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64883A - 턱 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턱 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883A
KR20000064883A KR1019980708099A KR19980708099A KR20000064883A KR 20000064883 A KR20000064883 A KR 20000064883A KR 1019980708099 A KR1019980708099 A KR 1019980708099A KR 19980708099 A KR19980708099 A KR 19980708099A KR 20000064883 A KR20000064883 A KR 2000006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lower jaw
joint
lip
mou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디. 윌리암스
Original Assignee
위프스 프로덕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프스 프로덕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위프스 프로덕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7/002160 external-priority patent/WO1998034574A1/en
Publication of KR2000006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88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바이탈 크라니알 트라이애드(VCT)의 섬세한 조직 및 치아 입술 턱(1)을 손상으로 부터 보호 및/또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내부에서 관자놀이 아랫턱 관절(TMJ)의 과상돌기(2)를 지지하기 위한 턱관절보호장치가 제공되어, 두부가 접촉되는 활동시 턱(1) 및 VCT가 안정화되고, VCT 장애의 요소들이 적절한 치료를 위해 재정렬된다. 상기 장치는 카운터퍼처스(counter purchase) 이상이며, 비등 및 물림 턱/관절 보호장치로서, VCT의 치료 및/또는 입의 보호를 위한 입술 및 아랫턱 치아 씨트(seat)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응 유용성에 대해 사용자 사양으로 제공되어, 상기 장치는 공기유동공간(14)을 림(12)에 제공하여 경기활동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본 발명에 앞서서, VCT에 대한 장애가 간과, 무시, 잘못 진단되어 왔다. 미식축구, 권투, 하키(hockey), 축구 및 가래대경기와 같은 맞붙어 진행되는 경기에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규정, 룰(rule) 및 장치가 존재할지라도 머리를 구성하는 VCT는 아직도 적절한 보호를 요한다. 일반적인 마우쓰 가드(mouth guard)를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손상이 감소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마우스가드의 설계에 의해 섬세한 턱뼈관절 및 VCT의 구성부에는 손상 및 하중이 증가된다. 상기 경기의 상당수의 운동선수들이 VCT 장애를 겪고 있음에도, 상기 증상들은 종종 무시되고 턱뼈관절손상과 관련시키지 못했다. 상기 장애들은 어느정도의 VCT 장애를 보이고, 치과치료를 찾는 환자들의 50%이상을 상회한다고 추산된다. 상기 관절에 발생되는 외상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 발생되는 외상보다도 효과 및 전달이 더 크고, 증상은 경기가 끝난 후에도 선수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경기중에 관절에 발생되는 외상은 정밀한 진찰을 받지 못하고, 헬쓰, 스포츠 및 정부조직에 의해 대부분 무시된다. VCT에 대한 손상의 심각성은 주로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과 대뇌 보호부(cerebral housing)에 대한 근접성에 기인한다. 상상을 초월하여 상기 섬세한 부분에 대한 외상관리가 가장 효과적으로 훈련되는 권투선수들중의 환자들은 불구에 이르는 손상을 가지게 된다. 의료관련업자들은 상기 VCT에 대한 손상을 치료, 보호 및 방지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발명은 치아, 입술, 턱관절 및 머리의 다른 섬세한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관자놀이 아래턱 관절(TemporoMandibular Joint)(TMJ), 귀의 관자놀이 고막뼈(temporal tympanic bone) 및 암상부 관자놀이 뼈(petrous temporal bone)에서 발견되고 뼈와 티슈(tissue)조직으로 구성되는 바이탈 크라니알 트라이애드(Vital Cranial Triad)(VCT)를 포함한 턱뼈관절 보호장치에 관련된다.
도 1 은 두부내에서 아랫턱관절 보호장치가 소요위치에 있을 때, 관자놀이아래턱 관절복합체내의 기능변화를 가지는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부분측면도.
도 2 는 아랫턱 관절 보호장치내에서 공기용 개구 또는 가래를 나오게 하는 개구를 가지지만, 구개골 부품을 가지지 않는 전방 단면도.
도 3 은 보호장치의 정면도.
도 4 는 보호장치의 측면도.
도 5 는 보호장치의 평면도.
도 6 은 보호장치의 후방으로 부터 전방을 향해 보이는 단면.
VCT장애는 두개골 아래턱 관절상태(craniomandibular articulation)의 병리학적 상태로서, 아래턱 개방, 음식물 분쇄, 음식물 삼키기 및 다른 신경기능에 영향을 준다. 흔한 형태의 장애는 내부적인 혼란 및 구조적인 골절이다. 이들 장애는 맞붙어 진행되는 경기, 사고, 폭력에 기인한 공격, 또는 단순 낙상에 기인하여 두부, 턱에 대한 타격으로 야기된다. 응력, 변형, 인장력, 외부압력 소음들도 또한 VCT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다. 치아 특히 어금니의 조기손실도 또한 장애를 야기시킬 수 있다. 태아들에게 나타나는 상기 장애들은 태아 출산시 VCT부분에 대한 압축작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애는 의사가 산모의 출산관아래로 태아를 끌어당길 때 핀셋을 잘못 사용하여 발생된다.
VCT와 관련한 내부적인 혼란은 예를 들어, 목, 눈 및 귀부분의 통증, VCT내부에 위치한 디스크(disc)의 돌출 또는 삐걱거림, 얼굴근육의 고착, 치아의 연삭, (치아들이 양호하게 접촉하지 못하거나 부적절하게 접촉하는 부정교합, 이명증, 신체활동시 급속한 피로, 짜증증가, 원인을 알 수 없는 두통, 및 신체 활동결과감소 또는 힘손실과 같은 여러 가지 증상들로 나타날 수 있다.
VCT장애가 미치는 효과들중 하나를 보면, 턱뼈의 운동근육에 통증을 주고 다른 쇠약증세를 야기시킨다. 만약 VCT 장애가 초기에 치료되지 못하면, 종종 그 손상은 돌이킬 수 없게 된다.
TMJ 장애를 교정하기 위한 다수의 치료방법이 있다. 미국특허 제 4,568,280 호에 공개된 TMJ장애치료방법을 보면, 치과적인 아치(arch)형태를 가지고 재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재료로 구성된 단일체 인서트(unitary insert)의 두개골 아래턱 장치가 환자의 입속에 적절히 몰딩(molding)되어, 삐걱거림감소 또는 삐꺽거림 없는 과상돌기위치(condylar position)를 형성하도록 아래턱을 더욱 전방으로 위치설정하게 된다.
미국특허 제 4,671,766 호에 공개된 TMJ장애 치료방법을 보면, (두개의 구성부품중 하나가 구강아치내부에 끼워맞춤되고, 다른 하나가 아래턱 아치(mandibular arch)내부에 끼워맞춤되며, 각각의 구성부품상에 윙(wing)을 가지는 구강내부의 보조구훈련장치(intra-oral orthotic appliance)가 이용되어, 입을 닫을 때 TMJ를 지지하여, 각각의 구성부품들의 윙(wing)은 정해진 위치내에 연결되므로 TMJ의 적당한 정렬상태가 교정가능하다.
미국특허 제 5,152,301 호에 공개된 또다른 TMJ 보호방법을 보면, 아래턱의 앞쪽치아들이 U자형 기저부의 하부측면의 앞쪽위치로부터 이격시키고, TMJ상에 작용하는 압력 및 충격력들을 감소시키는 보호장치의 전방부들을 따라 기저부의 하부측면상에 교합후방패드(occlusal posterior pad)를 가진 열가소성 마우스가드(mouthguard)가 구성된다.
미국특허 제 4,810,192 호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내에서 TMJ를 지지 및/또는 상처로 부터 치아, 입술 및 아래턱을 보호하기 위한 2단구조 내부구강 보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단지 1단구조로 TMJ를 포함하고, 청취가능한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바이탈 크라니알 트라이매드(VCT) 및 면적이 더 크고 보호기능이 더욱 증가되며, 치아에 의해 코를 고는 현상 치아를 가는 현상 및 꽉 무는 현상을 포함한 수면장애를 감소시키는 개선점이 이루어진다.
입에 구성된 전체 입술아치 및 구강아치내부에서, 관자놀이 아랫턱 관절내의 뼈 및 조직 그리고 관자놀이 고막뼈로 구성된 바이탈 크라니알 트라이매드(Vital Cranial Triad)(VCT)와, 암상부 관자놀이 뼈와, 관련 구조물을 포함하는 두부의 다른 섬세한 구조물과 착용자의 입술 및 치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재료로 구성되는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는
(a) 일체로 구성된 입술부품 및 구강부품을 가진 양쪽의 후방치아부분과 강화된 전방치아부분으로 구성되는 U자형 기저부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들은 입에 구성된 전체 입술아치 및 구강아치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적용되며, 아랫턱부품은 입술부품으로 부터 하향 및 전방으로 오프셋(offset)되어, 아랫턱이 앞으로 돌출하는 위치내에 설정되고, (b) 제 1 재료로 충진된 기저부의 아랫턱 및 입술부품들내부에 완전한 아치 정교합 충격실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재료는 아랫턱, 입술 및 안면구조물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하기 위한 단단한 탄성재료이고, 상기 기저부는 열가소성 재료인 장치의 다른 부분에 이용하기 위한 제 2 재료로 충진되며, 상기 제 2 재료는 체온보다 높지만 100℃이하의 온도까지 가열될 때 부드러워지고, 냉각되어 장치가 소요위치에 완전히 끼워맞춤될 때 강성을 가지고 단단해지며, (c) 기저부에 의하여, 입술플랜지에 의하여 악골 치아 및 강화된 전면 치아부분을 위치설정하고 보호하기 위한 악골 채널(maxillary channel)을 형성하면서, 기저부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구조의 혀, 입, 입술벽을 구성하는 악골부품이 구성되며, (d) 악골전면치아를 지지하고, 착용자의 혀가 분명한 대화를 위해 전면악골치아의 혀표면에 대해 놓여지도록, 전면치아부분내부에 위치하고 악골부품이 벽내부에 관절구조의 림(rim)이 구성되고, (e) 기저부에 의하여 악골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하여, 턱관절의 외력감쇠공간을 형성하면서, 아랫턱이 공학적인 기능이 이루어지는 전방돌출위치에 있도록 깊은 입술플랜지에 의하여 아랫턱치아, 강화된 전면 아랫턱치아부분을 위치설정하고 보호하기 위한 아랫턱채널을 형성하면서, 기저부로 부터 하향 및 전방으로 돌출하는 혀, 입술, 입 벽으로 구성된 아랫턱부품이 구성되며, (f) 호흡 및 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체로 구성된 부품들의 전방부분내에서 송곳니로 부터 송곳니까지 기능적인 공기유동통로가 구성되고,
악골부품 및 아랫턱부품들과 후방부품들의 강화된 전방치아부분들이 양쪽에서 장치의 형상 및 프레임구조물을 유지하며, 착용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킨다. 치아표면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는 장치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되어, 체온 이상으로 가열될 때 부드럽게 되고, 냉각될 때 경화되어 상기 보호장치는 소요위치에 완전히 끼워맞춤되고, 장치의 다른 부분들은 강성 중합체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중합체 재료는 물에서 체온이상으로 가열되는 것과 무관하게 항상 강성을 유지한다.
구강 뿐만아니라 바이탈 크라니알 트라이애드(Vital Cranial Triad)(VCT) 및 부품구조에 대해 보호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다른 목적을 위한 서로다른 두가지 재료로 구성된 아래턱 관절 보호장치(jaw-joint protective device)가 착용자에게 이용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흔히 관자놀이 아래턱 관절(temporomandibular joint)로서 알려진 구성부품이 VCT에 의해 확대된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내에 아래턱 및 과상돌기(condyle)를 지지하여, 두부접촉활동(head contact activities)시 아래턱 및 VCT를 안정화시키고, 모든 VCT장애요소들이 두부접촉 및/또는 신체활동 또는 신체적 충격력이 작용하는 동안 하중을 감소시키면서 재정렬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장치의 구조는 단순하지만 개골, 아래턱-관절 및 구강의 기저부 구조물 및 섬세한 뼈들에 대한 최대보호기능을 위한 목적을 확실해진다. 본 발명을 따르는 단순한 아랫턱-관절 보호장치는 사용자 피팅(custom fitting)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착용자가 물속에서 장치를 가열하고 다음에 장치를 입속에 넣고, 장치를 꽉물어서, 수초내에 설정되는 구강아치들의 정합충격면내에서 치아의 정합면들에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착용자의 입속에 완전히 제위치로 간단히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아랫턱 관절 보호장치의 구조적 특징 및 장점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가 보호하는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에는 장치가 소요위치에 있을 때 VCT 복합체의 기능적으로 보호되는 위치가 도시된다. 장치에 의해 보호되는 두부의 영역들은 치아들로 구성되는 구강 또는 입이며, 상기 치아들은 강하게 고정된 위턱 및 이동가능한 아랫턱내에 자리잡고, 상기 아랫턱은 관자놀이 아랫턱 관절(TMJ)에서 두개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두 개의 기본 뼈, 볼(ball) 및 소켓(socket)관절(과상돌기(2)와 관절와(3)) 구조로서 관자놀이 뼈와 관절연결상태를 이루는 아랫턱뼈(1)에 의해 관절(joint)이 형성된다.
두부의 양쪽측면을 참고할 때, 관자놀이 뼈는 (상기 관절와(3)의 상부에 뇌가 위치하는) 매우 얇고 섬세한 관절와(3) 즉 관자놀이 아랫턱 관절의 소켓을 포함한다. 관절모양의 돌기(eminence)(5)는 관절와의 전면요소를 형성한다. 아랫턱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볼(ball)모양의 구조물이 과상돌기(2)사이에 위치하고, 관절와(3)는 TMJ의 (연골 또는 디스크) 메니스커스(meniscus)(4)이다. 이도(anditory meatus)(6), 고막뼈(7a, b, c) 및 후방의 관절와돌기(8)가 도시된다. 관자놀이 고막뼈의 전방 상부면과 후방 관자와돌기(8)가 위치(9)에서 합쳐진다. 다른 활동구조물중에서도 청각 및 균형기관들이 관자놀이 고막뼈내부에 수용된다. 크라니알 주신경들이 뇌의 기저부로 부터 돌출함에 따라, 주신경들의 복합체를 통과시키고, 뇌에 1차혈액공급이 이루어지는 내부 경동맥을 수용하는 암상부 관자놀이 뼈의 상대적으로 취약한 표면은 과상돌기의 중간표면보다 중간위치에서 더 취약하다.
경기와 관련한 VCT장애를 포함한 내부혼란에 있어서, 두부, 아랫턱 또는 안면으로 부터의 외력은 과상돌기를 VCT의 약한 구조에 대해 충격을 주게 된다. 상기 외력은 방사선에 의해 눈으로 확인가능한 약한 뼈들의 골절, VCT의 부드러운 조직의 좌상, 이탈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VCT 장애를 가진 운동선수들은 종종 신경장애 또는 순환장애를 나타내는 증상을 보이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상기 증상들은 다른 의학적 증상들중에서도 두통, 귀의 통증, 안면 통증, 눈의 충혈, 감광성, 근육약화, 신체단부의 통증 및 저림, 구토, 현기증, 언어장애, 쉰목소리, 청취력 감소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들과 관련하여, 운동경기동안, 아랫턱 및 구강상의 치아상태와 잇몸 그리고 혀, 입술 및 다른 구조들이 보호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도 3 및 도 4 의) 장치는 전형적으로 맞붙어 이루어지는 경기에 의해 발생되는 치과적인 그리고 아랫턱 관절상의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장치는 강화 전면치아부분 및 양쪽후방 치아부분들로 구성되고, 상기 부분들에서 구강경계(10mx) 및 아랫턱경계(10md), 혀경계(15), 입경계(11mx, 11md), 관절구조의 림(12) 및 혀의 구속장치(13)를 가진 구강(mx)치아 및 아랫턱치아(md)가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놓여진다. 상기 아랫턱 보호장치는 과상돌기의 정상위치 또는 중심위치에 대하여 전방위치 및 전방위치내에 하부의 아랫턱 및 과상돌기의 위치를 재설정한다. 다시 말해, 하부의 아랫턱이 앞으로 튀어나온 위치로 연장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정합 오프셋(offset)을 형성하고, 상기 오프셋은 악골앞니(maxillary incisal teeth)에 대해 아랫턱앞니의 표면을 하향 및 전방으로 위치설정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치아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치아들의 횡방향, 역방향 및 상대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치아들사이에서 교합구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장치는 연장된 위치내에서 하부의 아랫턱을 구속하고 아랫턱의 안정성을 최대화한다. 장치와 관련한 아랫턱의 하향위치 및 전방위치는 전방의 기능적으로 자유로운 공간 및 아랫턱 관절의 하중감쇄공간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입의 연한 구개부분 바로 앞에서 끝나는 종래기술의 마우스피스(mouthpieces)에 구성된 구개부분(palatal portion)이, 장치의 악골 구성부 및 아랫턱 구성부들내의 강도 설계에 의해 상기 아랫턱관절 보호장치로 부터 제거된다. 또한 분명한 대화 및 여러 가지 경우 개그리플렉스(gag reflex)를 손상시킨다. 상기 입경계 및 입술경계는 입술소대(labial frenum) 및 후방근육부착물의 충돌을 피하며, 입의 점액-입폴드(mucco-buccal fold)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5 에 있어서, 혀표면은 송곳니로 부터 송곳니까지 악골 전방니의 뒤에서 관절의 림(rim)에 의해 보강된다. 유사하게 혀의 아랫턱뼈 플랜지 영역(flange area)이 송곳니로부터 송곳니까지 전방니내부에서 아랫턱을 단단히 구속하여 보강된다.
아랫턱이 기능적으로 돌출된 위치내부에 놓일 때, 장치가 입내부에 놓이면, 한 개의 유니트로 일체화되는 아랫턱 유니트와 악골유니트가 구강을 보호하고, VCT의 과상돌기를 보호위치로 설정하여 청취를 도모한다. 공학적인 아랫턱 위치설정은 상기 장치, 운동학적 기능적 생리적 특성, 과상돌기의 생리학적 특성, 외력 감소공간, 기능적 자유공간에 의해 공학적인 아랫턱 배치가 조정된다.
도 1 및 도 2 는 턱관절 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며, 공기유동공간(14)(침을 위한 오리피스)에 의해 소요치수의 이격거리를 두고 상부구강아치 및 하부구강아치가 고정되어, 상기 보호장치의 착용자는 활동에 의한 호흡 또는 가래배출 또는 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의 공기유동공간(14)은 고정수단으로써 이용가능하여 턱관절보호장치는 의식이 없거나 손상된 착용자로 부터 분리가능해진다.
도 6 에 있어서, 관절구조의 림(rim)(12)을 형성하는 전면부분에서 두껍고, 테이퍼(taper)구조를 가지며, 가압된 부분을 가지는 입술아치(arch)의 혀부분의 도면을 도시하고, 상기 림은 대화를 용이하게 하며 전면위치의 치아표면에 대해 지지기능을 한다. 전면의 공기유동자유공간(14)과 결합된 림에 의해 턱관절보호장치를 착용하는 동안 대화 또는 능동적 또는 수동적 호흡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턱관절보호장치의 착용자에 의해 소요위치에 끼워맞춤되는 방법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장치의 사용자 또는 예를 들어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를 도와주는 사람은 공학적 설계에 따라 장치의 특정부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체온보다 높고 100℃도 이하의 온도까지 장치를 물에서 가열하고, 즉시 장치를 착용자의 입속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사용자는 기저부내에서 치아가 압축되도록 기저부(base)를 꽉물고, 양호한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예를 들어, 혀, 핑거립(finger lip), 입술, 구강근육에 흡착 및 압력을 가한다. 다음에 상기 보호장치는 입으로 부터 분리되고 냉각되어, 장치는 단단한 형태로 굳어진다. 냉각과정은 단지 수초내에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는 남자성인, 여자성인, 어린이들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들에 맞도록 다양한 크기로 생산된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로 알려진 인젝션 몰딩기술(injection molding technique)에 의해 생산가능하다.
상기 보호장치의 정교합 바이트채널(occlusal bite channel)은 일반적으로 압력에 견디고, 용이하게 몰딩되며 보호장치 착용자의 입속에서 발생하는 화학적작용에 대해 불활성을 가지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와 같은 내구성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된다. 착용자의 입속에서 몰딩되도록 체온이상 및 100℃도이하의 온도일 때 부드러워지지만 냉각시에는 상기 합성수지재료가 경화된다. 입속의 체온이 약 37℃도이다. 상기 부드러워지는 작용 및 경화작용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다수의 재료가 설계되고, 상기 재료는 합성수지 산업에 이미 존재한다. 본 발명의 턱관절 보호장치를 생산하기 위해 천연고무가 이용가능하고, 상기 천연고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내구성, 무독성 및 불활성을 가진다.
양쪽으로 후방부분과 입술 및 입부분내에서 프레임구성을 위한 기초구성 및 전면의 강화구강부분을 위한 형상으로서 사용되는 탄성재료가 일반적으로 강도와 관련한 보호기능을 하는 보호장치의 다른 부분의 구성재료와는 다른 재료로 부터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재료는 일반적으로 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체는 크라톤(Kraton) 재료가 된다. 본 발명의 턱관절보호장치의 탄성부분을 생산하기 위하여 천연고무가 이용가능하고, 상기 고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지고, 내구성, 무독성 및 불활성을 가진다. 구강내부에서 이용하기 위해, 미국치과협회(American Dental Association)의 사양을 만족하는 장치를 위한 다른 재료들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턱관절보호장치는 종래기술의 마우스가드(mouth guard)보다 다수의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해 VCT에 대한 충격력을 분산하는 외력감쇠공간을 형성하면서 과상돌기를 하향 및 전방위치로 이동시키고, 두부에 대한 충격이 흡수되며, 입술 및 아랫턱 치열상태가 보호된다. 상기 턱관절 보호장치는 또한 디스크(disc)가 압축되는 것이 제거되고, 두부(head)에 대한 외상을 가진 TMJ의 과상돌기공간에 의해 두부내에서 섬세한 뼈들상에서 하부 턱의 외상을 주는 변위발생에 대해 안정성이 더욱 커지고, "입술증상을 통한 치아"와 같은 입술손상이 감소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상기 보호장치의 계속적인 착용에 의해, 운동선수는 경기활동을 하고 쉬는 동안 손상된 과상돌기 복합체 및 다른 안면구조물의 치료가 촉진된다. 상기 보호장치가 착용되는 동안, 공기유동공간을 통해 영양물이 통과되고 분명한 대화가 가능하며 입속에서 편안하기 때문에, 상기 보호장치는 다른 안면 및 턱골절의 치료 및 아치 안정화(arch stabilization)에 이용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보호장치의 사용자는 의료용 장치로써 상기 장치를 이용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턱관절 보호장치에 의해, 손상된 VCT 부분 및 다른 안면부분 뼈, 과상돌기-구멍의 관계의 치료가 용이해진다. 상기 장치는 VCT내에서 손상된 구조로 부터 과상돌기를 이격시켜 재배치하는 것에 의해 운동선수가 신체기능출력 및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것은 착용자가 운동경기중에 있거나, 정상적인 일상활동을 하거나 쉬고 있는 동안 상기 장치를 착용하는 또다른 장점이 된다. 상기 보호장치는 수면중에 패턴을 형성하여 코고는 것을 감소시키고, 입속의 공기유동을 증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수면중에 상기 장치에 의해 착용자는 또한 치아를 꽉 무는 행위 및 치아를 가는 행위를 줄일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을 따르는 턱관절보호장치의 계속적 사용에 의해 두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경기 참여시에도 안전도가 증가된다.

Claims (9)

  1. 입에 구성된 전체 입술아치 및 구강아치내부에서, 관자놀이 아랫턱 관절내의 뼈 및 조직 그리고 관자놀이 고막뼈로 구성된 바이탈 크라니알 트라이애드(Vital Cranial Triad)(VCT)와, 암상부 관자놀이 뼈와, 관련 구조물을 포함하는 두부의 다른 섬세한 구조물과 착용자의 입술 및 치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재료로 구성되는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에 있어서,
    (a) 일체로 구성된 입술부품 및 구강부품을 가진 양쪽의 후방치아부분과 강화된 전방치아부분으로 구성되는 U자형 기저부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들은 입에 구성된 전체 입술아치 및 구강아치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적용되며, 아랫턱부품은 입술부품으로 부터 하향 및 전방으로 오프셋(offset)되어, 아랫턱이 앞으로 돌출하는 위치내에 설정되고,
    (b) 제 1 재료로 충진된 기저부의 아랫턱 및 입술부품들내부에 완전한 아치 정교합 충격실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재료는 아랫턱, 입술 및 안면구조물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하기 위한 단단한 탄성재료이고, 상기 기저부는 열가소성 재료인 장치의 다른 부분에 이용하기 위한 제 2 재료로 충진되며, 상기 제 2 재료는 체온보다 높지만 100℃이하의 온도까지 가열될 때 부드러워지고, 냉각되어 장치가 소요위치에 완전히 끼워맞춤될 때 강성을 가지고 단단해지며,
    (c) 기저부에 의하여, 입술플랜지에 의하여 악골치아 및 강화된 전면치아부분을 위치설정하고 보호하기 위한 악골 채널(maxillary channel)을 형성하면서, 기저부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구조의 혀, 입, 입술벽을 구성하는 악골부품이 구성되며,
    (d) 악골전면치아를 지지하고, 착용자의 혀가 분명한 대화를 위해 전면악골치아의 혀표면에 대해 놓여지도록, 전면치아부분내부에 위치하고 악골부품의 벽내부에 관절구조의 림(rim)이 구성되고,
    (e) 기저부에 의하여 악골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하여, 턱관절의 외력감쇠공간을 형성하면서, 아랫턱이 공학적인 기능이 이루어지는 전방돌출위치에 있도록 깊은 입술플랜지에 의하여 아랫턱치아, 강화된 전면 아랫턱치아부분을 위치설정하고 보호하기 위한 아랫턱채널을 형성하면서, 기저부로 부터 하향 및 전방으로 돌출하는 혀, 입술, 입벽으로 구성된 아랫턱부품이 구성되며,
    (f) 호흡 및 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체로 구성된 부품들의 전방부분내에서 송곳니로 부터 송곳니까지 기능적인 공기유동통로가 구성되고,
    악골부품 및 아랫턱부품들과 후방부품들의 강화된 전방 치아부분들이 양쪽에서 장치의 형상 및 프레임구조물을 유지하며, 착용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단한 탄성재료는 열가소성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적인 통로가 공기통로 또는 가래배출을 위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아랫턱 아치에 구성된 깊은 입술플랜지에 의해 강화된 전면치아부분 및 악골아치의 관절구조 림에 의해 지지되는 기저부의 전면부품내부에 구성된 압착부가 상기 림의 크기가 감소되더라도 앞니를 구속하지만 구속안정성이 유지되고, 앞니구속에 의해 앞니의 안정성 및 강도가 유지되지만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를 소요위치에 유지하면서 관절작용 및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전면 치아의 혀표면에 대해 혀의 자세를 확실히 하기 위해 관절 림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단단한 탄성재료 및 열가소성재료가 꽉물림표면내에 구속된 아랫턱 및 악골아치들을 유지하고, 상기 표면은 외상을 주고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턱의 변위에 대해 턱을 안정화시켜서, 장치끼워맞춤의 비등 및 물림이 이루어질 때 장치의 일체성 및 아랫턱의 돌출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마우스가드에서 혀부품의 구성을 제거하고 관절을 구성하기 위한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고, 종래기술의 마우스가드의 공기유동보다 더 많은 공기유동이 기능적인 공기유동통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7. 운동경기에 참여하거나, 턱관절장애 및 다른 안면부분의 골절을 교정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항의 장치를 착용하여 턱관절 장애 및 다른 안면부분의 골절을 가진 사람의 턱관절 장애 및 다른 안면부분골절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관자놀이 아랫턱 관절 및 턱부품의 보호 및 치료를 위해 충분한 시간동안 관자놀이 아랫턱 관절 및 턱부품이 안정한 상태로 기능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8. 장치의 일부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체온보다 높지만 100℃ 이하에서 물에서 장치를 가열하고 다음에 즉시 장치를 착용자의 입속에 넣고, 기저부를 꽉물어서, 기저부내부에 치아 압착부를 형성하며, 다음에 혀, 입술 및 구강근육에 의해 흉착 및 가압이 이루어지고 다음에 장치를 냉각하여 장치는 강성을 가지고 경화되는 사용자의 입내부에서 제 1 항의 장치를 소요위치에 끼워맞추는 방법.
  9. 수면중 치아를 갈고 꽉물며 코를 고는 증상들을 가진 사람에 의해 제 1 항의 장치를 착용하여, 상기 증상의 수면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KR1019980708099A 1997-02-11 1997-02-11 턱 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Ceased KR20000064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7/002160 WO1998034574A1 (en) 1995-08-04 1997-02-11 Jaw-joint protectiv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883A true KR20000064883A (ko) 2000-11-06

Family

ID=2226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099A Ceased KR20000064883A (ko) 1997-02-11 1997-02-11 턱 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508953A (ko)
KR (1) KR200000648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995B1 (ko) * 1999-11-05 2002-06-10 조기용 턱관절 교정패드
KR101439978B1 (ko) * 2013-09-12 2014-09-12 이상재 턱관절 교합 안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2608A (zh) * 2018-12-21 2019-03-08 天津医科大学口腔医院 龋病监测防控一体化口腔光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995B1 (ko) * 1999-11-05 2002-06-10 조기용 턱관절 교정패드
KR101439978B1 (ko) * 2013-09-12 2014-09-12 이상재 턱관절 교합 안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8953A (ja) 2000-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6379A (en) Jaw-joint protective device
US4810192A (en) Two-stage intra-oral protective system
US5339832A (en) Thermoplastic mouthguard with integral shock absorbing framework
US5732715A (en) Mouthpiece
US6675806B2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elastomeric traction pads and disconnected anterior impact braces
US8459267B2 (en) Mouthguar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11179232B2 (en) Dual use exercise whitener appliance
US6626180B1 (en) Quadruple composite performance enhancing dental appliance
US6691710B2 (en) Composite mouthguard
US6510853B1 (en) Encapsulated quintuple composite mouthguard
US6505626B2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nonsoftenable framework and disconnected anterior impact braces
US6257239B1 (en) Dental appliance with anti-microbial additive
US6505627B2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palate arch and anterior palate opening
US6598605B1 (en) Non-softenable, impressionable framework for dental appliances
US6539943B1 (en) Encapsulated composite dental appliance
US6508251B2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palate arch with nonsoftening framework having at least one bridge
US6237601B1 (en) Cross-cantilever connectors for a dental appliance
US6415794B1 (en) Composite dental appliance with wedge
US6505628B2 (en) Quadruple composite performance enhancing mouthguard
US20040154626A1 (en) Mouthguard
US6675807B2 (en) Quadruple composite performance enhancing mouthguard
CA2573572C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head injury
US20020144691A1 (en) Composite performance enhancing mouthguard with embedded wedge
US20030101999A1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nonsoftening framework
CN1217640A (zh) 颚关节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6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