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64478B1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64478B1
KR102864478B1 KR1020210122322A KR20210122322A KR102864478B1 KR 102864478 B1 KR102864478 B1 KR 102864478B1 KR 1020210122322 A KR1020210122322 A KR 1020210122322A KR 20210122322 A KR20210122322 A KR 20210122322A KR 102864478 B1 KR102864478 B1 KR 10286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driver
boarding
identif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253A (ko
Inventor
한승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64478B1/ko
Priority to US17/878,203 priority patent/US12233754B2/en
Publication of KR2023003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6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644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external to the seat for measurements in relation to the seat adjustment, e.g.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f obstacles 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occupants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4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 B60N2/0027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or of occupant's body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3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taking into account user data, e.g. knee height or physical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external to the seat for measurements in relation to the seat adjustment, e.g.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f obstacles 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occupants position
    • B60N2/0279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external to the seat for measurements in relation to the seat adjustment, e.g.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f obstacles 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occupants position for detecting objects outside the vehicle, e.g. for user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4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10/00Sensor types, e.g. for passenger detection systems or for controlling seats
    • B60N2210/10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N2210/14Inductive; Magnet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10/00Sensor types, e.g. for passenger detection systems or for controlling seats
    • B60N2210/10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N2210/16Electromagnetic waves
    • B60N2210/22Optical; Photoelectric;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B60N2210/24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10Recognition assisted with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은, 차량용 시트, 차량의 운전석 외측 측면 방향을 향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슬라이딩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을 구현하는 시트모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키 정보를 식별하되,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 키 정보를 기초로 승차 위치를 식별하되, 상기 시트가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시트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 메모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자의 편안함을 위하여 시트(Seat)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차량에는 여러 가지의 전자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 수동으로 조절되던 차량 내부의 각종 장치 및 시스템 역시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 중 차량 시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 역시 일 예에 해당한다. 기존에는 레버를 회전시키거나 당김으로써 위치를 제어해왔지만 최근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트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하차와 승차 조건에 따라서, 운전자가 설정된 차량 시트의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차량의 위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모터가 필요하다. 또한 이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센서 및 제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시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의도적인 시트의 위치 조절과 의도하지 않았던 시트의 위치 조절을 구분할 수 없고, 운전자가 변경되는 상황임에도, 최종 시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시트 자동 제어를 수행하여 운전자가 별도로 위치 조작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시된 발명은, 운전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고, 시트의 위치 조절이 운전자의 의도가 맞는지 판단하여 승차 및 하차 위치를 식별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은, 차량용 시트, 차량의 운전석 외측 측면 방향을 향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슬라이딩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을 구현하는 시트모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키 정보를 식별하되,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 키 정보를 기초로 승차 위치를 식별하되, 상기 시트가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시트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 및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위치를 식별하되, 상기 시트가 상기 식별된 하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시트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차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하차 거리 및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를 기초로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시트의 운전자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에 운전자가 탑승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시트를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시트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시트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더 생성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시트의 위치 조작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치 조작에 따른 상기 시트의 위치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승차 위치들을 기초로 상기 시트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상기 시트의 위치의 차이가 상기 하차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상기 시트의 위치의 차이가 상기 하차 거리보다 큰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이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 것에 응답하여, 기존의 승차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운전자를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운전자 별로 키 정보 및 식별된 승차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 위치를 상기 식별된 운전자에 따라 시간 별 메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은, 카메라에 의하여 차량의 운전자석 외측 측면 방향을 향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키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 및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 키 정보를 기초로 승차 위치를 식별하며 시트가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시트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운전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고, 시트의 위치 조절이 운전자의 의도가 맞는지 판단하여 승차 및 하차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시트의 정확한 승차 및 하차 위치를 제공하고, 나아가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이 식별하는 운전자 키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이 제공하는 승차 위치 및 하차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60),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72),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윈드 스크린(80), 운전자에게 차량(1)의 측,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미러(81, 82) 및 카메라(510)를 포함한다.
차륜(51, 5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60)는 본체(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 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71, 72)는 본체(2)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윈드 스크린(80)은 본체(2)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이드미러(81, 82)는 본체(2)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미러(82)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후방의 시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의 내부는 운전자가 앉는 시트(100)와, 대시 보드(33)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30)과,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31)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기기가 배치된 센터페시아(35)를 포함한다.
클러스터(30)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30)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센터페시아(35)는 대시 보드(33) 중에서 운전석(110)과 보조석(12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5)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센터 콘솔(37)에는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의 센터 입력부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콘솔(37)은 운전석(110)과 보조석(120)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조작 레버와 트레이(38)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센터 입력부는 AVN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시트(100)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10), 동승자가 앉는 보조석(120),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미 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시트(100)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차량(1)의 도어(71)에 결합된 팔걸이(107)에는 시트(1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입력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부(200)는 시트(10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이하 설명할 시트(100)의 구성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시트(100)의 위치를 조절하는 버튼일 수 있으며, 레버,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시트(1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 3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차량(1)의 내부는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여러 구성이나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차량용 시트(100)는 차량(1)의 운전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 101), 운전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seat back, 102), 운전자의 팔을 지지하는 암레스트(armrest, 103)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 쿠션(seat cushion, 104) 및 상기 시트(100) 구성의 위치를 조정하는 입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101)는 운전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쿠션의 일종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서 헤드레스트(101)는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레스트(101)는 차량(1)의 전후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높낮이도 조정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발명에서는 운전자가 입력부(200)를 제어하지 않고, 제어부(300)가 운전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헤드레스트(101)를 조정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시트 백(102)은 운전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쿠션의 일종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서 시트 백(102)은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 즉 차량(1)의 전후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 백(102)은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암레스트(103)는 시트 백(102)과 시트 쿠션(104) 사이의 회전자에 의해서 조절되며 운전자의 팔을 지지하는 차량용 시트(100)의 구성을 의미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암레스트(103)의 형태 및 길이는 다양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또한, 암레스트(103)는 생략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차량(1)의 내부에서 팔걸이(107)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한편, 암레스트(103)는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레스트(101)는 시트 백(102)과 나란한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기울어지는 각도도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에서는 운전자가 입력부(200)를 제어하지 않고, 제어부(300)가 운전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암레스트(103)를 조정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시트 쿠션(104)은 시트 백(102)의 하단에 연결되고, 차량(1)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쿠션(104)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착석에 필요한 형태이면 충분하고 제한이 없다.
개시된 발명에서 시트 쿠션(104)은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차량(1)의 상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입력부(200)의 제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운전자가 앞서 언급한 차량용 시트(100) 구성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 버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의 입력부(200)는 차량용 시트(100)의 슬라이딩, 즉 시트(100) 구성 전체를 차량(1)의 전 후면으로 조정하는 레버(210) 및 차량용 시트(100)의 각 구성의 위치를 조정하는 버튼(220)으로 구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레버(210)는 입력부(200)에 입력되는 제어에 따라서 시트(100)의 구성 전체를 차량(1)의 전 후면으로 조정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버튼(220)은 앞서 언급한 헤드레스트(101), 시트 백(102), 암레스트(103) 및 시트 쿠션(104)을 각각 제어하는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각각의 버튼을 이용하여 시트(100)의 구성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3의 차량용 시트(100)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시트(100)의 각 구성은 다양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0)의 위치 및 형태도 다양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은 시트(100)의 위치를 조정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입력부(200), 시트(1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시트모터(400), 차량(1)의 운전석(110) 외측 측면 방향을 향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510) 및 센서(520)를 포함하는 감지부(500),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310) 및 데이터와 데이터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320)를 포함하되 시트모터(4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운전자가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제어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력부(200)는 차량(1) 내부 또는 시트(100)의 일정 위치에 구비되며,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00)는 레버,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0)는 센서(520)를 통해 운전자가 착석 시 자동으로 시트(100) 및 시트(100)의 각 구성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1) 내부 또는 시트(100)의 안쪽에는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트모터(400)가 마련되어 있다. 일 예로 시트모터(400)는 센서리스 BLDC 모터(Sensorless Brushless DC Motor)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BLDC 모터는 자석 또는 자성체를 이루는 물질(Magnet)로 이루어진 로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테이터(stator)가 회전하면서 자계를 발생하고 이 결과 로터가 회전하는 특성을 이용한 DC(직류) 모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BLDC 모터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드라이버(Drive)가 필요하지 않다.
개시된 발명에서는 제어부(300)가 입력부(200)의 신호에 따라 차량(1) 내부에 설치된 전원(미 도시)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원은 시트모터(400)를 구동하기 위한 입력 전원을 인가하고 이를 통해서 시트모터(400)는 회전하게 된다.
시트모터(400)는 차량용 시트(100)의 폴딩, 리클라이닝, 슬라이딩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시트(100)에 포함된 구성들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시트모터(400)는 입력부(200)로부터 운전자의 차량용 시트(100) 위치 제어에 따라서, 차량용 시트(100)의 전면 및/또는 후면 이동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어부(3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용 시트(100)의 전면 및/또는 후면 이동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검출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홀 센서와 같은 별도의 센서(52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520)는 추가적인 센서가 아닌 예를 들어, 시트모터(400)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서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센싱하는 장치(미 도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센서(520)는 종래에 공지된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 및/또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향후 개발되어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 및/또는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센서(520)는 예를 들어, 운전자의 운전석(110)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520)는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운전석(110)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카메라(510)는 차량(1)의 운전석(110)의 외측면 시야를 갖도록 설치되어 차량(1)의 운전석(110) 측면을 촬영하여, 차량(1)의 운전석 측면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510)는 차량(1)의 보조석(120)의 측면 시야를 갖도록 설치되어 차량(1)의 보조석(120) 측면을 촬영하여, 차량(1)의 보조석(120) 측면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510)는 예를 들어, 운전석(110)의 측면 방향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 및 보조석(120)의 측면 방향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차량(1)의 측면에 다양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는 예를 들어, 사람, 건물, 차량, 지평선, 가로등, 가로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510)는 복수의 렌즈들과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들이 2차원 매트릭스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51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그래픽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어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들을 구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카메라(510)는 운전석(110)의 측면 방향에서 다가오는 운전자 또는 사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람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510)는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51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제어부(300)와 연결되거나, 하드 와이어(hard wire)를 통하여 제어부(300)와 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510)는 차량(1)의 운전석(110) 또는 보조석(120)의 외측면의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카메라(5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량(1)의 측면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 또는 보행자 또는 사이클리스트 또는 차선(차로를 구별하는 마커) 또는 자유 공간을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0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의 본체(2) 외측면 방향에서부터 다가오는 사람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다가오는 사람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사람의 키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사람의 안면을 인식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인공신경망을 통해 학습된 안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입력으로 다가오는 사람이 운전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300)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종래에 개발된 안면 인식 프로그램이 적용되어 사람의 안면 인식을 수행하거나, 향후 개발될 안면 인식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프로세서(310)와 메모리(3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0)는 카메라(5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센서(5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고, 구동 장치(60), 차량용 시트(10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이미지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및/또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카메라(5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주변 객체들(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사이클리스트 등), 차로의 차선 및 자유 공간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의 측면 객체들의 상대 위치(차량으로부터 거리 및 주행 방향에 대한 각도) 및 분류(예를 들어, 객체가 다른 차량인지, 또는 보행자인지, 또는 사이클리스트인지 등)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된 측면 객체들이 사람인 경우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사람이 등록된 운전자인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상기 식별된 측면 객체들과 카메라(510)간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사람을 인식하고, 상기 사람의 키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카메라(5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측면 객체(사람)를 식별하고, 상기 측면 객체와 카메라(510)간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객체의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510)의 지면으로부터 수직 높이와 동일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측면 객체의 안면이 인식된 위치까지의 각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정리하면, 프로세서(310)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측면객체인 사람을 인식하고, 상기 사람의 안면과 카메라(51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동일한 평면과의 각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310)는 상기 각도 정보 및 사람과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사람의 키 정보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차량(1)은 도어(71, 72)에 달린 손잡이에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520)는 차량(1)의 도어(71, 72)의 손잡이에 사람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서(310)는 차량(1)의 도어(71, 72)의 손잡이에 사람의 터치가 인식되는 경우, 카메라(510)의 영상 데이터 획득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평상시 카메라(510)가 소모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로세서(310)는 카메라(5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키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 및 메모리에 기저장된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승차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승차 위치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1)에 탑승하여 차량(1)의 주행하는 경우의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할 하차 위치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1)에 하차하는 경우, 운전자의 하차에 편의를 위하여 차량용 시트(100)가 후방으로 이동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운전자가 과거에 탑승했었던 경우, 운전자의 키 정보는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현재를 기점으로 가장 최근에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는 메모리에 기저장된 운전자의 키 정보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10)는 현재를 기점으로 가장 최근에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 및 현재 카메라(5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와 기저장된 운전자의 키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운전자의 승차 위치의 조절 필요성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서, 승차 위치를 재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예를 들어, 운전자의 신발 굽 높이에 따라서, 최적화된 운전자의 승차 위치를 재조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운전자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운전자에게 적합한 승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식별된 승차 위치 및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하차 거리 및 승차 위치를 기초로 하차 위치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하차 거리는 예를 들어, 운전자의 키 정보(신장)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이 보다 운전자에게 적응형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키가 크면 클수록 하차 거리는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10)는 입력부(200)로부터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조작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치 조작에 따른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센서(5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입력부(200)로부터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조작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및 기저장된 승차 위치들을 기초로, 입력부(200)로부터 수신된 조작에 따라 이동된 시트(100)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저장된 승차 위치들은 예를 들어, 운전자가 입력부(200)를 통해 시트(100)의 위치를 조작하기 이전의 승차 위치 및 과거에 차량(1)에 탑승했던 운전자의 승차 위치 기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차량(1)의 운전자가 한명인 것으로 가정해 서술한 것이므로, 차량(1)의 운전자가 복수에 해당하는 경우, 운전자의 다양한 키 정보 또는 안면 인식을 통해 구분된 운전자들 마다 식별된 과거의 승차 위치 기록들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운전자가 있는 경우, 기저장된 승차 위치들은 운전자 각각의 과거 차량(1)에 탑승에 따라 식별된 승차 위치 기록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10)가 이동된 시트(100)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예를 들어, 운전자의 입력부(200)를 통해 시트(100)의 위치를 조작한 경우, 해당 조작이 운전자의 의도 하에 조작한 것인지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차량(1)의 하차 조건 여부를 더 기초로 입력부(200)에 입력된 조작으로 이동된 시트(100)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10)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프로세서(310)가 구동 신호 및/또는 제동 신호 및/또는 조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카메라(5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또는 센서(5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억하고, 프로세서(310)의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10)가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를 기억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3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 처리 결과를 프로세서(31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10)가 식별한 운전자의 키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식별한 승차 위치 및 하차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운전자에 따라서 운전자 별로 키 정보 및 식별된 승차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0)는 식별된 운전자에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운자 별 승차 위치 및 키 정보에 관한 운전자 별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310)는 차량(1)의 측면에 접근하는 객체를 사람을 인식하고, 운전자로 식별하되, 운전자 별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과거의 승차 위치 이력 및 하차 위치 이력, 키 정보 이력에 접근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300)는 카메라(5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또는 센서(5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모터(400)의 위치를 식별된 승차 위치 또는 하차 위치로 움직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면을 살펴보며,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이 운전자의 키 정보 산출 및 승차 위치 및 하차 위치를 식별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이 식별하는 운전자 키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카메라(5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를 식별하고 운전자의 안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을 기초로 운전자와의 거리(512)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자와의 거리(512)는 예를 들어, 카메라(510)의 성능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카메라(510)의 장착 높이(511)는 예를 들어, 차량 제작 정보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으며, 차량(1)에 대하여 카메라(510)가 장착될 경우, 카메라(510)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인식된 운전자의 안면 또는 운전자 높이 영역과 카메라(510)가 설치된 높이(a)에 지면과 평행한 면과의 각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인식된 거리에 따라 카메라(510)가 획득한 영상 데이터의 운전자가 차지하는 높이 영역에 따른 각도에 관한 테이블을 기초로 각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300)는 산출된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키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운전자의 키 정보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을 통해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식 1]
여기에서, H는 운전자의 식별된 키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수 a는 카메라(510)의 장착 높이(511)와 동일한 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b는 제어부(300)가 식별한 운전자와 카메라(510)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고, 는 지면과 평행한 카메라(510)의 높이의 평면과 운전자의 머리 끝 또는 안면 인식 위치까지의 각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식 1을 참조하면, 운전자의 키 정보는 카메라(510)의 높이(511)와 운전자의 머리 끝과 카메라의 높이간의 거리(513)를 더하여 도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이 제공하는 승차 위치 및 하차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승차 위치(100a)는 예를 들어, 차량(1)에 대하여 운전자가 탑승하였을 때 및/또는 차량(1)이 주행 상태인 경우에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하차 위치(100b)는 예를 들어, 차량(1)이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운전자의 하차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 및 과거에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승차 위치(100a)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과거에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식별된 운전자 키 정보 및 과거에 식별된 운전자 키 정보를 비교하여, 키 정보가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기존의 승차 위치를 그대로 승차 위치(100a)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차 범위는 예를 들어, 운전자의 키 정보와 과거에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적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경험적으로 또는 실험적으로 산출된 값으로서, 운전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도출된 값 또는 운전자가 직접 변경한 값일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식별된 운전자 키 및 과거에 식별된 운전자 키 정보를 비교하여 키정보가 다르거나, 오차 범위 외에 있는 경우, 기존의 승차위치 및 현재 식별된 운전자 키 정보를 기초로 승차 위치(100a)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승차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하기 식 2를 기초로 식별되는 것일 수 있다.
[식 2]
여기에서 X는 승차 위치(100a)를 의미할 수 있으며, Xp는 현재를 기준으로 최근의 승차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H는 식별된 운전자의 키정보 및 Hp는 현재를 기준으로 최근의 승차 위치에 대응되는 운전자의 키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은 시트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X축의 원점은 예를 들어, 차량용 시트(10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 2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운전자의 키 정보가 180 cm이되, 과거의 운전자 키 정보가 178 cm인 경우, 제어부(300)는 식별된 운전자의 승차 위치(100a)를 과거의 승차 위치에 약 1.011배하여 식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운전자의 키가 과거의 기록에 비해 커짐에 따라서, 승차 위치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키가 과거의 기록에 비해 작아지는 경우에 따라서, 승차 위치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수치는 예시적인 수치로서, 임의의 상수를 더 연산함으로써, 승차 위치(100a)가 보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거리(100c)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차 거리는 하기 식 3을 기초로 식별될 수 있다.
[식 3]
여기에서 L은 하차 거리(100c)를 의미할 수 있으며, m 및 n은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한 수치 또는 경험적, 실험적으로 산출된 파라미터일 수 있고, H는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실험적 데이터를 통해 산출된 값으로, 성인남성의 키가 평균 170 cm일 때, 운전자의 가장 편의성 높은 하차 거리는 5 cm인 기본 값이 파라미터에 적용되고, 운전자의 신장이 180 cm인 경우, 상기 m은 5가 적용될 수 있으며, n은 170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약 5.3 cm의 하차 거리(100c)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식별된 운전자의 키가 커짐에 따라서, 하차 거리(100c)는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식별된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거리(100c)를 식별하고, 식별된 승차 거리(100a) 및 상기 하차 거리(100c)를 기초로 하차 위치(100b)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차 위치(100b)는 식별된 승차 거리(100a)와 하차 거리(100c)를 합 연산하여 식별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승차 위치(100a) 및 하차 위치(100b)가 식별되는 경우, 운전자의 승차 조건에 차량(1)이 해당하는 경우, 시트모터(40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승차 위치(100a)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전자의 승차 조건은, 센서(520)를 통해 운전자가 차량용 시트(100) 상에 착석한 경우 및/또는 차량(1)이 시동이 걸린 경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승차 조건은 운전자가 안전 벨트를 하였는지의 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의 차량용 시트(100) 제어는 전후 방향으로 제어되는 것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운전자의 키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1)의 본체(2) 높낮이에 따라서, 운전자 석의 높낮이 역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하차하는 경우, 차량용 시트(100)가 높은 것은 도어(71, 72)의 상하 폭이 제한됨에 따라서 운전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하차 위치는 예시적으로 상술한 하차 위치(100b)가 적용될 뿐만 아니라, 높이 역시 낮게 설정될 수 있고, 승차 위치는 예시적으로 상술한 승차 위치(100a)가 적용될 뿐만 아니라, 높이 역시 저장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의 운전자가 입력부(200)를 통해 차량용 시트(100)의 위치를 조작한 경우, 해당 조작이 운전자의 의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승차 위치를 재조정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시트 메모리 시스템은, 구체적으로, 시트의 위치가 승차 위치 또는 하차 위치인지에 관계 없이, 입력부를 통해 시트의 위치를 조작하는 경우 해당 조작을 기초로 차량의 승차 위치 및/또는 하차 위치를 저장하여, 잘못된 승차 위치 및 하차 위치로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여 운전자에게 재조작의 불편 및 고장의 의심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에 포함된 제어부(300)는 운전자가 입력부(200)를 통해 차량용 시트(100)를 조작하는 경우 센서(520)로부터 상기 조작에 의해 이동된 시트(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센서(520)로부터 식별된 시트(100) 위치와 메모리(320)에 저장된 기존의 승차 위치들을 기초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된 시트 위치를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이는 과거의 식별된 승차 위치의 평균값을 고려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적합한 적응형 승차 위치에 관한 정보를 학습하여 현재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운전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현재 시트(100) 위치와의 차이를 식별된 하차 거리(100c)와 비교하여 현재 시트(100)의 위치를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시트(100) 위치의 차이가 식별된 하차 거리(100c)보다 작은 경우에 응답하여, 이는 평균 값 대비 현재의 시트(100)의 위치가 하차 거리 이상의 차이가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현재의 시트(100) 위치를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시트(100) 위치의 차이가 식별된 하차 거리(100c)보다 큰 경우에 응답하여, 이는 평소에 학습(저장)된 승차 위치들과의 거리가 큰 경우에 해당하므로, 차량(1)이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100) 위치를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할지 여푸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시트(100) 위치의 차이가 식별된 하차 거리(100c)보다 큰 경우는 이례적인 시트(100) 위치에 해당하므로, 운전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차량(1)의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승차 위치(100a)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운전자 하차 조건은 예를 들어, 차량(1)의 시동이 꺼지거나, 차량(1)의 도어(71, 72)가 열리거나, 차량(1)의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300)는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시트(100) 위치의 차이가 식별된 하차 거리(100c)보다 큰 경우, 운전자 하차 조건에 차량(1)이 해당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 시트(100)의 위치가 아닌 기존의 승차 위치를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운전자 하차 조건에 차량(1)이 해당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300)는 현재 시트(100)의 위치를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의도를 현재 시트(100)의 위치 및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의 비교 및 운전자 하차 조건을 기초로 판단하여 승차 위치(100a)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은 차량(1)의 운전석(110) 외측면 방향을 향해 설치된 카메라(510)를 기초로 시트(100)를 제어하는 것에 중점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보조석(120) 외측면 방향을 향해 추가적인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보조석(120)의 탑승자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뒷자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차량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된 차량(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차량(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은 운전자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00).
또한, 차량(1)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 키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S110).
또한, 차량(1)은 식별된 운전자 키 정보와 기저장된 키 정보가 오차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또한, 차량(1)은 식별된 운전자 키 정보와 기저장된 키 정보가 오차 범위내가 아닌 것에 응답하여, 식별된 운전자 키 정보, 기저장된 승차 위치와 키 정보를 기초로 승차 위치(100a)를 식별할 수 있다(S130).
또한, 차량(1)은 식별된 운전자 키 정보와 기저장된 키 정보가 오차 범위 내인 것에 응답하여 기저장된 승차 위치를 현재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할 수 있다(S140).
또한, 차량(1)은 식별된 운전자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거리(100c)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하차 거리 및 식별된 승차 위치(100a)를 기초로 하차 위치(100b)를 식별할 수 있다(S150).
또한, 차량(1)은 운전자 승차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0).
또한, 차량(1)은 운전자 승차 조건에 해당하는 것에 응답하여 식별된 승차 위치(100a)로 시트(100)를 제어할 수 있다(S170).
도 8을 참조하면, 차량(1)은 입력부(200)를 통해 운전자의 시트(100) 위치 조절 입력 시 시트(100)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센서(520)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S200).
또한, 차량(1)은 기저장된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시트(1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의 차이가 하차 거리(100c)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S210).
또한, 차량(1)은 기저장된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시트(1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의 차이가 하차 거리(100c)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시트(100)의 현재 위치를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할 수 있다(S220).
또한, 차량(1)은 기저장된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시트(1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의 차이가 하차 거리(100c)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차량(1)이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또한, 차량(1)은 차량(1)이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 것에 응답하여, 기저장된 승차 위치를 현재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할 수 있다(S240).
또한, 차량(1)은 차량(1)이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시트(100)의 현재 위치를 승차 위치(100a)로 식별할 수 있다(S220).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2: 본체
30: 클러스터 31: 스티어링 휠 33: 대시 보드
35: 센터페시아 37: 센터 콘솔 38: 트레이
51, 52: 차륜 60: 구동 장치 71, 72: 도어
81, 82: 사이드미러
100: 차량용 시트 101: 헤드레스트 102: 시트 백
103: 암레스트 104: 시트 쿠션 107: 팔걸이
110: 운전석 120: 보조석
200: 입력부 210: 레버 220: 버튼
300: 제어부 400: 시트모터
500: 감지부 510: 카메라 520: 센서

Claims (20)

  1. 차량용 시트;
    차량의 운전석 외측 측면 방향을 향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슬라이딩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을 구현하는 시트모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키 정보를 식별하되,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 키 정보를 기초로 승차 위치를 식별하되, 상기 시트가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시트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 및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위치를 식별하되, 상기 시트가 상기 식별된 하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시트모터를 제어하는 차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하차 거리 및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를 기초로 식별하는 것인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시트의 운전자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에 운전자가 탑승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시트를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시트모터를 제어하는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시트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더 생성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시트의 위치 조작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치 조작에 따른 상기 시트의 위치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승차 위치들을 기초로 상기 시트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상기 시트의 위치의 차이가 상기 하차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하는 차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상기 시트의 위치의 차이가 상기 하차 거리보다 큰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이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 것에 응답하여, 기존의 승차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운전자를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운전자 별로 키 정보 및 식별된 승차 위치를 저장하는 것인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 위치를 상기 식별된 운전자에 따라 시간 별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량.
  11. 카메라에 의하여 차량의 운전자석 외측 측면 방향을 향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 키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 및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 키 정보를 기초로 승차 위치를 식별하며;
    시트가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시트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 및 상기 운전자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시트가 상기 식별된 하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시트모터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운전자의 키 정보를 기초로 하차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하차 거리 및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를 기초로 식별하는 차량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시트모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시트에 운전자가 탑승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시트를 상기 식별된 승차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시트모터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시트의 위치 조작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치 조작에 따른 상기 시트의 위치 데이터 및 기존의 승차 위치들을 기초로 상기 시트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상기 시트의 위치의 차이가 상기 하차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하는 차량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기존의 승차 위치들의 평균값과 상기 시트의 위치의 차이가 상기 하차 거리보다 큰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이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차량이 상기 운전자 하차 조건에 해당하는 것에 응답하여, 기존의 승차 위치를 승차 위치로 식별하는 차량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운전자를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운전자 별로 키 정보 및 식별된 승차 위치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것은,
    상기 승차 위치를 상기 식별된 운전자에 따라 시간 별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210122322A 2021-09-14 2021-09-1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286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22A KR102864478B1 (ko) 2021-09-14 2021-09-1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7/878,203 US12233754B2 (en) 2021-09-14 2022-08-01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22A KR102864478B1 (ko) 2021-09-14 2021-09-1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253A KR20230039253A (ko) 2023-03-21
KR102864478B1 true KR102864478B1 (ko) 2025-09-26

Family

ID=8547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322A Active KR102864478B1 (ko) 2021-09-14 2021-09-1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2233754B2 (ko)
KR (1) KR102864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357883A1 (en) 2023-03-24 2024-10-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vehicle including the display pan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5872A (ja) * 2004-07-01 2006-01-19 Honda Motor Co Ltd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および視界調整システム
JP2009184607A (ja) 2008-02-08 2009-08-20 Denso Corp 車両用制御装置
US20210276501A1 (en) 2020-03-03 2021-09-09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Driver-Related In-Vehicl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8058B2 (ja) * 2010-07-12 2014-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制御装置
US20140270243A1 (en) * 2013-03-15 2014-09-18 Commercial Vehicle Group, Inc. Mobile device to vehicle integration
KR102163437B1 (ko) 2018-04-24 2020-10-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파워 시트 시스템의 모터 제어 방법
KR102153621B1 (ko) 2018-12-18 2020-09-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KR102167103B1 (ko) 2019-02-20 2020-10-1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시트의 위치제어 방법
FR3093306B1 (fr) * 2019-03-01 2024-06-28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ysteme et procede de reglage automatise de sieges de vehicules de types differents
KR102683804B1 (ko) 2019-03-06 2024-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조정시스템
CN113682315B (zh) * 2020-05-15 2023-06-23 华为技术有限公司 座舱系统调节装置和用于调节座舱系统的方法
US12298523B2 (en) * 2020-11-13 2025-05-13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Head-up display with automatic seat-height adjustment
US12036898B2 (en) * 2021-07-23 2024-07-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ptimized driver seat and pedal positioning using ulna leng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5872A (ja) * 2004-07-01 2006-01-19 Honda Motor Co Ltd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および視界調整システム
JP2009184607A (ja) 2008-02-08 2009-08-20 Denso Corp 車両用制御装置
US20210276501A1 (en) 2020-03-03 2021-09-09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Driver-Related In-Vehicl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0898A1 (en) 2023-03-16
KR20230039253A (ko) 2023-03-21
US12233754B2 (en) 202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46815B (zh) 车辆座椅自动调节方法及装置
US10501048B2 (en) Seatbelt buckling detection
US7369928B2 (en) Automatically adjusting head restraint system
US8145388B2 (en) Automatic driving position adjust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607509B2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EP1870296B1 (en) Vehicle seat detecting system, operation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vehicle
EP1842735B1 (en) Object detecting system, actuating device control system, vehicle, and object detecting method
EP400230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drive assistance system of a motor vehicle
CN105522970B (zh) 选择调节镜的方法
JP2010100142A (ja) 車両デバイス制御装置
KR100527466B1 (ko) 운전자 머리 위치 측정방법 및 장치
JP2006219009A (ja) 車両用機器自動調整システム
JP2008062805A (ja) 車輌用後視鏡装置
US20190329671A1 (en) Occupant information determination apparatus
KR102864478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5246406A (zh) 基于用户存在和位置的冗余车辆控件
WO2022192663A1 (en) Vehicle camera mirror system with adjustable video feed
WO2018133364A1 (zh) 汽车后视镜自动调节方法及系统
KR20140011646A (ko) 탑승자의 체형을 고려한 차량 시트의 좌우 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4779484B2 (ja) 表示器の角度制御装置
US12115907B2 (en) Indoor ligh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807013B2 (ja) 車両用制御装置
CN114954317A (zh) 一种车辆元件的位置调节方法、系统及车辆
JP4281621B2 (ja) 自動車の運転姿勢調整装置
JP2017087752A (ja) シート制御装置及びシート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