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813A -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주문처리방법, 통신주문장치 및주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주문처리방법, 통신주문장치 및주문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2813A KR20000012813A KR1019990064468A KR19990064468A KR20000012813A KR 20000012813 A KR20000012813 A KR 20000012813A KR 1019990064468 A KR1019990064468 A KR 1019990064468A KR 19990064468 A KR19990064468 A KR 19990064468A KR 20000012813 A KR20000012813 A KR 200000128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der
- information
- product
- subscriber
- ident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0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055 memory stor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223 couns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16 delivery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5 persist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시스템은 포함된 정보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상품주문정보 식별자와,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광고대상물품과 식별하기 위한 상품식별자를 포함하는 상품주문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연속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와 함께 다중화하여 방송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 개인용 컴퓨터, 또는 별도의 셋톱박스 형태로 제공되는 가입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리고,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기초로 해당 광고프로그램을 방영하는 한편,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상품주문정보를 추출하여,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현재 방영중인 방송프로그램의 광고대상물품을 온라인 상태에서 주문할 수 있다는 사실을 표시한다. 그 결과, 시청자인 가입자는 주문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상품식별자와 미리 기억된 가입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시키도록 하고 이를 관리자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그 결과, 가입자는 시청중인 광고프로그램의 광고대상물에 대한 주문을 간단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게 되어, 구매욕구 및 정보수집욕구를 간단한 방법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종래의 텔레비전 광고방송이 가지는 일회적이며 순시적인 특성에 따른 단점을 보완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 및 주문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터넷방송,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등에 의해, 연속된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광고프로그램을 시청한 시청자가 광고대상물품에 대한 구매주문, 자료제공요청, 제조자 또는 판매자와의 상담요청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인들은 새로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주로 출판물, 방송 또는 인터넷 등의 광고매체를 통해 얻고 있으며, 이러한 각종의 광고매체는 각각이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공중파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는 시각 및 청각을 자극하므로 그 효과는 크지만, 광고가 일회적이고 광고시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신문 등의 종이를 매개로 하는 출판물을 통한 광고는 자신이 알리고자 하는 바를 상세히 설명할 수 있고, 상대적인 지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다. 한편, 최근에 등장한 인터넷을 통한 광고는 다양한 형태로 광고를 제공하고, 자신의 상품에 대한 정보도 비교적 상세히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언제든지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를 간단한 검색만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는 대상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과, 인터넷 방송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방송국에서는 가입자에게로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 영역에 담아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입자는 데이터 영역에 담겨 제공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용 셋톱박스에 관한 미국특허 제5990927호(1999년 11월 23일)는,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용 방송 프로그램 메뉴를 표시하고, 가입자가 다양한 메뉴를 편리한 방법으로 검색하고, 그 중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편리한 방법으로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또한 이 미국특허에서는, 가입자인 시청자가 안방에서 비행기표, 호텔 숙박권 등을 편리한 방법으로 예매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미국특허에서 공개한 기술은, 프로그램 선택을 위한 다양한 편의만을 제공할 뿐이며, 각 방송프로그램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광고하는 광고대상물품과 관련하여 광고주, 제조자, 판매자 등이 제공하는 상세정보 등을 시청자가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공개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현재 방영중인 광고방송에서의 광고대상물품을 광고방송시청 중에 간단한 방법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등은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시청자 또는 수요자가 광고방송을 시청 중이거나 시청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으므로, 구매욕 또는 상세정보를 알고 싶은 욕구가 왕성할 때, 간단한 방법으로 광고물품을 구매하거나, 광고물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전화상담 또는 방문상담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는 시청중인 광고프로그램의 광고대상물에 대한 주문을 간단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게 되어, 구매욕구 및 정보수집욕구를 간단한 방법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종래의 텔레비전 광고방송이 가지는 일회적이며 순시적인 특성에 따른 단점을 보완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통신주문 및 주문처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프레임 포맷의 일례로서, 도 2a는 방송광고 프로그램에 다중화되어 가입자에게로 전송되는 상품주문정보 프레임 포맷의 일례, 도 2b는 가입자로부터 관리자에게로 전송되는 주문명령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주문장치의 구성 중, 본 발명의 실시와 직접 관련된 부분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통신주문장치에서 상품주문정보를 수신한 때로부터 주문명령을 송신하기까지의 제어처리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가입자의 주문이 이루어진 후, 주문처리를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관리자시스템 및 주문처리시스템의 구성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제어처리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고주 3: 방송시스템
4: 방송통신망 5: 텔레비전
6: 가입자 단말기 7: 관리자 시스템
8: 데이터 통신망 10: 주문처리 시스템
13: 상품주문정보 프레임 포맷 14: 주문명령 프레임 포맷
32: 주문처리명령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포함된 정보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상품주문정보 식별자와,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광고대상물품과 식별하기 위한 상품식별자를 포함하는 상품주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상품주문정보를 연속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와 함께 다중화하여 방송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품주문정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포함하도록 생성된 상기 방송신호를 방송시스템으로부터 가입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기초로 해당 광고프로그램을 방영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역다중화 처리에 의해 상기 상품주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현재 방영중인 방송프로그램의 광고대상물품을 온라인 상태에서 주문할 수 있다는 사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상품주문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상품식별자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가입자가 주문명령을 입력하는가를 감시하는 단계, 가입자가 주문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저장된 상품식별자와 미리 기억된 가입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주문명령 프레임을 관리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주문처리를 위해 필요한 상세정보인, 주문대상물품에 대한 상세정보인 상품상세정보와, 가입자에 대한 상세정보인 가입자상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기억수단, 포함된 정보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상품주문정보 식별자와,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광고대상물품과 식별하기 위한 상품식별자를 포함하는 상품주문정보를 생성하는 상품주문정보 생성수단, 상기 생성된 상품주문정보를 연속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와 함께 부호화하고 다중화하여 방송신호를 생성하는 방송신호 생성수단, 상품주문정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포함하도록 생성된 상기 방송신호를 방송시스템으로부터 가입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주문물품에 대한 상품식별자와 가입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주문명령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식별자와 가입자식별자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추출된 상품식별자과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된 상기 상품상세정보로부터 주문처리 대상물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가입자식별자와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된 가입자상세정보로부터 주문자정보를 확인하는 주문사항 확인수단, 및 확인된 주문처리 대상물품정보와 주문자정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주문처리를 실행하는 주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포함된 정보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상품주문정보 식별자와,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광고대상물품과 식별하기 위한 상품식별자를 가지는 상품주문정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하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연속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수단,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역다중화 처리를 통해 상기 상품주문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수단, 상기 추출된 현재의 상품주문정보를 기억하는 제1기억저장수단, 미리 설정된 가입자 식별자를 기억저장하는 제2기억저장수단, 가입자가 해당 광고대상물품에 대해 주문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입력수단, 가입자가 주문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1기억저장수단에 저장된 상품식별자와 상기 제2기억저장수단에 저장된 가입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주문명령프레임 생성수단, 및 상기 생성된 주문명령 프레임을 관리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르면, 포함된 정보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상품주문정보 식별자와,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광고대상물품과 식별하기 위한 상품식별자를 가지는 상품주문정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하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연속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역다중화 처리하고, 역부호화 처리하여 방송프로그램을 방영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역다중화 처리를 통해 상기 상품주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현재 방영중인 방송프로그램의 상품주문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단계, 명령어 입력수단으로부터 시청자가 해당 광고대상물품에 대해 주문명령을 입력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시청자로부터 상기 주문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품식별자와 시청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주문명령 프레임을 관리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측면에 제공된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명령어 처리 프로그램을 내장한 광기록매체, 자기기록매체 등의 기계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주문정보에는 해당 방송프로그램에서의 광고대상물품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한 상품설명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며, 가입자 단말기는 상품설명정보를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주문정보에는 해당 광고대상물품과 관련하여 주문을 행할 수 있는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주문메뉴 표시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좋고, 이 주문메뉴 표시정보를 해독하여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는 주문메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주문메뉴는, 구매주문, 자료제공요청, 상담요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명령프레임에는 가입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와, 주문메뉴 선택정보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문시스템은 방송통신망(4)을 매개로 광고주(1), 프로그램 제작사(2), 방송 시스템(3) 및 텔레비전 수신장치(5) 등으로 구성된 종래의 방송 송수신 시스템에, 데이터 통신망(8)을 매개로 접속된 가입자 단말기(8) 및 관리시스템(7), 그리고, 가입자 단말기(6) 또는 통신단말기(12)와 데이터 통신망(8) 또는 공중전화망(11)을 매개로 접속된 주문처리시스템(10) 등을 부가하여 구성된다.
프로그램 제작자(2)는 광고주의 의뢰에 의해, 광고프로그램을 제작하거나, 또는 광고주의 후원에 의해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한다.
이때, 광고프로그램은 텔레비전 방송용의 단막 광고일 수도 있고, 광고 및 상품판매를 목적으로 제작되는 소위 홈쇼핑 전문 프로그램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상품화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한, 모든 형태의 드라마 프로그램, 쇼 프로그램, 영화 프로그램 등의 일반 프로그램 역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드라마 프로그램 등의 경우에서도, 가구, 자동차, 의상 등의 소품, 촬영지 관광상품, 촬영지 호텔의 예약상품 등의 광고를 포함시키는 경우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품광고가 표현되는 한 일반 방송프로그램도 광고프로그램이라고 표현할 것이다.
방송시스템(3)은, 제작된 광고프로그램을 디지털 전송 또는 아날로그 전송 등에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 부호화, 데이터 변조 등을 행하여 송출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구비한다. 그 외에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방송시스템(3)은 각 광고프로그램을 소스로 하여 부호화 등을 통해 생성한 영상신호, 음성신호, 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에, 다중화 등의 방법으로 광고대상물품에 대한 주문정보(도 2a에 도시한 프레임 포맷참조)를 실어 방송통신망(4)을 통해 가입자인 시청자에게 송출한다.
또한, 방송시스템(3)은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연속된 스트림의 형태로 제공되는 텔레비전 방송용 시스템에 특히 유용하지만, 실시간 텔레비전 방송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연속된 스트림 형태로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방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형태라면, 주문형 방송시스템은 물론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을 통한 방송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상품주문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부호화하고, 이를 방송신호에 중첩(duplicating) 또는 다중화(multiplexing)하는 방법의 예로서는, 영상신호에 다중화하는 방법, 별도의 데이터 영역을 구비시키는 방법, 음성신호에 다중화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을 사용하는가 아날로그 방송을 사용하는 가에 따라, 다르고, 미국, 유럽, 한국, 일본 등 각 나라마다에서 사용하는 형식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러한 기술은 이미 공개된 다중화 처리 방법을 크게 변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방송 등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로는 예를 들면, 1999년 8월 31일 등록공개된 미국특허 제5946047호를 참고할 수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를 영상신호에 부호화하여 계속되는 프레임 형태로 전송하는 기술로는 예를 들면, 1999년 7월 27일 등록공개된 미국특허 제5929920호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정보와 텔레비전 프로그램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등에 대해서는 1999년 12월 7일 등록공개된 미국특허 제5999216호를 참고할 수 있다.
방송통신망(4)은, 기존에 많이 알려진 아날로그 공중파 방송망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위성방송망, 케이블 방송망은 물론 인터넷방송망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기(6)는, 튜닝, 복조, 오류정정부호화, 역다중화(de-multiplex), 역부호화(decoding), 역강조화(de-emphasis)등의 기능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기본적으로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등을 반송파로부터 분리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와 직접 관련되지 않고, 또한 방송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가입자 단말기(6)는 반송파에 실려온 방송신호로부터 상품주문정보를 분리한 후, 그 상품주문정보와, 원격제어기(12'), 키보드(12') 등의 명령입력장치로부터의 가입자의 최종 주문명령이 입력되면, 그 명령에 따라 주문명령 프레임(도 2b의 프레임 포맷 참조)을 작성하여 관리시스템(7)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가입자 단말기는 표시장치 등에 표시된 내용을 통해 시청자와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입자단말기(6)는 텔레비전 수신장치(5) 등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텔레비전 수신장치와 독립된 개체로서 셋톱 박스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가입자 단말기에서의 신호처리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관리시스템(7)은 시청자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문시스템을 사용하기로 별도 계약한 가입자에 대한 주요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관리시스템은, 프로그램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광고프로그램 등에 부가된 상품주문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그 상세정보와 함께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품주문정보는 관리자 시스템(7)에 의해 생성되어 방송시스템(3)에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역으로 프로그램 제작자(2) 또는 방송시스템(3) 관리자에 의해 제작되어 관리자 시스템(7)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시스템(7)은,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포맷의 주문명령 프레임이 전송되면 그 주문명령 프레임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정보를 기초로 주문처리명령을 작성하여, 주문처리시스템(10)으로 주문처리를 명령한다.
주문처리시스템(10)이 주문처리명령을 수신하면, 이로부터 주문한 가입자와,그가 주문내용을 확인하고, 주문내용에 따른 처리를 시행한다.
예를 들면, 가입자의 주문이 구매주문인 경우에는 지정된 배달지로 구매물품을 발송 처리한다. 또한, 상담주문인 경우에는, 지정된 E-메일주소 등을 통해 E-메일 상담하거나, 공중전화망(11)을 통해 지정된 전화번호 등으로 자동응답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통신상담을 행하거나, 지정된 상담주소지에서 방문상담을 실행한다. 특히, 전화상담의 경우에는 자동응답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료제공주문인 경우에는 상품주문정보 등을 통해 제공이 약속되고, 광고주(1) 등의 의뢰에 의해 자료제작자(9)에 의해 제작되어 제공되는 자료를 데이터 통신망 또는 우편을 통해 가입자에게 발송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제공되는 자료는 팜플렛, 시제품, 사은품, 무료입장권, 샘플, 무료시식권, 무료사용 프로그램 등의 무료제공자료를, 전송형식은 우편발송, E-메일 전송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방송시스템(3), 관리시스템(7)과 주문처리시스템(10)은 별도로 분리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한 것일 뿐 이 3개의 시스템은 하나, 또는 2개로 통합되어 운영될 수도 있고, 그 일부만을 분리하여 운영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 시스템(7) 및 주문처리시스템(10)은, 하나의 시스템이 아닌 다수의 시스템일 수 있다. 즉, 각 광고주 또는 제품판매인 등의 운영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방송신호에 실려 가입자측으로 전송되는 상품주문정보의 프레임 포맷과, 가입자가 주문을 행함에 따라 관리자측으로 전송되는 주문명령 프레임의 포맷에 대한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의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을 구성하는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와 구분하기 위한 헤드 플래그(H-FRAG)와, 후미 플래그(T-FLAG) 사이에 제어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그 외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문자 데이터 등, 다른 용도의 데이터 프레임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을 형성하는 데이터 영역의 주요 부분은, 그 데이터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즉 해당 광고대상물품에 대해서 주문서비스가 제공됨을 표시하기 위한 상품주문정보 식별영역(OR-ID)과, 해당 프로그램에서의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프로그램에서의 광고대상물품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품식별자 영역(GD-ID)이다. 상품주문정보 식별영역(OR-ID)에는 유사 종류의 다른 데이터와 구별하기 위한 부호화를 위해 필요한 정도의 비트 수가 할당되며, 상품식별자 영역은 관리자 시스템이 취급하는 광고대상물품을 모두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비트 수로 할당된다.
그 외에 해당 프로그램에서 광고한 상품 등에 대해서, 상표명, 상품에 대한 간단한 설명, 구매가격, 제조사명, 제공하는 주문메뉴에 대한 간단한 설명 등을 표시하는 상품설명 영역(GD-DE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품설명 영역(GD-DES)은 광고시간이 경과한 후에, 가입자가 저장된 상품주문정보를 검색할 때, 검색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해당 광고의 간단한 캐치프레이즈가 포함될 수 있는 정도의 비트수가 할당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이 포함된 프로그램이 드라마 등의 방송프로그램이라서 프로그램 내에 광고문안이 포함될 수 없는 경우라면, 이 설명영역에 광고문안을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이를 문자방송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광고문안은 예를 들면, 촬영지 지명, 소품의 제조사와 상표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에는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주문서비스의 종류, 즉 주문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주문메뉴 표시영역으로서, 구매가능 표시영역(PUR-OD), 자료제공가능 표시영역(PRO-OD), 상담요청가능 표시영역(CON-OD) 등이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가능 표시영역(PUR-OD)은 가입자가 해당 프로그램에서 광고하는 상품에 대해서 구매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구매주문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자료제공가능 표시영역(PRO-OD)은 가입자가 자료제공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광고주 등이 제공하는 시사회 티켓제공, 무료시식권 제공, 상세자료 제공, 샘플 제공 등을 요청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상담요청가능 표시영역(CON-OD)은 가입자가 상담요청메뉴를 선택하여, 제조판매자 등과 전화상담, E-메일 상담 또는 방문상담을 요청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이들, 구매가능표시 영역(PUR-OD), 자료제공가능 표시영역(PRO-OD), 상담요청가능 표시영역(CON-OD)은 1비트로 구성하여, "1"이면 가능함을 "0"이면 불가능함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세 개의 비트 각각을 주문메뉴 표시용으로 사용하는 대신에, 이 3비트를 메뉴표시영역으로 하고, 부호화를 통해 3비트가 3가지 메뉴의 조합가능한 8가지의 경우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외에, 각 표시영역에 대한 세부 메뉴를 표시하도록 별도의 데이터 영역이 부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4)은 광고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다수의 신호프레임 중 적절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기록되며, 프로그램의 서두에 기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드라마 등의 방송프로그램에서처럼 다수의 상품이 취급될 수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의 각 상품이 방영되는 위치에 맞추어 다수 개가 기록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한 주문명령 프레임(14)의 포맷 역시 다른 데이터와 구분하기 위한 헤드 플래그(H-FRAG)와, 후미 플래그(T-FLAG) 사이에 제어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그 외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관리자가 있는 경우, 수신자를 지정하기 위한 식별자 영역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품식별자(GD-ID)는 방송프로그램과 함께 가입자에게 송신된 도 2a에 도시된 상품주문정보(13)의 것과 동일한 것이며, 가입자 단말기에서는 전술한 상품주문정보의 것을 임시 저장하였다가, 주문명령이 입력되면 이 상품식별자(GD-ID)를 가입자식별자(SUB-ID) 등의 정보와 함께 묶어 도 2b의 주문명령 프레임(14)의 포맷을 형성한다.
도 2b의 주문명령 프레임(13)에는 그 외에도, 가입자가 주문메뉴 중 선택한 것이 무엇인지를 표기하도록 구매주문 영역(PUR-OD), 자료제공주문 영역(PRO-OD), 상담주문 영역(CON-OD)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부가영역(ADD)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주문 영역(PUR-OD), 자료제공주문 영역(PRO-OD), 상담주문 영역(CON-OD)등은 가입자가 선택한 경우에는 "1"로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표기되며, 그 외에도, 도 2a의 경우처럼 3개의 비트로 8가지의 경우를 표기하도록 부호화 될 수도 있다.
당연하지만, 이 주문메뉴 선택영역(PUR-OD, PRO-OD, CON-OD)은 광고주 등에 의해 다수의 주문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한 경우에만 유용한 것이며, 해당 광고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메뉴만을 지정한 경우에는 가입자가 메뉴를 선택한다는 기능은 불필요하며, 주문명령을 하였는가 여부만이 중요할 뿐이다.
부가영역(ADD)에는 예를 들면, 구매한 상품 또는 자료제공을 요청한 물품을 배달할 장소 또는 상담요청을 한 곳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부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부가영역(ADD)은, 가입자와 관리자 사이에서 우편배달지, 전화번호 등을 미리 설정한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주문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입자 단말기(6)의 구성 중, 본 발명의 실시와 직접 관련된 부분만을 도시한 것이다. 그 외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장치는 도시가 생략되었으며, 그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광고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서 역다중화 등의 처리를 거처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이 얻어지면, 이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은 데이터로서 버퍼(15)에 임시 저장되어 제어를 위한 신호로 사용된다. 그리고, 광고프로그램이 바뀌는 등으로 새로운 프레임이 입력되면, 새로운 상품주문정보 프레임이 버퍼(15)에 기록되고, 지나간 광고의 상품주문정보 프레임은 기억장치(16)에 저장된다.
그 결과, 기억장치(16)에는 과거의 광고프로그램에 포함된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이 기억되어, 가입자가 검색명령을 내려서 기억된 상품주문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가입자가 주문명령을 내리면, 기억장치(16) 선택된 상품주문정보는 버퍼(15)에 올려지게 되어, 해당되는 광고대상물품에 대한 주문을 행할 수 있다.
한편, 기억장치(16)와 그에 따른 검색기능이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광고프로그램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광고가 끝난 후에도 가입자가 지나간 광고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TV 홈쇼핑 등 광고와 판매만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한편의 광고 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이 경우라면 검색기능은 생략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버퍼(15) 및 기억장치(16)를 제어하는 기능 이외에, 주문명령 프레임 생성기(22)를 제어하여 주문명령 프레임(14)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에 포함된 주문메뉴 영역의 기록사항에 따라 주문메뉴를 표시장치(21)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주문명령 프레임(14)의 생성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광고프로그램을 시청중인 가입자 또는 시청자가 명령어 입력기(17)를 통해 주문명령을 입력함으로써, 그 신호가 입력인터페이스(18)를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19)에 의해 인식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9)는 버퍼(15)에 현재 기록되어 있는 상품주문정보의 상품식별자 영역(GD-ID)과, 가입자식별자 기억장치(25)에 기록된 가입자 식별자(SUB-ID)를 이용하여, 이들을 포함한 형태로서 주문명령 프레임(14)을 구성하여, 이를 주문명령 프레임 생성기(22)로 출력하고, 자체 내에 버퍼와, 부호기를 포함한 주문명령 프레임 생성기(22)는 적절한 형식을 갖춘 주문명령 프레임(14)을 생성하여 이를 주문명령 송신장치(23)로 출력한다.
이때, 주문명령 프레임 생성기(22)는 단순히 버퍼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19)에서 주문명령 프레임의 구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버퍼인 주문명령 프레임 생성기(22)로 전송하고, 이 주문명령 프레임 생성기의 버퍼가 모두 차서 주문명령 프레임이 완성되면, 이를 주문명령 송신장치(23)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광고주 등이 다양한 주문메뉴를 제공하여 가입자가 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주문명령 프레임(14)에 가입자가 선택한 주문메뉴를 표기하는 주문메뉴 선택영역(PUR-OD, PRO-OD, CON-OD)이 포함될 수 있다.
주문메뉴 등의 표시기능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버퍼(15)에 기록된 현재 상품주문정보의 각 영역을 확인하고, 표시신호처리기(20)를 구동하여, 각 영역의 기록사항을 기초하여 표시장치(21)를 통해 해당 광고대상인 물품을 주문할 수 있다는 사실과, 다수의 주문메뉴가 주어진 경우에는, 선택할 수 있는 주문메뉴가 어떤 것인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그 표시형식은 도형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텔레비전 등의 시청화면에 별도의 문자 또는 도형으로 된 화상신호를 중첩시키도록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표시장치(21)는 텔레비전 시청을 위한 모니터 화면이면 좋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텔레비전 모니터와 독립적으로 마련된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특히, 텔레비전 수신장치와 분리된 셋톱박스 형태로 본 발명이 제공된다면, 셋톱박스에 별도의 표시장치를 구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장치(21)의 단순한 구성예로서, 각각의 메뉴에 대응되는 전면표시패널과 점등시 이 패널이 눈이 뜨이도록 하는 배경광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의 상품주문정보 프레임에 구매주문 가능하고(PUR = 1), 상담요청이 가능하며(CON = 1) 또한, 자료제공요청 가능한 것(PRO = 1)으로 표기되어 있다면, 해당되는 비트의 신호가 각각 1로 설정되므로, 이 신호를 기초로 대응하는 스위칭장치를 온 시키도록 하여서, 표시장치(21)에 구매주문 가능함, 상담요청 가능함, 자료제공요청 가능함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경광을 점등하도록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또, 텔레비전 등의 광고시청화면에는 주문가능함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도록 하고, 가입자가 주문 명령을 입력하면 주문 가능한 메뉴의 세목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입자는 이러한 표시된 메뉴를 보고 원격제어기(17)를 이용하여 상세 메뉴 즉, 구매주문, 자료제공주문, 상담주문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통신주문장치에서 상품주문정보를 수신한 때로부터 주문명령 프레임을 송신하기까지의 제어처리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가입자단말기와 가입자가 대화하면서 주문 메뉴를 확인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의 데이터 처리 순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방송프로그램, 또는 광고프로그램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의 영상신호영역 및 음성신호영역으로부터 프로그램 방영을 위해 필요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구동하여 방영을 한다(단계 S1). 이와 동시에 수신된 방송신호의 데이터 영역을 감시하고(단계 S2), 상품주문정보(13)가 방송신호의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가를 확인한다(단계 S3). 이때, 데이터 프레임 내에 상품주문정보 식별영역(ORD-ID)에 정해진 코드가 확인되는 경우, 그 데이터 프레임은 상품주문정보(13)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고, 따라서, 그 데이터 프레임과 관련된 광고프로그램의 광고상품에 대해서 가입자는 무엇인가의 주문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3에서 상품주문정보 식별영역(ORD-ID)이 확인되면, 현재 방영중인 방송프로그램, 또는 광고프로그램 화면의 일부에(일반적으로는 구석부분에) 특별한 문자 또는 도형의 결합을 표시하여, 가입자 또는 시청자가 해당상품을 온라인 상태에서 주문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단계 S4).
이에 따라, 시청자 또는 가입자가 광고프로그램 또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영 중에, 약속된 표시가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 것을 인식하면, 그 프로그램은 현재의 광고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온-라인 상태에서 주문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해당 상품에 관심을 가진 가입자는 원격제어기 등의 명령어 입력기(17)에 구비된 주문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는 것만으로 주문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문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가입자 자신의 주문명령이 가입자 정보와 함께 관리자 측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지만, 주문메뉴가 여러 개 인 경우, 그 중 하나 이상을 가입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광고주(1)로부터 제공되는 주문메뉴가 구매주문, 자료제공주문 또는 상담요청주문 중 2개 이상인 경우, 가입자는 하나 이상의 주문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를 한 경우라면, 가입자가 주문버튼을 눌러 주문명령을 하게 되면,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는 주문가능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고 가입자의 선택을 기다린다(단계 S6). 다음에, 가입자가 주문메뉴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면(단계 S7), 가입자가 선택한 메뉴가 무엇인지를 표시하고 가입자의 최종확인을 요청한다(단계 S8).
단계 S9에서, 가입자의 최종적인 주문확인이 이루어지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9)의 제어하에서 주문명령 프레임 생성기(22)는 선택한 주문메뉴를 지시하는 주문메뉴 선택영역(PUR-OD, PRO-OD, CON-OD)과, 해당 상품식별자(GD-ID) 및 가입자식별자(SUB-ID)를 함께 묶어 도 2b에 도시한 주문명령 프레임(14)을 생성하고, 생성된 주문명령 프레임(14)을 데이터 통신망(8)을 통해 관리자 시스템(7)으로 전송한다.
이때, 해당 상품식별자는 버퍼(15)에 임시저장된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의 상품식별자 영역(GD-ID)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며, 가입자식별자(SUB-ID)는 별도의 가입자식별자 기억장치(25)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이때, 가입자식별자 기억장치(25)의 형태는 반도체 기록장치, 자기디스크 기록장치 등 일 수 있으며, 별도 발행된 IC카드 등에 기록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주문메뉴 선택영역(PUR-OD, PRO-OD, CON-OD)은, 사용자가 명령어 입력기(17)를 통해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주문 메뉴에 대응되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19)의 제어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주문명령 프레임(14)의 부가정보 기록영역(ADD)에 기록 가능한 통신 또는 물품 수령을 위한 주소, E-메일 주소 또는 전화번호 등은, 사용자가 키보드(12') 등의 명령어입력기(17)를 통해 즉시 입력하거나 또는 사전에 입력해서 저장하여 둔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작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ADD)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기로는 가입자와 관리자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놓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텔레비전 등의 영상수신 전용장치에 별도의 문자입력도구를 갖추도록 하는 것은 장치를 복잡하게 하며, 또한 정보의 송수신시에 정보의 누설 또는 변형의 위험이 있고, 또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최소한의 경우로서, 가입자가 발송 방식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명령어 입력기(17)는 가입자의 주문명령 입력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원격제어기(1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격제어기(12) 등의 명령어 입력기(17)는 적어도, 주문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주문버튼(도시 생략)을 포함하여야 하다. 그리고, 기능을 부가하는 정도에 따라,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여러 가지 메뉴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버튼(도시생략), 주문내용이 올바름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버튼(도시 생략)을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지나간 광고에 대한 검색기능을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그 검색하기 편리하게 하도록, 검색명령 입력버튼(도시생략)과, 상하 좌우 이동버튼(도시생략)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령어 입력기(17)에 의해 입력된 명령어는 입력 인터페이스(18)에 의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9)가 처리하기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된다.
제어프로그램 기억장치(2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장치로서, 기능의 추가 등에 따라 변경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주문명령 송신장치(23)는 주문명령 프레임 생성기(22)에 의해 생성된 주문명령 프레임(14)을 데이터 통신망(8)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관리자 시스템(7) 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가입자 단말기(6)로부터 송신된 주문명령 프레임(14)을 관리자시스템(7)에서 수신하고 나서 주문처리를 수행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관리자 시스템 및 주문처리시스템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략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주문명령 프레임(14)은 도 2b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14)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가입자 단말기(6)로부터 송신된 주문명령 프레임(14)을 기초로 주문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관리자 시스템(7)에는 적어도,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6)와, 상품 데이터베이스(27)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관리자 시스템(7)은 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6), 상품 데이터베이스(27)의 기록과, 주문명령 프레임(14)의 기록사항을 기초로 하여, 주문처리명령(32)을 생성하고 생성된 주문처리명령(32)을 주문처리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6)에는 가입자식별자(SUB-ID: 28) 및 가입자 인적사항(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과 함께, 해당 가입자식별자와의 계약에 의해 정해진 연락처, 전화번호, E-메일, 배달 주소지, 결좌계좌 등의 가입자 상세정보(30)가 기록되어 있다.
상품 데이터베이스(27)에는 해당 프로그램 등의 상품식별자(GD-ID: 29) 및 해당 프로그램에서 광고하는 상품명, 상표명, 광고주 인적사항, 주문처리방법 등의 상품상세정보(31)가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 주문명령 프레임(14)의 부가정보 기록영역(ADD)에 가입자가 주문시에 별도 입력한 배달지 주소, 연락처 등의 부가정보가 별도로 기록된 경우에는, 부가정보영역에 기록된 사항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된 대응되는 기록사항 보다 우선 적용되어 주문처리되도록 한다.
생성된 주문처리명령(32)은 가입자가 선택한 주문메뉴에 따라 주문처리시스템 내의 상담처리 시스템(36), 자료제공시스템(37), 구매처리시스템(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주문처리된다. 이때, 주문 처리시스템(10)에서의 주문처리는 ARS시스템, E-메일 자동발송시스템 및 우편물 자동발송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담원 직접상담 등에 의해 인력을 사용하여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주문처리시스템(10)은, 관리자 시스템(7)과 관리자 시스템과 통합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광고된 상품의 제조 또는 판매자에 의해 만들어진 ARS상담시스템, 소비자 상담실, 대리점, 영업소 등이 될 경우에는 분리된 상태로 된다. 주문처리시스템(10)과, 관리자 시스템(7) 사이에서의 역할 분담은 실시할 때의 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달라질 수 있는 사항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가입자가 주문명령 프레임을 관리자 측으로 송신하고, 이를 관리자가 수신한 이후부터, 주문처리가 완료될 때까지의 과정의 일례를 흐름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관리자 시스템(7)에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주문명령 프레임이 수신되면(단계 S21), 관리자 시스템에서는 주문명령 프레임의 가입자식별자 영역(SUB-ID)를 검색하여 가입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고(단계 S22), 해당 가입자의 서비스 사용권한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3). 거래중지 요청자, 거래불량자, 계약만료자 등의 사용권한이 유효하지 않은 사용자라면(S23 -> S24), 가입자의 "서비스사용권한 없음"을 통지하고(단계 S23) 종료한다.
서비스사용권한이 유효함을 확인하면, 상품식별자 영역(GD-ID)을 확인하고(단계 S25), 주문메뉴 선택영역(PUR-OD, PRO-OD, CON-OD)을 확인한다(단계 S26).
단계 S27에서, 주문메뉴 선택영역의 확인 결과 상담요청인 것으로 확인된다면(YES),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6) 및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27)의 기록과 주문명령 프레임(14)의 부가정보 영역의 기재사항을 기초로 하여 주문처리정보(32)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문처리정보(32)를 상담처리시스템(36)으로 전송한다(단계 S28). 그 이후, 상담처리시스템(36)은 정해진 방식, 또는 가입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전화상담, 방문상담 등을 실행한다(단계 S29).
또한, 단계 S30에서, 가입자가 주문메뉴 중 구매주문을 선택한 것으로 확인되면(YES), 주문처리정보(32)를 생성하여 이를 구매처리시스템(38)으로 전송한다(단계 S31).
그러면, 구매처리시스템(38)은 주문처리정보(32)를 수신하고, 이 정보에 기록된 가입자 결제금융계좌를 확인하고(단계 S32), 금융기관에 의뢰하여 거래가 가능한 유효계좌인 지를 판단한다(단계 S33). 그 결과, 거래가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NO), 가입자에게 거래불능상태를 통지하고(단계 S34), 거래가 가능한 유효계좌인 것으로 확인되면(YES), 대금결제처리를 하고(단계 S35), 가입자 등에게 계약성립을 통지한다(단계 S36), 그리고, 사전에 정해졌거나, 별도 지정된 배달지로 구매한 물품을 배달한다(단계 S37).
또한, 단계 S38에서, 가입자가 주문메뉴 중 자료제공요청을 선택한 것으로 확인되면(YES), 주문처리정보(32)를 생성하여 이를 자료제공시스템(37)으로 전송한다(단계 S40). 그러면, 자료제공시스템(37)은 광고주 등과의 계약에 의해서 사전에 정해진 제공자료를 정해진 형식으로 가입자와의 계약에 의해서 정해졌거나, 별도 지정된 곳으로 자료를 제공한다(단계 S41).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주문장치를 이용하여, 광고프로그램을 시청한 가입자가 해당 광고대상물품을 구매주문하는 경우, 제조자, 판매자 등의 광고주가 제공하는 무료자료를 제공요청하는 경우, 전화상담요청을 하는 경우 등에 대해서 실제 적용예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홈쇼핑 채널의 광고프로그램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든다. 시청자가 광고 프로그램 시청하고 있던 중, 해당 광고 대상물품을 구매하고 싶으면, 가입자는 원격제어기(12)에 제공된 구매버튼 누른다. 그러면, 이미 광고프로그램의 방송신호에 실려와 역다중화와 역부호 등을 거쳐 추출된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의 상품설명영역(GD-DES)을 참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9)는 해당 대상물품에 대한 상품명, 가격, 또는 간단한 설명 등이 텔레비전(5) 화면 또는 별도 설치된 표시장치(21)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 방송프로그램의 목적이 판매목적임이 분명하므로, 별도의 주문가능함을 알리는 표시장치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다만, 그 내용이 가능함을 텔레비전의 영상, 또는 음성으로 틈틈이 표시하거나 알릴 수 있으면 된다.
텔레비전(5)의 화면 또는 표시장치(21)를 통해 구매물품의 확인을 마친 가입자는 구매명령 송신버튼(도시 생략)을 누른다. 그러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9)는 자신의 가입자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가입자 식별자(SUB-ID)와, 이미 수신하여 역부호화를 거쳐 확인된 상품식별자(GD-ID)를 포함시켜, 주문명령 프레임(14)을 작성하고, 이를 관리자 시스템(7)으로 전송한다.
관리자 시스템(7)은 가입자로부터의 주문명령 프레임을 역부호화하여 상품식별자(GD-ID)와 가입자 식별자(SUB-ID)를 확인하고, 자신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6)와 상품 데이터베이스(27)를 검색하여 미리 저장된 해당 가입자의 상세정보(30)와 상품 상세정보(30)를 읽어온다. 그리고, 주문처리정보(32)를 작성하여 주문처리시스템(10)으로 전송함으로써 주문처리를 지시한다.
주문처리시스템(10)에서는 가입자의 결제계좌 등을 확인하고, 계약이 이루어졌음을 통지한 후, 정해진 우편발송지로 주문상품을 발송한다.
이 경우, 가입자의 진정의사 등을 확인을 위해서, 가입자와 관리자 사이에 미리 정해져서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26)에 저장되어 있던 가입자 연락처 등으로 전화확인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이 영화, 드라마 등의 방송프로그램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특정 드라만의 촬영지에 대해서, 해당 지역관청이 광고주가 되어 신청자에게 무료로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계약되었다면, 방송시스템은 방송프로그램 중 이 방송프로그램 데이터를 구성하는 다수 프레임의 신호 중 해당 배경지가 나오는 프레임에 도 2a와 같은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을 다중화하여 함께 전송한다.
가입자 단말기(6)에서는, 해당 배경지가 화면에 표시되는 때에 맞추어 상기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이 수신된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가입자 단말기(6)는 이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의 기록 내용을 검색하여 자료제공가능 표시영역(PRO-OR)에 표기되었음을 확인하고, 드라마 시청 화면의 일부 또는 별도의 표시장치에 무료상세정보가 제공된다는 표시(문자 또는 도형)를 나타낸다. 그러면, 가입자는 이 드라마의 현재화면에 나온 무엇인가에 대해 무료상세정보가 제공됨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무료상세정보를 얻고자 하는 가입자가 표시버튼(미도시)을 눌러 상품설명 표시를 명령하면, 수신한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의 상품설명영역(GD-DES)에 기록된 내용을 해독하여 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 경우, 촬영지의 지명은 어디라는 정도와, 관광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자가 해당 관청임을 표시하고, 간단한 캐치프레이즈를 담을 수 있다.
이를 확인하고, 가입자가 주문명령을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9)는 자신의 가입자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가입자 식별자(SUB-ID)와, 이미 수신하여 역부호화를 거쳐 확인된 상품식별자(GD-ID)를 포함시켜, 주문명령 프레임(14)을 작성하고, 이를 관리자 시스템(7)으로 전송한다.
관리자 시스템(7)은 상기 주문명령 프레임(14)을 수신하여 상품식별자(GD-ID)와 가입자 식별자(SUB-ID)를 확인하고, 자신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6)와 상품 데이터베이스(27)를 검색하여 미리 저장된 해당 가입자의 상세정보(30)와 상품 상세정보(30)를 읽어온다. 그리고, 주문처리정보(32)를 작성하여 주문처리시스템(10)으로 전송함으로써 주문처리를 지시한다. 주문처리시스템(10)은 주문처리정보(32)의 기록내용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E-메일 주소 등으로 관광지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이 쇼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도록 한다.
스키장이 쇼 촬영의 배경지로 된 경우, 광고주인 스키장 운영자는 자신의 스키장을 홍보하기 위해서 사용료에 대한 특별할인권을 배포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에 의해, 방송시스템은 해당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다수 프레임의 신호 중 적당한 위치의 프레임에 도 2a와 같은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을 하나 이상 다중화하여 함께 전송한다.
비교적 장시간, 동일한 광고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들 중 최선두에만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을 기록하면, 가입자의 채널절환에 따라, 그 정보가 망실되거나, 또는 수신받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경우는 가령 5분 간격으로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을 하나씩 다중화시켜 전송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가입자 단말기(6), 관리자 시스템(7) 및 주문처리시스템(10)에서의 작동은 전술한 드라마 배경지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최종 주문처리명령(32)을 수신한 주문처리시스템(10)은 정해진 우편발송지로 약속된 할인권을 발송하도록 처리된다.
다음에, 상대적으로 짧은 광고프로그램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서도,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구매주문, 자료제공주문의 경우를 적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지는 않았지만 단순히 전화상담만을 요청하는 경우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고려되어야 할 것은 광고프로그램의 방영시간이 짧다는 단점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충하는 수단은 광고검색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입자인 시청자는 현재 방영중인 광고프로그램이 끝나기 전까지 구매결정을 하지 못할 경우가 많으며, 구매명령을 보내지 못할 경우가 많다. 그래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까지 구매명령을 입력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억장치(16)에 저장된 시간이 경과한 광고를 검색하도록 한다. 검색은 검색버튼(도시생략)과, 방향이동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는 것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화면에는 상품주문정보 프레임(13)의 상품설명영역(GD-ID)의 기재사항 중 상품명칭이 활용된다.
적절한 이동을 하면서 검색을 하여, 원하는 상품을 찾고서 구매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면, 기억장치(16)에 있던 상품구매정보 프레임(13)이 버퍼(15)에 실려지게 되고 그 이후에는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주문을 행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자료제공 등과 관련하여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광고분야, 광고기법은 다양하지만,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등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지만, 전술한 실시예에서처럼,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송신측에서는 방송프로그램, 또는 광고프로그램의 음성신호에 전술한 내용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추가하여 신호를 다중화 처리하고, 이 신호를 영상신호와 합성한 뒤 합성된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행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복조 처리와 및 역다중화 처리를 행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행함으로써 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텔레비전이나, 이미 제조된 디지털 방식의 텔레비전의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가입자 단말기를 셋톱 박스 형태의 영상수신장치와 독립된 개체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새롭게 제조되는 텔레비전 등에 내장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내용의 제어를 행하는 특별한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개인용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인터넷방송 등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비전 방송 등의 시청자가 광고프로그램을 통해 구매정보를 얻음에 따라, 구매 동기가 일어난 경우, 바로 간단한 방법으로 구매주문 등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수요자 입장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즉각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5)
- 포함된 정보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상품주문정보 식별자와,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광고대상물품과 식별하기 위한 상품식별자를 포함하는 상품주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생성된 상품주문정보를 연속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와 함께 다중화하여 방송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상품주문정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포함하도록 생성된 상기 방송신호를 방송시스템으로부터 가입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기초로 해당 광고프로그램을 방영하는 단계,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역다중화 처리에 의해 상기 상품주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현재 방영중인 방송프로그램의 광고대상물품을 온라인 상태에서 주문할 수 있다는 사실을 표시하는 단계,상기 상품주문정보 내에 포함된 상기 상품식별자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가입자가 주문명령을 입력하는가를 감시하는 단계,가입자가 주문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저장된 상품식별자와 미리 기억된 가입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생성된 주문명령 프레임을 관리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품주문정보에는 해당 방송프로그램에서의 광고대상물품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한 상품설명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며, 가입자 단말기는 상품설명정보를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품주문정보에는 해당 광고대상물품과 관련하여 주문을 행할 수 있는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주문메뉴 표시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주문메뉴 표시정보를 해독하여 가능한 주문메뉴가 무엇인지를 가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주문메뉴의 표시는, 주문명령 또는 주문메뉴 표시명령을 가입자가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
- 제 3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메뉴는, 구매주문, 자료제공요청, 상담요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에는 가입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포함되도록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에는 가입자가 선택한 주문메뉴를 나타내는 주문메뉴 선택정보가 포함되도록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방법.
- 주문처리를 위해 필요한 상세정보인, 주문대상물품에 대한 상세정보인 상품상세정보와, 가입자에 대한 상세정보인 가입자상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기억수단,포함된 정보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상품주문정보 식별자와,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광고대상물품과 식별하기 위한 상품식별자를 포함하는 상품주문정보를 생성하는 상품주문정보 생성수단,상기 생성된 상품주문정보를 연속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와 함께 부호화하고 다중화하여 방송신호를 생성하는 방송신호 생성수단,상품주문정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포함하도록 생성된 상기 방송신호를 방송시스템으로부터 가입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수단,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주문물품에 대한 상품식별자와 가입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수단,상기 수신된 주문명령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식별자와 가입자식별자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상기 추출된 상품식별자과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된 상기 상품상세정보로부터 주문처리 대상물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가입자식별자와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된 가입자상세정보로부터 주문자정보를 확인하는 주문사항 확인수단, 및확인된 주문처리 대상물품정보와 주문자정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주문처리를 실행하는 주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상품주문정보에는 해당 방송프로그램에서의 광고대상물품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한 상품설명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장치.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상품주문정보에는 해당 광고대상물품과 관련하여 주문을 행할 수 있는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주문메뉴 표시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제공 및 주문처리장치.
- 포함된 정보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상품주문정보 식별자와,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광고대상물품과 식별하기 위한 상품식별자를 가지는 상품주문정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하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연속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수단,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역다중화 처리를 통해 상기 상품주문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수단,상기 추출된 현재의 상품주문정보를 기억하는 제1기억저장수단과,미리 설정된 가입자 식별자를 기억저장하는 제2기억저장수단,가입자가 해당 광고대상물품에 대해 주문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입력수단,가입자가 주문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1기억저장수단에 저장된 상품식별자와 상기 제2기억저장수단에 저장된 가입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주문명령프레임 생성수단, 및상기 생성된 주문명령 프레임을 관리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
- 제12항에 있어서,현재 방영중인 방송프로그램에서의 광고대상물품을 온라인 상태에서 주문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호 또는 문자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상품주문정보에는 상품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위한 상품설명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며,상기 표시수단은 가입자인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상품주문정보에 포함된 상품설명정보를 문자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상품주문정보에는 해당 광고대상물품과 관련하여 주문을 행할 수 있는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주문메뉴 표시정보가 포함되며,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주문메뉴 표시정보를 해독하여 선택가능한 주문메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시청자가 주문메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주문메뉴는 가입자가 주문명령 또는 주문메뉴 표시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표시되며,상기 명령어 입력수단은 표시된 주문메뉴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주문명령프레임 생성수단은 가입자가 선택한 상기 주문메뉴를 상기 주문명령 프레임에 추가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
- 제12항 내지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 입력수단은 광고대상 물품 주문에 따른 수신자 연락처 등을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주문명령프레임 생성장치는 상기 수신자 연락처 등을 부가정보로서 상기 주문명령 프레임에 추가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
- 제12항 내지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제1기억저장수단은, 상기 정보추출수단으로부터 추출된 현재 방송프로그램의 상품주문정보를 기억하는 제3기억저장수단과,상기 제3기억저장수단에 현재 저장된 상품주문정보에 후속하여, 상기 정보추출수단에 의해 다른 방송프로그램의 상품주문정보가 새롭게 추출되면, 현재 저장된 상품주문정보를 지나간 상품주문정보로서 기억저장하는 제4기억저장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상기 주문명령 프레임 생성수단은, 상기 제3기억저장수단에 저장된 상품식별자와 상기 제2기억저장수단에 저장된 가입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제4기억저장수단에 기억된 상품주문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상기 명령어 입력수단은 검색명령 입력수단과, 검색방향 이동명령 입력수단을 구비하고,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검색명령 입력수단과 검색방향 이동명령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검색수단의 제어에 의해 검색중인 상품주문정보를 표시하며,상기 검색제어수단은 가입자가 검색을 완료하여 하나의 상품주문정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상품주문정보의 프레임을 상기 제3기억수단에 올려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장치.
- 포함된 정보가 상품주문정보임을 표시하는 상품주문정보 식별자와,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대상물품을 다른 광고대상물품과 식별하기 위한 상품식별자를 가지는 상품주문정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하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연속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역다중화 처리하고, 역부호화 처리하여 방송프로그램을 방영하는 단계,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역다중화 처리를 통해 상기 상품주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상기 추출된 현재 방영중인 방송프로그램의 상품주문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단계,명령어 입력수단으로부터 시청자가 해당 광고대상물품에 대해 주문명령을 입력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시청자로부터 상기 주문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품식별자와 시청자식별자를 포함하는 주문명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생성된 주문명령 프레임을 관리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식별자는 제2기억장치와 상기 관리자 시스템의 기억장치에 동일하게 가입자식별자로서 미리 입력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광고대상 물품 주문에 따른 수신자 연락처 및 배달주소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주문명령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자 연락처 또는 배달지주소지를 부가정보로서 상기 주문명령 프레임에 추가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방법.
- 제20항 내지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상품주문정보에는 상품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위한 상품설명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며,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상품주문정보에 포함된 상품설명정보를 표시수단에 문자로 표시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방법.
- 제20항 내지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새로운 방송프로그램의 상품주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품주문정보를 제2기억수단으로 옮겨 기억저장하고, 새로운 방송프로그램의 상품주문정보를 기억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상기 명령어 입력수단으로부터 검색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상기 검색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기억수단에 입력된 다수의 상품주문정보 중 입력된 검색어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검색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검색된 상품주문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올려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방법.
- 제20항 내지 제24항에 기재된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주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64468A KR20000012813A (ko) | 1999-12-29 | 1999-12-29 |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주문처리방법, 통신주문장치 및주문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64468A KR20000012813A (ko) | 1999-12-29 | 1999-12-29 |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주문처리방법, 통신주문장치 및주문처리장치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00012813A true KR20000012813A (ko) | 2000-03-06 |
Family
ID=1963175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0064468A Withdrawn KR20000012813A (ko) | 1999-12-29 | 1999-12-29 |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주문처리방법, 통신주문장치 및주문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00012813A (ko) |
Cited By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96589A (ko) * | 2000-03-09 | 2001-11-07 | 가네코 히사시 | 디지털 tv 수신기 및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및 서비스의광고 및 판매 방법 |
| KR20010098507A (ko) * | 2000-04-11 | 2001-11-08 | 이데이 노부유끼 | 사업 관리 방법, 사업 관리 장치 및 데이터 방송 공급 방법 |
| WO2002082351A1 (en) * | 2001-04-09 | 2002-10-17 | Korea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Co., Ltd. |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by digital broadcasting |
| KR100372902B1 (ko) * | 2000-04-08 | 2003-02-17 | 이상복 |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을 사용한 데이터 서비스방법과 그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단말기 |
| KR20030039942A (ko) * | 2001-11-16 | 2003-05-22 | 부동산티브이 (주) | 영상 매체를 통한 부동산 중개방법 및 그 수행장치 |
| KR20030060515A (ko) * | 2002-01-09 | 2003-07-16 | 이종현 | Tv방송의 문자송출기능과 셋톱박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tv방영물의 정보제공 시스템 |
| WO2004055708A1 (en) * | 2002-12-18 | 2004-07-01 | Jae Heun Kim |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electronic approval information |
| KR100716070B1 (ko) * | 2005-08-19 | 2007-05-08 | (주)지에스강남방송 | 데이터 방송의 부가 서비스에 대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768624B1 (ko) * | 2000-08-08 | 2007-10-18 | 주식회사 케이티 | 위성방송 광고 기능을 갖는 위성방송 수신기 |
| KR100777269B1 (ko) * | 2000-05-22 | 2007-1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방송 수신기와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
| KR100786808B1 (ko) * | 2005-11-08 | 2007-12-18 |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 전자 상거래를 위한 데이터방송의 안내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
| KR100894334B1 (ko) * | 2006-12-27 | 2009-04-24 | (주)지에스강남방송 | 지역업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US10219015B2 (en) | 2010-01-07 | 2019-02-26 | Amazon Technologies, Inc. | Offering items identified in a media stream |
-
1999
- 1999-12-29 KR KR1019990064468A patent/KR20000012813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96589A (ko) * | 2000-03-09 | 2001-11-07 | 가네코 히사시 | 디지털 tv 수신기 및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및 서비스의광고 및 판매 방법 |
| KR100372902B1 (ko) * | 2000-04-08 | 2003-02-17 | 이상복 |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을 사용한 데이터 서비스방법과 그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단말기 |
| KR20010098507A (ko) * | 2000-04-11 | 2001-11-08 | 이데이 노부유끼 | 사업 관리 방법, 사업 관리 장치 및 데이터 방송 공급 방법 |
| KR100777269B1 (ko) * | 2000-05-22 | 2007-1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방송 수신기와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
| KR100768624B1 (ko) * | 2000-08-08 | 2007-10-18 | 주식회사 케이티 | 위성방송 광고 기능을 갖는 위성방송 수신기 |
| WO2002082351A1 (en) * | 2001-04-09 | 2002-10-17 | Korea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Co., Ltd. |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by digital broadcasting |
| KR20030039942A (ko) * | 2001-11-16 | 2003-05-22 | 부동산티브이 (주) | 영상 매체를 통한 부동산 중개방법 및 그 수행장치 |
| KR20030060515A (ko) * | 2002-01-09 | 2003-07-16 | 이종현 | Tv방송의 문자송출기능과 셋톱박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tv방영물의 정보제공 시스템 |
| WO2004055708A1 (en) * | 2002-12-18 | 2004-07-01 | Jae Heun Kim |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electronic approval information |
| KR100716070B1 (ko) * | 2005-08-19 | 2007-05-08 | (주)지에스강남방송 | 데이터 방송의 부가 서비스에 대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786808B1 (ko) * | 2005-11-08 | 2007-12-18 |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 전자 상거래를 위한 데이터방송의 안내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
| KR100894334B1 (ko) * | 2006-12-27 | 2009-04-24 | (주)지에스강남방송 | 지역업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US10219015B2 (en) | 2010-01-07 | 2019-02-26 | Amazon Technologies, Inc. | Offering items identified in a media strea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57739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 commerce transaction over a distribution network | |
| US8799944B2 (en) | System and methods for real-time access to movie information | |
| TW543307B (en) | Data transmission device, data receiving device, data transmitting method, data receiving method, recording device, playback device,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 |
| EP2684351B1 (en) | Contextual commerce for viewers of video programming | |
| US2008007640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ervice Using Access Code | |
| US20020184623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television | |
| US20100166394A1 (en) | Merchandise purchasing syste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 |
| KR20000012813A (ko) |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주문처리방법, 통신주문장치 및주문처리장치 | |
| JP2001204005A (ja) |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こで用いられる端末装置 | |
| KR101840869B1 (ko) | 방송화면 연동 커머스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 |
| WO2001073525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urchasing product over an interactive television network | |
| KR20010098507A (ko) | 사업 관리 방법, 사업 관리 장치 및 데이터 방송 공급 방법 | |
| KR100749960B1 (ko) | 식별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 방법 및 장치 | |
| KR101319478B1 (ko) | 방송 화면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 |
| KR101988795B1 (ko) |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 |
| KR20030060515A (ko) | Tv방송의 문자송출기능과 셋톱박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tv방영물의 정보제공 시스템 | |
| KR20110060664A (ko) | 데이터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쿠폰 유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 CN102106154A (zh) | 例如机顶盒的用于信号接收的装置 | |
| CA241548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television commerce simultaneously for multiple channels for multiple merchants | |
| KR100502011B1 (ko) | Tv 플라자 기능이 부가된 셋톱박스 및 셋톱박스에 tv플라자 기능을 부가하는 방법 | |
| KR20070050025A (ko) | 식별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 방법 및 장치 | |
| JP2002358435A (ja) | テレビジョン受信システム、テレビ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これらの機能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 JP2001285833A (ja) | 応答受付装置、放送装置、受信装置、応答受付方法、放送方法および受信方法 | |
| KR100715470B1 (ko)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 |
| KR100600563B1 (ko) | 데이터 방송을 이용한 티-캐쉬 서비스 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