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68967B1 - 이어폰용 이어팁 - Google Patents
이어폰용 이어팁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68967B1 KR102868967B1 KR1020240046819A KR20240046819A KR102868967B1 KR 102868967 B1 KR102868967 B1 KR 102868967B1 KR 1020240046819 A KR1020240046819 A KR 1020240046819A KR 20240046819 A KR20240046819 A KR 20240046819A KR 102868967 B1 KR102868967 B1 KR 102868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phone
- eartip
- fastening
- wearing
- e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Abstract
이어폰용 이어팁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은 이어폰의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의 통로인 음향로를 포함하여 이어폰과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 및 체결부의 외주면 측을 감싸도록 체결부의 전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착용부는 외주면 측에 착용부의 전방 측으로부터 착용부의 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돌출 형성되고 음향로의 축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마다 배치되는 환형의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어폰용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외이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어폰용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헤드폰은 크게 사용자의 귀를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어라운드 이어 헤드폰(around-ear headphone), 사용자의 귀 위에 얹힌 상태에서 사용하는 온-이어 헤드폰(on-ear headphone) 및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인-이어 헤드폰(in-ear headphone)으로 구분된다. 최근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피씨(tablet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활성화에 따라 휴대성이 우수한 인-이어 헤드폰(이하, 이어폰이라 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어폰은 음향을 출력하는 본체와 이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삽입되는 이어팁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는 플라스틱(hard polymer)이나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며 이어팁과 연결되는 단부에는 이어팁과의 결합을 위한 홈과 걸림턱이 마련된다. 이어팁은 본체의 홈 및 걸림턱과 결합하여 본체에서 출력된 음향을 귀속으로 전달하는 음파로 및 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삽입 및 고정되는 외피 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어팁은 사용자의 외이 내측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한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이어폰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와의 사이에 기밀성을 보장하여 외부 노이즈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이어팁은 외피 부재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충격이나 이어폰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사용 중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이어팁은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전체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장시간 착용 시 사용자의 외이 내측과 외부 공기의 차단이 지속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염증 등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이어팁은 외이 내측에 전체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외부 노이즈를 완전 차단시킴으로써 운동 중이거나 도보 중인 사용자가 교통 사고 등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본 실시 예는 외부 충격이나 이어폰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사용 중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용 이어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외이 내측 일부와 접촉 및 고정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 외부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유도할 수 있는 이어폰용 이어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외이 내측 일부와 접촉 및 고정되어 적절한 수준의 외부 노이즈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이어폰 착용 중에도 외부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큰 소음을 인지할 수 있는 이어폰용 이어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어폰의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의 통로인 음향로를 포함하여 상기 이어폰과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 측을 감싸도록 상기 체결부의 전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외주면 측에 상기 착용부의 전방 측으로부터 상기 착용부의 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음향로의 축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마다 배치되는 환형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이어팁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이어폰에 마련되는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음향로의 내주면 후단 측에 마련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상기 음향로의 축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상에 3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상기 착용부의 사이마다 상기 음향로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외기 순환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분할된 상기 착용부 양단 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체결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상기 음향로의 축 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마련되는 원호 형상의 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은 외부 충격이나 이어폰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사용 중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은 사용자의 외이 내측 일부와 접촉 및 고정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 외부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유도할 수 있음에 따라 장시간 착용 시에도 쾌적한 사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은 적절한 수준의 외부 노이즈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이어폰 착용 중에도 외부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큰 소음을 인지할 수 있음에 따라 이어폰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이 이어폰에 체결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이 이어폰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이 이어폰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의 상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의 상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6의 a, b는 각각 도 5a의 B-B`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이 이어폰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이 이어폰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의 상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의 상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6의 a, b는 각각 도 5a의 B-B`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이 이어폰에 체결되기 전 상태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이 이어폰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의 상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의 상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6의 a, b는 각각 도 5a의 B-B`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100)은 이어폰(E)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110)와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착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10)와 착용부(120)는 서로 일체로 마련되며, 이어폰(E)과의 체결과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삽입 고정을 위하여 변형 가능한 비교적 얇은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100)이 결합되는 이어폰(E)은 무선 이어폰(E)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유선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이어폰(E)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10)는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이어폰(E)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통로를 형성하는 음향로(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10)는 이어폰(E)과의 체결을 위하여 음향로(111)의 내주면 후단 측에 마련되는 체결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결돌기(112)는 이어폰(E)의 스피커 측에 마련되는 환형의 체결홈(E1)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100)이 이어폰(E)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어폰(E)의 스피커 측에 마련되는 환형의 체결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체결돌기(112)을 대신하여 마련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부(110)는 외부로부터 음향로(111)를 거쳐 이어폰(E)의 스피커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향로(111)의 내주면 전단 측 또는 중앙부에 마련되는 메시(mesh, 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시(123)는 체결부(11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착용부(120)는 체결부(110)의 외주면 측을 감싸도록 체결부(110)의 전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음향로(111)의 축 방향에 대하여 형성되는 착용부(120)의 후단은 체결부(110)의 후단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착용부(120)는 음향로(111)의 축 방향에 대하여 전단 측으로부터 후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마련되거나 전단 측으로부터 후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다가 후단과 인접한 측으로부터 후단까지 점차 줄어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착용부(120) 외주면 측에 착용부(120)의 전방 측으로부터 착용부(120)의 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돌출 형성되고 음향로의 축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마다 배치되는 환형의 걸림돌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121)는 착용부(120)가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 삽입될 때는 착용부(120)의 외주면 측으로 밀착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고정되고, 착용부(120)가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될 때는 착용부(120)의 외주면 측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확장되어 외부 충격이나 이어폰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이 사용 중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착용부(12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향로(111)의 축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상에 3개로 등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착용부(120) 사이에는 음향로(111)의 축 방향으로 분할된 착용부(120)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체적으로 마련되는 외기 순환로(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은 사용자의 외이 내측 일부와 접촉 및 고정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 외부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유도할 수 있음에 따라 장시간 착용 시에도 쾌적한 사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부(12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음향로(111)의 축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상에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착용부(120)는 분할된 착용부(120) 의 양단 측으로부터 각각 체결부(11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음향로(111)의 축 방향에 대하여 형성되는 착용부(120)의 후단이 체결부(110)의 후단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측벽(123)의 후단은 착용부(120)의 후단 측 외주면으로부터 체결부(110)의 후단 측 외주면까지 이어지는 곡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측벽(123)의 후단 측은 측벽(123)의 전단 측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을 저면 측에서 상측으로 올려다보았을 때,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기 순환로(122)의 반대측으로 만곡부가 형성되는 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은 분할 형성된 착용부(120)가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 삽입될 때, 사용자의 외이 내측의 형상에 맞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 착용부(120)가 음향로(111)의 축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에 대하여 체결부(110)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 피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착용부(120)는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향로(111)의 축 방향으로 걸림돌기(121) 사이에 마련되는 원호 형상의 슬릿(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릿(124)은 착용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체결부(110) 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홀로서 사용자의 외이 내측으로 외부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슬릿(124)은 음향로(111)의 축 방향으로 걸림돌기(121) 사이마다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슬릿(124)은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는 착용부(120)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측벽(123) 간에 형성되는 장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슬릿(124)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할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착용부(120)에도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걸림돌기(121) 사이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용 이어팁은 적절한 수준의 외부 노이즈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이어폰 착용 중에도 외부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큰 소음을 인지할 수 있음에 따라 이어폰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용 이어팁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E. 이어폰 E1 체결홈
100. 이어팁 110. 체결부
111. 음향로 112. 체결돌기
113. 메시 120. 착용부
121. 걸림돌기 122. 외기 순환로
123. 측벽 124. 슬릿
100. 이어팁 110. 체결부
111. 음향로 112. 체결돌기
113. 메시 120. 착용부
121. 걸림돌기 122. 외기 순환로
123. 측벽 124. 슬릿
Claims (5)
- 이어폰의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의 통로인 음향로를 포함하여 상기 이어폰과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 측을 감싸도록 상기 체결부의 전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이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외주면 측에 상기 착용부의 전방 측으로부터 상기 착용부의 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음향로의 축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마다 배치되는 환형의 걸림돌기와,
상기 음향로의 축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상에 복수 개 분할되고 분할된 상기 착용부의 사이마다 상기 음향로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외기 순환로와,
분할된 상기 착용부 양단 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체결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기 순환로의 반대측으로 만곡부가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측벽을 포함하는 이어폰용 이어팁.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이어폰에 마련되는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음향로의 내주면 후단 측에 마련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용 이어팁.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음향로의 축 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마련되는 원호 형상의 슬릿을 더 포함하는 이어폰용 이어팁.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868967B1 true KR102868967B1 (ko) | 2025-10-13 |
Family
ID=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5149586A (ja) * | 2014-02-06 | 2015-08-20 | ソニー株式会社 | イヤピースおよび電気音響変換装置 |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5149586A (ja) * | 2014-02-06 | 2015-08-20 | ソニー株式会社 | イヤピースおよび電気音響変換装置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900681B2 (en) | Earbud headphone adapter | |
| US9788099B2 (en) | Ear tip with stabilizer | |
| US10462549B2 (en) |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 |
| US7627131B2 (en) | Flexible earpiece for a hearing aid | |
| US20080298626A1 (en) | Audio earbud carrier | |
| CN110679160B (zh) | 一种耳承以及应用该耳承的耳塞和助听器 | |
| US11381897B2 (en) |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 |
| US20090232342A1 (en) | Earbud adapter with increased flexibility region | |
| WO2018058879A1 (zh) | 一种耳机 | |
| HK1204837A1 (en) | Earpiece positioning and retaining | |
| JP2022505448A (ja) | イヤホンスリーブ及びイヤホンスリーブを含むイヤホンアセンブリ | |
| JP7404735B2 (ja) | 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のサポータ | |
| US11463793B1 (en) | Headphone and ear supporting thereof | |
| JP3161011U (ja) | 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ヘッドホン | |
| JP3218417U (ja) | 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イヤホン | |
| KR102868967B1 (ko) | 이어폰용 이어팁 | |
| CN106162402B (zh) | 声音收听布置 | |
| JP6682285B2 (ja) | ヘッドホン | |
| KR102443165B1 (ko) | 착용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보청기 | |
| US20180103310A1 (en) | Light weight headphone | |
| CN217825274U (zh) | 耳机 | |
| CN106535026A (zh) | 耳套式耳机 | |
| TWI831019B (zh) | 入耳式耳機 | |
| KR101756648B1 (ko) | 착용감이 부드러우며, 운동시에 이탈이 되지 않는 이어폰 및 보청기 | |
| CN220457575U (zh) | 耳帽和耳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