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36629A - 테니스 라켓 - Google Patents

테니스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629A
KR20000036629A KR1020000014918A KR20000014918A KR20000036629A KR 20000036629 A KR20000036629 A KR 20000036629A KR 1020000014918 A KR1020000014918 A KR 1020000014918A KR 20000014918 A KR20000014918 A KR 20000014918A KR 20000036629 A KR20000036629 A KR 20000036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nis racket
reaction force
frame
present
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종일
Original Assignee
천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종일 filed Critical 천종일
Priority to KR102000001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6629A/ko
Publication of KR2000003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62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28Means for achieving greater mobility of the string b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Frames characterised by throat sections, i.e. sections or element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2Strings; String substitutes; Products applied on strings, e.g. for protection against humidity or wear
    • A63B51/023Strings having characteristics varying along the length of the string, e.g. diameter or elasti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켓의 파워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공이 넷트줄에 접촉하는 순간 넷트줄이 탄력 혹은 반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라켓의 탄력발생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소정위치에 수직 고정되는 고정축(240)(340)과, 이 수직 고정축(240)(340)을 통하여 줄을 걸은 상태에서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고정축 외측에 관착되는 중공의 이동부재(250)(350)와, 상기 고정축 상하단에 개재되는 탄발부재(260)(360)를 형성하여 공과의 접촉시 반발력을 발생하는 반력부(200)(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력부(200)(300)는 공이 넷트부에 접촉하는 순간 반발력을 발생하여 줄이 갖는 탄력외에 배가된 파워로 날아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테니스 라켓{A tennis racket}
본 발명은 테니스 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이 넷트에 닿는 순간 그 반발력이 배가된 파워있는 반발력을 발생하는 테니스 라켓에 관한 것이다.
테니스 라켓은 손잡이와 넷트부로 이루어지고, 넷트부는 타원형 프레임에 줄이 종,횡으로 엮어져 있다. 이와같은 테니스 라켓은 프레임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혹은 손잡이의 충격을 줄이기 위하는 등의 여러가지 구조들이 제안되어 왔다.
본 발명은 테니스 라켓의 넷트부에 접촉하는 공과의 탄력을 보강하기 위한 특별하고도 새로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그동안 테니스 라켓의 탄력은 대부분 넷트부의 줄이 좌우 하였다. 그러나 줄만의 탄력은 재질상의 한계와 줄을 엮기 위한 구조와의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줄이 갖는 재질을 고려하지 않고, 줄을 프레임에 걸기 위한 구조에서도 전혀 문제점이 없으면서 탄력이 배가되는 파워있는 라켓구조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라켓의 파워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공이 넷트줄에 접촉하는 순간 넷트줄이 탄력 혹은 반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라켓의 탄력발생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테니스 라켓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테니스 라켓의 "A"부분 제 1반력부 요부 발췌도
도 3은 본 발명 테니스 라켓의 제 1반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테니스 라켓의 제 1반력부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테니스 라켓의 제 1반력부 결합단면도이고, 도 5b, 도 5c는 본 발명 테니스 라켓의 반력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B"부분 제 2반력부의 요부 발췌도
도 7은 본 발명 제 2반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 2반력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9a, 도 9b는 본 발명 제 2반력부의 이동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탄발부재가 에어튜브의 링형부재로 실시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예 대한 부호의 설명
100:손잡이 110:프레임
120:넷트부 130:줄
200:제 1반력부 300:제 2반력부
210,220:지지부 230:체결부재
212,222:체결공 240:지지축
250:이동부재 260:탄발부재
300:제 2반력부 310:공간
320:인출공 330:체결부재
340:지지축 350:이동부재
352:체결공 360:탄발부재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테니스 라켓에 있어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소정위치에 라켓용 줄을 거는 것이 가능하며, 줄을 걸은 상태에서 상,하 유동이 가능하여 공의 접촉력에 대응하는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반력부를 포함하여, 테니스공이 넷트부의 소정위치에 닿는 순간 반력부 이동으로 반발력을 발생하는 테니스라켓을 제공한다.
상기 반력부는, 손잡이와 연결되는 연결부에 걸쳐 형성된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내측에 수직고정되는 고정축; 이 고정축의 축상에 이동가능하게 관착되고, 그외주면에는 줄이 권취되는 중공의 이동부재; 및 상기 지지부와 이동부재의 사이에 축선상 각각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이동을 규제하는 탄발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반력부는 테니스 라켓의 프레임위치에 적어도 한 곳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이 적용된 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 1반력부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제 1반력부의 설치구조를 떼어낸 사시도이고, 첨부 도면중 도 5a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손잡이(100)와, 프레임(110) 및 줄(130)이 형성된 넷트부(120)로 이루어진다.
손잡이(100)와 프레임(110)사이에는 제 1반발력을 형성하는 제 1반력부(200)가 위치하고, 프레임(110)의 적어도 한 곳에는 제 2반력부(300)를 형성한다.
제 1반력부(200)는 프레임(110)과 손잡이(100)사이에 상,하 연결되는 브릿지형 지지부(210)(220)를 형성하고, 이곳에는 체결부재(230)체결용 체결공(212)(222)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 지지부(210)내측에는 지지축(240)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체결부재(230)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지지축(240)의 외주에는 원통형이동부재(25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관착된다. 이동부재(250)의 상,하단에는 이동부재(250)의 상,하 이동을 탄력적으로 규제하는 탄발부재(260)가 관설된다. 탄발부재(260)는 코일스프링, 혹은 판스프링 및 고무재의 링형 탄발부재가 적용가능하다.
첨부 도면중 도 6은 본 발명 제 2반력부(300)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2 반력부(3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제 2반력부(300)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제 2반력부(300)는 프레임(110)의 적당한 위치에 적어도 한 곳이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 도면중 표시된 "B"부분과 이 "B"부분의 대향위치 및 상기 제 1반력부(200)와 대향하는 프레임(110)의 정상부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제 2반력부(300)는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적당한 공간(310)을 형성하고, 이 공간(310)은 내측으로 줄(130)을 통과시키기 위한 두개의 인출공(320)을 형성한다. 이 공간(310)에는 체결부재(330)에 의하여 지지축(340)을 수직방향으로 고정한다. 지지축(340)은 상기 공간(310)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지지구조로 실시하며, 몰드 성형으로 일체화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축(340)의 외주에는 원통형 이동부재(35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관착된다. 이동부재(350)의 상,하단에는 이동부재(350)의 상,하 이동을 탄력적으로 규제하는 탄발부재(360)가 관설된다. 탄발부재(360)는 코일스프링, 혹은 판스프링 및 고무재의 링형 탄발부재가 적용가능하다. 도 10은 이 탄발부재(350) 즉, 에어가 충진된 링형부재가 적용된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중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 제 2반력부(200)(300)에 적용되는 이동부재(350)의 실시예들이다. 물론 구조,형상의 변형에 따라 제 1, 제 2반력부의 이동부재(250)(350)들의 형태는 변경가능하다. 또한, 제 2반력부(300)는 물론 상기 제 1반력부(200)의 외측으로 커버부재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b, 도 5c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은 작동을 한다. 즉, 넷트부(120)의 줄(130)에 부딪히는 공에 의하여 줄(130)은 후방으로 밀린다. 이때 상기 제 1, 2반력부(200)(300)의 이동부재(250)(350)는 탄발부재(260)(360)에 의하여 눌려진다. 그 순간 탄발부재(260)(360)에 의하여 눌려진 이동부재(250)(350)는 반발되어 상방으로 이동한다. 즉, 첨부 도면 도 5c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동부재(250)(350)가 상방으로 반발함으로써 넷트부(120)에 접촉한 공은 정상적인 넷트부의 타격력외에 반발력을 더하여 파워있게 날아가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시된 이동부재의 구조 및 형태는 일부가 개방된 형태등의 변경이 가능하며, 변형이되더라도 상,하 이동의 기능을 달성함에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므로 본 발명 실시범위에 속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 제 2반력구조는 넷트부를 갖는 모든 라켓 즉, 배드민턴 라켓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줄이 갖는 재질을 고려하지 않고, 줄을 프레임에 걸기 위한 구조에서도 전혀 문제점이 없으면서 탄력이 배가되는 파워있는 테니스 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이 넷트줄에 접촉하는 순간 넷트줄이 탄력 혹은 반력을 발생하는 라켓의 탄력발생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파워있는 반력으로 공을 보내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테니스 라켓에 있어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수직 고정되는 고정축과, 이 수직축을 통하여 줄을 걸은 상태에서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고정축 외측에 관착되는 중공의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축 상하단에 개재되는 탄발부재를 형성하여 공과의 접촉시 반발력을 발생하는 반력부를 포함하는 테니스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부는 넷트부와 손잡이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부는 테니스 라켓의 프레임에 적어도 한 곳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라켓.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부재는 에어가 충진된 고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라켓.
KR1020000014918A 2000-03-23 2000-03-23 테니스 라켓 Ceased KR20000036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918A KR20000036629A (ko) 2000-03-23 2000-03-23 테니스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918A KR20000036629A (ko) 2000-03-23 2000-03-23 테니스 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629A true KR20000036629A (ko) 2000-07-05

Family

ID=1965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918A Ceased KR20000036629A (ko) 2000-03-23 2000-03-23 테니스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662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0234A (en) * 1984-02-13 1989-11-14 Salisbury William F Training racket for propelling baseballs and softballs
US5054779A (en) * 1987-12-03 1991-10-08 Hugo Marrello Tennis racquet
US5316296A (en) * 1993-05-05 1994-05-31 Ben Zirma Liora B Shock-absorbing game racket
US5454562A (en) * 1991-07-27 1995-10-03 Sommer; Roland Sports equipment for ball games having an improved attenuation of oscillations and kick-back pulses and an increased striking for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0234A (en) * 1984-02-13 1989-11-14 Salisbury William F Training racket for propelling baseballs and softballs
US5054779A (en) * 1987-12-03 1991-10-08 Hugo Marrello Tennis racquet
US5454562A (en) * 1991-07-27 1995-10-03 Sommer; Roland Sports equipment for ball games having an improved attenuation of oscillations and kick-back pulses and an increased striking force
US5316296A (en) * 1993-05-05 1994-05-31 Ben Zirma Liora B Shock-absorbing game ra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435A (en) Freestanding punching bag
US5458331A (en) Game racket with adjustable string suspension system
CN101321563A (zh) 高尔夫挥杆练习器
US6530851B2 (en) Ball racket with damped two part profile
CA2503853A1 (en) Pocket-dampening lacrosse head
US6503161B2 (en) Game racket including a string suspension system
KR910009207B1 (ko) 테니스라켓
WO2003068326A3 (en) Golf exerciser
KR20000036629A (ko) 테니스 라켓
JPH11319144A (ja) 身体鍛錬装置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6971964B1 (en) Compound spring element for a game racket
KR100668764B1 (ko) 스탠드형 샌드백
KR100639406B1 (ko) 텐션 샌드백
WO2009106786A1 (en) Apparatus for ball training
JP2000061004A (ja) テニスラケット
US10682560B1 (en) Strike exerciser structure
KR102225915B1 (ko) 배드민턴 라켓
KR200327587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드민턴 라켓
KR200256968Y1 (ko) 탄발력이 향상된 라켓
JP3981276B2 (ja) ガット保護体及び、該ガット保護体を装着したラケットフレーム
KR101785988B1 (ko) 테배콕을 이용한 레저스포츠 세트
CN1243585C (zh) 球拍
JP2921486B2 (ja) ラケット
JP3087049U (ja) ラケット
CN216136643U (zh) 适应不同腰围的呼啦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8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2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8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2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