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51837B1 - Sleeve tightening device - Google Patents
Sleeve tightening device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51837B1 KR102851837B1 KR1020230178761A KR20230178761A KR102851837B1 KR 102851837 B1 KR102851837 B1 KR 102851837B1 KR 1020230178761 A KR1020230178761 A KR 1020230178761A KR 20230178761 A KR20230178761 A KR 20230178761A KR 102851837 B1 KR102851837 B1 KR 102851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tightening
- elastic member
- frame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매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퍼와 같은 웃옷에서는 소매를 착용자의 손목 굵기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보온된 공기가 소매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소매가 착용자의 손목에 밀착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원형으로 말았을 때 펼쳐지려는 경향을 가지는 조임띠(37)와 상기 조임띠(37)의 일측을 프레임(39)에 대해 탄성력으로 고정하는 탄성부재(47)를 두어서 조임띠(37)에 의해 소매가 착용자의 손목에 대해서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ve tightening device. In outerwear such as jumper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leev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earer's wrist. In particular, in order to control the escape of warm air through the sleeve, it is preferable for the sleeve to adhere closely to the wearer's wris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ghtening band (37) that tends to unfold when rolled into a circle, and an elastic member (47) that elastically secures one side of the tightening band (37) to a frame (39), thereby allowing the sleeve to be tightened or loosened relative to the wearer's wrist by the tightening band (37).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매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ve tightening device.
품이 넉넉하고 활동성이 좋은 웃옷을 점퍼라고 한다. 점퍼는 추운 환경에서 입는 것인데, 그 명칭이 파카, 패딩과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즉, 점퍼, 파카, 패딩을 통틀어서 점퍼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는 품이 넉넉하고 활동성이 좋은 웃옷을 통틀어서 점퍼라고 하기로 한다.A loose-fitting, easy-to-move outerwear is called a jumper. Jumpers are worn in cold environments, and the term is often used interchangeably with parkas and padded jackets. In other words, the term "jumper" is often used interchangeably with "parka," "padded jacket," and "jumper." Here, the term "jumper" will be used to refer to any loose-fitting, easy-to-move outerwear.
점퍼에는 양팔의 끝부분에 소매가 있다. 일반적으로 점퍼에서 소매는 착용자의 손목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는 양팔의 길이가 길더라도 손이 양팔 부분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활동이 어렵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여지지 않은 소매 부분을 통해 점퍼의 내외부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Jumpers have sleeves at the ends of both arms. Typically, the sleeves are designed to fit snugly around the wearer's wrists. This is to prevent the hands from being exposed outside the arms, even if the arms are long, hindering movement. It also prevents air from flowing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jumper through the loose sleeves.
웃옷의 양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종래 기술이 선행문헌1로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1에서는 고무밴드의 양단에 고리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착용자가 한 손만을 가지고 조작해야 하는데, 고리를 서로 끼우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A prior art techniqu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rms of an upper garment is presented in prior art document 1. However, prior art document 1 has the problem that the loops at both ends of a rubber b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requiring the wearer to operate the device with only one hand, making the task of connecting the loops cumbersome.
그리고, 점퍼의 내외부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소매 내에 탄성이 있는 재질을 두어서, 소매가 항상 착용자의 손목에 밀착되도록 하는 종래기술이 있다. 하지만, 오래 사용하면 탄성재질의 재료가 탄성을 잃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그리고, 항상 착용자의 손목에 소매가 밀착되어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착용자가 답답함을 느끼기도 하고, 탄성이 너무 큰 경우에는 손으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도 있다.Furthermore, to prevent airflow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a jumper, conventional technology involves placing elastic material within the sleeves, ensuring that the sleeves always adhere tightly to the wearer's wrists. However, with prolonged use, the elastic material loses its elasticity and ceases to function properly. Furthermore, the constant contact of the sleeves with the wearer's wrists can sometimes cause the wearer to feel uncomfortable, and if the elasticity is too great, it can hinder blood circulation in the hands.
손목에 소매가 조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단추와 단추구멍 쌍을 사용하거나, 소정 길이의 벨크로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단추를 단추구멍에 끼우는 작업은 번거롭고, 벨크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조작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벨크로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가 많이 사용이 불편한 경우가 많다.To tighten sleeves around the wrist, multiple buttons and buttonhole pairs, or even a length of Velcro, can be used. However, inserting the buttons into the buttonholes is cumbersome, and even when using Velcro, it's relatively difficult to manipulate. Furthermore, foreign matter often adheres to the Velcro, making it in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터치 방식으로 소매를 조으고 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enable the sleeves to be tightened and loosened in a one-touch manner.
본 발명의 목적은 소매를 조으고 푸는 구성이 소매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omponents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sleev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원형으로 말았을 때 펼쳐지려는 경향을 가지는 조임띠를 탄성부재로 눌러 펼쳐지는 정도를 규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소매가 착용자의 손목에 밀착되고 풀어지도록 하는 것을 탄성부재와 조임띠를 조작함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objectiv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n elastic member to press down on a drawstring that tends to unfold when rolled into a circle, thereby controlling the degree of unfolding. Accordingly, the sleeve can be adjusted to fit and release the wearer's wrist by manipulating the elastic member and drawstring.
본 발명은 팔부분에 있는 소매가 소내내피와 소매외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소매를 조아주고 풀어주는 소매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매내피와 소매외피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원형으로 감아져 위치하고 원형으로 말았을 때 펼쳐지려는 경향을 가지는 조임띠와, 상기 조임띠의 일측이 관통하고 상기 소매내피와 소매외피 사이의 공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띠의 일측을 탄성력으로 상기 프레임에 눌러주는 탄성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조임띠를 누르는 힘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임띠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롭게 이동되는데, 상기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띠의 타단부를 지나서 소정 영역에서 겹쳐지게 원형으로 말아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ve tightening device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a sleeve formed by an inner lining and an outer lining of a sleeve in an arm portion, the device comprising: a tightening band that is positioned in a circular shape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lining and the outer lining of the sleeve and has a tendency to unfold when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a frame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tightening band passes and which is fixedly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lining and the outer lining of the sleeve; an elastic member that is installed in the frame and presses one side of the tightening band against the frame with elastic force; and a button tha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operates the elastic member to operate the force with which the elastic member presses the tightening band. The tightening band has one end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freely movable, and the other end can be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by passing through the frame, passing over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band, and overlapping in a predetermined area.
상기 조임띠는 외면에 마찰력을 발휘하는 마찰층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tightening belt may have a friction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at exerts frictional force.
상기 마찰층은 마찰계수가 큰 재질이 상기 조임띠의 표면과 이면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코팅되거나, 직물이 상기 조임띠의 표면과 이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friction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tightening band, or by attaching a fabric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tightening band.
상기 프레임은, 제1판과, 상기 제1판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2판과, 상기 제1판과 제2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탄성부재고정부와 상기 조임띠가 관통하는 조임띠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frame includes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positioned parallel to the first plate, and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n elastic member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elastic member and a tightening belt hole through which the tightening belt passes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삭제delete
상기 소매외피에는 상기 프레임이 고정되는 고정편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sleeve outer shell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iece to which the frame is fixed.
상기 버튼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버튼이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버튼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Between the button and the frame, a button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that provides elasticit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elastic member.
본 발명에 의한 소매조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retail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원형으로 말아졌을 때 펼쳐지려는 경향을 가지는 조임띠의 일측을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눌러주도록 하여 조임띠가 말아진 정도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조임띠를 눌러줌에 의해 조임띠가 말아져 소매가 조여지고, 이 조여진 상태가 탄성부재에 의해 조임띠의 일측이 눌러져 유지된다. 또한, 탄성부재에 의해 조임띠가 눌어지는 상태를 해제하면 조임띠가 풀어지면서 소매가 풀어져 소매가 조여진 것이 풀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소매를 조이고 푸는 것을 원터치 방식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to which a drawstring is rolled is controlled by pressing one side of a drawstring that tends to unfold when rolled into a circle using an elastic member. In particular, by pressing the drawstring, the drawstring is rolled, tightening the sleeve, and this tightened state is maintained by pressing one side of the drawstring by the elastic member. In addition, when the state in which the drawstring is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is released, the drawstring is released, releasing the sleeve, thereby releasing the tightened sleeve.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can be tightened and loosened in a one-touch manner.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소매를 조으고 푸는 구성이 모두 소매를 구성하는 소매내피와 소매외피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소매조임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sleeves are all located between the sleeve lining and sleeve outer coverings that constitute the sleeves. Therefore, the sleeve tightening devi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it from being affec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매조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적용된 점퍼의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매조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 1의 2-2'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소매조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조임띠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소매조임장치에서 조임동작을 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소매조임장치에서 풀림동작을 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jumper to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tail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of FIG. 1 schematically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eev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eeve tightening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ightening bel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tightening operation performed by a sleeve tightening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loosening operation in a sleeve tightening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designating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where possible,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if they appear in different drawings. Furthermore,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structure or function is deemed to hinder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도면들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소매조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소매조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10)의 팔부분(20) 끝에 있는 소매(30) 내에 있다. 상기 소매(30)는 원통형상 또는 타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소매(30)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손목과 대응되는 위치이다.The drawings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a sleev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 the sleev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within a sleeve (30) at the end of the arm portion (20) of a jumper (10). The sleeve (3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oval cylindrical shape. The sleeve (30) is generally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wearer's wrist.
도 2에서는 상기 소매(30)가 대략 타원통형상으로 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소매(30)는 소매내피(31)와 소매외피(33)를 포함한다. 상기 소매내피(31)와 상기 소매외피(33)의 사이에는 공간(35)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35)은 실제로는 매우 좁은 영역이다. 즉, 상기 소매내피(31)와 소매외피(33)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인접하여 있게 된다. 상기 공간(35)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된다. 상기 소매내피(31)와 소매외피(33)에는 각각 주름이 있을 수 있다. 즉, 소매(30)가 조여지고 풀어지는 정도에 맞게 주름을 둘 수 있다. In Fig. 2, the sleeve (30) is designed to have a roughly oval cylindrical shape. The sleeve (30) includes a sleeve lining (31) and a sleeve outer covering (33). A space (35) is formed between the sleeve lining (31) and the sleeve outer covering (33). The space (35) is actually a very narrow area. That is, the sleeve lining (31) and the sleeve outer covering (33) have surfaces that face each other adjacent to each other. The space (35) is circular or oval. The sleeve lining (31) and the sleeve outer covering (33) may each have pleats. That is, pleat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sleeve (30) is tightened or loosened.
상기 공간(35) 내에는 조임띠(37)가 있다. 상기 조임띠(37)는 소정의 폭과 폭에 비해 매우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조임띠(37)는 원형으로 말았을 때 펼쳐지려는 경향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조임띠(37)를 구성하는 재질의 예로서 합성수지가 있을 수 있다. 즉, 합성수지 필름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띠모양으로 되어 상기 조임때(37)가 만들어 진다. 상기 조임띠(37)는 소정 길이의 것을 원형으로 말면 쉽게 원통형으로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임띠(37)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는(펼쳐지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There is a tightening band (37) within the above space (35). The tightening band (37)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a very long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The tightening band (37) is made of a material that tends to unfold when rolled into a circle. An example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tightening band (37) may be a synthetic resin. That is, a synthetic resin film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shaped like a band to create the tightening band (37). When the tightening band (37) is rolled into a circle of a predetermined length, it can easily become a cylinder. In this state, the tightening band (37) may have a tendency to return to (unfold) its original state.
상기 조임띠(37)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39)의 제1판(39')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임띠(37)의 타단부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소매내피(31)와 소매외피(33) 사이의 공간(35)에 위치된다. 상기 조임띠(37)의 길이는 소매(30)를 최소한 한바퀴 감을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임띠(37) 타단부의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부분이 소매(30)를 한바퀴 감고 상기 프레임(39)에 고정된 일단부를 지나서 더 연장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상기 조임띠(37)가 가질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ightening belt (37) may be fixed at one end to the first plate (39') of the frame (39).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belt (37) is positioned in the space (35) between the sleeve lining (31) and the sleeve outer covering (33) so as to be freely movable. The length of the tightening belt (37) should be such that it can wrap around the sleeve (30) at least once. As can be seen in the drawing, the tightening belt (37) may have a length such that the freely movable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belt (37) can wrap around the sleeve (30) once and extend beyond the end fixed to the frame (39).
상기 조임띠(37)의 양측 표면에는 마찰층(3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임띠(37)의 표면에 형성된 마찰층(37')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7)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하여 탄성부재(47)에 의해 조임띠(37)의 고정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임띠(37)에 마찰층(37')이 형성된 것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찰층(37')은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는 상기 마찰층(37')으로 직물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직물은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잇는 것이면 된다.A friction layer (37') may b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belt (37). The friction layer (37')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belt (37) can provide frictional force between it and the elastic member (47) to be described below, thereby ensuring that the fastening belt (37) is properly fixed by the elastic member (47). The formation of the friction layer (37') on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belt (37) is well illustrated in FIG. 4. The friction layer (37')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that can provide frictional force. Alternatively, the friction layer (37')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fabric to it. The fabric may be any material that can provide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상기 소매내피(31)와 소매외피(33) 사이의 공간(35)에는 프레임(39)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39)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프레임(39)의 형상은 다양하게 될 수 있다.A frame (39) is installed in the space (35) between the inner sleeve (31) and the outer sleeve (33).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rame (39) has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the letter 'ㄷ'. However, the shape of the frame (39) may vary.
참고로, 도면에서는 상기 프레임(39) 및 이와 관련된 부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프레임(39) 자체 및 이와 관련된 부품들의 치수 또는 상대 치수는 도시된 도면을 통해 알 수 없다. 즉, 도면에 도시된 내용으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주로 기능적인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rawing schematically depicts the frame (39) and its associated components. Therefore, the dimensions or relative dimensions of the frame (39) itself and its associated components cannot be determined from the drawing. In other words, the primarily functional portions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dentified from the contents depicted in the drawing.
도시된 실시례의 상기 프레임(39)은 제1판(39')과 제2판(39")이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제1판(39')과 제2판(39")은 대략 직사각형상인데, 이들의 일단부에서 연결판(40)에 의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판(39'), 제2판(39")의 길이는 대략 2에서 3cm 정도이고 폭은 1.5cm 내외가 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40)의 폭은 상기 제1판(39')이나 제2판(39")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연결판(40)의 길이는 상기 제1판(39')과 제2판(39")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대적으로 상기 연결판(40)의 길이가 길게 도시되어 있다. The frame (39)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first plate (39') and a second plate (39") arranged side by side. The first plate (39') and the second plate (39") are approximately rectangular and are connected at one end thereof by a connecting plate (40).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first plate (39') and the second plate (39") may be approximately 2 to 3 cm, and the width may be approximately 1.5 cm.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late (4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plate (39') or the second plate (39").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late (40) may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39') and the second plate (39").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late (40) is shown to be relatively long.
상기 제1판(39'), 제2판(39") 그리고 상기 연결판(4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프레임공간(41)이라고 한다. 상기 프레임공간(41)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7)가 있고, 조임띠(37)가 통과한다.The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plate (39'), the second plate (39") and the connecting plate (40) is called a frame space (41). Inside the frame space (41), there is an elastic member (47) to be described below, and a tightening belt (37) passes through it.
상기 제1판(39')에는 핀공(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공(4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45)이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핀공(410)은 다수개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핀공(410)은 2개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설계조건에 따라 2개 이상의 핀공(410)이 형성될 수 있다.A pin hole (4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39'). A fixed pin (45),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press-fitted into the pin hole (410) and joined. There may be multiple pin holes (4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pin holes (410) are formed. However, two or more pin holes (410) may be formed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상기 연결판(40)에는 탄성부재고정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고정부(4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7)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40)에는 또한 조임띠통공(4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고정부(412)가 상기 제1판(39')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면, 상기 조임띠통공(414)은 제2판(39")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고정부(412)와 상기 조임띠통공(414)이 도시된 것과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above connecting plate (4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ixing portion (412). One end of an elastic member (47)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fixed to the elastic member fixing portion (412). The connecting plate (40) may also be formed with a tightening band hole (414). If the elastic member fixing portion (412)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plate (39'), the tightening band hole (41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plate (39"). Of course, the elastic member fixing portion (412) and the tightening band hole (414) may b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those illustrated.
상기 제2판(39")에는 버튼통공(4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통공(416)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49)의 연결레그(493)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통공(416)은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버튼통공(416)의 간격은 상기 조임띠(39)의 폭보다 작다.A button hole (416)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late (39"). The button hole (416) is a portion through which a connecting leg (493) of a button (49) to be described below passes. Two button holes (416)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interval between the button holes (416)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ightening belt (39).
고정편(43)이 상기 소매외피(33)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43)은 상기 프레임(39) 등을 고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편(43)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소매(30)의 소매외피(33)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고정편(43)이 상기 소매외피(33) 내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43)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프레임(39)이 상기 소매외피(33)에 고정될 수도 있다.A fixed piece (43)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outer shell (33). The fixed piece (43) is a part that fixes the frame (39), etc.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xed piece (43)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outer shell (33) of the sleeve (30). However, the fixed piece (43) may als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uter shell (33). In addition, the fixed piece (43) is not necessarily used, and the frame (39) may be fixed to the sleeve outer shell (33).
상기 고정편(43)에는 고정핀(4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핀(45)은 상기 고정편(43)을 상기 프레임(39)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45)은 상기 프레임(39)의 핀공(410), 즉 제1판(39')의 핀공(4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above fixed piece (43) may have a fixed pin (45). The fixed pin (45) may serve to fix the fixed piece (43) to the frame (39). The fixed pin (45) may be fixed to a pin hole (410) of the frame (39), i.e., a pin hole (410) of the first plate (39').
상기 프레임공간(41) 내에는 탄성부재(47)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47)는 상기 조임띠(37)의 일측을 상기 프레임(39)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7)는 판스프링으로 된다. 상기 판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47)는 일단부인 고정단(471)이 상기 탄성부재고정부(412)에 고정되고, 타단부인 누름단(473)은 자유단부로 되어 상기 제2판(39")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판(39")과 상기 탄성부재(47)의 자유단부 사이에는 상기 조임띠(37)가 있을 수 있다.An elastic member (47) is provided within the frame space (41). The elastic member (47) is configured to fix one side of the tightening band (37) to the frame (39). The elastic member (47) is configured as a plate spring. The elastic member (47) configured as a plate spring has one end, that is, a fixed end (471), fixed to the elastic member fixing portion (412), and the other end, that is, a pressing end (473), as a free end,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9"). The tightening band (37)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late (39") and the free end of the elastic member (47).
상기 탄성부재(47)는 상기 고정단(471)과 누름단(473)이 높이차가 있도록 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단(473)이 조임띠(37)를 상기 제2판(39")에 대고 눌러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상기 누름단(473)의 부분이 아치형상으로 상기 제2판(39")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47) may have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xed end (471) and the pressing end (473).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47) may be varied,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any shape is acceptable as long as the pressing end (473) can press the tightening band (37) against the second plate (39").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pressing end (473) may protrude toward the second plate (39") in an arch shape.
상기 프레임(39)의 외부 일측에는 버튼(4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버튼(49)은 상기 탄성부재(47)를 조작하는 것이다. 상기 버튼(49)이 눌러짐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47)의 누름단(473)이 상기 조임띠(37)에서 분리된다.There may be a button (49) on one outer side of the frame (39). The button (49) operates the elastic member (47). When the button (49) is pressed, the pressing end (473) of the elastic member (47) is separated from the tightening band (37).
상기 버튼(49)은 버튼판(491)과 연결레그(493)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판(491)은 상기 제2판(39")의 외면과의 사이의 약간의 틈새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판(491)에서 연장된 연결레그(493)는 상기 제2판(39")의 버튼통공(416)을 통해 상기 프레임공간(41)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47)와 연결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The above button (49) is composed of a button plate (491) and a connecting leg (493). The button plate (491) can be installed with a slight gap between 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9"). The connecting leg (493) extended from the button plate (491) can protrude into the frame space (41) through the button hole (416) of the second plate (39") and be connected to or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47).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누름단(473)에 상기 연결레그(493)가 연결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연결레그(493)는 상기 누름단(473)이 조임띠(37)에서 분리되는 동작을 할 수 있다면, 상기 탄성부재(47)의 어느 쪽에 연결되어도 상관없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ng leg (493)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473). However, the connecting leg (493) may be connected to ei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47) as long as the pressing member (473) can perform a motion to separate from the tightening band (37).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설명은 위에서 설명될 실시례와 다른 부분 위주로만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Meanwhile,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assigning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to only those parts that differ from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버튼(49)과 탄성부재(47)가 접촉 또는 연결될 수 있는 위치가 위의 실시례와 다르다. 그리고 상기 버튼(49)이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까지는 상기 제2판(39")과 소정의 틈새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버튼탄성부재(50)가 있다. 이는 착용자의 일상적인 손목 움직임에 의해 상기 버튼(49)이 조작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s where the button (49) and the elastic member (47) can come into contact or be connected are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addition, there is a button elastic member (50) so that the button (49) can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second plate (39") until a certain amount of force is applied. This is to prevent the button (49) from being operated by the wearer's daily wrist movements.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7)의 누름단(473)보다는 고정단(471)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버튼(49)의 연결레그(493)가 상기 탄성부재(47)에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버튼(49)에 약간의 힘만 가해져도 조임띠(37)에 대한 누름력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leg (493) of the button (49) can contact the elastic member (47) at a position closer to the fixed end (471) than the pressing end (473) of the elastic member (47). This is to prevent the pressing force on the tightening belt (37) from decreasing even if only a slight force is applied to the button (49).
그리고, 상기 버튼(49)과 프레임(39)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는 상기 버튼탄성부재(50)는 상기 버튼(49)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버튼탄성부재(50)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버튼(49)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And, the button elastic member (50) that exerts elasticity between the button (49) and the frame (39) is such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49) can elastically deform the button elastic member (50) so that the button (49) moves.
도 5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버튼(49)이 탄성부재(47)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와 버튼탄성부재(50)가 동시에 주어져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이 2가지의 구성 중 어느 하나만 적용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the button (49)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47) and the button elastic member (50) are provided at the same time,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Either of these two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그리고, 상기 버튼탄성부재(50)는 상기 제2판(39")과 버튼판(491)의 사이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공간(41) 내에 있으면서 상기 버튼(49)이 상기 제2판(39")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elastic member (50) may be located at a location other than between the second plate (39") and the button plate (491).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button (49) exerts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plate (39") while being located within the frame space (41).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소매조임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sleeve t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소매조임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매(30)를 조이기 위해서는 상기 소매내피(31)와 소매외피(33) 사이에 있는 상기 조임띠(37)가 말아지도록 한다. The use of the sleeve tigh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rst, in order to tighten the sleeve (30), the tightening band (37) between the sleeve inner lining (31) and the sleeve outer lining (33) is rolled.
이를 위해서는 도 6에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상기 조임띠(37)가 상기 소매내피(31)와 소매외피(33) 사이에서 말아지게 한다. 도 6의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소매(30)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조임띠(37)는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매(30)를 조아준다. 이때,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화살표 A방향의 힘보다는 우측의 화살표 A방향의 힘이 조금 더 크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조임띠(37)가 원형으로 말아질 수 있다.To this end,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A in Fig. 6 so that the tightening band (37) is rolled between the sleeve lining (31) and the sleeve outer covering (33).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sleeve (30)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6, the tightening band (37)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dotted arrow and tightens the sleeve (30). At this time, if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slightly greater than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n the left side, the tightening band (37) can be rolled into a circle more effectively.
이때, 상기 조임띠(37)는 상기 탄성부재(4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된다. 즉, 상기 조임띠(37)에 착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조임띠(37)가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47)의 탄성력을 극복한다.At this time, the tightening belt (37) moves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7). That is, the tightening belt (37) moves by the force applied by the wearer to the tightening belt (37) and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7).
화살표 A 방향으로 작용하던 힘을 제거하면, 그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7)는 원래대로 탄성력을 상기 조임띠(37)에 작용한다. 특히, 상기 조임띠(37)가 풀어지려는 방향은 상기 탄성부재(47)의 자유단부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방향이어서 상기 조임띠(37)가 상기 탄성부재(47)를 거슬러 풀어지지 않는다.When the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47) applies the elastic force to the tightening band (37) as before. In particular,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ghtening band (37) is about to be released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elastic member (47) is extended, so the tightening band (37) does not release against the elastic member (47).
이와 같이 되면, 착용자는 일측 손목의 소매(30)에 타측 손으로 힘을 가함에 의해 상기 조임띠(37)가 말아지도록 하여 소매(30)를 조여줄 수 있다. 소매(30)가 조여진 상태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조임띠(37) 자체가 서로 겹쳐지는 영역이, 도 6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졌음을 알 수 있다.In this way, the wearer can tighten the sleeve (30) by applying force to the sleeve (30) of one wrist with the other hand, thereby causing the tightening band (37) to roll. The tightened state of the sleeve (30) is illustrated in Fig. 7,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rea where the tightening bands (37) themselves overlap each other has increased relatively compared to Fig. 6.
다음으로, 상기 조임띠(37)가 풀어지도록 하여 상기 소매(30)의 조임이 풀어지도록 하는 것을 설명한다.Next, the tightening of the sleeve (30) is loosened by loosening the tightening belt (37)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서는 상기 버튼(49)을 조작하면 된다. 손가락을 상기 소매(30)와 손목 사이로 넣어서, 상기 버튼(49)을 누르면, 상기 버튼(49)의 연결레그(493)가 상기 탄성부재(47)가 상기 조임띠(37)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조임띠(37)의 풀어지려는 경향이 작용하면서 상기 조임띠(37)는 도 7에 점선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띠(37)가 겹쳐지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면서, 소매(30)가 풀어진다. To do this, simply operate the button (49). By inserting your finger between the sleeve (30) and your wrist and pressing the button (49), the connecting leg (493) of the button (49) separates the elastic member (47) from the fastening band (37). In this way, the fastening band (37) tends to loosen, and the fastening band (37) move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 in Fig. 7. Accordingly,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astening band (37) decreases, and the sleeve (30) is released.
참고로, 상기 버튼(49)을 착용자가 직접 누르지 않고, 상기 고정편(43)에서 상기 버튼(49)에 대응되는 부분을 눌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착용자의 손목에 상기 소매외피(33)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버튼(49)이 눌러지면서, 상기 탄성부재(47)가 상기 조임띠(37)에서 풀어질 수 있다.For reference, the wearer may not directly press the button (49), but may press the portion of the fixed piece (43) corresponding to the button (49). In this case, when the button (49) is pressed while the sleeve outer cover (33) is placed on the wearer's wrist, the elastic member (47) may be released from the fastening belt (37).
상기 조임띠(37)가 풀어지는 정도는 상기 버튼(49)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착용자가 소매(30)의 풀어진 정도를 확인하여 상기 버튼(49)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조임띠(37)가 풀어지는 것이 정지되면서 상기 소매(30)가 원하는 정도로 풀어지게 된다.The degree to which the above-mentioned tightening belt (37) is loosened can be adjusted by removing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49). When the wearer checks the degree to which the sleeve (30) is loosened and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49), the tightening belt (37) stops loosening and the sleeve (30) is loosened to the desired degree.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one or more times.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illustr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점퍼 20: 팔부분
30: 소매 31: 소매내피
33: 소매외피 35: 공간
37: 조임띠 37': 마찰층
39: 프레임 39': 제1판
39": 제2판 40: 연결판
41: 프레임공간 410: 핀공
412: 탄성부재고정부 414: 조임띠통공
416: 버튼통공 43: 고정편
45: 고정핀 47: 탄성부재
471: 고정단 473: 누름단
49: 버튼 491: 버튼판
493: 연결레그 50: 버튼탄성부재10: Jumper 20: Arm area
30: Sleeve 31: Sleeve lining
33: Sleeve outer 35: Space
37: Tightening belt 37': Friction layer
39: Frame 39': First Edition
39": 2nd edition 40: Connecting plate
41: Frame space 410: Pin hole
412: Elastic member fixing part 414: Tightening belt hole
416: Button hole 43: Fixed piece
45: Fixed pin 47: Elastic member
471: Fixed end 473: Push end
49: Button 491: Button plate
493: Connecting leg 50: Button elastic member
Claims (7)
상기 소매내피와 소매외피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원형으로 감아져 위치하고 원형으로 말았을 때 펼쳐지려는 경향을 가지는 조임띠와,
상기 조임띠의 일측이 관통하고 상기 소매내피와 소매외피 사이의 공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띠의 일측을 탄성력으로 상기 프레임에 눌러주는 탄성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조임띠를 누르는 힘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띠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롭게 이동되는데, 상기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띠의 타단부를 지나서 소정 영역에서 겹쳐지게 원형으로 말아지는 소매조임장치.
In a sleeve tightening device that tightens and loosens the sleeve, the sleeve in the arm portion is formed by the sleeve inner lining and the sleeve outer lining,
A tightening band that is position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leeves and has a tendency to unfold when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A frame that is installed by penetrating one side of the above tightening belt and being fixed in the space between the sleeve inner skin and the sleeve outer skin,
An elastic member installed on the above frame and pressing one side of the tightening belt against the frame with elastic force,
A button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can manipulate the elastic member to manipulate the force with which the elastic member presses the tightening belt.
The above tightening belt is a sleeve tightening device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moves freely,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frame, passes over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belt, and is rolled into a circle so as to overlap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first paragraph, the tightening belt is a sleeve tightening device having a friction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at exerts frictional force.
In the second paragraph, the friction layer is a sleeve tightening device formed by coating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tightening band, or by attaching a fabric to at least one side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tightening band.
In the first paragraph, the frame comprises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positioned parallel to the first plate, and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is formed with an elastic member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elastic member and a connecting plate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late passes.
In the first paragraph, a sleeve tighten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fixing piece to which the frame is fixed on the sleeve outer shel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78761A KR102851837B1 (en) | 2023-12-11 | 2023-12-11 | Sleeve tighten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78761A KR102851837B1 (en) | 2023-12-11 | 2023-12-11 | Sleeve tightenin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89153A KR20250089153A (en) | 2025-06-18 |
| KR102851837B1 true KR102851837B1 (en) | 2025-08-27 |
Family
ID=962262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78761A Active KR102851837B1 (en) | 2023-12-11 | 2023-12-11 | Sleeve tighten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51837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200100550A1 (en) * | 2017-03-27 | 2020-04-02 | Adam Moeller | Frictional band |
| CN211672566U (en) * | 2019-12-02 | 2020-10-16 | 深圳市思特达科技有限公司 | Prevent dustless oversleeve of static adjustabl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91695Y1 (en) | 2000-02-08 | 2000-08-16 | 정덕술 | Blouse equipped with sleeve fastner |
| KR20170054332A (en) * | 2017-03-23 | 2017-05-17 | 류양석 | Control device, band and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2023
- 2023-12-11 KR KR1020230178761A patent/KR1028518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200100550A1 (en) * | 2017-03-27 | 2020-04-02 | Adam Moeller | Frictional band |
| CN211672566U (en) * | 2019-12-02 | 2020-10-16 | 深圳市思特达科技有限公司 | Prevent dustless oversleeve of static adjustab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89153A (en) | 2025-06-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592694A (en) | Wrap type hand glove | |
| US6070267A (en) | Knee pad holder | |
| US5759167A (en) | Patella buttressing apparatus | |
| US5815839A (en) | Flexible wear-resistant glove | |
| US7703151B2 (en) | Cuff closure for reversible garments | |
| JP2010503778A5 (en) | ||
| US5978960A (en) | Adjustable dry suit and sealing system therefore | |
| KR100797639B1 (en) | Easy-to-adjust mask length | |
| KR20200103727A (en) | Joint rest aid | |
| KR102851837B1 (en) | Sleeve tightening device | |
| US6517507B1 (en) | Wrist guard for alleviating repetitive strain disorder by computer operators | |
| US20150265904A1 (en) | Sports glove with an adjustable cuff | |
| EP2441336A1 (en) | Leg cover | |
| GB2242816A (en) | A sporting garment | |
| KR102463110B1 (en) | Pants with adjustable size | |
| US2518424A (en) | Body member covering | |
| KR200411067Y1 (en) | Easy-to-adjust mask length | |
| KR102472668B1 (en) | The patch for the back of a hand comprising means for fastening to fingers and a wris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atch | |
| KR102688271B1 (en) | Attachable functional patch | |
| EP1332686A2 (en) | Cloth wearable as one piece or two pieces | |
| KR100798633B1 (en) | Military pants with pants adjustment ring | |
| US1385715A (en) | Glove | |
| JP2009024273A (en) | Garment | |
| JP7682481B2 (en) | Adjustable snap button closure | |
| US20080052800A1 (en) | Wearable holder pad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