent for angle adjustment (i.e.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113)) can be joined and supported.

이때 상기 각도 조절용 홈(121)은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판부(1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상기 각도 조절용 홈(121)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상판부(110)의 경사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angle adjustment grooves (121)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plate (110) fitted into the angle adjustment groove (121)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120) to the outer periphery.

또한, 상기 각도 조절용 홈(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121a), 중앙 돌출면(121b) 및 경사면(121c)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ngle adjustment groove (121) is composed of a vertical surface (121a), a central protruding surface (121b), and an inclined surface (121c), as shown in FIG. 3.

상기 수직면(121a)은 상기 하판부(120)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깎아 형성된다.The above vertical surface (121a) is formed by cutt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120).

상기 중앙 돌출면(121b)은 상기 수직면(121a)의 끝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하부로 가면서 점차 경사지게 깎아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 돌출면(121b)은 각도 조절을 위해 결합되는 상기 상판부(110)의 일 측면이 맞닿는 부분이다.The central protrusion surface (121b) is formed by gradually cutting downwards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121a). At this time, the central protrusion surface (121b) is a portion where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0) that is joined for angle adjustment comes into contact.

상기 경사면(121c)은 상기 중앙 돌출면(121b)의 끝단에서 사선으로 상부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경사지게 깎아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inclined surface (121c) is formed by gradually cutting it in an inclined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central protruding surface (121b)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제2 홀(122)은 상기 볼(130)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하판부(120)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130)은 도 2의 (b)를 기준으로 상기 하판부(120)의 저면에 끼움 결합된다.The second hole (122) is formed in the lower part (120) so that the ball (130) can be fitted into it. At this time, the ball (130) is fit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art (120) based on (b) of Fig. 2.

또한, 상기 제2 홀(122)은 상기 제1 홀(115)과 동일하게 내측면이 내부 공간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상기 볼(130)이 상기 제2 홀(122)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ole (122) is formed so that the inner surface protrudes in a rounded manner toward the inner space, similar to the first hole (115), so that the ball (130) that is fitted can move on the second hole (122).

상기 볼(130)은 상기 상판부(110)에 형성된 제1 홀(115)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판부(120)에 형성된 제2 홀(122)의 저면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홀(115) 및 제2 홀(122)의 수에 맞게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ball (130) is fit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le (115) formed in the upper plate (110), or fit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e (122) formed in the lower plate (120), and may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first hole (115) and the second hole (122).

상기 제1 결합부(140)는 도 2의 (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113)와 제2 지지부(114) 사이를 결합한다. 즉, 제1 결합부(140)를 통해 상기 제1 지지부(113)의 저면 일 측과 상기 제2 지지부(114)의 저면 일 측 사이를 결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113)는 상기 제1 결합부(140)를 중심으로 구부러져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0) connects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4), as shown in (a) of FIG. 2 and FIG. 3.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0) connects the bottom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 and the bottom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4).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 can be bent arou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0) to adjust the angle.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140)는 도면상에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1개씩 2개를 사용한 것을 예로 하였지만, 제품의 크기에 따라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3개 이상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0) is shown as an example of using two, one each f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drawing, bu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duct, only one or three or more may be used.

또한, 상기 제1 결합부(140)는 물론 하기 제2 결합부(150) 각각은 힌지로 구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의 부분을 상호 결합하는 방식 모두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below are described as being configured as hing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thod of connecting the two parts to each other can be applied.

상기 제2 결합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부(110)의 일 측과 상기 하판부(120)의 일 측 사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각도 조절을 수행할 때 상기 상판부(1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connects betwee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110) and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120), as shown in FIGS. 2 and 3, so that the user can lift the upper portion (110) when performing angle adjustm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의 스트레칭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a stretching state of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100)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단에 볼(130)을 끼운 다음, 등을 기대고 누워 경추 부분과 등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100) to fit his or her body, place the ball (130) on top, lie down with his or her back against it, and perform stretching to relax the cervical spine and back muscles.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 상판부(110)에 구비된 제1 손잡이부(111)를 파지한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상판부(110)의 제1 지지부(113) 일 측을 상기 하판부(120)의 각도 조절용 홈(121)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각도가 조절된 상기 상판부(110)의 상면에 상기 볼(130)을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상판부(110)에 기대고 누우면, 사용자의 등 부위와 맞닿은 상기 볼(130)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등 부위의 스트레칭이 이루어진다.For example, when a user adjusts the angle by holding the first handle portion (11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110) and fitting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 of the upper portion (110) into the angle adjustment groove (121) of the lower portion (120), and then fitting the ball (130)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10) whose angle has been adjusted, and then leaning against the upper portion (110) and lying down, the user's back is stretched by the ball (13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각도가 조절된 상기 상판부(110)의 제1 지지부(113)와 상기 제2 지지부(114)의 각도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경추 부위가 젖혀져 경추 부위의 스트레칭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t the same time, the user's cervical region is bent by the angl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14) of the upper portion (110) whose angle is adjusted, thereby stretching the cervical reg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exercise state for strengthening core muscles of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100)의 하단에 볼을 끼운 다음,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통해서 코어 근육을 강화하거나 신체의 좌우 균형을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user can place a ball on the bottom of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100) and then perform exercises to strengthen core muscles or balan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by maintaining balance.

즉, 사용자가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100)를 통해서 플랭크 자세의 코어 운동을 수행할 때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그 이외에 두 발로 올라서서 균형을 잡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not only can the user correct his/her balance when performing core exercise in a plank position using the above-mentioned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100), but he/she can also perform an exercise of maintaining balance by standing on both feet.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 상판부(110)와 하판부(120)를 수평 상태로 그대로 위치(즉 상기 상판부(110)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은 상태)하고, 상기 하판부(120)의 저면에 상기 볼(130)을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상판부(110)의 상면에 팔꿈치와 손목 부분을 대고 수평 자세를 취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볼(130)을 중심으로 상기 하판부(120)의 양 측 저면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여 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a user positions the upper part (110) and lower part (120) in a horizontal position (i.e., the angle of the upper part (110) is not adjusted), fits the ball (130) o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art (120), and then places the elbow and wrist on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part (110) to assume a horizontal posture, the user can perform a balance exercise by preventing the bottom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120) from touching the floor with the ball (130) as the center through the user's movement.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고 상단에 볼을 끼운 후 등을 기대고 눕는 동작을 통해서 경추 부분과 등 근육의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tretch the cervical spine and back muscles by adjusting the angle to fit his or her body, placing the ball on top, and then lying down with his or her back against it.

또한, 본 발명은 하단에 볼을 끼운 후 플랭크 자세를 취하거나 두 발로 올라서서 균형을 잡는 동작을 통해서 코어 근육 강화나 좌우 신체의 균형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trengthen core muscles and maintain bal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by taking a plank position with a ball placed on the bottom or standing on both feet to maintain balance.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ed drawings briefly express or omit components that are not related to or have little to do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it is made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100 :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
110 : 상판부 111 : 제1 손잡이부
112 : 제2 손잡이부 113 : 제1 지지부
114 : 제2 지지부 115 : 제1 홀
120 : 하판부 121 : 각도 조절용 홈
122 : 제2 홀 130 : 볼
140 : 제1 결합부 150 : 제2 결합부
100: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equipment
110: Top part 111: First handle part
112: Second handle part 113: First support part
114: Second support 115: First hole
120: Lower part 121: Angle adjustment groove
122: 2nd hole 130: Ball
140: First joint 150: Second joint

Claims (10)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에 있어서,
하판부;
일 측을 구부려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 결합하는 것을 통해서 각도를 조절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상기 상판부의 각도를 조절할 때 파지되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를 운반할 때 파지되는 제2 손잡이부; 상면 일 측단에 상기 제1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부의 각도가 조절될 때 일 측면이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기대고 누울 때 경추를 포함한 머리 부분이 위치되는 제1 지지부; 상면 일 측단에 상기 제2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기대고 누울 때 등 부분이 위치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형성되되, 내측면이 내부 공간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상기 볼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홀;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는, 각도 조절을 위해 구부러진 상기 상판부의 일 측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각도 조절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에 구비된 상기 제1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상판부의 상기 제1 지지부 일 측을 상기 하판부의 상기 각도 조절용 홈에 끼움 결합하고, 각도가 조절된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상기 볼을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상판부에 기대고 눕는 것을 통해서 사용자의 등 부위와 맞닿은 상기 볼에 의해 사용자의 등 부위의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각도가 조절된 상기 상판부의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각도에 의해 사용자의 경추 부위가 젖혀져 경추 부위의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저면 일 측과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일 측 사이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상판부의 일 측과 상기 하판부의 일 측 사이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각각은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결합부를 중심으로 구부러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equipment,
lower part;
An upper plate that adjusts the angle by bending one side and joining i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t least one ball fit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upper part includes a first handle part that is gripped when the angle of the upper part is adjusted; a second handle part that is gripped when th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is carried; a first support part that has the first handle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when the angle of the upper part is adjusted, and where the head including the cervical vertebrae is positioned when the user leans or lies down; a second support part that has the second handle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where the back is positioned when the user leans or lies down; and at least one first hole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so that at least one ball is fitted therein, the inner surface of which protrudes roundly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so that the fitted ball can move.
The lower part includes an angle adjustment groove in which one side of the upper part, which is bent for angle adjustment, is joined and supported;
While holding the first handle provided on the upper part, the angle is adjusted,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of the upper part is fitted into the angle adjustment groove of the lower part, the ball is fit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which the angle is adjusted, and then the user's back is stretched by the ball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ack by leaning against the upper part and lying down,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s cervical region is bent by the angle of the first support part of the upper part of which the angle is adjusted and the second support part, thereby stretching the cervical region.
The above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equipment is,
It furth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betwee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betwee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one side of the lower plate portion;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each connected by a hinge,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can be bent arou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o adjust the ang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이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
In claim 1,
The above lower part,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hole formed to allow at least one ball to be fitted into the devi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용 홈은,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깎아 형성된 수직면;
상기 수직면의 끝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하부로 가면서 점차 경사지게 깎아 형성되며, 각도 조절을 위해 결합되는 상기 상판부의 일 측면과 맞닿는 중앙 돌출면; 및
상기 중앙 돌출면의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경사지게 깎아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
In claim 7,
The above angle adjustment groove is,
A vertical surface formed by cutt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A central protrusion formed by gradually cutting downwards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that is combined for angle adjustment; and
A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by gradually cutt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central protrusion surfa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용 홈은,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하판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상기 상판부의 경사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
In claim 8,
The above angle adjustment groove is,
A device exclusively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lope of the upper part decreases as it goes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은,
내측면이 내부 공간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상기 볼이 상기 제2 홀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전용기구.
In claim 7,
The above second hole is,
A device exclusively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formed to protrude in a round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so that the ball to be fitted can move on the second hole.
KR1020230068357A 2023-05-26 2023-05-26 Exclusive device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Active KR102843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357A KR102843629B1 (en) 2023-05-26 2023-05-26 Exclusive device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357A KR102843629B1 (en) 2023-05-26 2023-05-26 Exclusive device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70193A KR20240170193A (en) 2024-12-03
KR102843629B1 true KR102843629B1 (en) 2025-08-06

Family

ID=9384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357A Active KR102843629B1 (en) 2023-05-26 2023-05-26 Exclusive device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4362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54Y1 (en) * 2016-04-18 2016-12-08 문양규 Spinal curvature corr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7474A (en) * 1998-02-05 1999-04-27 Romero; Ron Richard Balancing and exercising device
KR102557814B1 (en) * 2021-04-14 2023-07-21 문양규 Assisting apparatus for balancing bod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54Y1 (en) * 2016-04-18 2016-12-08 문양규 Spinal curvature corr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70193A (en) 202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8670C2 (en) Multifunctional posture correction trainer
US9387363B1 (en) Ball and board balance training device
US7137926B2 (en) Foam roller
US7090628B2 (en) Exercise apparatus
EP2537564B1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US20140011649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ort when performing plank training exercis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KR101875338B1 (en) Safety Squat Training Machine to Protect Knee Joints
KR101946783B1 (en) Manual stretching exercise equipment
US20170319418A1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KR102843629B1 (en) Exclusive device for stretching and balance exercises
KR200485362Y1 (en) Exercise apparatus for Core muscle's strength and stretching
US11259986B1 (en) Reduced friction massage surfaces and exercise equipment
TW201729872A (en) Squatting and standing fitness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for training legs and lumbar strength
KR20080000998U (en) Parallel bars for indoor exercise
KR100953220B1 (en) Health promotion and height growth promotion exercise equipment
US20180193689A1 (en) Spine saver auxiliary support apparatus for bench press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556951B1 (en) Squatting exercise board
US20150335933A1 (en) Balance training apparatus
KR102615717B1 (en) Exercise Bed combined with Automatic and Semi-Automatic functions
JP7222572B1 (en) seesaw exercise equipment
JP7714553B2 (en) Handstand Training Device
JP7312339B1 (en) Seat-type seesaw exercise equipment
JP2003325698A (en) Waist part turning tool
KR102615718B1 (en) An Exercise Bed
KR102071359B1 (en) Movement apparatus for patient rehab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