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423A -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28423A KR20000028423A KR1019980046636A KR19980046636A KR20000028423A KR 20000028423 A KR20000028423 A KR 20000028423A KR 1019980046636 A KR1019980046636 A KR 1019980046636A KR 19980046636 A KR19980046636 A KR 19980046636A KR 20000028423 A KR20000028423 A KR 200000284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nre
- signal
- unit
- sound
- progr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현재의 시각 정보를 갖는 타이머(300); 프로그램 장르별로 n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써라운드(surround ) 동작여부 및 볼륨(volume)의 크기를 상기 n 개의 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저장하는 저장부(302); 현재 방영되는 프로그램의 장르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302)에 저장된 n 개의 영역중 해당 영역의 써라운드 동작여부 및 볼륨의 크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304); 외부신호(Cm) 에 의한 선택모드가 자동모드일 때는 상기 제어부(30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모드가 수동모드일 때는 제어신호(Cc)를 선택하는 선택부(306); 상기 선택부(306)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볼륨의 크기나 써라운드의 동작 여부를 조정하는 음향조정부(308); 및 상기 음향조정부(308)로부터의 조정신호에 의해 원래의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음성회로(31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는 텔레비젼을 시청하다 보면 방영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볼륨의 크기나 음향상태가 다르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일일이 그리고 매일 또는 매주 반복되는 동일한 프로그램 시간표에 매번 바꾸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영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의 쟝르에 따라 적절한 음향상태를 설정하고 출력하기 위한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텔레비젼은 현대인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매체 수단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텔레비젼을 켜는 것으로 하루 일과를 시작하고 저녁 시간에는 온 가족이 모여 앉아 저녁 식사를 하며 텔레비젼을 시청하게 된다. 또한 주말에는 외출을 하지 않는 이상 거의 텔레비젼과 하루를 보낸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렇게 하여 텔레비젼은 현대인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텔레비젼은 뉴스, 드라마, 다큐멘터리, 스포츠, 영화 등 각종 정보를 현대인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텔레비젼의 음향 출력 방식은 획일화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시청자가 뉴스를 보고 있든지 영화를 보고 있든지 아니면 스포츠 프로그램을 보고 있든지 별 다른 구분없이 텔레비젼 수상기의 음향 출력상태는 시청자가 리모콘 등을 사용하여 조정하지 않는 이상 동일한 상태로 출력된다.
그러면 종래의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음성회로의 구성을 보기 위하여,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상기의 회로 구성도를 전체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상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젼 수상기의 회로 구성을 보면 안테나(100), 영상수신회로(110), 음성회로(120), 전원부(130), 동기편향회로부(140), 스피커(150) 및 수상관(160) 등으로 구성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영상수신회로(110)는 튜너(110-2), 중간주파증폭부(110-4), 영상신호검파부(110-6), 영상신호증폭부(110-8), 매트릭스(110-10) 및 색 재생부(110-12)로 구성된다. 또한 음성회로(120)는 음성중간주파증폭부(120-2), FM 검파부(120-4) 및 저주파증폭부(120-6)로 구성된다.
영상수신회로(110)의 튜너(110-2)는 일반적으로 UHF용과 VHF용으로 회로가 나누어 지고 있다.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튜너(110-2)로 전송된다. 튜너(110-2)에는 수신 채널 전파를 선택하여 중간주파신호로 주파수 변환을 하기 위한 공진회로(도면에 제시되지 않음)가 있다. 튜너(110-2)에서 영상신호는 45.75 MHz, 음성신호는 41.25 MHz의 중간주파신호를 만드는데, 수신채널의 영상반송주파수 f1보다 45.75 MHz 만큼 높은 주파수 f2를 국부발진회로(도면에 제시되지 않음)에서 발생시켜 f1과 f2를 혼합하여 주파수 변환이 된다. 수상관(160)은 영상신호는 45.75 MHz, 음성신호는 41.25 MHz의 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서 사용하고 있다. 중간주파증폭부(110-4)에서는 대역 특성을 정확하게 잡아서 잔류 측파대 방식으로 보내져 온 텔레비젼 신호의 형을 정형하여 약 70 dB 증폭한다. 중간주파증폭부(110-4)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영상신호검파부(110-6)로 전송되는데, 영상신호검파부(110-6)에서 영상 검파하여 꺼낸 합성영상신호는 휘도신호, 반송 색신호, 버스트 신호 및 동기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신호는 각각 분리하여 휘도신호는 영상신호증폭부(110-8)로 전송되고, 반송 색신호와 버스트 신호는 색 재생부(110-12)로 전송되고, 동기신호는 동기편향회로부(140)로 각각 전송된다. 한편, 음성신호는 중간주파증폭부(110-4)에서 4.5 MHz를 음성중간주파신호로서 꺼내어 음성중간주파증폭부(120-2)에서 증폭되고 FM 검파부(120-4)에서 FM 검파를 하고 저주파증폭부(120-6)에서 신호증폭하여 스피커(150)를 통하여 원래의 음성신호를 꺼내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텔레비젼 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텔레비젼 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는 음향조정부(200), 음성회로(202) 및 스피커(204)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볼륨이나 써라운드 기능 수행여부를 리모콘(도면에 제시되지 않음)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 전면패널(도면에 제시되지 않음)에 부착된 키(key)를 사용하여 볼륨(volume)의 크기나 써라운드(surround)의 동작 여부가 외부신호로서 음향조정부(200)에 인가된다. 음향조정부(200)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볼륨의 크기나 써라운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여 음성회로(202)에 인가한다. 음성회로(202)는 음향조정부(200)의 조정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볼륨의 크기 및 써라운드 동작 여부에 따른 신호를 스피커(204)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텔레비젼 음향설정 및 출력장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볼륨의 크기 및 써라운드 기능의 작동여부를 리모콘 또는 수상기 전면패널에 부착된 키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어떤 동작을 취해야만 적절한 음향상태를 설정할 수 있었다.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조용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와 박진감 넘치는 축구 경기를 시청할 때와의 음향의 여러 가지 상태가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게 자동적으로 조정된다면 더욱 친근감 있게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라 자동적으로 음향상태가 설정되고 출력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현재의 시각 정보를 갖는 타이머; 프로그램 장르별로 n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써라운드(surround ) 동작여부 및 볼륨(volume)의 크기를 상기 n 개의 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저장하는 저장부; 현재 방영되는 프로그램의 장르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n 개의 영역중 해당 영역의 써라운드 동작여부 및 볼륨의 크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외부신호(Cm) 에 의한 선택모드가 자동모드일 때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모드가 수동모드일 때는 제어신호(Cc)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볼륨의 크기나 써라운드의 동작 여부를 조정하는 음향조정부; 및 상기 음향조정부로부터의 조정신호에 의해 원래의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음성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영역설정여부 판단단계(400); 상기 영역설정여부 판단단계(400)에 있어서 영역이 설정되었다면 화면에 프로그램 장르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 장르 디스플레이단계(402-1) 및 상기 영역설정여부 판단단계(400)에 있어서 영역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현재의 시각을 체크하여 이전에 입력된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402-2); 상기 프로그램 장르 디스플레이단계(402-1)에서 디스플레이된 장르중 어느 장르를 선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장르선택판단단계(404); 상기 장르선택판단단계(404)에 있어서 선택된 장르가 있다면 선택된 해당 영역의 데이터로 조정하는 해당영역의 데이터 조정단계(406); 상기 해당영역의 데이터 조정단계(406)가 수행되면 데이터 저장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저장여부 판단단계(408); 및 상기 데이터 저장여부 판단단계(408)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시간 및 채널을 저장하는 단계(410)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텔레비젼 수상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텔레비젼 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 110 : 영상수신회로
120 : 음성회로 130 : 전원부
140 : 동기편향회로부 150 :스피커
160 : 수상관 110-2 : 튜너
110-4 : 중간주파증폭부 110-6 : 영상신호검파부
110-8 : 영상신호증폭부 110-10 : 매트릭스
110-12 : 색 재생부 120-2 : 음성중간주파증폭부
120-4 : FM 검파부 120-6 : 저주파증폭부
200 : 음향조정부 202 : 음성회로
204 : 스피커 300 : 타이머
302 : 저장부 304 : 제어부
306 : 선택부 308 : 음향조정부
310 : 음성회로 312 : 스피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자동 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는 현재의 시각 정보를 갖는 타이머(300); 프로그램 장르별로 n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써라운드(surround ) 동작여부 및 볼륨(volume)의 크기를 상기 n 개의 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저장하는 저장부(302); 현재 방영되는 프로그램의 장르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302)에 저장된 n 개의 영역중 해당 영역의 써라운드 동작여부 및 볼륨의 크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304); 외부신호(Cm) 에 의한 선택모드가 자동모드일 때는 상기 제어부(30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모드가 수동모드일 때는 제어신호(Cc)를 선택하는 선택부(306); 상기 선택부(306)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볼륨의 크기나 써라운드의 동작 여부를 조정하는 음향조정부(308); 상기 음향조정부(308)로부터의 조정신호에 의해 원래의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음성회로(310); 및 스피커(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시청자)는 리모콘 또는 텔레비젼 전면패널에 부착되는 키를 이용하여 외부신호(Cm)를 선택부(306)에 인가한다. 선택부(306)는 외부신호(Cm)에 의해 자동모드를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수동모드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음향의 상태를 제공 받기를 원한다면 자동모드를 선택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자동보다는 수동적으로 음향의 상태를 조정하기를 원한다면 수동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만약, 사용자가 수동모드를 선택하였다면 그 때부터는 선택부(306)는 제어부(304)의 신호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고 제어신호(Cc)를 선택할 것이다. 수동모드로 설정된 경우는 종래의 회로 메커니즘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 사용자가 자동모드를 선택하였다면 그 때부터 선택부(306)는 제어부(304)의 신호를 선택하여 음향조정부(308), 음성회로(310) 및 스피커(312)가 동작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타이머(300), 저장부(302) 및 제어부(304)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타이머(300)는 현재의 시각 정보를 계속해서 제어부(304)에 제공한다. 저장부(302)는 프로그램 장르별로 n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저장부(302)는 써라운드(surround ) 동작여부 및 볼륨(volume)의 크기를 상기 n 개의 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저장한다. 방영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의 장르는 뉴스부분, 드라마부분, 영화부분, 스포츠부분, 다큐멘터리부분, 토크 쇼(talk show)부분 등 여러가지로 구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장르에 따라 써라운드 효과가 요구되는 장르가 있고 필요치 않은 장르가 있다. 또한 볼륨의 크기도 좀 더 커야 하는 장르가 있고 그렇지 않은 장르가 있다. 예를 들어, 뉴스부분은 상대적으로 써라운드 효과가 불필요하고 볼륨의 크기도 정상적인 레벨이면 되지만 스포츠부분은 상대적으로 써라운드 효과가 요구될 것이며 볼륨도 약간 커야 하는 특징을 갖는다. 물론, 개인적인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그러하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방금 막 시작한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는 정보를 지정하면 그 순간부터는 사용자가 별 다르게 조작하지 않아도 지정된 해당 영역의 데이터(볼륨의 크기 및 써라운드 효과 동작여부)가 자동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텔레비젼 프로그램은 하루 단위 및 일주일 단위로 계속해서 동일한 시간대에 반복되기 때문에 현재 설정해 놓은 영역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나중에 별 다른 조작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즉, 현재의 시각 정보를 타이머(300)를 통하여 제공받은 제어부(304)는 현재시간에 설정된 해당 영역의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있다가 후에 들어오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기억된 해당 시각, 채널 및 저장부(302)의 해당 영역을 초기값으로 하여 해당 정보를 선택부(306)로 인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영역설정여부를 판단한다.(400) 즉, 사용자가 새로히 볼륨의 크기나 써라운드 효과의 요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영역설정여부 판단단계(400)에 있어서 영역이 설정되었다면 화면에 프로그램 장르를 디스플레이한다.(402-1) 도면상에는 디스플레이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디스플레이되는 장르의 종류는 제조회사에서 설정하기 나름이다.
상기 영역설정여부 판단단계(400)에 있어서 영역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현재의 시각을 체크하여 이전에 입력된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402-2) 즉, 사용자가 새로운 영역을 설정하지 않고 이전에 입력된 현재 시각에 설정된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만약 이전에 입력된 현재 시각에 설정된 영역의 데이터가 없다면 소정의 초기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면 된다.
상기 프로그램 장르 디스플레이단계(402-1)에서 디스플레이된 장르중 어느 장르를 선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404) 상기 장르선택판단단계(404)에 있어서 선택된 장르가 없다면 계속해서 상기 장르선택판단단계(404)를 수행한다.
상기 장르선택판단단계(404)에 있어서 선택된 장르가 있다면 선택된 해당 영역의 데이터로 조정한다.(406)
상기 해당영역의 데이터 조정단계(406)가 수행되면 데이터 저장여부를 판단한다.(408) 데이터 저장여부 판단단계(408)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의 초기상태(리턴)로 되돌아 간다.
상기 데이터 저장여부 판단단계(408)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시간 및 채널을 저장한다.(410) 즉, 현재의 시간 및 채널을 저장하여 후에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 및 방법은 텔레비젼을 시청하다 보면 방영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볼륨의 크기나 음향상태가 다르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일일이 그리고 매일 또는 매주 반복되는 동일한 프로그램 시간표에 매번 바꾸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현재의 시각 정보를 갖는 타이머(300);프로그램 장르별로 n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써라운드(surround ) 동작여부 및 볼륨(volume)의 크기를 상기 n 개의 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저장하는 저장부(302);현재 방영되는 프로그램의 장르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302)에 저장된 n 개의 영역중 해당 영역의 써라운드 동작여부 및 볼륨의 크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304);외부신호(Cm) 에 의한 선택모드가 자동모드일 때는 상기 제어부(30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모드가 수동모드일 때는 제어신호(Cc)를 선택하는 선택부(306);상기 선택부(306)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볼륨의 크기나 써라운드의 동작 여부를 조정하는 음향조정부(308); 및상기 음향조정부(308)로부터의 조정신호에 의해 원래의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음성회로(310)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방법에 있어서,영역설정여부 판단단계(400);상기 영역설정여부 판단단계(400)에 있어서 영역이 설정되었다면 화면에 프로그램 장르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 장르 디스플레이단계(402-1) 및 상기 영역설정여부 판단단계(400)에 있어서 영역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현재의 시각을 체크하여 이전에 입력된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402-2);상기 프로그램 장르 디스플레이단계(402-1)에서 디스플레이된 장르중 어느 장르를 선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장르선택판단단계(404);상기 장르선택판단단계(404)에 있어서 선택된 장르가 있다면 선택된 해당 영역의 데이터로 조정하는 해당영역의 데이터 조정단계(406);상기 해당영역의 데이터 조정단계(406)가 수행되면 데이터 저장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저장여부 판단단계(408); 및상기 데이터 저장여부 판단단계(408)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시간 및 채널을 저장하는 단계(410)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80046636A KR20000028423A (ko) | 1998-10-31 | 1998-10-31 |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80046636A KR20000028423A (ko) | 1998-10-31 | 1998-10-31 |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00028423A true KR20000028423A (ko) | 2000-05-25 |
Family
ID=195567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80046636A Abandoned KR20000028423A (ko) | 1998-10-31 | 1998-10-31 |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00028423A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93711B1 (ko) * | 2005-04-29 | 2007-03-1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홈씨어터 시스템의 음향 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100767128B1 (ko) * | 2000-05-16 | 2007-10-15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화상 처리장치와 화상 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
| KR20160031768A (ko) * | 2014-09-15 | 2016-03-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
-
1998
- 1998-10-31 KR KR1019980046636A patent/KR20000028423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7128B1 (ko) * | 2000-05-16 | 2007-10-15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화상 처리장치와 화상 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
| KR100693711B1 (ko) * | 2005-04-29 | 2007-03-1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홈씨어터 시스템의 음향 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60031768A (ko) * | 2014-09-15 | 2016-03-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
| WO2016043404A1 (ko) * | 2014-09-15 | 2016-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
| US9998839B2 (en) | 2014-09-15 | 2018-06-12 | Lg Electronics Inc. |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
| US10299052B2 (en) | 2014-09-15 | 2019-05-21 | Lg Electronics Inc. |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
| US10999687B2 (en) | 2014-09-15 | 2021-05-04 | Lg Electronics Inc. |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
| US11159903B2 (en) | 2014-09-15 | 2021-10-26 | Lg Electronics Inc. |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A1305785C (en) | Commercial message timer | |
| JP3297924B2 (ja) | テレビジョン受像機 | |
| JPH0775015A (ja) | テレビチャンネル切換装置 | |
| KR19990042395A (ko) | 텔레비젼에서의 방송 탐색 방법 | |
| KR20000028423A (ko) |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방법 | |
| KR20000028428A (ko) | 유선방송 채널에 따른 색상 및 음향모드가 자동조정되는 텔레비젼 수상기 | |
| KR20000028426A (ko) | 화면의 색상, 밝기, 대비 및 농도를 동시 조정 가능한 텔레비젼수상기 | |
| KR19980052942A (ko) | 채널별 음량레벨 변동폭 자동 조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 |
| KR0181988B1 (ko) | Tv의 화면조정모드 설정시의 현재 화면정지장치 | |
| KR100272605B1 (ko) | 오디오선택형 티브이 | |
| KR970009459B1 (ko) | 텔레비젼의 자동 화질 조절 장치 | |
| KR0138066Y1 (ko) | 방송시청제어장치 | |
| KR0131525B1 (ko) | 텔레비젼의 아날로그 컨트롤 장치 | |
| KR19980085954A (ko) | 주화면 시청시 자동 채널설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 |
| KR0128018Y1 (ko) | 텔레비디오수상기의 두 종류방송녹화장치 | |
| KR100191169B1 (ko) | 텔레비젼의 화상 및 음성 제어 정보 저장 방법 | |
| KR100218012B1 (ko) | 슬로우 및 반복기능을 갖는 티브이와 티브이의 슬로우 및 반복기능의 제어방법 | |
| KR0176384B1 (ko) | 브이시알 시스템에서 리모콘 수신감도 조절방법 | |
| KR200156319Y1 (ko) | 무신호 채널에서 화면조정기능 금지장치 | |
| KR0181017B1 (ko) | 텔레비전수상기의 vcr 플레이시 채널자동절환방법 | |
| KR0181405B1 (ko) | 텔레비전의 전원오프시 프로그램 탐색장치 및 그 방법 | |
| KR0181803B1 (ko) | Osd출력방향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 |
| KR100203439B1 (ko) | 텔레비젼의 전원 오프 방법 | |
| KR20000028057A (ko) | 티 브이의 채널 전환장치 | |
| KR20000034599A (ko) | Pip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화면 제어 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7 |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