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61102B1 - Color Fil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lor Fil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61102B1 KR102861102B1 KR1020220128599A KR20220128599A KR102861102B1 KR 102861102 B1 KR102861102 B1 KR 102861102B1 KR 1020220128599 A KR1020220128599 A KR 1020220128599A KR 20220128599 A KR20220128599 A KR 20220128599A KR 102861102 B1 KR102861102 B1 KR 1028611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color filter
- frit
- pattern boundary
- glass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7—Light-trapping mea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유리 기판,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프릿(frit), 유리 기판 상의 프릿 안쪽에 형성된 패턴 경계부, 유리 기판 상의 패턴 경계부 안쪽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1 착색층 및 패턴 경계부와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2 착색층을 포함하는 컬러필터가 개시된다.A color filter is disclosed, which includes a glass substrate, a frit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a pattern boundary formed inside the frit on the glass substrate, a black matrix (BM) layer formed inside the pattern boundary on the glass substrate, a first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BM layers, and a second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컬러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filter,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은 전극 노출로 인해 태양광, 조명 등과 같은 외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반사된 외광에 의해 시인성과 명암비가 저하되어 표시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panels may reflect external light, such as sunlight or lighting, due to the exposure of electrodes, and the reflected external light may reduce visibility and contrast ratio, resulting in poor display quality.
이에,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221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표면의 외광 반사를 차단하고 블랙 시감을 가지게 하기 위해, 선 편광자와 λ/4 위상차층을 조합한 원 편광판을 반사방지용 편광판으로서 OLED 패널의 시인측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122138, a circular polarizing plate combining a linear polarizer and a λ/4 phase difference layer can be attached to the viewing side of an OLED panel as an anti-reflection polarizing plate to block external light reflection on the surface and provide a black viewing sensation when the power is off.
하지만, 이와 같은 반사방지용 편광판을 적용할 경우 OLED 패널의 휘도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반사방지용 편광판을 대체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컬러필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However, applying such anti-reflection polarizing plates can cause a decrease in OLED panel brightness. Consequently, interest in color filters as a potential replacement for anti-reflection polarizing plates is growing.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한 후 밀봉하기 위하여 프릿(frit)을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frit can be used to seal the display panel after it has been manufactured.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39557호에서는 "제 1 기판 위에 발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열층 위에 프리트재와 바인더를 포함한 프리트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바인더를 제거하고, 또 상기 프리트재를 융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열층을 유도 가열로 가열하여, 글라스 프리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글라스 프리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대향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글라스 프리트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상기 글라스 프리트와 상기 제 2 기판을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체의 제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프릿의 높은 소성 온도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도 가열을 사용해 발열층을 국소적으로 가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139557 disclos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alant, comprising: "forming a heating layer on a first substrate; forming a frit paste including a frit material and a binder on the heating layer; heating the heating layer by induction heating to remove the binder and fuse the frit material, thereby forming a glass frit; provid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facing each other with the glass frit therebetween; and irradiating the glass frit with laser light to fuse the glass frit and the second substrate." That is, in order to solve a problem caused by a high firing temperature of the frit, a method of locally heating the heating layer using induction heating is proposed.
그러나, 유도 가열을 사용해 프릿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발열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의 증가가 발생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39557호에서는 또한, "발열층(113)은, 후에 형성되는 프리트 페이스트(115)의 패턴과 대략 일치하도록 프리트 페이스트를 형성"하도록 개시하고 있는데, 이 때 발열층 및 프리트 페이스트 형성시의 정밀도 및 정렬 오차로 인하여 발열층의 폭이 프릿에 비해 넓어야 한다. 그러나, 발열층의 폭을 넓게 형성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 영역이 넓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However, in order to form the frit using induction heating, an additional process for forming a heating layer must be added, which results in an increase in time and cost.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139557 also discloses that "the heating layer (113) is formed with frit paste so as to roughly match the pattern of the frit paste (115) formed later," and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heating layer must be wider than that of the frit due to the precision and alignment error during the formation of the heating layer and frit paste. However, if the width of the heating layer is formed wide, there occur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ezel area of the display panel becomes wide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릿을 사용하여 밀봉 가능하며 공정이 단순하고 좁은 베젤 영역을 갖는 컬러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color filter that can be sealed using frit, has a simple process, and has a narrow bezel area.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유리 기판 상에 컬러필터를 형성하여 OLED용 편광판을 대체할 수 있는 컬러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filter that can replace a polarizing plate for OLED by forming a color filter on a glass substrat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프릿을 사용하여 밀봉 가능한 컬러필터 제작 시에 막 두께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flatness of the film thickness when manufacturing a sealable color filter using frit.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술한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lor fi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술한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lor filter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유리 기판,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프릿(frit), 유리 기판 상의 프릿 안쪽에 형성된 패턴 경계부, 유리 기판 상의 패턴 경계부 안쪽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1 착색층 및 패턴 경계부와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2 착색층을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패턴 경계부는 프릿으로부터 BM층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상면을 포함한다.To solve such a problem,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lor filter including a glass substrate, a frit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a pattern boundary formed inside the frit on the glass substrate, a black matrix (BM) layer formed inside the pattern boundary on the glass substrate, a first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BM layers, and a second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Here, the pattern boundary includes a first upper surface inclined from the frit toward the BM layer.
패턴 경계부는 제1 상면으로부터 BM층 방향으로 평탄한 제2 상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ttern boundar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upper surface that is flat from the first upper surface toward the BM layer.
패턴 경계부의 폭 및 평균 높이는 각각 BM층의 폭 및 평균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and average height of the pattern boundary be greater than the width and average height of the BM layer, respectively.
프릿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의 기울어진 변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는 5도 내지 30도일 수 있다.The cross-section of the frit may be trapezoidal. The angle of the inclined side of the trapezoidal shap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rom 5 degrees to 30 degrees.
프릿과 패턴 경계부 사이의 거리는 200um 내지 1500um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rit and the pattern boundary be 200 um to 1500 um.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의하면, 유리 기판,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프릿(frit), 유리 기판 상의 프릿 안쪽에 형성된 제1 패턴 경계부, 유리 기판 상의 제1 패턴 경계부 안쪽에 형성된 제2 패턴 경계부, 유리 기판 상의 제2 패턴 경계부 안쪽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1 착색층 및 제2 패턴 경계부와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2 착색층을 포함하는 컬러필터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제1 패턴 경계부는 프릿으로부터 BM층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상면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 filter is provided, including a glass substrate, a frit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a first pattern boundary formed inside the frit on the glass substrate, a second pattern boundary formed inside the first pattern boundary on the glass substrate, a black matrix (BM) layer formed inside the second pattern boundary on the glass substrate, a first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BM layers, and a second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second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Here, the first pattern boundary includes a first upper surface inclined from the frit toward the BM layer.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터에서, 유리 기판의 두께는 0.2mm 내지 0.5mm일 수 있고, 유리 기판의 굴절률은 1.4 내지 1.8일 수 있다.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glass substrate may be 0.2 mm to 0.5 mm,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glass substrate may be 1.4 to 1.8.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터는 반사방지용 또는 편광판 대체용일 수 있다.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anti-reflection or as a replacement for a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의하면, 상술한 것과 같은 컬러필터 및 컬러필터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 color filter as described above and a display panel coupled to the color fi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의하면, 프릿(frit)이 형성된 유리 기판 상의 프릿 안쪽에 패턴 경계부 및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M층 사이에 제1 착색층을 형성하고 패턴 경계부와 BM층 사이에 제2 착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패턴 경계부는 프릿으로부터 BM층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상면을 갖도록 형성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is provided, including the steps of forming a pattern boundary and a black matrix (BM) layer inside a frit on a glass substrate on which frit is formed, forming a first coloring layer between the BM layers, and forming a second coloring layer between the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Here, the pattern boundary is formed to have a first upper surface inclined from the frit toward the BM layer.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은 패턴 경계부 및 BM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유리 기판 상에 프릿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forming a frit on a glass substrate before the step of forming a pattern boundary and a BM layer.
패턴 경계부 및 BM층은 슬릿 코팅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attern boundary and BM layer can be formed by a slit coating method.
제1 및 제2 착색층은 슬릿 코팅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loring layers can be formed by a slit coating method.
슬릿 코팅 시 코팅 속도는 20mm/s 내지 80mm/s일 수 있다.The coating speed during slit coating can be 20 mm/s to 80 mm/s.
패턴 경계부 및 BM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착색층 및 제2 착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노광량은 80mj 내지 120mj 일 수 있다.In the step of forming the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and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color layer and the second color layer, the exposure amount may be 80 mj to 120 mj.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 기판 상에서 프릿과 화소 영역 사이에 블랙 매트릭스층과 동일한 재질의 패턴 경계부를 형성하여, 간소화된 공정으로 컬러필터를 밀봉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층과 착색층의 막 두께의 평탄도가 향상되고 좁은 베젤 영역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컬러필터는 광효율 증가 및 외광 반사 억제 효과를 제공하여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편광판을 대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ttern boundar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lack matrix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rit and the pixel area on a glass substrate, thereby allowing a color filter to be sealed through a simplified process, thereby improving the flatness of the film thicknesses of the black matrix layer and the coloring layer and achieving a narrow bezel area. Such a color filter can replace a polarizing plate in an OLED display device by providing increased light efficiency and suppressing external light refl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 제조방법의 각 단계별 공정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or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I of Figure 1.
FIG. 3 and FIG.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ortion of a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ach step of the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lor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들은 도면 상에서 과장되게 표현되거나, 축소 또는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or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I of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는 기판(110), 봉지용 프릿(frit)(120),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130), 패턴 경계부(135) 및 착색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bstrate (110), a frit for sealing (120), a black matrix (BM) layer (130), a pattern boundary (135), and a coloring layer (140).
기판(110)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의 두께는 0.2mm 내지 0.5mm일 수 있다. 기판(110)의 굴절률은 광효율의 측면에서 컬러필터와 유사한 1.4 내지 1.8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bstrate (110) may be a glass substrate.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10) may be 0.2 mm to 0.5 m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110) is preferably 1.4 to 1.8, which is similar to that of a color filter in terms of light efficiency.
기판(110) 상에는 기판(110)을 대향 기판(미도시)과 중첩하여 밀봉하기 위한 프릿(120)이 형성되어 있다. 프릿(120)의 재질이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밀봉 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A frit (12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to seal the substrate (110) by overlapping it with an opposing substrate (not shown). The material 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rit (120) and the seal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technique commonly used in this field can be used.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프릿(120)의 폭(f)은 300um 내지 1500um일 수 있다. 프릿(120)의 폭이 이보다 좁으면 추후 프릿을 이용하여 두 기판을 접합할 때, 대향 기판과 접합되는 면적이 좁아 박리 발생의 가능성이 크고, 폭이 넓으면 면취율이 하락하고 베젤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프릿(120)의 높이는 4um 내지 10um, 바람직하게는 5um 내지 8um일 수 있다. 프릿(120)의 높이가 이보다 높으면 대향 기판 상에 형성되는 OLED(미도시)와의 거리가 멀어져 시야각이 감소하고, 이보다 낮으면 OLED와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OLED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촉압이 증가한다. Now, referring to FIG. 2, the width (f) of the frit (120) may be 300 um to 1500 um. If the width of the frit (120) is narrower than this, when bonding two substrates using the frit later, the bonding area with the opposing substrate is narrow,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peeling. If the width is wide, the chamfering rate decreases and the bezel area widens. The height of the frit (120) may be 4 um to 10 um, preferably 5 um to 8 um. If the height of the frit (120) is higher than this, the distance from the OLED (not shown) formed on the opposing substrate increases, reducing the viewing angle. If the height of the frit (120) is lower than this, the distance from the OLED becomes too close, which may cause contact with the OLED,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프릿(120)의 경사도를 나타내는 각(α)은 5도 내지 30도일 수 있다. 경사도가 이보다 높으면, 즉 각 α가 크면 코팅 시 공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너무 낮으면, 즉 각 α가 너무 작으면 기판 접합 시 대향 기판과 닿는 면적이 좁아 박리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The angle (α) repres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frit (120) may be 5 to 30 degrees. If the inclination is higher than this, that is, if the angle α is large, the processability may be poor during coating, and if it is too low, that is, if the angle α is too small,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opposing substrate during substrate bonding may be narrow, which may result in peeling.
프릿(120)의 안쪽에는 BM층(130)과 착색층(140)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패턴의 가장자리를 따라 프릿(120)과의 사이에 패턴 경계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A pattern of a BM layer (130) and a coloring layer (140)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rit (120), and a pattern boundary (135) is formed between the frit (120) and the pattern along the edge of the pattern.
BM층(130)은 화소 영역을 구획하며, 화소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빛을 차단하고, 각 착색층의 경계에서 혼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차광층이다. 따라서, BM층(130)은 불투명 물질로 형성되며, 화소 영역을 둘러싸도록 패터닝되어 있다.The BM layer (130) is a light-blocking layer that defines the pixel area, blocks light from areas other than the pixel area, and prevents color mixing at the boundaries of each coloring layer. Therefore, the BM layer (130)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and is patterned to surround the pixel area.
BM층(130)은 카본 블랙이 포함된 재질로 형성되며, 고분자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예를 들면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폴리올레핀(polyolefin, 예를 들면, P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예를 들면, PET, PB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및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The BM layer (130)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carbon black and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e polymer material include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polyacrylate, polymethacrylate (e.g., PMMA), polyimide, polyamide, polyvinyl alcohol, polyamic acid, polyolefin (e.g., PE, PP), polystyrene, polynorbornene, phenylmaleimide copolymer, polyazobenzene, polyphenylenephthalamide, polyester (e.g., PET, PBT), polyarylate, cinnamate polymer, coumarin polymer, phthalimidine polymer, chalcone polymer, and aromatic acetylene polymer.
BM층(130)은 또한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 재료를 사용할 경우 저반사용으로 유리하다. The BM layer (130) may also use an organic material containing a black pigment. When using an organic material, it is advantageous for low reflection.
BM층(130)의 막 두께, 즉 그 높이는 0.8um 내지 1.8um, 바람직하게는 1.0um 내지 1.5um일 수 있다. BM층(130)의 높이가 이보다 높으면 OLED와 접촉할 수 있어 접촉압 증가에 따른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경우 코팅을 통한 제조 과정에서 BM층(130) 패턴이 생성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The film thickness, or height, of the BM layer (130) may be 0.8 um to 1.8 um, preferably 1.0 um to 1.5 um. If the height of the BM layer (130) is higher than this,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LED, which may cause defects due to increased contact pressure. If it is formed lower than this, an area where the BM layer (130) pattern is not created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coating.
패턴 경계부(135)는 BM층(13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에서는 패턴 경계부(135)가 경사진 상면을 갖는 제1 부분(도 2의 A)과 평탄한 상면을 갖는 제2 부분(도 2의 B)으로 구성된다. The pattern boundary (135)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M layer (130). 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pattern boundary (135) is composed of a first portion (A of FIG. 2) having an inclined upper surface and a second portion (B of FIG. 2) having a flat upper surface.
패턴 경계부(135)의 전체 폭 w는 50um 내지 500um일 수 있으며, 이 중 경사진 상면을 갖는 제1 부분(도 2의 A)의 폭 w1은 5um 내지 495um, 평탄한 상면을 갖는 제2 부분(도 2의 B)의 폭 w2는 5um 내지 495um일 수 있다. 경사진 상면의 경사각(θ)은 0도 내지 2도일 수 있다. The overall width w of the pattern boundary (135) may be 50 um to 500 um, and among these, the width w1 of the first portion (A in FIG. 2) having an inclined upper surface may be 5 um to 495 um, and the width w2 of the second portion (B in FIG. 2) having a flat upper surface may be 5 um to 495 um.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inclined upper surface may be 0 degrees to 2 degrees.
패턴 경계부(135)와 프릿(120) 사이의 거리(d)는 200um 내지 1500u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0um 내지 1000um이다. 거리(d)가 가까우면 레이저를 사용해 프릿(120)으로 밀봉할 때 프릿(120) 안쪽에 형성된 패턴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거리(d)가 멀면 베젤 영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distance (d) between the pattern boundary (135) and the frit (120) may be 200 um to 1500 um, and preferably 400 um to 1000 um. If the distance (d) is close, damage may occur to the pattern formed inside the frit (120) when sealing with the frit (120) using a laser, and if the distance (d) is lo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ezel area increases.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프릿(120)을 형성함에 있어 별도의 발열층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판(110) 상에 직접 프릿(12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좁은 베젤 영역을 구현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heating layer or the like is not required to form the frit (120), and the frit (120) can be formed directly on the substrate (110), so that a narrower bezel area can be implemented compared to the prior art.
착색층(140)은 컬러 디스플레이를 위한 색 구현을 위한 층으로, 통상적으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이 패턴화되어 있으며, BM층(130) 사이의 화소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에서는 착색층(140)이 BM층(130) 사이의 화소 영역 및 BM층(130)과 패턴 경계부(135)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한편, 착색층(140)이 적색, 녹색, 청색의 패턴을 모두 포함하여야 하거나 적색, 녹색, 청색의 패턴만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상 표현 방식에 따라 이 중 임의의 일부 색상의 패턴만이 포함되거나 백색(White) 패턴 등과 같은 다른 색상의 패턴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The coloring layer (140) is a layer for implementing colors for a color display, and is typically patterned with red, green, and blue, and is arranged in a pixel area between the BM layers (130). 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ing layer (140) is formed in the pixel area between the BM layers (130) and the area between the BM layer (130) and the pattern boundary (135). Meanwhile, the coloring layer (140) does not have to include all of the red, green, and blue patterns, or only the red, green, and blue patterns, and depending on the color expression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only some of the color patterns may be included, or other color patterns, such as a white pattern, may be further included.
착색층(140) 또한 상술한 고분자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BM층(130)과 착색층(140) 중 하나 이상을 저반사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착색층(140)의 재질로 반사율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를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광 반사방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각 색상별 투과율은 OLED 광원의 중심 파장에서 50%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loring layer (140) can also be formed of the polymer material described above,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t least one of the BM layer (130) and the coloring layer (140) with a low-reflection material.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with low reflectivity as the material of the coloring layer (140), and whe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preventing external light reflection in an OLED display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ance for each color be 50% or more at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OLED light source.
착색층(140)의 막 두께, 즉 그 높이는 1.0um 내지 2.5um, 바람직하게는 1.2um 내지 2.0um일 수 있다. 착색층(140)의 높이가 이보다 높으면 OLED와 접촉할 수 있어 접촉압 증가에 따른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경우 코팅을 통한 제조 과정에서 착색층(140) 패턴이 생성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The film thickness, or height, of the coloring layer (140) may be 1.0 um to 2.5 um, preferably 1.2 um to 2.0 um. If the height of the coloring layer (140) is higher than this,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LED, which may cause defects due to increased contact pressure. If it is formed lower than this, areas where the coloring layer (140) pattern is not created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coating.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s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ortion of a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에서는 패턴 경계부(335, 435, 437)의 형상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와 상이하다.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attern boundary portion (335, 435, 437)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에서는 패턴 경계부(335)의 상면 전체가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다. 패턴 경계부(335)의 형상 이외의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boundary portion (335) is configured in an inclined shape. Other than the shape of the pattern boundary portion (335),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에서는 패턴 경계부가 상면이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 제1 패턴 경계부(435)와 상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한 형태로 구성된 제2 패턴 경계부(437)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패턴 경계부(335)의 형상 이외의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4, in a color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boundary is divided into two parts: a first pattern boundary (435) having an inclined upper surface and a second pattern boundary (437) having a substantially flat upper surface. Other than the shape of the pattern boundary (335),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밖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턴 경계부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되, 두 부분의 상면이 모두 경사진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boundary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 upper surfaces of both parts may be configured in an inclined shape.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Now,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 제조방법의 각 단계별 공정 단면도이다.Figures 5a to 5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ach step of the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릿(120)이 형성된 기판(110)을 준비한다. 기판(110)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프릿(120)은 기판(110) 상에 미리 형성하여 준비하되, 이의 재질이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a, a substrate (110) on which a frit (120) is formed is prepared. The substrate (110) may be a glass substrate. The frit (120) is prepared by being formed in advance on the substrate (110), but the material 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technique commonly used in this field may be used.
다음으로,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500)을 통해 BM층 및 패턴 경계부 형성용 조성물(530)을 도포한다. 도면에서 C로 나타낸 화살표는 코팅 방향을 나타낸다. 코팅 방법으로는 슬릿 코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BM층 및 패턴 경계부 형성용 조성물(530)로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상술한 고분자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5b, a composition (530) for forming a BM layer and a pattern boundary is applied through a nozzle (500). The arrow indicated by C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coating direction. As a coating method, slit coating or the like can be used, and as the composition (530) for forming a BM layer and a pattern boundary, the aforementioned polymer material containing carbon black can be used.
BM층 및 패턴 경계부 형성용 조성물(530)을 코팅하는 공정에서 코팅 갭(gap)은 50 um 내지 350um, 바람직하게는 100um 내지 250um로 한다. 코팅 갭이 이 범위보다 높으면 점도에 따라 코팅이 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범위보다 낮으면 노즐(500)에 조성물 비드(bead) 밀림 현상이 발생하여 코팅의 균일성이 저하되고 이물에 의한 노즐 손상이 있을 수 있다.In the process of coating the composition (530) for forming the BM layer and pattern boundary, the coating gap is set to 50 um to 350 um, preferably 100 um to 250 um. If the coating gap is higher than this range, a portion may not be coated depending on the viscosity, and if it is lower than this range, the composition bead may be pushed into the nozzle (500), which may lower the uniformity of the coating and cause damage to the nozzle due to foreign substances.
코팅 속도는 1mm/s 내지 150mm/s, 바람직하게는 20mm/s 내지 80mm/s로 한다. 코팅 속도가 이 범위보다 빠르면 점도에 따라 코팅이 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범위보다 낮으면 공정 속도의 지연이 문제될 수 있다. The coating speed should be between 1 mm/s and 150 mm/s, preferably between 20 mm/s and 80 mm/s. If the coating speed is faster than this range, some areas may not be coated depending on the viscosity. If the speed is lower than this range, process speed delays may be a problem.
그런 다음, 코팅된 BM층 및 패턴 경계부 형성용 조성물(530) 막을 패터닝하여,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BM층(130)과 패턴 경계부(135)를 형성한다.Then, the film of the composition (530) for forming the coated BM layer and pattern boundary is patterned to form the BM layer (130) and the pattern boundary (135), as shown in FIG. 5c.
BM층(130)과 패턴 경계부(135)를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노광량은 30mj 내지 200mj, 바람직하게는 80mj 내지 120mj로 한다. 노광량이 이 범위보다 낮으면 밀착력이 저하되고, 이 범위보다 높으면 공정 속도의 지연이 문제될 수 있다.The exposure dos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M layer (130) and the pattern boundary (135) is set to 30 mj to 200 mj, preferably 80 mj to 120 mj. If the exposure dose is lower than this range, the adhesion is reduced, and if it is higher than this range, the process speed may be delayed.
형성되는 BM층(130)과 패턴 경계부(135)의 치수 및 형상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The dimensions and shape of the formed BM layer (130) and the pattern boundary (135) a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이제, 도 5d에 나타난 바와 같이, BM층(130)과 패턴 경계부(135) 상에 착색층(140)을 형성한다.Now, as shown in Fig. 5d, a coloring layer (140) is formed on the BM layer (130) and the pattern boundary (135).
착색층(140)은 BM층(130) 및 패턴 경계부(135)에 의해 구획된 화소 영역에 색상 표현을 위한 각각의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노광 및 현상하여 형성한다. 착색층을 구성하는 색상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며, 각 색상별 형성의 순서 또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The coloring layer (140) is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coloring layer for color expression to a pixel area defined by the BM layer (130) and the pattern boundary (135), and exposing and developing it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colors constituting the coloring layer can be arbitrarily selected, and the order of formation for each color can also be arbitrarily selected.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는 과정은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BM층(130) 및 패턴 경계부(135)를 형성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즉, 슬릿 코팅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술한 코팅 갭, 코팅 속도 및 노광량의 조건으로 형성한다. The process of applying, exposing, and develop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colored layer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forming a BM layer (130) and a pattern boundary (13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b and 5c. That is, a method such as slit coating is used to form the layer under the conditions of the coating gap, coating speed, and exposure amount described above.
형성된 착색층(140)의 막 두께, 즉 그 높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1.0um 내지 2.5um, 바람직하게는 1.2um 내지 2.0um일 수 있다. The film thickness of the formed colored layer (140), i.e., its height, may be 1.0 um to 2.5 um, preferably 1.2 um to 2.0 um, as described above.
위의 제조방법에 따라 컬러필터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에서 블랙 매트릭스층과 착색층의 막 두께의 평탄도가 향상될 수 있다. By forming a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the flatness of the film thickness of the black matrix layer and the coloring layer 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Next,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lor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100) 및 이와 접합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lor filt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play panel (200) joined thereto.
컬러필터(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The color filter (100)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제2 기판(210) 상에 OLED층(22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구조는 단순한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조를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The display panel (2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OLED layer (220) is formed on a second substrate (210).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200) illustrated in FIG. 6 is presented as a simpl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structure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a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컬러필터(100) 상의 프릿(120)을 통해 컬러필터(100)와 접합된다. The display panel (200) is bonded to the color filter (100) through a frit (120) on the color filter (100).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can also be configured in a similar manner.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s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intended sole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유리 기판 상에 유기막으로 프릿을 모사한 기판을 제작하였다. 이 때 프릿의 폭은 1.1mm, 높이는 6.5um로 제작하였다. A substrate simulating a frit was fabricated using an organic film on a glass substrate. The frit was fabricated with a width of 1.1 mm and a height of 6.5 μm.
모사 기판 상에 BM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고, 사전 열처리, 노광, 현상, 경화를 거친 후 형성된 막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막의 폭은 Mercury8000s(V-Technology社), 높이는 PSIS5006(SNU Precision社)으로 측정하였다.A composition for forming a BM layer was coated on a mock substr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d film were measured after pre-heat treatment, exposure, development, and curing. The film width was measured using Mercury8000s (V-Technology), and the height was measured using PSIS5006 (SNU Precision).
측정 결과는 프릿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위치하여 프릿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의 값을 평균으로 정하고, 프릿으로부터의 위치에 따른 값을 평균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The measurement results are expressed by taking the average of the values of a portion located sufficiently far from the frit and not affected by the frit, and comparing the values according to the location from the frit with the average.
표 1은 코팅 속도에 따른 측정 결과, 표 2는 노광량에 따른 측정 결과, 표 3은 프릿의 경사에 따른 측정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coating speed, Table 2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exposure dose, and Table 3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frit inclination.
표 1의 측정에서, 코팅 갭은 150um, 조성물의 도포량은 16cc, 노광량은 87mj, 프릿의 경사(α)는 36도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In the measurements in Table 1, the coating gap was 150 μm, the amount of composition applied was 16 cc, the exposure dose was 87 mj, and the inclination (α) of the frit was kept constant at 36 degrees.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팅 속도를 80mm/s 이하로 유지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프릿과의 거리 0mm 및 0.5mm에서 폭 및 높이가 평균과 비교해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고 있는 데 비해, 코팅 속도를 100mm/s로 한 비교예 1의 경우, 프릿과의 거리 0mm 및 0.5mm에서 폭 및 높이의 증가폭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표 2의 측정에서는, 코팅 갭 150um, 코팅 속도 100mm/s, 조성물의 도포량 16cc, 프릿의 경사(α) 36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노광량의 변화에 따른 막의 폭 및 높이를 평균과 비교하였다.As shown in Table 1, in Examples 1 to 3 where the coating speed was maintained at 80 mm/s or less, the width and height were maintained within a constant range compared to the average at distances of 0 mm and 0.5 mm from the frit,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1 where the coating speed was 100 mm/s,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in width and height was large at distances of 0 mm and 0.5 mm from the frit. In the measurements in Table 2, the width and height of the film according to the change in exposure amount were compared with the average while maintaining the coating gap of 150 um, the coating speed of 100 mm/s,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composition of 16 cc, and the inclination (α) of the frit of 36 degrees constant.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광량을 각각 87mj 및 108mj로 하여 노광을 진행한 실시예 4 및 5의 경우, 프릿과의 거리 0mm 및 0.5mm에서 폭 및 높이가 평균과 비교해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고 있는 데 비해, 노광량을 70mj로 한 비교예 2의 경우, 프릿과의 거리 0mm 및 0.5mm에서 폭 및 높이의 증가폭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표 3의 측정에서는, 코팅 갭 150um, 코팅 속도 100mm/s, 조성물의 도포량 16cc, 노광량 70mj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프릿의 경사(α) 변화에 따른 막의 폭 및 높이를 평균과 비교하였다.As shown in Table 2, in Examples 4 and 5, where exposure was performed at exposure doses of 87 mj and 108 mj, respectively, the width and height were maintained within a constant range compared to the average at distances of 0 mm and 0.5 mm from the frit,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2, where exposure dose was 70 mj, the increase in width and height was large at distances of 0 mm and 0.5 mm from the frit. In the measurements in Table 3, the width and height of the film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clination (α) of the frit were compared with the averag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coating gap of 150 μm, a coating speed of 100 mm/s, an application amount of the composition of 16 cc, and an exposure dose of 70 mj.
(α, 도) Frit slope
( α, degrees )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릿의 경사(α)를 19도 및 27도로 형성한 실시예 6 및 7의 경우, 프릿과의 거리 0mm 및 0.5mm에서 폭 및 높이가 평균과 비교해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고 있는 데 비해, 프릿의 경사(α)를 36도로 형성한 비교예 3의 경우, 프릿과의 거리 0mm 및 0.5mm에서 폭 및 높이의 증가폭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표 1 내지 3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코팅 속도, 노광량 및 프릿의 경사에 따라 BM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막의 특성이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의 영향을 다시 한 번 확인하기 위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추가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As shown in Table 3, in Examples 6 and 7 where the inclination (α) of the frit was formed at 19 degrees and 27 degrees, the width and height were maintained within a constant range compared to the average at distances of 0 mm and 0.5 mm from the frit,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3 where the inclination (α) of the frit was formed at 36 degrees, the increase in the width and height was large at distances of 0 mm and 0.5 mm from the frit. In summary, the results shown in Tables 1 to 3 above show that the properties of the film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BM layer are affected by the coating speed, exposure dose, and inclination of the frit.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se conditions once again, additional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lored layer.
기준이 되는 비교예 4는 프릿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적, 녹, 청색의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막을 형성한 후 각각 투과율 및 휘도를 측정하였고, 실시예 8은 위의 표 1 내지 3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여, 코팅 갭 150um, 코팅 속도 50mm/s, 조성물의 도포량 16cc, 노광량 108mj, 프릿의 경사(α) 19도를 적용하였으며, 비교예 5는 코팅 갭 150um, 코팅 속도 100mm/s, 조성물의 도포량 16cc, 노광량 87mj, 프릿의 경사(α) 36도를 적용하였다.Comparative Example 4, which serves as a standard, formed a film us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red, green, and blue colored layers without forming a frit, and then measured the transmittance and brightness, respectively. Example 8 applied a coating gap of 150 μm, a coating speed of 50 mm/s, a coating amount of 16 cc of the composition, an exposure amount of 108 mj, and a frit inclination (α) of 19 degrees by synthesizing the results shown in Tables 1 to 3 above. Comparative Example 5 applied a coating gap of 150 μm, a coating speed of 100 mm/s, a coating amount of 16 cc of the composition, an exposure amount of 87 mj, and a frit inclination (α) of 36 degrees.
형성된 막의 폭은 Mercury8000s(V-Technology社)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색도, 광학 밀도 및 투과율은 분광측정기 LCF-5100(한국오츠카전자)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프릿 주변과 프릿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의 막 두께 및 특성치를 측정한 후 그에 따른 편차인 (Max-Min)/Ave*100/2(여기에서, Max는 최대값, Min는 최소값, Ave는 프릿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의 값)를 기준으로 특성치를 비교하였다.The width of the formed film was measured using Mercury8000s (V-Technology), and the color, optical density, and transmittance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LCF-5100 (Korea Otsuka Electronics). The film thickn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round the frit and the area not affected by the frit were measur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ased on the deviation (Max-Min)/Ave*100/2 (where Max is the maximum value, Min is the minimum value, and Ave is the value of the area not affected by the frit).
기준이 되는 비교예 4의 경우 표 4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3%의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8의 경우 표 4에서 굵은 글씨로 표시된 바와 같은 ±4%의 편차를 나타내었고, 비교예 5의 경우 표 4에서 기울임 글꼴로 표시된 바와 같은 ±6%의 편차를 나타내었다.또한, 동일한 조건으로 BM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막을 형성하고 그 특성치를 비교하였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4, which serves as a reference, a deviation of ±3% was shown as indicated by the shade in Table 4, in the case of Example 8, a deviation of ±4% was shown as indicated by the bold font in Table 4, 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5, a deviation of ±6% was shown as indicated by the italic font in Table 4. In addition, a film was formed us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BM layer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M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막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기준이 되는 비교예 4의 경우 표 4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3%의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8의 경우 표 4에서 굵은 글씨로 표시된 바와 같은 ±4%의 편차를 나타내었고, 비교예 5의 경우 표 4에서 기울임 글꼴로 표시된 바와 같은 ±6%의 편차를 나타내었다.이와 같이 코팅 속도, 노광량, 프릿의 경사를 조정함에 따라, 사양에 적합한 착색층 및 BM층 형성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Similarly, in the case of a film us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BM layer, Comparative Example 4, which serves as a reference, showed a deviation of ±3% as indicated by the shade in Table 4, Example 8 showed a deviation of ±4% as indicated by the bold font in Table 4, and Comparative Example 5 showed a deviation of ±6% as indicated by the italic font in Table 4. In this way, it can be confirmed that by adjusting the coating speed, exposure amount, and inclination of the frit, it is possible to form a colored layer and BM layer suitable for the specification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그 특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with some or all of their feature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컬러필터 110: 기판
120: 프릿 130: 블랙 매트릭스층
135: 패턴 경계부 140: 착색층
200: 디스플레이 패널 210: 제2 기판
220: OLED층100: Color filter 110: Substrate
120: Frit 130: Black matrix layer
135: Pattern boundary 140: Color layer
200: Display panel 210: Second substrate
220: OLED layer
Claims (17)
상기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프릿(frit);
상기 유리 기판 상의 상기 프릿 안쪽에 형성된 패턴 경계부;
상기 유리 기판 상의 상기 패턴 경계부 안쪽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
상기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1 착색층 및 상기 패턴 경계부와 상기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2 착색층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 경계부는 상기 프릿으로부터 상기 BM층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경계부는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반사방지용 컬러필터.glass substrate;
Frit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A pattern boundary formed inside the frit on the glass substrate;
A black matrix (BM) layer formed inside the pattern boundary on the glass substrate;
It includes a first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BM layers and a second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The above pattern boundary includes a first upper surface inclined from the frit toward the BM layer,
The above pattern boundary is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formed in the display area.
상기 패턴 경계부는 상기 제1 상면으로부터 상기 BM층 방향으로 평탄한 제2 상면을 더 포함하는 반사방지용 컬러필터.In the first paragraph,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wherein the pattern boundary further includes a second upper surface that is flat from the first upper surface toward the BM layer.
상기 패턴 경계부의 폭 및 평균 높이는 각각 상기 BM층의 폭 및 평균 높이보다 큰 반사방지용 컬러필터.In the first paragraph,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in which the width and average height of the above pattern boundary are greater than the width and average height of the BM layer, respectively.
상기 프릿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며,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기울어진 변의 수평 방향에 대한 각도는 5도 내지 30도인 반사방지용 컬러필터.In the first paragraph,
The cross section of the above frit is trapezoidal in shape,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having an angle of 5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clined side of the above trapezoidal shape.
상기 프릿과 상기 패턴 경계부 사이의 거리는 200um 내지 1500um인 반사방지용 컬러필터.In the first paragraph,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having a distance between the frit and the pattern boundary of 200 um to 1500 um.
상기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프릿(frit);
상기 유리 기판 상의 상기 프릿 안쪽에 형성된 제1 패턴 경계부;
상기 유리 기판 상의 상기 제1 패턴 경계부 안쪽에 형성된 제2 패턴 경계부;
상기 유리 기판 상의 상기 제2 패턴 경계부 안쪽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
상기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1 착색층 및 상기 제2 패턴 경계부와 상기 BM층 사이에 형성된 제2 착색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 경계부는 상기 프릿으로부터 상기 BM층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경계부 및 제2 패턴 경계부는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반사방지용 컬러필터.glass substrate;
Frit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A first pattern boundary formed inside the frit on the glass substrate;
A second pattern boundary formed inside the first pattern boundary on the glass substrate;
A black matrix (BM) layer formed inside the boundary of the second pattern on the glass substrate;
It includes a first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BM layers and a second colo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second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The first pattern boundary includes a first upper surface inclined from the frit toward the BM layer,
The above first pattern boundary and second pattern boundary are anti-reflection color filters formed in the display area.
상기 유리 기판의 두께는 0.2mm 내지 0.5mm인 반사방지용 컬러필터.In any one of claims 1 to 6,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having a thickness of the above glass substrate of 0.2 mm to 0.5 mm.
상기 유리 기판의 굴절률은 1.4 내지 1.8인 반사방지용 컬러필터.In any one of claims 1 to 6,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4 to 1.8 of the above glass substrate.
상기 반사방지용 컬러필터는 편광판 대체용인 반사방지용 컬러필터.In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above anti-reflection color filter is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that replaces a polarizing plate.
상기 반사방지용 컬러필터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coupled to the above anti-reflection color filter.
상기 BM층 사이에 제1 착색층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 경계부와 상기 BM층 사이에 제2 착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 경계부는 상기 프릿으로부터 상기 BM층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상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반사방지용 컬러필터의 제조방법.A step of forming a pattern boundary and a black matrix (BM) layer in a display area inside the frit on a glass substrate on which the frit is formed; and
A step of forming a first colored layer between the BM layers and forming a second colored layer between the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is inclu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wherein the pattern boundary is formed to have a first upper surface inclined from the frit toward the BM layer.
상기 패턴 경계부 및 BM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리 기판 상에 상기 프릿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사방지용 컬러필터의 제조방법.In paragraph 12,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the frit on the glass substrate prior to the step of forming the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상기 패턴 경계부 및 상기 BM층은 슬릿 코팅 방법으로 형성하는 반사방지용 컬러필터의 제조방법.In Article 12,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in which the above pattern boundary and the BM layer are formed by a slit coating method.
상기 제1 및 제2 착색층은 슬릿 코팅 방법으로 형성하는 반사방지용 컬러필터의 제조방법.In Article 12,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loring layers are formed by a slit coating method.
상기 슬릿 코팅 시 코팅 속도는 20mm/s 내지 80mm/s인 반사방지용 컬러필터의 제조방법.In Article 14 or 15,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wherein the coating speed during the above slit coating is 20 mm/s to 80 mm/s.
상기 패턴 경계부 및 BM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착색층 및 제2 착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노광량은 80mj 내지 120mj인 반사방지용 컬러필터의 제조방법.In Article 14 or 15,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i-reflection color filter, wherein the exposure amount is 80 mJ to 120 mJ in the step of forming the pattern boundary and BM layer and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coloring layer and the second coloring layer.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28599A KR102861102B1 (en) | 2022-10-07 | 2022-10-07 | Color Fil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PCT/KR2023/014779 WO2024076077A1 (en) | 2022-10-07 | 2023-09-26 | Color filter,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TW112136882A TW202424542A (en) | 2022-10-07 | 2023-09-26 | Color fil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CN202380071030.9A CN119998696A (en) | 2022-10-07 | 2023-09-26 | Color fil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28599A KR102861102B1 (en) | 2022-10-07 | 2022-10-07 | Color Fil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48819A KR20240048819A (en) | 2024-04-16 |
| KR102861102B1 true KR102861102B1 (en) | 2025-09-16 |
Family
ID=9060833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28599A Active KR102861102B1 (en) | 2022-10-07 | 2022-10-07 | Color Fil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61102B1 (en) |
| CN (1) | CN119998696A (en) |
| TW (1) | TW202424542A (en) |
| WO (1) | WO2024076077A1 (en)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06294B1 (en) | 2008-05-22 | 2012-01-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rightness Enhancing Polarizer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 KR101722026B1 (en) * | 2010-10-22 | 2017-04-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 flat display panel, a mother substrate for the flat display pan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lat display panel |
| KR102038844B1 (en) | 2011-06-16 | 2019-10-31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Sealed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ed body,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
| KR102396404B1 (en) * | 2015-09-30 | 2022-05-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2495122B1 (en) * | 2018-01-23 | 2023-0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JP7010279B2 (en) * | 2019-12-25 | 2022-01-2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Electro-optics, manufacturing methods of electro-optics, electronic devices |
| KR102408710B1 (en) * | 2021-07-23 | 2022-06-14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2022
- 2022-10-07 KR KR1020220128599A patent/KR102861102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9-26 WO PCT/KR2023/014779 patent/WO2024076077A1/en not_active Ceased
- 2023-09-26 CN CN202380071030.9A patent/CN119998696A/en active Pending
- 2023-09-26 TW TW112136882A patent/TW202424542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4076077A1 (en) | 2024-04-11 |
| CN119998696A (en) | 2025-05-13 |
| KR20240048819A (en) | 2024-04-16 |
| TW202424542A (en) | 2024-06-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30213816A1 (en) | Display device | |
| US7764352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KR101601334B1 (en) | Colo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color filter | |
| KR20230003212A (en) | Display device with tiled components | |
| CN10141407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2000047189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 JP2002202514A (en) | Liquid crystal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20000011241A (en) | Liquid crystal displaying device | |
| WO2019196333A1 (en) | Ole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 CN100399068C (en) | color filter | |
| CN108333832B (en) | Color film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 KR102861102B1 (en) | Color Filt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 US20190137814A1 (en) |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WO2017199609A1 (en) | Cover component and transfer film | |
| JP4851651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 |
| TW201243401A (en) | Color filter, optical grating structure and display module | |
| CN100368899C (en) | display panel | |
| CN107608123A (en) |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CN211741784U (en) | Mini LED-based back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 |
| CN112859467A (en) | Display panel | |
| JP4159668B2 (en) | LCD panel | |
| TWI832648B (en) | Swit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 |
| JP4005178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 JPH09329786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JP2000098364A5 (e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