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00821U - 점화 플러그 - Google Patents

점화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821U
KR20000000821U KR2019980010389U KR19980010389U KR20000000821U KR 20000000821 U KR20000000821 U KR 20000000821U KR 2019980010389 U KR2019980010389 U KR 2019980010389U KR 19980010389 U KR19980010389 U KR 19980010389U KR 20000000821 U KR20000000821 U KR 200000008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k plug
spark
center electrode
electrode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석
Original Assignee
오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천석 filed Critical 오천석
Priority to KR2019980010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821U/ko
Publication of KR20000000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821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01T13/32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arthed electrode

Landscapes

  • Spark Plu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간의 간극 조절이 필요 없고 출력을 증대할 수 있는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자체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중심 전극과 상기 중심 전극과 스파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접지 전극을 갖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이 상기 중심 전극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중심 전극의 상단보다 하측에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화 플러그
본 고안은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간의 간극 조절이 필요 없고 출력을 증대할 수 있는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점화 플러그는 일반적으로 각 실린더에 1개씩 배치되고, 점화코일에서 발생한 고압전류를 중심전극에 받아 접지전극과의 간극에 스파이크(불꽃)를 발생시켜 연소실 내에서 압축된 혼합 가스로 점화하는 작용을 한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의 전류를 중심 전극(10)이 받아 접지 전극(12)과의 간극에 스파아크(14)(도2 참조)를 발생시켜 실린더 내의 혼합기를 점화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점화 플러그의 접지 전극(12)은 중심 전극(10)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부러져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점화 플러그에서 스파아크의 간격은 시동시와 정상 운전시에 각각 요구되는 스파아크 전압을 얻기에 적합한 가격이 선택되어 조절되며, 일반적으로는 0.6 mm 내지 1.0 mm 정도의 간격으로 조절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점화 플러그의 간격은 점화에 필요한 최소 간격보다도 훨씬 크며, 그것에 충분히 여유가 있는 충격 고압을 가하고 있다. 즉 보통의 운전 상태에서는 4.5 내지 7KV(킬로볼트), 냉시동(冷始動), 희박 혼합비, 넓은 스파아크 등의 악조건 하에서는 20KV 정도에 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점화 플러그의 사용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필요한 경우마다 전극간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차량을 급가속하거나 급감속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아크의 길이가 짧음으로 인하여, 그리고 제한된 구역에서만 스파아크가 발생함으로 인하여 완전 연소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료의 소모가 증가되고 차량의 출력이 저하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차량을 급가속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혼합기가 실린더 내로 일시에 공급됨으로써 충분한 길이의 스파아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불완전 연소의 정도가 매우 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간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없고, 차량을 급가속하거나 급감속할 때 완전 연소를 이룰 수 있는 점화 플러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점화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주요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중심 전극 12: 접지 전극
14: 스파아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자체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중심 전극과 상기 중심 전극과 스파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접지 전극을 갖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이 상기 중심 전극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중심 전극의 상단보다 하측에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들과 다른 특징들은 도3 및 도4를 참조로 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 나타낸다. 접지 전극(12)은 종래와는 달리 중심 전극(10)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부러져 있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즉 중심 전극(10)의 하측 부분에서 상기 중심 전극(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지 전극(12)의 환형 부분의 상부 표면은 간단하게 평면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 소정의 각도를 두고 가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된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스파아크(14)를 발생시킨다. 스파아크(14)는 종래 기술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스파아크의 길이보다 길게 발생되고, 환형으로 된 접지 전극(12)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위치에서 동시에 스파아크(14)가 방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급가속과 급감속과 같은 악조건의 운전 상황의 변화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스파아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완전 연소를 이룰 수 있게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운전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스파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간극 조절이 필요 없게 된다.
점화 플러그의 종류 중에는 전파 장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러그 씨일부(도시되지 않음)에 저항체를 내장하여 방전시의 용량방전 전류를 제어하여 잡음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저항 플러그가 있으나,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저항체가 없는 점화 플러그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급가속 및 급감속과 같은 악조건에서 비교적 긴 길이의 스파아크를 효과적으로 여러 위치에서 발생시키므로 완전 연소를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의 절감, 대기 오염의 감소, 및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 조건 변화에 따른 간극 조절의 필요성도 제거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자체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중심 전극과 상기 중심 전극과 스파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접지 전극을 갖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이 상기 중심 전극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중심 전극의 상단보다 하측에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KR2019980010389U 1998-06-17 1998-06-17 점화 플러그 Ceased KR200000008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389U KR20000000821U (ko) 1998-06-17 1998-06-17 점화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389U KR20000000821U (ko) 1998-06-17 1998-06-17 점화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21U true KR20000000821U (ko) 2000-01-15

Family

ID=4052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389U Ceased KR20000000821U (ko) 1998-06-17 1998-06-17 점화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8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7701A3 (en) * 2007-05-02 2009-01-29 Honeywell Int Inc Igni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7701A3 (en) * 2007-05-02 2009-01-29 Honeywell Int Inc Igniter
US8053965B2 (en) 2007-05-02 2011-11-08 Fram Group IP, LLC Combination igniter and sens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1419A1 (en) A pre-chamber sparkplug, and combustion engine including a pre-chamber sparkplug
JPH0218883A (ja) スパークプラグ
US4631451A (en) Blast gap ignition system
US4164912A (en) Method for reducing pollution due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19601A (en) Spark plu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262547B2 (en) Spark plug element having defined dimensional parameters for its insulator component
US5502352A (en) Spark plug having horizontal discharge
KR20000000821U (ko) 점화 플러그
JPS61178561A (ja) 内燃機関の点火装置
GB2164091A (en) A spark plu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275328A (en) Spark plug having intermediate electrode and non-parallel series gaps
RU2051449C1 (ru) Свеча зажигания
US10844827B2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078130A (en) Spark plug with specific construction to avoid unwanted surface discharge
GB2325492A (en) Spark plug for i.c. engines
JP2000009010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RU2056688C1 (ru) Свеча зажигания
JPH0742433U (ja) エンジンの点火プラグ取付け構造
JPH0142594B2 (ko)
KR19990053670A (ko) 점화플러그
KR200146947Y1 (ko) V형 점화 플러그
KR100224368B1 (ko) 점화플러그
KR100199419B1 (ko) 혼합기의 유동성 증대를 위한 점화 플러그
KR890004119B1 (ko) 점화 플러그
US20200182132A1 (en) Spark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3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80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1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