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947A - Modular and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 Google Patents
Modular and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47947A KR20000047947A KR1019990055342A KR19990055342A KR20000047947A KR 20000047947 A KR20000047947 A KR 20000047947A KR 1019990055342 A KR1019990055342 A KR 1019990055342A KR 19990055342 A KR19990055342 A KR 19990055342A KR 20000047947 A KR20000047947 A KR 200000479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station
- antenna
- signal
- module
- transce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모듈 및 분산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 station having a module and a distributed structure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제1안테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1안테나에 근접한 지지 구조에 위치하는 무선 송수신기 장치와, 기지국 제어기와 통신하는 메인 장치의 적어도 2개로 분리된 장치를 구비하는, 모듈 및 분산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 장치는 송수신기 회로와, 상기 송수신기 회로에 연결되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dule and distributed architecture, comprising a wireless transceiver device coupled to a first antenna and positioned in a support structure proximate the first antenna, and at least two separate devices, the main device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controller. In the base station, the radio transceiver includes a transceiver circuit and an antenna interface circuit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circuit.
Description
본 발명은 1998년 9월 8일 미합중국에 특허출원된 미합중국 출원번호 09/149,168호에 대한 계속출원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inuing application to US Application No. 09 / 149,168, filed September 8, 1998, in the United State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모듈 및 분산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 station having a module and a distributed structure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MS: Mobile Station)(10)과, 기지국 시스템(Base Station)(20)으로 구성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국(10)으로부터 기지국(20)으로 전송되는 전자기파를 나타내는 것이 도시한 역방향 링크(Reverse Link)(30)이고,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이동국(10)으로 전송되는 전자기파를 나타내는 것이 도시한 순방향 링크(Forward Link)(40)이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10 and a base station system 20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reverse link 30 shows the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10 to the base station 20,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20 to the mobile station 10 is shown. One forward link 40.
도 2는 일반적인 셀 격자와 셀 사이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2 illustrates a general cell lattice and cell site structure.
셀룰라(Cellular)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지역(49)은 "셀(Cell)"이라 불리는 다수의 작은 서비스 지역 (50), 서비스 지역(52), 서비스 지역(54), 서비스 지역(56) 각각으로 지형적 분할된다. 상기 각각의 셀들(50, 52, 54, 56)에는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으로 알려진 무선 장비가 각각 설치된 셀 사이트(Cell Site)(58), (60), (62), (64)가 존재한다.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ellular scheme, the service area 49 includes a number of small service areas 50, service areas 52, service areas 54, service areas, called " cells. &Quot; 56 are topographically divided into each. Each of the cells 50, 52, 54, and 56 has cell sites 58, 60, 62, 64, each of which is equipped with a wireless device known a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 Exists.
여기서, 셀은 일반적으로 매크로 셀(Macr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피코 셀(Pico Cell)과 같은 여러 종류의 셀 배치로 차별적인 서비스 영역을 효율화시키기 위해 특수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매크로 셀은 가장 광범위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며, 마이크로 셀은 가장 협소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cell is generally formed in a special area in order to streamline differentiated service areas with various cell arrangements such as macro cell, micro cell, and pico cell. The macro cell provides the widest coverage area, and the micro cell provides the narrowest coverage area.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특정 지역, 예를 들어 캠퍼스, 운동장, 공항, 쇼핑몰과 같은 특정 지역에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특별 이벤트 발생 또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재해가 발생함에 따라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원격제어가 불가능한 지역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매크로 혹은 터널을 가진 미니셀의 통화서비스를 보완하는 경우, 그리고 통화 품질이 열악한 지역의 통화 품질을 개선하는 경우에 사용된다.When picocells generally provide telephony services within a building, and when they provide telephony services in certain areas, such as campuses, playgrounds, airports, shopping malls, special events or disasters due to natural disasters Therefore, when providing a call service, providing a call service in an area where remote control is not possible, supplementing a call service of a minicell with a macro or tunnel, and improving call quality in an area where call quality is poor. Used.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상 일반 공중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nd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66)은 이동국(10), 즉 이동 가입자에 무선 링크를 제공한다. 각각의 기지국(66)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67)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67)는 전방향성(Omni Antenna) 혹은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이다. 상기 전방향성 안테나는전체의 수신 범위를 제공하는 반면, 상기 지향성 안테나는보다 훨씬 작은 섹터(sector)의 수신 범위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 3 above, base station 66 provides a wireless link to mobile station 10, i. Each base station 66 has two or more antennas 67, which are omni-directional or directional antennas. The omni-directional antenna While providing full coverage, the directional antenna Provides coverage of much smaller sectors.
예를 들면, 지향성 구조는 두 개의 섹터 혹은 세 개의 섹터로 구성된 구조가 가능하고, 상기 두 개의 섹터 구조를 가질 경우 각각의 섹터는 그 수신범위로를 제공하며, 상기 세 개의 섹터 구조를 가질 경우 각각의 섹터는 수신범위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적정한 송신과 수신을 위해서는 각각의 섹터가 다이버시티(Diversity) 수신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를 필요로 한다.For example, the directional structure may be a structure composed of two sectors or three sectors, and each of the sectors may have a reception range when the two sector structures are included. In the case of having the three sector structures, each sector is a reception range. To provide. In this case, each sector requires at least two antennas for diversity reception for prop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도 3의 상세한 설명을 계속하면, 각각의 기지국(66)은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7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70)는 다수의 기지국(66)과 연결되어 그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기지국 제어기(70)는 이동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72)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교환기(70)는 차례로 공중교환망(68)에 연결된다.Continui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FIG. 3, each base station 66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70. Here, the base station controller 7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66 and performs its function. Likewise, each base station controller 70 is connected to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72, which in turn is connected to a public switched network 68.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66)은 서비스 영역의 각 섹터를 위한 RF 전치 모듈(RF Front-End)(74), 다수의 송수신기(Transceiver)(76), 다수의 모뎀 프로세서(Modem Processor)(78), 그리고 제어기(Contorller)(80)와 같이 크게 4가지 기능 블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80)는 T1혹은 E1 전용선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7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RF 전치 모듈(74)은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워의 정상이나 혹은 지주(Pole)(82)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4, the base station 66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n RF front-end 74, a plurality of transceivers 76, and a plurality of modems for each sector of the service area. It consists of four functional blocks, such as a processor (Modem Processor) 78, and a controller (80). The controller 80 interfaces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70 via a T1 or E1 dedicated line, and the RF pre-module 74 is generally at the top or pole of the tower, as shown in FIG. It is connected to the antenna installed in).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타워 정상에 설치된 안테나와 지상 기지국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antenna installed on the top of a tow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ground base station.
일반적인 무선 시스템에서,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기지국(66)의 4개 중요 기능 블록들은 지상에서 지주(혹은 타워)(82)에 가장 근접하는 캐비넷(Cabinet) 혹은 주택(Housing)에 실장된다. 그리고 긴 동축 케이블(84)은 상기 안테나(67)가 설치된 상기 지주(82)의 정상에서 상기 기지국(66)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동축 케이블(84) 길이는 일반적으로 설치 계획에 따라피트(feet) 내에서 다양하게 선택하여 설치된다. 상기피트(feet) 범위 내의 케이블 길이가 전력손실(Power Loss)을 방지하기 위한 적정 길이이다.In a typical wireless system, the four critical functional blocks of the base station 66 shown in FIG. 4 are mounted in a cabinet or housing closest to the strut (or tower) 82 on the ground. The long coaxial cable 84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66 at the top of the support 82 on which the antenna 67 is installed. The coaxial cable 84 length is generally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plan Various choices are installed in the feet. remind The cable length in the feet range is the proper length to prevent power loss.
따라서, 약 2에서 4dB 정도인 상기 동축 케이블로 인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약 3/4에서 3/2 인치(inch)의 지름을 가지는 굵은 동축 케이블이 사용된다. 이렇게 전력 손실을 최소화시키는 것은 동축 케이블의 전력 손실이 수신기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고,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Thus, coaxial cabl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3/4 to 3/2 inches are used to minimize power loss due to the coaxial cable, which is about 2 to 4 dB. This minimization of power los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power loss of the coaxial cable degrades the receiver's receive sensitivity and reduces the transmit power.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전력증폭기 구조가 타워 정상에 적재된 경우의 기지국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structure when a low noise amplifier / power amplif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oaded on top of a tower.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와 전력 증폭기(PA: Power Amp)(74)(LNA/PA(74))로 구성된 RF 전치 모듈을 타워 정상에 설치하는 경우에서의 케이블 전력 손실은, 상기 케이블 전력 손실에 따른 송수신 신호의 전력 손실이 추가적인 증폭으로 보상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기지국 및 안테나 연결 구조에서 상술했던 만큼 치명적이지는 않다.As shown in FIG. 6, in the case of installing an RF pre-module composed of a low noise amplifier (LNA) and a power amplifier (PA) 74 (LNA / PA 74) at the top of a tower The cable power loss of is not as critical as described above in the base station and antenna connection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그러나, 상기 기지국(66)에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전력증폭기(74)와 송수신기(Transceiver)(76)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가 고주파(High-Frequency)/무선(RF) 신호이기 때문에 이 역시 지름이 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그리고 전력 손실, 시스템 노이즈, 기계적 클러터(CLUTTER) 등과 같은 또 다른 문제점이 상기 저잡음 증폭기/전력증폭기(74)와 상기 기지국(66)간 전송된 RF 신호에 연관된다.However, since the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low noise amplifier / power amplifier 74 and the transceiver 76 in the base station 66 is a high-frequency / radio signal, this cable is also large in diameter. It is necessary to use. And other problems such as power loss, system noise, mechanical clutter, etc., are associated with the RF signal transmitted between the low noise amplifier / power amplifier 74 and the base station 66.
또한 케이블 길이를 변경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설치 계획에서 발생하는 광범위한 케이블 전력 손실을 자동 보상하기 위해 상기 RF 전치기와 상기 송수신기에서 추가적인 복잡한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들은 상기 동작하는 RF 주파수가 더 높은 고주파 대역에서 할당됨에 따라 더욱 심각해진다. 이런 문제점들은 고주파를 사용하는 CPCS와 같은 개인 통신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경우이다.In addition, changing cable lengths requires additional complex circuitry at the RF preamble and the transceiver to automatically compensate for the wide range of cable power losses incurred by different installation schemes. These problems are exacerbated as the operating RF frequency is assigned in the higher high frequency band. These problems are present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CPCS that use high frequencies.
즉, 케이블(84) 길이가 증가하면 할수록, 또는 케이블(84)을 통해 전송하는 주파수가 고주파수가 될수록, 상기 저잡음 증폭기/전력 증폭기(74)와 상기 기지국(66)간에 전송되는 신호의 전력 손실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전력 증폭기(74)와 상기 기지국(66)간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기 긴 케이블(84)(여기서, 상기 케이블(84)은 그 길이가 종종 150피트를 초과하고, 심지어는 300피트를 초과한다.)은 과도한 전력 손실을 초래한다.That is, as the length of the cable 84 increases, or as the frequency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84 becomes a high frequency, the power loss of the signal transmitted between the low noise amplifier / power amplifier 74 and the base station 66 increases. Will increase. Thus, the long cable 84 used in connection between the low noise amplifier / power amplifier 74 and the base station 66, wherein the cable 84 often exceeds 150 feet in length, even 300 Excess pit) causes excessive power loss.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84)에서 3dB 전력 손실이 있을 경우, 기지국 송수신기의 100W 전력 증폭기는 상기 케이블 전력 손실로 인해 단지 50W 전력만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케이블 전력 손실은 수신 성능에서뿐만 아니라,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수신기의 성능 또한 감소시킨다. 또한, 고주파를 사용하는 개인 통신 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에서는, 상기 기지국(66)의 저잡음 증폭기/전력 증폭기(74)와 상기 송수신기(76)간의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케이블(84)상에서 전력 손실이 더 증가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re is 3dB power loss in the cable 84, the 100W power amplifier of the base station transceiver will be able to transmit only 50W power due to the cable power loss. This cable power loss reduces not only the reception performance, but also the receiver's ability to detect the received signal. In addition, in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using high frequency, power is transmitted on a cable 84 that performs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low noise amplifier / power amplifier 74 of the base station 66 and the transceiver 76. The losses will increase further.
이렇게, 송신 및 수신 경로 모두에 있어서 RF 케이블 전력 손실은 적정 송신 효율에 비해 송신 효율을 저하시키고, 또한 적정 수신 감도에 비해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전력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필요로 되는 높은 컨덕턴스(Conductance)를 지니는 비교적 굵은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게 된다.As such, the RF cable power loss in both the transmit and receive paths degrades the transmission efficiency relative to the appropriate transmission efficiency and also reduces the reception sensitivity relative to the appropriate reception sensitivity, so that the high conductance required to minimize the power loss ( A relatively thick coaxial cable with conductance is used.
접지 루프(Ground Loop)와, 마그네틱 커플링(Magnetic Coupling), 다중-타워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노이즈는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안테나(67)로부터 상기 기지국(66)까지 RF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동축 케이블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기지국에 연관된 RF 주파수는 RF 신호를 동일한 동축 케이블에서 이중화시키는 것을 난이하게 하고, 그래서 일반적으로 하나의 동축 케이블에서는 오직 하나의 신호만이 전송되는 것이다.Noise generated through ground loops, magnetic coupling, and multi-tower devices can cause problems. In this case, there is generally one or more coaxial cables that transmit RF signals from the antenna 67 to the base station 66. The RF frequency associated with such a base station makes it difficult to duplicate the RF signal on the same coaxial cable, so that generally only one signal is transmitted on one coaxial cable.
그러므로, 이런 RF 신호는 다중 혹은 이중화되어 전송되지 못하고, 그래서 각각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런 각각의 케이블을 위해 별도의 커넥터가 구비되어야만 한다. 상기 동축케이블(84)의 RF 신호 차폐는 상기 동축케이블(84)의 양단에서 접지된다. 상기 RF 신호 차폐는 상기 동축 케이블(84)의 일단이 그라운드(87)에 접지되어 있는 상기 기지국(66)의 지지대에 접지되는 반면, 상기 동축 케이블(84)의 다른 일단은 선 혹은 케이블(82)을 통해 상기 저잡음 증폭기/전력 증폭기(74) 일면에 정합하여 접지된다.Therefore, these RF signals cannot be transmitted multiplexed or duplexed, so a separate cable is required to transmit each signal, and a separate connector must be provided for each such cable. The RF signal shield of the coaxial cable 84 is grounded at both ends of the coaxial cable 84. The RF signal shield is grounded to a support of the base station 66 where one end of the coaxial cable 84 is grounded to ground 87, while the other end of the coaxial cable 84 is wired or cable 82 The low noise amplifier / power amplifier 74 is matched to one surface through the ground.
그러나 이는 접지 루프를 형성하게 되고, 이 접지 루프는 위상을 포함하는 커먼 모드(Common Mode) 전류로 인해 상기 신호 경로 상에서 잡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자기 커플링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각 타워 정상 장치가 잡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다수개의 타워 정상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잡음 발생의 원인이 된다.However, this forms a ground loop, which can generate noise on the signal path due to the common mode current including the phase, and also lead to magnetic coupling. In addition, the use of multiple tower tops is a source of noise, since each tower top produces noise.
더 많은 수용능력을 필요로 하는 몇 몇 셀 사이트에서는, 하나 이상의 RF 캐리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 안테나에 RF 커플링보다 우선하여 다수개의 RF 캐리어를 결합하는 특별한 조치가 없이는, 일반적으로 섹터당 다수개의 RF 신호의 전송은 섹터당 그에 상응하는 전송 안테나를 필요로 한다. 섹터당 하나의 안테나 세트는 상기 수신측에서 다수 RF 캐리어 수신을 위해 공유될 수 있다.In some cell sites that require more capacity, it may be necessary to transmit more than one RF carrier signal. Without special measures to couple multiple RF carriers in preference to RF coupling to the antenna, transmission of multiple RF signals per sector generally requires a corresponding transmit antenna per sector. One antenna set per sector may be shared for multiple RF carrier reception at the receiving side.
상기 다수 RF 캐리어 전송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전송 안테나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Conventional techniques for reducing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required for the multiple RF carrier transmissions are shown in FIGS. 7 and 8.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수 송수신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른 결합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수 송수신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른 결합기/다수-캐리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er structure according to a method of using multiple transceivers using a single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8 is a coupler / combiner according to a method of using multiple transceivers using a single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shows a multi-carrier structure.
상기 도 7에서 상기 캐리어들은 고전력 결합기로 결합된다. 상기 도 8에서 상기 캐리어들은 저전력에서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신호는 다수-캐리어와 함께 증폭된다.In FIG. 7, the carriers are coupled to a high power coupler. In FIG. 8, the carriers combine at low power and the combined signal is amplified with the multi-carrier.
상기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두 설계 모두 소형 기지국 시스템에서 사용되기에는 적당하지 못하다. 그래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안테나로의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며, 섹터당/안테나당 다수 RF 캐리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기지국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Both designs shown in FIGS. 7 and 8 are not suitable for use in small base station systems. Thus, there is a need for a base station system that is capable of minimizing power loss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antenna and capable of transmitting multiple RF carriers per sector / per antenn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과 안테나간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는 분산 및 모듈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e station having a distributed and modular structure that minimizes power los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ntenn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다수 캐리어 전송이 가능한 분산 및 모듈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se station having a distributed and modular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multiple carriers through one ca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안테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1안테나에 근접한 지지 구조에 위치하는 무선 송수신기 장치와, 기지국 제어기와 통신하는 메인 장치의 적어도 2개로 분리된 장치를 구비하는, 모듈 및 분산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 장치는 송수신기 회로와, 상기 송수신기 회로에 연결되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wireless transceiver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located in a support structure proximate to the first antenna, and at least two separate devices of the main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In the base station having a module and distributed structure, the wireless transce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ceiver circuit and an antenna interface circuit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circuit.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tructure
도 2는 일반적인 셀 격자와 셀 사이트 구조를 도시한 도면2 illustrates a general cell grid and cell site structure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상 일반 공중 교환망(PSTN)과 기지국(BTS)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terrestrial general public switched network (PSTN) and a base station (BT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타워 정상에 설치된 안테나와 지상 기지국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antenna installed on a top of a tower and a ground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전력증폭기 구조가 타워 정상에 적재된 경우의 기지국 구조를 도시한 도면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structure when a low noise amplifier / power amplif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oaded on top of a tower; FIG.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수 송수신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른 결합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er structure according to a method of using multiple transceivers using a single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수 송수신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른 결합기/다수-캐리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8 illustrates a combiner / multi-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 method of using multiple transceivers using a single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피코-기지국 약자 목록을 도시한 도면9 shows a list of pico-base station abbreviations us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는 지주에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upport in which an antenna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구조를 위한 기지국 구조를 도시한 도면11 illustrates a base station structure for an omnidir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섹터 구조를 위한 기지국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structure for a three sect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상기 도 13의 기지국 구성을 모듈 레벨로 도시한 블록도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station of FIG. 13 at a module level.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안테나를 가지는 송수신기/RF 전치 모듈 블록도15 is a block / transceiver / RF premodule module block diagram having two antenna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chip designe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안테나가 설치된 곳에 연결·설치되는 무선 장치(RU: Radio Unit)와,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무선 장치에 연결되는 메인 장치(MU: Main Unit)와, 그리고 상기 무선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하나의 메인 장치에 다수개의 무선 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무선 장치 각각은 동일한 주파수에서 동작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주파수로 동작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unit (RU: Radio Unit) connected to and installed in a place where an antenna is installed, a main unit (MU)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wireless device,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device, and the wireless device. It provides a base station having one or more antennas connected to it.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may be connected to one main devic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may operate at the same frequency or at different frequencie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a) 제어기 모듈과 CDMA 방식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용 채널 엘리먼트 모듈을 구비하는 메인 장치와, (b) 송수신기 모듈과, 상기 송수신기 모듈과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결합한 전력 증폭기를 구비하는 무선 장치와, (c) 상기 무선 장치와 메인 장치간에 저주파 신호, 예를 들어 기저대역신호, 중간주파수 신호와 같은 저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소정 길이의 케이블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amplifier comprising (a) a main unit having a controller module and a channel element module for a baseband signal subjected to CDMA processing, (b) a transceiver module, and a power amplifier electrically coupled to the transceiver module and an antenna. And (c) a cab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transmitting a low frequency signal, for example, a low frequency signal such as a baseband signal or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between the wireless device and the main device.
상기 무선 장치의 송수신기 모듈은 송신기 회로, 수신기 회로, 그리고 합성기 회로, 혹은 상기 송수신기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저잡음 증폭기(LNA: Low-Noise Amplifie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인터페이스 모듈은 듀플렉서 모듈 혹은 전력 증폭기 모듈과 수신기 필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module of the wireless device may be composed of a transmitter circuit, a receiver circuit, a synthesizer circuit, or a low-noise amplifier (LN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module. In addition, the antenna interface module may include a duplexer module or a power amplifier module and a receiver filter module.
또한. 상기 기지국은 (a) 상기 무선 장치중 하나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채널 엘리먼트 모듈을 가지는 메인 장치와, (b) 송수신기 모듈과 안테나 인터페이스 모듈을 가지는 무선 장치를 포함한다.Also. The base station includes (a) a main device having a channel element module providing an interface coupled to one of the wireless devices, and (b) a wireless device having a transceiver module and an antenna interface module.
또한, 상기 메인 장치는 전력 시스템 모듈(전력 공급 및 배터리 백업), 시간 및 주파수 모듈, 그리고 온도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장치는 로컬 제어기 모듈과 DC 컨버터와 레귤레이터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송신기 회로와 다중 수신을 위한 2개의 수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무선 장치는 수신필터 회로와 하나의 공동(CAVITY)에 연결된 송신 및 수신 필터 회로를 포함하는 듀플렉서 회로를 포함하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device also includes a power system module (power supply and battery backup), a time and frequency module, and a temperature management module. The wireless device also includes a local controller module, a DC converter, and a regulator module. The transceiver module also includes a transmitter circuit and two receiver circuits for multiple reception. In addition, the wireless device may include an antenna interface module including a duplexer circuit including transmit and receive filter circuits coupled to the receive filter circuit and a cavity.
본 발명은 하나의 메인 장치와,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 3개까지의 무선 장치로 구성된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장치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송수신기와 RF 전치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기는 차례로 업-컨버터와, 다운-컨버터와, 합성기와, 저잡음 증폭기와 송신 증폭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장치는 듀플렉서, 수신기 필터, 전력 증폭기로 구성된 안테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장치는 최대 4개의 채널 엘리먼트 카드와, 상기 무선 장치에 대한 하나의 인터페이스 카드와, 제어기 카드, 시간과 기준 주파수 카드, 전력 시스템 소자, 그리고 열관리 소자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station comprising one main device and up to three wireless devices capable of being located remotely from the main device. The wireless device basically consists of one transceiver and an RF premodule. The transceiver in turn comprises an up-converter, a down-converter, a synthesizer, a low noise amplifier and a transmit amplifier. The wireless device includes an antenna interface unit including a duplexer, a receiver filter, and a power amplifier, and the main device includes up to four channel element cards, one interface card for the wireless device, a controller card, a time and a reference. Frequency cards, power system devices, and thermal management devices.
이하, 하기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피코(Pico) 기지국 구조(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Pico-BTS에서 사용되는 약자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Pico-기지국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든 기지국 구조, 즉 매크로(Macro) 또는 마이크로(Micro) 기지국에서도 실시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for the Pico base station structure (an abbreviation used in Pico-BT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shown in FIG. Though. It should be noted tha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nly limited to Pico-base stations,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all base station struct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amely macro or micro base station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는 지주에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upport in which an antenna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두 개의 장치, 즉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PRU: Pico-BTS Radio Unit)(110)와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PMU: Pico-BTS Main Unit)(105)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피코-기지국은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나 타워 혹은 다른 지지 구조(115)의 하단에 위치하는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Main Unit System", PMU 혹은 MU)(105)와 안테나(120)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주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며,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와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선(122)을 통해 통신하는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Radio Unit System", PRU 혹은 RU)(11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0, the base station includes two devices: a Pico-BTS Radio Unit (PRU) 110 and a Pico-BTS Main Unit (PMU). 105). The pico-base station is provided with a pico-base station main unit (“Main Unit System”, PMU or MU) 105 and antenna 12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tower or other support structure 115 as shown. A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Radio Unit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at least one prop and communicates through the plurality of conductors 122 including coaxial cable with the pico-base station main unit 105. PRU or RU) 11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성 구조를 위한 기지국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structure for an omnidir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는 도선 혹은 케이블(122)을 통해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와 그 하단이 연결된다.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와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간의 이격 거리는 약 5피트(feet)에서 350피트 이상까지가 될 수 있다.(전류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약 150피트 분리 거리를 가진다.) 이는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가 탑, 지주(Pole) 혹은 다른 지지 구조(115)의 하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가 안테나(120)에 근접한 정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서,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안테나(120)에 연결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적어도 타워 정상에 설치된 두 개의 안테나에 연결된다.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e pico-base station main device 105 and its lower end through a wire or cable 122.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and the pico-base station main device 105 may be from about 5 feet to more than 350 feet. (The current system typically has a separation distance of about 150 feet. This is because the pico-base station main unit 105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ower, pole or other support structure 115, so that the pico-base station radio unit 110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antenna 120. It is located at the top.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is connected to one antenna 120 as shown. It is usually connected to at least two antennas on top of the tower.
상기 도선 혹은 케이블(122)은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와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사이에서 광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광통신은 일반적으로 광신호가 일반 전기 신호,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을 통한 전기 신호보다 전력 손실이 적기 때문에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와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가 이격되어 설치 가능한 이격 허용거리를 증가시키게 된다.The wire or cable 122 may perform optical communication between the pico-base station main device 105 and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In such optical communication, since the optical signal generally has less power loss than a general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coaxial cable, the pico-base station main device 105 and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may be spaced apart and installed. This will increase the allowable distanc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섹터 구조를 위한 기지국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structure for a three sect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화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시스템적으로 오직 상기 피코-지국 무선 장치(110)만 이중화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래서,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는 1, 2, 3, 혹은 그 이상의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와 PRU(110)와 인터페이싱 하는 것이 가능하다.12, only the pico-station wireless device 110 is redundant in terms of hardware system. Thus, the pico-base station main device 105 may interface with one, two, three, or more pico-base station radios and the PRU 110.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10)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모듈(Antenna Interface Assembly)(160)에 연결된 송수신기 모듈(Transceiver Module)(155)로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 인터페이스 모듈(160)은 안테나(120)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3, the pico-base station main unit 110 is composed of a transceiver module 155 connected to an antenna interface assembly 160. The antenna interface module 16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120.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는 채널 엘리먼트(Channel Element)(130)에 연결되며,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의 송신 및 수신 인터페이스(Transmit and Receive Interface, 이하 "T/R 인터페이스 모듈"라 칭하기로 함)(135)에서 종료되는 케이블 세트를 통해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와 연결된다. 상기 채널 엘리먼트(130)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신호가 변조 및 복조된다.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is connected to a channel element 130 and transmits and receives an interface of the pico-base station main device 10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 / R interface module"). The pico-base station main unit 105 is connected via a cable set terminated at 135. In the channel element 13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ignals are modulated and demodulated.
또한,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는 주제어기 모듈(Main Controller)(125)에 정확한 클럭과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140)와, 상기 채널 엘리먼트(130)와, 상기 T/R 인터페이스 모듈(135) 및 상기 다수의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는 전력 시스템(145)과, 온도 제어 서브시스템(15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ico-base station main unit 105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140 which provides an accurate clock and frequency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5, and the channel element 130. And the T / R interface module 135 and the plurality of pico-base station radios. The pico-base station main unit 105 also includes a power system 145 and a temperature control subsystem 150.
도 14는 상기 도 13의 기지국 구성을 모듈 레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station of FIG. 13 at a module level.
상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는 두 개의 모듈, 즉 송수신기 모듈(155)(XCVR: Transceiver Module)과 안테나 인터페이스 모듈(AIF: Antenna Interface Module)(160)을 반드시 포함한다. 그러나, 이런 모듈들은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each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includes two modules: a transceiver module 155 (XCVR) and an antenna interface module (AIF) 160. It must include. However, these modules can be combined with one or more modules.
상기 안테나 인터페이스 모듈(160)은 상기 신호를 셀 서비스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레벨로 증폭하는 송신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와, 수신기 수신감도를 최대로 하여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두 개의 저잡음 증폭기(LNA: 도시하지 않음)와, 단일 안테나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듀플렉서 모듈(Duplexer Module)과, 수신기 필터(Rx Filter)를 포함한다.The antenna interface module 160 includes a transmission power amplifier (PA) for amplifying the signal to a level required in a cell service area, and two low noise amplifiers for amplifying a received signal with maximum receiver sensitivity. (LNA: not shown), a duplexer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a single antenna, and a receiver filter (Rx Filter).
상기 송수신기 모듈(155)은 합성기 회로(Synthesizer Circuitry), 송신기 회로(Transmitter Circuitry), 그리고 두 개의 수신기 회로(Receiver Circuitry)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 회로를 "송수신기"로 언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transceiver module 155 includes a synthesizer circuitry, a transmitter circuitry, and two receiver circuitry. Here, it is common to refer to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circuit as a "transceiver".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는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계산(Calibration)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또한 실시간 온도 동작 파라미터 보상을 상기 송수신기에 제공한다. 그래서, 이동국 혹은 시험 이동국은 계산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에 전계에서 시스템 계산은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also includes a microprocessor and a nonvolatile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calibration data, and also provides real-time temperature operating parameter compensation to the transceiver. Thus, the mobile station or the test mobile station does not require calculations, so that system calculations in the electric field are no longer needed.
바람직하게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는 상기 듀플렉서 모듈과 수신기 필터를 하나의 공동(Cavity)에 보관하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알루미늄 공동에 세 개의 필터(두 개의 수신 필터와 한 개의 송신 필터)를 결합시킨다. 종래의 다이버시티 수신 공동과 듀플렉서 공동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장치내에 다른 회로를 실장할 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이로 인해 원가가 절감된다.Preferably,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stores the duplexer module and the receiver filter in one cavity, and generally three filters (two receive filters and one transmit filter) in one aluminum cavity. Combine. Combining conventional diversity receiving cavities and duplexer cavities frees up space to mount other circuitry within the wireless device, thereby reducing costs.
상기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의 상기 듀플렉서 모듈/수신기 필터 공동은 동축 케이블 외벽 연결기를 제거하고, 상기 필터상의 연결기가 상기 무선 장치의 표면을 통해 바로 표출되도록 하기 위해 설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더 작은 파트를 필요로 하고, 이와 동시에 유효 공간을 절약하고 원가를 절감시키게 된다.As described in FIG. 14, the duplexer module / receiver filter cavity of the pico-base station radio 110 removes the coaxial cable outer wall connector and allows the connector on the filter to be exposed directly through the surface of the radio. Is designed for. Such a structure requires smaller parts, while at the same time saving effective space and reducing costs.
또한, 상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는 피코-기지국 주제어기 카드(PMCC: Pico-BTS Main Controller Card)(125)와, 피코-기지국 채널 카드(PCC: Pico-BTS Channel Card)(130)와, 송신 및 수신 인터페이스 카드(TRIC: Transmit and Receive Interface Card)(135)와, 시간 및 주파수 카드)(TFC: Time and Frequency Card)(140)와, AC를 DC로 변환하며,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와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에 상기 DC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PSA: Power Supply Assembly)(1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온도 제어 서브시스템(150)은 도면을 간략화시키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음을 유의하여야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the pico-base station main unit 105 includes a pico-base station main controller card (PMCC) 125 and a pico-base station channel card (PCC). Pico-BTS Channel Card (130), Transmit and Receive Interface Card (TRIC) 135, Time and Frequency Card (TFC) 140, and AC And a power supply unit (PSA) 145 for converting to DC and supplying the DC power to the pico-base station main unit 105 and the pico-base station radio device 110.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subsystem 150 is not shown to simplify the figure.
상기 피코-기지국 주제어기 카드(125)는 패킷 엔진(packet engine)이라고 칭해지기도 하는 통신 제어기 모듈과,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기지국(100) 내의 모든 카드들을 모니터링 하고, 또한 기지국 제어기(상기 도 3에 도시한 BSC)와 상기 피코-기지국 채널 카드(130)간의 트래픽과 신호 패킷을 라우팅한다.The pico-base station master controller card 125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ler module, also referred to as a packet engine, and an external interface module, which monitors all cards in the base station 100, and als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Fig. The traffic and signal packets between the BSC shown in Fig. 3 and the pico-base station channel card 130 are routed.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송신 및 수신 인터페이스 카드(135)는 송수신기 모듈(155)과 상기 피코-기지국 채널 카드(13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송신 및 수신 인터페이스 카드(135)는 내부 연결 케이블(122)을 통해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에 연결된다.Similarly, the transmit and receive interface card 135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transceiver module 155 and the pico-base station channel card 130. The transmit and receive interface card 135 is connected to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via an internal connection cable 122.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와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를 연결하고 있는 케이블(122)을 통해 약 1KHz에서 약 700MHz까지의 범위의 주파수 영역에서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와 중간 주파수(IF) 신호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 주파수 범위는 1.26MHz 대역폭과 -50dBm에서 -70dBm사이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239MHz이다. 상기 방식의 장점은 변조된 신호가 이중화될 수 있고, 표준형이며, 저렴한 RG-58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모듈간에 전송되는 다른 신호들은 48V 전력과, 10MHz 기준주파수를 가지며. RS-422 제어 라인을 통해 전송된다.Baseband analog signal and intermediate frequency (IF) in the frequency range of about 1 kHz to about 700 MHz via a cable 122 connecting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and the pico-base station main device 105 The signal is sent. Here, the intermediate frequency range is 239 MHz with a 1.26 MHz bandwidth and a signal strength between -50 dBm and -70 dBm. The 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hat the modulated signal can be duplicated and transmitted over a standard, inexpensive RG-58 coaxial cable. The other signals transmitted between each module have 48V power and a 10MHz reference frequency. It is transmitted via the RS-422 control line.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와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를 분리시킨 것은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가 상기 안테나(120)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안테나 케이블에서의 실재 전력 손실은 수신기 수신감도를 저하시키고, 1:1비율(dB/dB)에서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기 안테나(120)에 근접하여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기지국(100)의 성능을 최대화시킨다. 또한 이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의 위치는 케이블을 통한 전력과 신호 손실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Separating the pico-base station radio device 110 and the pico-base station main device 105 enables the pico-base station radio device 110 to be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antenna 120. Since the actual power loss in the antenna cable lowers the receiver sensitivity and reduces the transmission power at a 1: 1 ratio (dB / dB),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in close proximity to the antenna 120. Installing the maximizes the performance of the base station 100. The location of this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also makes it possible to reduce power and signal loss over the cable, thus saving energy.
이에, 더 이상 모든 도선 및 동축 케이블을 단일 중합체 외피로 묶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단일 다수-도선/동축 커넥터가 상기 케이블의 양단에서 사용된다. 그 결과 상기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설치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나의 아이템으로 설계된다. 그래서, 상기 케이블 지름을 내부 설치(튜닝 연결기를 필요로 하는)에서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0.75인치(Inch)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s a result,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bundle all the lead and coaxial cables in a single polymer sheath. A single multi-conductor / coaxial connector is used at both ends of the cable. As a result, the cable is generally designed as one item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repair in the field. Thus, it is possible to keep the cable diameter below 0.75 inch (Inch) for easy installation in the field as well as in internal installations (which require a tuning connector).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에 들어가는 동축케이블은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된 트랜스포머(변압기)이며, 접지 루프(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접지 노이즈)의 발생 가능성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가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로부터 150피트를 초과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는 접지된 지주나 혹은 다른 전도성 구조에 연결되어, 노이즈 커플링으로 인한 시스템 성능 열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24 혹은 48 V DC 혹은 AC 전압에서, 전력은 분리되어 타워 정상에 송신되기 때문에, 전력선에서 전력 손실을 없애고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만든다.The coaxial cable entering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is a transformer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ground loops (and corresponding ground noi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to be installed more than 150 feet apart from the pico-base station main device 105. Besides.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is connected to a grounded support or other conductive structure so that system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noise coupling does not occur. At 24 or 48 V DC or AC voltages, power is split and sent to the top of the tower, eliminating power losses on the power lines and making the system more efficient.
상기 피코-기지국 메인 장치(105)와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간에 상기 케이블(122)을 통해 전송된 신호들은 약 1KHz에서 240MHz까지의 범위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동작하는데, 이는 케이블 지름이 작고 저렴한 케이블을 사용할지라도 낮은 신호 감쇠를 초래한다.Th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122 between the pico-base station main unit 105 and the pico-base station radio 110 operate most efficiently in the range of about 1 KHz to 240 MHz, which is small and inexpensive. The use of cables leads to low signal attenua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안테나를 가지는 송수신기/RF 전치 모듈 블록도이다.15 is a block diagram of a transceiver / RF pre-module with two antennas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안테나(제1안테나 Ant-1, 제2안테나 Ant-2) 모두는 상기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110)의 듀플렉서 모듈(DX) 포트에 각각 연결된다. 단일 캐리어 RF 동작에서는, 제1 안테나는 하나의 다이버시티 신호(Rx-0)를 송신 및 수신하며, 나머지 하나의 안테나, 즉 제2안테나는 오직 다른 다이버시티 신호(Rx-1)만을 수신하게 될 것이다.As shown in FIG. 15, both of the two antennas (first antenna Ant-1 and second antenna Ant-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uplexer module (DX) port of the pico-base station wireless device 110. . In single carrier RF operation, the first antenna transmits and receives one diversity signal Rx-0, and the other antenna, that is, the second antenna, will receive only the other diversity signal Rx-1. will be.
전방향성 혹은 섹터 구조에서 듀얼 캐리어 동작은, 상기 두 개의 안테나는 송신, 즉 제1안테나는 제 1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PRU-1)로부터 주파수 A를 송신하고, 제2안테나는 제2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PRU-2)로부터 주파수 B를 송신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안테나 및 제 2안테나 모두는 각각 하나의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한다. 하나의 수신 다이버시티 신호는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가 전송한 신호에서 생성되며, 다른 하나의 수신 다이버시티 신호는 수신 감도를 최대로 유지하기 위해 미리 증폭되어진 후 다른 피코-기지국 무선 장치를 통해 간접적인 다른 안테나로부터 생성된다. 그래서, 이런 기술은 안테나를 추가하지 않고서도 더 큰 용량 동작을 위한 제2 RF 캐리어의 추가를 가능하게 한다.Dual carrier operation in an omni-directional or sector structure, wherein the two antennas transmit, i.e., the first antenna transmits frequency A from the first pico-base station radio (PRU-1) and the second antenna is the second pico- Transmit frequency B from base station radio (PRU-2). And at the same time. Both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each receive one diversity signal. One receive diversity signal is generated from a signal transmitted by the pico-base station radio, and the other receive diversity signal is pre-amplified to maintain maximum reception sensitivity and indirectly through the other pico-base station radio. It is generated from another antenna. Thus, this technique allows the addition of a second RF carrier for larger capacitive operation without adding an antenna.
그래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첫 번째로, 케이블 전력 손실을 제거하면서도 안테나에 근접하여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소형 무선 장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케이블 전력 손실은 기지국을 구현하는 수신기의 수신감도와 송신기의 송신 전력을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은 케이블 전력 손실을 제거함으로써 비교적 저전력 전력증폭기의 사용이 가능하고, 종래의 기지국에서 사용되던 전력 증폭기보다 더 큰 전력의 송신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 small wireless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close to the antenna while eliminating cable power loss. Since the cable power loss significantly reduce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power of the transmitte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 of a relatively low power power amplifier by eliminating the cable power loss, and the power used in 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er transmit power than the amplifier.
두 번째로, 상기 무선 장치에 송수신기 서브시스템을 포함시킴으로써, DC를 낮추는 방식으로 상기 메인 장치에 종래에 사용되던 RF 인터페이스보다 더 낮은 주파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낮아진 주파수 인터페이스는 상기 케이블 상에서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기 무선 장치와 메인 장치간에 저렴하면서도 직경이 작은 연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Secondly, the inclusion of a transceiver subsystem in the wireless device enables lower frequency interfaces than conventionally used RF interfaces in the main device in a DC-lowering manner. The lower frequency interface reduces power loss on the cable, making it possible to use inexpensive, smaller diameter connection cables between the wireless device and the main device.
세 번째로, RF 성분과 상기 RF 성분에 의존하는 성분을 분리시킴으로써, 동일한 메인 장치를 사용하면서 상기 무선 장치만을 수정하는 것이 필요로 될 경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과 서로 다른 송신 전력 레벨에서, 서로 다른 RF 동작 환경 혹은 조건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상기 기지국 설계의 개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ird, by separating the RF component from the components that depend on the RF component, it is necessary to modify only the wireless device while using the same main device, at different frequency bands and at different transmit power level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operating environment or condition. Thus,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modification of the base station design.
네 번째로, 다루기 쉽고 설치하기 용이한 소형 무선 장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RF 소자없이 필요로 되는 공간이 더 적게 필요로 함과 동시에, 또한 상기 메인 장치에서 냉각을 위한 열 부하가 더 작아지기 때문이다.Fourth, it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small wireless devices that are easy to handle and easy to install. This is because less space is required without RF elements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 load for cooling in the main unit is smaller.
다섯 번째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기지국이 전방향성 혹은 지향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트래픽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전방향성에서 지향성 동작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특히, 섹터간에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CDMA 시스템에서 중요하다. 전방향성 구조를 위해서는 오직 하나의 무선 장치가 필요로 되고, 2개 혹은 3개의 섹터구조를 위해서는, 각각 2개 및 3개의 무선 장치가 필요로 된다. 상기 3개의 무선 장치는 3개의 섹터 구조에서는 동일한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3개의 캐리어 전방향성 구조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Fifth, such a structure enables the base station to perform omni-directional or directional operation, thereby enabling the base station to be upgraded from omni-directional to directional operation as the traffic demand increase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CDMA systems whe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soft hand-off is maintained between sectors. Only one wireless device is needed for the omni-directional structure, and two and three wireless devices are required for the two or three sector structures, respectively. The three wireless devices may operate at the same frequency in three sector structures, and may operate at different frequencies in the three carrier omnidirectional structures.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그 자신의 메인 장치에 연결된 또 다른 세 개의 무선 장치의 연결이 결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동일한 안테나에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nection of another three wireless devices connected to its own main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same antenna without using a combin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이점들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 번째로, 상기 무선 장치에 송수신기 모듈을 위치시킴으로써, 낮은 주파수 신호가 상기 송수신기 모듈로부터 상기 메인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수신측에서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이 고주파 신호를 저주파 신호로 변환시키고, 송신측에서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이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저주파 신호를 송신을 위해 고주파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무선 장치와 메인 장치간에는 오직 주파수 신호만이 전송되며, 상기 무선 장치와 메인 장치간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전력 손실은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더 작은 지름을 가지며, 가격적으로 저렴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Firstly, by placing a transceiver module in the wireless devic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low frequency signal from the transceiver module to the main device. Thus, on the receiving side, the transceiver module converts the high frequency signal into a low frequency signal, and on the transmitting side, the transceiver module converts the low frequency signal from the main device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for transmission. As a result, only a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between the wireless device and the main device, and the power loss of the cable connecting the wireless device and the main device is minimized, which results in a smaller diameter and cheaper cable.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possible to use.
두 번째로, 합성기가 상기 채널 처리 엘리먼트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접지 루프가 제거되며, 송신 및 수신 신호에 잡음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종래 기지국 시스템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이점을 가진다.Secondly, since the synthesizer is located away from the channel processing element, the ground loop is eliminated, and the probability that noise can occur in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signals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conventional base station systems.
세 번째로, 상기 메인 장치로부터 상기 송수신기 서브시스템을 제거하는 또 다른 이점은 상기 메인 장치가 그 크기 및 중량 면에서 훨씬 작고 가벼워지기 때문에. 동작 면적 또는 환경 조건 변화에 대한 기술적 요구에 있어서 유연성(Flexibility)과 설치 및 유지에 있어서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을 가진다.Third, another advantage of removing the transceiver subsystem from the main unit is that the main unit is much smaller and lighter in size and weight. The technical requirements for changing operating area or environmental conditions have the advantage of flexibility and eas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게다가, 더 작아진 크기와 더 가벼워진 중량의 기지국은, 특히 매크로 셀 구현에서 필요로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기지국 설치를 필요로 하는 피코 셀 혹은 마이크로 셀 구현에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smaller size and lighter weight base station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are easy to implement in pico cells or micro cells, especially requiring much more base station installations than those required in macro cell implementations.
네 번째로, 상기 무선 장치에 포함되는 전체 송신 기능을 가지고서, 상기 무선 장치는 송신된 데이터를 위한 오직 하나의 기저대역 신호만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장치에서 모든 업-컨버젼 및 증폭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무선 장치까지 높은 손실의 RF 신호를 송신할 필요를 제거하고, RF 신호가 반드시 지주에서 전파되는 경우보다 상기 무선 장치가 더 높은 효율을 가지고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Fourth, with the full transmission func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device, the wireless device receives only one baseband signal for the transmitted data and performs all up-conversion and amplification at the wireless device. This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need to transmit a high loss RF signal to the wireless device and enabling the wireless device to operate with higher efficiency than if the RF signal is necessarily propagated in the props.
다섯 번째로, 상기 무선 장치에서 업-컨버젼이 수행되기 때문에. 직접 변조는 송신 신호 라인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신호를 지주까지 상방향으로 전송한 후 RF로 업-컨버젼을 다시 수행하는 시스템 전반에 걸쳐 원가절감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에 비해서 본 발명에서는 RF 구성요소가 적게 요구된다.Fifthly, because up-conversion is performed in the wireless device. Direct modula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mplexity of the transmit signal line and enabling cost savings throughout the system where the signal is transmitted upwards to the posts and then upconverted back to RF.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fewer RF components than in the prior art.
여섯 번째로, 출력 전력 측정은 공장(factory)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장치는 어떤 메인 장치와 결합하여도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장치는 전력 조절(Setting)뿐만 아니라 로컬 메모리에서 풀-전력 조절을 기억하게 되고, 이는 상기 기지국 대신에 상기 무선 장치에서 셀 사이즈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Sixth, output power measurements can be performed at the factory and the wireless device can be programmed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ny main device. The wireless power device stores full power control in local memory as well as power setting, which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cell size adjustment in the wireless device instead of the base station.
일곱 번째로, 상기 기지국에서보다 오히려 상기 무선 장치에서 전력 감쇠를 약화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Seventhly, it is possible to attenuate or increase power attenuation at the wireless device rather than at the base station.
여덟 번째로, 상기 무선 장치에서 전력 제어의 검출이 수행되며, 특히 상기 전력 제어는 모든 신호 송신 패스의 보전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즉, 종래에는 전력 증폭기가 지주에 설치된 장치에서, 출력 전력 감쇠가 검출되었을 지라도, 상기 기지국 운용자는 상기 출력 전력 감쇠라는 문제가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했는지 아니면 메인 장치에서 발생했는지는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Eighthly, the detection of power control is performed in the wireless device, in particular the power control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to verify the integrity of all signal transmission paths. That is, conventionally, in a device in which a power amplifier is installed in a post, even if output power attenuation is detected, the base station operator was unable to detect whether the problem of output power attenuation occurred in the power amplifier or in the main device. Can solve the problem.
아홉 번째로, 모든 무선 장치 또는 메인 장치가 대체될 수 있음으로 인해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유사 엘리먼트들이 함께 구성됨으로 인해, 보드 혹은 디바이스 레벨 업그레이드 또한 종래의 기지국보다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Ninth,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perform a system upgrade because all wireless devices or main devices can be replaced. In addition, since similar elements are configured together, board or device level upgrades also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are easier to implement than conventional base stations.
Claims (1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21885998A | 1998-12-22 | 1998-12-22 | |
| US09/218,859 | 1998-12-22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00047947A true KR20000047947A (en) | 2000-07-25 |
Family
ID=2281677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0055342A Abandoned KR20000047947A (en) | 1998-12-22 | 1999-12-07 | Modular and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00047947A (en) |
| CN (1) | CN1284824A (en) |
| AU (1) | AU6543799A (en) |
| GB (1) | GB2347319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277727B1 (en) | 2000-11-22 | 2007-10-02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ignal |
| ITMI20010882A1 (en) * | 2001-04-27 | 2002-10-27 | Siemens Inf & Comm Networks | TRANSCEIVER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A CONFIGURABLE INTERFACE FOR A PERIPHERAL UNIT AND PROCEDURE |
| US6856276B2 (en) * | 2001-07-26 | 2005-02-15 | Codar Ocean Sensors, Ltd. | Multi-station HF FMCW radar frequency sharing with GPS time modulation multiplexing |
| SE0301229D0 (en) * | 2003-04-24 | 2003-04-24 | Ericsson Telefon Ab L M | An architectural model of a radio base station |
| CN100426897C (en) * | 2005-01-12 | 2008-10-15 | 华为技术有限公司 | Split type base station system and networking method and baseband unit thereof |
| CN101159933B (en) * | 2005-05-19 | 2010-09-08 | 华为技术有限公司 | Split base station system and its networking method and baseband unit |
| GB2436663B (en) * | 2006-03-30 | 2008-05-21 | Motorola Inc | Base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in |
| US8023999B2 (en) | 2006-12-28 | 2011-09-20 | Alcatel Lucent | Base station architecture using decentralized duplexers |
| US8737454B2 (en) * | 2007-01-25 | 2014-05-27 | Adc Telecommunications, Inc. | Modular wireless communications platform |
| US8583100B2 (en) | 2007-01-25 | 2013-11-12 | Adc Telecommunications, Inc. | Distributed remote base station system |
| CN102790976B (en) * | 2012-05-16 | 2015-08-19 | 郭建国 | Micro-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s vehicle electronic license tag networking management system thereof |
| JP5933832B2 (en) * | 2012-07-05 | 2016-06-15 |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 Method and network node for communicating between a first network node and a second network node via a twisted pair line |
| US10499269B2 (en) | 2015-11-12 | 2019-12-03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controlled nodes to channel interfaces of a controller |
Family Cites Familie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778346B2 (en) * | 1992-04-16 | 1998-07-23 | 日本電気株式会社 | Power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GB9217524D0 (en) * | 1992-08-18 | 1992-09-30 | Shaye Communications Ltd | Cordless telephone system |
| CA2109788C (en) * | 1992-11-30 | 2000-01-18 | Salman Yousef Abbasi | Microcell including remote radio channel units having a metallic microcell-macrocell wire link to a macrocell radio control complex |
| FI950916A7 (en) * | 1995-02-28 | 1996-08-29 | Nokia Telecommunications Oy | Radio system base station |
| JP2661589B2 (en) * | 1995-05-22 | 1997-10-08 | 日本電気株式会社 | Dynamic queuing method by GPS |
| US5768685A (en) * | 1995-12-11 | 1998-06-16 | Hughes Electronics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signals in a base station receiver |
| US6259910B1 (en) * | 1998-02-13 | 2001-07-10 | Lucent Technologies, Inc. |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rchitecture supporting block radio technology |
| WO1999044297A2 (en) * | 1998-02-27 | 1999-09-02 | Adicom Wireles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tributed base station antenna system |
-
1999
- 1999-12-07 KR KR1019990055342A patent/KR20000047947A/en not_active Abandoned
- 1999-12-22 CN CN99126460A patent/CN1284824A/en active Pending
- 1999-12-22 GB GB9930250A patent/GB2347319A/en not_active Withdrawn
- 1999-12-22 AU AU65437/99A patent/AU6543799A/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GB2347319A (en) | 2000-08-30 |
| AU6543799A (en) | 2000-07-20 |
| GB9930250D0 (en) | 2000-02-09 |
| CN1284824A (en) | 2001-02-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411825B1 (en) |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 |
| US6801788B1 (en) |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having a radio unit that is remotely programmable | |
| US8428033B2 (en) | Radio frequency network | |
| US6640111B1 (en) |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 |
| US8665845B2 (en) |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element and method for antenna array beam-forming | |
| US12101163B2 (en) |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serving as outdoor infrastructure in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 |
| JPH09510595A (en) |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and related methods | |
| KR100259843B1 (en) | A deplex outdoor base station system using hpa and oa | |
| JP2001077739A (en) | Flank-to-flank repeater and its operating method | |
| KR20000047947A (en) | Modular and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 |
| KR100375143B1 (en) | Modular and distributed radio unit architecture and dual carrier connection apparatus using same antennas | |
| CN213989224U (en) | Active 5G-iLAN antenna and active 5G-iLAN antenna system | |
| US11979218B1 (en) |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serving as outdoor infrastructure in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 |
| KR100676227B1 (en) | Marine mobile communication relay method and apparatus | |
| CN101094460A (en) | Method and device for designing tiny base station of using interconnection of intermediate frequency | |
| KR100443339B1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 |
| KR20000062871A (en) | Dual carrier, three-sector configuration for a cdma transmitter/receiver | |
| Howat | Cell like performance using the remotely controlled cellular transmitter | |
| KR20000051427A (en) | Combined antenna with rf transceiver in wll system | |
| WO1998021833A1 (en) | Transmitter unit and base station | |
| KR20000008276A (en) | Base station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dma method applying active antenna | |
| MXPA96003601A (en) | Station of cellular base of phase formation and associated methods for better energy efficienc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C19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
| SUBM |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