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702356A -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356A
KR19980702356A KR1019970705753A KR19970705753A KR19980702356A KR 19980702356 A KR19980702356 A KR 19980702356A KR 1019970705753 A KR1019970705753 A KR 1019970705753A KR 19970705753 A KR19970705753 A KR 19970705753A KR 19980702356 A KR19980702356 A KR 19980702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ommunication device
presentation
type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토마스 이튼
앨런 본 막
Original Assignee
다니엘 케이. 니콜스
모토롤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 케이. 니콜스, 모토롤라, 인크 filed Critical 다니엘 케이. 니콜스
Publication of KR1998070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356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125)는 메시지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 디바이스(125)는 신호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복원하기 위한 디코더(215) 및 수신된 메시지가 제1형인지 또는 제2형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메시지 상태 소자(250)를 포함한다. 제1형의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해서는 통신 디바이스(125)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하며, 제2형의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해서는 통신 디바이스(125)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다. 통신 디바이스(125)는 수신된 디바이스가 제1형인지 또는 제2형인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프리젠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30)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
종래의 통신 시스템들은 종종 시스템 사용자들이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이용하는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호출 단말기(paging terminal)와 같은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는 수신 정보를 무선 신호로 인코드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수신기와 같은 목표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목표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디코드하여 그 속의 메시지 정보를 복원한다. 그 후 메시지 정보는 저장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자동으로 또는 통신 디바이스의 외부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제어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 정보가 프리젠트(present)될 수 있다.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한 유형에서는, 사용자가 메시지 수신용으로 사용하는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에 거꾸로 확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는 통신 디바이스가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통지 받는다. 메시지 전송의 소정 시간 내에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재전송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메시지를 확실히 수신하도록 한다.
어떤 시스템들에서는, 통신 디바이스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에 판독 확인(read acknowledge)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메시지 발신자는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메시지를 읽었음을 통지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판독 확인 신호를 이용하는 기존의 시스템들에서는,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어느 메시지에 따라 판독 확인 신호가 발생할 것인지를 판정할 길이 없다. 그러한 시스템에서는,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만일 메시지들이 읽혀졌음을 모든 발신자들이 확실히 알도록 해주고 싶을 경우, 표시된 메시지들 모두의 메시지 발신자들 모두와 전화 또는 전자 메일 등에 의해 통신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메시지의 상태를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메시지 수신용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신호로부터 제1 메시지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메시지가 그 프리젠테이션 결과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해야 하는 제1형의 메시지인지를 판정한다. 제1 메시지가 제1형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1 메시지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프리젠트된다.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들이 포함된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로부터 수신 메시지를 복원하기 위한 디코더, 및 수신 메시지가 제1형인지 또는 제2형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메시지 상태 소자를 포함한다. 제1형의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해서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하며, 제2형의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해서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다.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메시지가 제1형인지 또는 제2형인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신호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은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확인이 발생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또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확인이 발생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태그를 전송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에는, 메시지 및 태그를 수신하고 또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확인이 발생해야 하는지 여부를 태그로부터 판정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가 더 포함된다.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프리젠트하고 또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확인이 발생해야 함을 태그가 나타내는 경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확인이 발생해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소정의 아이콘을 프리젠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확인이 발생해야 하는 경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확인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송 소자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메시지 처리에 관한 것이며, 특히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신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통신 디바이스의 전기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디바이스에 포함된 컨트롤러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디바이스에 포함된 메시지 상태 소자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메시지 상태 정보의 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판독 확인 신호를 필요로 하는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는 도 3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메시지 상태 정보의 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디바이스에 포함된 프리젠테이션 소자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판독 확인 신호의 전송을 발생시키지 않는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판독 확인 신호의 전송을 발생시키는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디바이스에 포함된 전송 소자의 동작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통신 시스템 도이다. 단지 예를 들기 위한 목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전송하기 위한, 호출 단말기(120)와 같은,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100)은, 컴퓨터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유형의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호출 단말기(120)는, 바람직하게는, 통신 시스템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휴대용 송수신기들(125)에 전송될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전화망(115)을 경유하여 호출 단말기(120)에 결합된 전화들(105) 또는 컴퓨터들(110)과 같은 다른 메시지 입력 디바이스들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의 발신자는 수신측 송수신기(125)에 의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송수신기(125)에 의해 메시지가 확인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메시지 발신자는 송신된 메시지의 대상이 되는 사람이 메시지를 읽었을 때 편리하게 통지 받을 수 있다. 예로서, 단말기(120)는 메시지 발신자가 전화로 단말기(120)를 호출하여 전송된 메시지가 읽혀졌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20) 위치의 조작자가 메시지 발신자에게 전화하여 메시지가 읽혀졌음을 그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도 2는 호출 단말기(120)에 의해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와 같은 신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 발신자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읽은 것에 응답하여 목표 송수신기(125)(도 1)가 단말기(120)에 거꾸로 확인 신호를 전송해야 하는지 여부를 호출 단말기(120)에 지정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20)는 목표 송수신기(125)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와 메시지 및, 발신자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따른 판독 확인(REACK) 태크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면, 휴대용 송수신기(125)가 REACK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수집된 정보 내의 소정의 위치의 비트가 1로 세트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메시지 발신자가 REACK가 제공되어야 함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정보의 해당 비트는 0으로 세트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120)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신호 포맷(signalling format), 예를 들면, POCSAG(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코드 또는 GSC(Golay Sequential Code)로 인코드되어 공중을 통해 전송된다. 호출 단말기(120)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휴대용 송수신기(125)에 의해 수신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송수신기(125)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의 전기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송수신기(125)는 전송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205) 및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거기에 결합된 수신기(210)를 포함한다. 수신기(210)에 결합된 디코더(215)는 복조된 신호를 디코드하여 그 속에 포함된 정보를 복원한다. 그 후 디코드된 정보는 송수신기(125)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20)에 제공된다. 송수신기(125)는 시간 값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록(225),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30), 및 송수신기(125)의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제어부(23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수신기(125)는, 어떤 경우에는, 수신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읽혀졌음을 나타내는 REACK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송수신기(125)는 정보를 POCSAG와 같은 신호 포맷으로 인코드하기 위한 인코더(275) 및 인코드된 정보를 제2 안테나(285)를 이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280)를 더 포함한다.
송수신기(125)에 포함된 메시지 메모리(240)는 컨트롤러(220)에 결합되어, 메시지들, 그런 메시지들의 수신 시간들, 및 특정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프리젠트되는 경우 송수신기(125)가 REACK를 전송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자들을 저장한다. 소정의 메시지에 대해 REACK가 전송되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메모리(240) 내의 지시자는, 예를 들면, 메시지에 부가된 플래그 또는 메모리의 특정 위치 내에 세트된 비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메시지가 저장된 메모리 슬롯과 관련된 하나의 비트가 그 메시지에 대해 REACK가 송신되어야 할 경우에는 1로 세트되고 REACK가 송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0으로 세트된다.
송수신기(125)는 송수신기(125)의 동작 중에 컨트롤러(220)에 의해 실행되는 펌웨어 및 서브루틴들을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245)와 같은, 또 다른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ROM(245)은, 바람직하게는, 통신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송수신기(125)에 전송되는 정보 내에서 REACK 태그가 발견될 수 있는 위치를 포함한다. ROM(245)은, 메시지 메모리(240) 내에 수신된 메시지들을 적절한 REACK 지시자와 함께 저장하기 위한, 그리고 디스플레이(230)에 메시지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상태 소자(250)를 더 포함한다. ROM(245) 내에 포함된 프리젠테이션 소자(260)는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230)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선택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REACK의 전송이 발생해야 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아이콘 같은 지시자들도 제공한다. ROM(245)은 또한 송수신기(125)로부터의 REACK의 전송을 발생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전송 소자(270)를 포함한다.
메시지 상태 소자(250), 프리젠테이션 소자(260), 및 전송 소자(270)는 ROM(245) 내의 펌웨어로서 묘사되지만, 이들 소자는 동등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단일 안테나로도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수신기(210)와 전송기(280) 사이에 단일 안테나의 결합을 교대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안테나(205, 28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수신기(125)에 의해 수신되는 각 메시지에는 메모리(240) 내에서 태그가 붙어서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단말기(120)(도 1)에 거꾸로 REACK가 전송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송수신기(125)는, 편리하게도, 어느 메시지가 그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REACK의 전송을 발생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REACK 아이콘이 표시된 메시지를 읽으면, REACK가 발생되어 호출 단말기(120)(도 1)에 거꾸로 전송될 것임을 사용자는 알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메시지를 읽었음을 발신자가 알도록 메시지 발신자에게 전화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그와 교신할 필요가 없다. 반대로, 사용자가 REACK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은 메시지를 읽을 경우, 그는 자신이 메시지를 읽었음을 발신자에게 통지하고 싶을 경우에는 발신자와 개인적으로 교신해야 함을 알게 된다.
도 4는 컨트롤러(22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러(220)는, 스텝(305)에서, 어드레스, REACK 태그,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310)에서, 메시지 어드레스가 ROM(245)에 저장된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같지 않을 경우, 스텝(312)에서, 그 메시지가 폐기된다. 스텝(310)에서, 메시지 어드레스가 저장된 어드레스와 같을 경우, 스텝(315)에서, 컨트롤러(220)에 의해 수신된 정보가 메시지 상태 소자(250)(도 3)에 제공된다.
스텝(320)에서, 컨트롤러(220)는 제어부(235)로부터 사용자 개시 명령(user-initiated command)을 수신한다. 스텝(325)에서, 명령이 메시지가 표시되어야 함을 나타내지 않을 경우, 컨트롤러(220)는, 스텝(330)으로 진행하여 다른 처리를 수행한다. 스텝(325)에서, 제어부(235)로부터의 명령이 메시지가 표시되어야 함을 나타낼 경우, 컨트롤러(220)는, 스텝(335)에서, 선택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프리젠테이션 소자(260)에 송신한다.
스텝(340)에서, 선택된 메시지가 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프리젠트됨(presented)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컨트롤러(220)는, 스텝(345)에서, 메시지 메모리(240)를 참조하여, 프리젠트된 메시지에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가 읽혔음을 확인하기 위해 REACK가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REACK 태그가 붙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350)에서, REACK 태그가 REACK가 전송되어야 함을 나타낼 경우, 컨트롤러(220)는, 스텝(355)에서, 메시지 메모리(240)로부터 메시지의 수신 시간을 검색한다. 그 후, 스텝(360)에서, 수신 시간이 전송 소자(270)에 제공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상태 소자(250)(도 3)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스텝(405)에서, 컨트롤러(220)로부터 적어도 REACK 태그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고, 그 후, 스텝(410)에서, 메시지의 수신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검색하기 위해 클록(225)이 참조된다. 스텝(415)에서, 정보에 포함된 메시지 및 수신 시간이 메시지 메모리(240)에 저장된다.
그 후, 스텝(420)에서, REACK 태그의 소정 위치를 검색하기 위해 ROM(245)이 참조된다. 스텝(425)에서, 소정의 위치에 REACK 태그가 존재할 경우, 메시지 상태 소자(250)는, 스텝(430)에서, REACK 태그가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REACK의 전송이 발생해야 함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더 판정한다. 메시지 내에 REACK 태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또는 REACK 태그가 REACK가 송신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낼 경우, 스텝(435)에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REACK의 전송이 발생되어서는 안됨을 나타내도록 메시지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메모리 비트를 0 또는 다른 선정한 값으로 세트함으로써 메시지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REACK 태그가 REACK가 전송되어야 함을 나타낼 경우, 스텝(440)에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REACK의 전송이 발생되어야 함을 나타내도록 예를 들면 메모리 비트를 1로 세트함으로써 메시지에 표시된다.
그 후, 메시지 상태 소자(250)는 메시지 상태 표시부를 갱신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송수신기 디스플레이(230)의 좌측 상단에서의 메시지 상태 정보(460)의 표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상태 정보(460), 예를 들면, 메시지 상태 표시부는 2개의 메시지가 현재 메시지 메모리(240)에 저장되어 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메모리(240)에 저장된 각 메시지들은 레귤러 메시지 아이콘, 예를 들면, 삼각형 아이콘에 의해 표현되어, 메시지들이 그 프리젠테이션 결과 REACK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을 레귤러(regular) 메시지들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사용자가 레귤러 메시지들 중 하나를 읽었음을 발신자가 알기를 원할 경우, 그는 발신자와 교신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도 7은 프리젠테이션 후에 REACK를 발생시킬 REACK 메시지의 수신 후의 메시지 상태 표시부(460')의 표시를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230)의 좌측 상단에, 또 다른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부가적인 아이콘이 메시지 상태 표시부(460')에 부가되었다. 그러나, 이 아이콘은 레귤러 메시지들을 대표하는 것들과 다른 형태로 되어 있다. 단지 예로서, 수신된 REACK 메시지를 대표하는 별개의 아이콘이 문자 R로서 표시되어 있다. REACK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 상태 소자(250)는, 스텝(445)에서, 레귤러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태 표시부에 레귤러 메시지 아이콘을 부가함으로써 메시지 상태 표시부를 갱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REACK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스텝(450)에서, 메시지 상태 표시부에 REACK 메시지 아이콘이 부가된다.
도 8은 프리젠테이션 소자(260)(도 3)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텝(505)에서, 컨트롤러(220)로부터 선택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고, 그 후, 스텝(510)에서, 메시지 메모리(240)로부터 선택된 메시지가 검색된다. 그 후, 스텝(515)에서, REACK가 송신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REACK 태그가 메시지에 붙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메시지 메모리(240)가 참조된다. 스텝(520)에서, 메시지가 REACK가 송신되지 않을 레귤러 메시지일 경우, 스텝(525)에서, 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230)에 제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레귤러 메시지의 표시가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9에는, 레귤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230) 상에 표시되어 있다. 게다가, 어느 메시지가 표시 중인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레귤러 메시지를 대표하는 아이콘(580)에 밑줄 등에 의해 표시되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스텝(520)에서, 표시를 위해 선택된 메시지가 REACK 메시지일 경우, 스텝(530)에서, 그 메시지와 함께 또 다른 확인 아이콘, 예를 들면, REACK 아이콘이 디스플레이(230)에 제공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0은 사용자에게 REACK 메시지를 프리젠트할 경우의 디스플레이(230)를 도시한 것이다. REACK 메시지가 표시될 경우, 디스플레이(230) 상에 소정의 REACK 아이콘(585)이 또한 표시되어,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따라 REACK 전송이 발생할 것이라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게다가, 메시지 상태 표시부 내의 REACK 메시지를 대표하는 아이콘(590)에 밑줄이 그어져서 현재 어느 메시지가 표시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0에서는 REACK 메시지를 나타내는 2개의 아이콘(585, 590)이 동일한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즉, 문자 R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2개의 아이콘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문자 R과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프리젠테이션 소자(260)는, 스텝(535)에서, 디스플레이(230) 상에 선택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후 프리젠트됨 신호를 컨트롤러(220)에 제공한다.
도 11은 송수신기(125)에 포함된 전송 소자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스텝(600)에서, 전송 소자(270)는 컨트롤러(220)로부터 수신 시간을 수신하고, 그 후, 스텝(605)에서 REACK 데이터가 발생된다. REACK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송수신기(125)에 의해 REACK 메시지가 표시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호출 단말기(120)가 알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후, 수신 시간 및 REACK 데이터는, 스텝(610)에서, 인코더(275)에 제공되어 POCSAG와 같은 신호 포맷으로 인코드된다. 수신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단말기(120)에 제공된 메시지를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스텝(615)에서, 인코드된 정보가 전송 소자(270)에 의해 수신되면, 스텝(620)에서, 그것은 전송기(280)에 제공되어 REACK로서 전송된다. 그 후, 단말기(120)는 REACK를 수신하고 메시지가 읽혀졌음을 발신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요약하면, 상술한 것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가 읽혀진 후 디바이스가 단말기에 확인을 전송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표시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메시지에는,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과 동시에 디바이스가 판독 확인(REACK)을 전송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표시된다.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REACK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메시지는 종래의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되며 메시지 상태 표시부는 레귤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반대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의 결과 REACK가 발생할 경우에는, 메시지 상태 표시부는 REACK 메시지를 대표하는 별개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REACK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사용자가 결정할 경우, REACK 아이콘이 메시지와 함께 표시되어 REACK가 단말기에 전송될 것임을 사용자에게 다시금 알려준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어느 메시지가 표시된 후 확인될 것인지에 대해 유리하게 통지 받는다. 게다가, REACK 메시지의 표시와 동시에, 사용자는 REACK가 전송될 것임을 알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REACK 메시지의 발신자에게 그 메시지가 읽혀졌음을 통지하기 위해 그와 교신하는 데 시간을 소비할 필요가 없다. 동시에, 레귤러 메시지의 표시 중에 REACK 아이콘의 부재는 REACK가 전송되지 않을 것임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통지해 준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그 메시지를 읽었음을 발신자에게 통지하려면 발신자와 개인적으로 교신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상, 어느 수신 메시지가 그 표시에 응답하여 판독 확인 신호의 전송을 발생시킬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었음을 알 것이다.

Claims (22)

  1. 메시지 수신용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로부터 제1 메시지를 복원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가, 그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결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하는, 제1형의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제1형임을 상기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프리젠트(present)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용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신호 내에서 상기 제1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로서, 상기 제1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결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할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의 위치를 알아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용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의 메시지는 그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하는 메시지들을 포함하고;
    제2형의 메시지는 그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메시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신호 내에서 상기 제1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제1형인지 또는 상기 제2형인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용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트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메시지들을 대표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확인 아이콘은 상기 제1 메시지를 대표하며, 상기 제1 확인 아이콘은 상기 제2형의 메시지들을 대표하는 다른 아이콘들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용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를 프리젠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시지가 프리젠트되었음을 나타내는 확인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용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를 프리젠트하는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제1 메시지와 함께 제2 확인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용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메시지가 상기 제2형임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시지를 프리젠트하되, 상기 제2 메시지와 함께 확인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제2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을 전송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수신용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8. 메시지들이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신호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복원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그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하는 제1형의 메시지인지 또는 그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제2형의 메시지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메시지 상태 소자;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제1형인지 또는 상기 제2형인지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프리젠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프리젠트되는 정보는 상기 신호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메시지들을 대표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상태 정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형의 각 메시지를 위한 제1 아이콘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형의 각 메시지를 위한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제1형인지 또는 상기 제2형인지를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ion)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상태 소자에 의해 상기 제1형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확인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제2형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소정의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아이콘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제2형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제1형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소정의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아이콘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제1형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상태 소자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소자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제1형일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기에 상기 전송기로부터 전송될 확인을 제공하기 위한 전송 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인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프리젠트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휴대용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18. 신호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결과 확인이 발생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로서, 상기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결과 상기 확인이 발생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태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상기 메시지 및 상기 태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결과 상기 확인이 발생할 것인지 여부를 상기 태그로부터 판정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를 프리젠트하고 또한, 상기 태그가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결과 상기 확인이 발생할 것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결과 상기 확인이 발생할 것임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소정의 아이콘을 프리젠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결과 상기 확인이 발생할 경우,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응답하여 상기 확인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송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에 앞서 상기 소정의 아이콘을 프리젠트하며, 상기 소정의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프리젠트된 다른 아이콘들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소정의 아이콘을 프리젠트하며, 상기 소정의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프리젠트된 다른 아이콘들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휴대용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결과 상기 확인이 발생할 경우 제1 값을 가지며, 상기 태그는 상기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 결과 상기 확인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제2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19970705753A 1995-02-21 1995-12-15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 Abandoned KR19980702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173595A 1995-02-21 1995-02-21
US8/391,735 1995-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356A true KR19980702356A (ko) 1998-07-15

Family

ID=2354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753A Abandoned KR19980702356A (ko) 1995-02-21 1995-12-15 통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27664B1 (ko)
JP (1) JP2001505370A (ko)
KR (1) KR19980702356A (ko)
CN (1) CN1139242C (ko)
AU (1) AU4520896A (ko)
BR (1) BR9510315A (ko)
DE (1) DE69534803T2 (ko)
WO (1) WO19960265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684B2 (ja) * 1991-03-14 2001-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メールシステム
US5311570A (en) * 1991-05-10 1994-05-10 At&T Bell Laboratories Integration of wireless pag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307399A (en) * 1992-03-06 1994-04-26 Glenayre Electronics, Inc. Paging system that allows caller/subscriber interconnection
US5315635A (en) * 1992-09-30 1994-05-24 Motorola, Inc. Reliable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US5327486A (en) * 1993-03-22 1994-07-05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elecommunications such as telephone c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7664A4 (en) 2002-08-14
JP2001505370A (ja) 2001-04-17
EP0827664B1 (en) 2006-02-22
EP0827664A1 (en) 1998-03-11
CN1139242C (zh) 2004-02-18
AU4520896A (en) 1996-09-11
WO1996026593A1 (en) 1996-08-29
DE69534803D1 (de) 2006-04-27
CN1175336A (zh) 1998-03-04
MX9706358A (es) 1997-11-29
BR9510315A (pt) 1997-11-11
DE69534803T2 (de)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0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 user of message status in a communication device
KR10026028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방법 및 그장치
US57840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graphic messages in a data communication receiver
CA2134892C (en) Method and aparatus for automatic generation and notification of ta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eceived message
KR100338002B1 (ko) 수신 메시지의 표시 방법 및 장치
JP3844503B2 (ja) 通信システム内で肯定応答を与える方法および装置
EP08276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 user of message status in a communication device
PL174958B1 (pl) Sposób transmisji sygnałów selektywnego wywołania i system transmisji sygnałów selektywnego wywołania
EP0935892B1 (en) Request an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messages on a mobile unit of a two-way telecommunications system
MXPA970063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 user the message status in a communication device
EP0592180A1 (en) Paging receiver
US6208838B1 (en) Pager with reception error notification
JPH0246028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
KR100255368B1 (ko) 무선호출수신기호출메시지사서함서비스장치및방법
JPH06338951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9990061555A (ko) 비상상황 통신방법
MXPA970072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rding messages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06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